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297B1 - 통증 완화 장치 - Google Patents

통증 완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297B1
KR101887297B1 KR1020170002107A KR20170002107A KR101887297B1 KR 101887297 B1 KR101887297 B1 KR 101887297B1 KR 1020170002107 A KR1020170002107 A KR 1020170002107A KR 20170002107 A KR20170002107 A KR 20170002107A KR 101887297 B1 KR101887297 B1 KR 101887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
cylindrical tunnel
rod
predetermined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2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0946A (ko
Inventor
오승민
Original Assignee
오승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승민 filed Critical 오승민
Priority to KR1020170002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297B1/ko
Publication of KR20180080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0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04Magnetotherapy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therapy
    • A61N2/008Magnetotherapy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therapy for pain treatment or analg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02Magnetotherapy in combination with anothe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6Magnetotherapy using magnetic fields produced by permanent magn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이 발명에 따른 통증 완화 장치는, 경혈, 통증이 발생한 직접부위 또는 기타 치료점을 자극하여 통증을 완화시키는 장치(100)로서, 위 장치(100)의 양끝에 각각 설치되고, 한 쪽 끝에는 막대부(12)가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한 쪽 끝에는 촉(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위 장치(100)의 사용시 사용자가 통증 완화를 위해 경혈, 통증이 발생한 직접부위 또는 기타 치료점을 소정 시간 동안 직접 눌러주기 위한 촉부(10): 위 장치(100)의 양끝에 설치된 촉부들(10) 사이를 이어주고 위 장치(100)를 전체적으로 감싸주는 몸체부(30); 위 각각의 촉부(10)와 몸체부(30) 사이에 배치되고 촉부(10)를 보호해주며 중심에는 원통형 터널(22)이 형성되어 있어서 촉부(10)의 막대부(12)가 관통할 수 있고 원통형 터널(22)의 한쪽 끝에는 깔때기 모양의 갓부(24)가 형성되어 있어서 갓부(24)의 밖으로 촉(14)이 노출되어 있도록 해주며 원통형 터널(22)의 외주면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내주면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지 않는 촉부덮개(20); 위 몸체부(30)의 내부에 몸체부(30) 양단부(35)를 관통하여 환형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삽입구멍(40); 위 다수개 삽입구멍(40)의 각각에 삽입되며 몸체부(30)와 같은 길이를 갖는 소정 굵기의 막대형 자석(50); 위 촉부(10)와 몸체부(30)를 연결시켜주기 위해 숫나사가 외부에 형성된 소정 길이의 연결부(60); 위 연결부(60)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위 몸체부(30)의 양단부(35) 중심에 소정 깊이로 형성되고 연결부(60)를 고정하기 위한 암나사가 내부에 형성된 연결부 삽입구멍(70); 및 한 쪽 끝에는 소정 길이의 원통형 터널(82)이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엔 암나사부(83)가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 한 쪽 끝에는 원판(84)이 형성되어 서로 일체를 이루고 있고 원판(84)의 가운데에는 원통형 터널(82)과 같은 직경의 구멍(86)이 형성되어 있어서 위 연결부(60)의 한 쪽 끝이 연결부 삽입구멍(70)에 삽입되어 고정되면 연결부(60)의 다른 한 쪽 끝이 원판(84)쪽 구멍(86)을 통해 원통형 터널(82)에 삽입되어 갓부(24)가 원판(84)에 밀착되도록 고정하고 원판(84)과 맞은편의 원통형 터널(82) 안으로 원통형 터널(22)이 삽입되어 촉부덮개(20)가 몸체부(30)에 고정되도록 해주는 와샤부(8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위 막대부(12)의 외주면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서 막대부(12)가 원통형 터널(22) 내에서 소정의 간격만큼 막대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통증 완화 장치{A device for reducing pains}
이 발명은 통증 완화 장치에 대한 것이다. 특히 한의원, 물리치료실, 대체의학 연구자 및 수지침 사용자 등이 사용하기에 적합한 통증 완화 장치에 대한 것이다. 이 발명의 장치는 꼭 한의원나 물리치료실에 가지 않더라도 일반인이 간편하게 짧은 시간 동안만 사용하여도 통증 완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한 장치들이 종래에 다수 있었다. 이 발명과 같이 자석을 이용한 기존의 통증 완화 장치들은 자석을 이용하기는 하지만 압통 부위와 접촉하는 촉이 뽀족하여 위험할뿐만 아니라 지압봉으로 사용(치료 또는 지압)시에도 상당한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았다.
한편, 이 특허출원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자반'이란 용어는, 구조가 직경 2㎜, 두께 1㎜의 자석이 동그랗게 모아진 모양이고 특정 혈자리나 근육의 종지점과 기시점에 또는 근육에 테이프를 이용하여 수일동안 붙여두어서 통증을 완화시키는 치료 방법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자반의 장점은, 크기가 작아서 이물감이 덜해 몸에 장시간 붙여둘 수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자반의 단점은, 크기가 작다보니 자력이 약해서 치료 효과가 적거나 때에 따라서는 없기도 하다는 점이다.
