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0059B1 - Multifunctional Storage Tank Apparatus using power plant hot water - Google Patents

Multifunctional Storage Tank Apparatus using power plant hot w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0059B1
KR101890059B1 KR1020170028401A KR20170028401A KR101890059B1 KR 101890059 B1 KR101890059 B1 KR 101890059B1 KR 1020170028401 A KR1020170028401 A KR 1020170028401A KR 20170028401 A KR20170028401 A KR 20170028401A KR 101890059 B1 KR101890059 B1 KR 101890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hot water
power plant
tank portio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84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경갑
김대수
Original Assignee
신경갑
김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경갑, 김대수 filed Critical 신경갑
Priority to KR1020170028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005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0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4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surface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2011/005Tanks with two or more separate compartments divided by, e.g. a flexible membrane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storage tank apparatus using hot water of a power plant and, more specifically, to a multifunctional storage tank apparatus using hot water of a power plant, capable of allowing various types of technical assemblies to use hot discharge water, which is seawater before being discharged to the sea after being taken by a power plant, such as a thermal power plant, a combined power plant, etc., and used as cooling wa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functional storage tank apparatus using hot water of a power plant comprises: a box shape outer unit having an intake passage formed on one side and having an outflow passage formed on the other side; a first tank unit formed inside the outer unit and having an opened central upper part; a second tank unit formed inside the first tank unit and having an opened upper part; a partition wall with a predetermined height formed across the central bottom inside the second tank unit; and a sediment groove unit having a groove with a predetermined depth formed by being spaced apart from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artition wall. The hot discharge water flowing into the second tank unit is temporarily blocked by the partition wall to be ascended and distributed over upper, left, and right parts so as to be partially supplied into the first tank unit with floating sludge, and the remaining hot discharge water is transferr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flow passage connected into the second tank unit.

Description

발전소 온배수를 이용한 다기능 저류탱크장치{Multifunctional Storage Tank Apparatus using power plant hot water}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storage tank apparatus using power plant hot water,

본 발명은 발전소 온배수를 이용한 다기능 저류탱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력발전소나 열병합발전소 등과 같은 발전소에서 해수 원수를 취수하여 냉각수로 사용한 후 바다로 방류시키기 전 온배수를 이용하여 여러 방식의 기술 집합체가 활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발전소 온배수를 이용한 다기능 저류탱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storage tank apparatus using a power plant hot water.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 storage tank apparatus using a power plant, such as a thermal power plant or a cogeneration power pla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storage tank device using a power plant hot water to make aggregates available.

우리나라는 중동지역과 달리 예전에는 물이 넘쳐흘러 물이 귀한 줄 몰랐지만 요즘은 기후변화로 인한 환경적 변화와 인구증가, 산업발달로 인한 오염 등의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하여 물 부족국가로 분류되어 있다. Unlike in the Middle East, Korea did not know that the water was overflowing, but nowadays it is classified as a water shortage country due to various reasons such as environmental change due to climate change, population increase, and industrial development pollution.

특히 영남지역은 상수도의 원수가 낙동강물이 주공급원인데 강물의 수질악화로 정수과정에서 사용되는 염소로 인한 총트리할로메탄(total trihalomethane) 증가로 상수도의 품질이 건강을 위협할 수도 있다는 우려도 있다.Especially in Yeongnam area, the source of tap water is the main source of Nakdong river. As the water quality deteriorates in rivers, there is a concern that the quality of water may threaten the health due to the increase of total trihalomethane due to chlorine used in water purification process. have.

이로 인하여 해수담수에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며, 향후 해수담수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질 전망이다.As a result, they will be interested in seawater desalination and will be more reliant on seawater desalination in the future.

그러나 여기에는 과다한 해수 담수사설비용과 운영비 등으로 고민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인프라가 잘되어 있는 도심지 주변은 대부분 개발되어 해수를 취수하여 사용하는 담수장부지 확보도 쉽지 않다.However, there is no reason to worry about excessive ocean water desalination costs and operating expenses. It is not easy to secure the site of the freshwater plant where most of the infrastructure is well developed around the downtown area.

또한, 일반적으로 해수 담수화 설비를 운전하여 담수를 생산할 경우, 바다로부터 취수되는 해수의 평균 수온은 5~10℃ 정도이다.In general, when the desalination plant is operated to produce fresh water, the average temperature of seawater taken from the sea is about 5 to 10 ° C.

평균 수온은 5~10℃ 정도인 해수를 취하여 육상탱크에 저장 침전, 여과 및 전처리 과정을 거친 후 고압으로 반투막을 투과시켜 담수를 생산하게 되는 것이다.The average water temperature is about 5 ~ 10 ℃. After the sedimentation, filtration and pretreatment processes are carried out in the land tank, the seawater is permeated through the semipermeable membrane at high pressure to produce fresh water.

이때, 해수의 전처리 과정에서 해수 담수화 설비의 최적 운전조건 조성을 위해서 원수인 해수의 온도를 가열하여 승온시키는 승온과정에서 약 25℃까지 가열되는 것이다.At this time, in order to optimize the operation condition of the seawater desalination plant during the pretreatment of the seawater, the temperature of the raw seawater is heated to about 25 ° C in the temperature raising process.

이렇게, 하기 위하여 많은 시설비를 투입하여 해수 담수화 설비에 취수되는 해수는 청정한 상태의 바닷물만을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육상의 담수화설비로부터 수백 미터 떨어진 장소에 대형 취수관 시설 및 펌프설비를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In order to do so, the sea water to be taken into the seawater desalination plant by using a lot of facility costs should use only clean seawater, so that a large intake pipe facility and a pump facility are installed several hundred meters away from the desalination facilities on the land.

그리고 육상에 설치된 해수 담수화 설비에 사용 유량에 맞는 가열 승온 설비를 추가로 설치하여 해수 담수화 설비를 가동시키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a seawater desalination plant installed on the ground will be installed with additional heating and heating equipment to match the flow rate used.

이와 같이 해수의 승온에 사용되는 에너지는 현재 운전중인 2000톤/일 급 설비인 역삼투식 해수담수화 설비(sea water reverse smosis, SWRO)를 기준으로 취수 설비비가 설치비의 50%정도이며, 가열 승온시 총 에너지 사용량 비중은 60%를 상회하게 되는 것이다.In this way, the energy used for raising the sea water is about 50% of the installation cost based on the sea water reverse smoth (SWRO), which is the 2000 ton / day facility currently in operation, The proportion of energy use will exceed 60%.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해수 담수화 설비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conventional seawater desalination facilities have the following problems.

즉, 해수 담수화 설비에 사용되는 원수인 해수를 승온시키기 위해서는 해수 담수화 설비 가동에 사용되는 총 에너지의 약 60% 이상이 해수의 승온에 사용됨으로써, 해수 담수화 설비의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in order to raise the temperature of the seawater used in the seawater desalination plant, about 60% or more of the total energy used for operating the seawater desalination plant is used for raising the temperature of the seawater, thereby deteriorating the energy efficiency of the desalination plant.

또한, 해수의 승온으로 인해 해수 담수화 시설로부터 담수를 생산할 경우 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sea water temperature is raised, it is costly to produce fresh water from a seawater desalination facility, resulting in poor economical efficiency.

그리고 열에너지로 전기를 생산하는 화력발전소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Thermal power plants that produce electricity using thermal energy have the following problems.

즉, 열에너지로 전기를 생산하는 화력발전소나 열병합발전소에서는 원수인 해수를 발전소 내로 끌어들여 사용한다.In other words, thermal power plants or cogeneration plants that generate electricity using thermal energy draw seawater, which is the raw water, into the power plant.

정부 발표에 따르면, 해마다 발전기를 가동하기 위해서 생산에 사용되는 에너지의 40%가 발전기 복수기의 냉각수로 사용되고 바다로 배출되는 온배수(溫排水)는 연간 약 591억 5,400만톤(초당 1,929톤)정도 되며, 이중 약 10% 정도가 식물재배 및 양어장 등에 활용되고, 나머지 아까운 에너지는 모두 바다로 방출된다.According to the government announcement, about 40% of the energy used in production is used as the cooling water for the generator condenser to start the generator every year, and about 59.154 billion tons / year (1,929 tons / year) of hot water discharged into the sea, About 10% of them are used for plant cultivation and fish farms, and all the remaining energy is released to the sea.

복수기 냉각수로 사용한 후, 냉각작용을 거치며 약 28 ~ 30℃까지 승온된 해수를 다시 바다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After being used as the condenser cooling water, the seawater whose temperature has been raised to about 28 ~ 30 ° C through the cooling operation is discharged to the sea again.

도 1은 종래의 해수를 이용해 발전소 설비를 냉각시키는 방법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method of cooling a plant facility using conventional seawater.

하지만, 이와 같이 약 28 ~ 30℃까지 승온된 해수를 그대로 바다로 배출시킬 경우 주변해역의 해수 온도가 상승하여 생태계를 교란시키게 되어 화력발전소나 열병합발전소에 인접한 농어민에게까지 피해를 끼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f the sea water heated to about 28 ~ 30 ° C is discharged into the sea as described above, the sea water temperature in the surrounding sea area rises, disturbing the ecosystem,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uses damage to farmers and fishermen adjacent to the thermal power plant and the co- .

