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3694B1 - 스마트 골반교정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골반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3694B1
KR101893694B1 KR1020170072421A KR20170072421A KR101893694B1 KR 101893694 B1 KR101893694 B1 KR 101893694B1 KR 1020170072421 A KR1020170072421 A KR 1020170072421A KR 20170072421 A KR20170072421 A KR 20170072421A KR 101893694 B1 KR101893694 B1 KR 101893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pelvis
unit
seat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2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재근
Original Assignee
한재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재근 filed Critical 한재근
Priority to KR1020170072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36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3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3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6Apparatus for applying pressure or blows for compressive stressing of a part of the skeletal structure, e.g. for preventing or alleviating osteopo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A61H9/0078Pneumatic massage with intermittent or alternately inflated bladders or c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5Warming the body, e.g. hyperthermia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4Platforms for reciprocating rotating motion about a vertical axis, e.g. axis through the middle of the platfor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61H2201/501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connected to external computer devices or networ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80W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Rheumat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골반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골반교정장치는, 사용자의 일측 고관절 및 엉덩이를 감싸면서 압박하도록 형성되는 제1 좌판부와, 상기 사용자의 타측 고관절 및 엉덩이를 감싸면서 압박하도록 형성되는 제2 좌판부와, 상기 제1 좌판부와 상기 제2 좌판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사용자의 회음부에 맞닿아 조명을 출력하거나 열적외선을 출력하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의 상기 조명 또는 상기 열적외선의 출력 위치 및 세기를 가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골반의 교정과 더불어 회음부를 자극하여 치료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골반교정장치{SMART PELVIS CORR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스마트 골반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골반을 교정하면서 회음부를 자극하여 치료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골반은 허리 부분을 형성하고 있는 깔때기 모양의 골격을 가리키며, 성기, 분비기관, 소화기관의 하부를 수용하고 보호하고 있으며, 양쪽 다리와 연결되어 몸을 지탱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여성의 골반은 임신과 출산 등에 의해 그 근육이 점차 약해지며, 이에 의해 골반이 벌어지고 틀어지기 쉽다. 이와 같이 골반이 벌어지고 틀어지게 되면 몸의 균형을 잃게 되고, 또한 골반이 틀어지면 척추도 함께 틀어져서 척추 신경들을 압박하게 되어 각종 척추 질환도 야기될 수 있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88186호(2011. 12. 05 공고)는 "장골과 천골을 동시에 교정하는 골반교정기"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의자 형태로 그 부피가 너무 크고, 기계적 구성에 의해 골반을 교정한다는 점에서 그 효과가 지속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골반의 교정과 더불어 회음부를 자극하여 치료할 수 있는 스마트 골반교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사용자의 하중을 감지하여 에어쿠션을 이용하여 골반을 교정하도록 하는 스마트 골반교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사용자가 골반교정운동을 하도록 안내하여 교정이력을 관리하는 스마트 골반교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사용자의 골반교정 및 근력운동을 유도할 수 있는 스마트 골반교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골반교정장치는, 사용자의 일측 고관절 및 엉덩이를 감싸면서 압박하도록 형성되는 제1 좌판부와, 상기 사용자의 타측 고관절 및 엉덩이를 감싸면서 압박하도록 형성되는 제2 좌판부와, 상기 제1 