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1323B1 - Buried type quick connector for pretension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pile post and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at - Google Patents

Buried type quick connector for pretension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pile post and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a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1323B1
KR101891323B1 KR1020160074766A KR20160074766A KR101891323B1 KR 101891323 B1 KR101891323 B1 KR 101891323B1 KR 1020160074766 A KR1020160074766 A KR 1020160074766A KR 20160074766 A KR20160074766 A KR 20160074766A KR 101891323 B1 KR101891323 B1 KR 101891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ile
inclined surface
ring
connection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47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41553A (en
Inventor
이준희
이지현
이상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산플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산플랜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산플랜트
Priority to KR1020160074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323B1/en
Publication of KR20170141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15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3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2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3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6Connection means between pile se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8Prestressed concrete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제1파일과 일체로 제작되도록 상기 제1파일에 구비되는 제1강선에 거치되는 제1플레이트; 제2파일과 일체로 제작되도록 상기 제2파일에 구비되는 제2강선에 거치되는 제2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와 동시에 밀착되며 감싸도록 배치되는 연결링부; 및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와 상기 연결링부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연결링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1파일 사이에 개재되는 제1돌출부; 상기 연결링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와 상기 제2파일 사이에 개재되는 제2돌출부; 및 상기 연결링부를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연결부위에 결합시키는 볼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gital watermark embedding apparatus comprising: a first plate mounted on a first steel wire provided in the first file so as to be integrally formed with a first file; A second plate mounted on a second steel wire provided in the second file so as to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cond file; A connection ring portion closely attached to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so as to be enclosed; And a fixing portion for maintaining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nection ring portion, wherein the fixing portion includes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connection ring portion and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first file A first projection;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connecting ring portion and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plate and the second file; And a bolt member for coupling the connecting ring portion to a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Description

매립형 PHC파일용 신속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파일 시공방법 {BURIED TYPE QUICK CONNECTOR FOR PRETENSION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PILE POST AND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AT}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quick connect device for a buried type PHC file, and a f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quick connect device for a buried type PHC file.

본 발명은 매립형 PHC파일용 신속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파일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PHC파일 제작 시에 일체형으로 제작하고, 용접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며, 연결장치의 무게 및 부품 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PHC파일 또는 파일 단부에 구비되는 슈를 변형시키지 않고 끼움결합에 의해 제1파일과 제2파일을 일체로 구속하며, 현장 여건에 따라 용접 이음 또는 볼트부재 및 너트부재에 의한 연결방식으로 쉽게 전환시켜 PHC파일을 연결할 수 있는 매립형 PHC파일용 신속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파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quick connection device for a portable PHC file and a f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quick connection device for a portable PHC file, And the first file and the second file are integrally restrained by fit-engagement without deforming the shoe provided at the PHC file or the end of the file, and the joint can be welded or welded by the bolt member and the nut memb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quick connect device for a portable PHC file and a f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quick connect device.

일반적으로 지반에 토목공사나 건축공사를 하는 경우에는 지반의 보강을 위하여 콘크리트 파일을 박고 그 위에 기초공사를 시공한다.Generally, in the case of civil engineering works or construction work on the ground, concrete piles are put in order to reinforce the ground, and foundation work is carried out thereon.

이와 같은 콘크리트 파일은 비교적 제조단가가 저렴하고 수직방향 하중에 높은 저항을 하기 때문에 주로 건축물의 기초공사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Such concrete piles are widely used for foundation work of buildings because they are relatively inexpensive to manufacture and have high resistance to vertical load.

그리고 콘크리트 파일은 지반조건에 따라 박혀 들어가야 하는 깊이가 다르며 연약지반의 경우에 2개 이상의 파일을 이어서 박는 경우가 있다.And concrete piles have different depths to be embedded according to the ground conditions. In case of soft ground, two or more files may be piled up.

즉 종래 콘크리트 파일의 이음은 콘크리트 파일의 끝단 부에 철강제의 좌판을 설치하여 이를 용접으로 잇는 방식을 채용한다.That is, the joint of the conventional concrete pile adopts a method in which a seat made of steel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concrete pile and the pile is welded.

이와 같은 용접에 의한 이음방식은 철강제의 좌판을 미리 콘크리트 파일의 끝단부에 결합하여야 하며, 좌판의 유무 및 위치에 따라 상부, 중부 및 하부 연결콘크리트 파일과, 일반 콘크리트 파일과 같은 많은 종류의 파일을 제작, 적재하여야 한다.In the jointing method using welding, the seat made of steel is to be connected to the end portion of the concrete pile in advance.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the position of the seat, various kinds of files such as upper, middle and lower connection concrete files and ordinary concrete files Should be produced and loaded.

상부 연결콘크리트 파일은 하단에 좌판을 설치하여야 하고, 중부 연결콘크리트 파일은 상단과 하단에 좌판을 설치하여야 하며, 하부 연결콘크리트 파일은 상단에 좌판을 연결하여야 하고, 일반콘크리트 파일은 좌판이 없다.The upper connection concrete file should be installed on the lower side with the left side panel. The middle connection concrete file should have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side plate. The lower connection concrete file should connect the upper side to the upper side.

그러나 이러한 많은 종류의 콘크리트 파일은 파일제작현장에 보관공간의 확보를 요구하게 되고, 좌판의 불필요한 재고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many kinds of concrete files require the storage space in the file production site, and the cost due to the unnecessary inventory of the seat is increased.

또한 용접에 의한 이음방식은 시공현장에서 용접을 하여야 하므로 이음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시공현장 주변 환경이 열악하므로 완벽한 이음을 기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lso, since the jointing method by welding requires welding at the construction site, it takes a lot of time for the jointing and the environment around the construction site is poor, so that a perfect joint can not be expected.

따라서 근자에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볼트로 체결되어 연결하도록 된 이음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developed a joint device which is fastened with a bolt and connect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상기와 같은 볼트체결방식의 이음장치로는 한국특허등록 제10-835778호(명칭: 콘크리트 파일의 탈부착가능 이음장치)가 있으며, 상기 한국특허등록 제10-835778호의 콘크리트 파일의 탈부착가능 이음장치는 공보에 게재된 바와 같이 중심부에 상부 콘크리트 파일의 중공부 내경과 동일한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경이 상부 콘크리트파일의 외경과 동일하며 상부 콘크리트 파일의 PC 너트에 대응한 위치에 관통공이 천공되어 있는 상부원판과, 중심부에 하부 콘크리트 파일의 중공부 내경과 동일한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경이 하부 콘크리트 파일의 외경과 동일하며 하부 콘크리트 파일의 PC너트에 대응한 위치에 관통공이 천공되어 있는 하부원판과, 상부원판과 하부원판의 사이에 일체로 연결된 연결수직부재가 구성되어 있는 이음장치에서, 상부원판의 가장자리와 하부원판의 가장자리 사이를 연결하며, 일정 원주방향 간격마다 관통공이 형성되고, 적어도 한부분이 수직방향으로 절개된 환형링과, 상기 연결수직부재에 상기 환형링의 관통공과 대응되는 부분에 볼트공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수직부재인 중앙관과, 상기 환형링의 관통공을 관통시키는 동시에 중앙관의 볼트공에 체결되는 볼트로 구성된 것으로 이루어진다.The above-mentioned joint device of the bolt fastening system include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835778 (name: detachable coupling device for concrete file), and the detachable coupling device for the concrete file of Korean Patent No. 10-835778 As shown in the Gazette, an upper disk having an inner diameter equal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hollow portion of the upper concrete pile at the center, an outer diameter equal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upper concrete pile, and a through hol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C nut of the upper concrete pile A lower circular plate in which a hollow portion having the same inner diameter as the hollow portion of the lower concrete pile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and the outer side is the same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concrete pile and the through hole is dri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C nut of the lower concrete pile, And a connecting vertical member integrally connected between the lower disk and the lower disk, An annular ring which connects between the edge of the auxiliary disk and the edge of the lower disk and has a through hole formed at every circumferential interval and at least one of which is cu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bolt threaded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annular ring and fastened to the bolt hole of the center pipe.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기존의 콘크리트 파일의 이음장치는 환형링에 의하여 항타력이 골고루 분산되어 하부로 전달되게 되어 있으므로 제2파일 및 이음장치의 파손 및 변형이 일어나지 않으며, 그에 따라 이음강도를 강하게 한다.In the conventional concrete pile joint device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since the anti-pulling force is uniformly distributed by the annular ring and is transmitted to the lower portion, breakage and deformation of the second pile and the joint device do not occur, thereby enhancing the joint strength.

