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4894B1 - 약품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 - Google Patents

약품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4894B1
KR101884894B1 KR1020170082353A KR20170082353A KR101884894B1 KR 101884894 B1 KR101884894 B1 KR 101884894B1 KR 1020170082353 A KR1020170082353 A KR 1020170082353A KR 20170082353 A KR20170082353 A KR 20170082353A KR 101884894 B1 KR101884894 B1 KR 101884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hemical
drug
rfid tag
managem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2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채원
Original Assignee
(주)스마트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마트코리아 filed Critical (주)스마트코리아
Priority to KR1020170082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48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4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4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28
    • G06F19/345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품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약품 정보 출력 장치(50)에 의해 출력된 바코드 또는 생성된 RFID 태그는 화학 약품 케이스에 부착되어 출고되는 제 1 단계; 및 약품 관리 단위 설비(30)의 리더기(31)가 화학 약품 케이스에 부착된 바코드 또는 RFID 태그에 대해서 각각 바코드 정보에 포함된 화학 약품 정보 또는 RFID 태그 정보에 포함된 화학 약품 정보를 추출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화학 약품에 대한 위험성 관리를 위해 화학 제품의 화학 제품 사용 업체, 연구소 등을 포함하는 화학 약품 사용처에서 화학 약품의 위험성을 관리하기 위해 처음의 유입시점부터 용량을 확인하고, 사용시 대장 기재를 하지 않아도 바코드 또는 RFID 태그 인식만으로 자동적으로 서버를 통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화학 약품 관리를 위한 서버에서는 한곳의 화학 제품 사용 업체, 연구소가 아닌 복수의 화학 제품 사용 업체, 연구소에 대해서 분야별로 전체적으로 통합관리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약품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METHOD FOR OPERATING MEDIC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약품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학 약품에 대한 기존의 수기 대장을 관리시 사용하고 기재를 고의 또는 까먹어서 빠뜨리거나, 허위로 기재하는 등의 관리에 대한 총체적인 부실의 발생을 해결하기 위한 약품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 약품은 일상생활에서 늘 쓰고 있으며, 유해성 논란 등으로 인하여 불안감이 문제시되고 있다. 우리 삶 속에서 많은 화학 약품을 쓰고 있지만 적정 사용량, 인체 유해성 등에 대한 정보는 거의 없는 것이 현실이다.
한편, 화학 제품 사용 업체, 연구소 등을 포함하는 화학 약품 사용처에서는 현재 기본적으로 화학 약품을 많이 다루는데 화학 약품의 위험성을 관리하기 위해 현재는 모두 수기로 대장을 기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수기 대장을 관리시 사용하고 기재를 고의 또는 까먹어서 빠뜨리거나, 허위로 기재하는 등의 관리에 대한 총체적인 부실이 발생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2-0040540호 "약품관리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1014349호 "약품관리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학 약품에 대한 위험성 관리를 위해 화학 제품의 화학 제품 사용 업체, 연구소 등을 포함하는 화학 약품 사용처에서 화학 약품의 위험성을 관리하기 위해 처음의 유입시점부터 용량을 확인하고, 사용시 대장 기재를 하지 않아도 바코드 또는 RFID 태그 인식만으로 자동적으로 서버를 통한 관리가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약품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 약품 관리를 위한 서버에서는 한곳의 화학 제품 사용 업체, 연구소가 아닌 복수의 화학 제품 사용 업체, 연구소에 대해서 분야별로 전체적으로 통합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약품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은, 약품 정보 출력 장치(50)에 의해 출력된 바코드 또는 생성된 RFID 태그는 화학 약품 케이스에 부착되어 출고되는 제 1 단계; 및 약품 관리 단위 설비(30)의 리더기(31)가 화학 약품 케이스에 부착된 바코드 또는 RFID 태그에 대해서 각각 바코드 정보에 포함된 화학 약품 정보 또는 RFID 태그 정보에 포함된 화학 약품 정보를 추출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품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은, 