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1632B1 - 최소 침습 연속 혈당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최소 침습 연속 혈당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1632B1
KR101881632B1 KR1020150157574A KR20150157574A KR101881632B1 KR 101881632 B1 KR101881632 B1 KR 101881632B1 KR 1020150157574 A KR1020150157574 A KR 1020150157574A KR 20150157574 A KR20150157574 A KR 20150157574A KR 101881632 B1 KR101881632 B1 KR 101881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outer cylinder
inner cylinder
biosensor
bl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7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4880A (ko
Inventor
이인한
Original Assignee
이인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한 filed Critical 이인한
Priority to KR1020150157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1632B1/ko
Priority to US15/774,505 priority patent/US10980449B2/en
Priority to PCT/KR2016/012463 priority patent/WO2017082573A1/ko
Publication of KR20170054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4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1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1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03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invasive, e.g. introduced into the body by a catheter or needle or using implanted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68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chemical or electrochemical methods, e.g. by polarographic means
    • A61B5/1473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chemical or electrochemical methods, e.g. by polarographic means invasive, e.g. introduced into the body by a cath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7Devices characterised by integrated means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14Head
    • A61B5/682Mouth, e.g., oral cavity; tongue; Lips;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6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or implanted in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78Bon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6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blood sugars, e.g. galact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iabet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bi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치조골내에 결합될 수 있고 개방된 저부를 가지는, 외부 실린더; 상기 외부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개방된 저부를 가지는 내부 실린더; 상기 내부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 실린더의 개방된 저부 및 상기 내부 실린더의 개방된 저부를 통해 노출된 바이오 센서; 상기 내부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바이오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프로세싱하는 데이터 프로세서; 상기 내부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데이터 프로세서로부터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기; 및, 상기 내부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바이오 센서, 상기 데이터 프로세서 및, 상기 송신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구비하는 혈당 측정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최소 침습 연속 혈당 측정 장치{Minimally-Invasive Continuous Blood Glucose Monitoring Device}
본 발명은 최소 침습만으로써 연속적으로 혈당을 측정할 수 있는 혈당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강내 치조골에 이식되어 미세 혈관내의 혈액 또는 조직액(interstitial fluid)의 혈당을 측정할 수 있는 혈당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건강 상태는 혈액에 포함된 다양한 성분을 측정함으로써 판단할 수 있으며, 혈액의 특정 성분이 정상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질병을 추정 및 진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혈액내에 포함된 혈당을 측정함으로써 당뇨병을 진단할 수 있거나, GOT 및 GPT 를 측정함으로써 간 질환을 추정할 수 있다.
최근에 들어 당뇨 대란은 건강과 관련하여 자주 접하는 표현이 되었다. 현대인들에게는 식생활의 변화와 운동 부족등의 원인으로 당뇨병을 포함하는 성인병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심각한 문제를 야기시킨다. 특히 당뇨병은 신진 대사의 이상(abnormal metabolism)으로 혈액내 혈당 조절이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질환이다. 정상적인 건강한 신체는 혈액내 당을 72 내지 144 mg/dL 로 유지하는데,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 호르몬에 의해 섭취되는 음식에 관계 없이 혈당 항상성을 유지한다. 그러나 당뇨 환자일 경우에 혈당 항상성을 유지하는 기전이 파괴되어 정상적인 혈당 유지가 불가능하고 변화의 폭이 크며, 혈액내에서 고혈당이 유지되므로 여러 가지 합병증에 시달리게 된다. 대표적인 합병증으로는 맥관 장애(angiopathy), 망막증(retinothathy), 신경병증(neuropathy), 신장병(nephropathy). 피부 합병증, 혼수등이 있다.
