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5501B1 - Disaster scenario electronic management system - Google Patents

Disaster scenario electronic managemen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5501B1
KR101895501B1 KR1020170023791A KR20170023791A KR101895501B1 KR 101895501 B1 KR101895501 B1 KR 101895501B1 KR 1020170023791 A KR1020170023791 A KR 1020170023791A KR 20170023791 A KR20170023791 A KR 20170023791A KR 101895501 B1 KR101895501 B1 KR 101895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ster
scenario
evaluation
management system
tr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37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97093A (en
Inventor
임상규
이명진
조현승
오금호
최우정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70023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5501B1/en
Publication of KR20180097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70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5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55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난사항에 따른 적절한 대응 시나리오를 작성하는 관리시스템과, 관리시스템에 따른 시나리오가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실질적으로 재난사항에서 적용 가능한지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기준을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평가하여 이를 적용한 재난 시나리오 전자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관리시스템에 로그인하는 로그인 단계(S10)와; 로그인한 재난대응을 위한 유관기관과 재난유형별 시나리오를 공동으로 작성하는 작성단계(S20)와; 작성된 시나리오에 따른 훈련사항을 체크하는 체크사항을 작성하는 체크단계(S30)와; 작성된 시나리오 및 평가사항을 훈련을 실시하는 사용자와 평가자에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스마트 웹을 배포하는 배포단계(S40)와; 배포된 스마트 웹을 활용하여 주여진 과제에 따른 정보를 스마트 웹으로 제공하는 정보제공단계(S50)와; 스마트 웹에 의해 제공된 재난사항 시나리오 및 정보에 의해 재난사항을 훈련하는 훈련단계(S60)와; 훈련상태를 실시간으로 스마트 웹으로 평가자가 체크하여 평가하는 평가단계(S80)와; 상기 평가단계가 실시간으로 취합되어 시나리오에 따른 자료가 입력되어 이를 확인하는 확인단계(S10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agement system for creating appropriate response scenarios according to a disaster and a real-time evaluation system for assessing whether a scenario according to the management system can be practically applied in a real- Scenario electronic management system.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ogin step (S10) of logging into a management system; (S20) for jointly creating a scenario related to a disaster type and a related organization for responding to the disaster; A checking step (S30) of generating a check item for checking a training item according to the created scenario; A distribution step (S40) of distributing a smart web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a user and an evaluator who train the created scenario and evaluation items; An information providing step (S50) of providing smart web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ssigned task by utilizing the distributed smart web; A training step (S60) of training the disaster by the disaster scenarios and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mart web; An evaluation step (S80) in which the evaluator checks and evaluates the training state on a smart web in real time; (S100) that the evaluation step is collected in real time and data according to the scenario is inputted and confirmed.

Description

재난 시나리오 전자관리시스템{Disaster scenario electronic management system}Disaster scenario electronic management system [

본 발명은 재난 시나리오 전자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재난사항에 따른 적절한 대응 시나리오를 작성하는 관리시스템과, 관리시스템에 따른 시나리오가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실질적으로 재난사항에서 적용 가능한지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기준을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평가하여 이를 적용한 재난 시나리오 전자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management system for a disaster scenario, and more particularly, to a management system for creating an appropriate response scenario according to a disaster, and a system capable of evaluating whether or not a scenario according to the management system is practically applicable in real- And the electronic management system of the disaster scenario to which the evaluation criteria are applied in real time in the field.

태풍이나 해일, 폭우나 폭설, 지진, 산불, 도로의 붕괴, 가스사고 등과 같은 각종 재해재난은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발생하여 많은 인적, 물적 피해를 야기한다.Various disasters such as typhoons and tsunamis, heavy rains and heavy snow, earthquakes, forest fires, road collapses and gas accidents are caused by unforeseen circumstances and cause many human and material damages.

이러한 재난 상황에 대해서 대처하기 위해 설립된 공적 또는 사적인 각각의 기관은 재난상황에 대해서 정보를 수집하고 각 재난상황별로 적절한 대책을 수립하여야 한다.Each public or private organization established to deal with these disasters should collect information on the disaster situation and establish appropriate measures for each disaster situation.

그런데, 이러한 재난상황은 현재 조직적으로 수집되지 못하고 각 상황별 개개의 재난관리자가 산발적으로 수집하고 있다.However, these disasters are not collected systematically and are collected sporadically by individual disaster managers in each situation.

예컨대, 폭우로 인해 도로가 붕괴된 경우 이어지는 차량 사고 등으로 많은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나, 이러한 재난상황에 대해서 도로관리기관에서 자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는 상황 파악 요원 등의 역량에 의지하여 재난상황을 파악하고 있다.For example, when a road collapses due to heavy rains, a lot of damage may occur due to a car accident, etc. However, in view of such a disaster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grasp a disaster situation by relying on the capability of a situation- have.

그러나, 사고의 종류에 따라서는 사고 현장에 재난상황 파악 요원의 투입이 늦어지는 경우가 있고 또한 인적 한계 등에 기인하여 모든 상황에 대해서 정확하게 파악하는 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However, depending on the type of accident, the input of the disaster situation monitoring staff may be delayed at the accident site. Also, due to human limitations, it takes much time to accurately grasp the situation.

이는 신속한 상황 파악에 따라 복구구호물품의 확보나 복구구호 장비의 투입 등과 같은 필요한 조치의 방향과 규모를 예측하는 데에 매우 큰 문제점이 되고 있다.This is a huge problem in predicting the direction and scale of the necessary measures such as securing recovery aid items and inputting the relief equipment according to the rapid situation grasp.

그리고, 재난이 발생한 경우 재난에 대해 가장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자는 현장에 있는 현장요원이며, 따라서 재난발생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고 제공된 정보가 중앙집중적으로 관리되어 필요한 재난관리자에게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은 재난 발생시 신속한 대처를 위해 매우 시급하게 필요한 실정이다.In the event of a disaster, the person who can best grasp the disaster is the field agent at the site, and therefore, provide information on the occurrence of the disaster, and the information provided is centrally managed and promptly and accurately communicated to the disaster manager This is a very urgent need for rapid response.

아울러,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재난의 신속하고 원활한 처리를 위해서는 다양한 유관기관들의 긴밀한 협조가 요청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deal with these various types of disasters quickly and smoothly, a close cooperation among various related organizations is required.

