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1252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1252B1
KR101891252B1 KR1020120040524A KR20120040524A KR101891252B1 KR 101891252 B1 KR101891252 B1 KR 101891252B1 KR 1020120040524 A KR1020120040524 A KR 1020120040524A KR 20120040524 A KR20120040524 A KR 20120040524A KR 101891252 B1 KR101891252 B1 KR 101891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ook
storage
rotation direction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0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7313A (ko
Inventor
김선규
김상헌
김민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0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252B1/ko
Publication of KR20130117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7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와; 저장실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와; 본체에 회전 방향이 상이한 제 1 회전 방향과 제 2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게 설치된 도어와; 저장실에 무빙 가능하게 배치되는 무빙 스토리지를 포함하고, 무빙 스토리지는 도어가 제 1 회전 방향으로 회전될 때 도어에 의해 무빙되어, 도어의 제 1 회전 방향 회전시 무빙 스토리지가 도어에 의해 무빙되어 간편한 동작으로 도어의 열림과 무빙 스토리지의 무빙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가 복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장실이나 냉동실 등의 저장실을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기구와 증발기를 갖는 냉동 사이클 회로나 열전 모듈 등으로 냉각시키고 저장실로 음식물 등의 저장물을 투입하여 보관하는 기기이다.
냉장고에는 저장실을 여닫는 도어가 설치될 수 있고, 저장실의 내부에는 저장물이 보관되는 선반이나 드로워 등의 스토리지가 배치될 수 있다.
스토리지는 저장실 내부에 위치 고정되게 설치되거나 전후 방향으로 무빙되게 배치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는 스토리지가 무빙되게 배치될 경우 도어를 여는 동작과 스토리지를 전방으로 잡아당기는 동작을 순차적으로 행하므로 스토리지의 사용이 불편한 이점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와; 상기 본체에 회전 방향이 상이한 제 1 회전 방향과 제 2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게 설치된 도어와; 상기 저장실에 무빙 가능하게 배치되는 무빙 스토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무빙 스토리지는 상기 도어가 제 1 회전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도어에 의해 무빙된다.
상기 무빙 스토리지는 상기 도어가 제 2 회전 방향으로 회전될 때 위치 고정일 수 있다.
상기 본체에는 상기 도어가 제 2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게 연결되는 수직축과 상기 본체에 제 1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게 연결되는 수평축을 갖는 힌지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와 무빙 스토리지를 연결,분리시키는 무빙 스토리지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빙 스토리지 커넥터는 상기 도어와 무빙 스토리지 중 하나에 설치된 후크와, 상기 도어와 무빙 스토리지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후크가 연결,분리되는 후크 걸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 걸이는 상기 무빙 스토리지의 전방부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후크는 상기 도어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후크 걸이는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후크가 삽입되는 후크 홀이 상하 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상기 후크는 상기 도어에 회전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후크가 관통되는 후크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나 본체에 설치된 조작부과, 상기 조작부의 누름시 상기 후크를 상기 후크 걸이에 구속시키는 후크 록킹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도어에 누름되게 설치된 버튼일 수 있다.
상기 제 1 회전 방향은 상기 도어가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방향일 수 있고, 상기 제 2 회전 방향은 상기 도어가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 1 회전 방향은 상기 도어가 하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방향일 수 있고, 상기 무빙 스토리지는 상기 도어가 하부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될 때 상기 도어의 상부와 본체 사이로 노출되는 드로워일 수 있다.
상기 무빙 스토리지는 상기 저장실에 위치되는 복수개의 스토리지 중 최상측에 위치하는 최상측 스토리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와; 상기 본체에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 1 회전 방향과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 2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게 설치된 도어와; 상기 저장실에 무빙 가능하게 배치되는 무빙 스토리지와; 상기 도어와 무빙 스토리지를 연결,분리시키는 무빙 스토리지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무빙 스토리지는 상기 도어가 제 1 회전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도어에 의해 무빙되고, 상기 도어가 제 2 회전 방향으로 회전될 때 위치 고정이다.