그리고 근육 등의 통증 완화장치에 대한 종래 기술로서 (주)제니센의 제니센(jenesen) 터치포인터와 한국전통물리치료학회에서 개발한 BEE(Bio-Energy-Equilibrator)가 있으며 이들에 대하여 검토해보면 다음과 같다. 제니센 터치포인터와 BEE는 직경 5~6㎜의 원통형 자석 및 바이오 세라믹 분말 등으로 구성되여 있으며 특정혈자리나 특정 근육에 갖다 대어 효과를 보고자 고안된 제품이다. 이들 종래 기술의 장치는 촉을 자석에 직접 접촉하여 굵기를 줄일 수 있어서 볼펜과 비슷한 크기와 무게로 이루어져서 휴대가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BEE의 경우 피부와 접촉시 통증이 극심하여 거부감을 갖게 할 수 있다는 단점도 있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경제활동 및 여가 활동의 증가, 장수하는 노인인구의 증가와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인해 종래의 단점들을 보완하고, 기존의 장점보다 더 뛰어난 효과가 얻어지는 통증 완화장치에 대한 수요가 점증하였고 이러한 환경이 이 발명 탄생의 기술적 배경이 되었다.
이 발명과 관련성이 조금이라도 있다고 사료되는 선행 특허문헌들은, 한국등록실용신안 20-0472215, 한국등록특허 10-0798470, 한국등록실용신안 20-0462676 및 한국등록실용신안 20-0463332이다. 그러나 이들 선행기술들은 나름의 장점은 가지고 있지만 이 발명이 가지고 있는 기술적 사상과 효과를 가져다 주지 않았고, 더구나 그 구성도 상당한 차이가 있을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어떠한 암시도 힌트도 주지 않았다.
이 발명은 위에 기술한 종래 기술들이 갖고 있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통증 완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그리고 이 발명의 다른 목적과 장점은 아래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읽고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 발명에 따른 경혈, 통증이 발생한 직접부위 또는 기타 치료점을 자극하여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한 장치(100)의 해결수단은,
위 장치(100)의 양끝에 각각 설치되고, 한 쪽 끝에는 막대부(12)가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한 쪽 끝에는 촉(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위 장치(100)의 사용시 사용자가 통증 완화를 위해 경혈, 통증이 발생한 직접부위 또는 기타 치료점을 소정 시간 동안 직접 눌러주기 위한 촉부(10):
위 장치(100)의 양끝에 설치된 촉부들(10) 사이를 이어주고 위 장치(100)를 전체적으로 감싸주는 몸체부(30);
위 각각의 촉부(10)와 몸체부(30) 사이에 배치되고 촉부(10)를 보호해주며 중심에는 원통형 터널(22)이 형성되어 있어서 촉부(10)의 막대부(12)가 관통할 수 있고 원통형 터널(22)의 한쪽 끝에는 깔때기 모양의 갓부(24)가 형성되어 있어서 갓부(24)의 밖으로 촉(14)이 노출되어 있도록 해주며 원통형 터널(22)의 외주면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내주면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지 않는 촉부덮개(20);
위 몸체부(30)의 내부에 몸체부(30) 양단부(35)를 관통하여 환형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삽입구멍(40);
위 다수개 삽입구멍(40)의 각각에 삽입되며 몸체부(30)와 같은 길이를 갖는 소정 굵기의 막대형 자석(50);
위 촉부(10)와 몸체부(30)를 연결시켜주기 위해 숫나사가 외부에 형성되고 내부에는 원통형 터널(65)이 형성되어 있고 원통형 터널(65)의 내부에는 암나사가 형성된 소정 길이의 연결부(60);
위 연결부(60)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위 몸체부(30)의 양단부(35) 중심에 소정 깊이로 형성되고 연결부(60)를 고정하기 위한 암나사가 내부에 형성된 연결부 삽입구멍(70); 및
한 쪽 끝에는 소정 길이의 원통형 터널(82)이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엔 암나사부(83)가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 한 쪽 끝에는 원판(84)이 형성되어 서로 일체를 이루고 있고 원판(84)의 가운데에는 원통형 터널(82)과 같은 직경의 구멍(86)이 형성되어 있어서 위 연결부(60)의 한 쪽 끝이 연결부 삽입구멍(70)에 삽입되어 고정되면 연결부(60)의 다른 한 쪽 끝이 원판(84)쪽 구멍(86)을 통해 원통형 터널(82)에 삽입되어 나사식으로 체결되어 고정되고, 촉부덮개(20)의 원통형 터널(22)이 구멍(86)을 통해 원통형 터널(82)에 삽입되어 나사식으로 체결되어 고정됨으로써 갓부(24)의 끝 부분(26)이 원판(84)에 밀착되게 고정되고, 촉부덮개(20)의 끝 부분(28)을 통해 막대부(12)가 원통형 터널(65) 안으로 삽입되면 자석들(50)의 자력에 의해 막대부(12)가 촉부덮개(2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해주는 와샤부(80);
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위 막대부(12)의 외주면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서 막대부(12)가 원통형 터널(22) 내에서 소정의 간격만큼 막대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수 있도록 해주며,
