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6416B1 - 요변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 및 보강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요변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 및 보강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6416B1
KR101896416B1 KR1020180057279A KR20180057279A KR101896416B1 KR 101896416 B1 KR101896416 B1 KR 101896416B1 KR 1020180057279 A KR1020180057279 A KR 1020180057279A KR 20180057279 A KR20180057279 A KR 20180057279A KR 101896416 B1 KR101896416 B1 KR 101896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ent
weight
mixture
mortar composition
waterproof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7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칠
윤경준
설재숙
강문구
Original Assignee
씨엘엠테크(주)
씨엘엠건설(주)
설재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엘엠테크(주), 씨엘엠건설(주), 설재숙 filed Critical 씨엘엠테크(주)
Priority to KR1020180057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64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8Acids or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16/06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 C04B16/0616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16/0641Polyvinylalcohols; Polyvinylacet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6Combustion residues, e.g. purification products of smoke, fumes or exhaust gases
    • C04B18/08Flue dust, i.e. fly as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08Cement and like inorganic materials added as expanding or shrinkage compensating ingredients in mortar or concrete compositions, the expansion being the result of a recrystall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23Polyvinylalcohols; Polyvinylacet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0068Ingredients with a function or property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03/00
    • C04B2103/0085Thixotrop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0068Ingredients with a function or property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03/00
    • C04B2103/0088Compounds chosen for their latent hydraulic characteristics, e.g. pozzuol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72Repairing or restoring existing buildings or building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변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 및 보강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요변제와 스타치계 증점활성보조제를 활용하여 온냉반복 후 부착강도를 향상시키고, 시공단면에 강하게 접착되며 흙손등의 마감 도구로 마감시 흙손에 들러 붙지 않는 특성을 보이게 됨으로 시공단면에 평활성이 확보되어 경제성 및 시공 품질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요변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 및 보강 시공방법{Mortar Composition with Thixotrophic agent for Concrete Repair and Concrete Repair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요변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 및 보강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 아타풀가이트의 요변 특성을 이용한 요변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 및 보강 시공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원인은 크게 구조적 균열과 비구조적 균열로 나타내며 구조적인 균열은 설계 착오에 의한 것이거나 예상치 못한 과다란 하중으로 인하여 일어나는 것이 대부분이며 비구조적 균열은 콘크리트의 골재분리, 건조수축, 동결융해, 화재, 철근 부식, 염해, 알칼리골재 반응등이 균열 발생 원인을 제공하고 있다.
콘크리트의 균열의 크기 및 형태는 영양인자에 따라 달라지고 대부분의 균열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넓어지며, 콘크리트의 단면의 탈라 및 박리를 유도하기 때문에 열화현상을 촉진한다.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은 건물 시공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구조방식으로 경제적이고 안정적인 구조성능이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열화현상으로 인한 성능 저하가 발생되어 지속적인 보수 및 관리가 필요하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보수 및 보강 시공방법은 재료적 열화원인, 설계상의 열화원인, 시공시 내포되어 있는 열화원인, 외적환경 등에 의해 발생되는 열화부위를 제거하고 제거된 부분에 콘크리트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를 시공하여 보수공사를 실시한다.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를 시공하는 방법은 약산성의 탄산가스가 기체상태로 콘크리트 내부에 확산하거나 침투하여 콘크리트를 중성화하여 열화된 것을 제거하여 보수를 하는 것과, 단면보수몰탈의 공기단축, 수화경화체 조직의 치밀성, 미장 마감성 향상을 위해 뿜칠기계를 이용한 시공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콘크리트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는 시공 단면과의 접착성이 떨어져 보수된 단면의 내구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흙손 등의 마감도구로 보수된 단면을 마감하는 경우 흙손 등의 마감도구에 모르타르가 들러붙어 시공단면의 평활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시공 품질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749926호 '굴 껍질을 이용한 내진형 섬유보강 모르타르 및 자동수평재'(2007년 8월 14일 등록)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요변제를 사용하여 아타풀가이트의 특징인 요변성과 스타치계 증점활성보조제를 활용하여 시공단면에 강하게 접착되며 흙손등의 마감 도구로 마감시 흙손에 들러 붙지 않는 특성을 가지며 온냉반복 후 부착강도를 향상시키는 요변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 및 보강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요변제를 사용하여 아타풀가이트의 특징인 요변성과 스타치계 증점활성보조제를 활용하여 뿜칠기계 호스에서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고 원활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요변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 및 보강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지진에 견디는 힘이 강한 내진 성능을 향상시킨 요변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 및 보강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요변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은 시멘트 혼합물 29.0 ~ 38.0중량%, 포졸란물질 1.0 ~ 3.0중량%, 분말폴리머 1.0 ~ 2.7중량%, 무기 팽창제 1.3 ~ 3.0중량%, 분말 방수제 0.05 ~ 0.3중량%, 요변제 0.48 ~ 1.5중량%, 증점활성보조제 0.01 ~ 0.03중량%, 지연제 0.01 ~ 0.02중량%, 감수제 0.1 ~ 0.25중량%, PVA섬유 0.05 ~ 0.2중량%, 규사 51 ~ 67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단면 보수 