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2176B1 - 심전도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 Google Patents

심전도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2176B1
KR101892176B1 KR1020110113531A KR20110113531A KR101892176B1 KR 101892176 B1 KR101892176 B1 KR 101892176B1 KR 1020110113531 A KR1020110113531 A KR 1020110113531A KR 20110113531 A KR20110113531 A KR 20110113531A KR 101892176 B1 KR101892176 B1 KR 101892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cardiogram
ecg
measured
displaying
b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3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8596A (ko
Inventor
김예훈
권근주
홍석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3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2176B1/ko
Priority to US13/454,634 priority patent/US9839369B2/en
Publication of KR20130048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8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39Display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46Analysis of electrocardiograms
    • A61B5/349Detecting specific parameters of the electrocardiograph cyc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심전도 디스플레이와, 심전도 분석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심전도 디스플레이 방법은, 기준 심전도를 표시하는 단계, 및 측정 심전도를 기준 심전도와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정상 심전도 비트(beat) 및 비정상 심전도 비트(beat)를 검출하는데 있어 보다 간단한 알고리즘을 사용함으로써 연산시간이 줄어들고, 진단 시스템을 소형화,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화면상에 심전도 및 차이 정도를 함께 디스플레이함으로서, 비정상 심전도 여부를 의사가 육안으로 보다 쉽게 판독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심전도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electrocardiogram display method and user interface apparatus therefor}
진단을 위한 의료 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심전도 디스플레이와, 심전도 분석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련된다.
심전도(electrocardiogram)는 심장관련질환을 판단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일정한 시간동안 환자의 심전도를 측정한 후 그 결과를 판독하여야 하는데, 거의 유사한 파형이 연속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그 파형만 관찰해서는 이상여부 및 이상정도를 판별하기가 매우 어렵다.
심전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다양한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심전도를 비트(beat)별로 나누어 표시하는 방법, 비정상적인 부분만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또는 다수의 비트(beat)를 한 화면상에서 누적하여 표시하는 방법 등 다양한 표시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의사의 심전도 판독에 필요한 몇가지 정보를 보여주기는 하지만,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복잡하고 직관적인 정보를 보여주기에는 여전히 부족하다.
선행기술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8004호
기준 심전도와 측정 심전도의 비교 시각화를 통해 의사의 심전도 판독을 보다 직관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심전도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심전도 디스플레이 방법은, 기준 심전도를 표시하는 단계, 및 측정 심전도를 기준 심전도와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측정 심전도를 표시하는데 있어, 심전도에서 하나의 비트(beat)를 구성하는 다수의 파형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정렬하여, 기준 심전도와 상기 측정 심전도를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심전도를 구성하는 각 비트(beat)를 기본단위로 하여, 기준 심전도와 측정 심전도의 차이 정도를 시각화하여, 별도의 창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심전도 디스플레이 방법은, 기준 심전도와 측정 심전도를 입력받는 단계, 및 기준 심전도와 측정 심전도를 정렬한 후, 심전도를 구성하는 각 비트(beat)를 기본단위로 하여, 기준 심전도와 측정 심전도의 차이 정도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심전도 디스플레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기준 심전도와 측정 심전도를 정렬한 후 상호 중첩하여 표시하는 제1디스플레이창, 및 정렬된 기준 심전도와 측정 심전도의 차이 정도를, 심전도를 구성하는 각 비트(beat)를 기본단위로 하여 표시하는 제2디스플레이창을 포함할 수 있다.
