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2408B1 - 호흡기 헤드밴드 - Google Patents

호흡기 헤드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2408B1
KR101892408B1 KR1020177018347A KR20177018347A KR101892408B1 KR 101892408 B1 KR101892408 B1 KR 101892408B1 KR 1020177018347 A KR1020177018347 A KR 1020177018347A KR 20177018347 A KR20177018347 A KR 20177018347A KR 101892408 B1 KR101892408 B1 KR 101892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band
panel
main body
respirator
personal respira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8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3155A (ko
Inventor
크리스토퍼 피 헨더슨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170083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3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1D13/1138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a cup configu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0Respiratory apparatus with filte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4Donning facilit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70Removabil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개인용 호흡 보호 장치(10)는 헤드밴드(14) 부착 부분을 갖는 주 본체(12), 헤드밴드(14) 접합 모듈(70)에 의해 헤드밴드(14) 부착 부분에 부착되는 헤드밴드(14)를 포함하고, 여기서 모듈(70)은 헤드밴드(14)의 단부의 서로 반대편에 있는 면에 접착제로 접합되는 제1 및 제2 부직물 탭(72, 74)을 포함하고, 헤드밴드(14) 접합 면의 반대편에 있는 제1 탭(32)의 면은 주 본체(12)에 용접된다.

Description

호흡기 헤드밴드{RESPIRATOR HEADBAND}
본 발명은 보관 동안 편평하게 절첩될 수 있고 사용 동안 착용자의 입과 코 위에 컵(cup)-형상의 공기 챔버(air chamber)를 형성할 수 있는, 호흡기(respirator) 또는 안면 마스크(face mask)로 알려진 개인용 호흡 보호 장치(personal respiratory protection device)에 관한 것이다.
여과 호흡기 또는 안면 마스크는 사람의 호흡계를 공기 중에 부유되는 입자로부터 또는 불쾌하거나 유해한 기체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요구될 때 매우 다양한 응용에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그러한 호흡기 또는 안면 마스크는 다수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지만, 2가지의 가장 통상적인 것은 성형된 컵-형상의 형태 또는 편평-절첩된(flat-folded) 형태이다. 편평-절첩된 형태는, 필요할 때까지 착용자의 주머니 내에 보유될 수 있고 착용 간에 내부가 청결하게 유지되도록 편평하게 재-절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점을 갖는다.
그러한 호흡 장치는 예를 들어 호흡기, 수술용 마스크(surgical mask), 청정실 마스크(clean room mask), 안면 실드(face shield), 방진 마스크(dust mask), 호흡 가온 마스크(breath warming mask), 및 다양한 다른 안면 커버링(face covering)을 포함한다.
편평-절첩식 호흡기는 전형적으로 2개 이상의 패널(panel)을 형성하도록 절첩되거나 결합되는 시트 필터 매체(sheet filter medium)로부터 형성된다. 패널은 공기 챔버를 형성하기 위해 착용 과정 전에 또는 착용 과정 동안 펼쳐진다(opened out). 흔히, 호기하는 호흡 노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호기 밸브(exhalation valve)가 하나의 패널 상에 제공된다.
호흡기가 호흡기를 사용자의 머리 상의 제위치로 유지시키기 위한 헤드밴드(headband)를 포함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헤드밴드는 단일편으로 또는 더욱 통상적으로는 2개 이상의 섹션(section)으로 형성될 수 있다. 헤드밴드는 탄성 특성을 나타내는 매우 다양한 재료로부터 형성된다. 그러나, 모든 헤드밴드는, 그들이 형성되는 재료와 관계없이, 호흡기의 주 본체에 고정되어야 한다.
헤드밴드를 주 본체에 스테이플로 고정하는(staple) 것이 알려져 있지만, 이는 특히 일회용 호흡기 시장에서 고가의 금속 자원을 낭비하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알려진 대안은 헤드밴드를 접착제 접합부를 사용하여 고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접합부에 인가되는 비교적 높은 박리 하중(peel load)으로 인해 문제가 될 수 있다. 접착제 접합부가 박리 하중 하에서 비교적 약하기 때문에, 접합부는 파손되기 쉬워, 호흡기의 조기 폐기 및 수반되는 비용과 낭비를 필연적으로 동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의 문제를 적어도 완화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개인용 호흡 보호 장치로서,
헤드밴드 부착 부분(headband attachment portion)을 갖는 주 본체,
헤드밴드 접합 모듈(headband bond module)에 의해 헤드밴드 부착 부분에 부착되는 헤드밴드를 포함하고,
모듈은 헤드밴드의 단부의 서로 반대편에 있는 면에 접착제로 접합되는 제1 및 제2 부직물 탭(non-woven tab)을 포함하고,
헤드밴드 접합 면의 반대편에 있는 제1 탭의 면은 주 본체에 용접되는, 개인용 호흡 보호 장치가 제공된다.
