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1559B1 - Management system for parking space having control unit of car parking - Google Patents

Management system for parking space having control unit of car park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1559B1
KR101891559B1 KR1020160092380A KR20160092380A KR101891559B1 KR 101891559 B1 KR101891559 B1 KR 101891559B1 KR 1020160092380 A KR1020160092380 A KR 1020160092380A KR 20160092380 A KR20160092380 A KR 20160092380A KR 101891559 B1 KR101891559 B1 KR 101891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parking space
app server
payment
spa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23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10395A (en
Inventor
배계윤
Original Assignee
배계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계윤 filed Critical 배계윤
Priority to KR1020160092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559B1/en
Publication of KR20180010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03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5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08G1/14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on portable or mobile units,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06Q50/40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6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by counting the vehicles in a section of the road or in a parking area, i.e. comparing incoming count with outgoing cou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9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coupled to means for restricting the access to the parking space, e.g. authorization, access barriers, indicative ligh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51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 소유 또는 점유 주차 공간을 타인에게 유상 임대할 수 있도록 하는 입출차 제어 유닛을 구비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주차구역과 임대가능시간 그리고 주차요금을 포함하는 주차공간정보를 저장하고, 주차요청메시지 수신시 주차공간정보목록을 제공하며, 상기 주차구역 사용에 대한 결제요금을 산출하여 결제를 요청하는 앱서버와; 상기 앱서버로 주차요청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앱서버로부터 상기 주차공간정보목록을 수신받아 출력하며, 상기 앱서버로부터 결제를 요청받아 결제과정을 수행하는 이용자 단말기; 그리고 주차구역에 설치되어, 입차 감지시 차폐구동하고 상기 앱서버로부터 개폐구동신호 수신 시 개폐구동하는 입출차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산재한 다수 개의 주차구역에서 이용자가 원하는 조건의 주차구역을 제공할 수 있고, 별도의 관리요원 없이도 이용자 차량의 입차, 출차, 정산 등을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having an entrance / exit control unit for renting a privately owned or occupied parking space to another person. The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stores parking space information including a parking space, An app server for providing a parking space information list upon receiving a parking request message, calculating a payment fee for using the parking space, and requesting payment; A user terminal for transmitting a parking request message to the app server, receiving and outputting the parking space information list from the app server, requesting payment from the app server and performing a payment process; And an input / output control unit installed in the parking area to drive the vehicle in a shielded state when the entrance is sensed and to receive the open / close drive signal from the app server, and to provide a parking zone of a desired condition in a plurality of scattered parking areas And it is possible to handle entry, departure, settlement, etc. of the user's vehicle without a separate management agent.

Description

입출차 제어 유닛을 구비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 MANAGEMENT SYSTEM FOR PARKING SPACE HAVING CONTROL UNIT OF CAR PARKING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king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개인 소유 또는 점유 주차 공간을 타인에게 유상 대여할 수 있도록 하는 입출차 제어 유닛을 구비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having an entrance / exit control unit for renting a privately owned or occupied parking space to another person.

최근, 도심 지역의 차량 밀집도가 높아져 주차 공간이 차량을 모두 수용하지 못함에 따라 주차난이 증가하고 있다. Recently, parking density has increased as the density of vehicles in urban areas has increased and parking spaces can not accommodate all of the vehicles.

구체적으로, 통상적인 주차 공간은 공용 주차 공간과 전용 주차 공간으로 구분된다.Specifically, a typical parking space is divided into a public parking space and a private parking space.

여기서, 상기 전용 주차 공간은 특정 차량이 전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주차 공간을 말하며, 대표적인 예로 거주자 우선 주차장을 들 수 있다.Here, the private parking space refers to a parking space configured to be used by a specific vehicle, and a typical example is a resident priority parking lot.

이러한 상기 전용 주차 공간을 소유주가 사용하지 않는 경우, 이를 활용하면 주차난 해소 및 부가 수익 창출을 할 수 있어, 유럽 등의 선진국에서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상기 전용 주차 공간을 활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If the owner does not use the private parking space, he / she can use the private parking space in various ways in developed countries such as Europe.

일 예로, 종래기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109529호에는 거주자 우선주차장 또는 개인 소유의 주차장 등이 비어있는 시간 동안 상기 비워져 있는 주차장을 공유할 수 있도록 상주 관리자 없이 온라인으로 운영·관리하여 도심지 주차난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주차장 온라인 관리 장치와 주차 관리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주차장 온라인 운영 시스템과 상기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For example, Korean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07-0109529 discloses a parking lot for a resident or a private parking lot, which is operated and managed on-line without a resident manager so that the parking lot can be shared during an empty time, A parking lot on-line management device, a parking management device, a method thereof, a parking lot online operating system using the same,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realizing the method is recorded has been disclosed .

그러나 종래기술에서는 지정 차량이 주차하지 않는 시간을 지정하지 않으므로, 일반 차량이 주차가능 시간 기한을 알 수 없어, 출차 요청 연락이 오면 출차를 하러 주차 구역으로 가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technology, since the designated vehicle does not specify the time when the parking is not performed, the ordinary vehicle can not know the parking allowance time limit, and there is an inconvenience to go to the parking area in order to get out of the vehicle when the arrival request is received.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주차구역에서 차주가 주차요금을 결제하지 않고 출차하는 경우, 차주에게 주차요금 결제를 강제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주차요금을 징수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in that, when the borrower departs from the parking area without paying the parking fee, the borrower may not be able to collect the parking fee because there is no means for imposing the parking fee.

(00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109529호(00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10952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산재한 다수 개의 주차구역에서 이용자가 원하는 조건의 주차구역을 제공할 수 있고, 별도의 관리요원 없이도 이용자 차량의 입차, 출차, 정산 등을 처리할 수 있는 입출차 제어 유닛을 구비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arking zone of a desired condition in a plurality of scattered parking areas, And a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which is capable of processing settlement and the like.

