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4448B1 - 오존을 이용한 하폐수의 고도 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오존을 이용한 하폐수의 고도 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4448B1
KR101884448B1 KR1020180042004A KR20180042004A KR101884448B1 KR 101884448 B1 KR101884448 B1 KR 101884448B1 KR 1020180042004 A KR1020180042004 A KR 1020180042004A KR 20180042004 A KR20180042004 A KR 20180042004A KR 101884448 B1 KR101884448 B1 KR 101884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ozone
water
treated
reduced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2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장산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장산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장산이엔지
Priority to KR1020180042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44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4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4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78Details relating to ozone treatment devices
    • C02F2201/784Diffusers or nozzles for ozon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존을 이용한 하폐수의 고도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생물반응공정만으로 처리가 어려운 각종 유기물 및 무기물 등의 오염물질을 오존으로 처리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방류되는 처리수의 수질을 높일 수 있는 하폐수의 고도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오존을 이용한 하폐수의 고도 수처리장치는 유량조정조로부터 유입되는 처리대상수 중의 인을 제거하는 혐기조와, 혐기조의 후단에 설치되며 상기 혐기조로부터 유입되는 처리대상수 중의 질산성 질소를 제거하는 무산소조와, 무산소조의 후단에 설치되면 상기 무산소조로부터 유입되는 처리대상수 중으로 공기를 폭기시켜 질소를 질산화시키는 폭기조와, 폭기조의 후단에 설치되며 상기 폭기조로부터 유입된 처리대상수를 분리막으로 고액분리하는 막분리조와, 분리막을 통해 분리된 처리수가 유입되는 방류조와, 방류조에 체류하는 처리수를 오존과 접촉시켜 처리수 중의 잔존 오염물을 분해하기 위한 오존접촉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오존을 이용한 하폐수의 고도 수처리장치{advanced water treating apparatus using ozone}
본 발명은 오존을 이용한 하폐수의 고도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생물반응공정만으로 처리가 어려운 각종 유기물 및 무기물 등의 오염물질을 오존으로 처리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방류되는 처리수의 수질을 높일 수 있는 하폐수의 고도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도 수처리라 함은 질소와 인을 함유한 하/폐수에서, 유기물뿐만 아니라 질소와 인 성분도 동시에 제거하는 향상된 정수처리방법을 말한다. 질소의 제거는 호기성 분위기하에서 폐수 내의 질소화합물을 질산성 질소로 전환하는 질산화공정 및 무산소 분위기하에서 질산성 질소를 질소 기체로 환원시키는 탈질공정을 통해 이루어지고, 통상 생물학적으로 이루어지는 인의 제거는 혐기성 상태에서 미생물의 대사활동에 의해 인을 방출시키고, 호기성 상태에서 미생물로 하여금 인을 과잉으로 섭취하게 한 후 이를 슬러지로 제거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최근 급속도로 오염되고 있는 공공수역의 수질개선 대책으로 수질환경 기준이 점차 강화되어가고 있으며, 최종 방류수역의 수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유기물뿐만 아니라 영양염류(질소, 인 등)의 제거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수중의 질소와 인 화합물은 그 자체가 오염물질로서 수자원 가치 상실에도 원인이 되지만 조류 증식에 필요한 영양물질로 이용되어 수질을 더욱 악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와 같이 호소 및 연근해의 부영양화를 유발하는 질소와 인에 대한 적절한 제거가 절실히 필요하나, 중소규모 처리시설의 경우 하수도달시간이 대규모 처리장에 비하여 매우 짧고, 유입 수량의 변동이 일간, 주간 및 계절에 따라 매우 커서 질소 및 인이 함께 제거되는 처리가 어려운 반면, 높은 수준의 방류 수질의 유지가 필요한 경우가 많으나, 종래 중소규모 폐수 처리장의 경우 대부분 유기물질과 부유물질 제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을 뿐, 질소와 인의 영양염류에 대한 처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고도 수처리 방법 중 분리막 생물반응조(MBR, membrane bioreactor) 공정은 미세한 크기의 기공을 갖는 분리막을 응용하여 하수를 정화하는 기술로써 이 과정에서 마이크로 단위 이하 수준의 입자성 오염물질을 완벽히 걸러낼 수 있으며, 오염정화에 필요한 미생물의 유실을 방지하여 생물학적 처리 능력이 극대화됨으로써 일반 공정에 비해 2.5~3배 정도 처리속도가 빨라진다. 또한, 기존의 생물학적 하수처리공정에 큰 변화를 주지 않고도 적용이 가능하고, 더불어 자동화가 용이하며 운전이 간편한 하폐수 처리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분리막 생물반응조 공정만으로는 난분해성 유기물 및 무기물 등의 오염물질, 농약성분, 중금속 등의 처리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 이있다.
