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177B1 - 코크스오븐 상승관 점화장치 - Google Patents

코크스오븐 상승관 점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177B1
KR101887177B1 KR1020170037092A KR20170037092A KR101887177B1 KR 101887177 B1 KR101887177 B1 KR 101887177B1 KR 1020170037092 A KR1020170037092 A KR 1020170037092A KR 20170037092 A KR20170037092 A KR 20170037092A KR 101887177 B1 KR101887177 B1 KR 101887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electrode
ignition
pipe
coke 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7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해상
노복현
강효석
박일호
강석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037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1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1/00Safety devices, e.g. signalling or controlling devices for use in the discharge of coke
    • C10B41/08Safety devices, e.g. signalling or controlling devices for use in the discharge of coke for the withdrawal of the distillation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27/00Arrangements for withdrawal of the distillation gases
    • C10B27/06Conduit details, e.g. val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ke Industry (AREA)

Abstract

코크스 오븐 장입차에 구비되어 상승관 개방과 더불어 상승관에서 배출되는 잔류가스를 보다 용이하고 확실하게 점화하여 연소시킬 수 있도록, 코크스 오븐 상단에 구비된 장입차에 설치되어 장입차 이동시 코크스 오븐의 각 상승관으로 이동하여 상승관의 잔류가스를 점화시키는 점화부를 포함하는 코크스 오븐 상승관 점화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코크스오븐 상승관 점화장치{IGNITION DEVICE FOR COKE OVEN}
코크스오븐의 상승관에서 나오는 잔류가스를 연소시키기 위한 상승관 점화장치를 개시한다.
일반적으로, 코크스 오븐은 석탄이 장입되어 코크스가 만들어지는 것으로 연소실과 탄화실로 구성된다. 연소실은 가스를 연소시켜 열을 가하는 곳이며 탄화실은 석탄을 장입하는 곳이다. 연소실에서 가스가 연소되면 열분해 작용에 의해 코크스 오븐 가스(COG ; Coke Oven Gas)가 발생된다.
이때 발생된 코크스 오븐 가스는 코크스 오븐에서 상승관과 곡관부를 통해 메인 수집관(Gas Collecting Main)을 흘러나가 화성공장으로 보내지게 된다.
상승관은 코크스 오븐에서 발생되는 코크스 오븐 가스를 정제공정인 화성공장으로 보내는 원통형 관이다. 상승관의 상부에는 상승관 커버가 구비된다.
코크스 오븐에 석탄을 장입한 후, 가동율에 따라 소요시간이 차이가 있긴 하나 대략 15시간 정도 경과하게 되면 코크스 오븐 내에서 가스발생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이에, 곡관부 댐퍼를 닫고 상승관 커버를 열어준다.
이때 상승관을 개방함과 더불어 상승관 내에 잔류하는 코크스 오븐 가스를 점화하여 연소시켜 주어야 한다. 상승관 개방시 외부로 배출되는 코크스 오븐 가스의 점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 미연소된 코크스 오븐 가스가 대기 중에 방출되어 대기 오염의 원인이 된다.
점화 작업 개선을 위해 종래의 경우 각 상승관에 점화를 위한 장치가 구비되나 점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 경우, 일일이 작업자가 각 상승관 마다 추가적으로 점화를 위한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불편하며, 작업 과정에서 폭발 등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은 문제가 있다.
점화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하고, 보다 확실하게 잔류 가스를 점화시킬 수 있도록 된 코크스 오븐 상승관 점화 장치를 제공한다.
점화시 발생되는 고온의 화염으로부터 장비를 보호할 수 있도록 된 코크스 오븐 상승관 점화 장치를 제공한다.
코크스 오븐 장입차에 구비되어 상승관 개방과 더불어 상승관에서 배출되는 잔류가스를 보다 용이하고 확실하게 점화하여 연소시킬 수 있도록 된 코크스 오븐 상승관 점화 장치를 제공한다.
코크스 오븐의 각 상승관에 대한 잔류가스 점화가 기계적으로 이루어져 점화 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코크스오븐 상승관 점화장치를 제공한다.
코크스 오븐의 각 상승관을 위한 점화장치를 개별적으로 구비하지 않고 하나의 장치를 통해 각 상승관의 잔류가스를 점화할 수 있도록 된 코크스오븐 상승관 점화장치를 제공한다.
