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4634B1 - 데이터센터 전력 아키텍처를 위한 전력 관리 기법 - Google Patents

데이터센터 전력 아키텍처를 위한 전력 관리 기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4634B1
KR101894634B1 KR1020160125725A KR20160125725A KR101894634B1 KR 101894634 B1 KR101894634 B1 KR 101894634B1 KR 1020160125725 A KR1020160125725 A KR 1020160125725A KR 20160125725 A KR20160125725 A KR 20160125725A KR 101894634 B1 KR101894634 B1 KR 101894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manager
controller
voltage regulator
condi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5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4011A (ko
Inventor
벤자민 탱
대릴 츠쉬르하트
Original Assignee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오스트리아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오스트리아 아게 filed Critical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오스트리아 아게
Publication of KR20170044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4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4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4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8Supervision thereof, e.g. detecting power-supply failure by out of limits supervi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96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lowering the supply or operating volt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 G06F1/206Cooling means comprising thermal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28Monitoring task completion, e.g. by use of idle timers, stop commands or wait comman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85Servers; Data center rooms, e.g. 19-inch computer racks
    • H05K7/1488Cabinets therefor, e.g. chassis or racks or mechanical interfaces between blades and support structures
    • H05K7/1492Cabinets therefor, e.g. chassis or racks or mechanical interfaces between blades and support structures having electrical distribution arrangements, e.g. power supply or data commun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7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server racks or cabinets; for data centers, e.g. 19-inch computer racks
    • H05K7/20718Forced ventilation of a gaseous cool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Abstract

복수의 프로세서, 각 프로세서와 연관된 메모리, 프로세서 및 메모리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전압 조정기, 및 시스템 보드의 리소스를 관리하도록 구성된 보드 관리자를 포함하는 시스템 보드에 관한 리소스 활용을 관리하는 시스템 리소스 관리 방법은 전압 조정기의 제어기로 보드 관리자로부터의 동작 조건 정보를 전압 조정기의 제어기와 통신하는 프로세서에 독립적으로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각 제어기에 의해 수신되는 동작 조건 정보는 그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전압 조정기에 의해 조정되는 프로세서의 컴퓨팅 부하를 나타낸다. 이 방법은 보드 관리자에 의해 각 프로세서에 관한 제어기로 전달된 동작 조건 정보에 의해 표시된 처리 부하에 따라 전압 조정기의 전력 한도를 설정하기 위해, 동작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전압 조정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데이터 센터 전력 아키텍처의 전력 관리 기법{POWER MANAGEMENT FOR DATACENTER POWER ARCHITECTURES}
본 출원은 데이터센터 전력 아키텍처를 위한 전력 관리 체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최적의 전력 효율을 위한 데이터센터 내부의 전력 컴포넌트들의 동적 조정(dynamic scaling)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센터 전력 아키텍처는 AC 주 전력을 낮은 DC 전압으로 변환하여,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 처리 유닛), 메모리, 및 시스템에 포함된 그 밖의 다른 전자 컴포넌트, 예컨대 메모리, 그래픽 로직, I/O(input/output, 입력/출력) 등에 공급하는 복수의 변환기 단을 포함한다. 데이터센터 내부에는 복수의 랙이 있으며, 각각의 랙은 복수의 서버 보드를 갖고 있다. 일 예에서, 48V 분배 전압은 각 보드에서 12V로 하향 변환된 다음, 전압 조정기(voltage regulator, VR) 및 부하점(point of load, POL) 변환기에 의해 디지털 회로에 필요한 낮은 전압으로 변환된다. 각 보드는 전형적으로 N 개의 CPU(여기서 N은 예를 들면 2 또는 4일 수 있음) 및 CPU 당 2 개 이상의 메모리 뱅크를 포함한다. 각 전력 변환 단의 최적의 효율은 요구되는 총 입력 전력이 모든 단의 효율의 곱의 함수인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더욱이, 데이터센터에 의해 소모되는 상당량의 에너지는 팬 및 냉난방 장치의 열관리를 위해 사용된다. 컴퓨팅 리소스의 비효율적인 사용은 전력 변환기의 비효율적인 동작을 초래하는 잠재성이 있어서 결국 냉각 시스템에 무리가 생긴다. 그래서 개개의 CPU 레벨에서 전력 관리 체계의 개선은 미미하더라도 데이터센터 레벨에서는 극적인 전력 효율에 이르게 할 수 있다.
시스템 보드의 리소스 활용을 관리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시스템 보드는 복수의 프로세서, 각 프로세서와 연관된 메모리, 프로세서 및 메모리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전압 조정기, 및 시스템 보드의 리소스를 관리하도록 구성된 보드 관리자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전압 조정기의 제어기와 통신하는 프로세서에 독립적으로, 보드 관리자로부터의 동작 조건 정보를 전압 조정기의 제어기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각 제어기에 의해 수신되는 동작 조건 정보는 그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전압 조정기에 의해 조정되는 프로세서의 컴퓨팅 부하를 나타낸다. 이 방법은 보드 관리자에 의해 각 프로세서에 관해 제어기로 전달된 동작 조건 정보에 의해 표시된 처리 부하에 따라 전압 조정기의 전력 한도를 설정하기 위해, 동작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전압 조정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개개의 프로세서는 각자의 전압을 제어하도록 허용되지만, 보드 관리자는 전압 조정기에서 전력 한도를 설정할 수 있다. 보드 관리자에 의해 결정된 각 전압 한도는 대응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설정된 동적 전압을 고려한다.
시스템 보드가 개시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 보드는 복수의 프로세서, 각 프로세서와 연관된 메모리, 프로세서 및 메모리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전압 조정기, 및 보드 관리자를 포함한다. 보드 관리자는 전압 조정기의 제어기와 통신하는 프로세서에 독립적으로, 동작 조건 정보를 전압 조정기의 제어기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며, 각 제어기에 의해 수신된 동작 조건 정보는 그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전압 조정기에 의해 조정되는 프로세서의 컴퓨팅 부하를 나타낸다. 보드 관리자는 또한 보드 관리자에 의해 각 프로세서에 관해 제어기로 전달된 동작 조건 정보에 의해 표시된 처리 부하에 따라 전압 조정기의 전력 한도를 설정하기 위하여, 동작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전압 조정기를 각자의 제어기를 통해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데이터센터가 개시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센터는 복수의 랙 - 각각의 랙은 그 랙의 리소스를 관리하도록 구성된 랙 관리자를 가짐 -과, 복수의 시스템 보드 - 각각의 시스템 보드는 복수의 프로세서, 각각의 프로세서와 연관된 메모리, 프로세서 및 메모리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전압 조정기, 및 보드 관리자를 가짐 - 를 포함한다. 보드 관리자는 전압 조정기의 제어기와 통신하는 프로세서에 독립적으로, 동작 조건 정보를 시스템 보드의 전압 조정기의 제어기로 전달함으로써- 각 제어기에 의해 수신된 동작 조건 정보는 그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전압 조정기에 의해 조정되는 프로세서의 컴퓨팅 부하를 나타냄 -, 또한 보드 관리자에 의해 각 프로세서에 관해 제어기로 전달된 동작 조건 정보에 의해 표시된 처리 부하에 따라서 전압 조정기의 전력 한도를 설정하기 위하여, 동작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시스템 보드의 전압 조정기를 각각의 제어기를 통해 제어함으로써 그 시스템 보드의 리소스를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데이터센터 관리자는 또한 데이터센터의 리소스를 관리하도록 구성된 데이터센터를 포함한다.
