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1481B1 - Connecting Structure of Secondary Battery Cell - Google Patents

Connecting Structure of Secondary Battery Ce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1481B1
KR101891481B1 KR1020110093444A KR20110093444A KR101891481B1 KR 101891481 B1 KR101891481 B1 KR 101891481B1 KR 1020110093444 A KR1020110093444 A KR 1020110093444A KR 20110093444 A KR20110093444 A KR 20110093444A KR 101891481 B1 KR101891481 B1 KR 101891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izing member
sub
tab
battery modul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34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29982A (en
Inventor
이원준
권대원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3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481B1/en
Publication of KR20130029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99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4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층된 서브 배터리 모듈을 병렬 및 직렬로 연결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통전부재와 보조통전부재를 이용하는 간단한 구조로서 용이하게 서브 배터리 모듈을 연결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의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for connecting a stacked sub battery module in parallel and in seri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ucture of a battery module capable of easily connecting a sub battery module with a simple structure using a main energizing member and an auxiliary energizing member Structure.

Description

배터리 모듈의 연결 구조{Connecting Structure of Secondary Battery Cell}Connecting Structure of Battery Module {Connecting Structure of Secondary Battery Cell}

본 발명은 적층된 서브 배터리 모듈을 병렬 및 직렬로 연결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통전부재와 보조통전부재를 이용하는 간단한 구조로서 용이하게 서브 배터리 모듈을 연결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의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for connecting a stacked sub battery module in parallel and in seri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ucture of a battery module capable of easily connecting a sub battery module with a simple structure using a main energizing member and an auxiliary energizing member Structure.

통상적으로 2차 전지는 재충전이 가능하고 대용량화가 가능한 것으로 대표적인 것으로 니켈카드뮴, 니켈수소 및 리튬이온전지 등이 있다. 이중에서 상기 리튬이온전지는 장 수명, 고용량 등 우수한 특성으로 인하여 차세대 동력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 중에서, 리튬 2차 전지는 작동 전압이 3.6V 이상으로 휴대용 전자 기기의 전원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수개를 직렬 연결하여 고출력의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사용되는데, 니켈-카드뮴 전지나, 니켈-메탈 하이드라이드 전지에 비하여 작동 전압이 3배가 높고,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의 특성도 우수하여 급속도로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Typically, secondary batteries are rechargeable and capable of large capacity, and nickel cadmium, nickel hydrogen, and lithium ion batteries are typical examples. In particular, the lithium ion battery has attracted attention as a next generation power source due to its excellent characteristics such as long service life and high capacity. Among them,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has a working voltage of 3.6 V or more and is used as a power sour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or a series of several batteries are used in a high-output hybrid vehicle. In a nickel-cadmium battery or a nickel-metal hydride battery The operating voltage is three times higher and the energy density per unit weight is also excellent. Thus, the use thereof is rapidly increasing.

상기 리튬 2차 전지는 다양한 형태로 제조가능한데, 대표적인 형상으로는 리튬 이온 전지에 주로 사용되는 원통형(cylinder type) 및 각형(prismatic type)을 들 수 있다. 최근 들어 각광받는 리튬 폴리머 전지는 유연성을 지닌 파우치형(pouched type)으로 제조되어서, 그 형상이 비교적 자유롭다. 또한 리튬 폴리머 전지는 안전성도 우수하고, 무게가 가벼워서 휴대용 전자 기기의 슬림화 및 경량화에 유리하다.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Typical examples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e a cylinder type and a prismatic type, which are mainly used in a lithium ion battery. In recent years, a lithium polymer battery has been manufactured in a pouch type having flexibility and its shape is relatively free. In addition, the lithium polymer battery is excellent in safety and light in weight, which is advantageous in reducing the weight and weight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한편,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 고출력의 리튬 전지가 요구되는 경우에 서브 배터리 모듈을 수십에서 수백 개 적층하고, 이를 직렬 또는 병렬 연결하여 고전압 또는 고전류를 얻게 된다.Meanwhile, when a high output lithium battery such as a hybrid automobile is required, several hundred to several hundred sub battery modules are stacked and connected in series or parallel to obtain a high voltage or a high current.

상기 서브 배터리 모듈은 전지부와, 전지부가 수용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전지부는 양극판, 세퍼레이터, 음극판이 적층되거나 일방향으로 와인딩된 구성으로서, 상기 전지부의 양극판은 양극탭과 음극탭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The battery pack includes a positive electrode plate, a separator,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laminated or wound in one direction, wherein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of the battery un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tab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electrically It is connected.

상기 케이스는 후막의 금소재로 성형한 원통형이나 각형으로 된 캔 구조와는 달리, 중간층이 금속 호일이고, 금속 호일의 양면에 부착되는 내ㆍ외피층이 절연성 필름으로 이루어진 파우치형 케이스이다. 파우치형 케이스는 성형성이 우수하여 자유자재로 구부림이 가능하다.The case is a pouch type case in which the intermediate layer is a metal foil and the inner and outer layers adhered to both surfaces of the metal foil are made of an insulating film, unlike a cylindrical or canned can structure formed of a thick film of gold. The pouch-type case has excellent formability and can bend freely.

이 때, 적층된 배터리 셀(10a, 10b)의 직렬연결을 위한 일 예를 도 1에 도시하였다.An example of the series connection of the stacked battery cells 10a and 10b is shown in FIG.