이러한 합병증을 방지하려면 혈당의 항상성을 유지하는것이 가장 중요하다.즉, 신체에서 자동적으로 혈당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기전이 손상되었으므로 인위적으로 혈당을 유지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환자의 생활 습관이 가장 중요하다. 즉, 음식(Diet) 및 운동(Exercise)을 통해 고혈당을 낮추고 유지할수 있다. 한편, 약물 치료와 호르몬(insulin)치료가 병행될 수 있다. 이때 중요한 것은 환자 자신이 자주 반복적인 혈당 측정을 통해 정성 혈당이 유지되는지 모니터 하고 그에 따라서 적절한 생활 습관의 변화와 약물치료 혹은 호르몬 치료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있다.
당뇨병 환자의 경우에는 반복적인 혈당 측정을 통해 혈당 관리를 수행하여야 한다. 혈당 측정 장치는 휴대용으로 개발되어 있으므로 누구나 용이하게 혈당을 측정할 수 있지만, 혈액 시료 채취를 위하여 바늘로 피부를 찌르는 시술을 회피할 수는 없다. 정확한 혈당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선 환자 자신이 하루에도 여러번 바늘로 찔러야 하는데, 이때 생기는 심리적 신체적 고통이 환자들로 하여금 정확한 혈당 측정을 불가능하게 하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이유로 바늘로 찌르지 않으면서 최소 침습으로써 연속적으로 혈당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바이오 센서를 이용하는 이식형 측정 장치가 다수 개발되어 있다. 이식형 혈액 측정 장치는 바이오 센서를 포함하는 혈액 측정 장치를 인체내에 이식함으로써, 인체내 혈액의 흐름으로부터 바이오 센서가 특정 성분을 감지할 수 있게 한 장치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혈액 측정 장치는 대다수가 피부밑에(subcutaneous) 바이오 센서를 찔러 넣고 피부에 전송 장치를 접착 시켜(반창고- bio tape 등으로) 혈당을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장치이다. 하지만 이들의 문제점은 피부가 움직이므로 장치가 고정되기 어렵고 센서 또한 장기간 사용이 불가능하고(약 200 시간 미만), 장치가 안정적이지 못하여 캘리브레이션이 자주 필요하고 부정확한 측정이 많아진다는 것이다.
다른 형태로서, 혈액 측정 장치는 치아 임플란트의 유형으로 개발되었으며, 예를 들어 바이오 센서가 임플란트의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잇몸 조직 또는 치조골내의 혈액으로부터 혈당과 같은 혈액의 성분을 측정할 수 있게 한다.
도 1 은 등록 특허 제 1443827 호에 개시된 혈액 측정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특허의 혈액 측정 장치는 치아 임플란트의 형태로 구성된다. 즉, 이러한 혈액 측정 장치는 환자의 골조직(10)에 식립되는 피스츄어(100)와, 상기 픽스츄어(100)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200)와, 상기 어버트먼트(200)내에 구비되는 감지 유닛(300)과, 전류 공급 및 발신부(500)와, 어버트먼트(200)에 결합되는 커버(600)를 구비한다. 커버(600)에는 치아 보철물(700)이 장착된다. 픽스츄어(100)에는 내부 공간(100)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으로의 관통공(210)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210)을 통하여 유입되는 혈액을 측정하도록 바이오 센서(320)가 구비되고, 바이오센서(320)에서 발생된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 부품(330)이 구비된다. 또한 전원 공급 및 발신부(500)가 가 전선(510)을 통해 바이오센서(320)와 연결됨으로써 전류 및 신호 전달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혈액 측정 장치는 치아 보철물(700)과 함께 구성되므로, 장치의 안정성이 확보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인간이 음식물을 씹을 때는 강한 압력이 치아에 가해지므로, 치아 보철물(700)의 하부에 배치된 혈액 측정 장치의 구성 요소들은 그러한 압력으로 인한 영향을 받게 되며, 파괴 및 고장의 가능성이 크다. 더욱이, 상기 혈액 장치에서는 혈액이 바이오센서(320)에 도달하기 위하여 관통공(210)을 통해 유동하여야 하는데, 상기 관통공(210)은 혈액 측정 장치의 전체적인 강성을 약화시킬 뿐만 아니라, 관통공(210)을 통한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에 바이오 센서(320)를 통한 혈액 측정 자체가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바이오 센서(320)를 어버트먼트(200)의 내부 공간에 배치하므로, 정확한 측정을 위하여 필요한 바이오센서(320)의 면적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없고, 신호 처리 부품(330)의 배치를 위한 공간도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등록 특허 제 1534182 호에는 혈당 측정이 가능한 치과용 