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6496B1 - 당화혈색소 센서스트립, 당화혈색소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당화혈색소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당화혈색소 센서스트립, 당화혈색소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당화혈색소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6496B1
KR101896496B1 KR1020110133548A KR20110133548A KR101896496B1 KR 101896496 B1 KR101896496 B1 KR 101896496B1 KR 1020110133548 A KR1020110133548 A KR 1020110133548A KR 20110133548 A KR20110133548 A KR 20110133548A KR 101896496 B1 KR101896496 B1 KR 101896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moglobin
glycated hemoglobin
reflectance
measuring
s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3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6841A (ko
Inventor
이중진
정소희
Original Assignee
(주)미코바이오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코바이오메드 filed Critical (주)미코바이오메드
Priority to KR1020110133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6496B1/ko
Publication of KR20130066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6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01N27/327Biochemical electrodes, e.g. electrical or mechanical details for in vitro measurements
    • G01N27/3271Amperometric enzyme electrodes for analytes in body fluids, e.g. glucose in blood
    • G01N27/3272Test elements therefor, i.e. disposable laminated substrates with electrodes, reagent and chann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68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chemical or electrochemical methods, e.g. by polarograph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01N27/327Biochemical electrodes, e.g. electrical or mechanical details for in vitro measurements
    • G01N27/3271Amperometric enzyme electrodes for analytes in body fluids, e.g. glucose in blood
    • G01N27/3274Corrective measures, e.g. error detection, compensation for temperature or hematocrit, calib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Bloo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6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blood sugars, e.g. galactose

Abstract

본 발명은 당화혈색소 측정을 위한 센서스트립, 당화혈색소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당화혈색소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화학 방식을 이용할 수 있는 전극과 전기화학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나노입자가 포함된 당화혈색소 센서스트립, 당화혈색소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당화혈색소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당화혈색소 센서스트립에 있어서; 총 혈색소, 당화혈색소 및 당화혈색소를 제외한 혈색소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창이 형성된 제 1 스트립 부재; 상기 제 1 스트립 부재 하부에 배치되는 콘쥬게이션 패드; 상기 콘쥬게이션 패드를 지지하기 위한 기판; 상기 기판에 관통 배치되며, 상기 콘쥬게이션 패드와 접촉하여 전기화학적 신호를 인식하기 위한 전극; 및 상기 전극이 관통하며, 상기 제 1 스트립 부재와 결합하는 제 2 스트립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센서스트립, 상기 센서스트립을 이용한 당화혈색소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당화혈색소 측정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당화혈색소 센서스트립, 당화혈색소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당화혈색소 측정방법{GLYCOSYLATED HEMOGLOBIN SENSOR STRIP, GLYCOSYLATED HEMOGLOBIN MEASUREMENT DEVICE AND METHOD FOR GLYCOSYLATED HEMOGLOBIN MEASUREMENT}
본 발명은 당화혈색소 측정을 위한 센서스트립, 당화혈색소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당화혈색소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화학 방식을 이용할 수 있는 전극과 전기화학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나노입자가 포함된 당화혈색소 센서스트립, 당화혈색소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당화혈색소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적혈구에는 혈색소라고 하는 산소 운반에 필요한 단백질이 들어있다. 혈액 속에 혈당이 상승하면 혈액내의 포도당의 일부가 혈색소에 결합된다. 이렇게 포도당(혈당)과 결합된 혈색소를 당화혈색소라고 하며, 헤모글로빈 에이원씨(HbA1c)라고도 부른다.
정상 적혈구의 수명은 약 120일 정도이며, 우리 몸안에서는 매일 일부의 적혈구가 파괴되며, 이 파괴된 양과 비슷한 양의 적혈구가 생성되어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게 된다. 그런데, 혈당과 결합되어 당화혈색소가 만들어지면 그 적혈구 수명이 다 되어 분해될 때까지 당화혈색소를 가지게 된다.
혈당검사는 매일 매일 피속의 당분이 얼마만큼 있는가를 체크하는 검사인 반면에, 당화혈색소 검사는 평균 120일간의 혈당치를 반영한다.
그리고, 혈당검사의 경우 공복시의 혈당치를 검사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8시간 이상 금식해야 하며, 식후 혈당치를 검사하기 위해서는 보통 식사 2시간 정도 지나서 채혈하여 검사해야하지만, 당화혈색소 검사는 식사 시간과 무관하게 채혈하여 검사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당화혈색소 검사는 비교적 장기간의 혈당치를 반영하므로, 최근 수개월 동안 당뇨병이 치료에 의해서 잘 관리가 되고 있는지 등을 알 수 있는 지표로 이용된다. 즉, 당뇨병의 치료 목표는 합병증을 방지하기 위해서 정상 혈당을 유지하는 것이며, 당뇨병 관리가 잘 이루어지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빈번한 혈당 측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혈당을 자주 측정하는 것은 번거로운 일이므로 혈당을 자주 측정할 수 없는 경우나, 자주 측정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 당화혈색소 검사를 이용하면 한번 측정으로 비교적 장기간의 혈당 평균치를 알 수 있으므로, 혈당 조절이 잘되고 있는지를 쉽게 알 수 있게 된다.
