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8395B1 - 저수조의 수위제어시스템과 수위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저수조의 수위제어시스템과 수위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98395B1 KR101898395B1 KR1020170148628A KR20170148628A KR101898395B1 KR 101898395 B1 KR101898395 B1 KR 101898395B1 KR 1020170148628 A KR1020170148628 A KR 1020170148628A KR 20170148628 A KR20170148628 A KR 20170148628A KR 101898395 B1 KR101898395 B1 KR 1018983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level
- time
- unit
- virtual
- wa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9/00—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 G05D9/12—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1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sed by the fault detection method dealing with either existing or incipient faults
- G05B23/0221—Preprocessing measurements, e.g. data collection rate adjustment; Standardization of measurements; Time series or signal analysis, e.g. frequency analysis or wavelets; Trustworthiness of measurements; Indexes therefor; Measurements using easily measured parameters to estimate parameters difficult to measure; Virtual sensor creation; De-noising; Sensor fusion; Unconventional preprocessing inherently present in specific fault detection methods like PCA-based method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1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sed by the fault detection method dealing with either existing or incipient faults
- G05B23/0224—Process history based detection method, e.g. whereby history implies the availability of large amounts of data
- G05B23/0227—Qualitative history assessment, whereby the type of data acted upon, e.g. waveforms, images or patterns, is not relevant, e.g. rule based assessment; if-then decisions
- G05B23/0235—Qualitative history assessment, whereby the type of data acted upon, e.g. waveforms, images or patterns, is not relevant, e.g. rule based assessment; if-then decisions based on a comparison with predetermined threshold or range, e.g. "classical methods", carried out during normal operation; threshold adaptation or choice; when or how to compare with the threshold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6—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7/0617—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 G05D7/0629—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egulator means
- G05D7/0635—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egulator means by action on throttling mea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ntrol Of Non-Electrical Variables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이를 위해 저수조의 수위제어시스템은 유체가 저장되는 저수조와, 저수조에 저장된 유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와, 공급원과 저수조를 연결하는 공급라인과, 저수조와 방출원을 연결하는 방출라인과, 공급라인 또는 방출라인에 구비되어 유체의 이송을 조절하는 구동유닛과, 고장 전의 