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5775B1 - 슬라이드 도어용 연동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도어용 연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5775B1
KR101895775B1 KR1020180048216A KR20180048216A KR101895775B1 KR 101895775 B1 KR101895775 B1 KR 101895775B1 KR 1020180048216 A KR1020180048216 A KR 1020180048216A KR 20180048216 A KR20180048216 A KR 20180048216A KR 101895775 B1 KR101895775 B1 KR 101895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lider
panel
mov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8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플러스
Priority to KR1020180048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57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5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5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17/002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wings which lie one behind the other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52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2017/005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46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continuous, e.g. closed lo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 도어용 연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의 목적은 연동구조를 개선하여 내구성이 향상되며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도어의 연동 조작이 초기 설치시와 차이 없이 안정된 동작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도어의 개폐시 작동 소음이 발생하지 않고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용 연동장치(800)에 의하면; 제1슬라이더(810)가 중앙도어(700)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며 상면에는 평행한 한쌍의 직선구간(812a) 양단부가 반원구간(812b)으로 이어진 루프형 트랙홈(812)이 형성된 제1이동패널(811)과, 제1이동패널(811)의 루프형 트랙홈(812)을 따라 수용 배치되어 미끄럼 이동이 가능한 강선 와이어(813)와, 제1이동패널(811)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며 양측단 상부에는 도어프레임(600)의 센터레일(610)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채널블록(815)이 마련된 덮개패널(814)과, 루프형 트랙홈(812)의 반원구간(812b) 외측에 배치되되 강선 와이어(813)가 루프형 트랙홈(812)의 반원구간(812b)에서 접하면서 미끄러져 이동하도록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니들베어링(818)을 구비하며; 상기 제2슬라이더(820)가 실외측도어(710)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며 양측단 상부에는 도어프레임(600)의 실외측레일(620)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채널블록(822)이 마련된 제2이동패널(821)과, 제2이동패널(821)의 일측단부에서 연장되어 강선 와이어(813)에 연결되며 제1슬라이더(810)의 제1이동패널(811)과 덮개패널(814)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실외측 슬릿홈(816)을 따라서 강선 와이어(813)와 함께 이동하는 제1연결브래킷(823)을 구비하고; 상기 제3슬라이더(830)가 실내측도어(720)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며 양측단 상부에는 도어프레임(600)의 실내측레일(630)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채널블록(832)이 마련된 제3이동패널(831)과, 제3이동패널(831)의 일측단부에서 연장되어 강선 와이어(813)에 연결되고 제1연결브래킷(823)과는 상호 어긋나는 방향으로 제1슬라이더(810)의 제1이동패널(811)과 덮개패널(814)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실내측 슬릿홈(817)을 따라서 강선 와이어(813)와 함께 이동하는 제2연결브래킷(83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라이드 도어용 연동장치{INTERLOCKING OF SLIDING DOOR}