상기 제 2 단계 이후, 약품 관리 단위 설비(30)의 리더기(31)가 추출된 화학 약품 정보 중 초기 용량(ml) 정보 및 화학 약품 명칭 정보를 획득하는 제 3 단계; 가 더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품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은, 상기 제 3 단계 이후, 약품 관리 단위 설비(30)의 전자 저울(32)이 리더기(31)에 의해 추출된 초기 용량(ml) 정보로부터 사용에 따른 감소된 용량 정보를 측정하는 제 4 단계; 가 더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품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은, 상기 제 4 단계 이후, 약품 관리 단위 설비(30)가 리더기(31)로부터 초기 용량(ml) 정보 및 화학 약품 명칭 정보를 획득한 뒤, 전자 저울(32)로부터 감소된 용량 정보를 획득하는 제 5 단계; 가 더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품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은, 상기 제 5 단계 이후, 약품 관리 단위 설비(30)가 화학 약품 명칭 정보에 대해서 초기 용량 정보에서 감소된 용량 정보를 섭트랜션(subtraction)하는 연산을 수행한 뒤, 연산된 남은 용량 정보와 화학 약품 명칭 정보, 화학 약품의 제조식별번호와 함께 패킷화하여 패킷화된 화학 약품 정보를 네크워크(20)를 통해 화학 약품 관리서버(40)로 전송하는 제 6 단계; 가 더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품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은, 상기 제 6 단계 이후, 화학 약품 관리서버(40)가 DB에 화학 약품의 제조식별번호를 중심으로 패킷화된 화학 약품 정보가 일괄적으로 관리하는 제 7 단계; 가 더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은, 화학 약품에 대한 위험성 관리를 위해 화학 제품의 화학 제품 사용 업체, 연구소 등을 포함하는 화학 약품 사용처에서 화학 약품의 위험성을 관리하기 위해 처음의 유입시점부터 용량을 확인하고, 사용시 대장 기재를 하지 않아도 바코드 또는 RFID 태그 인식만으로 자동적으로 서버를 통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품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은, 화학 약품 관리를 위한 서버에서는 한곳의 화학 제품 사용 업체, 연구소가 아닌 복수의 화학 제품 사용 업체, 연구소에 대해서 분야별로 전체적으로 통합관리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에 사용되는 약품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약품관리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약품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 중 약품 정보 생성 장치(10)를 중심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약품관리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약품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 중 약품 관리 단위 설비(30)를 중심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에 사용되는 약품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약품관리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약품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에 사용되는 약품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약품관리 시스템은 약품 정보 생성 장치(10), 네트워크(20), 약품 관리 단위 설비(30), 화학 약품 관리서버(40), 그리고 약품 정보 출력 장치(50)를 포함할 수 있다.
약품 정보 생성 장치(10)는 터치스크린(11)을 통하여 정보를 입출력 하며, 화학 제품 사용 업체, 연구소 등을 포함하는 화학 약품 사용처로 화학 약품을 납품하는 업체가 유지, 운영 관리하는 장치로, 위험한 화학 약품에 대한 납품을 위해 화학 약품 케이스에 화학 약품 정보로 부착되는 바코드 및/또는 RFID 태그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네트워크(20)를 통해 화학 약품 관리서버(40)로 생성된 화학 약품 정보 외에 바코드 정보 및/또는 RFID 태그 정보를 함께 제공한다.
여기서, 약품 정보 생성 장치(10)는 바코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바코드 생성 모듈 및 RFID 태그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RFID 생성 모듈을 각각 구비하여야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네트워크(20)는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20)가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네트워크(20)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 수 있지만, 3G LTE망, 4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20)는 약품 정보 생성 장치(10), 약품 관리 단위 설비(30), 화학 약품 관리서버(40), 그리고 약품 정보 출력 장치(50)m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약품 관리 단위 설비(30)는 화학 약품을 사용하는 업체가 유지, 운영 관리하는 장치로, 약품 정보 생성 장치(10)를 운영하는 업체에서 납품된 위험한 화학 약품에 대한 사용 내역을 화학 약품 관리서버(40)에 등록된 바코드 정보 및/또는 RFID 태그 정보를 기반으로 관리한다. 이를 위해 약품 관리 단위 설비(30)는 바코드 또는 RFID 태그로부터 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리더기(31) 및 바코드 또는 RFID 태그가 부착된 화학 약품 케이스 내부의 화학 약품의 용량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전자 저울(32)을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