그리고 본 발명은 이용자에게 임대조건의 준수를 강제하기 위해, 주차요금을 결제하지 않으면 출차가 불가능한 입출차 제어 유닛을 구비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provided with an input / output control unit which can not exit without paying a parking fee in order to force a user to adhere to rental condition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주차구역과 임대가능시간 그리고 주차요금을 포함하는 주차공간정보를 저장하고, 주차요청메시지 수신시 주차공간정보목록을 제공하며, 상기 주차구역 사용에 대한 결제요금을 산출하여 결제를 요청하는 앱서버와; 상기 앱서버로 주차요청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앱서버로부터 상기 주차공간정보목록을 수신받아 출력하며, 상기 앱서버로부터 결제를 요청받아 결제과정을 수행하는 이용자 단말기; 그리고 주차구역에 설치되어, 입차 감지시 차폐구동하고 상기 앱서버로부터 개폐구동신호 수신 시 개폐구동하는 입출차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arking space management method including storing parking space information including a parking space, a leaseable time, and a parking charge, providing a parking space information list upon receiving a parking request message, An app server for calculating a payment fee for using the parking zone and requesting payment; A user terminal for transmitting a parking request message to the app server, receiving and outputting the parking space information list from the app server, requesting payment from the app server and performing a payment process; And an input / output control unit which is installed in the parking area and which is driven to be shielded when detecting an entrance, and is opened and closed when receiving an opening / closing drive signal from the app server.

여기서, 상기 주차공간정보는, 상기 주차구역 소유주로부터 소유주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어 상기 앱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Here, the parking space information may be input from the owner of the parking zone through the owner terminal and transmitted to the app server.

그리고 상기 앱서버는, 상기 소유주 단말기 및 이용자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과; 상기 주차요청메시지에 포함된 임대요청시간에 따른 주차공간정보목록을 생성하고, 주차시간과 상기 소유주로부터 수신된 주차요금에 따라 결제금액을 산출하는 제어모듈; 그리고 상기 주차공간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주차공간정보DB와, 주차요금을 포함하는 결제내역을 저장하는 결제정보DB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app server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owner terminal and the user terminal; A control module for generating a parking space information list according to the rental request time included in the parking request message, and calculating a payment amount according to the parking time and the parking fee received from the owner; And a database including a parking space information DB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parking space information and a payment information DB for storing payment details including a parking fee.

또한, 상기 앱서버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임대요청시간이 포함된 주차요청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주차공간정보DB에 저장된 임대가능시간과 상기 임대요청시간을 비교하여 주차가능구역을 산출한 후, 상기 주차가능구역을 주차공간정보DB에 저장된 주차금액에 따라 정렬하여 주차공간정보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The app server receives the parking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rental request time from the user terminal, compares the available time stored in the parking space information DB with the rental request time, The parking space information list can be generated by sorting the parking available area according to the parking amount stored in the parking space information DB.

이때, 상기 앱서버는, 상기 주차공간정보목록을 정렬함에 있어, 출입구로부터 주차구역까지의 거리를 정렬 요소로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pplication server may include, as an alignment element, a distance from the entrance to the parking space in sorting the parking space information list.

한편, 상기 입출차제어유닛은, 상기 주차구역의 일측 접지구역에 설치되는 제1입출차제어유닛과; 양측 접지구역 사이의 내측 공간에 설치되는 제2입출차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접지구역은, 주차구역의 양측에 종방향으로 설정된 영역으로, 상기 주차구역의 양 측면으로부터 이격거리만큼 이격되고, 접지폭을 갖는 영역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 / O control unit includes: a first I / O control unit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parking zone; And a second input / output control unit installed in an inner space between the two grounding zones, wherein: the grounding zone is an area se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parking zone, and spaced apart from both sides of the parking zone And may be a region having a ground width.

여기서, 상기 이격거리는, 0.05x≤k≤0.15x이고; 상기 x는 주차구역의 폭길이이며, 상기 k는 이격거리일 수 있다.Here, the spacing distance is 0.05x? K? 0.15x; X is the width of the parking zone, and k is the separation distance.

또한, 상기 접지폭은, 0.09x≤j≤0.1x이고; 상기 x는 주차구역의 폭길이이며, 상기 j는 접지폭일 수 있다.Further, the grounding width is 0.09x? J? 0.1x; X is the width of the parking zone, and j is the grounding width.

한편, 상기 이격거리는, 115≤k≤345이고; 상기 x는 주차구역의 폭길이이며, 상기 k는 이격거리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paration distance is 115? K? X is the width of the parking zone, and k is the separation distance.

그리고 상기 접지폭은, 200≤j≤250이고; 상기 x는 주차구역의 폭길이이며, 상기 j는 접지폭일 수 있다.And the grounding width is 200? J? 250; X is the width of the parking zone, and j is the grounding width.

또한, 상기 제1입출차제어유닛은, 상기 주차구역의 일면에 벽채가 형성된 경우, 상기 벽채 기준의 외측 접지구역에 설치될 수 있다.Further, the first I / O control unit may be installed in the outer ground zone of the wall base when the wall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parking zone.

한편, 상기 앱서버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출차요청메시지 수신 시 주차시간과 상기 주차구역의 주차요금에 따라 결제금액을 산출하고,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 상기 결제금액이 포함된 결제요청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pp server calculates a payment amount according to the parking time and the parking fee of the parking space when receiving an outgoing request message from the user terminal, and transmits the payment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payment amount to the user terminal have.

그리고 상기 이용자 단말기의 결제는, 모바일페이, 카드결제 또는 계좌이체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The settlement of the user terminal may be performed through any one of mobile payment, card settlement, and account transfer.

