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3951B1 - 철제 가구용 탈취 프레임 - Google Patents

철제 가구용 탈취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3951B1
KR101893951B1 KR1020160174469A KR20160174469A KR101893951B1 KR 101893951 B1 KR101893951 B1 KR 101893951B1 KR 1020160174469 A KR1020160174469 A KR 1020160174469A KR 20160174469 A KR20160174469 A KR 20160174469A KR 101893951 B1 KR101893951 B1 KR 101893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odorant
frame
air circulation
container
circulati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4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1630A (ko
Inventor
이정원
Original Assignee
(주)캠퍼스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캠퍼스라인 filed Critical (주)캠퍼스라인
Priority to KR1020160174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3951B1/ko
Publication of KR20180071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1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3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3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5Use of aromatic materials, e.g. her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5Supporting means, e.g. stands, hooks, holes for hanging

Abstract

본 발명은 철제 가구용 탈취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철제 가구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탈취하고 다양한 단면 구조와 길이로 제작되는 범용 철제 프레임에 대응 할수 있도록, 길이 연장이 가능하고 철제 프레임과의 층돌을 방지하는 지지수단을 구비한 표준화된 탈취제 용기를 포함하는 철제 가구용 탈취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표면에 개구 또는 공기구멍이 형성된 공기순환 프레임; 공기순환 프레임의 내부에 장치되고 표면에는 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탈취제주머니가 보관되는 탈취제 수납부가 구비되고, 마감캡 또는 상하로 이웃하는 타 탈취제 용기간의 다단 결합을 위한 상단결합부와 하단결합부로 이루어진 탈취제 용기; 하단부에 결합된 탈취제 용기를 공기순환 프레임에 고정시키고, 표면에 공기구멍이 형성된 마감캡; 탈취제 용기 둘레에 설치되어 다양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공기순환 프레임의 내경에 대응하여 탈취제 용기를 지지하는 완충지지대; 및 탈취제주머니에 장입되는 천연 재활용 탈취제;를 포함하여 구성된 철제 가구용 탈취 프레임을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제 가구용 탈취 프레임{deodorant frame for steel furniture}
본 발명은 철제 가구용 탈취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가구의 하중을 지지하는 철제 프레임을 통해 탈취 또는 방향이 이루어지도록 개구가 형성된 프레임 내부에 다양한 프레임의 단면 형태 및 길이에 대응하여 지지되어 다단으로 결합되어 설치되는 탈취제 용기를 구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철제 가구는 철을 소재로 만든 가구로써 유기용제를 사용한 목제가구에 비해서 친환경가구로 인식되고 있으나, 철 특유의 냄새와 파이프 제조과정 중 하나인 용접과정에서 발생되는 잔여물에 의한 냄새 등이 남아 있다.
이러한 철제가구가 대량으로 사용되는 관공서, 도서관, 기숙사 등에는 많은 양의 철제가구 사용으로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식당이나 여러 가지 냄새와 인테리어 내장재, 가구 등에서 미세하게 배출되는 여러 가지 화학성분이 사용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철제 가구에서 배출되는 냄새 발생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철제 가구의 일부분을 성형하여 내부 공간에 탈취제 등의 기능성 물질을 채운 후 마감하는 방식이나, 탈취제 등의 기능성 물질을 철제 가구에 코팅하는 등의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철제 가구 탈취 기술은 대부분 다양한 형태를 가지는 침대, 테이블, 책상 등의 철제가구 또는 철제 프레임의 외경, 모양에 따라 탈취제 용기를 제작함으로써 금형비 상승, 다수의 규격품 제작에 따른 생산비용이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철제 가구 탈취 기술은 범용으로 제작되는 철제 프레임의 다양한 길이나 형태(예, 사각 단면, 삼각 단면, 원형 단면 등등)에 대응하여 설치할 수 있는 표준화된 탈취제 용기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철제가구 탈취 기술은 전용의 설치구조에 탈취제를 일부분 투입하는 방식이 대부분이어서 탈취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필요에 따라 탈취제의 양을 증가시키거나 줄이기가 어렵다는 구조적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철제 가구 탈취 기술은 탈취제 용량을 늘려 프레임 내부 공간에 설치시 철제프레임 내부와 탈취제 용기가 서로 부딪혀서 가구이동이나 가구 사용시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는 구조적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철제가구의 탈취에 사용되는 탈취제가 화학약품 위주로 사용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탈취제 중 대표적으로 암모니아(NH4), 트리메틸아민((CH3)3N) 등의 알카리성 탈취제와 황화수소(H2S), 메틸메르캅산(CH3SH)등의 산성 탈취제 및 모디파이드 폴리디메치콘 등의 계면활성제, 기타 여러 가지 화학약품이 사용되고 있다. 화학약품은 탈취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으나, 최근 가습기 살균제 성분인 PHMG(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 PGH(염화올리고에톡시에틸구아니딘) 등 화학물질의 인체유해성 문제에서 보듯이 여러 가지 화학성분이 장기적으로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주의를 기울일 수 밖에 없다는 위험요소가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27369호 (2003.09.08.)