사용자가 위 장치(100)를 손으로 잡고 경혈, 통증이 발생한 직접부위 또는 기타 치료점을 자극하기 위해 그 위에 촉부(10)를 갖다대고 소정의 시간 동안 소정의 압력으로 누르면 막대부(12)가 소정 길이만큼 원통형 터널(65) 안으로 들어가며 해당 부위에 자극을 주고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막대부(12)가 위 몸체부(30)의 단부에 환형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자석들(50)의 힘에 의해 원 위치로 되돌아오며 통증 완화에 기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실시예에서, 위 자석(50)은 6개이고, 자석(50)의 직경은 2 내지 8㎜, 자석의 길이는 20 내지 200㎜인 원기둥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위 촉(14)의 끝부분은 경혈, 통증이 발생한 직접부위 또는 기타 치료점과의 접촉면적을 늘리고, 치료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가닥으로 나누어지고, 촉(14)은 피부와 접촉시 피부에 상처를 주지 않도록 금으로 도금된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촉(14)의 외표면은 자력선이 부드럽게 통과할 수 있도록 유선형 모양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경혈, 통증이 발생한 직접부위 또는 기타 치료점에서 통증 완화를 위해서는 적어도 30초 이상 동안 위 장치(100)를 해당 부위에 대고 있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경혈, 통증이 발생한 직접부위 또는 기타 치료점에서 통증 완화를 위해서는 20분 이상 동안 위 장치(100)를 해당 부위에 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위 통증 완화 장치(100)는 몸체부(30)의 표면에 다른 통증 완화 장치(100)와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하기 위한 결합수단(36)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위 결합수단(36)은 암놈 결합부와 숫놈 결합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숫놈 결합부는 하나의 구형 볼록부(36a)와 구형 볼록부(36a)의 양쪽에 가이드부(36c)를 구비하고 있고, 암놈 결합부는 직선형으로 소정 간격으로 배열된 다수의 구형 오목부(36c)와 구형 오목부(36c)들의 양쪽에 가이드부(36d)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각의 통증 완화 장치(100)는 숫놈 결합부 또는 암놈 결합부를 가지고 있고, 암놈 결합부를 가진 장치(100)와 숫놈 결합부를 가진 장치(100)끼리만 결합이 가능하며, 결합시에는 두 가이드부(36c,36d)가 슬라이드식으로 결합되며 한쪽 장치(100)의 가이드부가 다른쪽 장치(100)의 가이드부 안쪽으로 안내되고, 숫놈 결합부의 구형 볼록부(36a)가 암놈 결합부의 구형 오목부(36c)들 가운데 하나의 오목부와 결합되며, 원하는 구형 오목부(36c)가 선택되면 구형 볼록부(36a)를 소정의 압력으로 눌러서 선택된 구형 오목부(36c)에 삽입시키고, 구형 오목부(36c)의 밑면에는 소정의 탄성수단이 설치되어 있어서 구형 오목부(36c)는 압력에 의해 위아래로 소정의 유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위 통증 완화 장치(100)는 통증 완화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2, 3, 6개를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병렬로 연결되는 다수의 통증 완화 장치(100)들은 수평면 상에서 각 촉부(10)의 위치가 서로 다르게 배치 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에서, 경혈, 통증이 발생한 직접부위 또는 기타 치료점을 자극하기 위 장치(100)로 해당 부위를 눌러주는 경우 위 막대부(12)의 바람직한 직선 이동 길이는 2 내지 3mm 인 것이 특징인, 통증 완화 장치.
이 고안은 치료기(지압봉) 끝의 촉을 종래의 한 가닥인 것을 다수개(이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6 가닥)로 늘려서 자력을 분산시켜 ?증을 훨씬 감소시키고 자력이 분산되는 관계로 촉이 한 가닥일 때에 비해 효과도 수배(이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5 ~ 10배)로 향상 되었다.
또한 촉이 자석과 직접 연결된 종래의 치료기나 지압봉과는 달리 다수 개의 자석의 중앙에 위치하여 직접적인 자력전달이 아닌 간접적인 자력전달로 인하여 시술시 통증의 경감은 물론 자석의 극성 배열을 통해 치료 효과가 향상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발명의 장치는 지압봉으로도 사용 가능하여 통증이 있는 특정부위나 근육통이 있는 부위에 여타 지압봉처럼 강하게 누르지 않고 지긋이 누르고만 있어도 효과가 있다. 자석의 극성 배열을 고려한 자력에 의한 경혈 자극의 극대화. 경결되거나 이완된 근육에 대어 근육의 생리적 변화를 통한 혈행의 개선과 통증완화의 효과가 있다.
이 발명의 장치는 한의원, 물리치료실, 대체의학 연구자, 수지침 사용자 및 개인 등이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고, 사용시 특별한 부작용이 없이 안전하여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의 장치는 신체변화(자세 교정, 오장육부의 정상화, 혈액순환 개선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을뿐만 아니라, 통증 완화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음이 임상적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특정 혈자리나 문제 근육에 최소한 30초 내지 1분 정도만 대고 있어도 통증 완화 효과가 나타나는 것도 임상 실험 결과 확인되었다.
도 1은 이 발명에 따른 통증 완화 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촉부를 제거한 상태의 통증 완화 장치의 몸체부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자석부를 제거한 상태의 통증 완화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1의 연결부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와샤부 사시도.
