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3836B1 - Prefabricated structures for creating marine forests - Google Patents
Prefabricated structures for creating marine forest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83836B1 KR101883836B1 KR1020150156676A KR20150156676A KR101883836B1 KR 101883836 B1 KR101883836 B1 KR 101883836B1 KR 1020150156676 A KR1020150156676 A KR 1020150156676A KR 20150156676 A KR20150156676 A KR 20150156676A KR 101883836 B1 KR101883836 B1 KR 1018838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frame
- tray
- frame
- main
- subframe
- Prior art date
Links
- 241001474374 Blenniu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12258 cultu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5
- 235000019688 fish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25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41000195493 Crypt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7
- 235000014676 Phragmites commun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41000199919 Phaeophy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41000269821 Scombr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20640 mackerel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5170 shellf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41000512259 Ascophyllum nodosum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1125080 Erpetoichthys calabaric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88 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419 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72517 Anseriform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89486 Phragmites australis subsp austral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60 aqua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74 aquacultur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513 impla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72 neutra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99 nucle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13716 polyethyle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3 quartz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02 sea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20 waste ty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Of Seaweed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어초를 설치하기 용이한 조립식 구조로 이루어져 기존의 인공어초에 비해 손쉽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인공어초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이어 설치할 수 있어 바닷속에 해중림 형성을 도모할 수 있는 해중림 조성용 조립식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각 변은 일정한 두께로 이루어지며, 각 변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관통홀이 내외측을 관통하여 형성된 평면 틀 형태의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각 변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단변과, 상기 단변의 양단부에서 각각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장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측 방향 및 외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파이프 틀 형태의 서브 프레임; 및 상기 서브 프레임의 장변에 체결수단을 매개로 결합하고, 종패나 해초가 부착되어 양식될 수 있도록 내측에는 다수개의 양식용 로프가 설치되어 있는 파이프 틀 형태의 양식용 트레이;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stalled as compared with existing artificial fishes, and can be installed continuously at a constant interval, so that the artificial fish can be installed continuously, A main frame in the form of a planar frame, each sid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t least two through holes passing through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main frame; The main frame includes a main body and a main frame. The main frame has a through hole formed at each side of the main frame. The main body includes a short side and a long side extending vertically from both ends of the short side. A subframe in a frame form; And a culture tray in the form of a pipe frame in which a plurality of culture ropes are installed on the inner side so that a seed or seaweed can be adhered to the long side of the subframe through fastening means.
Description
본 발명은 해중림 조성용 조립식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공어초를 설치하기 용이한 조립식 구조로 이루어져 기존의 인공어초에 비해 쉽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인공어초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이어 설치할 수 있어 바닷속에 해중림 형성을 도모할 수 있는 해중림 조성용 조립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structure for the formation of seaweed forest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fabricated structure for easy formation of seaweed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structure for the formation of a seabed in which seaweed can be formed in the sea.
일반적으로 인공어초는 어패류(魚貝類)나 각종 해조류의 서식처를 형성할 수 있도록 바닷속에 설치하는 인공구조물로서, 어획능력이 큰 저인망이나 권현망 등으로부터 어장을 보호하고 각종 어류나 패류의 은신처 및 산란장을 조성하여 어자원을 육성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인공어초는 해저지반에 구조물을 설치하는 침설형(沈設型) 어초와 바닷속에 구조물을 계류(繫留)시키는 부표형 어초로 크게 나눌 수 있는데, 국외에서는 폐자재로서의 폴리에틸렌 수지나 폐타이어 등을 일정한 모양으로 구성한 조립식 어초를 포함하여 폐선어초나 폐차어초와 같은 여러 가지 종류의 어초가 사용되었으나 해양환경과 관련하여 폐자원의 활용방안은 감소추세에 있다.In general, artificial fish is an artificial structure that is installed in the sea to form habitat for fish and shellfish and various seaweeds. It protects the fishery from the trawler with a large fishing capacity, Is used for the purpose of nurturing fishery resources. These artificial fishes can be roughly divided into submerged sediments that provide structures on the seabed and submerged sediments that moor the structures in the sea. In the rest of the world, polyethylene resin and waste tires Various kinds of fish reefs such as abandoned fish reefs or scrapped reef reefs including prefabricated reefs composed of a certain shape have been used, but the use of waste resources has been decreasing in relation to the marine environment.