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57660호 (2001.12.04.)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346303호(2013.12.23.)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철제 가구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탈취하고 다양한 단면 구조와 길이로 제작되는 범용 철제 프레임에 대응 할수 있도록, 길이 연장이 가능하고 철제 프레임과의 충돌을 방지하는 지지수단을 구비한 표준화된 탈취제 용기를 포함하는 철제 가구용 탈취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철제 프레임과 탈취제 용기간을 결합시키는 마감캡에 전동환풍캡을 장착하여 탈취효과, 항균효과 및 발향효과를 극대화시킨 철제 가구용 탈취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재활용된 천연 탈취제 조성물을 탈취제 용기에 맞게 가공한 탈취제를 구비하여 자원재활용성, 작업성, 취급용이성 및 보관성을 향상시킨 철제 가구용 탈취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표면에 개구 또는 공기구멍이 형성된 공기순환 프레임; 공기순환 프레임의 내부에 장치되고 표면에는 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탈취제주머니가 보관되는 탈취제 수납부가 구비되고, 마감캡 또는 상하로 이웃하는 타 탈취제 용기간의 다단 결합을 위한 상단결합부와 하단결합부로 이루어진 탈취제 용기; 하단부에 결합된 탈취제 용기를 공기순환 프레임에 고정시키고, 표면에 공기구멍이 형성된 마감캡; 탈취제 용기 둘레에 설치되어 다양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공기순환 프레임의 내경에 대응하여 탈취제 용기를 지지하는 완충지지대; 및 탈취제주머니에 장입되는 천연 재활용 탈취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제 가구용 탈취 프레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제 가구용 탈취 프레임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바림직한 실시예로, 상기 마감캡 외부를 감싸 결합되고 공기의 흐름을 공기순환 프레임 내부방향 또는 외부방향으로 강제로 순환시키도록, 상부 및 하부 표면에 다수의 공기구멍이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는 외부 공기를 내부 또는 내부 공기를 외부 방향으로 순환시키는 구동날개, 구동날개를 회전시키는 모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가 설치되고, 외부면에는 구동날개의 회전방향을 선택하기 위한 구동방향 스위치가 구비된 전동환풍캡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바림직한 실시예로, 상기 공기순환 프레임은 측면 일부분을 절개한 개구에 착탈형 덮개 또는 도어를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바림직한 실시예로, 상기 상단결합부 및 하단결합부는 나사산 결합구조, 자석 결합구조, 상하 홈끼우기 결합구조 중 어느 하나의 결합방식으로 구성되어 상하로 이웃하여 접하는 탈취제 용기간에 대응되는 하단결합부 또는 상단결합부가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림직한 실시예로, 상기 상하 홈끼우기 결합구조는 상단결합부 및 하단결합부의 평면 영역을 적어도 4등분하여 분할하고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분할된 구간은 절개하여 홈부를 형성하고, 나머지 마주보는 2개 구간은 높이가 낮게 돌출된 일구간의 1단 돌출부와 높이가 높게 돌출된 타구간의 2단 돌출부로 구성하되, 2단 돌출부는 내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1단 돌출부가 체결되도록 수납홈부가 형성되며, 상단결합부와 하단결합부간의 접촉면 일지점에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돌부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바림직한 실시예로, 상기 완충지지대는 탈취제 용기와 공기순환 프레임 내경부의 공간부보다 크게 형성하여 하부 또는 상부로 휘어지게 탄성재질로 형성하되, 둘레는 공기순환 프레임의 내경에 모두 접하는 원형 또는 일정 간격마다 일부만 접하게 파형으로 형성하고, 일측 표면에는 원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진 복수개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바림직한 실시예로, 상기 완충지지대는 탈취제 용기 둘레에 상하 일정 간격으로 거치대를 설치 후 적어도 4방면으로 스프링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되는 지지부가 공기순환 프레임의 내경부와 접촉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바림직한 실시예로, 상기 천연 재활용 탈취제는 커피박 100 중량부에 대하여 편백나무톱밥 3~5 중량부, 녹나무톱밥 3~10 중량부, 카사바 분말 15~30 중량부로 조성후 압축가공하여 원형봉 형태로 성형한 후 탈취제주머니에 넣어 탈취제 용기에 수납하여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철제 가구용 탈취 프레임은 침대, 테이블, 책상 등 철제가구에 사용되는 다양한 철제 프레임에 하나의 표준화된 탈취제 용기를 사용하면서도 길이 및 단면적 형태에 대응하여 설치될 수 있다는 장점과,
또한 탈취제주머니를 담는 탈취제 용기를 손쉽게 연결하여 다양한 철제 프레임의 길이에 맞추어 추가적으로 탈취제 용기를 투입할 수 있어서 탈취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과,
또한 탈취제 용기를 다량 연결시 철제 프레임 내부와 탈취제 용기가 서로 부딪혀서 가구 이동이나 가구 사용시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탈취제 용기 외부에 실리콘, 고무, 합성고무, 우레탄 등 연질, 반경질 소재 및 완충 수단과 같은 지지 수단을 구비하여 다양한 철제 프레임의 단면 폭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충돌을 방지하면서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다는 장점과,
또한 임의의 철제 프레임의 외경, 모양에 대응하여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탈취제 용기의 외경을 기본 규격으로 제작하고 그 둘레에 철제 프레임의 다양한 내경에 대응하여 접촉되는 지지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철제 프레임에 적용하여도 탈취제 용기가 내부에서 움직이거나 부딪히지 않게 되어 금형비 상승, 다수의 규격품 제작에 따른 생산비용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과,
또한 철제 프레임에 레이저 가공, 프레스 가공 등을 통한 측면 탈취구멍을 형성하여 프레임 내부에 삽입되는 탈취제 용기를 통한 탈취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과,
또한 철제 프레임과 탈취제 용기간을 결합시키는 마감캡에 전동환풍캡을 장착하여 탈취효과, 항균효과 및 발향효과를 극대화시켰다는 장점과,
