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3177B1 - 과일 신선보관용기 - Google Patents

과일 신선보관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3177B1
KR101883177B1 KR1020170183877A KR20170183877A KR101883177B1 KR 101883177 B1 KR101883177 B1 KR 101883177B1 KR 1020170183877 A KR1020170183877 A KR 1020170183877A KR 20170183877 A KR20170183877 A KR 20170183877A KR 101883177 B1 KR101883177 B1 KR 101883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tray
container body
fruits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3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현
박성균
이왕탁
Original Assignee
(주)한그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그린테크 filed Critical (주)한그린테크
Priority to KR1020170183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31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3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3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5Containers with stacking feet or corn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65D81/261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draining or collecting liquids without absorbing th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일 신선보관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과일이 함께 일렬로 수용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갖는 용기본체(110)와; 상기 용기본체(110)에 수용 또는 배출 가능하게 슬라이딩 결합되며, 상면에 과일이 일렬로 적재되는 과일적재트레이부(120)와; 상기 과일적재트레이부(120)가 상기 용기본체(110)에 수용될 때, 상기 내부공간의 개구를 막아 외기의 내부유입을 차단하는 캡(130)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본체(110)는 상기 과일적재트레이부(120)가 수용되는 트레이수용공간(111)과, 상기 트레이수용공간(111)의 상부에 형성되어 과일이 수용되는 과일수용공간(11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과일 신선보관용기{FRESH STORING VESSEL FOR FRUIT}
본 발명은 과일 신선보관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히는 과일을 서로 붙지 않게 일렬로 보관하여 복수개의 과일을 장기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 과일 신선보관용기에 관한 것이다.
사과, 배, 감 등 다양한 과일은 당도와 풍미가 좋아 많은 사람들이 즐겨 찾는 식품이다. 이러한 과일들은 신선하게 보관하지 않으면 빠르게 품질이 저하될 수 있어 구매한 후 냉장보관하게 된다.
통상 과일을 냉장고에 보관할 때 한꺼번에 봉투 등에 넣어 보관하게 된다. 그런데, 사과나 배, 딸기 등 과일들을 함께 보관하게 되면 서로 표면이 맞닿은 상태로 장시간 있게 된다. 이 경우, 각각 과일은 무게에 비례하여 다른 과일을 누르게 되고, 이로 인해 흠집이나 멍 등의 품질저하로 맛을 저하시킴과 동시에 균의 번식이 이뤄져 다른 과일까지 전이되는 나쁜 영향을 끼치게 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106170호 "과일 용기"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과일이 서로 닿지 않게 보관하여 과일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 과일 신선보관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장고 수납구조에 따라 상하 또는 좌우로 간편하게 확장하여 많은 양의 과일을 보관할 수 있는 과일 신선보관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과일 신선보관용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일 신선보관용기는, 복수개의 과일이 함께 일렬로 수용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갖는 용기본체(110)와; 상기 용기본체(110)에 수용 또는 배출 가능하게 슬라이딩 결합되며, 상면에 과일이 일렬로 적재되는 과일적재트레이부(120)와; 상기 과일적재트레이부(120)가 상기 용기본체(110)에 수용될 때, 상기 내부공간의 개구를 막아 외기의 내부유입을 차단하는 캡(130)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본체(110)는 상기 과일적재트레이부(120)가 수용되는 트레이수용공간(111)과, 상기 트레이수용공간(111)의 상부에 형성되어 과일이 수용되는 과일수용공간(11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과일적재트레이부(120)는, 상면에 과일이 일렬로 적재되며, 판면에 물배출로(121b)가 관통형성된 트레이(121)와; 상기 트레이(121)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물배출로(121b)를 통해 배출된 물이 저장되는 물받이(123)를 포함하며, 상기 물받이(123)는 상기 트레이(121)의 하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트레이(121)의 상면은 과일의 형상에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되며, 판면에 과일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요철(121c)가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물받이(123)는 입구를 향해 점차 낮아지는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용기본체(110)의 하부 모서리 영역에는 하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복수개의 레그(113)가 구비되고,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 모서리 영역에는 상기 레그(113)의 형상에 대응되는 레그결합홈(114)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용기본체(110)는 복수개가 상하로 적층가능하며, 상부에 위치된 용기본체(110)의 레그(113)가 하부에 위치된 용기본체(110)의 레그결합홈(114)에 끼움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일 신선보관용기는 복수개의 과일을 일렬로 서로 간격을 띄워서 보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종래 과일보관시에 과일이 서로 맞닿아 흠집이나 멍이 생기거나, 하나의 과일이 부패되었을 때 옆의 과일까지 함께 부패되던 문제를 방지하고, 장시간 과일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일 신선보관용기는 서로 적층할 수 있어 수납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과일 신선보관용기의 외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과일 신선보관용기의 트레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과일 신선보관용기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과일 신선보관용기를 상하좌우로 확장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과일 신선보관용기(100)의 트레이(121)가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과일 신선보관용기(100)의 트레이(121)가 외부로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과일 신선보관용기(1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과일 신선보관용기(100)는 과일이 수용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갖는 용기본체(110)와, 용기본체(110)의 내외부로 이동될 수 있게 구비되며 상부에 과일이 적재되는 과일적재트레이부(120)와, 과일적재트레이부(120)가 수용된 용기본체(110)를 밀폐하는 캡(1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과일 신선보관용기(100)는 복수개의 과일을 함께 섞어서 보관하지 않고 일렬로 서로 이격되게 띄워서 보관한다. 이에 의해 과일이 서로 닿아서 발생될 수 있는 과일의 손상을 방지하여 과일이 청결하고 깨끗하게 보관될 수 있게 한다.