이러한 각종 인공어초 중 침설형 어초로 널리 사용되는 것은 콘크리트나 강철재 또는 폐비닐수지를 사용하여 육면체를 이루는 골조프레임을 형성시킨 사각형 인공어초나, 반구형의 몸체상에 어류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시킨 반구형인공어초가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사각형 또는 반구형 인공어초를 바지선에 적재하여 해당 수역으로 운반시킨 다음, 바지선에 설치된 크레인을 사용하여 해저상에 상기 인공어초를 침설시킴으로써 어패류나 해조류와 같은 각종 수중생물의 서식처나 은신처 및 산란장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These artificial fishes are widely used as sediment-type fish catches. They are quartz artificial fishes, which are made of concrete, steel or waste vinyl resin, and have hemispherical bodies. Artificial fish weights are known and these rectangular or hemispherical artificial fish weights are loaded on the barge and then transported to the corresponding water area. Then, by using the crane installed on the barge line, the artificial fish weed is submerged on the sea bed to find the habitat of various aquatic organisms such as seafood and seaweed Shelter and spawning grounds.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침설형 인공어초 중 반구형 인공어초는 어초 자체가 매우 단순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어초의 표면상에 각종 패류나 해조류가 종패단계에서 용이하게 활착하여 생장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각종 치어나 치패(稚貝:어린조개)가 천적의 눈을 피하여 은신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치어 및 치패가 안전하게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hemispherical artificial fish hens have a very simple shape, the various shells and seaweeds on the surface of the fish are easily stuck at the seeding stage and are difficult to grow In addition, there is a space in which various cheer or spatula (young shellfish) can hide from the eyes of the natural enemie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nvironment in which fry and spatula can safely be habituated can not be created.
또한, 이러한 종래 인공어초는 해저지반과의 접지면적이 상대적으로 좁기 때문에, 인공어초가 해저지반으로 쉽게 침하되어 인공어초에 의한 단위어초기능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종래의 반구형 인공어초보다 해저지반에 대한 내침하성을 가지면서도 각종 패조류의 빠른 활착과 신속한 성장 및 치어나 치패의 안전한 보호를 가능하게 하고, 암초지대나 조류의 흐름을 선호하는 각종 어류의 위집 또한 효과적으로 수행토록 함으로서 연안목장화나 바다낚시터와 같은 어촌의 수익사업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인공어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since the ground area of the conventional artificial fish weighed with the sea floor is relatively narrow, the artificial fish weighed easily into the seabed ground and the unit weed function caused by the artificial fish weighed rapidly. Thus, It has the ability to sink rapidly to the bottom of the seabed while allowing rapid growth of various kinds of ducks, rapid growth and safe protection of the fry and spatula, and it is also possible to carry out the confiscation of various kinds of fish preferring the flow of reef area and algae effectively, It is required to develop an artificial fish that can greatly contribute to profit-making businesses such as fishing and sea fishing.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일본공개실용신안공보 소60-119277호(1985. 8. 12 공개)에서는 다각형(사다리꼴) 형태의 인공어초가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다각형 인공어초를 발전시켜 각종 패조류가 보다 더 많은 개체수로 밀집 생장할 수 있도록, 뿔삼각형어초, 육교형어초, 요철형어초, 방갈로형 어초, 반원가지형어초, 신요철형어초 등이 일반어초로 등록되어 시설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Japanese Laid-Open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60-119277 (published on Aug. 12, 1985) discloses a polyhedron-shaped artificial fish candle, , A horny triangular fish reed, a bridle type reed, a uneven fish reed, a bungalow reed, a semicylindrical reed fish, and a new reed fish reed are registered as general reeds.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각종 인공어초의 경우에도 공통적으로 패조류의 착생 및 은신공간이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종패의 인위적인 살포단계에서 수중생물의 공격으로 인하여 수 시간 이내에 많은 양이 생존하지 못하고, 파랑이나 조류 등에 의한 어초의 전도 위험 또한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패류 등의 채취를 위한 작업공간이 매우 협소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even in the case of various artificial fishes such as those described above, there is a relatively shortage in the confluence of the algae, and a large amount of algae can not survive within several hours due to the attack of aquatic organisms during the artificial spraying of the alga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orking space for collecting shellfish is very narrow.