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8076B1 - 풍지판을 구비한 복합 미서기 창호 - Google Patents

풍지판을 구비한 복합 미서기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8076B1
KR101888076B1 KR1020170127238A KR20170127238A KR101888076B1 KR 101888076 B1 KR101888076 B1 KR 101888076B1 KR 1020170127238 A KR1020170127238 A KR 1020170127238A KR 20170127238 A KR20170127238 A KR 20170127238A KR 101888076 B1 KR101888076 B1 KR 101888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rail
window fram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7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윈로드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윈로드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윈로드시스템
Priority to KR1020170127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80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8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8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08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 E06B3/12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틀과 창짝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창짝의 중첩부위에 설치되는 풍지판을 구비한 복합 미서기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창짝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창틀과, 합성수지재의 창짝프레임과 금속재의 창짝프레임을 서로 결합한 창짝과, 창틀과 창짝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는 풍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창틀과 창짝 사이의 공간에 풍지판을 설치하며 고정플레이트 및 기밀편을 구비함으로써, 레일의 양방 측면에 형성된 레일홈에 기밀편을 밀착시켜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창호의 이탈을 방지하고 레일홈에 이물질의 유입이나 손가락의 끼임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풍지판을 구비한 복합 미서기 창호{COMPOSITION SLIDING WINDOW COMPRISING WINDBREAK DEVICE}
본 발명은 풍지판을 구비한 복합 미서기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창틀과 창짝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창짝의 중첩부위에 설치되는 풍지판을 구비한 복합 미서기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서기 창호는 상대적으로 고정된 위치에 있는 고정용 창짝 또는 고정용 문짝에 대하여 이동용 창짝 또는 이동용 문짝을 상대적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창호를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이다. 이러한 미서기 창호는 고정용 창짝과, 이동용 창짝과, 그리고 건물 벽에 설치되고 그 내면에 상술한 창짝이 설치되는 창틀을 포함한다.
창틀에는 이동용 창짝이 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용 창짝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부가 구비된다. 이러한 레일부는 창틀의 상부에 구비되어 이동용 창짝의 상단을 안내하는 상부 레일과, 그리고 창틀의 하부에 구비되어 이동용 창짝의 하단을 안내하는 하부 레일을 포함한다.
또한, 이동용 창짝의 상부에는 창틀에 설치된 상부 레일을 따라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레일 가이드부가 설치되고, 그리고 이동용 창짝의 하부에는 창틀에 설치된 하부 레일을 따라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호차부가 설치된다. 나아가, 유리나 판재가 창짝의 내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일반적인 미서기 창호는 방음성, 기밀성, 수밀성, 단열성, 내풍압성 등에 대한 양질의 성능을 얻기 위하여 창틀과 창짝 사이에 설치되는 방풍모나 방풍 고무 가스켓과 같은 기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밀부재는 방음성, 기밀성, 수밀성, 단열성, 내풍압성 등에 대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기밀이 이루어지는 방식의 한계로 인하여 기밀 부재에 의한 기밀 성능가 그다지 높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기밀부재에 변형이 오거나 마모가 진행됨에 따라 이러한 성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가 어려워 밀봉 부재의 수명이 단축되고 빈번하게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종래의 기밀장치는 경질 수지의 베이스와, 이 베이스에 일체로 형성된 연질 수지의 다수의 브러시로 이루어진다. 특히 풍지판은 창틀 프레임의 레일 바닥면에 고정되므로, 베이스에 힘을 가하여 구부린 상태에서 끼우면 베이스의 복원력에 의해 구부러진 상태에서 펴지고 이때 고정편이 양 레일의 측벽을 가압하여 풍지판이 고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밀장치에 의하면, 레일 폭에 따라 각각 다른 폭을 갖는 기밀장치를 사용해야 하므로 재고의 부담을 갖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풍지판은 브러시가 일정한 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배치된 방향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레일에만 사용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밀장치는 스크루 작업을 통해 일일이 고정해야 하는 설치상의 불편함이 있으며, 다수의 밀폐 분할편들은 창짝에 의해 눌려 넘어진 상태로 항상 유지되는데 설치 후 장기간이 지나면 분할편들의 탄성 복원력이 약해져 창짝과 창틀 프레임 내향면과의 사이 틈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없게 된다.
