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5060B1 - 열 안정성 염 처리를 위한 산성가스 포집 시스템 - Google Patents

열 안정성 염 처리를 위한 산성가스 포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5060B1
KR101885060B1 KR1020110090619A KR20110090619A KR101885060B1 KR 101885060 B1 KR101885060 B1 KR 101885060B1 KR 1020110090619 A KR1020110090619 A KR 1020110090619A KR 20110090619 A KR20110090619 A KR 20110090619A KR 101885060 B1 KR101885060 B1 KR 101885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ion exchange
heating
absorption tower
t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0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7191A (ko
Inventor
김준한
장경룡
심재구
이지현
이인영
엄용석
곽노상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10090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060B1/ko
Publication of KR20130027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7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56Removing acid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06Multiple stage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96Regeneration, reactivation or recycling of react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96Regeneration, reactivation or recycling of reactants
    • B01D53/965Regeneration, reactivation or recycling of reactants including an electrochemical process ste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2/00Absorbents, i.e. solvents and liquid materials for gas absorption
    • B01D2252/10Inorganic ab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2/00Absorbents, i.e. solvents and liquid materials for gas absorption
    • B01D2252/10Inorganic absorbents
    • B01D2252/102Ammon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2/00Absorbents, i.e. solvents and liquid materials for gas absorption
    • B01D2252/20Organic absorbents
    • B01D2252/204Am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2/00Absorbents, i.e. solvents and liquid materials for gas absorption
    • B01D2252/20Organic absorbents
    • B01D2252/204Amines
    • B01D2252/20494Amino acids, their salts or deriva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50Carbon oxides
    • B01D2257/504Carbon diox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CCAPTURE, STORAGE, SEQUESTRATION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GHG]
    • Y02C20/0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 Y02C20/4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of CO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 등의 산성가스를 분리하기 위한 대표적 공정인 흡수법에서 흡수제의 열 안정성 염을 처리하는 산성가스 포집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온 교환탑 및 가열 리클레이머를 이용한 흡수제 복합 환원 방법을 통해, 가열 리클레이머 공정의 운전 주기 및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주기를 늘림으로써, 퇴화 흡수제의 재생 시 에너지를 절감하고 흡수제의 보충량을 최소화하여 공정 운영비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흡수제의 종류에 관계 없이 적용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처리된 흡수제를 다방향 밸브를 이용하여 흡수탑에 분리 주입함으로써, 흡수탑의 온도를 낮추어 흡수탑의 반응효율을 동시에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열 안정성 염 처리를 위한 산성가스 포집 시스템{Acidic gas capture system for treating heat stable salt}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 등 산성가스를 분리하기 위한 대표적 공정인 흡수법에서 흡수제의 열 안정성 염을 처리하는 산성가스 포집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가 시작된 19세기 초반부터, 에너지 산업에서 사용되는 석탄, 석유, LNG 등의 화석연료의 사용 증가로 인하여, 대기 중에 CO2, H2S, COS(황화 카르보닐) 등의 산성가스 농도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산성가스, 특히 이산화탄소는 지구를 온난화시킨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세계적으로 배출 및 처리에 대한 규제가 엄격해지고 있다. 1992년 6월 브라질 리우에서 열린 환경과 개발에 관한 UN 회의를 통하여 지구온난화에 대한 국제적 관심을 불러 일으켰고, 미국과 일본을 포함한 선진국들은 자국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 대비 5.2% 감축하기로 합의하는 등, 산성가스 저감방안에 대한 국제적 합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기술(CCS, Carbon Capture and Storage (Sequestration)) 중에서 포집기술이 전체 기술비용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연구되고 있는 기술로는 흡수법, 흡착법, 막분리법, 심냉법 등이 있고, 이중 흡수법이 좀 더 현실성 있는 대안으로 제시되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특히, 흡수법은 대용량의 가스를 처리하는데 용이하고 저농도의 가스분리에 적합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산업체 및 발전소에 적용하는 것이 용이하며, 대표적으로 에이비비 러머스 크레스트(ABB lummus Crest)사의 공정이 트로나(Trona, CA, USA) 및 쉐디 포인트(Shady Point, Oklahoma, USA)에서 운전되고 있다.
