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423B1 - 광고이미지 등록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 Google Patents

광고이미지 등록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423B1
KR101887423B1 KR1020120015979A KR20120015979A KR101887423B1 KR 101887423 B1 KR101887423 B1 KR 101887423B1 KR 1020120015979 A KR1020120015979 A KR 1020120015979A KR 20120015979 A KR20120015979 A KR 20120015979A KR 101887423 B1 KR101887423 B1 KR 101887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image
resolution
information
advertisemen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5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4598A (ko
Inventor
손상목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5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423B1/ko
Publication of KR20130094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4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6Advertisement cre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87Composing, repositioning or otherwise geometrically modifying originals
    • H04N1/393Enlarging or reducing
    • H04N1/3935Enlarging or reducing with modification of image resolution, i.e. determining the values of picture elements at new relative positions

Abstract

본 발명은 광고이미지 등록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고이미지 등록 시스템은, 광고주 또는 광고시행업체에 의해 하나의 광고이미지만을 등록하더라도 광고를 게재하는 단말장치별 해상도에 부합할 수 있도록 각 해상도에 대응되는 광고이미지를 자동으로 다수 생성하여 광고 등록하기 위한 구성을 갖춘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광고주 또는 광고시행업체의 입장에서 광고이미지 등록절차를 간소화하여 처리할 수 있으며, 하나의 광고이미지만이 광고주 또는 광고시행업체에 의해 등록되더라도 단말장치별로 요구되는 해상도별 광고이미지를 자동 생성하게 되어 광고서비스를 위한 최적의 광고이미지로 모두 등록할 수가 있으므로 광고서비스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고이미지 등록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SYSTEM AND METHOD FOR REGISTERING ADVERTISEMENT IMAGE, AND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본 발명은 광고이미지 등록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고주 또는 광고시행업체에 의해 이루어지는 광고이미지의 등록 절차를 시스템적으로 간소화하기 위한 광고이미지 등록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광고이미지를 통한 광고를 하고자 할 경우 광고주 또는 광고시행업체는 광고하고자 하는 광고이미지를 광고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에 등록하는 과정을 거친다.
또한, 상기 광고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을 통하여 고객의 단말장치로 등록된 광고를 서비스를 하게 된다. 여기서, 고객의 단말장치는 매우 다양한 종류로 구비될 뿐만 아니라 단말장치별로 광고를 게재하기 위한 요구되는 해상도가 제각각이다.
따라서, 광고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은 광고서비스를 다양한 고객에게 폭 넓게 서비스하기 위해서 단말장치별로 상이한 각 해상도에 부합하는 광고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하는바, 해상도별로 광고이미지를 다수 구비하여야 한다.
이에, 종래의 광고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은 광고주 또는 광고시행업체에 의해 광고이미지를 등록하는 과정에서 해상도별 광고이미지를 각각 N회에 걸쳐 모두 등록하여야 함으로써, 광고주 또는 광고시행업체의 입장에서 광고이미지 등록절차를 불편하게 느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뿐 아니라, 종래의 광고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은 광고주 또는 광고시행업체에 의해 해상도별 광고이미지를 각각 N회에 걸쳐 모두 등록했다고 하더라도, 각 단말장치의 해상도에 최적으로 부합하는 광고이미지가 등록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경우에는 광고서비스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광고주 또는 광고시행업체에 의해 하나의 광고이미지만을 등록하더라도 광고를 게재하는 단말장치별 해상도에 부합할 수 있도록 각 해상도에 대응되는 광고이미지를 자동으로 다수 생성하여 광고 등록하기 위한 광고이미지 등록 환경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고이미지크기 변경장치에서 광고 등록을 위한 대표 광고이미지를 제공받은 후 광고 등록에 대해 미리 정해진 광고등록 조건을 추출하고 추출된 광고등록 조건에 포함되는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의 개수 및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별 해상도 정보를 판정하고, 판정한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별 해상도 정보 중 대표 광고이미지의 해상도와 일치하는 제1 해상도 정보를 추출한 후 제1 해상도 정보와 상이한 해상도 규격으로 이루어진 1 이상의 제2 해상도 정보를 추출하여 1 이상의 제2 해상도 정보에 대응되는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대표 광고이미지의 크기를 변경하여 생성하기 위한 광고이미지 생성 환경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광고이미지 등록 시스템은, 대표 광고이미지를 통한 광고 등록 시 상기 대표 광고이미지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광고이미지크기변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호출하는 광고등록 관리장치 및 상기 광고이미지크기변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의 실행을 통해 상기 대표 광고이미지를 제공받은 후 상기 대표 광고이미지의 크기를 해상도별로 대응되는 이미지 크기로 변환 또는 조절하여 상기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1 이상 생성하는 광고이미지크기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광고이미지크기 변경장치는, 광고 등록을 위한 대표 광고이미지를 제공받은 후 상기 광고 등록에 대해 미리 정해진 광고등록 조건을 추출하고 상기 광고등록 조건에 포함되는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의 개수 및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별 해상도 정보를 판정하는 판정부, 상기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별 해상도 정보 중 상기 대표 광고이미지의 해상도와 일치하는 제1 해상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제1 해상도 정보와 상이한 해상도 규격으로 이루어진 1 이상의 제2 해상도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1 이상의 제2 해상도 정보에 대응되는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상기 대표 광고이미지의 크기를 변경하여 생성하는 광고이미지생성부 및 상기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상기 광고 등록을 위해 상기 대표 광고이미지의 변경을 요청한 대상에 대한 응답으로 제공하는 광고이미지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고이미지생성부는 상기 제1 해상도 정보 및 상기 1 이상의 제2 해상도 정보에 대응되는 2 이상의 이미지 비율정보를 판정하는 판정모듈, 상기 2 이상의 이미지 비율정보 중 이미지 비율별로 대표되는 1 이상의 특정 해상도 정보를 미리 정해진 정보선택기준에 의해 선택한 후 상기 1 이상의 특정 해상도 정보를 기초로 특정 해상도 그룹을 생성하는 그룹생성모듈, 상기 특정 해상도 그룹 내의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상기 대표 광고이미지의 크기를 변환하여 생성하는 이미지크기변환모듈 및 상기 특정 해상도 그룹 외의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 이미지를 상기 특정 해상도 그룹 내의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 중 동일한 이미지 비율정보와 대응되는 서비스용 광고 이미지를 추출한 후 상기 동일한 이미지 비율정보와 대응되는 서비스용 광고 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하여 생성하는 이미지크기조절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그룹생성모듈은 상기 정보선택기준을 동일한 이미지 비율에 대응되는 2 이상의 이미지 비율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동일한 이미지 비율에 대응되는 2 이상의 이미지 비율정보 중 해상도가 높은 이미지 비율정보를 상기 특정 해상도 정보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른 광고이미지 등록 방법은, 광고등록 관리장치에서 