임플란트가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도 혈당 측정을 위한 구성 요소들을 치아 임플란트의 내부에 구비하며 구강내의 잇몸 유체(gingival fluid)에서 혈당을 측정 하는데, 문제는 환자가 음식을 섭취할 때마다 직접적인 음식의 접촉에 의해 혈당의 정확한 연속적 측정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이들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강내 치조골에 이식되어 혈액을 측정할 수 있는 혈당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되고 개별 구성 요소를 위한 공간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는 혈당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고 감염의 가능성이 없는 혈당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치조골내에 결합될 수 있고 개방된 저부를 가지는, 외부 실린더;
상기 외부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개방된 저부를 가지는 내부 실린더;,
상기 내부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 실린더의 개방된 저부 및 상기 내부 실린더의 개방된 저부를 통해 노출된 바이오 센서;
상기 내부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바이오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프로세싱하는 데이터 프로세서;
상기 내부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데이터 프로세서로부터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기; 및,
상기 내부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바이오 센서, 상기 데이터 프로세서 및, 상기 송신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구비하는 혈당 측정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외부 실린더는 상기 외부 실린더의 외부 표면의 일부에 형성된 외측 나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외부 실린더는 상기 외측 나사가 상기 치조골내에 자체 태핑(self-tapping)함으로써 매식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외부 실린더의 내부 표면에 형성된 내측 나사와 상기 내부 실린더의 외부 표면에 형성된 외측 나사가 서로 맞물린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외부 실린더의 상부에서 내측 표면은 테이퍼 면으로서 형성되고, 예를 들어 모어 테이퍼(morse taper)로서 형성되고, 상기 내부 실린더의 외부 표면도 대응 테이퍼 면으로서 형성됨으로써, 상기 내부 실린더가 상기 외부 실린더 안에 설치될 때 상기 외부 실린더의 테이퍼 면과 상기 내부 실린더의 대응 테이퍼 면 사이에 밀접한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혈당 측정 장치는 구강내의 구후 삼각대(retomlar pad) 또는 치아가 없는 영역(edentuluos area)등에 매식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외부 실린더 및 상기 내부 실린더는 티타늄 재료로 제작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바이오 센서는 상기 치조골을 통해 흐르는 혈액에 포함된 성분을 감지한다. 이와 같이 측정된 성부 데이터는 외부 장치인 스마트폰,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로 송신되어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혈당 측정 장치는 구강내의 구후 삼각대 (retomlar pad) 또는 치아가 없는 영역(edentuluos area)등에 매식되고 고정되므로, 치아의 저작 작용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아서 파손 및 고장의 가능성이 감소되며, 구조적인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혈당 측정 장치를 위한 각각의 구성 요소를 위한 공간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고, 특히 바이오 센서가 혈당 측정 장치의 저부에 노출된 상태로 배치되므로 측정을 위한 충분한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혈당 측정 장치는 외부 실린더 및 내부 실린더의 2 중 구조로 구성되므로 효과적인 밀봉이 가능하고, 그로 인해 세균 감염의 위험성이 감소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혈당 측정 장치는 치조골속에 고정되므로 바이오 센서가 안정적으로 같은 위치에서 혈당을 연속적으로 외부의 간섭없이 측정할 수 있다. 측정된 데이타는 실시간으로 스마트폰 또는 웨어러블 장치와 같은 환자의 외부 장치로 실시간 송신되고 환자는 실시간 데이타를 인지하므로써 자신의 생활 패턴을 바꿀수있는 동기부여가 될 수 있고, 의료진에게는 치료계획을 수립하는데 귀중한 자료가 된다. 혈당이 위험한 수치로 변화될 때, 예컨데 저혈당 쇼크일 경우, 의료진에 자동으로 연락되어 빠른 응급 처치도 가능하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혈당 측정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혈당 측정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에 도시된 혈당 측정 장치의 외부 실린더에 대한 부분적인 절단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조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혈당 측정 장치는,
