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4435B1 - 멀티 인-아웃 구조의 케이싱을 갖는 산업용 폐수 여과 또는 해수 담수화용 마이크로필터 - Google Patents

멀티 인-아웃 구조의 케이싱을 갖는 산업용 폐수 여과 또는 해수 담수화용 마이크로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4435B1
KR101894435B1 KR1020180021170A KR20180021170A KR101894435B1 KR 101894435 B1 KR101894435 B1 KR 101894435B1 KR 1020180021170 A KR1020180021170 A KR 1020180021170A KR 20180021170 A KR20180021170 A KR 20180021170A KR 101894435 B1 KR101894435 B1 KR 101894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filter
raw water
filtratio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1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광
Original Assignee
(주)엘에스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에스티에스 filed Critical (주)엘에스티에스
Priority to KR1020180021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44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4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4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2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having inlet or outlet 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40Special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Abstract

본 발명은 공업이나 산업용수를 여과하는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통 형태의 필터 카트리지를 케이싱 내부에 설치하여 케이싱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가 상기 필터 카트리지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후 배출되도록 함에 있어서, 필터 카트리지와 케이싱의 양측에서 원수가 유입되어 필터 카트리지를 통과하며 여과된 여과수가 필터 카트리지의 양쪽 끝부분을 통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여과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게 됨과 아울러, 필터 카트리지가 내장된 케이싱은 별도의 연결부재를 이용해 다수로 연결하여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멀티 인-아웃 구조의 케이싱을 갖는 산업용 폐수 여과 또는 해수 담수화용 마이크로필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인-아웃 구조의 케이싱을 갖는 산업용 폐수 여과 또는 해수 담수화용 마이크로필터는 내부에는 원수가 유입되어 여과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 양측에는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양쪽 끝부분에는 내부 공관과 이어지게 관통된 개구부가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에 구비되어 케이싱으로 유입된 원수를 여과하는 필터 및 상기 케이싱의 양쪽 끝부분에 구비되어 케이싱 내부에서 필터의 코어 측과 케이싱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면서 케이싱 내부를 밀폐하거나 개방하는 헤드 캡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멀티 인-아웃 구조의 케이싱을 갖는 산업용 폐수 여과 또는 해수 담수화용 마이크로필터{Microfilters for industrial wastewater filtration or seawater desalination with casing of multi-in-out construction}
본 발명은 공업이나 산업용수를 여과하거나 해수 담수화 분야에 사용되는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통 형태의 필터 카트리지를 케이싱 내부에 설치하여 케이싱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오염수 또는 해수)가 상기 필터 카트리지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후 배출되도록 함에 있어서, 필터 카트리지와 케이싱의 양측에서 원수가 유입되어 필터 카트리지를 통과하며 여과된 여과수가 필터 카트리지의 양쪽 끝부분을 통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여과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게 됨과 아울러, 필터 카트리지가 내장된 케이싱은 별도의 연결부재를 이용해 다수로 연결하여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멀티 인-아웃 구조의 케이싱을 갖는 산업용 폐수 여과 또는 해수 담수화용 마이크로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염된 물을 정화하여 재사용함에 있어서, 필터를 이용해 원수를 여과하여 재사용수로 재생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여과 방식은 다양하게 실시되고 있는데, 특히 공업용수나 산업용수를 여과함에 있어서, 미세한 체 방식을 이용해 큰 입자는 분리하고 작은 입자만을 통과시켜 여과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오염된 원수를 필터를 통과시켜 정화하여 재사용함에 있어서, 케이싱을 이용한 여과 방식은 케이싱 내부에 필터를 설치하고 원수가 케이싱으로 유입되면 반드시 필터를 통과하여 배출되도록 함에 따라 원수에서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재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하나의 유입구로 원수가 유입되어 하나의 배출구로 배출됨에 따라 여과 속도가 느리고, 시간당 정화량이 제한적인 문제가 있었다.
관련하여 선행문헌 1(등록특허 10-0396980 현탁수의 정화방법)에서는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하여 현탁수를 정화하는 구성이 개시되어있다.