한편, 상기 입출차제어유닛은, 입차 감지 또는 개폐구동신호 수신시 구동되는 승하강펌프와; 상기 승하강펌프에 의해 구동샤프트들을 이동시키는 연결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닥판; 그리고 상기 구동샤프트에 연결되어 이동되는 제1승강익과 제2승강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승강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includes: an up / down pump driven when an entrance detection or opening / closing drive signal is received; A bottom plate including a connecting rod for moving the driving shafts by the up-down pump; And a first lift elevation and a second elevation lift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이때, 상기 제1승강익과 제2승강익은, 일측이 힌지 연결되고, 타측이 상면으로부터 하면으로 갈수록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ascending and descending ripe hinges may be hing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may have an inclined surface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입출차 제어 유닛을 구비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the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provided with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즉, 본 발명은 산재한 다수 개의 주차구역에서 이용자가 원하는 조건의 주차구역을 제공할 수 있고, 별도의 관리요원 없이도 이용자 차량의 입차, 출차, 정산 등을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providing a parking zone of a desired condition in a plurality of scattered parking areas, and it is possible to process entrance, departure, settlement, and the like of a user vehicle without requiring a separate management staff.

그리고 본 발명은 주차요금을 결제하지 않으면 출차가 불가능하여 이용자에게 임대조건의 준수를 강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it is impossible to leave the vehicle without paying the parking fee, and the user can be forced to adhere to the rental condi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입출차 제어 유닛을 구비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입출차제어유닛을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입출차제어유닛의 설치 위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입출차 제어 유닛을 구비한 주차장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having an input / output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n input / output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position of an I / O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showing a parking lot management method provided with an input / output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입출차 제어 유닛을 구비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을 살펴보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having an input / output control unit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입출차 제어 유닛을 구비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having an input / output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입출차 제어 유닛을 구비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은 소유주 단말기(100), 앱서버(200), 이용자 단말기(300) 그리고 입출차제어유닛(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having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owner terminal 100, the application server 200, the user terminal 300, and the entrance / exit control unit 400 do.

먼저, 상기 소유주 단말기(100)는 주차 공간을 임대하는 사람의 단말기로, 주차공간정보를 상기 앱서버(200)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First, the owner terminal 100 provides parking space information to the app server 200 as a terminal of a person renting a parking space.

여기서, 상기 주차공간정보는 주차구역, 임대가능시간 및 주차요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Here, the parking space information includes a parking space, a leaseable time, and a parking fee.

한편, 상기 앱서버(200)는 상기 소유주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주차공간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고, 상기 이용자 단말기(300)에 주차공간정보목록을 제공하며, 주차요금을 산출하여 상기 이용자 단말기(300)에 결제를 요청하고, 상기 입출차제어유닛(400)에 개폐구동신호를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Meanwhile, the app server 200 receives and stores the parking space information from the owner terminal 100, provides a parking space information list to the user terminal 300, calculates a parking fee, 300, and transmits an opening / closing drive signal to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400. [

이를 위해, 상기 앱서버(200)는 통신모듈(210), 제어모듈(220) 그리고 데이터베이스(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o this end, the application server 200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210, a control module 220, and a database 230.

먼저, 상기 통신모듈(210)은 상기 소유주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주차공간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이용자 단말기(300)에 주차공간정보목록 및 결제요청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입출차제어유닛(400)으로부터 입차정보 및 출차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입출차제어유닛(400)에 개폐구동신호를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First, the communication module 210 receives the parking space information from the owner terminal 100, transmits a parking space information list and a payment request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300, and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400 And outputs the opening / closing drive signal to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400. The input /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220)은 상기 주차공간정보목록을 생성하고, 주차 시간과 주차요금에 따라 결제 금액을 산출하며, 상기 이용자 단말기(300)로부터 결제가 되었는지 확인하는 역할을 한다.The control module 220 generates the parking space information list, calculates the payment amount according to the parking time and the parking fee, and confirms whether the user terminal 300 has made a payment.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230)는 상기 소유주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받은 주차공간정보와 상기 이용자 단말기(300)가 주차요금을 결제한 결제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주차공간정보DB(232)와 결제정보DB(2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database 230 stores the parking spa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owner terminal 100 and the payment information for which the user terminal 300 has paid the parking fee. For this purpose, the parking space information DB 232 And a payment information DB 234.

여기서, 상기 주차공간정보DB(232)에는 주차구역, 임대가능시간 및 주차금액이 포함되어 저장되고, 상기 결제정보DB(234)에는 이용자 단말기(300)정보, 입출차제어유닛(400)정보 및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결제내역이 저장될 수 있다.The parking space information DB 232 stores the parking space, the leasable time, and the parking amount. The payment information DB 234 stores information on the user terminal 300, information on the entrance / exit control unit 400, The payment history including the payment amount may be stored.

한편, 상기 이용자 단말기(300)는 주차 공간 사용을 요청하는 사람의 단말기로, 임대요청시간을 입력받아 상기 앱서버(200)로 주차요청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앱서버(200)로부터 주차공간정보목록을 수신받아 출력하며, 출차요청을 입력받아 상기 앱서버(200)로 출차요청메시지를 송신한 후, 상기 앱서버(200)로부터 결제요청메시지를 수신받아 결제를 진행하는 역할을 한다.Meanwhile, the user terminal 300 receives the rental request time from the terminal of the person requesting the use of the parking space, transmits a parking request message to the application server 200, receives the parking space information from the application server 200, Receives an outgoing request, transmits an outgoing request message to the app server 200, and receives a payment request message from the app server 200 to proceed with settlement.

또한, 상기 입출차제어유닛(400)은 주차구역에서 차량의 존재 여부를 인식하여, 입차 및 출차 정보를 상기 앱서버(200)로 전송하고, 이에 따라, 차량의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In addition,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400 recognizes the presence of a vehicle in the parking zone, transmits the entrance and exit information to the app server 200, and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vehicle.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출차제어유닛(400)은 바닥판(410), 승강익(420) 및 구동모듈(4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2,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400 includes a bottom plate 410, a lift wing 420, and a drive module 430. [

먼저, 상기 바닥판(410)은 상기 입출차제어유닛(400)을 주차구역 바닥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First, the bottom plate 410 serves to fix the I / O control unit 400 to the floor of the parking area.

