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3107B1 - 전격살충기 - Google Patents

전격살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3107B1
KR101883107B1 KR1020170089501A KR20170089501A KR101883107B1 KR 101883107 B1 KR101883107 B1 KR 101883107B1 KR 1020170089501 A KR1020170089501 A KR 1020170089501A KR 20170089501 A KR20170089501 A KR 20170089501A KR 101883107 B1 KR101883107 B1 KR 101883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ltraviolet lamp
light
ultraviolet
window
gr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9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응도
Original Assignee
이응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응도 filed Critical 이응도
Priority to KR1020170089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3107B1/ko
Priority to PCT/KR2018/007112 priority patent/WO201901346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3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3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2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 A01M1/223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by using electrocu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4Attracting insects by using illumination or colou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Abstract

자외선 램프의 한면 또는 타측면 광 출력 특성이 다른 전격살충기가 개시된다. 날벌레를 감전시킬 전압 레벨로 설정되는 일정 전압이 인가되고 일정 전압의 플러스 전극과 마이너스 전극이 교대로 배열되면서 두 전극간 간격이 다르게 여러 개 배열되며 인가된 일정 전압으로 간격 크기에 따라 크기가 다른 날벌레를 포획하는 격자판(110); 격자판(110) 전면에서 자외선 광을 출력하며 전면과 후면이 다른 밝기로 자외선 광을 출력하면서 날벌레를 유인하고 케이스(150)에 고정된 좌 우 소켓(127)에 탈부착되는 자외선 램프(120); 격자판(110)과 자외선 램프(120)의 평면 외곽 테두리를 둘러싸는 케이스(150)에서 자외선 램프(120) 전면에 설치되고 일측이 케이스(150)와 경첩(151)으로 결합되고, 타측이 케이스(150)와 자물장치(152)로 결합되어 자물장치(152)를 잠그거나 풀어 닫거나 열리는 안전망(130); 및 자물장치(152)가 풀리거나 안전망(130)이 열리면 격자판(11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 차단 장치(140)를 포함한다. 따라서 격자판(110)의 전극 간격을 다르게 여러 개 배열하여 인가된 일정 전압으로 크기가 다른 날벌레를 포획할 수 있고, 좌 우 소켓 모양을 다르게 하여 자외선 램프(120)가 결합되는 방향을 일정하게 만들어서 날벌레를 유인하는 자외선 램프(120)의 전면 또는 후면 광 출력 특성을 지정하는 형태로 항상 동일하게 유지하는 장점이 있고, 자물장치(152)가 풀리거나 안전망(130)이 열릴 때 격자판(11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켜 사용자가 부주위하게 격자판(110)을 만지더라도 감전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전격살충기 안전망 또는 본체의 구성품을 승인되지 않은 불특정인의 개폐나 분리등 조작이나 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폐나 분리 등의 동작을 할시에는 경고음이나 램프불빛을 발생 시킬수 있으며, 필요시 위와 같은 제품동작이 실행될시에는 필요한 곳으로 핸드폰 또는 문자 및 기타 원격의 방법으로 알리는 기능을 갖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전격살충기{BUGS KILLER BY ELECTRICAL}
본 발명은 전격살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날벌레를 유인해서 전기 감전으로 날벌레를 포획하는 장치로, 자외선 램프의 전면이나 후면 또는 양측면의 광 출력 특성이 서로 다르도록 하였고, 날벌레들의 크기가 다양해도 격자전극의 전극간격을 여러 종류로 간격을 설정하여 다양한 크기의 날벌레들을 하나의 살충기로 포획 살충할 수가 있으며, 살충기 전후면에 착설된 안전망에 경첩 및 안전장치를 장착하여 안전망의 분리 및 청소를 안전 및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전격살충기에 관한 것이다.
