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425B1 - 물병용 고정형 캡슐 - Google Patents

물병용 고정형 캡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425B1
KR101887425B1 KR1020160067885A KR20160067885A KR101887425B1 KR 101887425 B1 KR101887425 B1 KR 101887425B1 KR 1020160067885 A KR1020160067885 A KR 1020160067885A KR 20160067885 A KR20160067885 A KR 20160067885A KR 101887425 B1 KR101887425 B1 KR 101887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bottle
magnet
capsule
receiv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7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6172A (ko
Inventor
양체영
임원채
Original Assignee
양체영
임원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체영, 임원채 filed Critical 양체영
Priority to KR1020160067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425B1/ko
Publication of KR20170136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6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12Means for the attachment of small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8Applications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병내에 삽입 고정하여 인체에 유해한 세균이 없이 유익한 기능성 물을 음용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통 형상의 캡슐(100)에 관한 것으로서, 물이 통과할 수 있는 통공부(112)를 가지면서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어 기능성 알갱이(114)가 수용되는 알갱이 수용부(110)와; 상기 알갱이 수용부(110)의 내측 캡슐 중심축선을 따라 수직 배치되되 상측에 개방부(122)를 가지면서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어 자석(124)이 수용되는 자석 수용부(120)와; 상기 알갱이 수용부(110) 및 자석 수용부(120)의 하방에 배치되되 카본(132)이 수용되는 카본 수용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병내에 삽입 고정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기능성 수용부에 수용된 각종 기능성 알갱이를 통해 인체에 유익한 수소수와 같은 기능성 물을 만들어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은 플레이트에서 발생하는 미량의 은(Ag+)이온과 자석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에 의한 강력한 자화수의 살균 작용 그리고 카본에서 오염된 성분이나 유해한 물질의 흡착 작용 등을 통하여 세균의 번식이나 오염으로부터 안전하게 물을 지킬 수 있는 등 장기간 보관하는 경우에도 세균 걱정 없이 기능성 물을 용이하게 마실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결과적으로, 인체에 세균이 없이 유익한 기능성 물을 용이하게 음용할 수 있으므로 건강 증진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Description

물병용 고정형 캡슐{The fixed type capsule for water bottle}
본 발명은 물병용 고정형 캡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물병내에 삽입 고정하여 인체에 유해한 세균이 없이 유익한 기능성 물을 음용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물병용 고정형 캡슐에 관한 것이다.
현재 환경오염으로 인하여 지하수, 강물, 호수, 하천 및 바다가 오염되면서 음용수의 수질이 점차 악화되고 있으며, 각 가정이나 사무실에 정수기를 설치하거나 생수를 구입하여 음용수로 사용하는 상황이다.
그러나, 시판 생수의 경우에도 세균이나 환경오염에 안전하다 할 수 없고, 산이나 들에서 길어오는 샘물 또한 가축이나 축사, 조류 등의 살 처분 등 여러 환경오염의 영향으로 병원균이나 미생물이 들어 있는 등 음용수 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지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예를 들면, 생수의 경우 수질검사를 통해 먹는 샘물의 기준에 맞는 물이라도 제품마다 잔존하는 세균이 얼마인지 모르고, 생수공장 관리 운영상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먹는 샘물의 기준은 지하에서 올라오는 물 자체만을 먹는 샘물로 규정하고 있기에 만약 지하로부터 지하수의 오염에 의한 세균 및 오염된 물이 혼합되어 올라오게 된다면, 이는 그대로 용기에 포장되어 소비자에게 전달될 수밖에 없다.
또한, 아무리 수질검사에 합격하고 알칼리도가 7.0 이상의 알칼리수라고 해도 물의 특성상 1초에도 일억번 이상 변한다는 물분자 운동과 유통 기간 내에서의 변질은 산화수로 되는 것을 막을 수 없다.