및 보강 시공방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된 면을 제거하는 단계; 치핑 또는 고압물 세척 및 먼지를 제거하는 단계,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침투형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 시멘트 혼합물 29.0 ~ 38.0중량%, 포졸란물질 1.0 ~ 3.0중량%, 분말폴리머 1.0 ~ 2.7중량%, 무기 팽창제 1.3 ~ 3.0중량%, 분말 방수제 0.05 ~ 0.3중량%, 요변제 0.48 ~ 1.5중량%, 증점활성보조제 0.01 ~ 0.03중량%, 지연제 0.01 ~ 0.02중량%, 감수제 0.1 ~ 0.25중량%, PVA섬유 0.05 ~ 0.2중량%, 규사 51 ~ 67중량%를 포함하는 모르타르 조성물을 도포된 침투형프라이머층에 시공하는 단계, 양생하는 단계 및 내오염 중성화 보호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침투형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 이전에, 현무암섬유를 가공하여 제조된 내진 내력 보강재를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포졸란물질은 플라이애쉬, 슬래그, 실리카흄, 화산재, 응회암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말 폴리머는 EVA, SBR, ACRYL, PVAc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고분자화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말 방수제는 유기 방수제와 무기 방수제를 혼합한 유무기 복합 방수제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말 방수제는 활성실리카, 스테아린산 아연, 실록산, 실란, 실리콘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요변제는 단면보수몰탈 조성물을 구성하는 아타풀가이트(attapulgite)계 요변제이며, 상기 증점활성보조제는 스타치계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증점 활성보조제는 스타치계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증점 활성보조제는 카브록시메틸 스타치(carboxymethly starch), 고구마전분, 감자전분, 밀전분, 옥수수전분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2개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연제는 주석산, 글루콘산, 구연산, 옥시카본산계 화합물, 당류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감수제는 나프탈렌계, 멜라민계, 폴리카르본산계 등의 감수제 또는 유동화제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요변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은 바잘트섬유 0.2 ~ 0.8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바잘트섬유는 탄소수 20 ~ 40의 알케인(alkane) 미네랄 오일 필름이 코팅되고, 3 ~ 9㎜ 범위 내의 2종류의 길이로 시공 부위에 따라 달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요변제를 사용하여 아타풀가이트의 특징인 요변성과 스타치계 증점활성보조제를 활용하여 온냉반복 후 부착강도를 향상시키고, 시공단면에 강하게 접착되며 흙손등의 마감 도구로 마감시 흙손에 들러 붙지 않는 특성을 보이게 됨으로 시공단면에 평활성이 확보되어 경제성 및 시공 품질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뿜칠기계 호스에서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고 원활하게 이송시킬 수 있어 워커빌리티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지진에 강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지진 발생 시에 재산과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단면 보수 및 보강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요변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은 시멘트 혼합물 29.0 ~ 38.0중량%, 포졸란물질 1.0 ~ 3.0중량%, 분말폴리머 1.0 ~ 2.7중량%, 무기 팽창제 1.3 ~ 3.0중량%, 분말 방수제 0.05 ~ 0.3중량%, 요변제 0.48 ~ 1.5중량%, 증점활성보조제 0.01 ~ 0.03중량%, 지연제 0.01 ~ 0.02중량%, 감수제 0.1 ~ 0.25중량%, PVA섬유 0.05 ~ 0.2중량%, 규사 51 ~ 67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요변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은 바잘트섬유 0.2 ~ 0.8중량%를 더 포함하여 내진 성능을 보강한 내진 모르타르 조성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시멘트계 혼합물
보통시멘트, 중용열시멘트, 조강시멘트, 저열시멘트, 황산염시멘트, 속경혼합시멘트, 아윈계시멘트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시멘트가 29.0중량% 미만이 되면 요구되는 강도가 발현되지 않고 38.0중량%를 초과하면 점성증가로 인한 시공성이 감소되며 높은 수화열에 의해 균열이 발생되므로 그 배합비를 29.0 ~ 38.0중량%으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졸란물질
포졸란 물질은 자체적으로는 물과 반응하여 경화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지 않지만, 상온의 조건하에서 미분말의 상태로 수분의 존재하에서는 수산화칼슘과 반응하여 수경성을 가지는 실리케이트(silicate) 또는 알루미네이트(aluminate) 성분을 생성하는 물질을 말한다.
포졸란 물질이 가지는 위와 같은 반응을 포졸란 반응이라고 한다. 포졸란 물질의 효과는 상기 단면보수몰탈 조성물에 혼입하여 시멘트 경화체의 공극을 화학적 및 물리적으로 충진하여 치밀화시킨다.
포졸란물질은 플라이애쉬, 슬래그, 실리카흄, 화산재, 응회암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일 예로 한다.
포졸란물질이 1.0중량% 미만이 되면 수화 경화체의 조직이 치밀하지 못하여 강도가 하락하며, 3.0중량%를 초과하면 미반응물질이 발생하여 물리적 성질이 감소하므로 그 배합비를 1.0 ~ 3.0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말 폴리머
분말 폴리머는 시멘트의 수화물과 규사의 접착면에 관여하여 단면보수몰탈의 접착력 향상, 균열 억제 효과, 내식성 및 내수성 향상 시키는 것으로 EVA, SBR, ACRYL, PVAc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고분자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일예로 한다.
분말 폴리머가 1.0중량% 미만이되면 접착력 저하 및 균열 억제 효과가 미미하며, 2.7중량%를 초과하면 경제성이 떨어지며 강도등의 물성이 저하되므로 그 배합비를 1.0 ~ 2.7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팽창제
무기팽창제는 K형, S형, M형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되, 수축에 대한 보상 팽창만을 한다.
즉, 시멘트의 치명적인 단점인 수축을 고려하여, 팽창제를 사용함으로써 시멘트의 수축을 억제하여 과팽창 또는 팽창이 부족하지 않도록 한다.
무기 팽창제가 1.3중량% 미만이 되면 팽창효과가 미미하여 수축균열이 발생되며, 3.0중량%를 초과하면 과도한 팽창이 발생하여 경화체가 파괴되는 현상이 나타나며 전체적인 물성이 급격하게 저하되므로 그 배합비를 1.3 ~ 3.0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말 방수제
분말 방수제는 유기 방수제와 무기 방수제를 혼합한 유무기 복합 방수제이고, 유무기 복합 방수제는 폴리머 사용량 감량으로 발생될 수 있는 투수저항성 저하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무기 방수제는 시멘트의 수화물과 불용성인 규산질칼슘 수화물을 생성하게 되며 이 물질이 보수몰탈의 구조를 더욱 더 치밀하게 형성하여 물의 침투를 억제하게 되고, 균열 발생시에 물의 공급이 유지된다면 보수몰탈의 미수화물질과 반응을 하게 되어 균열의 성장을 억제하며 균열부에 성장결정체가 형성되는 자가치유 성능도 발휘된다.
또한, 유기 방수제는 시멘트의 수화반응 시에 폴리머의 필름막 형성으로 보수몰탈의 기밀성을 유지하게 되어 무기 방수제와 복합적 상승효과로 보수몰탈의 내부에 작용하여 더욱 더 수밀하고 기밀하게 되어 투수저항성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수밀성에 의해 강도를 증진시키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분말 방수제는 활성실리카, 스테아린산 아연, 실록산, 실란, 실리콘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되, 분말 방수제가 0.05중량% 미만이 되면 방수효과를 볼 수 없으며, 0.3중량%를 초과하면 경화지연으로 인해 강도등의 물성저하가 일어나게 되므로 그 배합비를 0.05 ~ 0.3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변제
요변제는 단면보수몰탈 조성물을 구성하는 아타풀가이트(attapulgite)계 요변제인 것을 일 예로 한다.
아타풀가이트(attapulgite)계 요변제는 마그네슘, 알루미늄의 염기성 함수 규산염 광물로 수성암 중의 휘석, 각섬석에서 변질되어 생성하며 염호 지역에서 몬모릴론석으로부터 생성되거나 몬모릴론 석화 작용을 받은 섬장암에 포켓상 혹은 맥상으로 산출된다.