화학 약품 관리서버(40)는 약품 정보 생성 장치(10)로부터 제공된 화학 약품 정보, 그리고 약품 관리 단위 설비(30)로부터 제공된 화학 약품 사용 내역 정보를 바코드 정보 및/또는 RFID 태그 정보를 기반으로 관리하며, 이를 위해 DB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DB라 함은,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DB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링크드 리스트(linked-list), 트리(Tre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저장매체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약품 정보 출력 장치(50)는 바코드 프린터(51) 또는 RFID 생성기(52)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약품 정보 생성 장치(10)를 운영하는 업체 및 약품 관리 단위 설비(30)를 운영하는 업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업체에 구비됨으로써, 약품 정보 생성 장치(10)에서 생성된 바코드 정보 및 RFID 태그 정보와 매칭되는 바코드 및 RFID 태그를 출력함으로써, 출력된 바코드 및 RFID 태그가 화학 약품 케이스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도 1의 약품관리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약품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 중 약품 정보 생성 장치(10)를 중심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약품 정보 생성 장치(10)가 터치스크린(11)으로 입력되는 화학 약품 정보로 초기의 용량(ml) 정보, 화학 약품 명칭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 정보 또는 RFID 태그 정보를 생성한다(S110). 여기서 바코드 정보 또는 RFID 태그 정보에는 동종의 화학 약품에 대한 혼동 방지 및 관리를 위해서 제조식별번호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도 4에서 후술하는 군식별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120) 이후, 약품 정보 생성 장치(10)는 화학 약품 정보(초기 용량 정보, 화학 약품 명칭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 정보 또는 RFID 태그 정보를 네크워크(20)를 통해 화학 약품 관리서버(40)로 전송한다(S120).
단계(S120) 이후, 화학 약품 관리서버(40)는 수신된 화학 약품 정보를 약품 정보 생성 장치(10)의 단말번호와 DB에 같이 저장한 뒤, 네트워크(20)를 통한 바코드 정보를 약품 정보 출력 장치(50)로 전송하여 약품 정보 출력 장치(50)를 통해 바코드 출력 도는 RFID 태그 생성을 제어한다(S130).
단계(S130) 이후, 출력된 바코드 또는 생성된 RFID 태그는 화학 약품 케이스에 부착되어 출고된다(S140).
한편, 약품 정보 출력 장치(50)는 약품 정보 생성 장치(10)를 운영하는 업체가 아니라, 약품 관리 단위 설비(30)를 운영하는 업체에서 관리하는 경우, 화학 약품이 출고된 뒤, 약품 관리 단위 설비(30)를 운영하는 업체에서 직접적으로 바코드를 출력한 뒤, 출고된 화학 약품에 부착된 제조식별번호를 바탕으로 인식하여 화학 약품 케이스에 직접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약품관리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약품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 중 약품 관리 단위 설비(30)를 중심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약품 관리 단위 설비(30)의 리더기(31)는 화학 약품 케이스에 부착된 바코드 또는 RFID 태그에 대해서 각각 바코드 정보에 포함된 화학 약품 정보 또는 RFID 태그 정보에 포함된 화학 약품 정보를 추출한다(S210).
단계(S210) 이후, 약품 관리 단위 설비(30)의 리더기(31)는 추출된 화학 약품 정보 중 초기 용량(ml) 정보 및 화학 약품 명칭 정보를 획득한다(S220).
단계(S220) 이후, 약품 관리 단위 설비(30)의 전자 저울(32)은 리더기(31)에 의해 추출된 초기 용량(ml) 정보로부터 사용에 따른 감소된 용량 정보를 측정한다(S230).
단계(S230) 이후, 약품 관리 단위 설비(30)는 리더기(31)로부터 초기 용량(ml) 정보 및 화학 약품 명칭 정보를 획득한 뒤, 전자 저울(32)로부터 감소된 용량 정보를 획득한다(S240).
단계(S240) 이후, 약품 관리 단위 설비(30)는 화학 약품 명칭 정보에 대해서 초기 용량 정보에서 감소된 용량 정보를 섭트랜션(subtraction)하는 연산을 수행한 뒤, 연산된 남은 용량 정보와 화학 약품 명칭 정보, 화학 약품의 제조식별번호와 함께 패킷화하여 패킷화된 화학 약품 정보를 네크워크(20)를 통해 화학 약품 관리서버(40)로 전송한다(S250).
단계(S25) 이후, 화학 약품 관리서버(40)는 DB에 화학 약품의 제조식별번호를 중심으로 패킷화된 화학 약품 정보를 일괄적으로 관리한다(S260).
