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4284B1 - Wireless receiver for an automatic door - Google Patents

Wireless receiver for an automatic do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4284B1
KR101884284B1 KR1020160164777A KR20160164777A KR101884284B1 KR 101884284 B1 KR101884284 B1 KR 101884284B1 KR 1020160164777 A KR1020160164777 A KR 1020160164777A KR 20160164777 A KR20160164777 A KR 20160164777A KR 101884284 B1 KR101884284 B1 KR 101884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pin
main body
hole
wing
w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47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64658A (en
Inventor
유정옥
Original Assignee
유정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정옥 filed Critical 유정옥
Priority to KR1020160164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4284B1/en
Publication of KR20180064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46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4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42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08Constructional details, e.g. cabine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using wireless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건물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자동문에 장착된 송신기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도어를 슬라이딩시키는 작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자동문용 무선수신기가 개시된다. 외부의 송신기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도어를 슬라이딩시켜 도어를 개폐하는 작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자동문용 무선수신기는, 본체부, 제1 날개부, 제2 날개부, 제1 탄성핀 및 제2 탄성핀을 포함한다. 본체부는 사각박스 형상을 갖는다. 제1 날개부는 본체부의 단변의 길이보다 큰 폭을 갖고서 본체부의 일측 단변부에서 연장된다. 제2 날개부는 본체부의 단변의 길이보다 큰 폭을 갖고서 본체부의 타측 단변부에서 연장된다. 제1 탄성핀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일단과 타단이 각각 본체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제1 날개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확장되되, 본체부의 단변의 길이보다 크게 확장된다. 제2 탄성핀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일단과 타단이 각각 본체부의 타측에 결합되고, 제2 날개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확장되되, 본체부의 단변의 길이보다 크게 확장된다. Disclosed is a radio receiver for an automatic door that controls driving of an operation motor that receives a signal from a transmitter mounted on an automatic door installed at an entrance of a building and slides the door. A wireless receiver for an automatic door that controls a driving of an operation motor that opens and closes a door by sliding a door by receiving a signal from an external transmitter, the automatic door wireless receiver comprising: a body portion; a first wing portion; a second wing portion; Pin. The body portion has a rectangular box shape. The first wing portion extends from one side short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with a width larger than the short side length of the main body portion. The second wing portion extends from the other short side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with a width larger than the length of the short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The first elastic fins ar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one end and the other end are respective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exten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wing portion and are extended more than the length of the short side of the main body. The second elastic fins ar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elastic pin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and exten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econd wing portion.

Description

자동문용 무선수신기{WIRELESS RECEIVER FOR AN AUTOMATIC DOOR}[0001] WIRELESS RECEIVER FOR AN AUTOMATIC DOOR [0002]

본 발명은 자동문용 무선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자동문에 장착된 송신기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자동문을 슬라이딩시켜 개폐시키는 작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자동문용 무선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receiver for an automatic do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less receiver for an automatic door, which receives a signal from a transmitter installed in an automatic door installed at an entrance of a building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an operation motor .

일반적으로 다양한 건물의 출입구에는 통상적으로 여닫이 또는 미닫이의 개폐 도어가 설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개폐 도어의 경우 출입자의 인위적인 힘에 의해 개폐 방향으로 회전 또는 슬라이딩 작동시켜 출입구의 개방과 밀폐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며, 사용상의 편리함과 출입의 용이함을 꾀하고자 다양한 형태 및 작동 구조를 갖는 자동문이 설치되는 것이다.Generally, door openings of sliding doors or sliding doors are usually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various buildings. Here, 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opening / closing door,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by rotating or sliding in the opening / closing direction by an artificial force of a passenger. In order to facilitate the use and easy access, The automatic door will be installed.

이와 같은 자동문은 통상적으로 물체 감지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스스로 회전하거나 슬라이딩하는 도어에 의하여 편리한 출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나, 근자에 들어서는 불필요한 전기 에너지의 낭비를 방지하면서도, 출입구의 비좁은 상황에 의해 출입을 필요로 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개폐 도어에 인접한 상태의 사람이나 사물을 감지하여 상기 도어가 자동으로 개폐되는 방지하고자 별도의 송신기와 수신기의 조합에 의한 조작식 자동문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Such an automatic door is usually operated by an object detecting sensor to automatically open and close the door by a door that rotates or slides by itself. However, it is possible to prevent unnecessary electric energy from being wasted in the vicinity of the door, There is a tendency that an automatic door with an operation by a combination of a separate transmitter and a receiver is widely used in order to prevent the door from being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by sensing a person or object in a state adjacent to the door.