하지만 하나의 유입구와 배출구가 구비되어 유입량과 정화되어 배출되는 수량이 적고, 이에 따라 여과에 소요되는 시간이 지연되어 시간당 여과량이 적은 문제가 있다.
또한, 케이싱을 연속적으로 연결할 수 없고, 이에 따라 하나의 케이싱과 필터에만 의존하여 여과를 수행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선행문헌 1(등록특허 10-0396980 현탁수의 정화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케이싱에 양측으로 원수(오염수 또는 해수)가 유입되는 2개의 유입구가 구비되고, 유입된 원수는 필터를 통과하여 여과되어 필터의 양쪽 끝부분에 각각 구비된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어 동시에 기존대비 2배의 속도로 여과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유입구는 케이싱의 상하로 대칭되게 구비될 수 도 있어서 다수의 케이싱을 병렬로 연결함에 따라 시간대비 여과량을 대폭 증가시킬 수 있게 되며, 필터에는 코어 커넥터가 구비되어 2개의 여재를 필터의 중간에서 연결 설치함에 따라 수압에 의한 여재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필터 교체 시 오염도가 심한 어느 한 쪽의 여재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경제적인 사용이 가능한 멀티 인-아웃 구조의 케이싱을 갖는 산업용 폐수 여과 또는 해수 담수화용 마이크로필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인-아웃 구조의 케이싱을 갖는 산업용 폐수 여과 또는 해수 담수화용 마이크로필터는, 내부에는 원수가 유입되어 여과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 양측에는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0)가 형성되며 양쪽 끝부분에는 내부 공간과 이어지게 관통된 개구부(120)가 형성되는 케이싱(100);, 상기 케이싱(100) 내부에 구비되어 케이싱(100)으로 유입된 원수를 여과하는 필터(200); 및 상기 케이싱(100)의 양쪽 끝부분에 구비되어 케이싱(100) 내부에서 필터(200)의 코어 측과 케이싱(10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면서 케이싱 내부를 밀폐하거나 개방하는 헤드 캡(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싱(100)에는 상기 유입구(110)와 연통되게 결합되어 다수의 케이싱(100)을 서로 연결할 수 있는 케이싱 연결부재(13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필터(200)는 원수에서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여재(210)와, 상기 여재(210)를 통해 여과된 여과수가 유입되는 것으로, 외측에 다수의 여과수 유입공(221)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여재(210)에서 여과된 여과수가 유입되면서 필터(200)의 양쪽 끝부분으로 배출되는 파이프 코어(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필터(200)는 여재(210)가 분할 구조로 이루어지고, 분할된 중간측 끝부분에서 분할된 여재(210)를 서로 연결하면서 지지하는 코어 커넥터(24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케이싱(100)의 개구부(120)에 헤드 캡(300)이 결합될 때, 상기 헤드 캡(300)이 개구부(120)로 끼워진 상태에서 개구부(120)와 헤드 캡(300)의 상부로는 상부 클램프(410)가 끼워지고 하부로는 하부 클램프(420)가 끼워지면서 상기 상부 클램프(410)와 하부 클램프(420)에 의해 케이싱(100)과 헤드 캡(300)이 기밀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인-아웃 구조의 케이싱을 갖는 산업용 폐수 여과 또는 해수 담수화용 마이크로 필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하나의 케이싱과 필터를 이용해 케이싱의 양측에서 동시에 원수의 유입 가능함과 동시에 유입된 원수는 필터의 양쪽 끝부분으로 동시에 배출될 수 있어서 여과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여 시간당 여과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케이싱의 유입구는 상하로 배치되어 다수의 케이싱을 병렬로 연속 연결할 수 있어서 동시에 대량의 원수를 여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필터에서 여재를 분할되게 구비하여 필터의 중간에서 연결함에 따라 수압에 의한 여재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분할 형태의 여재 중 오염도가 심한 부분의 여재만을 교체할 수 있어서 필터 교체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케이싱의 양단에 내부를 밀폐하는 캡이 구비되어 캡을 개폐함에 따라 수밀성을 높임과 동시에 필터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인-아웃 구조의 케이싱을 갖는 산업용 폐수 여과 또는 해수 담수화용 마이크로필터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인-아웃 구조의 케이싱을 갖는 산업용 폐수 여과 또는 해수 담수화용 마이크로필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인-아웃 