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8002B1 - 단로기 연동형 절연하우징 - Google Patents

단로기 연동형 절연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8002B1
KR101898002B1 KR1020170059436A KR20170059436A KR101898002B1 KR 101898002 B1 KR101898002 B1 KR 101898002B1 KR 1020170059436 A KR1020170059436 A KR 1020170059436A KR 20170059436 A KR20170059436 A KR 20170059436A KR 101898002 B1 KR101898002 B1 KR 101898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onnector
contactor
vacuum valve
movable electrode
main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9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용
최승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위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위코
Priority to KR1020170059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80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2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2Housings or protective screens

Landscapes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밸브가 사용되는 개폐기 및 차단기를 사용하는데 있어 이중 절연을 이용한 절연성능의 향상과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단로기 연동형 절연하우징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 본체의 내부 상측에 진공밸브가 설치되는 주회로와 상기 주회로의 하부에 설치되는 단로기로 이루어지되 상기 진공밸브의 하부에 구비되는 단로기 고정전극과, 상기 단로기 고정전극의 하부에 스터드볼트로 고정되어 진공밸브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튜립콘텍터와, 상기 튜립콘텍터 하부에 진공밸브와 분리되게 설치되어 상,하 슬라이드되는 단로기 가동전극과, 상기 단로기 가동전극의 중심부에 설치되어 2차측 도체에서 단로기 가동전극으로 슬라이딩 운동을 하면서 전류를 흐르게 하는 슬라이딩 콘텍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단로기 연동형 절연하우징{INSULATED HOUSING TYPE INTERLOCKING DISCONNECTOR}
본 발명은 단로기 연동형 절연하우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진공밸브가 사용되는 개폐기 및 차단기를 사용하는데 있어 이중 절연을 이용한 절연성능의 향상과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단로기 연동형 절연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발전소(화력, 수력, 원자력 등)에서 약 20,000V 정도의 전압으로 만들어진 전기는 송전에 적합한 초고압으로 승압되고, 초고압 선로를 통하여 1차 변전소로 송전된다.
1차 변전소에서는 공급받은 전력을 강하시켜 2차 변전소 또는 일반적인 각 수용가로 공급한다. 즉, 1차 변전소로부터 공급된 전력은 가공배전선과 지중배전선으로 구성된 배전계통을 통하여 각 수용가의 수전설비로 공급되며 특고압 수용가, 고압수용가 및 각종 옥외설치 변압기를 통하여 저압 수용가까지 공급된다.
이때, 고압 수용가 수배전반(수전설비)의 선로구분, 분기 및 변압기 1차측 등의 송배전 계통상 적합한 위치에 설치되어 광범위한 수용가에 전력을 공급, 및 중단하기 위하여 부하개폐기(LBS, Load Break Switch)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부하개폐기는 전력회사의 계획에 의해서 또는 불의의 사고로 정전작업이 요구되는 경우에 일정구간을 차단할 수 있으며, 또한 수용가의 설비와 시스템에서 부하로 의한 전기 사고 및 고장 발생 시 특정지역으로 공급되는 전기를 신속히 차단시킴으로써, 피해 범위를 최소화하고, 사고 전류가 다른 선로에 파급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부하개폐기는 접속부를 개방, 투입 위치로 구동시켜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데, 종래의 일반적인 부하개폐기는 고압 선로 개폐 등의 경우에 발생하는 아크소호와 절연을 위하여 가스탱크 내부에 절연 가스가 주입된다. 절연 가스로는 SF6가 주로 사용되는데, SF6는 불연성이므로 화재의 위험이 적고, 옥내 및 옥외의 어느 장소에서도 사용 가능하며, 인체에 무해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SF6와 같은 가스는 아크소호를 실시 후 가스탱크 외부의 대기 중으로 누설되는 경우에 이산화탄소보다 훨씬 높은 지구 온실 효과를 유발하므로, 지구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SF6 가스는 전 세계적으로 사용이 규제되는 추세이다.