치조골(B)내에 결합될 수 있도록 외부 표면에 형성된 외측 나사(11a) 및, 개방된 저부를 가지는 외부 실린더(11);
상기 외부 실린더(11)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개방된 저부를 가지는 내부 실린더(12),
상기 내부 실린더(12)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 실린더(11)의 개방된 저부 및 상기 내부 실린더(12)의 개방된 저부를 통해 노출된 바이오 센서(15);
상기 내부 실린더(12)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바이오 센서(15)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프로세싱하는 데이터 프로세서(17);
상기 내부 실린더(12)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데이터 프로세서(17)로부터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기(19); 및,
상기 내부 실린더(12)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바이오 센서(15), 상기 데이터 프로세서(17) 및, 상기 송신기(19)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21);를 구비한다.
상기 외부 실린더(11)는 전체적으로 중공형의 실린더 형상을 가지며, 외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외측 나사(11a)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혈당 측정 장치를 구강내의 구후 삼각대(retomlar pad) 또는 치아가 없는 영역(edentuluos area)등에 매식할 때, 외부 실린더(11)는 잇몸 조직(gingival tissue)을 통해 치조골(B)에 삽입되며, 이때 외부 실린더(11)에 구비된 외측 나사(11a)는 치조골(B)에 대응 나사를 형성하면서 서로 맞물림으로써 나사 결합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혈당 측정 장치는 치아가 없는 영역에 배치됨으로써 치아의 저작 작용에 따른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거나 또는 전혀 받지 않는다. 외부 실린더(11)의 외측 나사(11a)를 이용하여 외부 실린더(11)가 치조골(B)에 자체 태핑(self-tapping)되므로, 구강내에 용이하게 이식될 수 있다.
도 3 은 외부 실린더의 일부를 절단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외부 실린더(11)의 상부 및 저부는 개방된다. 외부 실린더(11)의 개방된 저부를 통해서 바이오 센서(15)가 노출된다. 외부 실린더(11)의 저부에는 고리형의 안착부(11c)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실린더(12)의 하단부에 형성된 단차부(12a)가 상기 고리형의 안착부(11c)에 안착된다.
외부 실린더(11)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서 내부 실린더(12)가 삽입될 수 있다. 외부 실린더(11)의 내부 표면중 적어도 일부에는 내측 나사(11b)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 실린더(11)의 내측 나사(11b)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실린더(12)의 외부 표면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외측 나사(12b)와 결합된다. 외부 실린더(11) 및 내부 실린더(12)는 티타늄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외부 실린더(11)의 내부 표면중 적어도 일부에 다각형 면(11d)이 형성될 수 있다. 다각형 면(11d)은 예를 들어 6 각형 면 또는 8 각형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각형 면(11d)은 외부 실린더(11)를 치조골에 식립할 때 식립 마운트(미도시)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외부 실린더(11)의 내부 표면에 형성되는 다각형 면(11d)은 상기 내측 나사(11b)와 서로 겹쳐지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호 대향하는 다각형 면(11d) 사이의 거리는 상기 내측 나사(11b)가 형성되는 부분의 직경보다 크다. 따라서, 내부 실린더(12)를 외부 실린더(11)에 삽입하여 나사 결합시킬 때 상기 다각형 면(11d)에 의하여 간섭을 받지 않는다.