또한 시공현장에서 비로소 이음장치가 사용되므로 미리 여러 종류의 콘크리트 파일과 많은 양의 이음장치를 제작해 놓을 필요가 없으며, 그에 따라 재고량이 적게 되며 보관 장소 및 보관비용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볼트체결에 의하여 견고한 이음작업이 가능하므로 시공현장에서의 작업이 용이하다.In addition, since the jointing device is used at the construction site, it is not necessary to prepare various types of concrete files and a large amount of jointing devices in advance,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inventory, It is easy to work on the construction site because it is possible to do solid jointing work.

상기한 바와 같은 볼트체결 형상의 콘크리트 파일의 이음장치는 이음장치를 구성하는 환형링(외부링)을 연결수직부재에 볼트체결하여 결합을 할 때, 다수의 볼트를 체결해야만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above-mentioned joint device for a concrete pile with a bolt-fastened shape requires a large number of bolts to be fastened when bolts are fastened to the connecting vertical member by an annular ring (outer ring) There is a problem that productivity is low.

또한 환형링(외부링)의 양단이 맞대어지면서 고정될 때, 맞대어지는 양단부와 연결수직부재와의 결속력이 약하여 밀폐성이 떨어짐은 물론 결합 또한 비 안정적인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both ends of the annular ring (outer ring) are fixe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 is a problem that both ends of the annular ring (outer ring)

즉 환형링의 양단부가 수직 일자형상의 단부를 가지어, 장시간 사용 시 양단이 서로 벌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both end portions of the annular ring have end portions in the shape of a vertical straight line, so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both ends are widened when used for a long time.

그리고 상부원판과 하부원판 및 연결수직부재의 부피가 커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지 못함은 물론, 제조가 불편하여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Also, the volume of the upper disk, the lower disk, and the connecting vertical member are so large that they are not easy to transport and store, and the productivity is low due to inconvenience in manufacturing.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콘크리트 파일의 이음장치는, 상부 콘크리트 파일의 선단과 고정볼트로 체결되는 체결공을 가지는 상부판과, 하부 콘크리트 파일의 상단과 고정볼트로 체결되는 체결공을 가지는 하부판과, 상부판과 하부판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수직판을 포함하는 2개 이상의 연결블럭으로 이루어지고, 연결블럭들은 평면상 원형을 이루도록 결합되고, 연결블럭의 전면 및 배면은 타 연결블럭과의 연결시 평면상 원형을 이룰 수 있는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부판과 하부판은 수직판 보다 전면으로 연장돌출되어 있으며, 상부판과 하부판이 가장자리 부위의 수직판 전면에는 환형상의 외부링이 결합되고, 외부링의 양단에는 수평상 서로 맞춤 결합되어 밀착되는 절곡홈이 서로 대응되는 방향측에 구비되는 특징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 joint device for a concrete pile developed has a top plate having a fastening hole to be fastened with a fastening bolt at the tip of an upper concrete pile, a fastening hole to be fastened with an upper end of the lower concrete pile, Wherein the connecting block is composed of two or more connecting blocks including a bottom plate and a vertical plate vertically connecting the top plate and the bottom plate so that the connecting blocks are circularly formed in a plane, Wherei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re extend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vertical plate and the annular outer ring is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vertical plate having the edge portions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nd both ends of the ring are provided on the side in which the bending groove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07092호(2012년 11월 30일 공고, 발명의 명칭 : 콘크리트 파일의 이음장치)에 개시(開示)되어 있다.
BACKGROUND ART [0002] 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207092 (published on Nov. 30, 2012, entitled " Concrete pile joining device ").

종래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의 이음장치는, 상부판과 수직판을 연결하는 체결부재와, 하부판과 수직판을 연결하는 체결부재가 수직판 내부에서 조립되기 때문에 수직판 내부에 작업자가 체결부재의 조립을 행할 수 있는 작업공간이 요구되므로 수직판의 높이를 줄일 수 없어 이음장치의 재료비를 절감할 수 없고, 이음공정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없으며, 수직판에 의한 연결부위의 길이를 줄이기 어려워 연결강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Since the fasten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upper plate and the vertical plate and the fasten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lower plate and the vertical plate are assembled in the vertical plate, it is possible for the operator to insert the fastening member Since the height of the vertical plate can not be reduced, the material cost of the jointing device can not be reduced, the time and cost required for the jointing process can not be reduced, and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por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nection strength is lowered.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의 이음장치는, 작업 현장의 여건에 따라 연결방식을 변경하기 어렵기 때문에 다양한 여건에 맞는 적합한 연결공정을 진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connection mode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work site, so that it is difficult to carry out a proper connection process suitable for various conditions.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improvement.

본 발명은 PHC파일 제작 시에 일체형으로 제작하고, 용접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며, 연결장치의 무게 및 부품 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PHC파일 또는 파일 단부에 구비되는 슈를 변형시키지 않고 끼움결합에 의해 제1파일과 제2파일을 일체로 구속하며, 현장 여건에 따라 용접 이음 또는 볼트부재 및 너트부재에 의한 연결방식으로 쉽게 전환시켜 PHC파일을 연결할 수 있는 매립형 PHC파일용 신속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파일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DUSTRIAL APPLIC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PHC pile in an integrated form, omit the welding process, reduce the weight and the number of parts of the connecting device, A fast connection device for a portable PHC file capable of easily connecting a PHC file by easily connecting the first file and the second file together by welding or by a bolt member and a nut member according to a site condition, The purpose of the file construction method is to provide.

