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1514B1 - 네트를 이용하여 사면에 피복된 소파블록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네트를 이용하여 사면에 피복된 소파블록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81514B1 KR101881514B1 KR1020170062244A KR20170062244A KR101881514B1 KR 101881514 B1 KR101881514 B1 KR 101881514B1 KR 1020170062244 A KR1020170062244 A KR 1020170062244A KR 20170062244 A KR20170062244 A KR 20170062244A KR 101881514 B1 KR101881514 B1 KR 1018815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et
- wave
- prevention unit
- wave dissipating
- fixing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4699 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20000785 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20001519 homo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705 High-molecular-weight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41001455273 Tetr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KAKZBPTYRLMSJV-UHFFFAOYSA-N Butadiene Chemical compound C=CC=C KAKZBPTYRLMSJ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VGGSQFUCUMXWEO-UHFFFAOYSA-N Ethene Chemical compound C=C VGGSQFUCUMXWE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977 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276420 Lophius piscatori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PPBRXRYQALVLMV-UHFFFAOYSA-N Styrene Chemical compound C=CC1=CC=CC=C1 PPBRXRYQALVLM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10741 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UHMWP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52 polymer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44 soa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71 soo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78 Acryl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25 Acry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NLHHRLWOUZZQLW-UHFFFAOYSA-N Acrylonitrile Chemical compound C=CC#N NLHHRLWOUZZQL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877 Melami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40 Melamin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SQUKJJJFZCRTK-UHFFFAOYSA-N Urea Chemical compound NC(N)=O XSQUKJJJFZCRT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807 Urea-formaldehy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22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620 biologic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0 brush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02 carb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27 cl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94 climb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026 co-polymer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45 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2 electrical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28 ero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WHWDWIHXSPCOKZ-UHFFFAOYSA-N hexahydrofarnesyl aceton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 WHWDWIHXSPCOK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03 high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00 high-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373 ind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70 lim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67 medic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961 part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JTJMJGYZQZDUJJ-UHFFFAOYSA-N phencyclidine Chemical class C1CCCCN1C1(C=2C=CC=CC=2)CCCCC1 JTJMJGYZQZDUJ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11 pheno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122 polyamid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10 polycaprolact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116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749 polyuretha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2 seas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050 silico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91 soa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228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8—Structures of loose stones with or without p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변 토목구조물을 파도로부터 보호하도록 설치되는 방파시설의 유실이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 방파시설을 지중이나 수중에 고정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해류나 파도로부터 토목구조물을 보호하기 위해 지중이나 수중에 포설되는 복수의 소파블록; 서로 결합된 상기 소파블록들을 일체로 수용하여 상기 소파블록들의 유실을 방지하고, 파도에 대항하면서 상기 소파블록들 간의 결속력을 강화하여 상기 소파블록들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유닛; 및 상기 이탈방지유닛을 통해서 상기 소파블록들의 결속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탈방지유닛을 지지하기 위해서 상기 이탈방지유닛의 일부분을 지면과 해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유닛은, 상기 소파블록들의 하부와 지면이나 해저면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상기 소파블록들의 하부를 받쳐주면서 하면을 이루는 그물망 형상의 하부네트; 상기 하부네트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작되며 상기 소파블록들의 상부를 감싸고 상기 하부네트와 연결되어 상기 소파블록들의 결속력을 지지하면서 상면을 이루는 상부네트; 및 상기 상부네트와 상기 하부네트를 일체로 연결하고 일체로 연결된 상기 상하부네트가 상기 소파블록들을 수용하도록 하여 결속력을 증가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방파제용 소파블록들을 고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파블록들을 결속시키면서 고정하는 네트를 이용하여 사면에 피복된 소파블록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항만 또는 연안지역에서 계절에 따라 발생을 하는 온대성저기압이나 태풍 등으로 거대한 파도가 덮쳐오면 항만에 정박 중이거나, 피항 중인 선박이나 어선 등이 파손되거나 고장의 원인이 된다.