종래기술에서는 한번 측정으로 비교적 장기간의 혈당치를 손쉽고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는 면역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한 당화혈색소 측정을 해왔었다. 하지만 당화혈색소 측정을 위해서는 병원의 임상병리실을 이용하거나 고가의 장비를 이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기존의 간단한 당화혈색소 측정의 방법에서는 사람마다 다른 헤마토크릿으로 인해서 그 측정 결과치를 바로 사용할 수 없었으며, 정확한 당화혈색소를 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크로마토그래피 방식에서는 시료가 흐르는 시점을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시료가 스트립에 제대로 로딩되었는지 여부와 시료의 양이 부족한지의 여부를 파악할 수 없어 측정 결과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총 혈색소에서 당화혈색소가 제거된 혈색소를 뺀 값으로 당화혈색소를 결정하여 당화혈색소의 측정오차를 줄이는 방법이 행해져 왔으나, 이 방법만으로는 정확한 당화혈색소를 구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전기화학 반응물질인 나노 입자와 전극을 이용하는 당화혈색소 센서스트립 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당화혈색소 센서스트립을 이용하여 당화혈색소를 측정하는 당화혈색소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확한 당화혈색소 측정을 위해 총 혈색소, 당화혈색소 및 당화혈색소를 제외한 혈색소를 각각 측정하여 당화혈색소값과 총 혈색소에서 당화혈색소를 제외한 혈색소를 뺀 값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당화혈색소를 측정하는 당화혈색소 측정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학적으로 측정된 반사율을 헤마토크릿에 따라 보정하여 사람마다 다른 헤마토크릿에 관계없이 정확한 당화혈색소를 얻는 당화혈색소 측정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당화혈색소 센서스트립에 있어서; 총 혈색소, 당화혈색소 및 당화혈색소를 제외한 혈색소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창이 형성된 제 1 스트립 부재; 상기 제 1 스트립 부재 하부에 배치되는 콘쥬게이션 패드; 상기 콘쥬게이션 패드를 지지하기 위한 기판; 상기 기판에 관통 배치되며, 상기 콘쥬게이션 패드와 접촉하여 전기화학 반응을 인식하기 위한 전극; 및 관통홀이 존재하며, 상기 제 1 스트립 부재와 결합하는 제 2 스트립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센서스트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측정창은 총 혈색소를 측정하기 위한 제 1 측정창; 당화혈색소를 측정하기 위한 제 2 측정창; 및 당화혈색소를 제외한 혈색소를 측정하기 위한 제 3 측정창;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콘쥬게이션 패드는 전기화학 반응을 유도하기 위한 나노입자가 포함된 시약이 처리된 제 1 콘쥬게이션 패드; 상기 당화혈색소와 선택적 결합을 하기 위한 당화혈색소 항체가 처리된 제 2 콘쥬게이션 패드; 및 상기 당화혈색소를 제외한 혈색소와 결합을 하기 위한 제 2 차 항체가 처리된 제 3 콘쥬게이션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극은 상기 제 1 콘쥬게이션 패드에서 발생하는 전기화학 반응을 인식하기 위한 제 1 전극; 상기 전극은 상기 제 2 콘쥬게이션 패드에서 발생하는 전기화학 반응을 인식하기 위한 제 2 전극; 상기 전극은 상기 제 3 콘쥬게이션 패드에서 발생하는 전기화학 반응을 인식하기 위한 제 3 전극;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당화혈색소 센서스트립; 상기 당화혈색소 센서스트립의 전극으로부터 전기화학적 신호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단자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측정부; 상기 측정창을 통해 반사율을 측정하기 위한 수광부와 발광부를 포함하는 광학측정부; 및 상기 전기화학 측정부와 상기 광학측정부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당화혈색소를 계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당화혈색소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화학 측정부를 통해 상기 시료의 로딩 시점을 측정하여 시료 부족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결과 시료가 부족한 경우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 판단결과 시료가 부족하지 않은 경우 광학측정부를 통해 당화혈색소와 당화혈색소를 제외한 혈색소의 반사율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제 1 측정창에서 측정한 총 혈색소의 반사율값에서 제 3 측정창에서 측정한 당화혈색소를 제외한 혈색소의 반사율값을 뺀 값과 제 2 측정창에 서 측정한 당화혈색소의 반사율값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당화혈색소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화학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시료의 로딩시점을 이용하여 헤마토크릿보정팩터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헤마토크릿보정팩터를 적용하여 보정된 당화혈색소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출력된 에러 메시지와 상기 헤마토크릿이 보정된 당화혈색소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당화혈색소 측정장치를 이용한 당화혈색소 측정방법에 있어서, 제 1 측정창에서 광학측정을 통해서 총 혈색소의 반사율을 측정하는 S1 단계; 상기 제 1 측정창에서 제 1 전극을 통해서 시료의 로딩시점을 인식하는 S2 단계; 제 2 측정창에서 제 2 전극을 통해서 시료의 로딩시점을 인식하는 S3 단계; 제 3 측정창에서 제 3 전극을 통해서 시료의 로딩시점을 인식하는 S4 단계; 상기 제 2 및 제 3 측정창에서 광학측정으로 당화혈색소 및 당화혈색소를 제외한 혈색소 반사율을 측정하는 S5 단계; 및 상기 측정된 반사율을 기준으로 당화혈색소를 계산하는 S6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측정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S4 단계 후 상기 S2 단계에서 상기 S3 단계까지 도달 시간이 지연허용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시료양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표시부에 시료부족에러표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S4 단계 후 상기 S2 단계에서 상기 S4 단계까지 도달 시간이 지연허용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시료양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표시부에 시료부족에러표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달 시간이 지연허용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S5 단계에서 당화혈색소 및 당화혈색소를 제외한 혈색소 반사율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S6 단계에서 당화혈색소를 계산할 때의 반사율은, 상기 S1 단계에서 측정한 총혈색소 반사율에서 상기 S5 단계에서 측정한 당화혈색소를 제외한 혈색소 반사율을 뺀 값과 상기 S5 단계에서 측정한 당화혈색소 반사율의 평균값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S6 단계는 상기 S2 단계로부터 상기 S3 및 S4 단계까지 걸린 시간에 따라 헤마토크릿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헤마토크릿을 이용하여 헤마토크릿보정팩터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헤마토크릿보정팩터로 보정후 반사율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후 반사율값을 이용하여 헤마토크릿 보정된 당화혈색소를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당화혈색소 측정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당화혈색소 센서스트립에 따르면, 전기화학 반응물질인 나노 입자와 전극을 이용하여, 시료의 적절한 로딩여부, 시료의 부족여부를 확인 할 수 있으며, 별도의 테스트 없이도 헤마토크릿을 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당화혈색소 측정장치에 따르면, 시료의 헤마토크릿을 전기화학 반응을 통해서 인식하여 헤마토크릿 영향을 보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당화혈색소 측정방법에 따르면, 상기 당화혈색소 측정장치에서 구해진 헤마토크릿을 이용하여 헤마토크릿 보정된 정확한 당화혈색소를 측정할 수 있게 되며, 총 혈색소, 당화혈색소 및 당화혈색소를 제외한 혈색소를 각각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당화혈색소의 값을 도출해 내는바, 검출 측정시 오차를 최대한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당화혈색소 센서스트립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당화혈색소 센서스트립의 측정장치이다.