본 기술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어 보고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 부수적인 특징 및 장점을 인식할 것이다.
도면의 구성요소들은 반드시 서로에 대해 크기가 비례할 필요는 없다. 동일한 참조 부호는 대응하는 유사 부품을 지정한다. 예시된 다양한 실시예의 특징들은 서로 배제하지 않는 한 조합될 수 있다. 실시예는 도면에서 도시되며 다음의 설명 단원에서 자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라서, 시스템 보드의 리소스를 관리하도록 구성된 보드 전력 관리자를 포함하는 시스템 보드의 블록도를 예시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라서, 시스템 보드의 리소스 활용을 관리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예시한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라서, 복수의 시스템 보드 및 시스템 보드와 통신하여 랙의 리소스를 관리하도록 구성된 랙 레벨 전력 관리자를 포함하는 랙의 블록도를 예시한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라서, 복수의 랙 및 랙과 통신하여 데이터센터의 리소스를 관리하도록 구성된 데이터센터 레벨 전력 관리자를 포함하는 데이터센터의 블록도를 예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데이터센터 내부의 컴포넌트의 전력 효율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결정된 전력 효율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이러한 컴포넌트의 활용을 제어하는 전력 관리자를 활용한다. 데이터센터의 보드 레벨에서, 보드 관리자는 전압 조정기의 제어기와의 직접 통신 링크를 갖고 있다. 제어기는 프로세서에 인가되는 전압이 효율적으로 조정되도록 전압 조정기의 동작을 관리하며, 다양한 상이한 전력 모드에 들어가는 기능을 갖고 있다. 그래서 보드 관리자는 제어기와 통신하는 프로세서에 독립적으로 전압 조정기 제어기와의 직접 통신 링크를 갖고 있다. 보드 관리자는 각각의 프로세서와 연관된 전압 조정기의 전력 효율을 표시하는 원격측정 정보(telemetry information)(예를 들면, 전압 조정기의 입력 전력)를 수신한다. 이와 같은 원격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보드 관리자는 보드상의 어느 프로세서가 최적의 전력 효율을 위해 어떤 조건에서 사용되어야 하는지를 표시하는 효율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종래의 데이터센터 전력 관리 기술과 비교하여 여러 현저한 장점이 있다. 통상적으로, 각 프로세서는 그의 전압 조정기의 제어기와 직접 통신하며 다양한 요인에 의거하여 전력 상태를 업 또는 다운 조절한다. 그러나 프로세서는 시스템 내 다른 프로세서-전압 조정기 쌍의 전력 효율 또는 활용에 관한 상황파악이 어렵다. 여러 가지 이유 때문에, 각 보드 상의 전압 조정기 중 어떤 전압 조정기는 주어진 전력 설정 하에서 더 효율적이거나 덜 효율적일 수 있다. 이러한 이유는 예를 들면 컴포넌트의 프로세스 변동 및 컴포넌트의 물리적 이격 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보드 관리자는 주어진 조건하에서 가장 효율적인 프로세서-전압 조정기 쌍에 작업 부하를 배정하고, 필요할 때 덜 효율적인 프로세서-전압 조정기 쌍을 활용하면 될 뿐이다. 그뿐만 아니라, 보드 관리자는 전압 조정기의 전력 상태를 무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각자의 전압을 조절하는 것에서 벗어날 수 있으며, 대응하는 전압 조정기가 대처할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력 모드 사이에서 불필요한 전이를 방지한다. 이와 같은 개념은 시스템 내부의 각 계층 레벨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랙 당 여러 보드를 포함하는 랙 레벨에서, 각 랙은 유사한 우선순위 방식을 이용하여 각자의 랙 내 개개 보드에 작업부하를 배정하는 전력 관리자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랙의 전력 관리자는 또한 랙 내부의 팬 속도 및 온도와 같은 냉각 설정을 제어할 수 있다. 동일한 개념은 복수의 랙을 제어하는 전력 관리자를 이용하는 데이터센터 레벨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서, 리소스 활용을 관리하도록 구성된 시스템 보드(100)의 대표적인 블록도가 도시된다. 시스템 보드(100)는 복수(예를 들면, 둘, 셋, 넷 등)의 프로세서(102)(예를 들면, CPU)를 포함한다. 시스템 보드(100)는 또한 프로세서(102)의 각각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104)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메모리(104) 유닛은 프로세서(102)의 각각에 연결된다. 시스템 보드(100)는 또한 프로세서(102) 및 메모리(104)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전압 조정기(voltage regulator, VR)(106)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전압 조정기(106)는 둘 이상의 전력 단(109)을 포함하는 다상 전압 조정기(106)이며, 각각의 전력 단(109)은 다상(multiphase) 전압 조정기의 위상을 제공하고 전류를 CPU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다상 벅 변환기(buck converter)의 경우, 다상 벅 변환기의 각 전력 단(109)은 그 위상을 인덕터를 통해 대응하는 프로세서(102)에 연결하기 위한 하이-사이드 트랜지스터(high-side transistor) 및 로우-사이드 트랜지스터(low-side transistor)를 포함한다.
CPU의 전력 수요가 변함에 따라, 전압 조정기(106)는 위상을 동적으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사용량이 적은 기간에서, 전압 조정기(106)는 전력 위상의 서브세트를 선택하고 다른 전력 위상(들)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이것은 흔히 위상 차단(phase shedding)이라 말한다. 각각의 전압 조정기(106)는 또한 각자의 전압 조정기의 동작을 관리하기 위한 제어기(107)를 포함한다. 전압 조정기는 논리적으로 단일의 유닛으로 예시되지만, 전력 트랜지스터 다이, 제어기 다이, 캐패시터, 인덕터 등과 같은 별개의 컴포넌트들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시스템은 또한 각각의 프로세서(102), 각각의 메모리(104) 유닛, 및 각각의 전압 조정기(106)와 통신하는 보드 관리자(108)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시스템은 보드 관리자(108)와 전압 조정기(106) 사이의 제 1 통신 링크(110), 및 보드 관리자(108)와 전압 조정기(106) 사이의 제 2 통신 링크(112)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통신 링크(110, 112)는 직렬 버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통신 링크(110, 112)는 서로 독립적이다. 보드 관리자(108)는 프로세서(102)와 전압 조정기(106) 사이의 통신 링크를 사용하지 않고 전압 조정기(106) (및 특히 각 전압 조정기(106)와 연관된 제어기(107))와 직접 양방향 통신할 수 있다.
보드 관리자(108)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시스템 보드(100)의 리소스 활용을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보드 관리자(108)는 동작 조건 정보를 보드 관리자(108)로부터 전압 조정기(106)의 제어기(107)로 전달한다. 동작 조건 정보는 VR 제어기(107)에 대한 프로세서 컴퓨팅 부하를 나타낸다. 보드 관리자(108)가 동작 조건 정보를 VR 제어기(107)로 전달할 때, 보드 관리자(108)는 전류 또는 전력을 전달하는 것이다. 전압 조정기(106)는 실제 프로세서 컴퓨팅 부하를 동작 상태로 변환하는 것을 알지 못하거나 그런 능력이 없다. 그 대신, 보드 관리자(108)는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보드 관리자(108)는 선제적으로 전기적 부하 한도를 VR 제어기(107)로 전달한다. 예를 들면, 보드 관리자는 예를 들면, MIPS(millions of instructions per second, 초당 수백만 명령어)의 프로세서 컴퓨팅 부하를 전류 또는 전력으로 변환한다. 제 2 실시예에서, 보드 관리자(108)는 프로세서 컴퓨팅 부하를 변환하지 않고 그 대신 전기적 부하가 더 악화되지 않을 것이라고 VR 제어기(107)에 통지한다.