또한 연간 약 10만 톤의 일반 폐기물로 폐기되는 커피박(커피찌꺼기)을 커피 제조처, 커피 판매점으로부터 수거하여 재활용하여 사용하고, 목재 제조공장, 가구 제조공장에서 제품 제조시 발생하는 편백나무 톱밥(분말), 녹나무 톱밥(분말)을 수거하여 재활용하여 사용함으로써 자원절감과 생산비용을 절감하였다는 장점과,
또한 사용되는 탈취제를 구성하는 조성원소 중 커피박은 인위적인 화학성분이 함유되지 않은 천연소재로서 뛰어난 탈취효과와 흡습효과, 방충효과가 있으며, 편백나무 톱밥과 녹나무 톱밥은 피톤치드의 살균성과 장뇌(樟腦)성분이 방향, 항균, 방충성을 지녀 철제가구 프레임 내부의 용접냄새, 철제(쇠)냄새 등을 근본적으로 제거하며 실내공간의 악취, 유해성분을 완화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 유용한 발명으로 산업상 그 이용이 크게 기대되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철제 탈취 프레임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여러 공기순환 프레임 내부에 표준 탈취제 용기가 위치한 단면 구조들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 프레임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 프레임에 형성된 개구와 덮개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 프레임에 설치된 탈취제 용기와 개구에 덮개를 덮은 모습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마감캡에 형성된 공기구멍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감캡에 형성된 단일 개구 형태 공기구멍에 슬라이딩 덮개를 설치한 모습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감캡에 형성된 단일 개구 형태 공기구멍에 오픈형 덮개를 설치한 모습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탈취제 용기의 나사산 결합구조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취제 용기의 자석 결합구조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취제 용기의 상하 홈끼우기 결합구조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완충지지대 및 설치구조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지지대 일 표면에 형성된 내경 규격 표시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지지대의 일측표면에 형성된 홈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편을 구비한 완충지지대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과 지지부를 구비한 완충지지대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환풍캡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환풍캡이 마감캡에 결합된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철제 탈취 프레임이 철제가구의 다리에 적용된 것을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철제 탈취 프레임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여러 공기순환 프레임 내부에 표준 탈취제 용기가 위치한 단면 구조들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 프레임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 프레임에 형성된 개구와 덮개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 프레임에 설치된 탈취제 용기와 개구에 덮개를 덮은 모습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마감캡에 형성된 공기구멍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감캡에 형성된 단일 개구 형태 공기구멍에 슬라이딩 덮개를 설치한 모습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감캡에 형성된 단일 개구 형태 공기구멍에 오픈형 덮개를 설치한 모습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탈취제 용기의 나사산 결합구조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취제 용기의 자석 결합구조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취제 용기의 상하 홈끼우기 결합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제 탈취 프레임은 철제로 이루어진 침대, 테이블, 책상 등의 가구에 설치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철제 프레임으로, 표면에 개구 또는 공기구멍이 형성된 공기순환 프레임(1); 공기순환 프레임의 내부에 장치되고 표면에는 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탈취제 수납부가 구비되고, 마감캡 또는 상하로 이웃하는 타 탈취제 용기간의 다단 결합을 위한 상단결합부와 하단결합부로 이루어진 탈취제 용기(2); 하단부에 결합된 탈취제 용기(2)를 공기순환 프레임(1)에 고정시키고, 표면에 공기구멍이 형성된 마감캡(3); 탈취제 용기(2) 둘레에 설치되어 다양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공기순환 프레임(1)의 내경에 대응하여 탈취제 용기(2)를 지지하는 완충지지대(4); 탈취제 용기(2)에 수납되는 천연 재활용 탈취제(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마감캡(3) 외부를 감싸 결합되고, 표면에는 공기구멍이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는 공기의 흐름을 공기순환 프레임(1) 내부방향 또는 외부방향으로 강제로 순환시키는 수단이 포함된 전동환풍캡(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순환 프레임(1)은 가구에 사용되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다양한 형상과 길이를 가지는 철제 프레임에 개구를 형성하여 천연재활용 탈취제와 접촉하는 공기 순환을 돕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공기순환 프레임(1)은 일반적인 철제 가구의 프레임처럼 수평을 맞추기 위해 프레임 하부에 상하 위치를 조절하도록 나사결합을 이용한 회전 다이얼과 같은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한 다양한 공지의 높이조절수단이 공기순환 프레임(1)과 결합 구성되고 내부는 빈 공간으로 구성되고, 적어도 일 지점 이상에 다양한 형태로 형성된 개구(11) 또는 공기구멍(12)을 통해 공기순환 내외부간의 공기 순환이 이루어지게 구성된다. 이러한 개구 또는 공기구멍이 형성됨으로 인해 공기순환 프레임(1) 내부 냄새의 탈취 및 철제 가구에서 배출된 각종 냄새를 공기 순환과정에서 탈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공기순환 프레임(1)에 형성되는 개구 또는 공기구멍은 철제 가구의 종류, 형상 또는 필요로 하는 목적에 따라 복수개로 배열된 타공 형태나 측면 일부 구역 구간을 절개 후 착탈형 덮개(13) 또는 오픈형 또는 슬라이딩형 도어로 구성할 수 있다.