본 발명은, 제1파일과 일체로 제작되도록 상기 제1파일에 구비되는 제1강선에 거치되는 제1플레이트; 제2파일과 일체로 제작되도록 상기 제2파일에 구비되는 제2강선에 거치되는 제2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와 동시에 밀착되며 감싸도록 배치되는 연결링부; 및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와 상기 연결링부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연결링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1파일 사이에 개재되는 제1돌출부; 상기 연결링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와 상기 제2파일 사이에 개재되는 제2돌출부; 및 상기 연결링부를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연결부위에 결합시키는 볼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gital watermark embedding apparatus comprising: a first plate mounted on a first steel wire provided in the first file so as to be integrally formed with a first file; A second plate mounted on a second steel wire provided in the second file so as to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cond file; A connection ring portion closely attached to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so as to be enclosed; And a fixing portion for maintaining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nection ring portion, wherein the fixing portion includes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connection ring portion and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first file A first projection;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connecting ring portion and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plate and the second file; And a bolt member for coupling the connecting ring portion to a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파일에는 슈를 이루는 제1마감링부에 상기 제1돌출부가 삽입되는 제1삽입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삽입홈부에는 상기 볼트부재가 결합되는 제1결합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first fil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insertion groove portion into which the first projection is inserted is formed in a first closing ring portion forming a shoe, and a first coupling hole portion in which the bolt member is coupled is formed in the first insertion groove portion. Is formed.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삽입홈부는, 상기 제1마감링부의 단부가 상기 제1파일 내측으로 굴곡되어 일루어지는 제1경사면; 및 상기 제1플레이트의 단부에 상기 제1경사면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insertion groove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inclined surface in which an end of the first closed ring portion is bent and inwardly bent inward of the first pile;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formed at an end of the first plate so as to be incli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돌출부에는 상기 제1경사면과 밀착되는 제1외측경사와, 상기 제2경사면과 밀착되는 제1내측경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project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first outer inclina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a first inner inclina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inclined surface are formed.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파일에는 슈를 이루는 제2마감링부에 상기 제2돌출부가 삽입되는 제2삽입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삽입홈부에는 상기 볼트부재가 결합되는 제2결합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econd file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 insertion groove portion into which the second projection is inserted is formed in a second closing ring portion constituting the shoe, and a second coupling hole portion in which the bolt member is coupled is formed in the second insertion groove portion. Is formed.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삽입홈부는, 상기 제2마감링부의 단부가 상기 제2파일 내측으로 굴곡되어 일루어지는 제3경사면; 및 상기 제2플레이트의 단부에 상기 제2경사면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4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insertion groove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hird inclined surface in which the end of the second closed ring portion is bent and inwardly bent toward the inside of the second pile; And a fourth inclined surface formed at an end of the second plate so as to be incli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inclined surfac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돌출부에는 상기 제3경사면과 밀착되는 제2외측경사와, 상기 제4경사면과 밀착되는 제2내측경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outer inclina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third inclined surface and a second inner inclina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fourth inclined surface are formed.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상기 볼트부재에 체결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의 내벽에 밀찰되는 너트부재; 및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에 구비되고 상기 볼트부재가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를 통과하도록 구비되는 통과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x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nut member coupled to the bolt member passing through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nd being inscribed on the inner walls of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nd a through-hole portion provided i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nd the bolt member passes through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또한, 본 발명은, (a) 제1강선의 머리부가 제1플레이트의 제1결합홈부에 걸림결합되도록 상기 제1강선을 상기 제1플레이트에 삽입하여 PHC파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PHC파일은 현장에 시공하는 단계; (c) 상기 (a) 단계와 동일한 제조방법으로 제조하여 제2플레이트가 일체로 구비되는 제2파일을 제조하고 상기 제1파일 상단에 배치시키는 단계; (d)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를 동시에 감싸도록 연결링부를 배치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연결링부를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연결부위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inserting the first steel wire into the first plate so that the head of the first steel wire is engaged with the first engaging groove of the first plate to produce a PHC file; (b) installing the PHC file on site; (c) fabricating a second file having the second plate integrally manufactured by the same manufacturing method as the step (a), and arranging the second file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file; (d) disposing a connecting ring portion to simultaneously enclose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e) coupling the connection ring portion to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PHC파일용 신속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파일 시공방법은, PHC파일 제조 시에 일체로 결합되는 플레이트를 연결링부에 의해 걸림결합시켜 제1파일 및 제2파일을 연결하므로 플레이트 또는 연결링부를 제1파일 또는 제2파일에 결합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이 요구되지 않게 되어 연결장치의 무게 및 부품 수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quick connect device for a buried type PHC file and the f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haracterized in that a plate integrally coupled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a PHC file is engaged by a connecting ring part to connect the first file and the second file, A separate structure for coupling the ring portion to the first file or the second file is not required, thereby reducing the weight and the number of parts of the connecting devi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PHC파일용 신속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파일 시공방법은, PHC파일 및 PHC파일 단부에 구비되는 슈를 변형시키거나 슈에 플레이트를 용접하지 않고 제1파일 및 제2파일을 걸림결합시켜 연결할 수 있으므로 PHC파일을 변형 또는 파손에 의해 내구성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Further, the quick connect device for a buried type PHC file and the f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buried type PHC f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haracterized in that a first file and a second file So that the PHC fil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urably weakened by deformation or breakag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PHC파일용 신속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파일 시공방법은, 현장의 여건에 따라 높은 연결강도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를 서로 용접한 후에 연결링부를 설치하여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를 용접에 의한 접합공정과 동시에 걸림결합시킬 수 있어 다양한 연결공정을 선택적으로 행하면서 현장 여건에 맞는 적합한 연결공정을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Further, in the case of a quick connection device for a buried type PHC file and a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high connection strength is required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of the site,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re welded to each other,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can be engaged with each other at the same time as the joining process by welding, so that various joining processes can be selectively performed and an appropriate joining process suitable for the site conditions can be perform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PHC파일용 신속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파일 시공방법은, 연결링부를 걸림결합시키도록 플레이트에 고정시키는 볼트부재가 플레이트의 내측 공간부까지 연장되어 너트부재와 체결되므로 볼트부재에 의한 연결링부의 체결력을 향상시켜 플레이트의 걸림결합에 의해 연결되는 PHC파일의 연결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fast connection device for a flush type PHC pile and the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lt member for fastening the connection ring part to the plate is fastened to the inner space part of the plate and fastened to the nut member,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nection strength of the PHC pile connected by the engagement of the plat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PHC파일용 신속 연결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PHC파일용 신속 연결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PHC파일용 신속 연결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PHC파일용 신속 연결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PHC파일용 신속 연결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PHC파일용 신속 연결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quick connect device for a buried PHC f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quick connect device for a buried PHC f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quick connect device for a buried PHC f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quick connect device for a buried PHC f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quick connect device for a buried PHC f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quick connect device for a buried PHC f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PHC파일용 신속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파일 시공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fast connection device for a buried type PHC file and a f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PHC파일용 신속 연결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PHC파일용 신속 연결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PHC파일용 신속 연결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quick connection device for a buried type PHC f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quick connection device for a buried type PHC f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quick connect device for a buried PHC f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PHC파일용 신속 연결장치는, 제1파일(12)과 일체로 제작되도록 제1파일(12)에 구비되는 제1강선(12b)에 거치되는 제1플레이트(32)와, 제2파일(14)과 일체로 제작되도록 제2파일(14)에 구비되는 제2강선(14b)에 거치되는 제2플레이트(34)와, 제1플레이트(32) 및 제2플레이트(34)와 동시에 밀착되며 감싸도록 배치되는 연결링부(50)와, 제1플레이트(32) 및 제2플레이트(34)와 연결링부(50)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한다.1 to 3, a quick connection device for a buried type PHC f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iber 12, a first fiber 12, A second plate 34 mounted on a second steel wire 14b provided on the second pile 14 so as to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cond pile 14, A connection ring portion 50 dispos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plate 32 and the second plate 34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connection ring portion 50 in which the first plate 32 and the second plate 34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nection ring portion 50 And a fixing part for maintaining the state.

PHC파일을 제조할 때에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마감링부(12a)와, 제1마감링부(12a) 내측에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다수 개가 배치되는 강선을 금형 내부에 배치시키고, 금형 내부에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주입하여 압력을 가하며 경화시켜 제1마감링부(12a)가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파일의 단부로부터 파일을 따라 길게 다수 개의 강선이 함침되는 PHC파일을 이루게 된다.When manufacturing the PHC file, a first finishing ring portion 12a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a plurality of steel wires arranged inside the first finishing ring portion 12a at regular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e disposed inside the mold, The first mortise ring 12a is integrally formed at the end thereof and a PHC file is formed in which a plurality of long steel wires are impregnated along the pile from the end of the pile.

본 실시예는, 제1강선(12b)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머리부(12c)가 걸림결합되도록 파일 단부에 제1플레이트(32)를 배치시키고 제1플레이트(32)의 제1결합홀부(32a)에 강선을 삽입하여 PHC파일을 제조하면 파일 단부에 노출된 제1강선(12b)의 제1머리부(12c)에 제1플레이트(32)가 거치된 상태로 제1파일(12)과 제1플레이트(32)가 일체를 이루게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plate 32 is disposed at the end portion of the pile so that the first head portion 12c formed at the end of the first steel wire 12b is engaged with the first plate 32, A PHC file is manufactured by inserting a steel wire into the first fiber 12a and the first fiber 12 in a state where the first plate 32 is mounted on the first head 12c of the first steel wire 12b exposed at the end of the file, And the first plate 32 are integrally formed.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방법으로 제2파일(14)도 제조되며, 제2파일(14)의 단부에는 원통 모양의 제2마감링부(14a)가 일체로 설치되고, 제2파일(14)의 단부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다수 개의 제2강선(14b)이 일정한 간격을 이루며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며, 제2강선(14b)은 제2플레이트(34)의 제2결합홀부(34a)를 관통하여 제2머리부(14c)에 제2플레이트(34)가 거치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The second file 14 is also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end 14a of the second file 14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end of the second file 14, And the second steel wire 14b passes through the second engagement hole 34a of the second plate 34 and is inserted into the second head 34a of the second plate 34. The second steel wire 14b is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second plate 34 is fixed to the portion 14c.

