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4415B1 - Pressure vessel - Google Patents

Pressure vess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4415B1
KR101894415B1 KR1020160069016A KR20160069016A KR101894415B1 KR 101894415 B1 KR101894415 B1 KR 101894415B1 KR 1020160069016 A KR1020160069016 A KR 1020160069016A KR 20160069016 A KR20160069016 A KR 20160069016A KR 101894415 B1 KR101894415 B1 KR 101894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ressure vessel
support portion
support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90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36891A (en
Inventor
김종태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9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4415B1/en
Publication of KR20170136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68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4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44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2/00Pressure vessels in gener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00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압력베슬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베슬은, 일 측에 유체가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동관이 형성되어 내부에 유체를 수용하거나 배출하는 용기부와, 용기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 및 일단부가 지지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하방으로 신축되어 바닥면에 지지되며, 서로 독립적으로 신축 가능한 복수 개의 균형유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A pressure vessel is provid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ressure vessel comprising: a container portion formed with at least one flow pipe through which a fluid moves to one side and containing or discharging a fluid therein; a support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container portion; And a plurality of balance holding parts which are coupled to the additional supporting part and the other end are expanded and contracted downwardly and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and extendable and contractibl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Description

압력베슬{Pressure vessel}Pressure vessel

본 발명은 압력베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동라인과 유동관의 체결이 용이한 압력베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ure vesse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ssure vessel that is easy to fasten a flow line to a flow tube.

일반적으로, 압력베슬이라 함은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LNG)와 같은 액체화물을 저장하는 용기로, -162℃의 극저온 상태로 냉각되어 부피가 6분의 1로 줄여진 액체화물을 수용하기 위하여 극저온 및 고압을 잘 견디도록 설계된다. 예를 들어, 압력베슬은 벽체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거나, 저온 특성이 우수한 금속재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압력베슬은 일 측에 적어도 하나의 유동관이 형성되는데, 유동관은 유동라인에 착탈 가능하게 결속되어 압력베슬 내부에 액체화물을 저장하거나 압력베슬 외부로 액체화물을 배출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Generally, a pressure vessel is a container for storing liquids such as Liquefied Natural Gas (LNG). It is cooled to a cryogenic temperature of -162 ° C to accommodate the liquid cargo whose volume is reduced to 1/6. It is designed to withstand cryogenic temperatures and high pressures. For example, the pressure vessel can be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thick wall or an excellent low-temperature property. This pressure vessel has at least one flow tube formed on one side thereof, which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low line to store the liquid body in the pressure vessel or to provide a passage for discharging the liquid body to the outside of the pressure vessel.

압력베슬은 지지체에 의해 설치 장소의 바닥면에 고정된 후 유동관과 하연라인이 체결되는데, 종래에는 지지체가 고정된 구조로 형성되어 바닥면의 형상이 일정하지 않고 단차를 갖거나 경사진 경우, 압력베슬의 균형을 유지하기가 어려워 유동관과 유동라인의 체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The pressure vessel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tallation site by the support, and then the flow tube and the bottom line are fastened. Conventionally, when the support is fixed and the shape of the bottom surface is not constant, It is difficult to keep the balance of the vessel and the flow pipe and the flow line are not easily fastene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59981호 2014. 01. 28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359981 2014. 01. 28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유동라인과 유동관의 체결이 용이한 압력베슬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essure vessel which is easy to be fastened to a flow line and a flow tube.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matter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su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베슬은, 일 측에 유체가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동관이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유체를 수용하거나 배출하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 및 일단부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하방으로 신축되어 바닥면에 지지되며, 서로 독립적으로 신축 가능한 복수 개의 균형유지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ressure vessel including: a container portion having at least one flow pipe for moving a fluid on one side thereof and accommodating or discharging the fluid therein; And a plurality of balance holding portions,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supporting portion, the other end of which is expanded and contracted downwardly and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and which can be expanded and contrac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상기 압력베슬은, 상기 용기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용기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키는 베어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sure vessel may further include a bearing portion inserted between the container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to reduce frictional resistance between the container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상기 균형유지부는 각각,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 고정되는 실린더부와, 상기 실린더부 내측에서 구동하며, 단부가 상기 바닥면에 지지되는 피스톤부, 및 상기 실린더부 내측에 유체를 공급하여 상기 피스톤부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유체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balance holding portion includes a cylinder portion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a piston portion driven by the inside of the cylinder portion and having an end supported by the bottom surface, and a piston portion slidably supporting the piston portion by supplying fluid to the inside of the cylinder portion, And a fluid supply unit for moving the fluid.

