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5643B1 - 복합기능 발사체 - Google Patents

복합기능 발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5643B1
KR101885643B1 KR1020170057154A KR20170057154A KR101885643B1 KR 101885643 B1 KR101885643 B1 KR 101885643B1 KR 1020170057154 A KR1020170057154 A KR 1020170057154A KR 20170057154 A KR20170057154 A KR 20170057154A KR 101885643 B1 KR101885643 B1 KR 101885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firing assembly
propellant
shell
s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7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민규
Original Assignee
휴먼스화공(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먼스화공(주) filed Critical 휴먼스화공(주)
Priority to KR1020170057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6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0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 F42B12/36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 F42B12/46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for dispensing gases, vapours, powders or chemically-reactive subst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9/00Equipment for attack or defence by spreading flame, gas or smoke or leurres; Chemical warfare equipment
    • F41H9/04Gas-blowing apparatus, e.g. for tear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0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 F42B12/36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 F42B12/4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of illuminating type, e.g. carrying fla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4/00Fireworks, i.e. pyrotechnic devices for amusement, display, illumination or signal purposes
    • F42B4/04Firecrac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 끝면은 막혀있으며, 타측 끝면은 열려있고, 상기 일측 끝면의 중심부에 격발뇌관이 관통 장착되어 있는 탄피; 및 상기 탄피에 내장되며, 상기 탄피의 일측 끝면의 내측에 채워진 추진체의 추진력으로 상기 탄피로부터 분리되어 일정 거리 비행하는 탄체를 포함하며, 상기 탄체는, 상기 추진체측과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추진체로부터 추진력을 전달받아 발화하는 제1 지연신관을 포함하는 제1 분리발사 어셈블리와, 상기 제1 분리발사 어셈블리와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고, 제2 지연신관을 포함하는 제2 분리발사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분리발사 어셈블리와 상기 제2 분리발사 어셈블리 사이에 제1 기능을 수행하는 제1 약제가 채워지며, 상기 제1 기능과 다른 제2 기능을 수행하는 제2 약제는 상기 제2 분리발사 어셈블리에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경량화 및 컴팩트화 구현을 통한 휴대의 편의성을 높이고 하나의 발사체로부터 여러가지 기능을 복합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한 복합기능 발사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합기능 발사체{MULTI-FUNCTION PROJECTILES}
본 발명은 복합기능 발사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량화 및 컴팩트화 구현을 통한 휴대의 편의성을 높이고 하나의 발사체로부터 여러가지 기능을 복합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한 복합기능 발사체에 관한 것이다.
해양경찰특공대, 해병도서부대, 해군청해부대 등과 같은 대테러부대 등에서는, 실무자들의 안전성이 확보된 불법조업선박 조치나 해적 퇴치등 상용 가능한 유탄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유탄 개발은 우방국 경찰청 및 개발 조건부구매 의뢰 요청이 점증하고, 다변화하는 작전 환경에 대응하고, 이러한 환경 대응을 위한 교육훈련용으로도 필요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안출된 것으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12-0000878호의 "방어용 총알"(이하 선행1) 및 등록특허 제10-0418651호의 "건상충전 연막탄"(이하 선행2) 등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선행1은, 뇌관과 화약을 가지는 탄피, 상기 탄피의 선단에 결합되어 화약의 발사력에 의해 전방으로 추진되는 탄환을 포함하고, 상기 탄환은 탄피의 선단에 고정되고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탄환몸체와 상기 탄환몸체의 선단에 결합되고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탄환헤드로 구성되어 범법자를 제압하기 위한 것이다.
