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8045B1 -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네트워크장치 - Google Patents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네트워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8045B1
KR101888045B1 KR1020170110050A KR20170110050A KR101888045B1 KR 101888045 B1 KR101888045 B1 KR 101888045B1 KR 1020170110050 A KR1020170110050 A KR 1020170110050A KR 20170110050 A KR20170110050 A KR 20170110050A KR 101888045 B1 KR101888045 B1 KR 101888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terminal
signal quality
value
down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0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0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8045B1/ko
Priority to CN201880003823.6A priority patent/CN109792628B/zh
Priority to PCT/KR2018/009856 priority patent/WO201904538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8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8045B1/ko
Priority to US16/428,774 priority patent/US1092498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36Signal-to-interference ratio [SIR] or carrier-to-interference ratio [CI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82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for resource allocation, admission control or hando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에 대한 다운링크 기지국 선택 시, 기지국 간 설계된 다운링크 신호 송신세기의 차이가 고려될 수 있는 개선된 다운링크 기지국 선택 방식을 실현함으로써, 다운링크패킷의 수신 성공률을 높이고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네트워크장치{BASE ST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NETWORLK DEVICE}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IoT) 기술과 관련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물인터넷단말에 대한 다운링크 기지국 선택 방식을 개선하여 다운링크패킷의 수신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헬스케어, 원격검침, 스마트홈, 스마트카, 스마트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생활 속의 사물을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하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술이 등장하여 주목 받고 있다.
이러한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기반으로 사물인터넷(IoT)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IoT 네트워크 구조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IoT 네트워크는,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사물인터넷단말(IoT 단말)과, 원격지의 IoT 단말의 데이터를 확인하고 IoT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사물인터넷용 어플리케이션(이하 IoT앱이라 함)이 설치된 고객단말과, IoT 단말 및 고객단말(IoT앱) 간을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해 주는 네트워크장치(또는, IoT앱 서버), 사물인터넷단말 및 네트워크장치 사이에서 패킷 송수신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예: IoT 기지국)로 구성된다.
이러한 IoT 네트워크 구조에서 제공되는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의 품질은, IoT 단말/IoT 기지국/네트워크장치 3개의 노드 간에 송수신되는 업링크패킷/다운링크패킷 수신 성공률에 따른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IoT 단말이 업링크패킷을 네트워크장치로 전송하는 업링크의 경우, IoT 단말이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으로 업링크패킷을 송신하고 이를 2 이상의 IoT 기지국이 수신하여 네트워크장치로 송신하기 때문에, 업링크패킷의 수신 성공률은 우수하다고 볼 수 있다.
반면, 네트워크장치가 다운링크패킷을 IoT 단말로 전송하는 다운링크의 경우, 네트워크장치가 IoT 단말에 대하여 기 선택한 하나의 다운링크 기지국으로 다운링크패킷을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 다운링크 기지국이 IoT 단말로 송신하기 때문에, 다운링크패킷의 수신 성공률은 어떤 다운링크 기지국을 선택하였는지에 따른 영향을 받는다고 볼 수 있다.
네트워크장치가 IoT 단말에 대한 다운링크 기지국을 선택하는 기존의 방식은, IoT 단말의 업링크패킷을 수신하여 네트워크장치로 송신하는 2 이상의 IoT 기지국 중, IoT 단말에 대해 측정한 업링크 신호품질값이 가장 우수한 IoT 기지국을 다운링크 기지국으로 선택하는 방식이다.
즉, 기존의 방식은, IoT 기지국이 IoT 단말의 업링크 신호에 대하여 측정한 업링크 신호품질값에만 의존하여 IoT 단말에 대한 다운링크 기지국을 선택하는 방식이다.
한편, 건물이나 지하철 등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 기지국의 경우, 실외 기지국 대비 다운링크 신호 송신세기(송신출력)을 작게 설계하고 있다.
이에, 기존의 방식에 따라 선택한 다운링크 기지국이 실내 기지국인 경우, 다른 기지국 예컨대 업링크 신호품질값은 다소 나쁘더라도 다운링크 신호 송신세기가 더 큰 실외 기지국을 선택하는 경우 대비, 오히려 다운링크패킷의 수신 성공률이 떨어지는 문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사물인터넷(IoT) 기술에서는, 기지국 간 설계된 다운링크 신호 송신세기의 차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전술의 문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기지국 간 설계된 다운링크 신호 송신세기의 차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전술의 문제 상황을 회피할 수 있는, 개선된 다운링크 기지국 선택 방식을 제안하여, 다운링크패킷의 수신 성공률을 높이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기지국 간 설계된 다운링크 신호 송신세기의 차이가 고려될 수 있는 개선된 다운링크 기지국 선택 방식을 실현함으로써, 다운링크패킷의 수신 성공률을 높이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단말 및 네트워크장치 간의 패킷을 송수신하는 기지국장치는,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업링크 신호에 대한 신호품질을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된 