이에 최근 전력기기의 안전성과 친환경성이 중요시되면서 전 세계의 전력기기 시장 흐름이 SF6가스를 사용하여 절연시키는 가스 절연형 부하개폐기에서, 최근에는 에폭시를 이용하여 절연시키고 진공밸브를 이용하여 차단하는 폴리머(에폭시)절연 부하개폐기로 급격히 변화되고 있다.
종래에 따른 폴리머(에폭시) 절연형 부하개폐기는 기본적인 절연은 에폭시를 사용하며 SF6가스를 사용하지는 않지만 차단을 위해서는 반드시 진공밸브가 사용된다.
진공밸브는 차단성능이 뛰어나고 짧은 거리에서 절연성능이 매우 우수한 차단장치이나 진공밸브 내부의 개극거리(스트로크)가 너무 가까워 사용조건에 따라 절연성능의 많은 변화가 발생하며, 개방후에도 2차선로에 잔류 전압이 존재할 수 있다.
진공밸브는 특성상 짧은 거리(159kV: 약 12mm)에서 절연을 유지하기 위하여 진공으로 내부가 이루어졌으며, 전류를 흐르게 하기 위해서는 일정량의 하중으로 밀고 있어야 전극이 닿게 되고 전기적 강도도 유지할 수 있는 특성을 갖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개폐기를 개방하더라도 후단의 보수작업시 이상 전압이 흐르거나 절연저하로 인하여 최근 많은 사고가 발생하고 있는 현실이며 이에 대안책을 마련하고 있다.
이에 진공밸브를 차단부로 이용하는 개폐기에서는 진공밸브 외의 추가적인 절연장치가 반드시 필요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18494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1차 절연은 개폐기 및 차단기의 주요 차단장치인 진공밸브가 개방되면서 절연하게 되고 2차 절연은 단로기에서 추가로 절연시켜 절연성능을 탁월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단로기 연동형 절연하우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목적은 주회로와 단로기의 이중절연에 의한 극간절연의 향상으로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단로기 연동형 절연하우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목적은 주회로와 단로기를 일직선상에 위치시켜 절연하우징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단로기 연동형 절연하우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로기 연동형 절연하우징은 하우징 본체의 내부 상측에 진공밸브가 설치되는 주회로와 상기 주회로의 하부에 설치되는 단로기로 이루어지되 상기 진공밸브의 하부에 구비되는 단로기 고정전극과, 상기 단로기 고정전극의 하부에 스터드볼트로 고정되어 진공밸브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튜립콘텍터와, 상기 튜립콘텍터 하부에 진공밸브와 분리되게 설치되어 상,하 슬라이드되는 단로기 가동전극과, 상기 단로기 가동전극의 중심부에 설치되어 2차측 도체에서 단로기 가동전극으로 슬라이딩 운동을 하면서 전류를 흐르게 하는 슬라이딩 콘텍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회로와 단로기는 단일의 절연로드로 연동되며, 진공밸브와 단로기가 일직선상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진공밸브의 하부 끝단에는 주회로가 개방된 상태에서 진공밸브가 자폐력에 의하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팽창스프링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튜립콘텍터의 외부에는 단로기 가동전극이 튜립콘텍터와 안정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튜립콘텍터를 안쪽으로 오므라들게 하는 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튜립콘텍터의 내부에는 튜립콘텍터가 일정치수 이상 오므라지지 않도록 유지시키는 링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튜립콘텍터와 단로기 가동전극 사이에는 단로기가 투입 및 개방될 수 있도록 단로기 접촉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 본체의 내부 상측에 진공밸브가 설치되는 주회로와 상기 주회로의 하부에 설치되는 단로기로 이루어지되 상기 진공밸브의 하부에 구비되는 단로기 고정전극과, 상기 단로기 고정전극의 하부에 진공밸브와 분리되게 설치되어 상,하 슬라이드되는 단로기 가동전극과, 상기 단로기 가동전극의 외부에 설치되는 튜립콘텍터와, 상기 단로기 가동전극의 중심부에 설치되어 2차측 도체에서 단로기 가동전극으로 슬라이딩 운동을 하면서 전류를 흐르게 하는 슬라이딩 콘텍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로기 연동형 절연하우징에 의하면, 절연하우징을 이용한 개폐기 및 차단기를 투입시키고자 할 때 단로기가 먼저 투입되고 나서 주회로가 나중에 투입되는 방식이고, 개방시키고자 할 때는 주회로가 먼저 개방되고 나서 단로기가 개방되는 형태의 특별한 구조로 연동되는 구동방식으로 투입시나 개방시에 단로기의 접점에는 전기적 충격이 가해지지 않으며 모든 차단과 투입시 전기적 충격은 주회로의 진공밸브가 하게 되어 한 번의 조작으로 작동이 가능하게 되어 작동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방상태에서 살펴보면 진공밸브에서 기본절연은 모두 만족시키되 좀더 안전한 절연성 확보를 위하여 단로기에서 추가로 절연성 확보를 하게 됨으로써 정격 절연강도를 높일 수 있으며, 개폐기를 개방시키고 정전작업이나 