한국 특허등록번호 제10-1592996호, 발명의 명칭 '하이브리드 냉난방장치를 이용한 온배수 폐열 재활용시스템' (등록일 2016.02.02.)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92996, entitled "Waste Heat Recycling System Using Hybrid Air-Conditioning System" (Registered on Feb. 2, 2016).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막대한 에너지를 절감하고 주변 해역의 생태계 교란과 인접 농어민의 폐해 방지에 기여할 수 있으면서 화력발전소나 열병합발전소에서 해수 원수를 취수하여 냉각수로 사용한 후 그대로 바다로 배출시키는 온배수를 해수 담수화 설비의 해수 원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발전소 온배수를 이용한 다기능 저류탱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possible to save enormous energy, to contribute to ecosystem disturbance in the surrounding sea area and to prevent the harmfulness of adjacent farmers and fishermen while taking seawater raw water from a thermal power plant or a co- And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storage tank device using a hot water of a power plant capable of using hot water discharged into the sea as seawater water of seawater desalination facilitie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는 발전소 온배수를 이용한 다기능 저류탱크장치는 발전소에서 해수 원수를 취수하여 냉각수로 사용한 후 배출되는 온배수를 이용하는 발전소 온배수를 이용한 다기능 저류탱크장치에 있어서, 일측은 유입통로 및 타측은 배출통로가 구비된 박스 형상의 외곽부와, 상기 외곽부 내측에 형성되되 중앙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제1 탱크부와, 상기 제1 탱크부 내측에 형성되되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제2 탱크부와, 상기 제2 탱크부 내측 중앙 바닥에 가로질러 형성된 소정 높이의 칸막이벽, 및 상기 칸막이벽 좌우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소정 깊이 홈이 형성된 침전물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통로를 통하여 상기 제2 탱크부 내부까지 유입되는 상기 온배수는 상기 칸막이벽에 그 흐름이 일시 가로막혀 상부 및 좌우로 상승 분산하여 넘쳐 부상 슬러지(sludge)와 함께 상기 제1 탱크부 내로 일부 유입되고 나머지는 상기 제2 탱크부 내부와 연결된 상기 배출통로를 통하여 외부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mentioned object,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ultifunctional storage tank apparatus using a power plant hot water is a multifunctional storage tank apparatus using a power plant hot water discharged from a power plant using water as raw water, A first tank portion formed inside the outer frame portion and having a central upper portion opened, and a second tank portion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tank portion and having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A partition wall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formed across the inner middle floor of the second tank portion and a sediment groove por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artition wall and formed with a predetermined depth groove, The hot water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second tank through the passage is temporarily blocked in the partition wall The sludge is floated upwardly and horizontally and partially overflowed into the first tank portion together with the floating sludge, and the remainder is transferr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tank portion.

본 발명을 통하여 해수 담수화 설비에 사용되는 원수인 해수를 승온시키기 위해서 해수 담수화 설비 가동에 사용되는 총 에너지의 약 60% 이상이 해수의 승온에 사용되어 해수 담수화 설비의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과 해수의 승온으로 인해 해수 담수화 시설로부터 담수를 생산할 경우 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bout 60% or more of the total energy used for operating the desalination plant for raising seawater used in the desalination plant is used for raising the temperature of the seawater, It is advantageous to effectively solve the problem that the cost is high and the economical efficiency is low when the fresh water is produced from the desalination plant due to the elevated temperature.

또한, 화력발전소나 열병합발전소에서 냉각수로 사용한 약 20~30℃의 온배수를 평균 수온은 5~10℃인 바다로 장기간 배출할 경우 해수의 온도가 상승함으로써 생태계에 미치는 악영향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lso, the advantage of effectively reducing the adverse effects on the ecosystem by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seawater when the average temperature is 5 ~ 10 ℃ for a long period of time when discharged from the thermal power plant or the co-generation plant for about 20 ~ 30 ℃ .

또한, 화력발전소나 열병합발전소에서 냉각수로 사용하고 약 20~30℃까지 승온된 후 다시 바다로 배출되는 해수를 바닷물인 해수로부터 원수를 취수하여 담수를 생산하는 해수 담수화 설비의 원수로 사용할 수 있게 하므로, 해수 담수화 설비의 해수를 승온시키는 데 소요되는 해수 담수화 설비 총 가동에너지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해수 승온에너지를 절감시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it is used as cooling water in thermal power plant or combined heat and power plant, and the sea water which is raised to about 20 ~ 30 ℃ and then discharged to the sea is used as raw water of seawater desalination facilities , A seawater desalination plant to increase seawater in a seawater desalination plant There is an advantage of saving the seawater heat up energy that accounts for more than 60% of the total operating energy.

또한, 화력발전소나 열병합발전소의 냉각수로 사용되는 해수를 화력발전소나 열병합발전소에 냉각수로 유입시킬 때 여과장치에서 부유물과 불순물을 여과시킨 상태에서 냉각수로 사용하기 때문에, 인접 시설물인 해수 담수화 설비에서는 공급받은 온배수의 이물질을 침전 여과하는 전처리단계와 역삼투압공정부에서 염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행하므로 해수 담수화 설비를 통해 생산되는 담수는 2차례에 걸쳐 침전 및 여과되는 경우가 되어 보다 깨끗한 담수를 생산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seawater used as a cooling water for a thermal power plant or a combined heat and power plant is introduced into cooling water to a thermal power plant or a combined heat and power plant, it is used as cooling water in a state in which suspended matters and impurities are filtered in a filtration apparatus. Since the pretreatment step of precipitating and filtering out the foreign matter of the received hot water and the step of removing the salt from the reverse osmosis system are performed, the fresh water produced through the seawater desalination plant is precipitated and filtered twice, There is an advantage.

또한, 화력발전소나 열병합발전소에서 냉각작용을 수행하면서 승온된 해수를 직접 바다로 배출시키지 않고 해수담수화 설비의 원수로 재사용함으로, 화력발전소나 열병합발전소 주변 해역의 생태계를 보호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o protect the ecosystem of a thermal power plant or a seawater desalination plant by reusing the warmed seawater as a raw water of a seawater desalination plant without directly discharging it to the sea while performing a cooling action in a thermal power plant or a cogeneration power plant.

도 1은 종래의 해수를 이용해 발전소 설비를 냉각시키는 방법을 보여주는 계략도이다.
도 2는 발전소를 통하여 온배수가 배출되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복수기 개략적인 구조와 온배수가 배출되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발전소 온배수를 이용한 다기능 저류탱크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발전소 온배수를 이용한 다기능 저류탱크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발전소 온배수를 이용한 다기능 저류탱크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 내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따른 발전소 온배수를 이용한 다기능 저류탱크장치의 침전물홈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내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발전소 온배수를 이용한 다기능 저류탱크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발전소 온배수를 이용한 다기능 저류탱크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발전소 온배수를 이용한 다기능 저류탱크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 내부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발전소 온배수를 이용한 다기능 저류탱크장치를 거쳐 온배수 공급으로 가동될 수 있는 시설들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발전소 온배수를 이용한 다기능 저류탱크장치 내에 열교환장치가 설치된 블록도이다.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method of cooling a plant facility using conventional seawater.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discharging hot water through a power plant.
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 condenser and discharge of a hot water.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functional storage tank apparatus using power plant hot wa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chematic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multifunctional storage tank apparatus using power plant hot wa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chematic plan sectional view of a multifunctional storage tank apparatus using a power plant thermal expansion wat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chematic inter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diment groove portion of a multifunctional storage tank apparatus using a power plant warm water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functional storage tank apparatus using power plant hot wat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chematic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multifunctional storage tank apparatus using power plant hot wat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schematic plan sectional view of a multifunctional storage tank apparatus using power plant hot wat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diagram showing facilities that can be operated by the supply of the hot water through the multi-function storage tank apparatus using the power plant hot wa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block diagram in which a heat exchange device is installed in a multifunctional storage tank apparatus using power plant hot wat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forms as used herein include plural forms as long as the phrases do not expressly express the opposite meaning thereto. Means that a particular feature,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and / or component is specified, and that other specific features, region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and / And the like.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further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relevant technical literature and the present disclosure,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very formal meanings unless defined otherwise.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 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걸치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pecifically illustrate an ide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various variations of the illustration, for example variations in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 or specification, are expected. Thus,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any particular form of the depicted area, but includes modifications of the form, for example, by manufacture. The regions shown or described as being flat may have characteristics that are generally wavy / rough and nonlinear.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도 아니다.Also, the portion shown as having a sharp angle may be rounded. Thus, the regions shown in the figures are merely approximate, and their shapes are not intended to depict the exact shape of the regions, nor are they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다른 실시 예에서 대응하거나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The drawings are schematic and illustrate that they are not drawn to scale. The relative dimensions and ratios of the parts in the figures are shown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the figures, and any dimensions are merely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o the same structure, element, or component appearing in more than one of the figure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note corresponding or similar features in other embodiments.

도 2는 발전소를 통하여 온배수가 배출되는 개념도이고, 도 3은 복수기의 개략적인 구조와 온배수가 배출되는 개념도이다.FIG. 2 is a conceptual view of discharging hot water through a power plant.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 condenser and discharging hot water.

도 2를 참조하면, 발전소는 수증기가 발전기를 돌리고 복수기로 들어와 해수 냉각수로 인해 응축되어 다시 보일러로 돌아가는데, 이때 수증기(스팀)를 냉각시킨 해수 냉각수는 에너지를 흡수하여 바다로 다시 방출되므로, 이로 인한 열손실이 많이 생기는 구조로 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2, in the power plant, water vapor is circulated through the condenser, condensed by the seawater cooling water, and returned to the boiler. At this time, the sea water cooling water that has cooled the water vapor (steam) absorbs energy and is discharged back to the sea.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 lot of heat loss occurs.

또한, 배출되는 온배수는 해수보다 온도가 높아 바다 생태계 교란으로 환경문제도 대두되고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ischarged hot water is higher in temperature than seawater, environmental problems are also emerging due to disturbance of the sea ecosystem.

본 발명은 온배수를 이송하는 방법과 특수한 구조를 가진 저류탱크, 담수시설, 온배수 열을 회수하여 난방 그리고 담수 후 농축 해수를 이용하여 삼투압기술로 전기생산을 하는 기술 등의 서로 상생기능이 활용되는 여러 기술들이 시스템구조를 가질 수 있게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veying hot water, a storage tank having a special structure, a desalination facility, heating by recovering the heat of hot water, and a technique of producing electricity by osmotic pressure using concentrated seawater, Technologies to have a system structure.

즉, 본 발명은 발전소가 전기발전을 위하여 스팀 수증기를 생산하여 스팀 수증기로 발전기를 돌리고 전기를 생산한 후 복수기로 돌아오게 하는데, 이때 복수기의 역할이 수증기(스팀)를 응축시켜 다시 물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해수를 끌어와 수증기(스팀) 냉각수로 사용하며, 수증기(스팀)를 냉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해수가 복수기 내부에 설치된 여러 개의 전열관을 통과하면서 수증기(스팀) 응축과정에서 수증기(스팀) 온도를 흡수하여 28~30℃로 상승되어 다시 바다로 버려지기 전의 온배수를 이용하는 것이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ower plant produces steam steam for electric power generation, turns the generator by steam steam, produces electricity, and returns to the condenser. In this case, the role of the condenser is to condense the water vapor (Steam) cooling water, and the seawater used to cool the steam (steam) absorbs the steam (steam) temperature during the condensation process of the steam (steam) through the plurality of heat transfer tubes installed in the condenser The temperature is raised to 28 ~ 30 ℃, and the warm water is used before it is thrown back to the sea.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다기능 저류탱크장치를 통해서 해수 온배수를 저류탱크로 이송하여 여러 방식의 기술 집합체에 활용될 수 있도록 온배수를 공급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multi-function storage tank devic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transfer the seawater water to the storage tank, thereby supplying the hot water to be utilized in various types of technology aggregates.