본 발명은 슬라이드 연동 도어에 적용되는 연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구성이 강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작동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 슬라이드 도어용 연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드 도어용 연동장치는 2조 이상의 도어 중 어느 일측의 도어를 개폐하면 다른측의 도어 역시 연동하여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출입의 편리성을 도모하면서 출입구를 폭넓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으로; 음식점이나 일반가정의 현관 중문 또는 공공장소의 출입문 등 장소를 불문하고 널리 적용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례로 종래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82413호에 공지된 연동도어(500)는 문틀(10)의 하부에 평행하게 설치된 좌측 레일(10)과 중앙 레일(20) 및 우측 레일(3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연동장치(20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연동장치(200)는 좌측 레일(10)을 따라 이동하는 좌측 슬라이더(210)와, 중앙 레일(20)을 따라 이동하는 중앙 슬라이더(220)와, 우측 레일(30)을 따라 이동하는 우측 슬라이더(230)로 이루어져 있다. 좌측 슬라이드(210)와 우측슬라이더(230)는 중앙 슬라이더(220)에 설치되는 벨트(250)에 일단이 각각 고정되어 연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한편, 좌측 슬라이더(210) 하부에는 좌측 도어(D3)가 고정되고, 중앙 슬라이더(220) 하부에는 중앙 도어(D1)가 고정되고, 우측 슬라이더(230) 하부에는 우측 도어(D2)가 각각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연동장치(200)는 벨트(250)에 직접 좌측 슬라이더(210) 및 우측 슬라이더(230)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의 개폐 동작시 벨트(250)에 인장 하중이 집중된다. 따라서 연동장치(200)를 장기간 사용할 경우 벨트(250)가 늘어지거나 심할 경우 끊어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연동구조를 개선하여 내구성이 향상되며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도어의 연동 조작이 초기 설치시와 차이 없이 안정된 동작을 유지할 수 있는 도어용 연동장치가 대한민국 특허 제10-1799185호(2017년 12월 04일 등록)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 제10-1799185호의 도어용 연동장치는; 패널과, 상기 패널에 평행한 한쌍의 직선부와 상기 한쌍의 직선부의 양단부가 타원부로 이어져 루프 형상으로 구성되는 중공 관로와; 상기 중공 관로의 직선부 내측 인접부를 따라 구성되는 가이드 홈과; 상기 중공 관로를 따라 동시에 순차 이동하도록 상기 중공 관로를 채우는 다수의 볼 베어링과, 상기 중공 관로의 직선부 외측 인접부를 따라 구성되는 슬릿 홈으로 이루어지는 중앙 슬라이더와; 일단부는 상기 중앙 슬라이더의 중공 관로를 채우는 볼 베어링 사이에 위치하고, 타단부는 상기 슬릿 홈을 통하여 상기 패널의 외부로 돌출되어 그 슬릿 홈을 따라 상기 볼 베어링과 함께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연결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결 브라켓의 일단부는 상기 중공 관로를 채우는 볼 베어링 사이에 위치하는 오목부와, 상기 가이드홈에 링크되어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돌기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특허 제10-1799185호의 도어용 연동장치에서는 연결 브라켓이 중공 관로에 일렬로 이루어지게 채워진 볼 베어링을 밀면서 함께 이동되므로 종래 도어용 연동장치와 같이 벨트가 느슨해지거나 끊어지는 구조적인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특허 제10-1799185호의 도어용 연동장치에서는 중공 관로에 상당한 볼 베어링을 채워야 하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생산 원가가 상당한 단점이 있으며, 도어의 개폐 시 볼 베어링이 중공 관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당한 소음(구름소음)을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연동구조를 개선하여 내구성이 향상되며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도어의 연동 조작이 초기 설치시와 차이 없이 안정된 동작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도어의 개폐시 작동 소음이 발생하지 않고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슬라이드 도어용 연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프레임 하부의 센터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중앙도어와 결합되는 제1슬라이더와, 상기 도어프레임 하부의 실외측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실외측도어와 결합되는 제2슬라이더와, 상기 도어프레임 하부의 실내측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실내측도어와 결합되는 제3슬라이더를 구비하여, 상기 도어프레임의 하부에 상기 실외측도어와 중앙도어 및 실내측도어가 중첩된 상태에서 상기 실외측도어 또는 실내측도어 중 어느 하나를 개폐하면 다른 하나도 연동하여 개폐되도록 하는 슬라이드 도어용 연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더는 상기 중앙도어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며 상면에는 평행한 한쌍의 직선구간 양단부가 반원구간으로 이어진 루프형 트랙홈이 형성된 제1이동패널과, 상기 제1이동패널의 루프형 트랙홈을 따라 수용 배치되어 미끄럼 이동이 가능한 강선 와이어와, 상기 제1이동패널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며 양측단 상부에는 상기 도어프레임의 센터레일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채널블록이 마련된 덮개패널을 구비하며;
