KR101898474B1 - Platform system for providing multi-faceted controller - Google Patents

Platform system for providing multi-faceted control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8474B1
KR101898474B1 KR1020170064675A KR20170064675A KR101898474B1 KR 101898474 B1 KR101898474 B1 KR 101898474B1 KR 1020170064675 A KR1020170064675 A KR 1020170064675A KR 20170064675 A KR20170064675 A KR 20170064675A KR 101898474 B1 KR101898474 B1 KR 101898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er
target
user
output
mod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46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남용희
Original Assignee
남용희
주식회사 모빌리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용희, 주식회사 모빌리안 filed Critical 남용희
Priority to KR1020170064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847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4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16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characterised by the operator's input devi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22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characterised by the communication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controller platform system capable of controlling a remote control (RC) device according to a multifunctional controller model designed by a user.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evice scanning unit which scans an RC device and displays information of a scanned device; a device setting unit which sets at least one among a device property, a device control value, and a target basic value of the scanned device according to a user input; a controller model editing unit which displays a controller and a target, arranges the displayed controller and target according to a user input, and designs an RC product controller model according to a user request; a control unit which generates a target control signal by converting logical power according to a controller operation of a user into physical power according to a designed controller model; and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which transmits the generated target control signal to a target. An RC product can be freely manipulated by designing various different RC product controller models according to a user request without being limited to one RC product model.

Description

다기능 콘트롤러를 제공하는 플랫폼 시스템{PLATFORM SYSTEM FOR PROVIDING MULTI-FACETED CONTROLLER}[0001] PLATFORM SYSTEM FOR PROVIDING MULTI-FACETED CONTROLLER [0002]

본 발명은 다기능 콘트롤러를 제공하는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격 조종(Remote Control, RC) 제품의 콘트롤러 모델을 임의로 디자인할 수 있는 다기능 콘트롤러를 제공하는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tform system for providing a multifunctional controll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latform system for providing a multifunctional controller capable of arbitrarily designing a controller model of a remote control (RC) product.

원격 조종 제품이란 무선 전파로 조종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RC 제품 시장은 RC 자동차, RC 배, RC 항공기 등의 많은 제품군으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다양한 제품을 조종하기 위해 각 제품에 특유하고 그 조종 방식은 제조사에 의해 정해진 모델로 고정된 RC 조종기가 사용되고 있다.Remote controlled products are devices that can be controlled by radio waves. The RC product market consists of many products such as RC car, RC ship, and RC aircraft. In order to control these various products, an RC controller fixed to the model specified by the manufacturer is used for each product. .

