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2415B1 - 가스 후방 배출이 가능한 총기용 소음기 - Google Patents

가스 후방 배출이 가능한 총기용 소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2415B1
KR101882415B1 KR1020170178199A KR20170178199A KR101882415B1 KR 101882415 B1 KR101882415 B1 KR 101882415B1 KR 1020170178199 A KR1020170178199 A KR 1020170178199A KR 20170178199 A KR20170178199 A KR 20170178199A KR 101882415 B1 KR101882415 B1 KR 101882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ffle
cover
rear end
gas
rearw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8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영조 김 폴
Original Assignee
다산기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산기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다산기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8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24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2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2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1/00Barrels; Gun tubes; Muzzle attachments; Barrel mounting means
    • F41A21/30Silencers

Abstract

본 발명은 사격시의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총기용 소음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총기용 소음기는, 전방 캡; 상기 전방 캡 후단에 위치되는 원통형의 커버; 상기 커버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전방 캡의 후단에 위치되는 복수의 전방 배플; 상기 커버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전방 배플의 후단에 위치되는 확장 배플; 상기 커버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확장 배플의 후단에 위치되고, 가스의 후방 배출을 위해 외부와 연통되는 배출 개구가 형성된 후방 배플; 을 포함하고, 사격시에 발생되는 가스의 일부는 상기 확장 배플에서 차단되어 상기 후방 배플을 통해 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사격시에 발생되는 가스가 전방 및 후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압력 조절이 용이한 총기용 소음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스 후방 배출이 가능한 총기용 소음기 {Silencer for firearms capable of discharging gas backwards}
본 발명은 사격시의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총기용 소음기에 관한 것이다.
소음기는 총기의 총열 부분에 결합하여 사격시의 소음과 광원을 감쇄시키는 작용을 한다. 소염기는 발화염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총신의 선단부에 장착되는 장치이다.
총기의 격발시의 소음은 화약의 폭발로 인해 고압가스가 순간적으로 팽창하면서 발생된다. 소음기는 사격시에 화약이 폭발해서 약실을 나갈 때 고압가스가 천천히 여러 경로로 분산되어 나가도록 하여 소음을 감소시킨다.
총기는 연발 기능을 갖고 있으므로, 총기에 소음기를 장착했을 때 연발 기능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소음은 감소되도록 소음기를 설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소음기는 고압가스를 최대한 분산시키면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종래의 소음기는 사격시에 발생되는 고압가스를 여러 경로로 분산시키면서 배출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지만, 가스가 배출되는 방향은 전방에만 한정되어 있다. 이 경우, 총기에 소음기를 장착하였을 때 사격시에 발생되는 압력의 조절이 원활하지 않게 되어, 연속 발사(연발)가 잘 안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총기에 소음기를 장착하고 사격을 할 때 가스가 소음기의 전방으로만 배출되면서 압력이 증가하고, 그에 따라 가스가 노리쇠 쪽으로 과다 역류하여 사수의 시야를 흐리게 하면서 발사속도가 지나치게 빨라지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10-2000-0006785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사격시에 발생되는 가스가 전방 및 후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압력 조절이 용이한 총기용 소음기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총기용 소음기는, 전방 캡; 상기 전방 캡 후단에 위치되는 원통형의 커버; 상기 커버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전방 캡의 후단에 위치되는 복수의 전방 배플; 상기 커버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전방 배플의 후단에 위치되는 확장 배플; 상기 커버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확장 배플의 후단에 위치되고, 가스의 후방 배출을 위해 외부와 연통되는 배출 개구가 형성된 후방 배플; 을 포함하고, 사격시에 발생되는 가스의 일부는 상기 확장 배플에서 차단되어 상기 후방 배플을 통해 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 배플은 중앙 개구가 형성된 차단 플레이트와, 상기 차단 플레이트의 상기 중앙 개구에서 이격되고 원 형상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후방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후방 돌출부를 포함하고, 가스는 상기 차단 플레이트에서 차단되어 상기 후방 돌출부 사이의 공간을 통해 확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 배플은 상기 후방 돌출부를 덮으면서 후방으로 단면이 축소되어 연장되는 단면축소부와, 상기 단면축소부와 연결되고 상기 커버의 내경과 일치하는 외경을 갖고 소정의 각도로 이격되어 복수의 절개홈이 형성된 원판이 복수 개 후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원판부와, 상기 원판부와 연결되고 소정의 각도로 이격되어 외부와 연통되는 복수의 상기 배출 개구가 형성된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면축소부에는 소정의 각도로 이격되어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후방 개구가 형성되고, 서로 인접하는 상기 원판에서 상기 