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0274B1 - Steel Frame Construction Method With Double T-Shaped Joint Structure - Google Patents

Steel Frame Construction Method With Double T-Shaped Joint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0274B1
KR101890274B1 KR1020160160816A KR20160160816A KR101890274B1 KR 101890274 B1 KR101890274 B1 KR 101890274B1 KR 1020160160816 A KR1020160160816 A KR 1020160160816A KR 20160160816 A KR20160160816 A KR 20160160816A KR 101890274 B1 KR101890274 B1 KR 101890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d
plate
column
double
upper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08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61566A (en
Inventor
김영호
정석재
권순명
Original Assignee
(주)엔아이스틸
(주)쓰리디엔지니어링
(주)엔테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아이스틸, (주)쓰리디엔지니어링, (주)엔테이지 filed Critical (주)엔아이스틸
Priority to KR1020160160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0274B1/en
Publication of KR20180061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15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2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17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 E04B5/23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with stiffening ribs or other beam-like formations wholly or partly prefabricated
    • E04B5/29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with stiffening ribs or other beam-like formations wholly or partly prefabricated the prefabricated parts of the beams consisting wholly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04B5/40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with metal form-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5Brackets, gussets, join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8Details of bol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둥과 보의 접합부를 더블 T형의 접합구조를 갖도록 형성하여 보와 기둥과의 접합부의 시공성 및 구조성능이 향상되고 층고절감이 가능한 더블 T형 접합구조를 갖는 기둥과 U형 보를 이용한 반슬림 골조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a) 일정 길이의 기둥과, 기둥의 일정 높이마다 1방향 이상 결합되는 더블 T형 브라켓과, U형 본체와 U형 본체의 양단부에서 각각 내측으로 일정 길이까지 U형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T형 보강재와 한 쌍의 T형 보강재의 상부 플랜지와 상부 플랜지의 사이에 결합되는 보강판과 U형 본체의 상부판과 상부판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간격 유지재와 간격 유지재들을 U형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1열 이상으로 연결하도록 간격 유지재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종방향 보강재;로 이루어지는 U형 보를 제작하는 단계; (b) 더블 T형 브라켓이 결합된 기둥을 일정 간격으로 시공하는 단계; (c) 기둥과 기둥 사이에 U형 보의 양단부를 각각 더블 T형 브라켓의 받침 플레이트에 거치하여 상부 플랜지와 U형 보의 상부 플랜지가 동일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 (d) 기둥과 U형 보를 이음판을 덧대어 접합하는 단계; (e) U형 보의 상부판(213)에 데크 플레이트를 거치하고, 상부에 철근을 조립하는 단계; (f) U형 보의 내부 및 데크 플레이트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joining a column and a beam using a column and a U-shaped beam having a double-T-type joint structure and improving the workability and structural performance of the joint between the beam and the column, And a semi-slim frame construction method.
(A) a double-T-shaped bracket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of column, a double-T-shaped bracket coupled to the column at a predetermined height in one or more directions, and a U- A pair of T-shaped stiffener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old body, a reinforcing plate coupled between the upper flange and the upper flange of the pair of T-shaped stiffeners, and a gap formed to connect the upper plate and the upper plate of the U- And a longitudinal stiffener formed at an upper portion or a lower portion of the gap holding member so as to connect the ashes and spacers at least one ro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shaped body. (b) installing a column having a double T-shaped bracket at regular intervals; (c) placing both ends of the U-shaped beam between the column and the column on the receiving plate of the double T-shaped bracket so that the upper flange and the upper flange of the U-shaped beam are positioned at the same height; (d) joining the column and the U-shaped beam by attaching a joint plate; (e) mounting a deck plate on the upper plate 213 of the U-shaped beam and assembling the reinforcing bars on the upper plate 213; (f) Placing concrete on the inside of the U-shaped beam and on the deck plate to form a bottom plate.

Description

더블 T형 접합구조를 갖는 기둥과 U형 보를 이용한 반슬림 골조 시공방법{Steel Frame Construction Method With Double T-Shaped Joint Structur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mi-slim fram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double-T-shaped pillar and a U-

본 발명은 더블 T형 접합구조를 갖는 기둥과 U형 보를 이용한 반슬림 골조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둥과 보의 접합부를 더블 T형의 접합구조를 갖도록 형성하여 보와 기둥과의 접합부의 시공성 및 구조성능이 향상되고 층고절감이 가능한 더블 T형 접합구조를 갖는 기둥과 U형 보를 이용한 반슬림 골조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mi-slim fram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column having a double T-shaped joint structure and a U-shaped beam.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structing a doub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mi-slim fram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column and a U-shaped beam having a double T-type joint structure capable of improving the workability and structural performance of the joint and reducing the floor height.

강콘크리트 합성보는 강재 보와 철근콘크리트가 단일부재로 거동하도록 구현하여 휨모멘트를 받을 때 압축응력의 대부분은 콘크리트가 부담하도록 하고 인장응력은 강재가 부담하도록 하는 효율적인 구조부재로써, 보의 춤을 줄여 건축구조물의 층고나 교량구조물의 형하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보 단면의 저항강도와 저항강성 증대로 장 스팬 구조물이 가능하게 며, 극한성능이나 변형성능이 증대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Steel Concrete Composite steel beam and reinforced concrete are designed to behave as a single member so that when the bending moment is applied, most of the compressive stress will be imposed on the concrete and tensile stress will be imposed on the steel member.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hape space of the bridge structure and the bridge structure of the building structure and to increase the resistance strength and the resistance rigidity of the beam cross section, the long span structure becomes possible and the extreme performance and deformation performance are increased.

강콘크리트 합성보를 구현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H형강은 강재 이용 측면에서 볼 때 휨에 의해 부재에 발생하는 인장력, 압축력에 대해 효율적으로 저항하는 부재단면이지만, H형강을 이용한 합성보는 정모멘트 구간에서 합성단면의 중립축이 상부 플랜지측으로 이동하여 콘크리트 슬래브가 압축력의 대부분을 부담하므로 상부 플랜지가 비효율적인 휨모멘트 저항단면요소로 사용된다. 또한, 합성보 부재의 강도평가 측면에서 성능이 우수하므로 장스팬에 많이 적용하고 있는데 이때 상대적으로 단면의 저항강성이 작아져서 과다 처짐, 진동 등 사용성의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H-shaped steel, which is generally used to realize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s, is a member section that effectively resists tensile and compressive forces that occur in a member due to bending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steel use. However, Since the neutral axis of the composite section moves to the upper flange side, and the concrete slab undergoes most of the compressive force, the upper flange is used as an inefficient bending moment resistance section element. Also, since the performance is excellent in terms of strength evaluation of the composite member, it is widely applied to the long span. In this case, the resistance rigidity of the cross section is relatively small, which indicates problems of usability such as excessive deflection and vibration.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합성보의 H형강 외부를 철근콘크리트로 둘러싸는 개념의 철골철근콘크리트보(SRC보, teel-Reinforced Concrete beam)가 개발되었다. SRC보는 단면의 강도나 강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나 자중이 매우 증가되어 현장시공시 거푸집공사 및 동바리공사에 면밀한 주의가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정모멘트 구간에서 보부재의 단면 하부에 발생하는 인장응력에 대해 H형강을 둘러싼 콘크리트의 기여도 없으므로 비효율적 구조단면이라 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휨균열이 육안으로 나타나므로 사용자에게 불안감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To solve these problems, the concept of a reinforced concrete beam (SRC), which is surrounded by reinforced concrete, was developed. The SRC has the advantage of excellent strength and stiffness of the cross section of the beam, but it has a drawback in that it requires very careful attention to the formwork and construction work at the site construction. In addition, there is no contribution of concrete surrounding the H-shaped section to the tensile stress generated in the lower section of the beam member in the section of the momentum, which is an ineffective structure section. Since the concrete bending crack is visually observed, have.