도 1에 도시한 배터리 모듈의 연결 구조는 일측 상단에 양전극탭(11a)이 위치하는 제1 배터리 셀(10a)과 타측 상단에 양전극탭(11b)이 위치하는 제2 배터리 셀(10b)을 교번 적층 시킨 후, 제1 배터리 셀(10a)의 양전극탭(11a)과 이웃하는 제2 배터리 셀(10b)의 음전극탭(12b)을 통전부재(15)를 통해 연결하고, 제1 배터리 셀(10a)의 음전극탭(12a)과 이웃하는 제2 배터리 셀(10b)의 양전극탭(11b)을 통전부재(15)를 통해 연결하는 구조로 비교적 간단히 구성이 가능하다.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battery module shown in FIG. 1 includes a first battery cell 10a in which a positive electrode tab 11a is located at one end and a second battery cell 10b in which a positive electrode tab 11b is located at the other end, The positive electrode tab 11a of the first battery cell 10a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12b of the adjacent second battery cell 10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energizing member 15 and the first battery cell 10a And the positive electrode tab 11b of the second battery cell 10b adjacent to the first electrode tab 12b of the second battery cell 10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energizing member 15. In this case,

그러나 적층된 배터리 셀의 병렬연결을 위해서는 동일 극성을 갖는 양극탭과 음극탭 각각을 다중으로 연결해 주어야 하며, 셀 적층체의 용량에 따라서, 2개 이상의 전극을 동시에 연결해 주는 체결 구조가 필요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기계적 체결구조 또는 용접 방식을 적용할 경우 그에 따른 조립성 및 생산 효율은 더욱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However, in order to connect the stacked battery cells in parallel, a positive electrode tab and a negative electrode tab having the same polarity must be connected in multiple, and a fastening structure for connecting two or more electrodes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the capacity of the cell stack body is required. The assembling property and the production efficiency are lowered when the mechanical fastening structure or the welding method is applied.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금속단자에 금속부재를 초음파 용접하는 방안이 일본공개특허 2007-323952호(공개일 : 2007.12.13)가 제안된바 있다.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7-323952 (published on Dec. 13, 2007) has proposed a method of ultrasonically welding a metal member to a metal terminal to solve such a problem.

위 일본공개특허 2007-323952호는 직렬 또는 병렬로 각각의 서브 배터리 모듈을 연결할 수 있으나, 병렬 연결 또는 직렬 연결 중 하나를 선택해야하며, 2개를 초과하는 서브 배터리 모듈을 병렬 연결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7-323952 discloses that the sub-battery modules can be connected in series or in parallel, but it is necessary to select either the parallel connection or the serial connection, and it is difficult to connect more than two sub- .

따라서, 서브 배터리 모듈의 병렬 연결을 조절하여 배터리 모듈의 전류 용량과, 병렬 연결된 모듈을 직렬 연결하여 배터리 모듈의 전압 용량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의 연결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 connection structure of a battery module that can control the voltage capacity of the battery module by connecting a current capacity of the battery module and a parallel-connected module in series by adjusting the parallel connection of the sub-battery module.

일본공개특허 2007-323952호(공개일 : 2007.12.13)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7-323952 (published on December 13, 2007)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통전부재와 보조통전부재를 이용하는 간단한 구조로서 용이하게 서브 배터림 모듈을 병렬 및 직렬 연결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의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ttery module having a simple structure using a main energizing member and an auxiliary energizing member and capable of easily connecting the sub- Structure.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주통전부재가 2개의 서브 배터리 모듈을 병렬 연결하고, 보조통전부재가 주통전부재에 의해 병렬 연결된 2개의 서브 배터리 모듈을 직렬 연결함으로써 서브 배터림 모듈의 병렬 및 직렬 연결이 용이하고, 이에 따라 전체 배터리 모듈의 전압 및 전류 조절이 용이한 배터리 모듈의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Particular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ub-battery module in which two sub-battery modules are connected in parallel by a main energizing member, and two sub-battery modules connected in parallel by a main energizing member are connected in series, And the battery module can be easily adjusted in voltage and current.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주통전부재가 제1탭접촉부, 제2탭접촉부 및 평면부를 포함하여 탭과의 접합성능을 높일 수 있으며, 상기 제1탭접촉부 및 제2탭접촉부의 단부에 각각 전극탭의 단부가 안착되도록 절곡 연장된 제1단차부 및 제2단차부가 형성되어 전극탭과 주통전부재의 고정력을 더욱 높이고, 접합 공정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배터리 모듈의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o-optical device in which a main energizing member includes a first tab-contacting portion, a second tab-contacting portion, and a flat surface portion, A first stepped portion and a second stepped portion that are bent and extended so that the end portion of the tab is seated can be formed so that the fixing force of the electrode tab and the main energizing member can be further increased and the efficiency of the bonding process can be increased.

또, 본 발명의 목적은 주통전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양단부에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보조통전부재와의 연결이 용이하고, 기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가 높이방향 연장부 및 수평방향 연장부를 포함하여 보조통전부재의 제1수직부 또는 제2주직부의 일면과 연결부의 일정 영역과 접합 고정되어 고정력을 향상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의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conductive member in which a first extending portion and a second extending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energizing member so that connection with the auxiliary energizing member is eas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nection structure of a battery module that includes a direction extending portion and a horizontally extending portion and is fixed to one surface of a first vertical portion or a second vertical portion of an auxiliary energizing member and a predetermined region of a connection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을 위한 고정부가 보조통전부재와 일체로 형성되어 접합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의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nection structure of a battery module in which a fixing part for fixation is formed integrally with an auxiliary energizing member so as to simplify a joining process.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의 연결 구조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배터리셀, 상기 배터리셀과 연결되어 외부로 각각 노출되는 한 쌍의 전극탭을 포함하는 서브 배터리 모듈이 병렬 및 직렬로 연결되어 배터리 모듈을 형성하기 위한 배터리 모듈의 연결 구조에 있어서, 한 쌍의 서브 배터리 모듈의 이웃하는 전극탭 사이에 구비되어 각각 접합되는 주통전부재; 및 상기 서브 배터리 모듈의 적층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주통전부재를 연결하는 보조통전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battery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a battery cell provided inside the case, and a sub-battery module including a pair of electrode tabs connected to the battery cell and exposed to the outside, A connection structure of a battery module for forming a battery module, comprising: a main energizing member provided between neighboring electrode tabs of a pair of sub-battery modules and joined to each other; And an auxiliary energizing member which is elongated in a stacking direction of the sub battery module and connects the main energizing member; And a control unit.

