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8032B1 - 지형변화 측량을 통한 측지정보 데이터 수집시스템 - Google Patents

지형변화 측량을 통한 측지정보 데이터 수집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8032B1
KR101898032B1 KR1020180045943A KR20180045943A KR101898032B1 KR 101898032 B1 KR101898032 B1 KR 101898032B1 KR 1020180045943 A KR1020180045943 A KR 1020180045943A KR 20180045943 A KR20180045943 A KR 20180045943A KR 101898032 B1 KR101898032 B1 KR 101898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support plate
fixing table
members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5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용덕
신동균
Original Assignee
(주)해양정보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해양정보기술 filed Critical (주)해양정보기술
Priority to KR1020180045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80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1/00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e.g. stereogrammetry; Photographic surveying
    • G01C11/02Picture tak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mmetry or photographic surveying, e.g. controlling overlapping of pi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1/00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e.g. stereogrammetry; Photographic surveying
    • G01C11/04Interpretation of pictures
    • G01C11/06Interpretation of pictures by comparison of two or more pictures of the same are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10Map spot or coordinate position indicators; Map reading aids

Abstract

본 발명은 지형변화 측량을 통한 측지정보 데이터 수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연직 하방을 향하는 중앙 카메라의 전, 후방에 설치되는 전방 및 후방 카메라의 촬영 각도를 조절하여 지형지물의 평면이미지와 측면이미지를 촬영함으로 인해 입체적인 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있음과 아울러 중앙 카메라에 대한 전방 및 후방 카메라의 거리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므로 인해 다양한 측면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어 품질 높은 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있는 한편, 상,하부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부 전,후방 회동체 및 하부 전,후방 회동체가 고정대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고정대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형변화 측량을 통한 측지정보 데이터 수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형변화 측량을 통한 측지정보 데이터 수집시스템{COLLECTING SYSTEM FOR GEODETIC SURVEY DATA BY MEASURING OF TOPOGRAPHY CHANGE}
본 발명은 수치지도 기술 분야 중 지형변화 측량을 통한 측지정보 데이터 수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연직 하방을 향하는 중앙 카메라의 전, 후방에 설치되는 전방 및 후방 카메라의 촬영 각도를 조절하여 지형지물의 평면이미지와 측면이미지를 촬영함으로 인해 입체적인 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있음과 아울러 중앙 카메라에 대한 전방 및 후방 카메라의 거리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므로 인해 다양한 측면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어 품질 높은 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있는 한편, 상,하부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부 전,후방 회동체 및 하부 전,후방 회동체가 고정대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고정대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형변화 측량을 통한 측지정보 데이터 수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GIS에 사용되는 수치지도를 제작 또는 보정하기 위해서는 일정 지역을 항공촬영하고, 촬영된 항공사진을 데이터화하여 항공촬영정보를 제작한 후, 이를 활용하여 수치지도를 제작하게 된다. 따라서 항공촬영은 수치지도를 제작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과정 중의 하나이며, 최근에는 촬영기술 및 항공기술의 발전으로 보다 정확한 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항공촬영은 항공기에서 지면을 향하여 연직방향으로 촬영하는 것이므로 수치지도 사용자는 지형지물의 평면만을 확인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수치지도 사용자는 주로 지상에서 활동하기 때문에 지형지물의 평면 모습을 실제로 본 경험이 없으며, 단지 지형지물의 위치와 배치 구조 등에 대한 연상으로만 수치지도를 파악하게 된다. 따라서, 지각능력과 인지능력이 낮은 연령대에게는 평면을 촬영한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수치지도를 보고 실제 지형에 적용하면서 이해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항공기에서 지면을 향하여 연직방향으로 촬영한 지형지물의 평면 모습은 그 고도 정보가 없고 모두 동일한 높이로 인지되기 때문에 해당 지역에 익숙한 수치지도 사용자도 고도 정보가 전무한 수치지도를 이해하는 데에 많은 불편을 겪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1492923호(2015.02.12.)