흡수법에서 흡수제는 흡수탑과 탈거탑을 계속해서 순환하게 되면서, O2와 SO2 등에 의해 열화(Degradation)되어 안정한 염을 안정한 염을 생성하는데, 이를 열 안정성 염(Heat stable salt)이라 한다. 이러한 열 안정성 염은 공정이 운전될수록 흡수제의 성능을 퇴화시키므로, 이들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산화탄소 등 산성가스를 분리하기 위한 대표적 공정인 흡수법에 사용되는 흡수제의 성능을 퇴화시키는 열 안정성 염을 처리하는 산성가스 포집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흡수제를 이용한 산성가스의 흡수가 이루어지는 흡수탑; 흡수탑과 연결되고 흡수제의 재생이 이루어지는 탈거탑; 탈거탑과 연결되고 탈거탑으로 재순환되는 재생 흡수제를 가열하여 재생 흡수제에 포함된 열 안정성 염을 처리하는 가열 리클레이머(Thermal Reclaimer); 및 흡수탑과 탈거탑 사이에 설치되고 흡수탑으로 이송되는 재생 흡수제에 포함된 열 안정성 염을 처리하는 이온 교환탑을 포함하는 산성가스 포집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흡수탑과 이온 교환탑 사이에 설치되는 다방향 밸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온 교환탑에는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 또는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가 충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가열 리클레이머의 가열수단은 전기 또는 스팀이고, 가열 온도는 100 내지 150℃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열 안정성 염은 포름산염, 아세트산염, 탄산염, 황산염, 인산염, 염화물, 티오시안산염, 바이신, 티오황산염, 옥살산염, 글리콜산염, 질산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흡수제는 아민계, 아미노산염, 무기염계 용액, 암모니아수, 금속 이온염 용액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산성가스는 CO2, H2S, SO2, NO2, COS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흡수탑에서 흡수제를 이용하여 산성가스를 흡수하는 단계; 탈거탑에서 흡수제를 재생하는 단계; 탈거탑으로 재순환되는 재생 흡수제를 가열 리클레이머에서 가열하여 재생 흡수제에 포함된 열 안정성 염을 처리하는 단계; 및 흡수탑으로 이송되는 재생 흡수제에 포함된 열 안정성 염을 이온 교환탑에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산성가스 포집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이온 교환탑에서 처리한 흡수제를 다방향 밸브를 통해 흡수탑에 분리 주입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흡수제는 다성분계 혼합 흡수제일 수 있는데, 이 경우 다성분계 혼합 흡수제의 성분 중 비점이 낮은 성분은 가열 리클레이머에서 처리하고, 비점이 높은 성분은 이온 교환탑에서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열 안정성 염을 처리하여 흡수제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열을 이용한 가열 리클레이머와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이온 교환탑을 동시에 사용하는 복합 환원 방법을 통해 흡수제를 환원시킴으로써, 가열 리클레이머 공정의 운전 주기 및 이온 교환탑의 재생주기를 늘려주어 퇴화 흡수제의 재생시 에너지를 절감하고 흡수제의 보충량을 최소화하여 공정 운영비를 최소화하며, 흡수제 종류에 관계 없이 흡수제의 환원이 가능하다. 또한 이온 교환탑에서 환원된 흡수제의 흡수탑 내 분리주입을 통해 흡수탑의 온도를 낮추도록 하여 흡수탑의 반응효율을 동시에 높일 수 있다.
도 1은 혼합가스 중 산성가스 흡수 및 탈거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열 안정성 염 처리를 위해 가열 리클레이머 및 이온 교환탑을 적용한 산성가스 포집 시스템의 공정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적용되는 가열 리클레이머 및/또는 이온 교환탑의 운전주기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혼합가스 중 산성가스 흡수 및 탈거 공정도로서, 산성가스 포집장치는 흡수탑(201), 열교환기(202), 탈거탑(203), 리보일러(204), 응축기(205), 리플럭스 드럼(206) 등을 포함한다.