대표 광고이미지를 통한 광고 등록 시 상기 대표 광고이미지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광고이미지크기변경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호출하는 단계, 상기 광고이미지크기변경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의 실행으로 동작하게 되는 광고이미지크기 변경장치에서 상기 대표 광고이미지의 크기를 해상도별로 대응되는 이미지 크기로 변경하여 상기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1 이상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광고등록 관리장치에서 상기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제공받으면 상기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통해 광고 등록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고이미지 등록 방법은 상기 광고등록 관리장치에서 상기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제공받으면 상기 광고이미지크기변경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의 실행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1 이상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대표 광고이미지의 크기를 해상도별로 대응되는 이미지 크기로 변경한 후 변경 결과인 상기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의 해상도 정보와 상기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의 저장 위치를 나타내는 URL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4 관점에 따른 광고이미지의 크기 변경 방법은, 광고이미지크기 변경장치에서 광고 등록을 위한 대표 광고이미지를 제공받은 후 상기 광고 등록에 대해 미리 정해진 광고등록 조건을 추출하고 상기 광고등록 조건에 포함되는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의 개수 및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별 해상도 정보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별 해상도 정보 중 상기 대표 광고이미지의 해상도와 일치하는 제1 해상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해상도 정보와 상이한 해상도 규격으로 이루어진 1 이상의 제2 해상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1 이상의 제2 해상도 정보에 대응되는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상기 대표 광고이미지의 크기를 변경하여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상기 광고 등록을 위해 상기 대표 광고이미지의 변경을 요청한 대상에 대한 응답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해상도 정보 및 상기 1 이상의 제2 해상도 정보에 대응되는 2 이상의 이미지 비율정보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2 이상의 이미지 비율정보 중 이미지 비율별로 대표되는 1 이상의 특정 해상도 정보를 미리 정해진 정보선택기준에 의해 선택한 후 상기 1 이상의 특정 해상도 정보를 기초로 특정 해상도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특정 해상도 그룹 내의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상기 대표 광고이미지의 크기를 변환하여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해상도 그룹 외의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 이미지를 상기 특정 해상도 그룹 내의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 중 동일한 이미지 비율정보와 대응되는 서비스용 광고 이미지를 추출한 후 상기 동일한 이미지 비율정보와 대응되는 서비스용 광고 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하여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 해상도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선택기준을 동일한 이미지 비율에 대응되는 2 이상의 이미지 비율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동일한 이미지 비율에 대응되는 2 이상의 이미지 비율정보 중 해상도가 높은 이미지 비율정보를 상기 특정 해상도 정보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광고주 또는 광고시행업체에 의해 하나의 광고이미지만을 등록하더라도 광고를 게재하는 단말장치별 해상도에 부합할 수 있도록 각 해상도에 대응되는 광고이미지를 자동으로 다수 생성하여 광고 등록함으로써, 광고주 또는 광고시행업체의 입장에서 광고이미지 등록절차를 간소화하여 처리할 수 있으며, 하나의 광고이미지만이 광고주 또는 광고시행업체에 의해 등록되더라도 단말장치별로 요구되는 해상도별 광고이미지를 자동 생성하게 되어 광고서비스를 위한 최적의 광고이미지로 모두 등록할 수가 있으므로 광고서비스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광고이미지 등록 시스템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광고이미지크기 변경장치의 상세 구성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광고이미지생성부의 상세 구성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광고이미지 등록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광고이미지크기 변경장치의 동작과정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광고이미지생성부의 동작과정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광고이미지 등록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지는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의 생성을 위한 광고이미지 크기에 대한 규격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 및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광고이미지 크기에 대한 규격으로 단말장치에 광고이미지가 출력되는 화면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고이미지 등록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광고이미지 등록 시스템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이미지 등록 시스템은 광고주 또는 광고시행업체에 의해 하나의 대표 광고이미지만이 등록되더라도 각종 단말장치에 적용되기 위한 해상도별 요구되는 다수의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등록하기 위한 구성을 갖춘다.
즉, 본 발명의 광고이미지 등록 시스템은 하나의 대표 광고이미지만 특정 해상도로 제공받더라도 다수의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자동으로 생성하지만, 둘 이상의 대표 광고이미지를 제공받는 경우에도 그 이상의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광고이미지 등록 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살펴보면, 광고주 또는 광고시행업체에 의해 대표 광고이미지를 통한 광고 등록이 요청되는 경우 제공받은 대표 광고이미지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의 생성을 요청하는 광고등록 관리장치(100) 및 광고등록 관리장치(100)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대표 광고이미지의 크기를 해상도별로 대응되는 이미지 크기로 변경하여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1 이상 생성하는 광고이미지크기 변경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광고등록 관리장치(100)는 대표 광고이미지를 통한 광고 등록이 요청되는 경우 제공받은 대표 광고이미지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광고이미지크기변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호출하여 광고이미지크기 변경장치(200)로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자동 생성해 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광고등록 관리장치(100)는 광고이미지크기변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호출할 때, 상기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의 생성을 위한 광고등록 조건정보를 광고이미지크기변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호출 프로세스를 통해 광고이미지크기 변경장치(200)로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광고등록 관리장치(100)에서 광고이미지크기변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호출함에 따라 광고이미지크기 변경장치(200)의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에 대한 생성 실행을 직접 개시하지 않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즉, 광고등록 관리장치(100)는 대표 광고이미지를 광고이미지크기 변경장치(200)로 전달하여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의 생성을 광고이미지크기 변경장치(200)에 요청하면, 광고이미지크기 변경장치(200)가 수신된 대표 광고이미지를 기초로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의 생성을 자체적으로 개시할 수 있다.