공기순환 프레임(1)에 개구를 형성하는 방법은 통상의 철제 가공방법인 레이저 가공방식, 프레스 가공방식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하여 구성할 수 있다.다만 철제 프레임 측면을 레이저 가공 또는 프레스 가공 방법으로 구멍을 형성시 너무 구멍이 많을 경우 가공시간과 비용이 상승할 수 있다. 이러한 가공방식 외에도 공지의 다양한 금속 가공방식을 사용하여 개구를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탈취제 용기(2) 크기에 맞추어서 철제 프레임 측면에 구멍을 크게 단일구멍으로 형성하고 그 구멍을 통해서 탈취제 용기(2)가 보이게 되며, 탈취/항균 효과가 극대화 되도록 하고, 측면 덮개를 제작해서 끼워주면 된다. 측면 덮개는 측면으로 최대한 탈취, 항균효과가 있도록 철제 프레임 측면에 구멍을 형성하고, 그 구멍을 덮기 위해서 플라스틱 사출 등을 통해서 측면 덮개를 제작해서 끼워준다. 사출시 망사형태로 사출하여 최대한 통기성이 좋도록 설계 및 제작할 수 있다. 또는 측면덮개 테두리는 플라스틱 사출하고 망사는 메쉬천을 부착하여 통기성이 좋도록 설계 및 제작할수 있다.
또 다른 예로는 개구에 도어를 형성하여 열고 닫도록 설계 및 제작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는 개구에 슬라이딩 도어를 형성하여 좌,우로 밀고 닫도록 설계 및 제작할 수 있다.
공기순환 프레임(1)의 단면 형상은 도시된 한 실시예에 예시된 바와 같이 원형 단면, 사각형 단면, 사각형에서 일부 모서리 구간이 곡률로 형성된 단면과 같이 다양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공기순환 프레임(1) 두께도 다양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단면 형상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이외에도 다양한 다각형 또는 정원이 아닌 타원형 단면과 같이 다양한 공기순환 프레임(1) 단면 형상이 가능하다. 다만 표준화된 크기 또는 일정크기로 제작되는 탈취제 용기(2)가 삽입될 수 있는 내경과 탈취제 용기(2)가 다단으로 결합될 수 있는 수직 공간부를 가진 것이라면 특정 모양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탈취제 용기(2)는 철제 공기순환 프레임(1)의 내부에 장치되고 탈취제 용기(2)의 일지점을 절개하여 형성된 탈취용 개구(21)가 형성되고, 내측공간은 탈취제가 들어가는 탈취제 수납부(22)가 구비되고, 상단과 하단에는 추가 탈취제 용기(2)와 결합하기 위한 상단결합부(23) 및 하단결합부(24)가 형성된다. 이때 상단결합부는 탈취제 용기(2)가 최상부에 위치할 경우 탈취제 용기(2)가 아닌 마감캡(3)의 하단결합부(24)와 결합하게 된다. 마감캡(3)의 결합구조는 항시 하부에 위치한 탈취제 용기(2)의 상단결합부와 대응하여 결합될 수 있는 방식의 결합구조로 이루어진다.
상단결합부(23) 및 하단결합부(24)가 구비된 탈취제 용기(2)는 철제 가구 프레임의 길고 짧은 길이에 따라 유동적으로 상하간에 위치한 탈취제 용기(2)간을 상부쪽에 위치한 탈취제 용기(2)의 하단결합부(24)와 하부에 위치한 탈취제 용기(2)의 상단결합부간을 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철제 공기순환 프레임(1)의 길이 또는 필요로 하는 탈취용량의 증대가 용이하고, 사용 후 보충될 탈취제를 부분 교체 또는 전체 교체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게 된다.
탈취제 수납부(22)에는 후술될 천연 재활용 탈취제(5)가 충전된 탈취제주머니(25)가 위치하여 수납된다. 탈취제주머니에는 천연 재활용 탈취제(5)가 바람직하게는 원형봉 형상으로 가공되어 수납된다. 이러한 형상 외에 분말, 탈취제 칩(Chip) 형태로 장입되어 묶여 외부로 흘러나오지 않게 구성할 수도 있다.
탈취용 개구(21)는 탈취제 용기(2)의 측면에 최대한 크게 구멍을 형성하고, 철제 프레임 측면에 구멍을 형성하여 탈취제주머니 내부의 천연 재활용 탈취제가 철제 프레임 내부, 실내 공기 중의 냄새를 원활히 흡수하게 된다.
탈취용 개구(21)는 탈취제 용기(2)의 둘레를 따라 최대한 많이 형성할수록 탈취 효율이 높아지게 되므로 복수개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단결합부(23) 및 하단결합부(24)는 상하간에 위치한 탈취제 용기(2)간의 결합 또는 마감캡(3)의 하단결합부(24)와 결합하도록 이루어지는데 결합구조는 나사산 결합구조, 네오디움과 같은 강력한 자석을 이용한 자석 결합구조, 상하 홈끼우기 결합구조 중 어느 하나의 구조를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먼저 나사산 결합구조는 한 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결합부(23)와 하단결합부(24)의 둘레에 형성된 나사산을 이용해 회전 결합시키는 구조이다.
또한 자석 결합구조는 한 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결합부(23)와 하단결합부(24)의 둘레에 하나 이상의 자석(검정색 사각형) 바람직하게는 네오디움과 같이 결합력이 강해 하중을 잘 견디는 강력한 자석이 서로 겹치게 구성하여 결합되도록 한다. 겹침 구조는 상하간에 서로 다른 극성이 만나 결합되도록 구성하면 된다. 물론 상하방향 외에 둘레방향에서 접하게 구성해도 되지만 이 경우 상하 탈취제 용기(2)간의 외경과 내경이 달라야 하므로 이보다는 상하간 결합이 간편하다. 따라서 개별 탈취제 용기(2)는 상단결합부(23)와 하단결합부(24)의 자석 극성이 서로 반대로 구성하면 된다.
