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0180B1 - 블라인드 가동줄용 무게추 겸용 안전 손잡이 - Google Patents

블라인드 가동줄용 무게추 겸용 안전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0180B1
KR101890180B1 KR1020150111763A KR20150111763A KR101890180B1 KR 101890180 B1 KR101890180 B1 KR 101890180B1 KR 1020150111763 A KR1020150111763 A KR 1020150111763A KR 20150111763 A KR20150111763 A KR 20150111763A KR 101890180 B1 KR101890180 B1 KR 101890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plate
spring
movable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1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7598A (ko
Inventor
유상원
Original Assignee
유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상원 filed Critical 유상원
Priority to KR1020150111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0180B1/ko
Publication of KR20170017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7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6Details of cords, e.g. buckles, drawing knob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78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direct manual operation, e.g. by tassels, by handles
    • E06B2009/7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힌지부를 구비하는 한쌍의 판체와, 상기 판체의 어느 하나의 내측 상부에 형성되고 가동줄을 걸기 위한 반원형 돌출부를 구비하는 줄걸이부와, 상기 판체의 내측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집게부와, 상기 한쌍의 판체 사이에 형성되되 판체의 상부는 벌어지고 판체의 하단은 맞물리도록 탄성을 부여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블라인드 가동줄용 무게추 겸용 안전 손잡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효과로는 롤스크린 블라인드를 승,하강 작동하게 하는 가동줄에 걸어서 무게추 기능을 하게 하면서, 동시에 집게의 기능도 가능하게 하여 가동줄을 물어서 접은 상태로 보관할 수 있고, 벽에 형성된 걸이구에 걸거나 나사 등으로 벽에 고정시킴으로써 어린아이들이 가동줄에 목이 걸려 다치거나 죽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가동줄을 원하는 곳에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편하게 보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블라인드 가동줄용 무게추 겸용 안전 손잡이{Safety handle for moving line of blind}
본 발명은 블라인드 가동줄용 무게추 겸용 안전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롤스크린 블라인드의 승,하강을 작동시키는 가동줄의 무게추 기능을 하면서 동시에 가동줄을 집게로 물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블라인드 가동줄용 무게추 겸용 안전 손잡이에 관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 스크린 블라인드는 사무실이나 가정 또는 음식점 등에서 커튼대용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직물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스크린을 브라켓의 한쪽에 설치된 스프로켓(sprocket)으로 라운드 형태로 연결된 가동줄, 즉 볼체인을 한쪽 방향으로 잡아당겨 스크린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권취관에서 풀리면서 하강하게 되고 이를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켜 창문 등을 통해 들어오는 빛을 차단하는데 사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롤스크린 블라인드(10')는 첨부된 도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쪽 브라켓(9)으로 회동부재(5)와 감속부재(8)를 설치하고 그 외면에 스크린이 감겨있는 권취관을 체결한다.
상기 회동부재(5)는 회동체(1)의 전방에 회동구(2)가 형성된 연결축(3)을 설치하고, 연결축(3)의 외면으로 스프링(4)을 결합한다. 그리고 스프링(4)의 양쪽 끝은 회동체(1)와 회동구(2)의 한쪽 면에 고정되도록 하고, 회동구(2)는 스프링(4)의 탄성에 의해 연결축(3)을 좌우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감속부재(8)는 어저스터를 갖는 회동체(1)의 전방으로 감속기(6)를 설치하고 그 전방에 감속너트(7a)를 갖는 고정축(7)을 결합한다.
상기 회동체(1)의 내부에는 외면에 볼체인(9a)이 체결되는 스프로켓(11)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고정축(12)을 갖는 고정판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양쪽의 회동체(1)의 외면으로 스크린이 감겨 있는 권취관을 체결하고, 브라켓(9)을 나사 등을 이용하여 창틀 및 유리벽 틀에 고정 설치한다.