아타풀가이트(attapulgite)계 요변제의 화학성분은 주로 SiO2(49.57%), Al2O3(9.44%) 및 MgO(8.81%)로 구성되며, 길이 1.5 ~ 2micron, 굵기 3nm인 막대기형의 입자로 양 끝단은 + charge를, 측면은 - charge를 띠고 있으며, 분산되면 입자가 상호 결합, 그물구조를 형성하여 점도를 형성한다.
아타풀가이트(attapulgite)계 요변제의 요변성은 응력이 없는 상태에서는 고점도를 나타내고 응력이 있는 상태에서는 점도가 급격히 저하되고 다시 응력을 제거하면 가역적으로 점도가 증가하는 성질을 있으며 pH, 온도 및 경시 변화에 따른 점도 등 물성의 변화가 거의 없는 것이 특징이다.
요변제가 0.48중량% 미만이 되면 점도 저하로 인해 부착력이 감소하여 스타치계 증점활성보조제의 특성 또한 저하시키기 되며, 1.5중량%를 초과하면 급격한 점도 상승으로 인해 뿜칠기계의 호스가 막히게 되며, 흙손에 들러 붙는 양이 많아 시공단면이 평활성을 유지하기 어렵게 되으로 그 배합비를 0.48 ~ 1.5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점활성보조제
증점활성보조제는 스타치계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되, 아타풀가이트의 요변 특성을 더욱 활성시키는 보조제이다.
증점활성보조제가 0.01중량% 미만이 되면 점도 저하에 의한 부착력이 감소하며, 0.03중량%를 초과하면 과도한 점도 증가로 기계시공성 및 미장 마감성이 저하되며, 압축강도등의 물성이 저하되므로 그 배합비를 증점제 0.01 ~ 0.03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점제는 유기계와 무기계가 있으며 유기계 증점제 종류로는 알킨산 나트륨염, 펙틴, 고분자다당류, 셀룰로오스 유도체등이 있으며 무기계로는 벤토나이트, 세피오라이트, 아타풀가이트, 붕산염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적용된 아타풀가이트는 무기계 증점제로 단독으로 사용시에는 부착강도가 기준치에 도달치 못하였으나, 유기계 증점제인 고분자다당류의 일종인 스타치계를 증점활성보조제로 복합 사용시에는 부착강도가 기준치를 상회함을 알수가 있다. 반면 유기계 증점제인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사용시에도 부착강도가 기준치를 도달하지 못함을 알수가 있었다.
또한 유기계 증점제인 셀룰로오스 유도체의 구조는 사슬구조로 수경성재료인 단면보수몰탈에서 경화시간을 지연시키며, 슬럼프 저하(slump loss)가 발생하여 뿜칠기계 시공시 호스가 막히는등 애로사항이 발생한 반면, 스타치계의 구조는 가지구조로 단면보수몰탈의 경화시간에 간섭하지 않으며, 슬럼프 저하(slump loss)도 셀룰로오스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게 발생되어 뿜칠기계시공시 호스에서 원활하게 토출된다.
스티치계 증점 활성보조제로는 수경성인 단면보수몰탈에 적용되는 스타치 에트르계(starch ether)에서의 카브록시메틸 스타치(carboxymethly starch), 다당류(Polysaccharide)계에서의 고구마전분, 감자전분, 밀전분, 옥수수전분등이 있다.
즉, 스티치계 증점 활성보조제는 카브록시메틸 스타치(carboxymethly starch), 고구마전분, 감자전분, 밀전분, 옥수수전분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2개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지연제
지연제는 시멘트 수화물의 생성을 억제하는 기능이 있어 경화시간을 자유롭게 조절하며 주석산, 글루콘산, 구연산, 옥시카본산계 화합물, 당류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지연제가 0.01중량% 미만이 되면 시공온도가 상승시에는 경화시간 조절이 어려워 시공표면에 겉마름에 의한 표면 균열이 발생되며, 0.02중량%를 초과하면 시공성은 향상되나 시멘트 수화반응이 지연되어 압축강도, 휨강도 부착강도등의 물성이 저하되므로 그 배합비를 0.01 ~ 0.02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수제
감수제는 시멘트계 조성물에서 비표면적으로 인한 점도의 증가로 과도한 혼합수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는 강도의 하락과 경화지연의 원인이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적은 양의 사용만으로도 효과를 볼 수 있는 나프탈렌계, 멜라민계, 폴리카르본산계 등의 감수제 또는 유동화제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감수제가 0.1중량% 미만이 되면 혼합수 사용 증대로 압축강도, 휨강도가 저하되며, 0.25중량%를 초과하면 재료분리가 발생되며 흐름성 향상으로 천장, 벽면 시공시 흘러내리게 되어 시공성이 불량하게 되므로 그 배합비를 0.1 ~ 0.25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친수성 PVA섬유
친수성 PVA섬유는 보수몰탈의 단점인 인장 및 동적하중하에서 급작스럽게 파괴를 일으키는 취성을 띄고 균열의 생성 및 성장을 억제하기 힘든 부분을 인장 저항능력의 증대, 국부적 균열의 생성 및 성장을 억제하는등 역학적 성질을 개선, 보강하기 위해 보수몰탈에 불연속적이며 단상인 섬유질 재료를 분산시켜 섬유보강몰탈를 만들기 위한 보강 섬유이다.
친수성 PVA계 마이크로섬유는 탄소를 함유한 솔벤트, 기름, 염분, 알칼리에 매우 높은 저항성을 나타내며 직사 광선에 노출되어도 뛰어난 저항성을 가지고 있다.
친수성 PVA계 마이크로섬유는 섬유 표면이 수산기를 가지고 있는 친수성 구조로서 분산이 잘되고 높은 부착성능을 가지고 있으며, 비교적 작은 직경을 갖추고 있어 미소균열을 억제하고 안정화하며 섬유의 가교작용을 통하여 역학적 성질을 증대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이며 피로와 충격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균열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이고, 표면에 노출이 되지 않아 마감성이 매우 우수하다.
친수성 PVA계 마이크로 섬유는 길이 3~8㎜ 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친수성 PVA계 마이크로 섬유가 0.05중량% 미만이 되면 피로와 충격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균열을 억제하는 효과가 감소하며, 0.2중량%를 초과하면 섬유볼이 발생하여 급격한 물성 저하가 발생되므로 그 배합비를 친수성 PVA섬유 0.05 ~ 0.2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규사
규사는 내마모성이 강하고 불순물이 제거되어 있으며, 함수율은 보수몰탈조성물과 혼합 제조시 영향을 주게 되므로, 규사의 입도 및 입형 관리가 잘된 건조규사를 사용하면 된다.