유리하게는, 헤드밴드 부착의 이러한 구성은 접착제 접합부가 헤드밴드를 주 본체 상의 부직물 탭에 결합시키는 데 효과적으로 사용되도록 허용한다. 또한, 그것은 접착제 접합부가 실질적으로 박리보다는 전단 상태(in shear)에서 작동하는 것을 보장하여, 접착제 접합부의 기계적 특성을 최대화한다. 반대로, 용접 접합부는 부직물 주 본체를 부직물 탭에 용접하는 데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이는 접착제 접합부가 아니라 용접된 접합부가 박리 상태(in peel)에 있는 것을 보장한다. 이는 용접된 접합부가 박리 조건에서 접착제 접합부보다 상당히 더 우수하게 기능하기 때문에 유리하다.
결과는 헤드밴드와 주 본체 사이의 강한 결합부이고, 이는 호흡기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고 사용중 파손율(in-service failure rate)을 감소시키기 위해 각각의 유형의 접합부의 이점을 최대화한다.
바람직하게는, 주 본체는,
상부 패널,
중앙 패널, 및
하부 패널을 포함하고,
중앙 패널은 각각 제1 및 제2 절첩부(fold), 시임(seam), 용접부 또는 접합부에 의해 상부 및 하부 패널 각각으로부터 분리되어, 장치는 제1 및 제2 절첩부, 시임, 용접부 또는 접합부를 따라 보관을 위해 편평하게 절첩될 수 있고, 사용 중일 때 착용자의 코와 입 위에 컵-형상의 공기 챔버를 형성하도록 펼쳐질 수 있고,
상부 패널, 중앙 패널, 및 하부 패널은 헤드밴드 부착 부분을 공동으로(collectively)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장치는 주 본체의 각각의 측부에서, 헤드밴드의 각각의 단부를 주 본체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부분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장치가 펼쳐진 형태로 사용 중일 때, 접착제 접합부는 전단 상태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탭과 주 본체 사이의 용접부는 초음파 용접부이다.
바람직하게는, 장치가 펼쳐진 형태로 사용 중일 때, 용접부는 박리 상태에 있다.
이제 본 발명이 단지 예로서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그의 편평-절첩 형태에 있는 본 발명의 개인용 호흡 보호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그의 편평-절첩 형태에 있는 도 1의 개인용 호흡 보호 장치의 배면도.
도 3은 도 2의 선 III-III을 따라 취해진, 도 1에 도시된 개인용 호흡 보호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그의 펼쳐진 형태로 도시된 도 1의 개인용 호흡 보호 장치의 정면도.
도 5는 펼쳐진 사용 준비가 된 형태로 도시된 도 1의 개인용 호흡 보호 장치의 측면도.
도 6은 그의 펼쳐진 형태로 도시된 도 1의 개인용 호흡 보호 장치의 배면도.
도 7은 펼쳐진 형태의 비-단면 측면도가 점선으로 도시된, 그의 중간 형태로 도시된 도 1의 개인용 호흡 보호 장치의 단면도.
도 8은 도 1의 호흡기의 보강 패널의 상세한 상부 사시도.
도 9는 사용자의 안면 상에 있고 사용자에 의해 유지되는, 그의 펼쳐진 형태로 도시된 도 1의 개인용 호흡 보호 장치의 전방 사시도.
도 10은 도 1의 개인용 호흡 보호 장치의 밸브의 상세한 전방 사시도.
도 11은 도 1의 개인용 호흡 보호 장치의 밸브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상세한 전방 사시도.
도 12는 장치가 그의 편평-절첩 형태에 있는 상태에서 주 본체에 대한 헤드밴드의 부착을 도시하는, 도 2의 선 XI-XI을 따라 취해진 도 1의 개인용 호흡 보호 장치의 일부의 상세한 단면도.
도 13은 장치가 그의 펼쳐진 형태에 있는 상태에서 주 본체에 대한 헤드밴드의 부착을 도시하는, 도 12와 유사하게 취해진 도 1의 개인용 호흡 보호 장치의 일부의 상세한 단면도.
도 14는 도 1의 개인용 호흡 보호 장치의 노우즈피스(nosepiece)의 상세한 전방 사시도.
도 1은 전반적으로 도면 부호 10으로 표시된 호흡기(또한 통상적으로 마스크로 지칭됨) 형태의 개인용 호흡 보호 장치를 도시한다. 호흡기(10)는 도 1 내지 도 3에, 그의 보관된(또한 편평-절첩 또는 편평-절첩된으로 알려짐) 형태로 도시된 편평-절첩식 호흡기이다. 이러한 형태에서, 호흡기는 그것이 사용자의 주머니 내에 용이하게 보관될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편평하다.
호흡기(10)는 전반적으로 도면 부호 12로 표시된 주 본체 및 2개의 섹션(14A, 14B)으로 형성되는 헤드밴드(14)를 갖는다. 주 본체(12)는 중앙 패널(16), 상부 패널(18) 및 하부 패널(20)을 갖는다. 사용 중에, 상부 패널(18) 및 하부 패널(20)은 중앙 패널(16)로부터 외향으로 펼쳐져 컵-형상의 챔버(22)(도 6에 도시됨)를 형성한다. 일단 펼쳐지면, 호흡기는 이어서 곧 추가로 상세히 기술될 바와 같이 안면에 적용된다(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음).