상기한 H형강 보를 이용한 합성보에서의 상부 플랜지의 비효율성 및 사용성의 문제와, 철골철근콘크리트 보에서의 시공성 및 단면의 비효율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TSC 보(강판거푸집 합성보)가 알려져 있다.A TSC beam (steel plate form composite beam) is known to solve problems of inefficiency and usability of the upper flange in the composite beam using the H-shaped beam, and problems of workability and ineffectiveness of the steel reinforced concrete beam .

그러아 니와 같은 강판 거푸집 합성보 등의 경우에는 기둥과의 접합부 구조가 복잡하여 시공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a steel plate formwork composite such as the abov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ructure of the joint portion with the column is complicated and the workability is poor.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특허등록 제1549417호 "철골합성보용 조인트 바스켓"(특허문헌 1)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상부와 길이방향 전후부가 개구된 함체(100)로서, 내부에 공간부(110)가 형성되도록 복수의 측판(120)과 상기 측판(120)을 연결하는 하판(130)이 구비되도록 하되, 상기 측판(120)과 하판(130)의 일측에는 피씨 거더(10)와 조립되도록 고정볼트(B-1)가 관통 결합되는 통공(121,131)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121,131)과 대향되는 타측 단부에는 피씨 기둥(20)의 외주면과 접합되도록 측판 및 하판(120,130)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절곡된 붙임판(140)이 구비되도록 하되, 상기 붙임판(140)의 면상에는 조립볼트(B-2)가 관통 결합되도록 관통공(141)이 형성되고, 상기 측판(120)은 내주면 일측에 함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슬라이더(122)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슬라이더(122)는 기 성형된 피씨 거더(10)의 요홈식 레일(11)에 수납되어 시공 전 가조립시 붙임판(140)이 피씨거더(10)의 단부와 동일 선상을 이루도록 배치된 후 양중 및 가조립이 완료되면 피씨 기둥(20)을 향해 붙임판(140)이 맞닿도록 이동되어 접합되면, 공간부(110)에 현장 콘크리트(C)가 타설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현장 콘크리트(C)가 양생이 완료되면 피씨 거더(10)로부터 탈거(분리) 할 수 있도록 조인트 바스켓이 구성됨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바스켓은 일체로 구성된 하나의 판재를 절곡하여 형성하도록 하되, 상기 슬라이더는 철(凸)부 형태로 돌출된 것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측판 양측에 구비되어 피씨 거더의 요홈식 레일과 대응되면서 운반시에는 파손을 방지하도록 피씨 거더의 단부 뒤로 밀려 있다가 조립시에는 앞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붙임판이 피씨 기둥과 조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합성보용 조인트 바스켓'을 제안한다. As a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patent registration No. 1549417 entitled " Jointed basket for steel composite beam "(Patent Document 1). In the background art, a housing 100 having an upper portion and a longitudinal front and rear portion of the housing 100 is provided with a lower plate 130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ide plates 120 and the side plates 120 so as to form a space portion 110 therein 1 through which the fixing bolts B-1 are assembled so as to be assembled with the PC girder 1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ide plate 120 and the lower plate 130. The through holes 121, (B-2)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attached plate 140. The mounting bolt (B-2)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mounting plate 140 so as to be bent from the side plate and the lower plates 120 and 130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C column 20. And a slider 122 protru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0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ide plate 120. The slider 122 is formed in a shape (11) of the PC girder (10), and is attached to the glued plate (14 0) are arranged so as to be in line with the ends of the PC girder 10 and then moved together to be joined to the PC column 20 toward the PC column 20 and joined together, The concrete basket C is formed so as to be laid and the joint basket is constructed so that the field concrete C can be detached (separated) from the PC girder 10 when curing is completed, The slider is protruded in the form of a convex portion and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ide plat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slotted rail of the PC girder, And the insert is slid forward when assembled, so that the insert is assembled with the PC column.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층고절감이 불가능 할 뿐만 아니라 결합부의 상부단면의 보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background art has a drawback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reduce the thickness and height, and it is difficult to reinforce the upper end face of the coupling portion.

특허등록 제1549417호 "철골합성보용 조인트 바스켓"Patent Registration No. 1549417 "Joint basket for steel composite bea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의 단부를 더블 T형으로 구성하고 기둥에도 이와 대응하는 더블 T형으로 구성하여, 기존 보와 기둥과의 현장 설치시 품질관리가 어려운 필드 용접을 배제하고 볼트 체결 방법을 적용할 수 있어 보와 기둥과의 접합부의 시공성 및 구조성능이 향상되고, 보를 U형 단면을 갖는 U형 보를 형성하여 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전하도록 함으로써 장스팬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슬래브의 일부가 보의 춤 내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층고를 절감할 수 있어 공사기간을 크게 단축시킴과 아울러 시공비 역시 절감시킬 수 있는 더블 T형 접합구조를 갖는 기둥과 U형 보를 이용한 반슬림 골조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ouble-T type beam end structure, The bolt fastening method can be applied to improve the workability and structural performance of the joint between the beam and the column and to form the U-shaped beam having the U-shaped section so that the concrete is filled therein, , A part of the slab is located in the dancing of the beam to reduce the height of the beam, thereby reducing the construction period and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The semi-slim frame construction using the column and U- The purpose of the method is to provide.

본 발명은 (a) 일정 길이의 기둥과,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받침 플레이트와; 받침 플레이트의 길이보다 타측 단부가 일정 길이 짧은 길이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상부 플랜지와 상부 플랜지의 폭방향 중앙부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복부판으로 이루어지는 T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부 플랜지와 상부 플랜지의 사이에 작업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일정거리 이격되어 받침 플레이트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T형 결합부재;로 이루어져, 기둥의 일정 높이마다 1방향 이상 결합되는 더블 T형 브라켓과, 수평으로 형성되는 하부판과 하부판의 양단부에서 수직 상부로 연장되는 측면판와 측면판의 상단부에서 외측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상부판으로 이루어지는 U형 본체와; 수직으로 형성되는 웨브와 웨브의 상단부에서 수평으로 형성되는 상부 플랜지로 이루어져 U형 본체의 양단부에서 각각 내측으로 일정 길이까지 U형 본체의 상부판의 상부에 측면판과 일치하도록 각각 웨브의 하단부가 결합되는 한 쌍의 T형 보강재와; 한 쌍의 T형 보강재의 상부 플랜지와 상부 플랜지의 사이에 결합되는 보강판과; U형 본체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T형 보강재 사이 구간에 U형 본체의 상부판과 상부판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간격 유지재와; 간격 유지재들을 U형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1열 이상으로 연결하도록 간격 유지재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종방향 보강재;로 이루어지는 U형 보를 제작하는 단계; (b) 더블 T형 브라켓이 결합된 기둥을 일정 간격으로 시공하는 단계; (c) 기둥과 기둥 사이에 U형 보의 양단부를 각각 더블 T형 브라켓의 받침 플레이트에 거치하여 상부 플랜지와 U형 보의 상부 플랜지가 동일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 (d) 기둥과 U형 보를 이음판을 덧대어 볼트 접합하는 단계; (e) U형 보의 상부판에 데크 플레이트를 거치하고, 상부에 철근을 조립하는 단계; (f) U형 보의 내부 및 데크 플레이트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T형 접합구조를 갖는 기둥과 U형 보를 이용한 반슬림 골조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 a column of a predetermined length, a receiving plate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Shaped cross section formed by an upper flange formed horizontally at a length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support plate at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baffle plate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idthwise center of the upper flange, And a T-shaped coupling membe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to form a work space and forme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cking plate, A U-shaped body including a side plate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vertical plate and a top plate extending outwardly from an upper end of the side plate; And a lower end portion of the web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upper plate of the U-shaped body so as to coincide with the side plates, from the both ends of the U- A pair of T-shaped stiffeners; A reinforcing plate coupled between the upper flange and the upper flange of the pair of T-shaped stiffeners; A space-retaining member formed to connect the upper plate and the upper plate of the U-shaped body in a section between a pair of T-shaped stiffeners coupled to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U-shaped body; And a longitudinal stiffener formed on an upper portion or a lower portion of the cavity-holding member to connect the cavity-holding members to the U-shaped body in one or more row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shaped body. (b) installing a column having a double T-shaped bracket at regular intervals; (c) placing both ends of the U-shaped beam between the column and the column on the receiving plate of the double T-shaped bracket so that the upper flange and the upper flange of the U-shaped beam are positioned at the same height; (d) bolting joining the column and the U-shaped beam with a joint plate; (e) mounting a deck plate on the upper plate of the U-shaped beam and assembling a reinforcing bar on the upper portion; (f) forming a bottom plate by pouring concrete on the inside of the U-shaped beam and on the top of the deck plate. The semi-slim frame construction using a column having a double T- Method.