도 6은 도 1의 촉부덮개 사시도.
도 7은 도 1의 촉부 사시도.
도 8a는 이 발명에 따른 통증 완화 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8b는 숫놈 결합부를 구비한 이 발명에 따른 통증 완화 장치의 사시도.
도 8c는 암놈 결합부를 구비한 이 발명에 따른 통증 완화 장치의 사시도.
도 8d는 암수 결합부가 결합한 통증 완화 장치의 사시도.
< 실시예 >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이 발명의 구성 및 동작원리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이 발명에 따른 통증 완화 장치(100)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이 발명에 따른 통증 완화 장치(100)는 양끝에 촉부(10). 하지만 도 1에서는 촉부(10)가 오른쪽에는 부착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촉부(10)를 하나만 달고 있다가 반대쪽에 촉부(10)를 달 필요가 있을 때에는 기 설치되어 있는 촉부(10)를 분해해서 원하는 쪽에 연결하여 사용하면 된다. 이것은 순전히 경제성을 고려한 때문이며, 경제성을 따지지 않을 때에는 양쪽에 모두 설치하는 것이 편리하다.
도 2는 도 1의 장치(100)에서 촉부(10)를 제거한 상태를 보여준다. 자석(50)이 삽입구멍(40)에 삽입되어 있고, 연결부(60)가 삽입구멍(70)에 연결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도 3은 도 2에서 촉부(10)와 연결부(60)를 제거한 상태를 보여준다. 몸체부(30)의 양끝에는 S극표시부(32)와 N극표시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표시부(32,34)에 직선형태의 무늬가 형성되어 있으나 그 길이를 달리함으로써 양쪽을 구분지을 수 있도록 했다. 무늬가 짧은 쪽을 N극쪽으로, 무늬가 긴 쪽을 S극쪽으로 하였다. 그러나 이들 표시를 다른 방법으로 달리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것은 통증 완화를 위해 경혈, 통증이 발생한 직접부위 또는 기타 치료점의 증세에 따라 N극쪽과 S극쪽의 작용효과가 다르므로 이를 구분짓기 위해 이러한 표시를 하고 있다.
도 4는 도1 장치(100)의 연결부(60)를 보여주고 있고, 도 5는 도 1의 와샤부(80)를 보여주고 있다.
도 6은 도 1 장치(100)의 촉부덮개(20)를 보여주고 있다. .
도 7은 도 1 장치{100}의 촉부(10)를 보여주고 있다.
도 8은 이 발명에 따른 통증 완화 장치(100)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의 사시도를 보여주며, 도 1과의 차이점은 이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통증 완화 장치(100)를 병렬로 연결하기 위한 결합수단(36)을 몸체부(30)에 구비하고 있다는 점이다. 기타의 구성은 도 1과 같다.
1. 구성
이 발명에 따른 경혈, 통증이 발생한 직접부위 또는 기타 치료점(SI 치료점 등)을 자극하여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한 장치(100)의 구성은 아래와 같다. 여기서 한국 침구요법 가운데 하나인 SI 기법은 이 기법의 개발자의 호인 성암의 영문 이니셜을 따서 명명된 침구 기법이며 이 기법에서 사용하는 치료점을 SI 치료점이라고 한다.
한편, 이 발명에 따른 경혈, 통증이 발생한 직접부위 또는 기타 치료점을 자극하여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한 장치(100)의 구성은,
경혈, 통증이 발생한 직접부위 또는 기타 치료점을 자극하여 통증을 완화시키는 장치(100)로서,
위 장치(100)의 양끝에 각각 설치되고, 한 쪽 끝에는 막대부(12)가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한 쪽 끝에는 촉(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위 장치(100)의 사용시 사용자가 통증 완화를 위해 경혈, 통증이 발생한 직접부위 또는 기타 치료점을 소정 시간 동안 직접 눌러주기 위한 촉부(10):
위 장치(100)의 양끝에 설치된 촉부들(10) 사이를 이어주고 위 장치(100)를 전체적으로 감싸주는 몸체부(30);
위 각각의 촉부(10)와 몸체부(30) 사이에 배치되고 촉부(10)를 보호해주며 중심에는 원통형 터널(22)이 형성되어 있어서 촉부(10)의 막대부(12)가 관통할 수 있고 원통형 터널(22)의 한쪽 끝에는 깔때기 모양의 갓부(24)가 형성되어 있어서 갓부(24)의 밖으로 촉(14)이 노출되어 있도록 해주며 원통형 터널(22)의 외주면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내주면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지 않는 촉부덮개(20);
위 몸체부(30)의 내부에 몸체부(30) 양단부(35)를 관통하여 환형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삽입구멍(40);
위 다수개 삽입구멍(40)의 각각에 삽입되며 몸체부(30)와 같은 길이를 갖는 소정 굵기의 막대형 자석(50);
위 촉부(10)와 몸체부(30)를 연결시켜주기 위해 숫나사가 외부에 형성되고 내부에는 원통형 터널(65)이 형성되어 있고 원통형 터널(65)의 내부에는 암나사가 형성된 소정 길이의 연결부(60);
위 연결부(60)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위 몸체부(30)의 양단부(35) 중심에 소정 깊이로 형성되고 연결부(60)를 고정하기 위한 암나사가 내부에 형성된 연결부 삽입구멍(70); 및
