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2580B1 - 진동 피더용 트로프 장치 - Google Patents

진동 피더용 트로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2580B1
KR101882580B1 KR1020160125842A KR20160125842A KR101882580B1 KR 101882580 B1 KR101882580 B1 KR 101882580B1 KR 1020160125842 A KR1020160125842 A KR 1020160125842A KR 20160125842 A KR20160125842 A KR 20160125842A KR 101882580 B1 KR101882580 B1 KR 101882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trough
bottom portion
small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5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4710A (ko
Inventor
서대관
Original Assignee
서대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대관 filed Critical 서대관
Priority to KR1020160125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2580B1/ko
Publication of KR20160124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4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2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2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04Load carriers other than helical or spiral channels or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3Vibrating conveyors
    • B65G2812/0384Troughs, tub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3Vibrating conveyors
    • B65G2812/0384Troughs, tubes or the like
    • B65G2812/0388Troughs, tube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ging Conveyors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 피더용 트로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피더용 트로프 장치는 대공급 및 소공급용 진동 피더와 상기 대공급 및 소공급용 진동 피더 앞에 설치된 대공급용 진동 피더에 의해 공급받은 원료를 전방으로 이동시켜서 계량부에 투입하기 위한 진동 피더용 트로프 장치에 있어서, 하면이 상기 대공급 및 소공급용 진동 피더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1 바닥부와 하단이 상기 제1 바닥부의 좌측단과 결합하여 세워지는 제1 좌측면벽과 하단이 상기 제1 바닥부의 우측단과 결합하여 세워지는 제1 우측면벽과 하단이 상기 제1 바닥부의 후단과 결합하여 세워지는 제1 후면벽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바닥부와 상기 제1 좌측면벽과 상기 제1 우측면벽과 상기 제1 후면벽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을 가지며 전면 및 상면이 개구된 공급부와, 상기 제1 바닥부의 전단부와 결합하여 앞쪽 방향으로 뻗는 대공급 및 소공급용 트로프로서 상기 대공급 및 소공급용 트로프는 후단부가 상기 공급부의 전단부와 결합하고 전방으로 가면서 좌측 가장자리 및 우측 가장자리가 좌우 중심에 점점 가까워짐으로써 좌우 폭이 좁아지는 폭수축부와 후단부가 상기 폭수축부의 전단부와 결합하여 전방으로 뻗되 좌우 폭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소공급 이송부로 구성되는 대공급 및 소공급용 트로프 및 상기 대공급 및 소공급용 트로프의 아래에 위치하는 대공급용 트로프로서 하면이 상기 대공급용 진동 피더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2 바닥부와 하단이 상기 제2 바닥부의 좌측단과 결합하여 세워지는 제2 좌측면벽과 하단이 상기 제2 바닥부의 우측단과 결합하여 세워지는 제2 우측면벽과 하단이 상기 제2 바닥부의 후단과 결합하여 세워지는 제2 후면벽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바닥부와 상기 제2 좌측면벽과 상기 제2 우측면벽과 상기 제2 후면벽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을 가지며 전면 및 상면이 개구되어 상기 폭수축부의 좌측 가장자리 및 우측 가장자리로부터 흘러 내려오는 원료를 공급받아 제2 바닥부의 전면 가장자리를 통해 원료를 계량부로 배출시키는 대공급용 트로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소공급 이송부의 앞쪽 끝단이 상기 제2 바닥부의 앞쪽 끝단보다 앞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진동 피더용 트로프 장치 {TROUGH FOR VIBRATING FEEDER}
본 발명은 진동 피더용 트로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흐름성이 불량한 원료용 계량기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진동 피더용 트로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 및 도 2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의한 진동 피더용 트로프 장치는 라인 피더의 진동에 의한 직진성을 이용하여 원료를 공급하는 데 사용되는 트로프로서, 원료의 함습, 입자의 엉킴 현상 등의 이유로 흐름성이 불량한 비료, 고추가루, 조미료, 과자류 등의 원료 계량 시에 공급부를 넓게 하여 계량부에 원료의 공급이 용이하도록 설계되며, 원활한 흐름성을 얻고자 할 때 사용된다.