그러나, 이러한 RC 조종기는 조종의 단순함(예를 들어,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사에 의해 정해진 모델에 따라 최대 속도로만 조종할 수 있는 등)으로 인해 쉽게 사용자의 흥미를 잃게 하고, 비용이 고가여서 이를 과학 교육에 적용 시 사용자에게 비용 부담을 지울 수 있으며, 또한 상기한 특유성 및 고정성으로 인해 조립 위주의 단순 교육만이 가능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n RC controller can easily lose the interest of the user due to the simplicity of the control (for example, it can only be controlled at the maximum speed according to the model set by the manufacturer as described above), and the cost is high,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cost burden on the user when applying to the education, and the disadvantage that only the assembly-oriented simple education can be performed due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ity and stability.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50390호(2006.11.21. 등록)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650390 (Registered on November 21, 2006)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10263호(2014.01.24.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10263 (published on April 24, 2014)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모델의 RC 제품의 조종을 다양한 제어 방식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콘트롤러 모델을 사용자 요구에 따라 디자인할 수 있는 다기능 콘트롤러를 제공하는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device capable of designing a controller model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And a platform system for providing a controll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기능 콘트롤러를 제공하는 플랫폼 시스템은, 상기 RC 장치를 스캔하고 스캔된 장치의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 스캔부, 상기 스캔된 장치의 장치 속성, 장치 제어값 및 타겟 기본값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설정하는 장치 설정부, 콘트롤러 및 타겟을 표시하고 표시된 상기 콘트롤러 및 타겟을 사용자 입력에 따라 배치한 다음 사용자 요구에 따라 RC 제품 콘트롤러 모델을 디자인하는 콘트롤러 모델 편집부, 사용자의 콘트롤러 조작에 따른 논리적 파워를 디자인된 상기 콘트롤러 모델에 따라 물리적 파워로 변환하여 타겟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생성된 상기 타겟 제어 신호를 타겟으로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latform system for providing a multifunctional controller, including a device scanning unit for scanning the RC device and displaying information of the scanned device, a device attribute of the scanned device, A controller model editor for displaying a controller and a target for setting at least one of a target value and a target value according to user input, arranging the controller and the target according to a user input, and designing an RC product controller model according to a user request, A controller for converting the logical power according to the controller operation of the user into physical power according to the designed controller model to generate a target control signal, and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transmitting the generated target control signal to the targe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콘트롤러를 제공하는 플랫폼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latform system for providing the multifunctional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하나의 RC 제품에 국한되지 않고 여러 상이한 RC 제품에 적용이 가능하고, 고가의 완성형 제품이 없더라도 기존 장난감, 나무 막대, 폐품 등을 이용하여 제작한 작품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그러한 RC 제품을 사용자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제어할 수 있는 다기능 콘트롤러 플랫폼을 제공하고, 이에 따라 조립 위주의 단순 교육을 넘어 저비용으로 RC 제품을 이용한 과학 교육 주도가 가능하다.It is applicable not only to one RC product, but also to various different RC products. Also, it can be applied to works produced using existing toys, wooden bars, and scrapped products even if there are no expensive finished products. It provides a multifunctional controller platform that can be controll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콘트롤 플랫폼 시스템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환경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콘트롤러 플랫폼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장치 스캔부를 통해 스캔된 장치가 표시되는 예시적인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다.
도 4는 장치 설정부를 통해 장치의 속성을 설정할 수 있는 예시적인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다.
도 5는 모델 관리부를 통해 장치 모델을 선택할 수 있는 예시적인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다.
도 6은 콘트롤러 모델 편집부를 통해 도구 상자에 표시된 콘트롤러 및 타겟이 사용자의 드래그 & 드롭 액션에 따라 조종 화면에 배치된 예시적인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다.
도 7a는 콘트롤러를 예시하고, 도 7b는 액터를 예시하며, 도 7c는 타겟을 예시한다.
도 8은 콘트롤러 모델 편집부를 통해 타겟의 속성을 디자인할 수 있는 예시적인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다.
도 9는 제어부를 통해 RC 장치를 조종할 수 있는 예시적인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다.
1 is a block diagram briefly illustrating a network environment to which a multifunctional control platform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multifunctional controller platform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shows an exemplary user interface screen in which devices scanned through the device scanning unit are displayed.
4 shows an exemplary user interface screen in which the attributes of a device can be set through the device setting unit.
5 shows an exemplary user interface screen through which a device model can be selected through the model management unit.
FIG. 6 shows an exemplary user interface screen in which a controller and a target displayed in a tool box through a controller model editing unit are arranged on a control screen according to a user's drag and drop action.
Figure 7A illustrates a controller, Figure 7B illustrates an actor, and Figure 7C illustrates a target.
8 shows an exemplary user interface screen capable of designing a target attribute through a controller model editing unit.
FIG. 9 shows an exemplary user interface screen capable of controlling the RC apparatus through the control unit.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출원에서 사용될 때, 용어 "콘트롤러"는 화면에 표시되어 사용자의 액션에 반응하여 출력을 조절, ON/OFF, 또는 토글링하는 것을 지칭하고, 용어 "액터"는 콘트롤러가 가지고 있는 속성으로서 지정한 역할을 수행하는 논리적 객체를 지칭하며, 용어 "타겟"은 콘트롤러에서 발생한 이벤트가 출력으로 변환하는 객체로서 예를 들어, DC 모터, 서보 모터, I/O 디바이스 등을 지칭한다.The term "controller" when used in this application refers to controlling, turning on / off, or toggling the output in response to a user's action a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term "actor " The term "target" refers to a DC motor, a servo motor, an I / O device, or the like, which is an object converted into an output by an event generated in the controller.