에는 '지형변화 측량을 통한 측지정보 데이터 수집 방법이 적용된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지형변화 측량을 통한 측지정보 데이터 수집 방법이 적용된 시스템은 상,하부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부 전,후방 회동체 및 하부 전,후방 회동체가 고정대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고정대와 충돌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중앙 카메라는 물론, 전,후방 카메라가 고장나거나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492923호(2015.02.12.) '지형변화 측량을 통한 측지정보 데이터 수집 방법이 적용된 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연직 하방을 향하는 중앙 카메라의 전, 후방에 설치되는 전방 및 후방 카메라의 촬영 각도를 조절하여 지형지물의 평면이미지와 측면이미지를 촬영함으로 인해 입체적인 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있음과 아울러 중앙 카메라에 대한 전방 및 후방 카메라의 거리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므로 인해 다양한 측면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어 품질 높은 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있는 한편, 상,하부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부 전,후방 회동체 및 하부 전,후방 회동체가 고정대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고정대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형변화 측량을 통한 측지정보 데이터 수집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항공기(A)에 고정되는 고정대(110)와; 상기 고정대(110)의 상부에 중앙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전, 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전반부와 후반부의 외주면에 서로 반대방향의 수나사부(123, 124)가 형성된 상부 구동스크류(121)와; 상기 고정대(110)의 하부에 중앙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전, 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전반부와 후반부의 외주면에 서로 반대방향의 수나사부(125, 126)가 형성된 하부 구동스크류(122)와; 상기 고정대(110)의 상부와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 구동스크류(121)와 하부 구동스크류(124)를 구동하는 상, 하부 구동모터(131, 132)와; 상기 상부 구동스크류(121)의 전, 후방 수나사부(123, 124)에 각각 맞물리는 암나사부(143, 144)가 형성되며, 좌우측면에 회동축(145, 146)이 돌출 형성된 상부 전, 후방 회동체(141, 142)와; 상기 하부 구동스크류(122)의 전, 후방 수나사부(125, 126)에 각각 맞물리는 암나사부(153, 154)가 형성되며, 좌우측면에 회동축(155, 156)이 돌출 형성된 하부 전, 후방 회동체(151, 152)와; 상기 상부 전, 후방 회동체(141, 142)의 회동축(145. 145)과 하부 전, 후방 회동체(151)의 회동축(155, 156)이 회동 및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상, 하부 안내장공(163, 164)이 구비된 좌우 한 쌍씩의 전방 연결레버(161)와 후방 연결레버(162)와; 상기 고정대(110)의 하단에 결합되어 중앙 카메라(C1)가 장착되는 중앙 카메라 장착대(171)와, 상기 전방 연결레버(161)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전방 카메라(C2)가 장착되는 전방 카메라 장착대(172) 및, 상기 후방 연결레버(162)의 하단에 결합되어 후방 카메라(C3)가 장착되는 후방 카메라 장착대(173)를 포함하는 기기부(100): 상기 상, 하부 구동스크류(121, 122)의 회전수를 카운트하는 구동스크류 카운터(210)와; 상기 구동스크류 카운터(210)로부터 입력된 상, 하부 구동스크류(121, 122)의 회전수와 상, 하부 전, 후방 회동체(141, 142, 151, 152)의 이동거리 및 상, 하부 구동스크류(121, 122) 사이의 거리 정보를 통해 전, 후방 카메라(C2, C3)의 촬영 각(θ1)을 연산하도록 프로그램 되어 컴퓨터에 설치되는 촬영각연산모듈(220)과; GPS좌표를 감지하는 GPS수신기(270)와; 상기 GPS수신기(270)로부터 GPS좌표를 수신하여 항공기(A)의 현 위치를 확인하도록 프로그램 되어 컴퓨터에 설치되는 GPS확인모듈(230)과, 항공기(A)의 고도(H)를 수신하여 확인하도록 프로그램 되어 컴퓨터에 설치되는 위치확인모듈(240)과, 상기 GPS확인모듈(230)과 촬영각연산모듈(220)로부터 촬영 지역의 GPS 및 촬영 각(θ1) 정보를 확인받아서 중앙 카메라(C1), 전방 카메라(C2) 및 후방 카메라(C3)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촬영이미지 데이터에 입력하고, 상기 위치확인모듈(240)에서 확인한 고도(H)와 촬영각연산모듈(220)에서 확인한 촬영 각(θ1)을 연산하여 중앙 카메라(C1), 전방 카메라(C2) 및 후방 카메라(C3)가 동일지점을 촬영하게 되는 항공기(A)의 이동거리(D)를 확인하며 촬영이미지 데이터를 이동거리(D)를 기준으로 분류하여 저장하도록 프로그램 되어 컴퓨터에 설치되는 데이터분류모듈(250)과; 상기 중앙 카메라(C1), 전방 카메라(C2) 및 후방 카메라(C3)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촬영이미지 데이터에서 촬영이미지에 포함된 지형지물(B1, B2, B3)의 평면 중심을 지역(P1, P2)으로 설정하도록 프로그램 되어 컴퓨터에 설치되는 평면중심확인모듈(280)과; 촬영이미지 데이터와 지역(P1, P2) 정보를 각각 데이터분류모듈(250)과 평면중심확인모듈(280)로부터 수신하고 발신하도록 프로그램 되어 컴퓨터에 설치되는 데이터통신모듈(260)을 포함하는 전산부(200): 항공기(A)의 고도(H)를 계측하고 위치확인모듈(240)에 의해 계측된 고도(H)를 전송하는 고도계측기(330)를 포함하는 항공계측부(300): 및 상기 데이터통신모듈(260)로부터 전송된 촬영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프로그램 되어 컴퓨터에 설치되는 데이터수신모듈(410)과, 촬영이미지 데이터를 측면촬영이미지 데이터와 평면촬영이미지 데이터로 분리하고 새로운 촬영이미지 데이터가 수신될 경우 측면촬영이미지 데이터베이스(430) 및 평면촬영이미지 데이터베이스(440)에 저장된 해당 데이터를 갱신하며 촬영이미지에 포함된 지형지물 별로 평면 정보를 설정하여 식별 가능하게 편집하도록 프로그램 되어 컴퓨터에 설치되는 편집갱신모듈(420)과, 측면촬영이미지 데이터와 평면촬영이미지 데이터를 각각 저장하는 측면촬영이미지 데이터베이스(430) 및 평면촬영이미지 데이터베이스(440)와, 상기 데이터통신모듈(260)에서 발신한 새로운 지역(P1, P2) 정보와 기존 지역(P1, P2) 정보를 수신 및 비교해 해당 건물(B1, B2, B3)의 신축 또는 철거 여부를 데이터로 저장하도록 프로그램 되어 컴퓨터에 설치되는 촬영이미지비교모듈(420')과, 사용자의 입력장치 조작으로 제어신호가 입력되도록 프로그램 되어 컴퓨터에 설치되는 입력모듈(450)과, 입력모듈(450)에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촬영이미지비교모듈(420')과, 상기 측면촬영이미지 데이터베이스(430) 및 평면촬영이미지 데이터베이스(440)의 데이터를 검색하도록 프로그램 되어 컴퓨터에 설치되는 검색모듈(480)과, 각각의 촬영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GPS좌표를 기준으로 검색모듈(480)에서 검색된 촬영이미지 데이터의 촬영이미지에 GPS좌표계를 합성 및 적용하되 지형지물 별로 설정된 평면 정보를 기준으로 GPS좌표계를 합성하도록 프로그램 되어 컴퓨터에 설치되는 GPS좌표연계모듈(490)과, GPS좌표와 촬영이미지가 합성되어 완성된 수치지도를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하도록 프로그램 되어 컴퓨터에 설치되는 출력모듈(460)과, 상기 검색모듈(480)과 GPS좌표연계모듈(490)과 출력모듈(46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프로그램 되어 컴퓨터에 설치되는 제어모듈(470)로 된 데이터통합관리부(400): 를 포함하는 지형변화 측량을 통한 측지정보 데이터 수집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구동모터(131,132)의 구동에 따라 상기 상부 전,후방 회동체(141,142) 및 상기 하부 전,후방 회동체(151,152)가 상기 고정대(110)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고정대(110)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충돌방지부(5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충돌방지부(500)는, 상기 고정대(110)의 상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판(510); 상기 상부 전방 회동체(141)의 