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3457B1 -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계단형 작업대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계단형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3457B1
KR101883457B1 KR1020180047406A KR20180047406A KR101883457B1 KR 101883457 B1 KR101883457 B1 KR 101883457B1 KR 1020180047406 A KR1020180047406 A KR 1020180047406A KR 20180047406 A KR20180047406 A KR 20180047406A KR 101883457 B1 KR101883457 B1 KR 101883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moving
fixed
heigh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7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준
Original Assignee
박성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준 filed Critical 박성준
Priority to KR1020180047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34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3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3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9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63B9/06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06C1/397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characterised by having wheels, rollers, or run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6Securing devices or hooks for parts of extensible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2Lifts or other hoisting devices on lad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conical gear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63B2737/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5Stagings, or scaffolding, i.e. constructions providing temporary working platforms on slipways, in building or repair docks, or inside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계단형 작업대는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고정 계단부와, 상기 고정 계단부가 지지되는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는 고정 사다리부;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이동 계단부와, 상기 이동 계단부가 지지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의 후방에서 상기 고정 프레임과 평행하게 위치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고정 프레임에 평행한 경사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승강되는 이동 프레임을 포함하는 이동 사다리부; 및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 사다리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결합되며, 직선 운동으로 전환된 외력을 상기 이동 사다리부에 제공하여 상기 이동 사다리부가 상기 고정 사다리부에 대하여 승강되도록 하여 상기 고정 사다리부와 상기 이동 사다리부의 전체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높이 조절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계단형 작업대{STEPPED WORKTABLE CAPABLE OF ADJUSTING HEIGHT}
본 발명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계단형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측면에 제공되는 회전식 높이 조절 핸들을 통해 높이 조절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계단형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제조 공정을 예로 들면, 일반적으로 선박은 다수의 선체 블록이 먼저 제조된 후 이 선체 블록들이 서로 조립되는 과정을 통해 건조되는 바, 이때 각각의 선체 블록은 핀 지그 또는 서포터에 의해 지면에서 일정 높이만큼 이격된 상태로 지지된다.
이와 같이 핀 지그 또는 서포터에 의해 지지되는 선체 블록의 이격 높이는 대부분 선박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신장을 초과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작업자가 선체 블록의 내부로 들어가고자 할 때 사다리 또는 계단형 작업대를 많이 이용하게 된다.
상기 계단형 작업대는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선체 블록의 입구를 쉽게 오르고 내려갈 수 있다. 그런데, 최근 선박이 대형화되는 추세에 따라 선체 블록 또한 대형화되고, 이러한 선체 블록을 지지하는 핀 지그 또는 서포터의 높이도 함께 높아지게 되어 선체 블록과 지면과의 이격 높이가 선박의 크기에 따라 다양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사다리 또는 계단형 작업대는 높이가 가변되지 않는 고정식이기 때문에 지면으로부터 이격 높이가 서로 다른 다양한 선체 블록에 능동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바, 이로 인해 사다리 또는 계단형 작업대의 상부와 선체 블록의 입구 사이에 상당한 높이의 단차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사다리 또는 계단형 작업대는 필요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 높이 차가 발생하는 건물이나 구조물에 능동적으로 사용되기 어려워 그 용도가 매우 제한적이라는 문제가 있다.