또한, 상기 배터리 모듈의 연결 구조는 상기 전극탭이 양전극탭 및 음전극탭으로 이루어지며, 하나의 주통전부재에 의해 한 쌍의 서브 배터리 모듈의 양전극탭이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주통전부재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서브 배터리 모듈의 음전극탭이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서브 배터리 모듈이 병렬 연결되며, 상기 보조통전부재에 의해 직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battery module may be such that the electrode tab is composed of a positive electrode tab and a negative electrode tab, a pair of sub-battery module positive tabs are connected by one main energizing member, And the pair of sub battery modules are connected in parallel and connected in series by the auxiliary energizing member.

또, 상기 보조통전부재는 상기 주통전부재에 의해 연결된 한 쌍의 서브 배터리 모듈 둘 이상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auxiliary energizing member connects two or more of the pair of sub-battery modules connected by the main energizing member.

아울러, 상기 주통전부재는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의 양단부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양전극탭 또는 음전극탭과 접합되는 제1탭접촉부 및 제2탭접촉부를 포함하여 단면이 "ㄷ"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in energizing member includes a planar portion and a first tab contact portion and a second tab contact portion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both ends of the planar portion and joined to the positive electrode tab or the negative electrode tab,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주통전부재는 상기 보조통전부재와 접합되는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main energizing member may have a first extending portion and a second extending portion which are joined to the auxiliary energizing member.

또, 상기 보조통전부재는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수직부 및 제2수직부와, 상기 제1수직부 및 제2수직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는 각각 상기 주통전부재의 평면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수직부 또는 제2수직부와 접합되는 높이방향 연장부와, 상기 높이방향 연장부의 단부가 상기 주통전부재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연결부의 전체 또는 일정 영역과 접합되는 수평방향 연장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uxiliary energizing member may include a pair of first vertical portions and second vertical portion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vertical portion and the second vertical portio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ortions being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plane portion of the main energizing member and joined to the first vertical portion or the second vertical portion, And a horizontally extending portion that is bent outwardly of the member and joined to the entire or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아울러, 상기 보조통전부재는 고정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uxiliary energizing member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xed portion.

또한, 상기 주통전부재는 상기 제1탭접촉부 및 제2탭접촉부의 단부 각각에 상기 양전극탭 또는 음전극탭이 구비되는 측으로 절곡되도록 연장되는 제1단차부 및 제2단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ain energiz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tep portion and the second step portion are formed on each of the ends of the first tab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tab contact portion so as to be bent to the side where the positive electrode tab or the negative electrode tab is provided .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의 연결 구조는 주통전부재와 보조통전부재를 이용하는 간단한 구조로서 용이하게 배터리셀을 병렬 및 직렬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ly,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battery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the battery cells can be easily connected in parallel and in series as a simple structure using the main energizing member and the auxiliary energizing member.

특히,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의 연결 구조는 주통전부재가 2개의 서브 배터리 모듈을 병렬 연결하고, 보조통전부재가 주통전부재에 의해 병렬 연결된 2개의 서브 배터리 모듈을 직렬 연결함으로써 배터리셀의 병렬 및 직렬 연결이 용이하고, 이에 따라 전체 배터리 모듈의 전압 및 전류 조절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In particular, in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battery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energizing member connects two sub battery modules in parallel, and the auxiliary energizing member connects two sub battery modules connected in parallel by the main energizing member in series, Serial connection is easy and the voltage and current of the entire battery module can be easily adjusted.

또한,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의 연결 구조는 주통전부재가 제1탭접촉부, 제2탭접촉부 및 평면부를 포함하여 탭과의 접합성능을 높일 수 있으며, 상기 제1탭접촉부 및 제2탭접촉부의 단부에 각각 전극탭의 단부가 안착되도록 절곡 연장된 제1단차부 및 제2단차부가 형성되어 전극탭과 주통전부재의 고정력을 더욱 높이고, 접합 공정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battery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tap contact portion, a second tap contact portion, and a flat surface portion so that the main energizing member can improve the bonding performance with the tab, and the first tap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tap contact portion The first step portion and the second step portion that are bent and extended so that the end portions of the electrode tabs are respectively seated on the end portions are formed so that the fixing force of the electrode tabs and the main energizing member can be further increased and the efficiency of the bonding process can be increased.

또,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의 연결 구조는 주통전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양단부에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보조통전부재와의 연결이 용이하고, 기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가 높이방향 연장부 및 수평방향 연장부를 포함하여 보조통전부재의 제1수직부 또는 제2주직부의 일면과 연결부의 일정 영역과 접합 고정되어 고정력을 향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battery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extending portion and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energizing member so that connection with the auxiliary energizing member is easy, And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includes a height direction extending portion and a horizontal direction extending portion and is fix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vertical portion or the second main surface portion of the auxiliary energizing member and a certain reg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의 연결 구조는 고정을 위한 고정부가 보조통전부재와 일체로 형성되어 접합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urther,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battery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the fixing part for fixing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auxiliary energizing member, thereby simplifying the joining process.