업링크 신호품질값에 상기 기지국장치의 다운링크 신호 송신세기와 관련된 특정 값을 반영한 기지국신호품질값을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네트워크장치로 송신하는 업링크패킷에 상기 기지국신호품질값을 포함시켜, 상기 네트워크장치에서 상기 기지국신호품질값을 기초로 상기 단말에 대한 다운링크 기지국을 선택할 수 있게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성부는, 상기 업링크 신호품질값에서 상기 특정 값을 뺀 값으로, 상기 기지국신호품질값을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 값은, 상기 기지국장치 보다 큰 다운링크 신호 송신세기를 갖는 특정 타 기지국 대비, 상기 특정 타 기지국에 정의된 특정 값 보다 큰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 값은, 상기 기지국장치가 실외 기지국 대비 다운링크 신호 송신세기가 작게 설계된 실내 기지국인 경우, 기 설정된 고정 값을 갖도록 정의되고, 상기 기지국장치가 실외 기지국인 경우, 0 값을 갖도록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단말 및 네트워크장치 간의 패킷을 송수신하는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업링크 신호에 대한 신호품질을 측정하는 측정단계; 상기 측정된 업링크 신호품질값에 상기 기지국장치의 다운링크 신호 송신세기와 관련된 특정 값을 반영한 기지국신호품질값을 생성하는 생성단계; 및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네트워크장치로 송신하는 업링크패킷에 상기 기지국신호품질값을 포함시켜, 상기 네트워크장치에서 상기 기지국신호품질값을 기초로 상기 단말에 대한 다운링크 기지국을 선택할 수 있게 패킷송신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성단계는, 상기 업링크 신호품질값에서 상기 특정 값을 뺀 값으로, 상기 기지국신호품질값을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 값은, 상기 기지국장치 보다 큰 다운링크 신호 송신세기를 갖는 특정 타 기지국 대비, 상기 특정 타 기지국에 정의된 특정 값 보다 큰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 값은, 상기 기지국장치가 실외 기지국 대비 다운링크 신호 송신세기가 작게 설계된 실내 기지국인 경우, 기 설정된 고정 값을 갖도록 정의되고, 상기 기지국장치가 실외 기지국인 경우, 0 값을 갖도록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네트워크장치는, 동일 단말이 송신한 업링크패킷을 2 이상의 기지국을 통해 수신하는 패킷수신부; 상기 2 이상의 기지국 각각을 통해 수신되는 2 이상의 업링크패킷에서, 상기 2 이상의 기지국 별로 상기 단말과의 채널상태를 확인하는 확인부; 및 상기 2 이상의 기지국 중 상기 단말과의 채널상태가 가장 우수한 기지국을, 상기 단말에 대한 다운링크 기지국으로 선택하는 기지국선택부를 포함하고; 상기 2 이상의 기지국 중 제1기지국의 다운링크 신호 송신세기 보다 작은 다운링크 신호 송신세기를 갖는 제2기지국에 대하여 확인되는 채널상태는, 상기 제2기지국에서 측정한 상기 단말의 업링크 신호품질값에 특정 값을 반영하여 생성한 기지국신호품질값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기지국에 대하여 확인되는 채널상태는, 상기 제2기지국에서 측정한 상기 단말의 업링크 신호품질값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 값은, 제1기지국 및 제2기지국 간에 다운링크 신호 송신세기의 차이가 클수록, 큰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지국선택부는, 상기 단말과의 채널상태가 가장 우수한 기지국이 다수 개인 경우, 다수 개의 기지국 중 가장 먼저 채널상태가 확인된 기지국을 상기 단말에 대한 다운링크 기지국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네트워크장치에 따르면, 개선된 다운링크 기지국 선택 방식을 제안하여 다운링크패킷의 수신 성공률을 높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사물인터넷(IoT) 네트워크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다운링크 기지국이 선택되는 상황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네트워크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사물인터넷(IoT) 네트워크 구조는,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사물인터넷단말(IoT 단말, 예: 단말1,2,3,...X), 원격지의 사물인터넷단말의 데이터를 확인하고 사물인터넷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IoT앱이 설치된 고객단말(미도시)과, 사물인터넷단말 및 고객단말(IoT앱) 간을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해 주는 네트워크장치(200), 사물인터넷단말 및 네트워크장치 사이에서 패킷 송수신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IoT 기지국, 예: 기지국1,2,...L)로 구성된다.
이러한 사물인터넷(IoT) 기술에서 IoT 단말은, 기 정의된 업링크 주기 마다, 패킷 송수신을 위해 사용하는 다수의 채널 중 랜덤하게 선택한 임의의 채널을 통해 데이터(업링크패킷)를 전송(송신)하는, 비교적 단순한 업링크패킷 송신 방식으로 동작한다.
반면, IoT 단말은, 다운링크패킷 수신 방식에 따라 몇 가지 타입으로 구분되는데, 이러한 타입 중 저 전력 지원을 위해 데이터 전송(업링크패킷 송신) 후 데이터(업링크패킷)에 대한 응답(다운링크패킷)을 특정 횟수로 제한된 일정 시간 단위의 다운링크 시간구간에서만 수신 가능한 타입(이하, 수신 제한 타입)이 있다.
예를 들어, 일정 시간을 1초, 특정 횟수를 2회로, 시간구간 사이의 시간 간격을 1초로 가정하면, 수신 제한 타입으로 동작하는 IoT 단말은, 기 정의된 업링크 송신주기가 도래하면 데이터(업링크패킷)을 전송(송신)하고, 업링크패킷 송신 완료 시점을 기준으로 1초 이후의 첫번째 다운링크 시간구간(DL1)에서 다운링크패킷 수신이 가능하고, 다운링크 미 수신 시 DL1이 종료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1초 이후 즉 업링크패킷 송신 완료 시점을 기준으로 3초 이후의 두번째 다운링크 시간구간(DL2)에서 다운링크패킷 수신이 가능하다.
이러한 IoT 단말은, 업링크패킷 송신 후 DL1 또는 DL2에서 다운링크패킷 수신이 성공하면, 다음 업링크 송신주기가 도래하여 다음 데이터(업링크패킷)을 전송(송신)할 때까지 Sleep상태로 대기하며, DL1 및 DL2 모두에서 다운링크패킷 수신이 실패하면 금번 업링크 송신주기가 경과하기 전에 정해진 규칙에 따른 업링크패킷(데이터) 재전송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전술한 수신 제한 타입은, 사물인터넷(IoT) 기술 중에서도 광역 커버리지를 대상으로 하여 저속 전송(<1kbps) 및 저 전력을 지원하는 소량 데이터 전송에 특화된 IoT 기술(LoRa: Long Range)에서 사용되는 IoT 단말이 주로 채택/동작한다.
이러한 사물인터넷(IoT) 네트워크 구조에서, IoT 단말이 업링크패킷을 네트워크장치로 전송하는 업링크의 경우, IoT 단말이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으로 업링크패킷을 송신하고 이를 2 이상의 IoT 기지국이 수신하여 네트워크장치로 송신하기 때문에, 업링크패킷의 수신 성공률은 우수하다고 볼 수 있다.
반면, 네트워크장치가 다운링크패킷을 IoT 단말로 전송하는 다운링크의 경우는, 2 이상의 IoT 기지국을 통해 다중 전송되는 업링크와는 달리, 하나의 IoT 기지국을 통해서만 전송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장치가 IoT 단말에 대하여 하나의 다운링크 기지국을 기 선택하고, 선택한 다운링크 기지국으로 IoT 단말에 대한 다운링크패킷을 송신하면 다운링크 기지국이 이를 수신하여 IoT 단말로 송신한다.