이후, 광고이미지크기 변경장치(100)는 생성된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광고등록 관리장치(100)로 전달하고, 이에 광고등록 관리장치(100)는 제공받은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미리 저장하고 있는 대표광고 이미지와 함께 광고 서비스를 위한 광고이미지로 등록 실행한다.
여기서,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라 함은 광고 서비스를 위한 등록 대상의 광고이미지 중 광고주 또는 광고시행업체로부터 제공받은 대표광고 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광고이미지를 일컫는다.
하지만, 광고주 또는 광고시행업체로부터 제공받은 대표광고 이미지가 광고 서비스로 등록되기 위한 해상도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광고등록 관리장치(100)는 광고이미지크기 변경장치(200)로 광고등록 조건에 부합하는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의 생성을 요청할 때, 광고등록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대표 광고이미지의 해상도 변환도 함께 요청할 수 있다.
광고이미지크기 변경장치(200)는 광고등록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대표 광고이미지를 광고등록 조건에 포함되는 해상도로 변환하고 변환된 해상도의 대표 광고이미지를 기초로 나머지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추가로 생성한다.
이후, 광고이미지크기 변경장치(200)는 생성된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광고등록 관리장치(100)에 제공한다. 즉, 이때의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는 대표 광고이미지를 기초로 변환된 나머지 1 이상의 광고이미지뿐만 아니라 상기 대표 광고이미지도 포함하게 된다.
이후, 광고등록 관리장치(100)는 광고이미지크기 변경장치(200)로부터 해상도별 구비되는 다수의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제공받는 경우, 제공받은 다수의 서비스용 광고이미지와 이미 구비하고 있던 대표 광고이미지를 광고서비스를 위한 광고이미지로 등록한다.
또한, 광고등록 관리장치(100)는 상기와 같이 광고 등록을 완료한 후 완료된 처리결과를 광고주 또는 광고시행업체에게 안내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로 하여 광고이미지크기 변경장치의 상세 구성을 살펴보면, 광고이미지크기 변경장치(200)는 광고등록 관리장치(100)로부터 광고 등록을 위한 대표 광고이미지를 제공받은 후 광고등록을 위한 각 서비스용 광고이미지에 대응되는 해상도 정보를 판정하는 판정부(210), 판정부(210)로부터 제공된 판정결과에 기초하여 대표 광고이미지와 대응되는 해상도 정보를 특정하여 추출하는 추출부(220), 대표 광고이미지의 해상도 정보를 토대로 이미지 생성의 대상이 되는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구분한 후 구분된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대표 광고이미지의 크기를 변경하여 생성하는 광고이미지생성부(230) 및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광고등록 관리장치(100)에 제공하는 광고이미지제공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판정부(210)는 광고등록 관리장치(100)로부터 광고 등록을 위한 대표 광고이미지를 제공받은 후 광고 등록에 대해 미리 정해진 광고등록 조건을 추출하고 추출된 광고등록 조건에 포함되는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의 개수 및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별 해상도 정보를 판정할 수 있다.
여기서, 광고등록조건이라 함은 광고서비스를 위한 각종 단말장치에 적용되기 위해 요구되는 다수의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의 개수 및 요구되는 각 광고이미지에 대한 해상도 정보를 포함하는 조건을 일컫는다.
또한, 판정부(210)는 광고등록 관리장치(100)로부터 광고이미지크기변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호출이 이루어져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에 대한 생성 실행이 개시된 경우, 광고이미지크기변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호출과 함께 제공되는 광고등록 조건정보를 기초로 하여 광고 분야 내지 광고 게재 매체를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판정부(210)가 제공된 광고등록 조건정보를 기초로 판정한 광고 분야가 '인-애플리케이션 광고'이고 '인-애플리케이션 광고'를 게재하기 위한 광고 게재 매체가 '모바일 통신장치'인 경우, 광고등록 조건정보로부터 '모바일 통신장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인-애플리케이션 광고'를 게재하기 위해 최적화된 관련 정보를 획득한다.
즉, 상기 최적화된 관련 정보는 각종 '모바일 통신장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대한 해상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해상도 정보는 '인-애플리케이션 광고'를 게재하기 위한 '모바일 통신장치'가 다수 존재하므로 다수의 '모바일 통신장치'에 대한 각각의 해상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판정부(210)는 광고등록 관리장치(100)로부터 광고이미지크기변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호출이 있었으나 광고등록 조건정보는 제공되지 않는 경우, 광고등록 관리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대표 광고이미지의 광고 속성을 기초로 광고등록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광고등록 조건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판정부(210)는 광고등록 관리장치(100)로부터 대표 광고이미지의 전달을 통한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의 생성이 요청되는 경우, 광고등록 관리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대표 광고이미지를 기초로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의 생성을 개시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추출부(220)는 판정부(210)를 통해 판정한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별 해상도 정보 중 대표 광고이미지의 해상도와 일치하는 제1 해상도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제1 해상도 정보와 상이한 해상도 규격으로 이루어진 1 이상의 제2 해상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대표 광고이미지는 광고주 또는 광고시행업체에 의해 생성되어 제공되는 것으로서, 광고등록 관리장치(100)로부터 제공된 대표 광고이미지는 상기 광고등록조건의 다수의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의 개수 중 하나가 될 것이고, 상기 광고등록조건에서 요구되는 다수의 해상도 정보 중 하나(즉, 제1 해상도 정보)를 충족하게 된다.