도 1은 종래의 배터리 셀 직렬연결 구조 평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연결 구조의 서브 배터리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및 개략 단면도.
도 3 내지 도 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연결 구조의 사시도, 분해사시도, AA' 방향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연결 구조의 다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연결 구조의 주통전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연결 구조의 또 다른 사시도.
1 is a plan view of a conventional battery cell serial connection structure.
FIG. 2A and FIG. 2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schematic sectional view showing a sub-battery module of a connection structure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to 5 are a perspective view,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in AA 'direction, respectively, of a connection structure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other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structure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energizing member of a connection structure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8 and 9 are still another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structure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1000)의 연결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battery module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featur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1000)의 연결 구조는 복수개의 서브 배터리 모듈(100)을 연결하여 각각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극탭(120,130)을 연결하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먼저, 상기 서브 배터리 모듈(100)을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내었다.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battery modul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sub-battery modules 100 and connecting electrode tabs 120 and 130 to supply power to the sub-battery modules 100. First, 100) are shown in Figs. 2A and 2B.

상기 서브 배터리 모듈(100)은 케이스(140)와, 상기 케이스(140) 내부에 구비되는 배터리셀(110), 상기 배터리셀(110)과 연결되는 한 쌍의 전극탭(120,13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The sub-battery module 100 includes a case 140, a battery cell 110 provided inside the case 140, and a pair of electrode tabs 120 and 130 connected to the battery cell 110, do.

상기 케이스(140)는 상기 배터리셀(110)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전극탭(120,130)이 외부로 각각 노출된다. The case 140 surrounds the battery cell 110, and the electrode tabs 120 and 130 are exposed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전극탭(120,130)은 양전극탭(120) 및 음전극탭(130)으로 이루어진다.The electrode tabs 120 and 130 are composed of a positive electrode tab 120 and a negative electrode tab 130.

도면에서, 상기 케이스(140)가 파우치 형태이며, 상기 전극탭(120,130)이 전측 및 후측에 돌출된 예를 나타내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Although the case 140 is in the form of a pouch and the electrode tabs 120 and 130 protrude forward and rearward in the figure, this i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 때, 전원 연결을 위하여 각각의 서브 배터리 모듈(100)은 병렬, 직렬, 또는 병렬과 직렬 혼합 형태로 연결되는데, 직렬 연결되면 전체 배터리 모듈(1000)의 전압이 증가되며, 병렬 연결되면 배터리 모듈(1000)의 전류가 증가된다. In this case, the sub-battery modules 100 are connected in parallel, in series, or in parallel with each other for power connection. When the sub-battery modules 100 are connected in series, the voltage of the entire battery module 1000 is increased. The current of the transistor 1000 is increased.

즉, 배터리 모듈(1000)에 있어서, 전체의 전압 및 전류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1000)의 연결 구조는 주통전부재(200) 및 보조통전부재(300)를 이용하여 상기 서브 배터리 모듈(100)을 용이하게 연결가능하며, 직렬 및 병렬 혼합 형태로 용이하게 전체 전압 및 전류 조절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That is, it is very important to appropriately adjust the overall voltage and current of the battery module 1000.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battery modul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main energizing member 200 and the auxiliary energizing member 300, The sub-battery module 100 can be easily connected, and the entire voltage and current can be easily adjusted in a series and parallel combination form.

더욱 상세하게, 상기 주통전부재(200)는 한 쌍의 서브 배터리 모듈(100)을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이웃하는 서브 배터리 모듈(100)의 전극탭(120,130)을 연결한다.(도 3 내지 도 5 참조)More specifically, the main energizing member 200 connects the pair of sub-battery modules 100 and connects the electrode tabs 120 and 130 of the adjacent sub-battery module 100 (FIGS. 5)

이 때, 상기 서브 배터리 모듈(100)은 전극탭(120,130)이 나란하게 위치되도록 적층되며, 상기 서브 배터리 모듈(100)의 전극탭(120,130)은 양전극탭(120) 및 음전극탭(130)으로 구성되므로, 한 쌍의 서브 배터리 모듈(100)을 연결하기 위하여 2개의 주통전부재(200)가 연결된다.The electrode tabs 120 and 130 of the sub battery module 100 are stacked so that the electrode tabs 120 and 130 are aligned with the tabs 120 and 130 of the negative electrode tab So that two main energizing members 200 are connected to connect the pair of sub battery modules 100.

또한, 상기 하나의 주통전부재(200)가 연결하는 전극탭(120,130)에 따라 병렬 연결 및 직렬 연결을 결정지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parallel connection and the series connection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electrode tabs 120 and 130 to which the one main energizing member 200 is connected.

더욱 상세하게, 상기 주통전부재(200)가 한 쌍의 서브 배터리 모듈(100)의 이웃하게 위치된 동일 전극탭(120,130)과 접합될 경우에, 상기 한 쌍의 서브 배터리 모듈(100)은 병렬 연결되고, 상기 주통전부재(200)가 한 쌍의 서브 배터리 모듈(100)의 이웃하게 위치된 서로 다른 전극탭(120,130)(양전극탭(120) 및 음전극탭(130))과 접합될 경우에, 상기 한 쌍의 서브 배터리 모듈(100)은 직렬 연결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main energizing member 200 is joined to the neighboring identical electrode tabs 120 and 130 of the pair of sub-battery modules 100, the pair of sub- When the main energizing member 200 is joined to the adjacent electrode tabs 120 and 130 (the positive electrode tab 120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130) of the pair of sub battery modules 100 , And the pair of sub battery modules 100 are connected in series.

이 때,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1000)의 연결 구조는 주통전부재(200)에 의해 한 쌍의 서브 배터리 모듈(100)을 병렬 연결하고, 상기 보조통전부재(300)에 의해 직렬 연결함으로써 전체 전압 및 전류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battery module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a pair of sub battery modules 100 are connected in parallel by the main energizing member 200 and connected in series by the auxiliary energizing member 300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easily set the voltage and the current.