좌판부와 상기 제2 좌판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사용자의 회음부에 맞닿아 조명을 출력하거나 열적외선을 출력하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의 상기 조명 또는 상기 열적외선의 출력 위치 및 세기를 가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좌판부 및 상기 제2 좌판부에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하중을 감지하는 하중감지부와, 상기 제1 좌판부 및 상기 제2 좌판부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감지부와, 상기 제1 좌판부 및 상기 제2 좌판부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압축 또는 팽창하는 에어쿠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중감지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골반의 각도를 교정하기 위해 상기 에어쿠션부를 제어하되, 상기 접촉감지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고관절을 압박하기 위해 상기 에어쿠션부를 가변적으로 압축 또는 팽창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어깨에 착용된 외부센서와의 위치를 정렬하는 정렬부와, 상기 제1 좌판부 및 상기 제2 좌판부의 하부로 회동결합되는 바닥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골반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정렬부의 정렬위치 이탈신호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골반운동횟수 및 회전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중감지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골반의 각도를 기 설정된 시간주기로 파악하여 상기 에어쿠션부를 기 설정된 패턴으로 가변제어하고, 상기 에어쿠션부의 가변제어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골반교정이력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좌판부 및 상기 제2 좌판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진동신호를 출력하는 진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골반의 교정과 더불어 회음부를 자극하여 치료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하중을 감지하여 에어쿠션을 이용하여 골반을 교정하도록 하여 신체적인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골반교정운동을 하도록 안내하여 교정이력을 관리하여 사용자 단말로 운동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골반교정 및 근력운동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골반교정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스마트 골반교정장치 중 에어쿠션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따른 스마트 골반교정장치 중 정렬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도 1에 따른 스마트 골반교정장치와 사용자 단말 간의 가시광 통신에 따른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 따른 스마트 골반교정장치 중 저주파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골반교정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골반교정장치(100)는 제1 좌판부(110), 제2 좌판부(120), 중심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제1 좌판부(110)는 합성수지재, 실리콘, 폴리우레탄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일측 고관절 및 엉덩이를 감싸면서 압박하도록 형성된다. 제1 좌판부(110)는 사용자의 허벅지의 외측으로 맞닿는 부위가 30~45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일측 고관절을 압박하여 골반을 교정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1 좌판부(110)는 사용자의 허벅지에서 엉덩이가 맞닿는 부위까지 10~15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엉덩이를 압박하여 힙업시키기 위함이다.
제2 좌판부(120)는 합성수지재, 실리콘, 폴리우레탄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타측 고관절 및 엉덩이를 감싸면서 압박하도록 형성된다. 제2 좌판부(120)는 제1 좌판부(110)와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좌판부(120)는 사용자의 허벅지의 외측으로 맞닿는 부위가 30~45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일측 고관절을 압박하여 골반을 교정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2 좌판부(120)는 사용자의 허벅지에서 엉덩이가 맞닿는 부위까지 10~15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엉덩이를 압박하여 힙업시키기 위함이다.