최근에는 금속재와 합성수지재를 혼합 사용한 복합창호의 시공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복합창호는 금속재의 단점인 단열성능이 떨어지고 인테리어를 위한 다양한 색채나 패턴 사용에 제약이 따른다는 점을 극복하기 위해 단열 성능이 우수하고 다양한 색상 표현이 가능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단열패널을 결합시킨 창호이다.
이와 같은 단열패널은 금속재 창짝 또는 창틀의 양측단에 조립되어도 되나 외측은 기후변화에 취약한 부분이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실내측면에만 조립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단열패널이 설치되면 실내쪽에서 창호를 바라볼 때 심미감을 가지게 하면서도 단열성 및 방음성을 제공하게 된다.
단열패널을 금속재 창짝 또는 창틀에 결합시키는 방법은 대부분은 접착제를 사용하거나 끼움방식을 단독사용하거나 끼움방식과 함께 접착제를 혼용하여 결합시키는 방식을 사용한다.
접착제를 사용하는 방식은 균일하고 들뜸이 없는 접착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초기 품질은 좋으나 단열패널과 금속재 창짝 또는 창틀 사이의 이질재이기 때문에 기후변화에 따라 열팽창계수 등이 달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접착제가 탈리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고, 또한 대부분의 접착제가 유기화합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환경이나 실내 거주자에게 유해환경을 제공한다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접착제를 사용하는 방식은 수리가 필요하거나 교체가 필요할 경우 단열패널을 제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끼움방식을 사용하는 방식은 유기화합물로 이루어진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 환경문제는 해결될 수 있지만 홈에 돌기를 억지끼움하는 방식이나 걸림홈에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걸림턱을 구비한 탄성편 끼움방식과 같은 통상의 끼움방식들은 결합력이 적거나 탄성력이 저하될 경우 또는 정밀한 끼움 구조의 가공품질이 유지되지 못할 경우 불균일한 결합으로 인한 정상 결합력을 제공하지 못하거나 불균일한 밀착에 의한 창호 사용시 접촉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끼움방식과 함께 접착제를 혼용하는 방식은 끼움 방식을 단독으로 사용시의 단점인 불균인한 결합력을 해결한 장점은 있으나 유기화합물로 이루어진 접착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여전히 작업환경이나 실내 거주자에게 유해환경을 제공한다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접착제를 사용하는 방식은 수리가 필요하거나 교체가 필요할 경우 단열패널을 제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미서기 창호의 실외측에 방충창을 설치하고 있으나, 창호의 개방시 대기오염에 의한 황사나 미세먼지의 유입을 차단하는 수단이 없어 대기오염시 창호를 폐쇄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62001호 (2014년11월21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49063호 (2017년05월10일)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20-2017-0000381호 (2017년01월25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레일의 양방 측면에 형성된 레일홈에 기밀편을 밀착시켜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창호의 이탈을 방지하고 레일홈에 이물질의 유입이나 손가락의 끼임을 방지할 수 있는 풍지판을 구비한 복합 미서기 창호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창짝의 슬라이딩시 마찰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풍지판을 구비한 복합 미서기 창호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창짝프레임과 오사이 사이의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복합재료를 사용하여 창짝의 단열성는 및 지지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풍지판을 구비한 복합 미서기 창호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기오염시에도 창호를 개방하여 환기를 하는 동시에 외부의 미세먼지 등과 같은 오염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풍지판을 구비한 복합 미서기 창호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창틀과 창짝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창짝의 중첩부위에 설치되는 풍지판을 구비한 복합 미서기 창호로서, 창짝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레일이 창틀프레임에 입설된 창틀(100); 합성수지재의 창짝프레임과 금속재의 창짝프레임을 서로 결합하여 구비한 창짝(200); 및 상기 창짝(200)의 중첩부위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창틀(100)과 상기 창짝(200)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는 풍지판(250);을 포함하고, 상기 풍지판(250)은, 상기 창짝의 중첩부위의 측면 하단에 설치된 고정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를 창짝에 고정시키는 고정편;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레일의 일방 측면에 형성된 레일홈에 끼워맞춤되는 제1 기밀편;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레일의 타방 측면에 형성된 레일홈에 끼워맞춤되는 제2 기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 기밀편 및 상기 제2 