이를 위하여, 상기 서브 배터리 모듈(100)은 양전극탭(120)이 양전극탭(120)과 이웃하고, 음전극탭(130)이 음전극탭(130)과 이웃하도록 위치되며, 상기 주통전부재(200)가 상기 양전극탭(120) 사이에서 서로를 접합 연결하고, 다른 주통전부재(200)가 상기 음전극탭(130) 사이에서 서로를 접합 연결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b-battery module 100 is disposed such that the positive electrode tab 120 is adjacent to the positive electrode tab 120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130 is adjacent to the negative electrode tab 130, And the other main energizing members 200 are connected and joined to each other between the negative electrode tabs 130. In this case,

상기 서브 배터리 모듈(100)의 적층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주통전부재(200)를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주통전부재(200)에 의해 연결된 한 쌍의 서브 배터리 모듈(100)들을 연결한다. A pair of sub-battery modules 100 connected by the main energizing member 200 are connected to the main energizing member 200, which is elongated in the stacking direction of the sub-battery module 100.

즉, 상기 보조통전부재(300)는 상기 주통전부재(200)에 의해 연결된 한 쌍의 서브 배터리 모듈(100) 둘 이상을 연결할 수 있으며, 전기적 연결을 안전성을 위하여 상기 보조통전부재(300)는 상기 주통전부재(200)의 길이방향으로 양단부에 한 쌍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auxiliary energizing member 300 may connect two or more of the pair of sub-battery modules 100 connected by the main energizing member 200, and the auxiliary energizing member 3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uxiliary energizing member 300 It is preferable that one pair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main energizing member 2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아래에서 주통전부재(200)와 보조통전부재(300)의 구체적인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Specific shapes of the main energizing member 200 and the auxiliary energizing member 300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주통전부재(200)는 전극탭(120,130)과의 접합성을 보다 높일 수 있도록 평면부(230), 제1탭접촉부(210), 및 제2탭접촉부(22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main energizing member 200 may include a flat portion 230, a first tab contact portion 210, and a second tab contact portion 220 so as to increase the bonding property with the electrode tabs 120 and 130 .

이 때, 상기 평면부(230)는 상기 제1탭접촉부(210) 및 제2탭접촉부(220)의 일측 단부를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제1탭접촉부(210) 및 제2탭접촉부(220)와 상기 평면부(230)는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되어 전체 주통전부재(200)의 단면이 "ㄷ"자 형태로 형성된다. The planar portion 230 connects one end of the first tab contact portion 210 and the second tab contact portion 220. The first tab contact portion 210 and the second tab contact portion 220 And the planar portion 230 are positioned in a perpendicular direction so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entire main energizing member 200 is formed in a "C" shape.

상기 제1탭접촉부(210) 및 제2탭접촉부(220)의 외면(상기 평면부(230)가 형성되는 측의 반대측 면)에 한 쌍의 서브 배터리 모듈(100) 전극탭(120,130)이 각각 면접합된다. A pair of sub-battery module 100 electrode tabs 120 and 130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tab-contacting portion 210 and the second tab-contacting portion 220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where the plane portion 230 is formed) Interviewed.

상기 보조통전부재(300)는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수직부(310) 및 제2수직부(320)와, 상기 제1수직부(310) 및 제2수직부(320)를 연결하는 연결부(33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The auxiliary energizing member 300 includes a pair of first vertical portions 310 and a second vertical portion 320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pair of first vertical portions 310 and second vertical portions 320, And a connection part 330 connecting the connection part 330 and the connection part 330.

이 때, 상기 주통전부재(200)는 상기 보조통전부재(300)와의 접합을 위한 제1연장부(240-1) 및 제2연장부(240-2)가 상기 주통전부재(200)의 길이방향으로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연장부(240-1) 및 제2연장부(240-2)는 상기 보조통전부재(300)에 대응되는 형태를 갖도록 높이방향 연장부(241) 및 수평방향 연장부(242)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main energizing member 20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extending portion 240-1 and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240-2 for joining to the auxiliary energizing member 300 are connected to the main energizing member 200 The first extending portion 240-1 and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240-2 are form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height direction extending portion 241 is formed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auxiliary energizing member 300, And a horizontal direction extending portion 242, as shown in FIG.

상기 높이방향 연장부(241)는 상기 주통전부재(200)의 평면부(230)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수직부(310) 또는 제2수직부(320)와 접합되는 구성이며, 상기 수평방향 연장부(242)는 상기 높이방향 연장부(241)의 단부가 상기 주통전부재(200)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연결부(330)의 전체 또는 일정 영역과 접합된다.The height direction extension portion 241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ne portion 230 of the main energizing member 200 and is joined to the first vertical portion 310 or the second vertical portion 320 The end portion of the height direction extension portion 241 is bent to the outside of the main current application member 200 and is joined to the whole or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330.