대공급 및 소공급용 트로프(a)에 원료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대공급 및 소공급용 피더(b)가 작동되면 원료의 일부는 대공급용 트로프(c)로 공급되고 나머지는 그대로 대공급 및 소공급용 트로프(a)의 좁은 구간을 따라 직선 이동을 하게 된다.
이때 대공급용 피더(d)도 동작을 시작하면 계량부(e)에 원료가 투입이 되어 계량이 시작된다. 계량부(e)로 목표 계량치에 근접한 양의 원료가 투입되면 대공급용 피더(c)는 작동을 멈추고 대공급 및 소공급용 피더(b)만 동작을 하면서 잔여 계량치만큼의 원료가 목표 계량치에 도달할 때까지 계량부(e)에 투입된다. 목표 계량치에 최종 도달하면 대공급 및 소공급용 피더(b)는 동작을 멈추고 계량부(e)에서 계량물의 배출이 끝나면 위의 과정을 반복하여 계량을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한 것과 같은 종래의 진동 피더용 트로프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소공급 계량 시마다 대공급용 트로프(c)의 일정 부위에 원료가 집중적으로 쌓이게 되고, 다음 대공급 시 쌓여있던 원료가 계량부(e)에 일시에 공급됨으로써 계량부(e)가 흔들려 정밀도가 떨어지게 되며, 일시에 공급되는 다량의 원료 투입으로 인해 소량 계량이 불가능하여 계량 범위가 축소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공급 및 소공급 시 원료가 공급되는 부분과 대공급 및 소공급용 트로프(a) 간의 연결 부위가 취약하여 마지막 배출이 이루어지는 트로프의 끝단에서 과도한 진폭이 발생하여 계량 정밀도가 하락되고, 끝단의 과다 진폭 방지를 위한 보강을 하더라도 트로프의 전체적인 중량 증가에 따른 가속력의 증가로 인하여 진폭을 줄이는 효과는 미비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흐름성이 불량한 원료용 계량기의 성능을 개선하고, 이와 더불어 최소의 비용으로 기존 계량기들의 개조까지 가능하도록 하여 성능 대비 극대화된 가격 경쟁력을 창출할 수 있는 진동 피더용 트로프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피더용 트로프 장치는 대공급 및 소공급용 진동 피더와 상기 대공급 및 소공급용 진동 피더 앞에 설치된 대공급용 진동 피더에 의해 공급받은 원료를 전방으로 이동시켜서 계량부에 투입하기 위한 진동 피더용 트로프 장치에 있어서, 하면이 상기 대공급 및 소공급용 진동 피더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1 바닥부와 하단이 상기 제1 바닥부의 좌측단과 결합하여 세워지는 제1 좌측면벽과 하단이 상기 제1 바닥부의 우측단과 결합하여 세워지는 제1 우측면벽과 하단이 상기 제1 바닥부의 후단과 결합하여 세워지는 제1 후면벽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바닥부와 상기 제1 좌측면벽과 상기 제1 우측면벽과 상기 제1 후면벽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을 가지며 전면 및 상면이 개구된 공급부와, 상기 제1 바닥부의 전단부와 결합하여 앞쪽 방향으로 뻗는 대공급 및 소공급용 트로프로서 상기 대공급 및 소공급용 트로프는 후단부가 상기 공급부의 전단부와 결합하고 전방으로 가면서 좌측 가장자리 및 우측 가장자리가 좌우 중심에 점점 가까워짐으로써 좌우 폭이 좁아지는 폭수축부와 후단부가 상기 폭수축부의 전단부와 결합하여 전방으로 뻗되 좌우 폭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소공급 이송부로 구성되는 대공급 및 소공급용 트로프 및 상기 대공급 및 소공급용 트로프의 아래에 위치하는 대공급용 트로프로서 하면이 상기 대공급용 진동 피더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2 바닥부와 하단이 상기 제2 바닥부의 좌측단과 결합하여 세워지는 제2 좌측면벽과 하단이 상기 제2 바닥부의 우측단과 결합하여 세워지는 제2 우측면벽과 하단이 상기 제2 바닥부의 후단과 결합하여 세워지는 제2 후면벽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바닥부와 상기 제2 좌측면벽과 상기 제2 우측면벽과 상기 제2 후면벽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을 가지며 전면 및 상면이 개구되어 상기 폭수축부의 좌측 가장자리 및 우측 가장자리로부터 흘러 내려오는 원료를 공급받아 제2 바닥부의 전면 가장자리를 통해 원료를 계량부로 배출시키는 대공급용 트로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소공급 이송부의 앞쪽 끝단이 상기 제2 바닥부의 앞쪽 끝단보다 앞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바닥부와 