구조의 케이싱을 갖는 산업용 폐수 여과 또는 해수 담수화용 마이크로필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인-아웃 구조의 케이싱을 갖는 산업용 폐수 여과 또는 해수 담수화용 마이크로필터를 다수로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인-아웃 구조의 케이싱을 갖는 산업용 폐수 여과 또는 해수 담수화용 마이크로필터에 유입 유도부재와 열선이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인-아웃 구조의 케이싱을 갖는 산업용 폐수 여과 또는 해수 담수화용 마이크로필터의 필터에 세라믹볼이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인-아웃 구조의 케이싱을 갖는 산업용 폐수 여과 또는 해수 담수화용 마이크로필터의 원수 유입 차단판에 여재 정렬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은 카트리지형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트리지 형태의 필터를 교체하며 사용할 수 있는 마이크로 필터에 있어서, 유입구와 배출구가 각각 양쪽으로 2개씩 구비되어 시간대비 여과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다수로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 대량의 오염된 원수를 빠른 속도로 여과할 수 있게 되고, 필터에서 여재를 분할되게 구비하여 수압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분할된 여재 중 오염이 심한 여재만을 선택적으로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어서 필터 교체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멀티 인-아웃 구조의 케이싱을 갖는 산업용 폐수 여과 또는 해수 담수화용 마이크로필터에 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인-아웃 구조의 케이싱을 갖는 산업용 폐수 여과 또는 해수 담수화용 마이크로필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인-아웃 구조의 케이싱을 갖는 산업용 폐수 여과 또는 해수 담수화용 마이크로필터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인-아웃 구조의 케이싱을 갖는 산업용 폐수 여과 또는 해수 담수화용 마이크로필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인-아웃 구조의 케이싱을 갖는 산업용 폐수 여과 또는 해수 담수화용 마이크로필터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크게 케이싱(100), 필터(200), 헤드 캡(300) 및 클램프(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100)은 오염수가 여과되는 공간 및 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원통의 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 양측에 관통 형성되어 오염된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0)와, 상기 케이싱(100)의 양쪽 끝부분에 중앙부분과 연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헤드 캡(300)이 끼워지며 결합되는 개구부(120) 및 상기 유입구(110)의 외측으로 결합되어 유입구(110)를 원수 유입 배관 또는 다른 케이싱(100)과 연결하는 케이싱 연결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로 인해 하나의 케이싱(100)과 필터(200)에서 원수가 2방향으로 유입되어 필터(200)를 통과한 후 필터(200) 내측으로 통과하여 양측으로 배출함에 따라 시간당 여과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필터(200)는 오염된 원수가 통과되면서 오염 물질을 여과시키는 것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2개로 분할되게 구비되는 여재(210)와, 상기 여재(210)의 중심축을 따라 파이프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여재(210)와 대응되도록 2개로 분할되게 구비되며, 여재(210)의 내측 구간에만 외측을 따라 다수의 여과수 유입공(221)이 형성되어 여재(210)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여과수가 유입되어 원수가 채워진 케이싱(100)과 여과수가 배출되는 구간을 구획되게 차단하면서 여과수를 케이싱(100) 외부로 배출하는 파이프 코어(220)와, 상기 파이프 코어(220)의 양쪽 끝부분에 상기 여재(210)의 양쪽 끝부분을 감싸면서 파이프 코어(220)와 결합되어 원수가 여재(210)의 양쪽 끝부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코어 커버(230) 및 상기 분할된 여재(210)와 파이프 코어(220)의 길이방향 중간에 구비되어 상기 분할된 여재(210) 및 파이프 코어(220)를 하나로 연결하는 코어 커넥터(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로 인해 케이싱(100) 내부로 유입된 원수가 필터(200)의 외측으로 유입되어 여재(210)를 통과하면서 여과되고, 여과된 여과수는 파이프 코어(220)로 유입되어 배출된다.
