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3132B1 - Waterproof structure of side wall using waterproof sheet - Google Patents

Waterproof structure of side wall using waterproof she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3132B1
KR101883132B1 KR1020180000573A KR20180000573A KR101883132B1 KR 101883132 B1 KR101883132 B1 KR 101883132B1 KR 1020180000573 A KR1020180000573 A KR 1020180000573A KR 20180000573 A KR20180000573 A KR 20180000573A KR 101883132 B1 KR101883132 B1 KR 101883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waterproof sheet
waterproof
nonwoven fabric
lami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05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승우
Original Assignee
이승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우 filed Critical 이승우
Priority to KR1020180000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313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3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31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04B1/7069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by venti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Sky-lights
    • E04D13/14Junctions of roof sheathings to chimneys or other parts extending above the roof
    • E04D13/1407Junctions of roof sheathings to chimneys or other parts extending above the roof for flat roofs
    • E04D13/1415Junctions to walls extending above the perimeter of the ro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Sky-lights
    • E04D13/14Junctions of roof sheathings to chimneys or other parts extending above the roof
    • E04D13/143Junctions of roof sheathings to chimneys or other parts extending above the roof with ventilating means in junctions of roof sheathings to parts extending above the ro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Sky-lights
    • E04D13/14Junctions of roof sheathings to chimneys or other parts extending above the roof
    • E04D2013/1422Parapet building elements for retaining the roof flashing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ide wall waterproof structure using a waterproof sheet. While a waterproof function of a waterproof sheet is intactly maintained, and adhesive force with a side wall can be sufficiently secured. Also, a scheme of performing finishing by a silicone resin can be replaced. The structure is disposed on a side wall of a concrete structure, and includes an inner laminate and a cover laminate. The inner laminate is formed by sequentially stacking a primer layer, a first coat layer, a first non-woven fabric, and a front surface waterproof sheet. The cover laminate covers the inner laminate and is formed by sequentially stacking a second non-woven fabric, a waterproof layer, and a second coat layer. The inner laminate is fixed to a side wall by penetrating the same by an anchor. The front surface waterproof sheet extends from the bottom to the side wall. One side of the cover laminate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waterproof sheet of the bottom and the other side is attached to the side wall while surrounding the upper side of the inner laminate.

Description

방수시트를 활용한 측벽 방수 구조체{Waterproof structure of side wall using waterproof sheet}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proof structure,

본 발명은 방수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옥상, 수영장 등의 수조, 기타 방수를 요구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측벽을 방수시트를 활용하여 방수하는 방수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proof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proof structure for waterproofing a sidewall of a roof of a roof, a swimming pool, or the like, or a concrete structure requiring waterproofing by utilizing a waterproof sheet.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는 우레탄 방수나 탄성도막 방수 등과 같은 도막 방수방법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도막 방수방법은 균열에 대한 저항성을 확보하여 방수성능을 유지하려고 있지만, 실제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동에 따른 도막방수층의 파단이나 절단이 자주 발생한다. 또한, 도막 방수방법은 통기성의 확보가 어려워 콘크리트, 모르타르 등 또는 실내에서 발생되는 수분이 증발되지 못하며, 도막방수층의 하부에 잔류한다. 상기 잔류하는 수분에 의해 콘크리트나 모르타르의 부식이 진행되면, 부식된 콘크리트나 모르타르의 상부와 도막방수층이 함께 박리되는 현상이 발생된다.Waterproofing of concrete structures has been mainly used for coating waterproofing such as urethane waterproofing and elastic film waterproofing. Although the waterproofing method of the coating film is intended to maintain the waterproof performance by securing the resistance against cracking, in practice, the waterproofing layer of the coating film breaks or breaks frequently due to the behavior of the concrete structure. In addition, since the waterproofing method of the coating film is difficult to ensure air permeability, moisture generated in concrete, mortar or the like is not evaporated and remains in the lower part of the coating waterproofing layer. When the concrete or the mortar is corroded by the residual water, the upper part of the corroded concrete or the mortar and the coating waterproof layer are peeled together.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방수시트를 활용한 방수방법이 국내공개특허 제2005-0015091호 등에서 다양하게 제시되었다. 그런데, 종래의 방수시트 방수방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의 방수에는 유용하나, 측벽의 방수에는 매우 취약한 실정이다. 상기 취약한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국내등록특허 제10-0732473호에서와 같이 아연시트를 삽입하거나, 국내등록특허 제10-1128760호와 같이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측벽시트를 적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아연시트나 합성수지는 방수 자체에는 도움이 될지라도, 측벽과의 접착력에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측벽과의 접착력을 충분하게 확보하고, 방수시트의 방수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방수 구조체가 필요한 실정이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waterproofing method using a waterproof sheet has been variously disclosed in, for exampl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5-0015091. However, the conventional waterproof sheet waterproofing method is useful for waterproofing the bottom of a concrete structure, but it is very vulnerable to waterproofing of the side wall.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above drawback, a zinc sheet may be inserted as in Korean Patent No. 10-0732473, or a side wall sheet made of synthetic resin may be applied as in Korean Patent No. 10-1128760. However, the zinc sheet or the synthetic resin does not contribute much to the adhesion to the side wall, though it may be helpful for the waterproofing itself.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waterproof structure capable of sufficiently securing the adhesion to the side wall and maintaining the waterproof function of the waterproof sheet.

그런데, 실제 현장에서의 측벽의 방수공사는 앵커 등을 이용하여 방수시트 등을 측벽에 고정한 후에, 방수시트의 테두리 등을 실리콘 수지로 마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한편, 측벽의 방수는 최소 10년 이상의 보증기간이 필요하다. 그런데, 실리콘 수지로 마감을 하면, 실리콘의 열화, 방수시트의 변형 등으로 10년 이상의 보증기간을 만족시킬 수 없다. 이에 따라, 실리콘 수지로 마감하는 방식은 측벽 방수에는 적합하지 않다. 특히, 수영장과 같은 수조에서의 실리콘 수지 마감방식은 채용할 수 없다. However, the waterproofing work of the side wall in the actual site is performed by fixing the waterproof sheet or the like to the side wall using an anchor or the like, and then the edge of the waterproof sheet is finished with silicone resin. On the other hand, waterproofing of the side wall requires a guarantee period of at least 10 years. However, if it is finished with a silicone resin, it can not satisfy the guarantee period of 10 years or more due to deterioration of the silicone and deformation of the waterproof sheet. Accordingly, the method of finishing with silicone resin is not suitable for waterproofing the side wall. In particular, a silicone resin finishing method in a water tank such as a swimming pool can not be employ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방수시트의 방수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측벽과의 접착력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고, 실리콘 수지로 마감하는 방식을 대체하는 방수시트를 활용한 측벽 방수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de wall waterproof structure using a waterproof sheet replacing a method of sufficiently securing the adhesive force with the side wall while maintaining the waterproof function of the waterproof sheet as it is, have.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수시트를 활용한 측벽 방수 구조체는 바닥 및 측벽으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구조물의 측벽을 배치되고, 내측 적층체 및 커버 적층체로 구성되며, 상기 내측 적층체는 상기 측벽에 대하여 프라이머층, 제1 코트층, 제1 부직포 및 전면 방수시트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 적층체는 상기 내측 적층체를 덮고, 제2 부직포, 방수층 및 제2 코트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 적층체는 앵커에 의해 관통되어 측벽에 고정되고, 상기 전면 방수시트는 상기 바닥으로부터 상기 측벽으로 연장되며, 상기 커버 적층체의 일측은 상기 바닥의 상기 전면 방수시트와 접촉하고 타측은 상기 내측 적층체의 상부를 감싸면서 상기 측벽에 접착된다.The side wall waterproofing structure utilizing the waterproof sheet for the purpose of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ide wall of a concrete structure composed of a floor and side walls and composed of an inner laminate and a cover laminate, Wherein the cover layered body is formed by sequentially laminating a second nonwoven fabric, a waterproof layer and a second coat layer on the inner laminated body, wherein the first non-woven fabric layer, the first non-woven fabric layer and the front waterproof sheet are sequentially laminated Wherein the inner laminate is penetrated by the anchors to be fixed to the side wall, the front waterproof sheet extends from the bottom to the side wall, one side of the cover laminate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waterproof sheet of the bottom, And is adhered to the side wall while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laminate.