이와 같은 롤 스크린 블라인드의 스크린을 상,하측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스프로켓(11)에 설치되어 있는 볼체인(9a)의 한쪽 방향을 잡아당기면, 스크린이 하측으로 내려와 빛을 차단하게 되고, 볼체인(9a)의 다른 쪽 방향을 잡아당기면 스크린이 상측으로 올라가면서 개방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롤스크린 블라인드는 한쪽에 설치된 라운드 형태의 볼체인이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자유롭게 흔들리는 상태에서 작동하게 되므로, 가정의 어린 아이들이 집안에서 실수나 장난에 의해 목에 걸려 사망하기도 하는 안전 사고가 종종 발생하게 되어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그리하여 볼체인에 의한 소아들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외면에 볼체인이 체결되는 회전기어가 한 몸으로 형성된 롤스크린에 있어서, 하나의 몸체를 2개 이상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분할된 몸체 외면에 다수의 볼체인홈과 내주면에 걸림홈을 갖는 결합공과 표면 일측에 상향 돌출된 역마름모꼴의 가이드돌기를 형성하여 서로 대칭이 되도록 결합된 탄성기어와; 상기 상측몸체의 내부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압축스프링이 체결되는 결합돌기를 형성하고 하측몸체에는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형성하여, 상측몸체가 압축스프링의 탄성에 의해서 상향 돌출되면서 탄성기어의 회전을 방지하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기어의 볼체인홈에 설치된 볼체인으로 스프링이 설치된 안전고리를 설치한 후 하측으로 잡아당겨 벽에 고정 설치하여 탄성기어의 회전 구속이 볼체인의 장력에 의해 자동 해지되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아안전 롤스크린 장치"가 등록특허 제 10-0994401호로 선출원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소아안전 롤스크린 장치"는 탄성기어에 체결된 볼체인의 안전고리를 벽면이나 창틀에 팽팽하게 고정하여 설치하지 않으면, 롤스크린 자체가 작동하지 않게 되어 반드시 안전고리를 벽에 고정해야만 비로소 롤스크린이 작동하게 되는 구속력을 갖게 된다.
따라서 볼체인이 팽팽하게 설치되어 있어 안전사고를 완벽하게 차단하도록 하고 있지만, 안전고리의 구조가 복잡함은 물론 안전고리를 설치하여야 하는 벽면의 위치도 마땅하지 않아 안전고리를 벽에 고정하지 않을 때에는 사용상에 많은 불편이 따르게 되므로, 사용이 편리하면서도 구조가 간단한 안전장치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 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안전고리를 벽에 고정하지 않을 때에는 종전과 같이 볼체인에 소아들이 실수 또는 장난에 의해 신체의 일부인 목 등이 감기게 되어 목이 졸리게 되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없게 되어 큰 사고로 이어지는 단점을 갖는다.
[선행기술문헌]
1. 국내실용신안공개공보 : 20-2010-0007981호
2. 국내등록특허 : 제 10-0994401호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롤스크린 블라인드의 승,하강을 작동시키는 가동줄에 하중을 부가하여 항상 가동줄의 하단에 안정적으로 매달려 있도록 하고, 가동줄을 손잡이에 형성된 집게로 물어서 접은 상태로 보관할 수도 있고, 또 손잡이를 벽에 형성된 걸이구에 걸거나 나사 등으로 벽에 고정시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블라인드 가동줄용 무게추 겸용 안전 손잡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는 힌지부를 구비하는 한쌍의 판체와, 상기 판체의 어느 하나의 내측 상부에 형성되고 가동줄을 걸기 위한 반원형 돌출부를 구비하는 줄걸이부와, 상기 판체의 내측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집게부와, 상기 한쌍의 판체 사이에 형성되되 판체의 상부는 벌어지고 판체의 하단은 맞물리도록 탄성을 부여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는 힌지부는 일측의 판체에 형성되는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걸리기 위한 타측의 판체에 형성되는 한쌍의 걸림턱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삽입공은 반원형 돌출부에 형성되고, 한쌍의 걸림턱은 타측의 판체로 부터 돌출된 한쌍의 돌출부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는 상기 한쌍의 판체 일측에는 나사결합공을 형성하여 나사에 의해 벽이나 창틀에 부착되도록 하거나 줄을 꿸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로는 롤스크린 블라인드를 승,하강 작동하게 하는 가동줄에 걸어서 무게추 기능을 