기밀편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는 경질의 심재; 및 상기 심재의 외곽둘레에 결합되어 상기 레일홈에 접촉되며, 상기 심재 보다 연질로 이루어진 연질의 기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기밀재는, 모헤어 또는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재질의 개스킷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하부 일방에는 상기 제1 기밀편을 끼워맞춤에 의해 결합하는 제1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하부 타방에는 상기 제2 기밀편을 끼워맞춤에 의해 결합하는 제2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하부 중앙부위에는, 상기 레일과 상기 고정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을 승강이동에 의해 차단하는 승강편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창짝(200)은, 상기 합성수지재의 창짝프레임과 금속재의 창짝프레임 사이의 결합에 형성된 오사이홈에 금속재의 오사이가 끼워맞춤되며, 상기 오사이의 일단은 합성수지재의 창짝프레임에 지지되도록 끼워맞춤 결합되어 있고, 상기 오사이의 타단은 금속재의 창짝프레임에 지지되도록 끼워맞춤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창틀과 창짝 사이의 공간에 풍지판을 설치하며 고정플레이트 및 기밀편을 구비함으로써, 레일의 양방 측면에 형성된 레일홈에 기밀편을 밀착시켜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창호의 이탈을 방지하고 레일홈에 이물질의 유입이나 손가락의 끼임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기밀재가 모헤어 또는 EPDM 재질의 개스킷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창짝의 슬라이딩시 마찰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합성수지재의 창짝프레임과 금속재의 창짝프레임 사이의 결합에 형성된 오사이홈에 금속재의 오사이가 끼워맞춤됨으로써, 창짝프레임과 오사이 사이의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복합재료를 사용하여 창짝의 단열성는 및 지지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창틀프레임의 실외측에 형성된 끼움돌기에 방충창의 제1 망체 레일과 미세먼지창의 제2 망체 레일과 창짝의 창짝 레일을 일체로 형성하여 끼워맞춤하여 방충창과 미세먼지창을 창틀에 설치함으로써, 대기오염시에도 창호를 개방하여 환기를 하는 동시에 외부의 미세먼지 등과 같은 오염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 미서기 창호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 미서기 창호를 나타내는 수직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 미서기 창호를 나타내는 수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 미서기 창호의 복합 창틀프레임을 나타내는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 미서기 창호의 미세먼지창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 미서기 창호의 풍지판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 미서기 창호의 풍지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 미서기 창호의 복합 창짝프레임을 나타내는 분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 미서기 창호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 미서기 창호를 나타내는 수직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 미서기 창호를 나타내는 수평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 미서기 창호의 복합 창틀프레임을 나타내는 분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 미서기 창호의 복합 창짝프레임을 나타내는 분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 미서기 창호의 풍지판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 미서기 창호의 풍지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 미서기 창호의 미세먼지창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복합 미서기 창호는, 창틀(100), 창짝(200), 방충창(300) 및 미세먼지창(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창틀에 방충망과 먼지필터가 함께 설치되어 창짝의 개방시 방충하고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는 방충 및 미세먼지 차단용 복합 미서기 창호이다.
창틀(100)은, 창짝(20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레일이 창틀프레임(110)에 입설된 창틀부재로서, 창틀프레임(110), 중간틀프레임(120) 및 망틀프레임(130)으로 이루어져 있다.
창틀프레임(110)은, 복합 미서기 창호의 외곽둘레를 구성하는 PVC 등과 같은 합성수지재의 프레임으로서, 창짝(200)이 주행하도록 제1 레일(111), 제2 레일(112), 제3 레일(113) 및 끼움돌기(114)가 입설되어 있다.
제1 레일(111)에는 제1 창짝(210)이 주행하는 레일이 형성되어 있고, 제2 레일(112)에는 제2 창짝(220)이 주행하는 레일이 형성되어 있고, 제3 레일(113)에는 제3 창짝(230)이 주행하는 레일이 형성되어 있고, 끼움돌기(114)에는 제4 창짝(240)이 주행하는 주행공간을 제공하도록 창짝 레일(133)이 형성된 망틀프레임(130)이 결합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끼움돌기(114)의 하단 일방에는 창짝 레일(133)의 하단 형성된 제1 걸림편(133a)가 걸어맞춤되는 제1 걸림홈(114a)이 형성되어 있고, 끼움돌기(114)의 하단 타방에는 창짝 레일(133)의 하단 형성된 제2 걸림돌기(133b)가 걸어맞춤되는 제2 걸림홈(114b)이 형성되어 있다.
