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6199B1 - 치아 관측 시스템 - Google Patents

치아 관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6199B1
KR101886199B1 KR1020160134515A KR20160134515A KR101886199B1 KR 101886199 B1 KR101886199 B1 KR 101886199B1 KR 1020160134515 A KR1020160134515 A KR 1020160134515A KR 20160134515 A KR20160134515 A KR 20160134515A KR 101886199 B1 KR101886199 B1 KR 101886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unit
tooth
image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4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2005A (ko
Inventor
윤홍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오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오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오바이오
Priority to KR1020160134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6199B1/ko
Publication of KR20180042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2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치아 관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치아 관측 장치를 통해 특정 파장의 광이 조사된 치아를 촬영하고, 촬영된 치아 영상 또는 사진을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서 확인하며, 사용자의 치아 사진의 분석 요청에 따라 관리자 서버에서 분석 요청에 따른 결과를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 송신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제안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하나의 과제는 가정에서도 치아 표면에 얼마나 넓은 면적의 치태가 형성되었는지를 영상 또는 사진을 통해 확인하고, 치아의 영상 또는 사진을 저장하여 관리하는 것이다.
일 양상에 있어서, 치아 관측 장치는 무선 통신하는 제 1 통신부; 특정 파장대의 빛을 조사하는 광조사부; 빛이 조사된 영역을 촬영하는 촬영부;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전원 스위치; 및 상단에 위치하고, 가장자리에 측벽이 형성된 수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치아 관측 시스템{System for observing teeth}
치아 관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치아 관측 장치를 통해 특정 파장의 광이 조사된 치아를 촬영하고, 촬영된 치아 영상 또는 사진을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서 확인하며, 사용자의 치아 사진의 분석 요청에 따라 관리자 서버에서 분석 요청에 따른 결과를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 송신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치아 표면에 형성된 치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치과에 내원해야만 했다. 치태의 존재 여부는 육안으로 판별이 안되기에, 치아 표면에 치태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치과를 방문해서 치태의 존재를 확인해야 했다.
가정에서도 치아 표면에 얼마나 넓은 면적의 치태가 형성되었는지를 영상 또는 사진을 통해 확인하고, 치아의 영상 또는 사진을 저장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다.
치아의 영상 또는 사진의 분석 요청에 따라 관리자 서버에서 치아의 영상 또는 사진을 분석하여, 치태가 형성된 정도에 따라 치태 점수를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
산출된 치태 점수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되, 산출된 치태 점수에 따른 치아 관리 방법을 같이 송부하여 사용자가 사후 관리를 체계적으로 할 수 있게 유도할 필요가 있다.
제안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하나의 과제는 가정에서도 치아 표면에 얼마나 넓은 면적의 치태가 형성되었는지를 영상 또는 사진을 통해 확인하고, 치아의 영상 또는 사진을 저장하여 관리하는 것이다.
제안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하나의 과제는 치아의 영상 또는 사진의 분석 요청에 따라 관리자 서버에서 치아의 영상 또는 사진을 분석하여, 치태가 형성된 정도에 따라 치태 점수를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제안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하나의 과제는 산출된 치태 점수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되, 산출된 치태 점수에 따른 치아 관리 방법을 같이 송부하여 사용자가 사후 관리를 체계적으로 할 수 있게 유도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적 과제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양상에 있어서, 치아 관측 장치는 무선 통신하는 제 1 통신부; 특정 파장대의 빛을 조사하는 광조사부; 빛이 조사된 영역을 촬영하는 촬영부;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전원 스위치; 및 상단에 위치하고, 가장자리에 측벽이 형성된 수용부;를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 있어서, 치아 관측 시스템은 무선 통신하는 제 1 통신부, 특정 파장대의 빛을 조사하는 광조사부, 빛이 조사된 영역을 촬영하는 촬영부,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전원 스위치 및 중심에 광조사부 및 촬영부를 수용하고, 가장자리에 측벽이 형성된 수용부를 포함하는 치아 관측 장치; 및 상기 치아 관측 장치가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는 제 2 통신부, 수신한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를 포함 한다.