이하에서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콘트롤러 플랫폼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디자인한 다기능 콘트롤러 모델에 따라 RC 제품(300)을 조종할 수 있는 다기능 콘트롤러 폴랫폼 시스템(100)을 내장한 사용자 단말이 통신 네트워크(200)를 통해 RC 제품(300)에 연결된 상태에서의 네트워크 환경을 바탕으로 하는 경우를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콘트롤 플랫폼 시스템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환경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블록도이다.The multifunctional controller platform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ultifunctional controller platform system 100 capable of controlling an RC product 300 according to a user-designed multifunctional controller model, As a preferred embodiment, based on the network environment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RC product 300 through the network 200. 1 is a block diagram briefly illustrating a network environment to which a multifunctional control platform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이하 본 발명의 다기능 콘트롤러 플랫폼 시스템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ultifunctional controller platform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콘트롤러 플랫폼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multifunctional controller platform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기능 콘트롤러 플랫폼 시스템(100)은 장치 스캔부(110), 장치 설정부(120), 장치 모델 관리부(130), 콘트롤러 모델 편집부(140), 제어부(150)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160)를 포함하여, 사용자 요구에 따라 다양한 RC 장치 콘트롤러 모델을 디자인할 수 있는 다기능 콘트롤러 플랫폼을 제공한다.2, the multifunctional controller platform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vice scanning unit 110, a device setting unit 120, a device model managing unit 130, a controller model editing unit 140, a controller 150 And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160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controller platform capable of designing various RC device controller models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장치 스캔부(110)는 예를 들어, 비콘 형태로 애드버타이징하고 있는 RC 장치(300)를 검색하고, 스캔된 장치의 장치 이름, 수신 신호 강도(RSSI), 배터리 정보 등을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장치 아이콘과 함께 표시한다. 이때, 장치 스캔부(110)는 블루투스 특유의 페어링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RC 장치(300)가 개인용 보안 장치에 해당하는 경우, 장치 스캔부(110)는 스캔된 개인용 보안 장치를 다른 사용자에게는 표시하지 않고 최초에 해당 장치를 설정한 사용자에게만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장치 스캔부(110)를 통해 스캔된 장치가 표시되는 예시적인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다.The device scanning unit 110 searches the RC device 300 that is advertising in a beacon form, and controls the device name, received signal strength (RSSI), battery information, etc. of the scanned device by the user To be displayed with the device icon. At this time, the device scanning unit 110 may not require Bluetooth-specific pairing. If the RC device 300 corresponds to the personal security device, the device scanning unit 110 may display the scanned personal security device only to the user who initially set the device, without displaying the scanned personal security device to other users. FIG. 3 shows an exemplary user interface screen in which devices scanned through the device scanning unit 110 are displayed.

장치 설정부(120)는 장치 스캔부(110)를 통해 스캔된 장치의 장치 속성(예를 들어, 장치 이름, 장치 모델, 보안 여부 등), 장치 제어값(예를 들어, 주파수(RPM), 입력 전압, 자동 전원 차단 시간 등) 및 타겟 기본값(DC 모터, 서보 모터, I/O 디바이스 초기값 등) 등을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설정한다. 여기서, 주파수는 사용하는 DC 모터가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DC 모터별 제어 주파수 특성이 다른 것을 감안하여 50Hz에서 10MHz까지 설정할 수 있는 주파수 특성을 의미한다. 그리고, 타겟 기본값이란 사용자의 콘트롤러 조작 없이도 자동으로 출력되는 기본값으로 고정형 RC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특성으로서, DC 모터의 기본값은 설정한 주파수의 듀티를 설정하는 방식으로 -100% 내지 100%로 제어 가능하고 서보 모터의 방향은 -100도 내지 100도 사이에서 제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기타 부가 장치(LED, 단방향 모터)의 1.2V 내지 48V 출력 포트를 제어할 수 있는데 이러한 부가 장치도 PWM 채널을 사용하여 0 내지 100%로 제어 가능할 수 있다. 도 4는 장치 설정부(120)를 통해 장치의 속성을 설정할 수 있는 예시적인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다.The device setting unit 120 sets device attributes (e.g., device name, device model, security status, etc.) of devices scanned through the device scanning unit 110, device control values (e.g., Input voltage, auto power off time, etc.) and target default (DC motor, servo motor, I / O device initial value, etc.) according to user input. Here, the frequency refers to a frequency characteristic that can be set from 50 Hz to 10 MHz in consideration of a different control frequency characteristic for each DC motor since the DC motor to be used is not fixed. The target default value is the default value that is automatically output without user's controller operation. It can be applied to stationary RC device. The default value of DC motor is controllable from -100% to 100% by setting the duty of the set frequency. And the direction of the servo motor is controllable between -100 and 100 degree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1.2V to 48V output port of other additional devices (LED, unidirectional motor), which can also be controlled from 0 to 100% using the PWM channel. 4 shows an exemplary user interface screen in which the attributes of a device can be set through the device setting unit 120. [

