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1657B1 - Power window motor terminal for automobile - Google Patents

Power window motor terminal for automob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1657B1
KR101881657B1 KR1020160145052A KR20160145052A KR101881657B1 KR 101881657 B1 KR101881657 B1 KR 101881657B1 KR 1020160145052 A KR1020160145052 A KR 1020160145052A KR 20160145052 A KR20160145052 A KR 20160145052A KR 101881657 B1 KR101881657 B1 KR 101881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terminal
housing
controller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50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48018A (en
Inventor
김철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성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성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성전자
Priority to KR1020160145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1657B1/en
Publication of KR20180048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80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1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16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05F15/697Motor units therefor, e.g. geared mo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 모듈을 구성하는 터미널의 결속방식을 수평구조로 함과 동시에 극성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차량용 파워 윈도우 모터의 접속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적 연결을 위해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 터미널이 구비된 모터와, 이 모터의 회전축에 장착된 워엄 및 워엄휠을 수용하는 프레임과, 상기 터미널에 전기를 공급하는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 전기 터미널을 갖는 컨트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모터 측의 터미널은 브라켓의 일측 가장자리에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됨과 동시에 이에 대응하는 컨트롤러 측의 전기 터미널은 회로기판 상에 장착된 하우징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호 결속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에 따라, 모터 모듈을 구성하는 컨트롤러 측의 회로기판 상에 하우징을 장착한 상태에서 외측핀에 비해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내측핀으로 이루어진 전기 터미널을 수평구조로 배치하여 지지력을 확보함과 동시에 회로기판의 사이즈를 줄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하우징에 형성된 격벽을 이용하여 전기 터미널 사이의 극성 간섭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terminal of a power window motor for a vehicle which is configured to have a horizontal structure and to prevent polarity interference between terminals constituting a motor modu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tor comprising a motor provided with a terminal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for electrical connection, a frame accommodating a worm and a worm wheel mounted on a rotary shaft of the motor, and an electric terminal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for supplying electricity to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s on the motor side are vertically installed on one side edge of the bracket and the corresponding electric terminal on the controller side is protruded from one side of the housing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
Accordingly, in a state in which the housing is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on the controller side constituting the motor module, the electric terminals made up of the inner fins narrower in width than the outer fins are arranged in a horizontal structure to secure the supporting force, And the polarity interference between the electric terminals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by using the partition walls formed in the housing.

Description

차량용 파워 윈도우 모터의 접속 터미널{POWER WINDOW MOTOR TERMINAL FOR AUTOMOBILE}[0001] POWER WINDOW MOTOR TERMINAL FOR AUTOMOBILE [0002]

본 발명은 차량용 파워 윈도우 모터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 모듈을 구성하는 터미널의 결속방식을 수평구조로 함과 동시에 극성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차량용 파워 윈도우 모터의 접속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window motor modul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ing terminal of a power window motor for a vehicle having a horizontal structure and a polarity interference prevention structure, .

일반적으로, 차량 도어에는 각각의 윈도우(Window)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전동식 구동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장치는 통상의 DC 모터와 마찬가지로 고정자 및 회전자를 포함하여 모터의 출력축에 장착된 워엄과 이 워엄에 맞물려 회전하는 워엄휠을 구비한다.Generally, the vehicle door is provided with an electric driving device for raising and lowering each window, and this device includes a stator and a rotor, as well as a normal DC motor, And a worm wheel that rotates in association with the worm.

이에 따라, 모터의 회전력을 토크 변환 및 회전 방향을 변경하여 윈도우를 승,하강시켜 개폐할 수 있으며, 윈도우의 승강 도중에 탑승자의 팔이나 머리 등이 상승중인 윈도우와 차체 사이에 끼일 경우 이를 감지하여 모터를 역회전시킴으로써 윈도우의 상승을 막아 탑승자의 신체에 손상이 가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Accordingly, when the arm or head of the occupant is caught between the rising window and the vehicle body during the elevation of the window,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rotation of the motor To protect the passenger's body from being damaged by preventing the window from rising.