또한, 본 발명은 도심지가 가까운 발전소와 인접된 지역 발전소에서 바다로 배출되는 온배수를 활용하여 담수조작방법에 대하여 여러 가지 기술을 조합하여 저렴한 금액으로 담수를 생산하는 방법을 검토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examine a method of producing fresh water at an inexpensive amount by combining various techniques with respect to a fresh water operation method by using hot water discharged from a local power plant adjacent to a power plant in a city center to the sea.

한편, 해수를 담수화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기술들이 있다. 상세하게는 가열을 하는 증발식으로는 MSF(Multi-Stage Flash)방식, MED(Multi-Effect Distil lation)방식이 있고, 필터를 사용하여 역삼투압방식으로는 SWRO(Sea water Reverse Osmosis)방식이 있으며, 바닷물과 강물이 만나서 염도가 1~1.5%인 낮은 기수지역에서 원수를 끌어와 기수담수화 방식(ED-Electro Dialysis) 등 여러 기술들이 있지만, 이들 기술 모두는 에너지가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기존 상수도 생산 비용을 훨씬 초가 한다.On the other hand, there are various techniques to desalinate seawater. In detail, there are a multi-stage flash (MSF) system and a multi-effect distillation (MED) system for heating and a sea water reverse osmosis (SWRO) system for reverse osmosis using a filter There are several technologies, such as ED-Electro Dialysis, where raw waters are drawn from low-water areas where salinity is between 1 and 1.5% due to the combination of sea water and river water. However, all of these technologies are energy- Much more.

따라서 시설비용과 담수생산비용을 서로 비교하면 여러 종류의 해수 담수화기술 중에서 온배수를 이용하여 담수 생산하는 SWRO 방식이 가장 저렴하다. 앞에서 물 부족과 상수도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해수 담수 외는 마땅한 해결책이 없어 보인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있다. 그러므로 하기 [표 1]과 같이 온배수를 이용하여 SWRO 방식의 담수기술이 가장 큰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Therefore, SWRO method, which produces desalination using hot water, is among the cheapest among various types of seawater desalination technologies compared with facility cost and freshwater production cost. Experts say that in order to improve water quality and water quality, there seems to be no solution other than seawater desalination. Therefore, as shown in [Table 1], the SWRO type desalination technology using the warm water will have the greatest effect.

공법Method MSF 방식MSF method MED 방식MED method SWRO 방식SWRO method 에너지소비(KWh/m3)Energy consumption (KWh / m 3 ) 2525 2323 3.53.5 건설비($m3/day)Construction cost ($ m 3 / day) 1,9251,925 1,7301,730 1,4201,420 생산원가($m3/day)Production cost ($ m 3 / day) 2.002.00 1.831.83 1.021.02

(2014년 기준)(As of 2014)

기수담수화는 입지적 제한이 따르며 에너지비용도 많이 든다. 해수를 끌어와 담수를 하기 위해서는 취수장과 고압펌프장설치 및 관련 공사로 인한 건설비용이 들어간다.Ridiculing desalination is subject to restrictions and costs a lot of energy. In order to draw seawater and desalinate water, construction costs are incurred due to installation of water intake pump, high-pressure pump station and related construction.

따라서 본 발명이 제안하는 다기능 저류탱크장치를 통하여 온배수를 사용하므로 이 부분의 비용을 줄일 수 있다. 2016년 6월 정부는 온배수를 활용하면 신재생에너지로 인정하여 해당 전기생산의 가중치 1.5를 발표했다. 온배수 활용을 신재생에너지 차원에서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newable Energy Certi ficates, REC)를 발급한다는 것이다.Therefore, since the hot water is used through the multi-function storage tank device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cost of this portion can be reduced. In June 2016, the government recognized 1.5 as a new and renewable energy with the use of hot water, and announced the weight of the electricity production of 1.5. Renewable Energy Certi fi cates (RECs) are issued for the use of hot water for renewable energy.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배출되는 온배수는 해수를 취수하여 복수기의 냉각수로 사용하기 위해서 전처리를 하여 1차 부유물을 제거하므로 일반 해수에 비하여 깨끗하다.Generally, the hot water discharged from the power plant is cleaner than general seawater because it removes the first float by pretreating it to take up seawater and use it as cooling water of the condenser.

또한, 발전소 주변은 도심지에 비하여 부지가격도 저렴하다. 해수 담수 방식 중에 가장 비용이 적게 들어가는 SWRO 방식을 사용하므로 여러 가지 이점이 있으며 SWRO 기술을 중심으로 국내서 개발된 여러 가지 다른 기술들을 조합하여 사용하므로 생산비용과 건설비용을 줄일 수 있는 조건이 되는 것이다. 온배수를 이용하여 부수적으로는 난방을 할 수도 있고, 농축수를 이용하여 일정공정을 거쳐 불순함유물을 제거한 후 간수 생산도 가능하며, 농축수와 배출수를 이용하여 전기생산을 할 수도 있고, 가장 큰 효과로는 온배수로 담수를 생산하므로 발생하는 신재생에너지 가중치가 적용되므로 많은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price of the site around the power plant is cheaper than in the downtown area. Since the SWRO method which is the least cost of the seawater desalination method is used, it has various advantages and it is a condition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and the construction cost by using various other technologies developed in Korea centered on SWRO technology . It is possible to heat by incidentally using the hot water, or to remove the impurities after a certain process using the concentrated water, and then to produce the wastewater. Also, it is possible to produce electricity using the concentrated water and the discharged water, As the new renewable energy weighting is applied because of the production of fresh water as a hot water source, many new renewable energy supply certificates (REC) will be obtained.

도 3을 참조하면, 담수를 하기 위하여 복수기에서 배출되는 온배수 배관라인에 T자 배관연결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다기능 저류탱크장치(100)로 보낸다.Referring to FIG. 3, a T-pipe is connected to a hot water piping line discharged from the condenser to send fresh water to the multifunctional storage tank apparatus 100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지금까지 온배수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온배수 배출구관로 끝 부분에서 취수하여 이송하여 사용해 왔다. 이럴 경우는 별도의 취수 장치를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래서 여기서는 온배수 배출관로에 T자 연결하여 이송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Until now, in order to utilize the hot water, it has been taken from the end of the hot water discharge pipe and transported. In this case, it was troublesome to have a separate water intake device. Therefore, we chose the method of transferring the T-connection to the hot water discharge pipe.

일반적으로 해수 담수를 하기 위해서는 해수 취수장을 만들어 고압 펌프를 설치하므로 설비비용과, 토목공사비용이 별도로 들어가며 설비를 가동하는 에너지비용도 있다. 이런 비용들을 절감할 수 있다.Generally, in order to desalinate seawater, a seawater desalination plant is installed and a high-pressure pump is installed. Therefore, there is also a facility cost, a civil engineering cost, and an energy cost to operate the facility. These costs can be saved.

또한, 온배수를 활용하므로 신재생에너지 사용 REC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크게 수익이 보장되며, 온배수는 겨울철에도 28℃로 일정하게 수온을 유지하므로 해수 결빙을 방지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it utilizes hot water, it can secure REC for renewable energy use, and the water temperature is maintained constantly at 28 ° C in winter even in winter, so seawater freezing can be prevented and used safely.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발전소 온배수를 이용한 다기능 저류탱크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발전소 온배수를 이용한 다기능 저류탱크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발전소 온배수를 이용한 다기능 저류탱크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 내부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발전소 온배수를 이용한 다기능 저류탱크장치의 침전물홈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내부 단면도이다.FIG.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functional storage tank apparatus using power plant warm wat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multifunctional storage tank apparatus using power plant warm wat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plan sectional view of a multi-function storage tank apparatus using a power plant hot wat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ross- Sectional view showing a sediment groove portion of the storage tank device.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발전소 온배수를 이용한 다기능 저류탱크장치(100)를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Hereinafter, a multifunctional storage tank apparatus 100 using a power plant hot wa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as follows.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발전소 온배수를 이용한 다기능 저류탱크장치(100)는 발전소에서 해수 원수를 취수하여 냉각수로 사용한 후 배출되는 온배수를 이용하는 것으로, 일측은 유입통로(111) 및 타측은 배출통로(113)가 구비된 박스 형상의 외곽부(110)와, 상기 외곽부(110) 내측에 형성되되 중앙상부(120a)가 개방되어 있는 제1 탱크부(120)와, 상기 제1 탱크부(120) 내측에 형성되되 상부(130a)가 개방되어 있는 제2 탱크부(130)와, 상기 제2 탱크부(130) 내측 중앙 바닥에 가로질러 형성된 소정 높이의 칸막이벽(140), 및 상기 칸막이벽(140) 좌우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소정 깊이 홈이 형성된 침전물홈부(15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4, the multifunctional storage tank apparatus 100 using the power plant hot w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hot water discharged from a power plant after taking seawater raw water and using it as cooling water, A first tank portion 120 formed inside the outer frame portion 110 and having a central upper portion 120a opened, a second tank portion 120 having a second upper tank portion 111 and a discharge passage 113, A second tank part 130 formed inside the first tank part 120 and having an open upper part 130a and a partition wall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formed across the inner center floor of the second tank part 130, A wall 140 and a sediment groove 150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artition wall 140 and having predetermined depth grooves.

또한, 본 발명은 유입통로(111)를 통하여 제2 탱크부(130) 내부까지 유입되는 온배수는 칸막이벽(140)에 그 흐름이 일시 가로막혀 상부 및 좌우로 상승 분산하여 넘쳐 부상 슬러지(sludge)와 함께 제1 탱크부(120) 내로 일부 유입되고 나머지는 상기 제2 탱크부(130) 내부와 연결된 배출통로(113)로 외부로 이송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igh-temperature water flowing into the second tank part 130 through the inflow passage 111 is temporarily blocked by the partition wall 140 and is floated upwardly and horizontally to overflow and float to form a floating sludge, And the remainder is transpor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113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tank portion 130. [0052] As shown in FIG.