또한 상하 홈끼우기 결합구조는 한 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결합부(23) 및 하단결합부(24)의 평면 영역을 적어도 4등분하여 분할하고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분할된 구간은 절개하여 홈부(201)를 형성하고, 나머지 마주보는 2개 구간은 높이가 낮게 돌출된 일구간의 1단 돌출부(202)와 높이가 높게 돌출된 타구간의 2단 돌출부(203)로 구성하되, 2단 돌출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1단 돌출부가 체결되도록 수납홈부(204)가 형성되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짐으로써 서로 다른 탈취제 용기(2)의 하단결합부(24)와 상단결합부(23)가 접하여 결합시 각 탈취제용기의 돌출부 구간이 각 탈취제 용기(2)의 절개된 홈부(201)를 통해 접한 후 각 1단 돌출부(202)가 타 탈취제 용기(2)의 2단 돌출부(203)의 수납홈부(204) 구간 영역으로 회전하면서 삽입되어 상하 탈취제 용기(2)가 서로 체결된다. 이때 상단결합부(23)와 하단결합부(24)간의 접촉면에는 결합된 상태에서 유격발생을 작게 하고 회전 결합시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서로 간의 접촉면 중 일 지점 위치에서 서로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동일 직경의 위치에 형성된 돌부(205) 또는 홈(206)을 어느 일측면에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에 위치한 탈취제 용기(2)의 하단결합부(24)를 구성하는 1단 돌출부(202)의 하부와 2단 돌출부(203)의 상부쪽 홈으로 돌부(205)가 형성되면 하부에 위치한 타 탈취제 용기(2)는 1단 돌출부(202)의 상부와 2단 돌출부(203)의 하부에 홈(206)이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마감캡(3)은 탈취제 용기(2)의 상단에 형성된 상단결합부(23)와 결합하도록 결합부(31)가 형성된다. 이 결합부의 구조는 탈취제 용기의 상단 결합부 구조 형상에 대응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하 마감캡(3)의 결합 구조 설명은 중복 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에서 설명한 다양한 하단결합부(24) 구조 또는 상단결합부(23) 구조 설명으로 대신한다.
마감캡(3)은 탈취제 용기(2)와 결합한 상태에서 다시 공기순환 프레임(1)의 상단부와 결합함으로써 탈취제 용기(2)가 공기순환 프레임(1) 내부에 매달린 형태로 설치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마감캡(3)과 공기순환 프레임(1)간의 결합시 마감캡(3)의 외경이 적어도 공기순환 프레임(1)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공기순환 프레임(1)에 빠지지 않도록 구성한다. 마감캡(3)의 대표적인 결합방식은 끼움방식이나 걸침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외에도 마감캡(3)의 하부가 둘레방향 즉, 외경방향으로 가압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탈취제 용기(2) 교체시의 편리함을 위해 원터치방식(도시생략)로 손쉽게 열기 쉽도록 제작할 수도 있다.
따라서 마감캡(3)이 공기순환 프레임(1)에 빠지지 않도록 결합시켜 마감캡(3) 하부에 결합되는 탈취제 용기(2)의 하중을 지지할수만 있다면 여러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마감캡(3)의 상부 표면에는 탈취용 공기구멍(32)이 형성되어 상부 방향을 통한 공기순환이 이루어져 탈취제 용기(2)에 수납된 탈취제를 통한 탈취가 이루어지도록 도와준다. 물론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순환되면서 탈취용 공기구멍을 통해 방향 성분이 배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탈취용 공기구멍은 심미적으로 거슬리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한다.
또한 마감캡(3)의 상부는 탈취용 공기구멍(32)을 통해 공기가 순환되도록 구성하면 충분하지만 필요에 따라 개구(33) 형태로 공기구멍을 형성하여 슬라이딩 방식 또는 위로 오픈되는 덮개(34)로 구성하여 탈취를 위한 순환 공기구멍을 형성할 수도 있다.
마감캡(3)의 재질은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하여 제조하거나, 주물방식으로 제작된 합금 재질로 제조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완충지지대 및 설치구조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지지대 일 표면에 형성된 내경 규격 표시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지지대의 일측표면에 형성된 홈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편을 구비한 완충지지대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과 지지부를 구비한 완충지지대를 보인 예시도이다.
완충지지대(4)는 탈취제 용기(2) 둘레에 설치되어 다양한 프레임 내경에 대응하여 탈취제 용기(2)를 항시 탄성적으로 공기순환 프레임(1)의 내경간을 완충지지하여 이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철제 가구를 이동하거나 사용시 탈취제 용기(2)와 공기순환 프레임(1) 내경부가 서로 부딪혀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예방하게 된다
또한 완충지지대(4)는 열가소성플라스틱, 엔지니어링플라스틱, 합성고무, 천연고무 등 연질, 반연질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소재를 사용하여 탈취제 용기(2) 둘레에 설치하거나 탈취제 용기(2) 사이의 연결부위에 끼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완충지지대(4)는 탈취제 용기(2)가 다단으로 구성시 탈취제 프레임의 길이에 따라 상하로 복수개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단일의 탈취제 용기(2)가 사용되어도 복수개로 구성하면 더욱 좋다.
한편, 완충지지대(4)의 형상은 탈취제 용기(2)와 공기순환 프레임(1) 내경부의 공간부보다 크게 형성하여 하부 또는 상부로 휘어지게 탄성재질로 형성하여 완충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둘레는 공기순환 프레임(1)의 내경에 모두 접하게 원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일정 간격마다 일부 외경 구간만 접하게 파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완충지지대(4)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 중 어느 일측 표면에는 내경 규격 표시를 하고 원둘레 방향으로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홈(41)이 형성되게 제작하여 균일한 지점에서 휘어지게 하거나 공기순환 프레임(1)의 내경 크기에 따라서 크기 조절하여 재단이 용이하도록 구성하였다.