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0354523호에는 미역, 감태, 다시마 등의 해조류의 종묘를 블럭 몸체의 주변에 직접 이식 또는 결착하여 투입하도록 함으로써 해조류의 증산 및 어류와 패류의 증산에 기여할 수 있게 되는 인공 어패초류 양식블럭을 제공한 바 있으나, 제조방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해저에서 설치할 경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Korean Patent No. 10-0354523 also discloses that seeds of marine algae such as seaweed, mackerel, and kelp are directly implanted or bound into the periphery of the block body to be introduced into the sea, thereby contributing to the production of algae and the production of fishes and shellfish.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method is complicated and a lot of time is required for installation in the sea floor.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임에 양식용 트레이를 설치하기 용이한 조립식 구조로 이루어져 기존의 양식용 구조물에 비해 쉽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일정한 간격을 두고 양식용 트레이와 결합되는 프레임을 연이어 설치함으로써 양식용 트레이를 다수개 고정 설치할 수 있어 바닷속에 해중림 형성을 도모할 수 있는 해중림 조성용 조립식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such a problem,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a tray for aquaculture, And a plurality of cultivating trays can be fixedly installed by providing the frames in succession, thereby providing a deciduous forest in the sea.
본 발명은 해중림을 형성하기 위한 조립식 구조물로서, 각 변은 일정한 두께로 이루어지며, 각 변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관통홀이 내외측을 관통하여 형성된 평면 틀 형태의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각 변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단변과, 상기 단변의 양단부에서 각각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장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측 방향 및 외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파이프 틀 형태의 서브 프레임; 및 상기 서브 프레임의 장변에 체결수단을 매개로 결합하고, 종패나 해초가 부착되어 양식될 수 있도록 내측에는 다수개의 양식용 로프가 설치되어 있는 파이프 틀 형태의 양식용 트레이;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structure for forming a deep-sea forest, comprising: a main frame in the form of a flat frame, each side having a constant thickness, at least two through holes penetrating the inside and outside; The main frame includes a main body and a main frame. The main frame has a through hole formed at each side of the main frame. The main body includes a short side and a long side extending vertically from both ends of the short side. A subframe in a frame form; And a culture tray in the form of a pipe frame in which a plurality of culture ropes are installed on the inner side so that a seed or seaweed can be adhered to the long side of the subframe through fastening means.
상기 메인 프레임의 각 변 상부에는 로프를 걸어 운반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예인결합구가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t least one coupling means is fixedly installed on each of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ain frame so that the rope can be carried by the rope.
이때, 상기 예인결합구는 앵커 볼트, 환형 고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illustrated coupling member may be any one of an anchor bolt and an annular ring.
상기 양식용 트레이의 내측에는 횡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 1 양식용 로프와, 종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 2 양식용 로프가 서로 직교하여 바둑판 형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cultivating rope is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cultivating tray parallel to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second cultivating ropes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
이때, 상기 제 1 양식용 로프는 다수개의 제 2 양식용 로프를 상하로 개구한 상태에서 교호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first culturing rope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econd culturing ropes are alternately arranged in a state of opening up and down.
상기 체결수단은 파이프 형태의 상기 서브 프레임과 파이프 틀 형태의 상기 양식용 트레이를 상호 결속시키는 파이프 클램프인 것을 특징을 한다.And the fastening means is a pipe clamp that binds the subframe in the form of a pipe and the culturing tray in the form of a pipe frame to each other.
상기 양식용 트레이는 내부가 중공된 평면 틀 형태의 트레이이거나, 상기 평면 틀 형태의 트레이 다수 개가 상기 체결수단을 매개로 결합된 다면체 형상의 트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ultivating tray may be a tray having a hollow planar frame or a plurality of trays in the form of a planar frame coupled to the tray through the fastening means.