중심부(130)는 제1 좌판부(110)와 제2 좌판부(120) 사이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회음부에 맞닿아 조명을 출력하거나 열적외선을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중심부(130)는 조명부(131)와 열적외선부(132)를 포함한다. 조명부(131)는 복수의 LED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조명부(131)가 출력되는 위치 및 세기는 사용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조명부(131)는 특정 주파수의 조명을 출력하여 회음부의 피부를 자극하거나 살균하도록 한다. 열적외선부(132)는 사용자의 회음부에 열적외선을 출력하여 온열치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어부(140)는 중심부(130)의 조명 또는 열적외선의 출력 위치 및 세기를 가변시킬 수 있다. 제어부(140)는 조명부(131)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성별에 따라 조명이 출력되는 위치 및 세기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이는 남성과 여성의 생식기의 차이로 인해 가변적으로 조명부(131)를 제어하기 위함이다. 제어부(140)는 원적외선부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성별에 따라 원적외선이 출력되는 위치 및 세기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이는 남성과 여성의 생식기 차이로 인해 가변적으로 원적외선부를 제어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입력 또는 사용자의 신체적 특징인 몸무게 및 골반의 각도를 감지하여 조명부(131) 및 원적외선부의 출력을 가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골반교정장치(100)는 하중감지부(150), 접촉감지부(160), 에어쿠션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중감지부(150)는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제1 좌판부(110) 및 제2 좌판부(120)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하중을 감지할 수 있다. 하중감지부(150)는 제1 좌판부(110)의 하중과 제2 좌판부(120)의 하중을 각각 감지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제1 좌판부(110) 및 제2 좌판부(120)에 착석 여부를 감지하고, 사용자의 골반이 틀어진 경우 무게중심이 달라지는 것을 감지하기 위함이다. 하중감지부(150)는 제1 좌판부(110) 및 제2 좌판부(1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사용되는 센서의 위치 및 개수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접촉감지부(160)는 제1 좌판부(110) 및 제2 좌판부(12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접촉 여부를 감지한다. 접촉감지부(160)는 접촉센서 또는 조도센서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접촉감지부(160)는 사용자가 제1 좌판부(110) 및 제2 좌판부(120)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신체적 특징에 의해 제1 좌판부(110) 및 제2 좌판부(120)가 고관절을 압박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접촉감지부(160)가 사용자의 다리 위치를 감지하여 제1 좌판부(110) 및 제2 좌판부(120)와 접촉하는지에 따라 후술하는 에어쿠션부(170)가 가변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에어쿠션부(170)는 에어모터에 의해 압축 또는 팽창되는 공기주머니이다. 에어쿠션부(170)는 제1 좌판부(110) 및 제2 좌판부(12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압축 또는 팽창한다. 에어쿠션부(170)는 1차적으로 제1 좌판부(110) 및 제2 좌판부(120)에 안착된 사용자의 고관절을 압박하기 위해 에어쿠션부(170)를 팽창시킬 수 있다. 또한 에어쿠션부(170)는 2차적으로 골반이 틀어진 사용자의 골반을 교정하기 위해 제1 좌판부(110) 및 제2 좌판부(120)의 에어쿠션부(170)의 팽창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접촉감지부(160)를 통해 사용자의 고관절을 압박하기 위해 에어쿠션부(170)를 가변적으로 압축 또는 팽창시킬 수 있다.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접촉 여부를 기 설정된 시간 주기로 획득하여 변경 내역을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40)는 하중감지부(150)를 통해 사용자의 골반의 각도를 교정하기 위해 에어쿠션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기 설정된 시간 주기로 에어쿠션부(170)의 압축 및 팽창을 반복하여 사용자의 골반을 교정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스마트 골반교정장치 중 에어쿠션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 골반교정장치(100) 중 제1 좌판부(110) 및 제2 좌판부(120) 일측에는 하중감지부(150)가 형성되고, 내측면에 접촉감지부(160) 및 에어쿠션부(170)가 형성된다. 하중감지부(150)는 사용자의 착석 여부 및 제1 좌판부(110)와 제2 좌판부(120) 간의 하중 차이를 기초로 골반의 틀어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접촉감지부(160)는 제1 좌판부(110) 및 제2 좌판부(120)가 사용자의 고관절을 압박하고 있는지, 골반의 틀어진 각도를 각각 감지할 수 있다. 에어쿠션부(170)는 제1 좌판부(110) 및 제2 좌판부(120)의 내측면에서 팽창하여 사용자의 허벅지를 내측으로 모으게 하여 골반을 조여주는 역할을 한다. 이에 사용자의 골반이 교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골반교정장치(100)는 정렬부(180) 및 바닥판(18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렬부(180)는 사용자의 어깨에 착용된 외부센서(20)와의 위치를 정렬한다. 정렬부(180)는 외부센서(20)와 통신이 가능하며 제1 좌판부(110), 제2 좌판부(120)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개수 및 위치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정렬부(180)는 외부센서(20)의 위치변경에 따라 사용자의 골반운동횟수 및 회전각도를 감지하게 된다. 정렬부(180)는 외부센서(20)와 기 설정된 범위로부터 이탈시 이를 골반운동으로 감지하고 횟수 및 회전각도를 감지한다.