호흡기(10)는 아래에서 추가로 상세히 논의될 바와 같이, 3개의 부분 또는 패널을 형성하도록 다층형 필터 재료(multi-layered filter material)의 절첩된 및 용접된 부분으로부터 형성된다. 호흡기(10)는 제1 내측 커버 웨브(cover web), 전기적으로 대전된 미세섬유(electrically-charged microfiber)를 함유하는 웨브를 포함하는 여과 층, 및 제2 외측 커버 웨브를 포함하는 다층형 구조를 갖고, 제1 및 제2 커버 웨브는 각각 여과 층의 서로 반대편에 있는 제1 및 제2 면 상에 배치된다.
필터 재료는 내측 또는 외측 커버 또는 스크림(scrim)을 갖거나 갖지 않고서, 다수의 직물(woven) 및 부직물 재료의, 단일 또는 복수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중앙 패널(16)에는 예를 들어 직물 또는 부직물 스크림, 접착제 바아(adhesive bar), 인쇄 또는 접합과 같은 보강 수단이 제공된다. 적합한 필터 재료의 예는 미세섬유 웨브, 피브릴화된 필름 웨브(fibrillated film web), 직물 또는 부직물 웨브(예컨대, 에어레이드(airlaid) 또는 카디드(carded) 스테이플 섬유(staple fiber)), 용액-블로운(solution-blown) 섬유 웨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그러한 웨브를 형성하는 데 유용한 섬유는,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부틸렌, 폴리(4-메틸-1-펜텐) 및 이들의 블렌드, 할로겐 치환된 폴리올레핀, 예컨대 하나 이상의 클로로에틸렌 단위 또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단위를 함유하고 아크릴로니트릴 단위를 또한 함유할 수 있는 것들,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로진-울(rosin-wool), 유리, 셀룰로오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여과 층의 섬유는 여과될 미립자의 유형에 따라 선택된다. 섬유의 적절한 선택은 또한 예컨대 부드러움 또는 습기 제어를 제공함으로써, 착용자에 대한 호흡 장치의 편안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에 유용한 멜트 블로운(melt blown) 미세섬유의 웨브는 예를 들어 문헌[Wente, Van A., "Superfine Thermoplastic Fibers" in Industrial Engineering Chemistry, Vol. 48, 1342 et seq. (1956)] 및 문헌[Report No. 4364 of the Navel Research Laboratories, published May 25, 1954, entitled "Manufacture of Super Fine Organic Fibers" by Van A. Wente et al.]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유용한 필터 매체 내의 블로운 미세섬유는 문헌[Davies, C.N., "The Separation of Airborne Dust Particles", Institution of Mechanical Engineers, London, Proceedings 1B, 1952]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계산될 때, 바람직하게는 3 내지 30 마이크로미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7 내지 15 마이크로미터의 유효 섬유 직경을 갖는다.
스테이플 섬유가 또한 선택적으로 여과 층 내에 존재할 수 있다. 크림핑된(crimped), 벌킹(bulking) 스테이플 섬유의 존재는 블로운 미세섬유만으로 구성되는 웨브보다 더욱 로프티(lofty)하고 덜 치밀한 웨브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이하의 스테이플 섬유가 매체 내에 존재한다. 스테이플 섬유를 함유하는 그러한 웨브가 미국 특허 제4,118,531호(하우저(Hauser))에 개시되어 있다.
이성분(bicomponent) 스테이플 섬유가 또한 필터 매체의 여과 층 내에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층 내에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코어 부분보다 낮은 융점을 가진 외부 층을 갖는 이성분 스테이플 섬유는, 예컨대 이성분 섬유의 외부 층이 유동하여 이성분 또는 다른 스테이플 섬유인 인접한 섬유와 접촉하게 하도록 외부 층을 가열함으로써, 섬유 교차 지점에서 함께 접합된 탄력성 형상화 층(resilient shaping layer)을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형상화 층은 또한 열-유동성(heat-flowable) 폴리에스테르의 결합제 섬유가 스테이플 섬유와 함께 포함된 상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형상화 층의 가열시, 결합제 섬유가 용융되어 섬유 교차 지점으로 유동하고, 여기서 결합제 섬유는 섬유 교차 지점을 둘러싼다. 냉각시, 섬유의 교차 지점에서 접합이 발생되고, 이 섬유 매스(mass)를 원하는 형상으로 유지시킨다. 또한, 섬유의 접합을 제공하기 위해, 아크릴 라텍스 또는 분말상 열 활성화 접착제 수지와 같은 결합제 재료가 웨브에 적용될 수 있다.
미국 특허 제4,215,682호(쿠빅(Kubik) 등), 미국 특허 제4,588,537호(클라세(Klasse) 등)에 개시되거나, 일렉트릿(electret)을 분극 또는 대전시키는 다른 통상적인 방법에 의한, 예컨대 미국 특허 제4,375,718호(워즈워스(Wadsworth) 등), 또는 미국 특허 제4,592,815호(나카오(Nakao))의 공정에 의한 것과 같은 전기적으로 대전된 섬유가 본 발명에 특히 유용하다. 미국 재발행 특허 제31,285호(반 턴하우트(van Turnhout))에 교시된 바와 같은 전기적으로 대전된 피브릴화된 필름 섬유가 또한 유용하다. 일반적으로, 대전 공정은 재료에 코로나 방전(corona discharge) 또는 펄스형 고전압(pulsed high voltage)을 가하는 것을 수반한다.