한편, 상기 여재(210)의 외측에는 여과 과정에서 여재가 원수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여재 커버(211)가 더 구비된다.
상기 여재 커버(211)는 메쉬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여재(210)의 외주연 전체를 감싸면서 지지하여, 사용중 여재(210)의 변형에 의해 여과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코어 커버(230)는 상기 여재(210)의 양쪽 끝부분에 구비되어 여재(210)의 끝부분으로 원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원수가 수용된 공간과 여과된 여과수가 배출되는 공간을 구획하여 차단하면서 여과수를 케이싱(100)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상기 파이프 코어(220)의 양쪽 끝부분으로 끼워지며 결합되는 코어 결합부(231)와, 상기 코어 결합부(231)의 둘레를 따라 판 형태로 구비되어 원수가 여재(210)의 길이방향 끝부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원수 유입 차단판(232) 및 헤드 캡(300)의 내측으로 끼워지며 결합되어 필터(200)가 케이싱(100)의 중앙에 케이싱(100)의 내주연과 일정간격 이격되면서 고정되고, 여재(210)를 통해 여과된 여과수를 케이싱(100)의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헤드 캡 결합부(2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헤드 캡 결합부(233)의 외측으로는 상기 헤드 캡(300)의 필터 결합부(310) 내측으로 상기 헤드캡 결합부(233)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필터 결합부(310)와 헤드캡 결합부(233) 사이를 기밀하게 밀폐시키는 패킹(233a)이 더 구비된다.
이로 인해 원수가 여재(210)의 길이방향 끝부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여재(210)의 외주면으로만 유입되어 여과되도록 유도하고, 유도되어 여재(210)에 의해 여과된 여과수를 케이싱(100) 내부의 오염된 원수와 섞이지 않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코어 커넥터(240)는 분할된 여재(210)와 파이프 코어(220)의 중간에서 상기 분할된 여재(210)와 파이프 코어(220)를 하나로 연결해주는 것으로, 여재(210)의 단면적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여재(210)의 분할된 끝부분이 양측으로 끼워지며 결합되는 여재 결합부(241)와, 상기 여재 결합부(241)의 내측 둘레를 따라 상기 분할된 파이프 코어(220)의 단면적과 대응되는 홈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분할된 파이프 코어(220)의 끝부분이 결합되는 파이프 코어 결합부(2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파이프 코어 결합부(242)는 상기 여재 결합부(241)보다 내측으로 구비되어 상기 파이프 코어(220)가 상기 여재(210)에서 돌출된 상태로 결합되어 결합을 견고하게 하면서 미량의 원수가 여재(210)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코어 커넥터(240)와 여재(210), 파이프 코어 결합부(242) 사이의 틈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헤드 캡(300)은 상기 케이싱(100)의 개구부(120)에 끼워지며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코어 커버(230)에서 상기 파이프 코어(220)에 결합된 다른쪽 끝부분에 끼워지며 결합되어 필터(200)와 케이싱(100) 사이에 전체적으로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고정하면서 파이프 코어(220)와 코어 커버(230)에 의해 연통되어 여재(210)에서 여과되어 파이프 코어(220)로 유입된 여과수를 원수와 섞이지 않도록 구획되게 차단하면서 케이싱(100) 외부로 유도하는 필터 결합부(310) 및 상기 필터 결합부(310)로 배출되는 여과수를 케이싱(100)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유도관(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로 인해 필터(200)에서 여과된 여과수가 케이싱(100) 내부에 여과되지 않은 원수와 섞이지 않고 케이싱(100) 외부로 유도 배출됨과 동시에 케이싱(100) 내부에 구비되는 필터(200)의 외주연과 케이싱(100)의 내주연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고정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케이싱(100)과 헤드 캡(300)은 클램프(400)에 의해서 수밀하게 결합된다.