도 1은 일반적인 자동문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와 같이, 일반적인 자동문의 경우, 단일 또는 분할된 도어(100, 100')가 설치되고, 상기 도어(100, 100') 상측의 압출프레임(101)에 구동수단이 장착된다. FIG. 1 is a gener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general automatic door. As shown in FIG. 1, in the case of a general automatic door, a single or divided door 100 or 100 'is installed, and the driving means is mounted on the extrusion frame 101 on the door 100 or 100'.

상기 도어(100, 100')에 장착되거나 또는 상기 도어 도어(100, 100')의 지근에 위치한 무선송신기(102)를 터치하게 되면 시그널이 압출프레임(101) 내의 무선수신기(103)로 전달되어, 상기 시그널을 통해 작동모터(104)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는 것이다. A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wireless receiver 103 in the extrusion frame 101 when the wireless transmitter 102 mounted on the doors 100 and 100 'or touching the wireless transmitter 102 located near the door doors 100 and 100' , And the power is applied to the operation motor 104 through the signal.

상기 작동모터(104)를 통해 타이밍 벨트(105)가 회전 운동을 하면, 상기 타이밍 밸트(105)에 각기 상/하로 구분 고정된 상태의 도어(100, 100')는 타이밍 밸트(105)의 회전 방향에 따라 횡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자동문을 개방 또는 밀폐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무선수신기(103)는 압출프레임(101) 상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 무선수신기(103)와 압출프레임(101)의 고정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When the timing belt 105 is rotated through the operation motor 104, the doors 100 and 100 ', which are separated and fixed to the timing belt 105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Thereby opening or closing the automatic door while sli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radio receiver 103 is located on the extrusion frame 101, and the fixing structure of the radio receiver 103 and the extrusion frame 101 is as shown in FIG.

도 2는 일반적인 자동문에 있어 무선수신기의 고정 설치예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수신기(103)의 양측으로부터 별도의 체결볼트(106)를 관통 삽입하여 상기 체결볼트(106)를 압출프레임(101)에 나사 체결함에 따라 상기 무선수신기(103)가 장착되는 형태를 갖고 있는 것이다. 2 is an example of a fixed installation of a radio receiver in a general automatic door. 2, the radio receiver 103 is inserted into the radio receiver 103 by screwing the fixing bolts 106 into the extrusion frame 101 by inserting separate fixing bolts 106 from both sides of the radio receiver 103, As shown in FIG.

그러나, 이러한 무선수신기의 장착구조는 별도의 체결볼트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상기 압출 프레임(101)에는 무선수신기(103)를 설치하기 위한 위치에 미리 나사공을 천공하여야 한다. 하지만, 계측 오차 또는 설계 오차에 의해 상기 나사공과 실제의 무선수신기에 형성된 볼트 삽입공이 정확하게 서로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무선수신기(103)의 설치과정에서 상당한 애로점이 발생한다. However, since the mounting structure of such a wireless receiver is formed by a separate fastening bolt, a screw hole is to be formed in the extrusion frame 101 at a position for mounting the wireless receiver 103 in advance. However, when the screw holes and the bolt insertion holes formed in the actual wireless receiver do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due to measurement errors or design errors, considerable difficulties arise in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wireless receiver 103. [

나사공과 볼트 삽입공의 오차가 상당한 경우, 부득이 나사공을 추가로 천공하여 무선수신기(103)를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된다. 특히 무선수신기(103)는 자동문의 설치 과정에서 부득이하게 설치 위치를 변경할 필요가 발생하게 되는 것인데, 전원의 공급 방향이나 도어 구동수단과의 간섭이 발생할 경우에는 최초 설치된 상태의 무선수신기(103)를 변경된 위치에 재장착하여야 한다. 나사공의 신규 천공과정이 발생하게 되어 불필요한 작업 공정이 추가되므로 작업 효율성이 크게 저하되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When the error of the screw hole and the bolt inserting hole is considerable, it is cumbersome to install the radio receiver 103 by further drilling the hole. Particularly, the radio receiver 103 needs to change the installation position inevitably in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automatic door. When the supply direction of the power source or the interference with the door driving means occurs, the radio receiver 103, It should be re-mounted at the changed position. A new drilling process of the drill hole occurs, and unnecessary work processes are added to the drill hole, so that the operation efficiency is greatly reduced.

또한, 체결볼트에 의한 무선수신기(103)의 장착구조는 체결볼트와 무선수신기(103) 및 압출프레임(101) 사이의 틈새나 유격이 발생할 수도 있어 이와 같은 경우에는 무선수신기(103)의 설치 상태가 양호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radio receiver 103 by the fastening bolt may cause a clearance or clearance between the fastening bolt, the radio receiver 103 and the extrusion frame 101. In such a case, Is not good.