상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전판(520); 상기 상부 후방 회동체(142)의 상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후판(530); 양단부가 상기 전,후판(520,530) 및 상기 지지판(510)을 통과하는 지지바(540); 상기 지지바(540)를 상기 지지판(510)에 고정하는 고정부재(550); 및 상기 상,하부 구동모터(131,132)의 구동에 따른 상기 상부 전,후방 회동체(141,142)가 상기 고정대(110)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전,후판(520,530)이 상기 지지판(510)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수단(560)을 포함하며, 상기 완충수단(560)은, 상기 지지판(510)의 전면에 구비되는 전방 스프링(561); 및 상기 지지판(510)의 후면에 구비되는 후방 스프링(562)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510)은, 전면에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내측으로 상기 전방 스프링(561)이 끼움 결합되는 전방 결합링(511)이 형성되며, 후면에 후방으로 돌출되면서 내측으로 후방 스프링(562)이 끼움 결합되는 후방 결합링(512)이 형성되고, 상기 전,후방 스프링(561,562)은, 상기 전,후방 결합링(511,512)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전,후판(520,530)과의 접촉에 따라 수축,이완되면서 충격을 완충하는 한편, 상기 상부 전,후방 회동체(141,142) 및 상기 하부 전,후방 회동체(151,152)가 상기 고정대(110)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형변화 측량을 통한 측지정보 데이터 수집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직 하방을 향하는 중앙 카메라의 전, 후방에 설치되는 전방 및 후방 카메라의 촬영 각도를 조절하여 지형지물의 평면이미지와 측면이미지를 촬영함으로 인해 입체적인 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중앙 카메라에 대한 전방 및 후방 카메라의 거리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므로 인해 다양한 측면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어 품질 높은 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하부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부 전,후방 회동체 및 하부 전,후방 회동체가 고정대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고정대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으로써 중앙 카메라는 물론, 전,후방 카메라가 고장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형변화 측량을 통한 측지정보 데이터 수집시스템에 의하여 촬영된 촬영이미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지형변화 측량을 통한 측지정보 데이터 수집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항공촬영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형변화 측량을 통한 측지정보 데이터 수집시스템에서 기기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기기부에 의하여 전방 카메라와 후방 카메라의 촬영각도를 조정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형변화 측량을 통한 측지정보 데이터 수집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지형변화 측량을 통한 측지정보 데이터 수집시스템에 의한 수치지도이미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촬영이미지의 해당 지형에 대한 변경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형변화 측량을 통한 측지정보 데이터 수집시스템에서 충돌방지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지지판 및 완충수단을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도 11에서 보조충돌방지수단을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지형변화 측량을 통한 측지정보 데이터 수집시스템은 항공기(A)에 탑재되어 항공촬영을 하기 위한 기기부(100)와, 전산부(200)와 항공기(A)에 설치된 항공계측부(300) 및 데이터통합관리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전산부(200)는 항공계측부(300)와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입체적인 수치지도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도 1의 (a)에 도시한 지형지물의 평면촬영이미지와 도 1의 (b)에 도시한 측면촬영이미지가 모두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항공기(A)의 중앙부에 연직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중앙 카메라(C1)와, 항공기(A)의 후방에 연직방향에 대하여 전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전방 카메라(C2) 및, 항공기(A)의 전방에 연직방향에 대하여 후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후방 카메라(C3)를 구비하여 항공기(A)가 하나의 지형지물(B1)의 상공을 1회 비행하는 과정에서 지형지물(B1)에 대한 평면촬영이미지와 측면촬영이미지를 모드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전방 카메라(C1), 전방 카메라(C2) 및 후방 카메라(C3)를 탑재한 항공기(A)가 지형지물(B1)에 대하여 연직상방에 못 미친 제1 위치(S1)에서 시작하여 지형지물(B1)의 연직 상방에 대응하는 제2 위치(S2)를 통과하고, 다시 지형지물(B1)의 연직상방 위치를 통과한 제3 위치(S3)로 1회 비행하는 과정에서 항공기(A)가 제1 위치(S1)를 통과할 때, 후방의 후방 카메라(C3)가 지형지물(B1)의 후방 측면을 촬영하게 되고, 항공기(A)가 제2 위치(S2)에 통과할 때 중앙 카메라(C1)가 지형지물(B1)의 평면을 촬영하게 되며, 항공기(A)가 제3 위치(S3)를 통과할 때 전방의 전방 카메라(C2)가 지형지물(B1)의 전방 측면을 촬영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1의 (b)에서 지형지물(B1)과 지형지물(B2)을 기준으로 제1, 제2, 제3 위치(S1, S2, S3)가 일렬로 배치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항공기(A)의 진행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중앙 카메라(C1), 전방 카메라(C2) 및 후방 카메라(C3)가 배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방 카메라(C1), 전방 카메라(C2) 및 후방 카메라(C3)는 기기부(100)에 의하여 항공기(A)에 탑재된다.
여기서 기기부(100)는 항공기(A)에 중앙 카메라(C1), 전방 카메라(C2) 및 후방 카메라(C3)를 고정하는 것으로, 그 구조와 동작에 대하여 좀 더 설명한다.
도 1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측방으로 촬영된 측면촬영이미지는 지형지물(B1, B2)을 포함하는 지형지물의 측면을 보여준다. 즉, 지형지물의 높낮이 확인이 가능하고, 더 나아가 해상도가 높은 우에는 사용자에게 익숙한 지형지물의 외관 모습도 식별 가능하게 보여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평면촬영이미지에서 지형을 이해할 수 없을 경우, 동일한 지점에 대한 측면촬영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으므로 수치지도의 해석 및 활용이 용이하게 된다.