정상 심전도 비트(beat) 및 비정상 심전도 비트(beat)를 검출하는데 있어 보다 간단한 알고리즘을 사용함으로써 연산시간이 줄어들고, 이에 따라 진단 시스템을 소형화,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화면상에 심전도 및 차이 정도를 함께 디스플레이함으로서, 비정상 심전도 여부를 의사가 육안으로 보다 쉽게 판독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다수의 비트(beat)를 단위로 차이정도를 표시하도록 하여 많은 양의 심전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으며, 비정상 비트(beat)에 순위를 매겨 표시함으로써 의사의 직관적으로 쉽게 볼 수 있도록 하여, 심전도의 판독시간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심전도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기준 심전도와 측정 심전도의 중첩 디스플레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복수의 비트(beat)를 기준으로 한, 기준 심전도와 측정 심전도의 중첩 디스플레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b는 단일 기준점을 사용한 정렬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복수의 기준점을 사용한 정렬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기준 심전도와 측정 심전도의 차이를 계산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양상에 따른 심전도 디스플레이를 위한 화면 구성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양상에 따른 심전도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양상에 따른 심전도 디스플레이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양상에 따른 심전도 디스플레이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심전도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심전도(electrocardiogram)는 심장 박동과 관련된 전위변화를 나타내는 전기적 그래프로, 일회의 심장 박동을 나타내는 단위를 비트(beat)(100)라고 한다. 따라서 심전도는 이러한 비트(beat)가 연속적으로 그려지는 그래프이다.
하나의 비트(beat)를 구성하는 파형을 보다 세부적으로 분석하면, 파형의 변위 변화를 기준으로 다수의 파(wave)로 구분할 수 있다. 즉, 심전도에서 하나의 비트(beat)는 P파(110), Q파(120), R파(130), S파(140) 및 T파(150)로 구분된다. 그리고 이들 파(wave)들은 각각 하나의 변곡점이 존재하는데, 이를 각 파의 정점(peak)이라고 한다. 각각의 파(wave)의 형태, 정점의 위치나 크기 정도 등을 분석하면 협심증, 심근경색, 부정맥 등의 각종 심장 질환의 존재 유무, 심각 정도 등을 알아낼 수 있다.
도 2는 기준 심전도와 측정 심전도의 중첩 디스플레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에서 기준 심전도(210)를 추출한다. 기준 심전도(210)는 측정된 심전도(220)의 이상 유무 및 이상시 그 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심전도이다. 기준 심전도의 일예로, 측정된 심전도(220)에서 가장 측정 빈도가 높은 파형을 갖는 비트(beat)를 통계적으로 추출한 것이 될 수 있고, 다른 예로는, max-min transform 분석을 이용하여 추출된 것이 될 수 있다. 통계적 분석법으로는 가우시안 분포(Gaussian distribution)를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정상 심전도는 숙련된 의사에 의해 직접 추출될 수도 있다.
그러나, 기준 심전도(2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측정된 본인의 심전도(220)에서 직접 추출할 수도 있으나, 별도의 표준 모델 또는 이상적인 심전도 데이터를 기초로 미리 만들어진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심전도 측정자와 동일 연령, 동일 성별의 건강한 사람을 대상으로 미리 얻어진 심전도를 기준 심전도로 설정함으로써, 측정 심전도에서의 이상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일예로는, 측정자와 동일한 심장질환을 가진 사람을 대상으로 미리 얻어진 심전도를 기준 심전도로 설정함으로써, 질병의 심각정도를 판단할 수도 있다.
기준 심전도(210)가 표시된 후, 이와 중첩하여 측정 심전도(220)를 함께 표시한다. 즉, 기준 심전도(210)와 측정 심전도(220)를 중첩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기준 심전도(210)와 중첩 심전도(220)의 차이정도를 매 비트(beat)마다 눈으로 확인하기에 용이하게 한다. 한편, 차이정도는 음영 표시 등을 통해 보다 분명하게 시각화할 수 있다.
한편 전처리 과정으로, 측정된 심전도(220)에서 기준선 변동(baseline wander)을 제거하는 단계를 미리 거칠 수 있다. 측정자의 심호흡이나 센서의 위치 변동으로 인하여 심전도의 기준선(baseline)이 측정시마다 다를 수 있으므로, 선형 단계 필터(linear phase filter) 또는 이산 웨이블렛 변환(discrete wavelet transform)을 이용하여 전체 심전도의 Y축 기준선을 동일하게 맞추어 기준선 변공을 제거할 수 있다.