도어의 반복적인 개폐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은 상기 체결볼트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므로 상기 체결볼트가 느슨해지거나 풀려 이탈될 우려가 있으므로 그에 따른 추가의 고정구조를 마련하고 이를 적용시켜야 하는 것이며, 무선수신기(103)는 도어의 개폐 작용을 가능케 하는 실질적인 제어수단의 역할을 하므로 내부에는 복잡한 회로구성과 정밀 제어 부품 등이 내장되어 있으므로, 도어의 오류나 오작동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무선수신기(103)를 교체하거나 수리하여 재설치하여야 하는데 이와 같은 유지 보수과정에서의 복잡함과 번거로움은 업무 효율성을 크게 떨어뜨리는 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Since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peatedly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fastening bolt, there is a fear that the fastening bolt loosens or loosens and is released. Therefore, a further fixing structure should be provided and applied. ) Functions as a practical control means for enab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so that a complicated circuit configuration and precision control components are built in. Therefore, when a door error or a malfunction occurs, the wireless receiver 103 is replaced or repaired The complexity and hassle of such a maintenance process is a cause of the drop in work efficiency.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3330호 (2011. 04. 05., 무선수신기가 구비된 자동도어장치용 도어컨트롤러)Korean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20-2011-0003330 (2011. 04. 05., door controller for automatic door device equipped with wireless receiver) 한국등록특허 제10-0890280호 (2009. 03. 17., 걸림턱부를 갖는 압출프레임에 의한 고정구조를 갖는 자동개폐 도어용 무선수신기)Korean Patent No. 10-0890280 (2009. 03. 17. 2009, Wireless Receiver for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oor with Fixing Structure by Extrusion Frame Having Jaw Section)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자동문에 장착된 송신기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도어를 슬라이딩시키는 작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되, 압출프레임에 삽입 장착될 때 보다 견고하게 장착되면서 설치 위치의 변경이 간편하면서 보다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자동문용 무선수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liding door for a doo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adio receiver for an automatic door that can be installed more firmly and more easily installed while being easily changed in installation position.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의 송신기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도어를 슬라이딩시켜 도어를 개폐하는 작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자동문용 무선수신기는, 본체부, 제1 날개부, 제2 날개부, 제1 탄성핀 및 제2 탄성핀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는 사각박스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1 날개부는 상기 본체부의 단변의 길이보다 큰 폭을 갖고서 상기 본체부의 일측 단변부에서 연장된다. 상기 제2 날개부는 상기 본체부의 단변의 길이보다 큰 폭을 갖고서 상기 본체부의 타측 단변부에서 연장된다. 상기 제1 탄성핀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일단과 타단이 각각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날개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확장되되, 상기 본체부의 단변의 길이보다 크게 확장된다. 상기 제2 탄성핀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일단과 타단이 각각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2 날개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확장되되, 상기 본체부의 단변의 길이보다 크게 확장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utomatic door radio receiv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n operation motor for opening and closing a door by sliding a door by receiving a signal from an external transmitter, A wing portion, a second wing portion, a first elastic pin, and a second elastic pin. The body portion has a rectangular box shape. The first wing portion extends from one side short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with a width larger than the short side length of the main body portion. The second wing portion extends from the other short side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with a width larger than the length of the short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The first elastic fins ar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elastic fins are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exten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wing portion and extend beyond the length of the short side of the main body. The second elastic fins ar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elastic pin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and exten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econd wing portion and extend more than the length of the short side of the main body.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탄성핀 및 상기 제2 탄성핀 각각은 상기 본체부에서 멀어질수록 확장되는 열기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each of the first resilient fins and the second resilient fins may have a shape of a balloon that expands as it moves away from the main body.

일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부는 제1 장변부와 제2 장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장변부의 일측 에지부위에 제1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장변부의 일측 에지부위에 제2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탄성핀의 일단은 상기 제1 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1 탄성핀의 타단은 상기 제2 홀에 삽입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body portion includes a first long side portion and a second long side portion, wherein a first hole is formed at one edge portion of the first long side portion, and a second hole is formed at one edge portion of the second long side portion One end of the first elastic pin is inserted into the first hole,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elastic pin is inserted into the second hole.