도 3a 내지 3e는 본 발명에 의한 당화혈색소 센서스트립의 동작과정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당화혈색소 측정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당화혈색소 센서스트립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당화혈색소 센서스트립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빨간색 화살표는 시료의 흐름을 표시하는 것으로, 시료가 샘플패드(4)로 로딩되어서 흡수패드(8)에 의해서 화살표 방향으로 진행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당화혈색소 센서스트립(100)은 제 1, 제 2 및 제 3 측정창(1, 2, 3)을 포함하는 제 1 스트립 부재(200), 시료가 로딩되는 부분인 샘플패드(4), 제 1, 제 2 및 제 3 콘쥬게이션 패드(5, 6, 7), 시료의 흐름을 유도하는 흡수패드(8)가 기판(9)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기판(9)상에는 전기화학 반응을 인식하기 위한 제 1, 제 2 및 제 3 전극(11, 12, 13)이 상기 기판(9)을 관통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기판(9)의 하부에 스트립을 지지하기 위한 제 2 스트립 부재(300)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스트립 부재(200)는 기판(9)상에 배치된 패드들(4, 5, 6, 7, 8)을 보호하는 기능을 하며 당화혈색소 센서스트립(100)을 구성하기 위해 제 2 스트립 부재(300)와 결합한다. 스트립 부재들(200, 300)은 플라스틱 재질이나 강화플라스틱 등 다양한 형태의 재료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혈색소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창을 포함하고 있으며, 측정창은 하나일 수도 있으며, 복수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각각의 혈색소를 측정하기 위해 제 1 , 제 2 및 제 3 측정창(1, 2, 3)을 포함하고 있다. 각각의 측정창에 대응하여 콘쥬게이션 패드들이 배치되며, 그 수는 측정창의 수에 따라 결정된다.
제 1 측정창(1)은 시료의 총 혈색소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제 1 콘쥬게이션 패드(5)와 대응하는 부분에 배치된다. 제 2 측정창(2)은 당화혈색소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제 2 콘쥬게이션 패드(6)와 대응하는 부분에 배치된다. 제 3 측정창(3)은 당화혈색소를 제외한 혈색소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제 3 콘쥬게이션 패드(7)와 대응하는 부분에 배치된다.
기판(9)은 시료가 로딩되는 부분인 샘플패드(4)와 상기 샘플패드(4)의 하부에 상기 샘플패드(4)와 겹쳐지게 배치되는 제 1 콘쥬게이션 패드(5), 제 1 콘쥬게이션 패드(5)의 하부에 상기 제 1 콘쥬게이션 패드(5)와 겹쳐지게 배치되는 제 2 콘쥬게이션 패드(6), 상기 제 2 콘쥬게이션 패드(6)의 상부에 상기 콘쥬게이션 패드(6)와 겹쳐지게 배치되는 제 3 콘쥬게이션 패드(7), 상기 제 3 콘쥬게이션 패드(7)의 상부에 상기 제 3 콘쥬게이션 패드(7)와 겹쳐지게 배치되어 시료의 흐름을 유도하는 흡수패드(8)를 지지하며, 전기화학 반응을 인식하기 위한 제 1, 제 2 및 제 3 전극(11, 12, 13)을 포함한다. 제 1, 제 2 및 제 3 전극(11, 12, 13)은 기판(9)과 제 2 스트립 부재(300)를 관통하여 도 2에 도시된 전기화학 측정부(10)에 있는 인식단자(14, 15, 16)와 맞닿아 있다.
샘플패드(4)는 시료가 로딩되는 부분으로 시료가 로딩되면 흡수패드(8)가 친수 현상을 이용하여 시료를 흡수해주어서 시료가 제 1, 제 2, 제 3 콘쥬게이션 패드(5, 6, 7)를 통과하여 흘러 갈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샘플패드에도 후술할 시약들을 포함 할 수도 있는데, 이는 혈색소와 시약과의 결합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제 1 콘쥬게이션 패드(5)는 발색, 형광물질 등을 이용한 시약이 도포되어 있으며, 상기 시약은 전기화학 반응을 유도하기 위한 나노입자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나노입자는 금, 은, 카본 등의 금속 및 폴리머 합성에 의한 나노입자 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기화학 반응을 유도하는 것이라면 그 종류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나노입자에 당화혈색소 항체를 미리 처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제 1 콘쥬게이션 패드(5)에서 시료가 상기 시약들과 결합하여 제 2 콘쥬게이션 패드(6)로 흘러간다. 상기 시약들과 결합하게 되면, 시료가 발색 또는 형광을 띄게 되는데, 이를 이용하여 총 혈색소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해준다.
제 2 콘쥬게이션 패드(6)는 당화혈색소 항체로 처리되어 있다. 여기서 당화혈색소와 당화혈색소 항체가 선택적 결합을 하게 되고, 이것을 이용하여 시료의 당화혈색소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해준다.