선행2는 탄체, 자당을 주재료로 한 건상 입자상태의 연막제, 건상 입자상태의 착화제, 상기 착화제를 점화시키기 위한 격발수단 및 신관으로 구성된 연막탄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들은 각각 하나의 용도에 대응하여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다변화하는 작전 환경에 대응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기능을 동시에 사용하고자 하는 상황에서는 적용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즉, 선행기술들은 기능에 따른 여러가지 탄을 동시에 휴대할 경우, 중량이 증대되어 작전 수행에 지장을 줄 수 있음은 물론, 실무자가 각 기능별 탄을 구별하여 발사장치에 장전함에 있어서, 급박한 상황에서 즉각적인 장전 및 발사 동작에 애로가 있었던 것이다.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12-0000878호 등록특허 제10-041865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경량화 및 컴팩트화 구현을 통한 휴대의 편의성을 높이고 하나의 발사체로부터 여러가지 기능을 복합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기능 발사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 끝면은 막혀있으며, 타측 끝면은 열려있고, 상기 일측 끝면의 중심부에 격발뇌관이 관통 장착되어 있는 탄피; 및 상기 탄피에 내장되며, 상기 탄피의 일측 끝면의 내측에 채워진 추진체의 추진력으로 상기 탄피로부터 분리되어 일정 거리 비행하는 탄체를 포함하며, 상기 탄체는, 상기 추진체측과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추진체로부터 추진력을 전달받아 발화하는 제1 지연신관을 포함하는 제1 분리발사 어셈블리와, 상기 제1 분리발사 어셈블리와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고, 제2 지연신관을 포함하는 제2 분리발사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분리발사 어셈블리와 상기 제2 분리발사 어셈블리 사이에 제1 기능을 수행하는 제1 약제가 채워지며, 상기 제1 기능과 다른 제2 기능을 수행하는 제2 약제는 상기 제2 분리발사 어셈블리에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 발사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체는, 상기 제1 분리발사 어셈블리와 상기 제2 분리발사 어셈블리를 상호 연결하는 내부 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약제는 상기 내부 케이스에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분리발사 어셈블리는, 상기 제1 지연신관의 일단부 외주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제1 고정헤드가 걸림 고정되는 제1 통공이 중앙에 관통되며, 상기 제1 통공이 형성되는 제1 바닥면을 구비한 제1 안착홈이, 상기 추진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 분리 본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연신관의 타단부는, 상기 추진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1 분리 본체의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분리발사 어셈블리는, 상기 제2 지연신관의 일단부 외주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제2 고정헤드가 걸림 고정되는 제2 통공이 중앙에 관통되며, 상기 제2 통공이 형성되는 제2 바닥면을 구비한 제2 안착홈이, 상기 추진체측을 향하여 함몰 형성되는 제2 분리 본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연신관의 타단부는, 상기 추진체를 향하여 상기 제2 분리 본체의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탄피의 열려있는 상기 타측 끝면을 통하여 삽입 고정되고, 상기 탄피에 내장된 상기 탄체를 마감하는 밀봉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약제는, 식용 원료를 포함하는 연막 발생제 및 가스 발생제의 혼합물이며, 상기 제1 기능은 연막 형성 및 자극성 가스 비산의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약제는, 섬광 형성제와 폭음 발생제의 혼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기능은 섬광 형성 및 폭음 발생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경량화 및 컴팩트화 구현을 통한 휴대의 편의성을 높이고 하나의 발사체로부터 여러가지 기능을 복합적으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다변화하고 흉포화하는 작전 환경에 적극적인 대응과 이러한 환경 대응용의 교육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는 등 매우 범용성과 활용성이 우수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 발사체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 발사체의 전체적인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단면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 발사체의 주요부인 탄체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 발사체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 발사체(1)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 발사체(1)의 전체적인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단면 개념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 발사체(1)의 주요부인 탄체(2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 개념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 발사체(1)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 개념도로, 탄피(10)에 탄체(2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참고로, 도 3 및 도 4에 표시되지 않은 도면 부호는 도 2를 참조한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탄피(10)에 내장된 탄체(20)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탄피(10)는 일측 끝면은 막혀있으며, 타측 끝면은 열려있고, 일측 끝면의 중심부에 격발뇌관(11)이 관통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외면에는 산화방지 도금 처리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탄체(20)는 탄피(10)에 내장되며, 탄피(10)의 일측 끝면의 내측에 채워진 추진체(40, 이하 도 4 참조)의 추진력으로 탄피(10)로부터 분리되어 특정 위치까지 일정 거리 비행하는 것이다.