도 4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에 사용되는 약품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약품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약품 관리 단위 설비(30)로 이루어진 약품 관리 단위 설비 집합(30g)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약품 관리 단위 설비 집합(30g)은 제 1 약품 관리 단위 설비군(30g-1), 제 2 약품 관리 단위 설비군(30g-2), ..., 제 n 약품 관리 단위 설비군(30g-n)(n은 3 이상의 자연수)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각 약품 관리 단위 설비군(30g-1 내지 30g-n)은 화학 제품 사용 업체, 연구소 중 생명공학류 화학 제품 사용 업체, 기계류 화학 제품 사용 업체, 전자류 화학 제품 사용 업체, 의류 화학 제품 사용 업체 중 하나의 화학 제품을 사용하는 업체 또는 연구소의 화학 약품 사용 내역 정보를 관리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학 약품 관리서버(40)는 각 약품 관리 단위 설비군(30g-1 내지 30g-n)에 대한 구분된 관리를 위해 각 약품 관리 단위 설비군(30g-1 내지 30g-n)에 대해서 고유의 군식별번호를 바코드 정보 또는 RFID 태그 정보에 추가하여 관리할 수 있다.
즉, 약품 정보 생성 장치(10)는 바코드 정보 및 RFID 태그 정보에 동종의 화학 약품에 대한 혼동 방지 및 관리를 위해서 제조식별번호 외에, 각 약품 관리 단위 설비군(30g-1 내지 30g-n)에 대해서 고유의 군식별번호를 추가로 생성하여야 한다.
결과적으로 화학 약품 관리서버(40)는 한곳의 화학 제품 사용 업체, 연구소가 아닌 복수의 화학 제품 사용 업체, 연구소에 대해서 분야별로 전체적으로 통합관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약품 정보 생성 장치(10)에서 네트워크(20)를 통해 화학 약품 관리서버(40)로 생성된 화학 약품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 정보 및/또는 RFID 태그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경우 초기 용량 정보, 화학 약품 명칭 정보, 제조식별번호, 군식별번호 등의 정보가 2단 CTR 암호화 방식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2단 CTR암호화 방식은 초기 용량 정보, 화학 약품 명칭 정보, 제조식별번호, 군식별번호를 수신하여 암호키1 및 암호키2를 이용해 2단 CTR암호화를 수행하며, 암호키2에 의한 블록 암호화를 적용하여 E-Nonce를 생성하는 1단 CTR암호화 수행단계와, 초기 용량 정보, 화학 약품 명칭 정보, 제조식별번호, 군식별번호를 블록화하여 복수의 평문블록으로 정렬시키고, E-Nonce와 평문블록 각각을 배타적 논리합을 수행하여 2단 암호화된 암호문블록을 생성하는 2단 CTR암호화 수행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약품관리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약품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약품 정보 생성 장치(10)는 터치스크린(11)으로 입력되는 화학 약품 정보로 초기의 용량(ml) 정보, 화학 약품 명칭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 정보 또는 RFID 정보를 생성하여 암호화한다(S310). 여기서 암호화는 상술한 2단 CTR 암호화일 수 있다.
단계(S310) 이후, 약품 정보 생성 장치(10)는 화학 약품 정보(초기 용량 정보, 화학 약품 명칭 정보)를 포함하는 암호화된 바코드 정보 또는 RFID 태그 정보를 네크워크(20)를 통해 화학 약품 관리서버(40)로 전송한다(S320).