이에 따라 오존을 이용한 고급산화법(AOP)을 생물반응공정에 적용하는 시도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92827호에는 막분리를 이용한 폐수처리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폐수처리시스템은 BNR(Biological Nutrient Removal) 공정과 막분리 공정 및 오존접촉 공정을 통해 오·폐수를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세정모듈을 통한 평막모듈의 세정을 시스템 내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한 막분리를 이용한 폐수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 폐수처리시스템은 오존과 처리수의 접촉효율이 매우 낮아 오존에 의한 산화 분해 효과가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92827호: 막분리를 이용한 폐수처리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오존과 처리수의 접촉효율을 증대시켜 생물반응공정만으로 처리가 어려운 각종 난분해성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방류되는 처리수의 수질을 높일 수 있는 하폐수의 고도 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오존을 이용한 하폐수의 고도 수처리장치는 유량조정조로부터 유입되는 처리대상수 중의 인을 제거하는 혐기조와; 상기 혐기조의 후단에 설치되며 상기 혐기조로부터 유입되는 처리대상수 중의 질산성 질소를 제거하는 무산소조와; 상기 무산소조의 후단에 설치되면 상기 무산소조로부터 유입되는 처리대상수 중으로 공기를 폭기시켜 질소를 질산화시키는 폭기조와; 상기 폭기조의 후단에 설치되며 상기 폭기조로부터 유입된 처리대상수를 분리막으로 고액분리하는 막분리조와; 상기 분리막을 통해 분리된 처리수가 유입되는 방류조와; 상기 방류조에 체류하는 처리수를 오존과 접촉시켜 처리수 중의 잔존 오염물을 분해하기 위한 오존접촉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폭기조에서 상기 무산소조로 슬러지를 반송하기 위한 제 1슬러지반송부와, 상기 막분리조에서 슬러지를 상기 혐기조로 반송하기 위한 제 2슬러지반송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오존접촉수단은 상기 방류조에 설치된 순환펌프와 연결되는 제 1순환관과, 상기 제 1순환관과 연결되는 기액혼합기와, 상기 기액혼합기와 연결되어 상기 방류조로 연장되는 제 2순환관과, 상기 기액혼합기와 연결되는 오존주입관과, 상기 오존주입관과 연결되는 오존공급기를 구비한다.
상기 기액혼합기는 직경이 확장되는 확관부가 다수 형성되며 입구가 상기 제 1순환관과 연결되고 출구가 상기 제 2순환관과 연결되는 원통형의 혼합챔버와, 상기 혼합챔버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혼합챔버의 내주면과 이격되게 위치하는 삽입봉과, 상기 삽입봉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확관부와 대응되게 위치하며 상기 오존주입관과 연결되는 축소경부와, 상기 혼합챔버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 1요철부와, 상기 삽입봉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1요철부와 형상이 다른 제 2요철부와, 상기 축소경부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오존주입관과 연결되어 오존이 유입되는 유입실과, 상기 유입실로 유입된 오존이 다수의 경로로 분산되어 상기 축소경부의 바깥으로 분출될 수 있도록 상기 축소경부에 형성되며 상기 유입실의 주위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상기 유입실과 연결되는 분출로들을 구비하고, 상기 분출로들을 통해 상기 축소경부의 외부로 분출되는 오존이 상기 축소경부의 주위에서 선회할 수 있도록 상기 분출로들은 동일한 방향으로 틀어지게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분리막에 의한 고액분리 후 처리수를 오존과 접촉시키므로 생물반응공정만으로 처리가 어려운 각종 난분해성 유기물 및 무기물 등의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방류되는 처리수의 수질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리막에 의해 분리된 처리수를 기액혼합기로 계속 순환시키면서 처리수와 오존을 접촉시키므로 오존과 처리수의 접촉효율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하폐수의 고도 수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하폐수의 고도 수처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의 하폐수의 고도 수처리장치에 적용된 기액혼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요부를 