본 발명의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전면 방수시트 및 상기 제2 부직포 사이에는 상기 앵커가 삽입되는 보강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판은 금속판 또는 플라스틱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방수층 및 상기 전면 방수시트 사이에는 측벽 방수시트 및 제3 부직포가 삽입되고, 상기 제2 부직포는 상기 내측 적층체의 상부는 덮는 제4 부직포가 되며, 상기 전면 및 측벽 방수시트는 열로 융착될 수 있다. 상기 방수층 및 상기 전면 방수시트 사이에는 측벽 방수시트 및 제3 부직포가 삽입되고, 상기 제3 부직포 및 상기 제2 부직포 사이에는 상기 앵커가 삽입되는 보강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수층 및 상기 전면 방수시트 사이에는 측벽 방수시트 및 제3 부직포가 삽입되고, 상기 전면 방수시트 및 상기 측벽 방수시트 사이에는 상기 앵커가 삽입되는 보강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면 및 측벽 방수시트는 열로 융착될 수 있다.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plate between the front waterproof sheet and the second nonwoven fabric to which the anchor is inserted. The reinforcing plate may be formed of a metal plate or a plastic plate. The side wall waterproof sheet and the third nonwoven fabric are inserted between the waterproof layer and the front waterproof sheet and the second nonwoven fabric is a fourth nonwoven fabric covering the upper side of the inner laminate, have. The waterproof layer and the front waterproof sheet may further include a side wall waterproof sheet and a third nonwoven fabric interposed between the waterproof layer and the front waterproof sheet and a reinforcing plate between the third nonwoven fabric and the second nonwoven fabric to which the anchor is inserted. And a reinforcing plate into which the side wall waterproof sheet and the third nonwoven fabric are inserted between the waterproof layer and the front waterproof sheet and the anchor is inserted between the front waterproof sheet and the side wall waterproof sheet, And can be fused to heat.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측벽 및 상기 전면 방수시트 사이에는, 일측은 상기 바닥과 상기 전면 방수시트 사이에 위치하고 타측은 상기 커버 적층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통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기관의 통기관 헤드는 U자 형태로 굽어져 있다. 상기 통기관 헤드는 고정밴드에 의해 상기 측벽에 고정된다.In a preferre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vent pipe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ide wall and the front waterproof sheet, one side of which is positioned between the bottom and the front waterproof sheet,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protruded outside the cover laminate. The vent pipe head of the vent pipe is curved in a U-shape. The vent tube head is fixed to the side wall by a fixing band.

본 발명의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제2 코트층은 친수성 코트재 또는 소수성 코트재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친수성 코트재 및 상기 소수성 코트재가 적층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 및 상기 제1 코트층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커버 적층체 및 상기 측벽 사이로 확장될 수 있다.In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at layer may be formed of any one of a hydrophilic coat material and a hydrophobic coat material, or the hydrophilic coat material and the hydrophobic coat material may be laminated. At least one of the primer layer and the first coat layer may extend between the cover laminate and the side wall.

본 발명의 방수시트를 활용한 측벽 방수 구조체에 의하면, 부직포 및 코트재의 특성을 활용함으로써, 방수시트의 방수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측벽과의 접착력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고 실리콘 수지로 마감하는 방식을 대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ide wall waterproof structure utilizing the waterproof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nwoven fabric and the coating material,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secure the adhesion with the side wall while maintaining the waterproof function of the waterproof sheet, Can be replac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1 방수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2 방수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보강판의 사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3 방수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4 방수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5 방수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방수 구조체들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irst waterproof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econd waterproof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reinforcing plate of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third waterproof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fourth waterproof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ifth waterproof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modification of the waterproofing structu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도면들에 있어서, 막(층, 패턴)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또한, 막(층, 패턴)이 다른 막(층, 패턴)의 상, 상부, 하부, 일면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막(층, 패턴)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다른 막(층, 패턴)이 개재될 수도 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figures, the thicknesses of the film (layer, pattern) and region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Further, when it is mentioned that the film (layer, pattern) is on the upper, upper, lower, one surface of another film (layer, pattern), it can be formed directly on another film (layer, pattern) A film (layer, pattern) may be interposed.

본 발명의 실시예는 부직포 및 코트재의 특성을 활용함으로써, 방수시트의 방수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측벽과의 접착력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고 실리콘 수지로 마감하는 방식을 대체하는 측벽 방수 구조체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부직포 및 코트재를 활용한 측벽 방수 구조체에 대하여 상세하게 알아보고, 상기 방수 구조체의 특성, 특히 측벽과의 접착력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측벽 방수 구조체는 옥상, 수영장 등의 수조, 기타 방수를 요구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측벽을 방수하는 데에 적용된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ggests a side wall waterproof structure replacing the method of finishing the waterproof sheet with the silicone resin while maintaining the waterproof function of the waterproof sheet while securing sufficient adhesion with the side wall by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nwoven fabric and the coating material . To this end, the side wall waterproofing structure utilizing the nonwoven fabric and the coating materia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terproofing structure, particularly the adhesion with the side wal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sidewall waterproof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water tank of a roof, a swimming pool, and the like, and waterproofing the side wall of a concrete structure requiring waterproof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1 방수 구조체(100)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다만, 엄밀한 의미의 단면도를 표현한 것이 아니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단면도에 나타나지 않은 구성요소가 있을 수 있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irst waterproofing structur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rawings are not intended to be construed in a strict sense, and for the purposes of explanation, there may be elements not shown in the cross section.

도 1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1 방수 구조체(100)는 코너(13)를 중심으로 바닥(11) 및 측벽(12)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측벽(12)에 부착된다. 콘크리트 구조물(10)은 옥상, 수영장 등의 수조, 기타 방수를 요구하는 구조물로써,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구조물에 적용될 수 있다. 바닥(11)에는 측벽(12)에 절곡되어 연장되는 전면 방수시트(20)가 덮인다. 전면 방수시트(20)는 다양하게 공지된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계 방수시트가 바람직하다. 전면 방수시트(20)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제1 부직포(21)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전면 방수시트(20) 상에는 도막을 형성한 복합방수 공법을 적용할 수도 있다. 1, the first waterproofing structur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a side wall 12 of a concrete structure 10 having a bottom 11 and a side wall 12 around a corner 13. The concrete structure 10 can be applied to various structure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rooftops, swimming pools and other water tanks, and other structures requiring waterproofing. The bottom 11 is covered with a front waterproof sheet 20 which is bent and extended to the side wall 12. The front waterproof sheet 20 may be made of a variety of known materials, among which a polyvinyl chloride (PVC) waterproof sheet is preferred. The front waterproof sheet 20 may be used alone, or the first nonwoven fabric 21 may be attached thereto. A composite waterproofing method in which a coated film is formed on the front waterproof sheet 20 may be applied.