중간틀프레임(120)은, 창틀프레임(110)에 의해 형성된 창짝(200)의 슬라이딩 공간을 상부공간 및 하부공간으로 구획하도록 창틀프레임(110)의 내부공간에 수평으로 설치된 PVC 등과 같은 합성수지재의 프레임으로서, 창틀프레임(110)과 마찬가지로 창짝(200)이 주행하도록 제1 레일, 제2 레일, 제3 레일 및 끼움돌기가 입설되어 있다.
망틀프레임(130)은, 창틀프레임(110)의 실외측에 돌출된 끼움돌기(114)에 걸어맞춤되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재의 프레임으로서, 방충창(300)을 슬라이딩하도록 지지하는 제1 망체 레일(131) 및 미세먼지창(400)을 슬라이딩하도록 지지하는 제2 망체 레일(132) 중 적어도 하나의 망체 레일과, 제4 창짝(240)을 슬라이딩하도록 지지하는 창짝 레일(13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망틀프레임(130)은, 제1 망체 레일(131) 및 제2 망체 레일(132) 중 적어도 하나의 망체 레일과 창짝 레일(133)이 금속재로 이루어지되 일체로 형성되며, 창틀프레임(110)의 실외측에 돌출된 끼움돌기(114)의 제1 걸림홈(114a) 및 제2 걸림홈(114b)에 제1 걸림편(133a) 및 제2 걸림편(133b)을 개재해서 걸어맞춤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창틀프레임(110)의 실외측 하단 일방에는 망틀프레임(130)의 제1 망체 레일(131)의 일단에 형성된 제3 걸림편(131a)이 걸어맞춤되는 제3 걸림홈(110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창틀프레임(110)과 망틀프레임(130)은, 창틀프레임(110)의 실외측에 돌출된 끼움돌기(114)를 개재해서 끼워맞춤되어 고정 설치되면서, 제1 걸림홈(114a), 제2 걸림홈(114b) 및 제3 걸림홈(110a)에 제1 걸림편(133a), 제2 걸림편(133b) 및 제3 걸림편(131a)을 개재해서 3개의 지점에서 걸어맞춤되어 고정되어, 결합 고정지지력이 증가하게 된다.
창짝(200)은, 합성수지재의 창짝프레임과 금속재의 창짝프레임을 서로 결합하여 구비되는 창짝부재로서, 제1 창짝(210), 제2 창짝(220), 제3 창짝(230), 제4 창짝(240) 및 풍지판(250)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 창짝(210)은 창틀프레임(110)의 제1 레일(111)을 따라 슬라이딩이동하게 되고, 제2 창짝(220)은 창틀프레임(110)의 제2 레일(112)을 따라 슬라이딩이동하게 되고, 제3 창짝(230)은 창틀프레임(110)의 제3 레일(113)을 따라 슬라이딩이동하게 되고, 제4 창짝(240)은 망틀프레임(130)의 창짝 레일(133)을 따라 슬라이딩이동하게 되어 있다.
제1 창짝(210), 제2 창짝(220), 제3 창짝(230) 및 제4 창짝(240)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제1 창짝(210)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제2 창짝(220), 제3 창짝(230), 제4 창짝(24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창짝(210)은 합성수지재의 프레임과 금속재의 프레임이 서로 결합된 창짝으로서, 메인프레임(211), 커버프레임(212), 오사이, 마감프레임(214), 기밀재(215) 및 보강재(216)로 이루어져 있다.
메인프레임(211)은, 하부에 호차홈이 형성되며 상부에 유리홈이 형성된 PVC 등과 같은 합성수지재의 프레임으로서, 메인프레임(211)의 하단에 제1 걸림홈(211a)이 형성되어 있고, 유리홈의 일단에 제2 걸림홈(211b)이 형성되어 있고, 제2 걸림홈(211b)의 상단에 끼움턱(211c)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호차홈의 양단에는 모헤어홈(211d)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프레임(212)은, 메인프레임(211)의 측면에 결합되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재의 프레임으로서, 커버프레임(212)의 하단에 제1 걸림턱(212a)이 형성되어 제1 걸림홈(211a)에 걸어맞춤되고, 커버프레임(212)의 상단에 제2 걸림턱(212b)이 형성되어 제2 걸림홈(211b)에 걸어맞춤되고, 커버프레임(212)의 내부면에 이격편(212c)이 형성되어 메인프레임(211)의 측면에 접촉하여 커버프레임(212)를 이격시키게 되고, 커버프레임(212)의 상단에 돌기편(212d)이 돌출 형성된다.