상기 압력베슬은, 상기 용기부와 상기 지지부 중 어느 하나의 하단에 상기 균형유지부와 근접하게 결합되어, 상기 용기부와 상기 바닥면 사이의 간격 또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바닥면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는 복수 개의 센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센서부의 개수는 상기 균형유지부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pressure vessel is connected to the balance holding part at the lower end of either the container part or the support part to measure an interval between the container part and the bottom surface or an interval between the support part and the bottom surface The sensor unit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sensor units, and the number of the sensor units may be the same as the number of the balance holding units.

상기 유동관은 단부에 플랜지(flange)가 형성되어 유동라인에 플랜지 결합할 수 있다.The flow tube may have a flange at its end to flange the flow line.

상기 지지부는 내측면에 단턱이 형성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용기부는 상기 단턱에 안착될 수 있다.The support portion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having a step formed on an inner surface thereof, and the container portion may be seated in the step.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로부터 신축 가능한 균형유지부를 구비하여, 설치 장소의 바닥면 형상에 관계없이 압력베슬의 균형을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유동라인과 유동관의 체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액체화물의 하역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the balance holding portion which is extendable and retractable from the support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container portion, so that the balance of the pressure vessel can be maintained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tallation place. Accordingly, the flow line and the flow pipe can be easily fastened, and the unloading operation of the liquid cargo can proceed smoothl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베슬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압력베슬을 종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균형유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압력베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ressure vess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sure vessel of Fig. 1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ig.
3 and 4 are operation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balance maintaining unit.
5 to 7 are operation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ressure vessel.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베슬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a pressure vess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베슬은 유체화물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유체화물이 이동하는 유동라인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유체화물이라 함은 천연가스 또는 -162℃의 극저온 상태로 냉각되어 부피가 6분의 1로 줄여진 액화천연가스를 의미할 수 있다.A pressure vess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store fluids and may be installed between flow lines through which fluids move. Here, the fluid cargo may refer to a natural gas or a liquefied natural gas which is cooled to a cryogenic temperature of -162 ° C and reduced in volume by one sixth.

압력베슬은 용기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로부터 신축 가능한 균형유지부를 구비하여, 설치 장소의 바닥면 형상에 관계없이 압력베슬의 균형을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유동라인과 유동관의 체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액체화물의 하역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The pressure vessel is provided with a balancer capable of expanding and retracting from a support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container portion, so that the balance of the pressure vessel can be maintained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tallation place. Accordingly, the flow line and the flow pipe can be easily fastened, and the loading operation of the liquid cargo can smoothly proceed.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압력베슬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sure vesse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Fi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베슬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압력베슬을 종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균형유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ssure vess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cu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essure vessel of FIG. 1, and FIGS. Fig.

본 발명에 따른 압력베슬(1)은 용기부(10)와, 지지부(20), 및 균형유지부(30)를 포함한다.The pressure vessel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portion 10, a support portion 20, and a balance portion 30.