예를 들어, 상기 바닥판은 상기 바닥판을 관통한 볼트에 의해 콘크리트 또는 아스팔트로 구성되는 주차구역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bottom plate may be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arking zone, which is made of concrete or asphalt, by means of bolts penetrating the bottom plate.

그리고 상기 승강익(420)은 차폐구동시 승강하여 주차 차량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승강익(420)은 제1승강익(422)과 제2승강익(4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ascending wing 420 is configured to ascend and descend during the shielding driving to prevent movement of the parked vehicle. The ascending wing 420 includes a first ascending wing 422 and a second ascending wing 424 .

구체적으로, 상기 제1승강익(422)과 제2승강익(424)은 일측이 상기 바닥판(410)의 한 지점에서 힌지 연결되어, 타측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승하강되도록 구성된다.Specifically, one side of the first lift wing 422 and the second lift wing 424 are hinged at one point of the bottom plate 410, and the other side is rotated about the hinge to move up and down .

이때, 상기 제1승강익 및 제2승강익의 힌지 타측 단부는 날카롭게 형성되어 임의로 이동하려는 차량(타이어)에 손상을 유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ther end of the hinge of the first lift-up wing and the second lift wing may be formed to be sharp so as to cause damage to the vehicle (tire) to be arbitrarily moved.

이에, 상기 제1승강익(422)과 제2승강익(424)의 단부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ends of the first lift wing 422 and the second lift wing 424 may have inclined surfaces.

여기서, 상기 경사면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상면으로부터 외측 하면으로 갈수록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승강익(420)이 하강되었을 때, 차량에 손상이 유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2,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in an inclined direction from the inner upper surface toward the outer lower surface so that damage to the vehicle is not caused when the ascending wing 420 is lowered.

이를 통해, 상기 승강익(420)이 승강하였을 때, 주차요금 결제를 하지 않고 이동하려는 차량의 타이어에 손상을 가하면서도, 상기 승강익(420)이 하강하였을 때 이동하는 차량의 타이어는 손상이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us, when the ascending wing 420 ascends and descends, the tires of the moving vehicle are not damaged when the ascending wing 420 descends, while damaging the tires of the moving vehicle without paying the parking fee .

한편, 상기 승강익(420)을 승강시키기 위하여 상기 구동모듈(430)이 포함되어 구성된다.Meanwhile, the driving module 430 is included to move up and down the lift wing 420.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모듈(430)은 감지센서(432), 승하강펌프(434), 연결로드(436), 구동샤프트(438) 및 통신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driving module 430 includes a sensing sensor 432, an ascending / descending pump 434, a connecting rod 436, a driving shaft 438, and a communication unit.

먼저, 상기 감지센서(432)는 상기 입출차제어유닛(4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입출차제어유닛(400) 상부로 차량이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차량의 이동이 감지된 경우에 상기 구동모듈(420)이 작동되도록 한다.First, the detection sensor 432 is installed at the upper part of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400 to detect that the vehicle is moving to the upper side of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400, The drive module 420 is operated.

그리고 상기 승하강펌프(434)는 상기 승강익(42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구동 압력을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유압 펌프, 공압 펌프 등의 다양한 형태의 펌프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ascending / descending pump 434 is for generating a driving pressure for raising or lowering the ascending wing 420, and may be realized by various types of pump such as a hydraulic pump and a pneumatic pump.

그러나, 상기 승하강펌프(434)는 방향 전환 기어를 이용한 기계식 구성 등의 다양한 구동 장치로 대체될 수 있다.However, the up-down pump 434 can be replaced by various driving devices such as a mechanical configuration using a direction switching gear.

한편, 상기 연결로드(436) 및 구동샤프트(438)는 상기 승하강펌프(434)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1승강익(422) 및 제2승강익(424)을 승하강시키는 구성요소이다.The connecting rod 436 and the driving shaft 438 transfer the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up-and-down pump 434 to raise and lower the first lift wing 422 and the second lift wing 424 Lt; / RTI >

즉, 상기 연결로드(436)는 상기 승하강펌프(434)로 인해 수평 이동되는 것으로, 일측이 상기 승하강펌프(434)에 연결되어 상기 바닥판(410)의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That is, the connection rod 436 is horizontally moved by the ascending / descending pump 434, and one side thereof may be connected to the ascending / descending pump 434 so as to be horizontally installed inside the bottom plate 410 have.

그리고 상기 연결로드(436)의 타측은 상기 구동샤프트(438)와 연결되어 상기 승하강펌프(434)에 의해 이동시 상기 구동샤프트(438)의 단부를 수평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rod 436 is connected to the driving shaft 438 so that the end of the driving shaft 438 can be horizontally moved when the moving rod 436 is moved by the up / down pump 434.

그리고 상기 구동샤프트(438)는 일측이 상기 연결로드(436)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승강익(420)과 연결되어, 상기 연결로드(436)에 의해 일측이 수평 이동됨에 따라 상기 승강익(420)을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한다.One end of the drive shaft 438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rod 436 and the other end of the drive shaft 438 is connected to the lift wing 420. The other end of the drive shaft 438 is horizontally moved by the connection rod 436, 420).

이를 위해, 상기 바닥판(410)의 내부에는 상기 구동샤프트(438)가 이동되기 위한 이동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샤프트(438)는 상기 연결로드(436)와 롤러 힌지로 연결되어 수평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For this, a moving space for moving the driving shaft 438 is formed in the bottom plate 410, and the driving shaft 438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od 436 by a roller hinge so as to be horizontally moved .

구체적으로, 상기 승하강펌프(434)가 상기 연결로드(436)를 밀면, 상기 연결로드(436)와 연결된 상기 구동샤프트(438)가 함께 밀리며 상기 승강익(420)을 상승시키고, 반대로 상기 승하강펌프(434)가 상기 연결로드(436)를 당기면, 상기 연결로드(436)와 연결된 상기 구동샤프트(438)가 함께 당겨지며 상기 승강익(420)을 하강시키게 된다.Specifically, when the ascending / descending pump 434 pushes the connecting rod 436, the driving shaft 438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od 436 is pushed together to raise the ascending wing 420, When the descending pump 434 pulls the connecting rod 436, the driving shaft 438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od 436 is pulled together to descend the ascending wing 420.

