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4512B1 - 세포를 포함하는 전해액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 - Google Patents

세포를 포함하는 전해액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4512B1
KR101884512B1 KR1020160026315A KR20160026315A KR101884512B1 KR 101884512 B1 KR101884512 B1 KR 101884512B1 KR 1020160026315 A KR1020160026315 A KR 1020160026315A KR 20160026315 A KR20160026315 A KR 20160026315A KR 101884512 B1 KR101884512 B1 KR 101884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redox flow
electrolyte composition
cell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6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3420A (ko
Inventor
배성재
송영석
박선희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26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4512B1/ko
Publication of KR20170103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3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4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4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6Biochemical fuel cells, i.e. cells in which microorganisms function as catalys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8Fuel cells with aqueous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8Regenerative fuel cells, e.g. redox flow batteries or secondary fuel cells
    • H01M8/184Regeneration by electrochemical means
    • H01M8/188Regeneration by electrochemical means by recharging of redox couples containing fluids; Redox flow type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02Aqueous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02E60/528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Fuel Cell (AREA)
  • Inert Electrodes (AREA)
  • Hybrid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류 세포, 전도성 물질 및 물을 포함하는 전해액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포를 포함하는 전해액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Electrolyte composition comprising cell and redox flow battery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세포를 포함하는 전해액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로, 보다 자세하게는 조류 세포, 전도성 물질 및 물을 포함하는 전해액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에 관한 것이다.
식물 또는 조류(algae) 세포의 광합성은 태양에너지와 물을 이용하여 세포 생존을 위해 필요한 에너지를 생성하며, 그 양자효율(quantum efficiency)은 100%에 이른다. 따라서, 최근, 이러한 광합성 과정을 직/간접적으로 이용하거나 또는 광합성 과정을 모사하여 필요한 전기 에너지 또는 산소/수소를 생성하려는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전기에너지 생산을 위해 식물 또는 조류의 광합성 과정을 이용하는 기술의 일 예로 미생물 기반 광전기화학 전지(microbial photoelectrochemical cell)가 있으며, 미생물 기반 광전기화학 전지는 크게 광합성 세포전지(photosynthetic microbial solar cell)와 광합성 연료전지(photosynthetic microbial fuel cell)로 나눌 수 있다.
미생물 연료전지는 산화 챔버(anodic chamber)와 환원 챔버(cathodic chamber)를 포함하며 연료전지와 유사한 형태로 구성된다. 산화 챔버에서 세포의 신진대사 중 발생한 전자를 전극으로 직접 추출하거나, 외부로부터의 전자 매개체 또는 세포 내부로부터 생성된 매개체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한다.
그러나, 현재 연구중인 미생물 연료전지는, 낮은 전류 밀도, 외부 전자 매개체의 유해성(toxicity) 및 짧은 에너지 생산 지속시간에 관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세포로부터 추출된 물질을 기반으로 전지를 제작할 경우, 추출된 물질의 생존성 문제로 에너지 지속시간에 제약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미생물 연료전지 중 직접 세포를 이용할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세포를 흘려주거나 세포 배양액을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외부 전원을 필요로 하는 펌프 시스템(solution injection으로 표시)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펌프 시스템은 실생활에 사용하기에 번거롭고 복잡한 구조이며, 또한, 에너지원이 공급되지 못할 때 에너지 생산이 중단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외부 전원을 사용하지 않기 위해서, 모세관 현상, 물의 증발 또는 화학적 흡착을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무전원 펌프(Autonomous pump)가 보고되었으나, 이는 대부분 마이크로 유체 분석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으며 전지 시스템에 사용되기에는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는 친환경적인 전해액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포의 광합성과 호흡 과정에서 일어나는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한 레독스 흐름 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류 세포, 전도성 물질 및 물을 포함하는 전해액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산화 챔버;
환원 챔버;
상기 산화 챔버와 상기 환원 챔버 사이에 위치하는 분리막;
상기 산화 챔버의 일면에 형성된 음극;
상기 환원 챔버의 일면에 형성된 양극; 및
상기 산화 챔버 및 환원 챔버를 연결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로,
상기 산화 챔버 및 환원 챔버는 상기 본 발명의 전해액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산화 챔버에는 빛이 조사되고,
상기 환원 챔버는 암실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해액 조성물은 화학 약품을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레독스 흐름 전지는 세포의 광합성과 호흡 과정에서 일어나는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하므로, 충·방전을 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레독스 흐름 전지는 세척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레독스 흐름 전지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2는 종래의 레독스 흐름 전지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해액 조성물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측정한 전류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조류 세포, 전도성 물질 및 물을 포함하는 전해액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해액 조성물은 화학 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친환경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조류 세포, 전도성 물질 및 물을 포함하는 전해액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상기 조류 세포는 자체적으로 생존이 가능한 세포이며, 보다 자세하게는 광합성을 하면서 자체적으로 생존성도 유지할 수 있는 세포이다. 바람직하게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남조류 및 녹조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조류 세포의 먹이인 미네랄을 약 2 내지 5주 주기로 투입하여 준다.
