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2200B1 - 근거리장 통신을 위한 근접성 검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근거리장 통신을 위한 근접성 검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2200B1
KR101892200B1 KR1020167021032A KR20167021032A KR101892200B1 KR 101892200 B1 KR101892200 B1 KR 101892200B1 KR 1020167021032 A KR1020167021032 A KR 1020167021032A KR 20167021032 A KR20167021032 A KR 20167021032A KR 101892200 B1 KR101892200 B1 KR 101892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frame
frame
detection
electronic device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1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4708A (ko
Inventor
준 팡
쓰취우 청
Original Assignee
선전 구딕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전 구딕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선전 구딕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104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4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2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local intradevice communication
    • H04B5/003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H04B5/00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6Threshold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for selecting a function from a menu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4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user query or user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기술의 분야에 속하는 근거리장 통신을 위한 근접성 검출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제 1 전자 디바이스에 의하여 검출 프레임의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근거리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제 2 전자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수신된 응답 프레임에 따라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검출 프레임은 상이한 주파수로써 변조된 적어도 두 개의 심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상이한 주파수로써 변조된 다수의 심볼을 포함하는 검출 프레임의 신호가 전송되어, 이러한 변조 주파수에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에 통신을 위하여 통신가능 범위 내에 존재하는 피어-투-피어 전자 디바이스가 검출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근거리장 통신을 위한 근접성 검출 방법 및 장치{PROXIMITY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본 발명은 근거리장 통신 기술의 분야에 관한 것이고, 특히 근거리장 통신을 위한 근접성 검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장을 사용해서 근거리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을 수행하면 비접촉 피어-투-피어 데이터 송신이 수 십 센티미터 범위 내에 있는 전자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낮은 송신 전력, 짧은 통신 거리 및 높은 보안성 때문에, NFC는 물류, 결제, 재정 및 창고 관리 및 기타 등등과 같은 산업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어 왔다. 무선 인터넷이 대두되고 스마트 폰이 널리 이용됨에 따라서, 모바일 결제, 정보 공유 및 기타 등등과 같은 기능들도 점점 널리 사용되게 된다.
그러나, 근거리장 통신의 두 개의 전자 디바이스들 사이에서의 통신이 구축되지 않는 경우, 검출가능한 신호는 미약하고 통신 환경에 의한 전자기 간섭을 겪게 되기 때문에 통신의 품질이 보장될 수 없게 된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의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서, 두 디바이스들 사이에 통신이 구축되지 않으면, 두 개의 터치 스크린들 사이의 통신 신호는 매우 미약하게 되며, 용량성 스크린이 일반적으로 LCD에 매우 근접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LCD의 구동 신호가 용량성 스크린들 사이의 통신 신호에 의하여 간섭을 겪게 될 것이고, 따라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열려있는 경우 간섭을 겪고 있다면 통신은 실질적으로 구현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약한 신호 또는 더 큰 간섭의 경우에 통신가능한 피어-투-피어 전자 디바이스가 통신가능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전자 디바이스가 근거리장 통신이 수행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게 하는 것이 해결할 기술적 문제점이다.
이러한 내용을 고려하면, 본 발명에서 해결할 기술적 문제점은, 약한 신호 또는 큰 간섭의 경우에 통신가능 전자 디바이스가 통신가능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근거리장 통신을 위한 근접성 검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에서 언급된 기술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채용되는 기술적 해결책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 따르면, 근거리장 통신을 위하여 제 1 전자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근거리장 통신을 위한 근접성 검출 방법이 제공되는데, 이러한 방법은:
상기 제 1 전자 디바이스에 의하여, 검출 프레임의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로서, 상기 검출 프레임은 상이한 주파수로써 변조된 적어도 두 개의 심볼을 포함하는, 단계;
근거리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제 2 전자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수신된 응답 프레임에 따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출 프레임은 제 1 검출 프레임(A1) 및 제 2 검출 프레임(A2)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자 디바이스에 의하여, 검출 프레임의 신호를 전송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 1 전자 디바이스에 의하여, 제 1 검출 프레임(A1) 또는 제 2 검출 프레임(A2)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2 전자 디바이스에 의하여 응신된 상기 응답 프레임의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 1 검출 프레임(A1)으로부터 상기 제 2 검출 프레임(A2)으로 또는 상기 제 2 검출 프레임(A2)으로부터 상기 제 1 검출 프레임(A1)으로 전송되도록 상기 검출 프레임을 스위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응답 프레임은 제 1 응답 프레임(B1) 및 제 2 응답 프레임(B2)을 포함하고, 근거리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제 2 전자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수신된 응답 프레임에 따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 2 전자 디바이스에 의하여 응신되는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 이후에 제 1 응답 횟수(M1)를 1 만큼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응답 프레임이 상기 제 2 응답 프레임(B2)인 경우, 제 2 응답 횟수(M2)를 1 만큼 증가시키고, M2가 제 2 임계(C2)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더욱 결정하며, 도달하는 경우 상기 제 2 전자 디바이스가 근거리장 통신가능 범위 내에 위치된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근거리장 통신을 위하여 제 2 전자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근거리장 통신을 위한 근접성 검출 방법이 제공되는데, 이러한 방법은:
제 1 전자 디바이스에 의하여 전송된 검출 프레임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응답 프레임을 상기 제 1 전자 디바이스로 응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응답 프레임은 상이한 주파수로써 변조된 적어도 두 개의 심볼을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전자 디바이스가 근거리장 통신가능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수신된 검출 프레임에 따라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응답 프레임을 상기 제 1 전자 디바이스로 응신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검출 프레임의 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상기 검출 프레임의 신호가 상기 제 1 검출 프레임(A1)인지 또는 상기 제 2 검출 프레임(A2)인지 결정하고, 상기 검출 프레임이 상기 제 1 검출 프레임(A1)이고 제 1 확인 횟수(N1)가 우수인 경우에 제 1 확인 횟수(N1)를 1 만큼 증가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동일하게 유지하고; 상기 검출 프레임이 상기 제 2 검출 프레임(A2)이고 제 1 확인 횟수(N1)가 기수인 경우에 상기 제 1 확인 횟수(N1)를 1 만큼 증가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동일하게 유지하는 단계;