또한, 상기 통신유닛은 상기 앱서버(200)로 입차정보 또는 출차정보를 송신하거나 상기 앱서버(200)로부터 개폐구동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may transmit the entrance information or the departure information to the application server 200 or receive the open / close drive signal from the application server 200.

여기서, 상기 입차정보 및 출차정보는 단순히 주차구역에 차량이 입차 또는 출차하였다는 정보일 수 있다.Here, the entry information and the departure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vehicle has entered or departed from the parking area.

한편, 상기 주차구역에는 하나 이상의 상기 입출차제어유닛(400)이 설치될 수 있는데, 기본적으로 1개 또는 2개의 상기 입출차제어유닛(40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meantime, one or more of the I / O control units 400 may be installed in the parking zone, and one or two I / O control units 400 are preferably installed.

먼저, 상기 주차구역에 상기 입출차제어유닛(400)이 1개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주차구역 두 개의 접지구역 중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First, when one I / O control unit 400 is installed in the parking zone, the parking zone may be installed in one of two ground zones.

여기서, 상기 접지구역은 주차구역의 양측에 종방향으로 설정된 차량의 타이어가 위치하는 영역을 말한다.Here, the grounding zone refers to the area where the tires of the vehicle se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parking zone.

그리고 상기 주차구역에 상기 입출차제어유닛(400)이 2개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주차구역 양측의 접지구역에 설치될 수 있다.When two of the I / O control units 400 are installed in the parking area, the I / O control unit 400 may be installed in the ground area on both sides of the parking area.

또한, 상기 주차구역에 2개의 상기 입출차제어유닛(400)을 설치하는 경우, 상기 접지구역에 상기 입출차제어유닛(400) 하나를 설치하고, 양측 접지구역 사이의 내측 공간에 상기 입출차제어유닛(400) 나머지 하나를 설치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wo I / O control units 400 are installed in the parking zone, one I / O control unit 400 is installed in the ground zone, and the I / The other one of the units 400 may be installed.

이 경우, 차량이 불규칙한 위치에 주차되더라도 차량의 입출차를 제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is case, even if the vehicle is parked at an irregular pos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entrance / exit of the vehicle can be restricted.

예를 들어, 주차구역 내측에 차량 전체가 위치하도록 주차되는 경우에는 상기 접지구역 내에 주차 차량의 타이어가 위치하지만, 주차구역 외측으로 차량의 일부가 위치하도록 주차되는 경우에는 상기 접지구역 내에 차량의 타이어가 위치하지 않는다.For example, when the vehicle is parked such that the entire vehicle is parked inside the parking area, the tires of the parked vehicle are located in the grounding area. However, if the vehicle is parked with a part of the vehicle outside the parking area, Is not located.

따라서, 상기 접지구역에만 상기 입출차제어유닛(400)이 설치되는 경우, 상기 주차구역 외측으로 차량의 일부가 위치하도록 주차되면 상기 입출차제어유닛(400)이 차폐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므로, 상기 입출차제어유닛(400)이 양측의 상기 접지구역 사이의 내측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주차구역 외측으로 차량의 일부가 위치하도록 주차되어도 상기 입출차제어유닛(400)이 차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when the I / O control unit 400 is installed only in the grounded area, the I / O control unit 400 can not perform the shielding function if a portion of the vehicle is parked outside the parking area, Output control unit 400 is installed in an inner space between the above-mentioned grounding zones on both sides so that a part of the vehicle is parked outside the parking zone, the I / O control unit 400 can perform the shielding function .

한편, 상기 주차구역의 일측이 벽면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양측 접지구역 사이의 내측 공간 중 벽면 측의 접지구역에 근접하도록 상기 입출차제어유닛(40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when one side of the parking zone is formed as a wall surfac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400 is installed so as to be close to the grounding zone on the wall surface side of the inner space between the two grounding zones.

이는, 상기 주차구역의 일측이 벽면으로 형성된 경우, 차량이 벽을 관통하여 주차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when one side of the parking zone is formed as a wall, the vehicle can not park through the wall.

이하에서는, 상기 접지구역에 대하여 도 3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grounding zon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일반적으로, 주차구역의 기본 규격은 2300mm×5000mm으로 정해져 있다.In general, the basic specification of the parking area is set to 2300 mm × 5000 mm.

그리고 차량의 좌우 타이어가 지면을 접촉하는 지점에서 좌우 두 개의 타이어 중심선 사이의 거리를 윤거라 하는데, 상기 윤거는 차량의 종류마다 각각 다르지만, 대략 경차는 약 1480mm이고, 소형차는 약 1500mm이며, 준중형차와 중형차는 약 1600mm이고, 대형차는 약 1660mm정도로 측정된다.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tire center lines is lengthened at the point where the left and right tires of the vehicle come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The lane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vehicle, but the approximate minor car is about 1480 mm, the compact car is about 1500 mm, The medium-sized car is about 1600 mm, and the large car is measured about 1660 mm.

또한, 차량의 타이어 폭 또한 다양하게 형성되지만, 일반적으로 200~270mm의 단면폭을 가지는 타이어가 사용된다.Further, although the tire width of the vehicle is also variously formed, a tire having a cross-sectional width of 200 to 270 mm is generally used.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구역의 폭길이(x)를 2300mm라 하고, 상기 윤거를 1700mm 내지 1870mm라 하며, 타이어 폭을 200mm 내지 270mm라 하면, 주차구역에 주차된 차량의 타이어는 상기 주차구역의 양 측면으로부터 115mm 내지 345mm 이격된 거리에 위치할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3, if the length x of the width of the parking zone is 2300 mm, the length of the wheel is 1700 mm to 1870 mm, and the width of the tire is 200 mm to 270 mm, And may be located at a distance of 115 mm to 345 mm from both sides of the parking zone.