바닥(11)의 경우, 전면 방수시트(20)는 서로 겹치거나, 겹치지 않고 접착제 등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서로 겹친 다음 융착을 하여 방수면적을 확대한다. 또한, 서로 겹쳐 융착을 한 후에는 예컨대 도 3의 보강판(50)을 이용하여, 앵커 등으로 전면 방수시트(20)를 고정하기도 한다. 전면 방수시트(20)가 배수용 홈통과 접하는 부분은 전면 방수시트(20)를 실린더(cylinder) 형태로 만든 다음, 상기 홈통과 일정한 공간이 있도록 배치하여 습기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공법들은 이미 잘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필요한 경우, 전면 방수시트(20)와 바닥(11) 사이에는 별도의 직물을 시트형태로 삽입하여 완충 및 습도 제어 등에 활용된다. 또한, PVC 등으로 이루어진 파이프를 방수시트(20)를 관통하여 바닥(11)에 설치하여, 습도를 제어한다.In the case of the bottom 11, the front waterproof sheets 20 can be overlapped with each other or can be connected with an adhesive or the like without being overlapped with each other. Further, after overlapping and fusion bonding, for example, the front waterproof sheet 20 may be fixed with an anchor or the like by using the reinforcing plate 50 of Fig. The portion of the front waterproof sheet 20 that is in contact with the water supply trough may be formed as a cylinder in the form of a cylinder of the front waterproof sheet 20 and then arranged to have a certain space with the trough so as to facilitate the discharge of moisture. Since these methods are well know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f necessary, a separate fabric is inserted between the front waterproof sheet 20 and the bottom 11 in the form of a sheet to be utilized for buffering and humidity control. Further, a pipe made of PVC or the like is installed on the floor 11 through the waterproof sheet 20 to control the humidity.

제1 방수 구조체(100)는 측벽(12)에 배치되며, 제1 내측 적층체(IL1) 및 제1 커버 적층체(CL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내측 적층체(IL1)는 측벽(12)에 직접 부착되며, 제1 커버 적층체(CL1)는 제1 내측 적층체(IL1)를 덮는다. 제1 커버 적층체(CL1)의 일측은 바닥(11)의 전면 방수시트(20)에 접촉하고, 타측은 제1 내측 적층체(IL1)의 상부를 감싸면서 덮는다. 제1 커버 적층체(CL1)의 타측의 단부는 측벽(12)에 부착된다. 경우에 따라, 상기 일측은 절곡되어 전면 방수시트(20) 상에 수평하게 연장되어 전면 방수시트(20)에 접착될 수 있다. The first waterproofing structure 100 is disposed on the side wall 12 and comprises a first inner laminate IL1 and a first cover laminate CL1. The first inner laminate IL1 is directly attached to the side wall 12 and the first cover laminate CL1 covers the first inner laminate IL1. One side of the first cover laminate CL1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waterproof sheet 20 of the bottom 11 and the other side is covered while covering the top of the first inside laminate IL1.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ver laminate CL1 is attached to the side wall 12. In some cases, the one side may be folded and horizontally extended on the front side waterproof sheet 20 to be adhered to the front side waterproof sheet 20.

제1 내측 적층체(IL1)는 프라이머층(14), 제1 코트층(15), 제1 부직포(21) 및 전면 방수시트(2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전면 방수시트(20) 및 제1 부직포(21)는 바닥(11)으로부터 측벽(12)까지 연장되며, 이를 위해, 전면 방수시트(20) 및 제1 부직포(21)는 코너(13) 부분에서 절곡된다. 방수시트가 바닥(11) 및 측벽(12) 상에 위치하므로, 이를 전면 방수시트(20)라고 한다. 전면 방수시트(20) 및 제1 부직포(21)를 바닥(11)으로부터 절곡해서 사용하면, 코너(13)에서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프라이머층(14) 및 제1 코트층(15)은 제1 부직포(21) 및 측벽(12) 사이에 위치하고, 바닥(11)까지 연장된다.The first inner laminate IL1 is formed by sequentially laminating a primer layer 14, a first coat layer 15, a first nonwoven fabric 21 and a front waterproof sheet 20 in this order. At this time, the front waterproof sheet 20 and the first nonwoven fabric 21 extend from the bottom 11 to the side wall 12. For this purpose, the front waterproof sheet 20 and the first nonwoven fabric 21 are joined to the corners 13, . Since the waterproof sheet is located on the bottom 11 and the side wall 12, this is referred to as a front waterproof sheet 20. When the front waterproof sheet 20 and the first nonwoven fabric 21 are bent from the bottom 11, leakage at the corners 13 can be prevented. The primer layer 14 and the first coat layer 15 are located between the first nonwoven fabric 21 and the side wall 12 and extend to the bottom 11.

프라이머층(14)은 측벽(12)에 제1 코트층(15)을 도막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 이미 알려진 조성물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물 100중량%에 대하여, 초산비닐(EVA), 아크릴 에멀젼, 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안료가 포함된 아크릴 에멀젼 등을 적절하게 혼합한 수지일 수 있다. 이때, 프라이머층(14)은 각각의 조성물의 함량을 변화시켜 점도를 달리하여, 점도가 다른 층을 적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이외에도, 부틸아크릴레이트, 프탈산 에스테르 에멀젼, 에폭시 에멀젼, 페놀 에멀젼 및 폴리옥시에틸렌 옥티페닐 에테르 에멀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부가할 수 있다. The primer layer 14 is for coating the first coat layer 15 on the sidewall 12, and a known composition is used. For example, it may be a resin in which vinyl acetate (EVA), acrylic emulsion, vinyl acetate, polyvinyl acetate, an acrylic emulsion containing a pigment, etc. are appropriately mixed with 100 wt% of water. At this time, the primer layer 14 may be formed by laminating layers having different viscosities by varying the content of each composition and varying the viscosity. In addition to the above composition, at least one selected from butyl acrylate, phthalic acid ester emulsion, epoxy emulsion, phenol emulsion and polyoxyethylene octiphenyl ether emulsion may be added.

제1 코트층(15)은 전면 방수시트(20)와의 직접적인 접착력이 약하다. 다시 말해, 제1 코트층(15)을 전면 방수시트(20)에 직접 접착하면, 접착력이 약하여 쉽게 떨어진다. 왜냐하면, 제1 코트층(15)의 친수성 성분이 소수성인 전면 방수시트(20)에 제대로 접착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1 부직포(21)를 매개로 하여 제1 코트층(15)을 전면 방수시트(20)에 접착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부직포(21)는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구성요소이다. 제1 코트층(15)은 굳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EVA, 아크릴 수지, 비닐아세테이트 및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부틸아크릴레이트 수지, 프탈산 에스테르 에멀젼, 에폭시 에멀젼 또는 페놀 에멀젼 및 폴리옥시에틸렌 옥티페닐에테르 에멀젼 등과 같은 물질이 부가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친수성인 아크릴계 제1 코트층(15)이 많이 사용된다. The first coat layer 15 has a weak direct adhesion with the front waterproof sheet 20. In other words, if the first coat layer 15 is directly adhered to the front waterproof sheet 20, the adhesive force is weak and falls easily. This is because the hydrophilic component of the first coat layer 15 is not adhered to the hydrophobic front waterproof sheet 20 properly. To prevent this, the first coat layer 15 is adhered to the front waterproof sheet 20 via the first nonwoven fabric 21. Accordingly, the first nonwoven fabric 2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ssential component. The first coat layer 15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EVA, acrylic resin, vinyl acetate, polyvinyl acetate, and the like. The first coat layer 15 may include a butyl acrylate resin, a phthalate ester emulsion, an epoxy emulsion or a phenol emulsion, Octiphenyl ether emulsion and the like may be added. More preferably, the acrylic first coat layer 15, which is hydrophilic, is often used.