보수작업을 할 경우라도 확실한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어 작업자에게 신뢰감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로기 절연을 에어를 사용함으로써 환경 친화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로기 연동형 절연하우징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로기 연동형 절연하우징의 단로기 가동전극이 튜립콘텍터에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로기 연동형 절연하우징의 단로기 가동전극이 튜립콘텍터 내부로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로기 연동형 절연하우징의 단로기 가동전극이 단로기 고정전극에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로기 연동형 절연하우징의 주회로와 단로기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로기 연동형 절연하우징의 주회로와 단로기가 닫힌 상태에서 주회로가 개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로기 연동형 절연하우징의 주회로가 개방되고 튜립콘텍터가 벌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단로기 연동형 절연하우징의 주회로가 개방된 상태에서 단로기가 개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단로기 연동형 절연하우징의 구조를 반대로 적용한 일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이란 표현은 전후에 나열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연결되는/결합되는'이란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
또한, '제1,제2'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측(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로기 연동형 절연하우징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로기 연동형 절연하우징의 단로기 가동전극이 튜립콘텍터에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로기 연동형 절연하우징의 단로기 가동전극이 튜립콘텍터 내부로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로기 연동형 절연하우징의 단로기 가동전극이 단로기 고정전극에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로기 연동형 절연하우징의 주회로와 단로기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로기 연동형 절연하우징의 주회로와 단로기가 닫힌 상태에서 주회로가 개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로기 연동형 절연하우징의 주회로가 개방되고 튜립콘텍터가 벌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예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단로기 연동형 절연하우징의 주회로가 개방된 상태에서 단로기가 개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단로기 연동형 절연하우징의 구조를 반대로 적용한 일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로기 연동형 절연하우징은 하우징 본체(100)와, 주회로(200)와, 단로기(300)와, 가이드(370)와, 절연로드(400)와, 변류기(500)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 본체(100)는 주회로(200)와 단로기(300)를 감싸게 되며, 상기 주회로(200)와 단로기(300)의 절연을 위하여 에폭시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주회로(200)는 진공차단장치인 내부가 진공으로 이루어진 진공밸브(210)와, 상기 진공밸브(210)의 상부에 설치되어 1차측에 전기를 흐르게 하는 1차측 도체(220)와, 상기 1차측 도체(220)에 설치되어 1차측의 전압을 계측할 수 있도록 하는 1차측 전압센서(230)가 설치되어지게 된다.
상기 진공밸브(210)는 내부 상단에 설치되는 진공밸브 고정전극(211)과, 내부 하단에 설치되어 단로기(300)의 작동에 따라 상,하 슬라이드되면서 진공밸브 고정전극(211)에 접촉되는 진공밸브 가동전극(212)을 포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진공밸브 고정전극(211)과 진공밸브 가동전극(212) 사이에는 주회로(200)가 투입 및 개방될 수 있도록 주회로 접촉부(213)가 형성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진공밸브(210)의 내벽면에는 진공밸브(210)를 감싸게 되는 진공밸브 소호통(214)이 구비되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진공밸브 소호통(214)은 세라믹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진공밸브(210)의 표면에는 에폭시 성형시 진공밸브(210)를 보호할 수 있도록 실리콘 러버(215)가 구비되어지게 된다.