용기본체(110)는 일렬로 정렬된 복수개의 과일을 수용할 수 있는 함체 형태로 형성된다. 용기본체(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함체 형태로 형성되거나, 원통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용기본체(110)의 내부 하부에는 트레이수용공간(11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트레이수용공간(111)의 상부에는 과일수용공간(11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용기본체(110)는 내부에 수용되는 과일의 크기별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수용되는 과일 종류에 따라 용기본체(110)의 크기가 다양하게 마련되고, 사용자는 해당 과일에 맞게 용기본체(110)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사과용, 배용, 감, 귤 등으로 나눠질 수 있다.
이는, 배를 위한 용기본체(110)에 귤이나 감을 수용할 경우, 상대적으로 빈 공간이 많아 공간 낭비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용기본체(110)의 하부 모서리영역에는 레그(113)가 일정길이 연장되게 형성되고, 용기본체(110)의 상부 모서리영역에는 레그결합홈(114)이 레그(113)의 길이에 대응되게 함몰형성된다.
레그결합홈(114)과 레그(11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과일 신선보관용기(100,100a,100b)를 상하로 적층할 때, 서로의 위치를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즉, 하부에 위치된 과일 신선보관용기(100)의 레그결합홈(114)에 상부에 위치된 과일 신선보관용기(100a)의 레그(113)가 끼워져 위치가 고정된다. 이러한 적층 방식에 의해 냉장고 내부에 수직하게 쌓아져 공간 활용에 도움을 주고, 많은 양의 과일을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복수개의 과일 신선보관용기(100,100c)를 좌우로 확장할 때는 나란하게 붙여서 인접하게 배치하면 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용기본체(110)의 외벽면에는 내부로 외기를 유입시키는 외기유입창(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과일의 종류에 따라 요구되는 수분이 상이하다. 이에 따라 외기유입창(미도시)의 개도를 조절하여 용기본체(110) 내부로 외기의 유입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과일적재트레이부(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10) 내부에 수용되어 과일을 보관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10) 외부로 분리되어 내부에 수용된 과일을 사용자가 확인하고 가져갈 수 있게 한다.
과일적재트레이부(120)는 과일이 적재되는 트레이(121)와, 트레이(121)의 하부에 결합되어 트레이(121)로부터 낙하되는 물을 저장하는 물받이(123)를 포함한다.
트레이(121)는 트레이수용공간(11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게 구비된다. 이를 위해 트레이(121)는 트레이수용공간(111)의 폭과 높이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트레이(121)의 상부에 형성된 과일적재곡면(121a)은 과일의 윤곽에 대응되게 일정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에 의해 과일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고, 과일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이와 더불어 과일적재곡면(121a)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미끄럼방지요철(121c)이 구비된다. 미끄럼방지요철(121c)은 트레이(121)의 개폐시에 전해지는 충격에 의해 과일(A)이 트레이(121)를 따라 이동하지 않고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과일의 유동을 최소로 하기 위해, 과일적재곡면(121a)의 표면은 고무와 같이 마찰력이 큰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과일적재곡면(121a)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물배출로(121b)가 형성된다. 물배출로(121b)는 사용자가 과일을 씻어서 보관했을 때, 과일 표면의 물을 물받이(123)로 배출하여 과일이 짓무르는 것을 방지한다.
트레이(121)의 하부 양측벽에는 물받이(123)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물받이결합레일(121d)이 형성된다.