상기 제2슬라이더는 상기 실외측도어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며 양측단 상부에는 상기 도어프레임의 실외측레일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채널블록이 마련된 제2이동패널과, 상기 제2이동패널의 일측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강선 와이어에 연결되며 상기 제1슬라이더의 제1이동패널과 덮개패널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실외측 슬릿홈을 따라서 상기 강선 와이어와 함께 이동하는 제1연결브래킷을 구비하고;
상기 제3슬라이더는 상기 실내측도어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며 양측단 상부에는 상기 도어프레임의 실내측레일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채널블록이 마련된 제3이동패널과, 상기 제3이동패널의 일측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강선 와이어에 연결되고 상기 제1연결브래킷과는 상호 어긋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슬라이더의 제1이동패널과 덮개패널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실내측 슬릿홈을 따라서 상기 강선 와이어와 함께 이동하는 제2연결브래킷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루프형 트랙홈의 반원구간 외측에 복수개의 니들베어링이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강선 와이어가 상기 루프형 트랙홈의 반원구간에서 상기 니들베어링들과 접하면서 미끄러져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강선 와이어가 상기 루프형 트랙홈을 따라 미끄럼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테플론 피복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용 연동장치에 의하면; 제1슬라이더의 루프형 트랙홈에 수용 배치된 강선 와이어가 실외측도어(또는 실내측도어)의 개폐동작과 연동하여 이동하면서 실내측도어(또는 실외측도어)를 개폐동작시키는데, 이러한 강선 와이어는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루프형 트랙홈에서 신축현상이 없고 끊어지지 않기 때문에 도어의 연동 개폐조작이 초기 설치시와 변화없이 안정되게 이루어지며 작동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용 연동장치에 의하면; 루프형 트랙홈의 반원구간 외측에는 복수개의 니들베어링이 설치되어 있어서, 강선 와이어는 루프형 트랙홈의 반원구간에서도 간섭됨이 없이 용이하게 미끄러져 이동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용 연동장치에 의하면; 강선 와이어가 테플론 피복처리되어 있기 때문에, 내구성(내마모성)이 향상되는 것은 물론이며 루프형 트랙홈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작동소음이 발생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특허등록 제10-1182413호에 공지된 연동도어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용 연동장치가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용 연동장치가 도어 상부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용 연동장치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용 연동장치를 분해하여 보인 것이다.
도 7은 도 4의 Ⅶ - Ⅶ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용 연동장치에서 강선 와이어의 배치구조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용 연동장치의 연동하여 동작하는 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용 연동장치의 구성 설명>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연동식 슬라이드 도어장치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프레임(600)의 하부에 중앙도어(700)와 실외측도어(710) 및 실내측도어(720)가 3중으로 중첩 배치되며, 실외측도어(710) 또는 실내측도어(720) 중 어느 하나를 개폐하면 다른 하나도 연동하여 개폐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를 위해 연동식 슬라이드 도어장치는 하부에 평행하게 센터레일(610)과 실외측레일(620) 및 실내측레일(630) 이 형성된 도어프레임(600)과, 이 도어프레임(600)의 하부에 배치되며 센터레일(610)과 실외측레일(620) 및 실외측레일(63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연동장치(800)를 갖추고 있다.