이에 대하여 우리나라에는 국민안전처가 재난대응 전담기관으로의 역할을 담당하며, 재난 현장에서의 자원운영을 규정하고 있는 긴급구조대응활동 및 현장지휘에 관한 규칙, 각종 현장대응 매뉴얼이 수립되었다.On the other hand, the National Security Agency plays a role as a special agency for disaster response in Korea, and emergency response activities, rules on on - site command and various on - site response manuals are established.

그러나, 이러한 매뉴얼 등은 종이 형태의 책자로 제작되어 배포되며, 그 내용은 방대하기 때문에, 이러한 매뉴얼에 의한 대응보다는 지휘관의 판단에 의한 상황대응이 진행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고, 매뉴얼은 각 유관기관별로 배포되기 때문에 유관기관들 간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한 경우에는 신속한 대응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since these manuals are produced and distributed in the form of booklets and their contents are vast, it is a reality that the situation response by the judgment of the commander is proceeding rather than the response by these manual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respond promptly when close cooperation among related organizations is required.

더욱이 방재환경의 변화에 의한 대형 풍수해, 지진 등 자연 재난에 대비하고 국민 생활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현장 대응 전략뿐만 아니라 보다 체계적이고 근본적인 현장 대응을 위한 시나리오 기반의 지침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pare for natural disasters such as large-scale floods and earthquakes by the change of disaster prevention environment, and to secure the lives of the people, it is required to develop not only on-site response strategies but also scenario-based guidelines for more systematic and on-site response.

이러한 지침 및 매뉴얼을 현장에서 실용성 있게 적용이 가능한지를 확인하기 위해 적절한 재난발생에 따른 훈련사항을 체크하여 실제 재난사항 신속하게 대체할 수 있는 재난사항에 따른 시나리오와 그 시나리오가 현장에서 평가하여 적용 가능한지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었다. To ensure that these guidelines and manuals can be applied practically in the field, check the appropriate disaster-related training items to find out the scenarios based on the disaster that can quickly replace the actual disaster, Development of an evaluation system was urgently required.

아울러, 종래에는 공개특허공보 제 10-2016-0110867호 (2016.09.22.), [웹페이지] BCM 지원 솔루션 '솔메 BCMS'(2014.11.27)이 제시된바 있다
In addition, in the past, a solution of 'BCM support solution' SOLME BCMS '(2014.11.27) has been proposed in [Patent document 10-2016-0110867 (2016.09.22.)]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재난사항에 따른 적절한 대응 시나리오를 작성하는 관리시스템과, 관리시스템에 따른 시나리오가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실질적으로 재난사항에서 적용 가능한지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기준을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평가하여 이를 적용한 재난 시나리오 전자관리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anagement system for creating an appropriate response scenario according to a disaster and an evaluation standard for evaluating whether a scenario according to the management system can be practically applied in real- And to provide an electronic management system of a disaster scenario in which it is evaluated in real time in a field and applied thereto.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시나리오 전자관리시스템에 있어서, 관리시스템에 로그인하는 로그인 단계(S10)와; 로그인한 재난대응을 위한 유관기관과 재난유형별 시나리오를 공동으로 작성하는 작성단계(S20)와; 작성된 시나리오에 따른 훈련사항을 체크하는 체크사항을 작성하는 체크단계(S30)와; 작성된 시나리오 및 평가사항을 훈련을 실시하는 사용자와 평가자에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스마트 웹을 배포하는 배포단계(S40)와; 배포된 스마트 웹을 활용하여 주여진 과제에 따른 정보를 스마트 웹으로 제공하는 정보제공단계(S50)와; 스마트 웹에 의해 제공된 재난사항 시나리오 및 정보에 의해 재난사항을 훈련하는 훈련단계(S60)와; 훈련상태를 실시간으로 스마트 웹으로 평가자가 체크하여 평가하는 평가단계(S80)와; 상기 평가단계가 실시간으로 취합되어 시나리오에 따른 자료가 입력되어 이를 확인하는 확인단계(S10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disaster scenario electronic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og-in step (S10) of logging into a management system; (S20) for jointly creating a scenario related to a disaster type and a related organization for responding to the disaster; A checking step (S30) of generating a check item for checking a training item according to the created scenario; A distribution step (S40) of distributing a smart web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a user and an evaluator who train the created scenario and evaluation items; An information providing step (S50) of providing smart web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ssigned task by utilizing the distributed smart web; A training step (S60) of training the disaster by the disaster scenarios and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mart web; An evaluation step (S80) in which the evaluator checks and evaluates the training state on a smart web in real time; (S100) that the evaluation step is collected in real time and data according to the scenario is inputted and confirmed.

본 발명에 있어서, 각각의 유형별 시나리오에 따른 돌발사항을 적용하는 돌발사항 단계(S70)가 더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an unexpected step (S70) for applying an incident according to each type-specific scenario is further perform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평가단계(S80)에 의해 평가자가 현장에서 평가된 점수를 합산하여 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합산단계(S90)가 더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valuator sums the scores evaluated in the field by the evaluating step (S80) and provides them in real time (S90).

본 발명에 있어서, 관리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시나리오 및 정보가 실시간으로 스마트 웹에 제공됨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scenarios and information provided in the management system are provided to the smart web in real time.

본 발명에 있어서, 관리시스템에서 제공되는 평가 체크기준에 따라 실시간으로 훈련사항을 스마트 웹으로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evaluate the training items on the smart web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evaluation check criteria provided in th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시나리오 전자관리시스템은 재난사항에 따른 적절한 대응 시나리오를 작성하는 관리시스템과, 관리시스템에 따른 시나리오가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실질적으로 재난사항에서 적용 가능한지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기준을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평가하여 이를 적용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The electronic management system of a disaster scenari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nagement system for creating an appropriate response scenario according to a disaster and an evaluation standard for evaluating whether a scenario according to the management system is practically applicable in a real- There is an excellent effect of evaluating in real time and applying it.

또한, 시나리오를 유관기관과 공동으로 작성하고, 이를 신속히 확인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xcellent effect that a scenario can be created jointly with related organizations and can be confirmed quickly.

또한, 훈련평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재난사항에 따른 적절한 매뉴얼을 작성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xcellent effect that the training evaluation can be confirmed in real time and an appropriate manual can be prepared according to the disaster.

또한, 평가자가 별도로 평가점수를 합산할 필요없이 현장에서 체크된 훈련평가를 실시간으로 합산하여 이를 공동으로 확인함으로 평가결과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xcellent effect that the evaluator can quickly check the evaluation result by collecting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training in the field in real time without collecting the evaluation score separately.