한편, 지형지물에 대한 측면촬영은 중앙 카메라(C1)와 전방 카메라(C2)의 촬영 각(θ1)에 따라 항공기(A)의 고도 및 위치(S1, S2, S3)가 동일해도 다른 지역이 촬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방 카메라(C2) 및 후방 카메라(C3)의 촬영 각(θ1)에 대비 해당 전방 카메라(C2)와 후방 카메라(C3)가 촬영하고 있는 지역에 대한 정보를 자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항공기(A)가 직선 비행뿐만 아니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선회 각(θ2)으로 선회하여 다른 방향으로 비행할 수도 있는바 이러한 선회 각(θ2)에 상관없이 전방 카메라(C2) 및 후방 카메라(C3)가 촬영하는 지역에 대한 정보 또한 정확히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항공기(A)의 현 고도(H)와 이동거리(D) 및 전방 카메라(C2) 및 후방 카메라(C3)의 촬영 각(θ1)을 확인하여 일정한 고도(H)에서 연산된 이동거리(D)를 항공기(A)가 비행하면 자동으로 전방 카메라(C2) 및 후방 카메라(C3)가 지면을 촬영하도록 제어한다. 즉, 현재의 항공기(A)의 고도(H)와 전방 카메라(C2) 및 후방 카메라(C3)의 촬영 각(θ1)을 확인하면, 전방 카메라(C2) 및 후방 카메라(C3)가 동작해야 할 순간을 항공기(A)의 이동거리(D)로부터 연산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전방 카메라(C2) 및 후방 카메라(C3)는 항공기(A)의 이동거리(D)에 상관없이 연속촬영(동영상 촬영 포함)을 수행하되, 수집된 측면촬영이미지를 분류할 때에 이동거리(D), 고도(H) 및 촬영 각(θ1) 등을 고려하여 분류하여 동일한 지역의 평면촬영이미지와 링크시킬 수 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치지도에 기재된 지형지물(B1, B2)은 그 평면이 항상 확인된다. 따라서 각 지형지물(B1, B2)의 평면은 그 중심이 확인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중심을 지역(P1, P2)이라 칭한다. 상기 지역(P1, P2)을 실제로 게시되지는 않으나 시스템적으로는 확인된다. 즉, 사용자는 상기 지역(P1, P2)을 가시할 수는 없으나, 본 발명은 각 지형지물(B1, B2) 별로 지역(P1, P2)을 식별하여 각 지형지물(B1, B2)의 위치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지역(P1, P2)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촬영이미지에는 물론 측면촬영이미지도 적용된다. 이때, 측면촬영이미지의 경우에는 촬영 방향의 변화로 인하여 지형지물(B1, B2)의 평면은 평면촬영이미지의 그것과 측면촬영이미지의 그것이 달라지는 것이다.
따라서 지형지물(B1, B2)의 지역(P1, P2)은 촬영 각(θ1) 별로 개별 확인하여 이를 데이터화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전산부(200)는 평면촬영이미지모듈(280)을 포함한다.
도 4 내지 도 5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기기부(100)는 항공기(A)에 고정되는 고정대(110)와; 상기 고정대(110)의 상부에 중앙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전, 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전반부와 후반부의 외주면에 서로 반대방향의 수나사부(123, 124)가 형성된 상부 구동스크류(121)와; 상기 고정대(110)의 하부에 중앙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전, 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전반부와 후반부의 외주면에 서로 반대방향의 수나사부(125, 126)가 형성된 하부 구동스크류(122)와; 상기 고정대(110)의 상부와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 구동스크류(121)와 하부 구동스크류(124)를 구동하는 상, 하부 구동모터(131, 132)와; 상기 상부 구동스크류(121)의 전, 후방 수나사부(123, 124)에 각각 맞물리는 암나사부(143, 144)가 형성되며, 좌우측면에 회동축(145, 146)이 돌출 형성된 상부 전, 후방 회동체(141, 142)와; 상기 하부 구동스크류(122)의 전, 후방 수나사부(125, 126)에 각각 맞물리는 암나사부(153, 154)가 형성되며, 좌우측면에 회동축(155, 156)이 돌출 형성된 하부 전, 후방 회동체(151, 152)와; 상기 상부 전, 후방 회동체(141, 142)의 회동축(145. 145)과 하부 전, 후방 회동체(151)의 회동축(155, 156)이 회동 및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상, 하부 안내장공(163, 164)이 구비된 좌우 한 쌍씩의 전, 후방 연결레버(161, 162)와; 상기 고정대(110)의 하단에 결합되어 중앙 카메라(C1)가 장착되는 중앙 카메라 장착대(171)와, 상기 전방 연결레버(161)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전방 카메라(C2)가 장착되는 전방 카메라 장착대(172) 및, 상기 후방 연결레버(162)의 하단에 결합되어 후방 카메라(C3)가 장착되는 후방 카메라 장착대(17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대(110)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하여 항공기(A)에 고정되는 것으로, 좌우로 이격된 좌우 한 쌍의 지지대(111)와, 상기 한 쌍의 지지대(111)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판(1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 구동스크류(121)와 하부 구동스크류(122)는 상기 고정대(110)의 지지대(111)에 형성된 축지지공(113, 11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축지지공(113, 114)과 상, 하부 구동스크류(121, 122) 사이에는 메탈부시(metal bush) 또는 베어링(bearing)(미도시)을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 하부 구동스크류(121, 122)의 전방 수나사부(123, 125)와 후방 수나사부(124, 126)는 서로 나선방향을 달리하는 것으로, 예컨대, 전방 수나사부(123, 125)를 오른나사로 구성하고, 후방 수나사부(124, 126)를 왼나사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 회동체(151)의 암나사부(153)와 후방 회동체(152)의 암나사부(154)는 서로 나선방향을 달리하는 것으로, 예컨대, 상기 전방 수나사부(123, 125)와 후방 수나사부(124, 126)에 대응하여 전방 