다만,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별 해상도 정보 중 대표 광고이미지의 해상도와 일치하는 제1 해상도 정보가 추출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는 광고등록 관리장치(100)로부터 제공된 대표 광고이미지의 해상도가 이미 광고등록 조건을 충족하지 않은 채로 제공된 경우가 될 수 있다.
이 경우의 추출부(220)는 광고등록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대표 광고이미지의 해상도와 일치하는 제1 해상도 정보를 추출하는 것이 불가하므로, 광고등록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대표 광고이미지에 대해 우선적으로 광고등록 조건을 충족하는 해상도를 갖도록 광고이미지생성부(230)에 이미지 변경을 요청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광고이미지생성부(230)는 추출부(220)로부터 광고등록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대표 광고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변경을 요청받으면, 이에 응답하여 광고등록 조건 중 어느 한 해상도를 충족할 수 있도록 대표 광고이미지의 크기를 변경한 후 변경된 대표 광고이미지에 대한 해상도 정보를 추출부(22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광고등록 조건 중 어느 한 해상도를 충족할 수 있도록 대표 광고이미지의 크기를 변경한다는 것은 광고등록 조건에 해당하는 어느 한 임의의 해상도를 충족할 수 있도록 대표 광고이미지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거나, 광고등록 관리장치(100)로부터 제공된 대표 광고이미지에 대한 해상도 정보를 기초로 하여 광고등록 조건에 포함되는 다수의 해상도 정보 중 최적으로 매칭률로 특정되는 특정 해상도 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특정 해상도 정보를 충족하도록 대표 광고이미지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광고등록 관리장치(100)로부터 제공된 대표 광고이미지에 대한 해상도 정보를 기초로 하여 광고등록 조건에 포함되는 다수의 해상도 정보 중 최적으로 매칭률로 특정하는 구성은, 판정부(210), 추출부(220) 및 광고이미지생성부(230) 중 어느 한 구성에 포함될 수 있다.
이후, 추출부(220)는 광고등록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대표 광고이미지에 대해 광고이미지생성부(230)로부터 광고등록 조건 중 어느 한 해상도를 충족하는 대표 광고이미지에 대한 해상도 정보를 제공받으면 광고등록 조건을 충족하는 대표 광고이미지의 해상도 정보를 제1 해상도 정보로 추출하고, 추출된 제1 해상도 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제1 해상도 정보와 상이한 해상도 규격으로 이루어진 제2 해상도 정보를 광고등록 조건에 해당하는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별 해상도 정보로부터 추출한다.
광고이미지생성부(230)는 추출부(220)로부터 1 이상의 제2 해상도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된 1 이상의 해상도 정보에 대응되는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대표 광고이미지의 크기를 변경하여 생성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광고이미지생성부(230)의 상세 구성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광고이미지생성부(230)는 제1 해상도 정보 및 1 이상의 제2 해상도 정보에 대응되는 2 이상의 이미지 비율정보를 판정하는 판정모듈(231), 2 이상의 이미지 비율정보 중 이미지 비율별로 대표되는 특정 해상도 정보를 지정하여 특정 해상도 그룹을 생성하는 그룹생성모듈(232), 특정 해상도 그룹 내에 대응되는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크기변환모듈(233) 및 특정 해상도 그룹 외에 대응되는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크기조절모듈(234)을 포함할 수 있다.
판정모듈(231)은 추출부(220)로부터 광고등록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대표 광고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변경을 요청받는 경우, 특정 해상도 그룹을 생성하지 않은 단계에서 이미지크기변환모듈(233) 또는 이미지크기조절모듈(234)로 광고등록 조건 중 어느 한 해상도를 충족할 수 있도록 대표 광고이미지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에 대한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이후, 판정모듈(231)은 이미지크기변환모듈(233) 또는 이미지크기조절모듈(234)에 의해 광고등록 조건 중 어느 한 해상도를 충족할 수 있도록 대표 광고이미지의 크기가 변경된 것이 확인되면, 변경된 대표 광고이미지에 대한 해상도 정보를 추출부(220)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이미지 비율정보라 함은 해당 해상도 정보를 구성하는 이미지의 가로 대비 세로에 대한 비율을 일컫는다.
그룹생성모듈(232)은 상기 언급된 2 이상의 이미지 비율정보 중 이미지 비율별로 대표되는 1 이상의 특정 해상도 정보를 미리 정해진 정보선택기준에 의해 선택한 후 1 이상의 특정 해상도 정보를 기초로 특정 해상도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그룹생성모듈(232)의 정보선택기준은 동일한 이미지 비율정보를 갖는 해상도 정보가 2 이상이면 2 이상의 해상도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특정 해상도 정보로 선택하기 위한 기준을 제시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2 이상의 해상도 정보 중에서 해상도가 높은 해상도 정보를 특정 해상도 정보로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이유는 이하 도 7에서 상술하고자 한다.
또한, 그룹생성모듈(232)의 정보선택기준은 동일한 이미지 비율정보를 갖는 해상도 정보가 2 이상이 아니고 단일 정보로 존재하는 경우이면, 단일의 특정 이미지 비율정보에 대응되는 해상도 정보를 상기에 언급된 특정 해상도 정보로 선택할 수 있다.
이미지크기변환모듈(233)은 특정 해상도 그룹 내의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대표 광고이미지의 크기를 변환하여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이미지크기변환모듈(233)은 대표 광고이미지의 크기를 이미지 비율정보를 유지한 채로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대표 광고이미지의 가로 대비 세로 비율을 재설정하기 위한 변환을 실행하여 기 설정되어 있던 이미지 비율정보를 변환하고자 하는 특정 해상도 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 비율정보로 변경한다.
이미지크기조절모듈(234)은 특정 해상도 그룹 외의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 이미지를 특정 해상도 그룹 내의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 중 동일한 이미지 비율정보와 대응되는 서비스용 광고 이미지를 추출한 후 동일한 이미지 비율정보와 대응되는 서비스용 광고 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하여 생성할 수 있다.