또 다른 양상에 있어서, 상기 치아 관측 장치는 상기 측벽 내측으로 삽입하여 수용부와 결합하는 빛 확산 방지부;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양상에 있어서, 상기 빛 확산 방지부는 가장자리 둘레가 수용부와 결합되는 부분으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커지는 테두리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상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는 상부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는 홈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상에 있어서, 전원 스위치는 터치된 시간에 따라 치아 관측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거나, 광출력부가 광을 조사하는 동안에 촬영부가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양상에 있어서, 전원 스위치가 기설정된 시간 이하로 터치되면, 광출력부가 광을 조사하는 동안에 촬영부가 촬영하도록 제어하되, 광출력부가 백색광을 조사하고 촬영부가 백색광이 조사된 영역을 촬영하여 제 1 이미지를 생성한 후, 광출력부가 청색광을 조사하고 촬영부가 청색광이 조사된 영역을 촬영하여 제 2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양상에 있어서, 상기 치아 관측 장치는 백색광이 조사된 영역을 촬영한 제 1 이미지 및 청색광이 조사된 영역을 촬영한 제 2 이미지를 제 1 통신부를 통해 단말 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양상에 있어서, 치아 관측 시스템은 제 1 이미지 및 제 2 이미지를 분석하는 관리자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 장치는 수신한 제 1 이미지 및 제 2 이미지를 사용자별, 날짜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및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관리자 서버로 송신하여 분석을 요청하는 분석 요청부;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양상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서버는 수신한 제 1 이미지 및 제 2 이미지에 기초하여 치태 점수를 산출하는 치태 점수 산출부; 산출된 점수에 기초하여 치아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치아 관리 방법 제공부; 및 치태 점수 및 치아 관리 방법을 단말 장치로 송신하는 결과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된 발명은 가정에서도 치아 표면에 얼마나 넓은 면적의 치태가 형성되었는지를 영상 또는 사진을 통해 확인하고, 치아의 영상 또는 사진을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제안된 발명은 치아의 영상 또는 사진의 분석 요청에 따라 관리자 서버에서 치아의 영상 또는 사진을 분석하여, 치태가 형성된 정도에 따라 치태 점수를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안된 발명은 산출된 치태 점수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되, 산출된 치태 점수에 따른 치아 관리 방법을 같이 송부하여 사용자가 사후 관리를 체계적으로 할 수 있게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치아 관측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치아 관측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빛 확산 방지 장치가 결합된 치아 관측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치아 관측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단말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관리자 서버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들을 통해 구체화된다. 각 실시예들의 구성 요소들은 다른 언급이나 상호간에 모순이 없는 한 실시예 내에서 다양한 조합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된다. 나아가 제안된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나아가, 명세서 전체에서 신호는 전압이나 전류 등의 전기량을 의미한다.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시스템을 변경이나 플러그인 가능하도록 구성한 블록"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즉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있어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
도 1은 치아 관측 장치(100)의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치아 관측 장치(100)는 무선 통신하는 제 1 통신부(110); 특정 파장대의 빛을 조사하는 광조사부(120); 빛이 조사된 영역을 촬영하는 촬영부(130);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전원 스위치(140); 및 중심에 광조사부(120) 및 촬영부(130)를 수용하고, 상단에 위치하고, 가장자리에 측벽(161)이 형성된 수용부(16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통신부(110)는 후술할 단말 장치(200) 또는 관리자 서버(300)와 무선 통신한다. 제 1 통신부(110)는 3G/4G 등의 이동통신망이나 WiFi 등의 무선통신망 환경에 관계없이 단말 장치(200)와 관리자 서버(300)와 연결된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1 통신부(11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광조사부(120)는 특정 파장대의 빛을 조사한다. 광조사부(120)는 PWM 신호 생성부, 광원 구동부 및 광원을 더 포함한다.