또한, 연안지역에서는 구축된 제방을 넘어오는 파도에 의한 침수의 위험이 발생하며, 또한 해변에 침식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높은 파도의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서 해안 지역에는 소파블럭(예; 테트라포드 등)을 적층으로 쌓아서 방파제를 구축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적층으로 사용되는 테트라포드와 같은 소파 구조물은 대부분 경질체이며, 높은 파도에 의한 파력 작용 시 이탈 및 파괴 등의 피해가 발생하는 파력에 대한 내구성이 장기적으로는 부족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설명하는 소파블럭에 대한 일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상기 설명되는 종래의 연안지역이나 항만지역의 보호용 제방 또는 방파제에서 태풍 등에 의한 파도 등의 물살을 구조적으로 상쇄함으로서, 상기 지역의 침수피해 및 연안구조물 파손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설명하는 연안지역이나 항만용 제방 또는 방파제에서 소파블록의 이탈 및 파괴 피해를 방지하고 안정적인 소파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데 여러 가지 어려움이 많았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예가 선행기술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1-0074578호 `항만이나 연안지역에서 소파 방지를 위한 블럭`에서 개시 되었다.
종래기술은 항만이나 연안지역의 경사지에서 외해에서 내해로 들이치는 파랑을 소파 할 수 있도록 연속 반복적으로 기소를 고정시켜 주되, 상기 기소에서 볼록봉을 돌출로 결합되는 블록에 있어서, 상기 볼록봉을 외접으로 감싸주면서 접합되는 기둥관을 구비시켜 주되, 상기 볼록봉과 기둥관의 이격구간인 하측에는 파킹과 고정핀으로 결합되는 고정구를 구비시켜 주고, 상기 기둥관의 중, 상측구간에 결속구을 관통시켜 준다.
상기 결속구에는 타원형 가지관을 결합시켜주고, 상기 결속구에 삽설되는 가지관을 결합시켜 주되, 상기 가지관의 단부에는 주위의 기둥관에서 결속으로 결합되는 가지관을 서로 결합으로 고정시켜서 구성되는 블록을 제공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기둥관의 하측구간에는 결속관으로 고정시켜 주되, 상기 타원형가지관의 양측 단부를 고정시켜 주고, 상기 기둥관과 가지관 구간사이를 원호형결속관로 결합시켜 주고, 상기 기둥관은 보강구가 나선권회로 보강된 합성수지제 파이프로 형성시켜 주고, 상기 가지관에는 만곡을 위한 요철구간을 구비시켜서 제공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볼록봉을 굽힘성과 복원성이 보강된 볼록봉으로 구성하여 주고, 상기 볼록봉에 결합된 기둥관이나 가지관에 소파저지구를 결합시켜 주고, 상기 블록의 기둥관에 고정된 결속관과 지지관을 연속적으로 연결함으로서 설치되는 넓은 구간의 블록단지로 구성함으로서, 월파에 대한 소파력을 보강하여 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최근 기후변화의 영향 등으로 우리나라 연안에서의 설계파가 상향되고 있으며, 깊은 수심에 방파제가 건설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어 방파제에 사용되는 소파블록의 소요중량이 매우 커지고 있다.
실제로 근년에 가거도항 또는 서귀포항 방파제에서는 태풍으로 인해 방파제에 피복된 소파블록의 대규모 피해가 발생하여 보강공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 곳에 시공되는 소파블록의 개별 중량은 100톤을 초과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방파제 소파블록으로는 테트라포드(TTP)가 가장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 테트라포드의 경우 중량이 커질수록 잘 깨지는 취약성이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다양한 형태의 이형 소파블록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실험실 환경에서 방파제의 수리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할 경우 방파제 전면 소파블록의 이탈 및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네트를 소파블록 피복층 위와 아래에 포설하고 위 아래 네트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조치를 취하고 있다.
이렇게 할 경우 실험 중 소파블록의 변형(displacement)은 일부 발생하지만 이탈 및 파손(destruction)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러한 방법을 실제 바다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본 발명을 통해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소파블록 피복층 위와 아래에 네트를 포설하고 두 층의 네트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소파블록의 이탈 및 파손을 방지하거나 저감하는 네트를 이용하여 사면에 피복된 소파블록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장치를 통해 방파제에 작용하는 파에 의한 소파블록의 국부적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위해서는 네트를 구성하는 로프의 강성이 아주 커야 하며, 자외선 및 염도에 대한 장기 내구성(long-term durability)을 확보하고 있는 소재를 사용해야 한다.