또한, 본 발명은 침전물홈부(150) 하부에 개폐밸브(153)가 구비된 침전물배출관로(151)가 연결되어 주기적으로 상기 개폐밸브(153)를 열어 상기 침전물홈부(150)에 모인 잔여 슬러지(sludge)를 상기 침전물배출관로(15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sediment discharge pipe line 151 provided with an on-off valve 153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sediment trench 150 to periodically open the on-off valve 153 to remove the residual sludge collected in the sediment trench 150 sludg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diment discharge pipe line 151.

또한, 본 발명은 제1 탱크부(120) 하부에 개방배출관로(123)가 연결되어 있어 부상 슬러지와 함께 상기 제1 탱크부(120) 내로 유입된 온배수를 상기 개방배출관로(123)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 open discharge pipe path 123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first tank part 120 to discharge hot water flowing into the first tank part 120 together with floating sludge through the open discharge pipe path 123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또한, 본 발명은 배출통로(113)에 배출조절밸브(115)가 구비되어 인접한 시설물로 상기 온배수의 이송량을 조절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discharge control valve 115 is provided in the discharge passage 113 to control the transfer amount of the hot water to an adjacent facility.

그럼,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발전소 온배수를 이용한 다기능 저류탱크장치(1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multi-function storage tank apparatus 100 using the power plant hot wa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다기능 저류탱크(100)는 크게 외곽부(110), 제1 탱크부(120) 및 제2 탱크부(130)를 포함한다.The multifunctional storage tank 100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includes an outer frame 110, a first tank portion 120, and a second tank portion 130.

외곽부(110)는 상하 및 사면이 막혀있는 직육면체의 박스 형상으로, 가로, 세로, 및 높이 각각 20 ~ 30m로 이루는 대형구조물이고, 가용 용량에 따라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The outer frame 110 is a box-shaped rectangular parallelepiped having upper and lower slopes blocked, and is 20 to 30 m in width, height, and height, respectively, and the size may vary depending on the available capacity.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내부까지 관통하는 유입통로(111) 및 타측은 내부에서 외부까지 관통하는 배출통로(113)가 구비되는데, 유입통로(111)는 온배수가 유입되는 통로이고, 배출통로(113)는 유입된 상기 온배수가 외부로 이송 또는 배출되는 통로이다.4, there is provided an inflow passage 111 which penetrates to one side of the one side and a discharge passage 113 which penetrates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other side. The inflow passage 111 is provided with a passage And the discharge passage 113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introduced hot water is transferred or discharged to the outside.

이때, 다기능 저류탱크(1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기에 연결된 온배수배출관로와 연결된 유입통로(111)를 통하여 온배수를 공급받는다.3 and 4, the multifunctional storage tank 100 is supplied with the hot water through the inflow passage 111 connected to the hot water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condenser.

또한, 유입통로(111)는 후술하는 제2 탱크부(130) 내부까지 관통하여 연결되어 있고, 배출통로(113)는 상기 제2 탱크부(130) 내부에서 외곽부(110) 외부까지 관통하여 연결되어 있다.The discharge passage 111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tank portion 13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discharge passage 113 penetrates from the inside of the second tank portion 130 to the outside of the outer frame portion 110 It is connected.

또한, 배출통로(113)는 용량 또는 용도별로 복수 개 설치하여 외부와 연결하여 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discharge passages 113 may be provided for each capacity or use, and may be discharged by being connected to the outside.

또한, 배출통로(113)에는 배출조절밸브(115)가 구비되어 있다. 즉, 배출통로(113)에 배출조절밸브(115)가 구비되어 인접한 시설물로 온배수의 이송량을 조절할 수 있다.Further, the discharge passage 113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control valve 115. That is, the discharge control valve 115 may be provided in the discharge passage 113 to control the transfer amount of the hot water to the adjacent facility.

여기서, 인접한 시설물이란 해수 담수 시설과 같은 온배수 공급으로 가동될 수 있는 시설물을 말한다.Here, adjacent facilities are facilities that can be operated by supplying hot water such as seawater desalination facilities.

특히, 본 발명에서 외곽부(110)는 콘트리트 대형구조물로, 외부 환경으로부터 내부를 보호하고 내부의 온배수 열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 즉, 외곽부(110)는 겨울철이나 계절에 변화에 따른 기온 변화에도 내부가 항온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frame 110 is a concrete large structure, which functions to protect the inside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to suppress the heat discharge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heat to the outside as much as possible. That is, the outer frame 110 allows the interior temperature to be kept constant even when the temperature changes due to winter or seasonal changes.

제1 탱크부(120)는 사면이 막혀있되 중앙상부(120a)가 개방되어 있는 직육면체의 박스 형상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곽부(110) 내측에 형성되되 중앙상부(120a)가 개방되어 있고, 그 크기는 외곽부(110)보다 작다.4 and 5, the first tank part 120 i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outer frame part 110 and has a central upper part 120a, 120a are opened, and the size thereof is smaller than that of the outer frame portion 110.

제1 탱크부(120)는 그 단면이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로 대칭되게 'ㄱ' 자로 꺽여 형성되어 제1 탱크부(120) 내부의 열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억제하는 형상을 가진다.The first tank part 120 has a shape in which a cross section thereof is formed by being bent in a "? &Quot; shape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thereby preventing the heat inside the first tank part 120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특히, 외곽부(110)와 제1 탱크부(1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제2 탱크부(120) 내로 유입되는 온배수의 열기가 외곽부(110)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완충지대를 형성하고 온배수 온도를 효율적으로 관리유지하게 하며 항온 유지 비용이 절감할 수 있게 한다.Particularly,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outer frame part 110 and the first tank part 120 forms a buffer zone so that the heat of the hot water flowing into the second tank part 120 does not escape out of the outer frame part 110, It enables efficient management and maintenance of the temperature and reduces the maintenance cost.

또한, 제1 탱크부(120)는 시설관리자가 내부를 점검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이나 계단 등이 곳곳에 설치되어 보행할 수 있게 형성하고, 특히 'ㄱ' 자 형상 상부는 제1 및 제2 탱크부(120, 130) 내부를 안전하게 점검할 수 있도록 보행 가이드레일이 설치되어 내부를 관찰할 수 있고 이상 유무를 체크할 수 있게 구성된다.In addition, the first tank portion 120 is formed so that a guide rail, a stairway or the like can be installed in various places so that the facility manager can inspect the inside of the first tank portion 120. Particularly, the ' A gait guide rail is installed so as to inspect the inside of the units 120 and 130 so that the inside can be observed and an abnormality can be checked.

또한, 제1 탱크부(120)는 하부에 개방배출구(121)가 있고 상기 개방배출구(121)와 개방배출관로(123)가 연결되어 있어 후술할 제2 탱크부(130)에서 부상된 슬러지와 함께 유입된 온배수를 상기 개방배출구(121)와 연결된 개방배출관로(123)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The first tank portion 120 has an open outlet 121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the open outlet 121 and the open outlet pipe line 12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sludge floating in the second tank portion 130 And the discharged hot wate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 drain pipe (123) connected to the open drain pipe (121).

개방배출구(121)는 제1 탱크부(120) 및 제2 탱크부(130) 사이 공간의 바닥에 형성되어 제2 탱크부(130)에서 흘러넘친 슬러지(sludge) 및 온배수가 빠져나갈 수 있는 구멍(hole)이다.The open outlet 121 is formed in the bottom of the space between the first tank part 120 and the second tank part 130 so that the sludge that has spilled over from the second tank part 130 and the sludge hole.

또한, 개방배출관로(123)는 개방배출구(121)와 연결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통로이고 바다와 연결되어 바다로 직접 배출될 수 있다.Also, the open drain pipe line 123 is connected to the open drain pipe 121 and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sea and discharged to the sea.

제2 탱크부(130)는 사방이 막혀있고 상부(130a)가 개방되어 있는 직육면체의 박스 형상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탱크부(120) 내측에 형성되되 상부(130a)가 개방되어 있으며, 그 크기는 제1 탱크부(120)보다 작다.4 and 5, the second tank part 130 is formed inside the first tank part 120, and the upper part 130a is formed in the upper part 130a 130a are opened, and the size thereof is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tank portion 120. [

특히, 본 발명에서 제2 탱크부(130)는 유입통로(111)를 통하여 제2 탱크부(130) 내부까지 유입되는 온배수를 일정 온도로 유지시키면서 일시 저장시키는 기능을 한다.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tank unit 130 functions to temporarily store the hot water flowing into the second tank unit 130 through the inflow passage 111 while maintaining the temperature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또한, 제2 탱크부(130)는 시설관리자가 출입할 수 있는 대형 구조물이므로 잠수부 등을 투입하여 주기적으로 관리하거나 손상된 부분을 보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Also, since the second tank unit 130 is a large structure that a facility manager can access, a diver or the like can be inserted to provide a space for periodically managing or repairing a damaged portion.

칸막이벽(14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및 상부가 터여 있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2 탱크부(130) 내측 중앙 바닥을 가로질러 형성되어 소정 높이를 가진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partition wall 140 is formed in a square plate shape having left and right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is formed across the inner center floor of the second tank portion 130 and has a predetermined height.

이때,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다기능 저류탱크장치(100)는 온배수가 담수장으로 공급되는 해수량보다 조금 많게 공급하여 원수에 함유된 부상 슬러지 함유물이 제2 탱크부(130) 위로 상승하여 바다로 배출되도록 적당히 넘치게 한다.3 and 5, the multifunctional storage tank device 100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supplies a little more amount of seawater than the amount of seawater supplied to the fresh water storage, so that the floating sludge inclusion contained in the raw water is supplied to the second So as to rise above the tank portion 130 and flood it appropriately to be discharged to the sea.