발췌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오존을 이용한 하폐수의 고도 수처리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오존을 이용한 하폐수의 고도 수처리장치는 유량조정조(1)로부터 유입되는 처리대상수 중의 인을 제거하는 혐기조(5)와, 혐기조(5)의 후단에 설치되며 혐기조(5)로부터 유입되는 처리대상수 중의 질산성 질소를 제거하는 무산소조(10)와, 무산소조(10)의 후단에 설치되면 무산소조(10)로부터 유입되는 처리대상수 중으로 공기를 폭기시켜 질소를 질산화시키는 폭기조(15)와, 폭기조(15)의 후단에 설치되며 폭기조(15)로부터 유입된 처리대상수를 분리막(23)으로 고액분리하는 막분리조(20)와, 분리막(23)을 통해 분리된 처리수가 유입되는 방류조(25)와, 방류조(25)에 체류하는 처리수를 오존과 접촉시켜 처리수 중의 잔존 오염물을 분해하기 위한 오존접촉수단을 구비한다.
처리대상수인 하수 또는 폐수는 전처리 장치 즉, 스크린 또는 침사조 등을 거쳐 유량조정조(1)로 유입될 수 있다. 유량조정조(1)는 처리대상수의 유입량 및 오염부하를 균등하게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혐기조(5)는 유량조정조(1)의 후단에 설치되어 유량조정조(1)로부터 유입되는 처리대상수 중의 인을 제거한다.
혐기조(5)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유입농도의 3~4배까지 인을 방출시킨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혐기조(5)에는 균등한 분배를 위한 통상적인 교반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무산소조(10)는 혐기조(5)의 후단에 설치되어 혐기조(5)로부터 유입되는 처리대상수 중의 질산성 질소를 제거한다.
무산소조(10)에는 균등한 분배를 위한 통상적인 교반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무산소조(10)는 산소농도가 극히 낮은 무산소 조건으로 운영되어 혐기조(5)로부터 유입되는 처리대상수 중의 질산성 질소를 질소가스로 변화시켜 대기중으로 방출시켜 제거한다. 이러한 탈질반응은 슈도모나스(Pseudomonas), 마이크로코커스(Micrococcus), 바실러스(Bacillus) 등과 같은 탈질미생물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폭기조(15)에는 내부에 공기를 폭기시키기 위한 폭기수단이 구비된다. 폭기수단으로 통상적인 구조가 이용될 수 있다. 가령, 폭기조(15) 내부에 설치되는 산기관(17)과, 산기관(17)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블로워(16)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슬러지반송부는 폭기조(15)에서 무산소조(10)로 슬러지를 반송한다. 이러한 슬러지 반송을 통해 무산소조(10) 내부의 미생물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제 1슬러지반송부는 폭기조(15)와 무산소조(10)를 연결하는 제 1반송라인(13)과, 폭기조(15)에 설치되어 제 1반송라인(13)으로 슬러지를 펌핑하는 펌프(미도시)로 이루어진다.
막분리조(20)는 폭기조(15)의 후단에 설치되어 폭기조(15)로부터 처리대상수가 유입된다.
막분리조(20)에는 분리막(23)이 설치된다. 분리막(23)은 침지형 평막일 수 있다. 또한, 막분리조(20)에는 분리막(23)의 표면을 세정시켜 분리막(23)이 원활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통상적인 분리막 세정기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막분리조(20)의 폭기를 위한 폭기수단으로 블로워(21)와, 블로워(21)와 연결되어 분리막(23)의 하방에 설치된 산기관(22)으로 이루어진다. 폭기수단에 의해 막분리조(20)는 폭기조건으로 운영되어 질산화 반응이 수행되고, 산기관(22)에서 발생된 공기방울이 분리막(23)에 부딪히는 전단력에 의해 분리막(23)에 부착되어 있는 슬러지를 분리막(23)으로부터 탈리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분리막(23)에 의해 슬러지와 분리된 처리수는 흡입펌프(24)에 의해 방류조(25)로 이동한다. 그리고 막분리조(20)에서 하부로 가라앉은 슬러지는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되는 슬러지의 일부는 제 2슬러지반송부를 통해 혐기조(5)로 반송되어 혐기조(5) 내부의 미생물 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제 2슬러지반송부는 막분리조(20)와 혐기조(5)를 연결하는 제 2반송라인(7)과, 막분리조(20)에 설치되어 제 2반송라인(7)으로 슬러지를 펌핑하는 펌프(미도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방류조(25)는 분리막(23)을 통해 분리된 처리수가 유입되어 일정시간 체류한 후 방류관을 통해 외부로 방류된다.