상기 대공급 및 소공급용 트로프는 좌측 가장자리 및 우측 가장자리에서 좌우 중심으로 가면서 하향 경사짐으로써 "V"자 홈통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폭수축부는 후단 가장자리의 폭이 상기 제1 바닥부의 전단 가장자리의 폭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진동 피더용 트로프 장치는 기존 대공급 및 소공급 시 대공급용 진동 피더 트로프의 일정 부분에 원료가 집중적으로 쌓이는 현상을 사선형 구조로 배출부를 제작하여 균일 분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공급 시 대공급용 진동 피더의 트로프에 균일하게 원료 공급이 되어 그 다음 회차의 계량 시 계량부로 원료가 급격하게 투입되는 현상이 사라지게 되며, 계량범위가 넓어져서 소량 계량도 가능하게 되고, 대공급 및 소공급용 공급부와 소공급용 이동부와의 결합 부위의 폭이 서로 일치하기 때문에 소공급용 이동부의 진동이 감소하게 되어 계량 정밀도가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공급 및 소공급용 공급부와 소공급용 이동부의 연결체의 좌우 중심을 따라 "V"자형 절곡부가 형성되어 내구성이 강하며, 이와 같이 보강 부재의 추가에 따른 중량 증가 없이 내구성이 강화된 구조로 인하여 반복되는 진동에 따른 소공급용 끝단의 상하 움직임 폭이 감소되어 정밀 계량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계량 대상이 되는 원료 종류가 바뀌면 트로프를 깨끗이 청소해야 하는데, 이때 위로부터 내려온 공급호퍼가 들어가있는 대공급 및 소공급용 공급부를 청소하려면 전면부에서 육안으로 보면서 청소를 해야 한다. 이 경우 종래 기술에서는 "ㄷ"자형으로 꺾여있는 소공급용 이동부가 전면 시야를 가리고 청소 시 걸리적거리는 부분이 됨으로써 청소가 불편하고 어려운 반면, 본 발명에서는 대공급 및 소공급용 공급부의 전면부가 완전히 개방되어 있어서 원료의 교체 및 작업종료 시 앞쪽에서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청소 및 유지보수를 하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피더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를 풀어서 기존에 장착된 트로프를 제거하고 본 발명에 의한 개선품으로 쉽게 교체할 수 있어서 기존 장치와의 호환성이 100%이기 때문에 최소의 비용으로 최고의 성능 향상을 이룰 수 있어서 투자비용 대비 최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 기술에 의한 진동 피더용 트로프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진동 피더용 트로프 장치를 나타낸 우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진동 피더용 트로프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진동 피더용 트로프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진동 피더용 트로프 장치를 나타낸 좌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진동 피더용 트로프 장치의 대공급 및 소공급용 트로프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진동 피더용 트로프 장치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평면도 및 좌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진동 피더용 트로프 장치는 공급부(10), 대공급 및 소공급용 트로프(20), 대공급용 트로프(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대공급 및 소공급용 진동 피더(100)는 공급부(10)와 대공급 및 소공급용 트로프(20)에 진동을 가하기 위한 것이고, 대공급용 진동 피더(200)는 대공급용 트로프(30)에 진동을 가하기 위한 것이다.
대공급 및 소공급용 진동 피더(100)와 대공급용 진동 피더(200)는 앞뒤로 간격을 두고 일렬로 설치되는데, 대공급용 진동 피더(200)가 대공급 및 소공급용 진동 피더(100)의 앞에 위치한다. 대공급용 진동 피더(200)의 앞에는 중량 측정을 위한 계량부(300)가 설치된다.
공급부(10)와 대공급 및 소공급용 트로프(20)는 일체로 형성되며 공급부(10)가 대공급 및 소공급용 진동 피더(100) 위에 거치되어 대공급 및 소공급용 진동 피더(100)가 앞뒤로 진동하면 공급부(10)와 대공급 및 소공급용 트로프(20)가 함께 진동하면서 공급부(10)와 대공급 및 소공급용 트로프(20) 위에 있는 원료를 전방으로 직선이동시켜서 계량부(300)로 투입한다.