오사이는, 메인프레임(211)의 유리홈이 일방에 결합되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재의 오사이프레임(213)으로서, 오사이프레임(213)의 일단에 제1 걸림돌기(213a)가 돌출 형성되어 끼움턱(211c)에 걸어맞춤되고, 오사이프레임(213)의 타단에 제2 걸림돌기(213b)가 돌출 형성되어 돌기편(212d)에 걸어맞춤되고, 오사이프레임(213)의 상단에 지지편(213c)이 돌출 형성되며 유리홈의 일방에 입설되어 유리홈에 결합되는 유리판의 일면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합성수지재의 메인프레임(211)과 금속재의 커버프레임(212) 사이의 결합에 형성된 오사이홈에 금속재의 오사이가 끼워맞춤되며, 오사이의 일단은 합성수지재의 메인프레임(211)에 지지되도록 끼워맞춤 결합되어 있고, 오사이의 타단은 금속재의 커버프레임(212)에 지지되도록 끼워맞춤 결합된다.
마감프레임(214)은, 메인프레임(211)의 일면에 끼워맞춤 결합되는 PVC 등과 같은 합성수지재의 프레임으로서, 마감프레임(214)의 일면에는 끼움돌기(214a)가 양쪽에 돌출 형성되어 메인프레임(211)의 호차홈에 형성된 모헤어홈(211d)에 끼워맞춤되어 있고, 마감프레임(214)의 측면에는 제1 창짝(210)과 제2 창짝(220) 사이의 중첩부위에 모헤어를 설치하도록 모헤어홈(214b)이 형성되어 있다.
기밀재(215)는, 메인프레임(211)의 타면에 끼워맞춤 결합되는 고무, 엠씨나일론(Mono Cast Nylon)이나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재질의 개스킷 등과 같은 기밀부재로서, 제1 창짝(210)과 제2 창짝(220)의 각각에 설치되며 그들 사이의 중첩부위에 서로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보강재(216)는, 메인프레임(211)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위에 삽입되어 끼워맞춤되는 보강부재로서, 강철이나 스틸 소재로 이루어져 메인프레임(211)의 지지력을 보강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 미서기 창호의 창짝(200)에는, 창짝(200)의 중첩부위의 측면에 설치되며, 창틀(100)과 창짝(200)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는 풍지판(250)이 포함되어 있다.
풍지판(250)은, 창짝(200)의 중첩부위의 측면에 설치되며 창틀(100)과 창짝(200)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는 방풍수단으로서,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플레이트(251), 고정편(252), 제1 끼움홈(253), 제2 끼움홈(254), 승강편(255), 제1 기밀편(256) 및 제2 기밀편(257)으로 이루어져 있다.
고정플레이트(251)는, 복수의 창짝 사이의 중첩부위의 측면 하단에 설치되는 플레이트로서, 창짝과 창틀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도록 레일의 상부에 밀착하도록 설치된다.
고정편(252)은, 창짝의 하단부위에 고정플레이트(251)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으로서, 고정플레이트(251)의 판면부위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홀에 각각 체결고정되는 피스나 나사못 등과 같은 체결고정편이나 리벳 등과 같은 압착고정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 끼움홈(253)은, 고정플레이트(251)의 하부 일방에 제1 기밀편(256)을 끼워맞춤에 의해 결합하도록 형성된 끼움홈으로서, 창짝의 슬라이딩시 제1 기밀편(256)의 유동이나 위치변동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결합력을 유지하도록 대략 사각형상의 끼움홀로 이루어져 있다.
제2 끼움홈(254)은, 고정플레이트(251)의 하부 일방에 제2 기밀편(257)을 끼워맞춤에 의해 결합하도록 형성된 끼움홈으로서, 창짝의 슬라이딩시 제2 기밀편(257)의 유동이나 위치변동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결합력을 유지하도록 대략 사각형상의 끼움홀로 이루어져 있다.