오존접촉수단은 방류조(25)에 체류하는 처리수를 외부로 순환시키면서 오존과 접촉시켜 처리수 중의 잔존 오염물을 분해한다.
오존은 그 산화력이 염소에 비해 약 7배 정도 강하고, 그 살균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페놀, 색소 등의 유기물 제거효과가 뛰어나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오존은 생물반응공정만으로 처리가 어려운 난분해성 유기물과 무기물 등과 같은 각종 오염물질을 처리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방류되는 처리수의 수질을 높일 수 있다.
오존접촉수단은 방류조(25)에 설치된 순환펌프(30)와 연결되는 제 1순환관(31)과, 제 1순환관(31)과 연결되는 기액혼합기(50)와, 기액혼합기(50)와 연결되어 방류조(25)로 연장되는 제 2순환관(33)과, 기액혼합기(50)와 연결되는 오존주입관(43)과, 오존주입관(43)과 연결되는 오존공급기(40)를 구비한다.
제 1순환관(31)은 방류조(25)의 내부에 설치된 순환펌프(30)와 연결된다. 제 1순환관(31)은 방류조(25) 외부로 연장되어 기액혼합기(50)와 연결된다. 제 2순환관(33)은 기액혼합기(50)와 연결되어 방류조(25)로 연장된다. 따라서 순환펌프(30)의 가동에 의해 방류조(25)에 체류하는 처리수는 차례로 제 1순환관(31), 기액혼합기(50), 제 2순환관(33), 방류조(25)를 따라 이동하면서 계속 순환한다.
오존주입관(43)은 오존공급기(40)와 기액혼합기(50)를 연결한다. 오존공급기(40)로 통상적인 오존가스발생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오존공급기로 오존가스가 저장된 오존붐베를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기액혼합기(50)는 가스 상태의 오존과 처리수를 혼합하는 역할을 한다.
기액혼합기(50)는 직경이 확장되는 확관부(53)가 다수 형성되며 입구가 제 1순환관(31)과 연결되고 출구가 제 2순환관(33)과 연결되는 원통형의 혼합챔버(51)와, 혼합챔버(51)의 내부에 설치되어 혼합챔버(51)의 내주면과 이격되게 위치하는 삽입봉(60)과, 삽입봉(60)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확관부(53)와 대응되게 위치하며 오존주입관(43)과 연결되는 축소경부(63)와, 혼합챔버(51)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 1요철부(55)와, 삽입봉(60)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제 1요철부(55)와 형상이 다른 제 2요철부(61)와, 축소경부(63)의 내부에 형성되며 오존주입관(43)과 연결되어 오존이 유입되는 유입실(65)과, 유입실(65)로 유입된 오존이 다수의 경로로 분산되어 축소경부(63)의 바깥으로 분출될 수 있도록 축소경부(63)에 형성되며 유입실(65)의 주위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유입실(65)과 연결되는 분출로들(67)을 구비한다.
혼합챔버(51)는 내부에 처리수가 통과하는 유로가 형성된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진다. 혼합챔버(51)의 일측은 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은 출구가 형성된다. 혼합챔버(51)의 입구와 출구에는 플랜지가 각각 설치되어 제 1순환관(31) 및 제 2순환관(33)과 각각 연결된다.