하게 하면서, 동시에 집게의 기능도 가능하게 하여 가동줄을 물어서 접은 상태로 보관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은 벽에 형성된 걸이구에 걸거나 나사 등으로 벽에 고정시킴으로써 어린아이들이 가동줄에 목이 걸려 다치거나 죽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가동줄을 원하는 곳에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편하게 보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롤스크린의 블라인드 가동줄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가동줄용 무게추 겸용 안전 손잡이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가동줄을 건 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이 가동줄에 걸려있고, 또 집게로 작용할 수 있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으로 가동줄을 물어 가동줄을 접어서 보관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사용상태 참고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가동줄용 무게추 겸용 안전 손잡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가동줄용 무게추 겸용 안전 손잡이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가동줄을 건 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이 가동줄에 걸려있고, 또 집게로 작용할 수 있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으로 가동줄을 물어 가동줄을 접어서 보관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사용상태 참고도이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가동줄용 무게추 겸용 안전 손잡이(100)은, 한쌍의 판체(101)와, 상기 판체의 어느 하나의 내측 상부에 형성되고 가동줄(A)을 걸기 위한 반원형 돌출부(111)를 구비하는 줄걸이부(110)와, 상기 판체의 내측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집게부(120)와, 상기 한쌍의 판체 사이에 형성되되 판체의 상부는 벌어지고 판체의 하단은 맞물리도록 탄성을 부여하는 스프링(1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힌지부는 일측의 판체에 형성되는 삽입공(111a)과, 상기 삽입공(111a)에 삽입되어 걸리기 위한 타측의 판체에 형성되는 한쌍의 걸림턱(113a)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한쌍의 걸림턱(113a)이 집게로 사용할 때 지렛대의 역할을 하게 되어 힌지(hinge)기능을 하게 되어 판체의 하단이 벌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공(111a)은 반원형 돌출부(111)에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한쌍의 걸림턱(113a)은 타측의 판체로 부터 돌출된 한쌍의 돌출부(113)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원형 돌출부(111)에는 가동줄이 걸리므로 상기 가동줄이 빠지지 않도록 항상 타측의 판체와의 이격거리를 가동줄의 두께 보다 적게 유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줄걸이부(110)는 하부에 반원형 돌출부(111)를 구비하는 타원형의 돌출부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판체의 하부가 벌어질 수 있도록 타원형의 돌출부가 삽입가능토록 타측의 판체 내측에 오목홈(114)을 형성하여야 한다.
상기 한쌍의 판체의 어느 일측에는 나사결합공(140)을 형성하여 나사에 의해 벽이나 창틀에 부착되도록 하거나 줄을 꿰어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나사결합공(140)은 판체의 상단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프링(130)은 한쌍의 판체(101) 사이에 형성되어지되, 각각의 판체(101)의 내측에 형성된 스프링고정부(131)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스프링고정부(131)는 스프링(131)의 코일부(131a)를 삽입하여 코일부의 상하를 고정하기 위한 한쌍의 돌출턱(131a)과, 코일부의 양단에 형성되어 판체에 탄력을 부여하기 위한 지지대(130b)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돌출턱 중 상부의 돌출턱 일측에 돌출된 돌기(131b)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한쌍의 판체(101)는 스프링(130)의 탄력에 의해 한쌍의 걸림턱(113a)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토록 결합된다.