즉, 이미지크기조절모듈(234)은 기 설정되어 있던 이미지 비율정보를 유지하면서 특정 해상도 그룹 내의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특정 해상도 그룹 외의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광고이미지 등록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이미지 등록 시스템의 동작과정은 광고등록 관리장치(100)에서 광고주 또는 광고시행업체로부터 광고 게재하기 위한 대표 광고이미지를 제공받는 경우(S100), 제공받은 대표 광고이미지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다수의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자동 생성하기 위한 광고이미지크기변경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호출한다(S102).
광고이미지크기변경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의 호출에 의해 광고이미지크기 변경장치(200)가 동작하고(S104), 이후 광고이미지크기 변경장치(200)의 실행을 통해 광고등록 관리장치(100)로부터 제공받은 대표 광고이미지를 기초로 광고 등록에 요구되는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추가로 생성한다(S104).
S104 단계에서 추가로 생성하는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라 함은 광고 서비스를 위한 등록 대상의 광고이미지 중 광고주 또는 광고시행업체로부터 제공받은 대표광고 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광고이미지를 일컫는 것인데, 경우에 따라 광고주 또는 광고시행업체로부터 제공받은 대표광고 이미지가 광고 서비스로 등록되기 위한 해상도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광고등록 관리장치(100)는 광고이미지크기 변경장치(200)로 광고등록 조건에 부합하는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의 생성을 요청할 때, 광고등록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대표 광고이미지의 해상도 변환도 함께 요청할 수 있다.
광고이미지크기 변경장치(200)는 광고등록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대표 광고이미지를 광고등록 조건에 해상도로 변환하고 변환된 해상도의 대표 광고이미지를 기초로 나머지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추가로 생성한다.
또는, 광고등록 관리장치(100)가 광고주 또는 광고시행업체로부터 제공받은 대표광고 이미지에 대해 광고등록 조건을 충족하는 해상도로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별하지 않은 채로 해당 대표광고 이미지를 광고이미지크기 변경장치(200)로 제공한 경우이면, 광고이미지크기 변경장치(200)는 제공받은 대표 광고이미지에 대해 광고등록 조건을 충족하는지를 판정하기 위한 과정을 추가로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광고이미지크기 변경장치(200)는 S104단계에서 생성한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광고등록 관리장치(100)에 제공하고(S106), 광고등록 관리장치(100)는 제공받은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기존 구비하고 있던 대표 광고이미지와 함께 광고 서비스를 위한 광고이미지로 등록한다(S108).
S108 단계에서, 광고등록 관리장치(100)는 기존 구비하고 있던 대표 광고이미지에 대해서도 광고이미지크기 변경장치(200)로부터 광고등록 조건에 부합하도록 이미지 변경하여 제공받은 경우, 광고이미지크기 변경장치(200)로부터 제공된 대표 광고이미지와 이외의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광고 서비스를 위한 광고이미지로 등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광고등록 관리장치(100)는 광고 등록 완료 후 그 결과에 대해 광고주에게 통보할 수도 있다(S110).
도 5를 참조로 하는 광고이미지크기 변경장치의 동작과정은 광고이미지크기 변경장치(200)의 판정부(210)에서 광고이미지크기변경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의 호출에 의해 동작하여 광고등록 관리장치(100)로부터 대표 광고이미지를 제공받는다(S200).
이후, 판정부(210)는 광고 등록에 요구되는 광고등록 조건을 추출하여 추출된 광고등록 조건을 통해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의 개수 및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별 해상도 정보를 판정한 후 이러한 판정 결과를 추출부(220)에 제공한다(S202 내지 S206).
이 과정에서 판정부(210)는 광고등록 관리장치(100)로부터 광고이미지크기변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호출이 있었으나 광고등록 조건정보는 제공되지 않는 경우, 광고등록 관리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대표 광고이미지의 광고 속성을 기초로 광고등록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광고등록 조건정보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판정부(210)는 광고등록 관리장치(100)로부터 대표 광고이미지의 전달을 통한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의 생성이 요청되는 경우, 광고등록 관리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대표 광고이미지를 기초로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의 생성을 개시하여 S200 단계 이후의 과정을 실행할 수 있는 단계를 추가 실행할 수 있다.
추출부(220)는 판정부(210)로부터 제공받은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대표 광고이미지의 해상도 정보와 일치하는 제1 해상도 정보를 추출한다(S208).
S208 단계의 추출부(220)는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별 해상도 정보 중 대표 광고이미지의 해상도와 일치하는 제1 해상도 정보가 추출되지 않는 경우, 광고등록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대표 광고이미지의 해상도와 일치하는 제1 해상도 정보를 추출하는 것이 불가하므로, 광고등록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대표 광고이미지에 대해 우선적으로 광고등록 조건을 충족하는 해상도를 갖도록 광고이미지생성부(230)에 이미지 변경을 요청하는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추출부(220)로부터 광고등록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대표 광고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변경을 요청을 받은 광고이미지생성부(230)는 광고등록 조건 중 어느 한 해상도를 충족할 수 있도록 대표 광고이미지의 크기를 변경한 후 변경된 대표 광고이미지에 대한 해상도 정보를 추출부(220)에 제공하는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추출부(220)는 광고등록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대표 광고이미지에 대해 광고이미지생성부(230)로부터 광고등록 조건 중 어느 한 해상도를 충족하는 대표 광고이미지에 대한 해상도 정보를 제공받으면 광고등록 조건을 충족하는 대표 광고이미지의 해상도 정보를 제1 해상도 정보로 추출하는 과정을 추가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추출부(220)에서 제1 해상도 정보를 추출한 후에는 S208 단계에서 추출한 제1 해상도 정보와 상이한 해상도 규격으로 이루어진 1 이상의 제2 해상도 정보를 추출하고(S210), S210 단계에서 추출한 1 이상의 제2 해상도 정보를 광고이미지생성부(230)로 제공한다(S212).
이에, 광고이미지생성부(230)은 S212 단계에서 제공받은 1 이상의 제2 해상도 정보를 이미 구비하고 있는 대표 광고이미지의 크기를 변경하여 생성한다(S214).