혼합챔버(51)에는 다수의 확관부(53)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확관부(53) 구조에 의해 혼합챔버(51)의 내부 유로는 확장과 축소가 교대로 반복된다. 혼합챔버(51)의 직경이 축소되는 부위를 통과하는 유체는 유속이 빨라지고 압력은 낮아진다. 그리고 혼합챔버(51)의 직경이 확장되는 부위를 통과하는 유체는 유속이 낮아지고 압력은 높아진다. 이와 같이 유체의 흐름이 반복적으로 변하면서 기액 접촉효과를 크게 높일 수 있다.
삽입봉(60)은 혼합챔버(51) 유로의 단면적을 좁게 하여 혼합챔버(51)을 통과하는 유체의 속도와 압력 변화를 크게 변화시킨다. 특히, 삽입봉(60)의 외주면과 혼합챔버(70)의 내주면에 유체의 저항계수가 서로 다른 요철을 형성하여 유체의 흐름에 더 큰 변화를 줄 수 있다.
제 1요철부(55)는 혼합챔버(51)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제 1요철부(55)는 파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요철부(61)는 삽입봉(60)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제 2요철부(61)는 톱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혼합챔버(51)의 내주면 주위를 흐르는 유체와 삽입봉(60)의 주위를 흐르는 유체는 흐름저항이 달라 난류화되고, 제 1 및 제 2요철부(55)(61)에 의해 무수한 와류가 형성되면서 오존과 처리수의 접촉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
삽입봉(60)에 일정 간격으로 축소경부(63)가 형성된다. 축소경부(63)는 확관부(53)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축소경부(63)는 삽입봉(60)에 오목하게 패인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축소경부(63)는 가장자리의 직경이 크고 중앙의 직경이 작은 장구 모양을 갖는다.
축소경부(63)의 내부에는 오존이 유입되는 유입실(65)이 형성된다. 오존주입라인(43)은 혼합챔버(51)의 확관부(53)을 관통하여 축소경부(63)로 연장된다. 오존주입라인(23)은 축소경부(63)의 내부로 삽입되어 유입실(65)과 연결된다.
분출로(67)는 축소경부(63)에 다수 형성된다. 분출로(67)는 직경이 작은 축소경부(63)의 중앙 부위에 형성된다. 분출로(67)는 유입실(65)의 주위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분출로(67)는 유입실(65)과 연결되어 축소경부(63)의 외주면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분출로(67)는 유입실(65)에서 축소경부(63)의 외부까지 연결되는 유로를 형성한다. 분출로(67)를 통해 유입실(65)로 유입된 오존은 축소경부(63)의 바깥으로 분출된다. 바람직하게, 분출로들(67)을 통해 축소경부(63)의 외부로 분출되는 오존이 축소경부(63)의 주위에서 선회할 수 있도록 분출로들(67)은 동일한 방향으로 틀어지게 형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4개의 분출로(67)가 유입실(65)을 중심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틀어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분출로(67)를 통해 축소경부(63)의 외부로 분출되는 오존은 축소경부(63)의 주위를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한다. 이러한 선회구조에 의해 오존과 축소경부(63)의 주위를 통과하는 처리수와의 혼합을 더욱 높일 수 있다. 특히, 장구 모양의 축소경부(63)는 오존의 선회를 유도하는데 효과적이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유량조정조 5: 혐기조
10: 무산소조 15: 폭기조
20: 막분리조 25; 방류조
31: 제 1순환관 33: 제 2순환관
50: 기액혼합기 40: 오존공급기

Claims (4)

  1. 유량조정조로부터 유입되는 처리대상수 중의 인을 제거하는 혐기조와;
    상기 혐기조의 후단에 설치되며 상기 혐기조로부터 유입되는 처리대상수 중의 질산성 질소를 제거하는 무산소조와;
    상기 무산소조의 후단에 설치되면 상기 무산소조로부터 유입되는 처리대상수 중으로 공기를 폭기시켜 질소를 질산화시키는 폭기조와;
    상기 폭기조의 후단에 설치되며 상기 폭기조로부터 유입된 처리대상수를 분리막으로 고액분리하는 막분리조와;
    상기 분리막을 통해 분리된 처리수가 유입되는 방류조와;
    상기 방류조에 체류하는 처리수를 오존과 접촉시켜 처리수 중의 잔존 오염물을 분해하기 위한 오존접촉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오존접촉수단은 상기 방류조에 설치된 순환펌프와 연결되는 제 1순환관과, 상기 제 1순환관과 연결되는 기액혼합기와, 상기 기액혼합기와 연결되어 상기 방류조로 연장되는 제 2순환관과, 상기 기액혼합기와 연결되는 오존주입관과, 상기 오존주입관과 연결되는 오존공급기를 구비하고,