승강편(255)은, 고정플레이트(251)의 하부 중앙부위에 레일과 고정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을 승강이동에 의해 차단하는 승강부재로서, 고무, 엠씨나일론(Mono Cast Nylon)이나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재질의 개스킷 등과 같은 기밀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제1 기밀편(256)은, 고정플레이트(251)의 하부에 결합되며 레일의 일방 측면에 형성된 레일홈에 끼워맞춤되는 기밀부재로서, 고정플레이트(251)의 하부에 결합되는 경질의 제1 심재(256a)와, 이 제1 심재(256a)의 외곽둘레에 결합되어 레일홈에 접촉되며 제1 심재(256a) 보다 연질로 이루어진 연질의 제1 기밀재(256b)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제2 기밀편(257)은, 고정플레이트(251)의 하부에 결합되며 레일의 타방 측면에 형성된 레일홈에 끼워맞춤되는 기밀부재로서, 고정플레이트(251)의 하부에 결합되는 경질의 제2 심재(257a)와, 이 제2 심재(257a)의 외곽둘레에 결합되어 레일홈에 접촉되며 제2 심재(257a) 보다 연질로 이루어진 연질의 제2 기밀재(257b)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제1 기밀재(256b)와 제2 기밀재(257b)는, 제1 심재(256a) 및 제2 심재(257a) 보다 연질로 이루어진 모헤어 또는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재질의 개스킷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충창(300)은, 창짝(200)의 실외측에 방충망이 슬라이딩하도록 설치되는 창호로서, 방충망 프레임(310), 방충망(320), 제1 모헤어홈(331) 및 제2 모헤어홈으로 이루어져 있다.
방충망 프레임(310)은, 방충창(300)의 외곽둘레를 지지하도록 하부에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며 상부에 망체홈이 형성된 PVC 등과 같은 합성수지재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다.
방충망(320)은, 방충망 프레임(31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망부재로서, 창짝의 개방시 파리나 모기 등과 같은 벌레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메쉬망체로 이루어져 망체홈에 삽입되어 끼워맞춤에 의해 고정결합된다.
제1 모헤어홈(331)은, 방충망 프레임(310)의 호차홈의 외부의 일방 측벽에 함몰 형성된 모헤어홈으로서, 방충망 프레임(310)과 창짝프레임 사이에 모헤어를 설치하여 방음, 방진 및 방풍하게 된다.
제2 모헤어홈은, 방충망 프레임(310)의 호차홈의 내부의 양방 측벽에 형성된 모헤어홈으로서, 방충망 프레임(310)과 제1 망체 레일(131) 사이에 모헤어를 설치하여 방음, 방진 및 방풍하게 된다.
미세먼지창(400)은, 방충창(300)의 실외측에 미세먼지필터가 방충창(300)과 수평으로 교차해서 슬라이딩하도록 설치되는 창호로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지필터 프레임(410), 미세먼지필터(420), 제3 모헤어홈(431) 및 제4 모헤어홈(432)로 이루어져 있다.
먼지필터 프레임(410)은, 외곽둘레를 지지하도록 하부에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며 상부에 필터홈이 형성된 PVC 등과 같은 합성수지재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다.
미세먼지필터(420)는, 먼지필터 프레임(41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필터부재로서, 창짝의 개방시 황사, 매연 등과 같은 미세먼지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필터부재로 이루어져 필터홈에 삽입되어 끼워맞춤에 의해 고정결합된다.
제3 모헤어홈(431)은, 먼지필터 프레임(410)의 호차홈의 외부의 일방 측벽에 함몰 형성된 모헤어홈으로서, 먼지필터 프레임(410)과 방충망 프레임(310) 사이에 모헤어를 설치하여 방음, 방진 및 방풍하게 된다.