제 3 콘쥬게이션 패드(7)는 당화혈색소를 제외한 혈색소의 반응 부위로 제 2차 항체(Anti-mouse lgG)로 처리되어 있으며, 여기서는 당화혈색소를 제외한 혈색소가 포집되게 되며, 당화혈색소를 제외한 혈색소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해준다.
전기화학 반응을 인식하기 위해 전극이 배치되며, 배치되는 전극은 측정창의 수에 따라서 달라지게 된다.
제 1, 제 2 및 제 3 전극(11, 12, 13)은 기판(9)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제 1 전극(11)은 제 1 콘쥬게이션 패드(5)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제 1 콘쥬게이션 패드(5)에서 발생되는 전기화학 반응을 인식하기 위한 것으로 이때 인식되는 전기화학적 신호가 시료의 로딩 시작 시점이 된다.
제 2 전극(12)은 제 2 콘쥬게이션 패드(6)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이 또한 제 2 콘쥬게이션 패드(6)에서 발생되는 전기화학 반응을 인식하기 위한 것으로 이때 인식되는 전기화학적 신호가 시료의 제 2 로딩 시점이 된다.
제 3 전극(13)은 제 3 콘쥬게이션 패드(7)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이 또한 제 3 콘쥬게이션 패드(7)에서 발생되는 전기화학 반응을 인식하기 위한 것으로 이때 인식되는 전기화학적 신호가 시료의 제 3 로딩 시점이 된다.
상술한 제 1, 제 2 및 제 3 전극(11, 12, 13)은 각각 두 개로 구성되며, 하나는 작업전극(Working Electrode)이고, 나머지는 기준전극(Counter Electrode)으로 구성된다. 작업전극은 전압이 가해지는 전극으로 실제 전기화학 반응이 일어나는 전극을 말하며, 나노입자 안에 있는 전자전달물질인 미디에이터(Mediator)가 전압을 받으면, 전자를 전극에 생성해서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전압이 가해짐으로써 발생하는 전기화학 반응은 기준전극의 전류치를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작업전극에 발생된 전류치를 구하게 되는 원리로 시료의 로딩시점을 파악하게 된다.
또한, 전극(11, 12, 13)으로는 도금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금속으로 금, 은, 탄소, 구리, ITO, Palladium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인코넬, 인바, 코바, 몰리브덴, 니켈, 텅스텐, 철 등의 금속에 금, 은, 탄소, 구리 등으로 표면을 도금 처리 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중에서 금, 은, 구리, 탄소 등의 금속을 그대로 전극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지만, 금도금 전극이 가장 권장된다.
제 2 스트립 부재(300)는 기판(9)을 사이에 두고 스트립 상판(200)과 결합된다. 여기서, 제 1 스트립 부재(200)와의 결합은 억지끼움과 같은 기계적 결합 또는 접착제를 이용한 물리적 결합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제 2 스트립 부재(300)는 도 2에 도시된 전기화학 측정부(10)에 형성된 제 1, 제 2 및 제 3 인식단자들(14, 15, 16)과 대응하는 부분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어, 전극들이 관통홀을 통해서 인식단자(14, 15, 16)들과 연결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당화혈색소 센서스트립은 전기화학 반응물질인 나노 입자와 전극을 이용하여, 시료의 적절한 로딩여부, 시료의 부족여부를 확인 할 수 있으며, 별도의 테스트 없이도 헤마토크릿을 구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당화혈색소 센서스트립의 측정장치이다.
당화혈색소 센서스트립(100)과, 상기 당화혈색소 센서스트립의 전극(11, 12, 13)들에서 발생하는 전기화학적 신호를 인식하는 인식단자(14, 15, 16)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측정부(10)와, 각각의 콘쥬게이션 패드(5, 6, 7)들에 빛을 조사하여 반사된 반사광을 측정하여 반사율을 얻는 광학측정부(20)와, 당화혈색소 측정결과 및 오류메세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500), 광학측정부(20)와 표시부(500)를 제어하고, 측정결과를 보정하기 위한 계산을 수행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전기화학 측정부(10)는 전기화학적 신호를 인식하기 위하여 제 1, 제 2 및 제 3 전극(11, 12, 13)과 대응하여 형성된 제 1, 제 2 및 제 3 인식단자(14, 15, 16)를 포함한다. 인식단자(14, 15, 16)들이 돌출 형성되어 당화혈색소 센서스트립(100)의 제 2 스트립 부재(300)의 관통홀을 통과하여 전극(11, 12, 13)들과 연결될 수도 있으며, 전극(11, 12, 13)들이 제 2 스트립 부재(300)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인식단자(14, 15, 16)들과 맞닿게 구성될 수도 있다.
광학측정부(20)는 발광부(17)와 수광부(18)로 구성되며, 당화혈색소 센서스트립(100)의 제 1, 제 2 및 제 3 측정창(1, 2, 3)의 주변에 설치된다. 발광부(17)은 빛을 조사하는 것으로, 발광다이오드(LED), 적외선 다이오드, 레이져 다이오드, 할로겐 램프 등 빛이 발생되는 것은 모두 광원으로 쓸 수 있다. 수광부(18)는 발광부(17)에서 보내온 빛을 수광하는 것으로, 포토다이오드(PD), 애벌란시 포토다이오드(APD) 등 빛을 수광하는 것은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발광부(17)에서 각각의 콘쥬게이션 패드(5, 6, 7)에 빛을 조사하고, 반사된 빛을 수광부(18)에서 측정한다. 이때, 각각의 콘쥬게이션 패드(5, 6, 7)는 발색 또는 형광 물질이 포함된 시약과 시료의 양에 따라 수광부(18)에 입사되는 반사광의 광량이 달라지게 되고, 수광부(18)는 입사된 반사광의 광량에 따라 반사율을 측정할 수 있다.