바닥판(185)은 제1 좌판부(110) 및 제2 좌판부(120)의 하부로 회동결합된다. 바닥판(185)은 바닥면에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마찰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바닥판(185)은 고정된 상태에서 제1 좌판부(110) 및 제2 좌판부(120)가 일체로 회동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제1 좌판부(110) 및 제2 좌판부(120)에 안착된 상태에서 허리를 돌려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바닥판(185)과 제1 좌판부(110) 및 제2 좌판부(120)의 결합은 기어결합을 통해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회전하는 힘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골반을 회전시킴에 따라 정렬부(180)의 정렬위치 이탈신호를 획드갛여 사용자의 골반운동횟수 및 회전각도를 측정한다. 제어부(140)는 제1 좌판부(110)에 형성된 정렬부(180)와 제2 좌판부(120)에 형성된 정렬부(180)의 이탈신호를 통해 사용자가 자신의 골반을 어느 방향으로 틀었는지, 어느 각도로 틀었는지에 따라 운동정보를 완성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저장하여 이력화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따른 스마트 골반교정장치 중 정렬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스마트 골반교정장치(100)에는 바닥판(185)이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골반을 회전시킬 수 있다. 스마트 골반교정장치(100)에는 정렬부(180)가 형성되고, 사용자의 어깨에는 외부센서(20)가 형성된다. 이 경우, 외부센서(20)는 정렬부(180)와 위치를 나타내는 센서이다. 외부센서(20)는 사용자가 어깨 또는 팔에 착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의 (a)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골반을 회전시키지 않은 상태는 근접신호를 출력하고, (b)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골반을 회전시킨 상태에서는 이탈신호를 출력한다. (b)에서와 같이 스마트 골반교정장치(100)는 바닥판(185)을 기준으로 회동하면서 외부센서(20)와 정렬부(180)가 기 설정된 위치를 이탈하거나 근접하여 운동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스마트 골반교정장치(100)를 회전시키면서 허리나 어깨의 근력을 강화시키는 운동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골반교정장치(100)는 통신부(190), 진동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90)는 외부의 사용자 단말(10)과 통신한다. 통신부(190)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NFC와 같은 단거리 네트워크 또는 3G, 4G, 5G와 같은 장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0)과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9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사용자 인증정보를 교환하여 스마트 골반교정장치(100)로부터 생성되는 데이터를 외부의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디스플레이가 형성된 단말로 통신부(19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스마트 골반교정장치(100)의 정보를 관리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도 2 내지 도 4의 실시예에서도 통신부(190)를 포함하여 사용자 단말(10)로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진동부(200)는 제1 좌판부(110) 및 제2 좌판부(120)의 일측에 형성되어 진동신호를 출력한다. 진동부(200)는 사용자의 엉덩이가 맞닿는 부위 또는 허벅지와 맞닿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진동신호는 세기 및 패턴을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제공할 수 있다. 진동부(200)의 위치 및 개수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진동부(200)는 사용자의 골반의 고관절을 압박시킬 때 근육을 이완시키거나, 엉덩이를 힙업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진동부(200)는 외부의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사용자가 수동으로 진동패턴을 선택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진동부(200)에 의해 사용자는 근련운동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40)는 하중감지부(150)를 통해 사용자의 골반의 각도를 기 설정된 시간주기로 파악하여 에어쿠션부(170)를 기 설정된 패턴으로 가변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에어쿠션부(170)의 가변제어에 따른 사용자의 골반교정이력을 통신부(190)를 통해 외부의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외부의 사용자 단말(10)로부터 통신부(190)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정보, 감정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사용자의 생체정보에는 체온, 혈압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체온에 따라 조명부(131) 및 원적외선부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감정정보는 사용자의 스트레스정보를 포함하며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감정상태에 따라 에어펌프의 가변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스마트 골반교정장치와 사용자 단말 간의 가시광 통신에 따른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스마트 골반교정장치(100)의 조명부(131)에서는 복수의 엘이디가 기 설정된 패턴으로 점멸을 하면서 외부의 사용자 단말(10)로 가시광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10)은 조명부(131)의 가시광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기기 등록을 처리하게 된다. 