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4176B1 - 이앙기 설치형 잡초제거기 - Google Patents

이앙기 설치형 잡초제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4176B1
KR101884176B1 KR1020150184042A KR20150184042A KR101884176B1 KR 101884176 B1 KR101884176 B1 KR 101884176B1 KR 1020150184042 A KR1020150184042 A KR 1020150184042A KR 20150184042 A KR20150184042 A KR 20150184042A KR 101884176 B1 KR101884176 B1 KR 101884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unit
weeding
rotating shaft
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4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4589A (ko
Inventor
연재득
Original Assignee
연재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재득 filed Critical 연재득
Priority to KR1020150184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4176B1/ko
Publication of KR20170074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4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4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4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835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835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A01D34/86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use on sloping ground, e.g. on embankments or in dit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2/00Mowers convertible to apparatus for purposes other than mowing; Mowers capable of performing operations other than mow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75/00Accessorie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75/18Safety devices for parts of the mach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앙기에 편리하게 설치하여 이앙기를 통하여 견인이 이루어지며 이앙기의 동력을 통하여 모내기가 이루어진 논의 잡초를 제거할 수 있는 이앙기 설치형 잡초제거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잡초제거기에 있어서, 이앙기의 후방에 설치되는 구동유닛; 상기 구동유닛의 하부에 설치되어 이앙기의 이송 방향으로 견인되고, 상기 구동유닛의 동력으로 논의 잡초를 제거하는 제초유닛;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구동유닛은 이앙기의 동력원 또는 이앙기의 식부 동작과 동조하여 구동되게 구성한다.

Description

이앙기 설치형 잡초제거기{MOUNTED TYPE WEEDER TO RICE TRANSPLANTER}
본 발명은 이앙기 설치형 잡초제거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이앙기를 통하여 견인됨과 동시에 모가 심어진 논의 잡초를 제거할 수 있는 이앙기 설치형 잡초 제거기에 관한 것이다.
이앙기란, 못자리나 육묘상자를 통하여 자란 모를 논으로 옮겨 심을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앙기는 플로트, 모올림대, 식부장치, 원동기로 구성하는 것이 보통이며, 위와 같은 구성으로 모를 심고자하는 논에 모를 심는 과정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위와 같은 이앙기의 편리한 사용을 위하여 다양한 구조를 갖는 이앙기가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모가 심어진 논에 비료를 살포할 수 있는 장치나, 농약을 살포할 수 있는 장치는 물론이고, 논의 잡초를 제거할 수 있는 제초장치 등을 이앙기에 연결하여 이앙기가 유동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모가 심어진 논에 비료, 농약 등을 살포하고, 잡초를 제거할 수 있는 장치 등이 제공되고 있는 것이다.
예컨대, 논의 잡초를 편리하게 제거하기 위하여 이앙기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앙기용 제초장치가 문헌 1에서와 같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이앙기용 제초장치는 이앙기의 후방에 고정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사용을 이루고자 하는 경우에만 이앙기의 후방에 연결하여 사용하기 힘든 문제가 있었으며, 이앙기와 연결을 이루는 구성이 복잡하게 이루어져 이앙기의 동력을 통하여 논의 잡초를 제거하고자 하는 과정을 원활하게 이루기 어렵고, 제초 과정에서 논의 바닥면 경사에 따라 유동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유동에 의하여 이앙기와 연결된 부위는 물론이고, 논의 바닥면과 밀착되는 제초장치가 손상을 일으킬 수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 등록번호 제20-0444038(2009.03.30)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앙기의 후방에 설치하여 견인이 이루어지며 이앙기의 동력원을 통하여 작동되는 구동유닛과 작동유닛을 통해 모가 심어진 논의 잡초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이앙기 설치형 잡초제거기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가 심어진 논의 굴곡에도 유연하게 대응하는 유동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하여 