이와 같이, 유입통로(111)를 통하여 제2 탱크부(130) 내부까지 유입되는 온배수는 칸막이벽(140)에 그 흐름이 일시 가로막혀 상부 및 좌우로 상승 분산하여 넘쳐 용존 산소량을 높이고 부상 슬러지(sludge)와 함께 제1 탱크부(120) 내로 일부 유입되고 나머지는 상기 제2 탱크부(130) 내부와 연결된 배출통로(113)를 통하여 외부로 이송 및 배출된다.The high-temperature water flowing into the second tank portion 130 through the inflow passage 111 is temporarily blocked by the partition wall 140 so as to be dispersed upwardly and horizontally to increase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a part of the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tank part 120 together with the sludge and the other is discharged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113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tank part 130. [

즉,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다기능 저류탱크장치(100)는 구조물 내부 중앙에는 일정 높이의 칸막이벽(140)이 있어 입수된 온배수가 벽면에 1차 부딪쳐 상승하여 온배수에 있는 잔존부유물이 함께 상승하여 배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That is, in the multifunctional storage tank apparatus 100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partition wall 140 having a certain height at the center of the inside of the structure, so that the received hot water water rises firstly against the wall surface, And the like.

이렇게 하므로, 본 발명은 복수기에서 배출되는 온배수를 보다 깨끗하게 정화시켜 이후 담수 시설 등 기타 인접 시설물에 양질의 온배수를 공급할 수 있게 한다.Thus, the present invention can purify the warm water discharged from the condenser more cleanly, and then supply the high-quality, high-quality water to other adjacent facilities such as a fresh water facility.

침전물홈부(150)는 도 4,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칸막이벽(140) 좌우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소정 깊이 홈이 형성된다. As shown in FIGS. 4, 6 and 7, the sediment grooves 150 ar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artition wall 140 to form predetermined depth grooves.

침전물홈부(150)는 하부에 개폐밸브(153)가 구비된 침전물배출관로(151)가 연결되어 주기적으로 상기 개폐밸브(153)를 열어 상기 침전물홈부(150)에 모인 잔여 슬러지(sludge)를 상기 침전물배출관로(15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한다.The sediment trench 150 is connected to a sediment discharge line 151 provided with an on-off valve 153 at a lower portion thereof so as to periodically open the on-off valve 153 to remove residual sludge collected in the sediment trench 150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diment discharge pipe passage (151).

침전물홈부(150)는 그 단면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탱크부(130) 내의 바닥부가 상기 침전물홈부(150) 중심부로 소정 각도 구배되어 기울어지므로 제2 탱크부(130) 내에 잔존하는 슬러지(sludge)를 용이하게 수집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7, since the bottom of the second tank part 130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center of the sediment groove part 150, the remaining part of the sediment groove part 150 remains in the second tank part 130 The sludge can be easily collected.

본 발명은 중앙 구조물 양쪽 제2 탱크부(130) 바닥면을 조금 경사지게 하여 침전슬러지가 모일 수 있도록 침전물홈부(150)를 만들고 주기적으로 한 번씩 개폐밸브(153)를 열어 바다로 보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diment grooves 150 are formed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tank part 130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structure is slightly inclined so that the sedimentation sludge can be collected, and the opening / closing valve 153 can be opened once and periodically and sent to the sea.

또한, 본 발명은 기존 복수기에서 냉각수로 사용하기 위해서 취수하여 필터로 정제처리되어 다기능 저류탱크장치(100)에 유입되는 온배수는 깨끗하지만 그래도 있을 수 있는 침전물을 다시 제거하게 하여 2, 3중의 방어막을 통하여 매우 양질의 온배수를 배출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conventional multi-function storage tank apparatus 100 that is taken out to be used as cooling water in a conventional condenser and refined by a filter, so that the hot water introduced into the multifunctional storage tank apparatus 100 is clean, Thereby discharging a very good amount of hot water.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발전소 온배수를 이용한 다기능 저류탱크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발전소 온배수를 이용한 다기능 저류탱크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발전소 온배수를 이용한 다기능 저류탱크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 내부 단면도이다.FIG. 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functional storage tank apparatus using power plant warm wat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multifunctional storage tank apparatus using power plant warm wat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plan sectional view of a multifunctional storage tank apparatus using power plant hot wat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내부에 난방열 생산 시설을 효율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다른 실시 예를 제안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nother embodiment to efficiently operate a heating heat production facility therein.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발전소 온배수를 이용한 다기능 저류탱크장치(200)를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Hereinafter, the multifunctional storage tank apparatus 200 using the power plant warm wat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as follows.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발전소 온배수를 이용한 다기능 저류탱크장치(200)는 발전소에서 해수 원수를 취수하여 냉각수로 사용한 후 배출되는 온배수를 이용하는 것으로, 일측은 유입통로(211) 및 타측은 배출통로(213)가 구비된 박스 형상의 외곽부(210)와, 상기 외곽부(210) 내측에 형성되되 중앙상부(220a)가 개방되어 있는 제1 탱크부(220)와, 상기 제1 탱크부(220) 내측에 형성되되 상부(230a)가 개방되어 있는 제2 탱크부(230)와, 상기 제2 탱크부(230) 내측 바닥에 분배구(243h)가 있는 분배관(241, 242, 243)이 다수 설치되어 있는 분배부(240)와. 및 상기 분배부(240) 좌우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소정 깊이 홈이 형성된 침전물홈부(25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8, the multifunctional storage tank apparatus 200 using the power plant hot wat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hot water discharged from the power plant after using the seawater as cooling water, A first tank portion 220 formed inside the outer frame portion 210 and having a central upper portion 220a opened, a box-shaped outer frame portion 210 having a passage 211 and a discharge passage 213 on the other side, A second tank portion 230 formed inside the first tank portion 220 and having an upper portion 230a opened and a distribution port 243h provided at an inner bottom portion of the second tank portion 230 A distribution unit 240 having a plurality of distribution pipes 241, 242, and 243; And a precipitate groove 250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istributor 240 to form a predetermined depth groove.

또한, 본 발명은 유입통로(211)를 통하여 제2 탱크부(230) 내부까지 유입되는 온배수는 분배관(241, 242, 243)을 따라 그 흐름이 나누어져 분배구(243h)를 통하여 상기 제2 탱크부(230) 내로 토출되어 상승 분산하여 넘쳐 부상 슬러지(sludge)와 함께 제1 탱크부(220) 내로 일부 유입되고 나머지는 상기 제2 탱크부(230) 내부와 연결된 배출통로(213)를 통하여 외부로 이송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igh-temperature water flowing into the second tank portion 230 through the inflow passage 211 is divided along the distribution pipes 241, 242, and 243 to flow through the distribution port 243h, The second tank portion 230 and the second tank portion 230. The second tank portion 230 is connected to the second tank portion 230 through a discharge passage 213 connected to the first tank portion 220, As shown in FIG.

또한, 본 발명은 침전물홈부(250) 하부에 개폐밸브(253)가 구비된 침전물배출관로(251)가 연결되어 주기적으로 상기 개폐밸브(253)를 열어 상기 침전물홈부(250)에 모인 잔여 슬러지(sludge)를 상기 침전물배출관로(25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sediment discharge pipe 251 provided with an on-off valve 253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sediment trench 250 to periodically open the on-off valve 253 to remove the residual sludge collected in the sediment trench 250 sludg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diment discharge pipe 251.

또한, 본 발명은 제1 탱크부(220) 하부에 개방배출관로(223)가 연결되어 있어 부상 슬러지와 함께 상기 제1 탱크부(220) 내로 유입된 온배수를 상기 개방배출관로(223)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 open discharge pipe path 223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first tank part 220 to discharge hot water introduced into the first tank part 220 together with floating sludge through the open discharge pipe path 223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또한, 본 발명은 배출통로(213)에 배출조절밸브(215)가 구비되어 인접한 시설물로 상기 온배수의 이송량을 조절한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a discharge control valve 215 is provided in the discharge passage 213 to control the amount of the hot water to be transferred to the adjacent facility.

그럼,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발전소 온배수를 이용한 다기능 저류탱크장치(2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multifunctional storage tank apparatus 200 using the power plant warm wat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다기능 저류탱크(200)는 크게 외곽부(210), 제1 탱크부(220) 및 제2 탱크부(230)를 포함한다.The multifunctional storage tank 200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includes an outer frame 210, a first tank 220 and a second tank 230.

외곽부(210)는 상하 및 사면이 막혀있는 직육면체의 박스 형상으로, 가로, 세로, 및 높이 각각 20 ~ 30m로 이루는 대형구조물이고, 가용 용량에 따라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The outer frame 210 is a box-shaped rectangular parallelepiped having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slopes blocked, and is 20 to 30 m in width, height, and height, respectively, and the size may vary depending on the available capacity.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내부까지 관통하는 유입통로(211) 및 타측은 내부에서 외부까지 관통하는 배출통로(213)가 구비되는데, 유입통로(211)는 온배수가 유입되는 통로이고, 배출통로(213)는 유입된 상기 온배수가 외부로 이송 또는 배출되는 통로이다.As shown in FIG. 8, an inlet passage 211 penetrating to the inside of one side and a discharge passage 213 penetrating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other side are provided. The inlet passage 211 includes a passage And the discharge passage 213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introduced hot water is transferred or discharged to the outside.

이때, 다기능 저류탱크(10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기에 연결된 온배수배출관로와 연결된 유입통로(211)를 통하여 온배수를 공급받는다.At this time, the multifunctional storage tank 100 receives the hot water through the inflow passage 211 connected to the hot water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condenser, as shown in FIGS.

또한, 유입통로(211)는 후술하는 제2 탱크부(230) 내부까지 관통하여 연결되어 있고, 배출통로(213)는 상기 제2 탱크부(230) 내부에서 외곽부(210) 외부까지 관통하여 연결되어 있다.The inlet passage 211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tank portion 23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outlet passage 213 penetrates from the inside of the second tank portion 230 to the outside of the outside portion 210 It is connected.

또한, 배출통로(213)는 용량 또는 용도별로 복수 개 설치하여 외부와 연결하여 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discharge passages 213 may be provided for each capacity or use, and may be discharged by being connected to the outside.

또한, 배출통로(213)에는 배출조절밸브(215)가 구비되어 있다. 즉, 배출통로(213)에 배출조절밸브(215)가 구비되어 인접한 시설물로 온배수의 이송량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인접한 시설물이란 해수 담수 시설과 같은 온배수 공급으로 가동될 수 있는 시설물을 말한다.Further, the discharge passage 213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control valve 215. That is, the discharge control valve 215 is provided in the discharge passage 213 to control the amount of the hot water to be transferred to the adjacent facility. Here, adjacent facilities are facilities that can be operated by supplying hot water such as seawater desalination facilities.