일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부는 제1 장변부와 제2 장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장변부의 타측 에지부위에 제3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장변부의 타측 에지부위에 제4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탄성핀의 일단은 상기 제3 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2 탄성핀의 타단은 상기 제4 홀에 삽입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body portion includes a first long side portion and a second long side portion, a third hole is formed at the other edge portion of the first long side portion, and a fourth hole is formed at the other edge portion of the second long side portion One end of the second elastic pin may be inserted into the third hole,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elastic pin may be inserted into the fourth hole.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탄성핀은 상기 제1 날개부를 가압하면서 압출프레임에 형성된 수납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2 탄성핀은 상기 제2 날개부를 가압하면서 압출프레임에 형성된 수납홈에 삽입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rst elastic pin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extrusion frame while pressing the first wing portion, and the second elastic pin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extrusion frame while pressing the second wing portion .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날개부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탄성핀의 일단은 상기 제1 날개부에 형성된 하나의 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1 탄성핀의 타단은 상기 제1 날개부에 형성된 다른 하나의 홀에 삽입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t least two holes are formed in the first wing portion, one end of the first elastic pin is inserted into one hole formed in the first wing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elastic pin is inserted And may be inserted into another hole formed in the first wing portion.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2 날개부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탄성핀의 일단은 상기 제2 날개부에 형성된 하나의 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2 탄성핀의 타단은 상기 제2 날개부에 형성된 다른 하나의 홀에 삽입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t least two holes are formed in the second wing portion, one end of the second elastic pin is inserted into one hole formed in the second wing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elastic pin is inserted And may be inserted into another hole formed in the second wing portion.

이러한 자동문용 무선수신기에 의하면, 본체부의 양측에 탄성핀이 각각 배치된 무선수신기를 압출프레임에 장착하면 상기 탄성핀들은 반발력에 의해 상기 압출프레임에서 이탈하려는 힘을 갖게 되지만 압출프레임의 걸림턱부들에 제지되므로, 상기 무선수신기는 상기 압출프레임으로부터 유동없이 밀착 설치된다. 따라서, 무선수신기는 보다 견고하게 장착되면서 설치 위치의 변경이 간편하면서 보다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such an automatic radio receiver, when the radio receiver having the elastic pin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is mounted on the extrusion frame, the elastic pins have a force for separating from the extrusion frame by the repulsive force, The radio receiver is closely installed without flowing from the extrusion frame. Therefore, the wireless receiver can be installed more firmly and can be easily installed while chang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도 1은 일반적인 자동문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자동문에 있어 무선수신기의 고정 설치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문용 무선수신기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자동문용 무선수신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본체부에 형성되는 홀들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자동문용 무선수신기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자동문용 무선수신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제1 탄성핀 및 제2 탄성핀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문에 있어 무선수신기의 고정 설치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용 무선수신기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자동문용 무선수신기의 배면 사시도이다.
FIG. 1 is a gener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general automatic door.
2 is an example of a fixed installation of a radio receiver in a general automatic door.
3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door radio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automatic door radio receiver shown in Fig.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holes formed in the main body portion shown in FIG.
FIG. 6 is a rear view illustrating the automatic door radio receiver shown in FIG. 3. FIG.
7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 radio receiver for automatic doors shown in FIG.
8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first elastic pin and the second elastic pin shown in FIG.
9 is a fixed installation example of a radio receiver in an automatic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radio receiver for automatic door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automatic door radio receiver shown in Fig.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larify the present invention.

제1 ,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i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Also,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문용 무선수신기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자동문용 무선수신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본체부에 형성되는 홀들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자동문용 무선수신기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자동문용 무선수신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제1 탄성핀 및 제2 탄성핀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3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door radio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automatic door radio receiver shown in Fig.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holes formed in the main body portion shown in FIG. FIG. 6 is a rear view illustrating the automatic door radio receiver shown in FIG. 3. FIG. 7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 radio receiver for automatic doors shown in FIG. 8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first elastic pin and the second elastic pin shown in FIG.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문용 무선수신기(200)는 본체부(210), 제1 날개부(220), 제2 날개부(230), 제1 탄성핀(240) 및 제2 탄성핀(250)을 포함한다. 3 to 8, an automatic door radio receiv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210, a first wing 220, a second wing 230, A pin 240 and a second resilient fin 250.

상기 본체부(210)는 사각박스 형상을 갖는다. The main body 210 has a rectangular box shape.

상기 제1 날개부(220)는 상기 본체부(210)의 단변의 길이보다 큰 폭을 갖고서 상기 본체부(210)의 일측 단변부에서 연장된다. The first wing part 220 has a width larger than a length of the short side of the main body part 210 and extends from one side short side of the main body part 210.

상기 제2 날개부(230)는 상기 본체부(210)의 단변의 길이보다 큰 폭을 갖고서 상기 본체부(210)의 타측 단변부에서 연장된다. The second wing portion 230 has a width larger than the length of the short side of the body portion 210 and extends from the other short side portion of the body portion 210.