이 때문에, 다운링크패킷의 수신 성공률은 네트워크장치가 IoT 단말에 대하여 어떤 다운링크 기지국을 선택하는지에 따른 영향을 받는다고 볼 수 있다.
네트워크장치가 IoT 단말에 대한 다운링크 기지국을 선택하는 기존의 방식은, IoT 단말의 업링크패킷을 수신하여 네트워크장치로 송신하는 2 이상의 IoT 기지국 중, IoT 단말에 대해 측정한 업링크 신호품질값이 가장 우수한 IoT 기지국을 다운링크 기지국으로 선택하는 방식이다.
즉, 도 1에서 단말2의 업링크패킷이 기지국1,2를 통해서 네트워크장치(200)로 송신되었다고 가정하면, 기존의 방식은, 네트워크장치(200)가 기지국1,2 중 단말2에 대하여 측정한 업링크 신호품질값(UL SNR, Uplink Signal to Noise Ratio)이 가장 우수한 기지국 하나를, 다운링크 기지국으로 선택하는 것이다.
즉, 기존의 방식은, IoT 기지국이 IoT 단말의 업링크 신호(업링크패킷)에 대하여 측정한 업링크 신호품질값(UL SNR)에만 의존하여 IoT 단말에 대한 다운링크 기지국을 선택하는 방식이다.
한편, 건물이나 지하철 등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 기지국의 경우, 실외 기지국 대비 다운링크 신호 송신세기(송신출력)을 작게 설계하고 있다.
이에, 기존의 방식에 따라 선택한 다운링크 기지국이 실내 기지국인 경우, 다른 기지국 예컨대 업링크 신호품질값(UL SNR)은 다운링크 기지국 보다 다소 나쁘더라도 다운링크 신호 송신세기가 다운링크 기지국 보다 더 큰 실외 기지국을 선택하는 경우 대비, 오히려 다운링크패킷의 수신 성공률이 떨어지는 문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사물인터넷(IoT) 기술에서는, 기지국 간 설계된 다운링크 신호 송신세기의 차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전술의 문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기지국 간 설계된 다운링크 신호 송신세기의 차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전술의 문제 상황을 회피할 수 있는, 개선된 다운링크 기지국 선택 방식을 제안하여, 다운링크패킷의 수신 성공률을 높이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개선된 다운링크 기지국 선택 방안(방식)을 실현하는, 기지국장치 및 네트워크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는, 전술의 도 1에 도시된 게이트웨이로서의 기지국1,2,...L 중 하나일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상 기지국1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아울러,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사물인터넷단말로서의 단말1,2,...X 및 네트워크장치(200)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IoT 네트워크에서 IoT 단말 및 네트워크장치(200) 간의 패킷을 송수신하는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한다.
즉, 기지국장치(100)는, 기지국장치(100)의 커버리지 내에 있는 단말(예: 단말2)이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으로 송신하는 업링크패킷을 수신하여, 네트워크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
아울러, 기지국장치(100)는, 네트워크장치(200)로 수신되는 단말의 다운링크패킷을, 해당 단말(예: 단말2)로 송신한다.
이에, 기지국장치(100)는, 사물인터넷단말로서의 단말(예: 단말2) 및 네트워크장치(200) 간 패킷을 송수신하는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처럼 IoT 네트워크에서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하는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개선된 다운링크 기지국 선택 방식을 실현하기 위해, 측정부(110), 생성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측정부(110)는, IoT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업링크 신호에 대한 신호품질을 측정한다.
즉, 전술과 같이 단말2를 언급하여 설명하면, 측정부(110)는, 단말(예: 단말2)이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송신하는 업링크패킷을 수신하는 과정에서, 업링크 신호(업링크패킷)에 대한 신호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또는, 측정부(110)는, 단말2로부터 신호품질 측정을 위해 별도로 송신되는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여, 이 업링크 신호에 대한 신호품질을 측정할 수도 있다.
생성부(120)는, 측정된 업링크 신호품질값(UL SNR)에 기지국장치(100)의 다운링크 신호 송신세기와 관련된 특정 값을 반영한 기지국신호품질값을 생성한다.
여기서, 특정 값은, IoT 네트워크에 공존하는 IoT 기지국 간 다운링크 신호 송신세기를 기준으로, 다운링크 신호 송신세기가 큰 IoT 기지국 측의 업링크 신호품질값(UL SNR) 대비 다운링크 신호 송신세기가 작은 IoT 기지국 측의 업링크 신호품질값(UL SNR)을 낮춤으로써, IoT 기지국 간 업링크 신호품질값(UL SNR)을 상호 보상하기 위한 인자로 이해할 수 있다.
구체적이 실시예를 설명하면, 생성부(120)는,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업링크 신호품질값(UL SNR)에서 특정 값을 뺀 값으로, 기지국신호품질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기지국신호품질값을 DL SNR(Downlink Signal to Noise Ratio)이라 명칭하겠다.
즉, 생성부(120)는,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업링크 신호품질값(UL SNR)에서 특정 값을 뺀 결과 값을, 기지국신호품질값(DL SNR)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 경우, 특정 값은, 기지국장치(100) 보다 큰 다운링크 신호 송신세기를 갖는 특정 타 기지국 대비, 해당 특정 타 기지국에 정의된 특정 값 보다 큰 값으로 정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가 실외 기지국 보다 다운링크 신호 송신세기(송신출력)이 작게 설계된 실내 기지국인 경우, 전술의 특정 타 기지국은 실외 기지국에 해당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 특히 생성부(120)에서, 기지국신호품질값(DL SNR)을 생성(계산)하는 과정을 설명하겠다.
제1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는, 실내 기지국일 수도 있고 실외 기지국일 수도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가 실내 기지국인 경우, 특정 값은, 기 설정된 고정 값(N)을 갖도록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장치(100, 실내 기지국)의 생성부(120)는,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업링크 신호품질값(UL SNR)에서 특정 값(N)을 뺀 결과 값을, 기지국신호품질값(DL SNR)으로서 생성할 수 있다.