상기한 바와 같이 제1파일(12)의 단부에는 제1플레이트(32)가 일체로 연결되고, 제2파일(14)의 단부에는 제2플레이트(34)가 일체로 연결되는데, 본 실시예는 제1플레이트(32) 및 제2플레이트(34)를 용접작업 또는 체결작업 없이 각각 파일과 일체로 제조되기 때문에 용접작업 또는 체결작업에 의해 제1마감링부(12a), 제2마감링부(14a) 및 파일에 변형 또는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plate 32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irst file 12 and the second plate 34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econd file 14.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first plate 32 and the second plate 34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pile without welding or fastening operation, respectively, the first finishing ring portion 12a, the second finishing ring portion 14a, And the occurrence of deformation or breakage of the file can be prevented.

연결링부(50)는, 반원 모양으로 형성되는 제1연결링(52)과, 반원 모양으로 형성되고 제1연결링(52)과 연결되면 원형을 이루며 제1플레이트(32)와 제2플레이트(34)의 연결부위에 배치되어 제1플레이트(32)와 제2플레이트(34)의 밀착상태가 유지시키는 제2연결링(54)을 포함한다.The connection ring portion 50 has a first connection ring 52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and a second connection ring 52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and having a circular shape when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ring 52, And a second connection ring 54 disposed at a connection portion of the first plate 32 and the second plate 34 to maintain the first plate 32 and the second plate 34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제1연결링(52) 및 제2연결링(54)은 반원 모양으로 형성되고, 볼트부재(58)에 의해 제1플레이트(32)와 제2플레이트(34) 사이의 연결부위에 밀착되게 배치되므로 제1플레이트(32)와 제2플레이트(34)를 동시에 감싸도록 설치되며 제1플레이트(32)와 제2플레이트(34)의 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 first connection ring 52 and the second connection ring 54 are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and are arranged in tight contact with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plate 32 and the second plate 34 by the bolt member 58 So that the first plate 32 and the second plate 34 are simultaneously enclosed and the first plate 32 and the second plate 34 can be kept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고정부는, 연결링부(50)로부터 돌출되고 제1플레이트(32)와 제1파일(12) 사이에 개재되는 제1돌출부(56a)와, 연결링부(50)로부터 돌출되고 제2플레이트(34)와 제2파일(14) 사이에 개재되는 제2돌출부(56b)와, 연결링부(50)를 제1플레이트(32)와 제2플레이트(34)의 연결부위에 결합시키는 볼트부재(58)를 포함한다.The fixing portion includes a first protrusion 56a protruding from the connecting ring portion 50 and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plate 32 and the first pile 12 and a second protrusion 56b protruding from the connecting ring portion 50, And a bolt member 58 for coupling the connecting ring portion 50 to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first plate 32 and the second plate 34. The second protruding portion 56b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plate 32 and the second plate 14, .

제1연결링(52) 및 제2연결링(54) 내벽에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곡선 띠 형상의 제1돌출부(56a)와 제2돌출부(56b)가 형성되므로 제1플레이트(32)와 제2플레이트(34)가 밀착된 상태에서 제1플레이트(32)와 제2플레이트(34)의 연결부위를 감싸도록 제1연결링(52)과 제2연결링(54)을 배치시키면 제1돌출부(56a)와 제2돌출부(56b) 사이의 간격으로 제1플레이트(32)와 제2플레이트(34)의 단부가 삽입되면서 제1플레이트(32)와 제2플레이트(34)가 밀착된 상태로 구속된다.Since the first protrusions 56a and the second protrusions 56b are formed on the inner walls of the first connection ring 52 and the second connection ring 54 at regular intervals and in the form of curved strips, When the first connection ring 52 and the second connection ring 54 are disposed so as to surround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plate 32 and the second plate 34 in a state in which the two plates 34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end portions of the first plate 32 and the second plate 34 are inserted at an interval between the first protrusion 56a and the second protrusion 56b so that the first plate 32 and the second plate 34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

이후에, 제1연결링(52) 및 제2연결링(54)에 형성되는 관통홀부(50a)를 통해 볼트부재(58)를 삽입하여 제1마감링부(12a) 및 제2마감링부(14a)에 형성되는 고정홀부에 결합시키면 제1연결링(52) 및 제2연결링(54)의 양단부가 서로 밀착되면서 원형의 띠 모양을 이루면서 제1플레이트(32)와 제2플레이트(34)의 연결부위를 감싸며 구속하게 된다.Thereafter, the bolt member 58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portion 50a formed in the first connecting ring 52 and the second connecting ring 54 to form the first finishing ring portion 12a and the second finishing ring portion 14a The both ends of the first connection ring 52 and the second connection ring 54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a circular band shape and the first plate 32 and the second plate 34 The connection portion is wrapped around and bound.

제1파일(12)에는 슈를 이루는 제1마감링부(12a)에 제1돌출부(56a)가 삽입되는 제1삽입홈부(16a)가 형성되고, 제1삽입홈부(16a)에는 볼트부재(58)가 결합되는 고정홀부(16)가 형성되므로 제1연결링(52) 및 제2연결링(54)에 형성되는 제1돌출부(56a)가 제1삽입홈부(16a)에 삽입되면서 제1플레이트(32)와 제1마감링부(12a) 사이의 간격에 배치된다.A first insertion groove portion 16a into which the first projection 56a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first closing ring portion 12a forming the shoe and a bolt member 58 The first protrusion 56a formed in the first connection ring 52 and the second connection ring 54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slot 16a and the first protrusion 56a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16a, (32) and the first closing ring portion (12a).

또한, 제1연결링(52) 및 제2연결링(54)에 형성되는 관통홀부(50a)는 제1돌출부(56a)를 따라 연장되므로 제1연결링(52) 및 제2연결링(54) 외측에서 삽입되는 볼트부재(58)는 관통홀부(50a)를 따라 제1돌출부(56a)를 통과하여 제1삽입홈부(16a)에 형성되는 고정홀부(16)에 체결된다.The through hole portion 50a formed in the first connection ring 52 and the second connection ring 54 extends along the first protrusion 56a so that the first connection ring 52 and the second connection ring 54 The bolt member 58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portion 50a passes through the first projection 56a and is fastened to the fixing hole portion 16 formed in the first insertion groove portion 16a.

제2파일(14)에는 슈를 이루는 제2마감링부(14a)에 제2돌출부(56b)가 삽입되는 제2삽입홈부(16b)가 형성되고, 제2삽입홈부(16b)에는 볼트부재(58)가 결합되는 고정홀부(16)가 형성되므로 제1연결링(52) 및 제2연결링(54)에 형성되는 제2돌출부(56b)가 제2삽입홈부(16b)에 삽입되면서 제2플레이트(34)와 제2마감링부(14a) 사이의 간격에 배치된다.A second insertion groove portion 16b into which the second projection 56b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second closing ring portion 14a forming the shoe and a bolt member 58 The second protruding portion 56b formed on the first connection ring 52 and the second connection ring 54 is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portion 16b while the second protruding portion 56b formed on the second connection ring 54 is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portion 16b, (34) and the second closing ring portion (14a).