여기서, 대표 광고이미지의 크기를 변경이라 함은 대표 광고이미지의 크기를 이미지 변환 방식을 통해 이미지 비율이 상이한 전혀 다른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생성하는 것과, 대표 광고이미지의 크기를 이미지 변환 방식을 통해 생성된 서비스용 광고이미지의 크기를 축소(즉, 이미지 비율은 동일하게 유지됨)하여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광고이미지생성부(230)은 S214 단계에서 생성된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광고이미지제공부(240)로 제공한다(S216).
이후, 광고이미지제공부(240)는 S216 단계를 통해 제공받은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광고등록 관리장치(100)로 전달한다(S218).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광고이미지생성부(230)의 동작과정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이미지생성부(230)의 상세 동작과정은 광고이미지생성부(230)의 판정모듈(231)에서 제1 해상도 정보 및 1 이상의 제2 해상도 정보에 대응되는 2 이상의 이미지 비율정보를 판정한 후(S300), S300 단계의 판정 결과를 그룹생성모듈(232)로 전달한다(S302).
S300 단계의 판정모듈(231)은 추출부(220)로부터 광고등록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대표 광고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변경을 요청받는 경우, 특정 해상도 그룹을 생성하지 않은 단계에서 이미지크기변환모듈(233) 또는 이미지크기조절모듈(234)로 광고등록 조건 중 어느 한 해상도를 충족할 수 있도록 대표 광고이미지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에 대한 요청을 전달하는 과정을 추가로 실행할 수 있다.
이후, 판정모듈(231)은 이미지크기변환모듈(233) 또는 이미지크기조절모듈(234)에 의해 광고등록 조건 중 어느 한 해상도를 충족할 수 있도록 대표 광고이미지의 크기가 변경된 것이 확인되면, 변경된 대표 광고이미지에 대한 해상도 정보를 추출부(220)로 제공하는 과정을 추가로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S302 단계 이후, 그룹생성모듈(232)은 이미지 비율별로 대표되는 1 이상의 특정 해상도 정보를 기초로 특정 해상도 그룹을 생성한다(S304).
그룹생성모듈(232)은 S304 단계에서 생성한 그룹생성 정보를 이미지크기변환모듈(233)으로 제공한다(S306).
이에, 이미지크기변환모듈(233)은 S306 단계를 통해 제공받은 그룹생성 정보를 근거로 하여 특정 해상도 그룹 내에 속하는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이미 구비된 대표 광고이미지의 크기를 변환하는 방식으로 생성하고(S308 및 S310), 생성된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이미지크기조절모듈(234)로 제공한다(S312).
이미지크기조절모듈(234)은 제공받은 특정해상도 그룹 내의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에 대해 이미지 비율정보를 유지한 채로 그 크기를 조절하는 방식을 통해 특정 해상도 그룹 외의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생성한다(S314 및 S316).
이후, 이미지크기조절모듈(234)은 특정해상도 그룹 내/외의 전체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광고이미지 제공부(240)로 제공한다(S318).
도 7를 참조로 하여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의 생성을 위한 구성을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일례로 광고등록조건이 10개의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등록하여야 하는 경우, 광고이미지생성부(230)는 대표 광고이미지를 제공받으면 10개의 서비스용 광고이미지 중 1개를 확보한 것이 되고, 나머지 9개의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대표 광고이미지를 기초로 해서 자동으로 생성한다.
나머지 9개의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대표 광고이미지를 기초로 해서 자동으로 생성하는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추출부(220)가 10개의 해상도 정보 중 대표 광고이미지와 일치하는 제1 해상도 정보를 추출한다.
즉, 도 7의 해상도 정보 중 '800 × 1280'를 제1 해상도 정보라 하면 '720 × 1280' 내지 '240 × 320'에 대응되는 해상도 정보를 각각 제2 해상도 정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해상도 정보에 해당하는 '800 × 1280'에 대한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는 확보된 상태이므로, '720 × 1280' 내지 '240 × 320'에 대응되는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광고이미지생성부(230)는 '800 × 1280' 크기의 해상도를 갖는 대표 광고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크기를 '720 × 1280' 내지 '240 × 320'에 각각 대응하도록 변경한 후 변경한 이미지를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로 저장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즉, 광고이미지생성부(230)의 판정모듈(231)에서 제1 해상도 정보(예: 도 7의 '800 × 1280'에 대응되는 정보) 및 1 이상의 제2 해상도 정보(예: 도 7의 '720 × 1280' 내지 '240 × 320' 중 1 이상에 대응되는 정보)에 대응되는 2 이상의 이미지 비율정보(예: 도 7의 '1.33' 내지 1.78 중 2 이상에 대응되는 정보)를 판정한 후, 판정 결과를 그룹생성모듈(232)로 전달할 수 있다.
즉, 광고이미지생성부(230)의 판정모듈(231)은 '800 × 1280'인 제1 해상도 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 비율정보인 '1.60'를 판정한다.
또한, 판정모듈(231)은 제2 해상도 정보에 대한 이미지 비율정보도 판정하게 되며, '1.78' 내지 '1.33'에 해당하는 정도들이 모두 제2 해상도 정보에 대한 이미지 비율정보이다.
그룹생성모듈(232)은 이미지 비율별로 대표되는 1 이상의 특정 해상도 정보(예: 도 7의 '1.78'의 이미지 비율에 대응되는 해상도 정보는 '720 × 1280', '540 × 960', '480 × 854'가 있으며, 이 중에서 '720 × 1280'를 특정 해상도 정보로 선택하는 것이 가능)를 기초로 특정 해상도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그룹생성모듈(232)은 판정모듈(231)을 통해 판정된 이미지 비율정보들을 재구성하며, 이미지 비율별로 대표되는 1 이상의 특정 해상도 정보를 선택한다.
즉, 1 이상의 특정 해상도 정보라 함은 '1.60', '1.78', '1.33', '1.50', 및 '1.71'가 해당된다. 즉, 이외에 해당하는 이미지 비율정보는 존재하지 아니한다. 다만, 동일한 이미지 비율정보가 다수 존재할 뿐이다.