물론, 특정 값으로 정의하는 고정 값(N)은, 실외/실내 기지국 간 설계된 다운링크 신호 송신세기의 차이에 근거한 실험 또는 시뮬레이션 등의 사전 작업을 통해, 도출해 낸 가장 바람직한 수치일 것이다.
따라서, 실외/실내 기지국 간 설계된 다운링크 신호 송신세기의 차이값에 따라서, 특정 값(N) 역시 바뀔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가 실외 기지국인 경우, 특정 값은, 0 값을 갖도록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장치(100, 실외 기지국)의 생성부(120)는,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업링크 신호품질값(UL SNR)에서 특정 값(0)을 뺀 결과 값을 기지국신호품질값(DL SNR)으로서 생성할 것이므로, 이때 기지국신호품질값(DL SNR)은 업링크 신호품질값(UL SNR)과 동일할 것이다.
전술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단말2로부터 수신하여 네트워크장치(200)로 송신하는 업링크패킷에 기지국신호품질값(DL SNR)을 포함시켜, 네트워크장치(200)에서 기지국신호품질값(DL SNR)을 기초로 단말2에 대한 다운링크 기지국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30)는, 단말2로부터 수신한 업링크패킷에 단말2에 대해 측정한 업링크 신호품질값(UL SNR)을 포함시켜 네트워크장치(200)로 송신하는 기존 방식 대신, 단말2에 대해 생성한 기지국신호품질값(DL SNR)을 포함시켜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단말2로부터 수신한 업링크패킷에 단말2에 대해 측정한 업링크 신호품질값(UL SNR)을 포함시키는 기존 방식에 더하여, 단말2에 대해 생성한 기지국신호품질값(DL SNR)을 더 포함시켜 송신할 수도 있다.
이에, 전술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단말2의 업링크패킷을 네트워크장치(200)로 송신하는 기지국들은, 실외 기지국이든 실내 기지국이든 단말2에 대한 기지국신호품질값(DL SNR)을 네트워크장치(200)에 보고하기 때문에, 네트워크장치(200)는, 단말2의 업링크패킷을 수신하여 네트워크장치(200)로 송신하는 기지국들(실외 또는 실내 기지국) 중, 기지국신호품질값(DL SNR)이 가장 우수한 기지국을 단말2에 대한 다운링크 기지국으로 선택할 것이다.
한편, 제2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는, 실내 기지국에만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장치(100, 실내 기지국)의 생성부(120)는,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업링크 신호품질값(UL SNR)에서 특정 값(N)을 뺀 결과 값을, 기지국신호품질값(DL SNR)으로서 생성할 수 있다.
전술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단말2로부터 수신하여 네트워크장치(200)로 송신하는 업링크패킷에 기지국신호품질값(DL SNR)을 포함시킨다.
예를 들면, 제어부(130)는, 단말2로부터 수신한 업링크패킷에 단말2에 대해 측정한 업링크 신호품질값(UL SNR)을 포함시켜 네트워크장치(200)로 송신하는 기존 방식 대신, 단말2에 대해 생성한 기지국신호품질값(DL SNR)을 포함시켜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단말2로부터 수신한 업링크패킷에 단말2에 대해 측정한 업링크 신호품질값(UL SNR)을 포함시키는 기존 방식에 더하여, 단말2에 대해 생성한 기지국신호품질값(DL SNR)을 더 포함시켜 송신할 수도 있다.
한편, 전술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과 무관한 실외 기지국은, 기존과 같이, 단말2로부터 수신한 업링크패킷에 단말2에 대해 측정한 업링크 신호품질값(UL SNR)을 포함시켜 네트워크장치(200)로 송신할 것이다.
이에, 전술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장치(200)는, 단말2의 업링크패킷을 수신하여 네트워크장치(200)로 송신하는 기지국들(실외 또는 실내 기지국) 중, 기지국신호품질값(DL SNR)를 송신한 않은 기지국(실외)에 대해서는 기존처럼 업링크 신호품질값(UL SNR)를 기준으로 하고 기지국신호품질값(DL SNR)를 송신한 기지국(실내)에 대해서는 기지국신호품질값(DL SNR)을 기준으로 하여, 업링크 신호품질값(UL SNR) 또는 기지국신호품질값(DL SNR)이 가장 우수한 기지국을 단말2에 대한 다운링크 기지국으로 선택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지국 설계 상 다운링크 신호 송신세기가 실외 기지국 대비 실내 기지국이 작은 점을 고려하여, 기지국이 측정하여 네트워크장치로 보고하는 단말과의 채널상태 즉 SNR 값을, 실외 기지국 대비 실내 기지국이 의도적으로 작게 보고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네트워크장치(200)에서 단말2에 대한 다운링크 기지국 선택 시, 실외 기지국으로부터 보고된 단말2의 SNR 값(DL SNR=UL SNR-0, 또는 UL SNR)과 실내 기지국으로부터 실외 기지국 대비 의도적으로 작게 보고된 단말2의 SNR 값(DL SNR=UL SNR-N)을 근거로, SNR 값 즉 채널상태가 가장 우수한 기지국을 단말2에 대한 다운링크 기지국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다운링크 기지국 선택 방식에 따를 경우 기지국 간 설계된 다운링크 신호 송신세기의 차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다운링크패킷 수신 성공률 저하 상황을 자연스럽게 회피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네트워크장치(200)는, 동일 단말이 송신한 업링크패킷을 2 이상의 기지국을 통해 수신하는 패킷수신부(210)와, 상기 2 이상의 기지국 각각을 통해 수신되는 2 이상의 업링크패킷에서, 상기 2 이상의 기지국 별로 상기 단말과의 채널상태를 확인하는 확인부(220)와, 상기 2 이상의 기지국 중 상기 단말과의 채널상태가 가장 우수한 기지국을, 상기 단말에 대한 다운링크 기지국으로 선택하는 기지국선택부(230)을 포함한다.