또는 완충지지대(4)의 형상은 탈취제 용기(2)와 공기순환 프레임(1) 내경 공간 만큼의 차이를 가진 길이로 돌출된 복수개의 지지편(42)이 일정 간격으로 원형 배열되어 외력에 의해 탈취제 프레임이 일측방향으로 기울어질 경우 탈취제 용기(2)를 지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는 완충지지대(4)의 형상은 기구적 구성을 구비하여 탈취제 용기(2) 둘레에 상하 일정 간격으로 거치대(43)를 설치 후 적어도 4방면으로 스프링(44)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되는 지지부(45)가 공기순환 프레임(1)의 내경부와 접촉되도록 설치하여 항시 탈취제 용기(2)가 탄성적으로 완충지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돌출부의 최대 팽창시 위치는 공기순환 프레임(1)의 내경보다 크게 함으로써 항시 수축된 상태를 가지도록 하여 여분의 팽창력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하여 공기순환 프레임(1)의 내경에 자동으로 조절되어 지지된다.
상기 천연 재활용 탈취제(5)는 탈취제 용기(2)에 수납되어 순환되는 공기 중의 냄새를 유발하는 물질을 흡착하여 탈취하게 된다. 사용되는 탈취제는 인공 탈취제가 아닌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재활용 탈취제(5)를 사용한다.
천연 재활용 탈취제(5)는 통기성이 좋은 한지, 천연부직포 소재로 외피를 형성한 탈취제주머니(25)에 원형봉 형태로 성형 가공하여 넣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취제용기는 사용자가 사용 중 탈취, 항균, 발향 효과가 떨어지면 손쉽게 교체 가능하다. 또한 발향, 항균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탈취제주머니에 편백나무원액(피톤치드원액)을 분무기로 분사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재활용 탈취제(5)는 함수율 0~15%로 건조된 커피박 100 중량부에 대하여 편백나무톱밥 3~5 중량부, 녹나무톱밥 3~10 중량부, 카사바 분말 15~30 중량부로 조성된다. 이와 같이 수치를 한정한 이유는 이와 같은 비율을 가질 때 커피박에 의한 탈취와 방향 성능, 편백 나무톱밥과 녹나무톱밥의 탈취, 향균, 방향 성능이 잘 어우러지고, 압축에 의한 원형봉 성형시 카사바 분말에 의한 결합력이 좋기 때문이다. 즉, 편백나무톱밥과 녹나무톱밥은 하한값을 벗어나면 3~10 중량부의 수치 구간을 벗어나면 탈취, 향균, 방향 성능이 저하되고, 상한 수치를 벗어나면 카사바 분말의 결합력을 저하시켜 성형성 및 강도가 나빠지게 된다. 카사바분말은 하한치보다 적으면 결합력이 나빠지고, 상한치보다 많으면 점도가 너무 상승되어 성형성이 나빠지고, 커피박, 편백나무톱밥, 녹나무톱밥의 외부를 카사바분말의 녹말성분과 같은 점성질 물질이 두껍게 코팅됨으로써 공기와의 접촉이 어려워 오염원에 대한 탈취, 방향 및 향균 성능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조성물은 모두 커피나 약제등으로 1차 사용된 것을 수거하여 재활용하는 것으로, 재활용시에도 여전히 탈취력을 발휘할 수 있는 재료들이다.특히 카사바는 탈취 성분 외에도 전분 성분이 있어서 성형가공시 결합제 역할을 하는 재료이다.
커피박(커피찌꺼기)은 커피 제조처 또는 커피판매점으로부터 수거하여 건조된 것을 사용하고, 편백나무톱밥(분말) 및 녹나무톱밥(분말)은 제조공장으로부터 수거하여 사용하고, 카사바분말은 카사바 제품 제조시 발생된 불량품 또는 가공시 배출된 찌거기 등을 사용한다.
상기 각 조성원소들의 탈취, 방향 특성 등은 사전 또는 인터넷을 통해 널리 공지된 사항이라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천연 재활용 탈취제(5)는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조성된 것을 원형봉 형태로 가공후 탈취제주머니에 넣어 사용하거나 경우에 따라 분말 또는 칩 형태로 가공하여 탈취제주머니에 넣어 사용해도 된다.
한 실시예에 따라 원형봉 형태로 가공하는 방법은 상기 조성비로 혼합된 천연 재활용 탈취제(5)를 가열 가능한 히터가 내장된 금형(30 ~ 70℃)이 장착된 압출기로 원형봉 형태로 압출한 후, 탈취제주머니와 탈취제 용기(2)에 맞는 크기로 재단하여 탈취제주머니에 넣는다. 이와 같이 천연탈취제를 카사바 분말과 열압 압출기 성형을 통해서 고형물로 제작하면 작업성, 취급성, 보관성이 향상되어 바람직하다.