PWM 신호 생성부가 생성한 PWM 신호의 주파수는 120hz이고, Duty비는 30%이다. PWM 신호의 주파수 및 Duty비는 전술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 1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한 원격 제어 명령에 따라 PWM 신호의 주파수 및 Duty비를 변경하여 광원의 밝기 등을 제어할 수 있다.
광원 구동부는 생성된 PWM 신호에 따라 광원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여 광원을 점등 또는 소등시킨다.
광원은 예를 들어 LED이다. 광조사부(120)는 6개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6개의 광원 중 4개의 광원은 청색광을 방출하는 LED(121)이고, 2개의 광원은 백색광을 방출하는 LED(122)이다. 청색광을 방출하는 LED(121)는 380nm~420nm의 파장을 가지는 청색광을 방출한다.
380nm~420nm의 파장을 가지는 청색광은 치아에 존재하는 포피린이라는 물질과 반응하여 형광 현상을 일으킨다. 치아에 존재하는 미생물은 대사 과정에서 포피린이라는 물질을 발생 시킨다.
백색광을 방출하는 LED(122)는 ANSI 표준인 여덟 개의 공칭 CCT값중 3K 또는 5.7K에 해당하는 백색광을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촬영부(130)는 빛이 조사된 영역을 촬영한다. 촬영부(130)는 렌즈(131), 렌즈(131)를 투과한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다. 렌즈(131)는 간격을 두고 배치된 광원에 의해 둘러 쌓인 위치에 배치된다. 수용부 바닥면(162)에서 광원은 가장 자리에 위치하고, 렌즈(131)는 중심부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원 스위치(140)는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치아 관측 장치(100)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전원 스위치(140)의 동작에 따라 배터리로부터 치아 관측 장치(100)가 포함하는 각 구성으로 전원이 공급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용부(160)는 상단에 위치하고, 가장자리에 측벽(161)이 형성된다. 수용부(160)는 치아 관측 장치(100) 가장 상단에 위치하고, 렌즈(131) 및 광원을 수용한다. 렌즈(131) 및 광원이 수용되는 면의 중심에는 렌즈(131)가 위치하고, 가장자리에는 광원이 위치한다.
도 2는 치아 관측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빛 확산 방지 장치가 결합된 치아 관측 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치아 관측 장치(1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단말 장치(2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치아 관측 시스템은 치아 관측 장치(100) 및 단말 장치(20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장치(200)는 제 2 통신부(210) 및 표시부(22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통신부(210)는 상기 치아 관측 장치(100)가 촬영한 영상을 수신한다. 여기서 영상은 동영상, 사진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단말 장치(200)는 저장부(230)를 포함하고, 제 2 통신부(210)가 수신한 영상을 저장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부(220)는 수신한 영상을 출력한다. 표시부(220)는 치아 관측 장치(100)가 실시간으로 촬영한 영상을 출력한다. 표시부(220)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치아 관측 장치(100)는 상기 측벽(161) 내측으로 삽입하여 수용부(160)와 결합하는 빛 확산 방지부(170);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빛 확산 방지부(170)는 상기 측벽(161) 내측으로 삽입하여 수용부(160)와 결합한다. 빛 확산 방지부(170)는 수용부(160)와 탈부착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빛 확산 방지부(170)는 가장자리 둘레가 수용부(160)와 결합되는 부분으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커지는 테두리부(171)를 포함한다. 빛 확산 방지부(170)는 속이 빈 기둥 형태로 가장자리 둘레가 수용부(160)와 결합되는 부분으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커진다. 빛 확산 방지부(170)가 수용부(160)에 결합됨에 따라 광조사부(120)가 출력하는 광은 사방 팔방 퍼지지 않고 원하는 영역에 집중적으로 조사될 수 있다. 빛 확산 방지부(170)가 수용부(160)와 결합되는 부분의 반대편 영역은 사람의 입과 접촉한다. 즉, 빛 확산 방지부(170)에서 사람의 입과 접촉되는 부분이기에 둘레가 넓을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빛 확산 방지부(170)는 가장자리 둘레가 수용부(160)와 결합되는 부분으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커진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171)는 상부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는 홈(180)을 포함한다. 빛 확산 방지부(170)에서 가장자리 둘레가 가장 긴 부분은 사람의 입과 접촉되면서 사람의 코와도 접촉될 수 있다. 코의 위치에 상관없이 빛 확산 방지부(170)가 입과 완전히 맞닿기 위해서는 돌출된 코를 수용할 수 있는 홈(180)이 필요하다. 