이러한 장치를 이용하여 사면에 피복된 소파블록의 움직임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방파제의 장기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네트를 이용하여 사면에 피복된 소파블록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네트를 이용하여 사면에 피복된 소파블록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장치는, 해변 토목구조물을 파도로부터 보호하도록 설치되는 방파시설의 유실이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 방파시설을 지중이나 수중에 고정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해류나 파도로부터 토목구조물을 보호하기 위해 지중이나 수중에 포설되는 복수의 소파블록; 서로 결합된 상기 소파블록들을 일체로 수용하여 상기 소파블록들의 유실을 방지하고, 파도에 대항하면서 상기 소파블록들 간의 결속력을 강화하여 상기 소파블록들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유닛; 및 상기 이탈방지유닛을 통해서 상기 소파블록들의 결속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탈방지유닛을 지지하기 위해서 상기 이탈방지유닛의 일부분을 지면과 해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유닛은, 상기 소파블록들의 하부와 지면이나 해저면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상기 소파블록들의 하부를 받쳐주면서 하면을 이루는 그물망 형상의 하부네트; 상기 하부네트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작되며 상기 소파블록들의 상부를 감싸고 상기 하부네트와 연결되어 상기 소파블록들의 결속력을 지지하면서 상면을 이루는 상부네트; 및 상기 상부네트와 상기 하부네트를 일체로 연결하고 일체로 연결된 상기 상하부네트가 상기 소파블록들을 수용하도록 하여 결속력을 증가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상하부네트를 연결시키며 설정된 길이의 강재나 합성수지로 제작되고 상하단에는 연결용 너트가 결합되어 있는 연결로프; 및 상기 연결로프의 상하단에 결합된 연결용 너트에 대응하는 부분이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로프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상하부네트에 걸려지는 카라비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유닛은, 상기 소파블록들의 설정된 범위내로 가변해가면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하부네트 상부의 설정된 부분을 감싸면서 놓여지며 적어도 하나의 홀이 형성된 판형상으로 제작되는 복수의 고정편; 및 상기 고정편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며 결합되어 상기 고정편을 통해서 상기 하부네트를 지면이나 해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용 못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네트는, 호모 폴리머나 코폴리머로 이루어진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네트 및 연결로프는, 상기 상부네트와 동일하게 폴리에틸렌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네트를 이용하여 사면에 피복된 소파블록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장치는, 자외선 및 해수에 노출되는 해양 환경에서의 장기 내구성(long-term durability)을 확보할 수 있는 소재인 고강도의 축중합체로 만들어진 네트를 사용하여 파가 방파제에 작용할 경우 소파블록의 국부적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최근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계열의 섬유 또는 이와 유사한 소재를 사용한 네트가 다수 개발되었는데, 이러한 네트를 적용할 경우 위에 언급된 요구 성능을 만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방법을 통해 소파블록의 소요 중량을 네트가 설치되지 않을 경우에 비해서 10~20% 이상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소파블록의 이탈 피해 방지 효과도 탁월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상기 소파블록들을 고정시키는 네트는 방파제에서 낚시를 하는 낚시꾼이나 관광온 관광객 등이 방파제에서 실족하여 추락하는 경우에 네트를 잡거나 네트에 걸리면서 인명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를 이용하여 사면에 피복된 소파블록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장치의 전체개념도.
도 2는 가변형으로 설치된 상기 이탈방지유닛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가변형으로 설치된 상기 이탈방지유닛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상기 이탈방지유닛의 하부네트를 바닥면에 고정시킨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상기 연결부재의 부분상세도.
도 2는 가변형으로 설치된 상기 이탈방지유닛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가변형으로 설치된 상기 이탈방지유닛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상기 이탈방지유닛의 하부네트를 바닥면에 고정시킨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상기 연결부재의 부분상세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를 이용하여 사면에 피복된 소파블록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장치의 전체개념도이고, 도 2는 가변형으로 설치된 상기 이탈방지유닛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가변형으로 설치된 상기 이탈방지유닛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상기 이탈방지유닛의 하부네트를 바닥면에 고정시킨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상기 연결부재의 부분상세도이다.
도 1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변 토목구조물을 파도로부터 보호하도록 설치되는 방파시설의 유실이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 방파시설을 지중이나 수중에 고정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은 소파블록(100), 이탈방지유닛(200) 및 고정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파블록(100)은 해류나 파도로부터 토목구조물을 보호하기 위해 지중이나 수중에 포설되는 복수의 구성요소이다.