또한, 대공급용 트로프(30)는 대공급용 진동 피더(200) 위에 거치되어 대공급용 진동 피더(200)가 앞뒤로 진동하면 대공급용 트로프(30)가 함께 진동하면서 대공급용 트로프(30) 위에 있는 원료를 직선이동시켜서 계량부(300)로 투입한다.
공급부(10)와 대공급 및 소공급용 트로프(20)는 하나의 몸체를 이루는 것이지만 설명의 편의상 구분한 것으로서, 공급부(10)는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계량용 원료를 받기 위한 부분이며 대공급 및 소공급용 트로프(20)는 공급부(10)에서 빠져나온 원료를 받쳐주는 부분이다.
공급부(10)와 대공급 및 소공급용 트로프(20)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좌측 가장자리 및 우측 가장자리에서 좌우 중심으로 가면서 하향 경사짐으로써 "V"자 홈통 형태를 가진다. 이와 같이 V자 형태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강도가 강해져서 별도의 보강재를 붙일 필요가 없고, 좌측 및 우측으로 언덕이 형성되어 좌측 또는 우측 가장자리로 원료가 떨어질 때 정밀하게 떨어지도록 한다.
공급부(10)는 제1 바닥부(11), 제1 좌측면벽(12), 제1 우측면벽(13), 제1 후면벽(14)으로 구성되고 전면 및 상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담긴 원료가 전면을 통해서만 빠져나가도록 구성된다.
대공급 및 소공급용 트로프(20)는 폭수축부(21)와 소공급 이송부(22)로 구성된다.
폭수축부(21)는 후단 가장자리가 공급부(10)의 전단 가장자리와 결합되며 폭수축부(21)의 후단부 좌우 폭과 공급부(10)의 전단부 좌우 폭이 일치되도록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폭수축부(21)는 전방으로 가면서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가 좌우 중심을 향해 가까워지도록 비스듬하게 뻗음으로써 전방으로 갈수록 좌우 폭이 좁아지는 정사다리꼴 형태를 이룬다. 그러나 반드시 정사다리꼴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좌측 가장자리 및 우측 가장자리가 동시에 좌우 중심을 향해 좁아지기만 하면 된다.
소공급 이송부(22)의 후단 가장자리는 대공급 및 소공급용 트로프(20)의 전단 가장자리에 결합하여 전방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하며, 소공급 이송부(22)의 좌우 폭은 변하지 않고 일정하다.
폭수축부(21)는 폭이 즐어드는 구조로 인하여 측면 가장자리를 통해 일부가 밑으로 떨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 대공급 및 소공급 둘 다를 위해 있는 것이라면, 소공급 이송부(22)는 좌우 폭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일직선으로 뻗는 구조로 되어 있어 오로지 소공급만을 위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즉, 원료가 폭수축부(21)를 지나갈 때는 폭이 점점 좁아지기 때문에 폭수축부(21)의 가장자리를 지나 대공급용 트로프(30)로 낙하하여 낙하한 원료가 대공급용으로 사용되나, 원료가 소공급 이송부(22)를 지날 때는 좌측이나 우측으로 떨어지지 않고 전방으로만 이동함으로써 마지막 단계의 정밀 계량을 위한 소공급에만 사용된다.
대공급용 진동 피더(200) 위에 설치되는 대공급용 트로프(30)는 제2 바닥부(31), 제2 좌측면벽(32), 제2 우측면벽(33), 제2 후면벽(34)을 포함하여 전면 및 상면이 터지고 속이 빈 직육면체 형태로 구성되고, 제2 바닥부(31)의 전단 가장자리가 계량부(300)의 개구된 상면 위에 있도록 거치된다.
