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1433B1 - 전원 노이즈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노이즈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1433B1
KR101891433B1 KR1020170026492A KR20170026492A KR101891433B1 KR 101891433 B1 KR101891433 B1 KR 101891433B1 KR 1020170026492 A KR1020170026492 A KR 1020170026492A KR 20170026492 A KR20170026492 A KR 20170026492A KR 101891433 B1 KR101891433 B1 KR 101891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input
external power
voltage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6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홍우
형재필
이영주
정의효
이민혁
원동조
김준성
장인혁
이성재
김수경
송정성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26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4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32Specific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36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 G01R31/2839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using signal generators, power supplies or circuit analysers
    • G01R31/2841Signal gener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26Measuring noise figure; Measuring signal-to-noise ratio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317Testing of digital circuits
    • G01R31/31708Analysis of signal quality
    • G01R31/31709Jitter measurements; Jitter gener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 노이즈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전원 노이즈 발생장치는, 외부 전원을 입력하는 전원 입력부와; 입력되는 외부 전원에 노이즈 신호를 부가하는 노이즈 부가부; 및 상기 노이즈 신호가 부가된 외부 전원을 피시험체에 공급하는 전원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원 노이즈 발생장치{POWER NOISE GENER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원 노이즈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험 대상에서 노이즈 종류에 대한 대책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직류 전원 노이즈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대부분의 각종 전자, 전기 제품의 내부에는 통상적으로 외부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내부의 회로에 알맞은 또는 안정된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이하 전원부라 함)가 구비된다.
이러한 전원부는 통상적으로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회로에 알맞은 레벨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 경우 교류전원의 불안정이나 회로적인 불안정 등의 각종 원인으로 인한 노이즈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출력되는 직류전원의 레벨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전원부 설계의 주요 관건이다.
따라서 전원부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전원의 노이즈 성분을 검출한다.
전원부 출력전원을 계측기를 통해 측정하여 미리 설정된 레벨과 비교하게 된다.
비교 결과 측정한 레벨이 정상 레벨의 범위 내에 있으면, 전원부의 신뢰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노이즈를 검출함이 전원부의 신뢰성을 판단하기 위함으로, 실제 피시험체의 노이즈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노이즈를 전류 및 전압 노이즈 별로, 구성하여 어느 노이즈에 영향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1997-0055152호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실험 대상에서 노이즈 종류에 대한 대책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직류 전원 노이즈 발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전원 노이즈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전원 노이즈 발생장치는, 외부 전원을 입력하는 전원 입력부와; 입력되는 외부 전원에 노이즈 신호를 부가하는 노이즈 부가부; 및 상기 노이즈 신호가 부가된 외부 전원을 피시험체에 공급하는 전원 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노이즈 부가부는, 입력되는 상기 외부 전원에 전류 노이즈와 전압 노이즈를 설정된 값으로 설정하여 부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이즈 부가부는, 상기 전원 출력부로부터 상기 노이즈 신호가 부가된 외부 전원을 피시험체에 공급된 이후의 결과값을 전송 받아 상기 결과값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결과값이 기설정되는 기준 결과값 범위에 포함되도록 상기 전류 노이즈와 전압 노이즈를 가변시켜 설정된 값으로 재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이즈 부가부는, 상기 피 시험체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전류 노이즈와 전압 노이즈의 값이 서로 다른 값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이즈 부가부는, 입력되는 상기 외부 전원에 포함되는 입력 노이즈 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입력 노이즈 신호에 포함되는 입력 전류 노이즈와 입력 전압 노이즈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입력 전류 노이즈와 상기 입력 전압 노이즈에 상기 노이즈 부가부를 통해 부가된 노이즈 값을 가감하여, 상기 설정된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실험 대상인 피 시험체에서의 노이즈의 종류에 대한 대책 또는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직류 전원 노이즈 발생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직류 전원 노이즈 발생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노이즈 부가부의 