규사의 사이즈는 시공 두께에 준하여 0.05mm~3mm까지 사용하며, 입형은 규사와 시멘트 페이스트간의 접착 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해 면이 거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규사가 51중량% 미만이 되면 상대적 시멘트량 사용량이 많게 되어 높은 수화열 발생으로 균열이 발생될 수 있으며 67중량%를 초과하면 상대적 시멘트량 감소로 내구성 저하가 발생되므로 규사의 비중을 고려하여 그 배합비를 규사 51 ~ 67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잘트섬유
바잘트섬유(Basalt fiber)는 천연 현무암을 섬유화한 독성이 없는 무기질의 암석섬유로서, 다른 무기질 섬유(유리섬유, 금속섬유, 아라미드섬유 등)보다 저가이면서도, 전기절연성, 방진성, 방열성, 내열성, 저열팽창성, 방음성, 흡음성, 내침식성, 내부식성, 내마모성, 화학적 안정성, 자기윤활성, 경량 고강도 특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며, 화재에 강하고 인장도가 높아져 쉽게 깨지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잘트섬유는 기존 유리섬유보다 성질이 우수하면서도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바잘트섬유는 전체에 SiO2 47.5 ~ 55.0중량%, TiO2 0.2 ~ 2중량%, Al2O3 14 ~ 20중량%, Fe2O3와 FeO의 혼합물 7 ~ 13.5중량%, CaO 7 ~ 11중량%, MgO 3 ~ 8.5중량%, MnO 0.25중량%, Na2O와 K2O의 혼합물 2.5 ~ 7.5중량%, 및 SO3 0.2 ~ 0.8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잘트섬유는 본 발명에 따른 모르타르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2 ~ 0.8중량%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바잘트섬유의 함량이 0.2중량% 미만으로 혼합되면 내열성, 균열, 탄성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0.8중량%를 초과할 경우 과도한 뭉침 현상으로 모르타르 조성물 내에 균일하게 혼합되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모르타르 조성물에 사용되는 바잘트섬유는 0.8중량%로 혼합되더라도 뭉침 현상 및 작업성 불량으로 모르타르 공장에서 생산 시에 균일하게 혼합되지 않을 수 있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바잘트섬유에 분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미네랄 오일(mineral oil)로 바잘트 원사에 분사하여 코팅 필름을 형성하여 상호 재료가 공기 층을 형성하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미네랄 오일은 유동 파라핀(paraffin)으로도 불리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미네랄 오일은 탄소수 20 ~ 40의 알케인(alkane) 미네랄 오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코팅된 바잘트섬유는 현무암(화산암)을 1,500℃로 녹여 원심력을 이용해 9 ~ 20㎛ 직경 크기의 필라멘트로 방사할 때, 저점도의 미네랄 오일을 분사하여 코팅한 후, 3 ~ 9㎜ 범위 내의 2종류의 길이를 갖도록 절단되어 시공 부위에 따라 달리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단면 보수 및 보강 시공방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된 면을 제거하는 단계(S300); 치핑 또는 고압물 세척 및 먼지를 제거하는 단계(S310);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침투형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S330); 시멘트계 혼합물 27~ 32중량%, 석고 1 ~ 3중량%, 포졸란물질 1.7 ~ 4.9중량%, 분말 폴리머 0.9 ~ 3중량%, 무기 팽창제 1.2 ~ 2.5중량%, 공기연행제 0.004 ~ 0.01중량%, 지연제 0.006 ~ 0.02중량%, 감수제 0.12 ~ 0.22중량%, 증점제 0.02 ~ 0.05중량%, 친수성 PVA섬유 0.05 ~ 0.3중량%, 규사 54 ~ 68중량%을 포함하는 모르타르 조성물을 도포된 침투형프라이머층에 시공하는 단계(S340); 양생하는 단계(S350); 및 내오염 중성화 보호제를 도포하는 단계(S3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S340 단계에서 침투형프라이머층 상에 시공되는 모르타르 조성물은 바잘트섬유 0.2 ~ 0.8중량%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잘트섬유는 탄소수 20 ~ 40의 알케인(alkane) 미네랄 오일 필름이 코팅되고, 3 ~ 9㎜ 범위 내의 2종류의 길이로 시공 부위에 따라 달리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단면 보수 및 보강 시공방법은, 침투형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 이전에 현무암섬유를 가공하여 제조된 내진 내력 보강재(바잘트섬유로 만든 리바부재, 격자망 부재, 바잘트섬유 시트부재 등)를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설치하는 단계(S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치핑 또는 고압물 세척 및 먼지를 제거하는 단계(S310) 후 침투형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S330) 이전에 시공하는 단계 이전에 현무암섬유를 가공하여 제조된 내진 내력 보강재를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설치하고, 침투형프라이머를 내진 내력 보강재가 설치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도포하여 내진 보강이 가능하도록 한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시공면)을 면처리하는 단계(S300)는 노후되거나 열화된 즉 열화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을 그라인더, 브레이커 등을 사용하여 제거함으로써 정리하는 단계이다.
고압물 세척 및 먼지를 제거하는 단계(S310)에서는 고압세척기에서 분사되는 물이나 에어콤프레셔에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하여 면처리된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의 이물질, 분진, 먼지 등을 제거하는 청소단계를 거친다. 고압세척기로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의 이물질 또는 잔재물을 제거한 경우에는, 남은 수분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310 단계에서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탈락 등의 손상이 발생되었을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내진 모르타르 조성물을 충전하여 표면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내진 내력 보강재를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하는 단계(S320)는 현무암섬유를 가공하여 제조된 내진 내력 보강재 즉, 바잘트섬유(현무암섬유)를 포함하는 내진 내력 보강재를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하는 것으로 하기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함을 밝혀둔다.
침투형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S330)는 내진 모르타르 조성물을 시공하기 전에 노후화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강화시키기 위한 침투형프라이머층(30)을 도포하는 단계로서, 예컨대 침투성 구체 보호 프라이머와 같은 강화제를 현장 상황에 따라 붓, 롤러, 스프레이 등으로 충분하게 침투되도록 흘러 내릴 정도로 도포한다.
내진 모르타르 조성물을 시공하는 단계(S340)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 모르타르 조성물을 물과 혼합하여 미장이나 숏크리트 및 주입 방식으로 시공하여 모르타르 층을 시공한다. 모르타르 층의 피복은 시공된 내진 내력 보강재(20)의 두께에 따라 내진 내력 보강재가 완전히 잠기는 두께를 가진다.