대공급용 트로프(30)는 대공급 및 소공급용 트로프(20) 아래에 설치되어 폭수축부(21)의 좌측 및 우측 가장자리에서 떨어지는 원료를 받을 수 있게 설치되며,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소공급 이송부(22)의 전단 가장자리는 대공급용 트로프(30)의 전단 가장자리보다 앞쪽으로 더 돌출되어 있어서 소공급 이송부(22)의 전단 가장자리를 지나 떨어지는 원료가 계량부(300)의 개구된 상면을 통해 계량부(300)로 투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것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진동 피더용 트로프 장치의 작용을 도 7a 내지 도 7c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a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공급부(10)에 원료 공급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대공급 및 소공급용 진동 피더(100)가 작동되면 원료의 일부는 폭수축부(21)의 좌측 및 우측 가장자리를 통해 대공급용 트로프(30) 위로 흘러내려오는데 이때 폭수축부(21)의 좌측 및 우측 가장자리 모두가 사선으로 되어 있어서 대공급용 트로프(30)에 원료가 집중적으로 쌓이는 현상 없이 균일 분포가 이루어지며, 원료의 다른 일부는 소공급 이송부(22)를 따라 직선 운동을 한다.
도 7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대공급 및 소공급용 진동 피더(100)가 작동되는 가운데 대공급용 진동 피더(200)도 동작을 시작하면 대공급용 트로프(30)와 대공급 및 소공급용 트로프(20) 모두에서 원료가 계량부(300)로 투입되어 계량이 시작된다.
도 7c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계량부(300)에 목표 계량치에 근접하게 원료가 투입되면 대공급용 진동 피더(100)는 작동을 멈추고 대공급 및 소공급용 진동 피더(100)만 동작을 하여 소공급 이송부(22)를 통해서만 계량부(300)에 원료가 투입되어 잔여 계량치를 맞춰 계량을 한다.
계량치에 최종 도달하면 대공급 및 소공급용 진동 피더(100)도 동작을 멈추며, 계량부(300)에서 계량물의 배출이 끝나면 위의 과정을 반복하여 계량을 진행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들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적인 예들을 바탕으로 한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공급부 11: 제1 바닥부
12: 제1 좌측벽면 13: 제1 우측벽면
14: 제1 후면벽 20: 대공급 및 소공급용 트로프
21: 폭수축부 22: 소공급 이송부
30: 대공급용 트로프 31: 제2 바닥부
32: 제2 좌측면부 33: 제2 우측면부
34: 제2 후면벽 100: 대공급 및 소공급용 진동 피더
200: 대공급용 진동 피더 300: 계량부

Claims (3)

  1. 대공급 및 소공급용 진동 피더(100)와 상기 대공급 및 소공급용 진동 피더 앞(100)에 설치된 대공급용 진동 피더(200)에 의해 공급받은 원료를 전방으로 이동시켜서 계량부(300)에 투입하기 위한 진동 피더용 트로프 장치에 있어서,
    하면이 상기 대공급 및 소공급용 진동 피더(100)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1 바닥부(11)와, 하단이 상기 제1 바닥부(11)의 좌측단과 결합하여 세워지는 제1 좌측면벽(12)과, 하단이 상기 제1 바닥부(11)의 우측단과 결합하여 세워지는 제1 우측면벽(13)과, 하단이 상기 제1 바닥부(11)의 후단과 결합하여 세워지는 제1 후면벽(1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바닥부(11)와 상기 제1 좌측면벽(12)과 상기 제1 우측면벽(13)과 상기 제1 후면벽(14)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을 가지며, 전면 및 상면이 개구된 공급부(10);
    후단부가 상기 공급부(10)의 전단부와 결합하고 전방으로 가면서 좌측 가장자리 및 우측 가장자리가 좌우 중심에 점점 가까워짐으로써 좌우 폭이 좁아지는 폭수축부(21)와, 후단부가 상기 폭수축부(21)의 전단부와 결합하여 전방으로 뻗되 좌우 폭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소공급 이송부(22)로 구성되는 대공급 및 소공급용 트로프(20); 및
    상기 대공급 및 소공급용 트로프의 아래에 위치하는 대공급용 트로프로서, 하면이 상기 대공급용 진동 피더(200)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2 바닥부(31)와, 하단이 상기 제2 바닥부(31)의 좌측단과 결합하여 세워지는 제2 좌측면벽(32)과, 하단이 상기 제2 바닥부(31)의 우측단과 결합하여 세워지는 제2 우측면벽(33)과, 하단이 상기 제2 바닥부(31)의 후단과 결합하여 세워지는 제2 후면벽(3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바닥부(31)와 상기 제2 좌측면벽(32)과 상기 제2 우측면벽(33)과 상기 제2 후면벽(34)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을 가지며 전면 및 상면이 개구되어 상기 폭수축부(21)의 좌측 가장자리 및 우측 가장자리로부터 흘러 내려오는 원료를 공급받아 제2 바닥부(31)의 전면 가장자리를 통해 원료를 계량부(300)로 배출시키는 대공급용 트로프(30)를 포함하되,