용기부(10)는 내부에 수용공간(10a)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부재로, 일 측에 유체가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동관(11)이 형성되어 내부에 유체를 수용하거나 외부로 유체를 배출할 수 있다. 유동관(11)은 일 측 단부가 용기부(10)를 관통하며 결합되어 수용공간(10a)과 연통되고, 타 측 단부에 플랜지(flange, 11a)가 형성되어 유동라인(도 5의 L 참조)에 플랜지 결합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용기부(10)의 측부와 상부에 각각 유동관(11)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유동관(11)의 설치 위치 및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용기부(10)는 상부가 완만하게 경사진 구조로 형성되어 유체의 슬로싱(sloshing)으로 인한 구조적 손상 또는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외측면 중앙에 고리 형상의 후크(12)가 결합되어 크레인(도 6의 C 참조)과 연결될 수 있다. 용기부(10)는 하부에 지지부(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container unit 10 is a cylindrical member having a receiving space 10a formed therein. The container unit 10 includes at least one flow pipe 11 on one side thereof for receiving fluid or discharging the fluid to the outside. . The flow pipe 11 has a flange 11a formed at one end and communicating with the accommodation space 10a through the container portion 10 to form a flow line (see L in Fig. 5) As shown in FIG. Although the flow pipe 11 is formed on the side and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10 in the drawing,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the number of the flow pipe 11 may be variously modified.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portion 10 is formed in a gently inclined structure to minimize structural damage or deformation due to sloshing of the fluid. An annular hook 12 is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outer side of the container portion 10, (Refer to C in Fig. 6). The support portion (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portion (10).

지지부(20)는 내측면에 단턱이 형성된 링 형상의 부재로, 후술할 균형유지부(30)와 용기부(10) 사이에 개재되어 균형유지부(30)와 용기부(10)를 연결한다. 용기부(10)는 지지부(20)의 내측면에 형성된 단턱에 안착되며, 하단부가 확장 형성되어 지지부(20)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지지부(20)에 체결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지지부(20)는 베어링부(40)를 통해 용기부(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supporting portion 20 is a ring-shaped member having a step formed on its inner side and is interposed between a balance holding portion 30 and a container portion 10 to be described later to connect the balance holding portion 30 and the container portion 10 . The container portion 10 is seated on the step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20 and can be held in the state of being fastened to the support portion 20 without being detached from the support portion 20 by expanding the lower end portion. The support portion 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ontainer portion 10 through the bearing portion 40. [

베어링부(40)는 용기부(10)와 지지부(20) 사이에 삽입되어 용기부(10)와 지지부(20) 사이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용기부(10)와 지지부(20)의 접촉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즉, 용기부(10)와 지지부(20)는 베어링부(40)에 의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20)가 고정된 경우, 용기부(10)가 지지부(20)로부터 회전할 수 있으며, 용기부(10)가 고정된 경우, 지지부(20)가 용기부(10)로부터 회전할 수 있다. 베어링부(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로 형성되어 용기부(10)의 측부와 지지부(20) 사이, 및 용기부(10)의 하부와 지지부(20) 사이에 삽입될 수 있으며, 각각의 베어링부(40)는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며 용기부(10) 또는 지지부(2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도울 수 있다.The bearing portion 40 is inserted between the container portion 10 and the support portion 20 to reduce the frictional resistance between the container portion 10 and the support portion 20. The bearing portion 40 is provided between the container portion 10 and the support portion 20, Can be disposed along the contact surface. That is, the container portion 10 and the support portion 20 can be relatively rotated by the bearing portion 40. For example, when the support portion 20 is fixed, the container portion 10 can be rotated from the support portion 20, and when the container portion 10 is fixed, the support portion 20 can be rotated from the container portion 10 It can rotate. 2, a plurality of bearing portions 40 may be formed between the side portion of the container portion 10 and the support portion 20, and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portion 10 and the support portion 20 And each of the bearing portions 40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nd can help smooth rotation of the container portion 10 or the support portion 20. [

지지부(20)의 일 측에는 균형유지부(30)가 결합된다.The balancing portion 3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portion 20.