상기 단로기(300)는 진공밸브(210) 하부에 구비되는 단로기 고정전극(310)과, 튜립콘텍터(320)와, 팽창스프링(330)과, 단로기 가동전극(340)과, 슬라이딩 콘텍터(350)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단로기 고정전극(310)은 진공밸브(210)의 하부에 설치되어지게 된다.
상기 튜립콘텍터(320)는 단로기 고정전극(310)의 하부에 스터드볼트(B)로 고정되어 단로기 가동전극(340)의 접촉에 따라 진공밸브(210)를 개방시키게 된다.
상기 튜립콘텍터(320)의 외부에는 상,하 슬라이드되는 단로기 가동전극(340)이 튜립콘텍터(320)의 내부로 안정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튜립콘텍터(320)를 항상 안쪽으로 오므라들게 하는 스프링(331)이 구비되어지게 된다.
즉, 상기 스프링(331)이 튜립콘텍터(320)를 조여주게 되어 상승하면서 튜립콘텍터(320) 내부로 접촉되는 단로기 가동전극(340)이 빠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접촉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튜립콘텍터(320)의 내부에는 튜립콘텍터(320)가 일정치수 이상으로 오므라지지 않도록 유지시킬 수 있는 링(332)이 설치되어지게 된다.
상기 팽창스프링(330)은 진공밸브(210)의 하부 끝단에 장착되어 주회로(200)가 개방된 상태에서 진공밸브(210)가 자폐력에 의하여 들어가지 않도록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진공밸브(210)는 내부가 진공으로 이루어져 있어 외력이 없이 자유상태에서는 가동접점이 내부로 빨려들어가 접점이 닿아 있게 됨으로써 상기 진공밸브(210)의 자폐력 보다 높은 팽창스프링(330)에 의해 진공밸브(210)가 개방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단로기 가동전극(340)은 튜립콘텍터(320)의 하부에 진공밸브(210)와 분리되게 설치되어 절연로드(400)에 의해 상,하 수직운동 하면서 튜립콘텍터(320)에 접촉되어지게 된다.
상기 튜립콘텍터(320)와 단로기 가동전극(340) 사이에는 단로기(300)가 튜립콘텍터(320)에 투입 및 개방될 수 있도록 에어(air)절연을 이용한 단로기 접촉부(360)가 형성되어지게 된다.
상기 슬라이딩 콘텍터(350)는 단로기 가동전극(340)의 중심부에 설치되어 2차측 도체(520)에서 단로기 가동전극(340)으로 슬라이딩 운동을 하면서 전류를 흐르게 한다.
상기 가이드(370)는 튜립콘텍터(320)의 외부에 구비되어 튜립콘텍터(320)가 상,하 수직 이동시 직선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370)는 에폭시로 하우징 본체(100)를 성형시 단로기 가동전극(340)이 위치한 내부로 에폭시가 침투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절연로드(400)는 단로기 가동전극(340)의 하부에 설치되어 절연을 유지하는 상태로 단로기(300)와 주회로(200)를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 변류기(500)는 하우징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흐르는 전류를 계측하게 된다.
상기 변류기(500)에는 2차측의 전압을 계측하기 위한 2차측 전압센서(510)가 설치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변류기(500)를 관통하여 2차측에 전기를 흐르게 하는 2차측 도체(520)가 설치되어지게 된다.