회동체(151)의 암나사부(153)를 오른나사로 구성하고, 후방 회동체(152)의 암나사부(154)를 왼나사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상, 하부 구동모터(131, 132)는 저속 모터로 구성하여 별도의 감속기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상, 하부 구동스크류(121, 122)를 저속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으며, 도시예와 같이, 감속기(133, 134)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 하부 구동모터(131, 132)와 감속기(133, 134)는 통상적인 모터와 감속기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감속기(133, 134)는 상기 고정대(110)를 구성하는 전후 한 쌍의 지지대(111) 사이에 삽입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감속기(133,134)의 출력축(135, 136)은 전, 후방에서 노출되는 중공축으로 구성하여 출력축(135, 136)에 상, 하부 구동스크류(121, 122)의 중간부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출력축(135, 136)과 상, 하부 구동스크류(121, 122)를 결합하는 방식은 통상적인 키(key)를 이용하는 방식이나 스플라인(spline) 또는 세레이션(seration)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전방 연결레버(161)의 안내장공(163)에 삽입되는 상부 전방 회동체(141)의 회동축(145)과 하부 전방 회동체(151)의 회동축(155)에는 각각 수나사부(145a, 155a)를 형성하고, 상기 후방 연결레버(162)의 안내장공(164)에 삽입되는 상부 후방 회동체(142)의 회동축(146)과 하부 후방 회동체(152)의 회동축(156)에는 각각 수나사부(146a, 156a)를 형성하여 이들 수나사부(145a, 146a, 155a, 156a)에 멈춤너트(147a, 157a, 147b, 157b)를 체결하여 상부 전방 회동체(141)와 하부 전방 회동체(151)의 회동축(145, 155)아 전방 연결레버(161)의 안내장공(163)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않게 되고, 상부 후방 회동체(142)와 하부 후방 회동체(152)의 회동축(146, 156)이 후방 연결레버(162)의 안내장공(164)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앙 카메라 장착대(171)와 전방 카메라 장착대(172) 및 후방 카메라 장착대(173)는 각각 중앙 카메라(C1), 전방 카메라(C2) 및 후방 카메라(C3)를 장착하는 역할과, 각각 고정대(110)를 구성하는 전후 한 쌍의 지지대(111)의 하단, 전방 카메라 장착대(172)는 좌우 한 쌍으로 구성된 전방 연결레버(161)의 하단, 그리고 후방 카메라 장착대(173)는 좌우 한 쌍으로 구성된 후방 연결레버(162)의 하단을 연결하는 역할을 겸한다.
이하, 기기부(100)에 의하여 전방 카메라(C2)와 후방 카메라(C3)의 촬영 각(θ1)을 조정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상, 하부 구동모터(131, 132)와 감속기(133, 134)의 출력축(135, 136)의 회전방향은 도면의 우측에서 보았을 때의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전방 카메라(C2)와 후방 카메라(C3)의 촬영 각(θ1)을 조정하는 방법으로서는 하부 구동모터(132)와 하부 구동스크류(122) 및 하부 전, 후방 회동체(151, 152)에 의한 방법과, 상부 구동모터(131)와 상부 구동스크류(121) 및 상부 전, 후방 회동체(141, 142)에 의한 방법이 있다.
먼저, 하부 구동모터(132)와 하부 구동스크류(122) 및 하부 전, 후방 회동체(151, 152)에 의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부 구동모터(132)가 회전하고 하부 구동모터(132)의 회전력이 감속기(134)에 의하여 감속되어 출력축(136)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출력축(136)에 결합되어 있는 하부 구동스크류(12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하부 구동스크류(122)는 전방 수나사부(125)가 오른나사로 구성되고 후방 수나사부(126)가 왼나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방 수나사부(125)와 후방 수나사부(126)에 각각 맞물려 있는 하부 전, 후방 회동체(151, 152)의 암나사부(153, 154) 역시 각각 오른나사와 왼나사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수나사부(125, 126)와 암나사부(153, 154)의 나사작용으로 하부 전방 회동체(151)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하부 후방 회동체(152)는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부 전, 후방 회동체(141, 142)의 회동축(145, 146)이 전, 후방 연결레버(161, 162)의 안내장공(163, 164)의 상단부에 삽입되어 있고, 하부 전, 후방 회동체(151, 152)의 회동축(155, 156)이 전, 후방 연결레버(161, 162)의 안내장공(163, 164)의 중단부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하부 전, 후방 회동체(151, 152)가 각각 후방과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전, 후방 연결레버(161, 162)가 상부 전, 후방 회동체(141, 142)의 회동축(145, 146)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 후방과 전방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 후방 연결레버(161, 162)의 하단에 전방 카메라 장착대(172)와 후방 카메라 장착대(173)에 각각 장착되어 있는 전방 카메라(C2)와 후방 카메라(C3)가 각각 후방 및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되어 촬영 각(θ1)을 이루게 된다.
전방 카메라(C2)와 후방 카메라(C3)의 촬영 각(θ1)은 하부 전, 후방 회동체(151, 152)의 이동거리(L1)와 상부 전, 후방 회동체(141, 142)의 회동축(145, 146)과 하부 전, 후방 회동체(151, 152)의 회동축(155, 156) 사이의 거리(L2)에 의하여 연산될 수 있다.
하부 전, 후방 회동체(151, 152)의 이동거리(L1)는 하부 구동모터(132)의 회전수를 카운트하고, 감속기(134)의 감속비와 하부 구동스크류(122)의 수나사부(125)와 하부 전, 후방 회동체(151, 152)의 암나사부(153, 154)의 피치(pitch)에 의하여 연산할 수 있다.
