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3348B1 - 백라이트 장치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3348B1
KR101883348B1 KR1020110135534A KR20110135534A KR101883348B1 KR 101883348 B1 KR101883348 B1 KR 101883348B1 KR 1020110135534 A KR1020110135534 A KR 1020110135534A KR 20110135534 A KR20110135534 A KR 20110135534A KR 101883348 B1 KR101883348 B1 KR 101883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device
light
region
device pac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5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8100A (ko
Inventor
박형화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5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3348B1/ko
Publication of KR20130068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8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3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3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실시 예는, 발광소자 패키지,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의 발광면에 인접 배치된 도광판 및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가 배치된 제1 영역 및 상기 도광판이 배치되며 상기 제1 영역과 절곡 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대향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바텀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바텀 커버는, 상기 제1, 2 영역을 구분하는 인쇄층이 형성된 백라이트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백라이트 장치{The backLight unit}
실시 예는 백라이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장치는 CRT(Cathode Ray Tube), 전계 광학적인 효과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가스방전을 이용한 플라즈마 표시소자(PDP : Plasma Display Panel) 및 전계 발광 효과를 이용한 EL 표시소자(ELD :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등이 있으며, 그 중에서 액정표시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액정표시장치는 대부분이 외부에서 들어오는 광의 양을 조절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수광성 장치이기 때문에, LCD 패널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별도의 광원 즉, 백라이트 장치(BackLight unit)가 요구되고 있다.
실시 예는, 절곡 부분이 형성된 표면으로 방열하기 용이한 백라이트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장치는, 발광소자 패키지,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의 발광면에 인접 배치된 도광판 및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가 배치된 제1 영역 및 상기 도광판이 배치되며 상기 제1 영역과 절곡 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대향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바텀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바텀 커버는, 상기 제1, 2 영역을 구분하는 인쇄층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장치는 제1, 2 영역으로 절곡된 바텀커버 상에 절곡부분을 나타내는 인쇄층을 형성함에 따라 바텀커버의 제1 면 표면에 홈 또는 cut 된 부분이 발생되지 않아 제1 면 표면으로 방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장치는, 인쇄층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용이하여 제조시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바텀커버 및 발광소자 패키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바텀커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element가 다른 element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백라이트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각도와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에서 백라이트 장치를 이루는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각도에 대한 기준점과 위치관계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 관련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백라이트 장치(200)는 발광소자 패키지(100)가 실장된 바텀커버(110), 도광판(120) 및 광학시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바텀커버(110)는 발광소자 패키지(100)가 실장된 제1 영역(미도시) 및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제2 영역(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텀커버(11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광판(120)은 발광소자 패키지(100)로부터 입사된 점광을 면광으로 변환하여 광학시트(13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도광판(120)은 PMMA(polymethylmethacrylate)이나 투명 아크릴수지(resin)를 평면형태(flat type)나 쐐기형태(wedge type)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유리 재질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투명 아크릴 수지는 강도가 높아 변형이 적으며, 가볍고 가시광선의 투과율이 높다. 에지-라이트 방식에서 발광소자 패키지(100)는 백라이트 장치(200)의 외측면에 위치하여, 백라이트 장치(200)의 가장자리가 다른 부분보다 더 밝을 수 있다.
도광판(120)은 가시광선의 투과율이 높아, 빛이 백라이트 장치(200)의 전면적에 걸쳐 균일하게 투과되지 않고 가장자리가 더 밝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요철(미도시)은 도광판(120)의 후면에 형성되어 빛의 난반사를 일으킬 수 있다. 상기 요철은 발광소자 패키지(100)으로부터의 거리 등을 고려해서 소정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철은 발광소자 패키지(100)로부터 입사된 빛이 도광판(120) 표면의 양 끝단으로 집중되는 현상을 막아, 도광판(120) 전체가 빛을 균일하게 발산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요철 형성에 의한 패턴처리는 전체에 빛의 휘도 및 균일도가 높은 평면광을 제공할 수 있다.
광학시트(130)는 도광판(120)에 배치될 수 있으며, 광학시트(130)는 도광판(120)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비드(bead) 등의 확산입자를 포함하여, 액정 표시 패널(미도시) 방향으로 확산시키는 확산필름(132), 확산필름(132)의 상부에서 광을 집중시키기 위해 프리즘 패턴이 형성된 프리즘필름(134) 및 프리즘필름(134)을 보호하기 위해 상면에 적층되는 보호필름(136)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시트(130)는 발광소자 패키지(100)로부터 출사되어 도광판(120)에 의해 가이드 되는 광을 확산 및 집광하여 휘도 및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다.