KR 20-2014-0000010 A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필요시 쉽고 편리하게 높이 조절을 하여 다양한 높이 차이가 발생하는 곳에 간편하고 능동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계단형 작업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계단형 작업대는,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고정 계단부와, 상기 고정 계단부가 지지되는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는 고정 사다리부;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이동 계단부와, 상기 이동 계단부가 지지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의 후방에서 상기 고정 프레임과 평행하게 위치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고정 프레임에 평행한 경사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승강되는 이동 프레임을 포함하는 이동 사다리부; 및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 사다리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결합되며, 직선 운동으로 전환된 외력을 상기 이동 사다리부에 제공하여 상기 이동 사다리부가 상기 고정 사다리부에 대하여 승강되도록 하여 상기 고정 사다리부와 상기 이동 사다리부의 전체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높이 조절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높이 조절 유닛은, 상기 이동 프레임에 평행하게 결합되어 상기 이동 사다리부의 승강시 상기 이동 프레임과 함께 상기 이동 사다리부의 승강 방향으로 이동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가이드바; 상기 가이드바가 관통되고 상기 가이드바의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어 회전하며, 회전시의 회전력을 상기 가이드바에 전달하여 상기 가이드바가 길이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 사다리부에 고정 결합되는 너트 하우징; 및 상기 너트 하우징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너트 하우징을 회전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핸들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 수단은,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핸들부; 상기 핸들부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제공되는 제1 베벨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너트 하우징은, 상기 제1 베벨 기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기어 결합되어 상기 제1 베벨 기어의 회전력을 제공받아 상기 너트 하우징에 전달하기 위한 제2 베벨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프레임 및 상기 이동 프레임의 최상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계단 연장부가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 사다리부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바퀴부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계단형 작업대에 의하면, 측면에 제공되는 회전식 높이 조절 핸들을 사용하여 이동 사다리부의 높이를 자유롭게 움직여 다양한 높이를 갖는 건물이나 구조물에 올라갈 때 그 높이에 맞게 능동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계단형 작업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이동 사다리부가 상승되어 전체 높이가 연장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계단형 작업대를 나타낸 전방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계단형 작업대를 나타낸 후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계단형 작업대에서 높이 조절 유닛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계단형 작업대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이동 사다리부가 상승되어 전체 높이가 연장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계단형 작업대를 나타낸 전방 사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계단형 작업대(10)는 크게 고정 사다리부(100), 이동 사다리부(200) 및 높이 조절 유닛(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높이 조절이 필요한 경우 상기 높이 조절 유닛(300)에 의해 작동되는 이동 사다리부(200)가 고정 사다리부(100)에서 평행하게 슬라이딩되면서 승강되어 높이가 조절되는 메커니즘을 갖는다.
상기 고정 사다리부(100)는 높이가 가변되지 않고 사전 설정된 높이로 유지되는 구성으로서, 이 고정 사다리부(100)는 복수 개의 고정 계단부(110)와 고정 프레임(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계단부(110)는 발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복수 개가 제공되며, 복수 개의 고정 계단부(110)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높이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고정 계단부(110)의 이격 높이는 사용자가 계단을 오르는데 크게 불편하지 않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 프레임(120)은 상기 고정 계단부(110)가 일정한 간격으로 높이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도록 고정 계단부(110)를 양측에서 지지하는 구성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프레임(120)은 고정 계단부(110)를 직접 지지할 뿐만 아니라 이렇게 지지한 상태에서 바닥에 안정적으로 세워지도록 별도의 보조 프레임(121)들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 계단부(110)는 바닥에 놓여졌을 때 전복되지 않고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도록 전체적으로 상부보다 하부가 넓은 사다리꼴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 프레임(120)은 상기 고정 사다리부(100)를 다른 곳으로 쉽고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바퀴부(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퀴부(12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고정 프레임(120)의 하부에 제공될 수 있으며, 불 필요한 경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거될 수도 있다. 