연산된 촬영 각(θ1)을 통해 항공기(A)의 현 고도(H)에서 제2 위치(S2)에 대응하는 제1 및 제3 위치(S1, S3)까지의 이동거리(D)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부 구동모터(131)와 상부 구동스크류(121) 및 상부 전, 후방 회동체(141, 142)에 의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방법에서는 상부 구동모터(131)가 회전하고 상부 구동모터(131)의 회전력이 감속기(133)에 의하여 감속되어 출력축(135)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출력축(135)에 결합되어 있는 출력축(135)에 결합되어 있는 상부 구동스크류(12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부 구동스크류(121)는 전방 수나사부(123)가 오른나사로 구성되고 후방 수나사부(124)가 왼나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방 수나사부(123)와 후방 수나사부(124)에 각각 맞물려 있는 상부 전, 후방 회동체(141, 142)의 암나사부(133, 144) 역시 각각 오른나사와 왼나사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수나사부(123, 124)와 암나사부(143, 144)의 나사작용으로 상부 전방 회동체(141)는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부 후방 회동체(142)는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상술한 하부 구동모터(132)와 하부 구동스크류(122) 및 하부 전, 후방 회동체(151, 152)에 의한 방법과 같은 작동원리에 의하여 전방 카메라(C2)와 후방 카메라(C3)가 각각 후방 및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되어 촬영 각(θ1)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 하부 구동모터(131, 132)를 동시에 작동시키면 그 회전방향에 따라 상부 전, 후방 회동체(141, 142)와 하부 전, 후방 회동체(151, 152)가 동시에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중앙 카메라(C1)에 대한 전방 카메라(C2)와 후방 카메라(C3)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도 6 참조)
또한 전방 연결레버(161)와 이에 장착된 전방 카메라(C2)가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하고, 후방 연결레버(162)와 이에 장착된 후방 카메라(C3)가 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하여, 항공기(A)가 제1 위치(S1)에서 제2 위치(S2)를 지나 제3 위치(S3)로 비행하는 과정에서 전방 카메라(C2)가 지형지물(B1)의 후방 측면을 촬영하고, 중앙 카메라(C1)가 지형지물의 평면을 촬영하며, 후방 카메라(C3)가 지형지물(B1)의 전방 측면을 촬영하도록 할 수도 있다(도 7 참조).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전산부(200)는 기기부(100)의 상, 하부 구동스크류(121, 122)의 회전수를 카운트하는 구동스크류 카운터(210), 구동스크류 카운터(210)에서 카운트한 상, 하부 구동스크류(121, 122)의 회전수에 따라 전, 후방 카메라(C2, C3)의 촬영 각(θ1)을 연산하는 촬영가연산모듈(220)과, GPS좌표를 감지하는 GPS수신기(270)와, GPS수신기(270)로부터 GPS좌표를 수신하여 항공기(A)의 현 위치를 확인하는 GPS확인모듈(230)과, 항공계측부(300)와 통신하면서 항공기(A)의 현 상태를 확인하는 위치확인모듈(240)과, 중앙 카메라(C1), 전방 카메라(C2) 및 후방 카메라(C3)가 촬영한 동일 지역에 대한 촬영이미지를 분류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분류모듈(250)과, 중앙 카메라(C1), 전방 카메라(C2) 및 후방 카메라(C3)가 촬영한 촬영이미지에서 지형지물(B1, B2)의 평면 중심을 확인하여 지역(P1, P2)으로 세팅한 후 데이터분류모듈(250)로 전달하는 평면중심확인모듈(280)과, 데이터분류모듈(250)에서 분류된 촬영이미지 데이터를 지상에 위치한 데이터통합관리부(400)로 송신하는 데이터통신모듈(260)을 포함한다.
전산부(200)를 구성하는 상기 모듈(220, 230, 240, 250, 260, 280)은 해당 작업을 위해 프로그램된 소프트웨어와, 이 소프트웨어를 구동시키기 위해 적용된 하드웨어(컴퓨터)로 구성되는 기기로, 각 모듈(220, 230, 240, 250, 260, 280)의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컴퓨터)는 해당 작업을 위해 공지기술의 적용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당업자는 본 상세한 설명으로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한편, 항공기(A)의 운항을 위해 설비되는 항공계측부(300)는 항공기(A)의 선회 각(θ2)을 감지하는 방위계측기(310)와, 항공기(A)의 수평상태를 감지하는 기울기센서(320)와, 항공기(A)의 고도를 계측하는 고도계측기(330)를 포함하는 장비이다.
항공계측부(300)는 항공기(A)의 운항 상태에 따라 영향을 받는 촬영 작업에 대한 참조를 위한 것으로, 항공계측부(30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는 카메라(C1, C2, C3)에서 촬영된 촬영이미지의 활용 여부 및 분류에 대한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항공계측부(300)의 정보는 항공기(A)의 블랙박스 등에 데이터로 기록되는데, 본 발명에 의한 위치확인모듈(240)은 항공계측부(300)에서 블랙박스로 전송되는 해당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외에도 위치확인모듈(240)은 디지털 방식의 항공계기판으로 전달되는 항공계측부(300)의 데이터를 확인하여 해당 데이터를 확인하도록 세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형변화 측량을 통한 측지정보 데이터 수집시스템은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 구동모터(131,132)의 구동에 따라 상부 전,후방 회동체(141,142) 및 하부 전,후방 회동체(151,152)가 고정대(110)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고정대(110)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충돌방지부(500)를 더 포함한다.
충돌방지부(500)는 상부 전,후방 회동체(141,142) 및 하부 전,후방 회동체(151,152)가 고정대(110)와 충돌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중앙 카메라(C1) 및 전,후방 카메라(C2,C3)의 고장이나 파손 등을 방지한다.
충돌방지부(500)는 고정대(110)의 상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판(510), 상부 전방 회동체(141)의 상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전판(520), 상부 후방 회동체(142)의 상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후판(530), 양단부가 전,후판(520,530) 및 지지판(510)을 통과하는 지지바(540), 지지바(540)를 지지판(510)에 고정하는 고정부재(550) 및 상,하부 구동모터(131,132)의 구동에 따른 상부 전,후방 회동체(141,142)가 고정대(110)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전,후판(520,530)이 지지판(510)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수단(560)을 포함한다.
지지판(510)은 연결판(112)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전,후면이 상,하부 구동스크류(121,122)의 길이방향을 향한다.