상기 제 1 확인 횟수(N1)가 제 1 임계(C1)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확인 횟수(N1)가 제 1 임계(C1)를 초과하는 경우 제 2 응답 프레임(B2)을 상기 제 1 전자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그렇지 않으면 제 1 응답 프레임(B1)을 상기 제 1 전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전자 디바이스가 근거리장 통신가능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수신된 검출 프레임에 따라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확인 횟수(N1)가 제 1 임계(C1)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검출 프레임의 신호를 수신할 때에, 상기 검출 프레임의 신호가 상기 제 1 검출 프레임(A1)인지 상기 제 2 검출 프레임(A2)인지를 결정하고, 상기 검출 프레임이 상기 제 1 검출 프레임(A1)이고 제 2 확인 횟수(N2)가 우수라면 상기 제 2 확인 횟수(N2)를 1 만큼 증가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동일하게 유지하고; 상기 검출 프레임이 상기 제 2 검출 프레임(A2)이고 상기 제 2 확인 횟수(N2)가 기수라면, 상기 제 2 확인 횟수(N2)를 1 만큼 증가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동일하게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확인 횟수(N2)가 제 2 임계(C2)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도달하는 경우에 상기 제 1 전자 디바이스가 근거리장 통신가능 범위 내에 위치된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근거리장 통신을 위하여 제 1 전자 디바이스 및 제 2 전자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근거리장 통신의 근접성 검출 방법이 제공되는데, 이러한 방법은:
상기 제 1 전자 디바이스에 의하여, 검출 프레임의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2 전자 디바이스에 의하여, 응답 프레임을 상기 제 1 전자 디바이스로 응신하고, 상기 제 1 전자 디바이스가 근거리장 통신가능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수신된 검출 프레임에 따라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전자 디바이스에 의하여, 상기 제 2 전자 디바이스가 상기 근거리장 통신가능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수신된 응답 프레임에 따라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 프레임 및 상기 응답 프레임 양자 모두는 상이한 주파수로써 변조된 적어도 두 개의 심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근거리장 통신을 위하여 제 1 전자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근거리장 통신을 위한 근접성 검출 장치가 제공되는데, 이러한 장치는:
검출 프레임의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제 1 전송 유닛으로서, 상기 검출 프레임은 상이한 주파수로써 변조된 적어도 두 개의 심볼을 포함하는, 제 1 전송 유닛;
제 2 전자 디바이스에 의하여 응신되는 응답 프레임의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 1 수신 유닛;
상기 제 2 전자 디바이스에 의하여 응신되는 응답 프레임을 분석하도록 구성되는 제 1 분석 유닛; 및
상기 제 2 전자 디바이스가 근거리장 통신가능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수신된 응답 프레임에 따라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 1 결정 유닛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전송 유닛은 특히: 제 1 검출 프레임(A1) 또는 제 2 검출 프레임(A2)을 전송하고; 상기 제 2 전자 디바이스에 의하여 응신된 상기 응답 프레임의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 1 검출 프레임(A1)으로부터 상기 제 2 검출 프레임(A2)으로 또는 상기 제 2 검출 프레임(A2)으로부터 상기 제 1 검출 프레임(A1)으로 전송되도록 상기 검출 프레임을 스위칭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결정 유닛은 특히: 상기 제 2 전자 디바이스에 의하여 응신되는 수신된 응답 프레임이 제 2 응답 프레임(B2)인 경우, 제 2 응답 횟수(M2)를 1 만큼 증가시키고, M2가 제 2 임계(C2)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더 결정하며, 도달하는 경우에, 상기 제 2 전자 디바이스가 근거리장 통신가능 범위 내에 위치된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근거리장 통신을 위하여 제 2 전자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근거리장 통신을 위한 근접성 검출 장치가 제공되는데, 이러한 장치는:
제 1 전자 디바이스에 의하여 전송된 검출 프레임의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 2 수신 유닛;
상기 제 2 수신 유닛에 의하여 수신된 상기 검출 프레임의 신호를 분석하도록 구성되는 제 2 분석 유닛;
응답 프레임을 상기 제 1 전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제 2 전송 유닛으로서, 상기 응답 프레임은 상이한 주파수로써 변조된 적어도 두 개의 심볼을 포함하는, 제 2 전송 유닛; 및
상기 제 1 전자 디바이스가 근거리장 통신가능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수신된 검출 프레임에 따라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 2 결정 유닛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전송 유닛은 특히: 상기 검출 프레임의 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상기 검출 프레임의 신호가 상기 제 1 검출 프레임(A1)인지 또는 상기 제 2 검출 프레임(A2)인지 결정하고, 상기 검출 프레임이 상기 제 1 검출 프레임(A1)이고 제 1 확인 횟수(N1)가 우수인 경우에 제 1 확인 횟수(N1)를 1 만큼 증가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동일하게 유지하고; 상기 검출 프레임이 상기 제 2 검출 프레임(A2)이고 제 1 확인 횟수(N1)가 기수인 경우에 상기 제 1 확인 횟수(N1)를 1 만큼 증가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동일하게 유지하며; 상기 제 1 확인 횟수(N1)가 제 1 임계(C1)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확인 횟수(N1)가 제 1 임계(C1)를 초과하는 경우 제 2 응답 프레임(B2)을 상기 제 1 전자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그렇지 않으면 제 1 응답 프레임(B1)을 상기 제 1 전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결정 유닛은 특히: 상기 제 1 확인 횟수(N1)가 제 1 임계(C1)를 초과하고 상기 검출 프레임의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검출 프레임의 신호가 상기 제 1 검출 프레임(A1)인지 상기 제 2 검출 프레임(A2)인지를 결정하고, 상기 검출 프레임이 상기 제 1 검출 프레임(A1)이고 제 2 확인 횟수(N2)가 우수라면 상기 제 2 확인 횟수(N2)를 1 만큼 증가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동일하게 유지하고; 상기 검출 프레임이 상기 제 2 검출 프레임(A2)이고 상기 제 2 확인 횟수(N2)가 기수라면, 상기 제 2 확인 횟수(N2)를 1 만큼 증가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동일하게 유지하며; 상기 제 2 확인 횟수(N2)가 제 2 임계(C2)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도달하는 경우에 상기 제 1 전자 디바이스가 근거리장 통신가능 범위 내에 위치된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근거리장 통신을 위한 근접성 검출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제 1 전자 디바이스는 상이한 주파수들로써 변조된 심볼의 검출 프레임의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이러한 변조 주파수들이 간섭을 겪는 경우 통신가능 범위 내에 존재하는 제 2 전자 디바이스가 검출될 수 있게 한다. 검출 결과는 통신이 필요한지 여부를 전자 디바이스가 식별하도록 하기 위한, 통신을 트리거링하는 조건으로서 받아들여질 수 있다. 한편, 검출 결과는 각각의 메인 제어 칩이 LCD를 닫도록 통지함으로써, 간섭이 최소화되게 하고 통신의 품질을 개선하게 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제 1 전자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근접성 검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심볼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제 1 전자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근접성 검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검출 프레임 및 그의 응답 프레임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다른 검출 프레임 및 그의 응답 프레임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근접성 검출 방법에서의 처음 8 개의 상호작용의 개략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근접성 검출 방법에서의 마지막 8 개의 상호작용의 개략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제 2 전자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근접성 검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제 2 전자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근접성 검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근접성 검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제 1 전자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근접성 검출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제 2 전자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근접성 검출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해결할 기술적인 문제점들,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책과 유리한 효과들이 명확하게 드러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더 상세한 설명이 첨부 도면 및 실시예와 조합하여 이하 상세하게 제공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특정 실시예는 오직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해서만 사용되는 것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전자 디바이스는 능동적으로 통신을 개시하는 하나의 당사자를 의미하고, 제 2 전자 디바이스는 통신의 다른 당사자를 의미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제부터 제 1 전자 디바이스는 마스터라고 불리고 제 2 전자 디바이스는 슬레이브라고 불린다.