본 구현예의 점화장치는, 코크스 오븐 상단에 구비된 장입차에 설치되어 장입차 이동시 코크스 오븐의 각 상승관으로 이동하여 상승관의 잔류가스를 점화시키는 점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화부는 장입차에 설치되고 상승관 상부를 향해 연장되고 잔류가스에 스파크를 가하는 전극봉, 상기 전극봉을 장입차에서 상승관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봉은 상승관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로드, 상기 로드 선단에 설치되어 상승관의 잔류가스를 점화하는 점화플러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드는 복수개가 착탈가능하게 연결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각 로드는 양단에 암나사와 수나사가 가공되어 이웃하는 로드와 나사 체결되어 연결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점화부는 상승관보다 위쪽에서 장입차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극봉은 상승관 상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전극봉 선단이 상승관 상단의 내측 중심부로 이동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장입차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고 피스톤로드 선단에는 상기 전극봉이 설치되어 전극봉을 축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전극봉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입차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전극봉을 장입차 외측으로 인출하기 위한 인출홀더와, 상기 인출홀더에 이격 배치되어 전극봉 하단을 받쳐 지지하는 회전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화부는 상기 구동실린더에 설치되어 피스톤로드의 신장 또는 수축 상태를 검출하는 리미트센서, 상기 리미트센서의 검출신호에 따라 전극봉의 전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입차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상승관을 향해 길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전극봉을 감싸 화염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전극봉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는 구동실린더와 가이드홀더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되는 고정프레임, 지지프레임에 고정프레임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볼트,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볼트가 지나도록 관통되고 고정볼트가 유동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된 장공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구현예의 점화장치에 의하면, 점화봉을 짧은 거리에서 직선 이동시켜 보다 신속하게 상승관의 잔류가스를 점화시킬 수 있어, 점화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점화시 발생되는 고온의 화염으로부터 점화봉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코크스 오븐 상부 중심부에서 정확히 점화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점화 불량을 방지하고 확실함 점화를 통해 잔류가스를 연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승관에 대한 잔류가스 점화가 기계적으로 이루어져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최소화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점화장치를 장입차에 구비하여 장입차 이동과 함께 각 상승관으로 이동함으로써, 하나의 점화장치로 각 상승관을 점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각 상승관에 개별적으로 점화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상승관과 설비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게 된다.
잔류가스를 완전히 연소시킬 수 있게 되어 잔류가스 배출에 따른 대기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상승관 점화장치가 코크스 오븐의 장입차에 구비된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상승관 점화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상승관 점화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상승관 점화장치의 로드 착탈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상승관 점화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상승관 점화장치가 코크스 오븐의 장입차에 구비된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코크스 오븐(100)은 석탄이 장입되어 건류되는 탄화실(110)을 구비한다. 코크스 오븐(100) 상단에 구비된 장입차(200)가 이동하면서 탄화실(110)로 석탄을 장입한다. 탄화실(110)에서 건류 완료된 코크스는 탄화실(110)로부터 압출하여 후 공정으로 이송된다. 코크스 오븐(100)의 탄화실(110)에서 석탄을 건류할 때 발생하는 코크스 오븐 가스(COG)는 탄화실(110) 상부의 상승관(120)을 통해 이송된다.
상기 상승관(120)은 코크스 오븐 상부에 수직으로 연장 설치된다. 상승관(120)은 탄화실(110)에 연결되어 탄화실(110)에서 발생되는 코크스 오븐 가스를 화성공장으로 보내는 원통형 관이다. 상승관(120)의 상부에는 상승관커버(122)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상승관(120)의 커버가 개방되면 상승관(120) 내부의 잔류가스가 외부로 빠져 나온다. 상승관(120)을 통해 빠져 나오는 잔류가스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점화장치에 의해 점화되어 연소된다.
본 실시예의 점화장치는 상기 장입차(200)에 설치된다. 이에, 코크스 오븐 상에서 각 탄화실(110)을 따라 장입차(200)가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점화장치 역시 장입차(200)와 함께 이동되어 해당 탄화실(110)의 상승관(120)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해당 상승관(120)의 커버 개방시 상승관(120)을 통해 배출되는 잔류가스를 점화시켜 연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점화장치는 상기 장입차(200)에 설치되어 같이 이동되며 필요시 상승관(120)으로 연장되어 상승관(120)의 잔류가스를 점화시키는 점화부(10)를 포함한다.