이앙기에 설치한 후에도 유지 및 보수가 편리함은 물론이고, 제초과정에서의 파손 위험을 최소한으로 줄여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잡초 제거를 이룰 수 있는 이앙기 설치형 잡초제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잡초제거기에 있어서, 이앙기의 후방에 설치되는 구동유닛; 상기 구동유닛의 하부에 설치되어 이앙기의 이송 방향으로 견인되고, 상기 구동유닛의 동력으로 논의 잡초를 제거하는 제초유닛;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구동유닛은 이앙기의 동력원 또는 이앙기의 식부 동작과 동조하여 구동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유닛은 박스 형상의 케이스와, 유니버셜조인트로 연결된 바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이앙기의 동력원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케이스와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출력하는 샤프트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샤프트의 회전동력을 제초유닛으로 전달하는 구동기어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기어는 상기 샤프트와 연결되는 제1구동기어와, 상기 제1구동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제초유닛으로 전달하는 제2구동기어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초유닛은 하단에 개구를 형성하고, 양 측부에 배출구을 형성한 받침플레이트와,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내측에 설치되되, 상기 구동유닛과 밸트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초롤러와, 상기 제초롤러와 인접하게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내측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스크류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길이 방향 양측에는 모가 식재된 논의 바닥면과 밀착되어 이송되는 밀착판을 구비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초롤러는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내측에 설치되는 롤러회전축과, 상기 롤러회전축에 설치되는 회전롤러와, 상기 회전롤러의 외측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제초날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는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내측에 설치되는 스크류회전축과, 상기 스크류회전축에 설치되는 회전날개와, 상기 롤러회전축과 스크류회전축을 연결하는 밸트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케이스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해 이앙기와 케이스에 힌지 연결되는 유동조절바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유동조절바의 상,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이앙기와 유동조절바에 힌지 연결되는 조절실린더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앙기의 후방에 설치하여 견인이 이루어지며 이앙기의 동력원을 통하여 작동되는 구동유닛과 작동유닛을 통해 모가 심어진 논의 잡초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모가 심어진 논의 굴곡에도 유연하게 대응하는 유동을 이룰 수 있어 이앙기에 설치한 후에도 유지 및 보수가 편리함은 물론이고, 제초과정에서의 파손 위험을 최소한으로 줄여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잡초 제거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제초유닛을 통하여 논의 잡초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논의 두덕 방향으로 논의 흙이 복토 되게 함으로써 논에 심어진 모의 생장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이앙기 설치형 잡초제거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이앙기 설치형 잡초제거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앙기 설치형 잡초제거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앙기 설치형 잡초제거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앙기 설치형 잡초제거기의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앙기 설치형 잡초제거기의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앙기 설치형 잡초제거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이앙기 설치형 잡초제거기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인 이앙기 설치형 잡초제거기의 설명에 있어서, 방향을 지시하는 일측의 표현은 이앙기를 중심으로 제초유닛의 방향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는 각 구성 및 구성부를 일측 또는 일측부라 명명하고, 이에 반대되는 상대측을 타측 또는 타측부라 명명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앙기 설치형 제초기는 도시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잡초제거기에 있어서, 이앙기(1)의 후방에 설치되는 구동유닛(10); 상기 구동유닛(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이앙기(1)의 이송 방향으로 견인되며 상기 구동유닛(10)의 동력으로 논(2)의 잡초를 제거하는 제초유닛(20);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구동유닛(10)은 이앙기의 동력원 또는 이앙기의 식부 동작과 