균형유지부(30)는 바닥면(F) 형상에 관계없이 용기부(10)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부가 지지부(20)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하방으로 신축되어 바닥면(F)에 지지될 수 있다. 균형유지부(30)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균형유지부(30)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되 서로 독립적으로 신축될 수 있다. 각각의 균형유지부(30)가 서로 독립적으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바닥면(F)의 형상이 일정하지 않고 단차를 갖거나 경사진 경우, 하방으로 신축되는 길이를 서로 다르게 하여 용기부(10)의 균형을 유지시킬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지지부(20)의 하단에 3개의 균형유지부(30)가 결합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균형유지부(30)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가감될 수 있다.The balancing portion 30 is for balancing the container portion 10 irrespective of the shape of the bottom surface F. The balancing portion 30 has one end coupled to the supporting portion 20 and the other end extending / As shown in FIG. The balance maintaining portions 30 may be formed as a plurality of balance holding portions 30,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may be independently expanded and contracted. The balancing portions 30 are formed so as to be able to extend and contract independently of each other so that when the bottom surface F is not constant in shape and has a step or inclination, ) Can be maintained. Although the three balance holding portions 30 are illustrated as being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20 in the drawing, the number of the balance holding portions 30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as needed.

균형유지부(30)는 각각, 실린더부(31)와, 피스톤부(32), 및 유체공급부(33)를 포함한다.The balancing portion 30 includes a cylinder portion 31, a piston portion 32, and a fluid supply portion 33, respectively.

실린더부(31)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통 형상의 부재로, 상면이 지지부(20)의 하단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실린더부(31)의 상면이 지지부(20)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실린더부(31)는 측면이 지지부(20)의 측부에 고정 결합될 수도 있다. 실린더부(31)는 내부에 피스톤부(32)를 수용한다.The cylindrical portion 31 is a tubular member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and the upper surface thereof can be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20. [ However, the upper surface of the cylinder portion 31 is not limited to being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20. For example, the side surface of the cylinder portion 31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side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20 . The cylinder portion 31 accommodates the piston portion 32 therein.

피스톤부(32)는 실린더부(31) 내측에서 구동하며, 단부가 실린더부(31) 외측으로 돌출되어 바닥면(F)에 지지될 수 있다. 피스톤부(32)는 유체공급부(33)에 의해 구동된다.The piston portion 32 is driven inside the cylinder portion 31 and the end portion protrudes outside the cylinder portion 31 and can be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F. [ The piston portion 32 is driven by the fluid supply portion 33.

유체공급부(33)는 실린더부(31) 내측에 유체를 공급하여 피스톤부(32)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것으로, 압축공기와 같은 유체를 외부로부터 공급받거나 자체적으로 생성하여 실린더부(31) 내측에 주입하거나 배출시킬 수 있다. 유체공급부(33)는 제1 유체공급관(33a)과 제2 유체공급관(33b)을 포함한다.The fluid supply part 33 supplies fluid to the inside of the cylinder part 31 and slides the piston part 32 so that fluid such as compressed air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or generated by itself and injected into the cylinder part 31 Or discharged. The fluid supply part 33 includes a first fluid supply pipe 33a and a second fluid supply pipe 33b.