실시예 1: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근접성 검출 방법의 흐름도인데, 이러한 방법은 마스터에 적용되고 구체적으로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검출 프레임의 신호를 제 1 전자 디바이스에 의하여 전송하는 단계 S102.
검출 프레임은 상이한 주파수로써 변조된 적어도 두 개의 심볼을 포함한다. 심볼은 비트(bit) 데이터를 운반하는 최소 통신 유닛이다. 심볼의 변조 모드는 파일럿 및 데이터 정보를 운반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FSK(주파수 천이 키잉)와 유사한 모드를 채용하는데, 복수 개의 심볼은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한다. 도 2 를 참조하면, Ts=200 마이크로초이고, Td=0.8Ts=160 마이크로초이며, Tr=0.2Ts=40 마이크로초이고, 시간 간격 Td 안에서 터치 스크린은 FSK로 변조된 신호를 전송하고, 시간 Tr 안에서는 터치 스크린이 임의의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다. 터치 스크린의 드라이버 회로가 상이한 주파수들 사이에서 스위칭하려면 일반적으로 어느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고, 따라서 어느 정도의 블랭크 시간이 필요하며, Tr은 전송으로부터 수신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예비 시간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해결책으로서, 단계 S102 는: 제 1 전자 디바이스에 의하여 제 1 검출 프레임(A1) 또는 제 2 검출 프레임(A2)을 전송하는 단계; 슬레이브에 의하여 응신되는 응답 프레임의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검출 프레임이 제 1 검출 프레임(A1)으로부터 제 2 검출 프레임(A2)으로 또는 제 2 검출 프레임(A2)으로부터 제 1 검출 프레임(A1)으로 전송되도록 스위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04 에서는 근거리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슬레이브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수신된 응답 프레임에 따라서 결정한다.
바람직한 해결책으로서, 단계 S104 는: 슬레이브에 의하여 응신되는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 이후에 제 1 응답 횟수(M1)를 1 만큼 증가시키는 단계; 및 응답 프레임이 제 2 응답 프레임(B2)인 경우, 상기 제 2 응답 횟수(M2)를 1 만큼 증가시키고, M2가 제 2 임계(C2)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도달한다면, 슬레이브가 근거리장 통신가능 범위 내에 위치된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의 안정성을 더욱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방법은: 만일 슬레이브에 의하여 응신되는 응답 프레임 이 사전 설정된 시간이 만료될 때에 다시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 1 응답 횟수(M1) 또는 제 2 응답 횟수(M2)를 한 번 또는 두 번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가 미약하거나 외부 간섭이 존재하는 경우에, 통신가능 범위 내에 있는 다른 통신가능 전자 디바이스가 검출될 수 있다. 검출 결과는 통신이 필요한지 여부를 전자 디바이스가 식별하도록 하기 위한, 통신을 트리거링하는 조건으로서 받아들여질 수 있다. 한편, 검출 결과는 각각의 메인 제어 칩이 LCD를 닫도록 통지함으로써, 간섭이 최소화되게 하고 통신의 품질을 개선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근접성 검출 방법의 흐름도이고, 이러한 방법은:
마스터에 의하여, 제 1 검출 프레임(A1)의 신호 또는 제 2 검출 프레임(A2)의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S202 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마스터는 근접성 검출을 수행할 경우 두 개의 상이한 프레임을 사용하는데, 예를 들어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검출 프레임(A1)은: [F1, F2, F3, F4, F5, F6]이고; 제 2 검출 프레임(A2)은: [F3, F2, F1, F6, F5, F4]이며, F1 내지 F6 은 상이한 주파수로써 변조된 신호들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F1 내지 F6 은 각각 450KHz, 400KHz, 350KHz, 300KHz, 250KHz 및 200KHz이다. 분명하게도, 이것은 다른 주파수 조합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검출 프레임(A1)은: [F1, F2, F3, F4]이고 제 2 검출 프레임(A2)은: [F2, F1, F4, F3]이다. 선택적으로, F1 내지 F6 은 주파수 세트 {525KHz,487.5KHz,412.5KHz, 375KHz,337.5KHz,262.5KHz, 225KHz,187.5KHz} 에 속하는 6 개의 이웃하는 주파수들이다.
이러한 방법은 슬레이브에 의하여 응신되는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 이후에 제 1 응답 횟수(M1)를 1 만큼 증가시키는 단계 S204 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근접성 검출을 수행할 경우 슬레이브도 역시 두 개의 상이한 프레임을 사용하는데,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응답 프레임(B1)은: [F6, F5, F4, F3, F2, F1]이고; 제 2 응답 프레임(B2)은: [F4, F5, F6, F1, F2, F3]이며; F1 내지 F6 은 상이한 주파수로써 변조된 심볼들을 나타낸다. F1 내지 F6 은 검출 프레임들에 대응하고, 이들은 일반적으로 각각 450KHz, 400KHz, 350KHz, 300KHz, 250KHz 및 200KHz이다. 분명하게도, 이것은 검출 주파수에 대응하는 다른 주파수 조합들을 사용할 수 있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응답 프레임(B1)은: [F4, F3, F2, F1]이고; 제 2 응답 프레임(B2)은: [F2, F1, F4, F3]이다.