흡착 미립자 재료(sorbent particulate material), 예컨대 활성탄 또는 알루미나가 또한 여과 층 내에 포함될 수 있다. 그러한 입자 로딩된(particle-loaded) 웨브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3,971,373호(브라운(Braun)), 미국 특허 제4,100,324호(앤더슨(Anderson)) 및 미국 특허 제4,429,001호(콜핀(Kolpin) 등)에 기술되어 있다. 입자 로딩된 필터 층으로부터의 마스크가 기체 물질로부터의 보호에 특히 우수하다.
본 발명의 호흡 장치의 중앙 패널(16), 상부 패널(18) 및 하부 패널(20) 중 적어도 하나가 필터 매체를 포함하여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중앙 패널(16), 상부 패널(18) 및 하부 패널(20) 중 적어도 2개가 필터 매체를 포함하고, 중앙 패널(16), 상부 패널(18) 및 하부 패널(20) 모두가 필터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매체로 형성되지 않는 부분(들)은 다양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패널(18)은 예를 들어 착용자의 안경의 흐림(fogging)을 방지하기 위한 습기 장벽(moisture barrier)을 제공하는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중앙 패널(16)은 착용자에 의한 입술 움직임이 관찰될 수 있도록 투명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중앙 패널(16)은 중앙 패널(16)과 상부 부분(상부 패널, 18) 사이의 상부 접합부(23)와 공존하는 곡선형 상부 주연부 에지(24)를 갖는다. 곡선형 하부 주연부 에지(26)가 중앙 패널(16)과 하부 패널(20) 사이의 하부 접합부(25)와 공존한다. 접합부(23, 25)는 초음파 용접부의 형태를 취하지만, 대안적으로 필터 재료 또는 대안적인 접합 방법에서 절첩부일 수 있다. 그러한 대안적인 접합부는 접착제 접합, 스테이플 고정(stapling), 재봉(sewing), 열기계적 연결, 압력 연결, 또는 다른 적합한 수단의 형태를 취할 수 있고, 단속적이거나 연속적일 수 있다. 이들 용접 또는 접합 기술 중 임의의 것이 어느 정도 강화되거나 강성화된 접합된 영역을 남긴다.
접합부(23, 25)는 각각 중앙 패널(16)과 상부 및 하부 패널(18, 20) 사이의 실질적인 기밀 시일(airtight seal)을 형성하고, 중앙, 상부, 하부 패널(16, 18, 20)이 러그(lug)(31, 33)의 형태로 헤드밴드 부착 부분을 공동으로 형성하는 호흡기의 종방향 에지(27)까지 연장된다. 중앙 패널(16)은 사용자가 호기할 때 필터 재료를 가로지른 압력 강하를 감소시키는 호기 밸브(28)를 보유한다. 밸브(28)는 추가로 상세히 후술될 바와 같이, 호흡기의 펼침, 착용 및 탈거(doffing)를 용이하게 하는 그립 부분(grip portion)(29)을 갖는다.
상부 부분(18)은 호흡기(10)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형성되는 시일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자의 안면에 정합하는 노우즈피스(30) 형태의 코 정합 요소(nose conforming element)를 보유한다. 노우즈피스(30)는 상부 부분(18)의 상부 외측 주연부(38)의 중앙에 배열되고, 도 3에 단면도로 그리고 도 14에 더욱 상세히 도시된다. 노우즈피스는, 노우즈피스(30)에 대해 상부 패널(18)의 반대편 면 상에 위치되는 것으로 도 7에 도시되고 코와 상부 패널(18) 사이의 접촉점을 부드럽게 하는 목적에 유용한 노우즈 패드(nose pad)(35)와 함께 작동한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그의 보관된 형태에 있는 호흡기(10)의 특징부의 배열이 더욱 상세히 도시된다. 노우즈피스(30)는 상부 부분(18)의 외측 표면 상에 위치되어 도시된다. 상부 부분(18)은 절첩된 호흡기(10)의 후방측에 하부 패널(20)과 중첩되어 도시된다. 하부 패널(20)은 측방향 절첩부(36)(도 2에 긴 점선으로 도시됨)를 중심으로 절첩된다. 측방향 절첩부(36)는 하부 패널(20)을 외측 섹션(91)과 내측 섹션(92)으로 분할한다. 추가로 상세히 후술될 바와 같이, 호흡기의 펼침과 착용을 돕는 탭(32)이 하부 패널(20)에 부착된다. 탭(32)은, 측방향 절첩부(36)에 근접한 위치에서 하부 패널(20)의 외부 표면의 내부 부분(즉 하부 외측 주연부(50)(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음) 및 하부 접합부(25)의 내향으로)에 부착되고 이상적으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부(36)에 부착되는 기부를 갖는다. 탭(32)의 위치설정은 측방향 절첩부의 어느 한 측으로 10 mm 내에서 변할 수 있다. 하부 패널(20)에 대한 그의 부착점에서의 탭(32)의 폭은 15 mm이지만, 이러한 폭은 10 mm 내지 40 mm로 변할 수 있다.