센터레일(610)과 실외측레일(620) 및 실내측레일(630)은 상측 도어프레임(600)의 하부에 나란하게 마련되어 있다. 즉, 도어프레임(600)은 통상 알루미늄 압출 바 형태로 제작되며, 이의 하부에 실외측레일(620)과 센터레일(610) 및 실내측레일(630)이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연동장치(8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프레임(600)의 센터레일(610)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는 제1슬라이더(810)와, 실외측레일(620)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는 제2슬라이더(820)와, 실내측레일(630)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는 제3슬라이더(830)로 정의된다. 그리고 제1슬라이더(810)의 하부에는 중앙도어(700)의 상단부가 가로방향으로 고정되고, 제2슬라이더(820)의 하부에는 실외측도어(710)의 상단부가 가로방향으로 고정되고, 제3슬라이더(830)의 하부에는 실내측도어(720)의 상단부가 가로방향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제1슬라이더(810)와 제2슬라이더(820) 및 제3슬라이더(830)의 상세한 구조를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1슬라이더(810)는 중앙도어(700)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상면에 루프형 트랙홈(81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이동패널(811)과, 이 제1이동패널(811)의 루프형 트랙홈(812)을 따라 수용 배치되어 미끄럼 이동하는 강선 와이어(813)와, 제1이동패널(811)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며 양측단 상부에는 도어프레임(600)의 센터레일(610)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채널블록(815)이 각각 마련된 덮개패널(814)로 이루어져 있다. 제1이동패널(811)은 중앙도어(700)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직접 장착되는 것으로, 이의 상면에는 루프형 트랙홈(81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루프형 트랙홈(812)은 제1이동패널(811)의 상면에서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한쌍의 직선구간(812a)과, 이 직선구간(812a)의 양단부를 연계시키기 위한 반원구간(812b)으로 구별된다. 또한, 루프형 트랙홈(812)의 반원구간(812b) 외측에는 복수개의 니들베어링(818)이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어서, 강선 와이어(813)는 루프형 트랙홈(812)의 반원구간(812b)에서 니들베어링(818)들과 접하면서 용이하게 미끄러져 이동하게 된다. 또한, 강선 와이어(813)는 후술하는 제1,제2연결브래킷(823)(833)을 통해 2개가 이어져 루프 형태를 이루면서 루프형 트랙홈(812)에 수용 배치되는 것으로, 이것은 실외측/실내측도어(710)(720) 개폐시 제1,제2연결브래킷(823)(833)의 이동하려는 힘에 의해 떠밀려 루프형 트랙홈(812)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강선 와이어(813)는 루프형 트랙홈(812)을 따라 미끄럼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테플론 피복(813a) 처리되어 있다. 테플론 피복(813a)에 의해 내구성(내마모성)이 향상되는 것은 물론이며, 강선 와이어(813)가 루프형 트랙홈(812)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작동소음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강선 와이어(813)는 재질의 특성상 장기간 사용하더라고 신축현상이 없고 끊어지지 않기 때문에, 도어의 연동 개폐조작이 초기 설치시와 변화없이 안정되게 이루어지게 된다. 덮개패널(814)은 제1이동패널(811)의 상부를 덮도록 복수개의 스크루를 통해 결합되며, 이의 양측단 상부에는 도어프레임(600)의 센터레일(610)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채널블록(815)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이동패널(811)과 덮개패널(814) 가장자리 사이에는 실외측 슬릿홈(816)과 실내측 슬릿홈(817)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실외측 슬릿홈(816)을 통해 강선 와이어(813)와 연계된 제1연결브래킷(823)의 이동이 허용되며, 실내측 슬릿홈(817)을 통해 강선 와이어(813)와 연계된 제2연결브래킷(833)의 이동이 허용된다.