제어부(140)는 스마트 골반교정장치(100) 고유의 식별정보를 가시광 데이터로 전송하도록 PWM 제어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부(140)는 하중감지부(150)를 통해 사용자가 착석하지 않은 경우 가시광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전송모드로 조명부(131)를 제어한다. 하중감지부(150)를 통해 사용자가 착석한 경우 치료용 점멸신호를 출력하도록 치료모드로 조명부(131)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따른 스마트 골반교정장치 중 저주파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스마트 골반교정장치(100)는 저주파부(210)를 더 포함한다. 저주파부(210)는 전극패드 또는 전극방석을 통해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어 저주파를 출력한다. 저주파부(210)는 스마트 골반장치(100)와 착탈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저주파부(210)가 스마트 골반장치(100)와 연결되는 경우 그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분리되는 경우 독립된 전원으로 구동될 수도 있다. 또한, 저주파부(210)는 스마트 골반장치(100)와 연결시 그를 통해 외부의 사용자 단말(10)과 통신하고, 분리되는 경우 무선으로 사용자 단말(10) 또는 스마트 골반장치(100)와 통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저주파부(210)는 스마트 골반교정장치(100)는 사용자 단말(10)과 통신하여 사용자의 생리주기에 따라 저주파의 강도를 다르게 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저주파부(210)는 사용자의 경피신경을 자극하기 위해 기 설정된 저주파 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 골반교정장치(100)는 통신부(19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사용자의 생리주기를 파악하고, 사용자가 느끼는 고통을 사용자가 입력한 고통수치를 통해 저주파의 강도 등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저주파부(210)에서 출력되는 저주파 패턴은 사용자의 생리주기를 초기, 중기, 말기로 나누어 생리통이 심해지기 전부터 저자극의 저주파를 출력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골반교정과 함께 생리통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저주파부(210)는 도 1의 스마트 골반교정장치(100) 중 하중감지부(150)나 접촉감지부(160)를 통해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저주파부(210)는 피부와 접촉이 되는 하중감지부(150)나 접촉감지부(160)를 통해 저주파를 출력하거나, 도 6에서와 같이 패드, 방석 등의 착탈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스마트 골반교정장치(100)는 진동부(200)를 통해 마사지는 물론, 저주파부(210)를 통해 저주파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0 : 스마트 골반교정장치
110 : 제1 좌판부
120 : 제2 좌판부
130 : 중심부
131 : 조명부
132 : 열적외선부
140 : 제어부
150 : 하중감지부
160 : 접촉감지부
170 : 에어쿠션부
180 : 정렬부
185 : 바닥판
190 : 통신부
200 : 진동부
210 : 저주파부

Claims (5)

  1. 사용자의 일측 고관절 및 엉덩이를 감싸면서 압박하도록 형성되는 제1 좌판부;
    상기 사용자의 타측 고관절 및 엉덩이를 감싸면서 압박하도록 형성되는 제2 좌판부;
    상기 제1 좌판부와 상기 제2 좌판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사용자의 회음부에 맞닿아 조명을 출력하거나 열적외선을 출력하는 중심부;
    상기 사용자의 어깨에 착용된 외부센서와의 위치를 정렬하는 정렬부;
    상기 제1 좌판부 및 상기 제2 좌판부의 하부로 회동결합되는 바닥판; 및
    상기 중심부의 상기 조명 또는 상기 열적외선의 출력 위치 및 세기를 가변시키고, 상기 사용자가 골반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정렬부의 정렬위치 이탈신호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골반운동횟수 및 회전각도를 측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골반교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좌판부 및 상기 제2 좌판부에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하중을 감지하는 하중감지부;
    상기 제1 좌판부 및 상기 제2 좌판부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감지부;
    상기 제1 좌판부 및 상기 제2 좌판부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압축 또는 팽창하는 에어쿠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중감지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골반의 각도를 교정하기 위해 상기 에어쿠션부를 제어하되, 상기 접촉감지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고관절을 압박하기 위해 상기 에어쿠션부를 가변적으로 압축 또는 팽창시키는 스마트 골반교정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외부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중감지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골반의 각도를 기 설정된 시간주기로 파악하여 상기 에어쿠션부를 기 설정된 패턴으로 가변제어하고, 상기 에어쿠션부의 가변제어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골반교정이력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하는 스마트 골반교정장치.
  5.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좌판부 및 상기 제2 좌판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진동신호를 출력하는 진동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골반교정장치.