이때, 확인부(220)에서, 제1기지국의 다운링크 신호 송신세기 보다 작은 다운링크 신호 송신세기를 갖는 제2기지국에 대하여 확인되는 채널상태는, 상기 제2기지국에서 측정한 상기 단말의 업링크 신호품질값에 특정 값을 반영하여 생성한 기지국신호품질값(DL SNR)이다.
여기서, 제1기지국 및 제2기지국은, 다운링크 신호 송신세기(송신출력)이 설계 상 일정값 이상의 차이를 갖는 서로 다른 타입의 기지국으로서, 대표적인 예를 들면 제1기지국은 실외 기지국, 제2기지국은 실내 기지국일 수 있다.
이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제1기지국을 실외 기지국으로 지칭하고, 제2기지국을 실내 기지국으로 지칭하여 설명하겠다.
즉, 확인부(220)에서 제2기지국 다시 말해 실내 기지국에 대하여 확인되는 채널상태(SNR 값)는, 실내 기지국에서 측정한 단말의 업링크 신호품질값(UL SNR)에 특정 값(N)을 반영하여 생성한 기지국신호품질값(DL SNR=UL SNR-N)일 것이다.
네트워크장치(200)의 각 기능부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패킷수신부(210)는, 동일 단말이 송신한 업링크패킷을 2 이상의 기지국을 통해 수신한다.
예를 들어, 단말2를 언급하여 설명하면, 패킷수신부(210)는, 동일 단말2가 송신한 동일한 업링크패킷을, 2 이상의 기지국 예컨대 기지국1,2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확인부(220)는, 2 이상의 기지국 각각을 통해 수신되는 2 이상의 업링크패킷 즉 기지국1을 통해 수신되는 단말2의 업링크패킷과 기지국2를 통해 수신되는 단말2의 업링크패킷에서, 기지국1,2 별로 단말2와의 채널상태(SNR 값)를 확인한다.
이때, 확인부(220)에서 제1기지국 다시 말해 실외 기지국에 대하여 확인되는 채널상태(SNR 값)는, 실외 기지국에서 측정한 단말의 업링크 신호품질값(UL SNR)일 것이다.
아울러, 확인부(220)에서 제2기지국 다시 말해 실내 기지국에 대하여 확인되는 채널상태(SNR 값)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신호품질값(DL SNR=UL SNR-N)일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말2의 업링크패킷을 송신하는 기지국1,2를 언급하되, 기지국1은 실외 기지국인 것으로 가정하고 기지국2는 실내 기지국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이 경우, 전술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실외 기지국인 기지국1은 단말2의 SNR 값으로서 기지국신호품질값(DL SNR=UL SNR-0)을 보고하고, 실내 기지국인 기지국2는 단말2의 SNR 값으로서 기지국신호품질값(DL SNR=UL SNR-N)을 보고할 것이다.
이에, 확인부(220)는, 기지국1을 통해 수신되는 단말2의 업링크패킷에서 기지국1이 보고하는 채널상태(SNR 값)으로서 기지국신호품질값(DL SNR=UL SNR-0)을 확인하고, 기지국2를 통해 수신되는 단말2의 업링크패킷에서 기지국2가 보고하는 채널상태(SNR 값)으로서 기지국신호품질값(DL SNR=UL SNR-N)을 확인한다.
이때, 실외 기지국인 기지국1에 대하여 확인되는 기지국신호품질값(DL SNR=UL SNR-0)의 경우, 실제로는 기지국1에서 측정한 단말의 업링크 신호품질값(UL SNR)과 동일하다.
이에, 확인부(220)는, 기지국1,2 별로 실외 기지국인 기지국1에 대해서 단말2와의 채널상태(SNR 값)로서 단말2의 업링크 신호품질값(UL SNR)을 확인하고, 실내 기지국인 기지국2에 대해서 단말2와의 채널상태(SNR 값)로서 단말2의 기지국신호품질값(DL SNR)을 확인하게 된다.
한편, 전술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실외 기지국인 기지국1은 단말2의 SNR 값으로서 업링크 신호품질값(UL SNR)을 보고하고, 실내 기지국인 기지국2는 단말2의 SNR 값으로서 기지국신호품질값(DL SNR=UL SNR-N)을 보고할 것이다.
이에, 확인부(220)는, 기지국1,2 별로 실외 기지국인 기지국1에 대해서 단말2와의 채널상태(SNR 값)로서 단말2의 업링크 신호품질값(UL SNR)을 확인하고, 실내 기지국인 기지국2에 대해서 단말2와의 채널상태(SNR 값)로서 단말2의 기지국신호품질값(DL SNR)을 확인하게 된다.
기지국선택부(230)는, 2 이상의 기지국 즉 기지국1,2 중 단말2와의 채널상태(SNR 값)가 가장 우수한 기지국을, 단말2에 대한 다운링크 기지국으로 선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술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실외 기지국이든 실내 기지국이든 단말2에 대한 기지국신호품질값(DL SNR)을 네트워크장치(200)에 보고하기 때문에, 기지국선택부(230)는, 기지국1,2 중에서 기지국신호품질값(DL SNR)이 가장 우수한 기지국을 단말2에 대한 다운링크 기지국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실외 기지국인 기지국1의 단말2에 대한 기지국신호품질값(DL SNR=UL SNR-0)의 경우, 실제로는 기지국1에서 측정한 단말2의 업링크 신호품질값(UL SNR)과 동일할 것이다.
한편, 전술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선택부(230)는, 기지국1,2 중에서, 기지국신호품질값(DL SNR)를 송신/보고한 않은 실외 기지국1에 대해서는 기존처럼 업링크 신호품질값(UL SNR)를 기준으로 하고 기지국신호품질값(DL SNR)를 송신/보고한 실내 기지국2에 대해서는 기지국신호품질값(DL SNR)을 기준으로 하여, 업링크 신호품질값(UL SNR) 또는 기지국신호품질값(DL SNR)이 가장 우수한 기지국을 단말2에 대한 다운링크 기지국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제1/제2실시예에서 다운링크 기지국으로서 기지국2를 선택한다고 가정하겠다.
이렇게 되면, 네트워크장치(200)의 패킷송신부(240)는, 단말2로 전송하고자 하는 다운링크패킷 발생 시, 단말2에 대해 기 선택한 기지국2로 송신한다.