코는 코의 시작점에서 끝점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 지기 때문에, 빛 확산 방지부(170)의 폭은 상부로 갈수록 폭이 증가될 필요가 있다. 상부는 도 3에 도시된 x축을 기준으로 커지는 방향이다. 폭은 도 3에 도시된 w이다. 상부로 갈수록 w가 커짐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원 스위치(140)는 터치된 시간에 따라 치아 관측 장치(100)의 전원을 제어하거나, 광출력부가 광을 조사하는 동안에 촬영부(130)가 촬영하도록 제어한다. 전원 스위치(140)는 상대적으로 긴 시간이 터치되면 치아 관측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전원 스위치(140)는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이 터치되면 광출력부가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하고, 광출력부가 광을 조사하는 동안에 촬영부(130)가 촬영하도록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치아 관측 장치(100)는 전원 확인부(190)를 더 포함한다. 치아 관측 장치(100)로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에만 전원 확인부(190)는 광을 출력한다. 전원 확인부(190)는 광조사부(120)와 구별되는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에서 광이 출력된다. 전원 확인부(190)는 전원 스위치(140)와 일정한 거리 내에 위치한다. 일정한 거리는 예를 들어 2cm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원 스위치(140)가 기설정된 시간 이하로 터치되면, 광출력부가 광을 조사하는 동안에 촬영부(130)가 촬영하도록 제어하되, 광출력부가 백색광을 조사하고 촬영부(130)가 백색광이 조사된 영역을 촬영하여 제 1 이미지를 생성한 후, 광출력부가 청색광을 치아에 조사하고 촬영부(130)가 청색광이 조사된 영역을 촬영하여 제 2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설정된 시간은 예를 들어 1 초이다. 전원 스위치(140)에 1초 이상 터치되면 치아 관측 장치(100)로의 전원 공급이 새롭게 이루어 지거나 차단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치아 관측 장치(100)는 백색광이 조사된 영역을 촬영한 제 1 이미지 및 청색광이 조사된 영역을 촬영한 제 2 이미지를 제 1 통신부(110)를 통해 단말 장치(200)로 송신한다. 단말 장치(200)는 수신한 제 1 이미지 및 제 2 이미지를 표시부(220)로 출력할 수 있다. 단말 장치(200)는 관리자가 제공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의해 표시부(220), 제 2 통신부(210), 저장부(230) 등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관리자 서버(3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치아 관측 시스템은 제 1 이미지 및 제 2 이미지를 분석하는 관리자 서버(3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 장치(200)는 수신한 제 1 이미지 및 제 2 이미지를 사용자별, 날짜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저장부(230); 및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관리자 서버(300)로 송신하여 분석을 요청하는 분석 요청부(240);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저장부(230)는 장치는 수신한 제 1 이미지 및 제 2 이미지를 사용자별, 날짜별로 분류하여 저장한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저장부(230)는 후술할 치태 점수별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분석 요청부(240)는 및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관리자 서버(300)로 송신하여 분석을 요청한다. 단말 장치(20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UI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UI 상에 형성된 분석 요청을 터치하면, 분석 요청부(240)는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관리자 서버(300)로 송신하여 분석을 요청한다. 자세하게, 분석 요청부(240)는 제 2 이미지를 관리자 서버(300)로 송신하여 분석을 요청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서버(300)는 수신한 제 1 이미지 및 제 2 이미지에 기초하여 치태 점수를 산출하는 치태 점수 산출부(310); 산출된 점수에 기초하여 치아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치아 관리 방법 제공부(310); 및 치태 점수 및 치아 관리 방법을 단말 장치(200)로 송신하는 결과 송신부(33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치태 점수 산출부(310)는 수신한 제 1 이미지 및 제 2 이미지에 기초하여 치태 점수를 산출한다. 치태 점수 산출부(310)는 제 2 이미지에만 기초하여 치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제 2 이미지는 청색광이 조사된 상태에서 촬영된 영상으로 치태가 존재하는 영역은 청색으로 표시된다. 치아 전체의 면적 대비 청색 영역의 비율에 따라 치태 산출부는 치태 점수를 산출 할 수 있다. 치아 전체의 면적 대비 청색 영역의 비율이 높을수록 낮은 점수를 부여 할 수 있다.