전격살충기는 자외선 광으로 날벌레를 유인하고 전극에 전기를 인가해서 전극에 닿은 날벌레를 감전시켜 포획한다. 자외선 광은 날벌레를 유인하는 UV-A 계열이고, 전극에 가해지는 전원은 고압이다. 이러한 종래 전격살충기에서 자외선 광은 전면 또는 후면의 광 출력 특성이 일정해서 날벌레 유인 확률이 일정하였고, 이러한 일정된 광출력 불빛은 사용자나 주변에 나름의 광피해를 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극에 가해진 전압 또는 전류 레벨이 고압이어서 사용자가 부주의하게 전극을 만지는 경우 감전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극 간격이 일정해서 전극 간격보다 작은 크기의 날벌레는 전극에 감전되지 않고 통과해서 포획되지 않는 문제점과 살충기 고압격자판에 붙은 날벌레들을 청소하기 위하여 그동안 좁은 안전망 사이로 작은 붓을 밀어 넣어 청소를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번호: 10-1623314, 분리형 전격 살충기 등록번호: 10-1573714, 해충제거용 전격 살충기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크기가 다른 날벌레를 포획하고, 자외선 램프(120)의 양측면의 광 출력 특성을 다르게 만들고, 사용자가 격자판(110)에 감전되지 않도록 안전망을 분리시나 격자판을 청소시에 살충기 본체에 안전장치와 개폐장치가 장착되어 안전과 사용에 편리한 전격살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격자판(110) 전면 및 후면에서 자외선 광을 출력하며, 일측면과 타측면이 다른 밝기나 광량으로 자외선 광을 출력하면서 날벌레를 유인하고, 자외선 램프(120)의 전면 또는 후면 또는 필요 위치에 광 출력 특성이 다르다.
또한, 자외선 램프(120)는 케이스(150)에 고정된 좌 우 소켓(127)에 탈부착된다.
또한, 격자판(110)은 날벌레를 감전시킬 전압 레벨로 설정되는 일정 전압이 인가되고 일정 전압의 플러스 전극과 마이너스 전극이 교대로 배열되면서 두 전극간 간격이 다르게 여러 개 배열되며 인가된 일정 전압으로 간격 크기에 따라 크기가 다른 날벌레를 포획한다.
또한, 격자판(110)과 자외선 램프(120)의 평면 외곽 테두리를 둘러싸는 케이스(150)에서 자외선 램프(120) 전면에 설치되는 안전망(130)을 더 포함한다.
또한, 격자판(110)과 자외선 램프(120)의 평면 외곽 테두리를 둘러싸는 케이스(150)에서 자외선 램프(120) 전면에 설치되는 안전망(130)은 일측이 상기 케이스(150)와 경첩(151)으로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케이스(150)와 자물장치(152)로 결합되어 자물장치(152)를 잠그거나 풀어 닫거나 열린다.
또한, 자물장치(152)가 풀리거나 안전망(130)이 열리면 격자판(11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 차단 장치(140)를 더 포함한다.
또한, 격자판(110)은 날벌레 크기로 정해지는 1mm이상-20mm 의 다양한 간격 크기를 가진다.
또한, 자외선 램프(120)는 한면과 타측면 밝기나 광량을 다르게 출력하도록 한면에 투명창(122)과 타측면에 반투명창(123)을 가지고, 반투명창(123)의 투과율이 다르게 정해지면서 반투명창(123)의 광특성이 변화된다.
또한, 자외선 램프(120)는 투명창(122) 또는 반투명창(123)에 광 투과율을 변화시키는 그림 또는 도형(126)을 가지고, 그림 또는 도형(126) 개수는 필요한 광 투과율에 맞게 설정된다.
또한, 자외선램프의 투명창 및 반투명창의 광투과율을 투명창과 반투명창에 적용시킨 칼라의 명암에 따라서 광투과율이 조절된다.
또한, 좌 우 소켓 모양이 다르게 구성되어 자외선 램프(120)가 일정 방향을 갖고 소켓에 연결되고, 좌 우 소켓 모양은 자외선 램프(120)가 삽입되는 방향에 따라 각기 다른 너비나 모양을 가지고, 소켓에서 자외선 램프(120)가 맞닿는 접합 모양이 도형으로 형성되어 끼워진다.