이러한 방법은 제 1 전송 신호가 제 1 검출 프레임(A1)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그러한 경우 단계 S208 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S210 을 수행하는 단계 S206 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은 검출 프레임이 제 2 검출 프레임(A2)으로 전송되도록 스위칭하는 단계 S208 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은 검출 프레임이 제 1 검출 프레임(A1)으로 전송되도록 스위칭하는 단계 S210 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단계 S206 내지 단계 S210 은 확인이 매번 수신된 이후에 마스터가 두 개의 검출 프레임을 교번하여 전송하게 한다. 예를 들어, 이것은 슬레이브의 응답이 기수 회 수신되는 것을 확인하기 이전에 일정하게 제 1 검출 프레임(A1)을 전송하고, 슬레이브의 응신을 수신한 이후에 제 2 검출 프레임(A2)을 전송할 수 있고; 응답이 우수 회 수신되는 것을 확인하기 이전에 제 2 검출 프레임(A2)을 일정하게 전송하고, 슬레이브의 응신을 수신한 이후에 제 1 검출 프레임(A1)을 전송할 수 있으며; 검출 프레임의 신호를 근접성 검출이 성공적인지 성공적이지 않은지를 확인하기 이전에 이러한 방식으로 일정하게 전송한다; 즉, 마스터가 슬레이브의 검출 응신(detection reply)을 수신한 이후에 전송될 근접성 검출 프레임의 타입에는 반전이 발생할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수신된 응답 프레임이 제 2 응답 프레임(B2)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그렇다면 단계 S214 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S202 로 복귀하는 단계 S212 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은 제 2 응답 횟수(M2)를 1 만큼 증가시키는 단계 S214 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은 제 2 응답 횟수(M2)가 제 2 임계(C2)보다 더 큰지 여부를 결정하고, 그렇다면 단계 S218 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S220 을 수행하는 단계 S216 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은 슬레이브가 통신가능 범위 내에 있다고 결정하는 단계 S218 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은 사전 설정된 시간 기간이 경과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그렇다면 단계 S222 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S202 로 복귀하는 단계 S220 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은 메인 제어 칩에 검출 결과를 통지하는 단계 S222 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8+4 의 확인 방식이 채용되면, 즉 제 1 임계(C1)는 8 이고 제 2 임계(C2)는 4 이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검출 프레임(A1) 또는 제 2 검출 프레임(A2)을 검출하는 것과 무관하게, 슬레이브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것이 제 1 응답 프레임(B1)을 8 회 응신하는 처음 8 회 동안 검출 프레임의 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제 1 응답 프레임(B1)을 응신하고, 검출 신호가 다시 검출되면 이것은 근접성 제 2 응답 프레임(B2)을 응신한다; 근접성 제 2 응답 프레임(B2)을 4 회 응신한 이후에, 슬레이브 자체는 근접성 검출이 성공적이라고 확신한다; 후속하여, 마스터/슬레이브는 적어도 150ms 동안에 자신의 각각의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한다; 그러면 이것은 데이터 수신 모드에 진입하고, 데이터 수신 모드에 진입한 이후에 특정한 시간 기간 내에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이것은 연결이 실패했다고 확신하고, 타임아웃이 더 높은 계층의 프로토콜에 의하여 정의된다. 근접성 제 2 응답 프레임(B2)을 4 회 연속적으로 수신한 이후에, 마스터는 근접성 검출이 성공적이라고 확신하고, 현재의 상태를 150ms동안 유지한 이후에 데이터 전송 모드로 천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간섭이 존재하는 경우(예를 들어, LCD가 열려 있는 경우), 통신가능 범위 내의 다른 통신가능 전자 디바이스가 검출될 수 있다.
실시예 3: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것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슬레이브에 적용되는 근접성 검출 방법이고, 이러한 방법은:
마스터에 의하여 전송된 검출 프레임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S302 를 포함한다.
검출 프레임은 제 1 검출 프레임(A1) 및 제 2 검출 프레임(A2)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검출 프레임(A1)은: [F1, F2, F3, F4, F5, F6]이고; 제 2 검출 프레임(A2)은: [F3, F2, F1, F6, F5, F4]이다; 또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검출 프레임(A1)은: [F1, F2, F3, F4]이고; 제 2 검출 프레임(A2)은: [F2, F1, F4, F3]이다. F1, F2, F3, F4, F5, F6 은 각각 상이한 주파수로써 변조된 심볼들이다. 예를 들어, F1, F2, F3, F4, F5, F6 은 각각 450KHz, 400KHz, 350KHz, 300KHz, 250KHz 및 200KHz로써 변조된 심볼들이다. 또는, F1 내지 F6 은 주파수 세트 {525KHz,487.5KHz, 450KHz,412.5KHz,375KHz,337.5KHz, 300KHz,262.5KHz,225KHz,187.5KHz, 150KHz}에 속하는 6 개의 이웃하는 주파수들이다. 선택적으로, F1 내지 F6 은 487.5KHz,412.5KHz, 375KHz,337.5KHz,262.5KHz 및 225KHz이다.
이러한 방법은 응답 프레임을 마스터로 응신하는 단계 S304 를 포함한다.
응답 프레임은 상이한 주파수로써 변조된 적어도 두 개의 심볼을 포함하고, 심볼은 비트 데이터를 운반하는 최소 통신 유닛을 의미한다.
응답 프레임은 검출 프레임에 대응하는 제 1 응답 프레임(B1) 및 제 2 응답 프레임(B2)을 더 포함한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응답 프레임(B1)은: [F6, F5, F4, F3, F2, F1]이고; 제 2 응답 프레임(B2)은: [F4, F5, F6, F1, F2, F3]이다; 또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응답 프레임(B1)은: [F4, F3, F2, F1]이고; 제 2 응답 프레임(B2)은: [F3, F4, F2, F1]이다; 여기에서 F1, F2, F3, F4, F5, F6 은 각각 상이한 주파수로써 변조된 심볼들이다. 예를 들어, F1, F2, F3, F4, F5, F6 은 각각 450KHz, 400KHz, 350KHz, 300KHz, 250KHz 및 200KHz로써 변조된 심볼들이다. 또는, F1 내지 F6 은 주파수 세트 {525KHz,487.5KHz, 450KHz,412.5KHz, 375KHz,337.5KHz, 300KHz,262.5KHz, 225KHz,187.5KHz, 150KHz}에 속하는 6 개의 이웃하는 주파수들이다. 선택적으로, F1 내지 F6 은 487.5KHz,412.5KHz, 375KHz,337.5KHz,262.5KHz 및 225KHz이다.
바람직한 해결 단계로서, 이러한 단계는: 상기 검출 프레임의 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상기 검출 프레임의 신호가 상기 제 1 검출 프레임(A1)인지 또는 상기 제 2 검출 프레임(A2)인지 결정하고, 상기 검출 프레임이 상기 제 1 검출 프레임(A1)이고 제 1 확인 횟수(N1)가 우수인 경우에 제 1 확인 횟수(N1)를 1 만큼 증가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동일하게 유지하고; 상기 검출 프레임이 상기 제 2 검출 프레임(A2)이고 제 1 확인 횟수(N1)가 기수인 경우에 상기 제 1 확인 횟수(N1)를 1 만큼 증가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동일하게 유지하는 단계; 상기 제 1 확인 횟수(N1)가 제 1 임계(C1)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확인 횟수(N1)가 제 1 임계(C1)를 초과하는 경우 제 2 응답 프레임(B2)을 상기 제 1 전자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그렇지 않으면 제 1 응답 프레임(B1)을 상기 제 1 전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통신의 안정성을 더욱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방법은: 만일 슬레이브에 의하여 응신되는 응답 프레임 이 사전 설정된 시간이 만료될 때에 다시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 1 확인 횟수(N1) 또는 제 2 확인 횟수(N2)를 한 번 또는 두 번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8+4 의 확인 방식이 채용되면, 즉 제 1 임계(C1)는 8 이고 제 2 임계(C2)는 4 이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검출 프레임(A1) 또는 제 2 검출 프레임(A2)을 검출하는 것과 무관하게, 슬레이브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것이 제 1 응답 프레임(B1)을 8 회 응신하는 처음 8 회 동안 검출 프레임의 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제 1 응답 프레임(B1)을 응신하고, 검출 신호가 다시 검출되면 이것은 근접성 제 2 응답 프레임(B2)을 응신한다; 근접성 제 2 응답 프레임(B2)을 4 회 응신한 이후에, 슬레이브 자체는 근접성 검출이 성공적이라고 확신한다; 후속하여, 마스터/슬레이브는 적어도 150ms 동안에 자신의 각각의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한다; 그러면 이것은 데이터 수신 모드에 진입하고, 데이터 수신 모드에 진입한 이후에 특정한 시간 기간 내에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이것은 연결이 실패했다고 확신하고, 타임아웃이 더 높은 계층의 프로토콜에 의하여 정의된다.