제4 모헤어홈(432)은, 먼지필터 프레임(410)의 호차홈의 내부의 양방 측벽에 형성된 모헤어홈으로서, 먼지필터 프레임(410)과 제2 망체 레일(132) 사이에 모헤어를 설치하여 방음, 방진 및 방풍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합 미서기 창호는, 창짝의 개방시 방충창(300)과 미세먼지창(400)을 개별적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개별적으로 사용하거나 함께 슬라이딩 이동시켜 함께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창틀과 창짝 사이의 공간에 풍지판을 설치하며 고정플레이트 및 기밀편을 구비함으로써, 레일의 양방 측면에 형성된 레일홈에 기밀편을 밀착시켜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창호의 이탈을 방지하고 레일홈에 이물질의 유입이나 손가락의 끼임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기밀재가 모헤어 또는 EPDM 재질의 개스킷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창짝의 슬라이딩시 마찰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합성수지재의 창짝프레임과 금속재의 창짝프레임 사이의 결합에 형성된 오사이홈에 금속재의 오사이가 끼워맞춤됨으로써, 창짝프레임과 오사이 사이의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복합재료를 사용하여 창짝의 단열성는 및 지지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창틀프레임의 실외측에 형성된 끼움돌기에 방충창의 제1 망체 레일과 미세먼지창의 제2 망체 레일과 창짝의 창짝 레일을 일체로 형성하여 끼워맞춤하여 방충창과 미세먼지창을 창틀에 설치함으로써, 대기오염시에도 창호를 개방하여 환기를 하는 동시에 외부의 미세먼지 등과 같은 오염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0: 창틀 200: 창짝
300: 방충창 400: 미세먼지창

Claims (5)

  1. 창틀과 창짝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창짝의 중첩부위에 설치되는 풍지판을 구비한 복합 미서기 창호로서,
    창짝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레일이 창틀프레임에 입설된 창틀(100);
    합성수지재의 창짝프레임과 금속재의 창짝프레임을 서로 결합하여 구비한 창짝(200);
    상기 창짝(200)의 중첩부위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창틀(100)과 상기 창짝(200)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는 풍지판(250);
    상기 창짝(200)의 실외측에 방충망이 슬라이딩하도록 설치되는 방충창(300); 및
    상기 방충창(300)의 실외측에 미세먼지필터가 상기 방충창(300)과 수평으로 교차해서 슬라이딩하도록 설치되는 미세먼지창(400);을 포함하고,
    상기 풍지판(250)은, 상기 창짝의 중첩부위의 측면 하단에 설치된 고정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를 창짝에 고정시키는 고정편;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레일의 일방 측면에 형성된 레일홈에 끼워맞춤되는 제1 기밀편;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레일의 타방 측면에 형성된 레일홈에 끼워맞춤되는 제2 기밀편;을 포함하고,
    상기 창틀(100)은, 상기 방충창(300)을 슬라이딩하도록 지지하는 제1 망체 레일 및 상기 미세먼지창(400)을 슬라이딩하도록 지지하는 제2 망체 레일 중 적어도 하나의 망체 레일과, 상기 창짝을 슬라이딩하도록 지지하는 창짝 레일이, 일체로 형성되되 창틀프레임의 실외측에 형성된 끼움돌기에 끼워맞춤되어 있고,
    상기 창짝(200)은, 상기 합성수지재의 창짝프레임과 금속재의 창짝프레임 사이의 결합에 형성된 오사이홈에 금속재의 오사이가 끼워맞춤되며, 상기 오사이의 일단은 합성수지재의 창짝프레임에 지지되도록 끼워맞춤 결합되어 있고, 상기 오사이의 타단은 금속재의 창짝프레임에 지지되도록 끼워맞춤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 망체 레일과 상기 제2 망체 레일과 상기 창짝 레일은, 금속재로 이루어지되 일체로 형성된 망틀프레임을 이루게 되며, 상기 창틀프레임의 실외측에 돌출된 끼움돌기의 양쪽에 형성된 제1 걸림홈 및 제2 걸림홈과 상기 창틀프레임의 실외측 하단 일방에 형성된 제3 걸림홈에 제1 내지 제3 걸림편을 개재해서 걸어맞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지판을 구비한 복합 미서기 창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밀편 및 상기 제2 기밀편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는 경질의 심재; 및
    상기 심재의 외곽둘레에 결합되어 상기 레일홈에 접촉되며, 상기 심재 보다 연질로 이루어진 연질의 기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지판을 구비한 복합 미서기 창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재는, 모헤어 또는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재질의 개스킷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지판을 구비한 복합 미서기 창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하부 일방에는 상기 제1 기밀편을 끼워맞춤에 의해 결합하는 제1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하부 타방에는 상기 제2 기밀편을 끼워맞춤에 의해 결합하는 제2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하부 중앙부위에는, 상기 레일과 상기 고정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을 승강이동에 의해 차단하는 승강편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지판을 구비한 복합 미서기 창호.