특히, 본 발명에서 외곽부(210)는 콘트리트 대형구조물로, 외부 환경으로부터 내부를 보호하고 내부의 온배수 열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 즉, 외곽부(210)는 겨울철이나 계절에 변화에 따른 기온 변화에도 내부가 항온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frame 210 is a concrete large structure, which functions to protect the inside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to suppress the outflow of heat from the inside. That is, the outer frame 210 allows the interior temperature to be kept constant even when the temperature changes due to changes in winter season or season.

제1 탱크부(220)는 사면이 막혀있되 중앙상부(220a)가 개방되어 있는 직육면체의 박스 형상으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곽부(210) 내측에 형성되되 중앙상부(220a)가 개방되어 있고, 그 크기는 외곽부(210)보다 작다.8 and 9, the first tank portion 220 i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outer frame portion 210 and has a central upper portion 220a, 220a are opened, and the size thereof is smaller than that of the outer frame portion 210. [

제1 탱크부(220)는 그 단면이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로 대칭되게 'ㄱ' 자로 꺽여 형성되어 제1 탱크부(220) 내부의 열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억제하는 형상을 가진다.The first tank portion 220 has a shape in which a cross section thereof is formed by being bent in a "? &Quot; shape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so as to prevent the heat inside the first tank portion 220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특히, 외곽부(210)와 제1 탱크부(2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제2 탱크부(220) 내로 유입되는 온배수의 열기가 외곽부(210)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완충지대를 형성하고 온배수 온도를 효율적으로 관리유지하게 하며 항온 유지 비용이 절감할 수 있게 한다.Particularly,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outer frame part 210 and the first tank part 220 forms a buffer zone so that the heat of the hot water flowing into the second tank part 220 does not come out of the outer part 210, It enables efficient management and maintenance of the temperature and reduces the maintenance cost.

또한, 제1 탱크부(220)는 시설관리자가 내부를 점검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이나 계단 등이 곳곳에 설치되어 보행할 수 있게 형성하고, 특히 'ㄱ' 자 형상 상부는 제1 및 제2 탱크부(220, 230) 내부를 안전하게 점검할 수 있도록 보행 가이드레일이 설치되어 내부를 관찰할 수 있고 이상 유무를 체크할 수 있게 구성된다.In addition, the first tank portion 220 is formed so that a guide rail, a stairway or the like can be installed in various places so that the facility manager can inspect the inside of the first tank portion 220. Particularly, the ' A walking guide rail is installed so that the inside of the units 220 and 230 can be safely checked so that the inside can be observed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abnormality can be checked.

또한, 제1 탱크부(220)는 하부에 개방배출구(221)가 있고 상기 개방배출구(221)와 개방배출관로(223)가 연결되어 있어 후술하는 제2 탱크부(230)에서 부상된 슬러지와 함께 유입된 온배수를 상기 개방배출구(221)와 연결된 개방배출관로(223)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The first tank portion 220 has an open outlet 221 at the lower portion thereof and the open outlet 221 and the open outlet pipe passage 22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sludge floating in the second tank portion 230, And the discharged hot wate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n open drain pipe (223) connected to the open outlet (221).

개방배출구(221)는 제1 탱크부(220) 및 제2 탱크부(230) 사이 바닥에 형성되어 제2 탱크부(230)에서 흘러넘친 슬러지(sludge) 및 온배수가 빠져나갈 수 있는 구멍(hole)이다.The open outlet 221 is formed at the bottom between the first tank portion 220 and the second tank portion 230 so that the sludge overflowing from the second tank portion 230 and the hole )to be.

또한, 개방배출관로(223)는 개방배출구(221)와 연결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통로이고 바다(sea)와 연결되어 바다로 직접 배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n drain pipe 223 is connected to the open drain 221 and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sea and discharged to the sea.

제2 탱크부(230)는 사방이 막혀있고 상부(230a)가 개방되어 있는 직육면체의 박스 형상으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탱크부(220) 내측에 형성되되 상부(230a)가 개방되어 있으며, 그 크기는 제1 탱크부(220)보다 작다.8 and 9, the second tank portion 230 is formed inside the first tank portion 220, and the upper portion 230a of the upper tank 230 is opened 230a are open, and the size thereof is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tank portion 220. [

특히, 본 발명에서 제2 탱크부(230)는 유입통로(211)를 통하여 제2 탱크부(230) 내부까지 유입되는 온배수를 일정 온도로 유지시키면서 일시 저장시키는 기능을 한다.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tank unit 230 functions to temporarily store the hot water flowing into the second tank unit 230 through the inflow passage 211 while maintaining the temperature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또한, 제2 탱크부(230)는 시설관리자가 출입할 수 있는 대형 구조물로, 잠수부 등을 투입하여 주기적으로 관리하거나 손상된 부분을 보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second tank unit 230 is a large structure that can be accessed by the facility manager. The second tank unit 230 provides a space for periodically managing the diver or the like or repairing the damaged part.

분배부(240)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다수 분배관(241, 242, 243)의 구성되어 제2 탱크부(230) 바닥에 설치된다.As shown in FIGS. 8 to 10, the distribution unit 240 includes a plurality of hollow distribution pipes 241, 242, and 243, and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second tank unit 230.

분배관(241, 242, 243)은 제1 분배관(241), 제2 분배관(242), 및 제3 분배관(243)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분배관(241, 242, 243)은 온배수의 염도에 따른 부식을 감안하여 플라스틱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The distribution pipes 241, 242 and 243 can be divided into a first distribution pipe 241, a second distribution pipe 242 and a third distribution pipe 243. Meanwhile, the distribution pipes 241, 242, and 243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in consideration of corrosion due to salinity of the hot water.

제1 분배관(241)은 유입통로(211)를 통하여 제2 탱크부(230) 내부까지 유입되는 온배수를 직접 접하는 관로로, 유입되는 온배수의 수압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재질로 설치되되 좌우 제2 분배관(242)으로 원활하게 분산되도록 분기된다.The first distribution pipe 241 is a channel directly contacting the hot water introduced into the second tank part 230 through the inflow passage 211. The first distribution pipe 241 is made of a material which can withstand the water pressure of the incoming hot water, And is branched so as to be smoothly dispersed into the distribution pipe 242.

제2 분배관(242)은 제1 분배관(241) 거쳐 흐르는 온배수가 지나는 통로를 제공한다.The second distribution pipe 242 provide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hot water flowing through the first distribution pipe 241 passes.

제3 분배관(243)은 제2 분배관(242)을 통해 유입된 온배수가 적정한 압력에서 분산 토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가지로 좌우로 분기된다.The third branch pipe 243 is branched into a plurality of branches so that the hot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 branch pipe 242 can be dispersedly discharged at an appropriate pressure.

제3 분배관(243) 끝단에 분배구(243h)가 형성되어 분배부(240) 내의 온배수가 제2 탱크부(230) 내로 토출된다.A distribution port 243h is formed at the end of the third distribution pipe 243 so that the hot water in the distribution part 240 is discharged into the second tank part 230.

이때, 도 3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다기능 저류탱크장치(200)는 온배수가 담수장으로 공급되는 해수량보다 조금 많게 공급하여 원수에 함유된 부상 슬러지 함유물이 제2 탱크부(230) 위로 상승하여 바다로 배출되도록 적당히 넘치게 한다.3 and 9, the multifunctional storage tank apparatus 200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upplies a little more than the amount of seawater supplied to the water tank, so that the floating sludge- So as to rise above the tank portion 230 and flood it appropriately to be discharged to the sea.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유입통로(211)를 통하여 제2 탱크부(230) 내부까지 유입되는 온배수는 분배관(241, 242, 243)을 따라 그 흐름이 나누어져 분배구(243h)를 통하여 상기 제2 탱크부(230) 내로 토출되어 상승 분산하여 넘쳐 부상 슬러지(sludge)와 함께 제1 탱크부(220) 내로 일부 유입되고 나머지는 상기 제2 탱크부(230) 내부와 연결된 배출통로(213)를 통하여 외부로 이송 및 배출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igh-temperature water flowing into the second tank part 230 through the inflow passage 211 is divided into the flows along the distribution pipes 241, 242, and 243, And then discharged into the second tank portion 230 and floated upward to partially flow into the first tank portion 220 together with the floatation sludge while the remaining portion thereof flows into the discharge passage 213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tank portion 230, As shown in FIG.

즉,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다기능 저류탱크장치(200)는 구조물 내부 중앙에는 분배부(240)가 있어 입수된 온배수가 분배관(241, 242, 243)을 따라 흘러 분배구(243h)를 통해 온배수에 있는 잔존부유물이 함께 상승하여 배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That is, in the multifunctional storage tank device 200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ribution portion 240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structure, and the received hot water flows along the distribution pipes 241, 242, and 243 and flows through the distribution port 243h, So that the remaining suspended solids in the upper portion are raised and discharged together.

이렇게 하므로, 본 발명은 복수기에서 배출되는 온배수를 보다 깨끗하게 정화시켜 이후 담수 시설 등 기타 인접 시설물에 양질의 온배수를 공급할 수 있게 한다.Thus, the present invention can purify the warm water discharged from the condenser more cleanly, and then supply the high-quality, high-quality water to other adjacent facilities such as a fresh water facility.

침전물홈부(250)는 도 8,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부(240) 좌우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소정 깊이 홈이 형성된다. As shown in FIGS. 8, 9 and 10, the precipitate trench 250 i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istributor 240, and a predetermined depth groove is formed.

침전물홈부(250)는 하부에 개폐밸브(253)가 구비된 침전물배출관로(251)가 연결되어 주기적으로 상기 개폐밸브(253)를 열어 상기 침전물홈부(250)에 모인 잔여 슬러지(sludge)를 상기 침전물배출관로(25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한다.The sediment trench section 250 is connected to a sediment discharge pipe line 251 provided with an on-off valve 253 at a lower part thereof to periodically open the on-off valve 253 to remove residual sludge collected in the sediment trench section 250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diment discharge pipe (251).