흡수탑(201)으로 냉각된 배기가스(101)와 흡수제(102)가 공급된다. 배기가스(101)는 산성가스를 포함하는 연소 배기가스일 수 있으며, 산성가스는 CO2, H2S, SO2, NO2 또는 COS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흡수제(102)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아민계, 아미노산염, 무기염류 용액, 암모니아수 및 이온염용액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흡수제(102)는 1 내지 50 부피 분율 범위의 수용액으로 이용되는 것이 좋다.
흡수탑(201)에서 흡수제(102)와 배기가스(101)는 향류 접촉된다. 흡수제(102)는 배기가스(101) 중에 포함된 이산화탄소 등의 산성가스를 흡수하여 산성가스 포화 흡수제(105)를 생성한 후 흡수탑(201) 하단으로 배출된다. 배기가스(101) 중 흡수제(102)와 반응하지 않은 질소, 산소 등 미반응 가스는 흡수탑(201) 상부를 통해 배출된다. 흡수탑(201)의 운전온도는 흡수제(102)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흡수탑(201)의 운전 온도는 40℃ 내지 60℃의 범위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순환되는 세척수(103)를 이용하거나, 공정의 물 수지를 맞출 수 있도록 공급되는 보충수(104)를 이용하여, 흡수제(102) 또는 증기가 비말하는 것을 방지한다.
산성가스가 포화된 흡수제(105)는 펌프에 의해 이송되고, 열교환기(202)에 의해 예열된 상태로 탈거탑(203) 상부로 주입된다. 포화 흡수제(105)의 재생은 높은 온도(100 내지 140℃) 및 대기압 정도의 압력 하에 탈거탑(203)에서 수행된다. 탈거탑(203) 상부로 주입된 포화 흡수제(105)는 탈거탑(203)의 하부로 이동하면서 리보일러(204)에서 공급되는 열 에너지에 의하여 산성가스가 탈거되고 흡수제가 재생된다. 재생 조건을 유지하기 위하여, 터빈 수증기 등의 열원이 리보일러(204)로 공급되며, 이 과정에서 열에너지가 소모된다.
탈거탑(203)에 공급되는 에너지는 포화 흡수제(105)에 화학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산성가스를 탈거시키고, 탈거된 산성가스와 수증기의 혼합가스(106)는 응축기(205)와 리플럭스 드럼(206)을 거치면서, 산성가스(107)와 응축수(108)로 분리된다. 산성가스(107)는 별도의 회수 공정 또는 처리 공정으로 이송되어 저장 또는 용도에 따라 사용되고, 응축수(108)는 회수되어 탈거탑(203)로 다시 공급된다.
산성가스가 탈거되어 재생된 흡수제(102)는 열교환기(202)를 거쳐 흡수탑(201) 수준의 온도로 냉각된 후, 펌프에 의해 흡수탑(201)으로 이송되어 재순환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열 안정성 염 처리를 위해 가열 리클레이머 및 이온 교환탑을 적용한 산성가스 포집 시스템의 공정도로서, 도 1의 장치 이외에 가열 리클레이머(301), 이온 교환탑(302) 및 다방향 밸브(303)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성가스 포집 공정은 기본적으로 흡수탑(201)에서 이산화탄소 등의 산성가스를 흡수하는 흡수 공정과, 탈거탑(203)에서 고온으로 열에너지를 가함으로써 흡수된 산성가스를 흡수제로부터 분리하는 탈거 공정으로 구성되는데, 이때 흡수제는 흡수탑(201)과 탈거탑(203)을 계속해서 순환하면서, O2와 SO2 등에 의해 열화되어 안정한 염, 즉 열 안정성 염(HSS: Heat Stable Salt)을 생성하여 흡수제의 성능을 퇴화시킨다.