수위센서가 감지한 수위를 바탕으로 시간데이터와 가상수위를 산출하고 시간데이터와 가상수위를 기준으로 구동유닛의 동작시간을 산출하여 수위센서의 고장에 따라 구동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수조의 수위제어시스템에서 저수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수조의 수위제어시스템에서 저수조 중 배수지에서 시간에 따른 수위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수조의 수위제어시스템에서 저수조 중 오수처리조에서 시간에 따른 수위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수조의 수위제어시스템에서 제어유닛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수조의 수위제어시스템에서 데이터계산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수조의 수위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수조의 수위제어방법에서 데이터계산단계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40: 공급유닛 41: 공급라인 50: 방출원
60: 방출유닛 61: 방출라인 70: 제어유닛
71: 데이터누적부 72: 센서감시부 73: 데이터계산부
731: 공급시간계산부 732: 방출시간계산부
733: 평균공급시간계산부 734: 평균방출시간계산부
735: 최고시간추출부 736: 최저시간추출부
74: 상태감시부 741: 가상수위계산부 75: 수위비교부
751: 공급수위비교부 752: 방출수위비교부 76: 구동시간산출부
761: 제1시간산출부 762: 제2시간산출부 763: 제3시간산출부
764: 제4시간산출부 77: 구동제어부 771: 제1구동제어부
772: 제2구동제어부 773: 제3구동제어부 774: 제4구동제어부
S1: 데이터누적단계 S2: 센서감시단계 S3: 데이터계산단계
S31: 공급시간계산단계 S32: 방출시간계산단계
S33: 평균공급시간계산단계 S34: 평균방출시간계산부
S35: 최고시간추출단계 S36: 최저시간추출단계
S4: 상태감시단계 S4-1: 가상수위계산단계 S5: 수위비교단계
S51: 공급수위비교단계 S52: 방출수위비교단계 S6: 구동시간산출단계
S61: 제1시간산출단계 S62: 제2시간산출단계 S63: 제3시간산출단계
S64: 제4시간산출단계 S7: 구동제어단계 S71: 제1구동제어단계
S72: 제2구동제어단계 S73: 제3구동제어단계 S74: 제4구동제어단계
Claims (10)
- 삭제
- 유체가 저장되는 저수조에 구비된 수위센서의 고장에 따라 저수조의 수위를 조절하는 저수조의 수위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위센서에서 감지하는 수위와 감지시간이 시계열 순으로 저장되는 데이터누적부;
상기 저수조의 수위에 대응하여 공급구간과 방출구간을 구분하여 각각의 구간에 대한 수위조절시간을 계산하는 데이터계산부;
상기 수위센서의 고장 여부를 감시하는 센서감시부;
상기 센서감시부에서 상기 수위센서의 고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계산부에서 계산된 상기 수위조절시간을 바탕으로 구동유닛의 동작을 위한 가상수위를 계산하는 가상수위계산부;
상기 센서감시부에서 상기 수위센서의 고장이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저수조의 수위조절 상태를 감시하는 상태감시부;
상기 상태감시부의 감시 상태에 따라 상기 저수조에서의 수위와 상기 가상수위를 비교하는 수위비교부;
상기 수위비교부의 비교값을 바탕으로 상기 구동유닛의 동작에 필요한 가상시간을 계산하는 구동시간산출부; 및
상기 구동시간산출부에서 계산된 상기 가상시간을 바탕으로 상기 구동유닛의 동작시간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조의 수위제어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계산부는,
상기 수위센서의 정상 동작에 따라 상기 데이터누적부에 저장된 수위와 감지시간을 바탕으로 상기 저수조의 유체 공급시간을 계산하는 공급시간계산부;
상기 수위센서의 정상 동작에 따라 상기 데이터누적부에 저장된 수위와 감지시간을 바탕으로 상기 저수조의 유체 방출시간을 계산하는 방출시간계산부;
상기 공급시간계산부에서 계산되는 상기 공급시간에 대한 평균공급시간을 계산하는 평균공급시간계산부;
상기 방출시간계산부에서 계산되는 상기 방출시간에 대한 평균방출시간을 계산하는 평균방출시간계산부;
상기 공급시간 또는 상기 방출시간에서 가장 긴 최고시간을 추출하는 최고시간추출부; 및
상기 공급시간 또는 상기 방출시간에서 가장 짧은 최저시간을 추출하는 최저시간추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조의 수위제어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수위계산부는,
상기 최고시간과 상기 평균공급시간과 상기 평균방출시간을 바탕으로 제1높이를 계산하는 제1높이계산부;
상기 최저시간과 상기 평균공급시간과 상기 평균방출시간을 바탕으로 제2높이를 계산하는 제2높이계산부;
상기 제1높이와 상기 제2높이를 비교하는 높이비교부; 및