여기서, 추진체(40)는 탄체(20)에 추진력을 부여하기 위한 흑색 화약, 즉 추진 화약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탄체(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 분리발사 어셈블리(30, 50)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제1 분리발사 어셈블리(30)는 추진체(40)측과 인접하게 배치되고, 추진체(40)로부터 추진력을 전달받아 발화하는 제1 지연신관(31)을 포함하는 것이다.
제2 분리발사 어셈블리(50)는 제1 분리발사 어셈블리(30)와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고, 제2 지연신관(51)을 포함하는 것이다.
여기서, 제1 기능을 수행하는 제1 약제는 제1 분리발사 어셈블리(30) 및 제2 분리발사 어셈블리(50) 사이에 채워지고, 제1 기능과 다른 제2 기능을 수행하는 제2 약제(80, 이하 도 4 참조)는 전술한 제2 분리발사 어셈블리(50)에 채워지게 된다.
이때, 제1 기능 및 제2 기능과 함께 제1 약제 및 제2 약제(80)에 관하여는 후술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따라서, 탄체(20)는 탄피(10)로부터 분리 발사되어 제1 분리발사 어셈블리(30)와 제2 분리발사 어셈블리(50)의 순으로 분리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탄체(20)는, 내부 케이스(60)에 의하여 제1 분리발사 어셈블리(30)와 제2 분리발사 어셈블리(50)를 상호 연결된 구조이며, 이러한 내부 케이스(60)에 전술한 제1 약제가 채워지게 되고, 전술한 내부 케이스(60)의 구조에 관하여는 뒤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한편, 제1 분리발사 어셈블리(30)는, 제1 지연신관(31)의 일단부 외주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제1 고정헤드(31h)가 걸림 고정되는 제1 통공(32h)이 중앙에 관통되며, 제1 통공(32h)이 형성되는 제1 바닥면(32b)을 구비한 제1 안착홈(32g)이, 추진체(4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 분리 본체(3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연신관(31)은 동 또는 동 합금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내부에는 지연제와 착화제가 일정 비율로 혼합되어 채워져 있다.
이때, 제1 지연신관(31)의 타단부는, 추진체(4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1 분리 본체(32)의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제1 분리발사 어셈블리(30)는, 제1 안착홈(32g)을 덮는 제1 절연 커버(3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안착홈(32g)은 약실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추진 화약인 전술한 추진체(40)와는 별도로 착화제(45)가 채워지는 약실로서의 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제1 절연 커버(33)는 종이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 착화제(45)가 제1 분리 본체(32)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밀봉 상태를 유지함은 물론, 수분을 흡수하여 고화(固化)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그리고, 제1 분리발사 어셈블리(30)는, 제1 분리 본체(32)의 일단부 외주면에 단차지게 형성되고, 제1 분리발사 어셈블리(30) 및 제2 분리발사 어셈블리(50)를 서로 연결하는 내부 케이스(60)의 개방된 단부 가장자리가 끼움 고정되는 제1 고정 슬리브(34)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분리발사 어셈블리(30)는, 제1 분리 본체(32)의 외주면을 따라 원호 형상의 단면을 형성하는 제1 환형 홈부(35)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1 환형 홈부(35)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이루어진 후술할 내부 케이스(60)의 내통체(61)와 시밍(seaminig) 결합되는 고정홈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한편, 제2 분리발사 어셈블리(50)는, 제2 지연신관(51)의 일단부 외주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제2 고정헤드(51h)가 걸림 고정되는 제2 통공(52h)이 중앙에 관통되며, 제2 통공(52h)이 형성되는 제2 바닥면(52b)을 구비한 제2 안착홈(52g)이, 추진체(40)측을 향하여 함몰 형성되는 제2 분리 본체(5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지연신관(51)은 동 또는 동 합금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내부에는 지연제와 착화제가 일정 비율로 혼합되어 채워져 있다.