상기 제1 탄성핀(240)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일단과 타단이 각각 상기 본체부(210)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날개부(2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확장되되, 상기 본체부(210)의 단변의 길이보다 크게 확장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탄성핀(240)의 직경은 상기 제1 날개부(220)의 길이보다 크다. The first elastic pin 24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has one end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210 and extending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wing 220, 210). Accordingly, the diameter of the first elastic pin 240 is larg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wing 220.

상기 제2 탄성핀(250)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일단과 타단이 각각 상기 본체부(210)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2 날개부(230)의 연장 방향을 따라 확장되되, 상기 본체부(210)의 단변의 길이보다 크게 확장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탄성핀(250)의 직경은 상기 제2 날개부(230)의 길이보다 크다. The second elastic pin 25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has one end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210 and extending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econd wing 230, 210). Accordingly, the diameter of the second elastic pin 250 is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wing portion 230.

상기 제1 탄성핀(240) 및 상기 제2 탄성핀(250) 각각은 상기 본체부(210)에서 멀어질수록 확장되는 열기구 형상을 갖는다. Each of the first elastic pin 240 and the second elastic pin 250 has a shape of a balloon that expands as it gets farther from the main body 210.

상기 본체부(210)는 제1 장변부와 제2 장변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장변부의 일측 에지부위에 제1 홀(211)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장변부의 일측 에지부위에 제2 홀(212)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탄성핀(240)의 일단은 상기 제1 홀(211)에 삽입되고, 상기 제1 탄성핀(240)의 타단은 상기 제2 홀(212)에 삽입된다. The main body 210 includes a first long side portion and a second long side portion. A first hole (211) is formed at one edge portion of the first long side portion, a second hole (212) is formed at one edge portion of the second long side portion, and one end of the first elastic pin (240)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elastic pin 24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hole 212.

또한, 상기 제1 장변부의 타측 에지부위에 제3 홀(213)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장변부의 타측 에지부위에 제4 홀(214)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탄성핀(250)의 일단은 상기 제3 홀(213)에 삽입되고, 상기 제2 탄성핀(250)의 타단은 상기 제4 홀(214)에 삽입된다. A third hole 213 is formed at the other edge portion of the first long side portion, a fourth hole 214 is formed at the other edge portion of the second long side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third hole 213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elastic pin 250 is inserted into the fourth hole 214.

상기 제1 탄성핀(240)은 상기 제1 날개부(220)를 가압하면서 압출프레임(300)에 형성된 수납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2 탄성핀(250)은 상기 제2 날개부(230)를 가압하면서 압출프레임(300)에 형성된 수납홈에 삽입된다. The first elastic pin 240 is inserted into a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extrusion frame 300 while pressing the first wing 220. The second elastic pin 25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wing 230,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groove formed in the extrusion frame (300).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문에 있어 무선수신기의 고정 설치예이다. 9 is a fixed installation example of a radio receiver in an automatic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압출프레임(300)에는, 자동문용 무선수신기(200)(이하, 무선수신기)를 장착하기 위해,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는 제1 걸림턱부(310)와 제2 걸림턱부(320)가 형성된다. 상기 제1 걸림턱부(310)는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걸림턱부(320)는 상기 제1 걸림턱부(310)에 대향하게 하측에 형성된다. 9, the extrusion frame 300 is provided with a first locking protrusion 310 and a second locking protrusion 310 facing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mount the automatic door radio receiver 200 (320) is formed. The first engaging jaw 310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and the second engaging jaw 320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pposite to the first engaging jaw 310.

상기 무선수신기(200)에는 상기 제1 걸림턱부(310)와 상기 제2 걸림턱부(320)에 삽입되는 제1 날개부(220)와 제2 날개부(230)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날개부(220)와 상기 제2 날개부(230)는 상기 압출프레임(300)의 상기 제1 걸림턱부(310)와 상기 제2 걸림턱부(320)에 삽입된다. The wireless receiver 200 is formed with a first wing portion 220 and a second wing portion 230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latching jaws 310 and 320. The first wing part 220 and the second wing part 230 are inserted into the first engaging jaw part 310 and the second engaging jaw part 320 of the extrusion frame 300.

그러면, 이하에서 상기 압출프레임(300)에 상기 무선수신기(200)를 체결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fastening the wireless receiver 200 to the extrusion frame 300 will be described.