또한, 재난사항시 발생할 수 있는 돌발사항을 실시간으로 배포하고 이를 평가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xcellent effect of distributing and evaluating sudden events that may occur in the event of disasters in real ti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시나리오 전자관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시나리오 전자관리시스템이 사용자의 통신기기에 전송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나리오 작성단계에 따른 적용사례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시스템 및 스마트 웹의 로그인 단계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4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재난사항별 매뉴얼을 작성하여 기본 시나리오를 작성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재난유형별 시나리오를 작성하고 이를 스마트 웹에 적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13은 재난사항에 따라 스마트 웹에 연계하여 제공되는 정보의 일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14은 스마트 웹에 제공된 시나리오에 대한 훈련평가가 실시간으로 관리시스템에 제공되어 합산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15 내지 도 18은 시나리오에 대한 평가기준 체크 리스트를 예시한 사용상태도.
1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isaster scenario electronic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use state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disaster scenario electronic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ransmitted to a user's communication device; FIG.
FIG. 3 is a use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management system and a login step of a smart we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n application example according to a scenario creation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to 11 are explanatory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sic scenario is created by preparing a manual for each disa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cenario in which a scenari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reated and applied to a smart web. FIG.
Figure 13 is a usage diagram schematically depicting one embodiment of information provided in connection with a smart web in accordance with a disaster;
14 is a usage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training evaluation for a scenario provided to a smart web is provided to a management system in real time and added up.
15 to 18 are use state diagrams illustrating an evaluation criteria check list for a scenario;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재난 시나리오 전자관리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lectronic management system for a disaster scenario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시나리오 전자관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시나리오 전자관리시스템이 사용자의 통신기기에 전송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FIG. 1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disaster scenario electronic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isaster scenario electronic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ransmitted to a user's communication device.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나리오 작성단계에 따른 적용사례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시스템 및 스마트 웹의 로그인 단계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3 is a use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log-in step of a management system and a smart we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n application example according to a scenario creation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4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재난사항별 매뉴얼을 작성하여 기본 시나리오를 작성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4 to 11 are utilization stat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sic scenario is created by creating a manual for each disa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재난유형별 시나리오를 작성하고 이를 스마트 웹에 적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13은 재난사항에 따라 스마트 웹에 연계하여 제공되는 정보의 일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FIG. 12 is a usage state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cenario in which a scenario for each type of disa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reated and applied to the smart web. FIG. 13 illustrates an example of information provided in connection with a smart web according to a disaster. Which is schematically shown in Fig.

그리고, 도 14은 스마트 웹에 제공된 시나리오에 대한 훈련평가가 실시간으로 관리시스템에 제공되어 합산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15 내지 도 18은 시나리오에 대한 평가기준 체크 리스트를 예시한 사용상태도이다.14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training evaluation for a scenario provided to the smart web is provided and added to a management system in real time, and Figs. 15 to 18 are diagrams showing usage state diagrams to be.

그리고, 도 19는 재난사항에 따른 시나리오를 실시하기 위한 스마트 웹을 개략적으로 사용상태도이다.FIG. 19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tate in which a smart web is roughly used to implement a scenario according to a disaster.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시나리오 전자관리시스템(이하 관리시스템이라 칭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시스템에 로그인하는 로그인 단계(S10)와, 로그인한 재난대응을 위한 유관기관과 재난유형별 시나리오를 공동으로 작성하는 작성단계(S20)를 이룬다.1, a disaster scenario electronic management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gin step S10 for logging into a management system, (S20). ≪ / RTI >

그리고, 작성된 시나리오에 따른 훈련사항을 체크하는 체크사항을 작성하는 체크단계(S30)와, 작성된 시나리오 및 평가사항을 훈련을 실시하는 사용자와 평가자에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스마트 웹을 배포하는 배포단계(S40)를 이룬다.[0040] In addition, a checking step (S30) of creating a check item for checking the training items according to the created scenario, a distribution step (S40) of distributing the prepared web site and the smart web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user and the evaluator, ).

그리고, 배포된 스마트 웹을 활용하여 주여진 과제에 따른 정보를 스마트 웹으로 제공하는 정보제공단계(S50)와, 스마트 웹에 의해 제공된 재난사항 시나리오 및 정보에 의해 재난사항을 훈련하는 훈련단계(S60)를 이룬다.In addition, an information providing step (S50) of provid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ssigned task using the distributed smart web to the smart web, a training step (S60) of training the disaster information based on the disaster scenarios and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mart web, ).

그리고, 훈련상태를 실시간으로 스마트 웹으로 평가자가 체크하여 평가하는 평가단계(S80)와, 상기 평가단계가 실시간으로 취합되어 시나리오에 따른 자료가 입력되어 이를 확인하는 확인단계(S100)로 이루어진다.An evaluation step (S80) in which the evaluator checks and evaluates the training state in real time on the smart web, and a confirmation step (S100) in which the evaluation step is collected in real time and data according to the scenario is inputted and confirmed.

아울러, 각각의 유형별 시나리오에 따른 돌발사항을 적용하는 돌발사항 단계(S70)가 더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n unexpected step (S70) for applying an incident according to each type-specific scenario is further performed.

아울러, 상기 평가단계(S80)에 의해 평가자가 현장에서 평가된 점수를 합산하여 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합산단계(S90)가 더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summing step (S90) in which the evaluator sums the scores evaluated in the field by the evaluating step (S80) and provides them in real time is further preferably performed.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웹은 관리시스템에서 접속하여 관리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시나리오 및 정보에 실시간으로 제공된다.The smart we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ccessed from a management system and provided in real time to scenarios and information provided in the management system.

또한, 관리시스템에서 제공되는 평가 체크기준에 따라 실시간으로 훈련사항으로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also desirable to evaluate the training items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evaluation check criteria provided by the management system.

아울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시스템(10)에서 작성된 재난사항에 따른 시나리오는 무선통신망(20)을 통해 현장의 사용자 및 평가자의 통신기기(30)로 전달되어 스마트 웹을 활용한 재난사항 시나리오에 따른 훈련 및 훈련 평가를 이룬다.2, the scenario based on the disaster prepared in the management system 10 is transmitted to the user of the field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30 of the evaluator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20, And training and training assessments according to scenarios.