또한, (a) 단계에서, 기둥은 U형 본체의 상부판에 대응하는 높이에 더블 T형 브라켓의 복부판 외측의 수평방향으로 거치 플레이트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T형 접합구조를 갖는 기둥과 U형 보를 이용한 반슬림 골조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in the step (a), the column has a double-T-shaped junction structur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utside the baffle plate of the double-T-shaped bracket at the height corresponding to the top plate of the U- And to provide a semi-slim fram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U-beam.

또한, (a) 단계에서, 기둥의 더블 T형 브라켓은 인접한 한 쌍의 상부 플랜지 들의 기둥과 접합된 단부의 일정면적을 연결하도록 연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T형 접합구조를 갖는 기둥과 U형 보를 이용한 반슬림 골조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lso, in the step (a), the double T-shaped bracket of the column has a connecting portion formed to connect a certain area of an end portion of the pair of upper flanges joined to the column, And to provide a semi-slim fram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U-beam.

또한, (a) 단계에서, U형 보의 간격 유지재는 강봉 또는 플레이트이거나 ㄴ, ㄷ, ∩ 및 Z 단면 중 어느 하나의 단면으로 이루어지져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T형 접합구조를 갖는 기둥과 U형 보를 이용한 반슬림 골조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in the step (a), the spacing member of the U-shaped beam may be a steel rod or a plate, or a cross section of any of the c, And a U-shaped beam.

또한, (a) 단계에서, U형 보의 간격 유지재는 ∩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U형 본체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T형 보강재 사이 구간 전체 길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T형 접합구조를 갖는 기둥과 U형 보를 이용한 반슬림 골조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in the step (a), the U-shaped beam spacing member is formed to have an ∩-shaped section and is formed in the entire length of a section between a pair of T-shaped stiffeners coupled to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U- And to provide a semi-slim fram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U-shaped beam and a column having a double T-shaped joint structure.

또한, (a) 단계에서, U형 보는 하부판의 길이방향으로 1열 이상의 인장 보강재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T형 접합구조를 갖는 기둥과 U형 보를 이용한 반슬림 골조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lso, in the step (a), a U-shaped reinforcing member is constituted by one or more tensile stiffener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ttom plate, and a semi-slim fram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U-shaped beam and a column having a double T-

또한, (a) 단계에서, U형 보에서 길이방향 중앙부에 일정 길이 U형 본체의 상부를 덮도록 상부면이 T형 보강재의 상부 플랜지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덮개가 구성되며, 덮개가 형성된 U형 보의 일방향 또는 양방향에 더블 T형 브라켓이 결합되는 큰 보가 추가로 제작되며, (c) 단계에서, 기둥과 기둥 사이에 큰 보의 양단부를 각각 더블 T형 브라켓의 받침 플레이트에 거치하고, 큰 보와 큰 보의 사이에 U형 보의 양단부를 각각 더블 T형 브라켓의 받침 플레이트에 거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T형 접합구조를 갖는 기둥과 U형 보를 이용한 반슬림 골조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the step (a), a cover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shaped bea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flange of the T-shaped stiffener so as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U- In the step (c), the both ends of the large beam between the column and the column are respectively mounted on the receiving plate of the double T-bracket, and the large To provide a semi-slim fram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column and a U-shaped beam having a double T-shaped join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both end portions of the U-shaped beam are mounted on a support plate of a double T-shaped bracket between the beam and the large beam do.

또한, (e) 단계에서, 일측 단부는 더블 T형 브라켓의 연결부 상부에 위치하고 타측 단부는 U형 보의 일측의 보강판 상부에 위치하도록 부모멘트 구간에 부모멘트 철근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T형 접합구조를 갖는 기둥과 U형 보를 이용한 반슬림 골조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in the step (e), the reinforcing bars are joi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einforcing plate so that one end of the reinforcing plate is located above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double T-bracket and the other end of the reinforcing plate is located above the reinforcing plate on one side of the U- And to provide a semi-slim fram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U-shaped beam having a T-joint structure.

본 발명의 더블 T형 접합구조를 갖는 기둥과 U형 보를 이용한 반슬림 골조 시공방법은보의 단부를 더블 T형으로 구성하고 기둥에도 이와 대응하는 더블 T형으로 구성하여, 기존 보와 기둥과의 현장 설치시 품질관리가 어려운 필드 용접을 배제하고 볼트 체결 방법을 적용할 수 있어 보와 기둥과의 접합부의 시공성 및 구조성능이 향상되고, 보를 U형 단면을 갖는 U형 보를 형성하여 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전하도록 함으로써 장스팬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슬래브의 일부가 보의 춤 내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층고를 절감할 수 있어 공사기간을 크게 단축시킴과 아울러 시공비 역시 절감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In the semi-slim fram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pillar having a double T-shaped joint structure and a U-shaped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 portion of the beam is formed of a double T- It is possible to apply the bolt fastening method by eliminating the field welding which is difficult in the quality control in the field installation,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orkability and structural performance of the joint between the beam and the column and to form the U- It is possible not only to make a long span but also to install a part of the slab in the dancing of the beam to reduce the floor height, thereby greatly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and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둥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1의 더블 T형 브라켓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U형 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4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도 4의 A-A, B-B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U형 본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U형 보에 사용되는 간격 유지재의 다양한 실시예의 단면을 도시한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더블 T형 접합구조를 갖는 기둥과 U형 보를 이용한 반슬림 골조 시공방법을 시공순서대로 도시한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더블 T형 접합구조를 갖는 기둥과 U형 보를 이용한 반슬림 골조 시공방법의 다른 실시예의 상세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더블 T형 접합구조를 갖는 기둥과 U형 보를 이용한 반슬림 골조 시공방법에서 U형 보의 결합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Shall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lumn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ouble T-bracket of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U-shaped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and BB i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U-shaped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cavity-holding member used in the U-shaped bea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showing a semi-slim frame construction method using columns and U-shaped beams having a double T-shaped jun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of construction.
10 is a detailed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semi-slim fram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pillar having a double T-shaped joint structure and a U-shaped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coupling structure of a U-shaped beam in a semi-slim fram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column having a double T-shaped joint structure and a U-shaped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은 기둥과 보의 접합부를 더블 T형의 접합구조를 갖도록 형성하여 보와 기둥과의 접합부의 시공성 및 구조성능이 향상되고 층고절감이 가능한 더블 T형 접합구조를 갖는 기둥과 U형 보를 이용한 반슬림 골조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joining a column and a beam using a column and a U-shaped beam having a double-T-type joint structure and improving the workability and structural performance of the joint between the beam and the column, And a semi-slim frame construction method.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technic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기둥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3은 상기 도 1의 더블 T형 브라켓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U형 보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도 4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6은 상기 도 4의 A-A, B-B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lum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FIG. 1, and FIG. 3 is a sectional view of the double T-bracket of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U-shaped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FIG. 4, and FIG. 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and B-B of FIG.