동작 조건 정보는 프로세서(106)가 또한 VR 제어기(107)와도 통신하는 것과 무관하게 보드 관리자(108)로부터 전압 조정기(106)의 제어기(107)로 전달된다. 이와 같은 무관한 전달은 앞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제 2 통신 링크(112)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보드 관리자(108)는 동작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전압 조정기(106)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보드 관리자(108)에 의한 전압 조정기(106)의 제어는 보드 관리자(108)에 의해 각 프로세서(102)와 연관된 VR 제어기(107)로 전달된 동작 조건 정보에 의해 표시된 컴퓨팅 부하에 따라서 수행된다. 즉, 보드 관리자(108)는 동작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전압 조정기(106)의 전력 한도를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06)는 각자의 전압을 제어하도록 허용되지만, 보드 관리자(108)는 각자의 전력 한도를 설정한다. 보드 관리자(108)에 의해 설정된 각 전력 한도는 대응하는 프로세서(102)에 의해 설정된 동적 전압을 고려한다.
보드 관리자(108)가 시스템 보드(100)의 전력 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은 원격측정 정보를 활용하여 처리할 작업부하를 가장 효율적인 프로세서(102)와 전압 조정기(106)의 쌍에 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보드 관리자(108)는 보드 관리자(108)에서 전압 조정기(106)로부터 원격측정 정보를 수신한다. 원격측정 정보는 전압 조정기(106)의 효율에 관한 어떤 표시를 제공하는 임의의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원격측정 정보는 각 프로세서(102)의 활동 레벨, 각 전압 조정기(106)의 입력 전압, 전류 및/또는 전력, 각 전압 조정기(106)의 출력 전압, 전류 및/또는 전력, 각 프로세서(102)의 전압, 각 프로세서(102)의 전류, 각 프로세서(102)의 온도, 각 전압 조정기(106)의 온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원격측정 정보는 예를 들면 제 2 통신 링크(112)로 전달될 수 있다.
보드 관리자(108)는 상이한 전력 모드에 대한 전압 조정기(106)의 효율에 기초하여, 프로세서(102)의 활용의 우선순위를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즉, 보드 관리자(108)는 원격측정 정보를 활용하여 프로세서(102)와 전압 조정기(106) 쌍 중 어느 쌍이 더 높은 우선순위를 받아야 하는지 그리고 프로세서(102)와 전압 조정기(106) 쌍 중 어느 쌍이 더 낮은 우선순위를 받아야 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각각의 프로세서(102)/전압 조정기(106) 쌍은 동일한 조건하에서 명목상 동일한 효율로 작동할 수 있지만, 프로세서(102)/전압 조정기(106) 쌍이 명목상 작동하지 않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 예를 들면, 출력 인덕터, 출력 캐패시터, 입력 캐패시터 등과 같은 각 전압 조정기(106)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는 프로세스 변동에 기인하여 바뀔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프로세서(102), 메모리(104), 및 전압 조정기(106)의 물리적인 배치(physical layout)는 특정의 통신 경로가 다른 통신 경로보다 빠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보드 관리자(108)는 상이한 전력 모드마다 각각의 프로세서(102)의 컴퓨팅 레벨의 함수로서 각 전압 조정기(106)의 입력 전력의 프로파일을 생성한다. 즉, 보드 관리자(108)는 특정의 전력 설정 시, 어느 프로세서(102)와 전압 조정기(106)의 쌍이 다른 쌍보다 더 양호하게 수행하는지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 데이터를 우선순위 방식에 맵핑한다.
보드 관리자(108)는 우선순위 설정된 활용에 기초하여 인입 보드 데이터를 프로세서(102)로 전달하여, 전압 조정기(106)가 더 효율적인 프로세서(102)로 인입 보드 데이터가 먼저 전달된 다음 전압 조정기(106)가 덜 효율적인 프로세서(102)로 인입 보드 데이터가 전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우선순위 설정된 활용은 인입 보드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부수적인 처리 리소스가 필요한 경우에만 일어난다. 즉, 보드 관리자(108)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2)의 전압 조정에 대해 변경을 일으키는 부하 조건에 대응할 뿐이며 그래서 어느 프로세서(102)와 전압 조정기(106)의 쌍이 먼저 사용되어야 하는지를 표시하는 우선순위 방식으로부터 혜택을 받을 것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인입 보드 데이터는 생성된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보드 관리자(108)에 의해 프로세서(102)로 전달되고 그래서 인입 보드 데이터는 전압 조정기(106)가 컴퓨팅 레벨 프로파일에 비해 더 낮은 입력 전력을 갖는 프로세서(102)로 먼저 전달된 다음, 인입 보드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부수적인 처리 리소스가 필요한 경우에만 전압 조정기(106)가 컴퓨팅 레벨 프로파일에 비해 더 높은 입력 전력을 갖는 프로세서(102)로 전달되도록 한다. 이제 설명을 위해 이와 같은 리소스 제공의 동작 예가 논의될 것이다. 보드 관리자(108)에 의해 생성된 프로파일은 피크 전력 소모의 80%에서 동작하는 시스템 보드(100)상의 두 개의 프로세서(102)가 피크 전력 소모의 40%에서 동작하는 프로세서(102) 중 네 개의 프로세서보다 더 효율적이라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이것을 알고 있다는 것에 기초하여, 보드 관리자(108)는 인입 보드 데이터를 더 효율적인 둘 이상의 효율적인 프로세서(102)에 전달하여 이들 프로세서(102)가 컴퓨팅을 수행하도록 하고 덜 효율적인 두 개의 프로세서(102)는 작동되지 않도록 하거나 아니면 수신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여분의 처리 리소스가 필요한 경우에만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앞에서 설명한 리소스 배정 우선순위 관리 방식 이외에, 보드 관리자(108)는 프로세서(102)와 독립적으로 전압 조정기(106)를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보드 관리자(108)가 없고 보드 관리자(108)와 전압 조정기(106) 사이에 제 2 통신 링크(112)가 없으면, 전압 조정기(106)는 외부에서만 프로세서(106)에 의해 제어될 수 있을 뿐이다. 그와 같은 경우, 프로세서(102) 및 전압 조정기(106)의 효율에 상관없이 그리고 시스템 보드(100) 사이에서 있음직한 또 다른 처리 요청이 배정되는 것에 상관없이, 전압 조정기(106)의 전력 모드는 프로세서(102)에 의해 직접 제어된다. 시스템은 이와 같은 단점을 보드 관리자(108)와 전압 조정기(106) 사이의 제 2 통신 링크(112)를 이용하여 극복하여 전압 조정기(106)로 하여금 전력 상태를 변경하라고 명령하는 프로세스를 더 신속히 처리하고, 그리고/또는 전력 상태 사이에서 전압 조정기(106)의 불필요한 전이를 없앤다.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조건 정보(예를 들면, 프로세서(102)의 컴퓨팅 부하의 표시)는 VR 제어기(107) 중 제 1 VR 제어기(107)와 연관된 프로세서(102)가 제한된 전력 범위에 들어가기 전에 선제적으로 보드 관리자(108)로부터 제 1 VR 제어기로 전달된다. 선제적으로 전달된 동작 조건 정보는 제 1 VR 제어기(107)와 연관된 프로세서(102)가 궁극적으로 제한된 전력 범위에 들어가서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제한된 전력 범위에서 계속 남아 있을 것으로 예정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정보에 기초하여, 선제적으로 전달된 동작 조건 정보에 기초한 제 1 VR 제어기(107)에 의해 제어되는 전압 조정기(106)의 감소된 전력 동작 상태가 결정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보드 관리자(108)는 VR 제어기(107) 중 제 1 VR 제어기(107)와 연관된 프로세서(102)가 제한된 전력 범위에 들어간 뒤에 동작 조건 정보를 보드 관리자(108)로부터 제 1 VR 제어기로 전달한다. 이 경우, 동작 조건 정보는 제 1 VR 제어기(107)와 연관된 프로세서(102)가 제한된 전력 범위에 들어왔고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제한된 전력 범위에서 계속 남아 있을 것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어느 경우든, 제 1 VR 제어기(107)에 의해 제어되는 전압 조정기(106)는 보드 관리자(108)과 제 1 VR 제어기(107) 사이에서 동작 조건 정보의 직접 통신에 기초하여 감소된 전력 상태에서 동작한다. 제 1 VR 제어기(107)는 보드 관리자(108)가 달리 표시하지 않는 한 감소된 전력 동작 상태에서 계속 남아 있도록 명령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서, 보드 관리자(108)는 프로세서(102)가 프로세서(102)와 연관된 전압 조정기(106)의 VR 제어기(107)로 제공할 수도 있는 임의의 명령어를 무시할 수 있다.