한 쪽 끝에는 소정 길이의 원통형 터널(82)이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엔 암나사부(83)가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 한 쪽 끝에는 원판(84)이 형성되어 서로 일체를 이루고 있고 원판(84)의 가운데에는 원통형 터널(82)과 같은 직경의 구멍(86)이 형성되어 있어서 위 연결부(60)의 한 쪽 끝이 연결부 삽입구멍(70)에 삽입되어 고정되면 연결부(60)의 다른 한 쪽 끝이 원판(84)쪽 구멍(86)을 통해 원통형 터널(82)에 삽입되어 나사식으로 체결되어 고정되고, 촉부덮개(20)의 원통형 터널(22)이 구멍(86)을 통해 원통형 터널(82)에 삽입되어 나사식으로 체결되어 고정됨으로써 갓부(24)의 끝 부분(26)이 원판(84)에 밀착되게 고정되고, 촉부덮개(20)의 끝 부분(28)을 통해 막대부(12)가 원통형 터널(65) 안으로 삽입되면 자석들(50)의 자력에 의해 막대부(12)가 촉부덮개(2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해주는 와샤부(80);
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위 막대부(12)의 외주면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서 막대부(12)가 원통형 터널(22) 내에서 소정의 간격만큼 막대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수 있도록 해주며,
사용자가 위 장치(100)를 손으로 잡고 경혈, 통증이 발생한 직접부위 또는 기타 치료점을 자극하기 위해 그 위에 촉부(10)를 갖다대고 소정의 시간 동안 소정의 압력으로 누르면 막대부(12)가 소정 길이만큼 원통형 터널(65) 안으로 들어가며 해당 부위에 자극을 주고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막대부(12)가 위 몸체부(30)의 단부에 환형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자석들(50)의 힘에 의해 원 위치로 되돌아오며 통증 완화에 기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실시예에서, 위 자석(50)은 6개이고, 자석(50)의 직경은 2 내지 8㎜, 자석의 길이는 20 내지 200㎜인 원기둥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위 촉(14)의 끝부분은 경혈, 통증이 발생한 직접부위 또는 기타 치료점과의 접촉면적을 늘리고, 치료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가닥으로 나누어지고, 촉(14)은 피부와 접촉시 피부에 상처를 주지 않도록 금으로 도금된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촉(14)의 외표면은 자력선이 부드럽게 통과할 수 있도록 유선형 모양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경혈, 통증이 발생한 직접부위 또는 기타 치료점에서 통증 완화를 위해서는 적어도 30초 이상 동안 위 장치(100)를 해당 부위에 대고 있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경혈, 통증이 발생한 직접부위 또는 기타 치료점에서 통증 완화를 위해서는 20분 이상 동안 위 장치(100)를 해당 부위에 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위 통증 완화 장치(100)는 몸체부(30)의 표면에 다른 통증 완화 장치(100)와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하기 위한 결합수단(36)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위 결합수단(36)은 암놈 결합부와 숫놈 결합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숫놈 결합부는 하나의 구형 볼록부(36a)와 구형 볼록부(36a)의 양쪽에 가이드부(36c)를 구비하고 있고, 암놈 결합부는 직선형으로 소정 간격으로 배열된 다수의 구형 오목부(36c)와 구형 오목부(36c)들의 양쪽에 가이드부(36d)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각의 통증 완화 장치(100)는 숫놈 결합부 또는 암놈 결합부를 가지고 있고, 암놈 결합부를 가진 장치(100)와 숫놈 결합부를 가진 장치(100)끼리만 결합이 가능하며, 결합시에는 두 가이드부(36c,36d)가 슬라이드식으로 결합되며 한쪽 장치(100)의 가이드부가 다른쪽 장치(100)의 가이드부 안쪽으로 안내되고, 숫놈 결합부의 구형 볼록부(36a)가 암놈 결합부의 구형 오목부(36c)들 가운데 하나의 오목부와 결합되며, 원하는 구형 오목부(36c)가 선택되면 구형 볼록부(36a)를 소정의 압력으로 눌러서 선택된 구형 오목부(36c)에 삽입시키고, 구형 오목부(36c)의 밑면에는 소정의 탄성수단이 설치되어 있어서 구형 오목부(36c)는 압력에 의해 위아래로 소정의 유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위 통증 완화 장치(100)는 통증 완화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2, 3, 6개를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병렬로 연결되는 다수의 통증 완화 장치(100)들은 수평면 상에서 각 촉부(10)의 위치가 서로 다르게 배치 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에서, 경혈, 통증이 발생한 직접부위 또는 기타 치료점을 자극하기 위 장치(100)로 해당 부위를 눌러주는 경우 위 막대부(12)의 바람직한 직선 이동 길이는 2 내지 3mm 인 것이 특징인, 통증 완화 장치.