상기 메인 프레임 다수 개가 하나의 메인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하나의 메인 프레임의 각 변에 외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연이어 배치되고, 배치된 메인 프레임 간 서로 대향하는 변에 위치한 서브 프레임의 장변에는 상기 체결수단을 매개로 양식용 트레이가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rein a plurality of main frames are arranged in succession on the respective sides of the one main frame in the out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one main frame, and at the long sides of the sub frames located on opposite sides of the arranged main frames, And a trays for mediation are fixedly installed.
본 발명에 의한 해중림 조성용 조립식 구조물은 각각의 구성들 간에 조립이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져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각각의 구성들을 고정하는 것만으로 해저에 쉽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fabricated structure for the formation of seawee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that is easy to assemble between the respective structures, and can be easily installed on the seabed by simply fixing respective structures using the fastening means.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해중림 조성용 조립식 구조물은 다수 개를 연이어 배치함으로써 미역, 다시마, 모자반 등의 갈조류로 이루어진 바닷속의 숲, 즉, 해중림의 조성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류로 인한 구조물의 전도 위험으로부터 안전하여 고부가가치의 미역, 다시마, 모자반 등의 갈조류 및 패조류 등의 단위면적당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preparing a forest structure for a seaweed forest, comprising the step of arranging a plurality of seaweed structures for seawee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by preparing a forest in the sea consisting of brown algae such as seaweed, sea tangle, And thu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roduction amount per unit area of brown algae such as seaweed, seaweed, mackerel, etc. of high value added.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해중림 조성용 조립식 구조물은 패조류의 착생 및 은신공간을 마련함으로써 종패의 인위적인 살포단계에서 수중생물의 공격에 의한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fabricated structure for the formation of seawee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damage caused by attack of aquatic organisms during the artificial spraying step of the seedlings by providing space for confluence and hiding of the duckl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중림 조성용 조립식 구조물의 메인 프레임 및 서브 프레임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중림 조성용 조립식 구조물의 양식용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2실시예에 따른 해중림 조성용 조립식 구조물의 양식용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중림 조성용 조립식 구조물의 메인 프레임, 서브 프레임 및 양식용 트레이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2실시예에 따른 해중림 조성용 조립식 구조물의 메인 프레임, 서브 프레임 및 양식용 트레이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중림 조성용 조립식 구조물을 연이어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2실시예에 따른 해중림 조성용 조립식 구조물을 연이어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main frame and a subframe of a prefabricated structure for forming a seab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ulture tray of a prefabricated structure for the formation of a seaweed b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ltivating tray of a prefabricated structure for the formation of a seaweed be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a main frame, a subframe, and a cultivating tray of a prefabricated structure for forming a seab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of a main frame, a subframe, and a cultivating tray of a prefabricated structure for forming a seawee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efabricated structure for the formation of a seaweed is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fabricated structure for the formation of the seaweed is formed in success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It is provided to let you know.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중림 조성용 조립식 구조물의 메인 프레임 및 서브 프레임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중림 조성용 조립식 구조물의 양식용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main frame and a subframe of a prefabricated structure for the formation of a seab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 FIG.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해중림 조성용 조립식 구조물은 미역, 다시마, 모자반 등의 갈조류로 이루어진 바닷속의 숲, 즉, 해중림을 조성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각 변에 관통홀이 형성된 틀 형태의 메인 프레임(100)과,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파이프 틀 형태의 서브 프레임(200)과, 상기 서브 프레임(200)에 체결수단(230)을 매개로 결합되는 파이프 틀 형태의 양식용 트레이(3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prefabricated structure for the seaweed forest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for forming a forest in the sea, that is, a sea bed made of brown algae such as seaweed, kelp, and mackerel, A