표시부(500)는 당화혈색소 측정결과 및 오류메세지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액정화면(LCD), 프린터, 음성형태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표시장치를 다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광학측정부(20), 표시부(500), 전기화학 측정부(10)를 각각 제어한다. 또한, 전기화학 측정부(10)를 통해 측정된 시료의 로딩시점을 이용하여 헤마토크릿보정팩터를 구하는 계산, 헤메토크릿보정팩터를 적용하여 헤마토크릿이 보정된 당화혈색소를 구하는 계산도 제어부(400)에서 수행한다. 당화혈색소를 구하기 위한 계산 및 헤마토크릿보정팩터 계산은 후술할 당화혈색소 측정방법에서 설명한다.
또한, 제어부(400)는 전기화학 측정부(10)의 제 1 , 제 2 및 제 3 인식단자(14, 15, 16)를 통해서 시료의 로딩 시점을 각각 측정하고, 이를 비교하여 시료 부족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시료 부족 여부 판단은 제 1 인식 단자(14)에서 인식한 시간에서부터 제 2 및 제 3 인식단자(15, 16)에서 인식한 시간을 후술한 지연허용시간과 비교한다. 지연허용시간보다 큰 경우에는 시료가 부족하거나 시료가 제대로 로딩되지 않은 경우로 표시부(500)로 시료부족에러표시를 출력하게 된다. 지연허용시간보다 작은 경우에는 시료가 제대로 로딩되었다는 것을 의미하고, 광학측정부(20)를 통해서 당화혈색소와 당화혈색소를 제외한 혈색소의 반사율을 측정하게 된다.
또한, 당화혈색소 값을 측정할 때, 제 1 측정창(1)에서 측정한 총혈색소의 반사율값에서 제 3 측정창(3)에서 측정한 당화혈색소를 제외한 혈색소의 반사율값을 뺀 값과 제 2 측정창(2)에서 측정한 당화혈색소의 반사율 값을 평균을 내는 계산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400)는 당화혈색소 측정장치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곳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당화혈색소 측정장치는 시료의 헤마토크릿을 전기화학 반응을 통해서 측정하여 헤마토크릿 영향을 보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a 내지 3e는 본 발명에 의한 당화혈색소 센서스트립의 동작과정이다. 도 3a는 샘플패드에 시료를 로딩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제 1 콘쥬게이션 패드에는 당화혈색소 항체를 포함하는 나노입자가 처리된 시약이, 제 2 콘쥬게이션 패드에는 당화혈색소 항체가, 제 3 콘쥬게이션 패드에는 2차 항체가 처리되어 있는 것을 예시적으로 표현해 주고 있다.
도 3b는 제 1 콘쥬게이션 패드에서 총 혈색소가 나노입자와 결합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기에서 나노입자와 결합된 총 혈색소를 1차로 광학측정하여 반사율을 얻는다. 또한, 결합된 나노입자로 인해서 전기화학적 신호가 발생되며, 이를 전극이 인식하여 시료의 제 1 인식시점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3c에서는 제 2 콘쥬게이션 패드에서 당화혈색소 항체와 당화혈색소가 결합하게 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있으며, 여기서도 결합된 나노입자로 인해서 전기화학적 신호가 발생되며, 이를 전극이 인식하여 시료의 제 2 인식시점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3d에서는 당화혈색소 항체와 결합된 당화혈색소가 제 2 콘쥬게이션 패드에 포집되고 남은 시료가 제 3 콘쥬게이션 패드에서 2차 항체(Anti-mouse lgG)와 결합하여 포집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여기서도 결합된 나노입자를 통해서 전기화학적 신호가 발생되고, 이를 인식하여 시료의 제 3 인식시점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3e에서는 당화혈색소와 혈색소가 모두 포집된 후의 모습을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상술한 과정을 거친 후에 제 2 측정창과 제 3 측정창에서 반사율을 광학적으로 측정하여 혈색소들의 양을 결정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제 2 측정창에서 측정되는 반사율을 통해서도 당화혈색소의 양을 구할 수 있다. 또한, 보다 정확한 측정값을 위해서, 제 1 측정창에서 측정된 총 혈색소 반사율에서 제 3 측정창에서 측정된 당화혈색소를 제외한 혈색소 반사율을 뺀 값과 제 2 측정창에서 측정된 당화혈색소 반사율을 평균값을 이용하여 당화혈색소를 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보다 정확한 당화혈색소의 정략적 분석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 표는 헤마토크릿의 변화에 따른 각각의 전극에서의 로딩시점을 실험적으로 구한 데이터이다.
Figure 112011098858600-pat00001
표 1에서 가로 항목은 헤마토크릿을 나타내며, 세로는 당화혈색소 센서스트립의 전극을 나타낸다. 시료의 헤마토크릿이 19.8%인 경우에는 시료가 제 1 전극(11)에 도달했을 때가 시간측정시작점이 되고 이를 기준으로 제 2 전극(12)에 도달했을 때의 제 2 인식시점이 4초, 제 3 전극(13)에 도달하는 제 3 인식시점이 28초가 된다.
시료의 헤마토크릿이 61.2%인 경우에는 제 2 전극(12)에 도달했을 때의 제 2 인식시점이 29초, 제 3 전극(13)에 도달하는 제 3 인식시점이 87초가 된다.
이는 시료의 헤마토크릿이 클수록 점도가 높아져서 상대적으로 시료의 흐르는 속도가 차이가 나기 때문에 상기 표와 같은 분포를 보인다.