본 발명은 도어의 제 1 회전 방향 회전시 무빙 스토리지가 도어에 의해 무빙되면서 도어와 본체 사이로 노출되므로 도어의 열림과 무빙 스토리지의 무빙을 간편한 동작으로 동시에 실시할 수 있고 무빙 스토리지의 사용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도어의 제 2 회전 방향 회전시 무빙 스토리지가 도어에 의해 무빙되지 않아, 무빙 스토리지가 무빙 스토리지 이외로 저장물이 출입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고, 사용자는 저장물을 저장실로 편리하게 출입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어의 제 1 회전 방향 회전시, 무빙 스토리지의 무빙 여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어 저장물을 보다 편리하게 출입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어가 제 1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고 무빙 스토리지의 상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제 1 모드와, 도어가 제 1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고 무빙 스토리지의 상면이 도어와 본체 사이로 노출되지 않는 제 2 모드와, 도어가 제 2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 3 모드 중 한 모드로 저장실이 개방될 수 있어, 사용자가 저장실을 개방할 수 있는 선택의 폭이 넓은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일실시예의 도어가 닫혀졌을 때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일실시예의 도어가 제 1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고 무빙 스토리지가 도어와 함께 무빙될 때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일실시예의 도어가 제 1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고 무빙 스토리지가 도어와 함께 무빙되지 않을 때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일실시예의 도어가 제 2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어 열릴 때의 사시도,
도 5는 발명에 따른 냉장고 일실시예의 도어와 무빙 스토리지가 연결되었을 때의 측면도,
도 6은 발명에 따른 냉장고 일실시예의 도어와 무빙 스토리지가 연결되지 않았을 때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일실시예의 도어가 닫혀졌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일실시예의 도어가 제 1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고 무빙 스토리지가 도어와 함께 무빙될 때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일실시예의 도어가 제 1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고 무빙 스토리지가 도어와 함께 무빙되지 않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일실시예의 도어가 제 2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어 열릴 때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발명에 따른 냉장고 일실시예의 도어와 무빙 스토리지가 연결되었을 때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발명에 따른 냉장고 일실시예의 도어와 무빙 스토리지가 연결되지 않았을 때의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냉장고는 저장실(2)이 형성된 본체(4)와; 저장실(2)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6)와; 본체(4)에 회전되게 설치된 도어(10)와; 저장실(2)에 무빙되게 배치되는 무빙 스토리지(30)를 포함한다.
본체(4)는 저장실(2)이 대략 육면체 형상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저장실(2)은 전면(3)이 개방될 수 있다. 본체(4)에는 저장물이 보관되는 스토리지(5)(30)가 복수개 배치될 수 있고, 복수개의 스토리지(5)(30) 중 하나가 무빙 스토리지(30)가 될 수 있다. 저장실(2)에는 저장실(2) 내부에 위치 고정되게 배치되는 고정 스토리지(5)가 배치될 수 있다. 저장실(20)에는 복수개의 무빙 스토리지(30)가 배치될 수 있다. 저장실(2)은 고정 스토리지(5)와 무빙 스토리지(30)가 함께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4)는 저장실(2)과 구획된 기계실이 형성될 수 있다. 저장실(2)에는 고정 스토리지(5)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안착 가이드는 저장실(2)의 좌측 내측벽과 우측 내측벽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저장실(2)에는 무빙 스토리지(30)의 전후 방향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가이드는 저장실(2)의 좌측 내측벽과 우측 내측벽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냉각장치(6)는 냉동 사이클 회로나 열전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냉각장치(6)는 냉동 사이클 회로를 포함할 경우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응축되는 응축기와,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기구와, 팽창기구에 의해 팽창된 냉매가 증발되는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와 응축기는 본체(4)에 형성된 기계실에 설치될 수 있다. 