즉, 통상의 세이프티 파워 윈도우 장치는 모터와 전기적으로 결속됨과 동시에 워엄과 워엄휠이 설치된 프레임에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고, 모터 회전축에 설치된 마그네틱 코어 및 이 마그네틱 코어의 자기장 변화를 측정하는 홀 센서를 브러시 홀더 근처에 배치한 구조가 채용된다.That is, a normal safety power window device is usually electrically coupled to a motor and mechanically coupled to a frame provided with a worm and a worm wheel. A magnetic core provided on the motor rotary shaft and a hole for measuring a magnetic field change of the magnetic core And the sensor is disposed near the brush holder.

이에 따라, 상기 홀 센서를 통해 모터 회전축의 회전수를 측정하여 윈도우의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 방향을 바꿔 모터의 회전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motor can be controlled by changing the direction of current supplied to the motor by measur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motor rotating shaft through the hall sensor and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window.

이러한 차량용 파워 윈도우의 모터 모듈과 관련하여, 국내 공개특허 제2003-0089225호 공보에는 차량의 도어 글래스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파워 윈도우 모터에서, 댐퍼의 형상을 분리형으로 제작하여 헬리컬 기어에 내장하고, 커버 및 각 갭에 삽입되어 댐퍼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 지지판을 체결하여 일체화 함에 따라 전단 응력을 분산 흡수하여 댐퍼에 대한 피로 균열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알려져 있다.With respect to the motor module of such a power window for a vehicle,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3-0089225 discloses a power window motor for raising and lowering a door glass of a vehicle, There is known a technique in which fatigue cracks in a damper can be prevented by dispersing and absorbing shear stress by integrating a cover and a fastening support plate inserted into each gap to support the damper.

또한, 등록특허 제0663964호의 경우에는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도어 윈도우의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에 있어, 전체적인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행해짐은 물론 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예가 공개되어 있고, 등록특허 제0800583호에는 모터 작동시에 지지체와 출력축 사이의 틈을 보상하여 반전음 발생을 억제하는 추력 지지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진동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Japanese Patent No. 0663964, an example of improving the structure in which the whole assembly work can be easily performed and the cost can be reduced is disclosed in the structure that the door window can be raised and lowered us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No. 0800583 discloses a technique capable of remarkably reducing vibration by improving a thrust support structure that compensates for a gap between a support and an output shaft during operation of the motor to suppress the generation of a reversed sound.

또, 등록특허 제1593144호에는 파워 윈도우 모터의 브러시 홀더용 전기 터미널의 프리-몰드 조립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프리-몰드 금형의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조립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부품의 제조 비용을 절감한 예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Patent No. 1593144 discloses an example of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of parts by improving the pre-mold assembly structure of the electric terminal for a brush holder of a power window motor, .

그러나, 위에서 열거한 여러 종래 기술들의 경우 다소 복잡한 구성품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원가 상승요인이 됨은 물론 모터측 터미널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에 해당하는 만큼 공간을 필요로하여 회로기판의 사이즈가 확보되어야만 하고, 이에 따른 설계적 제한사항을 해결할 수 없는 것이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technologies, the motor side terminal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s well as a cost increase factor due to a combination of a somewhat complicated component. Therefore, And could not solve the design limitations.