또한, 제1연결링(52) 및 제2연결링(54)에 형성되는 관통홀부(50a)는 제2돌출부(56b)를 따라 연장되므로 제1연결링(52) 및 제2연결링(54) 외측에서 삽입되는 볼트부재(58)는 관통홀부(50a)를 따라 제2돌출부(56b)를 통과하여 제2삽입홈부(16b)에 형성되는 고정홀부(16)에 체결된다.The through hole portion 50a formed in the first connection ring 52 and the second connection ring 54 extends along the second protrusion 56b so that the first connection ring 52 and the second connection ring 54 The bolt member 58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portion 50a passes through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56b along the through hole portion 50a and is fastened to the fixing hole portion 16 formed in the second insertion groove portion 16b.

제1플레이트(32) 및 제2플레이트(34)의 테두리에는 파일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경사부(32b) 및 제2경사부(34b)가 형성되므로 제1플레이트(32)와 제2플레이트(34)가 밀착되게 배치되면 제1경사부(32b)와 제2경사부(34b)의 단부가 연결되면서 'V' 모양의 홈부를 이루게 된다.Since the first inclined portion 32b an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34b are formed at the edges of the first plate 32 and the second plate 34 to be inclined inwardly of the pile, When the plate 34 is disposed closely, the ends of the first inclined portion 32b an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34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V-shaped groove.

따라서 작업 현장의 여건에 따라 제1플레이트(32)와 제2플레이트(34) 사이의 연결강도가 보다 더 강하게 요구되는 경우에는 제1경사부(32b)와 제2경사부(34b)에 의해 형성되는 'V' 모양 홈부에 용접작업을 행하고, 제1경사부(32b)와 제2경사부(34b) 및 용접부위가 감싸지도록 연결링부(50)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connecting strength between the first plate 32 and the second plate 34 is more strongly requir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work site, the first inclined portion 32b an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34b are formed Shaped groove portion and a connecting ring portion 50 can be installed so that the first inclined portion 32b an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34b and the welded portion are wrapp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PHC파일용 신속 연결장치를 이용하는 파일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 f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quick connect device for a buried type PHC f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PHC파일용 신속 연결장치를 이용하는 파일 시공방법은, 제1강선(12b)의 머리부가 제1플레이트(32)의 제1결합홀부(32a)에 걸림결합되도록 제1강선(12b)을 제1플레이트(32)에 삽입하여 제1파일(12)을 제조하고, 제2강선(14b)의 머리부가 제2플레이트(34)의 제2결합홀부(34a)에 걸림결합되도록 제2강선(14b)을 제2플레이트(34)에 삽입하여 제2파일(14)을 제조하는 단계와, 제2파일(14)을 현장에 시공하는 단계와, 제1파일(12)을 제2파일(14) 상단에 배치시키는 단계와, 제1플레이트(32)와 제2플레이트(34)가 밀착된 상태에서 제1플레이트(32)와 제2플레이트(34)를 동시에 감싸도록 연결링부(50)를 배치시키는 단계와, 연결링부(50)를 제1플레이트(32)와 제2플레이트(34)의 연결부위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f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quick connect device for the buried type PHC fi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d of the first steel wire 12b is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hole part 32a of the first plate 32 The first strand 12b is inserted into the first plate 32 to manufacture the first pile 12 and the head of the second steel wire 14b is caught in the second engaging hole 34a of the second plate 34 Inserting a second steel wire 14b into the second plate 34 to form a second file 14 so as to join the second file 14 to the second plate 34; The first plate 32 and the second plate 34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plate 32 and the second plate 34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joining the connecting ring portion 50 to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first plate 32 and the second plate 34. [

본 실시예는, PHC파일을 제조할 때에 제1마감링부(12a) 및 제2마감링부(14a)가 파일의 단부를 감싸며 일체로 형성되도록 제조하고, 파일의 단부로부터 파일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의 제1강선(12b) 및 제2강선(14b)이 함침된 상태를 이루도록 PHC파일을 제조한다.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PHC file is manufactured, the first finishing ring portion 12a and the second finishing ring portion 14a are fabricated so as to surround and integrally form the end portion of the file, A PHC file is manufactured so that the first steel wire 12b and the second steel wire 14b are impregnated.

제1강선(12b) 및 제2강선(14b)의 단부에는 제1머리부(12c) 및 제2머리부(14c)가 구비되고, 각각의 머리부에는 제1플레이트(32) 및 제2플레이트(34)가 거치되도록 PHC파일을 제조한다.A first head portion 12c and a second head portion 14c are provided at the ends of the first steel wire 12b and the second steel wire 14b. (34) is mounted.

제1플레이트(32) 및 제2플레이트(34)에는 제1강선(12b) 및 제2강선(14b)에 대향되는 위치에 다수 개의 제1결합홀부(32a) 및 제2결합홀부(34a)가 형성되고, 제1결합홀부(32a) 및 제2결합홀부(34a)는 원형의 홀부로부터 측 방향을 연장되는 연장홀부(36)가 형성되므로 제1강선(12b) 및 제2강선(14b)의 제1머리부(12c) 및 제2머리부(14c)가 노출되게 PHC파일을 제작한 후에 제1플레이트(32) 및 제2플레이트(34)를 제1머리부(12c) 및 제2머리부(14c)에 거치시켜 조립할 수 있다.The first plate 32 and the second plate 34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engagement hole portions 32a and second engagement hole portions 34a at positions opposed to the first steel wire 12b and the second steel wire 14b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holes 34a and 34a are formed with the extended holes 36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from the circular holes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steel wires 12b and 14b The first plate 32 and the second plate 34 are attached to the first head 12c and the second head 14c after the PHC file is manufactured such that the first head 12c and the second head 14c are exposed. (14c).

이때, 제1머리부(12c) 및 제2머리부(14c)를 제1결합홀부(32a) 및 제2결합홀부(34a)의 원형 홀부로 삽입한 후에 상대적으로 지름이 작은 연장홀부(36) 측으로 제1머리부(12c) 및 제2머리부(14c)를 슬라이딩시키면 지름 또는 폭이 좁은 연장홀부(36)에 제1머리부(12c) 및 제2머리부(14c)가 걸림결합되어 제1플레이트(32) 및 제2플레이트(34)로부터 제1머리부(12c) 및 제2머리부(14c)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after the first head portion 12c and the second head portion 14c are inserted into the circular hole portions of the first engagement hole portion 32a and the second engagement hole portion 34a, an extension hole portion 36 having a relatively small diameter is inserted, The first head portion 12c and the second head portion 14c are engaged with each other in the extended hole portion 36 having a narrow diameter or width so that the first head portion 12c and the second head portion 14c are engaged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rst head portion 12c and the second head portion 14c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plate 32 and the second plate 34. [

상기한 바와 같이 제1플레이트(32) 및 제2플레이트(34)를 제1파일(12) 및 제2파일(14)에 조립한 후에 지중에 제1파일(12)을 시공하고, 제1파일(12)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1플레이트(32)의 상면에 제2플레이트(34)가 밀착되도록 제2파일(14)을 배치시킨다.After the first plate 32 and the second plate 34 are assembled to the first file 12 and the second file 14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file 12 is installed in the ground, The second pile 14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32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12 so that the second plate 34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이후에, 제1연결링(52) 및 제2연결링(54)이 제1플레이트(32)와 제2플레이트(34)의 연결부위를 감싸도록 배치시키고, 제1연결링(52) 및 제2연결링(54)의 외벽으로부터 볼트부재(58)를 삽입하여 제1마감링부(12a) 및 제2마감링부(14a)에 체결하면 제1플레이트(32) 및 제2플레이트(34)의 밀착상태가 유지되도록 제1연결링(52) 및 제2연결링(54)이 원형의 띠 모양으로 조립된다.Thereafter, the first connection ring 52 and the second connection ring 54 are arranged so as to surround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plate 32 and the second plate 34, and the first connection ring 52 and the second connection ring 54, When the bolt member 58 is inserted from the outer wall of the second connection ring 54 to be fastened to the first finish ring portion 12a and the second finish ring portion 14a, the first plate 32 and the second plate 34 The first connection ring 52 and the second connection ring 54 are assembled in a circular band shape so that the state is maintained.