도 3은 복수의 비트(beat)를 기준으로 한, 기준 심전도와 측정 심전도의 중첩 디스플레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하나의 비트(beat)를 단위로 하여 기준 심전도(210)와 측정 심전도(220)를 정렬, 중첩하여 표시할 수도 있으나, 다수의 비트(beat)를 단위로 정렬, 중첩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즉, 매 비트(beat)별로 심전도를 정렬하여 중첩 표시하는 대신 도 3에서는, 2개의 비트(beat)를 단위로 하여 기준 심전도(310)와 측정 심전도(320)를 정렬한 후 중첩하여 표시한다.
다시 말하면, 제1비트(330)와 제2비트(340) 각각에서, 기준 심전도(310)와 측정 심전도(320)를 정렬하지 않고, 두개의 비트(330, 340)를 하나의 단위로 하여 정렬한다. 이렇게 다수의 비트를 기준으로 정렬, 중첩하여 표시하면, 예를 들어 제1비트(330)와 제2비트(340)에서 기준 심전도(310)의 R파 정점(peak)들간의 간격(350)과, 측정 심전도(320)의 R파 정점(peak)들간의 간격(360)을 비교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나의 비트(beat)를 기준으로 비교하였을 때 확인하기 어려운, 측정 심전도의 다른 특성을 파악할 수도 있다.
한편, 기준 심전도와 측정 심전도를 정렬, 중첩하여 표시할 때 정렬의 기준이 되는 기준점을 설정하는 여러가지 방법이 존재할 수 있는데, 이하 도 4a, 4b 및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b는 단일 기준점을 사용한 정렬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매 비트(beat)마다 정렬하여 중첩 표시하는데 있어, 각 비트(beat)에서 하나의 기준점을 사용할 수 있다. 일예로 도 4a에서는 R파의 정점(peak)을 기준점으로 정렬하여 기준 심전도(410)와 측정 심전도(420)를 중첩하여 표시한 것이며, 도 4b에서는 P파의 정점(peak)을 기준점으로 하여 기준 심전도(410)와 측정 심전도(420)를 중첩하여 표시한 것이다.
한편 R파의 정점(peak), P파의 정점(peak)을 기준점으로 한 일예를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Q파, S파, T파의 정점뿐만 아니라, 비트(beat)의 시작점 또는 종료점을 기준점으로 하여 정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매 비트(beat)마다 정렬의 기준점이 정해지면 하나의 비트(beat)내에서는 이 기준점을 가지고 측정 심전도(420)를 시간축상으로 늘리거나 압축하여, 매 비트(beat)의 각 기준점에서 기준 심전도(410)와 측정 심전도(420)가 정렬되도록 한다. 시간축상으로 늘리거나 압축시에는 보간법(interpolation)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측정 심전도(420)를 시간축상으로 늘리거나 압축하는 대신 기준 심전도(410)를 시간축상으로 늘리거나 압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복수의 기준점을 사용한 정렬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매 비트(beat)마다 하나의 기준점을 사용한 도 4a 및 도 4b의 실시예와는 달리,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비트(beat)에서 복수개의 기준점(530, 540)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P파 정점(530)과 T파 정점(540)을 모두 기준점으로 사용하면, 하나의 기준점을 사용하여 정렬하는 경우보다 두개의 심전도(510, 520)를 보다 근사적으로 중첩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비트(beat)의 시작점 또는 종료점을 기준으로 정렬, 중첩하며 표시하면 방실전도차단, 빈맥, 서맥, 심방세동 등 각 파형의 구간정보를 통해 알 수 있는 부정맥을 판단하는데 유용하다. 그리고 각 파의 정점(peak)을 기준점으로 정렬, 중첩하여 표시하면, 조기심실수축이나 조기심방수축과 같이 각 파형의 모양정보를 통해 알 수 있는 부정맥을 판단하는데 유용하다.