열 안정성 염은 포름산염(formate), 아세트산염(acetate), 탄산염(carbonate), 황산염(sulfate), 인산염(phosphate), 염화물(chloride), 티오시안산염(thiocyanate), 바이신(bicine), 티오황산염(thiosulfate), 옥살산염(oxalate), 글리콜산염(glycolate), 질산염(nitrate) 등으로, 음이온 및 유기산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흡수제에 생성된 열 안정성 염을 처리하고 흡수제를 환원시키기 위해, 열을 이용한 가열 리클레이머(301)와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이온 교환탑(302)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환원"은 산화에 대비되는 개념이 아니며, 이와 관련하여 "흡수제가 환원된다는 것"은 열 안정성 염 등에 의해 퇴화된 흡수제가 원래의 상태로 돌아감을 의미한다.
가열 리클레이머를 이용한 공정은 고온으로 가열시키기 위해 많은 양의 에너지를 사용하게 되며, 즉 에너지 사용이 과다하여 공정의 운영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고, 이는 가열 리클레이머의 가장 큰 단점이다.
이온 교환탑의 경우 고농도에서 상시 운전시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이 잦아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가열 리클레이머(301)와 이온 교환탑(302)을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상술한 두 장치의 단점을 상쇄시키면서 열 안정성 염의 처리효과를 획기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열 리클레이머(301)와 이온 교환탑(302)을 동시에 사용하는 흡수제 복합 환원 공정을 통해, 가열 리클레이머 공정의 운전주기 및 이온교환탑의 재생주기를 동시에 늘림으로써, 퇴화 흡수제의 재생시 에너지를 절감하고 흡수제의 보충량을 최소화하여 공정 운영비를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흡수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흡수제의 환원이 가능하게 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탈거탑(203)를 통해 재생된 흡수제는 열교환기(202) 전단에 설치된 펌프를 지나 가열 리클레이머(301)에 일부가 유입되고, 열에 의해 환원이 가능한 흡수제는 환원되어 다시 탈거탑(203)으로 재순환된다.
이와 같이, 가열 리클레이머(301)는 탈거탑(203)과 연결되는 재순환라인에 설치되고, 탈거탑(203)으로 재순환되는 재생 흡수제를 가열하여 재생 흡수제에 포함된 열 안정성 염을 처리한다. 가열 리클레이머(301)는 가열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전기 또는 스팀을 이용하며, 가열 온도는 100 내지 150℃인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제로써의 역할을 하지 못하는 퇴화된 흡수제는 가열에 의해 증발하여 탈거탑(203) 내로 다시 주입되며, 이때 증발되지 못한 열화물(퇴화물), 즉 열 안정성 염만 가열 리클레이머(301)에 남게 된다(퇴화흡수제 → 순수흡수제 + 퇴화물). 즉, 퇴화 흡수제는 가열에 의해 원래의 순수한 흡수제로 환원되어 탈거탑(203)으로 돌아가며, 가열 리클레이머(301)에는 슬러리 형태의 찌꺼기(열 안정성 염)가 남게 되고 이 찌꺼기는 폐기된다.
이온 교환탑(302)은 흡수탑(201)과 탈거탑(203), 바람직하게는 흡수탑(201)과 열교환기(202) 사이에 설치되고, 흡수탑(201)으로 재순환되는 재생 흡수제(102)에 포함된 열 안정성 염을 처리한다. 이온교환탑(302)은 가열 리클레이머(301)의 운전주기를 늘리기 위해, 상시 운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온 교환탑(302)에는 이온교환수지가 충전될 수 있으며, 이온교환수지로는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온교환탑(302)에서 음이온 부분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이온 교환탑(302) 내에 강염기성 음이온교환수지를 사용하는데, 이때 흡수제 중에 존재하는 음이온은 이온교환수지 중에 존재하는 수산기와 치환되어 흡수제에서 제거된다. 이온교환수지를 사용한 후에는 수지를 폐기하거나 적절한 농도의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수지를 재생한다.
이온 교환탑(302)에서도 가열 리클레이머(301)와 마찬가지로, 퇴화 흡수제가 이온교환탑(302)을 통과하면서 원래의 순수한 흡수제로 바뀌어 배출되고, 열 안정성 염은 이온교환탑(302) 내의 이온교환수지에 부착된다(퇴화흡수제 → 순수흡수제 + 퇴화물). 열 안정성 염으로 이온교환수지가 포화되면, 수산화 나트륨 등으로 세척하여 열 안정성 염을 씻겨내서 버린다.