상기 바퀴부(122)가 제거되는 경우 고정 프레임(120)의 보조 프레임(121)이 바닥에 직접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바퀴부(122)는 방향 전환이 용이하도록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된 바퀴부(122)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있는 바퀴부(122)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퀴부(122)에는 바퀴부(122)가 임의로 움직여서 상기 고정 프레임(120)이 원하지 않는 곳으로 임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퀴부(122)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는 록킹 수단(미도시)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사다리부(200)는 상기 고정 사다리부(100)의 후방에서 고정 사다리부(100)와 평행하게 배치되면서 필요에 따라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높이 조절시 고정 사다리부(100)와 평행을 유지하면서 경사 방향으로 슬라이딩 승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 사다리부(200)는 복수 개의 이동 계단부(210) 및 이동 프레임(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 계단부(210)는 상기 고정 계단부(110)와 동일한 구성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바, 이동 계단부(210) 역시 발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이동 계단부(210)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높이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프레임(220)은 이동 계단부(210)의 양측에서 이동 계단부(210)를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이동 프레임(220)은 고정 프레임(120)의 후방에서 고정 프레임(120)과 평행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 프레임(220)은 외력을 제공받으면 고정 프레임(120)과 평행을 유지하면서 경사 높이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바, 이때 이동 프레임(220)은 상승되거나 하강되는 승강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 사다리부(100)와 이동 사다리부(200)의 배치 구조를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사다리부(200)가 고정 사다리부(100)의 후방에 중첩되는 구조로 위치해 있다가 외부로부터 제공받은 외력에 의해 상기 이동 사다리부(200)가 경사 방향으로 상승하는 슬라이딩 운동을 수행하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사다리부(10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전체적인 높이가 증가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프레임(120) 및 상기 이동 프레임(220)에는 사용자가 고정 계단부(110) 및 이동 계단부(210)를 따라 이동할 때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부(130,230)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30,230)는 해당 계단부(110,210)의 양 옆에 각각 마련될 수 있으며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쉽고 편하게 잡을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는 바, 사용자가 계단을 오르거나 내려가다가 미끄러지거나 낙하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 프레임(120) 및 상기 이동 프레임(220)의 최상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더 연장되는 계단 연장부(140, 240)가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계단 연장부(140, 240)는, 높은 곳에 위치하는 구조물(예컨대, 선체 블록)의 입구와의 틈새를 막아주어 사용자가 쉽고 안전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수평하게 연장되는 바, 이에 따라 계단 연장부(140, 240)는 고정 프레임(120)과 이동 프레임(220)의 최상부에 각각 수평 방향으로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고정 프레임(120)에 형성된 계단 연장부(140)는 이동 프레임(220)이 상승된 상태에서 고정 계단부(110)와 이동 계단부(210)와의 이격된 틈새를 막아주어 사용자가 고정 사다리부(100)에서 이동 사다리부(200)로 건너 갈 때 사용자의 발이 빠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높이 조절 유닛(300)은 상기 이동 사다리부(200)가 상기 고정 사다리부(100)에 대하여 승강되도록 하여 고정 사다리부(100)와 이동 사다리부(200)의 전체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높이 조절 유닛(300)은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 사다리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높이 조절 유닛(300)에 의하여 직선 운동으로 전환된 외력은 이동 사다리부(200)에 전달되며, 이에 따라 이동 사다리부(200)가 고정 사다리부(100)에 대하여 평행 상태를 유지하며 경사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더 참조하여 상기 높이 조절 유닛(300)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계단형 작업대를 나타낸 후방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계단형 작업대에서 높이 조절 유닛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높이 조절 유닛(300)은 가이드바(310), 너트 하우징(320) 및 핸들 수단(3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310)는 전체적인 형상이 대략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이동 프레임(220)에 평행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바(310)는 이동 사다리부(200)가 승강될 때 이동 사다리부(200)와 함께 이동 사다리부(200)의 승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바, 예컨대 이동 사다리부(200)가 상부 경사 방향으로 상승하면 가이드바(310)도 그와 동일한 상부 경사 방향으로 상승되고 이동 사다리부(200)가 하부 경사 방향으로 하강하면 가이드바(310)도 하부 경사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바(310)의 외주면에는 나선 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를 갖는 나사산(31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나사산의 기능 및 작용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설명한다.