그리고, 스마트 웹에서 평가된 평가자료는 사용자의 통신기기(30)를 통해 무선통신망(20)을 이용 관리시스템(10)에 전달되어 훈련평가에 대한 합산 및 공개를 이루어 재난사항에 따른 시나리오 평가가 공개된다.The evaluation data evaluated in the smart web is transmitted to the utilization management system 1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20 through the user's communication device 30 and is summed up and disclosed for the evaluation of the training, It is public.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시나리오 전자관리시스템의 작용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disaster scenario electronic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시스템의 사용자는 관리시스템의 실행 및 작성을 위하여 관리시스템에 로그인 하는 로그인 단계(S10)를 이룬다.As shown in FIG. 3, the user of the management system performs a login step (S10) for logging into the management system for execution and creation of the management system.

상기 로그인 단계(S10)는 일반사용자 및 기관관리자가 고유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 설정하고, 관련된 부서 및 모바일 전송번호 및 제반정보를 입력 후 저장함으로 관리 시스템이 처음 실행되며, 처음 실행 후 아이디와 비밀번호로 관리 시스템이 실행된다.In the login step S10, a general user and an administrator enter and set a unique ID and a password, and a management system is first executed by inputting related department, mobile transmission number and various information, and storing the information. The management system is executed.

아울러, 자신이 소속되는 부서를 선택함으로 자신이 소속될 팀이 결정되며, 모바일 번호 입력은 관리시스템에 의한 스마트 웹과 상호 연동을 이루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team to which the mobile terminal belongs is determined by selecting the department to which the mobile terminal belongs, and the mobile number input is for interacting with the smart web by the management system.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그인 단계에 의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스마트 웹 또한 로그인에 의해 실행된다.Preferably, the smart web provided to the user by the login step is also executed by login.

그리고, 도 4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난유형별 시나리오를 공동으로 작성하는 작성단계(S20)를 이룸이 바람직하다.4 to 11, it is preferable to perform a creation step S20 of jointly creating scenarios for each type of disaster.

그 한 예로, 도 4는 팀 정보화 단계를 이루는 입력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해유형별 팀 소속과 정보 및 업무내용의 신규작성시 재해유형, 담당부서, 소속명, 업무내용 입력, 협업톡방 연계를 설정하고 이를 등록하여 저장 및 삭제를 이루며, 저장된 재해유형에 맞는 업무를 조회한다.For example, FIG. 4 shows a usage state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input state constituting a team informing step. As shown in FIG. 4, a team member belonging to a disaster type, a disaster type at the time of newly creating information and business contents, Name, business contents input, and collaborative connection, registers and registers and deletes them, and inquires the tasks corresponding to the stored disaster type.

이는, 재해유형에 따라 팀 정보가 입력되고, 재해발생시의 팀의 업무를 작성하여 이를 등록하여 사용자가 스마트 웹으로 재해발생시 재해에 따른 관련팀과 팀에 따른 업무를 바로 파악할 수 있도록 관리한다.This is done by inputting team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disaster, creating and registering the team's work at the time of the disaster, so that the user can grasp the work related to the related team and the team according to the disaster when a disaster occurs.

또한, 도 5는 팀 구성 단계를 이루는 팀 구성 및 임무 입력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로서, 재해유형 및 팀의 팀 구성원 및 임무를 신규입력, 수정, 등록, 삭제를 이루며, 소속된 팀 및 팀 구성원의 임무를 조회 확인한다.FIG. 5 is a usage state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team configuration and a mission input state constituting a team formation step, and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team member and a mission of a team are newly entered, corrected, View and confirm team members' duties.

이는, 팀 정보화 단계에 의해 재해유형별 팀 정보에 따라 팀에 소속되는 팀 구성원 및 각각의 구성원의 임무를 작성 등록하여 사용자가 스마트 웹으로 자신이 속한 팀의 구성원을 신속히 파악하고,According to the team informing step, the team members belonging to the team and the members of the respective members are created and registered according to the team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isaster type, so that the user quickly grasps the members of the team to which the team belongs,

팀 구성원의 임무를 바로 파악하여 임무의 혼선 및 중복을 방지하고 자신의 임무를 명확히 알아 재해발생시 신속히 자신의 인지하여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Identify team members' duties immediately to prevent confusion and duplication of duties, clearly identify their duties, and allow them to perceive and act quickly when a disaster strikes.

또한, 도 6은 업무절차 단계를 이루는 입력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해유형별로 팀이 단계별로 이루는 업무 절차를 신규입력, 수정, 등록, 삭제를 이루며, 단계별로 이루어지는 팀의 업무를 조회 확인한다.FIG. 6 is a use state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input state constituting a task procedure step. As shown in FIG. 6, a task procedure that a team performs step by step for a disaster type is newly input, corrected, registered, View and confirm the work of the team which is done step by step.

이는, 재해발생시 각각의 유형에 따라 팀이 단계별로 이루는 대응업무를 작성하여 이를 등록 관리함으로 사용자가 스마트 웹으로 자신이 속한 팀이 단계별로 이루는 업무를 신속하게 재해발생시 자신의 업무를 신속히 파악하여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This enables the user to quickly identify the tasks that his / her team has done step by step and quickly identify their tasks in the event of a disaster by allowing users to register and manage the corresponding tasks that the team performs step by step according to each type of disaster. .

아울러, 재해유형에 따른 신규 업무가 작성되면 재해유형 팀 목록에 순번형태로 표출됨으로 각 순번에 따라 업무를 순차적으로 신속하게 이룰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new task according to the disaster type is created, it is displayed in order of the disaster type team list, so that the task can be accomplished quickly and sequentially according to each order.

또한, 도 7은 체크리스트 단계를 이루는 입력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해유형별로 팀이 이루는 임무 및 업무에 따른 세부행동수칙 체크리스트를 신규등록, 수정, 삭제를 이루며, 체크리스트를 조회 및 확인하여 체크를 이룬다.FIG. 7 is a use state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input state constituting the checklist step. As shown in FIG. 7, the detailed operation rules check list according to the task and tasks of the team according to the disaster type is newly registered, Deletes the check list, checks and checks the check list, and makes a check.

아울러, 단체톡방과의 연계에 의해 관련내용을 채팅에 의해 신속히 상호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hare mutual information quickly by chatting related contents by linking with group chat room.