시스템은 또한 보드 관리자(108)를 사용하여, 전압 조정기(106)의 여러 전력 상태로부터의 전이를 더 신속히 처리하기 위해 동작 조건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시예에 따르면, 보드 관리자(108)는 제 1 VR 제어기(107)에 의해 제어되는 전압 조정기(106)를 선제적으로 감소된 전력 동작 상태에서 강제로 퇴장하게 한다. 이것은 동작 조건 정보가 예를 들어 프로세서(102)에 부여된 컴퓨팅 부하가 곧 증가한다고 보드 관리자(108)에게 표시하는 경우 일어날 수 있다. 전압 조정기(106)가 감소된 전력 동작 상태에서 퇴장해야 한다고 표시하는 커맨드를 제 1 VR 제어기(107)과 연관된 프로세서(102)가 전압 조정기(106)로 발행하기 전에, 전압 조정기(106)는 감소된 전력 동작 상태에서 강제로 퇴장된다. 유리하게, 보드 관리자(108)는 상이한 전력 모드마다 각 전압 조정기(106)의 컴퓨팅 레벨의 함수로서 각 전압 조정기(106)의 입력 전력의 프로파일을 생성하였기 때문에, 보드 관리자(108)는 프로세서(102) 중 어느 프로세서가 감소된 전력 동작 상태에서 퇴장할 것이고 프로세서(102) 중 어느 프로세서가 감소된 전력 동작 상태에서 계속 남아 있을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고, 따라서 이들 프로세서(102)와 연관된 전압 조정기(106)만을 적절한 전력 동작 상태로 전이할 수 있다.
시스템은 또한 프로세서(102)가 예를 들면 각 프로세서(102)의 컴퓨팅 부하의 급격한 증가 또는 감소와 같은 동적 이벤트에 대응하여 전압 조정기(106)의 전력 상태를 조정하지 못하게 하기 위해 동작 조건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동작 조건 정보는 VR 제어기(107) 중 제 1 VR 제어기(107)와 연관된 프로세서(102)에서 동적 이벤트에 응답하여 보드 관리자(108)로부터 제 1 VR 제어기로 전달된다. 이 경우 동작 조건 정보는 동적 이벤트가 프로세서(102)에서 발생했다고 표시한다. 제 1 VR 제어기(107)에 의해 제어되는 전압 조정기(106)는 제 1 VR 제어기(107)에서 이러한 동작 조건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감소된 전력 동작 상태에 들어가지 못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동작 조건 정보는 곧이어 커다란 컴퓨팅 이벤트가 닥칠 것이니 전압 조정기(106)는 최적의 효율 및/또는 성능 상태에 계속 남아 있으라고 전압 조정기(106)에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시스템 보드의 리소스 활용을 관리하는 방법의 흐름도가 도시된다. 방법에서 제 1 단계(200)에 따르면, 동작 조건 정보는 예를 들면, 프로세서가 또한 VR 제어기(107)와도 통신하는 것과 무관하게 하나 이상의 커맨드로서 보드 관리자(108)로부터 전압 조정기(106)의 VR 제어기(107)로 전달된다. 동작 조건 정보는 각 VR 제어기(107)에 의해 수신되며 그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전압 조정기(106)에 의해 조정되는 프로세서(102)의 컴퓨팅 부하를 표시한다. 동작 조건 정보는 특정 전류 또는 전력 한도를 표시할 수 있다.
방법에서 제 2 단계(202)에 따르면, 보드 관리자(108)에 의해 VR 제어기(107)로 전달된 동작 조건 정보에 의해 표시된 처리 부하에 따라서 전압 조정기(106)의 전력 한도를 설정하기 위하여, 전압 조정기(106)는 동작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된다. 개개의 프로세서(102)는 각자의 전압을 제어하려면 허락을 받지만, 보드 관리자(108)는 동작 조건 정보를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커맨드의 형태로 제 2 통신 링크(112)를 통해 각 VR 제어기(107)로 전송함으로써 전력 한도를 설정한다. 보드 관리자(108)에 의해 결정된 각 전력 한도는 대응하는 프로세서(102)에 의해 설정된 동적 전압을 고려한다. 프로세서(102)의 동적 전압 원격측정 정보는 프로세서(102)로부터 제 1 통신 링크(110)를 통해 보드 관리자(108)로 전달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1의 시스템 보드(100)는 랙(300)(예를 들면, 서버 랙) 내에 통합되어 있다. 랙(300)은 또한 도 1의 시스템 보드(100)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거나 동일한 복수의 부가적인 시스템 보드(100)를 포함한다. 랙(300)은 랙(300)의 리소스를 관리하도록 구성된 랙 관리자(302)를 포함한다. 랙 관리자(302)는 각 시스템 보드(100)의 각 보드 관리자(108)와의 직접 통신 링크(304)를 갖고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논의된 보드 관리자(108)가 보드 레벨의 관점에서 수행하는 것처럼, 랙 관리자(302)는 랙 레벨의 관점에서 유사한 전력 효율 관리 방식을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동작 조건 정보는 각각의 보드 관리자(108)로부터 랙 관리자(302)에게 이들 둘 사이의 직접 통신 링크(304)를 사용하여 전달된다. 각 보드 관리자(108)에 의해 전달되는 동작 조건 정보는 각 보드 관리자(108)에 대응하는 시스템 보드(100)의 컴퓨팅 부하를 표시한다. 랙 관리자(302)는 보드 관리자(108)에 의해 전달된 동작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랙 관리자(302)에 의한 시스템 보드(100)의 활용을 우선으로 수행한다. 랙 관리자(302)는 우선순위 설정된 활용에 기초하여 인입 랙 데이터를 시스템 보드(100)로 전달하며, 그래서 인입 랙 데이터는 먼저 동작 조건 정보가 더 높은 효율을 표시하는 시스템 보드(100)로 전달된 다음 동작 조건 정보가 더 낮은 효율을 표시하는 시스템 보드(100)로 전달된다. 이와 같은 우선순위 설정된 활용은 인입 랙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부수적인 처리 리소스가 필요한 경우에만 일어난다. 즉, 랙 관리자(302)는 적어도 하나의 보드(100)의 전압 조정에 대해 변경을 일으키는 부하 조건에 대응할 뿐이며 이렇게 하여 어느 보드(100)가 먼저 사용될지에 대해 우선순위 방식으로부터 혜택을 받을 것이다.