상기한 바와 같은 시공방법에 의해 지중에 설치되는 제2파일(14) 상단에 제1파일(12)을 연결할 수 있게 된다.
The first file 12 can b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file 14 installed in the ground by the construction method as described above.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PHC파일용 신속 연결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PHC파일용 신속 연결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PHC파일용 신속 연결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quick connection device for a buried type PHC f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quick connection device for a buried type PHC f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quick connect device for a buried PHC f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PHC파일용 신속 연결장치의 제1삽입홈부(16a)는, 제1마감링부(12a)의 단부가 제1파일(12) 내측으로 굴곡되어 일루어지는 제1경사면(17a)과, 제1플레이트(32)의 단부에 제1경사면(17a)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경사면(17b)을 포함한다.4 to 6, the first interlocking groove portion 16a of the quick connect device for a buried type PHC f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uch that the end of the first closed ring portion 12a is connected to the first file 12,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17b formed at an end of the first plate 32 so as to be incli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17a.

본 실시예의 제1파일(12)은, 제1삽입홈부(16a)를 이루기 위한 별도의 구도물이 구비되지 않고, 제1마감링부(12a)의 단부 파일의 내측으로 굴곡되어 제1경사면(17a)을 형성하고, 제1플레이트(32)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경사면(17b)이 제1경사면(17a)과 대칭되게 형성되므로 제1플레이트(32)를 제1파일(12)의 단부에 조립하면 제1경사면(17a)과 제2경사면(17b)의 단부가 밀착되면서 'V' 모양의 제1삽입홈부(16a)를 이루게 된다.The first file 12 of this embodiment is not provided with a separat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first insertion groove portion 16a but is bent inside the end file of the first finish ring portion 12a to form the first inclined face 17a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17b formed at the end of the first plate 32 is formed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17a so that the first plate 32 is supported on the end of the first pile 12 The first inclined surface 17a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17b are closely attached to each other to form a first V-shaped first insertion groove 16a.

제1돌출부(56a)에는 제1경사면(17a)과 밀착되는 제1외측경사(57c)와, 제2경사면(17b)과 밀착되는 제1내측경사(57a)가 형성되므로 제1연결링(52) 및 제2연결링(54)을 제1플레이트(32)와 제2플레이트(34)의 연결부위에 배치시키면 제1돌출부(56a)를 이루는 제1외측경사(57c)와 제1내측경사(57a)가 제1경사면(17a)과 제2경사면(17b)에 밀착되면서 제1돌출부(56a)가 제1삽입홈부(16a)에 삽입된다.The first protrusions 56a are formed with the first outer inclination 57c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inclined surface 17a and the first inner inclination 57a which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inclined surface 17b, And the second connection ring 54 are disposed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plate 32 and the second plate 34, the first outer inclination 57c and the first inner inclination 57c, which constitute the first projection 56a, The first projection 56a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16a while the first projection 57a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inclined surface 17a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17b.

제2삽입홈부(16b)는, 제2마감링부(14a)의 단부가 제2파일(14) 내측으로 굴곡되어 일루어지는 제3경사면(17c)과, 제2플레이트(34)의 단부에 제3경사면(17c)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4경사면(17d)을 포함한다.The second insertion groove portion 16b has a third inclined face 17c whose end portion of the second closed ring portion 14a is bent and sideways inside the second pawl 14 and a third inclined face 17c, And a fourth inclined surface 17d incli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inclined surface 17c.

본 실시예의 제2파일(14)은, 제2삽입홈부(16b)를 이루기 위한 별도의 구도물이 구비되지 않고, 제2마감링부(14a)의 단부 파일의 내측으로 굴곡되어 제3경사면(17c)을 형성하고, 제2플레이트(34)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4경사면(17d)이 제3경사면(17c)과 대칭되게 형성되므로 제2플레이트(34)를 제2파일(14)의 단부에 조립하면 제3경사면(17c)과 제4경사면(17d)의 단부가 밀착되면서 'V' 모양의 제2삽입홈부(16b)를 이루게 된다.The second file 14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provided with a separate structure for forming the second insertion groove portion 16b but is bent inside the end file of the second finish ring portion 14a to form the third inclined face 17c And the fourth inclined surface 17d formed at the end of the second plate 34 is formed to be symmetrical with the third inclined surface 17c so that the second plate 34 is formed on the end of the second pile 14 The third inclined surface 17c and the fourth inclined surface 17d are closely adhered to each other to form a second V-shaped insertion groove 16b.

제2돌출부(56b)에는 제3경사면(17c)과 밀착되는 제2외측경사(57d)와, 제4경사면(17d)과 밀착되는 제2내측경사(57b)가 형성되므로 제1연결링(52) 및 제2연결링(54)을 제1플레이트(32)와 제2플레이트(34)의 연결부위에 배치시키면 제2돌출부(56b)를 이루는 제2외측경사(57d)와 제2내측경사(57b)가 제3경사면(17c)과 제4경사면(17d)에 밀착되면서 제2돌출부(56b)가 제2삽입홈부(16b)에 삽입된다.The second protruding portion 56b is formed with the second outer inclination 57d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hird inclined surface 17c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57b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ourth inclined surface 17d, And the second connection ring 54 are disposed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plate 32 and the second plate 34, the second outer inclination 57d and the second inner inclination 57d, which constitute the second projection 56b,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56b is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portion 16b while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57b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hird inclined surface 17c and the fourth inclined surface 17d.

따라서 제1플레이트(32)와 제2플레이트(34) 사이의 연결부위와 연결링부(50)가 간격 없이 밀찰된 상태로 조립될 수 있게 되어 제1파일(12)과 제2파일(14) 사이의 조립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plate 32 and the second plate 34 and the connection ring portion 50 can be assemble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plates 12 and 14 are tightly space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ssembling strength of the battery.

또한, 본 실시예의 고정부는, 제1플레이트(32)와 제2플레이트(34)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볼트부재(58)에 체결되고 제1플레이트(32) 및 제2플레이트(34)의 내벽에 밀찰되는 너트부재(58a)와, 제1플레이트(32)와 제2플레이트(34)에 구비되고 볼트부재(58)가 제1플레이트(32)와 제2플레이트(34)를 통과하도록 구비되는 통과홀부(70)를 더 포함한다.The fixing por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ixed to a bolt member 58 extending through the first plate 32 and the second plate 34 and is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first plate 32 and the second plate 34 And a bolt member 58 provided on the first plate 32 and the second plate 34 and passing through the first plate 32 and the second plate 34 And further includes a hole portion (70).

본 실시예의 볼트부재(58)는 연결링부(50)의 외벽으로부터 연결링부(50), 제1플레이트(32) 및 제2플레이트(34)를 관통하여 파일 내부까지 연장되고, 볼트부재(58)의 단부에 너트부재(58a)가 결합되어 제1플레이트(32) 및 제2플레이트(34)의 내측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턱부(59)에 너트부재(58a)가 체결된다.The bolt member 58 of the present embodiment extends from the outer wall of the connecting ring portion 50 through the connecting ring portion 50, the first plate 32 and the second plate 34 to the inside of the pile, The nut member 58a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second plate 34 and the nut member 58a is fastened to the latching jaw 59 formed at the inner end of the first plate 32 and the second plate 34. [

제1플레이트(32) 및 제2플레이트(34)의 외벽에는 통과홀부(70)를 이루는 홈부가 형성되는데, 제1플레이트(32)에 형성되는 제1통과홈부(72)와, 제2플레이트(34)에 형성되는 제2통과홈부(74)가 서로 밀착되어 볼트부재(58)가 통과되는 통과홀부(70)를 이루게 된다.The first plate 32 and the second plate 34 are formed with grooves forming a through hole 70. The first plate 32 includes a first passage groove 72 formed in the first plate 32, And the second passage groove portion 74 formed in the first through hole 34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the through hole portion 70 through which the bolt member 58 passes.

