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4934B1 - 무선 조종 비행체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무선 조종 비행체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4934B1
KR101894934B1 KR1020160172870A KR20160172870A KR101894934B1 KR 101894934 B1 KR101894934 B1 KR 101894934B1 KR 1020160172870 A KR1020160172870 A KR 1020160172870A KR 20160172870 A KR20160172870 A KR 20160172870A KR 101894934 B1 KR101894934 B1 KR 101894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airplane
inner ring
middle r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2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0310A (ko
Inventor
곽준범
Original Assignee
곽준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준범 filed Critical 곽준범
Priority to KR1020160172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4934B1/ko
Publication of KR20180070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0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4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4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60/00Undercarriages
    • B64U60/60Undercarriages with rolling c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9/00Aircraft capable of landing or taking-off vertically, e.g.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aircraft
    • B64C29/0091Accessori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9/00Adjustable control surfaces or members, e.g. rudders
    • B64C9/14Adjustable control surfaces or members, e.g. rudders forming slots
    • B64C9/16Adjustable control surfaces or members, e.g. rudders forming slots at the rear of the wing
    • B64C9/18Adjustable control surfaces or members, e.g. rudders forming slots at the rear of the wing by single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25Fixed-wing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10W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3Propulsion using external fans or propellers
    • B64C2201/021
    • B64C2201/104
    • B64C2201/16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조종 비행체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무선 조종 비행체 어셈블리의 일 양태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전단에 구비되는 프로펠러, 상기 바디부의 양측에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는 한쌍의 주 날개 및 한쌍의 수평 꼬리 날개및 상기 바디부의 상면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는 수직 꼬리 날개를 포함하는 비행기; 상기 비행기의 외측에 배치되는 이너 링; 상기 이너 링의 외측에 배치되는 미들 링; 상기 미들 링의 외측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아웃터 링; 상기 바디부의 길이 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기 바디부를 관통한 상태에서 그 양단이 상기 이너 링의 내면에 고정되는 제1축; 상기 이너 링의 외면에 그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미들 링의 내면에 그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축; 및 상기 미들 링의 외면에 그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아웃터 링의 내면에 그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축; 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펠러의 구동에 의하여 추력이 발생하면, 적어도 상기 미들 링에 대한 상기 아웃터 링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아웃터 링이 지면을 따라서 구름 운동하여 상기 비행기가 활주 이륙하거나, 적어도 상기 이너 링에 대한 상기 비행기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비행기가 수직 이륙한다.

Description

무선 조종 비행체 어셈블리{RADIO-CONTROLLED FLIGHT VEHICLE ASSEMBLY}
본 발명은 무선 조종 비행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비행체란, 양력이나 추력에 의하여 공중에서 비행하는 장치의 총칭이다. 이와 같은 비행체가 비행을 위해서 이륙하는 방식은, 수평 방향으로의 추력에 의하여 가속되면서 발생하는 양력에 의하여 이륙하는 활주 이륙과 수직 방향으로의 추력에 의하여 수직 이륙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비행기는 활주 이륙하고, 헬리콥터나 드론은 수직 이륙한다. 따라서 비행체의 종류에 따라서 활주 이륙 또는 수직 이륙만 가능하게 된다.