상기 주통전부재(200)의 외측방향이란, 상기 보조통전부재(300)가 상기 주통전부재(200)의 양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되었을 때, 상기 보조통전부재(300) 측을 의미한다.The outward direction of the main energizing member 200 means the side of the auxiliary energizing member 300 when the auxiliary energizing member 300 is positioned adjacent to both ends of the main energizing member 200. [

즉, 상기 주통전부재(200)는 상기 전극탭(120,130)과의 접합을 위하여 단면이 "ㄷ"자 형태로 형성되며, 제1탭접촉부(210) 및 제2탭접촉부(220)를 연결하는 평면부(230)가 상기 서브 배터리 모듈(100)의 배터리셀(110)에 인접한 측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상기 평면부(230)를 정면으로 바라보았을 때, 상기 평면부(230)가 오목한 위치에 구비되는 구성, 도 3 참조)That is, the main energizing member 200 is formed in a "C" -shape in cross section for connection with the electrode tabs 120 and 130, and connects the first tab contact portion 210 and the second tab contact portion 220 It is preferable that the flat portion 230 is formed so as to connect the side adjacent to the battery cell 110 of the sub battery module 100. When the flat portion 230 is viewed from the front, ) Is provided at a concave position, see Fig. 3)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1000)의 연결 구조는 상기 평면부(230)가 상기 서브 배터리 모듈(100)의 배터리셀(110)에 인접한 측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평면부(230)로부터 연장되는 제1연장부(240-1) 및 제2연장부(240-2)의 제조를 더욱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며, 높이방향 연장부(241)에 의해 보조통전부재(300)와 접합되는 면적을 증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battery modul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the plane portion 230 is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sub battery module 100 adjacent to the battery cell 110 to extend from the plane portion 230 The first extended portion 240-1 and the second extended portion 240-2 can be manufactured more efficiently and the area to be joined to the auxiliary energizing member 300 by the heightwise extending portion 241 is increased There is an advantage to be able to do.

또한, 상기 보조통전부재(300)는 단면이 "ㄷ"자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주통전부재(200)의 수평방향 연장부(242)와 접합되도록 상기 연결부(330)의 구성이 상기 서브 배터리 모듈(100)의 배터리셀(110)에 인접한 측의 반대측에 위치된다.
The auxiliary current conducting member 300 is formed in a shape of a letter C and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connection portion 330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ly extending portion 242 of the main energizing member 200,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module 100 adjacent to the battery cell 110.

아울러,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1000)의 연결 구조는 상기 제1탭접촉부(210) 및 제2탭접촉부(220)의 단부 각각에 상기 제1전극탭(120,130) 또는 제2전극탭(120,130)이 구비되는 측으로 절곡되도록 연장되는 제1단차부(211) 및 제2단차부(22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도 6 및 도 7에 나타내었다.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battery module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first electrode tabs 120 and 130 or the second electrode tabs 120 and 130 at the ends of the first tab contact portion 210 and the second tab contact portion 220, A first step portion 211 and a second step portion 221 which are extended to be bent to the side where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are formed are preferably formed and shown in Figs. 6 and 7, respectively.

즉, 상기 제1단차부(211) 및 제2단차부(221)는 상기 제1전극탭(120,130) 또는 제2전극탭(120,130)과의 접합성능을 높여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통전부재(200)가 고정되는 위치를 균일하게 제어할 수 있어 상기 보조통전부재(300)에 의해 주통전부재(200)를 연결하는 것이 용이하고, 다수의 서브 배터리 모듈(100)을 연결할 수 있다. That is, the first step 211 and the second step 221 can improve the durability by improving the bonding performance with the first electrode tabs 120 and 130 or the second electrode tabs 120 and 130, The position where the main energizing member 200 is fixed can be uniformly controlled so that it is easy to connect the main energizing member 200 by the auxiliary energizing member 300 and the plurality of sub- have.

도 7에서, 제1단차부(211) 및 제2단차부(221)의 형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단면 사시도를 나타내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주통전부재(200)에 형성된 제1연장부(240-1) 또는 제2연장부(240-2)의 구성이 표현되지 않았다.
7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step portion 211 and the second step portion 221 in order to easily confirm the shape of the first step portion 211 and the second step portion 221. Accordingly, 240-1) or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40-2 is not expressed.

아울러,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1000)의 연결 구조는 전체 배터리 모듈(100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340)가 상기 보조통전부재(30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battery module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ch that a fixing portion 340 for fixing the entire battery module 100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auxiliary energizing member 300.

도 3 내지 도 5는 한 쌍의 서브 배터리 모듈(100)이 주통전부재(200)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주통전부재(200)에 의해 연결된 한 쌍의 서브 배터리 모듈(100) 2개가 상기 보조통전부재(300)에 의해 연결되는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즉, 상기 보조통전부재(300) 하나는 상기 서브 배터리 모듈(100) 4개를 연결한다. 3 to 5 show a state in which a pair of sub battery modules 100 are connected by a main energizing member 200 and two pairs of sub battery modules 100 connected by the main energizing member 200 are connected to the auxiliary The auxiliary energizing member 300 connects four sub-battery modules 100. The sub-energizing member 300 is connected to the sub-

더욱 상세하게, 상기 주통전부재(200)는 한 쌍의 서브 배터리 모듈(100)을 병렬 연결하고, 상기 보조통전부재(300)에 의해 직렬 연결되도록 하나의 주통전부재(200)에 의해 병렬 연결된 한 쌍의 서브 배터리 모듈(100)들이 서로 다른 전극탭(120,130)이 위치되도록 배열된다.More specifically, the main energizing member 200 includes a pair of sub-battery modules 100 connected in parallel, and connected in parallel by one main energizing member 200 so as to be serially connected by the auxiliary energizing member 300 The pair of sub-battery modules 100 are arranged such that different electrode tabs 120 and 130 are located.

도 5에 도시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나의 서브 배터리 모듈(100)은 좌측에 양전극탭(120) 우측에 음전극탭(130)이 위치한 구성이 2개, 다음으로 좌측에 음전극탭(130) 우측에 양전극탭(120)이 위치한 구성이 2개씩 교번되어 높이방향으로 나열되고, 서로 동일한 전극탭(120,130)들은 주통전부재(200)에 의해 연결된다. The example shown in Fig. 5 will be described in detail. One sub battery module 100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wo negative electrode tabs 130 are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positive electrode tab 120 and two positive electrode tabs 120 are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negative electrode tab 130, Two electrode tabs 120 and 130 are alternately arranged in the height direction, and the same electrode tabs 120 and 130 are connected by the main energizing member 200. [

또한, 상기 보조통전부재(300)가 이웃하는 주통전부재(200)를 연결하며, 이 때, 전체 전원을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Further, the auxiliary energizing member 300 connects the neighboring main energizing member 200, and at this time, it is formed to be able to connect the entire power source.