동조하여 구동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에서는 상기 구동유닛(10)이 이앙기(1)의 동력원 또는 이앙기의 식부 동작에 동조하여 구동된다고 설명하였지만, 바람직하게는 이앙기(1)에서 모를 식재할 수 있는 장치를 제거한 후에 본 발명인 이앙기 설치형 제초기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구동유닛(10)은 도시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이앙기(1)의 후방에 연결 설치하되, 이앙기(1)에 구비한 동력원과 연결되게 설치하는 것이며, 이러한 이앙기(1)의 동력원은 종래의 이앙기 동력원으로 사용을 이루는 모터를 말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 도시한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동력원의 회전동력을 통하여 구동유닛이 회전을 이룰 수 있도록 연결 구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상기 구동유닛(10)은 도시한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박스 형상의 케이스(11)와, 유니버셜조인트(12a)로 연결된 바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이앙기(1)의 동력원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케이스(11)와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출력하는 샤프트(12)와, 상기 케이스(11)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샤프트(12)의 회전동력을 제초유닛으로 전달하는 구동기어(13)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샤프트(12)는 도시한 도 2에서와 같이, 이앙기(1)의 동력원(2)을 통하여 발생하는 회전동력을 구동기어(13)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이앙기(1)의 동력원과 대응하는 회전을 이루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구동기어(13)는 상기 샤프트(12)와 연결되는 제1구동기어(13a)와, 상기 제1구동기어(13a)의 회전력을 상기 제초유닛(20)으로 전달하는 제2구동기어(13b)로 구성하여 상기 샤프트(12)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동력을 상기 제초유닛(20)의 방향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1)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 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동력원의 회전동력을 구동유닛(10)으로 전달하여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구동기어(13)의 구성을 적용하여 설명하고, 이러한 구동기어(13)의 구성에서도 베벨기어가 적용된 구성을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 이앙기(1)의 회전동력을 통하여 샤프트(12)와 구동기어(13)가 회전을 이룰 수 있는 구성이라면 이러한 기어의 구성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12)는 상기 이앙기(1)의 동력원을 용이하게 전달받아 구동기어(13)의 방향으로 용이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구성한다.
이때, 상기 샤프트(12)는 도시한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장형의 바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하되, 유니버셜조인트(12a)를 통하여 연결되게 구성한다.
이는 즉,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이앙기(1)와 케이스(11)를 연결하는 샤트프(12)가 이앙기(1)의 이동에 따라 유동을 이루는 경우에도 이앙기(1)의 동력원을 통한 회전이 저해되거나 급격하나 유동을 이루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샤프트(12)는 상기 이앙기(1)와 케이스(11)에 연결을 이루도록 설치하는 경우, 상기 이앙기(1)와 케이스(11)에 설치가 이루어지는 부위에 베어링(B)을 통하여 설치되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샤프트(12)의 회전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11)는 도시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샤프트(12)와 연결된 제1구동기어(13a)와, 제2구동기어(13b)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구성한다.
이때, 상기 케이스(11)는 본 발명에서 박스 형상으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 구동유닛(10)과 구동기어(13)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외부 충격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유닛(10)과 연결을 이루는 구동기어(13)가 상기 이앙기(1)의 후방 일측에 견고하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케이스의 형상과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구동기어(13)의 제2구동기어(13b)는 도시한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케이스(11)의 내측에 베어링(B)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초유닛(20)은 하단에 개구(21a)를 형성하고, 양 측부에 배출공(21b)을 형성한 받침플레이트(21)와, 상기 받침플레이트(21)의 내측에 설치되되, 상기 구동유닛(10)과 밸트(22-1)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초롤러(22)와, 상기 제초롤러(22)와 인접하게 상기 받침플레이트(21)의 내측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스크류(23)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때, 상기 밸트(22-1)는 도시한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일단이 상기 구동기어(13)의 제2구동기어(13b) 외측을 감싸도록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초유닛(20)의 제초롤러(22)와 연결되게 구성한다.