절개홈은 어긋나게 배치되고, 상기 확장 배플에서 확장된 가스가 상기 후방 개구를 통해 후방으로 유동한 후, 복수의 상기 원판의 상기 절개홈들 사이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방 캡은 측면에 소정의 각도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측방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전방 배플은 상기 전방 캡에 삽입되고 가스가 상기 측방 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측방 개구와 연통되는 연통부를 갖는 전방 제1 배플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후방 배플과 결합되는 후방 결합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방 결합부에는 원주를 따라 측면 개구가 형성되어 상기 배출 개구를 통해 후방으로 유동한 가스가 상기 측면 개구를 통해 측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격시에 발생되는 가스가 전방 및 후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압력 조절이 용이한 총기용 소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와 소염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커버가 제거되어 내부의 구성요소들이 노출되도록 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구성요소들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와 소염기가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와 소염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사격시의 가스의 후방 배출 경로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3에서 확장 배플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에서 후방 배플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3에서 전방 제1 배플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도 3과 동일한 방향으로 본 도면이고, (b)는 (a)와 반대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커버가 제거되어 내부의 구성요소들이 노출되도록 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구성요소들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소음기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서 사격시의 가스의 후방 배출 경로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2에서 확장 배플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2에서 후방 배플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와 소염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커버가 제거되어 내부의 구성요소들이 노출되도록 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구성요소들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와 소염기가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와 소염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사격시의 가스의 후방 배출 경로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3에서 확장 배플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에서 후방 배플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3에서 전방 제1 배플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도 3과 동일한 방향으로 본 도면이고, (b)는 (a)와 반대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총기용 소음기(이하, 소음기)는 사격시에 발생되는 가스가 후방으로도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압력 분산에 의해 압력 조절이 용이하고 연발이 잘 되면서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소음기(100)는 전방 캡(110), 커버(101), 전방 배플(120, 131, 132, 133, 134), 확장 배플(140), 후방 배플(150) 등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소음기(100)는 주로 소총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소염기(10)와 결합되어 사용되지만, 소음기(100)는 소염기(10)와 결합되지 않고 총신(1)과 직접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소음기(100)가 총신(1)과 결합될 때는, 총신(1)과 결합하기 위해 소음기(100)의 일부 구조가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전방은 탄환이 배출되는 방향이고, 후방은 전방의 반대방향을 말한다.
전방 캡(110)은 소음기(100)의 가장 전방에 위치되어, 탄환이 배출되는 곳이다. 전방 캡(110)은 탄환이 배출될 수 있도록 중앙에 형성된 전방 개구(111)와, 전면과 측면이 만나는 곳에 원주를 따라 소정의 각도로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에지 개구(112)와, 측면을 따라 소정의 각도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측방 개구(113)를 구비한다.
커버(101)는 원통형을 가지면서 전방 캡(110) 후단에 위치된다. 커버(101)의 내부에는 각종 부품들이 수용된다.
전방 배플(120, 131, 132, 133, 134)은 커버(101)의 내측에 삽입되어 전방 캡(110)의 후단에 위치된다. 전방 캡(110)의 후단에서부터 차례로 전방 제1 배플(120), 전방 제2 배플(131), 전방 제3 배플(132), 전방 제4 배플(133), 전방 제5 배플(134)이 배치된다.
전방 제1 배플(120)은 전방 캡(110)에 삽입되고 가스가 측방 개구(113)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측방 개구(113)와 연통되는 연통부를 갖는다.
도 9를 참조하면, 전방 제1 배플(120)은 대략 삼각형 형상의 판형부(121)와, 판형부(121)의 전방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절개홈 또는 개구를 갖고 후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 복수의 원반(122, 123, 124, 125)을 갖는다. 원반(122, 123, 124, 125)에 형성된 절개홈 또는 개구는 가스를 배출하기 위해 측방 개구(113)와 연통되는 연통부가 된다.
사격시에 발생되는 가스는 판형부(121)를 지나 복수의 원반(122, 123, 124, 125)의 개구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전방 캡(110)의 전방 개구(111), 에지 개구(112) 및 측방 개구(113)를 통해 배출된다.