상기 높이비교부의 비교값을 바탕으로 상기 가상수위를 산출하는 높이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조의 수위제어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HH는 상기 저수조의 최고수위이고, LL은 상기 저수조의 최저수위이며, ST는 상기 평균공급시간이고, DT는 상기 평균방출시간이며, HDT는 상기 최고시간 중 상기 방출시간을 기준으로 하는 최고방출시간이고, LDT는 상기 최저시간 중 상기 방출시간을 기준으로 하는 최저방출시간이며, H는 상기 저수조에서 상기 유체를 방출하기 위한 방출수위이고, L은 상기 저수조로 상기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수위며, H01은 단위주기당 상승높이이고, H02는 단위주기당 하강높이이며, H-L은 상기 저수조의 구동수위라고 하면,
상기 제1높이(H1)는, 가상의 최고 높이이고,
,
인 관계식을 이용하며,
상기 제2높이(H2)는, 가상의 최저 높이이고,
,
인 관계식을 이용하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조의 수위제어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산출부는,
상기 제1높이와 상기 제2높이를 비교하여
상기 제1높이가 상기 제2높이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2높이를 적용하여 상기 가상수위를 산출하고,
상기 제1높이가 상기 제2높이와 같거나 큰 경우, 상기 제1높이와 상기 제2높이의 평균높이를 적용하여 상기 가상수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조의 수위제어시스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시간산출부는,
상기 저수조에 유체가 공급되는 과정에서 상기 수위센서의 고장직전수위가 상기 가상수위와 상기 구동수위의 합과 같거나 큰 경우, 수위 차이를 바탕으로 상기 구동유닛의 동작에 필요한 제1가상시간을 산출하는 제1시간산출부;
상기 저수조에 유체가 공급되는 과정에서 상기 수위센서의 고장직전수위가 상기 가상수위와 상기 구동수위의 합보다 작은 경우, 수위 차이를 바탕으로 상기 구동유닛의 동작에 필요한 제2가상시간을 산출하는 제2시간산출부;
상기 저수조의 유체가 방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수위센서의 고장직전수위가 상기 가상수위보다 큰 경우, 수위 차이를 바탕으로 상기 구동유닛의 동작에 필요한 제3가상시간을 산출하는 제3시간산출부; 및
상기 저수조의 유체가 방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수위센서의 고장직전수위가 상기 가상수위와 같거나 작은 경우, 수위 차이를 바탕으로 상기 구동유닛의 동작에 필요한 제4가상시간을 산출하는 제4시간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지의 수위제어시스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저수조의 유체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평균방출시간과 상기 제1가상시간을 더한 값으로 상기 저수조의 유체 방출을 실시한 다음, 상기 평균공급시간과 상기 평균방출시간이 반복되도록 상기 구동유닛의 제1동작시간을 제어하는 제1구동제어부;
상기 제2가상시간으로 상기 저수조에 유체를 더 공급한 다음, 상기 평균방출시간과 상기 평균공급시간이 반복되도록 상기 구동유닛의 제2동작시간을 제어하는 제2구동제어부;
상기 제3가상시간으로 상기 저수조의 유체를 더 방출한 다음, 상기 평균공급시간과 상기 평균방출시간이 반복되도록 상기 구동유닛의 제3동작시간을 제어하는 제3구동제어부; 및
상기 평균공급시간과 상기 제4가상시간을 더한 값으로 상기 저수조의 유체 공급을 실시한 다음, 상기 평균방출시간과 상기 평균공급시간이 반복되도록 상기 구동유닛의 제4동작시간을 제어하는 제4구동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조의 수위제어시스템. - 삭제
- 유체가 저장되는 저수조에 구비된 수위센서의 고장에 따라 저수조의 수위를 조절하는 저수조의 수위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위센서에서 감지하는 수위와 감지시간이 시계열 순으로 저장되는 데이터누적단계;
상기 저수조의 수위에 대응하여 공급구간과 방출구간을 구분하여 각각의 구간에 대한 수위조절시간을 계산하는 데이터계산단계;
상기 수위센서의 고장 여부를 감시하는 센서감시단계;
상기 센서감시단계를 거쳐 상기 수위센서의 고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계산단계를 거쳐 계산된 상기 수위조절시간을 바탕으로 구동유닛의 동작을 위한 가상수위를 계산하는 가상수위계산단계;
상기 센서감시단계를 거쳐 상기 수위센서의 고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저수조의 수위조절 상태를 감시하는 상태감시단계;
상기 상태감시단계의 감시 상태에 따라 상기 저수조에서의 수위와 상기 가상수위를 비교하는 수위비교단계;
상기 수위비교단계의 비교값을 바탕으로 상기 구동유닛의 동작에 필요한 가상시간을 계산하는 구동시간산출단계; 및
상기 구동시간산출단계를 거쳐 계산된 상기 가상시간을 바탕으로 상기 구동유닛을 동작시간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조의 수위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8628A KR101898395B1 (ko) | 2017-11-09 | 2017-11-09 | 저수조의 수위제어시스템과 수위제어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8628A KR101898395B1 (ko) | 2017-11-09 | 2017-11-09 | 저수조의 수위제어시스템과 수위제어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98395B1 true KR101898395B1 (ko) | 2018-10-04 |