이후 약 3일 이상 습윤 양생을 실시하는 양생하는 단계(S350)를 거친 후, 내오염 중성화 보호제(50)를 시공하는 내오염 중성화 보호제를 도포하는 단계(S360)를 진행한다. 내오염 중성화 보호제는 2mm 이하의 두께를 가지며 붓, 롤러, 스프레이 등으로 1 ~ 2회 얇게 도포하며, 형광, 칼라 및 투명 내오염방지 기능도 포함된 중성화 보호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침투형프라이머층 상에 시공되는 모르타르 조성물에 포함되는 현무암섬유는 분쇄된 현무암 암석의 특정 고아물 혼합물을 1250℃ ~ 1,500℃ 사이로 가열하여 용융시킨 후 교반하고 노즐을 통해 용융방사하여 제작된 필라멘트사의 형태로 제조된다.
현무암섬유 즉, 바잘트섬유는 현무암을 용융처리를 하여서 만든 천연광물재료로서 밀도가 낮고 탄성계수와 강도가 우수한 역학적 성질을 갖으며, 부식에 대한 저항성이 크고 1200℃까지의 고온에서도 물리적 손상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 등 내열성도 우수하다. 또한, 생산가공성이 간편하고 생간 비용이 저렴하여 경제성이 탄소섬유보다 좋으며, 생산과정에서 배기가스 및 폐기물을 발생시키지 않는 등 환경 친화적인 재료이다. 바잘트섬유의 역학적 특성을 탄소섬유 및 유리섬유와 비교한 것은 표 1과 같다.
특성 바잘트 섬유 E-Glass S-Glass 탄소 섬유
인장강도(MPa) 3,000~4,840 3,100~3,800 4,020~4,650 3,500~6,000
탄성계수(Gpa) 79.3~93.1 72.5~75.5 83~86 230~600
연신율(%) 3.1 4.7 5.3 1.5~2.0
심유 직경(㎛) 6~21 6~21 6~21 5~15
선밀도(tex) 60~4,200 40~4,200 40~4,200 60~2,400
사용온도(℃) -260~+800 -50~+300 -50~+300 -50~+700
내진 내력 보강재 중 바잘트섬유로 가공된 리바는 바잘트섬유(현무암섬유)로 된 실(strand)을 에폭시(epoxy)를 주재료 하는 레진에 적셔 경화시킨 코어를 형성하고, 인발 다이(die)를 통과한 코어용 재료의 외주면을 현무암섬유로 된 실(strand)을 레진에 적셔 경화시킨 필라멘트로 나선 경로를 따라 감고, 가열 경화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바잘트섬유로 가공된 리바는 일반 철근보다 인장강도 및 압축강도가 매우 크고 부식되지 않으며 무게가 적어 시공성이 우수하고 친환경적이며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철근의 보강재 또는 대체재로 이용되며, 구조물 시공 후 보강공법의 재료로 이용된다. 이 때, 코어와 나선 필라멘트에 포함된 레진에 접착 고정되는 다수의 입자(예컨대, 규사)를 포함하는 코어 및 나선 필라멘트를 에워싸며 코팅된 외피층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규사와 같은 입자가 적층된 외피층을 구비하므로, 매끈한 외주면을 갖는 FRP 리바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내진 모르타르 조성물과 접촉되는 표면적이 확대된다. 또한, 규사와 같은 입자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 모르타르 조성물의 재료로도 사용되는 재료이므로 외피층과 모르타르 사이의 이질감도 줄어든다. 따라서, 바잘트섬유로 가공된 리바가 모르타르 내부에 배치되면 모르타르와 바잘트섬유로 가공된 리바의 접착력이 크게 향상되어 모르타르 양생 후 장시간 경과 후에도 바잘트섬유로 가공된 리바가 모르타르에서 분리되지 않으며, 콘크리트 구조물과의 부착력 및 휨 강도와 내구성이 향상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바잘트섬유로 가공된 리바로서 상업화된 일 구체 예로 Raw Energy Materials社의 RockRebar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바잘트섬유로 가공된 리바의 보다 구체적인 구조는 본 발명의 동일 출원인의 대한민국 특허출원으로서, 본 발명의 우선권 주장의 기초가 되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8-0009351호(발명의 명칭 : 환경 친화적인 내진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서 밝혀둔 바 있다.
바잘트섬유로 가공된 리바는 60등급 강철 철근과 비교할 때 중량은 1/4, 인장력은 2.2배 이상이며 부식에 대한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바잘트섬유로 가공된 리바는 바잘트섬유로 만든 다양한 규격(지름: Ψ3 ~ Ψ15)의 돌기 형태로 된 리바 일 수 있다.
바잘트섬유로 가공된 리바는 부식, 녹, 알칼리 및 산에 자연적으로 내성이 있으며, 녹슬지 않아 수분 침투로 인한 콘크리트 파쇄를 방지하며, 높은 Ph에 견딜수 있는 특수코팅이 필요 없다.
또한, 바잘트섬유로 가공된 리바는 유리섬유처럼 수분을 흡수하고 전달하지 않아서, 섬유가 노출되어도 부식이 진행되지 않아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전기가 통하지 않아서, 해양구조물에 적용시 전기분해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하기의 표 2는 본 발명에 따른 요변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에 대한 실시예와 본 발명의 비교예1 및 비교예2에 대한 성분 및 함량비를 나타낸다.
실시예 비교예1 비교예2
시멘트 혼합물 33 33 33
포졸란물질 1.8 1.8 1.8
분말폴리머 1.5 1.5 1.5
무기팽창제 2.2 2.2 2.2
분말방수제 0.16 0.16 0.16
요변제 1.0 - 1.0
증점활성보조제 0.02 0.02 -
셀룰로오즈계 증점제 - 0.03 -
지연제 0.015 0.015 0.015
감수제 0.155 0.155 0.155
PVA섬유 0.15 0.15 0.15
규사 60 60.97 60.02
단면보수용 모르타르계 100 100 100
17 17 17
표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표 2의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요변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에 대한 조성비를 모두 만족하는 예이고, 비교예1은 요변제를 포함하지 않고, 셀룰로오즈계증점제를 더 포함하고, 다른 조성비를 모두 만족하는 예이고, 비교예2는 증점확성보조제와 셀룰로오즈계증점제를 포함하지 않고 다른 조성비를 모두 만족하는 예이다.
하기의 표 3은 표 2의 실시예, 비교예1 및 비교예2의 물리적 성능을 테스트한 결과를 나타낸다.