전방 제2 배플(131)과 전방 제3 배플(132)은 후방으로 돌출되는 원반 형태를 갖고, 원반에는 가스를 전방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다수의 개구가 이격되어 형성된다.
전방 제4 배플(133)과 전방 제5 배플(134)은 후방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원반이 길이방향으로 연결된 형태를 갖고, 각각의 원반에는 가스를 전방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다수의 개구가 이격되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원반에 형성된 개구의 형상이나 위치는 동일하지 않다.
확장 배플(140)은 커버(101)의 내측에 삽입되어 전방 배플(120, 131, 132, 133, 134)의 후단에 위치된다.
도 7을 참조하면, 확장 배플(140)은 중앙 개구(141a)가 형성된 차단 플레이트(141)와, 차단 플레이트(141)의 중앙 개구(141a)에서 이격되고 원 형상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후방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후방 돌출부(142)를 포함한다. 인접하는 후방 돌출부(142) 사이에는 가스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통로(142a)가 형성된다.
차단 플레이트(141)에는 후방 돌출부(142)의 외측으로 개구(143)가 형성되어, 배출통로(142a)를 통과한 가스의 일부가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차단 플레이트(141)는 원주 끝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전방 돌출부(144)를 갖고, 전방 돌출부(144)의 사이에는 라운드진 홈(144a)이 형성된다.
차단 플레이트(141)의 중앙 개구(141a)에서 후방 돌출부(142)까지는 중앙 개구(141a)를 제외하고는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개구가 형성되지 않아서, 사격시에 발생되는 가스는 차단 플레이트(141)에서 전방 이동이 차단되어 후방 돌출부(142) 사이의 배출통로(142a)를 통해 확장될 수 있다.
후방 배플(150)은 커버(101)의 내측에 삽입되어 확장 배플(140)의 후단에 위치되고, 가스의 후방 배출을 위해 외부와 연통되는 배출 개구(155a)를 갖는다.
도 8을 참조하면, 후방 배플(150)은 단면축소부(151), 원판부(152, 153, 154) 및 배출부(155)를 갖는다.
단면축소부(151)는 확장 배플(140)의 후방 돌출부(142)를 덮으면서 후방으로 단면이 축소되어 연장된다. 단면축소부(151)에는 소정의 각도로 이격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후방 개구(151a)가 형성된다. 단면축소부(151)의 전방 쪽에도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이격된 절개홈(151b)이 형성된다. 후방 개구(151a)와 절개홈(151b)은 원주를 따라 어긋나게 배치된다.
원판부(152, 153, 154)는 단면축소부(151)와 연결되고 커버(101)의 내경과 일치하는 외경을 갖고 소정의 각도로 이격되어 복수의 절개홈(152a, 153a, 154a)이 형성된 원판이 복수 개 후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서로 인접하는 원판(152, 153, 154)에서 절개홈(152a, 153a, 154a)은 어긋나게 배치된다.
배출부(155)는 원판부(152, 153, 154)와 연결되고 소정의 각도로 이격되어 외부와 연통되는 복수의 배출 개구(155a)를 갖는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확장 배플(140)의 배출통로(142a)를 통해 확장된 가스는 후방 배플(150)의 후방 개구(151a)를 통해 후방으로 유동한 후, 복수의 원판의 절개홈들 사이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고, 배출 개구(155a)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서로 인접하는 원판(152, 153, 154)에서 절개홈(152a, 153a, 154a)은 어긋나게 배치되어, 후방으로 유동하는 가스가 지그재그 형태로 이동하면서 이동 경로가 가능한 한 길어지게 한다.
후방 배플(150)의 후단에는 소염기(10)와의 결합을 위한 수형 결합부가 형성된다. 후방 배플(150)의 후방에는 스프링(161), 릴리즈 링(162), 로킹 너트(163)가 배치된다.
스프링(161)은 후방 배플(150)의 수형 결합부를 통해 삽입된다.