이때, 제2 지연신관(51)의 타단부는, 추진체(40)를 향하여 제2 분리 본체(52)의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제2 분리발사 어셈블리(50)는, 제2 안착홈(52g)을 덮는 제2 절연 커버(53)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제2 안착홈(52g)은 약실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후술할 제2 약제(80)가 채워지는 약실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제2 절연 커버(53)는, 제2 약제(80)가 제2 분리 본체(52)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밀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일정 정도의 강도를 가지도록,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 약실 와드(wad)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2 분리발사 어셈블리(50)는, 제2 분리 본체(52)의 일단부 외주면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2 고정 슬리브(54)와, 제2 무게 조절체의 외주면을 따라 원호 형상의 단면을 형성하는 제2 환형 홈부(55)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2 고정 슬리브(54)는, 제1 분리 본체(32)와 동일한 형상을 가진 제2 분리 본체(52)를 실수로 제1 분리발사 어셈블리(30)에 조립하더라도 제1 기능 또는 제2 기능을 수행하는데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 제1, 2 무게조절체(32, 52)를 서로 오인 혼돈하지 않고 주의하여 분별 조립하는 번거로움을 배제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제2 고정 슬리브(54)는, 전술한 제1 고정 슬리브(34)와 함께 제1 분리 본체(32) 및 제2 분리 본체(52)를 동일 형상으로 제작함으로써, 작업자가 조립 체결함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 마련된 것이라 하겠다.
아울러, 제2 환형 홈부(55) 또한 제1 환형 홈부(35)와 같이 후술할 내통체(61)와 시밍(seaminig)되는 고정홈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으로, 전술한 제2 고정 슬리브(54)와 동일한 목적으로 형성된 것이다.
즉, 제2 환형 홈부(55)는 제1 분리 본체(32) 및 제2 분리 본체(52)를 동일 형상으로 제작함으로써, 작업자가 조립 체결함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 마련된 것이라 하겠다.
한편, 내부 케이스(60)는, 크게 내통체(61) 및 내부 성형체(62)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내통체(61)는 일단부는 개방되고 타단부는 밀폐되며, 일단부에 제1 분리발사 어셈블리(30)의 제1 분리 본체(32) 외주면이 고정 결합되며, 타단부의 중심에 관통된 고정홀(61h)에 제2 분리발사 어셈블리(50)의 제2 지연신관(51) 타단부가 고정 결합되는 것으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내부 성형체(62)는 내통체(61)에 내장되며, 중심부를 관통하는 장착홀(62h)이 형성되고, 장착홀(62h)에 각각 제1 분리 본체(32)의 외부로 노출된 제1 지연신관(31)의 타단부와 제2 분리 본체(52)의 외부로 노출된 제2 지연신관(51)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것이다.
이때, 내부 성형체(62)는 후술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제1 약제를 구성하는 성분들이 내통체(61)에 수용되고, 제1 지연신관(31) 및 제2 지연신관(51)이 체결 고정되도록 전술한 바와 같은 특정 형상을 가지도록 성형된 것이다.
다시말해, 제1 약제는 내부 성형체(62) 그 자체라 할 수 있다.
또한, 장착홀(62h)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지연신관(31) 및 제2 지연신관(51)의 장착 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제1, 2 지연신관(31, 51)의 화염 분출과 점화시 화염이 관통할 수 있도록 하는 유로를 제공하는 역할 또한 수행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수분 침투를 방지하고 기밀 유지를 위하여, 탄피(10)의 열려있는 타측 끝면을 통하여 삽입 고정되고, 탄피(10)에 내장된 탄체(20)를 마감하는 밀봉 커버(7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밀봉 커버(70)는, 제2 분리발사 어셈블리(50)의 제2 분리 본체(52)와 접촉 배치되며 탄피(10)의 내경과 대응하는 외경을 구비한 커버편(71)과, 커버편(71)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탄피(10)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외주면을 형성하며, 탄피(10)에 끼움 고정되는 링 형상의 밀봉편(72)을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캡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약제는, 식용 원료를 포함하는 연막 발생제 및 가스 발생제의 혼합물이며, 제1 기능은 연막 형성 및 자극성 가스 비산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약제는, 연막 발생제 85 중량% 및 가스 발생제 15 중량%를 혼합한 혼합물 100g을 상온에서 24시간 숙성후 압축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장착홀(62h)이 중심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내부 성형체(62)의 형태로 성형될 수 있다.
이때, 연막 발생제는, 연막 발생제 85 중량% 중, 식용설탕 35~40 중량%, 유황 15~20 중량%, 맥분 10~15 중량%, 중조 5~10 중량%로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가스 발생제는, 가스 발생제 15 중량% 중, 식용캡사이신 15 중량%에 알콜 10 중량%로 희석 혼합시켜 제조될 수 있다.