이는, 재해유형별로 팀과 팀 구성원의 임무 및 업무를 순번에 따라 순차적으로 이루는 세부행동수칙을 체크하여 임무 및 업무가 잘 이행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It can check whether the missions and tasks are well executed by checking the details of the actions that make the tasks and tasks of the team and the team members sequentially according to the disaster type,

채팅을 통해 임무 및 업무에 필요로 하는 정보를 사용자가 스마트 웹으로 신속히 전달 공유함으로 재해발생시 능동적으로 임무 및 업무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Through chatting, users can quickly share and transfer information needed for their tasks and tasks to the smart web, enabling them to actively perform their tasks and tasks in the event of a disaster.

또한, 도 8은 협업사항 단계를 이루는 입력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해유형 팀별 협업을 담당하는 부서와 임무를 신규등록, 수정, 삭제를 이루고, 재해유형에 따른 협업을 이루는 협업사항을 조회 및 확인 관리한다.8 is a usage state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input state constituting a collaboration step. As shown in FIG. 8, a division and a mission for collaborating by a disaster type team are newly registered, modified and deleted, To collaborate with others.

이는, 재해유형별로 각 기관 및 팀이 상호 협조하는 협업사항으로 등록 저장 관리함으로 재해발생에 따른 각 기관 및 팀이 상호 협조하여 재해에 따른 인적 물적 지원을 신속히 이루어 재해발생시 종합적인 재해발생에 따를 대응을 이룰 수 있다.This is because each institution and team cooperate with each other by the type of disaster, so that each institution and team that cooperate with each other in the event of disaster can cooperate with each other to speed up the human and material support according to the disaster, .

또한, 협업사항에 따라 필요로 하는 사용자가 스마트 웹으로 정보 및 지원을 채팅에 의해 요청 또는 지원함으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룰 수 있다.Also, according to the collaboration, the user can request and support information and support by chatting on Smart Web easily and quickly.

또한, 도 9는 참고사항 단계를 이루는 입력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해유형 팀별 참고사항을 신규등록, 수정, 삭제를 이루고, 재해유형별 참고사항을 조회 및 확인 관리한다.FIG. 9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the input state of the reference step. As shown in FIG. 9, reference items for a disaster type team are newly registered, modified, deleted, Check management.

이는, 재해유형별로 현장 또는 협업하는 각 기관 및 팀이 재해유형에 따라 참고하여할 대처 요령등을 등록 관리함으로 스마트 웹으로 재해발생시 예기치 않은 사항발생시 이를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This will enable each organization or team working on site or collaborating by type of disaster to register and manage countermeasures to be referred to according to the type of disaster so that smart webs can respond promptly when an unexpected event occurs in the event of a disaster.

또한, 도 10은 비상연락망 단계를 이루는 입력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로서, 재해유형 팀별 비상연락망을 신규등록, 수정, 삭제를 이루고, 재해유형에 따른 비상연락망을 조회 및 확인하여 비상연락이 이루게 관리한다.FIG. 10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n input state of the emergency communication network. The emergency communication network is newly registered, modified and deleted according to the disaster type team, and the emergency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disaster is inquired and confirmed. Manage.

이는, 재해발생에 따라 신속히 각 팀 구성원 및 협업가능한 기관 및 팀의 비상연락망 체계를 구축함으로 재해발생시 스마트 웹으로 이를 신속히 확인하고 비상연락을 취함으로 재해에 따른 신속대응을 이룰 수 있다. This enables quick team members and collaborative agencies and teams to establish an emergency contact network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so that when a disaster occurs, it can be confirmed quickly on a smart web and emergency response can be achieved by responding quickly to disasters.

또한, 도 11은 관리시스템에 의해 공지사항을 입력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사항 단계가 더 이루어져 관리시스템에서 공지사항으로 등록 및 관리함으로 사용자에게 새로운 공지사항을 신속하게 알려주고 필요없는 공지사항을 삭제함으로 사용자는 스마트 웹으로 새로운 공지사항으로 신속히 파악할 수 있다.11 is a use state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nnouncements are input by the management system. As shown in FIG. 11, the announcement step is further performed and registered and managed as a notification in the management system, By quickly notifying you of announcements and removing unnecessary announcements, users can quickly see them as new announcements on the Smart Web.

상기 도 4 및 도 11에 도시된 관리시스템에 의해 작성되는 기초 매뉴얼이 작성되어 재난사항에 대응할 수 있는 기본사항에 따라 재난사항에 따른 시나리오를 공동으로 작성하는 작성단계(S20)가 이루어진다.A basic manual created by the management system shown in FIG. 4 and FIG. 11 is created and a creation step S20 is performed in which a scenario based on a disaster is jointly created in accordance with basic matters that can cope with a disaster.

물론, 상기 도 4 및 도 11의 작성단계(S20)를 이루기 위한 한 예로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기본 매뉴얼을 작성하는 단계가 변경될 수 있으며, 그 한 예로 관리자에 의해 사용자를 선택하여 관리하는 관리자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Of course, as an example for forming the creation step (S20) of FIG. 4 and FIG. 11, the step of creating a basic manual by the user's selection can be changed. As an example, Steps may be further included.

아울러, 상기 작성단계(S20)에 재난사항에 따른 시나리오 단계가 더 포함됨은 물론이다.In addi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scenario step according to the disaster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creation step S20.

그리고, 작성된 시나리오에 따른 훈련사항을 체크하는 체크사항을 작성하는 체크단계(S30)가 이루어진다.Then, a check step (S30) for creating a check item for checking the training items according to the created scenario is performed.