그리고 제2슬라이더(820)는 실외측도어(710)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플레이트 형태의 제2이동패널(821)과, 제2이동패널(821)의 일측단부에서 제1슬라이더(810)측을 향해 연장되어 강선 와이어(813)와 연결되는 제1연결브래킷(823)으로 정의된다. 제2이동패널(821)의 양측단 상부에는 도어프레임(600)의 실외측레일(620)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채널블록(822)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제1연결브래킷(823)은 제2이동패널(821)의 일측단부에서 연장된 것으로, 이것은 강선 와이어(813)에 연결되며 제1슬라이더(810)의 제1이동패널(811)과 덮개패널(814)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실외측 슬릿홈(816)을 따라 강선 와이어(813)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제3슬라이더(830)는 실내측도어(720)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플레이트 형태의 제3이동패널(831)과, 제3이동패널(831)의 일측단부에서 제1슬라이더(810)측을 향해 연장되어 강선 와이어(813)와 연결되는 제2연결브래킷(833)으로 정의된다. 제3이동패널(831)의 양측단 상부에는 도어프레임(600)의 실내측레일(630)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채널블록(832)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제2연결브래킷(833)은 제3이동패널(831)의 일측단부에서 연장된 것으로, 이것은 강선 와이어(813)에 연결되며 제1연결브래킷(823)과는 상호 어긋나는 방향으로 제1슬라이더(810)의 제1이동패널(811)과 덮개패널(814)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실내측 슬릿홈(817)을 따라서 강선 와이어(813)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용 연동장치의 작동 및 효과 설명>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용 연동장치(800)의 작동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중앙도어(700)와 실외측도어(710) 및 실내측도어(720)가 완전하게 개방되어 중첩된 상태에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연동장치(800)의 제1슬라이더(810)와 제2슬라이더(820) 및 제3슬라이더(830) 역시 겹쳐진 상태를 이룬다. 이때, 제2슬라이더(820)의 제1연결브래킷(823)과 제3슬라이더(830)의 제2브래킷(833)은 가장 먼 위치에 서로 어긋나게 위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실외측도어(710;또는 실내측도어;720)를 닫는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실외측도어(720;또는 실내측도어;710)는 중앙도어(700)로부터 펼쳐지면서 출입구 일측을 닫으며, 이와 연동하여 실내측도어(720;또는 실외측도어;710) 역시 중앙도어(700)로부터 펼쳐지면서 출입구 타측을 닫는다. 즉, 도 9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외측도어(710)와 함께 제2슬라이더(820)가 출입구를 닫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연결브래킷(823)이 제1슬라이더(810)의 실외측 슬릿홈(816)을 따라 이동하면서 루프 형태의 강선 와이어(813)가 루프형 트랙홈(812)을 따라 떠밀리면서 이동한다. 아울러, 강선 와이어(813)가 떠밀리면서 제3슬라이더(830)의 제2연결브래킷(833)이 제1슬라이더(810)의 실내측 슬릿홈(817)을 따라 이동하며, 이로 인해 제3슬라이더(830)와 함께 실내측도어(720)가 출입구를 닫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결국, 실외측도어(710)를 닫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실내측도어(720) 역시 연동하여 닫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한편, 루프형 트랙홈(812)의 반원구간(812b) 외측에는 복수개의 니들베어링(818)이 설치되어 있어서, 강선 와이어(813)는 루프형 트랙홈(812)의 반원구간(812b)에서 니들베어링(818)들과 접하면서 용이하게 미끄러져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실외측도어(710;또는 실내측도어;720)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실외측도어(710;또는 실내측도어;720)는 중앙도어(700)에 겹쳐지면서 출입구 일측을 개방하며, 이와 연동하여 실내측도어(720;또는 실외측도어;710) 역시 중앙도어(700)와 겹쳐지면서 출입구 타측을 개방한다. 즉,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외측도어(710)와 함께 제2슬라이더(820)가 출입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연결브래킷(823)이 제1슬라이더(810)의 실외측 슬릿홈(816)을 따라 이동하면서 루프 형태의 강선 와이어(813)가 루프형 트랙홈(812)을 따라 떠밀리면서 이동한다. 아울러, 강선 와이어(813)가 떠밀리면서 제3슬라이더(830)의 제2연결브래킷(833)이 제1슬라이더(810)의 실내측 슬릿홈(817)을 따라 이동하며, 이로 인해 제3슬라이더(830)와 함께 실내측도어(720)가 출입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결국, 실외측도어(710)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실내측도어(720) 역시 연동하여 개방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용 연동장치(800)에서는 제1슬라이더(810)의 루프형 트랙홈(812)에 수용 배치된 강선 와이어(813)가 실외측도어(710;또는 실내측도어;720)의 개폐동작과 연동하여 이동하면서 실내측도어(720;또는 실외측도어;710)를 개폐동작시킨다. 이러한 강선 와이어(813)는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루프형 트랙홈(812)에서 신축현상이 없고 끊어지지 않기 때문에 도어의 연동 개폐조작이 초기 설치시와 변화없이 안정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강선 와이어(813)가 테플론 피복(813a)처리되어 있기 때문에, 내구성(내마모성)이 향상되는 것은 물론이며 루프형 트랙홈(812)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작동소음이 발생되지 않는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강선 와이어(813)를 루프형 트랙홈(812)에 수용 배치하여 연동장치(800)의 제1슬라이더(810)를 제작함으로써, 종래 볼베어링을 중공 관로에 채워넣은 특허 제10-1799185호의 도어용 연동장치에 비해 제조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루프형 트랙홈(812)의 반원구간(812b) 외측에는 복수개의 니들베어링(818)이 설치되어 있어서, 강선 와이어(813)는 루프형 트랙홈(812)의 반원구간(812b)에서도 간섭됨이 없이 용이하게 미끄러져 이동한다.