공개특허 제2003-0089225호(2003.11.21 공개) 발명의 명칭: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모터.Open Patent No. 2003-0089225 (published on November 21, 2003) Title of invention: Power window motor for automobile. 등록특허 제0663964호(2006.12.26 등록) 발명의 명칭: 파워 윈도우용 모터 조립체.Registered Patent No. 0663964 (registered on December 26, 2006) Title of invention: Motor assembly for power window. 등록특허 제0800583호(2008.01.28 등록) 발명의 명칭: 파워 윈도우 구동용 모터 조립체.Registered Patent No. 0800583 (Registered on Jan. 28, 2008) Title of invention: Motor assembly for power window drive. 등록특허 제1593144호(2016.02.02 등록) 발명의 명칭: 차량용 파워 윈도우 모터.Registered Patent No. 1593144 (Registered on Mar. 02, 2016) Title of invention: Power window motor for vehicl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컨트롤러 측의 회로기판에 장착되는 전기 터미널을 수평구조로 하여 모터측 터미널에 접속시킬 수 있는 동시에 이들 터미널 사이의 극성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회로기판의 사이즈를 줄이고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파워 윈도우 모터의 접속 터미널을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ic terminal mounted on a circuit board on a controller side in a horizontal structure and to be connected to a motor side terminal,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nection terminal of a power window motor for a vehicle, which can reduce the size of a circuit board and reduce manufacturing cost by preventing polarity interferenc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기적 연결을 위해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 터미널이 구비된 모터와, 이 모터의 회전축에 장착된 워엄 및 워엄휠을 수용하는 프레임과, 상기 터미널에 전기를 공급하는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 전기 터미널을 갖는 컨트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모터 측의 터미널은 브라켓의 일측 가장자리에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됨과 동시에 이에 대응하는 컨트롤러 측의 전기 터미널은 회로기판 상에 장착된 하우징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호 결속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tor including a motor having a terminal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for electrical connection, a frame accommodating a worm and a worm wheel mounted on a rotary shaft of the motor, Wherein a terminal on the motor side is vertically installed on one side edge of the bracket and a corresponding electric terminal on the controller side is protrud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So that they are mutually coupled.

또한, 상기 전기 터미널은 동일 수평선상으로 배치된 한쌍의 내,외측핀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 내측핀 사이에는 하우징으로부터 일체형으로 돌출된 격벽이 형성되어 극성 간섭을 배제할 수 있으며, 상기 내측핀의 폭이 외측핀의 폭보다 더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electrical terminals are made up of a pair of inner and outer fins arrang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and partition walls protruding integrally from the housing are formed between the inner fins so that polarity interference can be eliminated,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outer fins.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특징들에 의해, 모터 모듈을 구성하는 컨트롤러 측의 회로기판 상에 하우징을 장착한 상태에서 외측핀에 비해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내측핀으로 이루어진 전기 터미널을 수평구조로 배치하여 지지력을 확보함과 동시에 회로기판의 사이즈를 줄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하우징에 형성된 격벽을 이용하여 전기 터미널 사이의 극성 간섭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ic terminal, which is made up of an inner fin having a width relatively narrower than an outer pin, is arranged in a horizontal structure in a state where a housing is mounted on a circuit board on a controller side constituting a motor module And the cost can be reduced by reducing the size of the circuit board and the polarity interference between the electric terminals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by using the partition walls formed in the housing.

도 1은 차량용 파워 윈도우 모터 모듈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모터 모듈로부터 컨트롤러가 분리된 상태의 도면,
도 3은 모터와 컨트롤러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컨트롤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 터미널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도 5의 평면 구성도,
도 7a, 도 7b는 전기 터미널의 결속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격벽 사이에 배치된 전기 터미널을 정면에서 본 도면,
도 9는 도 8의 격벽 구조를 변형시킨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power window motor module for a vehicle,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roller is separated from the motor module,
3 is a view showing a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motor and a controller,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roller of Fig. 3 is separated, Fig.
5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connec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lan view of Fig. 5,
7A and 7B are views for explaining a binding state of an electric terminal,
8 is a front view of an electrical terminal disposed between the partitions,
Fig. 9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partition wall structure of Fig. 8 is modified.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들이 갖는 특정 구조 및 기능은 하나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pecific structures and functions of the embodiments are shown as one example,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우선, 도 1 내지 도 4는 전형적인 차량용 파워 윈도우 모터 모듈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내용을 설명하기에 앞서 이들 구성의 설명과 함께 해당 문제점을 도출한 후에 본 발명을 후술한다.1 to 4 are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a typical power window motor module for a vehicle. Before describing the technica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fter deriving the problems as well as descriptions of these components.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모듈(10)은 크게 모터(12)를 포함한 프레임(20) 및 컨트롤러(30)로 이루어지며, 이 컨트롤러(30)는 프레임(20) 상에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motor module 10 mainly comprises a frame 20 including a motor 12 and a controller 30, which is mounted on the frame 20, Lt; / RTI >

상기 모터(12)는 통상의 모터와 마찬가지로 내주면에 영구자석이 설치된 지지체에 회전자를 가짐과 동시에 이 회전자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 터미널(42)을 포함한다.The motor 12 includes a terminal 42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for supplying a current to the rotor and a rotor having a permanent magnet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n the same manner as a conventional motor.