이에, 네트워크장치(200)로부터 단말2의 다운링크패킷을 수신한 기지국2는, 첫번째 다운링크 시간구간(DL1)에서 단말2로 다운링크패킷을 송신할 것이고, 단말2는 네트워크(200)로부터 전송된 다운링크패킷을 기지국2를 통해 수신하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에 대한 다운링크 기지국 선택 시, 실외 기지국으로부터 보고된 단말의 SNR 값과 실내 기지국으로부터 실외 기지국 대비 의도적으로 작게 보고된 단말의 SNR 값을 근거로, SNR 값 즉 채널상태가 가장 우수한 기지국을 선택함으로써, 기지국 간 설계된 다운링크 신호 송신세기의 차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다운링크패킷 수신 성공률 저하 상황을 자연스럽게 회피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말에 대한 다운링크 기지국 선택 시, 기지국 간 설계된 다운링크 신호 송신세기의 차이가 고려될 수 있는 개선된 다운링크 기지국 선택 방식을 실현함으로써, 다운링크패킷의 수신 성공률을 높이고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다운링크 기지국이 선택되는 상황을 설명하겠다.
설명의 편의 상, 전술과 마찬가지로 단말2의 업링크패킷을 송신하는 기지국1,2를 언급하되, 기지국1은 실외 기지국인 것으로 가정하고 기지국2는 실내 기지국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단말2가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으로 업링크패킷을 송신하면(S1), 이를 수신하는 기지국1,2가 단말2의 업링크패킷을 네트워크장치(200)로 송신한다(S40,S60).
이러한 기지국1,2는, 단말2에 대한 채널상태(SNR 값)을 네트워크장치(200)로 송신하여 보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지국1은 단말2가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송신하는 업링크패킷을 수신하는 과정에서, 업링크 신호(업링크패킷)에 대한 신호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S10).
그리고, 제1실시예에 따르면, 실외 기지국인 기지국1은, S10단계에서 측정된 업링크 신호품질값(UL SNR)에서 특정 값(0)을 뺀 결과 값을 기지국신호품질값(DL SNR=UL SNR)으로서 생성하고(S30), 단말2에 대해 생성한 기지국신호품질값(DL SNR=UL SNR)을 단말2의 업링크패킷을 네트워크장치(200)로 송신하는 과정(S40)에서 포함시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제2실시예에 따르면, 실외 기지국인 기지국1은, 본 발명과 무관하게, S10단계에서 측정된 업링크 신호품질값(UL SNR)을 단말2의 업링크패킷을 네트워크장치(200)로 송신하는 과정(S40)에서 포함시켜 송신할 수 있다.
아울러, 기지국2 역시, 단말2가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송신하는 업링크패킷을 수신하는 과정에서, 업링크 신호(업링크패킷)에 대한 신호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S20).
그리고, 제1 및 제2실시예에 따르면, 실내 기지국인 기지국2는, S20단계에서 측정된 업링크 신호품질값(UL SNR)에서 특정 값(N)을 뺀 결과 값을 기지국신호품질값(DL SNR=UL SNR-N)으로서 생성하고(S50), 단말2에 대해 생성한 기지국신호품질값(DL SNR=UL SNR-N)을 단말2의 업링크패킷을 네트워크장치(200)로 송신하는 과정(S60)에서 포함시켜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장치(200)는, 기지국1,2로부터 단말2의 업링크패킷을 수신하는 과정에서, 기지국1,2 별로 단말2와의 채널상태(SNR 값)을 확인한다(S70).
즉, 네트워크장치(200)는, 기지국1이 보고하는 채널상태(SNR 값)으로서 기지국신호품질값(DL SNR=UL SNR-0)을 확인하고, 기지국2가 보고하는 채널상태(SNR 값)으로서 기지국신호품질값(DL SNR=UL SNR-N)을 확인한다.
이때, 실외 기지국인 기지국1에 대하여 확인되는 기지국신호품질값(DL SNR=UL SNR-0)의 경우, 실제로는 기지국1에서 측정한 단말의 업링크 신호품질값(UL SNR)과 동일하다.
네트워크장치(200)는, 기지국1,2 중에서, 단말2와의 채널상태(SNR 값)가 가장 우수한 기지국을, 단말2에 대한 다운링크 기지국으로 선택한다(S80).
보다 구체적으로, 전술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실외 기지국이든 실내 기지국이든 단말2에 대한 기지국신호품질값(DL SNR)을 네트워크장치(200)에 보고하기 때문에, 네트워크장치(200)는, 기지국1,2 중에서 기지국신호품질값(DL SNR)이 가장 우수한 기지국을 단말2에 대한 다운링크 기지국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실외 기지국인 기지국1의 단말2에 대한 기지국신호품질값(DL SNR=UL SNR-0)의 경우, 실제로는 기지국1에서 측정한 단말2의 업링크 신호품질값(UL SNR)과 동일할 것이다.
한편, 전술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장치(200)는, 기지국1,2 중에서, 기지국신호품질값(DL SNR)를 송신/보고한 않은 실외 기지국1에 대해서는 기존처럼 업링크 신호품질값(UL SNR)를 기준으로 하고 기지국신호품질값(DL SNR)를 송신/보고한 실내 기지국2에 대해서는 기지국신호품질값(DL SNR)을 기준으로 하여, 업링크 신호품질값(UL SNR) 또는 기지국신호품질값(DL SNR)이 가장 우수한 기지국을 단말2에 대한 다운링크 기지국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제1/제2실시예에서 다운링크 기지국으로서 기지국2를 선택한다고 가정하겠다.
이렇게 되면, 네트워크장치(200)는, 단말2로 전송하고자 하는 다운링크패킷 발생 시, 단말2에 대해 기 선택한 기지국2로 송신한다(S90).
이에, 네트워크장치(200)로부터 단말2의 다운링크패킷을 수신한 기지국2는, 첫번째 다운링크 시간구간(DL1)에서 단말2로 다운링크패킷을 송신할 것이고(S95), 단말2는 네트워크(200)로부터 전송된 다운링크패킷을 기지국2를 통해 수신하게 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겠다.