상기 클램프(400)는 케이싱(100)의 개구부(120)에 헤드 캡(300)이 끼워진 상태에서 케이싱(100)과 헤드 캡(300)의 상부를 감싸면서 고정 지지하는 상부 클램프(410)와 상기 상부 클램프(410)와 마주보게 구비되어 상기 케이싱(100)과 헤드 캡(300)의 하부를 감싸면서 고정 지지하는 하부 클램프(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클램프(400)는 케이싱(100)의 직경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내측에서 바깥쪽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이루어져 상기 케이싱(100)의 개구부(120) 외측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케이싱 결합 홈(140)과 상기 헤드 캡(300)의 케이싱(100)과 접하는 외측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헤드 캡 결합홈(330)에 끼워지며 결합되고, 케이싱(100)에 헤드 캡(300)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부 클램프(410)와 하부 클램프(420)의 양측에서 볼트로 체결되면서 볼트를 체결하여 케이싱(100)과 헤드 캡(300)의 결합이 기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인-아웃 구조의 케이싱을 갖는 산업용 폐수 여과 또는 해수 담수화용 마이크로필터를 다수로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케이싱 연결부재(130)는 상기 유입구(110)와 연통되어 유입 배관 또는 다른 케이싱(100)의 케이싱 연결부재(130)와 연결되는 유입관(131)과, 상기 유입관(131)과 다른 케이싱(100)의 유입관(131) 사이에서 두 케이싱을 상호 연결하는 케이싱 커넥터(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케이싱 커넥터(132)는 길이방향 양측에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유입관(131)으로 나사 체결 구조에 의해 결합되는 연결관(132a) 및 상기 연결관(132a)의 중간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관(132a)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파지하는 체결부(132b)로 이루어져 유입관(131)을 서로 마주보게 위치시킨 후 상기 체결부(132b)를 돌려줌에 따라 연결관(132a)이 유입관(131)으로 나사 체결된다.
이로 인해 다수의 케이싱(100)을 연속적으로 병렬 연결하여 동시에 대량의 오염수를 빠르게 여과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시뮬레이션 결과 공정을 통과하여 발생하는 차압이 14% 감소되었으며, 생산수의 원활한 유속 분배 효과를 활용하여 원수의 유입 유량을 동일한 압력 조건에서 두배 상승 시킬 수 있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인-아웃 구조의 케이싱을 갖는 산업용 폐수 여과 또는 해수 담수화용 마이크로필터에 유입 유도부재와 열선이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케이싱(100) 내주연에는 유입구(110)로 유입된 원수가 필터(200) 측으로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유입 유도부재(1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 유도부재(150)는 케이싱(100)의 내주연에서 필터(200)측을 향해 경사지도록 이루어져 유입구(110)로 유입되는 원수가 필터(200) 측으로 보다 빠르고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00)의 외주연을 따라 나선 형태를 이루며 감겨져 케이싱(100) 측으로 열을 가할 수 있는 열선(160)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열선(160)에 의해 여과 시 외부온도가 저온일 경우 케이싱(100)을 가열하여 외부온도에 영향 받지 않고, 최적의 효율로 여과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인-아웃 구조의 케이싱을 갖는 산업용 폐수 여과 또는 해수 담수화용 마이크로필터의 필터에 세라믹볼이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여재(210)에는 세라믹볼(212)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세라믹볼(212)은 소형의 구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여재(210)의 외측 홈에 다수로 구비되며, 상기 여재 커버(211)에 의해 여재(210)에서 이탈되지 않고 여재(210)의 외측 홈에서 원수의 오염물질을 흡착하여 여과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인-아웃 구조의 케이싱을 갖는 산업용 폐수 여과 또는 해수 담수화용 마이크로필터의 원수 유입 차단판에 여재 정렬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원수 유입 차단판(232)의 여재(210)가 결합되는 면에는 상기 여재(210)를 일정간격으로 유지되게 고정할 수 있는 여재 정렬부(232a)가 더 구비된다.