'1.67'은 상기 특정 해상도 정보에 포함되지는 않지만 해상도 판정 면에서 '1.78'의 이미지 비율을 나타내는 해상도 정보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사용 가능하여 별도로 구분하지 않았다.
즉, 시스템 구비시에 이와 같이 임의 적으로 해상도 구분에 큰 문제가 되지 않는 수준이면 수치상 구분되는 정보라 할지라도 유사한 해상도 레벨과 통합하여 이미지 생성구성을 운영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1.60', '1.78', '1.33', '1.50', 및 '1.71'의 특정 해상도 정보들이 속한 규격을 특정 해상도 그룹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이미지크기변환모듈(233)은 특정 해상도 그룹 내의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대표 광고이미지의 크기를 변환하는 방식으로 관련 이미지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800 × 1280'인 대표 광고이미지와 '720 × 1280'의 광고이미지는 그 이미지 비율이 상이하므로 '800 × 1280'인 대표 광고이미지를 '720 × 1280'의 광고이미지 크기에 맞게 이미지 자체를 변환한다.
반면에, 이미지크기조절모듈(234)은 특정 해상도 그룹 내에 속한 이미지 비율정보와 동일한 이미지 비율정보이나 특정 해상도 그룹 내에 속하지 아니한 해상도 규격에 대한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구성이다.
예를 들면, '540 × 960'의 해상도 규격에 대한 이미지 비율정보는 '1.78'로서 특정 해상도 그룹의 '720 × 1280'의 해상도 규격에 대한 이미지 비율정보와 동일하나, 해상도 규격 면에서 구분된다.
이러한 경우, 이미지크기조절모듈(234)은 특정 해상도 그룹에 대한 서비스용 광고이미지 생성을 이미 완료한 상태이므로, '720 × 1280'의 해상도 규격에 대한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추출한 후 추출한 '720 × 1280'의 해상도 규격에 대한 서비스용 광고이미지의 크기를 '540 × 960'의 해상도 규격을 갖도록 축소 조절하는 방식으로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생성한다.
이는, '720 × 1280'의 해상도 규격과 '540 × 960'의 해상도 규격의 이미지 비율이 동일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즉, 이미지크기조절모듈(234)은 이미 생성된 서비스용 광고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별도의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이므로, 이미지 자체를 생성하기 위한 이미지 변환 과정을 거치지 않는다.
이미지크기조절모듈(234)은 해상도 규격이 큰 광고이미지를 해상도 규격이 작은 광고이미지로 축소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해상도가 큰 이미지를 작은 해상도의 이미지로 조절할 경우에는 이미지 손상이 매우 적으나, 작은 해상도의 이미지를 큰 해상도의 이미지로 조절하게 되면 이미지 손상이 커지기 때문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광고이미지 크기에 대한 규격으로 단말장치에 광고이미지가 출력되는 화면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등록 관리장치(100)는 인-애플리케이션 광고를 위한 바(Bar)형 배너 광고이미지를 광고이미지크기 변경장치(200)로부터 특정 단말장치에 대응되는 해상도로 제공받아 광고 등록할 수 있다.
이에 광고 서비스를 실행하게 되면, 상기 특정 단말장치는 광고 서비스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시 광고등록 관리장치(100)에 대응되는 해상도로 등록된 광고이미지를 제공받은 후 제공받은 광고이미지를 인-애플리케이션 광고(A)의 형태로 출력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광고주 또는 광고시행업체에 의해 하나의 광고이미지만을 등록하더라도 광고를 게재하는 단말장치별 해상도에 부합할 수 있도록 각 해상도에 대응되는 광고이미지를 자동으로 다수 생성하여 광고 등록함으로써 광고주 또는 광고시행업체에 의해 이루어지는 광고이미지의 등록 절차를 시스템적으로 간소화하기 위한 것임에 따라,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광고등록 관리장치 200: 광고이미지크기 변경장치
210: 판정부 220: 추출부
230: 광고이미지생성부 231: 판정모듈
232: 그룹생성모듈 233: 이미지크기변환모듈
234: 이미지크기조절모듈 240: 광고이미지제공부

Claims (10)

  1. 삭제
  2. 광고 등록을 위한 대표 광고이미지를 제공받은 후 상기 광고 등록에 대해 미리 정해진 광고등록 조건을 추출하고 상기 광고등록 조건에 포함되는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의 개수 및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별 해상도 정보를 판정하는 판정부;
    상기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별 해상도 정보 중 상기 대표 광고이미지의 해상도와 일치하는 제1 해상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제1 해상도 정보와 상이한 해상도 규격으로 이루어진 1 이상의 제2 해상도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및
    상기 1 이상의 제2 해상도 정보에 대응되는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상기 대표 광고이미지의 크기를 변경하여 생성하는 광고이미지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고이미지생성부는,
    상기 제2 해상도 정보에 대응되는 2 이상의 이미지 비율정보 중 동일한 이미지 비율에 대응되는 제1 및 제2 이미지 비율정보가 존재하며 해상도 정보가 상기 제2 이미지 비율정보 보다 상기 제1 이미지 비율정보가 더 높은 경우, 상기 제1 이미지 비율정보에 대응되는 서비스용 광고 이미지를 축소하여 상기 제2 이미지 비율정보에 대응되는 서비스용 광고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이미지크기 변경장치.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이미지생성부는,
    상기 제1 해상도 정보 및 상기 2 이상의 이미지 비율정보를 판정하는 판정모듈;
    상기 2 이상의 이미지 비율정보 중 이미지 비율별로 대표되는 1 이상의 특정 해상도 정보를 미리 정해진 정보선택기준에 의해 선택한 후 상기 1 이상의 특정 해상도 정보를 기초로 특정 해상도 그룹을 생성하는 그룹생성모듈;
    상기 특정 해상도 그룹 내의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상기 대표 광고이미지의 크기를 변환하여 생성하는 이미지크기변환모듈; 및
    상기 특정 해상도 그룹 외의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 이미지를 상기 특정 해상도 그룹 내의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 중 동일한 이미지 비율정보와 대응되는 서비스용 광고 이미지를 추출한 후 상기 동일한 이미지 비율정보와 대응되는 서비스용 광고 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하여 생성하는 이미지크기조절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이미지크기 변경장치.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생성모듈은 상기 정보선택기준을 동일한 이미지 비율에 대응되는 2 이상의 이미지 비율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동일한 이미지 비율에 대응되는 2 이상의 이미지 비율정보 중 해상도가 높은 이미지 비율정보를 상기 특정 해상도 정보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이미지크기 변경장치.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상기 광고 등록을 위해 상기 대표 광고이미지의 변경을 요청한 대상에 대한 응답으로 제공하는 광고이미지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이미지크기 변경장치.