또한, 전격살충기의 안전보호망 또는 본체의 구성품이 분리 또는 개방 및 이상 동작시, 이러한 상황을 경고음 또는 램프불빛으로 주변에 알리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전격살충기의 안전보호망 또는 본체의 구성품이 분리 또는 개방 또는 지정된 내용으로 동작시, 이러한 상황을 사용자가 필요한 곳으로 핸드폰 또는 문자 및 기타 원격의 방법으로 알리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격살충기를 이용할 경우에는 격자판(110)의 전극 간격을 다르게 여러 개 배열하여 인가된 일정 전압으로 크기가 다른 날벌레를 포획할 수 있다.
또한, 좌 우 소켓 모양을 다르게 하여 자외선 램프(120)가 결합되는 방향을 일정하게 만들어서 날벌레를 유인하는 자외선 램프(120)의 전면 또는 후면 광 출력 특성을 항상 동일하게 유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램프의 전후방 또는 특정방향 밝기를 다양한 방법으로 각 제어하여, 날벌레들을 포획하는 능력이나 램프의 밝기로 인해 야간에 발생할 수 있는 광피해를 줄이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자물장치(152)가 풀리거나 안전망(130)이 열릴 때 격자판(11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켜 사용자가 부주위하게 격자판(110)을 만지더라도 감전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전격살충기 안전망 또는 본체의 구성품을 승인되지 않은 불특정인의 개폐나 분리 등 조작이나 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타 지정된 동작을 할시에는 경고음이나 램프불빛을 발생시킬수 있으며, 필요시 위와 같은 제품동작이 실행될시에는 필요한 곳으로 핸드폰 또는 기타의 방법으로 문자나 경고음을 알리는 기능을 갖도록 하였다.
도 1은 안전망이 열리면 전원이 차단되는 전격살충기의 전면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전극 간격이 서로 다르게 배열되는 전격살충기의 격자판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좌 우 모양이 다른 소켓과 자외선 램프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자외선 램프를 보호하는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전면 커버 또는 후면 커버에 그림 또는 도형이 구성되는 예시도이다.
도 6은 전면 커버 또는 후면 커버가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구성되는 예시도이다.
도 7은 전격살충기의 일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8은 전격살충기에 설치된 발광표시램프와 경고음발생장치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안전망이 열리면 전원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차단되고, 다양한 전극 간격이 서로 다르게 배열되고, 전격살충기는 좌 우 모양이 다른 소켓에 결합되는 자외선 램프를 가지고, 자외선 램프를 보호하는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를 가지고, 전면 커버 또는 후면 커버에는 그림 또는 도형이 구성되고, 전면 커버 또는 후면 커버가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상기 자외선램프의 투명창 및 반투명창의 광투과율을 투명창과 반투명창에 적용시킨 칼라의 농암에 따라서도 광투과율이 조절될수 있다.
도 1은 안전망이 열리면 전원이 차단되는 전격살충기의 전면을 보인 예시도이다.
안전망(130)이 열리면 전격살충기의 격자판(110)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된다. 안전망(130)은 전격살충기 케이스(150) 일측에 경첩(151)으로 결합되고, 타측이 자물장치(152)로 결합된다. 경첩(151)은 안전망(130)이 자물장치(152)로부터 분리되어 열리도록 한다. 자물장치(152)가 풀리거나 안전망(130)이 열리면 감지 센서가 자물장치(152) 풀림 또는 안전망(130) 열림을 감지하고 전원 차단 장치(140)의 전원을 차단한다. 감지 센서는 자물장치(152) 상태 또는 안전망(130) 상태를 감지하고 전원 차단 장치(140)에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원 오프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전원 오프 신호는 안전망(130)이 열릴 수 있을 때를 감지 센서가 미리 예측해서 전원 차단 장치(140)가 격자판(11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동작한다. 전원 오프 신호는 온 또는 오프 신호일 수 있다.
감지 센서는 자석 또는 스위치일 수 있다. 자석 감지 센서는 자석 힘이 감지되거나 감지되지 않는 경우를 감지하고, 스위치는 스위치가 온 또는 오프되는 경우를 감지한다. 자물장치(152) 잠금 또는 자물장치(152) 풀림과 안전망(130) 열림 또는 안전망(130) 닫음과 같은 이벤트에 대응하게 감지 센서에서 해당하는 이벤트가 설정될 수 있다.