증발기는 저장실(2)에 설치되거나 저장실(2)과 연통되게 형성된 냉각실에 설치될 수 있다. 냉각장치(6)는 저장실(2)의 공기를 저장실과 증발기로 순환시키는 증발기 팬을 포함할 수 있고, 증발기 팬에 의해 증발기로 송풍된 공기는 냉매와 열교환된 후 저장실(2)로 송풍될 수 있다. 증발기는 저장실(2)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싱 외벽에 설치되어 저장실의 열을 이너 케이싱을 통해 전달받아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냉각장치(6)는 냉장고 외부의 공기를 응축기로 송풍시키는 응축기 팬을 포함할 수 있고, 응축기 팬에 의해 응축기로 송풍된 공기는 냉매와 열교환된 후 냉장고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도어(10)는 저장실(2)을 여닫을 수 있다. 도어(10)는 복수의 여닫힘 방식으로 저장실(2)을 여닫을 수 있다. 도어(10)는 제 1 여닫힘 방향으로 여닫힐 수 있고, 제 1 여닫힘 방향과 여닫힘 방향이 상이한 제 2 여닫힘 방향으로 여닫힐 수 있다. 소비자는 제 1 여닫힘 방향과 제 2 여닫힘 방향 중 한 방향을 선택하여 도어(10)를 여닫을 수 있다. 사용자는 제 1 여닫힘 방향과 제 2 여닫힘 방향 중 저장물의 출입이 용이한 여닫힘 방향을 선택하여 저장실(2)을 여닫을 수 있다. 도어(10)는 슬라이딩되면서 저장실(2)을 여닫을 수 있고, 슬라이딩 방향이 상이한 제 1 슬라이딩 방향과 제 2 슬라이딩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도어(10)는 제 1 슬라이딩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저장실(2)을 여닫거나 제 1 슬라이딩 방향과 슬라이딩 방향이 상이한 제 2 슬라이딩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저장실(2)을 여닫을 수 있다. 도어(10)는 회전되면서 저장실(2)을 여닫을 수 있고, 회전 방향이 상이한 제 1 회전 방향(V)과 제 2 회전 방향(H)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어(10)는 제 1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저장실(2)을 여닫거나 제 1 회전 방향과 회전 방향이 상이한 제 2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저장실(2)을 여닫을 수 있다. 제 1 회전 방향(V)과 제 2 회전 방향(H)은 서로 직교한 회전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회전 방향은 도어(10)가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방향일 수 있다. 제 1 회전 방향은 도어(10)가 하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방향이거나 도어(10)가 상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방향일 수 있다. 도어(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의 전방에 수직하게 배치될 때 저장실(2)을 닫을 수 있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나 상부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경사지거나 수평하게 회전될 때 저장실(2)을 열 수 있다. 제 2 회전 방향은 도어(10)가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방향일 수 있다. 제 2 회전 방향은 도어(10)가 좌측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방향이거나 도어(10)가 우측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방향일 수 있다. 도어(10)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의 전방에 수직하게 배치될 때 저장실(2)을 닫을 수 있고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이나 우측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되어 저장실(2)을 열 수 있다.
이하, 도어(10)의 2 방향 회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4)에는 수직축(11)과 수평축(12)을 갖는 힌지부재(13)가 설치될 수 있다. 수직축(11)은 도어(20)가 제 2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게 연결되는 축일 수 있고, 수평축(12)은 힌지부재(13)가 본체(4)에 제 1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게 연결되는 축일 수 있다. 힌지부재(13)는 본체(2)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수직축(11)은 힌지부재(13)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직축(11)은 본체(4) 외부에 위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수평축(12)은 힌지부재(13)에 좌우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평축(12)은 본체(4) 내부에 위치되게 배치될 수 있다. 