또한, 정수기의 경우에도 여러 구조상의 문제로 인체에 유익한 미네랄까지 제거하여 증류수 수준의 음용수를 제공한다는 문제점과 정수기의 수조통과 수도꼭지 등에서 2차 세균번식 문제가 끊이지 않고 있다.
근래에 들어서는 단순히 물을 깨끗하고 신선하게 유지하는 차원을 넘어 건강을 고려한 기능성 물을 찾는 사람이 늘고 있는 추세이다.
사람 체중의 약 70%는 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산소호흡과 더불어 물을 마시지 않고는 생명을 유지할 수 없다. 인체의 생명활동은 수 조개의 체세포(약 60조개)와 수 조개의 장내 미생물 세포, 즉 200조개의 세포로 영위되는 생명 복합체이다. 인체는 세포 내액과 세포 외액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세포 내액은 체중의 30∼40%, 세포 외액은 체중의 20∼25%, 혈액은 83%가 각각 물이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특성 세포 내로 세균 없는 깨끗한 물이 잘 흡수되어야 신진대사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현대인들은 운동, 등산, 기타 다양한 레포츠활동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수시로 수분을 보충하기 위하여 패트병 물이나 생수통의 물을 사먹기도 하고, 휴대용 물병에 물을 받아쓰기도 한다.
또한, 일회용 패트병이나 물통을 들고 산에 가서 약수를 취수하거나 정수기 물을 받아 재사용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이렇게 생수를 사먹거나 물병이나 물통을 들고 산에 가서 취수하여 재사용하거나 물을 보관하는 경우 물이 쉽게 세균에 오염되어 부패하기 쉬우며, 특히 여름철에는 세균번식으로 물의 부패가 빠르게 진행된다.
또한, 음식점 등 다중이용 시설의 정수기에서 일시에 많은 물을 담아 여러 사람들에게 사용하는 물병의 경우 온갖 세균의 오염에 노출되어 있다.
예를 들면, 1회용 패트병 물을 사먹거나 물병에 물을 담아 이용하는 경우 한번만 쓰고 바로 재활용 쓰레기로 버리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고 정수기 물이나 약수터에서 물을 받아 음료수 병으로 재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특히, 여름철 많이 사먹게 되는 1회용 패트병 물은 병마개를 딴 후 입을 대고 한 번에 마시고 버리지 않고, 보관하거나 들고 다니면서 목이 마를 때나 물을 먹고 싶을 때 여러 번 나누어서 마시는 경우가 있어 식중독이나 세균오염에 노출되어 있다.
또한,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다중식당이나 병원 등에서 물통이나 물병에 정수기 등에서 물을 담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항시 세균오염에 노출되어 있다.또한, 가정에서 약수 물이나 정수기 물을 받아 실내나 냉장고 등에 장기간 보관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물통의 물을 장기간 보관하거나 패트병에 입을 대고 여러 번 나누어서 마시다 보면 물통이나 패트병속에 세균이 들어가 세균번식을 일으키고 건강을 해칠 수 있다.
특히, 1회용 패트병은 입을 대고 먹는 주둥이가 작아 손으로 세척이 불가하기 때문에 여러 번 나누어 마시거나 약수통, 정수기 물을 담아 재사용 시 세균번식과 오염을 차단할 수 있는 방법이 뚜렷이 없다.