프라이머층(14) 또는 제1 코트층(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1 커버 적층체(CL1) 및 측벽(12) 사이까지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라이머층(14)이 제1 커버 적층체(CL1) 및 측벽(12) 사이까지 확장되거나, 프라이머층(14) 및 제1 코트층(15)이 제1 커버 적층체(CL1) 및 측벽(12) 사이까지 확장될 수 있다. 프라이머층(14) 또는 제1 코트층(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1 커버 적층체(CL1) 및 측벽(12) 사이까지 확장되면, 제2 부직포(40)와 측벽(12)와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primer layer 14 or the first coat layer 15 may extend between the first cover laminate CL1 and the side wall 12. For example, if the primer layer 14 extends between the first cover laminate CL1 and the side wall 12, or the primer layer 14 and the first coat layer 15 are laminated on the first cover laminate CL1, And the sidewalls (12). When at least one of the primer layer 14 or the first coat layer 15 extends between the first cover laminate CL1 and the side wall 12,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second nonwoven fabric 40 and the side wall 12 .

제1 부직포(21)의 하나의 사례는 액상의 제1 코트층(15)의 함침 또는 침투가 용이하게 하는 메시(mesh) 구조로, 전면 방수시트(20)를 보호하는 완충역할도 한다. 제1 부직포(21)의 다른 사례는 섬유의 직포공정을 거치지 않고, 평행 또는 부정방향으로 배열하고 접착제 등으로 결합하여 펠트 모양을 이룬 것이다. 제1 부직포(21)는 전면 방수시트(20)에 열접착 또는 합성수지 접착제로 접착되어 있다. 제1 부직포(21)의 재질은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터 등과 같은 합성수지가 주로 사용되며, 본 발명의 제1 부직포(21)는 제1 코트층(15)과 결합력이 강한 재질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부직포(21)는 제1 코트층(15)과의 결합력이 강한 수지, 예컨대 폴리초산비닐이 함침 등으로 코팅된 것일 수 있다.One example of the first nonwoven fabric 21 is a mesh structure that facilitates the impregnation or penetration of the liquid first coat layer 15 and serves as a buffer for protecting the front waterproof sheet 20. Another example of the first nonwoven fabric 21 is a felt-like structure formed by arranging the fibers in parallel or in a negative direction without being subjected to a woven fabric process, and bonding them with an adhesive or the like. The first nonwoven fabric 21 is adhered to the front waterproof sheet 20 by thermal bonding or synthetic resin adhesive. The first nonwoven fabric 21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such as polyolefin, polyester or the like. The first nonwoven fabric 2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strong bonding force with the first coat layer 15. The first nonwoven fabric 21 may be coated with a resin having a strong binding force with the first coat layer 15, for example, polyvinyl acetate impregnated.

제1 부직포(21)는 전면 방수시트(20)에 단단하게 결합된 부직포와 방수시트의 일체형이 바람직하다. 제1 부직포(21)는 바닥(11)을 덮은 전면 방수시트(20)에 부착된 부직포가 연장된 것일 수 있다. 하지만, 만일 바닥(11)을 덮은 전면 방수시트(20)에 부직포가 없어서 일체형이 아니라면, 측벽(12)에 위치하는 제1 부직포(21)를 전면 방수시트(20)에 별도로 부착하여 구현할 수 있다. The first nonwoven fabric 21 is preferably integrally formed of a nonwoven fabric and a waterproof sheet firmly bonded to the front waterproof sheet 20. The first nonwoven fabric 21 may be formed by extending a nonwoven fabric attached to the front waterproof sheet 20 covering the bottom 11. However, if the front waterproof sheet 20 covering the bottom 11 does not have a nonwoven fabric, the first nonwoven fabric 21 positioned on the side wall 12 may be separately attached to the front waterproof sheet 20 .

앵커(30)는 나사, 못, 볼트와 같은 것으로, 제1 내측 적층체(IL1)를 관통하여 측벽(12)에 고정된다. 물론, 전면 방수시트(20)를 제1 부직포(21)를 매개로 하여 제1 코트층(15)으로만 고정할 수도 있으나, 제1 코트층(15) 및 전면 방수시트(20)의 접착부위가 바람, 외력 등에 의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앵커(30)를 통하여 보다 확실하게 결합시킨다. 즉, 1차적으로 제1 코트층(15)으로 전면 방수시트(20)를 접착하고, 2차적으로 앵커(30)로 제1 내측 적층체(IL1)를 고정하여 측벽 결합력을 높인다. 이에 반해, 종래에는 앵커에 의한 고정은 있으나, 제1 부직포(21)를 매개로 하는 제1 코트층(15)와의 접착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은 결합력을 얻을 수 없다. 앵커(30)의 간격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방수 구조체(100)가 적용되는 측벽(12)의 크기, 형상 등을 고려하여 조절된다.The anchor 30 is a screw, a nail, or a bolt, and is fixed to the side wall 12 through the first inside laminate IL1. Of course, the front waterproof sheet 20 may be fixed only to the first coat layer 15 via the first nonwoven fabric 21, but the adhesion of the first coat layer 15 and the front waterproof sheet 20 It can be detached by wind, an external force, or the like, so that it can be more reliably engaged through the anchor 30. That is, the front waterproof sheet 20 is primarily adhered to the first coat layer 15, and the first inner laminate IL1 is fixed with the anchor 30 to enhance the sidewall adhesion force. On the other hand, in the prior art, there is a fixing by an anchor, but there is no bonding with the first coat layer 15 via the first nonwoven fabric 21, so that the bonding force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be obtained. The spacing of the anchors 30 is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and shape of the side wall 12 to which the first waterproofing structure 100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제1 커버 적층체(CL1)는 제1 내측 적층체(IL1)에 의한 측벽 방수를 보완하고, 제1 내측 적층체(IL1)를 측벽(12)에 확실하게 고정한다. 이를 위해, 제1 커버 적층체(CL1)는 제1 내측 적층체(IL1)을 감싸고 상부는 측벽(12)에 부착된다. 또한, 제1 커버 적층체(CL1)는 제1 내측 적층체(IL1)의 앵커(30)를 덮으므로, 앵커(30)의 부식, 해체 등을 방지한다. 만일, 제1 커버 적층체(CL1)가 없다면, 앵커(30)가 부식되거나 해체되었을 때 제1 코트층(15)만으로 전면 방수시트(20)를 고정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전면 방수시트(20)의 분리가 일어날 가능성이 크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1 커버 적층체(CL1)는 전면 방수시트(20)의 결합을 보다 확실하게 하고, 나아가 방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다.The first cover laminate CL1 complements the side wall waterproofing by the first inside laminate IL1 and securely fixes the first inside laminate IL1 to the side wall 12. [ To this end, the first cover laminate CL1 surrounds the first inner laminate IL1, and the upper portion thereof is attached to the side wall 12. Further, since the first cover laminate CL1 covers the anchor 30 of the first inner laminate IL1, corrosion and disassembly of the anchor 30 are prevented. If the first cover laminate CL1 is not provided, the front waterproof sheet 20 is fixed only by the first coat layer 15 when the anchor 30 is corroded or disassembled. Thereby,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separation of the front waterproof sheet 20 occurs. The first cover laminate CL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more secure the bonding of the front waterproof sheet 20 and further to maximize the waterproof effect.