(선행기술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653146호(명칭: 드론 컨트롤러)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활주 이륙 또는 수직 이륙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무선 조종 비행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무선 조종 비행체 어셈블리의 일 양태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전단에 구비되는 프로펠러, 상기 바디부의 양측에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는 한쌍의 주 날개 및 한쌍의 수평 꼬리 날개및 상기 바디부의 상면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는 수직 꼬리 날개를 포함하는 비행기; 상기 비행기의 외측에 배치되는 이너 링; 상기 이너 링의 외측에 배치되는 미들 링; 상기 미들 링의 외측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아웃터 링; 상기 바디부의 길이 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기 바디부를 관통한 상태에서 그 양단이 상기 이너 링의 내면에 고정되는 제1축; 상기 이너 링의 외면에 그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미들 링의 내면에 그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축; 및 상기 미들 링의 외면에 그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아웃터 링의 내면에 그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축; 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펠러의 구동에 의하여 추력이 발생하면, 적어도 상기 미들 링에 대한 상기 아웃터 링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아웃터 링이 지면을 따라서 구름 운동하여 상기 비행기가 활주 이륙하거나, 적어도 상기 이너 링에 대한 상기 비행기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비행기가 수직 이륙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축이 상기 비행기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프로펠러가 정지되면, 상기 바디부의 전단이 상기 바디부의 후단에 비하여 상향 경사지도록 상기 비행기의 무게 중심이 위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양단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이너 링, 미들 링, 아웃터 링의 내면 및 외면 중 일면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아웃터 링은, 서로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교차되는 다수개로 구성되고, 상기 아웃터 링은 동일한 가상의 구(球)의 구면(球面) 상에 배치되도록 서로 교차되는 부분의 내면이 상기 제3축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프로펠러의 구동에 의하여 추력이 발생하면, 상기 수평 꼬리 날개의 후단에 상하로 틸팅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타의 상기 수평 꼬리 날개에 대한 틸팅각에 따라서, 상기 비행기가 활주 이륙하거나 수직 이륙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승강타가 상기 수평 꼬리 날개에 대하여 상기 비행기가 상승되는 방향으로 기준 틸팅각 이하의 각도로 상방으로 틸팅된 상태에서 상기 프롤펠러의 구동에 의하여 추력이 발생하면, 상기 비행기가 전진하면서 적어도 상기 미들 링에 대한 상기 아웃터 링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아웃터 링이 지면을 따라서 구름 운동하여 상기 비행기가 활주 이륙하고, 상기 승강타가 상기 수평 꼬리 날개에 대하여 상기 비행기가 상승되는 방향으로 상기 기준 틸팅각 초과의 각도로 상방으로 틸팅된 상태에서 상기 프롤펠러의 구동에 의하여 추력이 발생하면, 적어도 상기 이너 링에 대한 상기 비행기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비행기가 수직 방향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수직 이륙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비행기가 활주 이륙 또는 수직 이륙한 후 공중에서 전진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이너 링, 미들 링 및 아웃터 링의 방향을 제어하는 제1 내지 제3방향 제어 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방향 제어 부재는, 상기 제2축의 일단이 그 중심에 배치되도록 상기 이너 링의 외면에서 상기 이너 링의 외주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방향 제어 부재는, 상기 제3축의 일단이 그 중심에 배치되도록 상기 미들 링의 외면에서 상기 미들 링의 외주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3방향 제어 부재는, 상기 제3축의 타단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아웃터 링의 외면에서 상기 아웃터 링의 외주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쌍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방향 제어 부재는, 상기 비행기의 비행에 의한 공기의 유동에 의하여 작용하는 양력에 의하여 상기 이너 링이 상기 비행기에 대하여 회전하여 가상의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방향 제어 부재는, 상기 비행기의 비행에 의한 공기의 유동에 의하여 작용하는 양력에 의하여 상기 미들 링이 상기 이너 링에 대하여 회전하여 상기 이너 링과 동일한 가상의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3방향 제어 부재는, 상기 비행기의 비행에 의한 공기의 유동에 의하여 작용하는 양력에 의하여 상기 아웃터 링이 상기 미들 링에 대하여 회전하여 상기 아웃터 링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이너 링 및 미들 링과 동일한 가상의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방향 제어 부재는, 상기 제2 및 제3축이 상기 비행기의 이동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이너 링, 미들 링 및 아웃터 링의 방향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무선 조종 비행체 어셈블리에서는, 비행기, 이너 링, 미들 링및 아웃터 링이 순차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승강타의 수평 꼬리 날개에 대한 틸팅각에 따라서 비행기의 활주 이륙 또는 수직 이륙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1개의 비행기로 다양한 방법으로의 이륙이 가능해진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방향 제어 부재에 의하여 비행기의 이륙 후 비행시 이너 링, 미들 링, 아웃터 링의 방향이 제어됨으로써, 이너 링, 미들 링, 아웃터 링에 의한 공기의 유동의 간섭 및 미들 링 및 아웃터 링의 불필요한 회전이 방지됨으로써, 비행기에 설치되는 카메라 등의 촬영을 위한 시야를 확보가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무선 조종 비행체 어셈블리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활주 이륙하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수직 이륙하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수평 비행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무선 조종 비행체 어셈블리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무선 조종 비행체 어셈블리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활주 이륙하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수직 이륙하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수평 비행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무선 조종 비행체 어셈블리(1)는, 비행기(100), 이너 링(200), 미들 링(300), 다수개의 아웃터 링(400), 제1 내지 제3축(510)(520)(530) 및 제1 내지 제3방향 제어 부재(610)(620)(630)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조종 비행체 어셈블리(1)에서는, 상기 비행기(100)의 활주 이륙 또는 수직 이륙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비행기(100)는, 바디부(110), 프로펠러(120), 한쌍의 주 날개(130), 한쌍의 수평 꼬리 날개(140) 및 수직 꼬리 날개(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10)는, 일반적으로 비행기의 바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펠러(120)는, 상기 바디부(110)의 전단에 구비되어 상기 비행기(100)의 활주 이륙 또는 수직 이륙을 위한 추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주 날개(130) 및 수평 꼬리 날개(140)는, 상기 바디부(110)의 양측의 전단과 후단에 수평 방향으로 구비된다. 