물받이(123)는 트레이(121)의 하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트레이(121)의 물배출로(121b)를 통해 배출되는 물이 수용된다. 물받이(123)는 도 4에 도시되 바와 같이 트레이(121)의 하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물받이(123) 양측에 형성된 트레이결합벽(123a)이 물받이결합레일(121d)에 결합되어 물받이(123)와 트레이(121)가 이격되게 지지한다. 물받이(123)와 트레이(121)의 이격간격 사이로 물(W)이 수용된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받이(123)는 내측에서 입구측을 향해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경사각(θ)을 갖게 형성된다. 즉, 물받이(123)가 입구측에서 내측을 향해 점차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이에 의해 트레이(121)로부터 낙하된 물이 물받이(123)의 입구측에 모여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일적재트레이부(120)가 용기본체(110)에 수용되더라도, 물받이(123)의 입구측은 용기본체(110)의 외측으로 일정 길이 노출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용기본체(110) 외측으로 돌출된 물받이(123)의 입구에 수용된 물의 양을 보고 물받이(123)를 분리하여 물(W)을 버릴 수 있다.
물(W)이 장시간 고여 있으면 물(W)이 부패하여 내부에 수용된 과일(A)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므로 즉각 사용자가 물(W)을 버릴 수 있게 하기 위한 수단이다.
여기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트레이(121)의 입구측에 손잡이(미도시)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손잡이(미도시)를 파지하고 힘을 가해 보다 용이하게 과일적재트레이부(1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캡(1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일적재트레이부(120)가 용기본체(110) 내부에 수용되었을 때, 과일수용공간(112)의 입구(115)를 막아 내부를 밀폐시킨다. 캡(130)은 트레이(121)와 독립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121)의 선단에 일체로 결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캡(130)의 판면에는 투명재질로 형성된 창(131)이 구비될 수 있다. 창(131)을 통해 사용자는 내부에 수용된 과일이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과일 신선보관용기(100)의 사용과정을 도 1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과일 신선보관용기(100)는 실내에서 과일을 보관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고, 냉장고에 배치하여 과일을 냉장보관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일적재트레이부(120)를 외부로 분리하고, 과일적재곡면(121a)에 복수개이 과일(A)을 일렬로 적재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과를 적재할 때, 사용자는 이웃한 사과가 서로 닿지 않게 이격시켜 적재한다.
사과의 적재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과일적재트레이부(120)를 내측으로 밀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일적재트레이부(120)를 용기본체(110) 내부에 수용시킨다.
이 상태로 사용자는 과일 신선보관용기(100)를 냉장고 또는 실내에 위치시킨다. 복수개의 과일이 서로 닿지 않고 일렬로 보관되므로 과일끼리 서로 닿아 과일표면이 손상되던 종래 문제를 보관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서로 다른 종류의 과일을 보관할 때, 복수개의 과일 신선보관용기(100,100a,100b,100c)를 사용할 수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상하로 적층하거나, 좌우로 수평하게 배치할 수 있다. 이렇게 쌓거나 좌우로 배치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용기본체(110)의 내부에 수용된 과일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의 수분이 물배출로(121b)를 통해 물받이(123)로 떨어지고, 품질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과, 배, 감, 키위, 무화과, 석류, 포도, 거봉, 기타 과일의 품질저하 요인을 줄여 가치를 보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일 신선보관용기는 복수개의 과일을 일렬로 서로 간격을 띄워서 보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종래 과일보관시에 과일이 서로 맞닿아 흠집이나 멍이 생기거나, 하나의 과일이 부패되었을 때 옆의 과일까지 함께 부패되던 문제를 방지하고, 장시간 과일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일 신선보관용기는 서로 적층할 수 있어 수납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과일 신선보관용기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과일 신선보관용기 110 : 용기본체
111 : 트레이수용공간 112 : 과일수용공간
113 : 레그 114 : 레그결합홈
115 : 입구 120 : 과일적재트레이부
121 : 트레이 121a : 과일적재곡면
121b : 물배출로 121c : 미끄럼방지요철
121d : 물받이결합레일 123 : 물받이
123a : 트레이결합벽 130 : 캡
131 : 창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과일 신선보관용기에 있어서,
    복수개의 과일이 함께 일렬로 수용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갖는 용기본체(110)와;
    상기 용기본체(110)에 수용 또는 배출 가능하게 슬라이딩 결합되며, 상면에 과일이 일렬로 적재되는 과일적재트레이부(120)와;
    상기 과일적재트레이부(120)가 상기 용기본체(110)에 수용될 때, 상기 내부공간의 개구를 막아 외기의 내부유입을 차단하는 캡(130)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본체(110)는 상기 과일적재트레이부(120)가 수용되는 트레이수용공간(111)과, 상기 트레이수용공간(111)의 상부에 형성되어 과일이 수용되는 과일수용공간(112)을 갖고,
    상기 과일적재트레이부(120)는,
    상면에 과일이 일렬로 적재되며, 판면에 물배출로(121b)가 관통형성된 트레이(121)와;
    상기 트레이(121)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물배출로(121b)를 통해 배출된 물이 저장되는 물받이(123)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121)의 상면은 과일의 형상에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되며, 판면에 과일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요철(121c)가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물받이(123)는 상기 트레이(121)의 하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며, 입구를 향해 점차 낮아지는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신선보관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10)의 하부 모서리 영역에는 하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복수개의 레그(113)가 구비되고,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 모서리 영역에는 상기 레그(113)의 형상에 대응되는 레그결합홈(114)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용기본체(110)는 복수개가 상하로 적층가능하며, 상부에 위치된 용기본체(110)의 레그(113)가 하부에 위치된 용기본체(110)의 레그결합홈(114)에 끼움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신선보관용기.