장치 모델 관리부(130)는 사용자가 소유한 장치 모델을 아이콘과 함께 표시한다. 초기에는 제조사가 배포한 모델을 나타내며, 그 후 사용자 입력에 따라 장치 모델을 추가 변경할 수 있다. 장치 모델 관리부(130)는 사용자가 추가한 장치 모델을 서버를 통해 동기화할 수 있으며, 해당 모델을 소유하지 않은 사용자가 다운로드를 통해 추가 변경할 수 있어 모델을 재작성하지 않아도 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모델 관리부(130)를 통해 장치 모델을 선택할 수 있는 예시적인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다.The device model management unit 130 displays a device model owned by the user with an icon. Initially, this indicates the model distributed by the manufacturer, and then the device model can be further modified according to user input. The device model management unit 130 can synchronize the device model added by the user through the server and the user who does not own the model can additionally change it through downloading so that the model can be configured not to be rewritten. FIG. 5 shows an exemplary user interface screen through which the device model can be selected through the model management unit 130. FIG.

콘트롤러 모델 편집부(140)는 도구 상자에 콘트롤러 및 타겟을 표시하고, 표시된 콘트롤러 및 타겟을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드래그 & 드롭 액션)에 따라 조종 화면에 배치한 다음, 사용자 요구에 따라 RC 제품 콘트롤러 모델을 디자인한다. 이때, 콘트롤러는 유저 인터페이스에 구현되고 사용자의 액션에 반응하는 것으로서 사용하는 역할에 따라 액터를 가지고 있으며, 액터는 콘트롤러가 가지고 있는 속성으로서 지정된 역할을 수행하는 논리적 객체를 나타낸다. 그리고, 타겟은 본 발명의 다기능 콘트롤러 시스템(100)에 연결되어 전기 에너지를 소모하여 일을 하는 소자로서 예를 들어, DC 모터, 서보 모터, I/O 디바이스(예를 들어, LED, 기타 모터)를 나타낸다. 콘트롤러 모델 편집부(140)는 테스트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콘트롤러 모델 디자인 중에도 콘트롤러와 동일하게 실제 출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콘트롤러 모델 편집부(140)를 통해 도구 상자에 표시된 콘트롤러 및 타겟이 사용자의 드래그 & 드롭 액션에 따라 조종 화면에 배치된 예시적인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고, 도 7a는 콘트롤러를 예시하고, 도 7b는 액터를 예시하며, 도 7c는 타겟을 예시한다.The controller model editing unit 140 displays the controller and the target in a tool box, arranges the displayed controller and the target on the control screen according to a user input (for example, a drag and drop action), and then, Design the model. At this time, the controller is implemented in the user interface and responds to the user's action, and has an actor according to the role to be used, and the actor represents a logical object that performs the role designated as the attribute possessed by the controller. The target may be a DC motor, a servo motor, an I / O device (for example, an LED or other motor) connected to the multifunctional controller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nsuming electric energy, . The controller model editing unit 140 may be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check the actual output in the same manner as the controller during the controller model design through the test function. FIG. 6 shows an exemplary user interface screen in which a controller and a target displayed in the tool box through the controller model editing unit 140 are arranged on a manipulation screen according to a user's drag and drop action, FIG. 7A illustrates a controller, ≪ / RTI > illustrates an actor, and FIG. 7C illustrates a target.