제1 커버 적층체(CL1)는 제2 부직포(40), 방수층(41) 및 제2 코트층(42)이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제2 부직포(40)의 재질은 제1 부직포(21)와 동일하다. 방수층(41)은 접착성 수지, 유화제, 소포제, 분산제, 방부제, 증점제, 안료, 물 등을 함유하는 방수제가 도포된 것이다. 상기 접착성 수지는 예컨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thylene- Vinyl-Acetate copolymer EVA), 실리콘 수지, 라텍스(latex) 및 아크릴에멀젼 수지(Acryl emulsion resin)를 포함한다. 상기 방수제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The first cover laminate CL1 is formed by laminating a second nonwoven fabric 40, a waterproof layer 41 and a second coat layer 42. [ The material of the second nonwoven fabric 40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nonwoven fabric 21. The waterproof layer 41 is coated with a waterproofing agent containing an adhesive resin, an emulsifier, a defoaming agent, a dispersant, a preservative, a thickener, a pigment, water and the like. The adhesive resin includes, for example, an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VA), a silicone resin, a latex, and an acrylic emulsion resin. The waterproofing agent can be selected variously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 코트층(42)은 친수성 또는 소수성 코트재 중의 어느 하나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친수성 코트재는 제1 코트층(15)과 동일한 물질을 사용한다. 상기 소수성 코트재는 수산기, 아미노기, 카르복실기 등과 같이 극성이 없어서 물분자와 친화성이 없는 관능기를 갖는 물질과 같이 물을 투과하지 않는 재질 중에 선택될 수 있다. 제2 코트층(42)은 친수성 코트재를 포함하는 층에 소수성 코트재를 적층할 수도 있다. 즉, 제2 코트층(42)은 소수성 코트재로만 층을 이루거나, 친수성 코트재 상에 소수성 코트재를 도포하여 구현할 수 있다. 친수성 코트재 상에 소수성 코트재를 단위로 하여, 여러 층을 적층할 수 있다. 상기 소수성 코트재를 적용하면, 본 발명의 제1 방수 구조체(100)는 수영장과 같은 수조에도 적용할 수 있다.The second coat layer 42 may be made of any one of hydrophilic and hydrophobic coat materials. The hydrophilic coating material uses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coat layer 15. The hydrophobic coating material may be selected from a material that does not transmit water, such as a material having a polarity such as a hydroxyl group, an amino group, a carboxyl group, or the like and having a functional group having no affinity for water molecules. The second coat layer 42 may be formed by laminating a hydrophobic coat material on the layer including the hydrophilic coat material. In other words, the second coat layer 42 may be formed of a hydrophobic coat material alone or may be formed by applying a hydrophobic coat material on the hydrophilic coat material. A plurality of layers can be laminated on the hydrophilic coat material in units of the hydrophobic coat material. When the hydrophobic coating material is applied, the first waterproofing structur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water tank such as a swimming pool.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1 방수 구조체(100)는 제1 부직포(21)를 매개로 하여 전면 방수시트(20)의 전면을 제1 코트층(15)으로 접착하여 1차적으로 고정한다. 또한, 전면 방수시트(20)를 포함하는 제1 내측 적층체(IL1)를 앵커(30)로 2차적으로 고정한다. 나아가, 제1 내측 적층체(IL1)를 제1 커버 적층체(CL1)로 감싸서 3차적으로 고정한다. 이와 같이, 제1 방수 구조체(100)는 3차에 걸쳐 고정함으로써, 측벽(12)의 결합력을 높이고, 방수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1 방수 구조체(100)는 실리콘 수지로 마감하는 종래의 방식에 비해 결합력 및 방수효과가 훨씬 우수하다.The first waterproofing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imarily fixes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waterproof sheet 20 with the first coat layer 15 through the first nonwoven fabric 21 and fixes it. Further, the first inner laminate IL1 including the front waterproof sheet 20 is secondarily fixed to the anchor 30. As shown in Fig. Further, the first inside laminate IL1 is wrapped with the first cover laminate CL1 and fixed in a tertiary manner.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waterproofing structure 100 is fixed three-dimensionally, thereby enhancing the bonding force of the side wall 12 and maximizing the waterproof effect. The first waterproofing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uch more excellent in bonding force and waterproofing effect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of finishing with a silicone resi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2 방수 구조체(200)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보강판(50)의 사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때, 제2 방수 구조체(200)는 보강판(50)이 부가된 것을 제외하고, 제1 방수 구조체(100)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FIG. 2 is a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waterproofing structur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reinforcing plate 50 of FIG. At this time, the second waterproof structure 200 is the same as the first waterproof structure 100 except that the reinforcing plate 50 is added. Accordingly, a detailed description of overlapping portions will be omitted.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2 방수 구조체(200)는 프라이머층(14), 제1 코트층(15), 제1 부직포(21), 전면 방수시트(20) 및 보강판(5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제2 내측 적층체(IL2)를 포함한다. 보강판(50)은 전면 방수시트(20) 및 제1 커버 적층체(CL1) 사이에 위치한다. 보강판(50)은 전면 방수시트(20)의 일부를 덮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강판 몸체(51), 앵커 삽입홀(52) 및 완충부(53)를 포함한다. 완충부(53)는 볼록한 형상의 테두리로써, 앵커(30)를 앵커 삽입홀(52)에 삽입하여 측벽(12)에 고정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며, 보강판 몸체(51)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경우에 따라, 완충부(53)는 생략할 수 있다.2 and 3, the second waterproof structure 200 includes a primer layer 14, a first coat layer 15, a first nonwoven fabric 21, a front waterproof sheet 20, and a reinforcing plate 50, And a second inner laminate (IL2) laminated in this order. The reinforcing plate 50 is located between the front waterproof sheet 20 and the first cover laminate CL1. The reinforcing plate 50 preferably covers a part of the front waterproof sheet 20 and includes a reinforcing plate body 51, an anchor insertion hole 52 and a buffer 53. The cushioning portion 53 is a rim of a convex shape and absorbs the impact generated when the anchor 30 is inserted into the anchor insertion hole 52 and fixed to the side wall 12 and the reinforcing plate body 51 is deformed ≪ / RTI > In some cases, the buffer 53 may be omitted.