설명의 편의 상, 단말2로부터의 업링크패킷을 수신하는 경우로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단말 예컨대 단말2로부터 송신된 업링크패킷을 수신하면(S100), 업링크패킷 수신 과정에서 업링크 신호(업링크패킷)에 대한 신호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S110).
물론,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단말2로부터 신호품질 측정을 위해 별도로 송신되는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여, 이 업링크 신호에 대한 신호품질을 측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S110단계에서 측정된 업링크 신호품질값(UL SNR)에 기지국장치(100)의 다운링크 신호 송신세기와 관련된 특정 값을 반영한 기지국신호품질값을 생성한다(S120).
여기서, 특정 값은, IoT 네트워크에 공존하는 IoT 기지국 간 다운링크 신호 송신세기를 기준으로, 다운링크 신호 송신세기가 큰 IoT 기지국 측의 업링크 신호품질값(UL SNR) 대비 다운링크 신호 송신세기가 작은 IoT 기지국 측의 업링크 신호품질값(UL SNR)을 낮춤으로써, IoT 기지국 간 업링크 신호품질값(UL SNR)을 상호 보상하기 위한 인자로 이해할 수 있다.
구체적이 실시예를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S110단계에서 측정된 업링크 신호품질값(UL SNR)에서 특정 값을 뺀 값으로, 기지국신호품질값(DL SNR)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실내 기지국인 경우, 측정된 업링크 신호품질값(UL SNR)에서 특정 값(N)을 뺀 결과 값을, 기지국신호품질값(DL SNR=UL SNR-N)으로서 생성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실외 기지국인 경우, 측정된 업링크 신호품질값(UL SNR)에서 특정 값(0)을 뺀 결과 값을, 기지국신호품질값(DL SNR=UL SNR)으로서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S100단계에서 수신한 단말2의 업링크패킷을 네트워크장치(200)로 송신하는 과정에, 단말2에 대하여 생성한 기지국신호품질값(DL SNR)을 네트워크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S130).
이렇게 되면, 네트워크장치(200)는, 단말2의 업링크패킷을 수신하여 네트워크장치(200)로 송신하는 기지국들(실외 또는 실내 기지국) 중, 기지국신호품질값(DL SNR)이 가장 우수한 기지국을 단말2에 대한 다운링크 기지국으로 선택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단말2에 대한 다운링크패킷이 수신되는 경우(S140 Yes), 첫번째 다운링크 시간구간(DL1)에서 단말2로 다운링크패킷을 송신할 것이고(S150), 단말2는 네트워크(200)로부터 전송된 다운링크패킷을 기지국2를 통해 수신하게 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에 대한 다운링크 기지국 선택 시, 기지국 간 설계된 다운링크 신호 송신세기의 차이가 고려될 수 있는 개선된 다운링크 기지국 선택 방식을 실현함으로써, 다운링크패킷의 수신 성공률을 높이고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네트워크장치에 따르면, 기지국 간 설계된 다운링크 신호 송신세기의 차이가 고려될 수 있는 개선된 다운링크 기지국 선택 방식을 실현하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 기지국장치
110 : 측정부 120 : 생성부
130 : 제어부
200 : 네트워크장치
210 : 패킷수신부 220 :확인부
230 : 기지국선택부 240 : 패킷송신부

Claims (12)

  1. 단말 및 네트워크장치 간의 패킷을 송수신하는 기지국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업링크 신호에 대한 신호품질을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된 업링크 신호품질값에 상기 기지국장치의 다운링크 신호 송신세기와 관련된 특정 값을 반영한 기지국신호품질값을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네트워크장치로 송신하는 업링크패킷에 상기 기지국신호품질값을 포함시켜, 상기 네트워크장치에서 상기 특정 값이 반영된 기지국신호품질값을 기초로 상기 단말에 대한 다운링크 기지국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상기 업링크 신호품질값에서 상기 특정 값을 뺀 값으로, 상기 기지국신호품질값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값은,
    상기 기지국장치 보다 큰 다운링크 신호 송신세기를 갖는 특정 타 기지국 대비, 상기 특정 타 기지국에 정의된 특정 값 보다 큰 값으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값은,
    상기 기지국장치가 실외 기지국 대비 다운링크 신호 송신세기가 작게 설계된 실내 기지국인 경우, 기 설정된 고정 값을 갖도록 정의되고
    상기 기지국장치가 실외 기지국인 경우, 0 값을 갖도록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5. 단말 및 네트워크장치 간의 패킷을 송수신하는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업링크 신호에 대한 신호품질을 측정하는 측정단계;
    상기 측정된 업링크 신호품질값에 상기 기지국장치의 다운링크 신호 송신세기와 관련된 특정 값을 반영한 기지국신호품질값을 생성하는 생성단계; 및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네트워크장치로 송신하는 업링크패킷에 상기 기지국신호품질값을 포함시켜, 상기 네트워크장치에서 상기 특정 값이 반영된 기지국신호품질값을 기초로 상기 단말에 대한 다운링크 기지국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패킷송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단계는,
    상기 업링크 신호품질값에서 상기 특정 값을 뺀 값으로, 상기 기지국신호품질값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값은,
    상기 기지국장치 보다 큰 다운링크 신호 송신세기를 갖는 특정 타 기지국 대비, 상기 특정 타 기지국에 정의된 특정 값 보다 큰 값으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값은,
    상기 기지국장치가 실외 기지국 대비 다운링크 신호 송신세기가 작게 설계된 실내 기지국인 경우, 기 설정된 고정 값을 갖도록 정의되고
    상기 기지국장치가 실외 기지국인 경우, 0 값을 갖도록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9. 동일 단말이 송신한 업링크패킷을 2 이상의 기지국을 통해 수신하는 패킷수신부;
    상기 2 이상의 기지국 각각을 통해 수신되는 2 이상의 업링크패킷에서, 상기 2 이상의 기지국 별로 상기 단말과의 채널상태를 확인하는 확인부; 및
    상기 2 이상의 기지국 중 상기 단말과의 채널상태가 가장 우수한 기지국을, 상기 단말에 대한 다운링크 기지국으로 선택하는 기지국선택부를 포함하고;
    상기 2 이상의 기지국 중 제1기지국의 다운링크 신호 송신세기 보다 작은 다운링크 신호 송신세기를 갖는 제2기지국에 대하여 확인되는 채널상태는,
    상기 제2기지국에서 측정한 상기 단말의 업링크 신호품질값에 특정 값을 반영하여 생성한 기지국신호품질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지국에 대하여 확인되는 채널상태는,
    상기 제2기지국에서 측정한 상기 단말의 업링크 신호품질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값은,
    제1기지국 및 제2기지국 간에 다운링크 신호 송신세기의 차이가 클수록, 큰 값으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선택부는,
    상기 단말과의 채널상태가 가장 우수한 기지국이 다수 개인 경우, 다수 개의 기지국 중 가장 먼저 채널상태가 확인된 기지국을 상기 단말에 대한 다운링크 기지국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장치.