확산필름(132)은 발광소자 패키지(100)로부터의 광이나 프리즘 필름(134)으로부터의 귀환 광을 산란 및 집광하여 휘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확산필름(132)은 얇은 시트모양을 가질 수 있고, 투명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확산필름(132)은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필름에 광 산란용 및 광 집광용 수지가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프리즘 필름(134)은 광학 필름의 표면에 수직 또는 수평으로 프리즘 패턴을 형성한 것으로서 확산필름(132)에서 출력되는 광을 집광한다.
프리즘필름(134)의 프리즘패턴은 집광효율을 높이기 위해 삼각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꼭지각이 90°인 직각프리즘을 사용할 때 가장 우수한 휘도가 얻어질 수 있다.
보호필름(136)은 프리즘필름(134)을 보호하기 위해 프리즘필름(134)의 상면에 적층될 수 있다.
반사시트(140)는 도광판(12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반사시트(140)는 발광소자 패키지(100)에서 발생한 빛을 도광판(120)의 상면 방향으로 반사시켜 광 전달 효율을 높여줄 수 있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발광소자 패키지의 일부분을 투시하여 나타낸 투과 사시도이며, 실시 예에서 발광소자 패키지는 탑 뷰 타입인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사이드 뷰 타입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도 2를 참조하면, 발광소자 패키지(100)는 발광소자(10) 및 발광소자(10)가 배치된 몸체(2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20)는 제1 방향(미도시)으로 배치된 제1 격벽(22)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미도시)으로 배치된 제2 격벽(2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2 격벽(22, 24)은 서로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출 성형, 에칭 공정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 한정을 두지 않는다.
즉, 제1, 2 격벽(22, 24)은 폴리프탈아미드(PPA:Polyphthalamide)와 같은 수지 재질, 실리콘(Si), 알루미늄(Al), 알루미늄 나이트라이드(AlN), AlOx, 액정폴리머(PSG, photo sensitive glass), 폴리아미드9T(PA9T), 신지오택틱폴리스티렌(SPS), 금속 재질, 사파이어(Al2O3), 베릴륨 옥사이드(BeO), 세라믹, 및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2 격벽(22, 24)의 상면 형상은 발광소자(10)의 용도 및 설계에 따라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및 원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또한, 제1, 2 격벽(22, 24)은 발광소자(10)가 배치되는 캐비티(s)를 형성하며, 캐비티(s)의 단면 형상은 컵 형상, 오목한 용기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캐비티(s)를 이루는 제1, 2 격벽(22, 24)은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캐비티(s)의 평면 형상은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및 원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몸체(20)의 하부면에는 제1, 2 리드프레임(13, 14)이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2 리드프레임(13, 14)은 금속 재질, 예를 들어, 티타늄(Ti), 구리(Cu), 니켈(Ni), 금(Au), 크롬(Cr), 탄탈늄(Ta), 백금(Pt), 주석(Sn), 은(Ag), 인(P), 알루미늄(Al), 인듐(In), 팔라듐(Pd), 코발트(Co), 실리콘(Si), 게르마늄(Ge), 하프늄(Hf), 루테늄(Ru) 및 철(Fe) 중에서 하나 이상의 물질 또는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2 리드프레임(13, 14)은 단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제1, 2 격벽(22, 24)의 내측면은 제1, 2 리드프레임(13, 14)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경사각에 따라 발광소자(10)에서 방출되는 광의 반사각이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부로 방출되는 광의 지향각을 조절할 수 있다. 광의 지향각이 줄어들수록 발광소자(10)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광의 집중성은 증가하는 반면, 광의 지향각이 클수록 발광소자(10)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광의 집중성은 감소한다.
몸체(20)의 내측면은 복수의 경사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제1, 2 리드프레임(13, 14)은 발광소자(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 전원(미도시)의 양(+)극 및 음(-)극에 각각 연결되어, 발광소자(1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리드프레임(13) 상에는 발광소자(10)가 배치되며, 제2 리드프레임(14)은 제1 리드프레임(13)과 이격된 것으로 설명하며, 발광소자(10)는 제1 리드프레임(13)과 다이본딩되며, 제2 리드프레임(14)과 와이어(미도시)에 의한 와이어 본딩되어, 제1, 2 리드프레임(13, 14)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여기서, 발광소자(10)는 제1 리드프레임(13) 및 제2 리드프레임(14)에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며 본딩될 수 있다.
또한, 발광소자(10)는 제1, 2 리드프레임(13, 14) 각각에 와이어 본딩되거나, 또는 다이본딩 될수 있으며, 접속 방법에 대하여 한정을 두지 않는다.