    상기 기액혼합기는 직경이 확장되는 확관부가 다수 형성되며 입구가 상기 제 1순환관과 연결되고 출구가 상기 제 2순환관과 연결되는 원통형의 혼합챔버와, 상기 혼합챔버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혼합챔버의 내주면과 이격되게 위치하는 삽입봉과, 상기 삽입봉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확관부와 대응되게 위치하며 상기 오존주입관과 연결되는 축소경부와, 상기 혼합챔버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 1요철부와, 상기 삽입봉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1요철부와 형상이 다른 제 2요철부와, 상기 축소경부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오존주입관과 연결되어 오존이 유입되는 유입실과, 상기 유입실로 유입된 오존이 다수의 경로로 분산되어 상기 축소경부의 바깥으로 분출될 수 있도록 상기 축소경부에 형성되며 상기 유입실의 주위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상기 유입실과 연결되는 분출로들을 구비하고,
    상기 분출로들을 통해 상기 축소경부의 외부로 분출되는 오존이 상기 축소경부의 주위에서 선회할 수 있도록 상기 분출로들은 동일한 방향으로 틀어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을 이용한 하폐수의 고도 수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폭기조에서 상기 무산소조로 슬러지를 반송하기 위한 제 1슬러지반송부와, 상기 막분리조에서 슬러지를 상기 혐기조로 반송하기 위한 제 2슬러지반송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을 이용한 하폐수의 고도 수처리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180042004A 2018-04-11 2018-04-11 오존을 이용한 하폐수의 고도 수처리장치 KR101884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004A KR101884448B1 (ko) 2018-04-11 2018-04-11 오존을 이용한 하폐수의 고도 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004A KR101884448B1 (ko) 2018-04-11 2018-04-11 오존을 이용한 하폐수의 고도 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4448B1 true KR101884448B1 (ko) 2018-08-01

Family

ID=63227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2004A KR101884448B1 (ko) 2018-04-11 2018-04-11 오존을 이용한 하폐수의 고도 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444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98003A (zh) * 2019-11-22 2020-01-17 四会市宏创工业机械设备有限公司 铝合金电泳涂装废水处理装置
KR20210076737A (ko) 2019-12-16 2021-06-24 주식회사 씨맥 하폐수 처리수의 고도처리를 위한 시스템
KR102311701B1 (ko) 2021-03-04 2021-10-13 이에스아이주식회사 오존 용존수를 이용한 가축분뇨 처리 시스템
KR102336842B1 (ko) 2021-05-31 2021-12-08 주식회사 아쿠아웍스 개량된 산기 처리구조를 갖는 생물막 반응 처리형의 하·폐수 처리 시스템
KR102543602B1 (ko) 2022-11-23 2023-06-20 주식회사 아쿠아웍스 고효율 산기관이 적용된 iot 기반의 에너지 절감형 스마트 하·폐수처리 시스템
KR102576502B1 (ko) 2023-02-28 2023-09-08 주식회사 아쿠아웍스 일괄 제어형 산기 처리구조를 갖는 통합 하·폐수처리장용 고효율 산기 처리시스템
KR102670533B1 (ko) * 2023-11-02 2024-05-29 주식회사 장산이엔지 하폐수의 고도산화 수처리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325A (ko) * 2001-02-07 2001-06-05 박연수 자외선과 오존을 이용한 고도산화처리에 의한 수처리장치
KR20030032284A (ko) * 2001-10-17 2003-04-26 민삼봉 수도직결식오존수기
KR100992827B1 (ko) 2009-02-04 2010-11-09 주식회사 환경시설관리공사 막분리를 이용한 폐수처리 시스템
KR20140045175A (ko) * 2012-10-08 2014-04-16 대림산업 주식회사 분리막을 이용한 슬러지 감량형 하수고도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고도처리 방법