나아가, 콘트롤러 모델 편집부(140)는 사용자가 선택한 콘트롤러 및 타겟의 속성(예를 들어, 액터 속성(예를 들어, 액터 역할, 자동 복귀 여부, 메인 출력 속성 등), 타겟 속성(예를 들어, 장치, 사용 범위, 출력 반전 여부, 기본 출력값, 보정값 등) 등을 사용자 입력에 따라 디자인한다. 액터 속성에서, 액터 역할이란 사용자가 선택한 콘트롤러가 수행할 기능으로서 예를 들어, 타겟의 좌우 이동, 상하 이동, 좌우 및 상하 이동, ON/OFF 또는 토글링 중 어느 하나(도 7b 참조)를 의미하고, 자동 복귀 여부란 사용자가 선택한 콘트롤러를 터치 아웃했을 때 콘트롤러를 유저 인터페이스의 0점으로 자동 복귀시킬지 여부를 의미하며, 메인 출력이란 다른 액터에 속한 연관 타겟의 최대 출력을 제한할지 여부를 의미한다. 그리고, 타겟 속성에서, 장치는 콘트롤러로 조종될 타겟 장치를 의미하고, 사용 범위는 선택한 컨트롤러로 조절할 수 있는 타겟의 출력 범위로서 움직임의 미세한 정도를 의미하고, 출력 반전이란 타겟이 콘트롤러의 논리적 출력 방향과 반대로 움직일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하고(이는 타겟의 극성이 반대로 연결되었더라도 단지 플랫폼 시스템을 통해 원하는 출력 방향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기본 출력값이란 사용자가 장치 조종 시 콘트롤러를 터치 아웃하더라도 타겟이 기본으로 지정한 출력을 낼 수 있게 하는 타겟 기본값을 의미하며, 보정값이란 출력이 0이 아닐 때 타겟의 출력에 밸런스를 줄 수 있는 타겟 출력 보정값을 의미한다. 도 8은 콘트롤러 모델 편집부(140)를 통해 타겟의 속성을 디자인할 수 있는 예시적인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다.Further, the controller model editing unit 140 may control the attributes of the controller and the target selected by the user (for example, an actor attribute (e.g., an actor role, an automatic return status, a main output attribute, , Use range, output inversion, basic output value, correction value, etc.) are designed according to user input. In the actor attribute, the actor role is a function to be performed by the controller selected by the user, for example, (Refer to FIG. 7B), and whether or not to automatically return means whether or not to automatically return the controller to the user interface 0 point when the controller selected by the user is touched out And the main output means whether to limit the maximum output of the association target belonging to another actor. In the target attribute, the device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Means a target device, and the use range means a finite degree of movement as an output range of the target that can be controlled by the selected controller, and output inversion means a function that allows the target to move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logical output direction of the controller To allow the platform system to operate in the desired output direction, even if the polarity of the target is reversed), the default output value is the target default value that allows the target to output the default output even if the user touches the controller during device operation And the correction value means a target output correction value that can balance the output of the target when the output is not 0. Figure 8 shows an example of designing the attribute of the target through the controller model editing unit 140 User interface screen.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콘트롤러 조작에 따른 논리적 파워를 콘트롤러 모델 편집부(140)에서 디자인된 콘트롤러 모델(예를 들어, 상기한 타겟에 설정된 사용 범위, 출력 반전 여부, 기본 출력갑, 보정값 등)에 따라 물리적 파워로 변환하여 타겟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제어부(150)는 물리적 파워로 변환된 값을 사용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화면 하단에 표시할 수도 있다. 도 9는 제어부를 통해 RC 장치를 조종할 수 있는 예시적인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다.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controller model manipulation unit 140 to change the logical power of the controller operation of the user to the controller model designed in the controller model editing unit 140, for example, the use range, the output reversal state, And generates a target control signal.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50 may display a value converted to the physical power at the bottom of the screen to help the user understand the value. FIG. 9 shows an exemplary user interface screen capable of controlling the RC apparatus through the control unit.