더욱 상세하게, 상기 보조통전부재(300)는 상측으로부터 좌측 첫 번째 및 두 번째에 위치한 주통전부재(200)를 연결하고, 다른 구성이 우측 두 번째 및 세 번째에 위치한 주통전부재(200)를 연결하며, 또 다른 구성이 좌측 세 번째 및 네 번째에 위치한 주통전부재(200)를 연결하며, 이것이 반복된다. More specifically, the auxiliary energizing member 300 connects the first and second left main energizing members 200 from the upper side, and the other is a second energizing member 200 located at the right second and third And another configuration connects the main energizing member 200 located at the left third and fourth, and this is repeated.

또, 도 8은 상기 보조통전부재(300)가 상기 주통전부재(200)에 의해 연결된 한 쌍의 서브 배터리 모듈(100) 4개가 연결되는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 때, 상기 보조통전부재(300) 하나는 상기 서브 배터리 모듈(100) 8개를 연결한다. 8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auxiliary energizing member 300 is connected to four pairs of sub-battery modules 100 connected by the main energizing member 200. At this time, the auxiliary energizing member 300 One connects the eight sub-battery modules 100. The sub-

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서, 주통전부재(200)를 이용하여 서브 배터리 모듈(100)을 병렬 연결하고, 보조통전부재(300)를 이용하여 병렬 연결된 한 쌍의 서브 배터리 모듈(100)들을 직렬 연결하는 더욱 다양한 형태들이 이용될 수 있다.
These a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sub-battery modules 100 are connected in parallel using main energizing member 200 and a pair of sub-battery modules 100 connected in parallel using auxiliary energizing member 300 are connected in series Many more forms of connecting can be used.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1000)의 연결 구조는 주통전부재(200)가 2개의 서브 배터리 모듈(100)을 병렬 연결하고, 보조통전부재(300)가 주통전부재(200)에 의해 병렬 연결된 2개의 서브 배터리 모듈(100)을 직렬 연결함으로써 배터리셀(110)의 병렬 및 직렬 연결이 용이하고, 이에 따라 전체 배터리 모듈(1000)의 전압 및 전류 조절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battery modul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the main energizing member 200 connects the two sub battery modules 100 in parallel and the auxiliary energizing member 300 is connected to the main energizing member 200 by the main energizing member 200 The parallel connection and the series connection of the battery cells 110 can be facilitated by connecting the two sub-battery modules 100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in series, so that the voltage and current of the entire battery module 1000 can be easily controlled.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The technical idea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eing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00 : 배터리 모듈
100 : 서브 배터리 모듈
110 : 배터리셀
120 : 양전극탭 130 : 음전극탭
140 : 케이스
200 : 주통전부재
210 : 제1탭접촉부 211 : 제1단차부
220 : 제2탭접촉부 221 : 제2단차부
230 : 평면부
240-1 : 제1연장부
240-2 : 제2연장부
241 : 높이방향 연장부 242 : 수평방향 연장부
300 : 보조통전부재
310 : 제1수직부 320 : 제2수직부
330 : 연결부 340 : 고정부
1000: Battery module
100: Sub battery module
110: Battery cell
120: positive electrode tab 130: negative electrode tab
140: Case
200: main energizing member
210: first tab contact portion 211: first step portion
220: second tab contact portion 221: second step portion
230:
240-1: first extension part
240-2: second extension part
241: height direction extending portion 242: horizontal direction extending portion
300: auxiliary energizing member
310: first vertical part 320: second vertical part
330: connection part 340:

Claims (8)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배터리셀, 상기 배터리셀과 연결되어 외부로 각각 노출되는 한 쌍의 전극탭을 포함하는 서브 배터리 모듈이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된 배터리 모듈에 있어서,
한 쌍의 서브 배터리 모듈의 이웃하는 전극탭 사이에 구비되어 각각 접합되는 주통전부재;
상기 서브 배터리 모듈의 적층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주통전부재를 연결하는 보조통전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주통전부재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제1탭접촉부 및 제2탭접촉부를 포함하여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탭접촉부 및 제2탭접촉부는 이웃하는 전극탭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A battery module having a case, a battery cell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a sub-battery module including a pair of electrode tabs connected to the battery cell and exposed to the outside, are connected in parallel or in series,
A main energizing member provided between neighboring electrode tabs of the pair of sub-battery modules and joined to each other;
An auxiliary energizing member formed in a stacking direction of the sub battery modules and connecting the main energizing member; Lt; / RTI >
Wherein the main energizing member is formed in a bent shape including a first tab contact portion and a second tab contact portion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Wherein the first tab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tab contact portion are bonded to opposing surfaces of neighboring electrode tab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은
상기 전극탭이 양전극탭 및 음전극탭으로 이루어지며,
하나의 주통전부재에 의해 한 쌍의 서브 배터리 모듈의 양전극탭이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주통전부재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서브 배터리 모듈의 음전극탭이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서브 배터리 모듈이 병렬 연결되며, 상기 보조통전부재에 의해 직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ttery module
Wherein the electrode tab comprises a positive electrode tab and a negative electrode tab,
Wherein the pair of sub-battery modules are connected in parallel by a main energizing member,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s of the pair of sub-battery modules are connected by another main energizing member, And the battery module is connected in series by the auxiliary energizing memb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통전부재는 상기 주통전부재에 의해 연결된 한 쌍의 서브 배터리 모듈 둘 이상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auxiliary energizing member connects two or more of the pair of sub-battery modules connected by the main energizing memb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통전부재는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의 양단부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양전극탭 또는 음전극탭과 접합되는 제1탭접촉부 및 제2탭접촉부를 포함하여 단면이 "ㄷ"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3. The method of claim 2,
The main energizing member includes a planar portion and a first tab contact portion and a second tab contact portion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both ends of the planar portion and joined to the positive electrode tab or the negative electrode tab, The battery module compris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통전부재는 상기 보조통전부재와 접합되는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ain energizing member has a first extending portion and a second extending portion joined to the auxiliary energizing memb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통전부재는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수직부 및 제2수직부와, 상기 제1수직부 및 제2수직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는 각각 상기 주통전부재의 평면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수직부 또는 제2수직부와 접합되는 높이방향 연장부와, 상기 높이방향 연장부의 단부가 상기 주통전부재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연결부의 전체 또는 일정 영역과 접합되는 수평방향 연장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auxiliary energizing member includes a pair of first vertical portions and second vertical portion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vertical portion and the second vertical portion,
Wherein the first extending portion and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are respectively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ne portion of the main energizing member and joined to the first vertical portion or the second vertical portion, And a horizontally extending portion bent to the outside of the main energizing member and joined to the entire or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통전부재는 고정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auxiliary energizing member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xed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통전부재는 상기 제1탭접촉부 및 제2탭접촉부의 단부 각각에 상기 양전극탭 또는 음전극탭이 구비되는 측으로 절곡되도록 연장되는 제1단차부 및 제2단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ain energizing member has a first step portion and a second step portion that are extended to be bent to the side where the positive electrode tab or the negative electrode tab is provided on each of the ends of the first tab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tab contact portion, .
KR1020110093444A 2011-09-16 2011-09-16 Connecting Structure of Secondary Battery Cell KR1018914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444A KR101891481B1 (en) 2011-09-16 2011-09-16 Connecting Structure of Secondary Battery Ce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444A KR101891481B1 (en) 2011-09-16 2011-09-16 Connecting Structure of Secondary Battery Cel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982A KR20130029982A (en) 2013-03-26
KR101891481B1 true KR101891481B1 (en) 2018-08-24

Family

ID=48179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3444A KR101891481B1 (en) 2011-09-16 2011-09-16 Connecting Structure of Secondary Battery Ce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148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848B1 (en) * 2013-11-13 2020-06-02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Battery Module and Manufacturing the Same
KR102209769B1 (en) 2017-06-07 2021-01-28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Module
KR102258172B1 (en) 2017-09-29 2021-05-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7334A (en) 2002-04-08 2003-10-17 Nissan Motor Co Ltd Connecting structure of thin form batteries and pack battery
JP2004055492A (en) * 2002-07-24 2004-02-19 Nissan Motor Co Ltd Thin battery module
WO2007063877A1 (en) * 2005-12-01 2007-06-07 Nec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electrical device assembly
WO2011092782A1 (en) 2010-01-28 2011-08-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Cell module
JP2011181369A (en) 2010-03-02 2011-09-15 Denso Corp Laminated cell battery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625B1 (en) * 2008-03-07 2011-09-26 주식회사 엘지화학 Middle and Large-Sized Battery Module Having Electrode Terminal Connecting Member and Insulating Joint Memb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7334A (en) 2002-04-08 2003-10-17 Nissan Motor Co Ltd Connecting structure of thin form batteries and pack battery
JP2004055492A (en) * 2002-07-24 2004-02-19 Nissan Motor Co Ltd Thin battery module
WO2007063877A1 (en) * 2005-12-01 2007-06-07 Nec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electrical device assembly
WO2011092782A1 (en) 2010-01-28 2011-08-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Cell module
JP2011181369A (en) 2010-03-02 2011-09-15 Denso Corp Laminated cell battery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982A (en) 2013-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3208B1 (en) Battery module of improved welding reliability and battery pack employed with the same
JP6510633B2 (en) Battery pack case with efficient cooling structure
KR102094445B1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comprising the battery module and vehicle comprising the battery pack
KR101509474B1 (en) Battery Assembly Having Single Electrode Terminal Connecting Part
US10454083B2 (en) Battery module
US20140127550A1 (en) Battery module of improved reliability and battery pack employed with the same
EP2690684A2 (en) Battery cell holder having improved connection reliability,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same
JP2013534361A (en) Rechargeable battery with improved lead structure
US11456500B2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including battery module, and vehicle including battery pack
US20110008670A1 (en) Battery module
KR102055852B1 (en) Pouch-type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modified leads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the same
KR20120074425A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employed with the same
KR20210061619A (en) Electrode Assembly having Electrode Lead Combined with Multiple Metal Sheets and Method thereof
KR20150137840A (en) Unit battery module and Battery module having the same
US20140255761A1 (en) Battery cel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0904375B1 (en) Fuse-installed Battery Cartridge And Battery Module Having The Same
KR101891481B1 (en) Connecting Structure of Secondary Battery Cell
EP2450979B1 (en) Battery module
KR101658587B1 (en)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KR102008967B1 (en) Battery pack
KR20130061425A (en) Battery module for secondary battery
KR102113156B1 (en) The battery module
KR20130019492A (en) Parallel connecting structure of parallel connecting for secondary battery cell
KR101577494B1 (en)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multiple electrode assembly
KR20150122340A (en) Jelly-Roll Type Electrode Assembly Having Multi Electrode Tab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