랙 관리자(302)는 또한 시스템 보드(100)의 전력 수요를 알고 있다는 것에 기초하여, 랙(300)의 냉각 시스템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랙 관리자(302) 보드는 각 보드의 보드 관리자(108)로부터 원격측정치를 수신한다. 보드 관리자(108)로부터 수신한 원격측정치의 예는 프로세서(102)의 온도, (전압 조정기(106)에 의해 인가되는 것으로서) 프로세서(102)로 입력되는 전압, 프로세서(102)로 입력되는 전류, 및 프로세서(102)로 입력되는 전력을 포함한다. 랙 관리자(302)는 또한 랙 관리자(302)와 냉각 시스템 사이의 직접 통신 경로를 통해 랙(300)의 냉각 시스템으로부터 원격측정치를 수신한다. 냉각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원격측정치의 예는 랙(300)의 주변 온도, 팬 입력 전압, 팬 입력 전류, 및 팬 입력 전력을 포함한다. 랙 관리자(302)는 이와 같은 원격측정을 총합하고 이에 따라서 랙(300)의 냉각 시스템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르면, 랙 관리자(302)는 보드 관리자(108)에 의해 전달된 동작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랙(300) 내부의 온도 및 공기흐름을 조절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복수의 랙(300)을 포함하는 데이터센터(400)가 도시된다. 각 랙(300)은 예를 들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방식대로 그 랙(300)의 리소스를 관리하도록 구성된 랙 관리자(302)를 포함한다. 데이터센터(400)는 데이터센터(400)의 리소스를 관리하도록 구성된 데이터센터 관리자(402)를 포함한다. 랙 관리자(302)는 각 시스템 보드(100)의 각 보드 관리자(108)와의 직접 통신 링크(404)를 갖고 있다. 데이터센터(400)는 도 1을 참조하여 논의된 보드 관리자(108) 및 데이터센터 레벨의 관점에서 도 3을 참조하여 논의된 랙 관리자(302)와 유사한 리소스 활용 및 효율 방식을 사용한다. 특히, 각 랙 관리자(302)는 동작 조건 정보를 데이터센터 관리자(402)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각 랙 관리자(302)에 의해 전달되는 동작 조건 정보는 랙 관리자(302)와 연관된 랙(300)의 컴퓨팅 부하를 표시한다. 데이터센터 관리자(402)는 랙 관리자(302)에 의해 전달되는 동작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랙(300)의 활용의 우선순위를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데이터센터 관리자(402)는 우선순위 설정된 활용에 기초하여 인입 데이터센터 데이터를 랙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며, 그래서 인입 데이터센터 데이터는 먼저 동작 조건 정보가 더 높은 효율을 표시하는 랙(300)으로 전달된 다음 동작 조건 정보가 더 낮은 효율을 표시하는 랙(300)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우선순위 설정된 활용은 인입 데이터센터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부수적인 처리 리소스가 필요한 경우에만 일어난다. 즉, 데이터센터(4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2)의 전압 조정에 대해 변경을 일으키는 부하 조건에 대응할 뿐이며 이렇게 하여 어느 전압 조정기(106)를 먼저 사용할지에 관해 우선순위 방식으로부터 혜택을 받을 것이다.
데이터센터 관리자(402)는 또한 개개의 랙의 전력 수요를 알고 있다는 것에 기초하여, 데이터센터 관리자(402)의 냉각 메커니즘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센터 관리자(402)는 각 랙(300)의 랙 관리자(302)로부터 원격측정치를 수신한다. 랙 관리자(302)로부터 수신한 원격측정치의 예는 총합된 랙 원격측정치(예를 들면, 랙 온도, 랙 출력 전압, 랙 출력 전류, 랙 출력 전력, (MIPS, FLOPS 등의) 컴퓨팅 부하)와, 데이터센터 레벨의 원격측정치(예를 들면, 데이터센터 입력 전력, 데이터센터 입력 전류, 데이터센터 입력 전력)와, 데이터센터 냉각 시스템 정보(예를 들면, 데이터센터 HVAC 시스템, 작동 HVAC 유닛 등의 온도 설정)를 포함한다. 데이터센터(400)는 이러한 원격측정치를 총합하고 이에 따라서 데이터센터 냉각 시스템을 조절한다. 예를 들면,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센터 관리자(402)는 랙 관리자(302)에 의해 전달되는 동작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센터(400) 내부의 온도 및 공기흐름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데이터센터(400)가 예로서 사용되지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마이크로서버 및 클라우드 컴퓨팅 아키텍처에도 동등하게 적용 가능하다.
"제 1, "제 2" 등과 같은 용어는 다양한 요소, 구역, 부분 등을 서술하는데 사용되며, 또한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동일한 용어는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갖는", "가지고 있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등의 용어는 언급한 요소 또는 특징의 존재를 표시하되 추가적인 요소 또는 특징을 배제하지 않는 개방형 용어이다. "하나", "하나의" 및 "그"라는 용어는 문맥이 명백하게 그러하지 않다고 지시하지 않는 한 단수뿐만 아니라 복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다양한 실시예의 특징들은 명시적으로 그러하지 않다고 언급하지 않는 한 서로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비록 본 명세서에서 특정 실시예가 예시되고 기술되었을지라도, 본 기술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각종의 대안의 및/또는 동등한 구현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도시되고 기술된 특정 실시예를 대신하여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본 명세서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특정 실시예의 모든 적응 또는 변경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하고자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청구범위와 그의 균등물에 의해서만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하고자 한다.