상기 주 날개(130) 및 수평 꼬리 날개(140)에는 각각 상하로 틸팅 가능하게 플랩(131)과 승강타(141)가 설치된다. 상기 플랩(131)의 상기 주 날개(130)에 대한 틸팅에 의하여 상기 비행기(100)의 경사 방향으로의 좌우 선회가 이루어지고, 상기 승강타(141)의 상기 수평 꼬리 날개(140)에 대한 틸팅에 의하여 상기 비행기(100)의 승하강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수평 꼬리 날개(140)는, 상기 바디부(110)의 상면 후단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된다. 상기 수평 꼬리 날개(140)에는, 상기 비행기(100)의 수평 방향으로의 좌우 선회를 위한 방향타(151)가 좌우로 틸팅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비행기(100)는, 후술할 제1축(510)이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프로펠러(120)가 정지되면, 상기 바디부(110)의 전단이 상기 바디부(110)의 후단에 비하여 상향 경사지도록 상기 비행기(100)의 무게 중심이 위치된다. 이는, 상기 비행기(100)의 이륙 과정에서 작용하는 양력을 증가시키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이너 링(200)은, 상기 비행기(100)의 외측에 배치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미들 링(300)은, 상기 이너 링(20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이너 링(200)의 외측에 배치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아웃터 링(400)은, 상기 미들 링(300)과 이격되도록 상기 미들 링(300)의 외측에 배치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축(510)(520)(530)은, 상기 비행기(100)와 이너 링(200), 상기 이너 링(200)과 미들 링(300), 상기 미들 링(300)과 아웃터 링(400)을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축(510)은, 상기 바디부(110)의 길이 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기 바디부(110)를 관통한 상태에서 그 양단이 상기 이너 링(200)의 내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2축(520)의 양단은, 상기 이너 링(200)의 외면과 상기 미들 링(300)의 내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2축(520)은, 가상의 평면 상에서 상기 제1축(510)과 직교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3축(530)의 양단은, 상기 미들 링(300)의 외면과 상기 아웃터 링(400)의 내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3축(510)(520)(5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양단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이너 링(200), 미들 링(300), 아웃터 링(400)의 내면 및 외면 중 일면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축(520)의 타단이 상기 미들 링(300)의 내면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는, 상기 비행기(100)의 활주 이륙시 과정과 이륙한 후 공중에서 전진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미들 링(300) 및 아웃터 링(400)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허용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비행기(100)가 활주 이륙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제3축(530)이 상기 비행기(100)의 이동 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비행기(100)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아웃터 링(400)의 구름 운동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기 비행기(100)가 이륙한 후 공중에서 전진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제2 및 제3축(520)(530)이 상기 비행기(100)의 이동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비행기(100)가 전진 이동하더라도 상기 아웃터 링(400)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아웃터 링(400)이 4개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아웃터 링(400)이 제1 내지 제4아웃터 링(410)(420)(430)(44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지 제4아웃터 링(410)(420)(430)(440)은, 서로 45°의 각도로 경사지게 교차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4아웃터 링(410)(420)(430)(440)은 동일한 가상의 구(球)의 구면(球面) 상에 배치되도록 서로 교차되는 부분의 내면이 상기 제3축(530)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물론, 상기 아웃터 링(400)이 120°의 각도로 경사지게 교차되는 3개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실질적으로 상기 아웃터 링(400)은, 상기 비행기(100)가 활주 이륙하는 과정에서 지면을 따라서 구름 운동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로펠러(120)의 구동에 의하여 추력이 발생하면, 상기 비행기(100)가, 기설정된 만큼 지면을 활주한 후 이륙하는 활주 이륙하거나, 수직 방향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수직 이륙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비행기(100)가 활주 이륙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미들 링(300)에 대한 상기 아웃터 링(40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아웃터 링(400)이 지면을 따라서 구름 운동한다. 그리고 상기 비행기(100)가 수직 이륙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이너 링(200)에 대한 상기 비행기(10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비행기(100)가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어 수직 이륙한다. 이와 같은 상기 비행기(100)의 활주 이륙 또는 수직 이륙 여부는, 상기 승강타(141)의 상기 수평 꼬리 날개(140)에 대한 틸팅각에 따라서 결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타(141)가 상기 수평 꼬리 날개(140)에 대하여 상기 비행기(100)가 상승되는 방향으로 기준 틸팅각 이하의 각도로 틸팅된 상태에서 상기 프로펠러(120)의 구동에 의하여 추력이 발생하면, 상기 비행기(100)가 전진하면서 적어도 상기 미들 링(300)에 대한 상기 아웃터 링(40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아웃터 링(400)이 지면을 따라서 구름 운동하여 상기 비행기(100)가 활주 이륙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타(141)가 상기 수평 꼬리 날개(140)에 대하여 상기 비행기(100)가 상승되는 방향으로 상기 기준 틸팅각 초과의 각도로 틸팅된 상태에서 상기 프로펠러(120)의 구동에 의하여 추력이 발생하면, 적어도 상기 이너 링(200)에 대한 상기 비행기(10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비행기(100)가 수직 방향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수직 이륙한다.