침전물홈부(250)는 도 7을 참조하면, 그 단면이 제2 탱크부(230) 내의 바닥부가 상기 침전물홈부(250) 중심부로 소정 각도 구배되어 기울어지므로 제2 탱크부(230) 내에 잔존하는 슬러지(sludge)를 용이하게 수집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Referring to FIG. 7, the bottom of the sediment trench 250 is tilt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center of the sediment trench 250, so that the sludge remaining in the second tank 230, (sludge) can be easily collected.

본 발명은 중앙 구조물 양쪽 제2 탱크부(230) 바닥면을 조금 경사지게 하여 침전슬러지가 모일 수 있도록 침전물홈부(250)를 만들고 가끔 한 번씩 개폐밸브(253)를 열어 바다로 보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diment grooves 250 are formed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tank part 230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structure is slightly inclined so that the sedimentation sludge can be collected, and the opening / closing valve 253 can be opened once and occasionally to the sea.

또한, 본 발명은 기존 복수기에서 냉각수로 사용하기 위해서 취수하여 필터로 정제처리되어 다기능 저류탱크장치(200)에 유입되는 온배수는 깨끗하지만 그래도 있을 수 있는 침전물을 다시 제거하게 하여 2, 3중의 방어막을 통하여 매우 양질의 온배수를 배출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conventional multi-function device, which is taken for use as cooling water in a conventional condenser, refined by a filter, and then discharged into a multi-function storage tank device 200, Thereby discharging a very good amount of hot water.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발전소 온배수를 이용한 다기능 저류탱크장치를 거쳐 온배수 공급으로 가동될 수 있는 시설들을 표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발전소 온배수를 이용한 다기능 저류탱크장치 내에 열교환장치가 설치된 블록도이다.FIG. 11 is a view showing facilities that can be operated by the supply of the hot water through the multi-function storage tank apparatus using the power plant hot wa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view showing the multi- And a heat exchanger is installed in the tank device.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다기능 저류탱크장치(100, 200)는 역삼투압(RO) 해수 담수 공정에는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공기부상설비를 하여 부유물을 상승시켜 제거하는 설비가 있는데, 발전소에서는 해수를 취수하여 냉각수로 사용되기 위해서 해수에 함유된 부유물 처리공정이 있기 때문에 깨끗한 해수지만 그래도 잔존할 수 있는 부유물을 다시 한 번 걸러 주는 기능이며, 공기부상 설비역할을 대신한다.The multifunctional storage tank apparatuses 100 and 200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facility for raising and removing suspended solids by means of an air floating apparatus for removing suspended solids in a reverse osmosis (RO) seawater desalination process. As it is used as cooling water, it has a float treatment process in seawater, so it is a clean seawater but it can filter remaining floats again and replace air blowing equipment.

또한, 온배수 원수 저류탱크 구조물의 설치는 온배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조건에 적합한 지역을 선정하는데 해안에 인접되거나 구조물을 해상에 거치하여 설치되는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construction of the reservoir structure for the raw water reservoi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djacent to the shore or is mounted on the sea in order to smoothly flow the hot water.

한편, 농축수 이용 발전 시설은 온배수로 담수를 생산하고 다시 바다로 나가는 농축 해수의 염도는 약 5.8 ~ 6% 정도로 해수의 염도 3 ~ 3.5%보다 농도가 크므로 염도차이를 이용 또는 바다로 배출하는 오폐수를 정제한 처리수나 강물을 사용하여 압력지연삼투(Pressure Retarded Osmosis) 시설을 통해 전기를 생산할 수 있으며, 농축수를 이용하여 해수 간수로 생산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centrated water-use power generation facility produces fresh water as a hot water, and the concentration of concentrated sea water which returns to the sea is about 5.8 ~ 6%, which is higher than the salt water 3 ~ 3.5% Electricity can be produced through a pressure retarded osmosis facility using treated wastewater or treated water, or it can be produced as sea water using concentrated water.

해수 담수 시설은 온배수 저류에서 온배수를 공급원으로 하여 사용되는 기술 복합체 중 하나인 해수 담수기술로 SWRO(Sea Water Reverse Osmosis) 방식이 있으며 온배수는 28 ~ 30℃로 상시 온도가 유지되므로 해수의 수온보다는 10 ~ 15℃ 정도 높은 수온을 유지하여 해수 담수의 경우 필터의 투과율 높여 생산 효율을 높인다.The seawater desalination facilities are SWRO (sea water reverse osmosis) system, which is one of the technical complexes used as a source of hot water in the hot water reservoir. The hot water temperature is maintained at 28 ~ 30 ℃, It maintains a high temperature of ~ 15 ℃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filter by increasing the permeability of the filter in the case of seawater fresh water.

삼투압원리는 농액이 낮은 물질이 농도가 큰 물질과 만나면 농도가 낮은 물질이 농도가 큰 물질 쪽으로 빠르게 이동하는데 이때 발생하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발전기를 돌려 전기를 생산하는 기술이 국내 업체에 의해 기술 개발되어 있다.The principle of osmotic pressure is that when a substance with a low concentration meets a substance with a high concentration, the substance with a low concentration moves quickly to a substance with a high concentration. The technology to produce electricity by turning the electric generator using the energy generated at this time .

생산된 전기는 다시 담수생산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므로 에너지비용을 줄여 담수생산비용을 줄일 수 있다. 1톤 담수를 생산하는 전기 3.5kwh 에너지가 필요하므로 담수 생산 이후 농축 해수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여 담수 생산비용을 줄일 수 있다.The electricity produced is again used as a source of fresh water production, which can reduce energy costs and reduce the cost of freshwater production. Since 3.5 kwh of electricity is needed to produce 1 ton of fresh wat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of fresh water by producing electricity using concentrated seawater after desalination.

난방열 생산 시설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기능 저류탱크장치(100) 내부에 열교환기를 설치하여 일부 회수된 열을 히터펌프로 온도를 40 ~ 50℃로 상승시켜 겨울철 난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온배수는 일정하게 수온이 유지되므로 겨울철(28℃) 담수관로 내부를 결빙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12, a heat exchanger is installed inside the multifunctional storage tank apparatus 100 as shown in FIG. 12, and a part of the recovered heat is heated by a heater pump to 40 to 50 DEG C to be used for winter heating. Since the water temperature is maintained constantly,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inside of the fresh water pipe from freezing in winter (28 ℃).

또한, 온배수 수열을 이용하므로 담수, 전기, 간수, 난방열 등을 얻을 수 있지만 가장 큰 효과는 수열활용으로 신재생에너지 활용으로 인한 REC를 얻는 것이다.In addition, the use of hot water heat can be used to obtain fresh water, electricity, jars, heating heat, etc. However, the biggest effect is to obtain REC due to the utilization of renewable energy using hydrothermal heat.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발전소 온배수를 이용한 저류탱크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 storage tank system using the power plant hot wa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pected to have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을 통하여 해수 담수화 설비에 사용되는 원수인 해수를 승온시키기 위해서 해수 담수화 설비 가동에 사용되는 총 에너지의 약 60% 이상이 해수의 승온에 사용되어 해수 담수화 설비의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과 해수의 승온으로 인해 해수 담수화 시설로부터 담수를 생산할 경우 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bout 60% or more of the total energy used for operating the desalination plant for raising seawater used in the desalination plant is used for raising the temperature of the seawater, It is advantageous to effectively solve the problem that the cost is high and the economical efficiency is low when the fresh water is produced from the desalination plant due to the elevated temperature.

또한, 화력발전소나 열병합발전소에서 냉각수로 사용한 약 20~30℃의 온배수를 평균 수온은 5~10℃인 바다로 장기간 배출할 경우 해수의 온도가 상승함으로써 생태계에 미치는 악영향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lso, the advantage of effectively reducing the adverse effects on the ecosystem by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seawater when the average temperature is 5 ~ 10 ℃ for a long period of time when discharged from the thermal power plant or the co-generation plant for about 20 ~ 30 ℃ .

또한, 화력발전소나 열병합발전소에서 냉각수로 사용하고 약 20~30℃까지 승온된 후 다시 바다로 배출되는 해수를 바닷물인 해수로부터 원수를 취수하여 담수를 생산하는 해수 담수화 설비의 원수로 사용할 수 있게 하므로, 해수 담수화 설비의 해수를 승온시키는 데 소요되는 해수 담수화 설비 총 가동에너지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해수 승온에너지를 절감시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it is used as cooling water in thermal power plant or combined heat and power plant, and the sea water which is raised to about 20 ~ 30 ℃ and then discharged to the sea is used as raw water of seawater desalination facilities , A seawater desalination plant to increase seawater in a seawater desalination plant There is an advantage of saving the seawater heat up energy that accounts for more than 60% of the total operating energy.

또한, 화력발전소나 열병합발전소의 냉각수로 사용되는 해수를 화력발전소나 열병합발전소에 냉각수로 유입시킬 때 여과장치에서 부유물과 불순물을 여과시킨 상태에서 냉각수로 사용하기 때문에, 인접 시설물인 해수 담수화 설비에서는 공급받은 온배수의 이물질을 침전 여과하는 전처리단계와 역삼투압공정부에서 염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행하므로 해수 담수화 설비를 통해 생산되는 담수는 2차례에 걸쳐 침전 및 여과되는 경우가 되어 보다 깨끗한 담수를 생산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seawater used as a cooling water for a thermal power plant or a combined heat and power plant is introduced into cooling water to a thermal power plant or a combined heat and power plant, it is used as cooling water in a state in which suspended matters and impurities are filtered in a filtration apparatus. Since the pretreatment step of precipitating and filtering out the foreign matter of the received hot water and the step of removing the salt from the reverse osmosis system are performed, the fresh water produced through the seawater desalination plant is precipitated and filtered twice, There is an advantage.