상기 메인 프레임(100)은 틀을 이루는 기본 골격으로서, 자중에 의해 해저에 가라앉을 수 있는 정도의 충분한 중량을 갖는다.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100)은 직상방에서 직하방으로 바라볼 때 중앙부가 중공된 사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구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직상방에서 직하방으로 바라볼 때 중앙부가 중공된 다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특히, 상기 메인 프레임(100)은 해저의 평탄한 지역에 하부가 약간 묻히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외측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해수가 유통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서브 프레임(200)이 설치될 수 있도록 각 변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된다.Particularly, the
그리고,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각 변 상부에는 앵커 볼트(111)나, 환형 고리(112) 등과 같은 예인결합구(110)가 고정 설치될 수 있는 고정홈(100b)이 형성된다.A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고정홈(100b) 외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100b)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앵커 볼트(111) 및 상기 환형 고리(112)의 하단 외주에는 상기 고정홈(100b)의 외주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 결합 가능한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으로 구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고정홈(100b)은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각 변 상부에 형성되되 내부에서 "ㄴ" 자 형태로 굽어진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예인결합구(110)가 상기 메인 프레임(100)에 매립된 형태로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이에 따라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각 변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상기 예인결합구(110)에 로프를 건 상태에서 크레인과 같이 중량물을 운반하는 기계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메인 프레임(100)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ly, by using a mechanical device that carries a heavy object such as a crane while the rope is in a state of being engaged with the
특히, 상기 메인 프레임(100)을 크레인과 같이 중량물을 운반하는 기계장치 및 로프를 이용하여 운반할 때에 어느 한 측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홈(100b)은 상기 메인 프레임(100) 각 변의 상부 모서리 부근에는 필수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각 변 상부 중앙 부근에도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Particularly, in order to prevent the
상기 서브 프레임(200)은 상기 체결수단(230)을 매개로 상기 양식용 트레이(300)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직상방에서 직하방으로 바라볼 때 중앙부가 중공된 사각형의 형상을 갖고,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각 변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단변(210)과, 상기 단변(210)의 양단부에서 각각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장변으로 이루어진다.The
이때, 상기 체결수단(230)은 파이프 형태의 상기 서브 프레임(200)과 파이프 틀 형태의 상기 양식용 트레이(300)를 상호 결속시키거나, 후술될 평면 틀 형태의 트레이(310) 다수 개를 상호 결속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체결수단(230)은 파이프 클램프로 구현하였다.At this time, the fastening means 230 binds the
상기 단변(210)은 파이프 형태를 갖되,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각 변에 형성된 관통홀의 둘레보다는 그 둘레가 작게 형성되어 상기 단변(210)을 상기 메인 프레임(100)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여 결합하였을 때, 상기 관통홀을 통해 해수가 유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장변(220)은 파이프 형태를 갖되, 상기 단변(210)의 양단부에서 각각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변(210)을 상기 메인 프레임(100)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여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단변(210)의 양단부에 각각 상기 장변(220)을 용접하여 결합시키거나, 상기 단변(210)과 상기 장변(220)이 결합하는 해당 위치에 각각 암커플러와 수커플러가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는 형태로도 구현할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서브 프레임(200)은 상기 메인 프레임(100)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여 결합되었을 때, 상기 단변(210)의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될 수 있어 여러 크기의 양식용 트레이(300)를 체결수단(230)을 매개로 상기 서브 프레임(200)에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When the