상기에서 주회로(200)와 단로기(300)는 하나의 절연로드(400)로 연동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진공밸브(210)와 단로기(300)는 절연하우징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일직선상에 위치되어지게 된다.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단로기(300)의 튜립콘텍터(320)와 단로기 가동전극(340)의 위치를 바꾸어서 설치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단로기 연동형 절연하우징에 따른 작동원리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단로기(300)의 투입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절연로드(400)가 상부로 운용하면서 상기 절연로드(400) 상부에 설치되는 단로기 가동전극(340)이 이동되어 튜립콘텍터(320)에 접촉하게 된다.(도면 도 2 참조)
그리고, 상기 단로기 가동전극(340)이 계속 상승운동 하면서 튜립콘텍터(320)를 벌리면서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이때, 상기 단로기 가동전극(340)이 튜립콘텍터(320)와 접촉하면서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튜립콘텍터(320)와 연결된 진공밸브 가동전극(212)이 상부로 밀려 올라가려 하지만 상기 팽창스프링(330)의 의해 상기 진공밸브(210)가 개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도면 도 3 참조)
또한, 상기 단로기 가동전극(340)이 튜립콘텍터(320) 내에서 밀고 올라가면서 계속 상승하여 단로기 고정전극(310)에 접촉하게 된다.(도면 도 4 참조)
이때, 상기 단로기 가동전극(340)이 튜립콘텍터(320)와 접촉을 하더라도 진공밸브(210)가 개방된 상태이므로 아무런 전기적 충격을 받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단로기(300)가 투입된 상태에서 주회로(200)가 투입되는데 주회로(200)의 투입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단로기(300) 투입동작을 완료한 단로기 가동전극(340)은 계속 상승운동하여 진공밸브 가동전극(212)을 밀게 되고, 상기 진공밸브 가동전극(212)이 진공밸브 고정전극(211)에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상기 팽창스프링(330)을 압축시키며 이때 상기 단로기 고정전극(310)에 조립되어 있는 튜립콘텍터(320)와 스프링(331)도 함께 상승 이동하게 된다.(도면 도 5 참조)
이런 상승 운동시 상기 가이드(370)에 의해 튜립콘텍터(320)가 수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단로기 가동전극(340)의 상승에 따라 단로기 가동전극(340)이 튜립콘텍터(320)에 접촉되면서 단로기 고정전극(310)에 접촉되어 먼저 단로기(300)의 투입동작이 완료된 후에 상기 단로기 가동전극(340)이 진공밸브 가동전극(212)을 밀면서 진공밸브 가동전극(212)이 진공밸브 고정전극(211)에 접촉되어 주회로(200)가 나중에 투입되어지게 된다.
이와 반대로 개방동작은 투입동작이 완료된 후 주회로(200) 개방이 먼저 진행되어지게 된다.
상기 단로기(300)와 주회로(200)가 투입된 상태에서 상기 절연로드(400)가 아래 쪽으로 개방동작을 시작하면, 상기 절연로드(400)에 연결되어 있는 단로기 가동전극(340)이 따라서 아래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상기 단로기 접촉부(360)는 계속 접촉을 하게 되고 주회로 접촉부(213)는 개방되는 동작을 시작하게 된다.(도면 도 6 참조)
그리고, 상기 단로기 가동전극(340)이 아래로 개방동작을 실시할 때 단로기 가동전극(340)의 턱이 튜립콘텍터(320)의 내부 턱에 걸려서 튜립콘텍터(320)를 아래로 끌고 같이 내려오게 됨으로써 진공밸브(210)가 개방을 하게 된다.
이때까지는 상기 단로기 가동전극(340)과 튜립콘텍터(320)가 서로 턱에 걸려 있어 조작기의 기구적인 힘으로 진공밸브(210)를 개방시키고 있게 된다.(도면 도 7 참조)
이와 같이, 상기 주회로(200)의 개방동작이 완료되면 단로기(300)의 개방동작이 진행되는데 상기 진공밸브(210)의 주회로 접촉부(213)의 개극거리를 정확하게 벌어지게 한다.