이온교환탑(302)을 거쳐 환원된 흡수제는 흡수탑(201)과 이온 교환탑(302) 사이에 설치되는 자동 컨트롤 밸브인 다방향 밸브(303), 예를 들어 3-방향 밸브를 통해 흡수탑(201)으로 분리 주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흡수법에서 흡수제와 산성가스의 반응은 낮은 온도에서 유리하며, 즉 반응기인 흡수탑 내에서 가능한 낮은 온도로 고르게 유지하는 것이 반응효율 측면에서 유리한데, 다방향 밸브(303)를 이용한 흡수제의 분리 주입을 통해 흡수탑(201)의 온도를 낮춤으로써 흡수탑(201)의 반응효율을 동시에 높일 수 있다.
일반적인 산성가스 처리공정에서 흡수반응은 발열반응으로 온도가 낮을수록 반응이 잘 일어난다. 또한, 이러한 발열반응으로 인해 반응시 흡수탑(201) 내부의 온도는 약 50 내지 65℃로 상승하게 된다. 이온교환탑(302)을 통과한 흡수제의 온도는 약 35 내지 45℃로서, 원래의 흡수제 공급라인과 동시에 주입하여도 무방하나, 이온교환탑(302)을 통과한 흡수제를 온도가 상승된 흡수탑(201)으로 분리 주입하게 되면, 별도의 냉각 후 주입에 따른 온도하강 효과보다는 미미하지만, 흡수탑(201)의 온도를 낮추는 효과를 가져오게 되어 흡수탑(201)의 제거효율을 일정 부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분리 주입에 의해, 산성가스 제거효율은 실제 공정에서 1% 이상 향상될 수 있는데, 실제 공정에서 1 내지 2% 정도의 제거율 상승은 큰 상승률이라고 할 수 있다.
삭제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는데,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예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실제 공정을 약 300배 축소시킨 실험공정에서 적용하였다. 열 안정성 염이 생성된 30 wt%의 모노에탄올아민 흡수제를 강염기성 음이온교환수지를 포함하는 이온 교환탑에 통과시킨 후, 열 안정성 염의 제거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때 이온 교환탑의 통과횟수는 음이온교환수지의 양에 따라 달라지므로 발명의 효과와는 무관하다.
샘플 열 안정성 염 함량(ppm)
출발용액 1059.43
1차 통과 716.12
2차 통과 786.79
3차 통과 808.48
4차 통과 789.47
5차 통과 734.91
6차 통과 578.29
7차 통과 372.03
8차 통과 274.69
9차 통과 203.71
10차 통과 162.96
이온교환탑을 이용한 열 안정성 염의 처리기술은 실제 흡수공정에서는 적용된 사례가 없었기 때문에, 이러한 기술이 실제로 적용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실험을 하게 되었는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온교환탑에서 실제로 열 안정성 염이 제거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또한 이온 교환탑의 통과횟수가 증가할수록 열 안정성 염의 농도가 점차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열 안정성 염이 생성된 30 wt%의 모노에탄올아민 흡수제의 환원을 위해, 가열 리클레이머 단독 운전, 이온 교환탑 단독 운전 및 두 장치 동시 운전을 실시하였다.
도 3 내지 도 5는 각각의 운전방법에 따른 운전주기를 나타낸 것으로, 도 3은 가열 리클레이머 단독 운전, 도 4는 이온 교환탑 단독 운전, 도 5는 두 장치 동시 운전의 경우이며, 각각 시간에 따른 열 안정성 염(HSS)의 농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3 내지 도 5를 비교하여 확인할 수 있듯이, 가열 리클레이머와 이온 교환탑을 동시에 사용하는 복합 환원 공정을 통해, 가열 리클레이머 공정의 운전주기 및 이온교환탑의 재생주기를 동시에 늘릴 수 있다.
표 2는 각각의 운전방법에 따른 에너지 사용량을 나타낸 것이다.