도 4, 도 5 및 도 6은 그의 펼쳐진 형태에 있는 호흡기(10)를 도시한다. 중앙 패널(16)은 더 이상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평하지 않으며, 이제는 밸브(28)로부터 러그(31, 33)로 후방으로 만곡된다. 이러한 만곡부의 형상은 사용자의 안면의 입 영역에 대체로 정합한다. 상부 부분(18)은 곡선형 상부 주연부 에지(24)를 중심으로 피봇되고(pivoted), 사용자의 코의 형상에 일치하는 피크(peak)를 형성하도록 만곡된다. 유사하게, 하부 패널(20)은 사용자의 목의 형상에 일치하는 만곡부를 형성하도록 곡선형 하부 주연부 에지(26)를 중심으로 피봇된다.
이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절첩된 형태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펼쳐진 형태 사이에서의 호흡기(10)의 펼침이 도 7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도 7은 도 3과 동일한 선을 따라 절단된 호흡기(10)의 단면도를 도시하지만, 이때 호흡기는 중간 형태로 도시된다. 점선은 비교를 위해 펼쳐진 형태에 있는 호흡기를 도시한다.
호흡기를 펼치고 착용하기 위해, 사용자는 우선 밸브(28)의 그립 부분(29)을 파지한다(도 9 참조). 다른 한 손으로 사용자는 탭(32)을 잡고 탭(32)을 도 7에 표시된 바와 같은 방향(A)으로 당겨 측방향 절첩부(36)의 밸리측(valley side)에 펼침 힘을 인가한다. 탭은 파지를 개선하도록 텍스처화(textured)될 수 있거나, 호흡기의 주 본체와 더욱 잘 구별되도록 착색될 수 있다. 이러한 펼침 힘은 절첩부(36)가 중앙 패널(16)에 대해 후방으로 그리고 하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이는 하부 패널(20)이 곡선형 하부 주연부 에지(26)를 중심으로 피봇되게 한다. 동시에, 하중이 탭(32)의 기부로부터 러그(31, 33)로 전달된다. 이는 러그(31, 33)를 내향으로 당겨 중앙 패널(16)이 만곡되게 한다. 중앙 패널(16)의 곡률은 이어서 상부 부분(18)에 (주로 러그(31, 33)를 통해) 하중을 인가한다. 이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부분(18)의 종방향 중심이 상승되게 한다.
사용자가 탭(32)을 도 7에 도시된 중간 위치를 지나 계속 당길 때, 중앙 패널(16)이 점점 만곡됨에 따라 러그(31, 33)가 서로 더욱 근접하게 계속 이동한다. 이는 이어서 펼쳐진 위치(도 7의 점선)를 향한 지속적인 상부 부분(18)의 상향 이동 및 하부 패널(20)의 하향 이동을 유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호흡기(10)를 펼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인가되는 하중이 호흡기(10)를 펼치는 데 가장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사용됨을 보장함으로써, 탭(32)이 호흡기의 펼침 메커니즘을 개선한다.
하부 패널(20)은 패널(40)(긴 점선으로 도시됨) 형태의 보강 패널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보강 패널(40)은 다층형 필터 재료의 일부를 형성하고, 그의 보강 특성에 대해 당업계에 잘 알려진 재료로부터 형성된다. 보강 패널(40)은 대체로 모래시계(hour-glass) 형상이고, 제1 쌍의 날개(wing)(42), 허리 부분(waist portion)(44), 제2 쌍의 날개(46) 및 전방 섹션(48)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 8에 더욱 상세히 도시된다. 전방 섹션(48)은 하부 패널(20)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부 외측 주연부(50)와 공존하고, 허리 섹션은 측방향 절첩부(36)와 공존한다. 호흡기(10)가 그의 절첩된 형태에 있을 때, 보강 패널(40)은 선 B-B로 표시된 측방향 접음선을 따라 절첩된다. 호흡기(10)가 전술된 바와 같이 절첩된 위치로부터 펼쳐짐에 따라, 보강 패널(40)이 측방향 접음선 B-B를 중심으로 펼쳐진다. 호흡기가 펼쳐진 형태(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음)에 접근함에 따라, 측방향 접음선 B-B를 따른 절첩부가 편평해지고, 보강 패널이 선 C-C로 표시된 종방향 접음선을 중심으로 만곡된다. 종방향 접음선 C-C를 따른 패널(40)의 만곡은 측방향 접음선 B-B를 중심으로 하는 절첩을 방지하며, 이는 보강 패널(40) 및 그에 따라 하부 패널(20)에 추가의 강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추가의 강성은 호흡기(10)가 오목한 외각(external angle)으로부터 볼록한 외각으로 펼쳐짐에 따라 종방향 접음선 C-C를 중심으로 절첩되는 보강 패널(40)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부여되는데, 즉 절첩부가 종방향 접음선 C-C를 중심으로 오버센터(overcentre) 상태로 진행할 때 산 모양 절첩부(mountain fold)가 형성된다. 이는 이어서 하부 패널(20)의 붕괴를 방지하는 데 도움을 주며, 따라서 안면의 턱 영역에 대한 하부 패널(20)의 정합성을 개선한다.
일단 호흡기(10)가 펼쳐지면, 사용자는 호흡기의 펼쳐진 컵-형상의 공기 챔버를 안면 위에 위치시키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밴드를 위치시켜 호흡기를 착용할 수 있다.