상기 터미널(42)은 원주면 형태로 배치된 한 쌍의 접촉면(44)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접촉면(44)은 브러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일측이 개방된 수용부(45)가 마련되어 있다.The terminal 42 includes a pair of contact surfaces 44 arranged in the form of a circumferential surface. The contact surface 4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rush and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45 which is opened at one side.

상기 프레임(20)은 플라스틱 소재나 금속 소재 등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모터(12) 출력축의 일단부에 형성된 워엄(14) 및 이 워엄(14)에 동력적으로 연결된 워엄휠(도시생략)을 수용하며, 가이드부(22), 끼움홈(24), 고정홈(25) 및 보조 고정홈(27)을 가지고 있다.The frame 20 is made of a plastic material or a metal material and includes a worm 14 formed at one end of the output shaft of the motor 12 and a worm wheel (not shown) And has a guide portion 22, a fitting groove 24, a fixing groove 25, and an auxiliary fixing groove 27.

이들은 컨트롤러(30)를 프레임(20)에 기계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의 일부를 구성하게 된다.These constitute a part of coupling means for mechanically connecting the controller 30 to the frame 20. [

상기 가이드부(22)는 곡면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끼움홈(24)은 모터(12)의 터미널(42) 측으로 연이어질 수 있도록 프레임(20)의 일측 방향으로 개방된 구멍이다. 또 상기 고정홈(25)은 모터(12) 출력축의 일측 방향으로 열린 홈부로서 입구부(26)를 형성한다.The guide portion 22 has a curved shape and the fitting groove 24 is a hole opened in one direction of the frame 20 so as to connect to the terminal 42 side of the motor 12. Further, the fixing groove 25 forms an inlet portion 26 as a groove portion opened in one direction of the output shaft of the motor 12.

이 입구부(26)는 고정홈(25)의 최대폭보다 더 작은 폭을 가지고 있으며, 외력에 의해 입구부(26)의 폭이 변할 수 있도록 탄성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보조 고정홈(27)은 일측이 개방되어 가이드부(22)에 형성되어 있다.The inlet portion 26 has a width smaller than the maximum width of the fixing groove 25 and is elastically deformable so that the width of the inlet portion 26 can be changed by an external force. The auxiliary fixing groove 27 is formed in the guide portion 22 at one side thereof.

한편, 상기 컨트롤러(30)는 내부에 회로기판(PCB)으로 이루어진 전류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프레임(20)과의 결합수단의 일부로 작용하는 슬라이딩부(32)와, 끼움부(34)와, 삽입부(35)와, 보조 삽입부(36)를 가짐과 동시에 모터측(12)의 터미널(4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 터미널(52)을 가진다.The controller 30 includes a current control module formed of a circuit board (PCB) and includes a sliding portion 32 serving as a part of the coupling means with the frame 20, And an electrical terminal 52 having an insertion portion 35 and an auxiliary insertion portion 36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42 of the motor side 12.

상기 슬라이딩부(32)는 프레임(20)에 대한 컨트롤러(30)의 상대 회전시에 가이드부(22)에 슬라이딩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끼움부(34)는 끼움홈(24)에 결속되는 부분으로 모터(12)의 터미널(42)과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전기를 공급한다.The sliding portion 32 is formed to be in sliding contact with the guide portion 22 when the controller 30 rotates relative to the frame 20 and the fitting portion 34 is engaged with the fitting groove 24 And electrically contacts the terminal 42 of the motor 12 to supply electricity.