통신 인터페이스부(160)는 제어부(150)에 의해 생성된 타겟 제어 신호를 통신 네트워크(200)를 통해 타겟으로 전송한다. 이때, 데이터 전송 형태는 논리적으로 TCP/UDP로 구분될 수 있고 TCP 데이터는 손실 없이 장치로 전송될 수 있도록 Slide Window 기법을 사용하여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데이터 인터페이스부(160)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일치성이 확인되지 않으면 재전송해야 할 것이다.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160 transmits the target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150 to the target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200. In this case, the data transmission type can be logically classified into TCP / UDP and the control data is transmitted using the Slide Window technique so that the TCP data can be transmitted to the device without loss. Then, the data interface unit 160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and retransmits if the correspondence is not confirmed.

통신 네트워크(200)는 예를 들어,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 기술을 사용하여 다기능 콘트롤러 플랫폼 시스템(100) 및 RC 제품(300) 간에 데이터를 통신한다.The communication network 200 communicates data between the multifunctional controller platform system 100 and the RC product 300 using, for example, Bluetooth low energy (BLE) technology.

RC 제품(300)이 애드버타이징 시에는 비콘 규약을 따라 다음의 정보를 다기능 콘트롤러 플랫폼 시스템(100)에 알릴 수 있다: "장치 이름", "장치 모델", "공용 장치 또는 개인 소유 장치인지 여부(보안)" 및 "배터리 정보".The RC product 300 can notify the multifunctional controller platform system 100 of the following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e beacon protocol when advertising: "device name", "device model", " (Security) "and" battery information ".

다기능 콘트롤러 플랫폼 시스템(100)이 RC 제품(300)에 타겟 제어 신호를 송수신 시에는 TX/RX를 구성할 수 있는데, 이는 WiFi 이용과 다르게 데이터 송수신 시에 피어 투 피어 간에 전송한 데이터가 유실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Slide Window 기법을 도입하여 유실된 패킷을 재전송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TCP/UDP 개념을 도입하여 손실이 있어도 되는 데이터와 손실이 있으면 안 되는 데이터를 구분할 수 있다.When the multifunctional controller platform system 100 transmits / receives a target control signal to / from the RC product 300, TX / RX can be configured because data transmitted between peer-to-peer data may be lost It is because. Therefore, Slide Window can be introduced to retransmit missing packets. In addition, by introducing the TCP / UDP concept,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between data that may be lost and data that should not be lost.

RC 제품(300)은 타겟을 탑재하여 무선 전파로 조종될 수 있는 장치이며, 타겟은 다기능 콘트롤러 플랫폼 시스템(100)의 제어부(150)에서 발생한 이벤트가 출력으로 변환하는 객체로서 예를 들어, 직류(DC) 모터, 서보 모터, 입/출력(I/O) 등일 수 있다.The RC product 300 is a device that can be controlled by a radio wave with a target mounted thereon. The target is an object converted into an output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150 of the multifunctional controller platform system 100, for example, DC) motors, servo motors, input / output (I / O), and the like.

이상에서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0 : 다기능 콘트롤러 플랫폼 시스템
110 : 장치 스캔부
120 : 장치 설정부
130 : 장치 모델 관리부
140 : 콘트롤러 모델 편집부
150 : 제어부
160 : 통신 인터페이스부
200 : 통신 네트워크
300 : RC 제품
100: Multi-functional controller platform system
110: Device scanning section
120: Device setting section
130: device model management unit
140: Controller model editor
150:
160: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200: communication network
300: RC products

Claims (10)