이에 패트병 생수나 생수통, 휴대용 물병 등에 담긴 물을 보다 깨끗하게 만들고 부패를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종래 관련 분야 특허 기술로서,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조합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가 공간부로 된 부력실을 갖도록 된 본체와; 상기 상부케이스 외면의 탑부와 하부 케이스 외면의 저부에 부착 또는 구비되는 순은플레이트 또는 순은알갱이와; 상기 순은플레이트 또는 순은알갱이를 감싸도록 상부케이스 외면의 탑부와 하부 케이스 외면의 저부에 장착되며, 순은플레이트 또는 순은알갱이가 위치하는 공간부가 외부와 통하도록 된 홀이 형성된 커버와;상기 본체의 양단부쪽 어느 일측의 부력실 내부에 구비되는 무게추로서 부력 조절과 휴대시 소리를 낼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성 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를 물에 넣었을 때, 무게추 역할을 하는 기능성 볼에 의해 순은플레이트 또는 순은알갱이가 구비된 상부케이스의 탑부는 수면 위로 위치하게 되고 하부 케이스의 저부는 물속에 위치하게 되어, 수면 위 공기와 물을 동시에 살균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와 물을 동시에 살균 가능한 항균 캡슐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국내등록특허 10-1422443
본 발명은 물병내에 삽입 고정하여 사용하되 기능성 알갱이를 통해 인체에 유익한 수소수와 같은 기능성 물을 만들어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은 플레이트에서 발생하는 미량의 은(Ag+)이온과 자석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에 의한 강력한 자화수의 살균 작용 그리고 카본에서 오염된 성분이나 유해한 물질의 흡착 작용 등을 통하여 세균의 번식이나 오염으로부터 안전하게 물을 보존하여 장기간 보관하는 경우에도 세균 걱정 없이 기능성 물을 용이하게 마실 수 있도록 하는 물병용 고정형 캡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석을 보다 편리하게 장착할 수 있는 물병용 고정형 캡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병용 고정형 캡슐은, 물병내에 삽입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통상의 캡슐)로서, 물이 통과할 수 있는 통공부를 가지면서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어 기능성 알갱이가 수용되는 알갱이 수용부와; 상기 알갱이 수용부의 내측 캡슐 중심축선을 따라 수직 배치되되 상측에 개방부를 가지면서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어 자석이 수용되는 자석 수용부와; 상기 알갱이 수용부 및 자석 수용부의 하방에 배치되되 카본이 수용되는 카본 수용부와; 상기 알갱이 수용부 및 자석 수용부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은 플레이트와; 상기 자석 수용부의 개방부를 폐쇄하기 위한 조립캡과; 상기 알갱이 수용부 및 자석 수용부와, 카본 수용부의 사이에 개재되는 통공이 형성된 타공판과; 물병과의 결합을 위하여 하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를 이용하여 물병과의 결합 시 물병내의 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장착되는 방수링을 포함하고, 상기 기능성 알갱이는 마그네슘, 토르마린, 알카리, 자철광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미네랄 성분으로 구성되고, 자석이 수용된 상기 자석 수용부의 상단에는 규소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병용 고정형 캡슐을 구비한 물병은, 물병용 고정형 캡슐과; 저면에 상기 물병용 고정형 캡슐이 삽입될 수 있는 개방부를 가지면서 측면에 체결을 위한 체결부를 갖는 물병 본체와; 상기 물병 본체의 개방부에 물병용 고정형 캡슐이 삽입된 상태에서 개방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체결부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갖는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병내에 삽입 고정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기능성 수용부에 수용된 각종 기능성 알갱이를 통해 인체에 유익한 수소수와 같은 기능성 물을 만들어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은 플레이트에서 발생하는 미량의 은(Ag+)이온과 자석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에 의한 강력한 자화수의 살균 작용 그리고 카본에서 오염된 성분이나 유해한 물질의 흡착 작용 등을 통하여 세균의 번식이나 오염으로부터 안전하게 물을 지킬 수 있는 등 장기간 보관하는 경우에도 세균 걱정 없이 기능성 물을 용이하게 마실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인체에 유해한 세균이 없이 유익한 기능성 물을 용이하게 음용할 수 있으므로 건강 증진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자석 수용부에 강력한 자기력이 통과하면서 물이 이동할 때 물의 수소결합이 분리와 재결합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거치면서 물분자가 작아지는 원리에 의해 물이 자화수로 변화시키기 위한 자석을 보다 편리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병용 고정형 캡슐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병용 고정형 캡슐이 물병에 장착되는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병용 고정형 캡슐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물병용 고정형 캡슐은 물병내에 삽입 고정하여 사용하는 형태로 구성되되, 기능성 알갱이를 통해 인체에 유익한 수소수와 같은 기능성 물을 만들어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은 플레이트에서 발생하는 미량의 은(Ag+)이온과 자석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에 의한 강력한 자화수의 살균 작용, 카본에서 오염된 성분이나 유해한 물질의 흡착 작용 등을 통하여 세균의 번식이나 오염으로부터 안전하게 물을 지킬 수 있는 등 장기간 보관하는 경우에도 세균 걱정 없이 기능성 물을 용이하게 마실 수 있도록 구성되고 또한 자석을 보다 편리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병용 고정형 캡슐(100)은 물병내에 삽입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통(예를 들면 원통) 형상의 캡슐로서, 크게 알갱이 수용부(110), 자석 수용부(120), 카본 수용부(130), 은 플레이트(140), 조립캡(150), 타공판(16O), 플랜지부(170 및 방수링(1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알갱이 수용부(110)는 외측에 형성되는데, 복수개소에 물이 통과할 수 있는 통공부(112)를 가지면서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어 기능성 알갱이(114)가 수용된다.