상기 전기 터미널(52)은 모터측(12)의 터미널(42)에 전기적으로 결속되는 연결수단을 가지며, 이 연결수단은 터미널(42)에 마련된 접촉면(44) 및 수용부(45)와 함께 접속면(53)과 지지부(55)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전기 터미널(52)은 모터(12)에 공급되는 전류의 극성을 제어하는 콘트롤러(30) 측에 설치된다.The electrical terminal 52 has connecting means electrically coupled to the terminal 42 of the motor side 12 which is connected with the contact surface 44 and the receiving portion 45 provided at the terminal 42 And includes a surface 53 and a support portion 55. The electric terminal 52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ontroller 30 for controlling the polarity of the current supplied to the motor 12. [

상기 접속면(53)은 접촉면(44)에 슬라이딩 조립되도록 끼움부(34)의 외주면에 곡면 형태로 형성되고, 컨트롤러(30)가 프레임(20)에 대해 상대 회전하는 도중에 접촉면(44)과 접속되어 전기적으로 모터(12)와 컨트롤러(30)를 연결한다.The connection surface 53 is formed in a curved shap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tting portion 34 so as to be slidably engaged with the contact surface 44 and connected to the contact surface 44 during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controller 30 with respect to the frame 20. [ And electrically connects the motor 12 and the controller 30 to each other.

상기 지지부(55)는 접속면(53)으로부터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컨트롤러(30)가 프레임(20)에 대해 상대 회전이 완료되어 상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때 접촉면(44)과 접속면(53)의 전기적인 연결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접촉면(44)에 형성된 수용부(45)에 배치되어 상대 이동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행한다.The supporting portion 55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protruding from the connecting surface 53 so that when the controller 30 completes the relative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frame 20 and maintains the mutually coupled state, In order to more stably maintain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contact surface 44 to prevent relative movement.

또, 상기 지지부(55)는 컨트롤러(30)가 프레임(20)과 상호 결합하도록 상대 회전하는 도중에 수용부(45)의 열린 부위를 통해 진입하여 상대 회전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접촉면(44)과 접속면(53)에 의해 연결된 전기적인 연결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수용부(45)에 끼워져 모터(12)의 터미널(42)과 전기 터미널(52)이 상호 지지되도록 한다.The support part 55 enters through the open part of the accommodating part 45 while the controller 30 relatively rotates so as to mutually engage with the frame 2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45 so that the electric connection state of the motor 12 connected to the terminal 42 and the electric terminal 52 can be stably maintained.

상기 삽입부(35)는 프레임(20)에 대한 컨트롤러(30)의 상대 회전 도중에 고정홈(25)의 입구부(26)를 탄성적으로 벌리면서 삽입되고, 고정홈(25)의 입구부(26)가 탄성 복원되어 컨트롤러(30)가 프레임(20)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입구부(26)는 컨트롤러(30)가 프레임(20)에 대해 상호 결합하는 방향으로 상대 회전이 완료된 상태에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컨트롤러(30)가 프레임(20)에 체결되는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행한다.The inserting portion 35 is inserted while elastically spreading the inlet portion 26 of the fixing groove 25 during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controller 30 with respect to the frame 20 and the inlet portion 26 are elastically restored and the controller 30 is not separated from the frame 20. [ The inlet portion 26 hav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is engaged with the frame 20 so long as the controller 30 is not subjected to an external force in the state where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controller 30 in the direction of mutual engagement with the frame 20 is completed And to prevent it from being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상기 보조 삽입부(36)는 가이드부(22)로 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부(35)는 프레임(20)에 대한 컨트롤러(30)의 상대 회전된 상태에서 보조 고정홈(27)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보조 삽입부(36)는 고정홈(25)과 삽입부(35)의 결합시에 컨트롤러(30)가 프레임(20)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auxiliary insertion portion 36 is protruded from the guide portion 22. The insertion portion 35 is fitted in the auxiliary fixing groove 27 in a state in which the controller 30 is relative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rame 20. [ The auxiliary insertion portion 36 is provided to firmly connect the controller 30 to the frame 20 when the fixing groove 25 and the insertion portion 35 are coupl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30)를 프레임(20)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컨트롤러(30)의 끼움부(34)를 프레임(20)의 끼움홈(24)에 접근시키고, 가이드부(22)와 슬라이딩부(32)는 상호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때 상기 삽입부(35)와 보조 삽입부(36)가 각각 고정홈(25)과 보조 고정홈(27)에 간섭되지 않게 한다.2, the fitting portion 34 of the controller 30 approaches the fitting groove 24 of the frame 20 to engage the controller 30 to the frame 20, 22 and the sliding portion 32 remain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the insertion portion 35 and the auxiliary insertion portion 36 are prevented from interfering with the fixing groove 25 and the auxiliary fixing groove 27, respectively.