상기 장입차(200)에는 상승관커버(122)를 개방시키기 위한 리드틸팅부(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는 데, 상기 점화부(10)는 리드틸팅부에 근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장입차(200)가 이동하여 리드틸팅부가 상승관커버(122) 개방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리드틸팅부에 근접하여 위치한 점화부(10) 역시 상승관(120)에 근접하여 점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2와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점화부(10)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점화부(10)의 구조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점화부(10)는 장입차(200)에 설치되고 상승관(120)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잔류가스에 스파크를 가하는 전극봉(20), 전극봉(20)을 장입차(200)에서 상승관(120)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점화부(10)는 상승관(120)보다 위쪽에서 장입차(200) 내부에 설치된다. 또한, 전극봉(20)은 상승관(120) 상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전극봉(20) 선단이 상승관(120) 상단의 내측 중심부로 이동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극봉(20)을 상승관(120) 위쪽에서 개방된 상승관(120) 내부로 진입시킴에 따라 전극봉(20) 선단을 상승관(120) 상단 내측 중심부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승관(120)의 내측 중심부에서 스파크를 가하여 잔류가스를 확실하게 점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전극봉(20)은 잔류 가스에 점화용 스파크를 발생하기 위한 구성부이다. 전극봉(20)은 길게 연장된 바 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극봉(20)은 필요시 이동부(40)에 의해 전극봉의 축방향을 따라 전진 이동되어 선단이 상승관(120) 상단 내부로 진입된다. 본 실시예는 전극봉(20)을 그 축방향으로 전진시켜 상승관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극봉을 상승관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전극봉(20)은 자체적으로 전류가 흐르는 구조일 수 있다. 이에, 전극봉(20)으로 전류가 인가되면 전극봉(20) 선단에서 예를 들어 도전체인 상승관(120) 사이로 전류가 흐르면서 전극봉(20) 선단에 스파크가 발생된다.
상기한 구조 외에 상기 전극봉(20)은 상승관(120) 상부를 향해 길게 연장 형성된 로드(22), 상기 로드(22) 선단에 설치되어 상승관(120)의 잔류가스를 점화하는 점화플러그(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화플러그(24)는 전류 인가시 스파크를 발생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점화플러그(24)는 다양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류를 인가하는 전선은 로드(22)를 통해 점화플러그(24)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경우 점화플러그(24)에 전류를 인가하게 되면 점화플러그(24) 자체에서 스파크가 발생하여 잔류가스를 점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설명에서는 전극봉(20)의 구조로, 로드(22) 선단에 점화플러그(24)가 설치된 구조를 예로서 설명한다.
상기 로드(22)는 길게 연장된 바 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로드(22)의 길이는 선단에 설치된 점화플러그(24)가 장입차(200)에서 상승관(120) 상단 내부로 충분히 이동될 수 있는 정도면 적용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로드(22)는 복수개가 착탈가능하게 연결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한 구조 외에 로드가 길게 연장된 하나의 바로 이루어진 구조 역시 적용가능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로드(22)는 양단에 수나사(26)과 암나사(28) 가공되어 이웃하는 로드(22)와 나사 체결되어 연결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일측 로드의 수나사를 이웃하는 로드의 암나사에 나사체결함으로써, 복수개의 로드를 원하는 길이로 길게 연장할 수 있다. 이에, 점화 과정에서 일측 로드가 손상된 경우 손상된 로드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작업 환경이나 설비 조건에 따라 알맞은 길이로 로드를 형성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부(40)에 의해 로드(22)가 축방향을 따라 전후진 이동되면 로드(22) 선단에 설치된 점화플러그(24)가 상승관(120) 상단 내부로 진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부(40)는 장입차(200)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42), 상기 지지프레임(42)에 설치되고 피스톤로드(45) 선단에는 상기 전극봉(20)을 이루는 로드(22)가 설치되어 로드(22)를 축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실린더(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실린더(44)는 유압이나 공압을 이용하여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42)은 로드(22)의 선단에 설치된 점화플러그(24)가 상승관(120) 상단 내측을 향하도록 하여 전극봉(20)과 구동실린더(44)를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프레임(42)에 설치되어 상기 전극봉(2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는 지지프레임(42)에 연결되며 구동실린더(44)가 설치되는 고정프레임(46), 지지프레임(42)에 고정프레임(46)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볼트(43), 고정프레임(46)에 고정볼트(43)가 지나도록 관통되고 고정볼트(43)가 유동가능하도록 길게 연장 형성된 장공(47)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프레임(46)은 장공(47)의 연장된 길이만큼 움직임이 가능하다. 