JP5995188B2 (ja) * 2012-05-08 2016-09-21 Jfe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静止型混合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バラスト水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325A (ko) * 2001-02-07 2001-06-05 박연수 자외선과 오존을 이용한 고도산화처리에 의한 수처리장치
KR20030032284A (ko) * 2001-10-17 2003-04-26 민삼봉 수도직결식오존수기
KR100992827B1 (ko) 2009-02-04 2010-11-09 주식회사 환경시설관리공사 막분리를 이용한 폐수처리 시스템
JP5995188B2 (ja) * 2012-05-08 2016-09-21 Jfe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静止型混合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バラスト水処理装置
KR20140045175A (ko) * 2012-10-08 2014-04-16 대림산업 주식회사 분리막을 이용한 슬러지 감량형 하수고도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고도처리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98003A (zh) * 2019-11-22 2020-01-17 四会市宏创工业机械设备有限公司 铝合金电泳涂装废水处理装置
KR20210076737A (ko) 2019-12-16 2021-06-24 주식회사 씨맥 하폐수 처리수의 고도처리를 위한 시스템
KR20210145706A (ko) 2019-12-16 2021-12-02 주식회사 씨맥 하폐수 처리수의 고도처리를 위한 시스템
KR102311701B1 (ko) 2021-03-04 2021-10-13 이에스아이주식회사 오존 용존수를 이용한 가축분뇨 처리 시스템
KR102336842B1 (ko) 2021-05-31 2021-12-08 주식회사 아쿠아웍스 개량된 산기 처리구조를 갖는 생물막 반응 처리형의 하·폐수 처리 시스템
KR102543602B1 (ko) 2022-11-23 2023-06-20 주식회사 아쿠아웍스 고효율 산기관이 적용된 iot 기반의 에너지 절감형 스마트 하·폐수처리 시스템
KR102576502B1 (ko) 2023-02-28 2023-09-08 주식회사 아쿠아웍스 일괄 제어형 산기 처리구조를 갖는 통합 하·폐수처리장용 고효율 산기 처리시스템
KR102670533B1 (ko) * 2023-11-02 2024-05-29 주식회사 장산이엔지 하폐수의 고도산화 수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4448B1 (ko) 오존을 이용한 하폐수의 고도 수처리장치
US7374675B2 (en) Mixer for use in wastewater treatment processes
US20030042199A1 (en)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US7524419B2 (en) Mixer for use with media in wastewater treatment
JP2000288568A (ja) 汚水処理装置
JP4409532B2 (ja) 畜産廃水及び糞尿等のような高濃度の窒素を含む汚廃水の処理装置及びその処理方法
US8382985B1 (en) Apparatus, system and process for wastewater purification
KR100937482B1 (ko) 중공복합담체를 이용한 하수고도 처리장치 및 방법
KR101879740B1 (ko) 하폐수의 고도 수처리장치
EP185599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erating a liquid, particularly useful in the treatment of wastewater for re-use
KR102032162B1 (ko) 회분식 유입수 이젝터형 장치 및 사이펀식 배출을 이용한 고도처리 장치
KR101617426B1 (ko) 순산소 공급에 의한 하폐수의 고도 수처리장치
KR102289941B1 (ko) 하폐수의 수처리장치
KR101019092B1 (ko) 인 제거를 위한 하폐수의 고도 수처리 장치 및 방법
CN212954766U (zh) 一种连续模式纳米气泡移动床生物膜反应器系统
KR20030097075A (ko) 생물막활성탄과 마이크로필터모듈을 이용한 오·폐수고도처리장치
KR101898183B1 (ko) 복합담체와 분사수류장치를 구비한 하·폐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질소 제거 방법
KR100935022B1 (ko) 폐수 정화장치
KR100424092B1 (ko) 질산성 질소 처리장치
KR101632740B1 (ko) 일체형 호기 질소탈기조를 이용한 생물학적 고도처리장치 및 그 공법
JP4594245B2 (ja) 有機性汚濁水中の有機物の分解処理装置
RU2013382C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200221815Y1 (ko) 유동상 하수처리장치
KR102106688B1 (ko) 수처리 장치 및 수처리 방법
KR102670533B1 (ko) 하폐수의 고도산화 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