제1 유체공급관(33a)은 피스톤부(32)의 하방 측으로 유체를 공급하며, 제2 유체공급관(33b)은 피스톤부(32)의 상방 측으로 유체를 공급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0)의 하면과 바닥면(F) 사이의 간격(A1)이 상대적으로 좁은 경우, 제1 유체공급관(33a)을 통해 피스톤부(32)의 하방 측으로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피스톤부(32)의 하방으로 유체가 공급되면, 피스톤부(32)가 상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실린더부(31)의 내측으로 수용되므로, 균형유지부(30)의 길이가 지지부(20)의 하면과 바닥면(F) 사이의 간격에 맞추어 줄어들 수 있다. 이 때, 피스톤부(32)의 상방 측에 수용된 유체는 제2 유체공급관(33b)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반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0)의 하면과 바닥면(F) 사이의 간격(A2)이 상대적으로 넓은 경우, 제2 유체공급관(33b)을 통해 피스톤부(32)의 상방 측으로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피스톤부(32)의 상방으로 유체가 공급되면, 피스톤부(32)가 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실린더부(31)의 외측으로 돌출되므로, 균형유지부(30)의 길이가 지지부(20)의 하면과 바닥면(F) 사이의 간격에 맞추어 늘어날 수 있다. 이 때, 피스톤부(32)의 하방 측에 수용된 유체는 제1 유체공급관(33a)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The first fluid supply pipe 33a supplies fluid to the lower side of the piston portion 32 and the second fluid supply pipe 33b supplies fluid to the upper side of the piston portion 32. [ 3, when the interval A1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20 and the bottom surface F is relatively narrow, the piston portion 32 is moved through the first fluid supply pipe 33a, It is possible to supply the fluid to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When the fluid is supplied to the lower side of the piston portion 32, the piston portion 32 slides upward and is received inside the cylinder portion 31, And the bottom surface (F). At this time, the fluid accommodated in the upper side of the piston portion 32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fluid supply pipe 33b. 4, when the gap A2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20 and the bottom surface F is relatively wide, the upper portion of the piston portion 32 through the second fluid supply pipe 33b The fluid can be supplied to the fluid passage. When the fluid is supplied to the upper side of the piston portion 32, the piston portion 32 slides downward and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cylinder portion 31, And the bottom surface (F). At this time, the fluid accommodated in the lower side of the piston portion 32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fluid supply pipe 33a.

그러나, 균형유지부(30)가 실린더부(31)와 피스톤부(32), 및 유체공급부(33)에 의해 신축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균형유지부(30)가 신축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균형유지부(30)는 기어구조로 형성되어 신축될 수도 있다. 또한, 균형유지부(30)는 바닥면(F)과 접하는 단부가 관절 구조로 형성되어, 바닥면(F)이 경사진 경우 일부 회전하며 바닥면(F)에 밀착될 수도 있다.However, the balance maintaining portion 30 is not limited to being stretched and contracted by the cylinder portion 31, the piston portion 32, and the fluid supply portion 33, and various structures Lt; / RTI > For example, the balance maintaining portion 30 may be formed in a gear structure and expanded or contracted. The balance maintaining portion 30 may have an end portion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F and may have a joint structure so that the balance maintaining portion 30 may be partially rotated when the bottom surface F is inclined and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F. [

한편, 용기부(10)와 지지부(20) 중 어느 하나의 하단에는 센서부(50)가 결합될 수 있다. 센서부(50)는 용기부(10)와 바닥면(F) 사이의 간격 또는 지지부(20)와 바닥면(F)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는 것으로, 광센서나 적외선센서로 형성되어 균형유지부(30)와 근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센서부(50)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센서부(50)의 개수는 균형유지부(30)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0)의 하단에 3개의 균형유지부(30)가 결합된 경우, 센서부(50)의 개수 또한 3개로 형성될 수 있다. 센서부(50)의 개수와 균형유지부(30)의 개수가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각각의 센서부(50)에서 측정된 용기부(10)와 바닥면(F) 사이의 간격 또는 지지부(20)와 바닥면(F)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여 각각의 균형유지부(30)의 신축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용기부(10)의 균형 유지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센서부(50)로부터 측정된 값은 별도의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로 전송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전송된 측정 값을 분석하여 바닥면(F)의 형상을 파악하고 그에 대응하여 균형유지부(30)의 신축 길이를 선정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5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either the container unit 10 or the support unit 20. The sensor unit 50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he container unit 10 and the bottom surface F or between the support unit 20 and the bottom surface F. The sensor unit 50 is formed of a light sensor or an infrared sensor, (30). The number of the sensor units 50 may be the same as the number of the balance units 30. That is, as shown in FIGS. 1 and 2, when three balance holding portions 30 ar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20, the number of the sensor portions 50 may also be three. The distance between the container unit 10 and the bottom surface F measured by each sensor unit 50 or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unit 20 The balance length of each balance holding portion 30 can be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distan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F and the bottom surface F. This makes it possible to more easily maintain the balance of the container portion 10. [ The measured values from the respective sensor units 50 may be transmitted to a separate control unit (not shown), and the control unit analyzes the transmitted measurement values to determine the shape of the floor surface F,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stretching length of the portion 30.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압력베슬(1)의 동작에 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pressure vessel 1 will now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ures 5-7.