단계(S320) 이후, 화학 약품 관리서버(40)는 네트워크(20)를 통한 암호화된 바코드 정보 또는 RFID 태그 정보를 약품 정보 출력 장치(50)로 전송하여 약품 정보 출력 장치(50)에 의한 복호화에 의한 바코드 출력 또는 RFID 태그 생성 제어할 수 있다(S330). 여기서 복호화는 상기 암화화의 역과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단계(S340) 이후, 출력된 바코드 또는 생성된 RFID 태그는 화학 약품 케이스에 부착되어 출고될 수 있다(S340).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약품 정보 생성 장치
11 : 터치스크린
20 : 네트워크
30 : 약품 관리 단위 설비
31 : 리더기
32 : 전자 저울
40 : 화학 약품 관리서버
50 : 약품 정보 출력 장치
51 : 바코드 프린터
52 : RFID 생성기

Claims (6)

  1. 약품 정보 출력 장치(50)에 의해 출력된 바코드 또는 생성된 RFID 태그는 화학 약품 케이스에 부착되어 출고되는 단계; 약품 관리 단위 설비(30)의 리더기(31)가 화학 약품 케이스에 부착된 바코드 또는 RFID 태그에 대해서 각각 바코드 정보에 포함된 화학 약품 정보 또는 RFID 태그 정보에 포함된 화학 약품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약품 관리 단위 설비(30)의 리더기(31)가 추출된 화학 약품 정보 중 초기 용량(ml) 정보 및 화학 약품 명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약품 관리 단위 설비(30)의 전자 저울(32)이 리더기(31)에 의해 추출된 초기 용량(ml) 정보로부터 사용에 따른 감소된 용량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약품 관리 단위 설비(30)가 리더기(31)로부터 초기 용량(ml) 정보 및 화학 약품 명칭 정보를 획득한 뒤, 전자 저울(32)로부터 감소된 용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약품 관리 단위 설비(30)가 화학 약품 명칭 정보에 대해서 초기 용량 정보에서 감소된 용량 정보를 섭트랜션(subtraction)하는 연산을 수행한 뒤, 연산된 남은 용량 정보와 화학 약품 명칭 정보, 화학 약품의 제조식별번호와 함께 패킷화하여 패킷화된 화학 약품 정보를 네크워크(20)를 통해 화학 약품 관리서버(40)로 전송하는 단계; 및 화학 약품 관리서버(40)가 DB에 화학 약품의 제조식별번호를 중심으로 패킷화된 화학 약품 정보를 일괄적으로 관리하는 단계; 를 수행하는 약품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에 있어서,
    약품관리 시스템이 복수의 약품 관리 단위 설비(30)로 이루어진 약품 관리 단위 설비 집합(30g)을 형성하고, 약품 관리 단위 설비 집합(30g)이 제 1 약품 관리 단위 설비군(30g-1) 내지 제 n 약품 관리 단위 설비군(30g-n)(n은 3 이상의 자연수)으로 구분되어, 각 약품 관리 단위 설비군(30g-1 내지 30g-n)이 화학 제품 사용 업체, 연구소 중 생명공학류 화학 제품 사용 업체, 기계류 화학 제품 사용 업체, 전자류 화학 제품 사용 업체, 의류 화학 제품 사용 업체 중 하나의 화학 제품을 사용하는 업체 또는 연구소의 화학 약품 사용 내역 정보를 관리하기 위해 형성되고, 화학 약품 관리서버(40)가 각 약품 관리 단위 설비군(30g-1 내지 30g-n)에 대한 구분된 관리를 위해 각 약품 관리 단위 설비군(30g-1 내지 30g-n)에 대해서 고유의 군식별번호를 바코드 정보 또는 RFID 태그 정보에 추가하여 관리하여, 한곳의 화학 제품 사용 업체, 연구소가 아닌 복수의 화학 제품 사용 업체, 연구소에 대해서 분야별로 전체적으로 통합관리하는 경우,
    약품 정보 생성 장치(10)가 터치스크린(11)으로 입력되는 화학 약품 정보로 초기의 용량(ml) 정보, 화학 약품 명칭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 정보 또는 RFID 정보를 생성하되, 바코드 정보 또는 RFID 정보를 생성시 바코드 정보 및 RFID 태그 정보에 동종의 화학 약품에 대한 혼동 방지 및 관리를 위해서 제조식별번호 외에, 각 약품 관리 단위 설비군(30g-1 내지 30g-n)에 대해서 고유의 군식별번호를 추가로 포함시키는 제 1 단계;
    약품 정보 생성 장치(10)가 화학 약품 정보를 포함하는 암호화된 바코드 정보 또는 RFID 태그 정보를 네크워크(20)를 통해 화학 약품 관리서버(40)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및
    화학 약품 관리서버(40)가 네트워크(20)를 통한 암호화된 바코드 정보 또는 RFID 태그 정보를 약품 정보 출력 장치(50)로 전송하여 약품 정보 출력 장치(50)에 의한 복호화에 의한 바코드 출력 또는 RFID 태그 생성을 제어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단계에 있어서, 약품 정보 생성 장치(10)에서 네트워크(20)를 통해 화학 약품 관리서버(40)로 생성된 화학 약품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 정보 또는 RFID 태그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경우, 초기 용량 정보, 화학 약품 명칭 정보, 제조식별번호, 군식별번호 정보가 2단 CTR 암호화 방식에 의해 전송되며, 2단 CTR암호화 방식은 초기 용량 정보, 화학 약품 명칭 정보, 제조식별번호, 군식별번호를 수신하여 암호키1 및 암호키2를 이용해 2단 CTR암호화를 수행하며, 암호키2에 의한 블록 암호화를 적용하여 E-Nonce를 생성하는 1단 CTR암호화 수행단계와, 초기 용량 정보, 화학 약품 명칭 정보, 제조식별번호, 군식별번호를 블록화하여 복수의 평문블록으로 정렬시키고, E-Nonce와 평문블록 각각을 배타적 논리합을 수행하여 2단 암호화된 암호문블록을 생성하는 2단 CTR암호화 수행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70082353A 2017-06-29 2017-06-29 약품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 KR101884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353A KR101884894B1 (ko) 2017-06-29 2017-06-29 약품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353A KR101884894B1 (ko) 2017-06-29 2017-06-29 약품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4894B1 true KR101884894B1 (ko) 2018-08-03