또한, 상기 단로기 가동전극(340)은 계속 하향 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튜립콘텍터(320) 외부의 턱이 가이드(370)의 내부의 턱에 걸려서 튜립콘텍터(320)의 운동이 멈추게 되고 단로기 가동전극(340)은 튜립콘텍터(320)를 벌리고 빠져나와 단로기(300)가 개방을 하게 된다.(도면 도 8 참조)
그리고, 상기 진공밸브(210)는 내부가 진공으로 되어 있어 자폐력으로 진공밸브 가동전극(212)이 진공밸브(210) 내부로 빨려들어가려 하지만 상기 팽창스프링(330)에 의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실질적인 차단은 주회로(200) 개방시 주회로 접촉부(213)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나중에 개방되는 단로기 접촉부(360)는 아무런 전기적 충격이 가해지지 않아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하우징 본체 200 : 주회로
210 : 진공밸브 211 : 진공밸브 고정전극
212 : 진공밸브 가동전극 213 : 주회로 접촉부
214 : 진공밸브 소호통 215 : 실리콘 러버
220 : 1차측 도체 230 : 1차측 전압센서
300 : 단로기 310 : 단로기 고정전극
320 : 튜립콘텍터 330 : 팽창스프링
331 : 스프링 332 : 링
340 : 단로기 가동전극 350 : 슬라이딩 콘텍터
360 : 단로기 접촉부 370 : 가이드
400 : 절연로드 500 : 변류기
510 : 2차측 전압센서 520 : 2차측 도체

Claims (8)

  1. 하우징 본체의 내부 상측에 진공밸브가 설치되는 주회로와 상기 주회로의 하부에 설치되는 단로기를 포함하고,
    상기 단로기는,
    단로기 고정전극의 하부에 스터드볼트로 고정되어 진공밸브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튜립콘텍터;
    상기 튜립콘텍터 하부에 진공밸브와 분리되게 설치되어 상,하 슬라이드되는 단로기 가동전극; 및
    상기 단로기 가동전극의 중심부에 설치되어 2차측 도체에서 단로기 가동전극으로 슬라이딩 운동을 하면서 전류를 흐르게 하는 슬라이딩 콘텍터;
    를 포함하며,
    상기 튜립콘텍터의 외부에는 상기 단로기 가동전극이 상기 튜립콘텍터와 접촉될 수 있도록 튜립콘텍터를 안쪽으로 오므라들게 하는 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로기 연동형 절연하우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회로와 단로기는 단일의 절연로드로 연동되며, 진공밸브와 단로기가 일직선상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로기 연동형 절연하우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밸브의 하부 끝단에는 주회로가 개방된 상태에서 진공밸브가 자폐력에 의하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팽창스프링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로기 연동형 절연하우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립콘텍터의 내부에는 튜립콘텍터가 일정치수 이상 오므라지지 않도록 유지시키는 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로기 연동형 절연하우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립콘텍터와 단로기 가동전극 사이에는 단로기가 투입 및 개방될 수 있도록 단로기 접촉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로기 연동형 절연하우징.
  7. 하우징 본체의 내부 상측에 진공밸브가 설치되는 주회로와 상기 주회로의 하부에 설치되는 단로기를 포함하고,
    상기 단로기는,
    상기 진공밸브의 하부에 구비되는 단로기 고정전극;
    상기 단로기 고정전극의 하부에 진공밸브와 분리되게 설치되어 상,하 슬라이드되는 단로기 가동전극;
    상기 단로기 가동전극의 외부에 설치되는 튜립콘텍터; 및
    상기 단로기 가동전극의 중심부에 설치되어 2차측 도체에서 단로기 가동전극으로 슬라이딩 운동을 하면서 전류를 흐르게 하는 슬라이딩 콘텍터;
    를 포함하며,
    상기 튜립콘텍터의 외부에는 상기 단로기 가동전극이 상기 튜립콘텍터와 접촉될 수 있도록 튜립콘텍터를 안쪽으로 오므라들게 하는 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로기 연동형 절연하우징.