도 6은 기준 심전도와 측정 심전도의 차이를 계산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기준 심전도(610)와 측정 심전도(620)를 전술한 바와 같이 정렬하여 중첩하여 표시한 후, 두 심전도(610, 620)의 차이 정도를 하나의 비트(beat)내에서 계산한다. 예를 들어 j번째 비트(beat)에서의 시작점이 Sj 종료점이 Cj라고 하고 차이를 계산할 샘플링 포인트를 Sk라고 하면, Sk에서 기준 심전도(610)의 값은 esk가 되고 측정 심전도(620)의 값은 en sk가 된다. 그러면, j번째 비트(beat)내에서의 기준 심전도(610)와 측정 심전도(620)의 차이 정도 Dj는 다음 수학식 1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11086387165-pat00001
한편, 차이 정도의 계산시 전술한 정렬 기준에 따라 그 시작점과 종료점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비트(beat)에서 차이 정도를 계산하는 경우에는 비트의 시작점과 종료점이 기준이 되나,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비트(beat)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에는 해당 비트(beat)의 묶음의 시작점과 종료점이 기준이 된다.
매 비트(beat)마다 이렇게 두 심전도(610, 620)의 차이정도를 계산하거나, 다수의 비트(beat)를 마다 계산된 차이정도를, 심전도 중첩 표시와 별도의 창에 나타낼 수 있다. 이때, 매 비트(beat)마다의 차이정도를 표시할 수도 있고, 여러개의 비트(beat)를 단위로 하여 차이정도를 표시할 수도 있다. 즉, 분석할 심전도 데이터가 많은 경우에 비트(beat)단위로 표시하면 표시되는 차이정도도 방대해지므로,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그 단위를 달리하여 분석 데이터를 시간에 대해 압축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계산된 차이정도를 표시하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이와 같이 계산된 차이 정도를 기술적으로는 유클리디언 거리(euclidian distance)라고 표현할 수 있는데, 전술한 예에서와 같이 1차원적으로 계산하여 얻어진 결과를 L1 distance라고 한다. 한편, 정렬의 방법에 따라서는 2차원 및 3차원적으로 계산하여 L2 distance 및 L3 distance를 계산하여 얻을 수도 있다.
또한, 차이정도를 그래프로 나타냄과 동시에 각 계산단위별로 얻어진 값의 순위를 매겨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순위의 계산은 한 화면에 나타내는 차이값에서의 순위일 수도 있고, 분석하고자 하는 전체 심전도 범위내에서의 순위일 수도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임의의 범위내에서의 순위일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양상에 따른 심전도 디스플레이를 위한 화면 구성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심전도 디스플레이 화면은 제1디스플레이창(710)과 제2디스플레이창(720)을 포함하며, 선택창(7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디스플레이창(7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기준 심전도와 측정 심전도가 중첩된 그래프를 표시한다. 그리고 제2디스플레이창(720)은 기준 심전도와 측정 심전도의 차이 정도를 표시한다. 차이 정도의 계산은 일예로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계산될 수 있으며, 그 값을 표시하는 방법은 매 비트(beat)별 막대 그래프, 다수의 비트(beat)를 단위로 한 막대 그래프 등이 가장 보편적일 수 있으나, 파이 그래프, 꺽은 선 그래프 등 여러가지 형태가 모두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차이정도를 계산하는 단위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제1디스플레이창(710)을 통해 보여지는 심전도의 비교 그래프를 시간축상으로 압축하여 제2디스플레이창(72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선택창(730)은 제1디스플레이창(710) 또는 제2디스플레이창(720)에 표시될 그래프의 설정사항을 사용자에 의해 입력받는 창으로, 정렬기준의 설정, 차이정도의 계산단위 설정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양상에 따른 심전도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예로 5 비트(beat)의 심전도 중첩 그래프를 왼쪽 디스플레이창을 통해 디스플레이되었으며, 그 5 비트(beat)를 단위로 계산된 차이정도가 시각화되어 오른쪽 디스플레이창을 통해 디스플레이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중첩시 정렬 기준 설정과 차이정도의 계산단위 설정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비트(beat)의 시작과 종료 지점을 기준점으로 하여 정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외에, 중첩 그래프에서 차이 면적 표시의 온/오프, 평균 심박수(heart rate, HR) 그리고,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구간내에서의 차이값 순위를 추가적으로 더 표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순위를 표시함으로써 비정상 비트(beat)를 보다 쉽게 구분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양상에 따른 심전도 디스플레이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측정 심전도 데이터를 입력받는다(910). 그리고 측정 심전도에서 기준 심전도를 추출한다(920). 한편 기준 심전도는 측정 심전도에서 통계학적 방법에 의해 추출될 수도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별도로 입력될 수도 있다.