    상기 소공급 이송부(22)의 앞쪽 끝단이 상기 제2 바닥부(31)의 앞쪽 끝단보다 앞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바닥부(11)와 상기 대공급 및 소공급용 트로프(20)는 좌측 가장자리 및 우측 가장자리에서 좌우 중심으로 가면서 하향 경사짐으로써 "V"자 홈통 형태를 가지고,
    상기 폭수축부(21)는 후단 가장자리의 폭이 상기 제1 바닥부(11)의 전단 가장자리의 폭과 일치하고,
    상기 대공급 및 소공급용 진동 피더(100) 및 상기 대공급용 진동 피더(200)는 앞뒤로 간격을 두고 일렬로 설치되고,
    상기 공급부(10)와 상기 대공급 및 소공급용 트로프(20)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피더용 트로프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60125842A 2016-09-28 2016-09-28 진동 피더용 트로프 장치 KR101882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842A KR101882580B1 (ko) 2016-09-28 2016-09-28 진동 피더용 트로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842A KR101882580B1 (ko) 2016-09-28 2016-09-28 진동 피더용 트로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4710A KR20160124710A (ko) 2016-10-28
KR101882580B1 true KR101882580B1 (ko) 2018-08-24

Family

ID=57244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5842A KR101882580B1 (ko) 2016-09-28 2016-09-28 진동 피더용 트로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25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2261B1 (ko) 2018-11-12 2019-07-19 서대관 볼트류 계량용 트로프 장치
KR102411399B1 (ko) * 2021-02-19 2022-06-22 주식회사 인스텍 레이저 성형 장치용 파우더 공급 관리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0890B2 (ja) 1996-09-26 2000-08-28 ハウス食品株式会社 固形原料供給ホッパー装置
JP2011256023A (ja) 2010-06-10 2011-12-22 Yamato Scale Co Ltd 直進フィーダ及びそれを用いた組合せ秤
JP2014040300A (ja) 2012-08-22 2014-03-06 Sintokogio Ltd 振動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0890B2 (ja) 1996-09-26 2000-08-28 ハウス食品株式会社 固形原料供給ホッパー装置
JP2011256023A (ja) 2010-06-10 2011-12-22 Yamato Scale Co Ltd 直進フィーダ及びそれを用いた組合せ秤
JP2014040300A (ja) 2012-08-22 2014-03-06 Sintokogio Ltd 振動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4710A (ko) 2016-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2580B1 (ko) 진동 피더용 트로프 장치
US497297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bulk material through a chute
HUE025725T2 (en) Plastic pellet dosing procedure
US3973703A (en) Device for discharging powdery or granular material
US20230064258A1 (en) Vibratory conveyor for bulk material
JPH0225775Y2 (ko)
NL8402754A (nl) Verdelende toevoerinrichting.
JP5835008B2 (ja) 粉体供給装置
CN109976133B (zh) 用于部件的受控分配的系统
EP0650910B1 (en) Isolation pad for a feeding system and a method for feeding material from the system
US4221306A (en) Vibrating feeder
CN209720062U (zh) 一种包装秤的送料机构
US20170030754A1 (en) Dosing apparatus
US2588030A (en) Feeder for oscillating conveyers
KR102002261B1 (ko) 볼트류 계량용 트로프 장치
CN103287596A (zh) 高精度奶粉充填机
EP000446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bulk containers
US20180029615A1 (en) Storage wagon for bulk material
CN210651618U (zh) 注塑机进料装置
US555572A (en) Nailing-machine
KR101076548B1 (ko) 수산물염장기
CN110980145A (zh) 一种组合秤的振动盘
UA19288U (en) Feed distributor
SU1588667A1 (ru) Питатель дл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CN115743791A (zh) 一种防漏件积木分包传送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