호흡기(10)를 더욱 용이하게 착용하고 탈거하기 위해, 호흡기에는 도 10에 더욱 상세히 도시되는 그립 부분(29)을 가진 밸브(28)가 제공된다. 밸브(28)는 상표명 쓰리엠(3M)™ 스카치-웰드(Scotch-Weld)™ 핫 멜트 스프레이 어드히시브(Hot Melt Spray Adhesive) 61113M™으로 구매가능한 것과 같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중앙 부분에 접착된다. 밸브(28)는 호기된 공기가 밸브(28)를 통과하도록 허용하기 위한 개구(52)를 포함하는 측벽(51)을 갖는다. 측벽(51)은 내향으로 연장되는 중간-부분 및 외향으로 연장되는 기부(54)와 상부 섹션(56)을 가진 만곡된 형태를 갖는다. 외향으로 연장되는 리브(rib)(62)를 보유하는 상향으로 연장되는 리지(ridge)(60)가 밸브(28)의 상부 표면(58) 상에 배열된다.
만곡된 측벽(51)은 그립 영역(29)으로서의 역할을 하는데, 이는 만곡부가 사용자의 손가락의 곡률에 일치하기 때문이다. 그립 영역의 성능은 그립 영역을 연장시키는 리지(60)의 제공에 의해 개선된다. 성능은 그립 영역(29)을 파지하고 유지하는 것을 더욱 쉽게 하는 리브(62)의 제공에 의해 추가로 개선된다. 만곡된 측벽(51), 리지(60), 리브(62)는 전술된 바와 같이 호흡기를 펼치고 착용하기 위해 그립 영역(29)이 파지되어야 함의 사용자에 대한 표시(indicia)를 개별적으로 그리고 공동으로 형성한다.
도 11은 그것이 보다 높은 리지(60')를 갖는다는 점에서 밸브(28)와 상이한 밸브(28')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다른 형태의 그립 영역, 예를 들어 측벽(50), 리지(60) 및/또는 리브(62)에 대한 텍스처화된 또는 착색된 표면이 사용자에 대한 표시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고려될 수 있다.
그러한 파지가능 밸브(28, 28')가 3개 패널(중앙, 상부 및 하부 패널(20))의 편평-절첩식 호흡기(10)에 관하여 기술되지만, 밸브(28, 28')가 컵 호흡기를 포함하여 다른 호흡기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인식될 것임이 인식될 것이다.
이제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헤드밴드 부착 러그(31, 33)에 대한 헤드밴드(14)의 부착이 더욱 상세히 도시된다. 헤드밴드(14)는 전반적으로 도면 부호 70으로 표시된 헤드밴드 모듈에 의해 주 본체(12)에 부착된다. 모듈(70)은, 그의 상부 면 상에서 상부 탭(72)에 그리고 그의 하부 면 상에서 하부 탭(74)에 접합되는 헤드밴드(14)를 갖는다. 탭(72, 74)은 전술된 필터 재료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직물 재료로 형성된다. 부직물 재료 탭(72, 74)은 상표명 쓰리엠™ 스카치-웰드™ 핫 멜트 스프레이 어드히시브 6111로 구매가능한 것과 같은 알려진 접착제(78)를 사용하여 헤드밴드(14)에 접합된다.
모듈(70)은 이어서 러그(31, 33)에 초음파 용접되어 하부 탭(74)과 주 본체(12) 사이의 용접부(76)를 형성한다.
도 12에서, 헤드밴드 모듈은 호흡기가 그의 절첩된 위치에 있는 상태로 도시된다. 호흡기(10)가 펼쳐짐에 따라, 헤드밴드가 신장되고, 러그(31, 33)를 외향으로 당긴다.
도 13에서, 헤드밴드 모듈은 호흡기가 그의 펼쳐진 위치에 있는 상태로 도시된다. 헤드밴드(14)의 신장은 모듈(70)이 만곡되게 하며, 이는 하부 탭(74)이 인장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이는 높은 하중이 하부 탭(74)과 러그(31, 33)의 교차점(D)에 작용하게 한다. 그러나, 용접부(76)는 박리 모드(peel mode)(즉 헤드밴드의 신장에 의해 점(D)에서 용접부의 에지에 인가되는 과도한 인장 하중)에서 비교적 강하다. 이는 박리 상태에서 접착제보다 훨씬 더 강한 용접부보다는 접착제 접합부를 박리 모드에 배치하는 종래 기술의 부착 기술에 비해 개선을 제공한다.