릴리즈 링(162)은 스프링(161)의 후단에 위치된다. 릴리즈 링(162)에는 원주를 따라 측면 개구(162a)가 형성되고, 이러한 측면 개구(162a)는 배출 개구(155a)와 연통되어 가스를 측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로킹 너트(163)는 릴리즈 링(162)의 후단에 위치되고 후방 배플(150)의 수형 결합부와 결합되는 암형 결합부가 내측면에 형성된다. 그에 따라, 로킹 너트(163)는 후방 배플(150)과 나사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소음기(100)는 소염기(10)에 삽입된 상태에서, 로킹 너트(163)를 회전시켜 소염기(10)의 후단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소염기(1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릴리즈 링(162)과 로킹 너트(163)는 후방 배플(150)과 결합되어 사격시에 후방으로 유동된 가스를 측면 개구(162a)를 통해 측면으로 배출하기 위한 부분으로 후방 결합부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후방 결합부는 후방 배플(150)과 결합되고 배출 개구(155a)와 연통되는 측면 개구를 통해 가스를 측면으로 배출할 수 있다면, 릴리즈 링(162)과 로킹 너트(163)의 2개의 부재로 구성되지 않고 단일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후방 배플(150)과 후방 결합부가 별개의 부재로 구성되지만, 후방 배플(150)에 측면 개구가 형성되어 가스를 측면으로 배출하는 형태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소음기(100)에서, 사격시에 발생되는 가스의 일부는 확장 배플(140)에 의해 전방 이동이 차단되면서, 후방 배플(150)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여 배출 개구(155a) 및 릴리즈 링(162)의 개구를 통해 측면으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격시에 발생되는 가스는 전방 캡(110)을 통해 전방으로 배출되면서 후방 배플(150)을 따라 후방으로도 배출되므로, 가스압을 분산하여 압력 조절이 용이하고 가스가 노리쇠 쪽으로 과다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방 및 후방으로 배출되는 가스는 전방 캡(110)의 측면 및 릴리즈 링(162)의 측면을 통해 배출되게 한다. 그에 따라, 사격시에 가스에 의해 사수의 시야를 흐리게 하는 것을 방지하고, 연발 사격시 발사속도가 지나치게 빨라지지 않도록 하여 연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사격시에 발생되는 가스압의 분산에 의해 소음기(100)에 포함되는 부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에 가스가 전방으로만 배출되던 소음기는 전방으로만 배플이 배치되어 전방으로만 감음효과가 있으나, 본 발명의 경우 후방 배플(150)에 의해 감음효과가 전방 및 후방으로 동시에 발휘되어 종래의 소음기에 비해 길이를 줄일 수 있고, 같은 길이로도 더욱 우수한 감음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커버가 제거되어 내부의 구성요소들이 노출되도록 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구성요소들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소음기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서 사격시의 가스의 후방 배출 경로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2에서 확장 배플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2에서 후방 배플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상기 소음기(200)는 전방 캡(210), 커버(201), 전방 배플(221, 222, 223, 224, 231, 232, 233, 234), 확장 배플(240), 후방 배플(25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소음기(200)는 주로 권총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총신과 결합된다. 여기서, 전방은 탄환이 배출되는 방향이고, 후방은 전방의 반대방향을 말한다.
전방 캡(210)은 소음기(200)의 가장 전방에 위치되어, 탄환이 배출되는 곳이다. 전방 캡(210)은 탄환이 배출될 수 있도록 중앙에 형성된 전방 개구(211)와, 전면과 측면이 만나는 곳에 원주를 따라 소정의 각도로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에지 개구(212)와, 측면을 따라 소정의 각도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측방 개구(213)를 구비한다.
커버(201)는 원통형을 가지면서 전방 캡(110) 후단에 위치된다. 커버(201)의 내부에는 각종 부품들이 수용된다.
전방 배플(221, 222, 223, 224, 231, 232, 233, 234)은 커버(201)의 내측에 삽입되어 전방 캡(210)의 후단에 위치된다. 전방 캡(210)의 후단에서부터 차례로 전방 제1-1 배플(221), 전방 제1-2 배플(222), 전방 제1-3 배플(223), 전방 제1-4 배플(224), 전방 제2 배플(231), 전방 제3 배플(232), 전방 제4 배플(233), 전방 제5 배플(234)이 배치된다.
전방 제1-1 내지 제1-4 배플(또는 전방 제1 배플)(221, 222, 223, 224)은 전방 캡(210)에 삽입되고 가스가 측방 개구(213)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측방 개구(213)와 연통되는 연통부를 갖는다.
전방 제1-1 배플(221)과 전방 제1-4 배플(224)의 사이에 전방 제1-2 배플(222)과 전방 제1-3 배플(223)이 삽입된 상태에서, 전방 제1-1 배플(221)과 전방 제1-4 배플(224)은 나사식으로 체결된다.