전원 차단 장치(140)는 감지 센서로부터 전원 오프 신호를 수신하면 격자판(11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격자판(110)에는 날벌레를 감전시킬 전압 레벨의 일정 전압이 인가되는데 전원 차단 장치(140)가 격자판(11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켜 인가된 일정 전압을 오프시킬 수 있다. 격자판(110)에 일정 전압이 오프되면 격자판(110)에 달라붙은 날벌레를 청소할 수 있다. 사용자가 부주위로 격자판(110)을 만지더라도 감전되지 않는다.
도 2는 전극 간격이 서로 다르게 배열되는 전격살충기의 격자판을 보인 예시도이다.
격자판(110)은 전극 간격이 필요한 간격으로 서로 다르게 배열된다. 날벌레는 종류에 따라 크기가 다르다. 격자판(110)의 전극 간격이 일정하면 전극 간격 보다 작은 날벌레는 격자판(110)에 감전되지 않고 통과하는 일이 발생한다. 전극 사이를 무사 통과하는 날벌레를 없애고 크기가 다른 날벌레를 감전시키기 위해 격자판(110)의 전극 간격이 서로 다르게 배열될 수 있다. 전극 간격은 날벌레 크기에 따라 1mm-20mm로 정해질 수 있다.
격자판(110)에서 전극은 플러스 단자와 마이너스 단자가 서로 교대로 배열되며 여러 개 구성된다. 플러스 단자에는 전원의 양극이 마이너스 단자에는 전원의 음극이 연결된다. 격자판(110)의 전극 사이에 날벌레가 달라 붙으면 날벌레를 통해 전류가 흐르게 되어 감전된다.
격자판(110) 전극에는 날벌레를 감전시킬 수 있는 전압 및 전류 레벨을 가지는 전원이 인가된다. 전극에 고압이 인가되는 경우 사용자가 부주위로 만질 때 감전될 수 있으므로 날벌레를 감전시킬 수 있는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격자판(110)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 공급 장치는 직류 또는 교류일 수 있다. 직류는 플러스 전극과 마이너스 전극이 바뀌지 않지만 교류는 플러스 전극과 마이너스 전극이 바뀐다. 직류에서 요구되는 전압 및 전류 레벨과 교류에서 요구되는 전압 및 전류 레벨이 해당 전기 특성에 맞게 선택된다.
도 3은 자외선 램프를 보호하는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를 보인 예시도이다.
자외선 램프(120)는 날벌레를 유인하는 자외선 광을 출력하고, 자외선 광을 출력하는 램프에 날벌레가 직접적으로 닿지 않도록 전면 커버(124)와 후면 커버(125)를 가질 수 있다.
자외선 램프(120)는 전면 또는 후면을 가지는 PCB 기판에 자외선 광을 출력하는 LED를 실장할 수 있다. PCB 기판에 실장된 LED는 전면 또는 후면에서 다른 광 세기를 출력할 수 있다. LED 외에도 자외선 램프(120)는 형광등일 수 있다.
자외선 램프(120)는 날벌레를 유인할 수 있는 UV-A 타입의 자외선 광을 출력한다. UV-A 타입의 자외선 광은 사람에게 해를 주지 않으면서 날벌레를 유인하는 효과를 가진다. 날벌레 유인 확률을 높이기 위해 자외선 광의 파장대도 선택될 수 있다.
도 4는 전면 커버 또는 후면 커버에 그림 또는 도형이 구성되는 예시도이다.
전면 커버(124) 또는 후면 커버(125)는 그림 또는 도형(126)을 구성하여 자외선 램프(120)로부터 출력되는 광 세기를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림 또는 도형(126)은 광 투과율을 저해시켜 광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림 또는 도형(126) 개수가 많아지면 개수가 적을 때보다 광 투과율이 낮아서 광 세기가 더 낮을 수 있다.
그림 또는 도형(126)은 불투명하게 제작될 수 있다. 불투명하게 제작된 그림 또는 도형(126)은 구성된 개수에 따라 광 투과율을 조절해서 광 세기를 바꿀 수 있다.
도 5는 전면 커버 또는 후면 커버가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구성되는 예시도이다.