외부 실린더(11)의 상부에서 내측 표면은 테이퍼 면(11e)으로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상기 외부 실린더(11)의 내측 테이퍼 면(11e)에 대응되도록, 내부 실린더(12)의 외부 표면도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 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외부 실린더(11)의 내측 테이퍼 면(11e)과 내부 실린더(12)의 외측 테이퍼 면의 테이퍼 각도를 상이하게 형성함으로써, 내부 실린더(12)가 외부 실린더(11)의 내부에 삽입되었을 때 테이퍼 면들 사이에 접촉이 이루어지고, 그에 의해 내부 실린더(12)와 외부 실린더(11) 사이에 자체적인 잠금 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외부 실린더(11) 안에 삽입된 내부 실린더(12)를 분리할 수 없는 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내부 실린더(12)와 외부 실린더(11) 사이의 밀봉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테이퍼 면들 사이의 접촉에 의한 내부 실린더(12)와 외부 실린더(11) 사이의 밀봉은 혈당 측정 장치 내부의 세균이 구강을 감염시키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역으로 구강내의 침이나 음식물에 의한 박테리아가 혈당 측정 장치 내부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2 를 참조하면, 내부 실린더(12)의 개방된 상부에는 덮개(25)가 분리 가능하게 또는 분리될 수 없게 결합된다. 덮개(25)는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나사 결합되거나, 용접되거나, 접착제로 결합될 수 있다. 덮개(25)의 중심 표면에는 공구 삽입홈(25a)이 형성된다. 공구(미도시)를 공구 삽입홈(25a)에 삽입하여 회전시킴으로써, 덮개(15) 및, 상기 덮개(25)와 결합된 내부 실린더(12)를 외부 실린더(11)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내부 실린더(12)의 하부에는 단차부(12a)와 함께 돌출부(1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2a')는 외부 실린더(11)의 개방된 저부를 통해 돌출되거나, 또는 돌출부(12a')의 저부 평면과 외부 실린더(11)의 저부 평면이 동일 평면에 놓일 수 있다. 돌출부(12a')의 내측에 바이오 센서(15)가 배치된다. 돌출부(12a')와 외부 실린더(11)의 대응면 사이에는 밀봉체(27)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덮개(25)의 외측 가장자리는 외부 실린더(11)의 상단부를 덮는 플랜지로서 형성되도록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덮개(25)가 내부 실린더(12)의 상단부에 결합될 때, 덮개(25)의 가장자리는 외부 실린더(12)의 상단부와 접촉한다. 외부 실린더(12)의 상단부와 덮개(25)의 가장자리 사이에 밀봉체(28)를 배치함으로써 외부 실린더(12)의 내부 공간을 밀봉시킬 수 있다.
바이오 센서(15)는 내부 실린더(12)의 최하부에서 돌출부(12a')내에 배치되어 내부 실린더(12)의 개방된 저부 및 외부 실린더(11)의 개방된 저부를 통해 노출된다. 결과적으로 바이오 센서(15)는 치조골(B)을 통해 흐르는 혈류와 항상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혈액 성분을 감지할 수 있다. 바이오 센서(15)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그 어떤 종류의 센서라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광학적 바이오 센서, 전기 화학적 바이오 센서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바이오 센서(15)는 외부 실린더(11)의 저면으로부터 내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즉, 내부 실린더(12)의 돌출부(12a')를 외부 실린더(11)의 저부를 지나서 돌출시키지 않음으로써, 바이오 센서(15)의 저면과 외부 실린더(11)의 저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바이오 센서(15)를 배치할 수 있다.