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상기 제2구동기어(13b)가 상기 샤프트(1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구동기어(13b)의 회전에 대응하게 상기 제초롤러(22)가 회전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밸트(22-1)의 구성은 상기 제2구동기어(13b)의 회전력을 제초유닛(20)의 제초롤러(22)로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그 형상과 연결되는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밸트(22-1)와 연결하는 부위에 별도의 결합수단(미도시)을 구비하거나, 상기 밸트(22-1)가 안착 결합될 수 있는 안착홈(미도시), 결합홈(미도시) 등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결합을 이루기 위하여 상기 상기 제초롤러(22)는 상기 받침플레이트(21)의 내측에 설치되는 롤러회전축(22a)과, 상기 롤러회전축(22a)에 설치되는 회전롤러(22b)와, 상기 회전롤러(22b)의 외측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제초날(22c)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스크류(23)는 상기 받침플레이트(21)의 내측에 설치되는 스크류회전축(23a)과, 상기 스크류회전축(23a)에 설치되는 회전날개(23b)와, 상기 롤러회전축(22a)과 스크류회전축(23a)을 연결하는 밸트(23c)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은 즉, 상기 제2구동기어(13b)와 연결된 밸트(22-1)의 회전력을 통하여 상기 제초롤러(22)의 롤러회전축(22a)이 회전을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이며, 상기 롤러회전축(22a)의 회전에 따라 롤러회전축(22a)과 연결된 회전롤러(22b)와 제초날(22c)이 회전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초롤러(22)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크류(23)가 대응되는 회전을 이루도록 연결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받침플레이트(21)는 상기 제초롤러(22)와 스크류(23)가 외부환경에 노출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이앙기(1)를 통하여 이송이 이루어지는 제초유닛(20)이 논(2)에 놓여있는 나무, 돌 등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초롤러(22)의 롤러회전축(22a)과 스크류(23)의 스크류회전축(23a)은 상기 케이스(10)의 내측에 설치 구성하되, 상기 밸트(23c)를 통하여 연결 구성하여 상호 대응되는 회전을 이루도록 설치하는 것이며, 상기 케이스(10)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그 설치 위치에 베어링(b)을 통하여 설치함으로써, 용이한 회전을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초롤러(22)는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롤러회전축(22a)에 고정 설치하여 상기 롤러회전축(22a)의 회전에 따라 회전을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이며, 외측으로 복수개의 제초날(22c)을 돌출 형성하여 이앙기(1)의 이송방향으로 이송됨과 동시에 상기 받침플레이트(21)의 내측에서 회전을 이루도록 구성되어상기 이앙기(1)의 이송 방향에 돋아난 잡초 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에서는 상기 제초날(22a)을 상기 제초롤러(22)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하도록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제초롤러(22)와 제초날(22a)의 결합을 이루는 구성은 탈착 가능한 결합 구조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초롤러(22)의 외측으로 상기 제초날(22a)을 결합,분리하며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제초날(22a)이 상기 이앙기(1)가 이송되는 논의 잡초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그 형상과 재질은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구동유닛(10)은 상기 케이스(11)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해 이앙기(1)와 케이스(11)에 힌지(h) 연결되는 유동조절바(14)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유닛(10)은 상기 유동조절바(14)의 상,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이앙기(1)와 유동조절바(14)에 힌지(h) 연결되는 조절실린더(1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유동조절바(14)는 도시한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이앙기(1)와 케이스(11)를 연결하도록 설치 구성함으로써,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이앙기(1)의 이동에 따라 상기 구동유닛(10)과 제초유닛(20)이 유동을 이루는 경우에도 과다한 유동을 방지하여 구동유닛(10)의 회전력이 제초유닛(20)으로 용이하고 지속적으로 전달될 수 있게 하는 것이며, 상기 구동유닛(10)과 제초유닛(20)의 결합 구성이 손쉽게 분리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유동조절바(14)의 설치 위치는 상기 이앙기(1)와 케이스(11)를 연결하면서도 상기 구동유닛(10)과 제초유닛(20)의 유동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절실린더(15)는 종래의 유압식 