시험항목 기준 실시예 비교예1 비교예2
압축강도(N/mm2) 20.0 이상 45.6 42.5 43.8
부착강도
(N/mm2)
표준 조건 1.0이상 2.2 1.2 1.5
온냉반복후 1.0이상 2.1 0.9 0.8
휨강도 6.0이상 11.7 10.4 10.9
내알칼리성
압축강도 20.0N/mm2
20.0 이상 43.2 39.1 40.5
중성화저항성(mm) 2.0 이하 0.2 1.2 0.8
투수량(g) 20.0 이하 2.0 3.4 5.0
물흡수계수
[kg/(m2·h0.5)]
0.5 이하 0.02 0.4 0.32
습기투과저항성(Sd) 2m 이하 0.2 0.8 0.6
염화물이온침투저항성
(Coulombs)
1000 이하 253 751 589
길이변화율(%) ±0.15이내 +0.01 -0.09 +0.04
표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는 모든 물리적 성능이 기준값을 만족하나, 비교예1과 비교예2는 온냉반복 후 부착강도에서 물성을 만족하지 못함을 확인하였다.
즉, 요변제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증점제 및 증점활성보조제를 사용함으로써 점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나 점도와 온냉반복후의 부착강도가 단순 비례하지 않고, 요변제와 증점활성보조제의 복합 사용 시 온냉반복후의 부착강도를 기준값에 만족할 수 있고, 요변제와 증점활성보조제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온냉반복 후 부착강도에서 물성을 만족하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다.
하기의 표 4는 본 발명에 따른 요변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에 대한 실시예와 본 발명의 비교예3 및 비교예4에 대한 성분 및 함량비를 나타낸다.
실시예 비교예3 비교예4
시멘트 혼합물 33 33 33
포졸란물질 1.8 1.8 1.8
분말폴리머 1.5 - 1.5
무기팽창제 2.2 2.2 2.2
분말방수제 0.16 0.16 -
요변제 1.0 1.0 1.0
증점활성보조제 0.02 0.02 0.02
지연제 0.015 0.015 0.015
감수제 0.155 0.155 0.155
PVA섬유 0.15 0.15 0.15
규사 60 61.5 60.16
단면보수용 모르타르계 100 100 100
17 17 17
표 4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표 4의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요변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에 대한 조성비를 모두 만족하는 예이고, 비교예3은 분말폴리머를 포함하지 않고 다른 조성비에 대해 모두 만족하는 예이고, 비교예4는 분말방수제를 포함하지 않고 다른 조성비를 모두 만족하는 예이다. 하기의 표 5는 표 4의 실시예, 비교예3 및 비교예4의 물리적 성능을 테스트한 결과를 나타낸다.
시험항목 기준 실시예 비교예3 비교예4
압축강도(N/mm2) 20.0 이상 45.6 48.9 51.3
부착강도
(N/mm2)
표준 조건 1.0이상 2.2 1.9 1.5
온냉반복후 1.0이상 2.1 0.8 0.9
휨강도 6.0이상 11.7 11.9 10.2
내알칼리성
압축강도 20.0N/mm2
20.0 이상 43.2 29.3 32.5
중성화저항성(mm) 2.0 이하 0.2 2.5 2.8
투수량(g) 20.0 이하 2.0 10.6 24
물흡수계수
[kg/(m2·h0.5)]
0.5 이하 0.02 1.3 0.7
습기투과저항성(Sd) 2m 이하 0.2 2.5 2.3
염화물이온침투저항성
(Coulombs)
1000 이하 253 1302 1208
길이변화율(%) ±0.15이내 +0.01 +0.03 +0.02
표 5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는 모든 물리적 성능이 기준값을 만족하나, 분말폴리머를 포함하지 않고 분말방수제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비교예3 및 분말방수제를 사용하지 않고 분말폴리머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비교예4는 압축강도 및 표준조건에서의 부착강도의 경우 기준치를 만족하나 온냉반복 후 부착강도 기준치를 만족하지 못할 뿐 아니라 중성화저항성, 투수량, 물흡수계수, 습기투과저항성, 염화물이온침투저항성이 기준치에 만족하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다.
하기의 표 6은 표 2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1 및 비교예2에서 시공성을 평가한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비교예1 및 비교예2의 모르타르 조성물을 호스길이 50m ~ 70m인 뿜칠시공기계를 통해 시공한 후 FLOW 경시 변화를 수회 측정하고 미장 마감성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비교예1 비교예2


FLOW(cm)
15회타격
16.7 15.9 16.3
호스길이 50m후 16.1 13.5 15.6
변화율(%) 3.6↓ 15.1↓ 4.3↓
호스길이 70m후 15.9 토출안됨 14.8
변화율(%) 4.8↓ - 9.2↓
미장마감성 양호 불량 양호
도 6을 참고하면 실시예는 요변제 및 증점활성보조제의 복합 사용으로 호스길이 50m 및 70m에서의 FLOW 경시변화 목표치인 5% 이내로 만족하였으며, 이는 미장 마감성 향상과 관련하고 있으며 시공품질 향상에 크게 기여함을 확이할 수 있다.