힌지부재(13)는 수평축(12)이 본체(1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수평축(12)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어(10)는 힌지부재(13)의 수직축(11)에 수직축(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어(10)는 제 1 회전 방향으로 회전될 때 힌지부재(13)와 함께 수평축(12)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어(10)는 제 2 회전 방향으로 회전될 때 힌지부재(13)가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힌지부재(13)의 수직축(13)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힌지부재(13)는 돌출부(14)가 돌출 될 수 있고, 수직축(11)은 돌출부(14)에 상하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어(10)에는 돌출부(14)가 삽입되는 돌출부 삽입공간(15)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2)와 도어(10) 중 어느 하나에는 도어(10)의 제 1 회전 방향 회전시 회전 중심이 될 수 있는 수평축(16)이 배치될 수 있고, 다른 하나에는 수평축(16)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수평축(16)과 연결,분리되는 수평축 지지부(17)가 배치될 수 있다. 도어(10)는 제 1 회전 방향으로 회전될 때 수평축(16)이 수평축 지지부(17)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도어(10)는 제 2 회전 방향으로 회전될 때 수평축(16)이 수평축 지지부(17)에서 분리될 수 있다. 도어(10)에는 수평축(16)을 갖는 본체 연결부재(18)가 배치될 수 있고, 수평축(16)은 도어 연결부재(18)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체 연결부재(18)는 도어(10)의 하부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설치될 수 있다. 본체(4)에는 수평축 지지부(17)를 갖고 도어(10)와 연결되는 도어 연결부재(19)가 배치될 수 있고, 수평축 지지부(17)는 도어 연결부재(19)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수평축 지지부(17)는 수평축(16)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공간(20)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공간(20)은 수평축 지지부(17)에 좌우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수용공간(20)은 좌,우 양측단이 개방될 수 있다. 수평축 지지부(17)는 선단에 수평축(16)이 출입되는 수평축 출입구(21)가 형성될 수 있다. 수평축 출입구(21)는 수평축 지지부(17)의 선단에 좌우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체(2)와 도어(10) 중 어느 하나에는 도어(10)의 제 2 회전 방향 회전시 회전 중심이 될 수 있는 수직축(22)이 배치될 수 있고, 다른 하나에는 수직축(2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수직축(17)과 연결,분리되는 수직축 지지부(23)가 배치될 수 있다. 수직축(22)과 수직축 지지부(23)는 둘 중 하나가 본체(2)와 도어(10) 중 어느 하나에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고, 다른 하나가 본체(2)와 도어(10) 중 다른 하나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수직축(22)은 본체(4)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고, 수직축 지지부(23)는 도어(10)의 상부에 형성된 함몰부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체(2)에는 수직축(22)을 갖는 도어 연결부재(24)가 배치될 수 있다. 도어 연결부재(24)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5)가 형성될 수 있고, 수직축(22)은 돌출부(25)에 상하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어(10)에는 돌출부(25)와 수직축(22)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공간(26)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공간(26)은 도어(10)의 배면에 개방될 수 있다. 수직축 지지부(23)와 수용공간(26)은 도어(1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어(10)는 제 1 회전 방향으로 회전될 때 수직축(22)이 수직축 지지부(23)에서 분리될 수 있다. 도어(10)는 제 2 회전 방향으로 회전될 때, 수직축(22)이 수직축 지지부(2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일 수 있다. 수직축 지지부(23)에는 도어(10)가 제 2 회전 방향으로 회전될 때 수직축(17)이 수직축 지지부(18)에 빠져나오지 못하게 막고, 도어(10)가 제 1 회전 방향으로 회전될 때 수직축(22)이 수직축 지지부(23)에서 빠져 나올 수 있게 이동되는 수직축 스토퍼(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수직축 스토퍼(미도시)는 사용자가 도어(10)에 설치된 버튼(28)를 조작하지 않을 경우, 수직축(22)이 수용공간(26) 외부로 빠져나오지 못하게 수직축(22)을 가로 막을 수 있다. 수직축 스토퍼는 사용자가 도어(10)에 설치된 버튼(28)를 조작할 때, 수직축(22)이 수직축 지지부(23) 및 수용공간(26)에서 빠져 나오도록 수용공간(26)의 개구면과 수직축(22)의 사이 이외로 이동될 수 있다. 버튼(28)은 수직축 스토퍼(27)와 와이어(미도시) 및 스프링(미도시) 등의 동력 전달부재로 연결될 수 있다. 버튼(28)은 도어(10)의 상부에 설치된 손잡이(29)에 누름 가능하게 배치될 있다. 사용자가 버튼(28)을 누르지 않으면 와이어는스프링과 연겨된 상태에서 수직축 스토퍼를 수용공간(26)의 개구면과 수직축(22) 사이로 진입시킬 수 있다. 이때, 수직축(17)은 수직축 스토퍼에 막혀 수용공간(26) 외부로 빠져나오지 못하고, 수직축 지지부(23)에 지지된다. 사용자가 버튼(28)을 누르면 스프링이 압축 또는 인장될 수 있고 와이어는 수직축 스토퍼를 수용공간(26)의 개구면과 수직축(22) 사이 이외로 무빙시킬 수 있으며, 수직축(17)은 수용공간(26) 외부로 빠져나올수 있다. 