이에, 지지프레임(42)에 대해 고정프레임(46)을 유동하여 고정시킴으로서, 원하는 각도로 전극봉(20)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고정프레임은 지지프레임에 대해 어느 한 각도로 고정되지 않고 유동되어 위치를 조절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이에, 지지프레임에 대해 고정프레임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고정프레임에 설치된 구동실린더 및 구동실린더에 연결된 전극봉의 각도를 최적 위치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프레임(46)에는 로드(22)를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홀더(48)가 더 설치된다. 로드(22)는 복수개의 가이드홀더(48)에 의해 설정된 경사각도에 맞춰 지지된다. 로드(22)는 가이드홀더(48)에 지지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동실린더(44)의 피스톤로드(45) 선단은 로드(22)와 결합된다. 로드(22)에 고정브라켓(49)이 설치되고 고정브라켓(49)은 구동실린더(44)의 피스톤로드(45) 선단에 연결된다, 이에, 구동실린더(44)의 피스톤로드(45)가 신축 구동되면 고정브라켓(49)을 매개로 연결된 로드(22)가 전후진 이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장입차(200)가 이동할 때는 로드(22)가 장입차(200) 내부로 이동되며 로드(22)는 잔류가스 점화시에만 장입차(200) 측면에서 인출되어 상승관(120) 내부로 이동된다.
상기 장입차(200)의 측면에는 로드(22)가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관통구멍이 형성된 인출홀더(50)가 설치된다. 로드(22)는 상기 인출홀더(50)를 통해 장입차(200) 외부로 이동된다. 인출홀더(50) 내부에는 로드의 원활한 슬라이딩과 마모 방지를 위해 부시(bush)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로드(22)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로드(22)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인출홀더(50) 근처에는 회전롤러(52)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롤러(52)는 인출홀더(50)에 이격 배치되어 전극봉(20) 하단을 받쳐 지지한다. 상기 회전롤러(52)는 로드(22)를 받쳐 지지하면서 로드(22) 이동시 자체적으로 회전되면서 로드(22)가 보다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는 장입차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상승관(120)을 향해 길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전극봉(20)을 감싸 화염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관(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관(60)은 전극봉(20)이 통과할 수 있는 내경을 갖는 관 구조물이다. 상기 보호관(60)은 장입차 외측면에서 상승관(120)을 향해 충분한 길이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보호관(60)은 상승관과 간섭되지 않는 정도의 길이로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관(60)이 전극봉(20) 외측을 감싸 보호함에 따라 잔류가스 점화에 따른 화염이 보호관(60)에 의해 차단되어 내부의 전극봉이 보호된다.
또한, 보호관(60)은 장입차 외측면에서 상승관을 향해 길게 연장되어 있어서, 전극봉이 상상관으로 이동하는 거리를 최대한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언급한 바와 같이, 전극봉(20)은 그 축방향으로 전진 이동함으로써, 보다 적음 움직임을 통해 보다 신속하게 잔류가스 점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는 보호관(60)이 상승관쪽으로 길게 연장 설치되어 있어서, 보호관(60) 선단과 상승관(120) 사이 간격은 보다 더 가깝다. 이에, 보호관(60) 내에 위치한 전극봉은 보다 짧은 거리만을 이동하여도 상승관 내부 점화 위치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 즉, 구동실린더의 피스톤로드 신축 거리를 줄여 점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승관 개방 후 바로 잔류가스를 점화시킬 수 있어, 점화율을 높이고 잔류가스가 대기중으로 방출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점화부(10)는 상기 구동실린더(44)에 설치되어 피스톤로드(45)의 신장 또는 수축 상태를 검출하는 리미트센서(54,56), 상기 리미트센서의 검출신호에 따라 전극봉(20)의 전류를 제어하는 제어부(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8)는 상기 리미트센서의 검출신호를 연산하여 로드(22)의 이동을 전환하고, 로드(22) 선단에 설치된 점화플러그(24)에 전류를 인가하여 스파크를 발생하게 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크스 오븐에서의 석탄 건류가 완료되면 압출 작업 전에 상승관커버(122)를 개방하게 된다.