또한, 화력발전소나 열병합발전소에서 냉각작용을 수행하면서 승온된 해수를 직접 바다로 배출시키지 않고 해수담수화 설비의 원수로 재사용함으로, 화력발전소나 열병합발전소 주변 해역의 생태계를 보호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o protect the ecosystem of a thermal power plant or a seawater desalination plant by reusing the warmed seawater as a raw water of a seawater desalination plant without directly discharging it to the sea while performing a cooling action in a thermal power plant or a cogeneration power plant.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invention. will be.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tended to illustrate and not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본 발명이 제안하는 다기능 저류탱크장치
110 : 외곽부
120 : 제1 탱크부
130 : 제2 탱크부
140 : 칸막이벽
150 : 침전물홈부
100: Multi-function storage tank device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110:
120: first tank portion
130: second tank portion
140: partition wall
150:

Claims (5)

발전소에서 해수 원수를 취수하여 냉각수로 사용한 후 배출되는 온배수를 이용하는 발전소 온배수를 이용한 다기능 저류탱크장치에 있어서,
일측은 유입통로 및 타측은 배출통로가 구비된 박스 형상의 외곽부와,
상기 외곽부 내측에 형성되되 중앙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제1 탱크부와,
상기 제1 탱크부 내측에 형성되되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제2 탱크부와,
상기 제2 탱크부 내측 중앙 바닥에 가로질러 형성된 소정 높이의 칸막이벽과, 및
상기 칸막이벽 좌우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소정 깊이 홈이 형성된 침전물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탱크부는 그 단면이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로 대칭되게 'ㄱ' 자로 꺽여 형성되어 상기 제1 탱크부 내부의 열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억제하며,
상기 외곽부와 제1 탱크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상기 제2 탱크부 내로 유입되는 온배수의 열기가 상기 외곽부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완충지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탱크부의 'ㄱ' 자 형상 상부는 상기 제1 및 제2 탱크부 내부를 안전하게 점검할 수 있도록 보행 가이드레일이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탱크부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으며,
상기 유입통로를 통하여 상기 제2 탱크부 내부까지 유입되는 상기 온배수는 상기 칸막이벽에 그 흐름이 일시 가로막혀 상부 및 좌우로 상승 분산하여 넘쳐 부상 슬러지(sludge)와 함께 상기 제1 탱크부 내로 일부 유입되고 나머지는 상기 제2 탱크부 내부와 연결된 상기 배출통로를 통하여 외부로 이송되고,
상기 배출통로에는 배출조절밸브가 구비되어 인접한 시설물로 상기 온배수의 이송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온배수를 이용한 다기능 저류탱크장치.
1. A multifunctional storage tank apparatus using a power plant hot water discharged from a power plant by taking seawater raw water and using it as cooling water,
A box-like outer frame portion having an inlet passage on one side and a discharge passage on the other side,
A first tank portion formed inside the outer frame portion and having a central upper portion opened,
A second tank portion formed inside the first tank portion and open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partition wall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formed across the inner middle floor of the second tank portion,
And a precipitate groove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groov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artition wall,
The first tank portion is formed by being bent in a "?&Quot; shape so that its cross-section is symmetrical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thereby preventing the heat inside the first tank portion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A space formed between the outer frame and the first tank portion forms a buffer zone so that the heat of the hot water flowing into the second tank portion does not escape from the outer frame portion,
The 'A' shaped upper portion of the first tank portion is provided with a walking guide rail for observing the inside of the first and second tank portions so that the inside of the first and second tank portions can be safely checked,
The hot water flowing into the second tank portion through the inflow passage is temporarily blocked in the partition wall so that the water flows upwardly and upwardly and dispersedly upwardly and horizontally to flow into the first tank portion together with the floating sludge, And the remainder is transferr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tank portion,
Wherein the discharge passage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control valve to control the amount of the hot water discharged from the adjacent facility to the multi-function storage tan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물홈부 하부에는 개폐밸브가 구비된 침전물배출관로가 연결되어 주기적으로 상기 개폐밸브를 열어 상기 침전물홈부에 모인 잔여 슬러지(sludge)를 상기 침전물배출관로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온배수를 이용한 다기능 저류탱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ediment discharge pipe having an open / close valve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sediment groove to periodically open the on-off valve to discharge a residual sludge collected in the sediment grooves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diment discharge pipe. Multifunctional storage tank device u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탱크부 하부에는 개방배출관로가 연결되어 있어 상기 부상 슬러지와 함께 상기 제1 탱크부 내로 유입된 온배수를 상기 개방배출관로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온배수를 이용한 다기능 저류탱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open drain pipe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tank unit to discharge the hot water discharged into the first tank unit together with the floating sludge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 drain pipe. Device.
삭제delete 발전소에서 해수 원수를 취수하여 냉각수로 사용한 후 배출되는 온배수를 이용하는 발전소 온배수를 이용한 다기능 저류탱크장치에 있어서,
일측은 유입통로 및 타측은 배출통로가 구비된 박스 형상의 외곽부와,
상기 외곽부 내측에 형성되되 중앙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제1 탱크부와,
상기 제1 탱크부 내측에 형성되되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제2 탱크부와,
상기 제2 탱크부 내측 바닥에 분배구가 있는 분배관이 다수 설치되어 있는 분배부와. 및
상기 분배부 좌우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소정 깊이 홈이 형성된 침전물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탱크부는 그 단면이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로 대칭되게 'ㄱ' 자로 꺽여 형성되어 상기 제1 탱크부 내부의 열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억제하며,
상기 외곽부와 제1 탱크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상기 제2 탱크부 내로 유입되는 온배수의 열기가 상기 외곽부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완충지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탱크부의 'ㄱ' 자 형상 상부는 상기 제1 및 제2 탱크부 내부를 안전하게 점검할 수 있도록 보행 가이드레일이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탱크부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으며,
상기 유입통로를 통하여 상기 제2 탱크부 내부까지 유입되는 상기 온배수는 상기 분배관을 따라 그 흐름이 나누어져 상기 분배구를 통하여 상기 제2 탱크부 내로 토출되어 상승 분산하여 넘쳐 부상 슬러지(sludge)와 함께 상기 제1 탱크부 내로 일부 유입되고 나머지는 상기 제2 탱크부 내부와 연결된 상기 배출통로를 통하여 외부로 이송되고,
상기 배출통로에는 배출조절밸브가 구비되어 인접한 시설물로 상기 온배수의 이송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온배수를 이용한 다기능 저류탱크장치.
1. A multifunctional storage tank apparatus using a power plant hot water discharged from a power plant by taking seawater raw water and using it as cooling water,
A box-like outer frame portion having an inlet passage on one side and a discharge passage on the other side,
A first tank portion formed inside the outer frame portion and having a central upper portion opened,
A second tank portion formed inside the first tank portion and open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distribution unit having a plurality of distribution pipes having a distribution port at an inner bottom of the second tank unit. And
And a precipitate groove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groov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istribution portion,
The first tank portion is formed by being bent in a "?&Quot; shape so that its cross-section is symmetrical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thereby preventing the heat inside the first tank portion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A space formed between the outer frame and the first tank portion forms a buffer zone so that the heat of the hot water flowing into the second tank portion does not escape from the outer frame portion,
The 'A' shaped upper portion of the first tank portion is provided with a walking guide rail for observing the inside of the first and second tank portions so that the inside of the first and second tank portions can be safely checked,
The hot water flowing into the second tank portion through the inflow passage is divided into a flow along the distribution pipe and is discharged into the second tank portion through the distribution port to float up and disperse to form a floating sludge And the remainder is transferr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tank portion,
Wherein the discharge passage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control valve to control the amount of the hot water discharged from the adjacent facility to the multi-function storage tank.
KR1020170028401A 2017-03-06 2017-03-06 Multifunctional Storage Tank Apparatus using power plant hot water KR1018900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401A KR101890059B1 (en) 2017-03-06 2017-03-06 Multifunctional Storage Tank Apparatus using power plant hot w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401A KR101890059B1 (en) 2017-03-06 2017-03-06 Multifunctional Storage Tank Apparatus using power plant hot wa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0059B1 true KR101890059B1 (en) 2018-08-20

Family

ID=63443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401A KR101890059B1 (en) 2017-03-06 2017-03-06 Multifunctional Storage Tank Apparatus using power plant hot wa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0059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156B1 (en) * 2006-12-07 2009-02-27 주식회사 디에스이엔지 Cylindrical water tank to induce swirling water
KR101519779B1 (en) * 2014-02-20 2015-05-12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ower plant open channel drainage of dispersion and agitation type for hot waste water effect reduction
KR101592996B1 (en) 2015-07-17 2016-02-11 이완호 Waste heat recycling system using a hybrid heat pump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156B1 (en) * 2006-12-07 2009-02-27 주식회사 디에스이엔지 Cylindrical water tank to induce swirling water
KR101519779B1 (en) * 2014-02-20 2015-05-12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ower plant open channel drainage of dispersion and agitation type for hot waste water effect reduction
KR101592996B1 (en) 2015-07-17 2016-02-11 이완호 Waste heat recycling system using a hybrid heat pum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oliman et al. Energy consumption a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f desalination plants and brine disposal strategies
Fath Solar distillation: a promising alternative for water provision with free energy, simple technology and a clean environment
Moossa et al. Desalination in the GCC countries-a review
JP6154023B2 (en) Seawater desalina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solar energy continuous heat supply
Fang et al. Saline alkali water desalination project in Southern Xinjiang of China: A review of desalination planning, desalination schemes and economic analysis
US4613409A (en) High rate solar still and process
JP5077586B2 (en) Wastewater treatment water reuse system
US2011001180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imultaneously generating energy and treating water
KR20120024557A (en) Water purifier
KR102020657B1 (en) Hydropower Generation System and Power Generation Method for Mixing the Hot Water of Power Plant and the High Salt Emission of Seawater Desalination Plant
CN10131449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ultrapure water by sea water desalination
Shokri et al. A sustainable approach in water desalination with the 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Environmental engineering challenges and perspectives
WO2018045708A1 (en) Indirect air-cooling unit heat recovery and water treatment device and method
Mohsen Treatment and reuse of industrial effluents: case study of a thermal power plant
CN102139983A (en) Waste water treatment method and system
JP2009516788A (en) Pipeline system
JP5518247B1 (en) Circulating water utilization system
KR20190053000A (en) Reverse Osmosis Seawater Desalination device
Seigworth et al. Case study: integrating membrane processes with evaporation to achieve economical zero liquid discharge at the Doswell combined cycle facility
Thomas Overview of village scale, renewable energy powered desalination
Maftouh et al. Solar desalination: Current applications and future potential in MENA region–A case study
WO2017066534A1 (en) Hybrid cooling and desalination system
US20080011598A1 (en) Freshwater Recycling System
KR101890059B1 (en) Multifunctional Storage Tank Apparatus using power plant hot water
KR101624911B1 (en) High effciency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for seawater desalination using renewable energy in remote pla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