제1통과홈부(72) 및 제2통과홈부(74)는 제1플레이트(32) 및 제2플레이트(34)의 외벽에 방사형으로 다수 개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되고, 각각의 통과홀부(70)에 대향되도록 연결링부(50)에 관통홀부(50a)가 형성되므로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볼트부재(58)를 관통홀부(50a) 및 통과홀부(70)를 통해 삽입하면 제1플레이트(32) 및 제2플레이트(34)의 내측 단부를 통과하여 연장되므로 제1플레이트(32) 및 제2플레이트(34)의 내측 단부에 배치되는 너트부재(58a)와 결합될 수 있게 된다.The first passage groove portion 72 and the second passage groove portion 74 are formed so as to be radially spaced apart from the outer wall of the first plate 32 and the second plate 34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through hole portion 50a is formed in the connection ring portion 50 so as to be opposed to the through hole portion 50a and the through hole portion 70 so that the relatively long bolt member 58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portion 50a and the through hole portion 70 Can be coupled with the nut member 58a disposed at the inner end of the first plate 32 and the second plate 34 as it extends through the inner end of the first plate 32 and the second plate 34 do.

여기서, 너트부재(58a)는 제1플레이트(32)의 내측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턱부(59) 또는 제2플레이트(34)의 내측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턱부(59)에 용접되어 고정될 수 있다.The nut member 58a can be welded and fixed to the latching jaw 59 formed at the inner end of the first plate 32 or the latching jaw 59 formed at the inner end of the second plate 34 .

이로써, PHC파일 제작 시에 일체형으로 제작하고, 용접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며, 연결장치의 무게 및 부품 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PHC파일 또는 파일 단부에 구비되는 슈를 변형시키지 않고 끼움결합에 의해 제1파일과 제2파일을 일체로 구속하며, 현장 여건에 따라 용접 이음 또는 볼트부재 및 너트부재에 의한 연결방식으로 쉽게 전환시켜 PHC파일을 연결할 수 있는 매립형 PHC파일용 신속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파일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This makes it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and the number of parts of the connecting device, to reduce the number of parts of the PHC pile or the pile of the pile, A fast connection device for a buried type PHC file which can restrain the first file and the second file integrally and easily connect the PHC file by switching the connection method by the welding connection or the bolt member and the nut member according to the site conditions and a fil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

또한, 매립형 PHC파일용 신속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파일 시공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매립형 PHC파일용 신속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파일 시공방법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시공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quick connect device for the buried type PHC file and the f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re described as an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quick connect device for the buried type PHC file, Apparatus and a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can be used.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2 : 제1파일 12a : 제1마감링부
12b : 제1강선 12c : 제1머리부
14 : 제2파일 14a : 제2마감링부
14b : 제2강선 14c : 제2머리부
32 : 제1플레이트 32a : 제1결합홀부
32b : 제1경사부 34 : 제2플레이트
34a : 제2결합홀부 34b : 제2경사부
50 : 연결링부 50a : 관통홀부
52 : 제1연결링 54 : 제2연결링
56a : 제1돌출부 56b : 제2돌출부
57a : 제1내측경사 57b : 제2내측경사
57c : 제1외측경사 57d : 제2외측경사
58 : 볼트부재 58a : 너트부재
70 : 통과홀부 72 : 제1통과홈부
74 : 제2통과홈부
12: first file 12a: first finishing ring portion
12b: first steel wire 12c: first head portion
14: second file 14a: second finishing ring part
14b: second steel wire 14c: second head portion
32: first plate 32a: first engagement hole portion
32b: first inclined portion 34: second plate
34a: second engagement hole portion 34b: second inclined portion
50: connecting ring portion 50a: penetrating hole portion
52: first connection ring 54: second connection ring
56a: first protrusion 56b: second protrusion
57a: first inner inclination 57b: second inner inclination
57c: first outer inclination 57d: second outer inclination
58: bolt member 58a: nut member
70: through-hole portion 72: first through-
74: second through groove

Claims (9)