바이오 센서(17)의 상부에는 데이터 프로세서(17)가 배치된다. 데이터 프로세서(17)는 바이오 센서(17)로부터 감지된 혈류의 광학적, 화학적 또는 전기적인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킨다. 데이터 프로세서(17)는 송신기(19)와 통신함으로써, 혈류의 데이터는 송신기(19)를 통해 전기적인 신호로서 외부로 송신될 수 있다. 송신기(19)로부터 송신된 신호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에 수신되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바이오 센서(17), 데이터 프로세서(17) 및 송신기(19)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배터리(21)가 내부 실린더(12)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 배터리(21)는 송신기(19)와 데이터 프로세서(17) 사이에 배치되었으나, 다르게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배터리(21)가 최상부에 배치되거나, 배터리(21)와 데이터 프로세서(17)의 위치가 서로 바뀔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혈당 측정 장치는 특히 혈당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혈당 측정 장치는 외부 실린더(11)를 외측 나사(11a)를 이용하여 자체 태핑(self-tapping)을 통해 치조골(B) 내에 매식한 후에, 외부 실린더(12)를 상기 외부 실린더(11) 안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때 내부 실린더(12)에는 바이오 센서(15)를 포함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내장되어 있고, 덮개(25)로 내부 실린더(12)의 개방된 상단부가 폐쇄된 상태이다.
내부 실린더(12)는 나사(11b, 12b) 사이의 맞물림을 통해서 외부 실린더(11)에 삽입 및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덮개(25)에 형성된 공구 삽입홈(25a)이 내부 실린더(12)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내부 실린더(12)가 외부 실린더(11)의 내부에 완전하게 설치되면, 바이오 센서(15)는 외부 실린더(11)의 저부를 통해서 치조골(B)의 혈류에 노출될 수 있다. 한편, 배터리(B)가 소모됨으로써 교체의 필요성이 있을 경우에, 또는 정상적인 혈액 측정 작업이 수행되지 않을 경우에, 외부 실린더(11)는 치조골(B)의 내부에 둔 상태에서 내부 실린더(12)만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바이오 센서(15)는 내부 실린더(12)에 완전하게 접착된 상태로 제공되며, 바이오 센서(15)와 내부 실린더(15) 사이에 생체 친화적인 접착제가 이용됨으로써 내부 실린더(15)의 밀봉을 가능하게 한다.
11. 외부 실린더 12. 내부 실린더
15. 바이오 센서 17. 데이터 프로세서
19. 송신기 21. 배터리

Claims (7)

  1. 치조골내에 결합될 수 있고 개방된 저부를 가지는, 외부 실린더;
    상기 외부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개방된 저부를 가지는 내부 실린더;,
    상기 내부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 실린더의 개방된 저부 및 상기 내부 실린더의 개방된 저부를 통해 노출되어 상기 치조골을 통해 흐르는 혈류와의 접촉상태가 유지되는 바이오 센서로서, 상기 치조골을 통해 흐르는 혈액에 포함된 성분을 감지하는 상기 바이오 센서;
    상기 내부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바이오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프로세싱하는 데이터 프로세서;
    상기 내부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데이터 프로세서로부터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기; 및
    상기 내부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바이오 센서, 상기 데이터 프로세서 및, 상기 송신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구비하는 혈당 측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실린더는 상기 외부 실린더의 외부 표면의 일부에 형성된 외측 나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외부 실린더는 상기 외측 나사가 상기 치조골내에 자체 태핑(self-tapping)함으로써 매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 측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실린더의 내부 표면에 형성된 내측 나사와 상기 내부 실린더의 외부 표면에 형성된 외측 나사가 서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 측정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실린더의 상부에서 내측 표면은 테이퍼 면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내부 실린더의 외부 표면도 대응 테이퍼 면으로서 형성됨으로써, 상기 내부 실린더가 상기 외부 실린더 안에 설치될 때 상기 외부 실린더의 테이퍼 면과 상기 내부 실린더의 대응 테이퍼 면 사이에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 측정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혈당 측정 장치는 구강내의 구후 삼각대(retomlar pad) 또는 치아가 없는 영역(edentuluos area)등에 매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 측정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실린더 및 상기 내부 실린더는 티타늄 재료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 측정 장치.