구동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노이즈 부가부의 다른 구동의 예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노이즈 부가부의 또 다른 구동의 예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본 발명에 따르는 노이즈 부가부의 또 다른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 하여, 본 발명의 직류 전원 노이즈 발생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직류 전원 노이즈 발생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직류 전원 노이즈 발생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노이즈 부가부의 구동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 도 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직류 전원 노이즈 발생장치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 도 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직류 전원 노이즈 발생장치는 크게 전원 입력부(100)와, 노이즈 부가부(200)와, 전원 출력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 입력부(100)는 외부 전원을 입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노이즈 부가부(200)는 상기 전원 입력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입력되는 외부 전원에 노이즈 신호를 부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되는 상기 외부 전원에 전류 노이즈와 전압 노이즈를 설정된 값으로 설정하여 부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 출력부(300)는 상기 노이즈 부가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노이즈 신호가 부가된 외부 전원을 피시험체에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노이즈 부가부(200)는, 노이즈 신호를 설정된 범위에서 순차적으로 부가하도록 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노이즈 부가부(200)는 상기 노이즈 신호를 설정된 범위에서 순차적으로 부가하는 도중에, 측정 범위에서 반복적으로 부가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반복 회수는 외부 입력기(미도시)로부터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피 시험체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전류 노이즈와 전압 노이즈의 값이 서로 다른 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노이즈 부가부의 다른 구동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노이즈 부가부(200)는, 저장부(미도시)와, 재설정부(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전원 출력부(300)로부터 상기 노이즈 신호가 부가된 외부 전원을 피시험체에 공급된 이후의 결과값을 전송 받아 상기 결과값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재설정부는 상기 결과값이 기설정되는 기준 결과값 범위에 포함되도록 상기 전류 노이즈와 전압 노이즈를 가변시켜 설정된 값으로 재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준 결과값은, 피 시험체가 자체의 고유의 특성값을 유지할 수 있을 수 있는 또는 견딜 수 있는 노이즈 신호의 수준 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피 시험체가 고유의 특성값을 유지할 수 있는 전류 노이즈 및 전압 노이즈 각각의 수준을 즉시 판단할 수도 있다.
그리고, 판단된 전류 노이즈 및 전압 노이즈 각각의 수준을 상기 결과값으로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여 재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른 피 시험체로 전달되는 노이즈 신호를 부가하는 경우, 재설정된 결과값을 기초로, 실시하여, 피 시험체들 간의 노이즈 신호에 대한 영향을 시험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노이즈 부가부의 또 다른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노이즈 부가부(200)는, 입력되는 상기 외부 전원에 포함되는 입력 노이즈 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입력 노이즈 신호에 포함되는 입력 전류 노이즈와 입력 전압 노이즈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입력 전류 노이즈와 상기 입력 전압 노이즈에 상기 노이즈 부가부가 부가하는 노이즈 값을 가감하여, 상기 설정된 값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외부 전원에 포함되는 전류 및 전압 노이즈를 미리 추출하여, 설정되는 각각의 전류 및 전압 노이즈를 이루도록 설정값을 가변적으로 설정하여, 실제 피 시험체로 공급되는 노이즈 신호가 가변되는 것을 방지하여, 시험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본 발명에 따르는 노이즈 부가부의 또 다른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노이즈 부가부(200)는 노이즈 분류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입력부(100)로부터 외부 전원이 입력되면, 노이즈 분류부는 입력되는 외부 전원에 포함되는 노이즈 신호를 추출한다.
이어, 노이즈 분류부는 추출되는 노이즈 신호를 전류 및 전압 노이즈 신호로 분류한다.
그리고, 상기 노이즈 분류부는 분류된 상기 전류 및 전압 노이즈를 상기 전원 출력부(300)로 전송한다.
상기 전원 출력부(300)는 상기 전류 및 전압 노이즈를 각각 피 시험체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 출력부(300)는 제어기(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전원 출력부(300)를 사용하여, 전류 노이즈, 전압 노이즈 각각을 독립적으로 피 시험체로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기는 전류 노이즈, 전압 노이즈 각각을 설정된 수준 범위 내에서 순차적으로 전송한다.
이어, 피 시험체와 연결된 분석기(미도시)는, 전류 노이즈, 전압 노이즈 각각을 설정된 수준 범위 내에서 순차적으로 전송됨에 따르는 특성값을 저장하고, 저장되는 특성값이 피 시험체의 고유의 특성값에 포함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저장되는 특성값이 피 시험체의 고유의 특성값에 포함되는 값만을 유효값으로 선정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피시험체가 전류 및 전압 노이즈 중 어느 노이즈에 영향이 있는 지의 여부를 분류하여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제어기는 전류 노이즈, 전압 노이즈를 설정된 비율을 이루도록 하여 피 시험체로 순차적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피시험체가 전류 및 전압 노이즈가 혼합된 비율 중, 어느 노이즈에 더 비중이 있도록 영향이 있는 지의 여부를 분류하여 판단할 수도 있다.