즉, 상기 접지구역은 상기 주차구역의 양 측면으로부터 115mm 내지 345mm 이격된 거리에 200mm 내지 250mm의 폭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grounding zone may be formed in a width of 200 mm to 250 mm at a distance of 115 mm to 345 mm from both sides of the parking zon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입출차 제어를 통한 주차 공간 임대 방법의 실시 예를 도 4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parking space leasing method through the I / O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입출차 제어를 통한 주차 공간 임대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nting a parking space through the I / O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입출차 제어를 통한 주차 공간 임대 방법은 상기 소유주 단말기(100)가 상기 앱서버(200)로 주차공간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시작된다(S110).As shown in FIG. 4, the parking space leas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arts with the owner terminal 100 providing parking space information to the app server 200 (S110).

이때, 상기 주차공간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주차구역, 임대가능시간 및 주차금액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parking space information includes the parking space, the leasable time, and the parking amount as described above.

그리고 상기 앱서버(200)는 상기 주차공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주차공간정보DB(232)에 저장한다(S120).The app server 200 receives the parking space information and stores it in the parking space information DB 232 (S120).

이후, 상기 이용자 단말기(300)가 상기 앱서버(200)로 주차요청메시지를 송신한다(S130).Thereafter, the user terminal 300 transmits a parking request message to the app server 200 (S130).

여기서, 상기 주차요청메시지 송신이란 상기 이용자 단말기(300)에서 임대요청시간을 입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임대요청시간은 00:00시부터 00:00시까지라고 시간을 한정을 지을 수도 있고, 00:00시부터 00:00시 내지 00:00시까지라고 범위를 지정할 수도 있다.Here, the transmission of the parking request message means that the user terminal 300 inputs the rental request time. The rental request time may be limited to a time from 00:00 to 00:00, or a range from 00:00 to 00:00 to 00:00.

그리고 상기 앱서버(200)가 상기 주차요청메시지를 수신받아(S140), 상기 이용자 단말기(300)에서 입력한 임대요청시간에 적합한 주차공간정보를 검색한다(S150). In operation S140, the app server 200 receives the parking request message and searches for parking space information suitable for the rental request time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300 in operation S150.

이후, 상기 앱서버(200)는 상기 주차공간정보목록을 생성하여 상기 이용자 단말기(300)로 송신한다(S160). Thereafter, the app server 200 generates the parking space information list and transmits it to the user terminal 300 (S160).

여기서, 상기 앱서버(200)는 상기 임대요청시간에 사용할 수 있는 주차구역을 다양한 조건으로 정렬하여 상기 주차공간정보목록을 생성할 수 있는데, 출입구로부터 주차구역까지의 거리를 산출하여 정렬할 수도 있고, 상기 주차구역의 주차금액을 기준으로 산출하여 정렬할 수도 있다.Here, the app server 200 may generate the parking space information list by sorting the parking areas available for the lease request time under various conditions. The distance from the entrance to the parking area may be calculated and arranged , And calculating and sorting based on the parking amount of the parking zone.

그리고 상기 이용자 단말기(300)는 상기 주차공간정보목록을 수신받아 출력한다(S170).The user terminal 300 receives and outputs the parking space information list (S170).

예를 들어, 상기 주차공간정보목록은 주차구역, 주차금액 및 임대가능시간 순으로 나열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arking space information list may be listed in the order of parking space, parking amount, and available time.

이때, 이용자는 현재 위치로부터 가까운 주차구역을 선택할 수도 있고, 주차금액을 보고 주차구역을 선택할 수도 있으며, 주차가능시간이 길게 남은 주차구역을 선택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user can select the parking area near the current position, the parking area by selecting the parking area, or the parking area where the remaining parking time is long.

그리고 상기 이용자가 특정 주차구역에 주차를 하면, 해당 주차구역에 설치된 입출차제어유닛(400)은 입차를 감지하여(S180) 차폐구동된다(S190).When the user carries out parking in a specific parking area, the entrance / exit control unit 400 installed in the parking area senses the entrance (S180) and is shielded and driven (S190).

여기서, 상기 차폐구동은 도 2를 참고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듈(430)의 구동으로 연결된 상기 제1승강익(422)과 제2승강익(424)이 상승하며 이루어진다.2, the first lift wing 422 and the second lift wing 424 connected by driving the drive module 430 are lifted up.

이후, 상기 입출차제어유닛(400)은 상기 앱서버(200)로 입차정보를 송신하고(S200), 상기 앱서버(200)는 상기 입차정보를 수신받은 후(S210), 상기 소유주 단말기(100)로 상기 입차정보를 송신한다(S220).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400 transmits the entry information to the app server 200 in step S200. After the app server 200 receives the entry information in step S210, (S220). ≪ / RTI >

그리고 상기 소유주 단말기(100)는 상기 입차정보를 수신한다(S230).The owner terminal 100 receives the entry information (S230).

한편, 상기 이용자 단말기(300)가 상기 앱서버(200)로 출차요청메시지를 송신하면(S240), 상기 앱서버(200)는 상기 출차요청메시지를 수신받고(S250), 결제금액을 산출한다(S260).Meanwhile, when the user terminal 300 transmits an outgoing request message to the app server 200 at step S240, the app server 200 receives the outgoing request message at step S250 and calculates a payment amount S260).

이때, 상기 결제금액은 상기 주차구역에서의 주차시간과 상기 주차구역의 주차금액에 따라 산출된다.At this time, the payment amount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parking time in the parking area and the parking amount in the parking area.

이후, 상기 앱서버(200)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300)로 상기 결제금액의 결제요청메시지를 송신한다(S270).Thereafter, the app server 200 transmits the payment request message of the payment amount to the user terminal 300 (S270).

그리고 상기 이용자 단말기(300)는 상기 결제요청메시지를 수신받고(S280), 결제를 진행한다(S290).The user terminal 300 receives the settlement request message (S280) and proceeds with settlement (S290).