이는,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평가 기준에 따라 훈련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평가리스트를 작성하여 작성된 평가리스트에 의해 훈련사항을 체크한다.
그 한 예로, 상기 체크단계(S30)은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크리스트에 의한 점수산정, 배점기준에 의한 점수산정, 체크리스크 및 배점기준의 혼합, 정성적 평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훈련사항을 체크하여 훈련사항의 점수를 산정하며,
상기 체크리스트에 의한 점수산정은, 체크리스트를 작성하고 체크 개수에 따라 점수가 부여되며, 체크리스트 개수 비정형, 배점 비중도 비정형으로 자유로이 설정되고, 점수 기준에 따라 등급을 부여하는 배점 기준도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배점기준에 의한 점수산정은 배점기준을 자유로이 설정하고, 기준 개수 비정형, 배점 기중도 비정형으로 자유로이 설정 가능하며, 점수 기준에 따라 등급을 부여하는 배점 기준도 자유로이 설정되고,
상기 체크리스크 및 배점기준의 혼합은, 체크리스트와 배점 기준 설정방식의 혼합방식으로 두가지 자유도를 동시에 지원하며, 점수 기준에 따라 등급을 부연하는 배점 기준도 자유로이 설정되고,
This creates an evaluation list capable of checking the training state according to the evaluation criteria shown in Figs. 15 to 18, and checks the training items by the created evaluation list.
For example, the checking step S30 may be performed as shown in Figs. 15 to 18, by using any one of a score calculation based on a check list, a score calculation based on a scoring criterion, a combination of a check risk and a scoring criterion, Select the training items, calculate the score of the training items,
The score calculation based on the check list is made by creating a check list and assigning a score according to the number of check, setting the number of check lists to be irregular, the weight of the points to be irregularly set freely, And,
The scoring based on the scoring criterion can be freely set, the scoring criteria can be freely set, the reference number irregularity, the grading period can be set arbitrarily, and a scoring standard for assigning scoring according to scoring criteria is freely set,
The combination of the check risk and the scoring criteria is a mixture of the checklist and the scoring standard setting method, and supports two degrees of freedom at the same time. Also, a scoring criterion for grading according to scoring criteria is freely set,

상기 정성적 평가는, 평가 항목의 내용을 평가자가 주관적으로 평가 또는 기준에 의해 판단형 점수를 부여하며, 주관적인 평가 기준에 의한 평가 모두를 지원하고, 점수 기준에 따라 등급을 부여하는 배점 기준도 자유로이 설정되어 상기 체크단계(S30)에 의해 평가 기준에 따라 훈련상태를 체크할 수 있음이 바람직하다.In the qualitative evaluation, the evaluator subjectively evaluates the contents of the evaluation item or assigns a judgment type score based on the criterion, supports both the evaluation based on the subjective evaluation criteria, and the rating criterion that gives the rating according to the score criterion is free It is preferable to check the training state according to the evaluation criterion by the check step S30.

그리고, 상기와 같이 관리시스템에 의해 작성된 시나리오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웹에 제공되는 배포단계(S40)를 이룬다.The scenario created by the management system as described above forms a distribution step S40 provided to the smart web as shown in FIG.

즉, 관리시스템에 의해 작성된 기본 매뉴얼과 상기 기본매뉴얼을 활용하여 공동으로 작성된 시나리오는 실시간으로 스마트 웹에 제공되어 공지사항 등을 통해 재난사항에 따른 훈련실시를 통보하면,In other words, a scenario prepared jointly by using the basic manual created by the management system and the basic manual is provided to the smart web in real time, and if notification of the training according to the disaster is notified through the announcement,

사용자는 관련 시나리오에 따라 재난사항에 따른 훈련을 실시하게 된다.The user will be trained according to the relevant scenarios.

그리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어진 시나리오에 따라 관련정보가 스마트 웹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정보제공단계(S50)을 이룬다.Then, as shown in FIG. 13, the information providing step (S50) is performed in which related information is delivered to the user via the smart web according to a given scenario.

이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 예에 따라 홍수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함으로 사용자는 제공된 홍수관련 정보를 제공받는다.This provid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flo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s shown in FIG. 13, so that the user is provided with the provided flood related information.

상기와 같이 제공된 정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로 재난사항 및 시나리오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는 변경된다.The information provided as above is an example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disaster and the scenario is changed.

그리고, 사용자는 스마트 웹에 제공되는 기본 매뉴얼을 활용하여 주어진 시나리오에 대응하여 훈련을 이루는 훈련단계(S60)을 이룬다.Then, the user uses the basic manual provided in the smart web to perform a training step (S60) for training in response to a given scenario.

아울러, 바람직하게는 훈련시 재난사항에 따른 돌발사항이 주어지는 돌발사항단계(S70)가 이루어 질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perform an emergency step S70 in which an accidental event is given according to a disaster at the time of training.

이는, 재난사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돌발사항에 대해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지를 훈련하기 위한 것이다.It is intended to train the ability to actively cope with the various emergencies that may arise from a disaster.

그리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가자는 스마트 웹을 활용하여 훈련평가를 실시간으로 이루는 평가단계(S80)을 이룬다.As shown in FIG. 14, the evaluator performs an evaluation step (S80) for realizing a training evaluation using a smart web.

그리고, 이루어진 훈련평가는 관리시스템에 제공되어 합산되는 합산단계(S90)가 더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performed training evaluation is further provided to the management system and summed up (S90).

그리고, 합산된 훈련평가점수는 공개되어 재난사항에 따른 시나리오의 평가상태를 확인하는 확인단계(S100)이 이루어진다.Then, the summed training evaluation score is released, and a confirmation step (S100) for confirming the evaluation state of the scenario according to the disaster is performed.

그리고, 확인된 시나리오의 평가점수에 따라 적용여부를 결정하여 결정된 시나리오에 따른 재난사항 대응 매뉴얼을 작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ke a disaster response manual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cenario by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apply it according to the score of the confirmed scenario.

아울러,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훈련평가를 위한 체크리스트는 사용자의 선택과 재난사항에 맞추어 여러형태로 작성되어 가장 바람직한 훈련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5 to 18, the check list for the training evaluation may be prepared in various forms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selection and disaster, so that the most preferable training evaluation can be performed.

또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시스템에서 작성된 재난사항에 따른 시나리오를 스마트 웹을 활용하여 용이하게 훈련을 이루고 이를 적절히 평가할 수 있다.
그 한 예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난 시나리오 전자관리시스템에서 접속하여 관리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시나리오 및 정보가 실시간으로 스마트 웹으로 제공되며, 평가 체크기준에 따라 실시간으로 훈련사항을 스마트 웹으로 평가되고, 상기 스마트 웹에 재난유형별 개인SOP 및 기관 SOP 검색, 조회, 업무절차 및 체크리스트, 비상연락망, 단체톡이 제공되게 메인화면, 업무체계도, 업무절차도, 체크리스트, 협업사항, 비상연락망, 참고사항이 노출되어 단계별로 선택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9, scenarios according to the disaster prepared in the management system can be easily trained using the smart web and evaluated appropriately.
As shown in FIG. 19, scenarios and information provided by the management system are accessed in a smart web in real time by accessing from the disaster scenario electronic management system, and the training items are evaluated in real time in the smart web A main screen, a work diagram, a work procedure diagram, a check list, a collaboration item, an emergency contact point, and an emergency contact information are provided in the smart web so that personal SOP and institutional SOP search, , It is desirable that the reference is exposed and selected step by step.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시나리오 전자관리시스템은 재난사항에 따른 적절한 대응 시나리오를 작성하는 관리시스템과, 관리시스템에 따른 시나리오가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실질적으로 재난사항에서 적용 가능한지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기준을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평가하여 이를 적용할 수 있다.Therefore, the electronic management system of a disaster scenari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management system for creating an appropriate response scenario according to a disaster and an evaluation standard for evaluating whether a scenario according to the management system can be practically applied in real- It can be evaluated in real time in the field and applied.