Family
ID=63862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48628A Active KR101898395B1 (ko) | 2017-11-09 | 2017-11-09 | 저수조의 수위제어시스템과 수위제어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98395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303024A (ja) | 2002-04-10 | 2003-10-24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ダム水位制御方法、ダム水位制御システム、及びダム水位制御プログラム |
KR100753445B1 (ko) * | 2006-09-26 | 2007-08-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수위센서부 이상 검출 장치 및 방법 |
JP2013108870A (ja) | 2011-11-22 | 2013-06-06 | Tokyo Kensetsu Consultant:Kk | 稠密水位観測システム |
-
2017
- 2017-11-09 KR KR1020170148628A patent/KR101898395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303024A (ja) | 2002-04-10 | 2003-10-24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ダム水位制御方法、ダム水位制御システム、及びダム水位制御プログラム |
KR100753445B1 (ko) * | 2006-09-26 | 2007-08-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수위센서부 이상 검출 장치 및 방법 |
JP2013108870A (ja) | 2011-11-22 | 2013-06-06 | Tokyo Kensetsu Consultant:Kk | 稠密水位観測システム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8104208B (zh) | 用于控制蓄水池供水泵装置的方法及蓄水池供水泵装置 | |
CN102265035B (zh) | 用于控制压缩器系统的方法 | |
KR101373950B1 (ko) | 저압 축압기를 갖는 모터 차량 브레이크 시스템 | |
CA2443175A1 (en) | Control system for progressing cavity pumps | |
GB2298239A (en) | Regulating multiphase pump unit | |
US20070199900A1 (en) | Method for regeneration of a water softener | |
KR101898395B1 (ko) | 저수조의 수위제어시스템과 수위제어방법 | |
CN108158412B (zh) | 饮水装置水温变化趋势的确定方法、确定系统及饮水装置 | |
US20040175273A1 (en) | Compressed air system and method of control | |
KR102370626B1 (ko) | 듀얼 펌프의 스마트 컨트롤 시스템 | |
CN118818958B (zh) | 一种基于压力分区控制的水压智能调控系统 | |
JP6343459B2 (ja) | 給水装置 | |
JP2007297936A (ja) | 給水装置 | |
WO2025018013A1 (ja) | 水電解システム、及び、水電解システムの運用方法 | |
JP2016098540A (ja) | 地下水の揚注水管理システム及び地下水の揚注水工法 | |
US20060089752A1 (en) | Method of and system for reducing utility costs associated with machine operation | |
KR20100084032A (ko) | 발라스트수 자동교환시 발라스트 펌프의 순흡입양정 자동조절 방법 | |
CN117249396A (zh) | 一种用于天然气管道的自动分输输气管理系统 | |
JP6515639B2 (ja) | 水処理管理装置及び方法 | |
KR100458958B1 (ko) | 인버터 펌프의 압력 제어방법 | |
JP2018040341A (ja) | ポンプ制御装置及びポンプ制御方法 | |
CN112665238A (zh) | 一种自动灌注冷媒的控制方法、装置及多联机系统 | |
CN107965447B (zh) | 一种基于历史数据的污水井流量控制方法 | |
JP2003013866A (ja) | ポンプ台数制御装置 | |
JP2008063982A (ja) | 送水制御方法とその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送水制御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5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0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6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0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9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9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