여기서, 상기 이용자 단말기(300)는 모바일페이, 카드결제, 계좌이체 등의 다양한 결제수단으로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Here, the user terminal 300 can make a payment using various payment means such as mobile payment, card payment, and account transfer.

한편, 상기 앱서버(200)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300)의 결제가 확인되면(S300), 상기 입출차제어유닛(400)으로 개폐구동신호를 송신한다(S310).Meanwhile, when the payment of the user terminal 300 is confirmed (S300), the app server 200 transmits an opening / closing drive signal to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400 (S310).

그리고 상기 입출차제어유닛(400)은 상기 개폐구동신호를 수신받고(S320), 개폐구동된다(S330).Then,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400 receives the opening / closing drive signal (S320) and is driven to open / close (S330).

여기서, 상기 개폐구동은 도 2를 참고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듈(430)의 구동으로 연결된 상기 제1승강익(422)과 제2승강익(424)이 하강하며 이루어진다.2, the first lift wing 422 and the second lift wing 424 connected by driving the drive module 430 are lowered.

이후, 상기 입출차제어유닛(400)은 상기 앱서버(200)로 출차정보를 송신하고(S340), 상기 앱서버(200)는 상기 출차정보를 수신받아(S350), 상기 소유주 단말기(100)로 상기 출차정보를 송신한다(S360).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400 transmits the outgoing information to the app server 200 in step S340. The app server 200 receives the outgoing information in step S350, (S360).

이후, 상기 소유주 단말기(100)는 상기 출차정보를 수신한다(S370).Thereafter, the owner terminal 100 receives the outgoing information (S370).

이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여, 본 발명은 산재한 다수 개의 주차구역에서 이용자가 원하는 조건의 주차구역을 제공할 수 있고, 별도의 관리요원 없이도 이용자 차량의 입차, 출차, 정산 등을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parking zone of a desired condition in a plurality of scattered parking areas, and it is possible to process entrance, departure, settlement, etc. of the user's vehicle without requiring separate management personnel have.

본 발명의 권리는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self-evident.

본 발명은 개인 소유 또는 점유 주차 공간을 타인에게 유상 임대할 수 있도록 하는 입출차 제어 유닛을 구비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산재한 다수 개의 주차구역에서 이용자가 원하는 조건의 주차구역을 제공할 수 있고, 별도의 관리요원 없이도 이용자 차량의 입차, 출차, 정산 등을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having an entrance and exit control unit for renting a privately owned or occupied parking space to another person, , It is possible to handle entry, departure, settlement, etc. of the user's vehicle without a separate management personnel.

100 : 소유주 단말기 200 : 앱서버
210 : 통신모듈 220 : 제어모듈
230 : 데이터베이스 232 : 주차공간정보DB
234 : 결제정보DB 300 : 이용자 단말기
400 : 입출차제어유닛 410 : 구동모듈
412 : 감지센서 420 : 바닥판
422 : 연결로드 424 : 구동샤프트
430 : 승강익 432 : 제1승강익
434 : 제2승강익
100: owner terminal 200: app server
210: communication module 220: control module
230: Database 232: Parking space information DB
234: Payment information DB 300: User terminal
400: input / output control unit 410: drive module
412: detection sensor 420: bottom plate
422: connection rod 424: drive shaft
430: lift-up wing 432: first lift-up wing
434: Second Lift

Claims (9)