전방 제1-1 내지 제1-4 배플(221, 222, 223, 224)은 각각 원반형을 갖고, 원반에는 소정의 각도로 이격된 복수의 개구 또는 절개홈이 형성된다. 원반에 형성된 복수의 개구 또는 절개홈은 측방 개구(213)와 연통되는 연통부가 된다.
사격시에 발생되는 가스는 순차적으로 전방 제1-4 배플(224)에서 전방 제1-1 배플(221)을 통과하여, 전방 캡(110)의 전방 개구(111), 에지 개구(112) 및 측방 개구(113)를 통해 배출된다.
전방 제2 배플(231)과 전방 제3 배플(232)은 후방으로 돌출되는 원반 형태를 갖고, 원반에는 가스를 전방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다수의 개구가 이격되어 형성된다.
전방 제4 배플(233)과 전방 제5 배플(234)은 후방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원반이 길이방향으로 연결된 형태를 갖고, 각각의 원반에는 가스를 전방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다수의 개구가 이격되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원반에 형성된 개구의 형상이나 위치는 동일하지 않다.
확장 배플(240)은 커버(201)의 내측에 삽입되어 전방 배플(221, 222, 223, 224, 231, 232, 233, 234)의 후단에 위치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확장 배플(240)은 중앙 개구(241a)가 형성된 차단 플레이트(241)와, 차단 플레이트(241)의 중앙 개구(241a)에서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고 원 형상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후방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후방 돌출부(242)를 포함한다. 인접하는 후방 돌출부(242) 사이에는 가스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통로(242a)가 형성된다.
차단 플레이트(241)에는 후방 돌출부(242)의 외측으로 개구(243)가 형성되어, 배출통로(242a)를 통과한 가스의 일부가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차단 플레이트(241)는 원주 끝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전방 돌출부(244)를 갖고, 전방 돌출부(244)의 사이에는 라운드진 홈(244a)이 형성된다.
차단 플레이트(241)의 중앙 개구(241a)에서 후방 돌출부(242)까지는 중앙 개구(241a)를 제외하고는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개구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서, 사격시에 발생되는 가스는 차단 플레이트(241)에서 전방 이동이 차단되어 후방 돌출부(242) 사이의 배출통로(242a)를 통해 확장될 수 있다.
후방 배플(250)은 커버(201)의 내측에 삽입되어 확장 배플(240)의 후단에 위치되고, 가스의 후방 배출을 위해 외부와 연통되는 배출 개구(255a)를 갖는다.
도 16을 참조하면, 후방 배플(250)은 단면축소부(251), 원판부(252, 253, 254) 및 배출부(255)를 갖는다.
단면축소부(251)는 확장 배플(240)의 후방 돌출부(242)를 덮으면서 후방으로 단면이 축소되어 연장된다. 단면축소부(251)에는 소정의 각도로 이격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후방 개구(251a)가 형성된다. 단면축소부(251)의 전방 쪽에도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이격된 절개홈(251b)이 형성된다. 후방 개구(251a)와 절개홈(251b)은 원주를 따라 어긋나게 배치된다.
원판부(252, 253, 254)는 단면축소부(251)와 연결되고 커버(201)의 내경과 일치하는 외경을 갖고 소정의 각도로 이격되어 복수의 절개홈(252a, 253a, 254a)이 형성된 원판이 복수 개 후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서로 인접하는 원판(252, 253, 254)에서 절개홈(252a, 253a, 254a)은 어긋나게 배치된다.
배출부(255)는 원판부(252, 253, 254)와 연결되고 원형상을 따라 소정의 각도로 이격되어 외부와 연통되는 복수의 배출 개구(255a)를 갖는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확장 배플(240)의 배출통로(242a)를 통해 확장된 가스는 후방 배플(250)의 후방 개구(251a)를 통해 후방으로 유동한 후, 복수의 원판의 절개홈들 사이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고, 배출 개구(255a)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서로 인접하는 원판(252, 253, 254)에서 절개홈(252a, 253a, 254a)은 어긋나게 배치되어, 후방으로 유동하는 가스가 지그재그 형태로 이동하면서 이동 경로가 가능한 한 길어지게 한다.