상기 무선수신기(200)의 상기 제1 날개부(220)의 상측부위 및 상기 제2 날개부(230)의 상측부위가 상기 제1 걸림턱부(310)에 끼워 상측으로 밀어 올린 상태에서, 제1 탄성핀(240)의 상측부위 및 제2 탄성핀(250)의 상측부위는 상기 제1 걸림턱부(310)에 끼워지고,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wing portion 220 of the radio receiver 20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wing portion 230 are fitted to the first engaging jaw portion 310 and are pushed up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elastic pin 24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elastic pin 250 are fitted to the first latching jaw 310,

상기 제1 날개부(220)의 하측부위 및 상기 제2 날개부(230)의 하측부위는 상기 압출프레임(300)의 상기 제2 걸림턱부(320) 내측으로 삽입되게 밀어넣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무선수신기(200)를 하강시키면서 상기 제1 탄성핀(240)의 하측부위와 상기 제2 탄성핀(250)의 하측부위를 상기 제2 걸림턱부(320)에 끼워 넣는다.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wing portion 22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wing portion 230 are inserted into the second engaging jaw portion 320 of the extrusion frame 300,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elastic pin 24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elastic pin 250 are inserted into the second engaging jaw 320 while the radio receiver 200 is lowered.

이에 따라, 상기 제1 탄성핀(240)은 상기 제1 날개부(220)를 가압하면서 상기 제1 걸림턱부(310) 및 상기 제2 걸림턱부(320)에 끼워져 상기 무선수신기(200)를 고정하고, 상기 제2 탄성핀(250)은 상기 제2 날개부(230)를 가압하면서 상기 제1 걸림턱부(310) 및 상기 제2 걸림턱부(320)에 끼워져 상기 무선수신기(200)를 고정한다. The first elastic fins 240 ar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rotrusions 310 and 320 while pressing the first wing 220 to fix the radio receiver 200 And the second elastic pin 250 is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latching jaws 310 and 320 while pressing the second wing portion 230 to fix the radio receiver 200 .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출프레임(300)에 상기 무선수신기(200)를 장착하면 상기 제1 탄성핀(240) 및 상기 제2 탄성핀(250)은 반발력에 의해 상기 압출프레임(300)에서 이탈하려는 힘을 갖게 되지만 상기 제1 걸림턱부(310) 및 상기 제2 걸림턱부(320)에 의해 제지되므로, 상기 무선수신기(200)는 상기 압출프레임(300)으로부터 유동없이 밀착 설치된다. The first elastic pin 240 and the second elastic pin 250 are separated from the extrusion frame 300 by a repulsive force when the radio receiver 200 is mounted on the extrusion frame 300, The radio receiver 200 is tightly installed without flowing from the extrusion frame 300 because the first and second stopping protrusions 310 and 320 are detached.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용 무선수신기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자동문용 무선수신기의 배면 사시도이다. 10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radio receiver for automatic door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automatic door radio receiver shown in Fig.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용 무선수신기(200)는 본체부(210), 제1 날개부(220), 제2 날개부(230), 제1 탄성핀(1240) 및 제2 탄성핀(1250)을 포함한다. 도 3 및 도 4와 비교할 때, 상기 제1 탄성핀(1240) 및 상기 제2 탄성핀(1250)을 제외하고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자동문용 무선수신기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10 and 11, an automatic door radio receiver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210, a first wing 220, a second wing 230, A pin 1240 and a second elastic pin 1250. 3 and 4, except for the first elastic pin 1240 and the second elastic pin 1250,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automatic door radio receiver shown in Figs. 3 and 4,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are omitted.

상기 제1 탄성핀(1240)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일단과 타단이 각각 상기 제1 날개부(220)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부(210)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날개부(2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확장되되, 상기 본체부(210)의 단변의 길이보다 크게 확장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탄성핀(1240)의 직경은 상기 제1 날개부(220)의 길이보다 크다.The first elastic fins 1240 ar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elastic fins 1240 are inserted into holes formed in the first wings 220 and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210, 220, and is extended more than the length of the short side of the main body 210. Accordingly, the diameter of the first elastic pin 1240 is larg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wing 220.

상기 제2 탄성핀(1250)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일단과 타단이 각각 상기 제2 날개부(230)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부(210)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2 날개부(230)의 연장 방향을 따라 확장되되, 상기 본체부(210)의 단변의 길이보다 크게 확장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탄성핀(1250)의 직경은 상기 제2 날개부(230)의 길이보다 크다.The second elastic pin 125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elastic pin 1250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holes formed in the second wing portions 230 and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210, 230, and is extended more than the length of the short side of the main body 210. [ Accordingly, the diameter of the second elastic pin 1250 is larg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wing 230.