도 3은 본 발명의 2실시예에 따른 해중림 조성용 조립식 구조물의 양식용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중림 조성용 조립식 구조물의 메인 프레임, 서브 프레임 및 양식용 트레이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2실시예에 따른 해중림 조성용 조립식 구조물의 메인 프레임, 서브 프레임 및 양식용 트레이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ltivating tray of a prefabricated structure for the formation of seabe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frame, a subframe,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of a main frame, a subframe, and a cultivating tray of a prefabricated structure for seaweed subsiden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식용 트레이(300)는 종패나 해초가 부착되어 양식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파이프 틀 형태을 갖고 상기 서브 프레임(200)의 장변에 상기 체결수단(230)을 매개로 결합되며 내측에는 다수개의 양식용 로프(311, 312)가 배치된다.As shown in FIGS. 3 to 5, the cultivating
특히, 상기 양식용 트레이(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된 평면 틀 형태의 트레이(310)이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평면 틀 형태의 트레이(310) 다수 개가 상기 체결수단(230)을 매개로 결합한 다면체 형상의 트레이(32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평면 틀 형태의 트레이(310)의 내측에는 횡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제 1 양식용 로프(311)와, 종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제 2 양식용 로프(312)가 서로 직교하여 바둑판 형태로 배열된다.3, the
그리고, 서로 직교하는 제 1 양식용 로프(311)와 제 2 양식용 로프(312)에 의해 다수개의 그물코(313)가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그물코(313)의 크기는 다수개의 제 1 양식용 로프(311) 사이 거리와 다수개의 제 2 양식용 로프(312) 사이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A plurality of
또한, 상기 제 1 양식용 로프(311) 및 상기 제 2 양식용 로프(312)는 해저에 투입되었을 때 바다 생물의 이식을 촉진할 수 있도록 표면적이 넓은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메인 프레임(100), 상기 서브 프레임(200) 등에서 독성이 배출되는 경우, 이를 중화시킬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또한, 본 발명의 해중림 조성용 조립식 구조물은 해저 바닥에 투하하여 고정되기 때문에, 해저의 조류에 의해 상기 제 1 양식용 로프(311) 및 상기 제 2 양식용 로프(312)가 유동되어 상기 제 1 양식용 로프(311)와 제 2 양식용 로프(312)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서로 직교하는 제 1 양식용 로프(311)는 다수개의 제 2 양식용 로프(312)가 상하로 개구된 상태에서 교호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since the prefabricated structure for seaweed forest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ropped and fixed on the bottom of the sea floor, the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중림 조성용 조립식 구조물을 연이어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2실시예에 따른 해중림 조성용 조립식 구조물을 연이어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fabricated structure for the formation of the seaweed is formed in succe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fabricated structures for forming the seabed are formed successivel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해중림 조성용 조립식 구조물은 상기 메인 프레임(100), 상기 서브 프레임(200) 및 상기 양식용 트레이(300)를 하나의 기본 단위체로 하여 해저 바닥에 투하하여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메인 프레임 다수개가 하나의 메인 프레임(100)을 기준으로 상기 하나의 메인 프레임(100)의 각 변에 외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다른 메인 프레임(100')이 연이어 배치되고, 배치된 메인 프레임(100, 100') 간 서로 대향하는 변에 위치한 한 쌍의 서브 프레임(200, 200')의 장변에는 체결수단(230)을 매개로 양식용 트레이(300)가 고정 설치되는 방식으로 다수개의 기본 단위체가 확장된 형태로도 해저 바닥에 고정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As shown in FIGS. 7 and 8, the prefabricated structure for seaweed forest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즉, 기본 단위체 사이의 간격을 양식용 트레이(300)의 한 변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배치함으로써 메인 프레임(100, 100') 간 서로 대향하는 변에 위치한 한 쌍의 서브 프레임(200, 200')의 장변에도 체결수단(230)을 매개로 양식용 트레이(300')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That is, by arranging the intervals between the basic unit bodies so as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one side of the
본 발명에 의한 해중림 조성용 조립식 구조물은 각각의 구성들 간에 조립이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져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각각의 구성들을 고정하는 것만으로 해저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다수 개를 연이어 배치함으로써 미역, 다시마, 모자반 등의 갈조류로 이루어진 바닷속의 숲, 즉, 해중림의 조성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류로 인한 구조물의 전도 위험으로부터 안전하여 고부가가치의 미역, 다시마, 모자반 등의 갈조류 및 패조류 등의 단위면적당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The prefabricated structure for the formation of seawee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that is easy to assemble between respective structures and can be easily installed on the seabed by simply fixing respective structures using the fastening means, , Kelp, and mackerel, as well as to protect the forests in the sea, that is, the forests in the sea, as well as from the risk of conduction of the structures due to the algae, and thus to provide high value-added brown algae such as seaweed, The production per unit area can be increased.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is limited by the following claims.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following claims.