2. 동작 원리
이제 이 발명의 동작 원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이 발명에 따른 통증 완화 장치(100)의 실시예는 직경 5㎜, 길이 100㎜의 원통형 자석(50) 6개를 원통형 단면의 원주 안쪽으로 환형으로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하고 피부에 닿는 촉(14)은 자석(50)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자석(50)이 배치된 단면의 중앙에 오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이 발명에서 촉(14)의 끝은 뾰족한 하나의 뿔 모양이 아니라 촉(14)의 끝은 6가닥으로 나뉘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서는 촉(14)이 자석(50)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6개의 자석(50)이 부착면에 환형으로 배치되고 이들 자석들(50)이 이루는 원의 한 가운데에 촉부(10)의 막대부(12)가 와샤부(80)와 연결부(60)를 통해 연결되므로 촉(14)이 자석50)들과는 직접 접촉되지 않으므로 자석(50)의 직접적인 영향을 덜 받게 되고, 또한 이 발명의 촉(14)의 끝이, 종래 기술에서는 한 개인 것과는 달리 촉(14)의 끝이 여섯 갈래로 나뉘어져 있어서 촉(14)과 피부와의 접촉면이 늘어나므로 종래 기술에 비해 통증 완화 효과를 수배로 올림과 동시에 통증은 수배로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발명에서는 시술시 사용자의 여건에 따라 자석(50)의 극성 배열을 고려함으로써 통증 완화 효과가 현저히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 즉 촉(14)으로 자극할 사용자의 경혈, 통증이 발생한 직접 부위 또는 기타 치료점 부위가 차가운 경우에는 S극쪽의 촉(14)으로 이들 부위를 따뜻한 기운으로 자극해 주어서 해당 부위의 찬 기운을 보완하여 주고, 반대로 염증 등에 의해 해당 부위에서 열이 발생한 경우에는 N극쪽 촉(14)으로 이들 부위를 차가운 기운으로 자극해 주어서 해당 부위의 열을 가라앉게 하여 줌으로써 통증이 완화되도록 한다.
이 발명에 따른 통증 완화 장치(100)는 누구나 손쉽게 익히고 조작할 수 있어서 침(Acupuncture) 또는 수지침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당 부분 침 또는 수지침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발명의 통증 완화 장치(100)에서 자석(50)의 N극쪽의 촉부(10)는 경혈, 통증이 발생한 직접부위(근육 및 기타 부위) 또는 기타 치료점에 적용시 해당 부위의 통증이 완화되고, 차가운 기운의 영향으로 염증이 가라앉고, 살균이 되고, 열이 내리는 효과가 있음이 자체 임상 실험 결과 확인되었다. 이에 반해 S극쪽의 촉부(10)는 경혈, 통증이 발생한 직접부위(근육 및 기타 부위) 또는 기타 치료점에 적용시 따뜻한 기운의 영향으로 원활하지 못했던 혈액순환이 개선되고, 정상 상태가 아닌 오장육부의 정상화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고, 발통점(Trigger Point)의 통증이 치료되는 효과가 있음이 자체 임상 실험 결과 확인되었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 경혈, 통증이 발생한 직접부위 또는 기타 치료점에서 통증 완화를 위해서는 적어도 30초 내지 3분 사이의 시간동안 위 장치(100)를 해당 부위에 대고 있어야 효과가 있다는 것이 자체 임상 실험 결과 확인되었다. 그러나 경혈, 통증이 발생한 직접부위 또는 기타 치료점에서 더 효과적인 통증 완화를 얻기 위해서는 20분 이상 동안 위 장치(100)를 해당 부위에 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자체 임상 실험 결과 확인되었다.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시 소정의 압력에 의해 촉부(10)는 직선 방향으로 약 2 내지 3mm 정도 움직일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
한편, 이 발명의 청구항 7 내지 11은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해당한다. 즉, 다수개의 장치(100)들을 결합하여 사용할 경우에 해당하는 기술이다. 장치(100)들을 다수개 결합하면 통증 완화 효과가 더 뛰어남이 자체 임상실험결과 확인되었다. 특히 2개 3개, 6개를 결합하여 사용할 경우에 효과가 매우 좋았고, 4개, 5개를 결합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이보다 효과가 떨어졌다. 이러한 결과는 자석의 배열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신체 부위가 수평면이 아니고 높낮이가 다른 부위가 많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각 장치(100)들의 촉부(10)의 높낮이를 서로 다르게 배치할 필요성이 있어서 이를 고려하여 청구항 8 및 10과 같은 발명이 창안되었다. 다시 말해서, 구형 오목부(36c)들의 선택 위치에 따라서 촉부(10)의 높낮이가 달라지게 된다. 다양한 높낮이를 고려하여 다수개의 구형 오목부(36c)를 배치하였다(도 8c 참조).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구형 볼록부(36a)를 소정의 압력으로 눌러서 원하는 높이에 촉부(10)가 오도록 사용자가 선택한 구형 오목부(36c)에 삽입시키고, 구형 오목부(36c)의 밑면에는 소정의 탄성수단(예로서, 용수철)이 설치되어 있어서 구형 오목부(36c)는 압력에 의해 위아래로 소정의 유격을 갖는다.