압출작업 전에 장입차(200)가 해당 상승관(120)으로 이동되고, 장입차(200)에 설치된 리드틸팅부가 구동되어 상승관(120) 상단의 상승관커버(122)를 개방하게 된다. 상승관커버(122) 개방 작업이 완료되면 제어부(58)의 신호에 따라 구동실린더(44)가 신장 작동된다. 이에, 구동실린더(44)의 피스톤로드(45)에 연결되어 있는 로드(22)가 전진 이동된다.
로드(22)는 보호관(60) 내에 위치한 상태로, 구동실린더 작동에 따라 따라 보호관에서 이동되어 개방된 상승관(120)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 이에, 로드(22) 선단에 설치된 점화플러그(24)가 상승관(120)의 상단 내측 중심부로 이동하게 된다.
구동실린더(44)에 의해 로드(22)가 전진 이동이 개시되거나, 구동실린더(44)가 신장 구동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제어부(58)의 신호에 따라 점화플러그(24)에 전류가 인가된다.
점화플러그(24)에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점화플러그(24)에서 스파크가 발생된다. 전류는 설정된 시간, 예를 들어 5 내지 6초 정도 점화플러그(24)에 인가될 수 있다. 점화플러그(24)에서 발생되는 스파크에 의해 상승관(120)에서 배출되는 잔류가스가 점화되어 연소된다. 로드(22) 이동에 따라 로드(22) 선단의 점화플러그(24)는 상승관(120) 상단 내부로 진입되므로, 상승관(120)에서 배출되는 잔류가스에 보다 확실하게 스파크를 가해 잔류가스를 연소시킬 수 있게 된다.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어 스파크 발생이 종료되거나, 구동실린더(44)가 완전히 신장 구동되어 리미트센서(54)에 검출되면 제어부(58)는 구동실린더(44)를 수축구동하게 된다.
구동실린더(44)가 수축구동되면 로드(22)는 다시 후진되어 보호관(60) 내부로 이동되고 로드(22) 선단에 설치된 점화플러그(24) 역시 보호관(60) 안으로 들어와 보호된다.
구동실린더(44)가 완전히 수축 구동되어 리미트센서(56)에 검출되면 제어부(58)는 구동실린더(44)의 작동을 정지하고 장입차(200)는 제어부(58)의 신호에 따라 다음 위치로 주행한다. 리미트센서(56)의 검출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로드(22)가 장입차(200) 내부로 완전히 들어오지 못한 상태로, 제어부(58)는 장입차(200) 주행을 제한할 수 있다.
장입차 이동과 함께 장입차에 설치된 점화부 역시 이동되어 다음 상승관에 대해 잔류가스 점화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 점화부 20 : 전극봉
22 : 로드 24 : 점화플러그
26 : 수나사 28 : 암나사
40 : 이동부 42 : 지지프레임
43 : 고정볼트 44 : 구동실린더
45 : 피스톤로드 46 : 고정프레임
47 : 장공 48 : 가이드홀더
50 : 인출홀더 54,56 : 리미트센서
58 : 제어부 60 : 보호관

Claims (12)

  1. 코크스 오븐 상단에 구비된 장입차에 설치되어 장입차 이동시 코크스 오븐의 각 상승관으로 이동하여 상승관의 잔류가스를 점화시키는 점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화부는 장입차에 설치되고 상승관 상부를 향해 연장되고 잔류가스에 스파크를 가하는 전극봉, 및 상기 전극봉을 축방향으로 전후진시켜 장입차에서 상승관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봉은 상승관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로드, 및 상기 로드 선단에 설치되어 상승관의 잔류가스를 점화하는 점화플러그를 포함하며,
    상기 로드는 복수개가 착탈가능하게 연결된 구조인 코크스오븐 상승관 점화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로드는 양단에 암나사와 수나사가 가공되어 이웃하는 로드와 나사 체결되어 연결되는 구조의 코크스오븐 상승관 점화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부는 상승관보다 위쪽에서 장입차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극봉은 상승관 상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전극봉 선단이 상승관 상단의 내측 중심부로 이동하는 구조의 코크스오븐 상승관 점화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장입차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고 피스톤로드 선단에는 상기 전극봉이 설치되어 전극봉을 축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실린더를 포함하는 코크스오븐 상승관 점화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장입차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전극봉을 장입차 외측으로 인출하기 위한 인출홀더, 및 상기 인출홀더에 이격 배치되어 전극봉 하단을 받쳐 지지하는 회전롤러를 더 포함하는 코크스오븐 상승관 점화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부는 상기 구동실린더에 설치되어 피스톤로드의 신장 또는 수축 상태를 검출하는 리미트센서, 및 상기 리미트센서의 검출신호에 따라 전극봉의 전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코크스오븐 상승관 점화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장입차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상승관을 향해 길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전극봉을 감싸 화염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관을 더 포함하는 코크스오븐 상승관 점화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전극봉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코크스오븐 상승관 점화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구동실린더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되는 고정프레임, 지지프레임에 고정프레임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볼트,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볼트가 지나도록 관통되고 고정볼트가 유동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된 장공을 포함하는 코크스오븐 상승관 점화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고정프레임에 설치되어 전극봉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홀더를 더 포함하는 코크스오븐 상승관 점화장치.