연막 발생제와 가스 발생제는 인체에 유해한 기존 재료 대신에 전술한 바와 같은 식용 원료를 사용함으로써, 진압 효과는 높이되, 진압 대상에 대한 유해성을 제거함으로써 신뢰도를 높인 제품의 사용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약제(80)는, 섬광 형성제와 폭음 발생제의 혼합물을 포함하며, 제2 기능은 섬광 형성 및 폭음 발생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약제(80)는 성형된 5~7g의 섬광 형성제에 5~7g의 폭음 발생제를 충진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섬광 형성제는, 과염소산칼륨 45~60 중량%, 마그네슘 45~50 중량%, 아세톤 2~3 중량%를 혼합하여 10kg 프레스로 압축함으로써 성형될 수 있다.
또한, 폭음 발생제는, 과염소산칼륨 50~60 중량%, 알루미늄 45~60 중량%를 분말 형태로 혼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제2 기능 중 폭음 발생제에 의한 소음은 110dB 이상의 소음을 형성하도록 하며, 섬광 형성제에 의한 섬광은 3×106cd 이상의 밝은 빛이 방사되도록 하여 진압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폭음 발생제의 성분들은 착화력을 강화시킴과 동시에, 고화를 방지하여 장시간의 보관에도 기능 저하 등의 문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경량화 및 컴팩트화 구현을 통한 휴대의 편의성을 높이고 하나의 발사체로부터 여러가지 기능을 복합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기능 발사체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복합기능 발사체
10...탄피
11...격발뇌관
20...탄체
30...제1 분리발사 어셈블리
31...제1 지연신관
31h...제1 고정헤드
32...제1 분리 본체
32b...제1 바닥면
32g...제1 안착홈
32h...제1 통공
33...제1 절연 커버
34...제1 고정 슬리브
35...제1 환형 홈부
40...추진체
45...착화제
50...제2 분리발사 어셈블리
51...제2 지연신관
51h...제2 고정헤드
52...제2 분리 본체
52b...제2 바닥면
52g...제2 안착홈
52h...제2 통공
53...제2 절연 커버
54...제2 고정 슬리브
55...제2 환형 홈부
60...내부 케이스
61...내통체
61h...고정홀
62...내부 성형체(제1 약제)
62h...장착홀
70...밀봉 커버
71...커버편
72...밀봉편
80...제2 약제

Claims (7)

  1. 일측 끝면은 막혀있으며, 타측 끝면은 열려있고, 상기 일측 끝면의 중심부에 격발뇌관이 관통 장착되어 있는 탄피; 및
    상기 탄피에 내장되며, 상기 탄피의 일측 끝면의 내측에 채워진 추진체의 추진력으로 상기 탄피로부터 분리되어 일정 거리 비행하는 탄체를 포함하며,
    상기 탄체는,
    상기 추진체측과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추진체로부터 추진력을 전달받아 발화하는 제1 지연신관을 포함하는 제1 분리발사 어셈블리와,
    상기 제1 분리발사 어셈블리와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고, 제2 지연신관을 포함하는 제2 분리발사 어셈블리와,
    상기 제1 분리발사 어셈블리와 상기 제2 분리발사 어셈블리를 상호 연결하는 내부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분리발사 어셈블리와 상기 제2 분리발사 어셈블리 사이에 제1 기능을 수행하는 제1 약제가 채워지며, 상기 제1 기능과 다른 제2 기능을 수행하는 제2 약제는 상기 제2 분리발사 어셈블리에 채워지며,
    상기 제1 약제는 상기 내부 케이스에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 발사체.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발사 어셈블리는,
    상기 제1 지연신관의 일단부 외주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제1 고정헤드가 걸림 고정되는 제1 통공이 중앙에 관통되며, 상기 제1 통공이 형성되는 제1 바닥면을 구비한 제1 안착홈이, 상기 추진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 분리 본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연신관의 타단부는, 상기 추진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1 분리 본체의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 발사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분리발사 어셈블리는,
    상기 제2 지연신관의 일단부 외주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제2 고정헤드가 걸림 고정되는 제2 통공이 중앙에 관통되며, 상기 제2 통공이 형성되는 제2 바닥면을 구비한 제2 안착홈이, 상기 추진체측을 향하여 함몰 형성되는 제2 분리 본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연신관의 타단부는, 상기 추진체를 향하여 상기 제2 분리 본체의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 발사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피의 열려있는 상기 타측 끝면을 통하여 삽입 고정되고, 상기 탄피에 내장된 상기 탄체를 마감하는 밀봉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 발사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약제는,
    식용 원료를 포함하는 연막 발생제 및 가스 발생제의 혼합물이며,
    상기 제1 기능은 연막 형성 및 자극성 가스 비산의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 발사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약제는,
    섬광 형성제와 폭음 발생제의 혼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기능은 섬광 형성 및 폭음 발생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 발사체.