이와 같이 시료의 각각의 전극도달 시간을 체크할 수 있는바, 이를 선형화 시킨다면, 제 2 및 제 3 인식시점만으로 시료의 헤마토크릿을 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표 1로부터 각각의 전극에서 측정되는 지연 허용시간을 구할 수 있으며, 이것을 통해서 시료부족에러표시시점을 구할 수 있게 된다. 아래표는 이것을 정략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Figure 112011098858600-pat00002
따라서 제 2 인식시점이 30초 이상이 되거나, 제 3 인식시점이 88초 이상이 되는 경우는 시료의 양이 부족하거나 시료가 제대로 로딩이 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에는 에러메세지를 표시해주는 줄 수 있어서 사용자의 측정오류를 방지 할 수 있으며, 제 2 및 제 3 측정창(2, 3)에서의 반사율 측정은 상기 에러메세지가 없는 경우에만 수행하게 하여, 부정확한 측정을 사전에 방지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당화혈색소 측정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우선 시료가 샘플패드(4)에 로딩이 된다. 그런 다음 흡수패드(8)에 의해서 시료가 제 1 콘쥬게이션 패드(5)쪽으로 이동을 하게 되며, 당화혈색소 항체가 결합된 나노입자로 처리된 시약을 포함하는 제 1 콘쥬게이션 패드(5)를 지나게 되고, 여기에서 시료와 나노입자가 결합을 하게 된다.(S100)
다음으로, 제어부(400)에서 광학측정부(20)에 신호를 보내서 반사율을 측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시약들에는 발색 또는 형광물질을 포함하고 있어서, 이를 이용하여 광학측정부의 발광부(17)에서 제 1 콘쥬게이션 패드(5)로 빛을 조사하고 반사된 빛을 수광부(18)에서 받아 들여 반사율을 측정하게 된다. 여기서 측정된 반사율을 통해서 총 혈색소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S110)
그다음, 나노입자에 의한 전기화학 반응을 제 1 전극(11)에서 인식하여 이 신호를 제 1 인식단자(14)로 보내게 된다. 여기서 측정된 시간이 시료의 제 1 인식시점이 되는데, 이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다음에 나올 제 2 인식시점과 제 3 인식시점을 비교하여 헤마토크릿을 구할 수 있으며, 시료양의 부족이나, 시료가 제대로 로딩 되었는지를 확인 할 수 있게 된다.(S120)
다음으로 시약들과 결합된 혈색소들이 제 2 콘쥬게이션 패드(6)를 지나게 되고, 제 2 콘쥬게이션 패드(6)에는 당화혈색소 항체로 처리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시료의 당화혈색소와 당화혈색소 항체가 선택적 결합하게 되어 포집하게 된다.(S130)
그리고 제 2 전극(12)에서도 제 1 전극(11)에서와 같은 원리로 시료의 제 2 인식시점을 파악하게 된다.(S140)
다음으로 제 3 콘쥬게이션 패드(7)에서는 2차 항체로 처리되어 있으며, 여기에서는 당화혈색소를 제외한 혈색소를 포집하게 된다.(S150)
제 3 전극(13)에서도 제 1 전극(11)에서와 같은 원리로 다시 시료의 제 3 인식시점을 파악하게 된다.(S160)
그다음, 제어부(400)에서 인식시점을 비교하는 단계(S170)로 제 1 인식시점에서부터 제 2 및 제 3 인식시점까지의 시간이 지연허용시간보다 큰 경우(S170:Y)에는 표시부(500)에 시료부족에러표시를 출력하게 된다.(S180)
제 1 인식시점에서부터 제 2 및 제 3 인식시점까지의 시간이 지연허용시간보다 작은 경우(S170:N)에는, 제 2 및 제 3 측정창(2, 3)의 발광부(17)에서 제 2 및 제 3 콘쥬게이션 패드(6, 7)에 빛을 조사하여 각각의 수광부(18)로 반사된 빛을 인식하여 반사율을 측정하게 된다.(S190)
당화혈색소의 반사율은 제 2 측정창(2)에서 측정된 반사율값을 쓸 수도 있지만 보다 정확한 계산을 위해서, 제 1 측정창(1)에서 측정된 총혈색소의 반사율값에서 제 3 측정창(3)에서 측정된 당화혈색소를 제외한 혈색소의 반사율값을 뺀 값과 제 2 측정창(2)에서 측정된 반사율값의 평균값을 제어부(400)에서 계산하여 이를 측정 반사율값으로 한다.(S200)
또한, 시료의 헤마토크릿에 따라 측정되는 반사율 값이 상이한바, 측정된 반사율을 이용하여 당화혈색소를 바로 구하는 것은 다소 부정확하다. 이에 이를 보정해 주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해야 하는데, 표 3은 헤마토크릿별로 반사율을 측정하여 이를 기준으로 당화혈색소를 구한 실험데이터이다.
Figure 112011098858600-pat00003
표 3에서 가로는 헤마토크릿이고, 세로는 당화혈색소를 의미한다. 헤마토크릿이 42.3% 일 때를 기준으로 하면, 반사율 변화에 따른 당화혈색소 값은 다음과 같은 수학식1으로 정리가 된다.
Figure 112011098858600-pat00004
헤마토크릿이 19.8% 일 때는 점도가 묽은 상태이기 때문에 기준치인 42.3%일때 보다 반사율 수치가 더 커지게 된다. 따라서 이를 기준치와 비교해 보면, 당화혈색소가 1%일 경우에는 반사율이 91%가 되고, 당화혈색소가 13%일 경우에는 반사율이 28,7%가 된다. 당화혈색소가 1~13%일 때의 반사율값을 각각 측정하였으며, 기준치인 헤마토크릿이 42.3%일 때의 반사율에서 헤마토크릿이 19.8%일 때의 반사율을 각각 빼서 그 차이의 평균치가 -9.8이 됨을 확인 하였다.
헤마토크릿이 61.2% 일 때는 점도가 큰 상태이기 때문에 기준치인 42.3%일 때보다 반사율 수치가 더 작아지게 된다. 당화혈색소가 1~13%일 때의 반사율값을 각각 측정하였으며, 기준치인 헤마토크릿이 42.3%일 때의 반사율에서 헤마토크릿이 61.2%일 때의 반사율을 각각 빼서 그 차이의 평균치가 +10.2가 됨을 확인 하였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헤마토크릿이 31,5%일 때는 반사율 차이가 평균 -4.8이 되고, 헤마토크릿이 49.8%일 때는 +5.0이 된다.