이때, 상기 기능성 알갱이(114)는 인체에 유익한 수소수와 같은 기능성 물을 만들 수 있도록 마그네슘, 토르마린, 알카리, 자철광 등의 미네랄 성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자석 수용부(120)는 상기 알갱이 수용부(110)의 내측에 캡슐(110)의 중심축선을 따라 수직 배치될 수 있는데, 상측에 개방부(122)를 가지면서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어 소정의 자석(124)이 수용된다.
따라서, 물속에 넣을 경우 강력한 자기력이 통과하면서 물이 이동할 때 물의 수소결합이 분리와 재결합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거치면서 물분자가 작아지는 원리에 의해 물이 자화수로 변화된다. 이와 같이 생성된 자화수는 물분자를 세밀화시켜 세균을 억제하고 스케일을 제거할 수 있으며, 세척 시 뛰어난 세척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자화수는 자기력에 의하여 물 분자의 배열이 바뀌어져 통상의 물과 다른 분자 구조를 갖는 것으로, 자기력에 의해 그 분자구조가 특이한 구조로 변형된 물을 의미한다. 다만, 이러한 특성은 지속적으로 유지되지는 않으며, 일정기간 유지되었다가 다시 원상태로 환원된다.
상기 자석(124)이 수용된 상기 자석 수용부(120)의 상단에는 미네랄 중 하나인 규소(126)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카본 수용부(130)는 상기 알갱이 수용부(110) 및 자석 수용부(120)의 하방에 배치되는데 오염된 성분이나 유해한 물질의 흡착 작용 등을 위하여 일정량의 카본(132)이 수용된다.
상기 은 플레이트(140)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상으로서 미량의 은(Ag+)이온을 발생시켜 물속의 세균을 살균하는 작용을 위하여 상기 알갱이 수용부(110) 및 자석 수용부(120)의 상단부에 장착된다.
상기 조립캡(150)은 상기 자석 수용부(120)의 개방부(122)를 견고하게 폐쇄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타공판(16O)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상으로서 복수개소에 통공(162)이 형성되는데 상기 알갱이 수용부(110) 및 자석 수용부(120)와, 카본 수용부(130)의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플랜지부(170)는 물병과의 결합을 위하여 하단부에 연장 형성된다.