상기의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실험 대상인 피 시험체에서의 노이즈의 종류에 대한 대책 또는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전원 노이즈 발생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전원 입력부
200 : 노이즈 부가부
300 : 전원 출력부

Claims (5)

  1. 외부 전원을 입력하는 전원 입력부;
    입력되는 외부 전원에 노이즈 신호를 부가하는 노이즈 부가부; 및
    상기 노이즈 신호가 부가된 외부 전원을 피시험체에 공급하는 전원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노이즈 부가부는, 입력되는 상기 외부 전원에 전류 노이즈와 전압 노이즈를 설정된 값으로 설정하여 부가하고,
    상기 노이즈 부가부는,
    입력되는 상기 외부 전원에 포함되는 입력 노이즈 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입력 노이즈 신호에 포함되는 입력 전류 노이즈와 입력 전압 노이즈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입력 전류 노이즈와 상기 입력 전압 노이즈에 상기 노이즈 부가부를 통해 부가된 노이즈 값을 가감하여, 상기 설정된 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노이즈 발생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부가부는,
    상기 전원 출력부로부터 상기 노이즈 신호가 부가된 외부 전원을 피시험체에 공급된 이후의 결과값을 전송 받아 상기 결과값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결과값이 기설정되는 기준 결과값 범위에 포함되도록 상기 전류 노이즈와 전압 노이즈를 가변시켜 설정된 값으로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노이즈 발생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부가부는,
    상기 피 시험체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전류 노이즈와 전압 노이즈의 값이 서로 다른 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노이즈 발생장치.
  5. 삭제
KR1020170026492A 2017-02-28 2017-02-28 전원 노이즈 발생장치 KR101891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492A KR101891433B1 (ko) 2017-02-28 2017-02-28 전원 노이즈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492A KR101891433B1 (ko) 2017-02-28 2017-02-28 전원 노이즈 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1433B1 true KR101891433B1 (ko) 2018-08-24

Family

ID=63454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6492A KR101891433B1 (ko) 2017-02-28 2017-02-28 전원 노이즈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143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71817B2 (ja) * 2007-05-28 2013-03-27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半導体試験装置および試験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71817B2 (ja) * 2007-05-28 2013-03-27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半導体試験装置および試験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4329B2 (en) Method for estimating the ageing of a battery
CN105765392B (zh) 用于对电的线缆中的局部放电进行定位的方法和装置
US10139454B2 (en) Test device and alternating current power detection method of the same
CN108872880A (zh) 一种开关电源emi测试装置及方法
RU2014153145A (ru) Проверка тока контура управления процессом
JP2009145205A (ja) 部分放電検査装置
KR101891433B1 (ko) 전원 노이즈 발생장치
US20090093987A1 (en) Method for accurate measuring stray capacitance of automatic test equipment and system thereof
JP6482784B2 (ja) 欠陥のある電気ケーブルの特定
AU2012286525B2 (en) Spark testing apparatus
CN105093084A (zh) 一种局部放电自动测试装置
KR101677553B1 (ko) 전기적 연속성과 절연저항 측정을 통한 전기자동차 절연안정성 평가 장치
US9625520B2 (en) Latch-up test device and method for testing wafer under test
CN112731084B (zh) 一种变压器测试装置和测试方法
CN107534265B (zh) 用于触发脉冲光源的方法和设备
US11162988B2 (en) Load impedance tester and measurement method
GB2603060A (en) Unit verification method and device
KR101882945B1 (ko) 실시간 절연상태 점검 시스템.
US20050231188A1 (en) Method and circuit for conducting AC offset current compensation and testing device using the same
CN109856457A (zh) 一种自适应负载阻抗检测系统和方法
US6445207B1 (en) IC tester and IC test method
Hewitt et al. Electrolytic capacitor age estimation using prbs-based techniques
JP7154444B1 (ja) 対象機器の個体判定装置及び個体判定方法
US20170205449A1 (en) Test device and alternating current power detection method of the same
CN114047419B (zh) 可控硅检测仪及可控硅性能检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