사용자가 디자인한 다기능 콘트롤러 모델에 따라 원격 조종(Remote Control, RC) 장치를 조종할 수 있는 다기능 콘트롤러 폴랫폼 시스템으로서,
상기 RC 장치를 스캔하고 스캔된 장치의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 스캔부,
상기 스캔된 장치의 장치 속성, 장치 제어값 및 사용자의 콘트롤러 조작 없이도 상기 RC 장치의 타겟에 기본으로 출력되는 타겟 기본값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설정하는 장치 설정부,
콘트롤러 및 타겟을 표시하고 표시된 상기 콘트롤러 및 타겟을 사용자 입력에 따라 배치한 다음 사용자 요구에 따라 RC 제품 콘트롤러 모델을 디자인하는 콘트롤러 모델 편집부,
사용자의 콘트롤러 조작에 따른 논리적 파워를 디자인된 상기 콘트롤러 모델에 따라 물리적 파워로 변환하여 타겟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생성된 상기 타겟 제어 신호를 타겟으로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콘트롤러 폴랫폼 시스템.
It is a multifunctional controller pole system that can control the remote control (RC) device according to user-designed multi-function controller model,
A device scan unit for scanning the RC device and displaying information of the scanned device,
A device setting unit configured to set at least one of a device attribute of the scanned device, a device control value, and a target default value that is basically output to a target of the RC device without a user's controller operation,
A controller model editor for displaying the controller and the target, arranging the displayed controller and target according to user input, and designing the RC product controller model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A controller for converting a logical power according to a controller operation of a user into physical power according to the designed controller model to generate a target control signal,
And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transmitting the generated target control signal to a targe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캔된 장치의 정보는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장치 아이콘, 장치 이름, 수신 신호 강도(RSSI) 및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다기능 콘트롤러 폴랫폼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formation of the scanned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of a device icon, a device name, a received signal strength (RSSI) and a battery that can be set by the user.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장치 스캔부는 상기 RC 장치가 보안 장치로 설정된 경우, 스캔된 보안 장치를 다른 사용자에게는 표시하지 않고 최초에 해당 장치를 설정한 사용자에게만 표시할 수 있는, 다기능 콘트롤러 폴랫폼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device scanning unit can display the scanned security device only to the user who initially set the device without displaying the scanned security device to another user when the RC device is set as the security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치 제어값은 상기 RC 장치의 DC 모터 주파수, 입력 전압 및 자동 전원 차단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다기능 콘트롤러 폴랫폼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vice control value comprises at least one of a DC motor frequency, an input voltage, and an auto power off time of the RC devic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DC 모터 주파수는 DC 모터 제어 주파수 특성을 일정한 범위 내로 설정할 수 있는 주파수 특성인, 다기능 콘트롤러 폴랫폼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The DC motor frequency is a frequency characteristic capable of setting the DC motor control frequency characteristic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용자가 소유한 장치 모델을 표시하여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장치 모델을 추가 또는 변경하는 장치 모델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다기능 콘트롤러 폴랫폼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device model management unit for displaying the device model owned by the user and adding or changing the device model according to user inpu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 모델 편집부는 액터 역할, 자동 복귀 여부 및 메인 출력 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액터 속성 및 장치, 사용 범위, 출력 반전 여부, 기본 출력값 및 보정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타겟 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다기능 콘트롤러 폴랫폼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ler model editing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ctor attribute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actor role, an automatic return state, and a main output attribute, and a target attribute including at least one of a device, a use range, an output inversion status, Multi - functional controller platform system, including.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액터 역할은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콘트롤러가 수행할 액터의 역할로서 좌우 이동, 상하 이동, 좌우 및 상하 이동 및 ON/OFF 또는 토글 버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자동 복귀 여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콘트롤러를 터치 아웃했을 때 상기 콘트롤러를 유저 인터페이스의 0점으로 자동 복귀시킬지 여부를 나타내는 것이며,
메인 출력 속성은 다른 액터에 속한 연관 타겟의 최대 출력을 제한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것인, 다기능 콘트롤러 폴랫폼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The actor role may be one of a left / right movement, a vertical movement, a left / right movement, an up / down movement, and an ON / OFF or a toggle button as a role of an actor to be performed by the controller selected by the user,
Whether or not the automatic return operation automatically returns the controller to the zero point of the user interface when the controller selected by the user is touched out,
Wherein the main output attribute indicates whether to limit the maximum output of an associated target belonging to another actor.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콘트롤러로 조종될 타겟 장치를 나타내는 것이고,
상기 사용 범위는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콘트롤러로 상기 타겟 장치를 조절 시 타겟의 움직임의 미세한 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상기 타겟 장치의 출력 범위를 나타내는 것이고,
상기 출력 반전 여부는 상기 타겟 장치가 상기 콘트롤러의 논리적 출력 방향과 반대로 움직일 수 있는 기능을 나타내며,
상기 기본 출력값은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콘트롤러로 상기 타겟 장치를 조절 시 사용자가 상기 콘트롤러를 터치 아웃하더라도 상기 타겟 장치에 기본으로 출력되는 값을 나타내는 것이며,
상기 보정값은 출력이 0이 아닐 때 상기 타겟 장치의 출력에 밸런스를 줄 수 있는 타겟 출력 보정값을 나타내는 것인, 다기능 콘트롤러 폴랫폼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The device representing a target device to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selected by the user,
Wherein the use range is indicative of an output range of the target device that can affect a fine degree of movement of the target when the target device is adjusted by the controller selected by the user,
Wherein the output reversal indicates a function that allows the target device to mov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logical output direction of the controller,
The basic output value indicates a value output to the target device as a default even if the user touches the controller when the target device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selected by the user,
Wherein the correction value indicates a target output correction value that can balance the output of the target device when the output is non-zero.
KR1020170064675A 2017-05-25 2017-05-25 Platform system for providing multi-faceted controller KR1018984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675A KR101898474B1 (en) 2017-05-25 2017-05-25 Platform system for providing multi-faceted control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675A KR101898474B1 (en) 2017-05-25 2017-05-25 Platform system for providing multi-faceted controll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8474B1 true KR101898474B1 (en) 2018-09-13