기준 심전도를 디스플레이한다(930). 이때 기준 심전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930)는 필수적인 단계는 아니므로 생략될 수도 있다. 그리고, 측정 심전도를 기준 심전도와 중첩하여 디스플레이한다(940). 측정 심전도를 표시하는데 있어 전술한 바와 같이 여러가지 기준에 의해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예로, 심전도에서 하나의 비트(beat)를 구성하는 다수의 파형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다수를 기준으로 정렬하여, 기준 심전도와 측정 심전도를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이 파형들은 P파, Q파, R파, S파, T파로 구성되며, P파, Q파, R파, S파, T파의 정점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다수를 기준점으로 정렬할 수 있다. 즉 기준점은 하나 또는 복수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정렬시의 기준점을 가지고 기준 심전도 또는 측정 심전도를 시간축상으로 늘리거나 압축함으로써, 매 비트(beat)마다 기준점이 일치되도록 정렬한 후, 기준 심전도와 측정 심전도를 중첩하거나, 매 비트(beat)가 아닌 다수의 비트(beat)를 기준으로 기준점이 일치되도록 정렬한 후, 기준 심전도와 측정 심전도를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이렇게 중첩된 부분의 그 정도를 별도로 시각화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심전도를 구성하는 각 비트(beat)를 기본단위로 하여, 기준 심전도와 상기 측정 심전도의 차이 정도를 시각화하여, 별도의 창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비트(beat)를 기본 단위로 하지 않고, 다수의 비트(beat)를 묶어 계산된 차이 정도를, 시각화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계산된 차이 정도에, 기준 범위내에서 매긴 순위를 선택적으로 더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양상에 따른 심전도 디스플레이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기준 심전도와 측정 심전도를 입력받는다(1010). 그리고, 기준 심전도와 측정 심전도를 정렬한 후, 심전도를 구성하는 각 비트(beat)를 기본단위로 하여, 기준 심전도와 측정 심전도의 차이 정도를 표시한다(1020). 차이 정도의 표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심전도에서 하나의 비트(beat)를 구성하는 다수의 파형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정렬하여 표시할 수도 있고, 다수의 비트(beat)를 묶어 계산된 차이 정도를, 시각화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계산된 차이 정도에, 기준 범위내에서 매긴 순위를 추가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나아가 전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할 것이다.

Claims (18)

  1. 기준 심전도를 표시하는 단계; 및
    측정 심전도를 상기 기준 심전도와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 심전도를 상기 기준 심전도와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2개의 비트(beat)가 연속적으로 표시되면, 기준 심전도 및 측정 심전도를 제2 비트에서 정렬하지 않고, 제1 비트에서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심전도 디스플레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심전도에서 하나의 비트(beat)를 구성하는 다수의 파형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정렬하여, 상기 기준 심전도와 상기 측정 심전도를 중첩하여 표시하는 심전도 디스플레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비트는 P파, Q파, R파, S파 및 T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P파, Q파, R파, S파 및 T파의 피크점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점으로 정렬하는 심전도 디스플레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시의 기준점을 가지고 상기 기준 심전도 또는 상기 측정 심전도를 시간축상으로 늘리거나 압축함으로써, 매 비트(beat)마다 상기 기준점이 일치되도록 정렬한 후, 상기 기준 심전도와 상기 측정 심전도를 중첩하여 표시하는 심전도 디스플레이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시의 기준점을 가지고 상기 기준 심전도 또는 상기 측정 심전도를 시간축상으로 늘리거나 압축하되, 매 비트(beat)가 아닌 다수의 비트(beat)를 기준으로 상기 기준점이 일치되도록 정렬한 후, 상기 기준 심전도와 상기 측정 심전도를 중첩하여 표시하는 심전도 디스플레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심전도는 상기 측정 심전도를 기초로 통계학적 방법에 의해 추출되거나, 소정의 표준 모델에서 얻어진 임의의 기준 심전도인 심전도 디스플레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된 부분을 시각화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심전도 디스플레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심전도를 구성하는 각 비트(beat)를 기본단위로 하여, 상기 기준 심전도와 상기 측정 심전도의 차이 정도를 시각화하여, 별도의 창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심전도 디스플레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다수의 비트(beat)를 묶어 계산된 기준 심전도와 측정 심전도의 차이 정도를, 시각화하여 표시하는 심전도 디스플레이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된 차이 정도에, 기준 범위내에서 순위를 매겨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심전도 디스플레이 방법.