상기 가이드바(310)는 자체적으로 회전되지 않고 외력에 의해 가이드바(310)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바, 상기 가이드바(310)의 양단은 고정 브래킷(311)을 매개로 이동 프레임(22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너트 하우징(320)은 상기 가이드바(310)가 관통되도록 관통공(320a)이 형성되며, 그 관통공(320a)의 내주면에는 상기 가이드바(310)의 나사산(310a)과 나사 결합되도록 또 다른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바(310)와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너트 하우징(320)은 외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데, 상기 너트 하우징(320)이 회전될 때의 회전력을 상기 가이드바(310)에 전달하여 상기 가이드바(310)가 길이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너트 하우징(320)은 외부로부터 제공받은 회전 운동을 가이드바(310)를 통해 직선 운동으로 전환한 후 상기 이동 프레임(22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너트 하우징(320)은 가이드바(310)와 달리 움직이지 않는 상기 고정 사다리부(100)에 고정 결합되는 바, 이를 위하여 상기 너트 하우징(320)의 일측면에는 마운팅부(321)가 형성되고, 상기 마운팅부(321)는 고정 사다리부(100)의 일측에 용접 또는 볼트 체결 등의 방법을 통하여 고정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핸들 수단(330)은 상기 너트 하우징(320)을 회전시키기 위해 외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너트 하우징(320)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 수단(330)은 핸들부(331), 회전축(332), 제1 베벨기어(333)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베벨기어(333)와 짝을 이루도록 상기 너트 하우징(320)은 제2 베벨기어(322)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핸들부(331)는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구성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외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수동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별도의 전동 모터 등을 추가하여 자동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 바, 이는 실시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핸들부(331)가 수동 방식으로 구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상기 핸들부(331)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331a)와, 상기 손잡이(331a)가 일단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지면서 소정의 길이를 갖는 핸들암(331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핸들암(331b)의 길이에 따라 모멘트가 달라지므로 핸들암(331b)의 길이는 사용자가 쉽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332)은 핸들부(331)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구성이다. 상기 회전축(332)은 핸들부(331)로부터 외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바, 회전축(332)은 상기 핸들암(331b)의 타단에서 헛돌지 않도록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축(332)은 별도의 축 브래킷(332a)을 매개로 너트 하우징(320)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베벨기어(333)는 회전축(332)의 단부(끝단)에 제공되어 상기 회전축(332)의 회전력을 교차하는 방향(예컨대, 수직 방향)으로 상기 너트 하우징(32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332)의 단부에 상기 제1 베벨기어(333)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제1 베벨기어(333)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하여 상기 너트 하우징(320)에는 제2 베벨기어(322)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베벨기어(322)는 제1 베벨기어(333)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베벨기어(333)에 기어 결합되며, 제1 베벨기어(333)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너트 하우징(320)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너트 하우징(320)의 내부에 있는 회전부(미도시)가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베벨기어(333)와 제2 베벨기어(322)는 축이 교차하는 방식으로 운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계요소로써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사항에 속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구조 및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상기 너트 하우징(320)의 회전부가 회전되면 상기 가이드바(310)와의 나사 결합에 의해 가이드바(310)를 길이 방향으로 직선 운동시킬 수 있는바, 이에 따라 가이드바(310)가 고정 결합된 이동 프레임(220) 역시 가이드바(310)와 동일한 방향으로 직선 운동되어 이동 사다리부(200)가 승강될 수 있고, 고정 사다리부(100)와 이동 사다리부(200)의 전체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경이 가능한 바,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
10 : 계단형 작업대
100 : 고정 사다리부 110 : 고정 계단부
120 : 고정 프레임 121 : 보조 프레임
122 : 바퀴부 200 : 이동 사다리부
210 : 이동 계단부 220 : 이동 프레임
130, 230 : 손잡이부 140, 240 : 계단 연장부
300 : 높이 조절 유닛 310 : 가이드바
320 : 너트 하우징 322 : 제2 베벨기어
330 : 핸들 수단 331 : 핸들부
332 : 회전축 333 : 제1 베벨기어

Claims (5)

  1. 삭제
  2.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고정 계단부(110)와, 상기 고정 계단부(110)가 지지되는 고정 프레임(120)을 포함하는 고정 사다리부(100);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이동 계단부(210)와, 상기 이동 계단부(210)가 지지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120)의 후방에서 상기 고정 프레임(120)과 평행하게 위치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고정 프레임(120)에 평행한 경사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승강되는 이동 프레임(220)을 포함하는 이동 사다리부(200); 및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 사다리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결합되며, 직선 운동으로 전환된 외력을 상기 이동 사다리부(200)에 제공하여 상기 이동 사다리부(200)가 상기 고정 사다리부(100)에 대하여 승강되도록 하여 상기 고정 사다리부(100)와 상기 이동 사다리부(200)의 전체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높이 조절 유닛(300); 을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 유닛(300)은,