KR1020170072421A 2017-06-09 2017-06-09 스마트 골반교정장치 KR101893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421A KR101893694B1 (ko) 2017-06-09 2017-06-09 스마트 골반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421A KR101893694B1 (ko) 2017-06-09 2017-06-09 스마트 골반교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3694B1 true KR101893694B1 (ko) 2018-10-04

Family

ID=63863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2421A KR101893694B1 (ko) 2017-06-09 2017-06-09 스마트 골반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369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9113A (ko) * 2018-09-08 2020-03-18 이윤택 셀룰라이트를 제거하는 애플힙 방석장치
KR20200087386A (ko) * 2019-01-10 2020-07-21 백태영 복합마사지기
KR102188342B1 (ko) 2020-08-20 2020-12-09 (주)제이웰 척추와 골반 견인 및 교정장치와 이의 제어방법
WO2022065800A1 (ko) * 2020-09-24 2022-03-31 주식회사 리메드 자기 발생 치료장치
KR102432399B1 (ko) * 2021-06-21 2022-08-16 라디언스 주식회사 원적외선 건식 좌욕방석
KR102637022B1 (ko) * 2023-05-03 2024-02-14 김덕종 진동부의 상하 운동을 통해 케겔 운동을 보조하는 마사지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080B1 (ko) * 2003-06-24 2005-12-14 하전호 좌대형 골반 교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44984B1 (ko) * 2015-02-27 2015-08-21 (주)화신이앤비 골반저기능장애 치료장치
KR101622480B1 (ko) * 2014-11-06 2016-05-19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방석형 자세교정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080B1 (ko) * 2003-06-24 2005-12-14 하전호 좌대형 골반 교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22480B1 (ko) * 2014-11-06 2016-05-19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방석형 자세교정 시스템
KR101544984B1 (ko) * 2015-02-27 2015-08-21 (주)화신이앤비 골반저기능장애 치료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9113A (ko) * 2018-09-08 2020-03-18 이윤택 셀룰라이트를 제거하는 애플힙 방석장치
KR102421203B1 (ko) * 2018-09-08 2022-07-14 이윤택 셀룰라이트를 제거하는 애플힙 방석장치
KR20200087386A (ko) * 2019-01-10 2020-07-21 백태영 복합마사지기
KR102338646B1 (ko) * 2019-01-10 2021-12-14 백태영 복합마사지기
KR102188342B1 (ko) 2020-08-20 2020-12-09 (주)제이웰 척추와 골반 견인 및 교정장치와 이의 제어방법
WO2022065800A1 (ko) * 2020-09-24 2022-03-31 주식회사 리메드 자기 발생 치료장치
KR20220040784A (ko) * 2020-09-24 2022-03-31 주식회사 리메드 자기 발생 치료장치
KR102506170B1 (ko) * 2020-09-24 2023-03-06 주식회사 리메드 자기장 인가 장치
KR102432399B1 (ko) * 2021-06-21 2022-08-16 라디언스 주식회사 원적외선 건식 좌욕방석
KR102637022B1 (ko) * 2023-05-03 2024-02-14 김덕종 진동부의 상하 운동을 통해 케겔 운동을 보조하는 마사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3694B1 (ko) 스마트 골반교정장치
US11730661B2 (en) Health-regain device and system thereof
US8579841B2 (en) Blood clot prevention device
KR101101361B1 (ko) 다기능 척추 교정 치료기
US7842000B2 (en) Posture vest
CN111467204A (zh) 便携式压缩设备
EP1455894A2 (en) Device for muscle stimulation
KR101823227B1 (ko) 경추 보조장치
CN107127736B (zh) 一种具有人体髋部助力功能的外骨骼装置
CN108720806B (zh) 一种穿戴式手臂力触觉反馈装置
KR101639730B1 (ko) 골반교정 및 자세균형능력 증진을 위한 골반 교정 운동 장치
CN111249118A (zh) 下肢外骨骼康复装置
CN111249116A (zh) 单侧下肢外骨骼康复装置
WO2010032902A1 (en) Massage apparatus
CN110693691B (zh) 基于神经靶向调控的肢体远端神经修复系统及其实现方法
WO2018151482A1 (ko) 높이 조절형 재활치료 겸용 베개
US20210290482A1 (en) Wearable Focal Vibration Device and Methods of Use
KR20150047664A (ko) 신체견인기
CN113397791A (zh) 一种自助式气压循环按摩颈椎核心肌群的颈托装置
CN106820721A (zh) 一种具有理疗系统的智能健康椅及其理疗方法
CN111249119A (zh) 组合式下肢外骨骼康复装置
KR101749175B1 (ko) 저주파 치료기
KR20140013749A (ko) 척추 교정장치
KR20140013748A (ko) 체인형 리프팅 수단을 이용한 척추 교정장치
US2023024830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haptic neuro-spatial rehabilitation and therap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