100, 100': 메인 프레임 100b: 고정홈
110: 예인결합구 111: 앵커 볼트
112: 환형 고리 200, 200': 서브 프레임
210: 단변 220: 장변
230: 체결수단 300, 300': 양식용 트레이
310: 평면 틀 형태의 트레이 311: 제 1 양식용 로프
312: 제 2 양식용 로프 313: 그물코
320: 다면체 형상의 트레이100, 100 ':
110: Towing coupling 111: Anchor bolt
112:
210: Short side 220: Long side
230: fastening means 300, 300 ': forming tray
310: tray in the form of a flat frame 311: rope for the first culturing
312: Second cultivation rope 313: Mesh
320: polyhedron tray
Claims (9)
각 변은 일정한 두께로 이루어지며, 각 변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관통홀이 내외측을 관통하여 형성된 평면 틀 형태의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각 변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단변과, 상기 단변의 양단부에서 각각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장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측 방향 및 외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파이프 틀 형태의 서브 프레임; 및
상기 서브 프레임의 장변에 체결수단을 매개로 결합하고, 종패나 해초가 부착되어 양식될 수 있도록 내측에는 다수개의 양식용 로프가 설치되어 있는 파이프 틀 형태의 양식용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양식용 트레이의 내측에는 횡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 1 양식용 로프와, 종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 2 양식용 로프가 서로 직교하여 바둑판 형태로 배열되며,
상기 제 1 양식용 로프는 다수개의 제 2 양식용 로프를 상하로 개구한 상태에서 교호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중림 조성용 조립식 구조물.
A prefabricated structure for forming a deep sea forest,
A main frame in the form of a flat frame, each side having a constant thickness and at least two through holes penetrat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at each side;
The main frame includes a main body and a main frame. The main frame has a through hole formed at each side of the main frame. The main body includes a short side and a long side extending vertically from both ends of the short side. A subframe in a frame form; And
And a culture tray in the form of a pipe frame in which a plurality of culturing ropes are installed on the inner side so that a seed barrel or seaweed can be adhered to the long side of the subframe through fastening means,
The first cultivating rope is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cultivating tray parallel to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second cultivating ropes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Wherein the first culturing rope is alternately arranged in a state that a plurality of second culturing ropes are opened up and down.
상기 메인 프레임의 각 변 상부에는 로프를 걸어 운반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예인결합구가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중림 조성용 조립식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coupling members is fixedly installed on each side of the main frame so that the rope can be carried by the rope.
상기 예인결합구는 앵커 볼트, 환형 고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중림 조성용 조립식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2,
The prefabricated structure as claimed in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the pregroove is one of an anchor bolt and an annular ring.
파이프 형태의 상기 서브 프레임과 파이프 틀 형태의 상기 양식용 트레이를 상호 결속시키는 파이프 클램프인 것을 특징을 하는 해중림 조성용 조립식 구조물.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ipe clamp is a pipe clamp that binds the subframe in the form of a pipe and the culturing tray in the form of a pipe frame to each other.
내부가 중공된 평면 틀 형태의 트레이이거나, 상기 평면 틀 형태의 트레이 다수 개가 상기 체결수단을 매개로 결합된 다면체 형상의 트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중림 조성용 조립식 구조물.
The culture tra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3, and 6,
Wherein the tray is a hollow tray in the form of a hollow frame or a tray of a polyhedral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trays of the tray frame are coupled through the fastening means.
상기 메인 프레임 다수 개가 하나의 메인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하나의 메인 프레임의 각 변에 외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연이어 배치되고, 배치된 메인 프레임 간 서로 대향하는 변에 위치한 서브 프레임의 장변에는 상기 체결수단을 매개로 양식용 트레이가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중림 조성용 조립식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main frames are arranged in succession on the respective sides of the one main frame in the out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one main frame, and at the long sides of the sub frames located on opposite sides of the arranged main frames, And a tray for medicinal production is fixedly installed.