이러한 방법은, 마스터가 근거리장 통신가능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 프레임을 수신한 횟수에 따라서 결정하는 단계 S306 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해결 단계로서, 이러한 방법은: 상기 제 1 확인 횟수(N1)가 제 1 임계(C1)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검출 프레임의 신호를 수신할 때에, 상기 검출 프레임의 신호가 상기 제 1 검출 프레임(A1)인지 상기 제 2 검출 프레임(A2)인지를 결정하고, 상기 검출 프레임이 상기 제 1 검출 프레임(A1)이고 제 2 확인 횟수(N2)가 우수라면 상기 제 2 확인 횟수(N2)를 1 만큼 증가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동일하게 유지하고; 상기 검출 프레임이 상기 제 2 검출 프레임(A2)이고 상기 제 2 확인 횟수(N2)가 기수라면, 상기 제 2 확인 횟수(N2)를 1 만큼 증가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동일하게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확인 횟수(N2)가 제 2 임계(C2)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도달하는 경우에 상기 제 1 전자 디바이스가 근거리장 통신가능 범위 내에 위치된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것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제공되는 슬레이브에 적용되는 근접성 검출 방법이고, 이러한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마스터에 의하여 전송된 검출 프레임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S402;
검출 프레임의 신호가 제 1 검출 프레임(A1)인지 제 2 검출 프레임(A2)인지 결정하고, 이것이 A1 이라면, 단계 S406 을 수행하고, 이것이 A2 라면 단계 S408 을 수행하는 단계 S404;
제 1 확인 횟수(N1)가 우수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우수라면 단계 S410 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동일하게 유지하는 단계 S406;
제 1 확인 횟수(N1)가 기수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우수라면 단계 S410 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동일하게 유지하는 단계 S408;
제 1 확인 횟수(N1)를 1 만큼 증가시키는 단계 S410;
제 1 확인 횟수(N1)가 제 1 임계(C1)보다 더 큰지 여부를 결정하고, 더 크지 않다면 단계 S412 를 수행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단계 S416 을 수행하는 단계 S412;
제 1 응답 프레임(B1)을 마스터로 응신하고, 단계 S402 로 복귀하는 단계 S414;
제 2 응답 프레임(B2)을 마스터로 응신하는 단계 S416;
마스터에 의하여 전송된 검출 프레임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S418;
검출 프레임의 신호가 제 1 검출 프레임(A1)인지 제 2 검출 프레임(A2)인지 결정하고, 이것이 A1 이라면, 단계 S422 를 수행하고, 이것이 A2 라면 단계 S424 을 수행하는 단계 S420;
제 2 확인 횟수(N2)가 우수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우수라면 단계 S426 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S428 을 수행하는 단계 S422;
제 2 확인 횟수(N2)가 기수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우수라면 단계 S426 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S428 을 수행하는 단계 S424;
제 2 확인 횟수(N2)를 1 만큼 증가시키는 단계 S426;
제 2 확인 횟수(N2)를 동일하게 유지시키는 단계 S428;
제 2 확인 횟수(N2)가 C2 보다 더 큰지 여부를 결정하고, 더 크다면 단계 S432 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S434 을 수행하는 단계 S430; 여기에서 C2 는 선결정된 제 2 임계임;
마스터가 통신가능 범위 내에 있다는 것이 결정되면, 단계 S438 을 수행하는 단계 S432;
사전 설정된 시간 기간이 만료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만료되지 않으면 단계 S416 으로 복귀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S436 을 수행하는 단계 S434;
마스터가 통신가능 범위 내에 있지 않다고 결정하는 단계 S436;
검출 결과를 메인 제어 칩으로 전송하는 단계 S438.
실시예 4: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에서 제공되는 근접성 검출 방법의 흐름도이고, 이러한 방법은 근거리장 통신을 위하여 마스터 및 슬레이브에 적용되며, 이러한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마스터에 의하여 검출 프레임의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S502;
슬레이브에 의하여, 응답 프레임을 마스터로 응신하고, 마스터가 근거리장 통신가능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수신된 검출 프레임에 따라서 결정하는 단계 S504;
슬레이브가 근거리장 통신가능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수신된 응답 프레임에 따라서 결정하는 단계 S506.
검출 프레임과 응답 프레임 양자 모두는 상이한 주파수로써 변조된 적어도 두 개의 심볼을 포함하고, 심볼은 비트 데이터를 운반하는 최소 통신 유닛을 의미한다.
마스터에 적용되는 근접성 검출 방법 및 슬레이브에 적용되는 근접성 검출 방법의 위에서 언급된 기술적 특징들이 이러한 실시예에 역시 적용되며, 이것은 본 명세서에서 중복되어 반복되지 않을 것이라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실시예 5: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근접성 검출 장치의 모듈 구조도이고, 이러한 장치는 근거리장 통신을 위하여 마스터에 적용되고, 다음을 포함한다:
검출 프레임의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제 1 전송 유닛으로서, 상기 검출 프레임은 상이한 주파수로써 변조된 적어도 두 개의 심볼을 포함하는, 제 1 전송 유닛(110);
바람직한 해결책으로서, 상기 제 1 전송 유닛(110)은 특히: 제 1 검출 프레임(A1) 또는 제 2 검출 프레임(A2)을 전송하고; 슬레이브에 의하여 응신된 상기 응답 프레임의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 1 검출 프레임(A1)으로부터 상기 제 2 검출 프레임(A2)으로 또는 상기 제 2 검출 프레임(A2)으로부터 상기 제 1 검출 프레임(A1)으로 전송되도록 상기 검출 프레임을 스위칭하도록 구성된다.
제 1 수신 유닛(120)은 슬레이브에 의하여 응신되는 응답 프레임의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 1 분석 유닛(130)은 슬레이브에 의하여 응신되는 수신된 응답 프레임을 분석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1 분석 유닛(130)은 응답 프레임의 타입을, 예를 들어 이것이 제 1 응답 프레임(B1)인지 또는 제 2 응답 프레임(B2)인지를 분석하도록 구성된다.