여기서 '기준 틸팅각'은, 상기 프로펠러(120)의 구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추력에 의하여 상기 비행기(100)가 가속되고, 상기 비행기(100)의 가속에 의하여 발생되는 양력에 의하여 비행기가 전진하거나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상기 제1축(51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계값이라고 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기준 틸팅각은, 상기 비행기(100)의 무게나, 상기 주 날개(130) 또는/및 수평 꼬리 날개(140) 또는/및 승강타(141)의 형상이나 크기와 같은 인자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행기(100)의 활주 이륙 과정에서는, 상기 제3축(530)이 상기 비행기(100)의 이동 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비행기(100)의 직선 이동에 의하여 상기 아웃터 링(400)이 지면을 따라서 구름 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3방향 제어 부재(610)(620)(630)는, 상기 비행기(100)가 활주 이륙 또는 수직 이륙한 후 공중에서 전진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이너 링(200), 미들 링(300) 및 아웃터 링(400)의 방향을 제어한다. 상기 제1방향 제어 부재(610)는, 상기 제2축(520)의 일단이 그 중심에 배치되도록 상기 이너 링(200)의 외면에서 상기 이너 링(200)의 외주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2방향 제어 부재(620)는, 상기 제3축(530)의 일단이 그 중심에 배치되도록 상기 미들 링(300)의 외면에서 상기 미들 링(300)의 외주 방향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3방향 제어 부재(630)는, 상기 제3축(530)의 타단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아웃터 링(410)(420)(430)(440)의 외면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아웃터 링(410)(420)(430)(440)의 외주 방향으로 돌출되는 각각 한쌍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3방향 제어 부재(610)(620)(630)는, 상기 비행기(100)의 비행에 의한 공기의 유동에 의하여 작용하는 양력에 의하여 상기 이너 링(200), 미들 링(300) 및 아웃터 링(400)의 방향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방향 제어 부재(610)(620)는, 상기 이너 링(200) 및 미들 링(300)이 상기 비행기(100) 및 이너 링(200)에 대하여 각각 회전하여 상기 이너 링(200) 및 미들 링(300)이 동일한 가상의 평면, 즉 수평면 상에 위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방향 제어 부재(630)는, 상기 비행기(100)의 비행에 의한 공기의 유동에 의하여 작용하는 양력에 의하여 상기 아웃터 링(400)이 상기 미들 링(300)에 대하여 회전하여 상기 아웃터 링(400)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이너 링(200) 및 미들 링(300)과 동일한 가상의 평면, 즉 수평면 상에 위치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비행기(100)가 공중에서 전진 이동하는 방향으로 외부로 노출되는 링의 갯수를 최소화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비행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실질적으로는, 상기 제1 내지 제3방향 제어 부재(610)(620)(630)에 의하여 상기 제2 및 제3축(520)(530)이 상기 비행기(100)의 직선 이동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이너 링(200), 미들 링(300) 및 아웃터 링(400)의 방향이 제어된다. 따라서 상기 비행기(100)의 공중에서의 직선 이동시 상기 미들 링(300) 및 아웃터 링(400)의 불필요한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비행기(100)의 일측에 카메라 등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미들 링(300)이나 아웃터 링(400)의 회전에 의하여 카메라의 시야가 간섭받는 현상도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비행기 110: 바디부
120: 프로펠러 130: 주 날개
131: 플립 140: 수평 꼬리 날개
141: 승강타 150: 수직 꼬리 날개
151: 방향타 200: 이너 링
300: 미들 링 400: 아웃터 링
510: 제1축 520: 제2축
530: 제3축 610: 제1방향 제어 부재
620: 제2방향 제어 부재 630: 제3방향 제어 부재

Claims (10)

  1. 바디부(110), 상기 바디부(110)의 전단에 구비되는 프로펠러(120), 상기 바디부(110)의 양측에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는 한쌍의 주 날개(130) 및 한쌍의 수평 꼬리 날개(140) 및 상기 바디부(110)의 상면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는 수직 꼬리 날개(150)를 포함하는 비행기(100);
    상기 비행기(100)의 외측에 배치되는 이너 링(200);
    상기 이너 링(200)의 외측에 배치되는 미들 링(300);
    상기 미들 링(300)의 외측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아웃터 링(400);
    상기 바디부(110)의 길이 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기 바디부(110)를 관통한 상태에서 그 양단이 상기 이너 링(200)의 내면에 고정되는 제1축(510);