  11. 기준 심전도와 측정 심전도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기준 심전도와 측정 심전도를 정렬하는 단계; 및
    심전도를 구성하는 각 비트(beat)를 기본단위로 하여, 상기 기준 심전도와 측정 심전도의 차이 정도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 심전도와 측정 심전도를 정렬하는 단계는,
    2개의 비트(beat)가 연속적으로 표시되면, 기준 심전도 및 측정 심전도를 제2 비트에서 정렬하지 않고, 제1 비트에서 정렬하는 심전도 디스플레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심전도에서 하나의 비트(beat)를 구성하는 다수의 파형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정렬하는 심전도 디스플레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다수의 비트(beat)를 묶어 계산된 기준 심전도와 측정 심전도의 차이 정도를, 시각화하여 표시하는 심전도 디스플레이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된 차이 정도에, 기준 범위내에서 순위를 매겨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심전도 디스플레이 방법.
  15. 기준 심전도와 측정 심전도를 정렬한 후 상호 중첩하여 표시하는 제1디스플레이창; 및
    상기 정렬된 기준 심전도와 측정 심전도의 차이 정도를, 심전도를 구성하는 각 비트(beat)를 기본단위로 하여 표시하는 제2디스플레이창을 포함하고,
    2개의 비트(beat)가 연속적으로 표시되면, 기준 심전도 및 측정 심전도를 제2 비트에서 정렬하지 않고, 제1 비트에서 정렬하는 심전도 디스플레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심전도에서 하나의 비트(beat)를 구성하는 다수의 파형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정렬하는 심전도 디스플레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다수의 비트(beat)를 묶어 계산된 기준 심전도와 측정 심전도의 차이 정도를, 시각화하여 표시하는 심전도 디스플레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정렬 기준 또는 상기 차이 정도의 표시에 관한 설정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선택창을 더 포함하는 심전도 디스플레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KR1020110113531A 2011-11-02 2011-11-02 심전도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KR101892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531A KR101892176B1 (ko) 2011-11-02 2011-11-02 심전도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US13/454,634 US9839369B2 (en) 2011-11-02 2012-04-24 Method and user interface device for displaying electrocardiogram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531A KR101892176B1 (ko) 2011-11-02 2011-11-02 심전도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8596A KR20130048596A (ko) 2013-05-10
KR101892176B1 true KR101892176B1 (ko) 2018-08-28

Family

ID=48173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3531A KR101892176B1 (ko) 2011-11-02 2011-11-02 심전도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839369B2 (ko)
KR (1) KR1018921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8948A (ko) 2022-08-25 2024-03-05 주식회사 메디컬에이아이 심전도 분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17377A1 (en) * 2012-05-23 2013-11-28 University Of Washington Through Its Center For Commercialization Generative Model-Driven Resource-Efficient Monitoring in Body Sensor Networks
US20140276161A1 (en) * 2013-03-15 2014-09-18 GestlnTim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periodic signals generated by a medical device
US20150173638A1 (en) * 2013-12-23 2015-06-25 Cerner Innovation, Inc. Direct comparison of multiple healthcare waves
US9498147B2 (en) * 2014-01-30 2016-11-22 Biosense Webster (Israel) Ltd. Enhanced ECG chart presentation
US9681818B2 (en) * 2014-12-16 2017-06-20 Biosense Webster (Israel) Ltd. Detection and display of irregular periodic waveforms
CN104866579A (zh) * 2015-05-26 2015-08-26 北京海思敏医疗技术有限公司 动态心电图图形数据处理方法、客户端和服务器
USD836116S1 (en) 2016-11-04 2018-12-18 Icentia Inc. Display screen portio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A3000943C (en) * 2016-11-04 2023-01-03 Icentia Inc. Computer-implemented method of handling electrocardiogram data