도 5 내지 도 7은 압력베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5 to 7 are operation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ressure vessel.

본 발명에 따른 압력베슬(1)은 용기부(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20)로부터 신축 가능한 균형유지부(30)를 구비하여, 바닥면(F) 형상에 관계없이 압력베슬(1)의 균형을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유동라인(L)과 유동관(11)의 체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액체화물의 하역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다.The pressure vessel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balancer 30 capable of expanding and contracting from a support portion 20 rotatably coupled to the container portion 10 so that the pressure vessel 1 1) can be maintained. Therefore, the flow line L and the flow pipe 11 can be easily fastened, and the unloading operation of the liquid cargo can smoothly proceed.

도 5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유동라인과 유동관을 일치시키는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바닥면 형상에 대응하여 지지부를 회전시키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바닥면 형상에 대응하여 균형유지부가 안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low line and a flow pipe are aligned using a crane,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pport portion is rotated corresponding to a bottom surface shape, and FIG. And the balance maintaining portion is seated.

용기부(10)는 양 측부에 각각 유동관(11)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하부에 지지부(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지지부(20)는 하단에 복수 개의 균형유지부(30)가 결합되며, 각각의 균형유지부(30)와 근접하게 센서부(50)가 결합된다.The container unit 10 has flow pipes 11 projecting outward on both sides and a support unit 20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part. A plurality of balance holding portions 30 ar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20, and the sensor portion 50 is coupled to each of the balance holding portions 30.

먼저, 도 5와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용기부(10)의 외측면 중앙에 결합된 후크(12)에는 크레인(C)이 연결되며, 크레인(C)은 압력베슬(1)을 이격 배치된 두 개의 유동라인(L) 사이로 이동시킨다. 이 때, 크레인(C)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관(11)과 유동라인(L)이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자체적으로 회전하여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유동관(11)과 유동라인(L)이 동일 선상에 위치하면, 각각의 센서부(50)가 용기부(10)와 바닥면(F) 사이의 간격 또는 지지부(20)와 바닥면(F)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고, 제어부가 측정된 값을 비교하여 바닥면(F)의 형상을 파악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센서부(50)로부터 측정된 값이 서로 다른 경우, 바닥면(F)이 단차지거나 경사진 형상임을 알 수 있다. 바닥면(F)이 단차지거나 경사진 형상인 경우, 균형유지부(30)가 단차진 경계면 등을 피해 안착될 수 있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0)를 용기부(10)로부터 회전시킨다. 이 때, 지지부(20)는 제어부로부터 동작신호를 전송받은 베어링부(40)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하거나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용기부(10)가 크레인(C)에 연결되어 고정된 상태이므로, 지지부(20)는 용기부(10)로부터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5 and 6, the crane C is connected to the hook 12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unit 10, and the crane C is disposed apart from the pressure vessel 1 To move between the two flow lines (L).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5, the crane C can adjust its position by rotating itself so that the flow pipe 11 and the flow line L are located on the same line. When the flow tube 11 and the flow line L are located on the same line, each sensor portion 50 is spaced from the container portion 10 and the bottom surface F or between the support portion 20 and the bottom surface F, And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measured values and grasps the shape of the bottom surface (F). For example, when the measured values from the respective sensor units 5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bottom surface F is a stepped or inclined shape. 6, when the bottom surface F is in a stepped or inclined shape, the support portion 20 is slid from the container portion 10 . At this time, the support portion 20 can be automatically rotated by the bearing portion 40 that receives the operation signal from the control portion, or manually rotated by the operator. The support portion 20 can smoothly rotate from the container portion 10 because the container portion 10 is connected to and fixed to the crane C as described above.