즉, 도어(10)는 버튼(28)의 누름시 도어(10)의 상부가 본체(4)와 이격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고, 사용자가 버튼(28)을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도어(10)를 잡아 당기면, 도어(10)는 수평축(16)와 힌지부재(13)의 수평축(12)을 중심으로 제 1 회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하, 무빙 스토리지(30)의 무빙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무빙 스토리지(30)는 저장실(2)을 여닫는 도어(10)에 연동되어 무빙될 수 있고, 도어(10)에 의해 선택적으로 무빙되는 것이 가능하다. 무빙 스토리지(30)는 도어(10)의 여닫힘시 도어(10)에 의해 무빙되거나 도어(10)의 여닫힘과 무관하게 현재의 위치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무빙 스토리지(30)는 저장실(2)에 위치되는 복수개의 스토리지(5)(50) 중 최상측에 위치하는 최상측 스토리지가 될 수 있다. 무빙 스토리지(30)는 도어(10)가 제 1 여닫힘 방향으로 여닫힐 때 도어(10)에 연동되어 무빙되는 것이 가능하고, 도어(10)가 제 1 여닫힘 방향과 여닫힘 방향이 상이한 제 2 여닫힘 방향으로 여닫힐 때 도어(10)의 여닫힘과 무관하게 현재 위치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무빙 스토리지(30)는 도어(10)가 제 1 회전 방향(V)으로 회전될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에 의해 무빙될 수 있다. 무빙 스토리지(30)는 도어(10)가 제 1 회전 방향(V)으로 회전될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에 의해 무빙되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 무빙 스토리지(30)는 도어(10)가 제 2 회전 방향(H)으로 회전될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무빙 스토리지(30)는 저장실(2)에 진퇴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무빙 스토리지(30)는 판상의 선반이나 박스체 형상의 드로워를 포함할 수 있다. 무빙 스토리지(30)는 도어(10)가 상부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돌출되게 회전될 때 도어(10)의 하부와 본체(4) 사이로 노출되는 드로워일 수 있다. 무빙 스토리지(30)는 도어(10)가 하부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될 때 도어(10)의 상부와 본체(4) 사이로 노출되는 드로워일 수 있다.
냉장고는 도어(10)와 무빙 스토리지(30)를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분리시키는 무빙 스토리지 커넥터(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빙 스토리지 커넥터(40)는 저장실(2)에 위치되는 복수개의 스토리지(5)(30) 중 최상측에 위치하는 최상측 스토리지를 도어(10)와 연결시킬 수 있다. 저장실(2)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스토리지 중 최상측 스트로지기가 무빙 스트로지(30)가 될 수 있다.
무빙 스토리지 커넥터(40)는 도어(10)와 무빙 스토리지(30)를 기구적으로 연결,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무빙 스토리지 커넥터(40)는 도어(10)와 무빙 스토리지(30)를 자력 착탈기구나 전기력 착탈기구로 연결,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무빙 스토리지 커넥터(40)는 자력 착탈기구나 전기력 착탈기구로 구성될 경우, 전류가 인가되면 도어(10)와 무빙 스토리지(30)가 연결할 수 있고, 전류를 인가하지 않으면 도어(10)와 무빙 스토리지(30)가 분리될 수 있다. 무빙 스토리지 커넥터(40)는 자력 착탈기구로 구성될 경우, 무빙 스토리지(30)에 설치된 영구자석(미도시)와, 도어(10)에 설치된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고, 전자석에 전류가 인가되면 영구자석이 인력에 의해 전자석에 밀착될 수 있고, 도어(10)와 무빙 스토리지(30)는 자력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무빙 스토리지 커넥터(40)는 사용자의 조작시 도어(10)와 무빙 스토리지(30)를 기구적으로 연결,분리시킬 경우 소비 전력의 공급 없이 도어(10)와 무빙 스토리지(30)를 기구적으로 연결,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무빙 스토리지 커넥터(40)는 도어(10)와 무빙 스토리지(30) 중 하나에 설치된 후크(42)와, 도어(10)와 무빙 스토리지(30)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어 후크(42)가 연결,분리되는 후크 걸이(44)를 포함할 수 있다. 무빙 스토리지(30)는 후크(42)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걸이(44)에 걸린 상태일 때 도어(10)가 회전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에 의해 무빙될 수 있다. 즉, 무빙 스토리지(30)는 도어(10)에 이끌려 전방으로 무빙될 수 있고, 도어(10)에 의해 밀리면서 후방으로 무빙될 수 있다. 무빙 스토리지(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42)가 후크 걸이(44)에 걸리지 않은 상태일 때 도어(10)가 회전되면, 도어(10)의 회전에 의해 영향 받지 않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후크(42)는 도어(10)에 도어(10)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어(10)의 배면에는 후크(42)가 회전 또는 무빙 가능하게 관통될 수 있는 후크 관통홀(43)이 형성될 수 있다. 