보강판(50)은 앵커(30)로 고정하는 작업을 할 때, 앵커(30)에 의해 전면 방수시트(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전면 방수시트(20)가 측벽(12)에 보다 강하게 밀착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보강판(50)은 앞에서 설명한 1차 내지 3차 고정 이외에 4차 고정의 역할을 한다. 보강판 몸체(51)는 강성이 있는 재질이며, 측벽(12)의 세로방향(높이 방향)의 길이가 가로방향(폭 방향)보다 큰 것이 좋다. 보강판 몸체(51)는 금속판, 플라스틱판으로 만들어지며, 강판, 스테인레스판, 칼라강판, 아연판, 아크릴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앵커 삽입홀(52)은 측벽(12)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하나씩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측벽(12)의 크기, 형상에 따라 보강판(50) 및 앵커 삽입홀(52)의 개수를 달리한다. 보강판(50)은 전면 방수시트(20)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The reinforcing plate 50 prevents the front waterproof sheet 20 from being damaged by the anchor 30 when the reinforcing plate 50 is fixed by the anchor 30 and the front waterproof sheet 20 is attached to the side wall 12 Ensure strong adhesion. Thus, the reinforcing plate 50 plays a role of fourth-order fixing in addition to the first to third-order fixing described above. The reinforcing plate body 51 is made of a rigid material,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longitudinal length (height direction) of the side wall 12 is larger than the lateral direction (width direction). The reinforcing plate body 51 is made of a metal plate or a plastic plate, and a steel plate, a stainless steel plate, a color steel plate, a zinc plate, an acrylic plate, or the like can be used. The number of the reinforcing plate 50 and the number of the anchor insertion holes 52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ize and shape of the side wall 12. The number of the reinforcing plate 50 and the number of the anchor insertion holes 52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reinforcing plate 50 is disposed on the front waterproof sheet 20 at regular intervals.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3 방수 구조체(300)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때, 제3 방수 구조체(300)는 측벽 방수시트(60) 및 제3 부직포(61)가 부가된 것을 제외하고, 제1 방수 구조체(100)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third waterproofing structur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third waterproof structure 300 is the same as the first waterproof structure 100 except that the side wall waterproof sheet 60 and the third nonwoven fabric 61 are added. Accordingly, a detailed description of overlapping portions will be omitted.

도 4에 의하면, 제3 방수 구조체(300)는 프라이머층(14), 제1 코트층(15), 제1 부직포(21), 전면 방수시트(20), 측벽 방수시트(60) 및 제3 부직포(61)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제3 내측 적층체(IL3)를 포함한다. 측벽 방수시트(60)는 방수시트가 측벽(12)에 한정된다는 점에서, 전면 방수시트(20)와 구분된다. 전면 및 측벽 방수시트(20, 60)는 접착제로 접착될 수 있지만, 열로 융착하는 것이 좋다. 열로 융착하면, 전면 및 측벽 방수시트(20, 60)는 일체화된다. 제2 커버 적층체(CL2)는 제4 부직포(40a)가 제3 내측 적층체(IL3)의 상부를 덮는 것을 제외하고, 제1 커버 적층체(CL1)과 동일하다. 이때, 제4 부직포(40a)는 제3 부직포(61)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을 수 있다.4, the third waterproof structure 300 includes a primer layer 14, a first coat layer 15, a first nonwoven fabric 21, a front waterproof sheet 20, a side wall waterproof sheet 60, And a third inner laminate (IL3) in which a nonwoven fabric (61) is sequentially laminated. The side wall waterproof sheet 60 is distinguished from the front waterproof sheet 20 in that the waterproof sheet is limited to the side wall 12. The front and side waterproof sheets 20 and 60 may be bonded with an adhesive, but they are preferably fused with heat. When fused by heat, the front and side wall waterproof sheets 20 and 60 are integrated. The second cover laminate CL2 is the same as the first cover laminate CL1 except that the fourth nonwoven fabric 40a covers the upper portion of the third inside laminate IL3. At this time, the fourth nonwoven fabric 40a may cover a part or all of the third nonwoven fabric 61.

측벽 방수시트(60)에 부착된 제3 부직포(61)는 방수층(41)과 측벽 방수시트(60)가 접착하기 위한 매개체이다. 다시 말해, 방수층(41)을 측벽 방수시트(60)에 직접 접착하면, 접착력이 약하여 쉽게 떨어진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방수층(41)은 제3 부직포(61)를 매개로 하여, 측벽 방수시트(60)에 접착한다. 도면에서는 제3 부직포(61) 상에 제2 부직포(40)가 있는 상태를 표현하였으나, 제3 부직포(61) 상에는 제2 부직포(40)가 없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되면, 제2 부직포(40)는 제3 내측 적층체(IL3)의 상부에만 위치한다. 전면 및 측벽 방수시트(20, 60)를 일체화하면, 제3 방수 구조체(300)의 강성이 증대하여 외력을 견디는 힘이 커지므로, 보다 견고하게 측벽(12)에 부착된다. The third nonwoven fabric 61 attached to the side wall waterproof sheet 60 is a medium for bonding the waterproof layer 41 and the side wall waterproof sheet 60 to each other. In other words, if the waterproof layer 41 is directly adhered to the side wall waterproof sheet 60, the adhesive force is weak and falls easily.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the waterproof layer 41 adheres to the side wall waterproof sheet 60 via the third nonwoven fabric 61. Although the second nonwoven fabric 40 is shown on the third nonwoven fabric 61,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second nonwoven fabric 40 is not provided on the third nonwoven fabric 61. In this case, the second nonwoven fabric 40 is located only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hird inner laminate IL3. When the front and side waterproof sheets 20, 60 are integrated, the rigidity of the third waterproof structure 300 is increased, and the force against the external force is increased, so that the third waterproof structure 300 is more firmly attached to the side wall 12.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4 방수 구조체(400)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때, 제4 방수 구조체(400)는 보강판(50)이 부가된 것을 제외하고, 제3 방수 구조체(300)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ourth waterproof structure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fourth waterproof structure 400 is the same as the third waterproof structure 300 except that the reinforcing plate 50 is added. Accordingly, a detailed description of overlapping portions will be omitted.

도 5에 의하면, 제4 방수 구조체(400)는 프라이머층(14), 제1 코트층(15), 제1 부직포(21), 전면 방수시트(20), 측벽 방수시트(60), 제3 부직포(61) 및 보강판(5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제4 내측 적층체(IL4)를 포함한다. 보강판(50)의 구조 및 역할은 제2 내측 적층체(IL2)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전면 및 측벽 방수시트(20, 60)의 일체화 및 제3 부직포(61)의 기능 및 역할은 제3 내측 적층체(IL3)에서와 같다. 이에 따라, 제4 내측 적층체(IL4)는 제2 및 제3 내측 적층체(IL2, IL3)의 장점이 그대로 반영된다. 이때, 제4 내측 적층체(IL4)는 제1 커버 적층체(CL1)가 덮는다.5, the fourth waterproof structure 400 includes a primer layer 14, a first coat layer 15, a first nonwoven fabric 21, a front waterproof sheet 20, a side wall waterproof sheet 60, The nonwoven fabric 61 and the reinforcing plate 50 are laminated in this order. The structure and role of the reinforcing plate 50 are as described in the second inner laminate IL2. Further, the integration of the front and side waterproof sheets 20, 60 and the function and role of the third nonwoven fabric 61 are the same as in the third inner laminate IL3. Accordingly, the advantages of the second and third inner laminates IL2 and IL3 are directly reflected in the fourth inner laminate IL4. At this time, the fourth inside laminate IL4 is covered with the first cover laminate CL1.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5 방수 구조체(500)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때, 제5 방수 구조체(500)는 보강판(50)의 위치가 변경된 것을 제외하고, 제4 방수 구조체(400)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ifth waterproof structure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fifth waterproof structure 500 is the same as the fourth waterproof structure 400 except that the position of the reinforcing plate 50 is changed. Accordingly, a detailed description of overlapping portions will be omitted.