소파블록(100)은 일반적으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적어도 하나의 다리가 방사상으로 배열되며 서로 간의 다리가 맞물리면서 결합되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즉, 소파블록(100)은 일반적으로 테트라포드(tetrapod) TTP 라고 하는데, 파랑의 소파(消波)를 위해서 피복석 대신 사용하는 콘크리트 이형(異型) 블록으로, 4개의 뿔 모양으로 생겼으며 방파제나 호안 등에 사용되어 파랑 에너지를 약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소파블록(100)은 상기의 형상에만 국한되지는 않으며 최선의 형상으로 제작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유닛(200)은 서로 결합된 소파블록(100)들을 일체로 수용하여 소파블록(100)들의 유실을 방지하고, 파도에 대항하면서 소파블록(100)들 간의 결속력을 강화하여 소파블록(100)들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탈방지유닛(200)은 소파블록(100)들의 설정된 범위내로 가변해가면서 제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도나 바람의 영향이 많은 부분을 중심으로 상하부네트(210, 220)의 크기를 조절하여 포설하거나, 상하부네트(210, 220)의 크기를 다르게 포설하여 효율적으로 상하부네트의 활용이 가능하여 경제적이며 설치작업을 간편화 시킬 수 있다.
이탈방지유닛(200)은 하부네트(210), 상부네트(220) 및 연결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네트(210)는 소파블록(100)들의 하부와 지면이나 해저면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소파블록(100)들의 하부를 받쳐주면서 하면을 이루는 그물망 형상의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상부네트(220)는 하부네트(210)와 대응하거나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되며 소파블록(100)들의 상부를 감싸면서 하부네트(210)와 연결되어 소파블록(100)들의 결속력을 지지하면서 상면을 이룰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30)는 상부네트(220)와 하부네트(210)를 일체로 연결하고 일체로 연결된 상하부네트(210, 220)가 소파블록(100)들을 수용하도록 하여 결속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연결부재(230)는 연결로프(232)와 카라비너(2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로프(232)는 상하부네트(210, 220)를 연결시키며 설정된 길이의 강재나 합성수지로 제작되고 상하단에는 연결용 너트(233)가 결합되어 있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카라비너(234)는 연결로프(232)의 상하단에 결합된 연결용 너트(233)에 대응하는 부분이 하부에 구비되어 연결로프(232)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하부네트(210, 220)에 걸려질 수 있다.
여기서, 카라비너(234)는 일반적으로 등반할 때 사용하는 D 모양의 링으로 한쪽 면의 안쪽으로 열 수 있는 스프링이 달려 있는 구조로 피톤에 로프를 잇거나, 빌레이 지점에 로프를 연결하거나, 등반하는 사람의 벨트에 부착해 빌레이에 연결하는 경우 등에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상하부네트(210, 220) 연결 방법은 상기의 카라비너(234)에 의한 방법 이외에도 로프끼리 직접 직조하여 연결하거나 로프를 묶는 방식 또는 로프가 상하부네트를 관통하고 조임고리를 이용하여 로프를 조이면서 고정시키는 방식 등 현장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방식을 채택하여 연결이 가능하다.
상하부네트(210, 220) 및 연결로프(232)는 호모 폴리머나 코폴리머로 이루어진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은 그 반복단위가 에틸렌으로만 이루어진 호모 폴리머(homopolymer)로 이루어진 경우와, 그 반복단위가 실질적으로 에틸렌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모노모가 소량 공중합되는 코폴리머(copolymer)로 이루어진 경우 모두를 말한다.
코폴리머란, 공중합체로서, 품질, 강도, 외관 등의 다양성을 가지며, 아크릴로 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등 3계통의 공중합수지로 철보다도 단단한 ABS 수지가 그 예이다.
호모폴리머(homopolymer)란,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단위가 같은 간격으로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중합체를 말하며 코폴리머(혼성 중합체)에 대응한 말로서, 1 종류의 단위체의 중합에 의해 얻어진 중합체 또는 2 종 이상의 단위체로 된 혼성 중합체에서도 단위체가 서로 규칙적으로 결합하고 있는 것 및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와 같이 반복 단위가 두 개의 반응 성분으로 만들어진 1개의 잔기에서 생성되어 있는 중합체 등이 그것이다.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UHMWPE)은 분자량 백만 이상의 폴리에틸렌을 말한다. UHMWPE는 높은 분자량에 기인한 높은 인장강도 및 탄성률, 내화학성 과 내마모성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하여 UHMWPE는 다양한 분야, 특히 bearing components, gear, guide rails 와 medical materials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UHMWPE)은 선형 폴리에틸렌으로 매우 분자량이 큰 재료이다.
이것의 평균 분자량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분자량의 10배 정도이다. 섬유 형태의 초고 분자량 폴리에틸렌은 Spectra 라는 이름으로 판매되고 있다.