비교예1은 요변제를 포함하지 않고 셀룰로오스증점제 및 증점활성보조제를 복합 사용으로 호스길이 50m에서 FLOW 경시변화 기준치인 5% 이내로 만족치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호스길이 70m에서는 토출이 되지않아 측정하지 못하였으며 미장 마감성은 불량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2는 증점확성보조제와 셀룰로오즈계증점제를 포함하지 않고 요변제를 단독으로 사용함으로 호스길이 50m에서 FLOW 경시변화 기준치인 5% 이내로 만족하였으나 호스길이 70m에서는 목표치를 만족하지 못하였으며 미장 마감성은 양호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요변제를 사용하여 아타풀가이트의 특징인 요변성과 스타치계 증점활성보조제를 활용하여 온냉반복 후 부착강도를 향상시키고, 시공단면에 강하게 접착되며 흙손등의 마감 도구로 마감시 흙손에 들러 붙지 않는 특성을 보이게 됨으로 시공단면에 평활성이 확보되어 경제성 및 시공 품질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뿜칠기계 호스에서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고 원활하게 이송시킬 수 있어 워커빌리티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진에 강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지진 발생 시에 재산과 인명 피해를 최소화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S300 : 면처리 단계 S310 : 세척 및 먼지제거 단계
S320 : 보강재 설치 단계 S330 : 침투형프라이머 도포 단계
S340 : 내진 모르타르 조성물 시공 단계 S350 : 양생 단계
S360 : 내오염 중성화 보호제 도포 단계

Claims (24)

  1. 시멘트 혼합물 29.0 ~ 38.0중량%, 포졸란물질 1.0 ~ 3.0중량%, 분말폴리머 1.0 ~ 2.7중량%, 무기 팽창제 1.3 ~ 3.0중량%, 분말 방수제 0.05 ~ 0.3중량%, 요변제 0.48 ~ 1.5중량%, 증점활성보조제 0.01 ~ 0.03중량%, 지연제 0.01 ~ 0.02중량%, 감수제 0.1 ~ 0.25중량%, PVA섬유 0.05 ~ 0.2중량%, 규사 51 ~ 67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분말 방수제는 유기 방수제와 무기 방수제를 혼합한 유무기 복합 방수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변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졸란물질은 플라이애쉬, 슬래그, 실리카흄, 화산재, 응회암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변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말 폴리머는 EVA, SBR, ACRYL, PVAc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고분자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변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말 방수제는 활성실리카, 스테아린산 아연, 실록산, 실란, 실리콘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변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요변제는 단면보수몰탈 조성물을 구성하는 아타풀가이트(attapulgite)계 요변제이며, 상기 증점활성보조제는 스타치계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변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증점 활성보조제는 스타치계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변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증점 활성보조제는 카브록시메틸 스타치(carboxymethly starch), 고구마전분, 감자전분, 밀전분, 옥수수전분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2개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변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연제는 주석산, 글루콘산, 구연산, 옥시카본산계 화합물, 당류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변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수제는 나프탈렌계, 멜라민계, 폴리카르본산계 등의 감수제 또는 유동화제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변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
  11. 청구항 1에 있어서,
    바잘트섬유 0.2 ~ 0.8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변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바잘트섬유는 탄소수 20 ~ 40의 알케인(alkane) 미네랄 오일 필름이 코팅되고, 3 ~ 9㎜ 범위 내의 2종류의 길이로 시공 부위에 따라 달리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변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
  13. 청구항 1에 있어서,
    바잘트섬유 0.2 ~ 0.8중량%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포졸란물질은 플라이애쉬, 슬래그, 실리카흄, 화산재, 응회암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분말 방수제는 유기 방수제와 무기 방수제를 혼합한 유무기 복합 방수제로, 상기 분말 방수제는 활성실리카, 스테아린산 아연, 실록산, 실란, 실리콘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요변제는 단면보수몰탈 조성물을 구성하는 아타풀가이트(attapulgite)계 요변제이며, 상기 증점활성보조제는 스타치계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기 증점 활성보조제는 카브록시메틸 스타치(carboxymethly starch), 고구마전분, 감자전분, 밀전분, 옥수수전분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2개의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연제는 주석산, 글루콘산, 구연산, 옥시카본산계 화합물, 당류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감수제는 나프탈렌계, 멜라민계, 폴리카르본산계 등의 감수제 또는 유동화제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고,
    상기 바잘트섬유는 탄소수 20 ~ 40의 알케인(alkane) 미네랄 오일 필름이 코팅되고, 3 ~ 9㎜ 범위 내의 2종류의 길이로 시공 부위에 따라 달리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변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
  14.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된 면을 제거하는 단계;
    치핑 또는 고압물 세척 및 먼지를 제거하는 단계;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침투형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
    시멘트 혼합물 29.0 ~ 38.0중량%, 포졸란물질 1.0 ~ 3.0중량%, 분말폴리머 1.0 ~ 2.7중량%, 무기 팽창제 1.3 ~ 3.0중량%, 분말 방수제 0.05 ~ 0.3중량%, 요변제 0.48 ~ 1.5중량%, 증점활성보조제 0.01 ~ 0.03중량%, 지연제 0.01 ~ 0.02중량%, 감수제 0.1 ~ 0.25중량%, PVA섬유 0.05 ~ 0.2중량%, 규사 51 ~ 67중량%를 포함하는 모르타르 조성물을 도포된 침투형프라이머층에 시공하는 단계;
    양생하는 단계; 및
    내오염 중성화 보호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분말 방수제는 유기 방수제와 무기 방수제를 혼합한 유무기 복합 방수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단면 보수 및 보강 시공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포졸란물질은 플라이애쉬, 슬래그, 실리카흄, 화산재, 응회암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단면 보수 및 보강 시공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분말 폴리머는 EVA, SBR, ACRYL, PVAc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고분자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단면 보수 및 보강 시공방법.
  17. 삭제
  18.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분말 방수제는 활성실리카, 스테아린산 아연, 실록산, 실란, 실리콘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단면 보수 및 보강 시공방법.
  19.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요변제는 단면보수몰탈 조성물을 구성하는 아타풀가이트(attapulgite)계 요변제이며, 상기 증점활성보조제는 스타치계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단면 보수 및 보강 시공방법.
  20.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지연제는 주석산, 글루콘산, 구연산, 옥시카본산계 화합물, 당류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단면 보수 및 보강 시공방법.
  21.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감수제는 나프탈렌계, 멜라민계, 폴리카르본산계 등의 감수제 또는 유동화제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단면 보수 및 보강 시공방법.
  22. 청구항 14에 있어서,
    바잘트섬유 0.2 ~ 0.8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단면 보수 및 보강 시공방법.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바잘트섬유는 탄소수 20 ~ 40의 알케인(alkane) 미네랄 오일 필름이 코팅되고, 3 ~ 9㎜ 범위 내의 2종류의 길이로 시공 부위에 따라 달리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단면 보수 및 보강 시공방법.
  24.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침투형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 이전에, 현무암섬유를 가공하여 제조된 내진 내력 보강재를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단면 보수 및 보강 시공방법.