    상기 이동 프레임(220)에 평행하게 결합되어 상기 이동 사다리부(200)의 승강시 상기 이동 프레임(220)과 함께 상기 이동 사다리부(200)의 승강 방향으로 이동되고, 외주면에 나사산(310a)이 형성된 가이드바(310);
    상기 가이드바(310)가 관통되고 상기 가이드바(310)의 나사산(310a)과 나사 결합되어 회전하며, 회전시의 회전력을 상기 가이드바(310)에 전달하여 상기 가이드바(310)가 길이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 사다리부(100)에 고정 결합되는 너트 하우징(320); 및
    상기 너트 하우징(320)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너트 하우징(320)을 회전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핸들 수단(330);
    을 포함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계단형 작업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수단(330)은,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핸들부(331);
    상기 핸들부(331)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축(332);
    상기 회전축(332)의 단부에 제공되는 제1 베벨기어(333);를 포함하며,
    상기 너트 하우징(320)은,
    상기 제1 베벨기어(333)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기어 결합되어 상기 제1 베벨기어(333)의 회전력을 제공받아 상기 너트 하우징(320)에 전달하기 위한 제2 베벨기어(322)를 포함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계단형 작업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120) 및 상기 이동 프레임(220)의 최상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계단 연장부(140, 240)가 각각 제공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계단형 작업대.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120)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 사다리부(100)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바퀴부(122)가 제공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계단형 작업대.
KR1020180047406A 2018-04-24 2018-04-24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계단형 작업대 KR101883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406A KR101883457B1 (ko) 2018-04-24 2018-04-24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계단형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406A KR101883457B1 (ko) 2018-04-24 2018-04-24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계단형 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3457B1 true KR101883457B1 (ko) 2018-07-31

Family

ID=63078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7406A KR101883457B1 (ko) 2018-04-24 2018-04-24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계단형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345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3514A (ko) * 2007-04-17 2008-10-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높이 가변형 작업대
KR20140000010U (ko) 2012-06-22 2014-01-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높이 조절이 가능한 2단 사다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3514A (ko) * 2007-04-17 2008-10-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높이 가변형 작업대
KR20140000010U (ko) 2012-06-22 2014-01-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높이 조절이 가능한 2단 사다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9750A (en) Adjustable work table
US6688426B1 (en) Wheel extension and lift device for ladders
US7370725B1 (en) Motorized rungless ladder
US2923373A (en) Extensible platform truck
CA2488331A1 (en) Quick crank adjustable height table
US20170205688A1 (en) Balanced camera slider
EP3301069B1 (en) Balanced camera slider
CN109610844B (zh) 地面混凝土找平机
US8011473B1 (en) Motorized stepladder
KR101883457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계단형 작업대
EP2818381A2 (en) Trolley for the transportation of a load on staircases
CN107010564B (zh) 一种位置可调的六自由度升降平台
KR101667157B1 (ko) 농업용 고소작업대
US11382422B1 (en) Overhead storage system and apparatus configured to raise and lower
JP2010115758A (ja) 可搬式作業台装置
KR200386876Y1 (ko) 건축용 승강식 작업대
WO2015118568A1 (en) Height-adjustable double platform manually moved
KR101435935B1 (ko) 경사지에서 걷는 고소 작업대
CN217233383U (zh) 一种水利工程检修爬梯
GB2232651A (en) Support with mobile counterweight
KR100655683B1 (ko) 누름에 의해 이동되는 작업대
KR20090000735U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작업대 및 이 작업대의 높이조절장치
KR20200111914A (ko) 무동력 수동 리프트 장치
KR20230030770A (ko) 이동용 상승 작업대
KR100416672B1 (ko) 높낮이 조절 기능을 갖는 이동식 작업대의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