이처럼 이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위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이 발명은 위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된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이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 발명의 장치는 한의원, 물리치료실, 대체의학 연구자, 수지침 사용자 및 개인 등이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고, 사용시 특별한 부작용이 없이 안전하여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10: 촉부
12: 막대부
14: 촉
20: 촉부덮개
22,65,82: 원통형 터널
24: 갓부
26,28: 끝 부분
30: 몸체부
32: N극표시부
34: S극표시부
36: 통증 완화 장치를 병렬로 연결하기 위한 결합수단
36a: 구형 볼록부
36b,36d: 가이드부
36c: 구형 오목부
40: 자석삽입구멍
50: 자석
60: 연결부
70: 연결부삽입구멍
80: 와샤부
83: 암나사부
84: 원판
86: 구멍

Claims (11)

  1. 경혈, 통증이 발생한 직접부위 또는 기타 치료점을 자극하여 통증을 완화시키는 장치(100)로서,
    위 장치(100)의 양끝에 각각 설치되고, 한 쪽 끝에는 막대부(12)가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한 쪽 끝에는 촉(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위 장치(100)의 사용시 사용자가 통증 완화를 위해 경혈, 통증이 발생한 직접부위 또는 기타 치료점을 소정 시간 동안 직접 눌러주기 위한 촉부(10):
    위 장치(100)의 양끝에 설치된 촉부들(10) 사이를 이어주고 위 장치(100)를 전체적으로 감싸주는 몸체부(30);
    위 각각의 촉부(10)와 몸체부(30) 사이에 배치되고 촉부(10)를 보호해주며 중심에는 원통형 터널(22)이 형성되어 있어서 촉부(10)의 막대부(12)가 관통할 수 있고 원통형 터널(22)의 한쪽 끝에는 깔때기 모양의 갓부(24)가 형성되어 있어서 갓부(24)의 밖으로 촉(14)이 노출되어 있도록 해주며 원통형 터널(22)의 외주면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내주면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지 않는 촉부덮개(20);
    위 몸체부(30)의 내부에 몸체부(30) 양단부(35)를 관통하여 환형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삽입구멍(40);
    위 다수개 삽입구멍(40)의 각각에 삽입되며 몸체부(30)와 같은 길이를 갖는 소정 굵기의 막대형 자석(50);
    위 촉부(10)와 몸체부(30)를 연결시켜주기 위해 숫나사가 외부에 형성되고 내부에는 원통형 터널(65)이 형성되어 있고 원통형 터널(65)의 내부에는 암나사가 형성된 소정 길이의 연결부(60);
    위 연결부(60)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위 몸체부(30)의 양단부(35) 중심에 소정 깊이로 형성되고 연결부(60)를 고정하기 위한 암나사가 내부에 형성된 연결부 삽입구멍(70); 및
    한 쪽 끝에는 소정 길이의 원통형 터널(82)이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엔 암나사부(83)가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 한 쪽 끝에는 원판(84)이 형성되어 서로 일체를 이루고 있고 원판(84)의 가운데에는 원통형 터널(82)과 같은 직경의 구멍(86)이 형성되어 있어서 위 연결부(60)의 한 쪽 끝이 연결부 삽입구멍(70)에 삽입되어 고정되면 연결부(60)의 다른 한 쪽 끝이 원판(84)쪽 구멍(86)을 통해 원통형 터널(82)에 삽입되어 나사식으로 체결되어 고정되고, 촉부덮개(20)의 원통형 터널(22)이 구멍(86)을 통해 원통형 터널(82)에 삽입되어 나사식으로 체결되어 고정됨으로써 갓부(24)의 끝 부분(26)이 원판(84)에 밀착되게 고정되고, 촉부덮개(20)의 끝 부분(28)을 통해 막대부(12)가 원통형 터널(65) 안으로 삽입되면 자석들(50)의 자력에 의해 막대부(12)가 촉부덮개(2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해주는 와샤부(80);
    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위 막대부(12)의 외주면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서 막대부(12)가 원통형 터널(22) 내에서 소정의 간격만큼 막대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수 있도록 해주며,
    사용자가 위 장치(100)를 손으로 잡고 경혈, 통증이 발생한 직접부위 또는 기타 치료점을 자극하기 위해 그 위에 촉부(10)를 갖다대고 소정의 시간 동안 소정의 압력으로 누르면 막대부(12)가 소정 길이만큼 원통형 터널(65) 안으로 들어가며 해당 부위에 자극을 주고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막대부(12)가 위 몸체부(30)의 단부에 환형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자석들(50)의 힘에 의해 원 위치로 되돌아오며 통증 완화에 기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증 완화 장치.
  2. 제 1항에서, 위 자석(50)은 6개이고, 자석(50)의 직경은 2 내지 8㎜, 자석의 길이는 20 내지 200㎜인 원기둥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증 완화 장치.
  3. 제 1항에서, 위 촉(14)의 끝부분은 경혈, 통증이 발생한 직접부위 또는 기타 치료점과의 접촉면적을 늘리고, 치료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가닥으로 나누어지고, 촉(14)은 피부와 접촉시 피부에 상처를 주지 않도록 금으로 도금된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촉(14)의 외표면은 자력선이 부드럽게 통과할 수 있도록 유선형 모양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증 완화 장치.
  4. 삭제
  5. 제 1항에서, 경혈, 통증이 발생한 직접부위 또는 기타 치료점에서 통증 완화를 위해서는 적어도 30초 이상 동안 위 장치(100)를 해당 부위에 대고 있어야 하는 것이 특징인, 통증 완화 장치.