상기 방수링(180)은 상기 플랜지부(170)를 이용하여 물병과의 결합 시 물병내의 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플랜지부(170)상에 장착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병용 고정형 캡슐이 물병에 장착된 개념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병은 고정형 캡슐(100)이 저면에 상기 고정형 캡슐(100)이 삽입될 수 있는 개방부(202)를 가지면서 측면에 체결을 위한 나사산 등이 형성된 체결부(204)를 갖는 물병 본체(200)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물병 본체(200)의 개방부(202)에 물병용 고정형 캡슐(100)이 삽입된 상태에서 개방부(202)를 폐쇄하도록 상기 체결부(204)에 체결되는 체결부(212)를 갖는 뚜껑(210)이 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물병용 고정형 캡슐을 물병내에 삽입 고정하여 사용하게 되면, 기능성 수용부에 수용된 각종 기능성 알갱이를 통해 인체에 유익한 수소수와 같은 기능성 물을 생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은 플레이트에서 발생하는 미량의 은(Ag+)이온과 자석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에 의한 강력한 자화수의 살균 작용 그리고 카본에서 오염된 성분이나 유해한 물질의 흡착 작용 등을 통하여 세균의 번식이나 오염으로부터 안전하게 물을 지킬 수 있는 등 장기간 보관하는 경우에도 세균 걱정 없이 기능성 물을 음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인체에 유해한 세균이 없이 유익한 기능성 물을 용이하게 음용할 수 있으므로 건강 증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자석 수용부에 강력한 자기력이 통과하면서 물이 이동할 때 물의 수소결합이 분리와 재결합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거치면서 물분자가 작아지는 원리에 의해 물을 자화수로 변화시키기 위한 자석을 보다 편리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물병용 고정형 캡슐을 한정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고정형 캡슐 110 : 알갱이 수용부
112 : 통공부 114 : 기능성 알갱이
120 : 자석 수용부 122,202 : 개방부
124 : 자석 126 : 규소
130 : 카본 수용부 132 : 카본
140 : 은 플레이트 150 : 조립캡
160 : 타공판 162 : 통공
170 : 플레이트부 180 : 방수링
200 : 물병 본체 202 : 개방부
204,212 : 체결부 210 : 뚜껑

Claims (5)

  1. 물병내에 삽입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통 형상의 캡슐(100)로서,
    물이 통과할 수 있는 통공부(112)를 가지면서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어 기능성 알갱이(114)가 수용되는 알갱이 수용부(110)와;
    상기 알갱이 수용부(110)의 내측 캡슐 중심축선을 따라 수직 배치되되 상측에 개방부(122)를 가지면서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어 자석(124)이 수용되는 자석 수용부(120)와;
    상기 알갱이 수용부(110) 및 자석 수용부(120)의 하방에 배치되되 카본(132)이 수용되는 카본 수용부(130)와;
    상기 알갱이 수용부(110) 및 자석 수용부(120)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은 플레이트(140)와;
    상기 자석 수용부(120)의 개방부(122)를 폐쇄하기 위한 조립캡(150)과;
    상기 알갱이 수용부(110) 및 자석 수용부(120)와, 카본 수용부(130)의 사이에 개재되는 통공(162)이 형성된 타공판(160)과;
    물병과의 결합을 위하여 하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부(170)와;
    상기 플랜지부(170)를 이용하여 물병과의 결합 시 물병내의 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장착되는 방수링(180)을 포함하고,
    상기 기능성 알갱이(114)는 마그네슘, 토르마린, 알카리, 자철광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미네랄 성분으로 구성되고,
    자석(124)이 수용된 상기 자석 수용부(120)의 상단에는 규소(126)가 수용되는 물병용 고정형 캡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기재된 물병용 고정형 캡슐(100)과;
    저면에 상기 물병용 고정형 캡슐(100)이 삽입될 수 있는 개방부(202)를 가지면서 측면에 체결을 위한 체결부(204)를 갖는 물병 본체(200)와;
    상기 물병 본체(200)의 개방부(202)에 물병용 고정형 캡슐(100)이 삽입된 상태에서 개방부(202)를 폐쇄하도록 상기 체결부(204)에 체결되는 체결부(212)를 갖는 뚜껑(210)을 포함하는 물병.