본 발명의 더블 T형 접합구조를 갖는 기둥과 U형 보를 이용한 반슬림 골조 시공방법은 먼저 더블 T형 브라켓(70)이 결합된 기둥(10)과 U형 보(20)를 사전 제작한다(a).In the method of semi-slim frame construction using a column having a double T-shaped joint structure and a U-shaped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lumn 10 and a U-shaped beam 20 to which a double T- ).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둥(10)은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각형 강관을 사용하였지만, H형강, 원형강관, 각형 강관 등 다양한 공지의 기둥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기둥(10)의 측면에 더블 T형 브라켓(70)을 결합하도록 한다.Although the column 10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quare steel pip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various known columns such as an H-shaped steel, a round steel pipe, and a rectangular steel pipe may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bracket 70 is engaged.

더블 T형 브라켓(70)은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받침 플레이트(72)의 상부에 한 쌍의 T형 결합부재(73)가 결합되어 더블 T형의 구조를 갖도록 한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double T-shaped bracket 70 has a pair of T-shaped engagement members 73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72 to have a double T-shaped structure.

더블 T형 브라켓(70)은 기둥(10)의 일정 높이마다 U형 보(20)가 결합되는 부분에 1방향 이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기둥(10)에 용접접합 등 공지의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되도록 한다.The double T-shaped bracket 70 is formed so as to protrude in at least one direction at a portion where the U-shaped beam 20 is coupled to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column 10 and to be joined to the column 10 by various known methods such as welding do.

받침 플레이트(72)는 일정 크기의 판형상으로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며, 받침 플레이트(72)의 상부에는 한 쌍의 T형 결합부재(73)가 결합된다.The support plate 72 is formed horizontally in the shape of a plate of a predetermined size and a pair of T-shaped engagement members 73 ar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72.

T형 결합부재(73)는 수평하게 형성되는 상부 플랜지(731)와 상부 플랜지(731)의 폭방향 중앙부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복부판(732)로 이루어지는 T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특히, 일측 단부는 받침 플레이트(72)의 일측 단부와 동일선상에 위치하고, 타측단부는 받침 플레이트(72)의 길이보다 타측 단부가 일정 길이 짧은 길이로 형성되도록 하여, T형 결합부재(73)의 타측으로 더 돌출된 받침 플레이트(72)의 상부에 U형 보(20)의 단부의 거치면을 제공하도록 한다.The T-shaped coupling member 73 is formed to have a T-shaped cross section including an upper flange 731 formed horizontally and a bumper plate 732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idthwis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flange 731, The other end of the T-type coupling member 73 is formed so as to have a length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receiving plate 72 by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T- The upper end of the U-shaped beam 20 is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ruded support plate 72.

T형 결합부재(73)는 받침 플레이트(72)의 폭방향 외측 단부에 복부판(731)을 일치시켜 용접하여 결합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폭방향 외측 단부에서 내측으로 일정거리 내입하여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The T-shaped coupling member 73 may be welded to the outer side end portion of the receiving plate 72 by being welded to the outer side end portion of the receiving plate 72 in a widthwise direction thereof, .

이와 같은 T형 결합부재(73)는 한 쌍이 일정거리 이격되어 받침 플레이트(72)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데, 이때, T형 결합부재(73)의 상부 플랜지(731)와 인접한 T형 결합부재(73)의 상부 플랜지(731)의 사이에는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하여 일정 크기로 개구된 작업 공간부(733)가 형성되도록 한다. 작업 공간부(733)는 기둥(10)과 U형 보(20)의 볼트 접합 및 용접시에 작업자가 손을 넣어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하여 기둥(10)과 U형 보(20)의 접합을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The T-shaped engagement members 73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support plate 72 in the width direc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t this time, the T- A work space 733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flange 731 of the member 73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work space portion 733 provides a space for a worker to insert his / her hands during bolt joining and welding of the column 10 and the U-shaped beam 20, so that the column 10 and the U- Can be easily joined.

또한, 이와 같이 작업 공간부(733)를 형성하여 작업 편의성을 높이면서도 T형 결합부재(73)의 상부 플랜지(731)를 형성하여 상부의 단면을 보강하도록 하여 시공편의성과 설치상 단부 모멘트 저항력 향상으로 구조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work space portion 733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flange 731 of the T-shaped engaging member 73 is formed to reinforce the upper end surface, thereby improving the ease of installation and improving the resistance of the upper end moment So that the structural stability can be secured at the same time.

본 발명에서는 기둥(10)의 결합되는 더블 T형 브라켓(70)의 단면은 도 3 및 도 6에서와 같이 U형 보(20)의 단부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의 더블 T형을 형성하도록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슬래브의 일부가 U형 보(20)의 춤 내에 위치하도록 U형 보(20)의 U형 본체(21)의 상부에 데크 플레이트가 거치되도록 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층고를 절감하도록 하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도록 기둥(10)은 U형 본체(21)의 상부판(213)에 대응하는 높이에 더블 T형 브라켓(22)의 복부판(132) 외측의 수평방향으로 거치 플레이트(734)가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double T-shaped bracket 70 to which the column 10 is coupled is formed to have a double T-shape having the same shape as that of the end of the U-shaped beam 20 as shown in FIGS. 3 and 6,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ck plate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U-shaped main body 21 of the U-shaped beam 20 so that a part of the slab is positioned within the dancing of the U-shaped beam 20, The column 10 is provided with a mounting plate 734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utside the bend plate 132 of the double T-type bracket 22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top plate 213 of the U- .

도 7은 본 발명의 U형 본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U-shaped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서와 같이, U형 본체(21)는 하나의 판재를 절곡하여 U형 본체(21)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도 7(a)에서와 같이, 하부판(211)을 별도로 제작하여 U형 본체(21)를 3개로 분절하여 제작하고 측면판(212)의 하단부에 하부판(211)을 용접하여 하나의 U형 본체(21)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에는 측면판(212)의 하단부를 수평으로 절곡하여 하부판(211)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218)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U-shaped body 21 may be formed by bending a single plate to form the U-shaped body 21. Particularly, as shown in FIG. 7 (a) So that the U-shaped body 21 can be formed by cutting the U-shaped body 21 into three pieces and welding the lower plate 211 to the lower end of the side plate 212. 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side plate 212 may be horizontally bent to form a coupling portion 218 for coupling with the lower plate 211.

또한, 도 7(b)에서와 같이, U형 본체(21)는 하부판(211)의 폭방향 중앙부가 분절되어 접합되도록 하여, U형 본체(21)가 대칭인 2개의 단위부재로 제작하고 용접하여 하나의 U형 본체(21)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에도 역시 측면판(212)의 중앙부의 분절된 부분에는 수직으로 절곡하여 결합을 위한 결합부(219)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b), the U-shaped main body 21 is formed by two unit members of which the U-shaped main body 21 is symmetrical so that the widthwise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plate 211 is segmented and bonded, So that one U-shaped body 21 can be formed. At this time, it is also possible to vertically bend the segmented portion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side plate 212 to form a coupling portion 219 for coupling.

또한, 도 2에서와 같이, 기둥(10)의 더블 T형 브라켓(70)은 인접한 한 쌍의 상부 플랜지(731) 들의 기둥(10)과 접합된 단부의 일정면적을 연결하도록 연결부(71)가 형성되도록 하여, 기둥(10)과의 접합부에서의 접합면적을 늘리고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T형 결합부재(73)의 상부 플랜지(73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도 2에서와 같이, 기둥(10)의 다른 방향에 돌출되어 형성된 더블 T형 브라켓(70)의 T형 결합부재(73)의 상부 플랜지(731) 들을 모두 일체로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2, the double T-bracket 70 of the column 10 has a connecting portion 71 for connecting a certain area of an end of the pair of upper flanges 731 joined to the column 10, Type connecting member 73 so as to increase the bonding area at the junction with the column 10 and to improve the strength and can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per flange 731 of the T- The upper flanges 731 of the T-shaped coupling member 73 of the double T-shaped bracket 70 protruded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column 10 may be integrally formed.