Claims (25)

  1. 시스템 보드의 리소스 활용을 관리하는 방법 - 상기 시스템 보드는 복수의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 각각과 연관된 메모리,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전압 조정기, 및 상기 시스템 보드의 리소스를 관리하도록 구성된 보드 관리자를 포함함 - 으로서,
    상기 전압 조정기의 제어기로부터 원격측정 정보를 상기 보드 관리자에서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상기 원격측정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 조건 정보(operating condition information)를 상기 보드 관리자에서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전압 조정기의 상기 제어기와 통신하는 상기 프로세서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보드 관리자로부터의 상기 동작 조건 정보를 상기 제어기로 전달하는 단계- 각 제어기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동작 조건 정보는 해당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전압 조정기에 의해 조정되는 프로세서의 컴퓨팅 부하를 나타냄 -와,
    각 프로세서에 대해 상기 보드 관리자에 의해 상기 제어기로 전달된 상기 동작 조건 정보에 의해 표시된 처리 부하에 따라, 상기 전압 조정기의 전력 한도를 설정하도록 상기 동작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압 조정기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시스템 보드의 리소스 활용을 관리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측정 정보는 각각의 프로세서의 상이한 전력 모드에 대한 상기 전압 조정기의 효율을 나타내고,
    상기 방법은,
    상기 상이한 전력 모드에 대한 상기 전압 조정기의 상기 효율에 기초하여, 상기 보드 관리자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의 활용의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우선순위 설정된 활용에 기초하여 인입 보드 데이터를 상기 프로세서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인입 보드 데이터가 보다 효율적인 전압 조정기에 대응하는 프로세서로 먼저 전달되게 하고, 상기 인입 보드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추가적인 처리 리소스가 필요한 경우에만 덜 효율적인 전압 조정기에 대응하는 프로세서로 상기 인입 보드 데이터가 전달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보드의 리소스 활용을 관리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측정 정보는 상기 전압 조정기의 입력 전력을 포함하고,
    상기 상이한 전력 모드에 대한 각각의 프로세서의 컴퓨팅 레벨의 함수로서 각 전압 조정기의 상기 입력 전력의 프로파일을 생성함으로써 상기 프로세서의 활용의 우선순위가 설정되며,
    컴퓨팅 레벨 프로파일에 비해 낮은 입력 전력을 가진 전압 조정기에 대응하는 프로세서로 상기 인입 보드 데이터가 먼저 전달되도록 한 다음, 상기 인입 보드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추가적인 처리 리소스가 필요한 경우에만 컴퓨팅 레벨 프로파일에 비해 높은 입력 전력을 가진 전압 조정기에 대응하는 프로세서로 상기 인입 보드 데이터가 전달되도록, 상기 인입 보드 데이터는 상기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세서로 전달되는
    시스템 보드의 리소스 활용을 관리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 중 제 1 제어기와 연관된 프로세서가 제한된 전력 범위에 들어가기 전에, 상기 보드 관리자로부터의 상기 동작 조건 정보를 상기 제 1 제어기로 선제적으로 전달하는 단계 - 상기 선제적으로 전달된 동작 조건 정보는 상기 제 1 제어기와 연관된 상기 프로세서가 궁극적으로 상기 제한된 전력 범위에 들어가고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상기 제한된 전력 범위에 계속 남아 있을 것으로 예상됨을 나타냄 - 와,
    상기 선제적으로 전달된 동작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전압 조정기의 감소된 전력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감소된 전력 동작 상태에서 동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보드의 리소스 활용을 관리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조정기가 상기 감소된 전력 동작 상태에서 빠져나와야 함을 나타내는 커맨드를 상기 제 1 제어기와 연관된 프로세서가 상기 전압 조정기로 발행하기에 전에, 상기 제 1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전압 조정기를 선제적으로 상기 감소된 전력 동작 상태에서 강제 퇴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보드의 리소스 활용을 관리하는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기는 상기 보드 관리자가 별도로 표시할 때까지 상기 감소된 전력 동작 상태로 계속 남아 있는
    시스템 보드의 리소스 활용을 관리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 중 제 1 제어기와 연관된 프로세서가 제한된 전력 범위에 들어간 이후, 상기 보드 관리자로부터의 상기 동작 조건 정보를 상기 제 1 제어기로 전달하는 단계 - 상기 동작 조건 정보는 상기 제 1 제어기와 연관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한된 전력 범위에 들어갔고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상기 제한된 전력 범위에 계속 남아 있을 것임을 나타냄 - 와,
    상기 동작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전압 조정기의 감소된 전력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전압 조정기를 상기 감소된 전력 동작 상태에서 동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보드의 리소스 활용을 관리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기는 상기 보드 관리자가 별도로 표시할 때까지 상기 감소된 전력 동작 상태에 계속 남아 있는
    시스템 보드의 리소스 활용을 관리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 중 제 1 제어기와 연관된 프로세서에서의 동적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보드 관리자로부터의 상기 동작 조건 정보를 상기 제 1 제어기로 전달하는 단계 - 상기 동작 조건 정보는 상기 프로세서에서 상기 동적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나타냄 - 와,
    상기 제 1 제어기에서 상기 동작 조건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전압 조정기가 감소된 전력 동작 상태에 들어가지 못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보드의 리소스 활용을 관리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보드는 랙(rack)에 포함되고, 상기 랙은 복수의 부가적인 시스템 보드 및 상기 랙의 리소스를 관리하도록 구성된 랙 관리자를 포함하며, 상기 부가적인 시스템 보드 각각은 복수의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 각각과 연관된 메모리,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전압 조정기, 및 상기 부가적인 시스템 보드의 리소스를 관리하기 위한 청구항 제 1 항의 상기 보드 관리자를 가지며,
    상기 방법은,
    각각의 상기 보드 관리자로부터 상기 랙 관리자로 동작 조건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 상기 각각의 보드 관리자에 의해 전달된 상기 동작 조건 정보는 대응하는 상기 시스템 보드의 컴퓨팅 부하를 나타냄 - 와,
    상기 보드 관리자에 의해 전달된 상기 동작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랙 관리자에 의해 상기 시스템 보드의 활용의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단계와,
    동작 조건 정보가 더 높은 효율을 표시하는 시스템 보드로 인입 랙 데이터가 먼저 전달되도록 한 다음, 상기 인입 랙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부가적인 처리 리소스가 필요한 경우에만 동작 조건 정보가 더 낮은 효율을 표시하는 시스템 보드로 상기 인입 랙 데이터가 전달되도록, 상기 우선순위 설정된 활용에 기초하여 상기 인입 랙 데이터를 상기 시스템 보드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보드의 리소스 활용을 관리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 관리자에 의해 전달된 상기 동작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랙 내부의 온도 및 공기흐름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보드의 리소스 활용을 관리하는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랙은 데이터 센터에 포함되고, 상기 데이터 센터는 복수의 부가적인 랙 및 상기 데이터센터의 리소스를 관리하도록 구성된 데이터센터 관리자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부가적인 시스템 랙은 상기 부가적인 랙의 리소스를 관리하기 위한 청구항 제 10 항의 상기 랙 관리자를 구비하며,
    상기 방법은,
    각각의 상기 랙 관리자로부터 상기 데이터센터 관리자로 동작 조건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 각각의 상기 랙 관리자에 의해 전달된 상기 동작 조건 정보는 대응하는 랙의 컴퓨팅 부하를 나타냄 - 와,
    상기 랙 관리자에 의해 전달된 상기 동작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센터 관리자에 의해 상기 랙의 활용의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단계와,
    동작 조건 정보가 더 높은 효율을 표시하는 랙으로 인입 데이터센터 데이터가 먼저 전달되도록 한 다음, 상기 인입 데이터센터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부가적인 처리 리소스가 필요한 경우에만 동작 조건 정보가 더 낮은 효율을 표시하는 랙으로 상기 인입 데이터센터 데이터가 전달되도록, 상기 우선순위 설정된 활용에 기초하여 상기 인입 데이터센터 데이터를 상기 랙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보드의 리소스 활용을 관리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랙 관리자에 의해 전달된 상기 동작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센터 내부의 온도 및 공기흐름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보드의 리소스 활용을 관리하는 방법.