상기 여재 정렬부(232a)는 다수의 돌기 형태로 이루어지고, 주름지게 이루어진 여재(210)의 주름진 공간에 끼워지면서 여재(210)기 일정 간격으로 주름진 상태로 고정 지지될 수 있게 해준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오염된 원수를 정화함에 있어서, 하나의 케이싱에 유입구와 배출구를 2개씩 구비하여 여과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되고, 필터와 케이싱 사이의 간격이 전체적으로 동일하게 고정 지지하여 균일한 여과효율을 얻을 수 있게 됨과 아울러, 다수의 케이싱을 병렬 연결하여 동시에 대량의 원수를 여과할 수 있게 된다.
100 : 케이싱 110 : 유입구
120 : 개구부 130 : 케이싱 연결부재
131 : 유입관 132 : 케이싱 커넥터
132a : 연결관 132b : 체결부
140 : 케이싱 결합홈 150 : 유입 유도부재
160 : 열선 200 : 필터
210 : 여재 211 : 여재 커버
212 : 세라믹볼 220 : 파이프 코어
221 : 여과수 유입공 230 : 코어 커버
231 : 코어 결합부 232 : 원수 유입 차단판
232a : 여재 정렬부 233 : 헤드캡 결합부
233a : 패킹 240 : 코어 커넥터
241 : 여재 결합부 242 : 파이프 코어 결합부
300 : 헤드캡 310 : 필터 결합부
320 : 배출 유도관 330 : 헤드캡 결합돌기
400 : 클램프 410 : 상부 클램프
420 : 하부 클램프

Claims (5)

  1. 내부에는 원수가 유입되어 여과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 양측에는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0)가 형성되며 양쪽 끝부분에는 내부 공간과 이어지게 관통된 개구부(120)가 형성되는 케이싱(100);
    상기 케이싱(100) 내부에 구비되어 케이싱(100)으로 유입된 원수를 여과하는 필터(200); 및 상기 케이싱(100)의 양쪽 끝부분에 구비되어 케이싱(100) 내부에서 필터(200)의 코어측과 케이싱(10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면서 케이싱 내부를 밀폐하거나 개방하는 헤드 캡(300);을 포함함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0)에는 상기 유입구(110)와 연통되게 결합되어 다수의 케이싱(100)을 서로 연결할 수 있는 케이싱 연결부재(13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케이싱(100)의 외주연을 따라 나선 형태를 이루며 감겨져 케이싱(100) 측으로 열을 가할 수 있는 열선(160)이 더 구비되며,
    상기 필터(200)는 원수에서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여재(210)와, 상기 여재(210)를 통해 여과된 여과수가 유입되는 것으로, 외측에 다수의 여과수 유입공(221)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여재(210)에서 여과된 여과수가 유입되면서 필터(200)의 양쪽 끝부분으로 배출되는 파이프 코어(220)를 포함하되,
    상기 여재(210)의 외측에는 여과 과정에서 여재가 원수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여재 커버(211)가 여재(210)를 감싸며 구비되고,
    상기 필터(200)는 여재(210)가 분할 구조로 이루어지고, 분할된 중간측 끝부분에서 분할된 여재(210)를 서로 연결하면서 지지하는 코어 커넥터(24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케이싱(100)의 개구부(120)에 헤드 캡(300)이 결합될 때, 상기 헤드 캡(300)이 개구부(120)로 끼워진 상태에서 개구부(120)와 헤드 캡(300)의 상부로는 상부 클램프(410)가 끼워지고 하부로는 하부 클램프(420)가 끼워지면서 상기 상부 클램프(410)와 하부 클램프(420)에 의해 케이싱(100)과 헤드 캡(300)이 기밀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인-아웃 구조의 케이싱을 갖는 산업용 폐수 여과 또는 해수 담수화용 마이크로필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021170A 2018-02-22 2018-02-22 멀티 인-아웃 구조의 케이싱을 갖는 산업용 폐수 여과 또는 해수 담수화용 마이크로필터 KR101894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170A KR101894435B1 (ko) 2018-02-22 2018-02-22 멀티 인-아웃 구조의 케이싱을 갖는 산업용 폐수 여과 또는 해수 담수화용 마이크로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170A KR101894435B1 (ko) 2018-02-22 2018-02-22 멀티 인-아웃 구조의 케이싱을 갖는 산업용 폐수 여과 또는 해수 담수화용 마이크로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4435B1 true KR101894435B1 (ko) 2018-09-04