후방 배플(250)의 후단에는 총신과 결합을 위한 암형 결합부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소음기(200)에서, 사격시에 발생되는 가스의 일부는 확장 배플(240)에 의해 전방 이동이 차단되면서, 후방 배플(250)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여 배출 개구(255a)를 통해 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격시에 발생되는 가스는 전방 캡(210)을 통해 전방으로 배출되면서 후방 배플(250)을 따라 후방으로도 배출되므로, 가스압을 분산하여 압력 조절이 용이하여 연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사격시에 발생되는 가스압의 분산에 의해 소음기(200)에 포함되는 부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에 가스가 전방으로만 배출되던 소음기는 전방으로만 배플이 배치되어 전방으로만 감음효과가 있으나, 본 발명의 경우 후방 배플(250)에 의해 감음효과가 전방 및 후방으로 동시에 발휘되어 종래의 소음기에 비해 길이를 줄일 수 있고, 같은 길이로도 더욱 우수한 감음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 : 총신
10 : 소염기
100 : 소음기
110 : 전방 캡
111 : 중앙 개구
112 : 에지 개구
113 : 측면 개구
120, 131, 132, 133, 134 : 전방 배플
140 : 확장 배플
141 : 차단 플레이트
142 : 후방 돌출부
143 : 개구
150 : 후방 배플
151 : 단면축소부
151a : 후방 개구
152, 153, 154 : 원판부
155 : 배출부
155a : 배출 개구
161 : 스프링
162 : 릴리즈 링
162a : 측면 개구
163 : 로킹 너트

Claims (5)

  1. 삭제
  2. 총기용 소음기에 있어서,
    전방 캡;
    상기 전방 캡 후단에 위치되는 원통형의 커버;
    상기 커버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전방 캡의 후단에 위치되는 복수의 전방 배플;
    상기 커버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전방 배플의 후단에 위치되는 확장 배플;
    상기 커버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확장 배플의 후단에 위치되고, 가스의 후방 배출을 위해 외부와 연통되는 배출 개구가 형성된 후방 배플;
    을 포함하고,
    사격시에 발생되는 가스의 일부는 상기 확장 배플에서 차단되어 상기 후방 배플을 통해 후방으로 배출될 수 있고,
    상기 확장 배플은 중앙 개구가 형성된 차단 플레이트와, 상기 차단 플레이트의 상기 중앙 개구에서 이격되고 원 형상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후방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후방 돌출부를 포함하고,
    가스는 상기 차단 플레이트에서 차단되어 상기 후방 돌출부 사이의 공간을 통해 확장될 수 있는 총기용 소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배플은 상기 후방 돌출부를 덮으면서 후방으로 단면이 축소되어 연장되는 단면축소부와, 상기 단면축소부와 연결되고 상기 커버의 내경과 일치하는 외경을 갖고 소정의 각도로 이격되어 복수의 절개홈이 형성된 원판이 복수 개 후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원판부와, 상기 원판부와 연결되고 소정의 각도로 이격되어 외부와 연통되는 복수의 상기 배출 개구가 형성된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면축소부에는 소정의 각도로 이격되어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후방 개구가 형성되고,
    서로 인접하는 상기 원판에서 상기 절개홈은 어긋나게 배치되고,
    상기 확장 배플에서 확장된 가스가 상기 후방 개구를 통해 후방으로 유동한 후, 복수의 상기 원판의 상기 절개홈들 사이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 총기용 소음기.
  4. 총기용 소음기에 있어서,
    전방 캡;
    상기 전방 캡 후단에 위치되는 원통형의 커버;
    상기 커버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전방 캡의 후단에 위치되는 복수의 전방 배플;
    상기 커버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전방 배플의 후단에 위치되는 확장 배플;
    상기 커버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확장 배플의 후단에 위치되고, 가스의 후방 배출을 위해 외부와 연통되는 배출 개구가 형성된 후방 배플;
    을 포함하고,
    사격시에 발생되는 가스의 일부는 상기 확장 배플에서 차단되어 상기 후방 배플을 통해 후방으로 배출될 수 있고,
    상기 전방 캡은 측면에 소정의 각도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측방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전방 배플은 상기 전방 캡에 삽입되고 가스가 상기 측방 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측방 개구와 연통되는 연통부를 갖는 전방 제1 배플을 포함하는 총기용 소음기.