실린더를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유동조절바(14)를 지지하여 상기 유동바(42)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이러한 구성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실린더 구조를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동유닛(10)의 케이스(11)와 제초유닛(20)의 받침플레이트(21)가 고정바(16)를 통하여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구동유닛(10)과 제초유닛(20)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는 상기 유동조절바(14)를 바 형상으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구성을 이루는 경우에도 유동조절바(14)가 유니버셜조인트를 통하여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받침플레이트(21)의 길이 방향 양측에는 모(3)가 식재된 논(2)의 바닥면과 밀착되어 이송되는 밀착판(21c)을 구비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받침플레이트(21)가 이앙기(1)가 이송되는 진행방향으로 원활하게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논(2)에 원활하게 밀착하여 잡초 제거를 효율적으로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받침플레이트(21)의 양 측부에 형성한 배출구(21b)의 구성을 통하여 도시한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이앙기(1)의 이동 방향을 잡초를 제거하는 과정에서도 스크류(23)를 통하여 받침플레이트(21)의 양 측부 방향으로 논(2)의 흙이 이송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종자가 노출되지 않도록 묘상을 흙으로 덮어주는 논(2)의 복토과정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초롤러(22)를 통하여 논(2)에 돋아난 잡초를 제거하는 과정에서도 상기 스크류(23)의 구성을 통하여 논(2)의 흙이 상기 받침플레이트(21)의 양 측부 방향으로 이송되어 잡초의 원활한 제거는 물론이고, 모(3)가 심어진 방향으로 흙이 복토되게 함으로써, 논(2)의 모(3)를 더욱 효율적으로 기를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스크류(23)의 구성은 상기 스크류(30)를 통하여 이앙기(1)의 후방으로 이송되는 흙을 이앙기(1)의 양측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이앙기 2: 논
3: 모
10: 구동유닛 11: 케이스
12: 샤프트 12a: 유니버셜조인트
13: 구동기어 14: 유동조절바
15: 조절실린더 13a: 제1구동기어
13b: 제2구동기어 20: 제초유닛
21: 받침플레이트 21a: 개구
21b: 배출구 21c: 밀착판
22: 제초롤러 22a: 롤러회전축
22b: 회전롤러 22c: 제초날
22-1,23c: 밸트 23: 스크류
23a: 스크류회전축 23b: 회전날개

Claims (4)

  1. 잡초제거기에 있어서,
    이앙기(1)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이앙기(1)의 동력원 또는 이앙기(1)의 식부 동작과 동조하여 구동되고, 박스 형상의 케이스(11)와, 유니버셜조인트(12a)로 연결된 바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이앙기(1)의 동력원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케이스(11)와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출력하는 샤프트(12)와, 상기 케이스(11)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샤프트(12)의 회전동력을 제초유닛으로 전달하는 구동기어(13)를 포함하는 구동유닛(10);
    상기 구동유닛(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이앙기(1)의 이송 방향으로 견인되며 상기 구동유닛(10)의 동력으로 논(2)의 잡초를 제거하도록, 하단에 개구(21a)를 형성하고 양 측부에 배출구(21b)를 형성하며 길이 방향 양측에는 모(3)가 식재된 논(2)의 바닥면과 밀착되어 이송되는 밀착판(21c)을 구비한 받침플레이트(21)와, 상기 받침플레이트(21)의 내측에 설치되되 상기 구동유닛(10)과 밸트(22-1)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초롤러(22)와, 상기 제초롤러(22)와 인접하게 상기 받침플레이트(21)의 내측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스크류(23)를 포함하는 제초유닛(20);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구동기어(13)는, 상기 샤프트(12)와 연결되는 제1구동기어(13a)와, 상기 제1구동기어(13a)의 회전력을 상기 제초유닛(20)으로 전달하는 제2구동기어(13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설치형 잡초제거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초롤러(22)는
    상기 받침플레이트(21)의 내측에 설치되는 롤러회전축(22a)과, 상기 롤러회전축(22a)에 설치되는 회전롤러(22b)와, 상기 회전롤러(22b)의 외측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제초날(22c)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23)는
    상기 받침플레이트(21)의 내측에 설치되는 스크류회전축(23a)과, 상기 스크류회전축(23a)에 설치되는 회전날개(23b)와, 상기 롤러회전축(22a)과 스크류회전축(23a)을 연결하는 밸트(23c)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유닛(10)은
    상기 케이스(11)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해 이앙기(1)와 케이스(11)에 힌지(h) 연결되는 유동조절바(14)와,
    상기 유동조절바(14)의 상,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이앙기(1)와 유동조절바(14)에 힌지(h) 연결되는 조절실린더(1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설치형 잡초제거기.