    상기 이너 링(200)의 외면에 그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미들 링(300)의 내면에 그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축(520); 및
    상기 미들 링(300)의 외면에 그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아웃터 링(400)의 내면에 그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축(530); 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펠러(120)의 구동에 의하여 추력이 발생하면, 적어도 상기 미들 링(300)에 대한 상기 아웃터 링(40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아웃터 링(400)이 지면을 따라서 구름 운동하여 상기 비행기(100)가 활주 이륙하거나, 적어도 상기 이너 링(200)에 대한 상기 비행기(10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비행기(100)가 수직 이륙하고,
    상기 비행기(100)가 활주 이륙 또는 수직 이륙한 후 공중에서 전진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이너 링(200), 미들 링(300) 및 아웃터 링(400)의 방향을 제어하는 제1 내지 제3방향 제어 부재(610)(620)(6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방향 제어 부재(610)는, 상기 제2축(520)의 일단이 그 중심에 배치되도록 상기 이너 링(200)의 외면에서 상기 이너 링(200)의 외주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방향 제어 부재(620)는, 상기 제3축(530)의 일단이 그 중심에 배치되도록 상기 미들 링(300)의 외면에서 상기 미들 링(300)의 외주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3방향 제어 부재(630)는, 상기 제3축(530)의 타단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아웃터 링(400)의 외면에서 상기 아웃터 링(400)의 외주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쌍으로 구성되는 무선 조종 비행체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510)이 상기 비행기(100)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프로펠러(120)가 정지되면, 상기 바디부(110)의 전단이 상기 바디부(110)의 후단에 비하여 상향 경사지도록 상기 비행기(100)의 무게 중심이 위치되는 무선 조종 비행체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축(510)(520)(5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양단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이너 링(200), 미들 링(300), 아웃터 링(400)의 내면 및 외면 중 일면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무선 조종 비행체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링(400)은, 서로 동일한 의 각도로 경사지게 교차되는 다수개로 구성되고,
    상기 아웃터 링(400)은 동일한 가상의 구(球)의 구면(球面) 상에 배치되도록 서로 교차되는 부분의 내면이 상기 제3축(530)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무선 조종 비행체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펠러(120)의 구동에 의하여 추력이 발생하면, 상기 수평 꼬리 날개(140)의 후단에 상하로 틸팅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타(141)의 상기 수평 꼬리 날개(140)에 대한 틸팅각에 따라서, 상기 비행기(100)가 활주 이륙하거나 수직 이륙하는 무선 조종 비행체 어셈블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타(141)가 상기 수평 꼬리 날개(140)에 대하여 상기 비행기(100)가 상승되는 방향으로 기준 틸팅각 이하의 각도로 상방으로 틸팅된 상태에서 상기 프로펠러(120)의 구동에 의하여 추력이 발생하면, 상기 비행기(100)가 전진하면서 적어도 상기 미들 링(300)에 대한 상기 아웃터 링(40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아웃터 링(400)이 지면을 따라서 구름 운동하여 상기 비행기(100)가 활주 이륙하고,
    상기 승강타(141)가 상기 수평 꼬리 날개(140)에 대하여 상기 비행기(100)가 상승되는 방향으로 상기 기준 틸팅각 초과의 각도로 상방으로 틸팅된 상태에서 상기 프로펠러(120)의 구동에 의하여 추력이 발생하면, 적어도 상기 이너 링(200)에 대한 상기 비행기(10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비행기(100)가 수직 방향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수직 이륙하는 무선 조종 비행체 어셈블리.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 제어 부재(610)는, 상기 비행기(100)의 비행에 의한 공기의 유동에 의하여 작용하는 양력에 의하여 상기 이너 링(200)이 상기 비행기(100)에 대하여 회전하여 가상의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방향 제어 부재(620)는, 상기 비행기(100)의 비행에 의한 공기의 유동에 의하여 작용하는 양력에 의하여 상기 미들 링(300)이 상기 이너 링(200)에 대하여 회전하여 상기 이너 링(200)과 동일한 가상의 평면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3방향 제어 부재(630)는, 상기 비행기(100)의 비행에 의한 공기의 유동에 의하여 작용하는 양력에 의하여 상기 아웃터 링(400)이 상기 미들 링(300)에 대하여 회전하여 상기 아웃터 링(400)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이너 링(200) 및 미들 링(300)과 동일한 가상의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제어하는 무선 조종 비행체 어셈블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방향 제어 부재(610)(620)(630)는, 상기 제2 및 제3축(520)(530)이 상기 비행기(100)의 직선 이동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이너 링(200), 미들 링(300) 및 아웃터 링(400)의 방향을 제어하는 무선 조종 비행체 어셈블리.