Family

ID=63250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2353A KR101884894B1 (ko) 2017-06-29 2017-06-29 약품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48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07863A (zh) * 2020-07-31 2020-12-01 上海中通吉网络技术有限公司 快递校验分拣的方法、装置和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795B1 (ko) * 2007-12-03 2008-04-03 대한민국 Rfid를 이용한 시약 관리 시스템
KR20100098778A (ko) * 2009-03-02 2010-09-1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의약품 생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14349B1 (ko) 2003-04-23 2011-02-15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품관리시스템
KR20120040540A (ko) 2010-10-19 2012-04-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KR20140137507A (ko) * 2013-05-22 2014-12-03 (주) 아이티온넷 스마트 안전실험실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349B1 (ko) 2003-04-23 2011-02-15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품관리시스템
KR100818795B1 (ko) * 2007-12-03 2008-04-03 대한민국 Rfid를 이용한 시약 관리 시스템
KR20100098778A (ko) * 2009-03-02 2010-09-1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의약품 생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40540A (ko) 2010-10-19 2012-04-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KR20140137507A (ko) * 2013-05-22 2014-12-03 (주) 아이티온넷 스마트 안전실험실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07863A (zh) * 2020-07-31 2020-12-01 上海中通吉网络技术有限公司 快递校验分拣的方法、装置和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588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ringing offline data online while protecting consumer privacy
US924126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ing beacons
US9465969B2 (en) Method for providing QR code-based service for checking for occurrence of cocktail effect of drugs using smart device
BR0307644A (pt) um método e um equipamento para remover um membro a partir de uma chamada em grupo ativa em uma rede de comunicação em grupo
DE60221113D1 (de) Verfahren und system für die fernaktivierung und -verwaltung von personal security devices
CN104660617B (zh) 一种数据传输系统及方法
EP3044930A1 (en) Partner encoding of anonymous links to protect consumer privacy
BR0318704A (pt) método e sistema para armazenar seguramente pelo menos um item de informação privada do usuário, rede de comunicação, e, produto de programa de computação
EP3044745A1 (en) Anonymous links to protect consumer privacy
CN106651228A (zh) 用于查询物流跟踪信息的方法、装置及系统
AU2014268621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duct authentication
CN110659206A (zh) 基于微服务的模拟架构建立方法、装置、介质及电子设备
KR20180038868A (ko) 멸균 기록 관리 시스템 및 멸균 기록 관리 방법
KR101884894B1 (ko) 약품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
CN110765488B (zh) 数据存储与读取方法和电子设备
KR101863539B1 (ko) 약품관리 시스템
US9558512B2 (en) Providing a customized application to a user terminal
KR102090433B1 (ko) 한방 의료상품 관리 시스템
CN108446168A (zh) 一种事务的浏览权限设置方法和装置
CN112420179A (zh) 药房门店药品信息的管理方法、装置及系统
CN105074678A (zh) 信息终端、访问系统、信息处理方法以及程序
CN106658446A (zh) 短消息的统计分析方法
KR20170107338A (ko) 가상 전화번호를 이용한 데이터 연동 방법
CN102768671A (zh) 一种文件处理方法和系统
Dong et al. Food traceability system based on blockch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