제 1 결정 유닛(140)은 슬레이브가 근거리장 통신가능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수신된 응답 프레임에 따라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한 해결책으로서, 제 1 결정 유닛(140)은 특히: 슬레이브에 의하여 응신되는 수신된 응답 프레임이 제 2 응답 프레임(B2)인 경우, 제 2 응답 횟수(M2)를 1 만큼 증가시키고, M2가 제 2 임계(C2)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더 결정하며, 도달하는 경우에, 슬레이브가 근거리장 통신가능 범위 내에 위치된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마스터에 적용된 근접성 검출 방법의 위에서 언급된 기술적 특징은 이러한 실시예의 검출 장치에 대응하도록 유사하게 적용되고, 이것은 본 명세서에서 중복하여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실시예 6: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근접성 검출 장치의 모듈 구조도이고, 이러한 장치는 근거리장 통신을 위하여 슬레이브에 적용되고, 다음을 포함한다:
마스터에 의하여 전송된 검출 프레임의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 2 수신 유닛(210);
제 2 수신 유닛(210)에 의하여 수신된 검출 프레임의 신호를 분석하도록 구성되는 제 2 분석 유닛(220);
응답 프레임을 마스터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제 2 전송 유닛(230) - 응답 프레임은 상이한 주파수로써 변조된 적어도 두 개의 심볼을 포함함.
바람직한 해결책으로서, 상기 제 2 전송 유닛(230)은 특히: 상기 검출 프레임의 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상기 검출 프레임의 신호가 상기 제 1 검출 프레임(A1)인지 또는 상기 제 2 검출 프레임(A2)인지 결정하고, 상기 검출 프레임이 상기 제 1 검출 프레임(A1)이고 제 1 확인 횟수(N1)가 우수인 경우에 제 1 확인 횟수(N1)를 1 만큼 증가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동일하게 유지하고; 상기 검출 프레임이 상기 제 2 검출 프레임(A2)이고 제 1 확인 횟수(N1)가 기수인 경우에 상기 제 1 확인 횟수(N1)를 1 만큼 증가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동일하게 유지하며;
상기 제 1 확인 횟수(N1)가 제 1 임계(C1)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확인 횟수(N1)가 제 1 임계(C1)를 초과하는 경우 제 2 응답 프레임(B2)을 상기 제 1 전자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그렇지 않으면 제 1 응답 프레임(B1)을 상기 제 1 전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제 2 결정 유닛(240)은 마스터가 근거리장 통신가능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수신된 검출 프레임에 따라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한 해결책으로서, 상기 제 2 결정 유닛은 특히: 상기 제 1 확인 횟수(N1)가 제 1 임계(C1)를 초과하고 상기 검출 프레임의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검출 프레임의 신호가 상기 제 1 검출 프레임(A1)인지 상기 제 2 검출 프레임(A2)인지를 결정하고, 상기 검출 프레임이 상기 제 1 검출 프레임(A1)이고 제 2 확인 횟수(N2)가 우수라면 상기 제 2 확인 횟수(N2)를 1 만큼 증가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동일하게 유지하고; 상기 검출 프레임이 상기 제 2 검출 프레임(A2)이고 상기 제 2 확인 횟수(N2)가 기수라면, 상기 제 2 확인 횟수(N2)를 1 만큼 증가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동일하게 유지하며; 상기 제 2 확인 횟수(N2)가 제 2 임계(C2)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도달하는 경우에 상기 제 1 전자 디바이스가 근거리장 통신가능 범위 내에 위치된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전기장을 사용하여 근거리장 통신을 수행하는 임의의 전자 디바이스가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터치 스크린 단말(예를 들어, 아이폰, iPad), 또는 터치 태블릿, 키 및 슬라이더가 있는 터치 단말(예를 들어, 노트북, iPod 또는 기타 등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근거리장 통신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USB, HDMI, 오디오 입력 및 출력(예를 들어, 헤드셋의 홀), 또는 기타 등등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다른 전자 디바이스에도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근거리장 통신을 위한 근접성 검출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제 1 전자 디바이스는 상이한 주파수들로써 변조된 복수 개의 심볼을 포함하는 검출 프레임의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이러한 변조 주파수들이 간섭을 겪는 경우 통신가능 범위 내에 존재하는 제 2 전자 디바이스가 검출될 수 있게 한다. 검출 결과는 통신이 필요한지 여부를 전자 디바이스가 식별하도록 하기 위한, 통신을 트리거링하는 조건으로서 받아들여질 수 있다. 한편, 검출 결과는 각각의 메인 제어 칩이 LCD를 닫도록 통지함으로써, 간섭이 최소화되게 하고 통신의 품질을 개선하게 할 수 있다.
당업자들은 위에서 언급된 실시예의 다양한 방법의 단계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관련된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예를 들어 ROM/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학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예시되지만,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범위와 기술 요지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해 당업자들에 의하여 여러 변환 솔루션들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의 특징은 또 다른 실시예를 획득하도록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이루어지는 임의의 변형, 균등물 치환 또는 개선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안에 망라되어야 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근거리장 통신을 위한 근접성 검출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제 1 전자 디바이스는 상이한 주파수들로써 변조된 복수 개의 심볼을 포함하는 검출 프레임의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이러한 변조 주파수들이 간섭을 겪는 경우 통신가능 범위 내에 존재하는 제 2 전자 디바이스가 검출될 수 있게 한다. 검출 결과는 통신이 필요한지 여부를 전자 디바이스가 식별하도록 하기 위한, 통신을 트리거링하는 조건으로서 받아들여질 수 있다. 한편, 검출 결과는 각각의 메인 제어 칩이 LCD를 닫도록 통지함으로써, 간섭이 최소화되게 하고 통신의 품질을 개선하게 할 수 있다.

Claims (19)

  1. 근거리장 통신을 위한 근접성 검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제 1 전자 디바이스에 의하여, 검출 프레임의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로서, 상기 검출 프레임은 상이한 주파수로써 변조된 적어도 두 개의 심볼을 포함하는 단계(S102);
    근거리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제 2 전자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수신된 응답 프레임에 따라 결정하는 단계(S104)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 프레임은 제 1 검출 프레임 및 제 2 검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자 디바이스에 의하여, 검출 프레임의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제 1 검출 프레임 및 제 2 검출 프레임 중 하나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2 전자 디바이스에 의하여 응신된 상기 응답 프레임의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검출 프레임 및 상기 제2 검출 프레임 중 하나로부터 상기 제1 검출 프레임 및 상기 제2 검출 프레임 중 다른 하나로 전송되도록 상기 검출 프레임을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거리장 통신을 위한 근접성 검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프레임은 제 1 응답 프레임 및 제 2 응답 프레임을 포함하고,
    근거리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제 2 전자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수신된 응답 프레임에 따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 2 전자 디바이스에 의하여 응신되는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 이후에 제 1 응답 횟수를 1 만큼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응답 프레임이 상기 제 2 응답 프레임인 경우, 제 2 응답 횟수를 1 만큼 증가시키고, 상기 제2 응답 횟수가 제 2 임계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더 결정하며,
    만약 도달하는 경우, 상기 제 2 전자 디바이스가 근거리장 통신가능 범위 내에 위치된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거리장 통신을 위한 근접성 검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자 디바이스에 의하여 응신되는 응답 프레임이 사전 설정된 시간이 만료될 때에 다시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 1 응답 횟수 또는 제 2 응답 횟수를 적어도 일 회만큼 감소시키는, 근거리장 통신을 위한 근접성 검출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검출 프레임은: [F1, F2, F3, F4, F5, F6]이고;
    제 2 검출 프레임은: [F3, F2, F1, F6, F5, F4]이고;
    제 1 응답 프레임은: [F6, F5, F4, F3, F2, F1]이고;
    제 2 응답 프레임은: [F4, F5, F6, F1, F2, F3]이고;
    또는,
    제 1 검출 프레임은: [F1, F2, F3, F4]이고;
    제 2 검출 프레임은: [F2, F1, F4, F3]이고;
    제 1 응답 프레임은: [F4, F3, F2, F1]이고;
    제 2 응답 프레임은: [F3, F4, F2, F1]이고;
    F1, F2, F3, F4, F5, F6은 각각 상이한 주파수로써 변조된 심볼인, 근거리장 통신을 위한 근접성 검출 방법.