전면 커버(124) 또는 후면 커버(125)가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구성되어 전면 광 세기와 후면 광 세기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전면 커버(124)가 투명이고 후면 커버(125)가 반투명일 때 전면 광 세기가 후면 광 세기에 비해 강할 수 있다. 투명은 반투명에 비해 광 투과율이 높다. 높은 광 투과율은 광 세기를 증가시킨다. 전면 광 세기와 후면 광 세기 또는 서로를 다르게 구성해서 날벌레를 보다 잘 유인할 수 있다. 전면 또는 후면의 광 세기가 일정할 때보다 전면 또는 후면의 광 세기가 다를 때 날벌레 유인 정도가 클 수 있다. 날벌레 유인 정도가 클 때 격자판(110)에 감전되는 날벌레 숫자가 증가한다.
도 6은 좌 우 모양이 다른 소켓과 자외선 램프를 보인 예시도이다.
좌 우 모양이 다르게 좌 우 소켓(127)이 구성되고 좌 우 소켓(127)에 결합하는 자외선 램프(120)의 소켓(128)이 다르게 구성된다. 좌 우 모양이 다르므로 모양에 맞는 소켓이 해당 모양에 대응하는 소켓에 결합될 수 있다. 좌 우 소켓(127)에 정해진 소켓(128)이 결합하므로 자외선 램프(120)의 결합 방향을 항상 같게 만들 수 있다. 자외선 램프(120)가 가지는 전면 또는 후면의 광 세기 변화 특성이 좌 우 소켓(127) 모양에 의해 항상 같은 성질을 나타낸다. 자외선 램프(120)는 동일한 전면 또는 후면의 광 세기 변화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7은 전격살충기의 일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격자판(110)은 날벌레를 감전시킬 전압 레벨로 설정되는 일정 전압이 인가되고 일정 전압의 플러스 전극과 마이너스 전극이 교대로 배열되면서 두 전극간 간격이 다르게 여러 개 배열되며 인가된 일정 전압으로 간격 크기에 따라 크기가 다른 날벌레를 포획한다.
격자판(110)은 날벌레 크기로 정해지는 1mm이상-20mm 간격 크기를 가진다. 보통 3mm이내는 소형 하루살이 크기이고, 10mm는 통상 모기 크기이며, 그 이상 크기의 날벌레 종류도 다수 존재한다.
자외선 램프(120)는 격자판(110) 전면에서 자외선 광을 출력하며 전면과 후면이 다른 밝기로 자외선 광을 출력하면서 날벌레를 유인하고 케이스(150)에 고정된 좌 우 소켓(127)에 탈부착된다.
자외선 램프(120)는 전면과 후면 밝기를 다르게 출력하도록 하여 필요한 한면에 투명창(122)과 타측면에 반투명창(123)을 가지고, 반투명창(123)의 투과율이 다르게 정해진다.
자외선 램프(120)는 전면과 후면 밝기를 다르게 출력하도록 전면에 투명창(122)과 후면에 반투명창(123)을 가진다.
자외선 램프(120)는 투명창(122) 또는 반투명창(123)에 그림 또는 도형(126)을 가진다.
좌 우 소켓의 모양이 다르게 구성되어 자외선 램프(120)가 일정 방향을 갖고 소켓에 연결된다.
안전망(130)은 격자판(110)과 자외선 램프(120)의 평면 외곽 테두리를 둘러싸는 케이스(150)에서 자외선 램프(120) 전면에 설치되고 일측이 케이스(150)와 경첩(151)으로 결합되고, 타측이 케이스(150)와 자물장치(152)로 결합되어 자물장치(152)를 잠그거나 풀어 닫거나 열린다.
전원 차단 장치(140)는 자물장치(152)가 풀리거나 안전망(130)이 열리면 격자판(11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또한, 전격살충기 안전망 또는 본체의 구성품을 승인되지 않은 불특정인의 개폐나 분리등 조작이나 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타 지정된 조작이나 동작을 할시에는 전격살충기에서 경고음이나 램프불빛을 발생시킬수 있으며, 필요시 위와 같은 제품동작이 실행될시에는 필요한 곳으로 핸드폰 또는 기타의 방법으로 문자나 경고음을 알리는 기능을 갖도록 하였다.