상기 메인 프레임 다수 개가 하나의 메인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하나의 메인 프레임의 각 변에 외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연이어 배치되고, 배치된 메인 프레임 간 서로 대향하는 변에 위치한 서브 프레임의 장변에는 상기 체결수단을 매개로 양식용 트레이가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중림 조성용 조립식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plurality of main frames are arranged in succession on the respective sides of the one main frame in the out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one main frame, and at the long sides of the sub frames located on opposite sides of the arranged main frames, And a tray for medicinal production is fixedly install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56676A KR101883836B1 (en) | 2015-11-09 | 2015-11-09 | Prefabricated structures for creating marine forest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56676A KR101883836B1 (en) | 2015-11-09 | 2015-11-09 | Prefabricated structures for creating marine forest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54021A KR20170054021A (en) | 2017-05-17 |
KR101883836B1 true KR101883836B1 (en) | 2018-08-01 |
Family
ID=59048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56676A KR101883836B1 (en) | 2015-11-09 | 2015-11-09 | Prefabricated structures for creating marine forest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8383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335540B (en) * | 2020-11-12 | 2025-01-14 | 宁波大学 | A bionic cultivation device for cultivating Agaricus lemaneiformis seedlings |
KR102347953B1 (en) * | 2020-12-24 | 2022-01-07 | (주)해양생태기술연구소 | Shelter for protecting juvenile fish |
KR102428747B1 (en) * | 2022-01-11 | 2022-08-04 |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 Sea nutrient-dissolving seaweed growth device for the restoration of seaweed grounds |
KR102480653B1 (en) * | 2022-07-26 | 2022-12-23 | 동성해양개발 주식회사 | Sea nutrient-dissolving seaweed growth device for the restoration of seaweed grounds |
KR102657732B1 (en) * | 2024-02-14 | 2024-04-15 | 권상식 | Method of fabrication of marine ecological block immobilized with complex useful microorganism |
KR102657734B1 (en) * | 2024-02-14 | 2024-04-15 | 권상식 | Marine Ecological Blocks Immobilized with Combined Use Microorganism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38060A (en) * | 2001-07-12 | 2003-02-12 | Seiki Kensetsu Kk | Artificial fishbank |
KR101216298B1 (en) * | 2011-11-11 | 2012-12-28 | 이용준 | Raising structure for locating to seafloor |
-
2015
- 2015-11-09 KR KR1020150156676A patent/KR10188383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38060A (en) * | 2001-07-12 | 2003-02-12 | Seiki Kensetsu Kk | Artificial fishbank |
KR101216298B1 (en) * | 2011-11-11 | 2012-12-28 | 이용준 | Raising structure for locating to seaflo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54021A (en) | 2017-05-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83836B1 (en) | Prefabricated structures for creating marine forests | |
US5269254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growing oyster reef | |
KR101294897B1 (en) | Attaching uneven groove seaweed having a trapezoidal-type artificial reefs and production methods | |
KR100985893B1 (en) | Hexagonal concrete reef | |
JP4489706B2 (en) | Seaweed breeding reef | |
KR101868222B1 (en) | Bench type artificial reef | |
KR101120922B1 (en) | Samgok-myeon Haejeong Forest Echo | |
KR101773459B1 (en) | Sea Forest Making Apparatus | |
KR101213624B1 (en) | concrete artificial fish-reef | |
KR101198069B1 (en) | An art fish-breeding ground | |
KR20150021664A (en) | fish shelter of triangle tunnel type for forest of sea jungle | |
KR102068220B1 (en) | Artificial fishing banks for suppling shelter of sea cucumber | |
JP2017055719A (en) | Seedling stocking method of sea cucumber | |
KR101375558B1 (en) | Multi-stage lager pipel type artificial fish-breeding reef | |
KR101129705B1 (en) | An art fish-breeding ground | |
KR102026032B1 (en) | Sea Forest Making Apparatus | |
KR101427538B1 (en) | Artificial fishing banks of sailfin sandfish for spawning and incubation | |
KR101108147B1 (en) | An artificial reef | |
JP4851762B2 (en) | Fish farm for cultivation, aquaculture and fishery | |
KR101748240B1 (en) | The step artificial reef of pyramid shape | |
JP4125221B2 (en) | Coral sea culture method and apparatus | |
KR20090000182U (en) | Oyster Shell Dialysis Forced Reef | |
KR102200440B1 (en) | Aestivating apparatus for sea cucumber | |
KR101686856B1 (en) | The artificial fish reef for multipurpose and method thereof | |
KR200477377Y1 (en) | Box artificial reef for sea wo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4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7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7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