치태 점수 산출부(310)는 치아 전체의 면적 대비 청색 영역의 비율이 낮더라도, 특정 치아의 면적 대비 청색 영역의 비율이 높은 경우에는 낮은 점수를 부여한다.
치아 전체의 면적 대비 청색 영역의 비율이 90 초과 100 미만인 경우 1점, 80 초과 90 미만인 경우 2점, 70 초과 80 미만인 경우 3점, 60 초과 70 미만인 경우 4점, 50 초과 60 미만인 경우 5점, 40 초과 50 미만인 경우 6점, 30 초과 40 미만인 경우 7점, 20 초과 30 미만인 경우 8점, 10 초과 20 미만인 경우 9점, 0 이상 10 미만인 경우 10점으로 산출할 수 있다.
치태 점수 산출부(310)는 청색 영역의 평균 채도가 기설정된 수치보다 높으면 치아 전체의 면적 대비 청색 영역의 비율로부터 산출된 점수에서 1을 뺀다. 청색 영역의 평균 채도가 기설정된 수치보다 낮으면 치아 전체의 면적 대비 청색 영역의 비율로부터 산출된 점수에서 1을 더한다.
치태 점수 산출부(310)는 치아 전체의 면적 대비 청색 영역의 비율이 높더라도, 치아 하나당 치아 면적 대비 청색 영역의 비율이 낮으면 높은 점수를 부여한다. 치아 하나당 치아 면적 대비 청색 영역의 비율이 기설정된 수치 이상이면 치아 전체의 면적 대비 청색 영역의 비율 및 청색 영역의 평균 채도로부터 산출된 점수에서 1을 뺀다.
치태 점수 산출부(310)는 단순히 치아 전체 면적 대비 청색 영역의 비율로만 점수 산정을 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청색 영역의 비율 자체가 낮더라도 하나의 치아만 봤을 때 청색 영역이 많은 경우 낮은 점수를 부여하여 사용자에게 경각심을 줄 수 있다.