전판(520)은 지지판(510)과 대향되도록 상부 전방 회동체(141)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후판(530)은 지지판(510)과 대향되도록 상부 후방 회동체(142)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지지바(540)는 양단부가 상,하부 구동스크류(121,12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전,후판(520,530) 및 지지판(510)을 통과한다.
지지바(540)는 중앙부가 지지판(510)에 위치되면서 양단부가 전,후판(520,530)을 통과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바(54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고정부재(550)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너트 등으로 이루어져 지지판(510)의 전,후면에 접하도록 지지바(540)의 외측으로 나사결합된다.
완충수단(560)은 지지판(510)의 전면에 구비되는 전방 스프링(561) 및 지지판(510)의 후면에 구비되는 후방 스프링(562)을 포함한다.
지지판(510)은 전면에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내측으로 전방 스프링(561)이 끼움 결합되는 전방 결합링(511)이 형성된다.
지지판(510)은 후면에 후방으로 돌출되면서 내측으로 후방 스프링(562)이 끼움 결합되는 후방 결합링(512)이 형성된다.
전,후방 결합링(511,512)은 내주면에 나선홈(미도시)이 형성되면서 전,후방 스프링(561,562)이 나선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후방 스프링(561,562)은 전,후방 결합링(511,512)으로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하면서 전,후판(520,530)과의 접촉에 따라 수축,이완되면서 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부 전,후방 회동체(141,142) 및 하부 전,후방 회동체(151,152)가 고정대(110)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충돌방지부(500)는 상부 전,후방 회동체(141,142) 및 하부 전,후방 회동체(151,152)가 상,하부 구동스크류(121,122)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5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탈방지수단(570)은 지지바(540)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이탈방지부재(571)를 포함한다.
이탈방지부재(571)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지지바(540)의 양단부 외측으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탈방지부재(571)는 전,후판(520,530)이 지지바(54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인해 상부 전,후방 회동체(141,142) 및 하부 전,후방 회동체(151,152)가 상,하부 구동스크류(121,12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탈방지수단(570)은 일단부가 개방되어 지지바(540)의 양단부로 끼움 결합되는 이탈방지캡(57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탈방지캡(572)은 지지바(540)의 양단부로 결합되면서 지지바(540)로부터 이탈방지부재(57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충돌방지부(500)는 하부 구동모터(132)의 구동에 따른 전,후방 연결레버(161,162)의 회동에 따라 전,후방 카메라(C2,C3)가 고정대(110)와 충돌하면서 발생되는 고장이나, 파손 등을 방지하는 보조충돌방지수단(580)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보조충돌방지수단(580)은 전,후방 연결레버(161,162)가 고정대(110)와 이웃한 상태에서 하부 구동모터(132)의 구동에 따라 고정대(110)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충돌을 방지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보조충돌방지수단(580)은 축지지공(114)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한 쌍의 지지대(111)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관(581) 및 지지관(581)의 내측으로 결합되면서 전,후방 카메라(C2,C3)가 고정대(110)에 접촉하기 전에 전,후방 연결레버(161,162)와 접촉하면서 회동이 정지되도록 하는 완충부재(582)를 포함한다.
완충부재(582)는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지관(581)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전,후방 연결레버(161,162)나, 전,후방 회동체(151,152)와의 접촉에 의해 수축되며 충격을 완충하는 한편, 전,후방 연결레버(161,162)의 회동이 정지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충돌방지부(500)는 상,하부 구동모터(131,132)의 구동에 따라 상부 전,후방 회동체(141,142) 및 하부 전,후방 회동체(151,152)가 고정대(110)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고정대(110)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으로써 중앙 카메라(C1) 및 전,후방 카메라(C2,C3)의 고장이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지형변화 측량을 통한 측지정보 데이터 수집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기기부 110 : 고정대
121, 122 : 상, 하부 구동스크류 131, 132 : 상, 하부 구동모터
141, 142 : 상부 전, 후방 회동체 151, 152 : 하부 전, 후방 회동체
200 : 전산부 300 : 항공기계측부
400 : 데이터통합관리부 500 : 충돌방지부
510 : 지지판 520 : 전판
530 : 후판 540 : 지지바
550 : 고정부재 560 : 완충수단
561 : 전방 스프링 562 : 후방 스프링
570 : 이탈방지수단 571 : 이탈방지부재
572 : 이탈방지캡 580 : 보조충돌방지수단
581 : 지지관 582 : 완충부재

Claims (1)

  1. 고정대(110)와; 상기 고정대(110)의 상부에 중앙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부 구동스크류(121)와; 상기 고정대(110)의 하부에 중앙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하부 구동스크류(122)와; 상기 고정대(110)의 상부와 하부에 장착되는 상, 하부 구동모터(131, 132)와; 상기 상부 구동스크류(121)의 전, 후방 수나사부(123, 124)에 각각 맞물리는 상부 전, 후방 회동체(141, 142)와; 상기 하부 구동스크류(122)의 전, 후방 수나사부(125, 126)에 각각 맞물리는 하부 전, 후방 회동체(151, 152)와; 상기 상부 전, 후방 회동체(141, 142)의 회동축(145. 145)과 하부 전, 후방 회동체(151)의 회동축(155, 156)이 회동 및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전방 연결레버(161)와 후방 연결레버(162)와; 상기 고정대(110)의 하단에 결합되는 중앙 카메라 장착대(171)와; 상기 전방 연결레버(161)의 하단에 결합되는 전방 카메라 장착대(172); 및 상기 후방 연결레버(162)의 하단에 결합되는 후방 카메라 장착대(173)를 포함하는 기기부(100): 를 포함하는 지형변화 측량을 통한 측지정보 데이터 수집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구동모터(131,132)의 구동에 따라 상기 상부 전,후방 회동체(141,142) 및 상기 하부 전,후방 회동체(151,152)가 상기 고정대(110)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고정대(110)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충돌방지부(5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충돌방지부(500)는,
    상기 고정대(110)의 상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판(510);
    상기 상부 전방 회동체(141)의 상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전판(520);
    상기 상부 후방 회동체(142)의 상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후판(530);
    양단부가 상기 전,후판(520,530) 및 상기 지지판(510)을 통과하는 지지바(540);
    상기 지지바(540)를 상기 지지판(510)에 고정하는 고정부재(550); 및
    상기 상,하부 구동모터(131,132)의 구동에 따른 상기 상부 전,후방 회동체(141,142)가 상기 고정대(110)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전,후판(520,530)이 상기 지지판(510)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수단(560)을 포함하며,
    상기 완충수단(560)은,
    상기 지지판(510)의 전면에 구비되는 전방 스프링(561); 및
    상기 지지판(510)의 후면에 구비되는 후방 스프링(562)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510)은,
    전면에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내측으로 상기 전방 스프링(561)이 끼움 결합되는 전방 결합링(511)이 형성되며, 후면에 후방으로 돌출되면서 내측으로 후방 스프링(562)이 끼움 결합되는 후방 결합링(512)이 형성되고,
    상기 전,후방 스프링(561,562)은,
    상기 전,후방 결합링(511,512)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전,후판(520,530)과의 접촉에 따라 수축,이완되면서 충격을 완충하는 한편, 상기 상부 전,후방 회동체(141,142) 및 상기 하부 전,후방 회동체(151,152)가 상기 고정대(110)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형변화 측량을 통한 측지정보 데이터 수집시스템.