Family

ID=63593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4675A KR101898474B1 (en) 2017-05-25 2017-05-25 Platform system for providing multi-faceted control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847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1569A (en) 2020-12-09 2022-06-16 주식회사 엘리오 로봇틱스 Remote controller, setting system for setting the func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390B1 (en) 2005-10-04 2006-11-29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Method for controlling radio controlled apparatus via mobile network and operaiing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adio control apparatu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enabling the methods
KR20120131438A (en) * 2011-05-25 2012-12-05 주식회사 유아이디에스 System for controlling peripheral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with connected smart phone and method therefor
KR20140010263A (en) 2012-07-16 2014-01-2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Rc controller
KR20160063824A (en) * 2014-11-27 2016-06-07 이동섭 An interface configuration method of a smart device for controlling eletronic devic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390B1 (en) 2005-10-04 2006-11-29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Method for controlling radio controlled apparatus via mobile network and operaiing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adio control apparatu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enabling the methods
KR20120131438A (en) * 2011-05-25 2012-12-05 주식회사 유아이디에스 System for controlling peripheral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with connected smart phone and method therefor
KR20140010263A (en) 2012-07-16 2014-01-2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Rc controller
KR20160063824A (en) * 2014-11-27 2016-06-07 이동섭 An interface configuration method of a smart device for controlling eletronic devi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1569A (en) 2020-12-09 2022-06-16 주식회사 엘리오 로봇틱스 Remote controller, setting system for setting the func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8176387A (en) Robot device and program
KR101706479B1 (en) Method and terminal for controlling internet of things and controlled electronic device
US2018004672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ontents of group chat
CN102455799B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digital television receiving terminal by mobile terminal
KR102304365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mmand transmission methods thereof
CN104391487A (en) Intelligent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874860B2 (en) Providing user interface of a frequency converter over a wireless connection
CN108724201B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RU2573762C1 (en) System of remote control and management of "intelligent house" electronic devices
KR101898474B1 (en) Platform system for providing multi-faceted controller
CN108810049A (en) Control method, device, system and the Virtual Reality equipment of equipment
JP6284402B2 (en)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CN105549398A (en)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corresponding device at fixed time according to trigger strategy
CN105261201B (en) A kind of remote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mobile terminal based on mobile terminal
US10254744B2 (en) Telerobotic controller
KR101635614B1 (en) An interface configuration method of a smart device for controlling eletronic devices
CN104766599A (en) Intelligent music beat interaction equipment
US2018006286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3214776U (en) Indoor microclimate management system, microclimate management facility and microclimate management method using various types of wireless connection
CN107454133B (en)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KR20060007206A (en) Remote control system of electric home appliance using mobile terminal
US10367812B2 (en) Integrated system component and electronic device
KR101666488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ction block for autonomous movement of robot
JP7432861B2 (en)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CN111526504B (en) Equipment interaction method and device, mobile robot and Internet of things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