이를 선형화시켜서 표현해 보면 다음과 같은 수학식2로 표현된다.
Figure 112011098858600-pat00005
따라서 이 헤마토크릿보정팩터를 통해서 헤마토크릿 비율에 무관하게 쓸 수 있는 반사율을 제어부(400)를 통해서 구할 수 있게 된다. 이 보정된 반사율값을 수학식2에 적용하게 되면 정확한 당화혈색소를 구할 수 있게 된다.(S210)
그다음으로 헤마토크릿보정팩터와 보정전 반사율을 곱하여 보정후 반사율을 구해야 한다. 보정후 반사율을 구하는 수학식3은 다음과 같다.(S220)
Figure 112011098858600-pat00006
그다음으로 헤마토크릿 보정된 당화혈색소를 구하는 단계로, 수학식4를 이용해서 구하면 된다.
Figure 112011098858600-pat00007
상술한 수학식4를 제어부(400)에서 계산하여 적용하면 한번의 테스트로 헤마토크릿의 비율에 무관하게 정확한 당화혈색소의 수치를 구할 수 있게 된다.(S230)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당화혈색소 측정방법은, 상기 당화혈색소 측정장치에서 구해진 헤마토크릿을 이용하여 헤마토크릿 보정된 정확한 당화혈색소를 측정할 수 있게 되며, 총 혈색소, 당화혈색소 및 당화혈색소를 제외한 혈색소를 각각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당화혈색소의 값을 도출해 내는바, 검출 측정시 오차를 최대한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제 1 측정창 2: 제 2 측정창
3: 제 3 측정창 4: 샘플패드
5: 제 1 콘쥬게이션 패드 6: 제 2 콘쥬게이션 패드
7: 제 3 콘쥬게이션 패드 8: 흡수패드
9: 기판 10:전기화학 측정부
11: 제 1 전극 12: 제 2 전극
13: 제 3 전극 14: 제 1 인식단자
15: 제 2 인식단자 16: 제 3 인식단자
17: 발광부 18: 수광부
20: 광학측정부 100: 당화혈색소 센서스트립
200: 제 1 스트립 부재 300: 제 2 스트립 부재
400: 제어부 500: 표시부

Claims (18)

  1. 당화혈색소 센서스트립에 있어서;
    총 혈색소, 당화혈색소 및 당화혈색소를 제외한 혈색소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창이 형성된 제 1 스트립 부재;
    상기 제 1 스트립 부재 하부에 배치되는 콘쥬게이션 패드;
    상기 콘쥬게이션 패드를 지지하기 위한 기판;
    상기 기판에 관통 배치되며, 상기 콘쥬게이션 패드와 접촉하여 전기화학 반응을 인식하기 위한 전극; 및
    관통홀이 존재하며, 상기 제 1 스트립 부재와 결합하는 제 2 스트립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콘쥬게이션 패드는
    상기 총 혈색소와 결합되어 전기화학 반응을 유도하기 위한 나노입자가 포함된 시약이 처리된 제 1 콘쥬게이션 패드;
    상기 당화혈색소와 선택적 결합을 하기 위한 당화혈색소 항체가 처리된 제 2 콘쥬게이션 패드; 및
    상기 당화혈색소를 제외한 혈색소와 결합을 하기 위한 제 2 차 항체가 처리된 제 3 콘쥬게이션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센서스트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창은 총 혈색소를 측정하기 위한 제 1 측정창;
    당화혈색소를 측정하기 위한 제 2 측정창; 및
    당화혈색소를 제외한 혈색소를 측정하기 위한 제 3 측정창;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센서스트립.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상기 제 1 콘쥬게이션 패드에서 발생하는 전기화학 반응을 인식하기 위한 제 1 전극;
    상기 전극은 상기 제 2 콘쥬게이션 패드에서 발생하는 전기화학 반응을 인식하기 위한 제 2 전극;
    상기 전극은 상기 제 3 콘쥬게이션 패드에서 발생하는 전기화학 반응을 인식하기 위한 제 3 전극;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센서스트립.
  5. 제 1 항, 제 2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당화혈색소 센서스트립;
    상기 당화혈색소 센서스트립의 전극으로부터 전기화학적 신호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단자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측정부;
    상기 측정창을 통해 반사율을 측정하기 위한 수광부와 발광부를 포함하는 광학측정부; 및
    상기 전기화학 측정부와 상기 광학측정부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당화혈색소를 계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당화혈색소 측정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화학 측정부를 통해 시료의 로딩 시점을 측정하여 시료 부족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측정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결과 시료가 부족한 경우 표시부에 시료부족에러표시를 출력하고, 상기 판단결과 시료가 부족하지 않은 경우 광학측정부를 통해 당화혈색소와 당화혈색소를 제외한 혈색소의 반사율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측정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 1 측정창에서 측정한 총 혈색소의 반사율값에서 제 3 측정창에서 측정한 당화혈색소를 제외한 혈색소의 반사율값을 뺀 값과 제 2 측정창에 서 측정한 당화혈색소의 반사율값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당화혈색소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측정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화학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시료의 로딩시점을 이용하여 헤마토크릿보정팩터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측정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헤마토크릿보정팩터를 적용하여 보정된 당화혈색소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측정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된 에러 메시지와 상기 헤마토크릿이 보정된 당화혈색소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측정장치.