KR1020180045943A 2018-04-20 2018-04-20 지형변화 측량을 통한 측지정보 데이터 수집시스템 KR101898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943A KR101898032B1 (ko) 2018-04-20 2018-04-20 지형변화 측량을 통한 측지정보 데이터 수집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943A KR101898032B1 (ko) 2018-04-20 2018-04-20 지형변화 측량을 통한 측지정보 데이터 수집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8032B1 true KR101898032B1 (ko) 2018-09-12

Family

ID=63592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5943A KR101898032B1 (ko) 2018-04-20 2018-04-20 지형변화 측량을 통한 측지정보 데이터 수집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80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52950A (zh) * 2021-07-21 2021-12-07 上海圭目机器人有限公司 一种道面检测的探地雷达搭载机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78060A2 (en) * 1998-05-11 2001-02-28 Micromet GmbH Antibodies to dendritic cells and human dendritic cell populations and uses thereof
WO2014175785A2 (en) * 2013-04-22 2014-10-30 Obschestvo S Ogranichennoy Otvetstvennostiu "Miks" Method and device for multi-sensor electromagnetic defectoscopy of well casings
KR101492923B1 (ko) 2014-12-03 2015-02-12 (주)케이지에스테크 지형변화 측량을 통한 측지정보 데이터 수집 방법이 적용된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78060A2 (en) * 1998-05-11 2001-02-28 Micromet GmbH Antibodies to dendritic cells and human dendritic cell populations and uses thereof
WO2014175785A2 (en) * 2013-04-22 2014-10-30 Obschestvo S Ogranichennoy Otvetstvennostiu "Miks" Method and device for multi-sensor electromagnetic defectoscopy of well casings
KR101492923B1 (ko) 2014-12-03 2015-02-12 (주)케이지에스테크 지형변화 측량을 통한 측지정보 데이터 수집 방법이 적용된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52950A (zh) * 2021-07-21 2021-12-07 上海圭目机器人有限公司 一种道面检测的探地雷达搭载机构
CN113752950B (zh) * 2021-07-21 2023-10-20 上海圭目机器人有限公司 一种道面检测的探地雷达搭载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18840B2 (ja) 飛行体の飛行制御システム
KR100937049B1 (ko) 일반도화 제작용 항공촬영 카메라의 화각조절시스템
CA2952933C (en) Wide-area aerial camera systems
JP5775632B2 (ja) 飛行体の飛行制御システム
KR101492923B1 (ko) 지형변화 측량을 통한 측지정보 데이터 수집 방법이 적용된 시스템
KR101551380B1 (ko) 지형정보의 다양한 변화에 따른 영상이미지 구현의 공간영상 도화시스템
KR101350929B1 (ko) 지피에스(gps)와 아이엔에스(ins)를 이용한 초정밀 항공촬영 장치
KR101450702B1 (ko) 지상면의 연직촬영 유지를 통한 고정밀 항공촬영 편집방법이 적용된 시스템
KR101348797B1 (ko) 지피에스(gps)와 아이엔에스(ins)를 이용한 초정밀 항공촬영 장치
KR102198193B1 (ko) 회전식 다방향 항공촬영 카메라의 타깃별 촬영 초점 조정장치
US11310412B2 (en) Autofocusing camera and systems
CN106056075A (zh) 基于无人机的社区网格化中重点人员识别及跟踪系统
JP2019511044A (ja) 飛行デバイスの動き制御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210201937U (zh) 一种影像采集装置
CN107507245A (zh) 一种车辆跟驰轨迹的动态采集方法及系统
KR101591996B1 (ko) 영상처리장치를 위한 유사영상물 위치조정 이미지 인식용 영상처리 방법
CN106289184A (zh) 一种无gnss信号和无控制点下无人机协同视觉形变监测方法
KR101547910B1 (ko) 위치정보와 촬영이미지 합성을 통한 영상처리 시스템의 운용방법
JPH07170443A (ja) 航空機搭載総合撮影装置
JP6001914B2 (ja) 目標位置特定装置、目標位置特定システム、および目標位置特定方法
KR101898032B1 (ko) 지형변화 측량을 통한 측지정보 데이터 수집시스템
KR101349148B1 (ko) 자동촬영시스템을 이용한 항공촬영장치
CN108318007B (zh) 一种拼接式航空倾斜摄影的拍摄方法
KR100937051B1 (ko) 복수의 항공촬영화상을 이용한 3차원 입체지도 표시시스템
KR100945087B1 (ko) 지형 및 지형물 변화에 따른 기준점 대비 측지확인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