실시 예에서, 발광소자(10)는 제1 리드프레임(13)에 배치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그리고, 발광소자(10)는 제1 리드프레임(13) 상에 접착부재(미도시)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2 리드프레임(13, 14) 사이에는 제1, 2 리드프레임(13, 14)의 전기적인 단락(쇼트)를 방지하기 위한 절연댐(16)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절연댐(16)은 상부가 반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몸체(13)에는 캐소드 마크(cathode mark, 17)가 형성될 수 있다. 캐소드 마크(17)는 발광소자(10)의 극성, 즉 제1, 2 리드프레임(13, 14)의 극성을 구분하여, 제1, 2 리드프레임(13, 14)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때, 혼동을 방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발광소자(10)는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예를 들어, 적색, 녹색, 청색, 백색 등의 빛을 방출하는 유색 발광 다이오드 또는 자외선을 방출하는 UV(Ultra Violet)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을 두지 않으며, 또한 제1 리드프레임(13)에 실장되는 발광소자(10)는 복수 개 일 수 있으며, 제1, 2 리드프레임(13, 14) 상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10)가 실장될 수 있으며, 발광소자(10)의 개수 및 실장위치에 대하여 한정을 두지 않는다.
몸체(20)는 캐비티(s)에 충진된 수지물(18)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수지물(18)은 이중몰딩구조 또는 삼중몰딩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그리고, 수지물(18)은 필름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형광체 및 광확산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형광체 및 광확산재를 포함하지 않는 투광성재질, 예를 들면 투명 에폭시 및 실리콘계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바텀커버 및 발광소자 패키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바텀커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텀커버(110)는 도 1에 나타낸 바텀커버(110)가 'L'자형으로 절곡되기 이전을 나타낸 것으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을 참조하면, 바텀커버(110)는 제1 영역(s1) 및 제1 영역(s1)을 제외한 제2 영역(s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바텀커버(110)는 제1, 2 영역(s1, s2)으로 구분된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제3 영역(미도시)가 제1 영역(s1)의 다른 측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즉, 바텀커버(110)는 'L' 자 형으로 절곡된 것을 기초로 나타내었으며, 'ㄷ' 자형인 경구 상기 제3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바텀커버(110)의 제1 영역(s1)에는 제1 절연층(123), 동박층(124) 및 제2 절연층(125)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바텀커버(110)는 Al 및 Cu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제1 절연층(123)은 후술하는 동박층(124)과 제1 영역(s1)을 분리시키는 역할로써, 동박층(124)으로 공급되는 전원이 제1 영역(s1)을 포함하는 바텀커버(110)으로 공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절연층(123)은 열 저항이 바텀커버(110)의 열 저항과 동일하거나, 낮을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제1 절연층(123) 위에는 발광소자 패키지(100)로 전원을 공급하는 동박층(124)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동박층(124)은 바텀커버(110)의 제1 영역(s1)의 상면 중 일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다.
즉, 동박층(124)은 도 2에 나타낸 발광소자 패키지(100)의 제1, 2 리드프레임(13, 14)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1, 2 전극패턴(124a, 124b) 및 커넥터(미도시)가 배치되는 커넥터패턴(124c)을 포함할 수 있다.
동박층(124)은 제1, 2 전극패턴(124a, 124b) 및 커넥터패턴(124c)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패턴(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동박층(124) 위에는 제1 절연층(123)과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재질의 제2 절연층(125)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절연층(125)은 제1, 2 전극패턴(124a, 124b) 및 커넥터패턴(124c)이 외부에 노출되어, 발광소자 패키지(100) 및 상기 커넥터가 배치되도록 오픈된 제1, 2 전극오픈영역(126a, 126b) 및 커넥터오픈영역(126c)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절연층(125)은 판 형상으로 식각 공정에 의하여 제1, 2 전극오픈영역(126a, 126b) 및 커넥터오픈영역(126c)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절연층(125)은 PSR 잉크 및 절연성 필름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또한, 제2 절연층(125)은 발광소자 패키지(100)에서 방출되는 광을 반사시킬 수 있는 반사도가 높은 재질일 수 있다.
그리고, 바텀커버(110)의 제2 영역(s2)에는 도광판(120)의 일부분과 중첩되며 발광소자 패키지(100)에 방출된 광을 도광판(120)으로 반사하는 반사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반사부재는 커버레이(white coverlay) 필름, PSR 잉크 및 Ag을 포함하는 반사필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부재는 도 1에 나타낸 반사시트(140)와 동일할 수 있으며, 반사시트(140)보다 면적인 작을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발광소자 패키지(100)는 복수의 그룹(미도시)으로 나누어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복수의 그룹에 배치된 발광소자 패키지(100)는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그룹에 포함된 발광소자 패키지(100)는 개수에 대하여 한정을 두지 않는다.
복수의 발광소자패키지(100)는 각각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발광소자 패키지(100)가 서로 교대로 실장될 수 있으며, 패키지 사이즈에 따라 그룹을 이루어 실장될 수 있으며, 단일 색상을 갖는 발광소자 패키지(100)로 실장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또한, 바텀커버(110)에는 제1, 2 영역(s1, s2)을 구분하는 인쇄층(122)이 형성될 수 있다.