상기 각 집게부(120)의 내측에는 집게돌출부(120a)가 형성되고, 상기 집게돌출부(120a) 상단에는 톱니부(120b)가 형성되어 가동줄(A)을 물었을 때 꽉 물 수 있도록 한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0: 무게추 겸용 안전 손잡이
101: 판체 110: 줄걸이부
111: 반원형 돌출부 120: 집게부
130: 스프링
A: 가동줄

Claims (3)

  1. 힌지부를 구비하는 한쌍의 판체와, 상기 판체의 내측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집게부와, 상기 한쌍의 판체 사이에 형성되되 판체의 상부는 벌어지고 판체의 하단은 맞물리도록 탄성을 부여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블라인드 가동줄용 무게추 겸용 안전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판체의 어느 하나의 내측 상부에 형성되고 가동줄을 걸기 위한 반원형 돌출부를 구비하는 줄걸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부는 일측의 판체에 형성되는 삽입공(111a)과 상기 삽입공(111a)에 삽입되어 걸리기 위한 타측의 판체에 형성되는 한쌍의 걸림턱(113a)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삽입공(111a)은 반원형 돌출부(111)에 형성되고, 한쌍의 걸림턱(113a)은 타측의 판체로 부터 돌출된 한쌍의 돌출부(113)에 형성되고,
    스프링(130)은 한쌍의 판체(101) 사이에 형성되어지되, 각각의 판체(101)의 내측에 형성된 스프링고정부(131)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스프링고정부(131)는 상기 스프링(130)의 코일부(131a)를 삽입하여 코일부의 상하를 고정하기 위한 한쌍의 돌출턱(131a)과, 코일부의 양단에 형성되어 판체에 탄력을 부여하기 위한 지지대(130b)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돌출턱 중 상부의 돌출턱 일측에 돌출된 돌기(131b)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가동줄용 무게추 겸용 안전 손잡이.

  2. 삭제
  3. 삭제
KR1020150111763A 2015-08-07 2015-08-07 블라인드 가동줄용 무게추 겸용 안전 손잡이 KR101890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763A KR101890180B1 (ko) 2015-08-07 2015-08-07 블라인드 가동줄용 무게추 겸용 안전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763A KR101890180B1 (ko) 2015-08-07 2015-08-07 블라인드 가동줄용 무게추 겸용 안전 손잡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8409A Division KR102071032B1 (ko) 2017-12-08 2017-12-08 블라인드 가동줄용 무게추 겸용 안전 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598A KR20170017598A (ko) 2017-02-15
KR101890180B1 true KR101890180B1 (ko) 2018-09-28

Family

ID=58111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1763A KR101890180B1 (ko) 2015-08-07 2015-08-07 블라인드 가동줄용 무게추 겸용 안전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018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289B1 (ko) * 2013-07-24 2013-10-29 유상원 블라인드 가동줄용 안전 손잡이
KR101442465B1 (ko) 2013-08-26 2014-09-23 유상원 블라인드 가동줄용 안전 손잡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289B1 (ko) * 2013-07-24 2013-10-29 유상원 블라인드 가동줄용 안전 손잡이
KR101442465B1 (ko) 2013-08-26 2014-09-23 유상원 블라인드 가동줄용 안전 손잡이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140773 UR
JP03191068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598A (ko) 201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3289B1 (ko) 블라인드 가동줄용 안전 손잡이
AU2014202132B2 (en) A curtain pull bead fixing apparatus
US8505609B2 (en) Safety assembly for a roller blind
KR101906028B1 (ko) 창문 가리개 및 이의 구동 시스템
US8590592B2 (en) Roll blind having noiseless bidirectional clutch
US20140166218A1 (en) Chain Guide for Dual Roller Blind
WO2015030540A1 (ko) 블라인드 가동줄용 안전 손잡이 및 그의 부착장치
US9506290B2 (en) Tension device for looped-cord system
US20180171705A1 (en) Enclosed blind control
US9157274B2 (en) Window covering
KR101442465B1 (ko) 블라인드 가동줄용 안전 손잡이
EP2458128A1 (en) Safety device
JP6505783B2 (ja) 日射遮蔽装置、ボトムレールの下限位置調整装置
KR20170139478A (ko) 블라인드 가동줄용 무게추 겸용 안전 손잡이
KR20160095007A (ko) 블라인드 구동장치
KR101890180B1 (ko) 블라인드 가동줄용 무게추 겸용 안전 손잡이
KR101442466B1 (ko) 안전장치를 갖춘 블라인드의 가동줄
JP6473313B2 (ja) 遮蔽装置
US20130042985A1 (en) Window Blind Assembly
KR101615333B1 (ko) 우드 블라인드용 수평조절장치
KR101866889B1 (ko) 가동줄의 구동을 차단하기 위한 블라인드용 손잡이
CN220365507U (zh) 一种室内装修用扶梯
KR200440936Y1 (ko) 롤블라인드용 웨이트 지지장치
KR101682804B1 (ko) 안전 사고 방지용 블라인드 장치
KR20210039016A (ko) 블라인드 가동줄용 안전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