KR1020150184042A 2015-12-22 2015-12-22 이앙기 설치형 잡초제거기 KR101884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042A KR101884176B1 (ko) 2015-12-22 2015-12-22 이앙기 설치형 잡초제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042A KR101884176B1 (ko) 2015-12-22 2015-12-22 이앙기 설치형 잡초제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4589A KR20170074589A (ko) 2017-06-30
KR101884176B1 true KR101884176B1 (ko) 2018-08-01

Family

ID=59279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4042A KR101884176B1 (ko) 2015-12-22 2015-12-22 이앙기 설치형 잡초제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41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1527B1 (ko) 2017-06-14 2018-12-21 주식회사 상봉코포레이션 향상된 내구성과 복원력을 가지는 복합호스
CN108040510B (zh) * 2017-12-22 2024-02-09 临沂市大壮机械有限公司 一种蔬菜种植用手推式除草装置
KR102319528B1 (ko) * 2019-12-30 2021-10-29 박재경 손수레식 동력 제초기
KR102319527B1 (ko) * 2019-12-30 2021-10-29 박재경 손수레식 동력 제초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1824B1 (ko) 2006-03-24 2006-09-19 이길성 승용 농기계 연결구동용 제초기기
KR200444038Y1 (ko) * 2007-06-29 2009-04-03 전형기 이앙기용 제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9107U (ko) * 1990-06-05 1992-02-18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1824B1 (ko) 2006-03-24 2006-09-19 이길성 승용 농기계 연결구동용 제초기기
KR200444038Y1 (ko) * 2007-06-29 2009-04-03 전형기 이앙기용 제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4589A (ko) 2017-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4176B1 (ko) 이앙기 설치형 잡초제거기
KR20160105193A (ko) 정량복토 기능을 갖는 건답용 피복 직파장치
KR100421809B1 (ko) 직파기
CN103535142A (zh) 一种能够自动导苗的免耕育苗移栽机
CN103609262B (zh) 秸秆切碎及风送定向抛撒装置
CN203467186U (zh) 一种能够自动导苗的免耕育苗移栽机
KR20110042523A (ko) 동력식 선회날을 갖는 제초기
KR20000032460A (ko) 마늘 파종기
CN105815010B (zh) 一种免耕电控玉米复式播种机
KR20110087755A (ko) 다목적 작물수확기
CN208905286U (zh) 一种具有播种、施肥、掩埋功能的多用牵引车
CN102805077A (zh) 高温灭菌土壤杀虫机
CN109983865A (zh) 一种新型耕整播种机
KR101609202B1 (ko) 건답용 피복 직파장치
KR20000051279A (ko) 사료초 채취기
CN207460758U (zh) 一种高茬还田施肥开沟髙畦播种一体机
KR20070027152A (ko) 농업용 고랑제초기
KR102299200B1 (ko) 농기계용 파종기 연결장치
CN201976403U (zh) 直联式手扶多功能耕整机
CN115088410A (zh) 一种自动化精细旋耕与播种联合机
CN103210711A (zh) 田园管理机的起垄装置
CN212696482U (zh) 一种农业机械用小麦耕种一体化装置
JP2016013121A (ja) ブレードユニット、および、エアレータを形成するためのその組立体
CN108174638B (zh) 正时多功能农机及其配置方法
KR102629193B1 (ko) 최소경운 이앙기의 로터리 착탈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