이어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지지부(20)가 회전하여 균형유지부(30)의 안착 위치가 선정되면, 균형유지부(30)를 하방으로 신장시킨다. 이 때, 각각의 균형유지부(30)는 바닥면(F) 형상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길이로 신장될 수 있다. 각각의 균형유지부(30)가 하방으로 신장되어 지지부(20) 및 용기부(10)의 균형이 유지되면, 후크(12)에 연결된 크레인(C)을 분리한 후, 필요에 따라 용기부(10)를 회전시켜 유동관(11)과 유동라인(L)의 위치를 재조정할 수 있다. 이 때, 지지부(20)가 바닥면(F)에 안착된 균형유지부(30)에 의해 고정된 상태이므로, 용기부(10)는 지지부(20)로부터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7, when the supporting portion 20 is rotated to select the seating position of the balance holding portion 30, the balancing holding portion 30 is extended downward. At this time, each of the balancing portions 30 may be elongated to have different lengths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ottom surface F. When the balancing portions 30 are extended downward and balance of the support portion 20 and the container portion 10 is maintained, the crane C connected to the hook 12 is separated, 10 can be rotated to readjust the position of the flow tube 11 and the flow line L. [ At this time, since the support portion 20 is in a state of being fixed by the balance holding portion 30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F, the container portion 10 can smoothly rotate from the support portion 20.

유동관(11)과 유동라인(L)이 동일 선상에 위치하게 되면, 유동관(11)의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11a)와 유동라인(L)의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를 결합하여 용기부(10) 내부로 유체를 수용하거나 용기부(10)에 수용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The flange 11a formed at the end of the flow pipe 11 and the flange formed at the end of the flow line L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inside of the container portion 10, The fluid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portion 1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You will understan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 압력베슬 10: 용기부
10a: 수용공간 11: 유동관
11a: 플랜지 12: 후크
20: 지지부 30: 균형유지부
31: 실린더부 32: 피스톤부
33: 유체공급부 33a: 제1 유체공급관
33b: 제2 유체공급관 40: 베어링부
50: 센서부
C: 크레인 F: 바닥면
L: 유동라인
1: Pressure Vessel 10: Container
10a: accommodation space 11: flow tube
11a: Flange 12: Hook
20: support part 30: balance holding part
31: cylinder part 32: piston part
33: fluid supply part 33a: first fluid supply pipe
33b: second fluid supply pipe 40: bearing part
50:
C: Crane F: Floor surface
L: Flow line

Claims (6)