본 발명의 U형 보(20)는 U형 단면을 갖는 U형 본체(21)와, U형 본체(21)의 길이방향 양단부의 일정 길이의 상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T형 보강재(22)로 이루어 진다.The U-shaped beam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haped main body 21 having a U-shaped cross section, a pair of T-shaped stiffeners 22 joined to an upper portion of a predetermined length of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U- Lt; / RTI >

U형 본체(21)는 수평으로 형성되는 하부판(211)과 하부판(211)의 양단부에서 수직 상부로 연장되는 측면판(212)와 측면판(212)의 상단부에서 외측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상부판(213)으로 이루어져 U형 단면을 갖도록 함으로써 내부에 콘크리트의 타설이 가능하도록 한다.The U-shaped main body 21 includes a bottom plate 211 formed horizontally and a side plate 212 extending vertically upward at both ends of the bottom plate 211 and a top plate 212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top ends of the side plates 212, (213) so as to have a U-shaped cross-section so that the concrete can be inserted therein.

특히, U형 본체(21)는 인장 보강을 위하여 하부판(211)의 길이방향으로 1열 이상의 인장 보강재(217)가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U-shaped main body 21 may be constituted by one or more tensile reinforcement members 217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plate 211 for tensile reinforcement.

또한, U형 본체(21)의 상부판(213)과 상부판(213)을 연결하도록 간격 유지재(24)가 형성되어 U형 본체(21)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과 동시에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와의 전단 연결재의 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다.The gap maintaining member 24 is formed to connect the upper plate 213 and the upper plate 213 of the U-shaped body 21 to prevent the U-shaped body 21 from being opened, At the same time, it can serve as a shear connection material with concrete placed on the upper part.

이와 같은 간격 유지재(24)는 바람직하게는 U형 본체(21)의 길이방향 양단부의 한 쌍의 T형 보강재(22)의 사이 구간에 200~400mm 간격으로 설치 결합한다.The gap holding member 24 is preferably installed at intervals of 200 to 400 mm between the pair of T-shaped stiffeners 22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shaped main body 21.

도 8은 본 발명의 U형 보에 사용되는 간격 유지재의 다양한 실시예의 단면을 도시한 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cavity-holding member used in the U-shaped beam of the present invention.

간격 유지재(24)는 상부판(213)과 상부판(213)을 연결하도록 공지의 다양한 형상의 강재를 용접 등의 공지의 방법으로 접합하여 구성하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도 8a(a)에서와 같이 강봉이나, 도 8a(b)에서와 같이 일정 크기의 플레이트이거나, 도 8a(c)(d)(e)에서와 같이 ㄴ, ㄷ 및 Z 단면 중 어느 하나의 단면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도 8a(f)에서와 같이, 플레이트를 절곡하여 제작되는 ∩ 단면을 갖는 모자형 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The gap holding member 24 may be formed by joining well-known various shapes of steel materials to connect the upper plate 213 and the upper plate 213 by a known method such as welding. Particularly, A steel rod or a plate of a predetermined size as shown in Fig. 8A (b), or a cross section of any one of the b, c and Z sections as shown in Figs. 8A, 8C, 8D and 8E As shown in Fig. 8A (f),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hat-shaped member having a ∩ section formed by bending a plate.

특히, 간격 유지재(2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지 않고, 도 8b에서와 같이, ∩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U형 본체(21)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T형 보강재(22) 사이 구간 전체 길이에 덮개형상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간격 유지재(24)에는 복수의 면구(241)가 통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gap holding member 24 is not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s described above, but may be formed as a pair of T (not shown) formed to have a ∩ shaped cross section and to be coupled to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U- Type stiffener 22. The spacing member 24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241 formed therein.

또한, 본 발명에서는 U형 본체(21)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간격 유지재(24)들을 U형 본체(21)의 길이방향으로 연결하여 보강하도록 1열 이상의 종방향 보강재(25)가 형성되도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more than one row of longitudinal stiffeners 25 is provided so as to connect and reinforce spacing members 24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side of the U-shaped main body 2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 .

이때, 종방향 보강재(25)는 간격 유지재(214)의 상부나 하부에서 철근, 각강이나 환봉, 플랫 바(flat bar) 중 어느 하나를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longitudinal stiffener 25 is coupled to one of the reinforcing bars, the steel bars, the round bar, and the flat bar by welding or the like at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gap retaining member 214.

U형 본체(21)의 길이방향 양단부에서 각각 일정거리 내측까지의 구간에는 한 쌍의 T형 보강재(22)가 형성되는데, 한 쌍의 T형 보강재(22)는 수직으로 형성되는 웨브(221)와 웨브(221)의 상단부에서 수평으로 형성되는 상부 플랜지(222)로 이루어져 더블 T형 브라켓(70)의 T형 결합부재(73)와 동일한 접합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A pair of T-shaped stiffeners 22 are formed in the respective sections of the U-shaped main body 2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ach of the pair of T-shaped stiffeners 22 includes a vertically formed web 221, And an upper flange 222 formed horizontally at the upper end of the web 221 and formed to have the same bonding structure as the T-shaped coupling member 73 of the double T-bracket 70.

T형 보강재(22)의 상부 플랜지(222)는 브라켓(70)의 상부 플랜지(731)와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도록 웨브(221)의 높이를 형성하며 상부 플랜지(222)의 폭 역시 브라켓(70)의 상부 플랜지(731)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접합이 용이하도록 한다.The upper flange 222 of the T-shaped stiffener 22 forms the height of the web 221 so that the upper flange 222 of the T-shaped stiffener 22 is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flange 731 of the bracket 70, The upper flange 731 is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as that of the upper flange 731 to facilitate the joining.

이와 같은 T형 보강재(22)는 U형 본체(21)의 상부판(213)의 상부에 용접 측면판(212)과 일치하도록 형성시켜 각각 웨브(221)의 하단부가 결합되도록 한다.The T-shaped stiffener 22 is formed on the upper plate 213 of the U-shaped body 21 so as to coincide with the welding side plate 212 so that the lower ends of the webs 221 are engaged with each other.

이때, 한 쌍의 T형 보강재(22)는 브라켓(70)의 한 쌍의 T형 결합부재(73)와 대응하는 단면으로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한 쌍의 T형 보강재(22)의 상부 플랜지(222)와 상부 플랜지(222)의 사이에 일정거리 이격되는 공간부(223)가 형성된다.At this time, a pair of T-shaped stiffeners 22 are formed in a pair of T-shaped stiffeners 22, as shown in Figs. 4 and 5, in a section corresponding to a pair of T-shaped engagement members 73 of the bracket 70, A space 223 spaced a certain distance between the upper flange 222 and the upper flange 222 is formed.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의 T형 보강재(22)의 상부 플랜지(222)와 상부 플랜지(222)의 사이에 보강판(23)을 결합하도록 하여 한 쌍의 T형 보강재(22)를 연결하여 보강하도록 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T-shaped stiffeners 22 are connected by connecting the reinforcing plate 23 between the upper flange 222 of the pair of T-shaped stiffeners 22 and the upper flange 222 .

도 9는 본 발명의 더블 T형 접합구조를 갖는 기둥과 U형 보를 이용한 반슬림 골조 시공방법을 시공순서대로 도시한 도이다.FIG. 9 is a view showing a semi-slim frame construction method using columns and U-shaped beams having a double T-shaped jun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of construction.

이후, 도 9a에서와 같이, 더블 T형 브라켓(70)이 결합된 기둥(10)을 일정 간격으로 시공하도록 한다(b).Then, as shown in FIG. 9A, the pillars 10 to which the double T-brackets 70 are coupled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b).

이후, 도 9b에서와 같이, 기둥(10)과 기둥(10)의 사이에 U형 보(20)를 거치하도록 한다(c).Thereafter, as shown in FIG. 9B, the U-shaped beam 20 is placed between the column 10 and the column 10 (c).