이제 도 14를 참조하면, 노우즈피스(30)가 탄력적인 가요성 중앙 부분(80) 및 중앙 부분(80)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강성 외측 부분(82)을 갖는 것으로 더욱 상세히 도시된다. 중앙 부분(80)은 호흡기가 편평 절첩 형태에 있을 때 실질적으로 편평하다. 중앙 부분(80)은 대략 20 mm의 폭 및 8 mm의 깊이이다. 각각의 외측 부분(82)은 외향으로 연장되는 장축(major axis)(X) 및 상향으로 연장되는 단축(minor axis)(Z)을 갖는 오목한 타원형 보울(bowl)을 한정하는 날개를 갖는다. 각각의 타원형 보울은, 전반적으로 도면 부호 84로 표시되고 노우즈피스(30)의 중심선과 날개의 외측 에지(86) 사이에서 대략 등거리에 위치되는 최저점(nadir)을 갖고, 최저점은 노우즈피스(30)의 중심선으로부터 26 mm에 위치된다. 타원형 보울은 외측 부분(82)에 강성을 제공하는 한편, 편평한 중앙 부분(80)은 하중을 받아 휘어질 수 있다. 이는 중앙 부분(80)이 사용자의 콧대 위에서 휘어지도록 허용하는 한편, 외측 부분(82)의 강성 및 강성 부분의 만곡된 프로파일에 의해 제공되는 변화하는 접촉점은 호흡기와 사용자의 볼 사이의 꼭 맞는 맞춤(close fit)을 제공한다. 따라서, 노우즈피스(30)의 이들 특징부는 종래 기술의 호흡기에 비해 호흡기(10)의 맞춤과 편안함을 개선한다.
노우즈피스(30)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중합체 재료를 사용해서 알려진 진공 캐스팅(vacuum casting) 기술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그러한 재료는 중앙 부분(80)에 요구되는 가요성을 제공하면서도, 외측 부분(82)에 요구되는 강성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갖는다. 그러한 재료는 또한 노우즈피스가 그의 편평한 위치로 복귀하도록 허용하며, 이는 노우즈피스를 편평하게 할 필요 없이 호흡기(10)가 제거되어 사용자의 주머니 내에 배치되도록 허용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소정 특징이 본 발명의 이익을 위해 별개로 또는 함께 사용될 수 있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예를 들어, 하기의 특징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이 유리하게 본 발명과 조합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탭 32
보강 패널 40
파지가능 밸브 28
노우즈피스 30

Claims (6)

  1. 개인용 호흡 보호 장치(personal respiratory protection device)로서,
    헤드밴드 부착 부분(headband attachment portion)을 갖는 주 본체,
    헤드밴드 접합 모듈(headband bond module)에 의해 상기 헤드밴드 부착 부분에 부착되는 헤드밴드
    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은 상기 헤드밴드의 단부의 서로 반대편에 있는 면에 접착제로 접합되는 제1 및 제2 부직물 탭(non-woven tab)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직물 탭의 헤드밴드 접합 면의 반대편에 있는 면은 상기 주 본체에 용접되는, 개인용 호흡 보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본체는,
    상부 패널(panel),
    중앙 패널, 및
    하부 패널
    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패널은 각각 제1 및 제2 절첩부(fold), 시임(seam), 용접부 또는 접합부에 의해 상기 상부 및 하부 패널 각각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절첩부, 시임, 용접부 또는 접합부를 따라 보관을 위해 편평하게 절첩될 수 있고, 사용 중일 때 착용자의 코와 입 위에 컵(cup)-형상의 공기 챔버(air chamber)를 형성하도록 펼쳐질 수 있고,
    상기 상부 패널, 중앙 패널, 및 하부 패널은 상기 헤드밴드 부착 부분을 공동으로 형성하는, 개인용 호흡 보호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주 본체의 각각의 측부에서, 상기 헤드밴드의 각각의 단부를 상기 주 본체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부분을 갖는, 개인용 호흡 보호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펼쳐진 형태로 사용 중일 때, 접착제 접합부는 전단 상태(in shear)에 있는, 개인용 호흡 보호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직물 탭과 상기 주 본체 사이의 용접부는 초음파 용접부인, 개인용 호흡 보호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펼쳐진 형태로 사용 중일 때, 상기 주 본체와 상기 모듈 사이의 용접부는 박리 상태(in peel)에 있는, 개인용 호흡 보호 장치.
KR1020177018347A 2014-12-04 2015-12-02 호흡기 헤드밴드 KR1018924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421616.2 2014-12-04
GBGB1421616.2A GB201421616D0 (en) 2014-12-04 2014-12-04 Respirator headband
PCT/US2015/063316 WO2016089937A1 (en) 2014-12-04 2015-12-02 Respirator headban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155A KR20170083155A (ko) 2017-07-17
KR101892408B1 true KR101892408B1 (ko) 2018-08-27

Family

ID=52425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8347A KR101892408B1 (ko) 2014-12-04 2015-12-02 호흡기 헤드밴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517775B2 (ko)
EP (1) EP3226708B1 (ko)
JP (1) JP6382449B2 (ko)
KR (1) KR101892408B1 (ko)
BR (1) BR112017011431A2 (ko)
CA (1) CA2969395A1 (ko)
GB (1) GB201421616D0 (ko)
RU (1) RU2666464C1 (ko)
SG (1) SG11201704405QA (ko)
WO (1) WO20160899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71739A1 (en) 2007-05-03 2008-11-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aintenance-free respirator that has concave portions on opposing sides of mask top section
US9770611B2 (en) 2007-05-03 2017-09-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aintenance-free anti-fog respirator
GB201508114D0 (en) 2015-05-12 2015-06-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 Respirator tab
USD900306S1 (en) * 2016-09-16 2020-10-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Valve cover
CN110869110B (zh) 2017-07-14 2022-11-18 3M创新有限公司 用于输送多个液体流的适配器
USD914216S1 (en) * 2018-06-29 2021-03-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Nose tab
KR102449927B1 (ko) * 2019-10-28 2022-09-29 이상호 3엽 수평 적첩식 마스크
KR102551152B1 (ko) * 2020-01-21 2023-07-05 (주)피앤티디 마스크
US11206880B1 (en) * 2020-07-17 2021-12-28 Pegasos One, LLC Face shield for personal protection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82767A (en) * 1961-05-05 1963-03-26 Welsh Mfg Co Head straps for respirator
US3971373A (en) 1974-01-21 1976-07-2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article-loaded microfiber sheet product and respirators made therefrom
US4100324A (en) 1974-03-26 1978-07-11 Kimberly-Clark Corporation Nonwoven fabric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CA1073648A (en) 1976-08-02 1980-03-18 Edward R. Hauser Web of blended microfibers and crimped bulking fibers
NL181632C (nl) 1976-12-23 1987-10-01 Minnesota Mining & Mfg Electreetfilter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daarvan.