운전방법 에너지 사용량(kWh)
가열 리클레이머 단독 0.45
이온 교환탑 단독 0.14
동시 운전 0.20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가열 리클레이머 단독 운전과 비교하여, 동시 운전을 통해 에너지 사용량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실시예 3]
산성가스 포집공정의 동일운전 조건에서 30 wt%의 모노에탄올아민 흡수제를 처리한 후, 흡수탑에 단일 주입 및 다방향 밸브를 통한 분리 주입시 이산화탄소 제거율의 변화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주입방법 이산화탄소 제거율(%)
단일주입 89
분리주입 95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처리된 흡수제를 다방향 밸브를 통해 흡수탑에 분리 주입함으로써, 흡수탑의 온도를 낮추어 이산화탄소 제거율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다.
101: 배기가스
102: 흡수제/재생 흡수제
103: 세척수
104: 보충수
105: 산성가스 포화 흡수제
106: 산성가스와 수증기 혼합가스
107: 산성가스
108: 응축수
201: 흡수탑
202: 열교환기
203: 탈거탑
204: 리보일러
205: 응축기
206: 리플럭스 드럼
301: 가열 리클레이머
302: 이온 교환탑
303: 다방향 밸브

Claims (16)

  1. 흡수제를 이용한 산성가스의 흡수가 이루어지는 흡수탑;
    흡수탑과 연결되고 흡수제의 재생이 이루어지는 탈거탑;
    탈거탑과 연결되고 탈거탑으로 재순환되는 재생 흡수제를 가열하여 재생 흡수제에 포함된 열 안정성 염을 처리하는 가열 리클레이머;
    흡수탑과 탈거탑 사이에 설치되고 흡수탑으로 이송되는 재생 흡수제에 포함된 열 안정성 염을 처리하는 이온 교환탑; 및
    흡수탑과 이온 교환탑 사이에 설치되고, 이온 교환탑에서 처리한 흡수제를 흡수탑에 분리 주입 가능하게 하는 다방향 밸브를 포함하는 산성가스 포집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이온 교환탑에는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 또는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성가스 포집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가열 리클레이머의 가열수단은 전기 또는 스팀이고, 가열 온도는 100 내지 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성가스 포집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열 안정성 염은 포름산염, 아세트산염, 탄산염, 황산염, 인산염, 염화물, 티오시안산염, 바이신, 티오황산염, 옥살산염, 글리콜산염 또는 질산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성가스 포집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흡수제는 아민계, 아미노산염, 무기염계 용액, 암모니아수 또는 금속 이온염 용액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성가스 포집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산성가스는 CO2, H2S, SO2, NO2 또는 COS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성가스 포집장치.
  8. 흡수탑에서 흡수제를 이용하여 산성가스를 흡수하는 단계;
    탈거탑에서 흡수제를 재생하는 단계;
    탈거탑으로 재순환되는 재생 흡수제를 가열 리클레이머에서 가열하여 재생 흡수제에 포함된 열 안정성 염을 처리하는 단계;
    흡수탑으로 이송되는 재생 흡수제에 포함된 열 안정성 염을 이온 교환탑에서 처리하는 단계; 및
    흡수탑과 이온 교환탑 사이에 설치된 다방향 밸브를 통해 이온 교환탑에서 처리한 흡수제를 흡수탑에 분리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산성가스 포집방법.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이온 교환탑에는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 또는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성가스 포집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가열 리클레이머의 가열수단은 전기 또는 스팀이고, 가열 온도는 100 내지 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성가스 포집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열 안정성 염은 포름산염, 아세트산염, 탄산염, 황산염, 인산염, 염화물, 티오시안산염, 바이신, 티오황산염, 옥살산염, 글리콜산염 또는 질산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성가스 포집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흡수제는 아민계, 아미노산염, 무기염계 용액, 암모니아수 또는 금속 이온염 용액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성가스 포집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흡수제는 다성분계 혼합 흡수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성가스 포집방법.
  15. 삭제
  16. 제8항에 있어서,
    산성가스는 CO2, H2S, SO2, NO2 또는 COS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성가스 포집방법.