U형 보(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보(20)의 단부가 더블 T형 브라켓(70)의 받침 플레이트(72)의 상부에 거치하여 더블 T형 브라켓(70)의 상부 플랜지(731)와 U형 보(20)의 상부 플랜지(222)가 동일 높이에 위치하도록 한다.The end of the beam 20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plate 72 of the double T-shaped bracket 70 and the upper flange 731 of the double T- And the upper flange 222 of the U-shaped beam 20 are positioned at the same height.

이후, 기둥(10)의 더블 T형 브라켓(70)과 U형 보(20)를 이음판(30)을 덧대어 볼트 접합 하도록 한다(d).Then, the double T-bracket 70 of the column 10 and the U-shaped beam 20 are attached to the joint plate 30 and bolted together (d).

더블 T형 브라켓(70)의 복부판(732)과 U형 보(20)의 측면판(212) 및 웨브(221)를 이음판(30)을 덧대어 볼트 결합하고, 더블 T형 브라켓(70)의 상부 플랜지(731)와 U형 보(20)의 상부 플랜지(222)를 이음판(30)을 덧대어 볼트 결합하도록 하며, 필요시 용접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The double plate T of the double T-shaped bracket 70 and the side plate 212 and the web 221 of the U-shaped beam 20 are bolted to the joint plate 30 so that the double T- The upper flange 731 of the U-shaped beam 20 and the upper flange 222 of the U-shaped beam 20 are bolted to the joint plate 30 so as to be welded when necessary.

이후, 도 9c에서와 같이, U형 보(20)의 상부판(213)에 데크 플레이트(40)를 거치하고, 상부에 철근(50)을 조립하도록 한다(e).9 (c), the deck plate 40 is mounted on the upper plate 213 of the U-shaped beam 20, and the reinforcing bar 50 is assemb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U-shaped beam 20 (e).

데크 플레이트(40)는 U형 보(20)의 상부판(213) 및 기둥(10)에 결합된 더블 T형 브카렛(70)의 거치 플레이트(734)에 거치되도록 하고, 데크 플레이트(40)의 상부에 철근(50)을 배근하도록 한다.The deck plate 40 is mounted on the mounting plate 734 of the double T-shaped bracket 70 coupled to the top plate 213 of the U-shaped beam 20 and the column 10, The reinforcing bars 50 are arrang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도 10은 본 발명의 더블 T형 접합구조를 갖는 기둥과 U형 보를 이용한 반슬림 골조 시공방법의 다른 실시예의 상세도이다.10 is a detailed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semi-slim fram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pillar having a double T-shaped joint structure and a U-shaped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특히, 도 10에서와 같이, 부모멘트 구간의 부보멘트 철근(80)을 배치하여 부모멘트 구간에서의 U형 보(20)의 내력과 강성을 증대시키도록 할 수 있다.Particularly, as shown in FIG. 10, it is possible to arrange the reinforcing bars 80 of the momentum section to increase the strength and stiffness of the U-shaped beam 20 in the moment section.

부모멘트 철근(80)은 일측 단부는 더블 T형 브라켓(70)의 상부에 위치하고 타측 단부는 U형 보(20)의 일측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부모멘트 구간에 결합되도록 한다.The mandrel reinforcement 80 is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double T-bracket 70 and at the other end of the U-shaped beam 20 so as to be coupled to the momentum section.

부모멘트 철근(80)은 철근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철근 이외에 각강이나 봉강, 플랫 바(flat bar), 강판 플레이트 등을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The mandrel reinforcement 80 may be made of reinforcing steel, or may be made of steel bars, bars, flat bars, steel plates, or the like.

마지막으로, 도 9d에서와 같이, U형 보(20)의 내부 및 데크 플레이트(40)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판(60)을 형성하도록 한다(f).Finally, as shown in FIG. 9D, the bottom plate 60 is formed by placing concrete inside the U-shaped beam 20 and the deck plate 40 (FIG.

도 11은 본 발명의 더블 T형 접합구조를 갖는 기둥과 U형 보를 이용한 반슬림 골조 시공방법에서 U형 보의 결합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11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coupling structure of a U-shaped beam in a semi-slim fram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column having a double T-shaped joint structure and a U-shaped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에서와 같이, (a) 단계에서, U형 보(20)의 제작시에 U형 보(20)의 길이방향 중앙부에서 일방향 또는 양방향에 더블 T형 브라켓(70)이 결합되는 큰 보(20a)가 추가로 제작되도록 하고, (c) 단계에서, 기둥(10)과 기둥(10) 사이에 큰 보(20a)의 양단부를 각각 더블 T형 브라켓(70)의 받침 플레이트(72)에 거치하고, 큰 보(20a)와 큰 보(20a)의 사이에 U형 보(20)의 양단부를 각각 더블 T형 브라켓(70)의 받침 플레이트(72)에 거치하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1, in the step (a), when the U-shaped beam 20 is manufactured, a large beam (not shown) is attached to the double T-shaped bracket 70 in one direction or both directions at the longitudinal center portion of the U- 20a of the double brackets 70 are mounted on the supporting plate 72 of the double T-bracket 70 in such a manner that both ends of the large beam 20a between the column 10 and the column 10 are respectively mounted on the supporting plate 72 of the double- And both end portions of the U-shaped beam 20 can be respectively fixed to the receiving plates 72 of the double-T-shaped bracket 70 between the large beam 20a and the large beam 20a.

큰 보(20a)는 U형 보(20)에서 길이방향 중앙부에 일정 길이 U형 본체(21)의 상부를 덮도록 상부면이 T형 보강재(22)의 상부 플랜지(222)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덮개(27)가 구성되며, 덮개(27)가 형성된 일측 또는 양측에 더블 T형 브라켓(70)이 결합되도록 하여 결합부의 강성을 증가시키도록 한다.The large beam 20a is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flange 222 of the T-shaped stiffener 22 so as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U-shaped body 21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t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U- And a double T-bracket 70 is couple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lid 27, thereby increasing the rigidity of the coupling portion.

덮개(27)에는 면구(271)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전단 연결재(미도시)도 형성될 수 있다.The lid 27 may be provided with a face plate 271, and a separate shear connection member (not shown) may be form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더블 T형 접합구조를 갖는 기둥과 U형 보를 이용한 반슬림 골조 시공방법은 보의 단부를 더블 T형으로 구성하고 기둥에도 이와 대응하는 더블 T형으로 구성하여, 기존 보와 기둥과의 현장 설치시 품질관리가 어려운 필드 용접을 배제하고 볼트 체결 방법을 적용할 수 있어 보와 기둥과의 접합부의 시공성 및 구조성능이 향상되고, 보를 U형 단면을 갖는 U형 보를 형성하여 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전하도록 함으로써 장스팬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슬래브의 일부가 보의 춤 내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층고를 절감할 수 있어 공사기간을 크게 단축시킴과 아울러 시공비 역시 절감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The semi-slim fram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pillar and U-beam with the double-T-junc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ends of the beam are formed of a double T- It is possible to apply the bolt fastening method by eliminating the field welding which is difficult to control quality in the field installation with the column,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orkability and structural performance of the joint between the beam and the column and to form the U- It is possible not only to have a long span but also to place a part of the slab in the dancing of the beam to reduce the height of the beam so that the construction period can be greatly shortened and the construction cost can be reduced. .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light of the above teachings. will be.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but is limited only by the claims appended hereto.