주차구역과 임대가능시간 그리고 주차요금을 포함하는 주차공간정보를 저장하고, 주차요청메시지 수신시 주차공간정보목록을 제공하며, 상기 주차구역 사용에 대한 결제요금을 산출하여 결제를 요청하는 앱서버와;
상기 앱서버로 주차요청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앱서버로부터 상기 주차공간정보목록을 수신받아 출력하며, 상기 앱서버로부터 결제를 요청받아 결제과정을 수행하는 이용자 단말기; 그리고
주차구역에 설치되어, 입차 감지시 차폐구동하고 상기 앱서버로부터 개폐구동신호 수신 시 개폐구동하는 입출차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주차공간정보는,
상기 주차구역의 소유주로부터 소유주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어 상기 앱서버로 전송되며:
상기 앱서버는,
상기 소유주 단말기 및 이용자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과;
상기 주차요청메시지에 포함된 임대요청시간에 따른 주차공간정보목록을 생성하고, 주차시간과 상기 소유주로부터 수신된 주차요금에 따라 결제금액을 산출하는 제어모듈; 그리고
상기 주차공간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주차공간정보DB와, 주차요금을 포함하는 결제내역을 저장하는 결제정보DB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입출차제어유닛은,
입차 감지 또는 개폐구동신호 수신시 구동되는 승하강펌프와;
상기 승하강펌프에 의해 구동샤프트들을 이동시키는 연결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닥판;
그리고 상기 구동샤프트에 연결되어 이동되는 제1승강익과 제2승강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승강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입출차제어유닛은,
상기 주차구역의 일면에 벽채로부터 외측 접지구역에 설치되는 제1입출차제어유닛과;
양측 접지구역 사이의 내측 공간에 설치되는 제2입출차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접지구역은,
주차구역의 양측에 종방향으로 차량 정 위치 주차시 차량의 타이어가 위치하는 영역으로, 상기 주차구역의 양 측면으로부터 이격거리만큼 이격되어 접지폭을 갖는 영역으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차 제어 유닛을 구비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An app server for storing parking space information including a parking space, a leasable time, and a parking fee, providing a parking space information list when receiving a parking request message, calculating a payment rate for using the parking space, ;
A user terminal for transmitting a parking request message to the app server, receiving and outputting the parking space information list from the app server, requesting payment from the app server and performing a payment process; And
And an input / output control unit installed in the parking area, for driving the vehicle in a shielded state when detecting an entrance, an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upon receiving an opening / closing drive signal from the app server;
The parking space information includes:
Is input from the owner of the parking zone via the owner terminal and is transmitted to the app server:
The app server,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owner terminal and the user terminal;
A control module for generating a parking space information list according to the rental request time included in the parking request message, and calculating a payment amount according to the parking time and the parking fee received from the owner; And
A database including a parking space information DB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parking space information and a payment information DB for storing payment details including a parking fee,
Output control unit,
An up / down pump driven when an entrance detection or opening / closing drive signal is received;
A bottom plate including a connecting rod for moving the driving shafts by the up-down pump;
And a first lift elevation and a second lift elevation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Output control unit,
A first I / O control uni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parking zone in the outer ground zone from the bracket;
And a second input / output control unit installed in an inner space between the two grounding zones,
Said grounding zone comprising:
Wherein the vehicle is set to an area where a tire of the vehicle is positioned when parking the vehic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parking area and an area having a ground width spaced apart from both sides of the parking area by a distance, Equipped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거리 k는 0.05x≤k≤0.15x 이고;
상기 접지폭 j는 0.09x≤j≤0.1x이며;
상기 x는 주차구역의 폭 길이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차 제어 유닛을 구비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pacing distance k is 0.05x? K? 0.15x;
The grounding width j is 0.09x? J? 0.1x;
Wherein x is the width of the parking zone. ≪ RTI ID = 0.0 > 11. < / RTI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거리 k는 115≤k≤345(mm)이고;
상기 접지폭 j는 200≤j≤250(mm) 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차 제어 유닛을 구비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pacing distance k is 115? K?
And the ground width j is 200? J? 250 (mm).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앱서버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임대요청시간이 포함된 주차요청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주차공간정보DB에 저장된 임대가능시간과 상기 임대요청시간을 비교하여 주차가능구역을 산출한 후, 상기 주차가능구역을 주차공간정보DB에 저장된 주차금액에 따라 정렬하여 주차공간정보목록을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차 제어 유닛을 구비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app server,
Wherein the control module receives the parking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lease request time from the user terminal and compares the lease time stored in the parking space information DB with the lease time requested by the control module, And generates a parking space information list by arranging the parking space information DB in accordance with the parking amount stored in the parking space information DB.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앱서버는,
상기 주차공간정보목록을 정렬함에 있어,
출입구로부터 주차구역까지의 거리를 정렬 요소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차 제어 유닛을 구비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app server,
In arranging the parking space information list,
And a distance from the entrance to the parking zone is included as an alignment element.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앱서버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출차요청메시지 수신 시 주차시간과 상기 주차구역의 주차요금에 따라 결제금액을 산출하고,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 상기 결제금액이 포함된 결제요청메시지를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차 제어 유닛을 구비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app server,
Wherein the control unit calculates a payment amount according to a parking time and a parking fee of the parking space when receiving an outgoing request message from the user terminal and transmits a payment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payment amount to the user terminal, And a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단말기의 결제는,
모바일페이, 카드결제 또는 계좌이체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차 제어 유닛을 구비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payment of the user terminal,
The mobile payment, the card payment, or the transfer of money.
삭제delete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승강익과 제2승강익은,
일측이 힌지 연결되고, 타측이 상면으로부터 하면으로 갈수록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차 제어 유닛을 구비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first and second ascending and descending rivers,
Wherein one side is hinged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to have an inclined surface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lower surface.
KR1020160092380A 2016-07-21 2016-07-21 Management system for parking space having control unit of car parking KR1018915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380A KR101891559B1 (en) 2016-07-21 2016-07-21 Management system for parking space having control unit of car park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380A KR101891559B1 (en) 2016-07-21 2016-07-21 Management system for parking space having control unit of car park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395A KR20180010395A (en) 2018-01-31
KR101891559B1 true KR101891559B1 (en) 2018-08-24

Family

ID=61082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2380A KR101891559B1 (en) 2016-07-21 2016-07-21 Management system for parking space having control unit of car park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155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28365A (en) * 2018-05-15 2018-08-21 西安艾润物联网技术服务有限责任公司 For visitor or rent the method for sharing people from parking stall and registering, passing in and out parking lot, storage medium, server and management system
CN109035442B (en) * 2018-08-10 2021-02-23 湖南小闸科技有限公司 Reservation sharing park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374B1 (en) * 2012-05-08 2012-12-13 권순호 Auto parking control system using mobile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374B1 (en) * 2012-05-08 2012-12-13 권순호 Auto parking control system using mobi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395A (en) 2018-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51668B1 (en) Modular tire tread analyzing station
CN101287666B (en) Method for operating lift installation and lift installation therefor
KR101776167B1 (en) Safety gate system for getting on/off
KR101891559B1 (en) Management system for parking space having control unit of car parking
KR101857421B1 (en) Park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ing a smart car-stopper
CN205063463U (en) Stereo -garage vehicle storing and taking system
KR10247706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vehicle in parking lot
CN108132032A (en) The carbody inspection system and its detection method of a kind of vertical circulating garage
CN206128774U (en) Intelligent parking stall lock system
KR102058708B1 (en) A management system of parking lot using sound detection
KR101964063B1 (en) Converse Driving Prevention System
KR101778035B1 (en) The apparatus for stopping a car into the parking system
KR101339183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of intelligent parking lot using cart system
JP4053549B2 (en) Parking vehicle monitoring device
CN105220625B (en) Boarding method of horizontal boarding equipment for intelligent bus boarding system
KR102457783B1 (en) Artificial Intelligence Integrated Parking Control System Based on Smart Home
CN206143679U (en) Intelligent parking stall lock system
KR101835757B1 (en) Method for perceiving vehicle information based on adhesive parking management module and parking management device for using the adhesive parking management module
KR101390774B1 (en) Management system of mechanical parking place
JP2011013968A (en) Toll collection system and toll collection method
JP2009245077A (en) Garage system, and gate opening-and-closing control method in garage system
KR101794235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Guiding Safety Distancen in Parking Lot
KR101632644B1 (en) Management system of uninhabited guest room,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vehicle access in the management system of uninhabited guest room
KR102127114B1 (en) Park managing system using communication network
KR20230120418A (en) Car for ground survey road mainten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