KR1020160172870A 2016-12-16 2016-12-16 무선 조종 비행체 어셈블리 KR101894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870A KR101894934B1 (ko) 2016-12-16 2016-12-16 무선 조종 비행체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870A KR101894934B1 (ko) 2016-12-16 2016-12-16 무선 조종 비행체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310A KR20180070310A (ko) 2018-06-26
KR101894934B1 true KR101894934B1 (ko) 2018-10-18

Family

ID=62788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2870A KR101894934B1 (ko) 2016-12-16 2016-12-16 무선 조종 비행체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493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01875A1 (en) * 2013-06-11 2016-01-07 Ecole Polytechnique Federale De Lausanne (Epfl)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erial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76899B1 (en) * 2002-01-25 2005-12-20 Kypros Tamanas All terrain vehicle
FR2973335B1 (fr) * 2011-03-29 2013-04-19 Inst Superieur De L Aeronautique Et De L Espace Micro/nano vehicule aerien commande a distance comportant un systeme de roulage au sol, de decollage vertical et d'atterrissage
KR101653146B1 (ko) 2015-09-04 2016-09-01 홍유정 드론 컨트롤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01875A1 (en) * 2013-06-11 2016-01-07 Ecole Polytechnique Federale De Lausanne (Epfl)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erial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310A (ko) 2018-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21117B1 (en) Control system and strategy for tail sitter
EP3188966B1 (en) Tilt winged multi rotor
AU2013375961B2 (en)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CN100503366C (zh) 用于倾转旋翼飞行器飞行控制的方法和装置
CN102905972B (zh) 用于在飞行中折叠桨叶的方法和设备
RU2018143878A (ru) Летательный аппарат вертикального взлета и посадки с конфигурациями наклона крыла
KR101884902B1 (ko) 무인비행체
WO2018031075A1 (en) Rotor-blown wing with passively tilting fuselage
JP2019503941A5 (ko)
US20190152593A1 (en) Aerodyne with vertical-takeoff-and-landing ability
KR20170135577A (ko) 틸팅 및 가변 피치 시스템이 적용된 무인 비행체
US20140110533A1 (en)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AU2016344527B2 (en) Air vehicl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thereof
KR20190133528A (ko) 비행체 및 비행체 자세 제어 시스템
KR101152703B1 (ko) 항공기
CA3052416A1 (en) Device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pitch control of a fixed-wing aircraft in stall/post-stall regime
KR101664899B1 (ko) 멀티콥터
EP3730404A1 (en)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and related control method
KR101894934B1 (ko) 무선 조종 비행체 어셈블리
KR101807179B1 (ko) X자 고정날개가 구비되는 드론
JP6803602B2 (ja) 飛行体の姿勢制御方法
JP3236741U (ja) テールシッタ式飛行体
US20230249816A1 (en) Flight vehicle
GB2545077B (en) Air Vehicle convertible between rotational and fixed-wing modes
WO2024155878A1 (en) Blade pitch coupled to propulsion system til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