  5. 총기용 소음기에 있어서,
    전방 캡;
    상기 전방 캡 후단에 위치되는 원통형의 커버;
    상기 커버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전방 캡의 후단에 위치되는 복수의 전방 배플;
    상기 커버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전방 배플의 후단에 위치되는 확장 배플;
    상기 커버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확장 배플의 후단에 위치되고, 가스의 후방 배출을 위해 외부와 연통되는 배출 개구가 형성된 후방 배플;
    상기 후방 배플과 결합되는 후방 결합부;
    를 포함하고,
    사격시에 발생되는 가스의 일부는 상기 확장 배플에서 차단되어 상기 후방 배플을 통해 후방으로 배출될 수 있고,
    상기 후방 결합부에는 원주를 따라 측면 개구가 형성되어 상기 배출 개구를 통해 후방으로 유동한 가스가 상기 측면 개구를 통해 측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총기용 소음기.
KR1020170178199A 2017-12-22 2017-12-22 가스 후방 배출이 가능한 총기용 소음기 KR101882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199A KR101882415B1 (ko) 2017-12-22 2017-12-22 가스 후방 배출이 가능한 총기용 소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199A KR101882415B1 (ko) 2017-12-22 2017-12-22 가스 후방 배출이 가능한 총기용 소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2415B1 true KR101882415B1 (ko) 2018-07-26

Family

ID=63048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8199A KR101882415B1 (ko) 2017-12-22 2017-12-22 가스 후방 배출이 가능한 총기용 소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241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8186B1 (ko) * 2019-08-20 2020-05-07 다산기공 주식회사 총기용 소음기에 사용되는 인서트
KR20230130867A (ko) * 2022-03-04 2023-09-12 우순 원터치 착검방식의 휴대용 소음기
US20240044600A1 (en) * 2022-08-04 2024-02-08 WHG Properties, LLC Firearm suppress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785A (ko) 1999-11-03 2000-02-07 김철주 인체뇌척수신경계통자극전달관찰용모형장치및그제어회로
KR101506450B1 (ko) * 2014-07-25 2015-03-27 이찬행 화기에 설치되는 소음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785A (ko) 1999-11-03 2000-02-07 김철주 인체뇌척수신경계통자극전달관찰용모형장치및그제어회로
KR101506450B1 (ko) * 2014-07-25 2015-03-27 이찬행 화기에 설치되는 소음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8186B1 (ko) * 2019-08-20 2020-05-07 다산기공 주식회사 총기용 소음기에 사용되는 인서트
KR20230130867A (ko) * 2022-03-04 2023-09-12 우순 원터치 착검방식의 휴대용 소음기
KR102640407B1 (ko) * 2022-03-04 2024-02-23 우순 원터치 착검방식의 휴대용 소음기
US20240044600A1 (en) * 2022-08-04 2024-02-08 WHG Properties, LLC Firearm suppress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6809B2 (en) Flash suppression system
KR101882415B1 (ko) 가스 후방 배출이 가능한 총기용 소음기
AU2011313815B2 (en) Sound suppressor for firearms
CA2443856C (en) Muzzle brake
US9658019B2 (en) Silencer and mounting system
US7302774B2 (en) Flash suppressor apparatus and methods
US8418803B2 (en) Flash suppressor
JP2019502892A (ja) 銃器サプレッサー
US10145637B2 (en) Firearm blast control system
US20160076844A1 (en) Brake Mounted Firearm Noise Suppressor
US11561059B2 (en) Firearm sound suppressor baffles
US11187484B2 (en) Firearms suppressor assembly
US8769852B2 (en) Flash suppressing and recoil compensating muzzle device
US20220276016A1 (en) Firearm sound suppressor with peripheral venting
US20190086169A1 (en) Slide block mechanism for semi-automatic pistols
US11543204B2 (en) Handgun compensator
CA3198789A1 (en) Suppressor assembly for a firearm
WO2006024859A1 (en) Muzzle device
KR102108186B1 (ko) 총기용 소음기에 사용되는 인서트
KR101861563B1 (ko) 총기용 소염기
KR100797047B1 (ko) 레이저 발사체 지지장치
FR2693547A1 (fr) Dispositif de bouche anti-recul pour armes à feu.
Scales Statement for the Record
UA127887U (uk) Полум'ягасник
KR20030013350A (ko) 한번 격발에 여러발을 쏠 수 있는 22 림 파이어용 라이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