또한, 상기 조류 세포는 본 발명의 전해액 조성물 1mL에 대하여 5X106 내지 8X108개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6X107 내지 7X107개로 포함된다.
상기 조류 세포가 5X106개 미만으로 포함되면 광합성량이 부족하여 레독스 흐름 전지에 사용할 수 없고, 8X108개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전해액 조성물의 탁도가 증가하고, 전해액의 조성이 바뀌어 조류 세포의 생존이 어려워지며, 그에 따라 광합성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상기 조류 세포가 5X106 내지 8X108개로 포함되면, 전해액 조성물의 탁도가 낮아 빛의 투과가 용이하여 광합성이 효과적으로 일어날 수 있으며, 조류 세포에 비하여 전해액이 충분히 존재하여 조류 세포의 광합성 및 호흡으로 인한 전해액 조성물의 조성 변화를 염려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전도성 물질은 산화 챔버에서 조류 세포의 광합성을 통하여 생성되는 전자를 음극으로 이동시켜주며, 환원 챔버의 양극에서 발생하는 전자를 받아 조류 세포를 호흡할 수 있게 하는 중간 매개체 역할을 한다.
상기 전도성 물질은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전자 이동이 유리하기 위하여 막대 모양인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메탈나노와이어 및 나노파이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전도성 물질은 본 발명의 전해액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1 중량%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1 중량%로 포함된다.
상기 전도성 물질이 0.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전해액 조성물 내 함량이 미미하여 전자 이동이 어렵고, 1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전해액 조성물의 색이 어두워져 산화 챔버에서 세포의 광합성이 일어나기 어려워진다.
또한, 본 발명은
산화 챔버;
환원 챔버;
상기 산화 챔버와 상기 환원 챔버 사이에 위치하는 분리막;
상기 산화 챔버의 일면에 형성된 음극;
상기 환원 챔버의 일면에 형성된 양극; 및
상기 산화 챔버 및 환원 챔버를 연결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로,
상기 산화 챔버 및 환원 챔버는 상기 본 발명의 전해액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산화 챔버에는 빛이 조사되고,
상기 환원 챔버는 암실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에 관한 것이다.
상기 레독스 흐름 전지는 산화 챔버, 환원 챔버 및 상기 산화 챔버 및 환원 챔버 사이에 위치하는 분리막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산화 챔버는 상기 산화 챔버의 공간 내부의 일면에 형성된 상기 음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원 챔버는 상기 환원 챔버의 공간 내부의 일면에 형성된 상기 양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화 챔버 및 환원 챔버와 연결된 전해액 조성물을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를 포함하며, 산화 챔버 및 환원 챔버에는 상기 본 발명의 전해액 조성물이 담지되어 있다.
상기 산화 챔버에는 빛이 조사되어 조류 세포의 광합성이 일어나며, 상기 환원 챔버는 암실 내부에 존재하여 조류 세포의 광합성을 억제시키고 호흡이 일어나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빛이 조사되어 전해액 조성물의 조류 세포가 광합성을 함에 따라 전자가 발생하며, 상기 전자는 전해액 조성물의 전도성 물질을 매개체로 하여 산화 챔버의 음극으로 이동한다. 음극으로 이동한 전자는 외부 도선을 따라 환원 챔버의 양극으로 이동하며, 상기 양극에서 전자가 방출되고, 상기 전자는 전도성 물질을 매개체로 하여 전해액 조성물로 이동하여 조류 세포의 호흡이 일어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조류 세포의 광합성 및 호흡을 통한 전자의 이동으로 인하여 레독스 흐름 전지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
즉, 상기 본 발명의 레독스 흐름 전지는 세포의 생체 대사인 광합성 및 호흡과정을 이용하여 전류를 흐르게 하는 것으로, 친환경적이며 전지의 충·방전이 필요 없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종래의 레독스 흐름 전지는 전해액 조성물로 바나듐 용액 등 화학 물질을 사용하여 양극과 음극의 산화 반응을 통해 바나듐의 산화수 변화에 따른 전자의 이동으로 전류를 흐르게 하였다.
그러나, 바나듐 용액은 강산이며, 전지의 세척이 불편하고, 사용자에게 유해할 뿐만 아니라 산화·환원 반응이 끝나면 재충전을 해야했다.
상기 본 발명의 레독스 흐름 전지는 조류 세포의 광합성 및 호흡을 통한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하여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전해액 조성물 제조
물 2.2mL에 조류 세포 6X107 내지 7X107개 및 탄소나노튜브 0.002 내지 0.2g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전해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전해액 조성물을 레독스 흐름 전지의 산화 챔버 및 환원 챔버에 투입하여 2전극 방식으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조사 광의 세기는 900에서 진행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전기화학 셀을 구성하고 전류를 측정하였다(도 3).