10 : 기둥
20 : U형 보
21 : U형 본체
217 : 인장 보강재
22 : T형 보강재
221 : 웨브
222 : 상부 플랜지
23 : 보강판
24 : 간격 유지재
25 : 종방향 보강재
30 : 이음판
40 : 데크 플레이트
50 : 철근
60 : 바닥판
70 : 더블 T형 브라켓
71 : 연결부
72 : 받침 플레이트
73 : T형 결합부재
80 : 부모멘트 철근
10: Columns
20: U-shaped beam
21: U-shaped body
217: tensile stiffener
22: T-shaped stiffener
221: web
222: upper flange
23: reinforcing plate
24:
25: longitudinal stiffener
30: joint plate
40: Deck plate
50: Rebar
60: bottom plate
70: Double T-type bracket
71: Connection
72:
73: T-shaped coupling member
80: Bonded reinforcement

Claims (8)

(a) 일정 길이의 기둥(10)과,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받침 플레이트(72)와; 받침 플레이트(72)의 길이보다 타측 단부가 일정 길이 짧은 길이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상부 플랜지(731)와 상부 플랜지(731)의 폭방향 중앙부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복부판(732)으로 이루어지는 T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부 플랜지(731)와 상부 플랜지(731)의 사이에 작업 공간부(733)가 형성되도록 일정거리 이격되어 받침 플레이트(72)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T형 결합부재(73);로 이루어져, 기둥(10)의 일정 높이마다 1방향 이상 결합되는 더블 T형 브라켓(70)과,
수평으로 형성되는 하부판(211)과 하부판(211)의 양단부에서 수직 상부로 연장되는 측면판(212)와 측면판(212)의 상단부에서 외측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상부판(213)으로 이루어지는 U형 본체(21)와; 수직으로 형성되는 웨브(221)와 웨브(221)의 상단부에서 수평으로 형성되는 상부 플랜지(222)로 이루어져 U형 본체(21)의 양단부에서 각각 내측으로 일정 길이까지 U형 본체(21)의 상부판(213)의 상부에 측면판(212)과 일치하도록 각각 웨브(221)의 하단부가 결합되는 한 쌍의 T형 보강재(22)와; 한 쌍의 T형 보강재(22)의 상부 플랜지(222)와 상부 플랜지(222)의 사이에 결합되는 보강판(23)과; U형 본체(21)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T형 보강재(22) 사이 구간에 U형 본체(21)의 상부판(213)과 상부판(213)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간격 유지재(24)와; 간격 유지재(24)들을 U형 본체(21)의 길이방향으로 1열 이상으로 연결하도록 간격 유지재(24)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종방향 보강재(25);로 이루어지는 U형 보(20)를 제작하는 단계;
(b) 더블 T형 브라켓(70)이 결합된 기둥(10)을 일정 간격으로 시공하는 단계;
(c) 기둥(10)과 기둥(10) 사이에 U형 보(20)의 양단부를 각각 더블 T형 브라켓(70)의 받침 플레이트(72)에 거치하여 상부 플랜지(731)와 U형 보(20)의 상부 플랜지(222)가 동일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
(d) 기둥(10)과 U형 보(20)를 이음판(30)을 덧대어 볼트 접합하는 단계;
(e) U형 보(20)의 상부판(213)에 데크 플레이트(40)를 거치하고, 상부에 철근(50)을 조립하는 단계;
(f) U형 보(20)의 내부 및 데크 플레이트(40)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판(6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T형 접합구조를 갖는 기둥과 U형 보를 이용한 반슬림 골조 시공방법.
(a) a column 1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 receiving plate (72)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Shaped cross section formed by an upper flange 731 formed horizontally at a length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support plate 72 by a certain length and a bumper plate 732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idthwis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flange 731, Shaped engagement members 73 formed at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pport plate 72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to form a work space 733 between the upper flange 731 and the upper flange 731, A double T-shaped bracket 70 which is coupled to the column 10 at a predetermined height in one or more directions,
A side plate 212 extending vertically upward at both ends of the bottom plate 211 and a bottom plate 211 formed horizontally and a top plate 213 extending in the outward direction from the top of the side plate 212, A main body 21; Shaped main body 21 and a top flange 222 formed horizontally at the upper end of the web 221. The U-shaped main body 21 has a U- A pair of T-shaped stiffeners 22 to which the lower ends of the webs 221 are coupled so as to coincide with the side plates 212 on the upper side of the plate 213; A reinforcing plate 23 coupled between the upper flange 222 and the upper flange 222 of the pair of T-shaped stiffeners 22; A gap is formed between the upper plate 213 and the upper plate 213 of the U-shaped body 21 in a section between a pair of T-shaped stiffeners 22 coupled to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U- Ash 24; A U-shaped beam 20 made up of a longitudinal stiffener 25 formed at the upper portion or the lower portion of the gap holding member 24 so as to connect the gap holding members 24 in one or more row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 );
(b) constructing the columns 10 to which the double T-brackets 70 are coup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c) Both end portions of the U-shaped beam 20 are placed between the column 10 and the column 10 on the receiving plate 72 of the double T-type bracket 70 to form the upper flange 731 and the U- 20) are positioned at the same height;
(d) bolting joining the column 10 and the U-shaped beam 20 to the joint plate 30;
(e) mounting a deck plate (40) on an upper plate (213) of the U-shaped beam (20) and assembling a reinforcing bar (50) on the upper plate (213);
(f) forming a bottom plate (60) by placing concrete on the inside of the U-shaped beam (20) and on the top of the deck plate (40). And semi - slim frame construction method using U - beam.
청구항 1에 있어서,
(a) 단계에서,
기둥(10)은 U형 본체(21)의 상부판(213)에 대응하는 높이에 더블 T형 브라켓(22)의 복부판(132) 외측의 수평방향으로 거치 플레이트(734)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T형 접합구조를 갖는 기둥과 U형 보를 이용한 반슬림 골조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step (a)
The column 10 is characterized in that a mounting plate 734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utside the bell plate 132 of the double T-bracket 22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top plate 213 of the U- A Method of Semi - slim Frame Construction Using Column and U - Beam with Double T - Type Joint Structure.
청구항 1에 있어서,
(a) 단계에서,
기둥(10)의 더블 T형 브라켓(70)은 인접한 한 쌍의 상부 플랜지(731) 들의 기둥(10)과 접합된 단부의 일정면적을 연결하도록 연결부(7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T형 접합구조를 갖는 기둥과 U형 보를 이용한 반슬림 골조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step (a)
The double T-shaped bracket 70 of the column 10 has a connecting portion 71 formed to connect a certain area of an end portion joined to the column 10 of the pair of adjacent upper flanges 731. [ A Method of Semi - slim Frame Construction Using Column and U - Shaped Joint.
청구항 1에 있어서,
(a) 단계에서,
U형 보(20)의 간격 유지재(24)는 강봉 또는 플레이트이거나 ㄴ, ㄷ, ∩ 및 Z 단면 중 어느 하나의 단면으로 이루어지져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T형 접합구조를 갖는 기둥과 U형 보를 이용한 반슬림 골조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step (a)
The gap holding member 24 of the U-shaped beam 20 is formed of a steel rod or a plate, or a cross section of any of the c, ∩, and Z cross sections, and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 Method of Semi - slim Frame Construction Using Column and U - Beam.
청구항 1에 있어서,
(a) 단계에서,
U형 보(20)의 간격 유지재(24)는 ∩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U형 본체(21)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T형 보강재(22) 사이 구간 전체 길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T형 접합구조를 갖는 기둥과 U형 보를 이용한 반슬림 골조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step (a)
The gap holding member 24 of the U-shaped beam 20 is formed to have an ∩-shaped cross section and is formed in the entire length of a section between a pair of T-shaped stiffeners 22 coupled to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U- And a semi-slim fram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U-shaped beam and a column having a double T-shaped joint structure.
청구항 1에 있어서,
(a) 단계에서,
U형 보(20)는 하부판(211)의 길이방향으로 1열 이상의 인장 보강재(217)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T형 접합구조를 갖는 기둥과 U형 보를 이용한 반슬림 골조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step (a)
Wherein the U-shaped beam (20) comprises at least one tensile reinforcement (217)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plate (211).
청구항 1에 있어서,
(a) 단계에서,
U형 보(20)에서 길이방향 중앙부에 일정 길이 U형 본체(21)의 상부를 덮도록
상부면이 T형 보강재(22)의 상부 플랜지(222)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덮개(27)가 구성되며, 덮개(27)가 형성된 U형 보(20)의 일방향 또는 양방향에 더블 T형 브라켓(70)이 결합되는 큰 보(20a)가 추가로 제작되며,
(c) 단계에서,
기둥(10)과 기둥(10) 사이에 큰 보(20a)의 양단부를 각각 더블 T형 브라켓(70)의 받침 플레이트(72)에 거치하고, 큰 보(20a)와 큰 보(20a)의 사이에 U형 보(20)의 양단부를 각각 더블 T형 브라켓(70)의 받침 플레이트(72)에 거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T형 접합구조를 갖는 기둥과 U형 보를 이용한 반슬림 골조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step (a)
Shaped U-shaped main body 21 at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U-shaped beam 20
A cover 27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shaped beam 20 at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flange 222 of the T-shaped stiffener 22. A double T- A large beam 20a to which the rod 70 is coupled is additionally manufactured,
In the step (c)
Both end portions of the large beam 20a are placed between the column 10 and the column 10 on the receiving plate 72 of the double T-type bracket 70 and the large beam 20a and the large beam 20a And both end portions of the U-shaped beam (20) are mounted on the receiving plate (72) of the double T-shaped bracket (70). The semi-slim fram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U- .
청구항 1에 있어서,
(e) 단계에서,
일측 단부는 더블 T형 브라켓(70)의 연결부(71) 상부에 위치하고 타측 단부는 U형 보(20)의 일측의 보강판(23) 상부에 위치하도록 부모멘트 구간에 부모멘트 철근(8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T형 접합구조를 갖는 기둥과 U형 보를 이용한 반슬림 골조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e)
One end of the U-shaped beam 20 is positioned above the connecting portion 71 of the double T-shaped bracket 70 and the other end is positioned above the reinforcing plate 23 on one side of the U- And a U-shaped beam having a double T-shaped joint structure.
KR1020160160816A 2016-11-29 2016-11-29 Steel Frame Construction Method With Double T-Shaped Joint Structure KR1018902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816A KR101890274B1 (en) 2016-11-29 2016-11-29 Steel Frame Construction Method With Double T-Shaped Joint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816A KR101890274B1 (en) 2016-11-29 2016-11-29 Steel Frame Construction Method With Double T-Shaped Joint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1566A KR20180061566A (en) 2018-06-08
KR101890274B1 true KR101890274B1 (en) 2018-08-22