상기 끼움부(34)를 끼움홈(24)에 조립시키면, 이 끼움홈(24) 내로 삽입된 전기 터미널(52)이 모터(12) 측에 마련된 터미널(42)에 접근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컨트롤러(30)를 프레임(20)에 대해 상대 회전시킨다.When the fitting portion 34 is assembled to the fitting groove 24, the electric terminal 52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24 approaches the terminal 42 provided on the motor 12 side. In this state, The controller 30 is rotated relative to the frame 20.

이 때, 고정홈(25)의 입구부(26)는 삽입부(35)의 폭보다 작기 때문에 작업자에 의해 가해진 외력으로 인해 탄성 변형이 일어나면서 폭이 확장되고, 상기 삽입부(35)가 고정홈(25)의 입구부(26)를 통과하게 되면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본래의 폭으로 수축되어 삽입부(35)가 고정홈(25)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며, 이 과정 중에 보조 삽입부(36)가 보조 고정홈(27)으로 삽입되어 컨트롤러(30)는 프레임(20)에 견고하게 기계적으로 결합된다.At this time, since the entrance portion 26 of the fixing groove 25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insertion portion 35, the width of the insertion portion 26 is increased while the elastic deformation is caused by the external force applied by the operator, The insertion portion 35 is not detached from the fixing groove 25 due to the elastic restoring force and the auxiliary insertion portion 36 is not removed during the process. The controller 30 is firmly mechanically coupled to the frame 20. In this case,

그런데, 이와 같은 기술에 있어서는 프레임(20)과 컨트롤러(30)의 기계적인 결합과 함께 모터(12) 측의 접촉면(44) 및 컨트롤러(30) 측의 접속면(53)이 상호 면접촉을 하면서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접속 불량이나 극성 간섭으로 인한 오동작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In this technique, the mechanical contact between the frame 20 and the controller 30 and the contact surface 44 on the motor 12 side and the contact surface 53 on the controller 30 side contact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cause a malfunction due to connection failure or polarity interference because they are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한편,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앞서 설명한 터미널 간의 면접촉 방식에서 탈피하여 터미널의 결속방식을 수평으로 하여 직접적인 체결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회로기판의 사이즈를 줄이고 극성 간섭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5 to 9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terminals are tilted in a plane contact manner between the terminals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configured to reduce size and prevent polar interference.

이들 도면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로 설명한 바에 의해 같은 기능을 행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으며 해당 핵심 구성만을 발췌하여 도시한 것이다.In these drawings, the same par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ir explanations are omitted by referring to FIG. 1 to FIG.

본 발명은 모터(12)의 출력축에 형성된 워엄(14)을 포함하여 상단부에 장착된 브라켓(15)의 일측 가장자리에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 터미널(16)이 구비됨과 동시에 컨트롤러(30) 측의 회로기판(31) 상에 장착된 하우징(33)에는 전기 터미널(37)이 장착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terminal 16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is provided at one side edge of a bracket 15 mounted on an upper end including a worm 14 formed on an output shaft of a motor 12, An electrical terminal 37 is mounted on the housing 33 mounted on the housing 31.

즉, 도 7a, 도 7b에서와 같이, 하우징(33) 상의 전기 터미널(37)이 수평 이동하여 모터(12)의 터미널(16)에 끼워져 상호 결속됨에 따라 모터(12)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7A and 7B, electric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motor 12 as the electric terminals 37 on the housing 33 move horizontally and fit into the terminals 16 of the motor 12 to be mutually coupled .