  12. 제 11 항의 당화혈색소 측정장치를 이용한 당화혈색소 측정방법에 있어서,
    제 1 측정창에서 광학측정을 통해서 총 혈색소의 반사율을 측정하는 S1 단계;
    상기 제 1 측정창에서 제 1 전극을 통해서 시료의 로딩시점을 인식하는 S2 단계;
    제 2 측정창에서 제 2 전극을 통해서 시료의 로딩시점을 인식하는 S3 단계;
    제 3 측정창에서 제 3 전극을 통해서 시료의 로딩시점을 인식하는 S4 단계;
    상기 제 2 및 제 3 측정창에서 광학측정으로 당화혈색소 및 당화혈색소를 제외한 혈색소 반사율을 측정하는 S5 단계; 및
    상기 측정된 반사율을 기준으로 당화혈색소를 계산하는 S6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측정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S4 단계 후 상기 S2 단계에서 상기 S3 단계까지 도달 시간이 지연허용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시료양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표시부에 시료부족에러표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측정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S4 단계 후 상기 S2 단계에서 상기 S4 단계까지 도달 시간이 지연허용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시료양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표시부에 시료부족에러표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측정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도달 시간이 지연허용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S5 단계에서 당화혈색소 및 당화혈색소를 제외한 혈색소 반사율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측정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도달 시간이 지연허용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S5 단계에서 당화혈색소 및 당화혈색소를 제외한 혈색소 반사율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측정방법.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S6 단계에서 당화혈색소를 계산할 때의 반사율은, 상기 S1 단계에서 측정한 총혈색소 반사율에서 상기 S5 단계에서 측정한 당화혈색소를 제외한 혈색소 반사율을 뺀 값과 상기 S5 단계에서 측정한 당화혈색소 반사율의 평균값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측정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S6 단계는 상기 S2 단계로부터 상기 S3 및 S4 단계까지 걸린 시간에 따라 헤마토크릿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헤마토크릿을 이용하여 헤마토크릿보정팩터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헤마토크릿보정팩터로 보정후 반사율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후 반사율값을 이용하여 헤마토크릿 보정된 당화혈색소를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당화혈색소 측정방법.
KR1020110133548A 2011-12-13 2011-12-13 당화혈색소 센서스트립, 당화혈색소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당화혈색소 측정방법 KR101896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3548A KR101896496B1 (ko) 2011-12-13 2011-12-13 당화혈색소 센서스트립, 당화혈색소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당화혈색소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3548A KR101896496B1 (ko) 2011-12-13 2011-12-13 당화혈색소 센서스트립, 당화혈색소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당화혈색소 측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6841A KR20130066841A (ko) 2013-06-21
KR101896496B1 true KR101896496B1 (ko) 2018-09-11

Family

ID=48862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3548A KR101896496B1 (ko) 2011-12-13 2011-12-13 당화혈색소 센서스트립, 당화혈색소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당화혈색소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64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0198B1 (ko) 2022-02-21 2022-12-23 주식회사 레오바이오 당화혈색소 측정 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572B1 (ko) * 2014-05-02 2017-03-31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화학적 활성을 나타내는 나노입자를 이용한 당화혈색소 측정용 바이오센서
US10436773B2 (en) 2016-01-18 2019-10-08 Jana Care, Inc. Mobile device based multi-analyte testing analyzer for use in medical diagnostic monitoring and screening
KR102042749B1 (ko) * 2017-06-02 2019-11-27 주식회사 비바이오 센서 스트립 및 이를 이용한 생체 물질 측정 장치
US20190232287A1 (en) * 2018-01-30 2019-08-01 Teco Diagnostics Biomedical measur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measuring analyte concentration
US11536732B2 (en) 2020-03-13 2022-12-27 Jana Care,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measuring biomarkers in biological fluids
US11747348B2 (en) 2021-09-29 2023-09-05 Orange Biomed Ltd., Co. Apparatus for measuring glycation of red blood cells and glycated hemoglobin level using physical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cells, and related methods
KR102439474B1 (ko) * 2021-09-29 2022-09-02 주식회사 오렌지바이오메드 물리적·전기적 특성을 이용한 적혈구의 당화 측정과 이를 이용한 당화혈색소 수치 측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US11852577B2 (en) 2021-09-29 2023-12-26 Orange Biomed Ltd., Co. Apparatus for measuring properties of particles in a solution and relate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6792A (ko) * 2001-02-13 2002-08-21 주식회사 바이오다이아텍 면역크로마토그라피법을 이용한 당뇨 신속 진단 킷트 및분석 방법
US7300802B2 (en) * 2003-04-25 2007-11-27 Biodigit Laboratories Corp. Membrane strip biosensor system for point-of-care testing
KR100602952B1 (ko) * 2004-07-26 2006-07-24 주식회사 인포피아 면역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한 당화혈색소 측정센서
KR20090107165A (ko) * 2008-04-08 2009-10-13 주식회사 올메디쿠스 당화혈색소 측정용 바이오센서
KR101077104B1 (ko) * 2009-07-06 2011-10-26 주식회사 올메디쿠스 진단스트립 및 이의 측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0198B1 (ko) 2022-02-21 2022-12-23 주식회사 레오바이오 당화혈색소 측정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6841A (ko) 2013-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6496B1 (ko) 당화혈색소 센서스트립, 당화혈색소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당화혈색소 측정방법
US20200271615A1 (en) Biosensor Systems for Determining Analyte Concentration Based On Complex Index Functions
US10921278B2 (en) Slope-based compensation including secondary output signals
US10646445B2 (en) Analysis compensation including segmented signals converted into signal processing parameters for describing a portion of total error
RU2546012C2 (ru) Компенсация на основе наклона
US7477404B2 (en) Method for analyzing a sample on a test element and analysis system for same
JP2011506966A5 (ko)
JP2005513498A (ja) 試料・検体とは無関係の光強度変化を考慮して検体濃度を決定するための分析システム
TWI681189B (zh) 分析物濃度決定之系統誤差補償
EP3276355A1 (en) Normalized calibration of analyte concentration determinations
EP3295159B1 (en) Improved biosensor system analyte measurement
JP4115438B2 (ja) 分析素子用の内在コントロール
EP2972398B1 (en) Progressive approximation of sample analyte concentration
EP3501652A1 (en) Tes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