Family

ID=63598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1170A KR101894435B1 (ko) 2018-02-22 2018-02-22 멀티 인-아웃 구조의 케이싱을 갖는 산업용 폐수 여과 또는 해수 담수화용 마이크로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44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7471B1 (ko) 2023-02-15 2023-10-12 주식회사 코트라스 인공지능형 언어장애 통역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6980B1 (ko) 1999-04-20 2003-09-02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현탁수의 정화 방법
KR20030096867A (ko) * 2002-06-18 2003-12-3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용 복합필터
KR200426860Y1 (ko) * 2006-06-23 2006-09-20 (주)엠에프테크 산업용 여과장치의 필터헤드
CN201231099Y (zh) * 2008-06-05 2009-05-06 傅叶明 一种大流量滤器
JP2009291744A (ja) * 2008-06-06 2009-12-17 Asahi Kasei Chemicals Corp 膜濾過方法及び濾過装置
KR101222813B1 (ko) * 2012-06-08 2013-01-15 지병욱 복합 정수필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6980B1 (ko) 1999-04-20 2003-09-02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현탁수의 정화 방법
KR20030096867A (ko) * 2002-06-18 2003-12-3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용 복합필터
KR200426860Y1 (ko) * 2006-06-23 2006-09-20 (주)엠에프테크 산업용 여과장치의 필터헤드
CN201231099Y (zh) * 2008-06-05 2009-05-06 傅叶明 一种大流量滤器
JP2009291744A (ja) * 2008-06-06 2009-12-17 Asahi Kasei Chemicals Corp 膜濾過方法及び濾過装置
KR101222813B1 (ko) * 2012-06-08 2013-01-15 지병욱 복합 정수필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7471B1 (ko) 2023-02-15 2023-10-12 주식회사 코트라스 인공지능형 언어장애 통역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1406B1 (ko) 유체안내 스페이스 엘레먼트
EP0954371B1 (en) Improved microporous membrane filtration assembly
CN100435912C (zh) 具有极小死空间的可置换薄膜组件
JP4993901B2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
US4668401A (en) Hollow-fiber filter module and filtration method using the same
JP6151645B2 (ja) 濾過装置
US7727394B2 (en) System and method of fluid filtration utilizing cross-flow currents
KR101807185B1 (ko) 다수의 필터를 이용한 복합 여과 시스템
KR101894435B1 (ko) 멀티 인-아웃 구조의 케이싱을 갖는 산업용 폐수 여과 또는 해수 담수화용 마이크로필터
KR101402399B1 (ko) 가압식 막모듈 정수장치의 하부집수 조립체
TWI551339B (zh) 用於過濾流體之外殼總成及過濾模組、保養過濾模組之方法及減少過濾殘渣累積於纖維膜上之方法
TW201318689A (zh) 用於一管狀壓力導管之中空纖維膜模組
US10065139B2 (en) Filter module having a plurality of replaceable hollow-fiber bundles in an end-face plate
US20100219130A1 (en) System and Method of Fluid Filtration Utilizing Cross-Flow Currents
US10434473B2 (en) Filtration device
KR200467091Y1 (ko) 수처리용 필터장치
JP3180639B2 (ja) 気体分離膜モジュール
RU2188699C1 (ru) Аппарат для фильтрации
KR20030006466A (ko) 정수용 필터
CN210150771U (zh) 一种内外压一体式超滤装置
KR200296368Y1 (ko) 이중필터 구조를 갖는 필터카트리지
CN215137233U (zh) 一种蝶式水过滤反洗滤芯
KR101544396B1 (ko) 중공사막 정수장치
SU858873A1 (ru) Патронный фильтр дл жидкости
CN112807772A (zh) 一种蝶式水过滤反洗滤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