CN109431487B (zh) * 2018-09-28 2021-11-16 上海乐普云智科技股份有限公司 心电图动态实时分析数据中室性心搏典型数据的识别方法
CN114569077B (zh) * 2022-02-28 2023-03-24 深圳市医未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移动终端的心肌梗死检测系统及方法
WO2023188981A1 (ja) * 2022-03-29 2023-10-05 東レ株式会社 心電信号解析システ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56908A1 (en) 2007-12-14 2009-06-18 Transoma Medical, Inc. Deriving Patient Activity Information from Sensed Body Electrical Information
US20100049067A1 (en) * 2008-08-21 2010-02-25 Mr Holdings (Hk) Ltd. Systems and methods for quantifying and providing indicia of st-segment resolution in an ecg signa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56908A1 (en) 2007-12-14 2009-06-18 Transoma Medical, Inc. Deriving Patient Activity Information from Sensed Body Electrical Information
US20100049067A1 (en) * 2008-08-21 2010-02-25 Mr Holdings (Hk) Ltd. Systems and methods for quantifying and providing indicia of st-segment resolution in an ecg sign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8948A (ko) 2022-08-25 2024-03-05 주식회사 메디컬에이아이 심전도 분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09988A1 (en) 2013-05-02
KR20130048596A (ko) 2013-05-10
US9839369B2 (en) 201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2176B1 (ko) 심전도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US11147500B2 (en) Electrocardiogram processing system for delineation and classification
CN107072545B (zh) 用于快速诊断的心电图数据分析方法和系统
TWI461177B (zh) 透過週期性信號分析檢測實體物件異常運作之系統、方法及其電腦可讀取儲存媒體
JP6339677B2 (ja) 長期生理的信号品質インジケーションに関する方法及びディスプレイ
EP174693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sis of high frequency qrs complexes
US8024030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an electrocardiogram signal
US20100217144A1 (en) Diagnostic and predictive system and methodology using multiple parameter electrocardiography superscores
US8825148B2 (en) System for monitoring and diagnosis of cardiac electrogram signals using multi-dimensional analysis
US10791952B2 (en) Electrocardiogram device and methods
JP5413869B2 (ja) 心電図自動解析装置および心電図自動解析プログラム
Li et al. Electrocardiomatrix: A new method for beat-by-beat visualization and inspection of cardiac signals
Heo et al. A novel method for detecting ST segmen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on a 12-lead electrocardiogram with a three-dimensional display
CN103919546B (zh) Twa测定装置和twa测定方法
KR102387703B1 (ko) 심전도 판독을 수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672464B2 (en) Electrocardiogram processing system for delineation and classification
CN113543710A (zh) 心房颤动解析装置、心房颤动解析方法以及程序
JP2004523250A (ja) 心拍数のばらつきを測定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130035604A1 (en) Frequency Analysis of 12-Lead Cardiac Electrical Signals to Detect and Identify Cardiac Abnormalities
Hori et al. Arrhythmia detection based on patient-specific normal ECGs using deep learning
EP2636363A2 (en) TWA measuring apparatus and TWA measuring method
Jovic et al. Biomedical time series preprocessing and expert-system based feature extraction in MULTISAB platform
US20160183826A1 (en) System and method of serial comparison of 12-lead electrocardiogram (ecg) during episode-of-care
Chouvarda et al. Time-domain analysis of the electrocardiogram
US2023027710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sual tracing of abnormality in diagnostic and monitoring clinical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