  8. 삭제
KR1020170059436A 2017-05-12 2017-05-12 단로기 연동형 절연하우징 KR101898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436A KR101898002B1 (ko) 2017-05-12 2017-05-12 단로기 연동형 절연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436A KR101898002B1 (ko) 2017-05-12 2017-05-12 단로기 연동형 절연하우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8002B1 true KR101898002B1 (ko) 2018-09-13

Family

ID=63593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9436A KR101898002B1 (ko) 2017-05-12 2017-05-12 단로기 연동형 절연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800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59190A (zh) * 2019-02-19 2019-04-19 宁波天安智能电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内置隔离的真空灭弧室装置及真空断路器
KR101966602B1 (ko) 2018-12-05 2019-08-13 (주)이플전기 단로부 및 진공밸브 연동형 절연하우징
KR102343887B1 (ko) 2021-04-02 2021-12-24 김창수 분리형 이중 축을 가진 단로기 연동 절연 하우징
KR20220048627A (ko) 2020-10-13 2022-04-20 주식회사 비츠로이엠 단로기가 연동되는 개폐기의 조작 기구
KR102504545B1 (ko) 2021-10-18 2023-03-02 주식회사 평일 보조 접점 내장형 절연모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7179A (ja) * 2001-06-20 2003-01-10 Mitsubishi Electric Corp 真空バルブ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力用開閉装置
KR100718494B1 (ko) 2006-03-20 2007-05-16 동우전기공업(주) 가공용 폴리머 절연 부하개폐기
KR20110013371A (ko) * 2008-04-24 2011-02-09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에이이 파워시스템즈 진공차단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7179A (ja) * 2001-06-20 2003-01-10 Mitsubishi Electric Corp 真空バルブ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力用開閉装置
KR100718494B1 (ko) 2006-03-20 2007-05-16 동우전기공업(주) 가공용 폴리머 절연 부하개폐기
KR20110013371A (ko) * 2008-04-24 2011-02-09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에이이 파워시스템즈 진공차단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602B1 (ko) 2018-12-05 2019-08-13 (주)이플전기 단로부 및 진공밸브 연동형 절연하우징
CN109659190A (zh) * 2019-02-19 2019-04-19 宁波天安智能电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内置隔离的真空灭弧室装置及真空断路器
CN109659190B (zh) * 2019-02-19 2024-04-19 宁波天安智能电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内置隔离的真空灭弧室装置及真空断路器
KR20220048627A (ko) 2020-10-13 2022-04-20 주식회사 비츠로이엠 단로기가 연동되는 개폐기의 조작 기구
KR102343887B1 (ko) 2021-04-02 2021-12-24 김창수 분리형 이중 축을 가진 단로기 연동 절연 하우징
KR102504545B1 (ko) 2021-10-18 2023-03-02 주식회사 평일 보조 접점 내장형 절연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8002B1 (ko) 단로기 연동형 절연하우징
KR101984197B1 (ko) 복합절연 개폐회로
KR101857143B1 (ko) 단로기 연동조작형 진공부하개폐기
US11430615B2 (en) Multiple hammer blow vacuum interrupter weld breaking
CN110462774A (zh) 真空开关
CN101136290A (zh) 一种40.5kV六氟化硫断路器的灭弧室
RU2458425C2 (ru) Высоковольтный выключатель с функцией разъединителя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выключателем
KR20160021663A (ko) 진공차단기의 진공인터럽터
KR20170015332A (ko) 각각의 폴의 부싱 상단들에 걸쳐 접속된 서지 어레스터를 갖는 데드 탱크형 회로 차단기
KR102150857B1 (ko) 개폐기의 절연차단구조
US9076602B2 (en) Electrical isolator
KR20190006200A (ko) 접지 부착형 단로기 연동 조작기
KR102503833B1 (ko) 진공 밸브 연동형 절연 하우징
KR20180104984A (ko) 접지 부착형 단로기 연동 조작기
KR102504545B1 (ko) 보조 접점 내장형 절연모듈
KR101874447B1 (ko) 개폐장치가 구비된 접속재
KR102469510B1 (ko) 차단기
KR102343887B1 (ko) 분리형 이중 축을 가진 단로기 연동 절연 하우징
RU2498439C1 (ru) Баковый вакуумный выключатель
EP4227968A1 (en) Fast earthing switch for interrupting non-short-circuit currents
KR20150010369A (ko) 충전전류 개폐시 개폐성능을 향상시킨 단로기
Agarwal Vacuum interrupter applications in electrical power systems
KR20240069079A (ko) 접지개폐장치
KR101831850B1 (ko) 25.8kv 바이패스 가변 내장형 부하 개폐기
KR20230099135A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고속 접지 스위치 및 이를 갖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