이 때, 상기 전기 터미널(37)은 동일 수평선상으로 배치된 한쌍의 내,외측핀(38a,38b)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핀들이 탄력있게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터미널(16)을 확실하게 수용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electric terminal 37 is composed of a pair of inner and outer pins 38a and 38b arrang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the pins are elastically spread to both sides so that the terminal 16 can be securely received do.

또, 상기 양 내측핀(38a) 사이에는 하우징(33)으로부터 일체형으로 돌출된 격벽(39)이 구비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벽(39)을 중심으로 내측핀(38a)의 폭(L1)은 외측핀(38b)의 폭(L2)보다 더 좁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모터(12) 측 터미널(16)을 보다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 전기 터미널(37)의 수평 장착시에 극성 간섭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Between the both inner fins 38a, there is provided a partition wall 39 protruding integrally from the housing 33. 8,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L1 of the inner fin 38a is narrower than the width L2 of the outer pin 38b with respect to the partition wall 39, 12) side terminal 16 can be more safely supported and the polarity interference can be more effectively prevented when the electrical terminal 37 is mounted horizontally.

도 9의 경우에는 상기 격벽(39)의 형상을 개량하여 나타낸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격벽(39)의 양측 수평방향으로 전기 터미널(37)의 내측핀(38a)을 수용하기 위한 연장편(40a,40b)이 각각 상,하로 형성됨에 따라 핀들 간의 간섭을 완전히 배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9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shape of the partition wall 39 is modified and shown as an extension piece for accommodating the inner pin 38a of the electrical terminal 37 in both horizontal directions of the partition wall 39 40a, and 40b are form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respectively, so that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pins can be completely eliminat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터 모듈을 구성하는 컨트롤러 측의 회로기판 상에 하우징을 장착한 상태에서 외측핀에 비해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내측핀으로 이루어진 전기 터미널을 수평구조로 배치하여 지지력을 확보함과 동시에 회로기판의 사이즈를 줄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하우징에 형성된 격벽을 이용하여 전기 터미널 사이의 극성 간섭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where a housing is mounted on a circuit board on a controller side constituting a motor module, an electric terminal made up of an inner fin, which is narrower in width than the outer pin, The cost can be reduced by reducing the size of the circuit board and the polarity interference between the electric terminals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by using the partition walls formed in the housing.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fully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모터 모듈 12: 모터
14: 워엄 15: 브라켓
16: 터미널 20: 프레임
22: 가이드부 24: 끼움홈
25: 고정홈 26: 입구부
27: 보조 고정홈 30: 컨트롤러
31: 회로기판 32: 슬라이딩부
33: 하우징 34: 끼움부
35: 삽입부 36: 보조 삽입부
37: 전기 터미널 38a: 내측핀
38b: 외측핀 39: 격벽
40a,40b: 연장편 42: 터미널
44: 접촉면 45: 수용부
52: 전기 터미널 53: 접속면
55: 지지부
10: motor module 12: motor
14: Worm 15: Bracket
16: Terminal 20: Frame
22: guide portion 24: fitting groove
25: fixing groove 26:
27: auxiliary fixing groove 30: controller
31: circuit board 32: sliding part
33: housing 34:
35: insertion part 36: auxiliary insertion part
37: electrical terminal 38a: inner pin
38b: outer pin 39: partition wall
40a, 40b: extension piece 42: terminal
44: contact surface 45:
52: electrical terminal 53: connecting surface
55: Support

Claims (3)