  5. 삭제
KR1020170127238A 2017-09-29 2017-09-29 풍지판을 구비한 복합 미서기 창호 KR101888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238A KR101888076B1 (ko) 2017-09-29 2017-09-29 풍지판을 구비한 복합 미서기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238A KR101888076B1 (ko) 2017-09-29 2017-09-29 풍지판을 구비한 복합 미서기 창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8076B1 true KR101888076B1 (ko) 2018-08-13

Family

ID=63250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7238A KR101888076B1 (ko) 2017-09-29 2017-09-29 풍지판을 구비한 복합 미서기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8076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5159A (ko) * 1999-12-09 2001-07-04 김종생 형틀
JP2004324241A (ja) * 2003-04-25 2004-11-18 Takashi Yamagaito フィルター素材として不織布を結合したフィルター付の網。
KR101302093B1 (ko) * 2013-02-25 2013-08-30 김순석 이형프레임 구조를 갖는 복합창호장치
KR101401509B1 (ko) * 2012-02-23 2014-06-03 전영웅 창호용 방풍 시스템
KR101462001B1 (ko) 2014-07-23 2014-11-21 주식회사 피엔에스알미늄 착탈식 단열패널을 구비한 복합창호
KR101510594B1 (ko) * 2014-05-09 2015-04-08 합자회사 한양창호 기밀성이 뛰어나고 창문 시공이 용이한 친환경 풍지판, 이와 결합된 창문 및 이를 포함하는 창문 시스템
KR20160120633A (ko) * 2015-04-08 2016-10-18 이규환 창호 시스템
KR20170000381U (ko) 2015-12-11 2017-01-25 주식회사 인아웃텍 합성수지와 금속재질을 이용한 복합창호
KR20170049063A (ko) 2015-10-28 2017-05-10 (주)엘지하우시스 복합 소재 창호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5159A (ko) * 1999-12-09 2001-07-04 김종생 형틀
JP2004324241A (ja) * 2003-04-25 2004-11-18 Takashi Yamagaito フィルター素材として不織布を結合したフィルター付の網。
KR101401509B1 (ko) * 2012-02-23 2014-06-03 전영웅 창호용 방풍 시스템
KR101302093B1 (ko) * 2013-02-25 2013-08-30 김순석 이형프레임 구조를 갖는 복합창호장치
KR101510594B1 (ko) * 2014-05-09 2015-04-08 합자회사 한양창호 기밀성이 뛰어나고 창문 시공이 용이한 친환경 풍지판, 이와 결합된 창문 및 이를 포함하는 창문 시스템
KR101462001B1 (ko) 2014-07-23 2014-11-21 주식회사 피엔에스알미늄 착탈식 단열패널을 구비한 복합창호
KR20160120633A (ko) * 2015-04-08 2016-10-18 이규환 창호 시스템
KR20170049063A (ko) 2015-10-28 2017-05-10 (주)엘지하우시스 복합 소재 창호
KR20170000381U (ko) 2015-12-11 2017-01-25 주식회사 인아웃텍 합성수지와 금속재질을 이용한 복합창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7256B1 (ko) 방충 및 미세먼지 차단용 복합 미서기 창호
KR101877471B1 (ko) 복합 미서기 창호
KR101789292B1 (ko) 창호의 복합 단열 창틀
KR20110133779A (ko) 기밀성이 향상된 슬라이드 창호
KR101225671B1 (ko) 창호 시스템
KR102242701B1 (ko) 창호의 기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창호
KR20180015197A (ko) 창문 개폐 정도에 따라 기밀성이 조절되는 창호 구조체
KR102259031B1 (ko) 기밀 방화 자동문의 밀폐구조
US20210324675A1 (en) Inner frame for door or window, skylight compri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888076B1 (ko) 풍지판을 구비한 복합 미서기 창호
KR101400318B1 (ko) 창호 시스템
KR101336583B1 (ko) 창문의 고기밀 구조
KR20210081812A (ko) 단열 및 밀폐구조를 갖는 창호
KR101569750B1 (ko) 리프트 슬라이딩 밀착식 창호
KR101583722B1 (ko) 다중 레일 고기밀성 창호
KR101891416B1 (ko) 기밀성이 향상된 슬라이딩 창호
KR102508340B1 (ko) 방풍 장치 내장형 미서기 창호
KR101484665B1 (ko) 슬라이딩 창호의 기밀유지 부재
KR102654728B1 (ko) 창호의 기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창호
KR101467235B1 (ko) 경사레일을 가진 창문구조
KR200490375Y1 (ko) 방풍재
KR20210123200A (ko) 창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시스템
KR101553675B1 (ko) 기밀성과 단열성을 갖는 단창
KR102161415B1 (ko) 슬라이딩 창호용 풍지판
US20130139444A1 (en) Relation to double hung window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