제1파일과 일체로 제작되도록 상기 제1파일에 구비되는 제1강선에 거치되는 제1플레이트;
제2파일과 일체로 제작되도록 상기 제2파일에 구비되는 제2강선에 거치되는 제2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와 동시에 밀착되며 감싸도록 배치되는 연결링부; 및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와 상기 연결링부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연결링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1파일 사이에 개재되는 제1돌출부;
상기 연결링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와 상기 제2파일 사이에 개재되는 제2돌출부; 및
상기 연결링부를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연결부위에 결합시키는 볼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파일에는 슈를 이루는 제1마감링부에 상기 제1돌출부가 삽입되는 제1삽입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삽입홈부에는 상기 볼트부재가 결합되는 제1결합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삽입홈부는,
상기 제1마감링부의 단부가 상기 제1파일 내측으로 굴곡되어 일루어지는 제1경사면; 및
상기 제1플레이트의 단부에 상기 제1경사면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돌출부에는 상기 제1경사면과 밀착되는 제1외측경사와, 상기 제2경사면과 밀착되는 제1내측경사가 형성되고,
상기 제2파일에는 슈를 이루는 제2마감링부에 상기 제2돌출부가 삽입되는 제2삽입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삽입홈부에는 상기 볼트부재가 결합되는 제2결합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상기 볼트부재에 체결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의 내벽에 밀찰되는 너트부재; 및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에 구비되고 상기 볼트부재가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를 통과하도록 구비되는 통과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링부는,
반원 모양으로 형성되는 제1연결링; 및
반원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링과 연결되면 원형을 이루며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연결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밀착상태가 유지시키는 제2연결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링 및 상기 제2연결링에 형성되는 관통홀부는 상기 제1돌출부를 따라 연장되므로 상기 제1연결링 및 상기 제2연결링 외측에서 삽입되는 상기 볼트부재는 상기 관통홀부를 따라 상기 제1돌출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1삽입홈부에 형성되는 고정홀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PHC파일용 신속 연결장치.
A first plate mounted on a first steel wire provided in the first file so as to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file;
A second plate mounted on a second steel wire provided in the second file so as to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cond file;
A connection ring portion closely attached to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so as to be enclosed; And
And a fixing portion for maintaining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necting ring portion,
The fixing unit includes:
A first protrusion protruded from the connecting ring portion and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first file;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connecting ring portion and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plate and the second file; And
And a bolt member for coupling the connecting ring portion to a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Wherein the first file has a first recessed ring portion formed in a shoe with a first insertion groove portion into which the first protrusion is inserted, a first coupling hole portion into which the bolt member is coupled is formed in the first insertion groove portion,
Wherein the first insertion groove portion includes:
A first inclined surface in which an end of the first closing ring portion is bent and squeezed inward of the first pile; And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formed at an end of the first plate so as to be incli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Wherein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is formed with a first outer inclina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a first inner inclina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inclined surface,
A second insertion groove portion into which the second projection is inserted is formed in a second closing ring portion forming a shoe in the second file, a second coupling hole portion into which the bolt member is coupled is formed in the second insertion groove portion,
The fixing unit includes:
A nut member fastened to the bolt member passing through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nd being tightened to the inner wall of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nd
Further comprising a through-hole portion provided i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the through-hole portion being provided so that the bolt member passes through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The connecting ring portion
A first connecting ring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And
A second connection ring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and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ring and having a circular shape and dispos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to maintain a close contact state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 RTI >
And the through hole portion formed in the first connection ring and the second connection ring extends along the first protrusion so that the bolt member inserted outside the first connection ring and the second connection ring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portion along the through hole portion, And fastened to the fixing hole portion formed in the first insertion groove portion through the first protrus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삽입홈부는,
상기 제2마감링부의 단부가 상기 제2파일 내측으로 굴곡되어 일루어지는 제3경사면; 및
상기 제2플레이트의 단부에 상기 제2경사면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4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PHC파일용 신속 연결장치.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insertion-
A third inclined surface in which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finishing ring portion is bent and inwardly bent toward the inside of the second pile; And
And a fourth inclined surface formed at an end of the second plate and incli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inclined surfa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출부에는 상기 제3경사면과 밀착되는 제2외측경사와, 상기 제4경사면과 밀착되는 제2내측경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PHC파일용 신속 연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is formed with a second outer inclination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hird inclined surface and a second inner inclination that is closely adhered to the fourth inclined surface.
삭제delete (a) 제1강선의 머리부가 제1플레이트의 제1결합홀부에 걸림결합되도록 상기 제1강선을 상기 제1플레이트에 삽입하여 제1파일을 제조하고, 제2강선의 머리부가 제2플레이트의 제2결합홀부에 걸림결합되도록 상기 제2강선을 상기 제2플레이트에 삽입하여 제2파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제2파일을 현장에 시공하는 단계;
(c) 상기 제1파일을 상기 제2파일 상단에 배치시키는 단계;
(d)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를 동시에 감싸도록 연결링부를 배치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연결링부를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연결부위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단계는,
제1파일과 일체로 제작되도록 상기 제1파일에 구비되는 제1강선에 거치되는 제1플레이트;
제2파일과 일체로 제작되도록 상기 제2파일에 구비되는 제2강선에 거치되는 제2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와 동시에 밀착되며 감싸도록 배치되는 연결링부; 및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와 상기 연결링부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매립형 PHC파일용 신속 연결장치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연결링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1파일 사이에 개재되는 제1돌출부;
상기 연결링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와 상기 제2파일 사이에 개재되는 제2돌출부; 및
상기 연결링부를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연결부위에 결합시키는 볼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파일에는 슈를 이루는 제1마감링부에 상기 제1돌출부가 삽입되는 제1삽입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삽입홈부에는 상기 볼트부재가 결합되는 제1결합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삽입홈부는,
상기 제1마감링부의 단부가 상기 제1파일 내측으로 굴곡되어 일루어지는 제1경사면; 및
상기 제1플레이트의 단부에 상기 제1경사면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돌출부에는 상기 제1경사면과 밀착되는 제1외측경사와, 상기 제2경사면과 밀착되는 제1내측경사가 형성되고,
상기 제2파일에는 슈를 이루는 제2마감링부에 상기 제2돌출부가 삽입되는 제2삽입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삽입홈부에는 상기 볼트부재가 결합되는 제2결합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상기 볼트부재에 체결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의 내벽에 밀찰되는 너트부재; 및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에 구비되고 상기 볼트부재가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를 통과하도록 구비되는 통과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링부는,
반원 모양으로 형성되는 제1연결링; 및
반원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링과 연결되면 원형을 이루며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연결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밀착상태가 유지시키는 제2연결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링 및 상기 제2연결링에 형성되는 관통홀부는 상기 제1돌출부를 따라 연장되므로 상기 제1연결링 및 상기 제2연결링 외측에서 삽입되는 상기 볼트부재는 상기 관통홀부를 따라 상기 제1돌출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1삽입홈부에 형성되는 고정홀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PHC파일용 신속 연결장치를 이용하는 파일 시공방법.
(a) inserting the first steel wire into the first plate so that the head of the first steel wire is engaged with the first engagement hole of the first plate to produce a first file, and the head of the second steel wire Inserting the second steel wire into the second plate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second engagement hole portion to manufacture a second file;
(b) installing the second file on site;
(c) placing the first file at the top of the second file;
(d) disposing a connecting ring portion to simultaneously enclose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e) coupling the connecting ring portion to a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The step (d)
A first plate mounted on a first steel wire provided in the first file so as to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file;
A second plate mounted on a second steel wire provided in the second file so as to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cond file;
A connection ring portion closely attached to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so as to be enclosed; And
And a fastening portion for keeping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necting ring portion,
The fixing unit includes:
A first protrusion protruded from the connecting ring portion and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first file;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connecting ring portion and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plate and the second file; And
And a bolt member for coupling the connecting ring portion to a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Wherein the first file has a first recessed ring portion formed in a shoe with a first insertion groove portion into which the first protrusion is inserted, a first coupling hole portion into which the bolt member is coupled is formed in the first insertion groove portion,
Wherein the first insertion groove portion includes:
A first inclined surface in which an end of the first closing ring portion is bent and squeezed inward of the first pile; And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formed at an end of the first plate so as to be incli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Wherein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is formed with a first outer inclina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a first inner inclina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inclined surface,
A second insertion groove portion into which the second projection is inserted is formed in a second closing ring portion forming a shoe in the second file, a second coupling hole portion into which the bolt member is coupled is formed in the second insertion groove portion,
The fixing unit includes:
A nut member fastened to the bolt member passing through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nd being tightened to the inner wall of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nd
Further comprising a through-hole portion provided i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the through-hole portion being provided so that the bolt member passes through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The connecting ring portion
A first connecting ring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And
A second connection ring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and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ring and having a circular shape and dispos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to maintain a close contact state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 RTI >
And the through hole portion formed in the first connection ring and the second connection ring extends along the first protrusion so that the bolt member inserted outside the first connection ring and the second connection ring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portion along the through hole portion, Wherein the first fastening part is fastened to the fixing hole part formed in the first insertion groove part through the first projection part.
KR1020160074766A 2016-06-15 2016-06-15 Buried type quick connector for pretension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pile post and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at KR1018913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766A KR101891323B1 (en) 2016-06-15 2016-06-15 Buried type quick connector for pretension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pile post and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766A KR101891323B1 (en) 2016-06-15 2016-06-15 Buried type quick connector for pretension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pile post and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a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553A KR20170141553A (en) 2017-12-26
KR101891323B1 true KR101891323B1 (en) 2018-08-23

Family

ID=60936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4766A KR101891323B1 (en) 2016-06-15 2016-06-15 Buried type quick connector for pretension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pile post and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a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1323B1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6941B1 (en) * 2003-06-24 2006-01-26 한국주강 주식회사 A connection device to connect concrete piles
KR20150117791A (en) * 2014-04-11 2015-10-21 김병철 Coupling apparatus for non-welding of PHC p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553A (en) 2017-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3476B1 (en) Upper and lower separation type quick connector for pretensioned squn high strength concrete pile post and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at
KR101545649B1 (en) Construction method for coping using permanent form preventing interference of reinforcing bar
KR20090049250A (en) Fixture for connecting concrete piles
KR101562984B1 (en) Upper and lower separation type quick connector for material to each other in pile and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at
KR102069419B1 (en) Composite pile internally reinforced by steel tube
KR101891323B1 (en) Buried type quick connector for pretension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pile post and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at
KR101300499B1 (en) A connection device to connect concrete piles
KR101726278B1 (en) Coupling structure for PHC file
KR101773434B1 (en) Coupling device for concrete and steel File
KR101577727B1 (en) PHC pile joint and jointing method using the same
JP5830441B2 (en) Concrete ring unit for joining pile head and founda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concrete ring using the same
JP2008231732A (en) Joint structure of pile
KR20160012670A (en) Rebar connecting implement and concrete embede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KR200490635Y1 (en) Connection Device For Ground Reinforced File
KR101865400B1 (en) Quick connector for phc pile post and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at
JP6353647B2 (en) Seismic isolation device joint structure
KR101847962B1 (en) Connector for pretensioned squn high strength concrete pile post and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at
JP7039867B2 (en) Segment joint structure
JP6700080B2 (en) Standing member for foundation
KR200448755Y1 (en) Prefab apparatus for reinforcing head of pile
KR200366045Y1 (en) An advanced concrete pile
KR101861920B1 (en) Pile connector
JP2016142063A (en) Joining method of reinforced concrete column and steel beam
KR20190016309A (en) An easy assemblable strong PHC pile connecting structure
JP2019190035A (en) Joining method of precast concrete member and joint part concrete, and tensile strength transmission member used in the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