600..도어프레임 610..센터레일 620..실외측레일
630..실내측레일 700..중앙도어 710..실외측도어
720..실내측도어 800..도어 연동장치 810..제1슬라이더
811..제1이동패널 812..루프형 트랙홈 812a..직선구간
812b..반원구간 813..강선 와이어 813a..테플론 피복
814..덮개패널 815..제1채널블록 816..실외측 슬릿홈
817..실내측 슬릿홈 818..니들베어링 820..제2슬라이더
821..제2이동패널 822..제2채널블록 823..제1연결브래킷
830..제3슬라이더 831..제3이동패널 832..제3채널블록
833.제2연결브래킷

Claims (3)

  1. 삭제
  2. 도어프레임(600) 하부의 센터레일(610)을 따라 이동하며 중앙도어(700)와 결합되는 제1슬라이더(810)와, 상기 도어프레임(600) 하부의 실외측레일(620)을 따라 이동하며 실외측도어(710)와 결합되는 제2슬라이더(820)와, 상기 도어프레임(600) 하부의 실내측레일(630)을 따라 이동하며 실내측도어(720)와 결합되는 제3슬라이더(830)를 구비하여, 상기 도어프레임(600)의 하부에 상기 실외측도어(710)와 중앙도어(700) 및 실내측도어(720)가 중첩된 상태에서 상기 실외측도어(710) 또는 실내측도어(720) 중 어느 하나를 개폐하면 다른 하나도 연동하여 개폐되도록 하는 슬라이드 도어용 연동장치(800)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더(810)는 상기 중앙도어(700)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며 상면에는 평행한 한쌍의 직선구간(812a) 양단부가 반원구간(812b)으로 이어진 루프형 트랙홈(812)이 형성된 제1이동패널(811)과, 상기 제1이동패널(811)의 루프형 트랙홈(812)을 따라 수용 배치되어 미끄럼 이동이 가능한 강선 와이어(813)와, 상기 제1이동패널(811)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며 양측단 상부에는 상기 도어프레임(600)의 센터레일(610)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채널블록(815)이 마련된 덮개패널(814)과, 상기 루프형 트랙홈(812)의 반원구간(812b) 외측에 배치되되 상기 강선 와이어(813)가 상기 루프형 트랙홈(812)의 반원구간(812b)에서 접하면서 미끄러져 이동하도록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니들베어링(818)을 구비하며;
    상기 제2슬라이더(820)는 상기 실외측도어(710)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며 양측단 상부에는 상기 도어프레임(600)의 실외측레일(620)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채널블록(822)이 마련된 제2이동패널(821)과, 상기 제2이동패널(821)의 일측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강선 와이어(813)에 연결되며 상기 제1슬라이더(810)의 제1이동패널(811)과 덮개패널(814)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실외측 슬릿홈(816)을 따라서 상기 강선 와이어(813)와 함께 이동하는 제1연결브래킷(823)을 구비하고;
    상기 제3슬라이더(830)는 상기 실내측도어(720)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며 양측단 상부에는 상기 도어프레임(600)의 실내측레일(630)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채널블록(832)이 마련된 제3이동패널(831)과, 상기 제3이동패널(831)의 일측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강선 와이어(813)에 연결되고 상기 제1연결브래킷(823)과는 상호 어긋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슬라이더(810)의 제1이동패널(811)과 덮개패널(814)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실내측 슬릿홈(817)을 따라서 상기 강선 와이어(813)와 함께 이동하는 제2연결브래킷(83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도어용 연동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강선 와이어(813)는 상기 루프형 트랙홈(812)을 따라 미끄럼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테플론 피복(813a)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도어용 연동장치.