KR1020160067885A 2016-06-01 2016-06-01 물병용 고정형 캡슐 KR101887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885A KR101887425B1 (ko) 2016-06-01 2016-06-01 물병용 고정형 캡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885A KR101887425B1 (ko) 2016-06-01 2016-06-01 물병용 고정형 캡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172A KR20170136172A (ko) 2017-12-11
KR101887425B1 true KR101887425B1 (ko) 2018-08-13

Family

ID=60943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7885A KR101887425B1 (ko) 2016-06-01 2016-06-01 물병용 고정형 캡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742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5435B1 (ko) 2021-12-23 2022-09-21 안진우 휴대용 자화수기
KR102505055B1 (ko) 2022-01-07 2023-03-02 안진우 휴대용 자화수기
KR20240124056A (ko) 2023-02-08 2024-08-16 안진우 휴대용 자화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0937A (ko) 2022-03-04 2023-09-12 안진우 수소수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자화수소수 장치
KR20230130940A (ko) 2022-03-04 2023-09-12 안진우 자화수 및 수소수 생성장치
KR20230130932A (ko) 2022-03-04 2023-09-12 안진우 자화수 및 수소수 생성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3597Y1 (ko) * 2001-08-16 2001-11-22 최재현 물 연수화 기능이 구비된 주방용 기기
KR101449544B1 (ko) * 2012-09-17 2014-10-15 김현숙 기능성 휴대용 물병
KR101548469B1 (ko) * 2014-12-31 2015-08-28 지병욱 기능성 항균 물병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3597Y1 (ko) * 2001-08-16 2001-11-22 최재현 물 연수화 기능이 구비된 주방용 기기
KR101449544B1 (ko) * 2012-09-17 2014-10-15 김현숙 기능성 휴대용 물병
KR101548469B1 (ko) * 2014-12-31 2015-08-28 지병욱 기능성 항균 물병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5435B1 (ko) 2021-12-23 2022-09-21 안진우 휴대용 자화수기
KR102505055B1 (ko) 2022-01-07 2023-03-02 안진우 휴대용 자화수기
KR20240124056A (ko) 2023-02-08 2024-08-16 안진우 휴대용 자화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172A (ko) 2017-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7425B1 (ko) 물병용 고정형 캡슐
KR101548469B1 (ko) 기능성 항균 물병
KR101670202B1 (ko) 수소수 및 자화수 생성 물병
KR101612221B1 (ko) 항ㆍ살균 기능을 갖는 수소발생 미네랄 스틱
KR101936146B1 (ko) 물병용 자유형 캡슐
KR101422443B1 (ko) 공기와 물을 동시에 살균 가능한 항균 캡슐
US9802844B2 (en) Portable pathogen deactiva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120091070A1 (en) Multi-Stage Water Treatment and Enrichment Method and Apparatus
KR101949242B1 (ko) 자가발전식 유브이 엘이디와 필터가 결합된 정수용 마개
Norton et al. Physical measures to reduce exposure to tap water–associated nontuberculous mycobacteria
KR101712325B1 (ko) 기능수 생성 물병
KR101673841B1 (ko) 회전체를 이용한 기능성 자화수 생성 물병
KR101830499B1 (ko) 정수용 항균 캡슐
CN201245487Y (zh) 适宜饮水机桶装水使用的复合矿物活化矿化袋
KR101830505B1 (ko) 자화수 생성물병
US20200109071A1 (en) Drinkable water purification device
KR102638289B1 (ko) 자동 살균기능을 갖는 휴대용 물병
KR200168473Y1 (ko) 휴대용 정수장치
KR20170071858A (ko)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KR102570225B1 (ko) 여과 및 살균기능을 갖는 휴대용 정수물병
KR102496883B1 (ko) 파동 디지털 코드가 입력된 은파동칩을 내장한 신체 활성 물병 및 그 제조 방법
EP1982961B1 (en) Disinfectant device and process
CN216018471U (zh) 一种畜禽养殖用喂水装置
GB2615071A (en) Water filter cartridge, filtratio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filtering
JP3120776U (ja) 飲用水フィル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