KR1020170183877A 2017-12-29 2017-12-29 과일 신선보관용기 KR101883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877A KR101883177B1 (ko) 2017-12-29 2017-12-29 과일 신선보관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877A KR101883177B1 (ko) 2017-12-29 2017-12-29 과일 신선보관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3177B1 true KR101883177B1 (ko) 2018-07-30

Family

ID=63048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3877A KR101883177B1 (ko) 2017-12-29 2017-12-29 과일 신선보관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31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4408A (ko) 2018-11-09 2020-05-20 경상북도(승계청:경상북도농업기술원,관리청:경상북도 도지사) 신선도 유지 향상을 위한 농산물 포장 난좌판
KR20230010924A (ko) * 2021-07-13 2023-01-20 정주일 소화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223Y1 (ko) * 2007-04-18 2008-10-20 조준구 곶감 포장용 케이스
KR20120084843A (ko) * 2011-01-21 2012-07-31 소창호 보습기능을 갖는 보관용기
KR20140093136A (ko) * 2013-01-17 2014-07-25 이병일 과일포장용 난좌
JP2015030496A (ja) * 2013-08-01 2015-02-16 治彦 荒川 西瓜運搬用収納装置
KR20170106170A (ko) 2016-03-10 2017-09-20 델몬트 후레쉬 프러듀스 인터내셔널,인크. 과일 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223Y1 (ko) * 2007-04-18 2008-10-20 조준구 곶감 포장용 케이스
KR20120084843A (ko) * 2011-01-21 2012-07-31 소창호 보습기능을 갖는 보관용기
KR20140093136A (ko) * 2013-01-17 2014-07-25 이병일 과일포장용 난좌
JP2015030496A (ja) * 2013-08-01 2015-02-16 治彦 荒川 西瓜運搬用収納装置
KR20170106170A (ko) 2016-03-10 2017-09-20 델몬트 후레쉬 프러듀스 인터내셔널,인크. 과일 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4408A (ko) 2018-11-09 2020-05-20 경상북도(승계청:경상북도농업기술원,관리청:경상북도 도지사) 신선도 유지 향상을 위한 농산물 포장 난좌판
KR20230010924A (ko) * 2021-07-13 2023-01-20 정주일 소화기
KR102618588B1 (ko) * 2021-07-13 2023-12-27 정주일 소화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3817B2 (en) Self air evacuating system
US5697500A (en) Insulated storage/transport container for perishables
KR101883177B1 (ko) 과일 신선보관용기
US20100139566A1 (en) Storage boxes for sea worms and corresponding packaging
US20150099044A1 (en) Container
US8998022B2 (en) Food storage insert
JP3143855U (ja) 容器及び食品容器
KR20030081521A (ko) 서랍 저장장치
US3004657A (en) Packing of edible commodities
KR200447103Y1 (ko) 과일용 난좌
KR200474962Y1 (ko) 식재료를 보관하는 냉장고용 다용도 정리함
KR20130005611U (ko) 포도 박스
KR20180119825A (ko) 발포폼으로 만들어진 연육과일 포장상자
KR101579954B1 (ko) 포장용기
US20140141143A1 (en) Food Processing Apparatus
EP2927148A1 (en) Multifunctional shelf of a refrigerator cavity, and refrigerator provided with such shelf
US20190285326A1 (en) Ice Formation and Storage Device
KR200483857Y1 (ko) 식자재 운반 및 보관용 용기
CN215874369U (zh) 一种沥水篮
CN208181790U (zh) 一种带识别芯片的防挤压水果板筐
CN212645076U (zh) 一种冰箱用置物盒
JP4944511B2 (ja) 発泡容器
KR200325550Y1 (ko) 식품 보관 케이스
KR200381971Y1 (ko) 피라미드형 쌀통
KR20190005336A (ko) 식품 보관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