US4215682A (en) 1978-02-06 1980-08-0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elt-blown fibrous electrets
US4419994A (en) * 1980-07-03 1983-12-13 Racal Safety Limited Respirators
US4375718A (en) 1981-03-12 1983-03-08 Surgikos, Inc. Method of making fibrous electrets
US4429001A (en) 1982-03-04 1984-01-3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heet product containing sorbent particulate material
US4588537A (en) 1983-02-04 1986-05-1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et filter medium
JPS60168511A (ja) 1984-02-10 1985-09-02 Japan Vilene Co Ltd エレクトレツトフイルタの製造方法
US4635628A (en) 1985-09-11 1987-01-13 Tecnol, Inc. Surgical face mask with improved moisture barrier
US5724677A (en) * 1996-03-08 1998-03-1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ulti-part headband and respirator mask assembly and process for making same
GB9723740D0 (en) 1997-11-11 1998-01-07 Minnesota Mining & Mfg Respiratory masks incorporating valves or other attached components
US6102039A (en) 1997-12-01 2000-08-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olded respirator containing sorbent particles
US6332465B1 (en) 1999-06-02 2001-12-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ace masks having an elastic and polyolefin thermoplastic band attached thereto by heat and pressure
US6729332B1 (en) * 1999-10-22 2004-05-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tention assembly with compression element and method of use
CA2397483A1 (en) 2000-02-09 2001-08-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iltering face mask that has headband mounts
US6978782B2 (en) 2002-08-27 2005-12-27 Amad Tayebi Full face mask
US8091550B2 (en) 2003-12-22 2012-01-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ace mask having baffle layer for improved fluid resistance
CN101040731B (zh) * 2006-03-24 2010-06-23 邱俊亮 可分离的抛弃式口罩及其抛弃式口罩本体
US9770611B2 (en) 2007-05-03 2017-09-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aintenance-free anti-fog respirator
US20080271740A1 (en) * 2007-05-03 2008-11-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aintenance-free flat-fold respirator that includes a graspable tab
US9642403B2 (en) * 2007-08-16 2017-05-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trap fastening system for a disposable respirator providing improved donning
US20090044809A1 (en) 2007-08-16 2009-02-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Vent and strap fastening system for a disposable respirator
US20090235934A1 (en) * 2008-03-24 2009-09-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iltering face-piece respirator having an integrally-joined exhalation valve
US8113201B2 (en) 2008-06-30 2012-02-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llapse resistant respirator
CN108744216A (zh) 2008-12-10 2018-11-06 瑞思迈有限公司 用于面罩的头带
US11083916B2 (en) * 2008-12-18 2021-08-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at fold respirator having flanges disposed on the mask body
US8640704B2 (en) 2009-09-18 2014-02-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at-fold filtering face-piece respirator having structural weld pattern
KR20120012520A (ko) 2010-08-02 2012-02-10 주식회사 에버그린 방진 마스크의 제조방법
US10668308B2 (en) * 2010-08-31 2020-06-02 Crosstex International, Inc. Filter mask having one or more malleable stiffening members
US9027554B2 (en) 2011-12-06 2015-05-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spirator having foam shaping layer with recessed regions surrounding air passageways
US9408424B2 (en) 2013-01-10 2016-08-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iltering face-piece respirator having a face seal comprising a water-vapor-breathable la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89937A1 (en) 2016-06-09
GB201421616D0 (en) 2015-01-21
RU2666464C1 (ru) 2018-09-07
JP6382449B2 (ja) 2018-08-29
BR112017011431A2 (pt) 2018-04-03
SG11201704405QA (en) 2017-06-29
CA2969395A1 (en) 2016-06-09
US11517775B2 (en) 2022-12-06
KR20170083155A (ko) 2017-07-17
EP3226708A1 (en) 2017-10-11
JP2017538045A (ja) 2017-12-21
US20180272161A1 (en) 2018-09-27
EP3226708B1 (en) 2018-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2408B1 (ko) 호흡기 헤드밴드
KR102631508B1 (ko) 호흡기 밸브
KR102603376B1 (ko) 편평-절첩식 호흡기
EP3226707B1 (en) Respirator tab
JP7076837B2 (ja) レスピレータタブ
EP3226706B1 (en) Respirator nosepie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