  7. 삭제
KR1020150157574A 2015-11-10 2015-11-10 최소 침습 연속 혈당 측정 장치 KR101881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574A KR101881632B1 (ko) 2015-11-10 2015-11-10 최소 침습 연속 혈당 측정 장치
US15/774,505 US10980449B2 (en) 2015-11-10 2016-11-01 Minimally invasive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
PCT/KR2016/012463 WO2017082573A1 (ko) 2015-11-10 2016-11-01 최소 침습 연속 혈당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574A KR101881632B1 (ko) 2015-11-10 2015-11-10 최소 침습 연속 혈당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4880A KR20170054880A (ko) 2017-05-18
KR101881632B1 true KR101881632B1 (ko) 2018-07-24

Family

ID=58695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7574A KR101881632B1 (ko) 2015-11-10 2015-11-10 최소 침습 연속 혈당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980449B2 (ko)
KR (1) KR101881632B1 (ko)
WO (1) WO20170825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86343B2 (en) 2020-07-09 2023-10-17 Southern Implants (Pty) Ltd Dental implants with stepped thread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06138A1 (en) * 2005-05-26 2007-05-10 Beiski Ben Z Intraoral apparatus for non-invasive blood and saliva monitoring & sensing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7943A (en) * 1995-07-18 1998-03-17 Implant Innovations, Inc. Self-tapping, screw-type dental implant
US20060078847A1 (en) * 2000-09-29 2006-04-13 Kwan Norman H Dental implant system and additional methods of attachment
EP1415590A1 (de) * 2002-10-28 2004-05-06 Ecole Polytechnique Federale De Lausanne Glukose-Sensor
KR20080073546A (ko) 2007-02-06 2008-08-11 홍종운 체내 이식형 혈액 검사 장치
JP2009039267A (ja) 2007-08-08 2009-02-26 Panasonic Corp 非侵襲生体情報測定装置
WO2013016573A1 (en) 2011-07-26 2013-01-31 Glysens Incorporated Tissue implantable sensor with hermetically sealed housing
KR101322460B1 (ko) 2012-06-14 2013-10-28 주식회사 세라젬메디시스 측정장치
KR101421698B1 (ko) 2012-10-22 2014-08-06 (주)휴먼드림 혈압측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핸들, 차량용 핸들 커버, 운동기구 및 의료기구
KR101534182B1 (ko) * 2014-01-17 2015-07-24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혈당 측정이 가능한 치과용 임플란트
KR101443827B1 (ko) * 2014-02-18 2014-09-26 현기봉 비침습식 혈액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06138A1 (en) * 2005-05-26 2007-05-10 Beiski Ben Z Intraoral apparatus for non-invasive blood and saliva monitoring & sen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37269A1 (en) 2020-07-30
WO2017082573A1 (ko) 2017-05-18
US10980449B2 (en) 2021-04-20
KR20170054880A (ko) 2017-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90553B2 (en) Multimodal brain sensing lead
US20220111148A1 (en) Integrated delivery device for continuous glucose sensor
US6875195B2 (en) Portable automatic insulin syringe device with blood sugar measuring function
TWI384963B (zh) 用以在植入對象顱骨提供通道或感測其顱內情形之套件
CN110088844B (zh) 锻炼触发的心血管压力测量
US8298150B2 (en) Hemodynamic waveform-based diagnosis and treatment
US20180085059A1 (en) Wearable apparatus attaching on tooth and the sensing device fixing at tooth
EP3909506B1 (en) Medical device for detecting at least one analyte in a body fluid
US20070129769A1 (en) Wearable ambulatory data recorder
EP3318216B1 (en) Tooth wearable device
KR101534182B1 (ko) 혈당 측정이 가능한 치과용 임플란트
KR102155354B1 (ko) 무선운용 멀티센싱 임플란트 및 이를 포함하는 고위험 노인질환 상시 모니터링 시스템
US9974483B2 (en) Non-invasive blood measuring device
KR101881632B1 (ko) 최소 침습 연속 혈당 측정 장치
WO20150209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worsening of heart failure based on tidal volume
RU254329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физиологических параметров человека
US20190069822A1 (en) Sensor device for detecting at least one analyte in a body fluid of a u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