상기 제1 탄성핀(1240) 및 상기 제2 탄성핀(1250) 각각은 상기 본체부(210)에서 멀어질수록 확장되는 열기구 형상을 갖는다. Each of the first elastic pin 1240 and the second elastic pin 1250 has a shape of a balloon that expands as it gets further away from the main body 210.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의 슬라이딩 개폐 작용에 대한 작동모터를 실질적으로 제어하는 무선수신기의 양측에 탄성핀을 배치시켜 압출프레임의 걸림턱부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에 삽입하여 고정하므로써, 무선수신기를 압출프레임에 간편하고 신속하게 장착할 수 있으면서도, 반발력을 갖는 탄성핀에 의해 무선수신기가 압출프레임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pins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radio receiver that substantially controls the operation motor for the sliding opening / closing action of the door, and inserted into the space defined by the latching jaws of the extrusion frame, The wireless receiver can be easily and quickly mounted on the extrusion frame and the wireless receiv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extrusion frame by the elastic pin having the repulsive force.

또한, 압출프레임에 장착된 상태의 무선수신기는 작업자의 가압력에 의해 자유롭게 위치 이동될 수 있어 고정 위치의 변경이 매우 간편하다. Further, the wireless receiver mounted on the extrusion frame can be freely moved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operator, and the change of the fixed position is very simple.

또한, 고장에 의한 수리나 교체 또는 점검의 목적으로 상기 무선수신기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작업자의 가압력만으로도 압출프레임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취급 및 유지 관리에 매우 효율적이다.Further, even in the case of separating the radio receiver for the purpose of repairing, replacing or checking due to failure, i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extruded frame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operator, which is very efficient for handling and maintenance.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You will understand.

100, 100' : 도어 104 : 작동모터
103, 200 : 자동문용 무선수신기
210 : 본체부 220 : 제1 날개부
230 : 제2 날개부 240 : 제1 탄성핀
250 : 제2 탄성핀 101, 300 : 압출프레임
310 : 제1 걸림턱부 320 : 제2 걸림턱부
100, 100 ': Door 104: Operation motor
103, 200: Radio receiver for automatic door
210: main body 220: first wing
230: second wing portion 240: first elastic pin
250: second elastic pin 101, 300: extrusion frame
310: first engaging jaw 320: second engaging jaw

Claims (7)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는 제1 걸림턱부와 제2 걸림턱부가 형성된 압출프레임에 장착되어, 외부의 송신기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도어를 슬라이딩시켜 도어를 개폐하는 작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자동문용 무선수신기에서,
사각박스 형상을 갖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단변의 길이보다 큰 폭을 갖고서 상기 본체부의 일측 단변부에서 연장된 제1 날개부;
상기 본체부의 단변의 길이보다 큰 폭을 갖고서 상기 본체부의 타측 단변부에서 연장된 제2 날개부;
상기 본체부에서 멀어질수록 확장되는 열기구 형상을 갖고서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열기구 형상의 일단과 상기 열기구 형상의 타단이 각각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날개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확장되되, 상기 본체부의 단변의 길이보다 크게 확장된 제1 탄성핀; 및
상기 본체부에서 멀어질수록 확장되는 열기구 형상을 갖고서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열기구 형상의 일단과 상기 열기구 형상의 타단이 각각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2 날개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확장되되, 상기 본체부의 단변의 길이보다 크게 확장된 제2 탄성핀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탄성핀은 상기 제1 날개부를 가압하면서 상기 제1 걸림턱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 탄성핀은 상기 제2 날개부를 가압하면서 상기 제2 걸림턱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용 무선수신기.
And an automatic door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hich is mounted on an extrusion frame formed with first and second locking protrusions facing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ntrols driving of an operation motor which opens and closes the door by receiving a signal from an external transmitter, At the receiver,
A body portion having a rectangular box shape;
A first wing portion having a width larger than a length of a short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extending from one side short side of the body portion;
A second wing portion having a width larger than a length of a short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extending from the other short side portion of the body portion;
Wherein the one end of the balloon and the other end of the balloon are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exten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wing portion, A first elastic pin extending beyond the length of the short side of the main body; And
And the other end of the hot air balloon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extends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econd wing portion, And a second resilient fins extending more than a length of a short side of the main body,
Wherein the first elastic pin is inserted into the first latching jaw while pressing the first wing portion and the second elastic pin is inserted into the second latching jaw while pressing the second wing portion. receiving se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제1 장변부와 제2 장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장변부의 일측 에지부위에 제1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장변부의 일측 에지부위에 제2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탄성핀의 일단은 상기 제1 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1 탄성핀의 타단은 상기 제2 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용 무선수신기.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portion includes a first long side portion and a second long side portion,
A first hole is formed at one edge portion of the first long side portion, a second hole is formed at one edge portion of the second long side portion,
Wherein one end of the first elastic pin is inserted into the first hole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elastic pin is inserted into the second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제1 장변부와 제2 장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장변부의 타측 에지부위에 제3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장변부의 타측 에지부위에 제4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탄성핀의 일단은 상기 제3 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2 탄성핀의 타단은 상기 제4 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용 무선수신기.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portion includes a first long side portion and a second long side portion,
A third hole is formed at the other edge portion of the first long side portion, a fourth hole is formed at the other edge portion of the second long side portion,
Wherein one end of the second elastic pin is inserted into the third hole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elastic pin is inserted into the fourth hol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날개부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탄성핀의 일단은 상기 제1 날개부에 형성된 하나의 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1 탄성핀의 타단은 상기 제1 날개부에 형성된 다른 하나의 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용 무선수신기.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two holes are formed in the first wing portion,
Wherein one end of the first elastic pin is inserted into one hole formed in the first wing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elastic pin is inserted into another hole formed in the first wing portion. Wireless recei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날개부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탄성핀의 일단은 상기 제2 날개부에 형성된 하나의 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2 탄성핀의 타단은 상기 제2 날개부에 형성된 다른 하나의 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용 무선수신기.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two holes are formed in the second wing portion,
Wherein one end of the second elastic pin is inserted into one hole formed in the second wing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elastic pin is inserted into another hole formed in the second wing portion. Wireless receiver.
KR1020160164777A 2016-12-06 2016-12-06 Wireless receiver for an automatic door KR1018842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777A KR101884284B1 (en) 2016-12-06 2016-12-06 Wireless receiver for an automatic do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777A KR101884284B1 (en) 2016-12-06 2016-12-06 Wireless receiver for an automatic do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658A KR20180064658A (en) 2018-06-15
KR101884284B1 true KR101884284B1 (en) 2018-08-01