도 8은 전격살충기에 설치된 발광표시램프와 경고음발생장치이다.
전격살충기의 발광표시램프(153)와 경고음발생장치(154)가 발광표시와 경고음발생을 처리한다. 이외에도 전격살충기는 문자로 스마트폰에 동작 표시를 알릴 수 있다. 전격살충기는 통신모듈을 탑재하여 스마트폰과 통신할 수 있고, 스마트폰으로 동작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스마트폰에서 전격살충기의 동작 및 이상 상태를 열람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격자판 120: 자외선 램프
122: 투명창
123: 반투명창 124: 전면 커버
125: 후면 커버 126: 그림 또는 도형
127: 좌 우 소켓 128: 자외선 램프의 소켓
130: 안전망 140: 전원 차단 장치
150: 케이스 151: 경첩
152: 자물장치 153: 발광표시램프
154: 경고음발생장치

Claims (13)

  1. 격자판(110) 전면 및 후면에서 자외선 광을 출력하며, 일측면과 타측면이 다른 밝기나 광량으로 상기 자외선 광을 출력하면서 날벌레를 유인하고, 자외선 램프(120)의 전면 또는 후면 또는 필요 위치에 광 출력 특성이 다르고,
    상기 자외선 램프(120)는 한면과 타측면 밝기나 광량을 다르게 출력하도록 한면에 투명창(122)과 타측면에 반투명창(123)을 가지고, 상기 반투명창(123)의 투과율이 다르게 정해지면서 상기 반투명창(123)의 광특성이 변화되고,
    상기 자외선램프의 투명창 및 반투명창의 광투과율을 투명창과 반투명창에 적용시킨 칼라의 명암에 따라서 광투과율이 조절되고,
    감지 센서로부터 전원 오프 신호를 수신하면 격자판(11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 차단 장치(140)를 포함하는 전격살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램프(120)는 케이스(150)에 고정된 좌 우 소켓(127)에 탈부착되는 전격살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판(110)은 상기 날벌레를 감전시킬 전압 레벨로 설정되는 일정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일정 전압의 플러스 전극과 마이너스 전극이 교대로 배열되면서 두 전극간 간격이 다르게 여러 개 배열되며 인가된 일정 전압으로 간격 크기에 따라 크기가 다른 날벌레를 포획하는 전격살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판(110)과 상기 자외선 램프(120)의 평면 외곽 테두리를 둘러싸는 케이스(150)에서 상기 자외선 램프(120) 전면에 설치되는 안전망(130)을 더 포함하는 전격살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판(110)과 상기 자외선 램프(120)의 평면 외곽 테두리를 둘러싸는 케이스(150)에서 상기 자외선 램프(120) 전면에 설치되는 상기 안전망(130)은 일측이 상기 케이스(150)와 경첩(151)으로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케이스(150)와 자물장치(152)로 결합되어 상기 자물장치(152)를 잠그거나 풀어 닫거나 열리는 전격살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차단 장치는 상기 자물장치(152)가 풀리거나 상기 안전망(130)이 열리면 상기 격자판(11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격살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판(110)은 날벌레 크기로 정해지는 1mm이상-20mm 의 다양한 간격 크기를 가지는 전격살충기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램프(120)는 상기 투명창(122) 또는 상기 반투명창(123)에 광 투과율을 변화시키는 그림 또는 도형(126)을 가지고, 그림 또는 도형(126) 개수는 필요한 광 투과율에 맞게 설정되는 전격살충기.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좌 우 소켓 모양이 다르게 구성되어 상기 자외선 램프(120)가 일정 방향을 갖고 소켓에 연결되고, 상기 좌 우 소켓 모양은 상기 자외선 램프(120)가 삽입되는 방향에 따라 각기 다른 너비나 모양을 가지고, 소켓에서 상기 자외선 램프(120)가 맞닿는 접합 모양이 도형으로 형성되어 끼워지는 전격살충기.