또한, 시나리오를 유관기관과 공동으로 작성하고, 이를 신속히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scenarios can be created jointly with relevant agencies and confirmed quickly.

또한, 훈련평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재난사항에 따른 적절한 매뉴얼을 작성할 수 있다.In addition, you can check the training evaluation in real time and write appropriate manual according to the disaster.

또한, 평가자가 별도로 평가점수를 합산할 필요없이 현장에서 체크된 훈련평가를 실시간으로 합산하여 이를 공동으로 확인함으로 평가결과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evaluation results can be checked quickly by collecting real-time checks of the training evaluations that were checked in the field and jointly confirming them, without requiring the evaluator to add up the evaluation scores separately.

또한, 재난사항시 발생할 수 있는 돌발사항을 실시간으로 배포하고 이를 평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istribute and evaluate sudden events that may occur during disasters in real time.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시나리오 전자관리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관리 시스템
20: 무선 통신망 30: 통신기기
10: Management System
20: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30: communication device

Claims (5)

관리시스템(10)에서 작성된 재난사항에 따른 시나리오는 무선통신망(20)을 통해 현장의 사용자 및 평가자의 통신기기(30)로 전달되어 스마트 웹을 활용한 재난사항 시나리오에 따른 훈련 및 훈련 평가를 이루며, 스마트 웹에서 평가된 평가자료는 사용자의 통신기기(30)를 통해 무선통신망(20)을 이용 관리시스템(10)에 전달되어 훈련평가에 대한 합산 및 공개를 이루어 재난사항에 따른 시나리오 평가가 이루어지는 재난 시나리오 전자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시스템(10)에서 작성되는 재난 시나리오는 관리시스템에 로그인하는 로그인 단계(S10)와; 로그인한 재난대응을 위한 유관기관과 재난유형별 시나리오를 공동으로 작성하는 작성단계(S20)와; 작성된 시나리오에 따른 훈련사항을 체크하는 체크사항을 작성하는 체크단계(S30)와; 작성된 시나리오 및 평가사항을 훈련을 실시하는 사용자와 평가자에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스마트 웹을 배포하는 배포단계(S40)와; 배포된 스마트 웹을 활용하여 주어진 과제에 따른 정보를 스마트 웹으로 제공하는 정보제공단계(S50)와; 스마트 웹에 의해 제공된 재난사항 시나리오 및 정보에 의해 재난사항을 훈련하는 훈련단계(S60)와; 훈련상태를 실시간으로 스마트 웹으로 평가자가 체크하여 평가하는 평가단계(S80)와; 상기 평가단계가 실시간으로 취합되어 시나리오에 따른 자료가 입력되어 이를 확인하는 확인단계(S100);로 이루어지되,
상기 체크단계(S30)는 평가 기준에 따라 훈련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평가리스트를 작성하여 작성된 평가리스트에 의해 훈련사항을 체크하여 점수를 산정하기 위하여, 체크리스트에 의한 점수산정, 배점기준에 의한 점수산정, 체크리스크 및 배점기준의 혼합, 정성적 평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훈련사항을 체크하여 훈련사항의 점수를 산정하며,
상기 체크리스트에 의한 점수산정은, 체크리스트를 작성하고 체크 개수에 따라 점수가 부여되며, 체크리스트 개수 비정형, 배점 비중도 비정형으로 자유로이 설정되고, 점수 기준에 따라 등급을 부여하는 배점 기준도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배점기준에 의한 점수산정은 배점기준을 자유로이 설정하고, 기준 개수 비정형, 배점 기중도 비정형으로 자유로이 설정 가능하며, 점수 기준에 따라 등급을 부여하는 배점 기준도 자유로이 설정되고,
상기 체크리스크 및 배점기준의 혼합은, 체크리스트와 배점 기준 설정방식의 혼합방식으로 두가지 자유도를 동시에 지원하며, 점수 기준에 따라 등급을 부연하는 배점 기준도 자유로이 설정되고,
상기 정성적 평가는, 평가 항목의 내용을 평가자가 주관적으로 평가 또는 기준에 의해 판단형 점수를 부여하며, 주관적인 평가 기준에 의한 평가 모두를 지원하고, 점수 기준에 따라 등급을 부여하는 배점 기준도 자유로이 설정되어 상기 체크단계(S30)에 의해 평가 기준에 따라 훈련상태를 체크할 수 있으며,
재난 시나리오 전자관리시스템에서 접속하여 관리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시나리오 및 정보가 실시간으로 스마트 웹으로 제공되며, 평가 체크기준에 따라 실시간으로 훈련사항을 스마트 웹으로 평가되고, 상기 스마트 웹에 재난유형별 개인SOP 및 기관 SOP 검색, 조회, 업무절차 및 체크리스트, 비상연락망, 단체톡이 제공되게 메인화면, 업무체계도, 업무절차도, 체크리스트, 협업사항, 비상연락망, 참고사항이 노출되어 단계별로 선택되어,
재난사항에 따른 대응 시나리오를 작성하는 관리시스템과, 관리시스템에 따른 시나리오가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재난사항에서 적용 가능한지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기준을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평가하여 이를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시나리오 전자관리시스템.
The scenario according to the disaster prepared in the management system 10 is transmitted to the user of the field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30 of the evaluator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20 to perform the training and the evaluation according to the disaster scenario using the smart web , The evaluation data evaluated in the smart web is transmitted to the utilization management system 1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20 through the user's communication device 30 and is summed up and disclosed for the training evaluation to perform scenario evaluation according to the disaster In a disaster scenario electronic management system,
The disaster scenario created in the management system 10 includes a login step S10 to log into the management system; (S20) for jointly creating a scenario related to a disaster type and a related organization for responding to the disaster; A checking step (S30) of generating a check item for checking a training item according to the created scenario; A distribution step (S40) of distributing a smart web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a user and an evaluator who train the created scenario and evaluation items; An information providing step (S50) of provid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 given task to a smart web using the distributed smart web; A training step (S60) of training the disaster by the disaster scenarios and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mart web; An evaluation step (S80) in which the evaluator checks and evaluates the training state on a smart web in real time; (S100) that the evaluation step is collected in real time and data according to the scenario is inputted and confirmed;
In the checking step S30, an evaluation list capable of checking the training state is created in accordance with the evaluation criteria, and the score is calculated by checking the training items with the prepared evaluation list and calculating the score by using the check list, The score of the training item is calculated by selecting one of the score calculation, the mixture of the check risk and the score criterion, and the qualitative evaluation,
The score calculation based on the check list is made by creating a check list and assigning a score according to the number of check, setting the number of check lists to be irregular, the weight of the points to be irregularly set freely, And,
The scoring based on the scoring criterion can be freely set, the scoring criteria can be freely set, the reference number irregularity, the grading period can be set arbitrarily, and a scoring standard for assigning scoring according to scoring criteria is freely set,
The combination of the check risk and the scoring criteria is a mixture of the checklist and the scoring standard setting method, and supports two degrees of freedom at the same time. Also, a scoring criterion for grading according to scoring criteria is freely set,
In the qualitative evaluation, the evaluator subjectively evaluates the contents of the evaluation item or assigns a judgment type score based on the criterion, supports both the evaluation based on the subjective evaluation criteria, and the rating criterion that gives the rating according to the score criterion is free And the training state can be checked according to the evaluation criteria by the checking step S30,
Scenarios and information provided by the management system in connection with the disaster scenario electronic management system are provided in a smart web in real time, training items are evaluated in real time as smart webs according to evaluation check standards, personal SOPs Main screen, work system diagram, work process diagram, check list, collaboration items, emergency contact network, and reference items are exposed step by step, so that the organization SOP search, inquiry, work process and check list, emergency contact network,
A management system that creates a response scenario according to a disaster, and an evaluation criterion that can evaluate whether a scenario according to the management system is applicable in a real-time disaster in the field, Disaster scenario electronic management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유형별 시나리오에 따른 돌발사항을 적용하는 돌발사항 단계(S70)가 더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시나리오 전자관리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S70) for applying a sudden event according to each type of scenario to the disaster scenario management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단계(S80)에 의해 평가자가 현장에서 평가된 점수를 합산하여 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합산단계(S90)가 더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시나리오 전자관리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S90) in which the evaluator sums the scores evaluated in the field by the evaluation step (S80) and provides the scores in real time (S90).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023791A 2017-02-22 2017-02-22 Disaster scenario electronic management system KR1018955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791A KR101895501B1 (en) 2017-02-22 2017-02-22 Disaster scenario electronic manageme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791A KR101895501B1 (en) 2017-02-22 2017-02-22 Disaster scenario electronic management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093A KR20180097093A (en) 2018-08-30
KR101895501B1 true KR101895501B1 (en) 2018-10-29