KR1020110090619A 2011-09-07 2011-09-07 열 안정성 염 처리를 위한 산성가스 포집 시스템 KR101885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619A KR101885060B1 (ko) 2011-09-07 2011-09-07 열 안정성 염 처리를 위한 산성가스 포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619A KR101885060B1 (ko) 2011-09-07 2011-09-07 열 안정성 염 처리를 위한 산성가스 포집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7191A KR20130027191A (ko) 2013-03-15
KR101885060B1 true KR101885060B1 (ko) 2018-08-06

Family

ID=48178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0619A KR101885060B1 (ko) 2011-09-07 2011-09-07 열 안정성 염 처리를 위한 산성가스 포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0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4844A (ko) * 2019-04-25 2020-11-04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 오븐 가스 정제 장치 및 정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9225B1 (ko) * 2016-09-08 2018-03-15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 오븐 가스 정제 방법 및 정제 장치
CN106635214A (zh) * 2017-01-23 2017-05-10 中冶焦耐(大连)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真空碳酸盐脱硫的富液解吸工艺及设备
KR102564568B1 (ko) * 2022-09-16 2023-08-07 주식회사 씨이텍 열통합 구조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21166A (ja) * 2007-03-14 2008-09-25 Mitsubishi Heavy Ind Ltd Co2回収装置及び廃棄物抽出方法
JP2009215186A (ja) 2008-03-07 2009-09-24 Kurita Engineering Co Ltd アミン液の再生方法
JP2010215592A (ja) * 2009-03-18 2010-09-30 Kurita Engineering Co Ltd アミン液の再生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4506B1 (en) * 1999-06-10 2001-01-16 Praxair Technology, Inc. Carbon dioxide recovery from an oxygen containing mix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21166A (ja) * 2007-03-14 2008-09-25 Mitsubishi Heavy Ind Ltd Co2回収装置及び廃棄物抽出方法
JP2009215186A (ja) 2008-03-07 2009-09-24 Kurita Engineering Co Ltd アミン液の再生方法
JP2010215592A (ja) * 2009-03-18 2010-09-30 Kurita Engineering Co Ltd アミン液の再生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4844A (ko) * 2019-04-25 2020-11-04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 오븐 가스 정제 장치 및 정제 방법
KR102209400B1 (ko) * 2019-04-25 2021-02-01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 오븐 가스 정제 장치 및 정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7191A (ko) 2013-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85907B1 (en) Air pollution control system and air pollution control method
WO2012176430A1 (ja) 燃焼排ガス処理システムおよび燃焼排ガス処理方法
JP5642700B2 (ja) 亜硫酸を用いたイオン交換樹脂の再生方法
EP2886183B1 (en) Co2 recovery method with recovery of aldehydes
KR101839225B1 (ko) 코크스 오븐 가스 정제 방법 및 정제 장치
EP2829311B1 (en) An ammonia stripper for a carbon capture system for reduction of energy consumption
EP2230000B1 (en) Flue gas treatment system and method using ammonia solution
US20130149204A1 (en) Exhaust gas treatment system with co2 removal equipment
WO2013176060A1 (ja) 排ガス処理装置
KR101885060B1 (ko) 열 안정성 염 처리를 위한 산성가스 포집 시스템
WO2013088731A1 (ja) 蒸気再圧縮設備を設置した二酸化炭素化学吸収システム
KR101956926B1 (ko) 산성가스 처리장치 및 방법
CN105413399A (zh) 同时脱硫、脱硝的系统及其工艺
KR20200011761A (ko) 금속 산화물 촉매를 이용한 아민계 이산화탄소 흡수제의 증류 재생방법
CA2832662A1 (en) Process for purifying absorbents comprising polyethylene glycol dimethyl ethers
WO2014024548A1 (ja) Co2回収装置およびco2回収方法
CA2834664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pturing sox in a flue gas processing system
JP2013173114A (ja) 二酸化炭素の回収装置
KR102209400B1 (ko) 코크스 오븐 가스 정제 장치 및 정제 방법
JP5606469B2 (ja) 二酸化炭素回収装置及びその方法
RU2656661C1 (ru) Способ удаления диоксида углерода из газовых смесей
KR20150015885A (ko) 산성 가스 처리 장치
KR20200065393A (ko) 산성가스 정제장치 및 정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