KR1020180048216A 2018-04-26 2018-04-26 슬라이드 도어용 연동장치 KR101895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216A KR101895775B1 (ko) 2018-04-26 2018-04-26 슬라이드 도어용 연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216A KR101895775B1 (ko) 2018-04-26 2018-04-26 슬라이드 도어용 연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5775B1 true KR101895775B1 (ko) 2018-10-04

Family

ID=63862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8216A KR101895775B1 (ko) 2018-04-26 2018-04-26 슬라이드 도어용 연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57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372B1 (ko) 2018-11-30 2020-03-10 전선기 와이어의 장력 조절이 가능한 연동 슬라이드 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9720A (ja) * 2003-11-06 2005-06-02 Enomoto Co Ltd 連動引戸
KR100969972B1 (ko) * 2010-03-23 2010-07-16 최현철 슬라이딩도어의 연동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9720A (ja) * 2003-11-06 2005-06-02 Enomoto Co Ltd 連動引戸
KR100969972B1 (ko) * 2010-03-23 2010-07-16 최현철 슬라이딩도어의 연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372B1 (ko) 2018-11-30 2020-03-10 전선기 와이어의 장력 조절이 가능한 연동 슬라이드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9141Y1 (ko) 3중 슬라이딩도어의 연동장치
KR101895775B1 (ko) 슬라이드 도어용 연동장치
KR102102092B1 (ko) 캠 로킹 샷건 게이트
KR20170025572A (ko) 3단 미닫이문용 연동장치
FI75210C (fi) Anordning foer oeppnande av pao en raet linje staellda moebelskjutdoerrar.
KR20090020472A (ko) 차량 문 조립체용 창문 조절 장치
US20220275682A1 (en) Hanging blinds
ATE471834T1 (de) Fahrzeugdach mit einem bewegbaren dachteil
US20200157868A1 (en) Sliding and braking device for sliding doors and shutters
KR101307894B1 (ko) 창문용 방풍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창문
KR101235721B1 (ko)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US5178199A (en) Bi-parting shutter system
US20050115153A1 (en) Vehicle door and method for closing a vehicle door window
ATE467024T1 (de) Vorrichtung zum schalten einer schiebeplatte aus einer geschlossenen position in eine geöffnete position und umgekehrt, und anordnung, die mindestens eine platte und eine vorrichtung der obigen art enthält
CN109415924B (zh) 左右推拉窗
KR101609579B1 (ko) 방풍 부재를 갖는 창
KR101799185B1 (ko) 도어용 연동장치
GB2086982A (en) Supporting lengths of chain in draw chain drives
KR102099674B1 (ko) 벨트창호
KR20170104410A (ko) 도어용 연동장치
AU2009243840A1 (en) Sectional door
KR102106891B1 (ko) 방풍장치를 구비한 3중 연동 도어
JP2009243103A (ja) 網戸装置
KR200374575Y1 (ko) 미닫이문 개폐구조
KR102259142B1 (ko) 다중 도어의 연동식 개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