Family

ID=62628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4777A KR101884284B1 (en) 2016-12-06 2016-12-06 Wireless receiver for an automatic do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4284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280B1 (en) * 2008-07-16 2009-03-24 오세진 Wireless receiver for automatic door having fixing structure using extruded frame having projected par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9899A (en) * 2006-12-26 2008-07-01 아이티이코리아 주식회사 Spring for a slide-type mobile phone and a mobile phone using the same
KR20110003330U (en) 2009-09-28 2011-04-05 김완중 Door-controller with radio receiver for automatic door
KR20140120656A (en) * 2013-04-04 2014-10-14 (주)덕진기업 Preamp Cas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280B1 (en) * 2008-07-16 2009-03-24 오세진 Wireless receiver for automatic door having fixing structure using extruded frame having projected pa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658A (en) 2018-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12570A1 (en) Sliding-door closer set
EP2772170B1 (en) Shower door assembly
PT1867824E (en) A method for mounting an auxiliary member on the fitting of a door or window
KR101373292B1 (en) Sensor strip assembly of vehicle for obstacle detection
US20160130847A1 (en) Around-the-corner multi-point window lock mechanism for casement and awning windows
KR101884284B1 (en) Wireless receiver for an automatic door
US8201789B1 (en) Blind support for installation of a blind rail
JP2008231761A (en) Projected window and window stay
BRPI1106947B1 (en) MOTOR VEHICLE DOOR WITH A WITHOUT FRAME, AND METHOD FOR FITTING A DOOR
CN204810761U (en) Mounting panel subassembly that control box and this control box adopted
KR100890280B1 (en) Wireless receiver for automatic door having fixing structure using extruded frame having projected part
CN205394142U (en) Lathe moves uses ka dun mechanism
EP1881140B1 (en) Door and window bolt
DK1592482T3 (en) Device for forced opening of doors, windows and other types of openings with remote control
EP2017415A3 (en) An operating device for doors and windows
KR20100000856U (en) Bracket structure of door lock for glass door
KR20190002968A (en) Apparatus for interlocking assembled of installation type selection pivot holder for sliding door
GB2415739B (en) Releasable door jamb assembly
CN104453579B (en) Movable type fireproof window
KR20180001447U (en) Horizontal sliding door window wind breaking and stop Device
KR200438193Y1 (en) Switchgear for expensive sliding windows
KR200200338Y1 (en) Device for locking the window
WO2023110860A1 (en) Arrangement for access member, access member system and method
KR102313914B1 (en) Pad jointing structure for leader
KR101846862B1 (en) Door glass channel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