도 1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환풍캡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환풍캡이 마감캡에 결합된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한편 전동환풍캡(6)은 탈취효과, 항균효과 및 방향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상기 마감캡(3) 주위를 덮어 마감캡(3)을 통한 공기 흐름이 내부 또는 외부로 선택되어 강제 순환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전동환풍캡(6)은 상부 및 하부 표면에 다수의 공기구멍(61)과 같은 개구가 형성되고, 내부공간에는 외부 공기를 내부 또는 내부 공기를 외부 방향으로 순환시키는 구동날개(62), 구동날개를 회전시키는 모터(63),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64)가 설치되고, 외부면에는 구동날개의 회전방향을 선택하기 위한 구동방향 스위치(65)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스마트폰(핸드폰) 충전장치(USB 포트 연결방식, 콘센트 연결방식)로 충전지를 충전후 모터에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하게 하거나, 교체용 배터리를 이용하여 모터에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방향스위치는 구동날개를 오른쪽으로 구동하기 위해서 구동스위치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면 소형 전동 dc모터에 장착된 구동날개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탈취제 용기(2) 안에 있는 편백나무, 녹나무 등의 성분이 탈취제 용기(2) 외부로 나오게 되어, 편백나무, 녹나무 향기와 향균 성분이 인체에 친환경적인 영향을 끼치게 된다. 또한 구동스위치를 반대로 왼쪽으로 이동시키면 회전날개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공기 중의 냄새, 유해성분을 탈취제 용기(2) 안으로 강제 흡입시켜서 탈취효과를 극대화시켜 준다. 또한 가운데 위치하면 작동을 멈추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구동날개의 회전방향에 따라 공기순환 프레임(1)의 공기를 마감캠 및 전동환풍캡(6)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여 탈취제 용기(2)에 담긴 천연 재활용 탈취제(5)의 방향 성분이 외부로 배출되기도 하고, 반대로 외부 공기를 전동환풍캡(6) 및 마감캡(3)을 통해 공기순환 프레임(1) 내부로 유입시켜 탈취제 용기(2)에 담긴 천연 재활용 탈취제(5)가 탈취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철제 가구용 탈취 프레임은 사용된 커피박, 편백나무톱밥, 녹나무톱밥 및 카사바 분말을 수거하여 건조 후 혼합하여 천연 재활용 탈취제(5) 분말 또는 원형봉으로 성형하여 준비하는 단계; 천연 재활용 탈취제(5)를 통기성이 우수한 한지, 부직포 소재의 탈취제주머니에 투입 후 주머니 입구를 막아주는 탈취제주머니를 준비하는 단계; 열가소성플라스틱,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소재 등을 사출 형성하여 탈취제 용기(2)를 제조하는 단계; 표면 도장 전의 철제 프레임에 레이저 가공, 프레스 가공등의 가공을 통해 측면 공기순환구멍을 형성하여 공기순환 프레임(1)을 형성하는 단계; 공기순환 프레임(1) 상부에 끼워지는 마감캡(3)에 탈취용 공기구멍을 형성하는 단계; 탈취제주머니를 탈취제 용기(2)에 삽입하고 마감캡(3)과 연결하며, 완충지지대(4)를 중간에 삽입 후 탈취제 용기(2)를 공기순환 프레임(1)의 길이를 감안하여 다단결합시킨 후 공기순환 프레임(1)에 삽입하는 탈취제 용기(2) 결합하는 단계;를 거치면 제작이 완료된다.
도 1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철제 탈취 프레임이 철제가구의 다리에 적용된 것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과정을 거쳐 제작된 철제 가구용 탈취 프레임은 이를 적용하는 침대, 테이블, 식탁, 책상, 선반대, 의자 등과 같은 철제가구 전분야에 걸쳐서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공기순환 프레임 (2) : 탈취제 용기
(3) : 마감캡 (4) : 완충지지대
(5) : 천연 재활용 탈취제 (6) : 전동환풍캡
(11) : 개구 (12) : 공기구멍
(13) : 착탈형 덮개 (21) : 탈취용 개구
(22) : 탈취제 수납부 (23) : 상단결합부
(24) : 하단결합부 (25) : 탈취제주머니
(31) : 결합부 (32) : 탈취용 공기구멍
(33) : 개구 (34) : 덮개
(41) : 홈 (42) : 지지편
(43) : 거치대 (44) : 스프링
(45) : 지지부 (61) : 공기구멍
(62) : 구동날개 (63) : 모터
(64) : 전원공급장치 (65) : 구동방향 스위치
(201) : 홈부 (202) : 1단 돌출부
(203) : 2단 돌출부 (204) : 수납홈부
(205) : 돌부 (206) : 홈

Claims (8)

  1. 표면에 개구 또는 공기구멍이 형성된 공기순환 프레임;
    공기순환 프레임의 내부에 장치되고 표면에는 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탈취제주머니가 보관되는 탈취제 수납부가 구비되고, 마감캡 또는 상하로 이웃하는 타 탈취제 용기간의 다단 결합을 위한 상단결합부와 하단결합부로 이루어진 탈취제 용기;
    하단부에 결합된 탈취제 용기를 공기순환 프레임에 고정시키고, 표면에 공기구멍이 형성된 마감캡;
    탈취제 용기 둘레에 설치되어 다양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공기순환 프레임의 내경에 대응하여 탈취제 용기를 지지하는 완충지지대; 및
    탈취제주머니에 장입되는 천연 재활용 탈취제;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상단결합부 및 하단결합부는 나사산 결합구조, 자석 결합구조, 상하 홈끼우기 결합구조 중 어느 하나의 결합방식으로 구성되어 상하로 이웃하여 접하는 탈취제 용기간에 대응되는 하단결합부 또는 상단결합부가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하 홈끼우기 결합구조는 상단결합부 및 하단결합부의 평면 영역을 적어도 4등분하여 분할하고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분할된 구간은 절개하여 홈부를 형성하고, 나머지 마주보는 2개 구간은 높이가 낮게 돌출된 일구간의 1단 돌출부와 높이가 높게 돌출된 타구간의 2단 돌출부로 구성하되, 2단 돌출부는 내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1단 돌출부가 체결되도록 수납홈부가 형성되며, 상단결합부와 하단결합부간의 접촉면 일지점에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돌부 또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제 가구용 탈취 프레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감캡 외부를 감싸 결합되고 공기의 흐름을 공기순환 프레임 내부방향 또는 외부방향으로 강제로 순환시키도록, 상부 및 하부 표면에 다수의 공기구멍이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는 외부 공기를 내부 또는 내부 공기를 외부 방향으로 순환시키는 구동날개, 구동날개를 회전시키는 모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가 설치되고, 외부면에는 구동날개의 회전방향을 선택하기 위한 구동방향 스위치가 구비된 전동환풍캡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제 가구용 탈취 프레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 프레임은 측면 일부분을 절개한 개구에 착탈형 덮개 또는 도어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제 가구용 탈취 프레임.