KR1020170057154A 2017-05-08 2017-05-08 복합기능 발사체 KR101885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154A KR101885643B1 (ko) 2017-05-08 2017-05-08 복합기능 발사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154A KR101885643B1 (ko) 2017-05-08 2017-05-08 복합기능 발사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5643B1 true KR101885643B1 (ko) 2018-08-07

Family

ID=63251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7154A KR101885643B1 (ko) 2017-05-08 2017-05-08 복합기능 발사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6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636B1 (ko) 2019-11-06 2020-11-23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체 발사체 제작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8651B1 (ko) 2001-02-06 2004-02-11 주식회사 한화 건상충전 연막탄
KR20120000878U (ko) 2010-07-27 2012-02-06 서호영 체온 배출이 가능한 루프 부착과 고무 벨트 홈 제작 방식
KR20150071161A (ko) * 2013-12-18 2015-06-26 휴먼스화공(주) 최루가스를 구비하는 고무충격 발사체
KR20150071163A (ko) * 2013-12-18 2015-06-26 휴먼스화공(주) 다 기능을 갖는 복수의 자탄을 구비하는 발사체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8651B1 (ko) 2001-02-06 2004-02-11 주식회사 한화 건상충전 연막탄
KR20120000878U (ko) 2010-07-27 2012-02-06 서호영 체온 배출이 가능한 루프 부착과 고무 벨트 홈 제작 방식
KR20150071161A (ko) * 2013-12-18 2015-06-26 휴먼스화공(주) 최루가스를 구비하는 고무충격 발사체
KR20150071163A (ko) * 2013-12-18 2015-06-26 휴먼스화공(주) 다 기능을 갖는 복수의 자탄을 구비하는 발사체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636B1 (ko) 2019-11-06 2020-11-23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체 발사체 제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8972B2 (en) Flare-bang projectile
US4976201A (en) Non-lethal distraction device
US7793591B1 (en) Projectile having ignitable payload with delay column igniter
US7866265B1 (en) Flare apparatus
US8376561B2 (en) Chemiluminescent grenade
US4947753A (en) Stun grenade
US7802520B2 (en) Drag minimizing projectile delivery system
KR101885643B1 (ko) 복합기능 발사체
JPH09196600A (ja) 急速発煙手榴弾
US9778006B1 (en) Explosive device and mini depth charge grenade
US3726226A (en) Universal smoke marking grenade for dry and inundated areas
US8677904B2 (en) Tricolor flare projectile
US9574857B1 (en) Trip flare with flash bang
RU2622063C2 (ru) Игровой патрон
KR101885644B1 (ko) 다목적 유탄 발사체
RU2512048C1 (ru) Патрон
RU159193U1 (ru) Выстрел с имитатором снаряда
RU2541602C1 (ru) Сигнально-осветительный боеприпас нелетального действия военного назначения
EP3377844B1 (en) Munition having penetrator casing with fuel-oxidizer mixture therein
EP2083239B1 (en) Warhead with multiple effect units
KR20150071161A (ko) 최루가스를 구비하는 고무충격 발사체
JP3749773B2 (ja) 発光発音矢
RU2603993C1 (ru) Сигнальный патрон
RU2355995C1 (ru) Авиационная мишень
RU2807626C1 (ru) Имитатор взрыва (вариан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