Family

ID=62599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0816A KR101890274B1 (en) 2016-11-29 2016-11-29 Steel Frame Construction Method With Double T-Shaped Joint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027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8846B1 (en) * 2018-08-21 2019-04-10 씨제이대한통운 (주) PC(Precast concrete) connecting structure and a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2183966B1 (en) * 2020-03-04 2020-11-27 (주)쓰리디엔지니어링 Combination structure system of composite columns using two H beams and composite beams using two H beam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7975B1 (en) * 2018-12-28 2020-11-12 우선애 Girder form system using deckplat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CN109779115B (en) * 2019-01-17 2020-11-24 中铁建设集团北京工程有限公司 Construction method of steel bar truss
CN109972734B (en) * 2019-04-30 2024-04-09 西安建筑科技大学 Steel construction beam column node
KR102212695B1 (en) * 2020-04-16 2021-02-05 삼원중공업 주식회사 Long span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KR102347637B1 (en) * 2020-06-18 2022-01-06 주식회사 액트파트너 Partial precast concrete couple girder and the joint structure between it and pillar
CN112064786B (en) * 2020-07-31 2022-04-12 浙江双友物流器械股份有限公司 Frame structure building
CN112302230A (en) * 2020-10-23 2021-02-02 中国石油工程建设有限公司青海分公司 Floor plate structure of steel structure house
CN112609828B (en) * 2020-12-15 2022-04-26 中建一局集团第五建筑有限公司 Connection structure for steel frame building convenient to installation
CN113047432A (en) * 2021-03-29 2021-06-29 中信国安建工集团有限公司 Steel structure prefabricated part, assembly type steel fram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CN115288293B (en) * 2022-09-01 2023-08-11 成都航空职业技术学院 Steel construction beam column connected node
KR102625510B1 (en) * 2022-11-28 2024-01-16 (주)에스엠구조안전진단 Joint CFT Column and Wide Hybrid Bea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878B1 (en) * 2003-10-17 2006-09-08 (주)센구조연구소 Formed Steel Plate Concrete Beam
KR101187666B1 (en) * 2012-04-23 2012-10-08 (주)동하이엔지 Joint structure of beam and column and joint method of the same
KR101229194B1 (en) * 2012-08-20 2013-02-01 디알비동일 주식회사 Steel frame using u-shaped composite beam
KR101544803B1 (en) * 2014-07-23 2015-08-17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Joint System of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s and Column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11153B2 (en) * 1995-12-28 2004-03-29 清水建設株式会社 Joint structure of concrete filled beam
KR20130043324A (en) * 2011-10-20 2013-04-30 채일수 Steel plate weir for one united manufacturing concrete
KR101549417B1 (en) 2014-08-07 2015-09-02 삼표이앤씨(주) Joint basket for PC column and PC bea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878B1 (en) * 2003-10-17 2006-09-08 (주)센구조연구소 Formed Steel Plate Concrete Beam
KR101187666B1 (en) * 2012-04-23 2012-10-08 (주)동하이엔지 Joint structure of beam and column and joint method of the same
KR101229194B1 (en) * 2012-08-20 2013-02-01 디알비동일 주식회사 Steel frame using u-shaped composite beam
KR101544803B1 (en) * 2014-07-23 2015-08-17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Joint System of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s and Column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8846B1 (en) * 2018-08-21 2019-04-10 씨제이대한통운 (주) PC(Precast concrete) connecting structure and a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2183966B1 (en) * 2020-03-04 2020-11-27 (주)쓰리디엔지니어링 Combination structure system of composite columns using two H beams and composite beams using two H bea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1566A (en) 2018-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0274B1 (en) Steel Frame Construction Method With Double T-Shaped Joint Structure
KR101544803B1 (en) Joint System of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s and Column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781603B1 (en) Prefabricated beam structure with concrete form
KR101295740B1 (en) Joint of Steel Column
KR101880490B1 (en) Structure Of Connecting Colum And Composite Beam For Deep Deck
KR101186062B1 (en) Connection of concrete filled steel tube column and H-shaped steel beam and constructing method of the same
KR101834006B1 (en) Roll forming steel plates built-up beam and steel frame using the same
KR101942842B1 (en) Deck-Plate for Long Span
KR101751698B1 (en) Structure Of Connecting Steel Colum And PC beam
KR20130043324A (en) Steel plate weir for one united manufacturing concrete
KR101880492B1 (en) Structure Of Connecting Colum And Composite Beam
KR101011252B1 (en) Rigid-frame bridge frame for reinforcing negative moment part and rigid-frame bridge having it
KR101557226B1 (en) Prestressed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KR102104382B1 (en) Steel beam, composite column, and joint structure of the same
KR101904115B1 (en) Bonding System of Composite Column and Beam
KR101547540B1 (en) Hybrid beam having different type flange
KR101429527B1 (en) Joint structure of Composite Girder
KR101482979B1 (en)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with cap plate and structure system thereof
KR20180001212A (en) Permanent assemble form structure having stiffness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permanent assemble form for column using the same
KR102037633B1 (en) Structure Of Connecting Column And Beam Using W-shaped Beam
KR101591808B1 (en) the deep composite precast beam,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composite precast column and the deep composite precast beam
KR101548215B1 (en) the deep composite precast beam,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composite precast column and the deep composite precast beam
KR101366716B1 (en) A deck plate reinforced a section of a web
KR101984211B1 (en) Wide composite structure for reinforcing the connecting part of girders and column
KR20170139873A (en) Coupling structure of double type for girder and column capable of reducing girder heig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