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완충지지대는 탈취제 용기와 공기순환 프레임 내경부의 공간부보다 크게 형성하여 하부 또는 상부로 휘어지게 탄성재질로 형성하되, 둘레는 공기순환 프레임의 내경에 모두 접하는 원형 또는 일정 간격마다 일부만 접하게 파형으로 형성하고, 일측 표면에는 원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진 복수개의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제 가구용 탈취 프레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완충지지대는 탈취제 용기 둘레에 상하 일정 간격으로 거치대를 설치 후 적어도 4방면으로 스프링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되는 지지부가 공기순환 프레임의 내경부와 접촉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제 가구용 탈취 프레임.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천연 재활용 탈취제는 커피박 100 중량부에 대하여 편백나무톱밥 3~5 중량부, 녹나무톱밥 3~10 중량부, 카사바 분말 15~30 중량부로 조성후 압축가공하여 원형봉 형태로 성형한 후 탈취제주머니에 넣어 탈취제 용기에 수납하여 사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제 가구용 탈취 프레임.
KR1020160174469A 2016-12-20 2016-12-20 철제 가구용 탈취 프레임 KR101893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4469A KR101893951B1 (ko) 2016-12-20 2016-12-20 철제 가구용 탈취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4469A KR101893951B1 (ko) 2016-12-20 2016-12-20 철제 가구용 탈취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630A KR20180071630A (ko) 2018-06-28
KR101893951B1 true KR101893951B1 (ko) 2018-09-03

Family

ID=62780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4469A KR101893951B1 (ko) 2016-12-20 2016-12-20 철제 가구용 탈취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39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059A (ko) * 2021-06-25 2023-01-04 정병식 실내용 탈취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6279B1 (ko) * 2023-08-21 2024-01-17 주식회사 지지오 엔지니어링 탈취제의 표면적 증대를 이용한 공기 역학적 메커니즘의 공기 탈취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9811A (ja) * 2005-12-14 2007-06-28 Rokku Rental:Kk 脱臭剤及び脱臭具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8434Y1 (ko) * 1990-06-29 1993-12-22 장성광 만년캘린더
KR200257660Y1 (ko) 2001-09-05 2001-12-24 김종일 숯을 내장한 가구용 판상체
KR200327369Y1 (ko) 2003-07-04 2003-09-19 윤관호 침상프레임에 기능성물질을 설치한 기능성 침대
KR101346303B1 (ko) 2012-01-27 2013-12-31 장성편백바이오텍영농조합법인 가구의 편백향 발산장치
KR20150019189A (ko) * 2013-08-13 2015-02-25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탈취 및 살균 기능을 구비하는 옷걸이 봉
KR20150129466A (ko) * 2014-05-12 2015-11-20 김주연 소형 제습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9811A (ja) * 2005-12-14 2007-06-28 Rokku Rental:Kk 脱臭剤及び脱臭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059A (ko) * 2021-06-25 2023-01-04 정병식 실내용 탈취 장치
KR102600844B1 (ko) 2021-06-25 2023-11-10 정병식 실내용 탈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630A (ko) 2018-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3951B1 (ko) 철제 가구용 탈취 프레임
CN108883867B (zh) 容器、容器插入件以及用于制作容器的相关方法
US8911678B2 (en) Moisture and malodor control system
CA2523631A1 (en) Air freshener
CN207497336U (zh) 一种具有筛选功能的茶叶包装盒
US5927492A (en) Decorative container for storing plumbing plunger
CN101755686A (zh) 一种猫砂
JP5307408B2 (ja) 消臭・芳香剤およびこれを利用する消臭・芳香器具
JP2009543741A (ja) 容器
KR101506325B1 (ko) 항균 및 탈취 기능을 가진 보존력이 향상된 저장성 음식 용기
US20080245889A1 (en) Container with air freshener
US20050201643A1 (en) Scented disposable trash bags
KR20200060560A (ko) 발포 폴리에틸렌 시트
KR20070054615A (ko) 악취 탈취제 조성물 및 탈취제 케이스
EP2179748B1 (en) Deodorizing system
KR200424908Y1 (ko) 가구 다리
KR200308497Y1 (ko) 용기 호환성을 갖는 방향제 자동분사장치
KR101368854B1 (ko) 붙박이용 가구의 환기구조
KR200393290Y1 (ko) 제습제 및 탈취제 수납용기
EP2001524A1 (en) Container with air freshener
CN217285136U (zh) 一种防腐性强的木柜
KR101465150B1 (ko) 한지 쌀통
CN209026986U (zh) 可调式空气清新盒
JP2007031605A (ja) 香料組成物
KR200491188Y1 (ko) 탈착형 제습제 수납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