  14. 시스템 보드로서,
    복수의 프로세서와,
    각각의 상기 프로세서와 연관된 메모리와,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전압 조정기와,
    보드 관리자를 포함하되,
    상기 보드 관리자는,
    상기 전압 조정기의 제어기로부터 원격측정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원격측정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 조건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전압 조정기의 상기 제어기와 통신하는 상기 프로세서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제어기로 상기 동작 조건 정보를 전달 - 각각의 제어기에 의해 수신된 상기 동작 조건 정보는 해당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전압 조정기에 의해 조정되는 상기 프로세서의 컴퓨팅 부하를 나타냄 - 하고,
    각각의 프로세서에 대해 상기 보드 관리자에 의해 상기 제어기로 전달되는 상기 동작 조건 정보에 의해 표시된 처리 부하에 따라, 상기 전압 조정기의 전력 한도를 설정하도록 상기 동작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또한 상기 각각의 제어기를 통해 상기 전압 조정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보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측정 정보는 상기 각각의 프로세서의 상이한 전력 모드에 대한 상기 전압 조정기의 효율을 나타내고,
    상기 보드 관리자는,
    상기 상이한 전력 모드에 대한 상기 전압 조정기의 상기 효율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세서의 활용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상기 우선순위 설정된 활용에 기초하여 인입 보드 데이터를 상기 프로세서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인입 보드 데이터가 보다 효율적인 전압 조정기에 대응하는 프로세서로 먼저 전달되게 하고, 상기 인입 보드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추가적인 처리 리소스가 필요한 경우에만 덜 효율적인 전압 조정기에 대응하는 프로세서로 상기 인입 보드 데이터가 전달되도록 구성된
    시스템 보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측정 정보는 상기 전압 조정기의 입력 전력을 포함하고,
    상기 보드 관리자는,
    상기 상이한 전력 모드에 대한 상기 각각의 프로세서의 컴퓨팅 레벨의 함수로서 각 전압 조정기의 상기 입력 전력의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컴퓨팅 레벨 프로파일에 비해 낮은 입력 전력을 가진 전압 조정기에 대응하는 프로세서로 상기 인입 보드 데이터가 먼저 전달되도록 한 다음, 상기 인입 보드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추가적인 처리 리소스가 필요한 경우에만 컴퓨팅 레벨 프로파일에 비해 높은 입력 전력을 가진 전압 조정기에 대응하는 프로세서로 상기 인입 보드 데이터가 전달되도록, 상기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인입 보드 데이터를 상기 프로세서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시스템 보드.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 관리자는,
    상기 제어기 중 제 1 제어기와 연관된 프로세서가 제한된 전력 범위에 들어가기 전에 상기 보드 관리자로부터의 상기 동작 조건 정보를 상기 1 제어기로 선제적으로 전달 - 상기 선제적으로 전달된 동작 조건 정보는 상기 제 1 제어기와 연관된 상기 프로세서가 궁극적으로 상기 제한된 전력 범위에 들어가고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상기 제한된 전력 범위에 계속 남아 있을 것으로 예상됨을 나타냄 - 하고,
    상기 선제적으로 전달된 동작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전압 조정기의 감소된 전력 동작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전압 조정기를 강제로 상기 감소된 전력 동작 상태에서 동작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보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 관리자는,
    상기 전압 조정기가 상기 감소된 전력 동작 상태에서 빠져나와야 함을 나타내는 커맨드를 상기 제 1 제어기와 연관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압 조정기로 발행하기에 전에 상기 제 1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전압 조정기를 선제적으로 상기 감소된 전력 동작 상태에서 강제 퇴장시키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보드.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 관리자는,
    상기 제어기 중 제 1 제어기와 연관된 프로세서가 제한된 전력 범위에 들어간 이후 상기 동작 조건 정보를 상기 제 1 제어기로 전달 - 상기 동작 조건 정보는 상기 제 1 제어기와 연관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한된 전력 범위에 들어갔고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상기 제한된 전력 범위에 계속 남아 있을 것임을 표시함 - 와,
    상기 동작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전압 조정기의 감소된 전력 동작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전압 조정기를 강제로 상기 감소된 전력 동작 상태에서 동작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보드.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 관리자는,
    상기 제어기 중 제 1 제어기와 연관된 프로세서에서의 동적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동작 조건 정보를 상기 제 1 제어기로 전달 - 상기 동작 조건 정보는 상기 프로세서에서 상기 동적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표시함 - 하고,
    상기 제 1 제어기에서 상기 동작 조건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전압 조정기가 감소된 전력 동작 상태에 들어가지 못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보드.
  21. 데이터센터로서,
    복수의 랙 - 각각의 랙은 해당 랙의 리소스를 관리하도록 구성된 랙 관리자를 가짐 -과,
    복수의 시스템 보드 - 각각의 시스템 보드는 복수의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 각각과 연관된 메모리,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전압 조정기, 및 상기 시스템 보드의 리소스를 관리하도록 구성된 보드 관리자를 가지고, 상기 보드 관리자는,
    상기 전압 조정기의 제어기로부터 원격측정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원격측정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 조건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전압 조정기의 상기 제어기와 통신하는 상기 프로세서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동작 조건 정보를 상기 시스템 보드의 상기 전압 조정기의 상기 제어기로 전달 - 각각의 제어기에 의해 수신된 상기 동작 조건 정보는 해당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전압 조정기에 의해 조정되는 상기 프로세서의 컴퓨팅 부하를 나타냄 - 하고,
    각 프로세서에 대해 상기 보드 관리자에 의해 상기 제어기로 전달되는 상기 동작 조건 정보에 의해 표시된 처리 부하에 따라, 상기 전압 조정기의 전력 한도를 설정하도록 상기 동작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또한 상기 각각의 제어기를 통해 상기 시스템 보드의 상기 전압 조정기를 제어
    함으로써 상기 시스템 보드의 리소스를 관리하도록 구성됨 - 와,
    상기 데이터센터의 리소스를 관리하도록 구성된 데이터센터 관리자
    를 포함하는 데이터센터.
  22. 제 2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보드 관리자는 해당 보드 관리자와 연관된 상기 랙 관리자로 동작 조건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상기 보드 관리자에 의해 전달된 상기 동작 조건 정보는 해당 보드 관리자와 연관된 상기 시스템 보드의 컴퓨팅 부하를 표시하며,
    각각의 상기 랙 관리자는 해당 랙 관리자와 연관된 상기 보드 관리자에 의해 전달된 상기 동작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랙 관리자와 연관된 상기 시스템 보드의 활용의 우선순위를 설정하도록 구성되며,
    동작 조건 정보가 더 높은 효율을 표시하는 상기 시스템 보드로 인입 랙 데이터가 먼저 전달되도록 한 다음, 상기 인입 랙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부가적인 처리 리소스가 필요한 경우에만 동작 조건 정보가 더 낮은 효율을 표시하는 상기 시스템 보드로 상기 인입 랙 데이터가 전달되도록, 각각의 상기 랙 관리자는 상기 우선순위 설정된 활용에 기초하여 해당 랙 관리자와 연관된 상기 시스템 보드로 상기 인입 랙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데이터센터.
  23. 제 2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랙 관리자는 해당 랙 관리자와 연관된 상기 보드 관리자에 의해 전달된 상기 동작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랙 관리자와 연관된 상기 랙 내부의 온도 및 공기흐름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데이터센터.
  24. 제 2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랙 관리자는 상기 데이터센터 관리자로 동작 조건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상기 랙 관리자에 의해 전달된 상기 동작 조건 정보는 해당 랙 관리자와 연관된 상기 랙의 컴퓨팅 부하를 표시하며,
    상기 데이터센터 관리자는 상기 랙 관리자에 의해 전달된 상기 동작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랙의 활용의 우선순위를 설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데이터센서 관리자는, 동작 조건 정보가 더 높은 효율을 표시하는 랙으로 인입 데이터센터 데이터가 먼저 전달되도록 한 다음, 상기 인입 데이터센터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부가적인 처리 리소스가 필요한 경우에만 동작 조건 정보가 더 낮은 효율을 표시하는 랙으로 상기 인입 데이터센터 데이터가 전달되도록, 상기 우선순위 설정된 활용에 기초하여 상기 인입 데이터센터 데이터를 상기 랙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데이터센터.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센터 관리자는 상기 랙 관리자에 의해 전달된 상기 동작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센터 내부의 온도 및 공기흐름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데이터센터.