치태 점수 산출부(310)는 예를 들어 1점에서 10점까지의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치아 관리 방법 제공부(310)는 산출된 점수에 기초하여 치아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치아 관리 방법 제공부(310)는 산출된 점수에 따라 각각 다른 치아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결과 송신부(330)는 치태 점수 및 치아 관리 방법을 단말 장치(200)로 송신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그 범위를 제한해놓은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순서도들은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도시된 순차적인 순서에 불과하며, 다른 추가적인 단계들이 제공되거나, 일부 단계가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기술적 특징과 이를 실행하는 구현물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 등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기술적 특징을 실행하는 구현물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또는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에 관한 모듈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장치"나 "시스템"이라 함은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컴퓨터 또는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모두 포함한다. 처리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를 들어,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제체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모든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스크립트 또는 코드 등으로 알려진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파일 되거나 해석된 언어 또는 선험적,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또는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되는 것은 아니며,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또는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또는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내에, 또는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를 들어,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 이상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를 들어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와 DVD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기술적 특징을 실행하는 구현물은 예를 들어,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
이하, 상기 기술한 내용과 더불어 본 명세서에 기술한 시스템과 MO 서비스 기반 혜택 제공 방법이 포함하는 구성들을 구현할 수 있는 보다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하여 자세히 기술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방법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또는 웹 기반의 스토리지 시스템과 관련된 서버 또는 서버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 상에서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코드 또는 명령어를 실행하는 수단을 통해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서버,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인프라 구조, 모바일 컴퓨팅 플랫폼, 고정 컴퓨팅 플랫폼 등과 같은 컴퓨팅 플랫폼 중 일부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프로그램 명령어, 코드 등을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프로세싱 디바이스의 한 종류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사용자 움직임 측정에 따른 보행 경로 안내 서비스 방법, 명령어, 코드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명령어, 코드 및 프로그램이 저장된 CD-ROM, DVD, 메모리, 하드 디스크, 플래시 드라이브, RAM, ROM, 캐시 등과 같은 스토리지 디바이스에 접근(Access)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시스템과 사용자 움직임 측정에 따른 보행 경로 안내 서비스 방법은 서버, 클라이언트, 게이트웨이, 허브, 라우터 또는 네트워크 하드웨어 상의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장치를 통해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는 파일 서버, 프린트 서버, 도메인 서버, 인터넷 서버, 인트라넷 서버, 호스트 서버, 분산 서버 등과같이 다양한 종류의 서버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상기 언급한 서버들은 메모리, 프로세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 스토리지 매체, 통신 디바이스, 포트, 클라이언트 그리고 다른 서버들을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명령어, 코드 등 역시 서버에 의해 실행될 수 있으며, 사용자 움직임 측정에 따른 보행 경로 안내 서비스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다른 디바이스들은 서버와 연관된 계층구조의 일 부분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서버는 클라이언트, 다른 서버, 프린터, 데이터베이스 서버, 프린트 서버, 파일 서버, 통신 서버, 분산 서버 등을 제한 없이 포함하는 다른 디바이스에게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를 통한 연결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프로그램의 원격 실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버에 연결된 디바이스 중 어느 것이라도 대면확인 OTP 애플리케이션 발급을 위한 방법, 명령어, 코드 등을 저장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리지 디바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서버의 중앙 프로세서는 상이한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될 명령어, 코드 등을 디바이스에 제공하여 스토리지 디바이스에 저장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방법은 네트워크 인프라구조를 통해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인프라구조는 컴퓨팅 디바이스, 서버, 라우터, 허브, 방화벽, 클라이언트, 개인용 컴퓨터, 통신 디바이스, 라우팅 디바이스 등과 같은 디바이스와 각각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별도의 모듈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언급한 디바이스와 모듈 외에 스토리 플래시 메모리, 버퍼, 스택, RAM, ROM 등과 같은 스토리지 매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움직임 측정에 따른 보행 경로 안내 서비스 방법, 명령어, 코드 등 역시 네트워크 인프라구조가 포함하는 디바이스, 모듈, 스토리지 매체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실행 및 저장될 수 있으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다른 디바이스 역시 네트워크 인프라구조의 일 부분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시스템과 방법은 하드웨어 또는 특정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적합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하드웨어는 개인용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등과 같은 범용 컴퓨터 디바이스와 기업형 특정 컴퓨터 디바이스를 모두 포함하며, 컴퓨터 디바이스는 메모리,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콘트롤러,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집적 회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프로그래머블 어레이 조직 등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술한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어, 코드 등은 판독 가능한 디바이스에 의해 저장 또는 접근될 수 있으며, 여기서 판독 가능한 디바이스는 일정 시간 간격 동안 컴퓨팅하는데 사용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구비하는 컴퓨터 컴포넌트, RAM 또는 ROM과 같은 반도체 스토리지, 광디스크와 같은 영구적인 스토리지, 하드 디스크, 테이프, 드럼 등과 같은 대용량 스토리지, CD 또는 DVD와 같은 광 스토리지, 플래시 메모리, 플로피 디스크, 자기 테이프, 페이퍼 테이프, 독립형 RAM 디스크, 컴퓨터로부터 착탈 가능한 대용량 스토리지와 동적 메모리, 정적 메모리, 가변 스토리지, 클라우드와 같은 네트워크 접속형 스토리지 등과 같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명령어와 코드 등은 SQL, dBase 등과 같은 데이터 지향 언어, C, Objective C, C++, 어셈블리 등과 같은 시스템 언어, Java, NET 등과 같은 아키텍처 언어, PHP, Ruby, Perl, Python 등과 같은 애플리케이션 언어 등과 같은 언어들을 모두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진 언어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매체"는 프로그램 실행을 위해 명령어를 프로세서로 제공하는데 기여하는 모든 매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스토리지 디바이스, 광디스크, 자기 디스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매체, 동적 메모리 등과 같은 휘발성 매체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축 케이블, 구리 와이어, 광섬유 등과 같은 전송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블록도와 순서도에 포함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실행하는 구성들은 상기 구성들 사이의 논리적인 경계를 의미한다.