도 6에 의하면, 제5 방수 구조체(500)는 프라이머층(14), 제1 코트층(15), 제1 부직포(21), 전면 방수시트(20), 보강판(50), 측벽 방수시트(60) 및 제3 부직포(61)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제5 내측 적층체(IL5)를 포함한다. 보강판(50)의 구조 및 역할은 제2 내측 적층체(IL2)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전면 및 측벽 방수시트(20, 60)의 일체화 및 제3 부직포(61)의 기능 및 역할은 제3 내측 적층체(IL3)에서와 같다. 보강판(50)이 전면 및 측벽 방수시트(20, 60)에 위치함으로써, 전면 방수시트(20)의 고정을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이에 따라, 전면 및 측벽 방수시트(20, 60)는 열로 융착한다. 제5 내측 적층체(IL5)는 제2 및 제3 내측 적층체(IL2, IL3)의 장점이 그대로 반영된다. 이때, 제4 내측 적층체(IL5)는 제2 커버 적층체(CL2)가 덮는다.6, the fifth waterproof structure 500 includes a primer layer 14, a first coat layer 15, a first nonwoven fabric 21, a front waterproof sheet 20, a reinforcing plate 50, (60) and a third nonwoven fabric (61) are sequentially laminated. The structure and role of the reinforcing plate 50 are as described in the second inner laminate IL2. Further, the integration of the front and side waterproof sheets 20, 60 and the function and role of the third nonwoven fabric 61 are the same as in the third inner laminate IL3. The reinforcing plate 50 is placed on the front and side wall waterproof sheets 20 and 60 so that the fixing of the front waterproof sheet 20 can be more surely secured. At this time, the front and side wall waterproof sheets 20 and 60 are fused with heat. The fifth inner layered body IL5 reflects the merits of the second and third inner layered bodies IL2 and IL3 as they are. At this time, the fourth inner laminate IL5 is covered with the second cover laminate CL2.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방수 구조체들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때, 상기 변형예는 제1 방수 구조체(100)를 예로 들었으며, 통기관(70)이 부가된 것을 제외하고, 제1 방수 구조체(100)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통기관(70)은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5 방수 구조체(200, 300, 400, 500)에도 적용된다.7 is a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modification of the waterproofing structur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modification example is the same as the first waterproofing structure 100 except that the first waterproofing structure 100 is taken as an example and a vent pipe 70 is added. Accordingly, a detailed description of overlapping portions will be omitted. The vent pipe 70 is also applied to the second to fifth waterproof structures 200, 300, 400, and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의하면, 통기관(70)은 파이프(pipe) 형태로써, 일측은 바닥(11)과 전면 방수시트(20) 사이에 위치하고, 타측은 측벽(12)에서 제1 방수 구조체(10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통기관(70)은 내부에 유로가 있는 파이프 형태, 플라스틱, 금속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방수 구조체(100)에서의 통기관(70)은 측벽(12) 및 프라이머층(14) 사이 또는 프라이머층(14) 및 제1 코트층(15)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제1 방수 구조체(100)의 외측으로 돌출된 통기관 헤드(71)는 U자 형태고 구부려져 있어서, 빗물 등이 침투하지 않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통기관 헤드(71)는 고정밴드(72)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측벽(12)에 고정되는 것이 좋다. 통기관 헤드(71)의 단부가 향하는 방향은 본 발명의 방수 구조체가 적용되는 환경에 따라 다르게 할 수 있다.7, the vent pipe 70 is in the form of a pipe, one side of which is located between the bottom 11 and the front waterproof sheet 20 and the other side is the side of the first waterproof structure 100 on the side wall 12 . The vent pipe 70 may be formed of a pipe, a plastic, a metal, or the like having a flow path therein. The vent tube 70 in the first waterproof structure 100 may pass between the side wall 12 and the primer layer 14 or between the primer layer 14 and the first coat layer 15. The vent pipe head 71 protruding outside the first water repellent structure 100 is bent in a U-shape so that rainwater and the like are prevented from penetrating. Preferably, the vent tube head 71 is fixed to the side wall 12 with a fixing means such as a fixing band 72. The direction of the end of the vent pipe head 71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to which the waterproof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통기관(7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개수 및 직경은 바닥(11)의 크기, 제1 방수 구조체(100)의 설치 장소 등을 고려하여 조절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바닥(11)에는 통기관(70)이 움직이거나 훼손되지 않도록, 통기관(70)을 지지하는 별도의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통기관(70)은 바닥(11)에서의 습기를 배출하여, 바닥(11)에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한다. 필요한 경우, 일정한 시간마다 통기관(70)에 강제로 건조한 공기를 투입하여, 강제로 순환시켜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The number and the diameter of the ventilation pipes 70 may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bottom 11 and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first waterproofing structure 100. Although not shown, the bottom 11 may have a separate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vent pipe 70 so that the vent pipe 70 is not moved or damaged. The vent pipe 70 discharges the moisture at the bottom 11 to prevent moisture from reaching the bottom 11. If necessary, forcibly dried air may be injected into the vent pipe 70 at regular intervals, and forcedly circulated to remove moisture.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many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possible.

IL1, IL2. IL3. IL4, IL5; 제1 내지 제5 내측 적층체
CL1, CL2; 제1 및 제2 커버 적층체
100, 200, 300, 400, 500; 제1 내지 제5 방수 구조체
10; 콘크리트 구조물 11; 바닥
12; 측벽 13; 코너
14; 프라이머층 15; 제1 코트층
20, 60; 전면 및 측벽 방수시트
21; 제1 부직포 30; 앵커
40, 40a; 제2 및 제4 부직포
41; 방수층 42; 제2 코트층
50; 보강판 51; 보강판 몸체
52; 앵커 삽입홀 53; 완충부
61; 제3 부직포 70; 통기관
71; 통기관 헤드 72; 고정밴드
IL1, IL2. IL3. IL4, IL5; The first through fifth inside laminates
CL1, CL2; The first and second cover laminates
100, 200, 300, 400, 500; The first to fifth waterproof structures
10; Concrete structure 11; floor
12; Side walls 13; corner
14; Primer layer 15; The first coat layer
20, 60; Front and side wall waterproof sheet
21; A first nonwoven fabric 30; anchor
40, 40a; The second and fourth nonwoven fabric
41; A waterproof layer 42; The second coat layer
50; Reinforcing plate 51; Reinforced plate body
52; Anchor insertion hole 53; Buffer
61; A third nonwoven fabric 70; Vent pipe
71; A vent tube head 72; Fixed band

Claims (11)