상기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의 전해액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는 조류 세포의 광합성 및 호흡을 이용하여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산화 챔버;
    환원 챔버;
    상기 산화 챔버와 상기 환원 챔버 사이에 위치하는 분리막;
    상기 산화 챔버의 일면에 형성된 음극;
    상기 환원 챔버의 일면에 형성된 양극; 및
    상기 산화 챔버 및 환원 챔버를 연결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로,
    상기 산화 챔버 및 환원 챔버는 조류 세포, 전도성 물질 및 물을 포함하는 전해액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산화 챔버에는 빛이 조사되고,
    상기 환원 챔버는 암실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조류 세포는 남조류 및 녹조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물질은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메탈나노와이어 및 나노파이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조류 세포는 물 1mL 당 5X106 내지 8X108개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물질은 전해액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1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
KR1020160026315A 2016-03-04 2016-03-04 세포를 포함하는 전해액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 KR101884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315A KR101884512B1 (ko) 2016-03-04 2016-03-04 세포를 포함하는 전해액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315A KR101884512B1 (ko) 2016-03-04 2016-03-04 세포를 포함하는 전해액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420A KR20170103420A (ko) 2017-09-13
KR101884512B1 true KR101884512B1 (ko) 2018-08-01

Family

ID=59967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6315A KR101884512B1 (ko) 2016-03-04 2016-03-04 세포를 포함하는 전해액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45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7619A (ko) 2019-02-08 2020-08-19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리비드 및 금속나노입자를 포함하는 미생물 연료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미생물 연료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823B1 (ko) * 2018-12-21 2020-03-09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오 연료전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0502A (ja) * 2004-12-28 2006-07-20 Tokyo Univ Of Agriculture & Technology バイオ燃料電池用電極およびバイオ燃料電池
US9130216B2 (en) 2011-07-11 2015-09-08 Uwm Research Foundation, Inc. Integrated photo-bioelectrochemical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13956B1 (en) * 2008-06-12 2021-12-29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Energy storage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0502A (ja) * 2004-12-28 2006-07-20 Tokyo Univ Of Agriculture & Technology バイオ燃料電池用電極およびバイオ燃料電池
US9130216B2 (en) 2011-07-11 2015-09-08 Uwm Research Foundation, Inc. Integrated photo-bioelectrochemical system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7619A (ko) 2019-02-08 2020-08-19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리비드 및 금속나노입자를 포함하는 미생물 연료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미생물 연료전지
KR102154152B1 (ko) 2019-02-08 2020-09-09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리비드 및 금속나노입자를 포함하는 미생물 연료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미생물 연료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420A (ko) 2017-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turi et al. Three-dimensional microchanelled electrodes in flow-through configuration for bioanode formation and current generation
Jiang et al. Granular activated carbon single-chamber microbial fuel cells (GAC-SCMFCs): a design suitable for large-scale wastewater treatment processes
Chen et al. Sustainable water desalination and electricity generation in a separator coupled stacked microbial desalination cell with buffer free electrolyte circulation
Lin et al. Characteristics of the photosynthesis microbial fuel cell with a Spirulina platensis biofilm
CN102190573B (zh) 一种电化学催化还原二氧化碳制备甲酸的方法
Liu et al.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catalytic ability of electrochemically active biofilm as anode catalyst in microbial fuel cells
CN104979566B (zh) 复合电极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5742656B (zh) 一种锌碘液流电池
Fitzgerald et al. Aggrandizing power output from Shewanella oneidensis MR-1 microbial fuel cells using calcium chloride
RU145009U1 (ru) Микробный топливный элемент и схема сборки таких элементов
KR102278201B1 (ko) 높은 환원 전위를 갖는 전자 흡수체를 이용한 미생물 연료전지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에너지 생산방법
CN109216681A (zh) 一种基于TiO2纳米管阵列/泡沫钛的锂金属负极材料及其制备方法
CN109216742A (zh) 一种光充电氧化还原液流电池
CN101748423A (zh) 一种高效电催化原位生成过氧化氢的电化学反应器
KR101884512B1 (ko) 세포를 포함하는 전해액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
WO2016026895A1 (fr) Cellule électrochimique en flux
CN105845944B (zh) 一种可见光激发纳米CdS/TiO2增强抗坏血酸/葡萄糖燃料电池
KR101872075B1 (ko) 에너지 생산 지속을 위한 세포 교환형 미생물 연료전지 및 미생물 연료전지용 세포 패치
RU153593U1 (ru) Биоэлектрохимический реактор
KR102103364B1 (ko) TiO2/rGO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광합성 미생물 연료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Aizawa et al. Photoelectrochemical energy conversion system modeled on the photosynthetic process
Godwin et al. Microbial fuel cell with a polypyrrole/poly (methylene blue) composite electrode
CN207852815U (zh) 一种高浓度锌钒电池
ES2807577T3 (es) Método para el tratamiento de aguas residuales en un biorreactor de lecho fluidizado
KR102154152B1 (ko) 유리비드 및 금속나노입자를 포함하는 미생물 연료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미생물 연료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