그러나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시된 구성들과 그 기능들은 독립형 소프트웨어 모듈, 모놀리식 소프트웨어 구조, 코드, 서비스 및 이들을 조합한 형태로 실행되며,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 명령어 등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를 구비한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어 그 기능들이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모든 실시 예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과 그에 대한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기는 하나, 이러한 기술적 특징을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특정 배열이 분명하게 언급되지 않는 한, 단순히 추론되어서는 안된다. 즉, 이상에서 기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그러한 실시 예들이 본 발명과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보유하면서 일부 변형될 수 있으므로, 이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순서도의 경우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가장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것으로서, 도시된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반드시 실행되어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반드시 실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 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의해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실시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치아 관측 장치
110: 제 1 통신부
120: 광조사부
121: 청색광을 방출하는 LED
122: 백색광을 방출하는 LED
130: 촬영부
131: 렌즈
140: 전원 스위치
160: 수용부
161: 측벽
162: 수용부 바닥면
170: 빛 확산 방지부
171: 테두리부
180: 홈
190: 전원 확인부
200: 단말 장치
210: 제 2 통신부
220: 표시부
230: 저장부
240: 분석 요청부
300: 관리자 서버
310: 치태 점수 산출부
310: 치아 관리 방법 제공부
330: 결과 송신부

Claims (8)

  1. 무선 통신하는 제 1 통신부;
    특정 파장대의 빛을 조사하는 광조사부;
    빛이 조사된 영역을 촬영하는 촬영부;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전원 스위치; 및
    상단에 위치하고, 가장자리에 측벽이 형성된 수용부; 및
    상기 측벽 내측으로 삽입하여 수용부와 결합하는 빛 확산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빛 확산 방지부는 가장자리 둘레가 수용부와 결합되는 부분으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커지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치아 관측 장치.