전기적 연결을 위해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 터미널이 구비된 모터(12)와, 이 모터의 출력축에 장착된 워엄 및 워엄휠을 수용하는 프레임(20)과, 상기 터미널에 전기를 공급하는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 전기 터미널을 갖는 컨트롤러(30)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12) 측의 터미널(16)은 브라켓(15)의 일측 가장자리에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됨과 동시에 이에 대응하는 컨트롤러(30) 측의 전기 터미널(37)은 회로기판(31) 상에 장착된 하우징(33)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호 결속되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파워 윈도우 모터의 접속 터미널에 있어서,
상기 전기 터미널(37)은 동일 수평선상으로 배치된 한쌍의 내,외측핀(38a,38b)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 내측핀(38a) 사이에는 하우징(33)으로부터 일체형으로 돌출된 격벽(39)이 형성되어 극성 간섭을 배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내측핀(38a)의 폭(L1)이 상기 외측핀(38b)의 폭(L2)보다 더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워 윈도우 모터의 접속 터미널.
A motor (12) having a terminal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for electrical connection, a frame (20) for accommodating a worm and a worm wheel mounted on an output shaft of the motor, and an electric And the terminal 16 on the side of the motor 12 is vertically installed on one side edge of the bracket 15 and is connected to the electric terminal 37 Is a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of a housing (33) mounted on a circuit board (31) and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each other,
The electrical terminal 37 includes a pair of inner and outer fins 38a and 38b arrang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and a partition wall 39 integrally protruding from the housing 33 is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fins 38a So that polarity interference can be eliminated,
Wherein a width L1 of the inner pin 38a is narrower than a width L2 of the outer pin 38b.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145052A 2016-11-02 2016-11-02 Power window motor terminal for automobile KR1018816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052A KR101881657B1 (en) 2016-11-02 2016-11-02 Power window motor terminal for automob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052A KR101881657B1 (en) 2016-11-02 2016-11-02 Power window motor terminal for automob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8018A KR20180048018A (en) 2018-05-10
KR101881657B1 true KR101881657B1 (en) 2018-07-26

Family

ID=62184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5052A KR101881657B1 (en) 2016-11-02 2016-11-02 Power window motor terminal for automobi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1657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757B1 (en) * 2010-02-09 2011-08-16 (주) 디에이치홀딩스 Motor device
JP2014007831A (en) * 2012-06-22 2014-01-16 Aisin Seiki Co Ltd Actuato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9225A (en) 2002-05-17 2003-11-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ower window motor for automobile
KR100663964B1 (en) 2005-04-15 2007-01-02 동양기전 주식회사 Motor assembly for power window
KR100800583B1 (en) 2007-01-18 2008-02-04 동양기전 주식회사 Motor assembly for driving power window
KR101593144B1 (en) 2014-06-16 2016-02-11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Mold assembly structure of electric terminal for brush holder of power window mo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757B1 (en) * 2010-02-09 2011-08-16 (주) 디에이치홀딩스 Motor device
JP2014007831A (en) * 2012-06-22 2014-01-16 Aisin Seiki Co Ltd Actuato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8018A (en) 201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1393B2 (en) Motor and brush holder thereof
US6873076B2 (en) Electric drive unit consisting of an electromotor and an electronic module
KR100909104B1 (en) Motor, control circuit member of mot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otor
US7579730B2 (en) Mo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2834577A (en) Adjusting drive, in particular window lifter drive
JPWO2010110112A1 (en) Motor with reduction mechanism
CN111712997B (en) Brushless DC motor with improved grounding structure
JP3685915B2 (en) Motor equipment
KR101881657B1 (en) Power window motor terminal for automobile
JP4990635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JP6809246B2 (en) Motor device
KR100619462B1 (en) Electromotive drive, especially a power window drive for a motor vehicle
US9496764B2 (en) Brush holder for an electric motor, and gear mechanism drive unit having a brush holder
JP4705415B2 (en) Electric motor
JP4652925B2 (en) Motor and motor assembling method
KR101965010B1 (en) Mo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otor
JP4091459B2 (en) motor
JP4800980B2 (en) motor
JP4099032B2 (en) motor
JP3914109B2 (en) Brush device for small mo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955047B2 (en) Power control unit
KR102085933B1 (en) Electric motor apparatus provided with vertical type hall sensor
CN111819769A (en) Rotating device, mounting structure for rotating device, and connecting structure for rotating device and external connector
CN218632583U (en) Connector with a locking member
KR100839999B1 (en) Power window motor assembly for auto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