재료의 특성은 매우 높은 충격 저항, 마모 및 마멸에 대한 높은 저항, 매우 낮은 마찰 계수, 자체 윤활 및 비접착 표면, 매우 우수한 화학적 저항, 탁월한 저온 특성, 우수한 소리 차단 및 에너지 흡수 특성, 전기적으로 절연 및 우수한 유전 특성, 그러나 이 재료는 상대적으로 낮은 용융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기계적 특성이 급격히 저하된다.
이러한 여러 우수한 특성을 동시에 나타내기 때문에 이 재료는 방탄 조끼, 군사용 복합 재료 헬멧, 낚시 줄, 스키의 바닥 표면, 골프 공 코어, 볼링장 바닥, 빙상 경기장 바닥 표면, 생체 재료, 혈액 필터, 덩어리 재료를 처리하는 장치(예:석탄, 곡물, 시멘트 등), 브러싱, 펌프 날개, 가스켓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하부네트(210, 220) 및 연결로프(232)의 소재로 고분자 수지가 사용될 수 있는데, 고분자 수지에 대해서 알아보면, 내충격성, 내마모성, 낮은 마찰계수, 매우 높은 충격 저항성이 있고, 마모 및 마멸에 대한 높은 저항성을 지니며, 자체 윤활 및 비접착 표면과 매우 우수한 화학적 저항성, 탁월한 저온성, 우수한 소리 차단성 및 에너지 흡수성, 전기적으로 절연성을 지닌다.
종류로는 폴리우레탄 수지, 페놀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아크릴수지, 우레아/메라민 수지, 실리콘수지 등이 있다.
구체적으로, 한번의 포설작업을 거치면 교체나 변경작업이 쉽지 않은 하부네트(210)를 강성이 강하면서 내구성이 뛰어난 강재로 제작하여 상부네트(220)와는 다르게 반영구적인 수명의 확보가 가능하므로 소파블록(100)들을 제거하고 교체작업이나 보수작업을 해야하는 번거러운 절차들을 대폭 줄여줄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300)는 이탈방지유닛(200)을 통해서 소파블록(100)들의 결속이 가능하도록 이탈방지유닛(200)을 지지하기 위해서 이탈방지유닛(200)의 일부분을 지면과 해저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부재(300)는 고정편(310)과 고정용 못(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편(310)은 하부네트(210) 상부의 설정된 부분을 감싸면서 놓여지며 적어도 하나의 홀이 형성된 판형상으로 제작되는 복수의 구성일 수 있다.
상기 고정용 못(320)은 고정편(310)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며 결합되어 고정편(310)을 통해서 하부네트(210)를 지면이나 해저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용 못(320)은 하부네트(210)를 지면이나 해저면에 고정시키는 볼트나 앵커볼트 등의 방식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재(310, 320)는 하부네트(210)를 지면이나 해저면에 단단히 고정하여 소파블록(100)의 무게를 지탱하면서 소파블록(100)들의 결속력을 견고히 유지시켜줄 수 있도록 갈고리 형상이나 민머리 형상 등의 다양한 형태의 앵커볼트들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소파블록(100)들을 고정시키는 상하부네트(210, 220)는 방파제에서 낚시를 하는 낚시꾼이나 관광온 관광객 등이 방파제에서 실족하여 추락하는 경우에 상하부네트(210, 220)를 잡거나 상하부네트(210, 220)에 걸리면서 인명사고를 방지하는 효과도 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고정장치
100 : 소파블록
200 : 이탈방지유닛
210 : 하부네트
220 : 상부네트
230 : 연결부재
232 : 연결로프
233 : 연결용 너트
234 : 카라비너
300 : 고정부재
310 : 고정편
320 : 고정용 못
100 : 소파블록
200 : 이탈방지유닛
210 : 하부네트
220 : 상부네트
230 : 연결부재
232 : 연결로프
233 : 연결용 너트
234 : 카라비너
300 : 고정부재
310 : 고정편
320 : 고정용 못
Claims (6)
- 해변 토목구조물을 파도로부터 보호하도록 설치되는 방파시설의 유실이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 방파시설을 지중이나 수중에 고정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해류나 파도로부터 토목구조물을 보호하기 위해 지중이나 수중에 포설되는 복수의 소파블록;
서로 결합된 상기 소파블록들을 일체로 수용하여, 상기 소파블록들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유닛; 및
상기 이탈방지유닛을 지지하기 위해서 상기 이탈방지유닛의 일부분을 지면이나 해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유닛은,
상기 소파블록들의 하부와 지면이나 해저면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상기 소파블록들의 하부를 받쳐주면서 하면을 이루는 그물망 형상의 하부네트;
상기 하부네트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작되며 상기 소파블록들의 상부를 감싸면서 상면을 이루는 상부네트; 및
상기 상부네트와 상기 하부네트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상부네트와 상기 하부네트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상부네트와 상기 하부네트 사이에 위치되고, 기 설정된 길이를 갖는 연결로프;
상기 연결로프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결합된 연결용 너트; 및
상기 연결로프의 상단 및 하단에 결합된 상기 연결용 너트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네트와 상기 하부네트에 걸려지는 카라비너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하부네트 상부의 설정된 부분을 감싸면서 놓여지며 적어도 하나의 홀이 형성된 판형상으로 제작되는 복수의 고정편; 및