  2. 무선 통신하는 제 1 통신부,
    특정 파장대의 빛을 조사하는 광조사부,
    빛이 조사된 영역을 촬영하는 촬영부,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전원 스위치,
    중심에 광조사부 및 촬영부를 수용하고, 가장자리에 측벽이 형성된 수용부, 및
    상기 측벽 내측으로 삽입하여 수용부와 결합하는 빛 확산 방지부 ― 상기 빛 확산 방지부는 가장자리 둘레가 수용부와 결합되는 부분으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커지는 테두리부를 포함함 ― 를 포함하는 치아 관측 장치; 및
    상기 치아 관측 장치가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는 제 2 통신부, 및
    수신한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를 포함하는 치아 관측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는 상부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는 홈을 포함하는
    치아 관측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전원 스위치는
    터치된 시간에 따라 치아 관측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거나, 광출력부가 광을 조사하는 동안에 촬영부가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관측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전원 스위치가 기설정된 시간 이하로 터치되면, 광출력부가 광을 조사하는 동안에 촬영부가 촬영하도록 제어하되,
    광출력부가 백색광을 조사하고 촬영부가 백색광이 조사된 영역을 촬영하여 제 1 이미지를 생성한 후, 광출력부가 청색광을 조사하고 촬영부가 청색광이 조사된 영역을 촬영하여 제 2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관측 시스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관측 장치는 백색광이 조사된 영역을 촬영한 제 1 이미지 및 청색광이 조사된 영역을 촬영한 제 2 이미지를 제 1 통신부를 통해 단말 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관측 시스템
KR1020160134515A 2016-10-17 2016-10-17 치아 관측 시스템 KR101886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515A KR101886199B1 (ko) 2016-10-17 2016-10-17 치아 관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515A KR101886199B1 (ko) 2016-10-17 2016-10-17 치아 관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005A KR20180042005A (ko) 2018-04-25
KR101886199B1 true KR101886199B1 (ko) 2018-08-08

Family

ID=62088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4515A KR101886199B1 (ko) 2016-10-17 2016-10-17 치아 관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61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0346A (ko) * 2018-11-01 2020-05-11 프리즈머블 주식회사 상태정보 분석장치,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KR102118918B1 (ko) 2019-08-20 2020-06-04 김창환 치아 관측을 위한 스마트기기 장착형 촬영 보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4059B1 (ko) * 2019-01-30 2020-11-04 한국광기술원 Led를 포함하는 칫솔 및 홈 덴탈 케어 시스템
WO2021051132A1 (en) 2019-09-11 2021-03-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iofilm reveal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48396A (ja) * 2012-05-30 2013-12-12 Ormco Corp 口腔内撮像システム用のスペクトルフィルタ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6249A (ja) * 1995-04-18 1996-11-01 Asahi Optical Co Ltd カメラの裏蓋機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48396A (ja) * 2012-05-30 2013-12-12 Ormco Corp 口腔内撮像システム用のスペクトルフィルタ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0346A (ko) * 2018-11-01 2020-05-11 프리즈머블 주식회사 상태정보 분석장치,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KR102135874B1 (ko) * 2018-11-01 2020-07-20 프리즈머블 주식회사 상태정보 분석장치,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KR102118918B1 (ko) 2019-08-20 2020-06-04 김창환 치아 관측을 위한 스마트기기 장착형 촬영 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005A (ko) 2018-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6199B1 (ko) 치아 관측 시스템
US20180299899A1 (en) Localized collection of ambient data
US93365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dynamic analytics configuration on a mobile device
CN104685528A (zh) 用于创建幻灯片的系统和方法
US201503815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ly managing medical interactions
JP5025388B2 (ja) 試料分析装置及び試料分析方法
JP6292649B2 (ja) 電子機器制御装置、電子機器制御方法、および、電子機器制御プログラム
JP2019014032A (ja) 装置、ロボット、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202026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deling dental structures
US9529975B2 (en) Medic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dic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BR112021015739A2 (pt) Aparelho estereofônico para pessoas cegas e com deficiência visual
US10429303B2 (en) Portable and autonomous, IoT enabled, optical measurement system
Sara et al. Assessment of video see-through smart glasses for augmented reality to support technicians during milking machine maintenance
US11445108B1 (en) Turn direction guidance of an endoscopic device
TW201517555A (zh) 網路視覺化系統及方法
JP2020519051A (ja) 美容機器のための、通信及び電力インターフェイスを含む、美容機器システム
US11178038B1 (en) Internet of things device orchestration
US20140108026A1 (en) Automatic clinical treatment device usage monitoring
KR102175348B1 (ko) 피부 진단 방법 및 장치
US11047705B2 (en) Predictive navigation system
US9933916B1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computing system
KR102497398B1 (ko) 복수의 발광부를 포함하는 혈관 및 혈류 관련 정보를 측정하는 장치
JP6255755B2 (ja) 冷却装置、及び冷却制御方法
US9373151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20240164632A1 (en) Intraoral scanning system and method for using remote resour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