  5. 근거리장 통신을 위한 근접성 검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제 1 전자 디바이스에 의하여 전송된 검출 프레임의 신호를,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S302);
    응답 프레임을 상기 제 1 전자 디바이스로 응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응답 프레임은 상이한 주파수로써 변조된 적어도 두 개의 심볼을 포함하는, 단계(S304); 및
    상기 제 1 전자 디바이스가 근거리장 통신가능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수신된 검출 프레임에 따라서 결정하는 단계(S306)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 프레임은 제 1 검출 프레임 및 제 2 검출 프레임을 포함하고,
    응답 프레임을 상기 제 1 전자 디바이스로 응신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검출 프레임의 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상기 검출 프레임의 신호가 상기 제 1 검출 프레임인지 또는 상기 제 2 검출 프레임인지 결정하고,
    상기 검출 프레임이 상기 제 1 검출 프레임이고 제 1 확인 횟수(N1)가 짝수(even number)인 경우에 제 1 확인 횟수(N1)를 1 만큼 증가시키고; 상기 검출 프레임이 상기 제 2 검출 프레임이고 제 1 확인 횟수(N1)가 홀수(odd number)인 경우에 상기 제 1 확인 횟수(N1)를 1 만큼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제 1 확인 횟수(N1)가 제 1 임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확인 횟수(N1)가 제 1 임계를 초과하는 경우 제 2 응답 프레임을 상기 제 1 전자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그렇지 않으면 제 1 응답 프레임을 상기 제 1 전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근거리장 통신을 위한 근접성 검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자 디바이스가 근거리장 통신가능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수신된 검출 프레임에 따라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확인 횟수(N1)가 제 1 임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검출 프레임의 신호를 수신하자마자, 상기 검출 프레임의 신호가 상기 제 1 검출 프레임인지 상기 제 2 검출 프레임인지를 결정하고,
    상기 검출 프레임이 상기 제 1 검출 프레임이고 제 2 확인 횟수(N2)가 짝수라면, 상기 제 2 확인 횟수(N2)를 1 만큼 증가시키고; 상기 검출 프레임이 상기 제 2 검출 프레임이고 상기 제 2 확인 횟수(N2)가 홀수라면, 상기 제 2 확인 횟수(N2)를 1 만큼 증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 2 확인 횟수(N2)가 제 2 임계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도달하는 경우에 상기 제 1 전자 디바이스가 근거리장 통신가능 범위 내에 위치된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근거리장 통신을 위한 근접성 검출 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프레임은 제 1 검출 프레임 및 제 2 검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응답 프레임은 제 1 응답 프레임 및 제 2 응답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검출 프레임은: [F1, F2, F3, F4, F5, F6]이고;
    상기 제 2 검출 프레임은: [F3, F2, F1, F6, F5, F4]이고;
    상기 제 1 응답 프레임은: [F6, F5, F4, F3, F2, F1]이고;
    상기 제 2 응답 프레임은: [F4, F5, F6, F1, F2, F3]이고;
    또는,
    상기 제 1 검출 프레임은: [F1, F2, F3, F4]이고;
    상기 제 2 검출 프레임은: [F2, F1, F4, F3]이고;
    상기 제 1 응답 프레임은: [F4, F3, F2, F1]이고;
    상기 제 2 응답 프레임은: [F3, F4, F2, F1]이고;
    F1, F2, F3, F4, F5, F6은 각각 상이한 주파수로써 변조된 심볼인, 근거리장 통신을 위한 근접성 검출 방법.
  8. 근거리장 통신을 위하여 제 1 전자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근거리장 통신을 위한 근접성 검출 장치로서,
    검출 프레임의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제 1 전송 유닛으로서, 상기 검출 프레임은 상이한 주파수로써 변조된 적어도 두 개의 심볼을 포함하는, 제 1 전송 유닛(110);
    제 2 전자 디바이스에 의하여 응신되는 응답 프레임의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 1 수신 유닛(120);
    상기 제 2 전자 디바이스에 의하여 응신되는 응답 프레임을 분석하도록 구성되는 제 1 분석 유닛(130); 및
    상기 제 2 전자 디바이스가 근거리장 통신가능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수신된 응답 프레임에 따라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 1 결정 유닛(140)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송 유닛(110)은 구체적으로:
    제 1 검출 프레임 및 제 2 검출 프레임 중 하나를 전송하고;
    상기 제 2 전자 디바이스에 의하여 응신된 상기 응답 프레임의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 1 검출 프레임과 상기 제2 검출 프레임 중 하나로부터 상기 제1 검출 프레임과 상기 제2 검출 프레임 중 다른 하나로 전송되도록 상기 검출 프레임을 스위칭하도록 구성되는, 근거리장 통신을 위한 근접성 검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정 유닛(14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전자 디바이스에 의하여 응신되는 수신된 응답 프레임이 제 2 응답 프레임인 경우, 제 2 응답 횟수를 1 만큼 증가시키고, 그리고, 상기 제2 응답 횟수가 제 2 임계에 도달한다고 결정하자 마자, 상기 제 2 전자 디바이스가 근거리장 통신가능 범위 내에 위치된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근거리장 통신을 위한 근접성 검출 장치.