Family

ID=63453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3791A KR101895501B1 (en) 2017-02-22 2017-02-22 Disaster scenario electronic managemen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5501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2261B1 (en) 2019-08-07 2020-02-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Disaster response system based on digital sop and method thereof
KR102082262B1 (en) 2019-08-07 2020-05-2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Disaster response system based on digital sop and method thereof
KR102201772B1 (en) * 2020-07-22 2021-01-12 주식회사 포에스텍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ituation propagation platform to strengthen disaster response capabilities
KR102459506B1 (en) * 2021-09-09 2022-10-28 (주)비피에스 Apparatus for realistic virtual training and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6690A1 (en) * 2018-12-07 2020-06-11 한국로봇융합연구원 Disaster response robot, disaster response capability thereof being testable in lvc environment, test server therefor, trainee control terminal for trainee test, and trainee test server therefor
KR102208906B1 (en) * 2019-02-11 2021-01-28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response coordination through assessment of response network structural dynamic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2261B1 (en) 2019-08-07 2020-02-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Disaster response system based on digital sop and method thereof
KR102082262B1 (en) 2019-08-07 2020-05-2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Disaster response system based on digital sop and method thereof
KR102201772B1 (en) * 2020-07-22 2021-01-12 주식회사 포에스텍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ituation propagation platform to strengthen disaster response capabilities
WO2022019374A1 (en) * 2020-07-22 2022-01-27 주식회사 포에스텍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ituation propagation platform for strengthening disaster response capabilities
KR102459506B1 (en) * 2021-09-09 2022-10-28 (주)비피에스 Apparatus for realistic virtual training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093A (en) 2018-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5501B1 (en) Disaster scenario electronic management system
Owen et al. Values and complexities in assessing strategic‐level emergency management effectiveness
Menya et al. Inter-agency collaboration for fire disaster management in Nairobi City
Oberg et al. Disasters will happen-are you ready?
Matsuoka et al. Chapter 9 Partnership between city government and community-based disaster prevention organizations in Kobe, Japan
Son et al. Modeling an incident management team as a joint cognitive system
Diaz Intal et al. User experience design for disaster management mobile application using design thinking approach
Krock Lack of emergency recovery planning is a disaster waiting to happen
KR101895499B1 (en) Electronic Crisis Management Manual Smart Management System
Xia et al. Emergency management task complexity and knowledge-sharing strategies
Kosaka et al. Decision-making support utilizing real-time tsunami inundation and damage forecast
Dague et al. The United States Forest Service's incident command system 40 years on: From domestic wildfires to international disaster response
Davis Virtual emergency operations centers
Wiggill Communication management during the veld fires of 23 August 2011 in the Tlokwe Local Municipality: A cautionary tale
Khzam et al. Domain-specific software language for crisis management systems
CN202524422U (en) Disaster prevention and mitigation service platform for urban public buildings
Gill Countering the economic effects of bird flu through teleworking
Human et al. Risk assessment and the Disaster Resistant University (DRU) program: the University of Louisville approach
Sun et al. The fault-tolerant framework of large-scale disasters based on continuity management: A case of power network infrastructure
Wachtendorf Emergent organizations and networks in catastrophic environments
Roberts Developing Organization Resilience through Asset Management to Respond to COVID-19
Jennex Emergency response systems: Lessons from utilities and Y2K
Bailey The Impact of the National Incident Management System on Law Enforcement
Grommes et al. Comprehensive model of first responder operations & concept of operations
ESCAP Business Continuity Plan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