  12. 제1항에 있어서,
    전격살충기의 안전보호망 또는 본체의 구성품이 분리 또는 개방 및 이상 동작시, 이러한 상황을 경고음 또는 램프불빛으로 주변에 알리는 기능을 갖는 전격살충기.
  13. 제1항에 있어서,
    전격살충기의 안전보호망 또는 본체의 구성품이 분리 또는 개방 또는 지정된 내용으로 동작시, 이러한 상황을 사용자가 필요한 곳으로 핸드폰 또는 문자 및 기타 원격의 방법으로 알리는 기능을 갖는 전격살충기.
KR1020170089501A 2017-07-14 2017-07-14 전격살충기 KR101883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501A KR101883107B1 (ko) 2017-07-14 2017-07-14 전격살충기
PCT/KR2018/007112 WO2019013468A1 (ko) 2017-07-14 2018-06-22 전격살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501A KR101883107B1 (ko) 2017-07-14 2017-07-14 전격살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3107B1 true KR101883107B1 (ko) 2018-07-27

Family

ID=63078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9501A KR101883107B1 (ko) 2017-07-14 2017-07-14 전격살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83107B1 (ko)
WO (1) WO2019013468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5766A (en) * 1996-08-09 2000-05-02 Biosensory Insect Control Corporation Apparatus for attracting and destroying insects
KR20080098276A (ko) * 2007-05-04 2008-11-07 주식회사 세스코 포충등의 인터렉티브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20100083480A (ko) * 2009-01-14 2010-07-22 윤종효 반사면이 형성된 조명등
KR101391801B1 (ko) * 2008-05-02 2014-05-07 브랜덴버그 (유케이) 리미티드 곤충 트랩
KR101573714B1 (ko) 2015-08-26 2015-12-02 이응도 해충제거용 전격 살충기
KR101623314B1 (ko) 2015-10-13 2016-05-20 이응도 분리형 전격 살충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5766A (en) * 1996-08-09 2000-05-02 Biosensory Insect Control Corporation Apparatus for attracting and destroying insects
KR20080098276A (ko) * 2007-05-04 2008-11-07 주식회사 세스코 포충등의 인터렉티브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101391801B1 (ko) * 2008-05-02 2014-05-07 브랜덴버그 (유케이) 리미티드 곤충 트랩
KR20100083480A (ko) * 2009-01-14 2010-07-22 윤종효 반사면이 형성된 조명등
KR101573714B1 (ko) 2015-08-26 2015-12-02 이응도 해충제거용 전격 살충기
KR101623314B1 (ko) 2015-10-13 2016-05-20 이응도 분리형 전격 살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13468A1 (ko) 2019-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02080B (zh) 黏着型捕虫器
US11503820B2 (en) Insect trap device and method of using
CN112514862B (zh) 昆虫诱捕装置及使用方法
US10188091B2 (en) Portable light and insect extermination device
CN114868718B (zh) 黏着型捕虫器
CN110430752B (zh) 黏着型捕虫器
US20070144056A1 (en) Insect Erradication Apparatus
KR101883107B1 (ko) 전격살충기
KR20160028318A (ko) 자외선 발광다이오드가 장착된 전기 포충기
CN110430753B (zh) 黏着型捕虫器
KR101573714B1 (ko) 해충제거용 전격 살충기
KR20190068718A (ko) 모기 및 벌레 퇴치기
CN203327772U (zh) 昆虫敏感光源筛选装置
JP3589114B2 (ja) 殺虫装置
RU191372U1 (ru) Ультрафиолетовый дезинсектор-ловушка для уничтожения насекомых
JP2993808B2 (ja) 捕虫器
CN218999326U (zh) 一种昆虫捕捉装置
CN104823943A (zh) 多功能灯泡
TWI526156B (zh) With the lighting function of the electronic anti-cockroach strips
CN209824942U (zh) 一种灭蚊灯
KR200366425Y1 (ko) 날 벌레 감전사 기능을 겸비한 시계
CN105766853B (zh) 一种生物模拟跳蚤诱捕器
KR200351137Y1 (ko) 백 라이트로 구비되는 전격 해충 퇴치 벽시계
CN214385698U (zh) 电蚊拍
CN208338719U (zh) 杀虫灯及杀虫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