KR1020170110050A 2017-08-30 2017-08-30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네트워크장치 KR101888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050A KR101888045B1 (ko) 2017-08-30 2017-08-30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네트워크장치
CN201880003823.6A CN109792628B (zh) 2017-08-30 2018-08-27 基站装置、基站装置的操作方法和网络装置
PCT/KR2018/009856 WO2019045384A1 (ko) 2017-08-30 2018-08-27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네트워크장치
US16/428,774 US10924985B2 (en) 2017-08-30 2019-05-31 Downlink base station selection mechanism based on downlink signal qua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050A KR101888045B1 (ko) 2017-08-30 2017-08-30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네트워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8045B1 true KR101888045B1 (ko) 2018-09-06

Family

ID=63593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0050A KR101888045B1 (ko) 2017-08-30 2017-08-30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네트워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924985B2 (ko)
KR (1) KR101888045B1 (ko)
CN (1) CN109792628B (ko)
WO (1) WO201904538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8205A (ko) * 2019-02-12 2020-08-2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단말에서 전송되는 업링크 신호의 전송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8420A (ko) * 2009-11-26 2011-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서빙 기지국을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679798B1 (ko) * 2016-08-08 2016-11-2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네트워크장치 및 기지국장치, 그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다운링크패킷 전송 기지국 재선택 방법
KR101713931B1 (ko) * 2016-08-08 2017-03-0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네트워크장치 및 기지국장치, 그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다운링크패킷 전송 기지국 재선택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64119B2 (en) * 2001-03-30 2010-02-16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perform network routing
FR2827098B1 (fr) * 2001-07-05 2003-12-05 Nortel Networks Ltd Procede de controle de ressources radio affectees a une communication entre un terminal mobile et une infrastructure cellulaire a etalement de spectre, et equipements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EP1507422A1 (en) * 2003-08-14 2005-02-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erving base station selection during soft handover
KR100714530B1 (ko) * 2006-01-16 2007-05-0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채널 변경 방법
US7519366B2 (en) * 2006-10-24 2009-04-14 Cisco Technology, Inc. Collaborative beam forming of base transceiver stations for reducing interference in a wireless multi-cell network
US8185060B2 (en) * 2008-04-22 2012-05-22 Qualcomm Incorporated Serving base station selection using backhaul quality information
US8285321B2 (en) * 2008-05-15 2012-10-0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virtual noise figu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N104469869B (zh) * 2013-09-23 2019-08-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小小区切换方法和基站
KR101607854B1 (ko) * 2015-02-23 2016-03-31 (주) 커널링크 Tdd-lte시스템의 셀 재선택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8420A (ko) * 2009-11-26 2011-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서빙 기지국을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679798B1 (ko) * 2016-08-08 2016-11-2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네트워크장치 및 기지국장치, 그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다운링크패킷 전송 기지국 재선택 방법
KR101713931B1 (ko) * 2016-08-08 2017-03-0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네트워크장치 및 기지국장치, 그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다운링크패킷 전송 기지국 재선택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8205A (ko) * 2019-02-12 2020-08-2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단말에서 전송되는 업링크 신호의 전송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207499B1 (ko) 2019-02-12 2021-01-2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단말에서 전송되는 업링크 신호의 전송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45384A1 (ko) 2019-03-07
US10924985B2 (en) 2021-02-16
US20190289538A1 (en) 2019-09-19
CN109792628A (zh) 2019-05-21
CN109792628B (zh) 202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42699B2 (en) Base station, mobile st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CN105491621B (zh) 多基站联合上行链路数据处理
KR10066507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과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 및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제 1 스테이션과 제 2 스테이션
KR101679798B1 (ko) 네트워크장치 및 기지국장치, 그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다운링크패킷 전송 기지국 재선택 방법
US10390244B2 (en) Method of measuring radio link quality in a D2D user equipment
KR101713931B1 (ko) 네트워크장치 및 기지국장치, 그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다운링크패킷 전송 기지국 재선택 방법
RU2012154280A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радиоресурсами и устройство узла в, его реализующее
JP2010154201A (ja) 通信特性測定装置及び無線端末
KR101888045B1 (ko)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네트워크장치
US7489941B2 (en) Method for control of the transmission power of a transmitting station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transmitting station, receiving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101965767B1 (ko) 피드백이 없는 harq 환경에서의 인덱스 코딩을 이용한 패킷 재전송 방법
CN107453857B (zh) 一种用于无调度上行传输的链路自适应方法
KR101192430B1 (ko) 레인징 방법 및 그 장치
KR101862250B1 (ko) 네트워크장치 및 단말장치와, 그 장치들의 동작 방법
KR101985691B1 (ko)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KR101990788B1 (ko) 기지국, 네트워크장치 및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
KR101862249B1 (ko) 네트워크장치 및 단말장치와, 그 장치들의 동작 방법
KR101953650B1 (ko) 네트워크장치 및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
WO2020185131A1 (en) Detection of a skipped uplink transmission
JP4702376B2 (ja) 基地局装置及び制御情報の送信条件設定方法
KR20190014944A (ko) 단말장치와, 그 장치의 업링크패킷 송신 방법
KR20180123889A (ko) 단말장치 및 데이터전송장치
KR101970767B1 (ko) 기지국장치 및 단말장치와, 그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패킷 송수신 방법
KR101882213B1 (ko)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JP2011205479A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品質測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