  10. 근거리장 통신을 위하여 제 2 전자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근거리장 통신을 위한 근접성 검출 장치로서,
    제 1 전자 디바이스에 의하여 전송된 검출 프레임의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 2 수신 유닛(210);
    상기 제 2 수신 유닛(210)에 의하여 수신된 상기 검출 프레임의 신호를 분석하도록 구성되는 제 2 분석 유닛(220);
    응답 프레임을 상기 제 1 전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제 2 전송 유닛으로서, 상기 응답 프레임은 상이한 주파수로써 변조된 적어도 두 개의 심볼을 포함하는, 제 2 전송 유닛(230); 및
    상기 제 1 전자 디바이스가 근거리장 통신가능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수신된 검출 프레임에 따라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 2 결정 유닛(240)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송 유닛(230)은 구체적으로:
    상기 검출 프레임의 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상기 검출 프레임의 신호가 제 1 검출 프레임인지 또는 제 2 검출 프레임인지 결정하고, 상기 검출 프레임이 제 1 검출 프레임이고 제 1 확인 횟수(N1)가 짝수인 경우에 제 1 확인 횟수(N1)를 1 만큼 증가시키고; 상기 검출 프레임이 제 2 검출 프레임이고 제 1 확인 횟수(N1)가 홀수인 경우에 제 1 확인 횟수(N1)를 1 만큼 증가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동일하게 유지하고; 그리고
    제 1 확인 횟수(N1)가 제1 임계를 초과한다고 결정하자마자 제 2 응답 프레임을 상기 제 1 전자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그렇지 않으면 제 1 응답 프레임을 상기 제 1 전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근거리장 통신을 위한 근접성 검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정 유닛(24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확인 횟수(N1)가 제 1 임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검출 프레임의 신호를 받자마자 상기 검출 프레임의 신호가 제 1 검출 프레임인지 제 2 검출 프레임인지를 결정하고, 상기 검출 프레임이 제 1 검출 프레임이고 제 2 확인 횟수(N2)가 짝수라면 상기 제 2 확인 횟수(N2)를 1 만큼 증가시키고, 상기 검출 프레임이 제 2 검출 프레임이고 상기 제 2 확인 횟수(N2)가 홀수라면 상기 제2 확인 횟수(N2)를 1만큼 증가시키고, 상기 제 2 확인 횟수(N2)가 제 2 임계에 도달한다고 결정하자마자, 상기 제 1 전자 디바이스가 근거리장 통신가능 범위 내에 위치된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근거리장 통신을 위한 근접성 검출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67021032A 2013-12-31 2014-04-25 근거리장 통신을 위한 근접성 검출 방법 및 장치 KR1018922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10752462.4A CN103701545B (zh) 2013-12-31 2013-12-31 一种近场通信的接近检测方法和装置
CN201310752462.4 2013-12-31
PCT/CN2014/076292 WO2015100890A1 (zh) 2013-12-31 2014-04-25 一种近场通信的接近检测方法和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708A KR20160104708A (ko) 2016-09-05
KR101892200B1 true KR101892200B1 (ko) 2018-08-27

Family

ID=50362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1032A KR101892200B1 (ko) 2013-12-31 2014-04-25 근거리장 통신을 위한 근접성 검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906273B2 (ko)
EP (1) EP3091671B1 (ko)
KR (1) KR101892200B1 (ko)
CN (1) CN103701545B (ko)
WO (1) WO20151008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01545B (zh) * 2013-12-31 2016-03-09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近场通信的接近检测方法和装置
CN106155378B (zh) * 2015-03-30 2017-12-05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触摸屏终端及其近场通信方法、装置和系统
CN106155382B (zh) 2015-04-01 2017-11-28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HotKnot的接近检测方法、装置和触摸屏终端
US10408929B2 (en) * 2018-01-12 2019-09-10 Intel Corporation Non-synchronized RF ranging
KR102104166B1 (ko) 2018-01-30 2020-04-23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근거리장 및 원거리장에 존재하는 복수의 타겟에 동시 다중 빔을 전송하기 위한 송신 장치
US10397966B1 (en) * 2018-11-14 2019-08-27 Zebra Technologi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bi-directional communication link between a symbol reader and a symbol reader cradle using wireless charging components
KR20210080897A (ko) * 2019-12-23 2021-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네트워크 환경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CN111882702B (zh) * 2020-07-02 2022-11-15 合肥美的智能科技有限公司 锁门方法、锁门控制装置、货柜、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41169A1 (en) * 2005-05-13 2009-02-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ulse modulation type transmitter apparatus and pulse modulation type receiver apparatus
US20130230040A1 (en) * 2012-03-01 2013-09-05 Kabushiki Kaisha Toshiba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9755A (en) 1987-05-29 1989-11-07 Stolar, Inc. Medium frequency mine communication system
JP2004215225A (ja) * 2002-12-17 2004-07-29 Sony Corp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並びにデータ処理装置
KR101656083B1 (ko) * 2011-09-15 2016-09-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수신 동기 획득 방법 및 그 장치
US8867990B2 (en) * 2012-02-29 2014-10-21 Broadcom Corporation Detecting a presence of near field communications (NFC) devices
CN103259569B (zh) * 2013-05-14 2015-04-22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触摸终端及其近场通讯方法和系统
CN103440075B (zh) * 2013-08-13 2017-03-29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容式触摸屏终端及其近场通信方法、系统
CN103701545B (zh) * 2013-12-31 2016-03-09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近场通信的接近检测方法和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41169A1 (en) * 2005-05-13 2009-02-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ulse modulation type transmitter apparatus and pulse modulation type receiver apparatus
US20130230040A1 (en) * 2012-03-01 2013-09-05 Kabushiki Kaisha Toshiba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701545A (zh) 2014-04-02
EP3091671A4 (en) 2017-09-06
EP3091671B1 (en) 2021-01-06
WO2015100890A1 (zh) 2015-07-09
KR20160104708A (ko) 2016-09-05
US20160308585A1 (en) 2016-10-20
EP3091671A1 (en) 2016-11-09
US9906273B2 (en) 2018-02-27
CN103701545B (zh) 201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2200B1 (ko) 근거리장 통신을 위한 근접성 검출 방법 및 장치
CN106454696B (zh) 一种电子设备的近场通信方法和系统
US9438332B2 (en) Low cost proximity pairing mechanism i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CN108370599B (zh) 信息处理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和信息处理系统
US9654981B2 (en) Data integrity for proximity-based communication
CN108290546B (zh) 用于基于近距信息建立无线电连接的装置、方法和计算机程序
US9615257B2 (en) Data integrity for proximity-based communication
US20130178163A1 (en) Systems for Facilitat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Related Methods
CN104601207A (zh) 一种数据传输方法、用户终端及系统
CN102916729A (zh) 一种触摸屏终端的近场通信方法、系统及触摸屏终端
CA2841927C (en) Transferring a voice call
CN101743694B (zh) 用于在至少两个通信装置之间电子通信的方法和设备
CN105068732A (zh) 一种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CN105069875A (zh) 电子钥匙、电子设备及电子设备组网/配对方法
CN104640059A (zh) 数据传输方法、装置及设备
CN104202805A (zh) 通信控制方法和电子设备
CN103327467A (zh) 移动终端呼叫转移方法和系统
CN106571878B (zh) 一种射频故障的检测方法和装置
US20180175910A1 (en) Radio frequency discovery method, chip, and device
US20210044966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accessory device pair and related devices and methods
CN105681880B (zh) 无线网络连接方法及装置、电视终端和移动终端
CN113301542B (zh) 配对连接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JP3195815U (ja) 異種ネットワーク制御システム
CN111918265A (zh) 连接建立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3578170A (zh) 用于电子投票的移动终端、选票接收设备、系统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