후크 걸이(44)는 무빙 스토리지(30)의 전방부에 설치될 수 있다. 후크 걸이(44)는 무빙 스토리지(30)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후크 걸이(44)는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후크 걸이(44)는 후크(42)가 삽입되는 후크 홀(46)이 형성될 수 있다. 후크 홀(46)은 후크 걸이(44)에 상하 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후크 홀(46)이 상하 방향으로 개구될 경우, 후크(42)는 후크 걸이(44)의 상측 위치 또는 하측 위치에서 후크 홀(46)으로 삽입될 수 있고, 도어(10)의 제 1 회전 방향 회전시 후크(42)가 후크 홀(46)에 삽입되어 걸린 상태에서, 후크(42)가 후크 걸이(44)를 진퇴시킬 수 있다. 후크(42)는 도어(10)가 닫힌 상태이거나 사용자의 조작이 행해지지 않을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걸이(44)의 주변에 위치될 수 있다. 후크(42)는 사용자의 조작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걸이(44)의 후크 홀(46)으로 삽입되어 후크 걸이(44)에 걸릴 수 있고, 후크 걸이(44)와 연결될 수 있다.
냉장고는 도어(10)나 본체(4)에 설치된 조작부(50)와, 조작부(50)의 누름시 후크(42)를 후크 걸이(44)에 구속시키는 후크 록킹기구(52)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50)는 도어(10)에 누름되게 설치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50)는 도어(10)의 전면에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후크 록킹기구(52)는 조작부(50)에 기구적으로 연동될 수 있다. 후크 록킹기구(52)는 후크(42)가 후크 걸이(44)에 걸리거나 걸리지 않게 후크(42)를 회전시키거나 무빙시킬 수 있다. 후크 록킹기구(52)는 조작부(50)를 누르지 않으면 후크(42)를 후크 걸이(44)에서 구속해제 할 수 있다. 후크 록킹기구(52)는 조작부(50)의 직선운동을 후크(42)에 회전 운전으로 전환시키는 레버나 와이어 등의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후크(42)는 도어(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고, 레버나 와이어 등의 동력전달부재가 조작부(50)와 후크(42)를 연결할 수 있다. 후크 록킹기구(51)는 사용자가 조작부(50)에 가한 외력을 제거하면, 후크(42)가 후크 걸이(44)에 구속되지 않는 위치로 후크 또는 동력전달부재를 복원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조작부(50)를 누르면, 후크(4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위치로 가변되어 후크 걸이(44)를 구속할 수 있고, 사용자가 더 이상 조작부(50)를 누르지 않으면, 후크(4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해제 위치로 가변되어 후크 걸이(44)와 분리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조작부(40) 및 버튼(28)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10)의 손잡이(29) 또는 도어(10)를 잡고 전방으로 당기면, 도어(10)는 도어 연결부재(24)의 수직축(22)이 도어(10)에 연결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회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어(10)는 힌지부재(13)의 수직축(11)과 도어 연결부재(24)의 수직축(22)을 중심으로 제 2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열릴 수 있다. 도어(10)의 제 2 회전 방향 회전시 힌지부재(13)의 맞은편에 설치된 수평축(16)은 본체(4)에 위치하는 수평축 지지부(17)에서 분리될 수 있다. 도어(10)는 저장실(2)의 전방 옆으로 회전되면서 저장실(2)을 개방할 수 있다. 도어(10)의 제 2 회전 방향 회전시, 도어(10)는 무빙 스토리지(30)와 분리된 상태이고, 무빙 스토리지(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실(2)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그 전방으로 인출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도어(10)를 저장실(2)의 전방 옆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저장실(2)로 저장물을 출입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도어(10)를 도어 열림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역회전시키면, 도어(10)는 힌지부재(13)의 수직축(11)과 도어 연결부재(24)의 수직축(22)을 중심으로 역회전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실(2)의 전방으로 회전된다. 도어(10)는 힌지부재(13)의 맞은편에 설치된 수평축(16)이 본체(4)에 위치하는 수평축 지지부(17)에 삽입되어 연결되고, 도어(10)는 저장실(2)을 차폐하는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조작부(40)를 누르면, 후크(42)는 후크 걸이(44)로 삽입되어 걸릴 수 있고, 후크(42)와 후크 걸이(44)는 구속될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28)을 누르면, 도어(10)에 배치된 수직축 스토퍼는 수용공간(26)의 개구면과 수직축(22) 사이 이외로 무빙될 수 있다. 