KR1020180057279A 2018-05-18 2018-05-18 요변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 및 보강 시공방법 KR101896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279A KR101896416B1 (ko) 2018-05-18 2018-05-18 요변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 및 보강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279A KR101896416B1 (ko) 2018-05-18 2018-05-18 요변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 및 보강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6416B1 true KR101896416B1 (ko) 2018-09-07

Family

ID=63595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7279A KR101896416B1 (ko) 2018-05-18 2018-05-18 요변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 및 보강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641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787B1 (ko) * 2019-04-10 2020-02-03 안희섭 세라믹골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보수용 몰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보수공사 시공방법
KR102181532B1 (ko) * 2020-03-09 2020-11-23 (주)아이엔티코리아 교통시설물 보수용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43265B1 (ko) * 2020-07-21 2021-04-22 삼부토건주식회사 요변제를 이용한 자력 수평 시멘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조성물
CN112851186A (zh) * 2021-01-25 2021-05-28 山东江泰建材科技有限公司 一种煤矸石机制砂砂浆的专用助剂及其制备方法
KR102284008B1 (ko) * 2020-01-22 2021-08-02 웅진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속경성 모르타르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시공법
KR20210111526A (ko) * 2020-03-03 2021-09-13 홍익대학교세종캠퍼스산학협력단 데코레이션 콘크리트 포장공법
KR102376889B1 (ko) * 2021-03-31 2022-03-21 박희재 압출 성형용 시멘트 조성물
KR102566380B1 (ko) * 2022-06-23 2023-08-14 테라텍 주식회사 내오염성 콘크리트 보수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926B1 (ko) 2005-12-23 2007-08-21 박의신 굴 껍질을 이용한 내진형 섬유보강 모르타르 및 자동수평재
KR101104812B1 (ko) * 2011-12-05 2012-01-16 남용혁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복구 보수방법
KR101222086B1 (ko) * 2012-06-26 2013-01-15 김흠 알카노아민계 다기능 첨가제가 혼합된 콘크리트 보수보강재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498196B1 (ko) * 2014-07-08 2015-03-09 (주)유니텍기술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호용 경량 하이브리드 폴리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 공법
KR101653972B1 (ko) * 2016-04-20 2016-09-05 김경래 하이브리드 섬유를 포함한 보수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수공법
KR20170127766A (ko) * 2016-05-12 2017-11-22 (주)넥트 이산화탄소(co) 포집 탄산칼슘을 활용한 고인성·고내구성 보수·보강 혼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수·보강 공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926B1 (ko) 2005-12-23 2007-08-21 박의신 굴 껍질을 이용한 내진형 섬유보강 모르타르 및 자동수평재
KR101104812B1 (ko) * 2011-12-05 2012-01-16 남용혁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복구 보수방법
KR101222086B1 (ko) * 2012-06-26 2013-01-15 김흠 알카노아민계 다기능 첨가제가 혼합된 콘크리트 보수보강재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498196B1 (ko) * 2014-07-08 2015-03-09 (주)유니텍기술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호용 경량 하이브리드 폴리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 공법
KR101653972B1 (ko) * 2016-04-20 2016-09-05 김경래 하이브리드 섬유를 포함한 보수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수공법
KR20170127766A (ko) * 2016-05-12 2017-11-22 (주)넥트 이산화탄소(co) 포집 탄산칼슘을 활용한 고인성·고내구성 보수·보강 혼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수·보강 공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787B1 (ko) * 2019-04-10 2020-02-03 안희섭 세라믹골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보수용 몰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보수공사 시공방법
KR102284008B1 (ko) * 2020-01-22 2021-08-02 웅진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속경성 모르타르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시공법
KR20210111526A (ko) * 2020-03-03 2021-09-13 홍익대학교세종캠퍼스산학협력단 데코레이션 콘크리트 포장공법
KR102421703B1 (ko) * 2020-03-03 2022-07-18 홍익대학교세종캠퍼스산학협력단 데코레이션 콘크리트 포장공법
KR102181532B1 (ko) * 2020-03-09 2020-11-23 (주)아이엔티코리아 교통시설물 보수용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43265B1 (ko) * 2020-07-21 2021-04-22 삼부토건주식회사 요변제를 이용한 자력 수평 시멘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조성물
CN112851186A (zh) * 2021-01-25 2021-05-28 山东江泰建材科技有限公司 一种煤矸石机制砂砂浆的专用助剂及其制备方法
CN112851186B (zh) * 2021-01-25 2022-05-10 山东江泰建材科技有限公司 一种煤矸石机制砂砂浆的专用助剂及其制备方法
KR102376889B1 (ko) * 2021-03-31 2022-03-21 박희재 압출 성형용 시멘트 조성물
KR102566380B1 (ko) * 2022-06-23 2023-08-14 테라텍 주식회사 내오염성 콘크리트 보수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6416B1 (ko) 요변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 및 보강 시공방법
KR101923493B1 (ko) 공기연행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 및 보강 시공방법
KR101893060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보강 공법
KR101637987B1 (ko) 열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단면복구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복구공법
JP4787187B2 (ja) 急硬補修モルタル及びそれを用いた補修方法
KR101832164B1 (ko) 구조물 보수·보강용 자기 치유성 친환경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수·보강 방법
KR101712378B1 (ko) 알칼리 회복 방청 및 무기계 폴리머 몰탈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보강방법
EP2438026B1 (en) Foamed cementitious composition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KR101744067B1 (ko) 균열과 파임으로 열화된 고층 건축물 및 아파트 외벽의 보수공법
KR101205546B1 (ko) 고강도 무기계 폴리머몰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수와 보강 및 단열 방법
KR100770389B1 (ko) 고인성 내화모르터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의내회피복 보수공법
KR101355392B1 (ko) 내산 및 내염해성 시멘트 조성물, 이를 이용한 보수용 모르타르 시멘트 조성물 및 상기 보수용 모르타르 시멘트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311699B1 (ko) 내산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185086B1 (ko)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보수 및 복구용 친환경 모르타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KR102124771B1 (ko) 습윤 상태나 수중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 보호를 위한 시공이 용이한 고기능성 친환경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ㆍ보강 공법
KR101311700B1 (ko) 단열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이를 이용한 판넬의 제조방법 및 블록의 제조방법
KR101864293B1 (ko)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 이를 이용한 보강 섬유 메쉬의 제조방법 및 보강 섬유 메쉬와 보수보강용 시멘트 모르타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KR102347276B1 (ko) 내화성, 내구성 및 작업성이 우수한 보수용 경량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공법
KR102272220B1 (ko)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칼슘포메이트, pbo섬유가 함유된 고내열성 조강성 폴리머 모르타르를 이용한 구조물 단면 복구 공법 및 유리섬유와 아라미드섬유로 제작된 고강도 복합시트를 병행한 구조물 내진 내화 보강 공법
KR100877528B1 (ko) 보온성, 차음성을 향상한 드라이 모르타르 및 상기 드라이모르타르로 제조된 불연성 보드 및 상기 드라이 모르타르로제조된 경량 벽돌
KR101789052B1 (ko) 맥반석을 함유하는 폴리머 모르타르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건축자재 및 상기 폴리머 모르타르 조성물을 이용한 친환경 콘크리트 보수보강 방법
KR102266502B1 (ko) 콘크리트 단면 보수 보강공법
KR102403274B1 (ko) 탄소 저감형 친환경 지오폴리머 콘크리트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과 바잘트 격자망 보강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 공법
KR102072787B1 (ko) 세라믹골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보수용 몰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보수공사 시공방법
KR100807244B1 (ko) 고내화성 무기결합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내화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