바닥 및 측벽으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구조물의 측벽을 배치되고, 내측 적층체 및 커버 적층체로 구성되며,
상기 내측 적층체는 상기 측벽에 대하여 프라이머층, 제1 코트층, 제1 부직포 및 전면 방수시트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 적층체는 상기 내측 적층체를 덮고, 제2 부직포, 방수층 및 제2 코트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 적층체는 앵커에 의해 관통되어 측벽에 고정되고, 상기 전면 방수시트는 상기 바닥으로부터 상기 측벽으로 연장되며, 상기 커버 적층체의 일측은 상기 바닥의 상기 전면 방수시트와 접촉하고 타측은 상기 내측 적층체의 상부를 감싸면서 상기 측벽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를 활용한 측벽 방수 구조체.
A side wall of a concrete structure composed of a bottom and side walls, and is constituted by an inner laminate and a cover laminate,
Wherein the inner laminate is formed by sequentially laminating a primer layer, a first coat layer, a first nonwoven fabric, and a front waterproof sheet on the side wall, the cover laminate covering the inner laminate, the second nonwoven fabric, And a second coat layer are sequentially laminated,
Wherein the inner laminate is penetrated by an anchor to be fixed to the side wall, the front waterproof sheet extends from the bottom to the side wall, one side of the cover laminate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waterproof sheet of the bottom, And a side wall waterproofing structure using the waterproof sheet, wherein the side wall waterproof structure is bonded to the side wall while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laminated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방수시트 및 상기 제2 부직포 사이에는 상기 앵커가 삽입되는 보강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를 활용한 측벽 방수 구조체.The side wall waterproofing structure using the waterproof sheet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einforcing plate between the front waterproof sheet and the second nonwoven fabric to which the anchor is insert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은 금속판 또는 플라스틱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를 활용한 측벽 방수 구조체.The side wall waterproofing structure using the waterproof sheet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reinforcing plate is made of a metal plate or a plastic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층 및 상기 전면 방수시트 사이에는 측벽 방수시트 및 제3 부직포가 삽입되고, 상기 제2 부직포는 상기 내측 적층체의 상부는 덮는 제4 부직포가 되며, 상기 전면 및 측벽 방수시트는 열로 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를 활용한 측벽 방수 구조체.The waterproofing she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ide wall waterproof sheet and a third nonwoven fabric are inserted between the waterproof layer and the front waterproof sheet, and the second nonwoven fabric is a fourth nonwoven fabric that covers an upper portion of the inner laminate, Wherein the sheet is fused to the he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층 및 상기 전면 방수시트 사이에는 측벽 방수시트 및 제3 부직포가 삽입되고, 상기 제3 부직포 및 상기 제2 부직포 사이에는 상기 앵커가 삽입되는 보강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를 활용한 측벽 방수 구조체.The waterproofing sheet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einforcing plate between which the side wall waterproof sheet and the third nonwoven fabric are inserted between the waterproof layer and the front waterproof sheet, and the anchor is inserted between the third nonwoven fabric and the second nonwoven fabric Side wall waterproof structure utilizing a waterproof she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층 및 상기 전면 방수시트 사이에는 측벽 방수시트 및 제3 부직포가 삽입되고, 상기 전면 방수시트 및 상기 측벽 방수시트 사이에는 상기 앵커가 삽입되는 보강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면 및 측벽 방수시트는 열로 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를 활용한 측벽 방수 구조체.The waterproofing sheet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einforcing plate inserted between the waterproof layer and the front waterproof sheet and including a side wall waterproof sheet and a third nonwoven fabric, and between the front waterproof sheet and the side wall waterproof sheet, And the front and side wall waterproof sheets are welded together with he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및 상기 전면 방수시트 사이에는, 일측은 상기 바닥과 상기 전면 방수시트 사이에 위치하고 타측은 상기 커버 적층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통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를 활용한 측벽 방수 구조체.The waterproof sheet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vent pipe between the side wall and the front waterproof sheet, one side of which is positioned between the bottom and the front waterproof sheet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cover laminate A side wall waterproofing structure utilizing th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관의 통기관 헤드는 U자 형태로 굽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를 활용한 측벽 방수 구조체.The side wall waterproofing structure using the waterproof sheet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vent pipe head of the vent pipe is curved in a U-shap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관 헤드는 고정밴드에 의해 상기 측벽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를 활용한 측벽 방수 구조체.The side wall waterproofing structure using the waterproof sheet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vent pipe head is fixed to the side wall by a fixing ba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트층은 친수성 코트재 또는 소수성 코트재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친수성 코트재 및 상기 소수성 코트재가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를 활용한 측벽 방수 구조체.The sidewall waterproof structure utilizing the waterproof she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coat layer is formed of one of a hydrophilic coat material and a hydrophobic coat material, or the hydrophilic coat material and the hydrophobic coat material are lamin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 및 상기 제1 코트층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커버 적층체 및 상기 측벽 사이로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를 활용한 측벽 방수 구조체.The side wall waterproof structure utilizing the waterproof she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rimer layer and the first coat layer extends between the cover laminate and the side wall.
KR1020180000573A 2018-01-03 2018-01-03 Waterproof structure of side wall using waterproof sheet KR1018831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573A KR101883132B1 (en) 2018-01-03 2018-01-03 Waterproof structure of side wall using waterproof she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573A KR101883132B1 (en) 2018-01-03 2018-01-03 Waterproof structure of side wall using waterproof she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3132B1 true KR101883132B1 (en) 2018-07-27

Family

ID=63078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0573A KR101883132B1 (en) 2018-01-03 2018-01-03 Waterproof structure of side wall using waterproof she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3132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0578A (en) * 2001-09-03 2003-03-10 (주)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Synthetic resin pad and multipurpose construction method for anti-vibrating, waterproofing and soundproofing using thereof
KR100744727B1 (en) * 2007-04-06 2007-08-01 (주)대호특수건설 Expoused double waterproof plus film of paint and sheet in the building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KR20090079706A (en) * 2008-01-18 2009-07-22 주식회사 미람아이에프 Exhaustion Apparatus for Waterproofing Layer Protec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0578A (en) * 2001-09-03 2003-03-10 (주)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Synthetic resin pad and multipurpose construction method for anti-vibrating, waterproofing and soundproofing using thereof
KR100744727B1 (en) * 2007-04-06 2007-08-01 (주)대호특수건설 Expoused double waterproof plus film of paint and sheet in the building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KR20090079706A (en) * 2008-01-18 2009-07-22 주식회사 미람아이에프 Exhaustion Apparatus for Waterproofing Layer Prote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7014B1 (en) Urethane waterproof membrane structure comprising fiber reinforced mesh,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A2516135C (en) Fiberglass reinforced spray foam roof construction
CA2951537C (en) Roofing underlayment
KR101690138B1 (en) Complex waterproof method for reinforcing concrete structure using multi synthetic rubber
KR100593460B1 (en) Process for forming complex waterproof and anticorrosive layers by using water-system coating and woven fabric sheet
KR102410842B1 (en) Waterproof sheet for exterior of concrete or structure with ease of on-site construction
KR101532734B1 (en) Water Proofing Layer Having Non-Woven Fabric Seat and Water Proof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883132B1 (en) Waterproof structure of side wall using waterproof sheet
WO2000058578A1 (en) Portable building
US4503107A (en) Construction barrier board
JP7117731B2 (en) Joint tape for waterproof base and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JP2018009435A (en) Roof floor structure of building
KR101173410B1 (en) Complex waterproof method and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1056548B1 (en) Waterproof structure of building bottom including multiple sheets for air way and buffer and method thereof
KR20150105044A (en) Water Proofing Sheet and Water Proofing Using Thereof
KR101832830B1 (en) Composite waterproof sheet
JP5692922B2 (en) Building outer wa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JP2020180435A (en) Sheet waterproof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JP7034460B2 (en) Roof waterproof repair system
JP6899623B2 (en) Joint structure of building sheets
JP7318849B2 (en) Seat waterproof structure
KR102060317B1 (en) Bracket for improved durability of panel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JP6711491B2 (en) Fixture and waterproof structure
KR102273788B1 (en) Leakage prevention structure and leakage prevention method for repairing leaks of concrete structures
JP7045053B2 (en) Building roof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