KR1020160125725A 2015-10-02 2016-09-29 데이터센터 전력 아키텍처를 위한 전력 관리 기법 KR1018946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873,898 2015-10-02
US14/873,898 US9891700B2 (en) 2015-10-02 2015-10-02 Power management for datacenter power architectur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4011A KR20170044011A (ko) 2017-04-24
KR101894634B1 true KR101894634B1 (ko) 2018-09-03

Family

ID=58355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5725A KR101894634B1 (ko) 2015-10-02 2016-09-29 데이터센터 전력 아키텍처를 위한 전력 관리 기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91700B2 (ko)
KR (1) KR101894634B1 (ko)
CN (1) CN106560762B (ko)
DE (1) DE1020161184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1114A (ko) 2017-07-24 2019-02-01 주식회사 케이티 멀티 가상 데이터센터 시스템
US10775424B2 (en) * 2018-08-31 2020-09-15 Micron Technology, Inc. Capacitive voltage divider for monitoring multiple memory components
TWI679439B (zh) * 2018-10-01 2019-12-11 緯穎科技服務股份有限公司 電源管理系統及電源管理方法
US11881776B2 (en) 2021-05-24 2024-01-23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Adjusting a switching frequency of a voltage regulator to operate at a predetermined power efficiency
US11709512B2 (en) 2021-09-14 2023-07-25 Apple Inc. System-on-chip with power supply mode having reduced number of phases
DE112022003384T5 (de) * 2021-09-14 2024-04-18 Apple Inc. System-On-Chip mit Leistungsversorgungsmodus mit reduzierter Anzahl von Phas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44587A1 (en) * 2007-11-30 2009-06-04 Infineon Technologies Ag Device and method for electronic controlling
US20110115447A1 (en) 2009-11-19 2011-05-19 Asustek Computer Inc. Multiphase power supply device and current adjusting method thereof
JP2014502389A (ja) 2010-11-09 2014-01-30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計算作業負荷を変更することによる時間変動エネルギー源のエネルギー捕獲
US20140201550A1 (en) * 2011-12-21 2014-07-17 Stefan Rusu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adaptive compensation of reverse temperature dependence
WO2015023191A1 (en) * 2013-08-13 2015-02-19 Putyrski Sławomir Power balancing to increase workload density and improve energy efficiency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23336B2 (en) * 2006-02-15 2009-04-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rolled power sequencing for independent logic circuits that transfers voltage at a first level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subsequently at a highest level
US7779276B2 (en) * 2007-03-05 2010-08-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ower management in a power-constrained processing system
US8250382B2 (en) * 2007-08-22 2012-08-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ower control of servers using advanced configuration and power interface (ACPI) states
US8006108B2 (en) * 2007-11-08 2011-08-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 selection of group and device power limits
TWI375915B (en) * 2008-12-11 2012-11-01 Asmedia Technology Inc Voltage identification processor, circuit and method for generating voltage
TWI380162B (en) * 2008-12-15 2012-12-21 Asmedia Technology Inc Method for transaforming voltage identification code and computer system
US9423866B2 (en) * 2014-07-16 2016-08-23 Eta Compute, Inc. Asynchronous processor that adjusts a respective operating voltage for causing a task to consume substantially all of a respective allocated time interval for the task
US9442540B2 (en) * 2009-08-28 2016-09-13 Advanced Green Computing Machines-Ip, Limited High density multi node computer with integrated shared resources
US8635470B1 (en) * 2009-12-16 2014-01-21 Applied Micro Circuits Corporation System-on-chip with management module for controlling processor core internal voltages
US8990591B2 (en) * 2009-12-31 2015-03-24 Intel Corporation Power management system for selectively changing the power state of devices using an OS power management framework and non-OS power management framework
US8943334B2 (en) * 2010-09-23 2015-01-27 Intel Corporation Providing per core voltage and frequency control
US9261949B2 (en) * 2010-10-29 2016-02-16 Advanced Micro Devices, Inc. Method for adaptive performance optimization of the soc
RU2014106859A (ru) * 2011-07-25 2015-08-27 Серверджи, Инк.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построения маломощной компьютерной системы
KR20160114195A (ko) * 2012-05-14 2016-10-04 인텔 코포레이션 컴퓨팅 시스템의 동작 관리
US9081577B2 (en) * 2012-12-28 2015-07-14 Intel Corporation Independent control of processor core retention states
US9760451B2 (en) * 2015-07-28 2017-09-12 Lenovo Enterprise Solutions (Singapore) Pte. Ltd. Coordinated storage of operating data among multiple voltage regulators in response to a fault condi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44587A1 (en) * 2007-11-30 2009-06-04 Infineon Technologies Ag Device and method for electronic controlling
US20110115447A1 (en) 2009-11-19 2011-05-19 Asustek Computer Inc. Multiphase power supply device and current adjusting method thereof
JP2014502389A (ja) 2010-11-09 2014-01-30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計算作業負荷を変更することによる時間変動エネルギー源のエネルギー捕獲
US20140201550A1 (en) * 2011-12-21 2014-07-17 Stefan Rusu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adaptive compensation of reverse temperature dependence
WO2015023191A1 (en) * 2013-08-13 2015-02-19 Putyrski Sławomir Power balancing to increase workload density and improve energy efficienc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4011A (ko) 2017-04-24
CN106560762B (zh) 2019-11-08
US9891700B2 (en) 2018-02-13
US20170097674A1 (en) 2017-04-06
DE102016118409A1 (de) 2017-04-06
CN106560762A (zh) 2017-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4634B1 (ko) 데이터센터 전력 아키텍처를 위한 전력 관리 기법
US9122285B2 (en) Virtual thermostat system and method
US9785127B2 (en) Power supply device, micro server having the same, and power supply method
US10466729B2 (en) Power supply system, power management, apparatus, power management method, and power management program
EP161264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ergy efficiency in an integrated circuit
US9851768B2 (en) Voltage regulator control system
JP6748625B2 (ja) 電子装置が外部電源から引き出された電力を調節する電流調節設備、システム、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ー可読記録媒体
US10498167B2 (en) Multi-port power delivery
US20070192650A1 (en) Multi-processing system distributing workload optimally during operation
US20110173470A1 (en) Minimizing power consumption in computers
US11042202B2 (en) Server rack with dynamic power management by using baseboard management controllers
TWI390379B (zh) 用於電壓調節器通訊之系統及方法
JP2006221641A (ja) コンピュータの冷却システムの制御
EP283323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03493323A (zh) 中间总线架构电力系统中的动态总线电压控制
JP2010124680A (ja) 電子装置に供給される電流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電源
CN102566726A (zh) 自动控制功耗的网络设备及其功耗控制方法
CN111722694A (zh) 服务器节能系统及其降低服务器功耗的方法和存储介质
CN105093993B (zh)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KR102333391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전력 제어 방법
US9317097B2 (en) Efficiency adjustments in power supply system
US8479034B2 (en) Controlling the power usage of a computer
US11720162B2 (en) Server and method of adjusting power consumption of the server
JP2018025360A (ja) 熱源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5835449B2 (ja) 電気機器の電力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