인쇄층(122)은 실크(Silk) 인쇄되며, 폭(d)은 0.1 ㎜ 내지 0.3 ㎜일 수 있으며, 두께(w)는 10 ㎛ 내지 30 ㎛일 수 있다.
여기서, 인쇄층(122)은 폭(d)이 0.1 ㎜ 미만인 경우 공정 기계 또는 사람에 의한 절곡시 육안으로 확인이 어려워지며, 0.3 ㎜ 보다 큰 경우 육안 확인이 가능하지만 광 효율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인쇄층(122)의 두께(w)는 10 ㎛ 미만인 경우 제1, 2 영역(s1, s2)을 절곡하기가 어려우며, 30 ㎛ 보다 큰 경우 제1, 2 영역(s1, s2)의 절곡에는 유리하나, 광 효율이 낮아질 수 있다.
이때, 인쇄층(122)의 일부분은 제1, 2 영역(s1, s2) 중 적어도 한 영역에 배치되며, 절곡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이와 같이, 실시 예에 나타낸 바텀커버(110)는 제1, 2 영역(s1, s2)으로 절곡함에 있어, 인쇄층(122)이 절곡 부분을 나타낸 지시선 역할을 할 수 있음으로써, 발광소자 패키지(100)에서 발생된 열을 바텀커버(110)의 상면 및 상면과 대향되는 하면의 표면을 통하여 방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때, 제2 영역(s2) 상에 배치된 상기 반사부재는 방열 패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발광소자 패키지; 및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의 발광면에 인접 배치된 도광판; 및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가 배치된 제1 영역 및 상기 도광판이 배치되며 상기 제1 영역과 절곡 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바텀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바텀 커버는,
    상기 제1, 2 영역을 구분하는 인쇄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도광판 사이에 반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재는,
    커버레이(white coverlay) 필름, PSR 잉크 및 Ag을 포함하는 반사필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방열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인쇄층의 일부분은,
    상기 제1, 2 영역 중 적어도 한 영역에 배치되고, 실크(Silk) 인쇄된 백라이트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의 폭은,
    0.1 ㎜ 내지 0.3 ㎜이고,
    상기 인쇄층의 두께는,
    10 ㎛ 내지 30 ㎛인 백라이트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커버는,
    상기 제1 영역 위에 제1 절연층;
    상기 제1 절연층 위에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가 실장되는 전극패턴을 포함하는 동박층; 및
    상기 전극패턴을 제외한 상기 동박층 및 상기 제1 절연층 위에 제2 절연층;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장치.
  9. 삭제
KR1020110135534A 2011-12-15 2011-12-15 백라이트 장치 KR101883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534A KR101883348B1 (ko) 2011-12-15 2011-12-15 백라이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534A KR101883348B1 (ko) 2011-12-15 2011-12-15 백라이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8100A KR20130068100A (ko) 2013-06-25
KR101883348B1 true KR101883348B1 (ko) 2018-07-30

Family

ID=48863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5534A KR101883348B1 (ko) 2011-12-15 2011-12-15 백라이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3348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7523A (ko) * 2006-12-20 2008-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단말기
KR101310971B1 (ko) * 2006-12-26 2013-09-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419227B1 (ko) * 2007-11-09 2014-07-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적용한 액정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8100A (ko) 201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44232B1 (en) Light emitting device array and backlight unit
JP2013145883A (ja) 発光素子パッケージ
KR101848861B1 (ko) 백라이트 장치
KR101997239B1 (ko) 백라이트 장치
KR101971040B1 (ko) 백라이트 장치
KR101886715B1 (ko) 발광소자 패키지
KR101883348B1 (ko) 백라이트 장치
KR101920211B1 (ko) 발광소자 어레이
KR101781043B1 (ko) 발광소자 어레이
KR20130068408A (ko) 백라이트 장치
KR101849130B1 (ko) 발광소자 어레이
KR101849128B1 (ko) 발광소자 어레이
KR101883347B1 (ko) 백라이트 장치
KR101818752B1 (ko) 발광소자 어레이
KR101781047B1 (ko) 발광 소자 패키지
KR101877429B1 (ko) 발광소자 어레이
KR101790052B1 (ko) 발광소자 패키지
KR101852886B1 (ko) 발광소자 패키지
KR20130096957A (ko) 백라이트 장치
KR101731811B1 (ko) 발광소자 어레이
KR101843734B1 (ko) 발광소자 어레이
KR101849127B1 (ko) 발광소자 어레이
KR20120073932A (ko) 발광소자 어레이
KR101843736B1 (ko) 발광소자 어레이
KR20130111770A (ko) 백라이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