  6. 제 1항에서, 경혈, 통증이 발생한 직접부위 또는 기타 치료점에서 통증 완화를 위해서는 20분 이상 동안 위 장치(100)를 해당 부위에 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한, 통증 완화 장치.
  7. 제 1항에서, 위 통증 완화 장치(100)는 몸체부(30)의 표면에 다른 통증 완화 장치(100)와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하기 위한 결합수단(36)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통증 완화 장치.
  8. 제 7항에서, 위 결합수단(36)은 암놈 결합부와 숫놈 결합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숫놈 결합부는 하나의 구형 볼록부(36a)와 구형 볼록부(36a)의 양쪽에 가이드부(36c)를 구비하고 있고, 암놈 결합부는 직선형으로 소정 간격으로 배열된 다수의 구형 오목부(36c)와 구형 오목부(36c)들의 양쪽에 가이드부(36d)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각의 통증 완화 장치(100)는 숫놈 결합부 또는 암놈 결합부를 가지고 있고, 암놈 결합부를 가진 장치(100)와 숫놈 결합부를 가진 장치(100)끼리만 결합이 가능하며, 결합시에는 두 가이드부(36c,36d)가 슬라이드식으로 결합되며 한쪽 장치(100)의 가이드부가 다른쪽 장치(100)의 가이드부 안쪽으로 안내되고, 숫놈 결합부의 구형 볼록부(36a)가 암놈 결합부의 구형 오목부(36c)들 가운데 하나의 오목부와 결합되며, 원하는 구형 오목부(36c)가 선택되면 구형 볼록부(36a)를 소정의 압력으로 눌러서 선택된 구형 오목부(36c)에 삽입시키고, 구형 오목부(36c)의 밑면에는 소정의 탄성수단이 설치되어 있어서 구형 오목부(36c)는 압력에 의해 위아래로 소정의 유격을 갖는 것이 특징인, 통증 완화 장치.
  9. 제 1항에서, 위 통증 완화 장치(100)는 통증 완화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2, 3, 6개를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특징인, 통증 완화 장치.
  10. 제 9항에서, 병렬로 연결되는 다수의 통증 완화 장치(100)들은 수평면 상에서 각 촉부(10)의 위치가 서로 다르게 배치 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통증 완화 장치.
  11. 제 1항에서, 경혈, 통증이 발생한 직접부위 또는 기타 치료점을 자극하기 위 장치(100)로 해당 부위를 눌러주는 경우 위 막대부(12)의 바람직한 직선 이동 길이는 2 내지 3mm 인 것이 특징인, 통증 완화 장치.
KR1020170002107A 2017-01-05 2017-01-05 통증 완화 장치 KR101887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107A KR101887297B1 (ko) 2017-01-05 2017-01-05 통증 완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107A KR101887297B1 (ko) 2017-01-05 2017-01-05 통증 완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0946A KR20180080946A (ko) 2018-07-13
KR101887297B1 true KR101887297B1 (ko) 2018-08-09

Family

ID=62913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2107A KR101887297B1 (ko) 2017-01-05 2017-01-05 통증 완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729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516B1 (ko) * 2009-06-04 2012-04-02 박정 지압침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2341Y1 (ko) * 1996-06-07 1998-12-15 김치경 경혈 지압구
KR100354232B1 (ko) * 1999-12-15 2002-09-28 김치경 자기초점방사치료기기
KR100798470B1 (ko) * 2006-03-16 2008-01-28 남택영 자석이 삽입된 경혈자극용 지압봉
KR200472215Y1 (ko) 2012-02-15 2014-04-10 김복수 착탈식 경혈 지압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516B1 (ko) * 2009-06-04 2012-04-02 박정 지압침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0946A (ko) 2018-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M376286U (en) Hand-held massage machine
KR101887297B1 (ko) 통증 완화 장치
CN201518730U (zh) 一种穴位针灸理疗保健内衣
CN202682329U (zh) 一种用于人体穴位的点穴装置
CN202052208U (zh) 磁性穴道刺激装置
CN201743910U (zh) 便携式多功能穴位按摩笔
KR870003843Y1 (ko) 마사아지구
CN201143284Y (zh) 推拿器
KR100944118B1 (ko) 지압기
CN201055423Y (zh) 灸器
CN209690888U (zh) 一种基于腧穴配伍预防腕管综合征的鼠标垫
CN203208352U (zh) 刮痧针灸保健锤
KR102099303B1 (ko) 손등용 수배혈 자극기
CN202740373U (zh) 脑康复头罩
CN2294054Y (zh) 定位点穴按摩器
KR200323026Y1 (ko) 지압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침관
JP3105545U (ja) 棒形磁気按摩器
CN2430154Y (zh) 卡环形穴位治疗器
CN201676140U (zh) 强力按摩球
CN101879016A (zh) 凹形健身床垫
CN201664405U (zh) 一种按摩器
CN205215698U (zh) 多功能按摩器
CN201855417U (zh) 身体自重点穴器
CN2803371Y (zh) 针刺垫
KR200312277Y1 (ko) 침술용 침이 구비된 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