사용자가 도어(10)의 손잡이(29) 또는 도어(10)를 잡고 전방으로 당기면, 도어(10)는 힌지부재(13)의 수평축(12)과, 힌지부재(13)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수평축(16)을 중심으로 제 1 회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이때 도어 연결부재(24)의 수직축(22)은 도어(10)에 형성된 수용공간(26)에서 빠져 나오며, 도어(10)는 제 1 회전 방향으로 계속하여 회전될 수 있다. 도어(10)는 하부를 중심으로 제 1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부가 열리고, 이때, 무빙 스토리지(30)는 후크 걸이(44)가 후크(42)에 연결된 상태이므로, 도어(10)에 이끌려 전방으로 슬라이딩되고, 무빙 스토리지(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의 상부와 본체(4) 사이로 노출된다. 사용자는 도어(10)를 제 1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으로 무빙 스토리지(30)를 전방으로 인출할 수 있고, 무빙 스토리지(30)를 전방으로 인출하는 별도의 동작을 하지 않고도 무빙 스토리지(30)로 저장물을 출입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도어(10)를 도어 열림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역회전시키면, 도어(10)는 힌지부재(13)의 수평축(12)과, 힌지부재(13)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수평축(16)을 중심으로 역회전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실(2)의 전방으로 회전된다. 도어(10)는 도어 연결부재(24)의 수직축(22)이 도어(10)에 형성된 수용공간(26)으로 삽입되고, 도어(10)는 저장실(2)을 차폐하는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조작부(40)를 누르지 않으면서 버튼(28)을 누르면, 후크(42)는 후크 걸이(44)에 걸리지 않고, 후크(42)는 록킹 해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28)을 누른 상태에서 도어(10)의 손잡이(29) 또는 도어(10)를 잡고 전방으로 당기면, 도어(10)는 힌지부재(13)의 수평축(12)과, 힌지부재(13)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수평축(16)을 중심으로 제 1 회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도어 연결부재(24)의 수직축(22)은 도어(10)에 형성된 수용공간(26)에서 빠져 나올 수 있으며, 도어(10)는 제 1 회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어(10)는 하부를 중심으로 제 1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부가 열리고, 이때, 무빙 스토리지(30)는 후크 걸이(44)가 후크(42)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실(2)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그 전방으로 인출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도어(10)가 제 1 회전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무빙 스토리지(30) 또는 고정 스토리지(5)로 저장물을 출입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도어(10)를 도어 열림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역회전시키면, 도어(10)는 힌지부재(13)의 수평축(12)과, 힌지부재(13)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수평축(16)을 중심으로 역회전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실(2)의 전방으로 회전된다. 도어(10)는 도어 연결부재(24)의 수직축(22)이 도어(10)에 형성된 수용공간(26)으로 삽입될 수 있고, 도어(10)는 저장실(2)을 차폐하는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2: 저장실 4: 본체
10: 도어 11: 수직축
12: 수평축 30: 무빙 스토리지
40: 무빙 스토리지 커넥터 42: 후크
43: 후크 관통홀 44: 후크 걸이
46: 후크 홀 50: 조작부
V: 제 1 회전 방향 H: 제 2 회전 방향

Claims (15)

  1.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와;
    상기 본체에 제 1 회전 방향과 상기 제 1 회전 방향과 직교되는 제 2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게 설치된 도어와;
    상기 저장실에 무빙 가능하게 배치되는 무빙 스토리지와;
    상기 도어가 상기 제 1 회전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도어에 의해 상기 무빙 스토리지가 이동되도록 상기 도어와 상기 무빙 스토리지를 연결하고, 상기 도어가 상기 제 2 회전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도어에 의해 상기 무빙 스토리지가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도어와 상기 무빙 스토리지를 분리하는 무빙 스토리지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무빙 스토리지 커넥터는, 상기 도어와 상기 무빙 스토리지 중 하나에 설치된 후크와, 상기 도어와 상기 무빙 스토리지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후크가 연결되거나 분리되는 후크 걸이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에 복원력을 가하여 상기 후크가 상기 후크 걸이로부터 분리되게 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가 상기 제 1 회전 방향으로 회전될 때 조작에 의하여 상기 후크가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을 극복하고 상기 후크 걸이에 연결되게 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도어가 제 2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게 연결되는 수직축과 상기 본체에 제 1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게 연결되는 수평축을 갖는 힌지부재가 설치된 냉장고.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걸이는 상기 무빙 스토리지의 전방부에 설치되고,