  6. 삭제
  7. 삭제
  8. 광고이미지크기 변경장치에서 광고 등록을 위한 대표 광고이미지를 제공받은 후 상기 광고 등록에 대해 미리 정해진 광고등록 조건을 추출하고 상기 광고등록 조건에 포함되는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의 개수 및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별 해상도 정보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별 해상도 정보 중 상기 대표 광고이미지의 해상도와 일치하는 제1 해상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해상도 정보와 상이한 해상도 규격으로 이루어진 1 이상의 제2 해상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1 이상의 제2 해상도 정보에 대응되는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상기 대표 광고이미지의 크기를 변경하여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해상도 정보에 대응되는 2 이상의 이미지 비율정보 중 동일한 이미지 비율에 대응되는 제1 및 제2 이미지 비율정보가 존재하며 해상도 정보가 상기 제2 이미지 비율정보 보다 상기 제1 이미지 비율정보가 더 높은 경우, 상기 제1 이미지 비율정보에 대응되는 서비스용 광고 이미지를 축소하여 상기 제2 이미지 비율정보에 대응되는 서비스용 광고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이미지의 크기 변경 방법.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해상도 정보 및 상기 2 이상의 이미지 비율정보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2 이상의 이미지 비율정보 중 이미지 비율별로 대표되는 1 이상의 특정 해상도 정보를 미리 정해진 정보선택기준에 의해 선택한 후 상기 1 이상의 특정 해상도 정보를 기초로 특정 해상도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특정 해상도 그룹 내의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상기 대표 광고이미지의 크기를 변환하여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해상도 그룹 외의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 이미지를 상기 특정 해상도 그룹 내의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 중 동일한 이미지 비율정보와 대응되는 서비스용 광고 이미지를 추출한 후 상기 동일한 이미지 비율정보와 대응되는 서비스용 광고 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하여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 해상도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선택기준을 동일한 이미지 비율에 대응되는 2 이상의 이미지 비율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동일한 이미지 비율에 대응되는 2 이상의 이미지 비율정보 중 해상도가 높은 이미지 비율정보를 상기 특정 해상도 정보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이미지의 크기 변경 방법.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도별 서비스용 광고이미지를 상기 광고 등록을 위해 상기 대표 광고이미지의 변경을 요청한 대상에 대한 응답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이미지의 크기 변경 방법.
KR1020120015979A 2012-02-16 2012-02-16 광고이미지 등록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887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979A KR101887423B1 (ko) 2012-02-16 2012-02-16 광고이미지 등록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979A KR101887423B1 (ko) 2012-02-16 2012-02-16 광고이미지 등록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4598A KR20130094598A (ko) 2013-08-26
KR101887423B1 true KR101887423B1 (ko) 2018-08-13

Family

ID=49218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5979A KR101887423B1 (ko) 2012-02-16 2012-02-16 광고이미지 등록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74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678B1 (ko) 2016-06-27 2017-02-01 유재성 저작권 부여된 광고 이미지 보안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190089B1 (ko) * 2020-02-18 2020-12-11 이수모 반응형 홍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6640A (ja) * 2009-02-02 2010-08-12 Toppan Printing Co Ltd 画像生成装置、画像配信システム、及び画像生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0625A (ko) * 2009-11-30 2011-06-08 (주)아이엔인터렉티브 모바일 광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6640A (ja) * 2009-02-02 2010-08-12 Toppan Printing Co Ltd 画像生成装置、画像配信システム、及び画像生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4598A (ko) 2013-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15512A2 (en) Location based information delivery
US20110035282A1 (en) Consumer Sensitive Electronic Billboards
US2015028708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dvertising services to devices
CN104618813A (zh) 弹幕信息处理方法、客户端及服务平台
US20100010900A1 (en) System and method of interactive area advertisement using multicast transmitting
US2018029361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ntegrating applications into a content recommendation network
KR101887423B1 (ko) 광고이미지 등록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2312420B1 (ko) 빅데이터 기반 인공지능 학습을 이용한 디지털 광고 솔루션 제공 방법 및 장치
EP312707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dvertising services to devices with an advertising exchange
US20110218861A1 (en) Transform for Display of Advertisements on a Variety of Different Mobile Handheld Devices
US201300946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dial tone and a ring tone
JP2008021042A (ja) 情報配信装置、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配信方法、情報配信プログラム
US20070110032A1 (en) DSL prospecting system and method
JP5705194B2 (ja) 情報配信装置、情報配信方法、及び、情報配信プログラム
JP2007272660A (ja) 広告配信システム及び広告配信方法
US2009021050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consumer good
JP5738830B2 (ja) 情報配信装置、情報配信方法、及び、情報配信プログラム
CN113051477A (zh) 内容推荐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
US201300543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ly providing advertisement
KR101909253B1 (ko) 재핑 타임에 광고 알림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652645B1 (ko) 사용자 참여형 광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20150121732A (ko) 광고탑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관리서버의 광고방법 및 그 광고관리서버
KR20150055128A (ko) 광고관리서버 및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방법, 및 그 방법에 관한 프로그램 분배 서버
KR101613293B1 (ko) 휴대 단말용 앱 생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앱 서비스 방법
KR100926359B1 (ko) 광고용 동기식 멀티미디어 통합 언어(smil) 메시지프레임워크 제공에 따른 전송 과금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