KR1020170037092A 2017-03-23 2017-03-23 코크스오븐 상승관 점화장치 KR101887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092A KR101887177B1 (ko) 2017-03-23 2017-03-23 코크스오븐 상승관 점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092A KR101887177B1 (ko) 2017-03-23 2017-03-23 코크스오븐 상승관 점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7177B1 true KR101887177B1 (ko) 2018-08-10

Family

ID=63229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7092A KR101887177B1 (ko) 2017-03-23 2017-03-23 코크스오븐 상승관 점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717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9289Y1 (ko) * 1989-11-14 1991-12-05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코크스 오븐가스의 자동점화장치
KR20140042527A (ko) * 2012-09-28 2014-04-07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 오븐의 방산가스 점화장치
KR20150020887A (ko) * 2013-08-19 2015-02-27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오븐의 상승관 점화장치
KR20150136905A (ko) * 2014-05-28 2015-12-08 현대제철 주식회사 방산 코크스로가스 점화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9289Y1 (ko) * 1989-11-14 1991-12-05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코크스 오븐가스의 자동점화장치
KR20140042527A (ko) * 2012-09-28 2014-04-07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 오븐의 방산가스 점화장치
KR20150020887A (ko) * 2013-08-19 2015-02-27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오븐의 상승관 점화장치
KR20150136905A (ko) * 2014-05-28 2015-12-08 현대제철 주식회사 방산 코크스로가스 점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8083233A (ja) 鍛造ダイの加熱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US2013026032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DUAL MODE BURNER YIELDING LOW NOx EMISSION
US7551420B2 (en) Retractable igniter
KR101887177B1 (ko) 코크스오븐 상승관 점화장치
CN101650031B (zh) 一种用于水煤浆或煤粉气化炉的开工复合烧嘴
US20130319298A1 (en) Fluidized bed gasification furnace
JP5501447B2 (ja) ブリード弁からの高炉排ガスを燃焼する装置及び対応ブリード弁
CN201074830Y (zh) 一种高炉炉顶点火装置
US20140363775A1 (en) Flexible gas pipe ignitor
KR20150136905A (ko) 방산 코크스로가스 점화 장치
Zamashchikov Combustion of gases in thin-walled small-diameter tubes
CN107121990B (zh) 一种用于加热系统的压力调节装置
ITMI20081904A1 (it) Gassificatore e metodo di accensione di detto gassificatore
KR101421806B1 (ko) 코크스 오븐의 방산가스 점화장치
KR910009289Y1 (ko) 코크스 오븐가스의 자동점화장치
KR101510278B1 (ko) 코크스오븐의 상승관 점화장치
KR101027221B1 (ko) 코크스 오븐의 상승관 댐퍼 조작장치
KR101368360B1 (ko) 버너
KR101591258B1 (ko) 코크스 오븐의 상승관 댐퍼 조작 장치
KR101282936B1 (ko) 코크스 오븐 브리더의 방산가스 최적 연소장치
KR101316908B1 (ko) 소둔로의 폐가스 연소장치
CN215259823U (zh) 具有隔离的双燃料燃烧器
RU2623640C2 (ru) Способ электродугового розжига паромазутной форсунк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KR101968017B1 (ko) 코크스오븐 상승관의 점화장치
JP2005315519A (ja) 混銑車耐火物の乾燥方法と乾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