    상기 후크는 상기 도어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된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걸이는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후크가 삽입되는 후크 홀이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냉장고.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도어에 회전되게 배치된 냉장고.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후크가 관통되는 후크 관통홀이 형성된 냉장고.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의 누름시 상기 후크를 상기 후크 걸이에 구속시키는 후크 록킹기구를 포함하는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도어에 누름되게 설치된 버튼인 냉장고.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 방향은 상기 도어가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방향이고,
    상기 제 2 회전 방향은 상기 도어가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방향인 냉장고.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 방향은 상기 도어가 하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방향이고,
    상기 무빙 스토리지는 상기 도어가 하부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될 때 상기 도어의 상부와 본체 사이로 노출되는 드로워인 냉장고.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스토리지는 상기 저장실에 위치되는 복수개의 스토리지 중 최상측에 위치하는 최상측 스토리지인 냉장고.
  15. 삭제
KR1020120040524A 2012-04-18 2012-04-18 냉장고 KR101891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524A KR101891252B1 (ko) 2012-04-18 2012-04-18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524A KR101891252B1 (ko) 2012-04-18 2012-04-18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313A KR20130117313A (ko) 2013-10-25
KR101891252B1 true KR101891252B1 (ko) 2018-09-28

Family

ID=49636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0524A KR101891252B1 (ko) 2012-04-18 2012-04-18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12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3779B1 (ko) * 2018-11-20 2023-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TR201817655A2 (tr) * 2018-11-22 2020-06-22 Arcelik As Bi̇r soğutucu ci̇haz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313A (ko) 2013-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4810B2 (en) Refrigerator
EP2910879B1 (en) Refrigerator
JP5307918B2 (ja) ラッチ装置
KR101641263B1 (ko) 냉장고
US9625204B2 (en) Refrigerator
EP2685185B1 (en) Latch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1860713B1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US9534833B2 (en) Basket for refrigerator
KR101918059B1 (ko) 드로어 밀폐유지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20110010405A (ko) 냉장고
US8162422B2 (en) Refrigerator
US9417004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opening/closing door thereof
KR101891252B1 (ko) 냉장고
KR101869556B1 (ko) 냉장고
KR101659083B1 (ko) 냉장고
KR101952680B1 (ko) 냉장고
US20230106093A1 (en) Refrigerator and household appliance
US11774172B2 (en) Drawer in a refrigerator door
KR101956034B1 (ko) 저장용기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1952678B1 (ko) 래치장치, 래치장치로 구성되는 저장용기 지지장치와 저장용기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1858066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