일 측에 유체가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동관이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유체를 수용하거나 배출하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
일단부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하방으로 신축되어 바닥면에 지지되며, 서로 독립적으로 신축 가능한 복수 개의 균형유지부;
상기 용기부와 상기 지지부 중 어느 하나의 하단에 상기 균형유지부와 근접하게 결합되어, 상기 용기부와 상기 바닥면 사이의 간격 또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바닥면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는 복수 개의 센서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센서부에서 측정 값을 전송받아 상기 바닥면의 형상을 파악하고, 상기 균형유지부의 신축 길이를 선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부의 개수는 상기 균형유지부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압력베슬.
At least one flow conduit through which a fluid moves to one side and accommodates or discharges the fluid;
A support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container portion;
A plurality of balance holders each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and the other end extended and expanded downwardly and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A plurality of sensor parts coupled to the balance holding part at a lower end of any one of the container part and the support part to measure an interval between the container part and the bottom surface or an interval between the support part and the bottom surface; And
And a controller for receiving the measured values from the plurality of sensor units to determine the shape of the bottom surface and to select an extension length of the balance maintaining unit,
Wherein the number of the sensor portions is equal to the number of the balance holding portion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용기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키는 베어링부를 더 포함하는 압력베슬.The pressure vessel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bearing portion inserted between the container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to reduce frictional resistance between the container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균형유지부는 각각,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 고정되는 실린더부와,
상기 실린더부 내측에서 구동하며, 단부가 상기 바닥면에 지지되는 피스톤부; 및
상기 실린더부 내측에 유체를 공급하여 상기 피스톤부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유체공급부를 포함하는 압력베슬.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cylinder portion fixed to a low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A piston portion driven inside the cylinder portion and having an end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And
And a fluid supply portion for supplying a fluid to the inside of the cylinder portion to slide the piston portion.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관은 단부에 플랜지(flange)가 형성되어 유동라인에 플랜지 결합하는 압력베슬.2. The pressure vessel of claim 1, wherein the flow tube is flanged at its end to flange the flow lin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내측면에 단턱이 형성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용기부는 상기 단턱에 안착되는 압력베슬.2. The pressure vesse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in a ring shape having a step formed on an inner surface thereof, and the container portion is seated on the step.
KR1020160069016A 2016-06-02 2016-06-02 Pressure vessel KR1018944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016A KR101894415B1 (en) 2016-06-02 2016-06-02 Pressure vess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016A KR101894415B1 (en) 2016-06-02 2016-06-02 Pressure vess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891A KR20170136891A (en) 2017-12-12
KR101894415B1 true KR101894415B1 (en) 2018-09-03

Family

ID=60944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9016A KR101894415B1 (en) 2016-06-02 2016-06-02 Pressure vess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441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7693A (en) * 2000-11-08 2002-05-22 Fukuhara Co Ltd Space saving type auxiliary air tank
JP2008286340A (en) * 2007-05-18 2008-11-27 Mitsubishi Heavy Ind Ltd Lng join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81616A (en) * 1975-12-27 1977-07-08 Kawasaki Heavy Ind Ltd Supporting method for pressure vessel for straging tank use
KR101359981B1 (en) 2011-12-26 2014-02-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Storing container for liquefied natural ga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7693A (en) * 2000-11-08 2002-05-22 Fukuhara Co Ltd Space saving type auxiliary air tank
JP2008286340A (en) * 2007-05-18 2008-11-27 Mitsubishi Heavy Ind Ltd Lng joi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891A (en) 201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94824A (en) Telescoping tower for floodlighting equipment and the like
KR102250630B1 (en) System for fluid transfer between a ship and a facility, such as a client ship
KR101894415B1 (en) Pressure vessel
KR20140025700A (en) Compatible loading system for lng carrier
KR101985206B1 (en) Discharge apparatus
US1414835A (en) Vehicle dumping and jacking means
US3724497A (en) Storage system for gaseous fluids and the like
US807184A (en) Hose-support.
US8453766B2 (en) Hydrocarbon formation core protection and transportation apparatus
KR101569053B1 (en) Pressure testing apparatus using jig for fluid transfer member
US9541230B2 (en) Pipe tool positioning system
CN114165671B (en) Floating filling sealing mechanism
US5932798A (en) Can strength and leakage test device
US20140001747A1 (en) Vacuum Insulated Cryogenic Fluid Transfer Hose
US4185806A (en) Fluid material flow control valve
AU2019297797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use within a tank
EP3191760B1 (en) Apparatus and method
CN209622336U (en) A kind of measuring instrument tripod
CN209130399U (en) The fixed bracket of photography
CN220707057U (en) Hydrogenation oil filling riser structure
US20150298947A1 (en) Gas regeneration system and hydraulic lift including the same
CN219063096U (en) Transmitting tank body
US20180038765A1 (en) Containment testing devices, methods, and systems
US2620195A (en) Valve for pneumatic columns
CN109273117A (en) A kind of nuclear power plant voltage stabilizer ray inspection arran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