상기 고정편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며 결합되어 상기 고정편을 통해서 상기 하부네트를 지면이나 해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용 못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네트는,
호모 폴리머나 코폴리머로 이루어진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으로 제작되고,
상기 하부네트 및 연결로프는,
상기 상부네트와 동일하게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를 이용하여 사면에 피복된 소파블록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상부네트의 경계와 상기 하부네트의 경계를 연결하고, 상기 상부네트의 경계와 상기 하부네트의 경계를 따라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를 이용하여 사면에 피복된 소파블록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유닛은,
상기 소파블록들의 설정된 범위내로 가변해가면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를 이용하여 사면에 피복된 소파블록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2244A KR101881514B1 (ko) | 2017-05-19 | 2017-05-19 | 네트를 이용하여 사면에 피복된 소파블록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2244A KR101881514B1 (ko) | 2017-05-19 | 2017-05-19 | 네트를 이용하여 사면에 피복된 소파블록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81514B1 true KR101881514B1 (ko) | 2018-07-23 |
Family
ID=63102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62244A KR101881514B1 (ko) | 2017-05-19 | 2017-05-19 | 네트를 이용하여 사면에 피복된 소파블록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81514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06572U (ko) * | 2009-12-23 | 2011-06-29 | 이종상 | 낙석방지망용 와이어로프 고정장치 |
KR20130012896A (ko) | 2011-07-26 | 2013-02-05 | 민승기 | 항만이나 연안지역에서 소파 방지를 위한 블럭 |
KR101413262B1 (ko) * | 2013-10-01 | 2014-06-27 | 주식회사 청수환경 | 하천 바닥 및 비탈면에 시공되는 키 스톤 매트리스 및 이의 시공 방법 |
KR20140137911A (ko) * | 2013-05-24 | 2014-12-03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팽창형 결속앵커와 네트를 이용한 소파블록의 유실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파블록의 유실방지방법 |
KR20150059753A (ko) * | 2012-10-05 | 2015-06-02 | 엔브이 베카에르트 에스에이 | 하이브리드 로프 |
-
2017
- 2017-05-19 KR KR1020170062244A patent/KR10188151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06572U (ko) * | 2009-12-23 | 2011-06-29 | 이종상 | 낙석방지망용 와이어로프 고정장치 |
KR20130012896A (ko) | 2011-07-26 | 2013-02-05 | 민승기 | 항만이나 연안지역에서 소파 방지를 위한 블럭 |
KR20150059753A (ko) * | 2012-10-05 | 2015-06-02 | 엔브이 베카에르트 에스에이 | 하이브리드 로프 |
KR20140137911A (ko) * | 2013-05-24 | 2014-12-03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팽창형 결속앵커와 네트를 이용한 소파블록의 유실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파블록의 유실방지방법 |
KR101413262B1 (ko) * | 2013-10-01 | 2014-06-27 | 주식회사 청수환경 | 하천 바닥 및 비탈면에 시공되는 키 스톤 매트리스 및 이의 시공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166414B2 (ja) | 海洋保護バリアシステム | |
US7651299B2 (en) | Anchoring cable with new structure and materials to buffer stress and restore elasticity | |
US7524140B2 (en) | Wave attenuator and security barrier system—adjusting | |
US4242010A (en) | Method and means for protecting a sea bottom surface and an installation on same | |
US8020836B2 (en) | Security barrier | |
US20040018060A1 (en) | Protection barrier apparatus | |
CN1696408A (zh) | 防护网及其制造方法 | |
GB2068847A (en) | Interconnecting system for marine floats | |
US10378862B2 (en) | Security and debris barrier | |
WO2007124034A2 (en) | Stabilizer with cathodic protection | |
US9624636B2 (en) | Multi-stage suspended wave screen and coastal protection system | |
KR101805889B1 (ko) | 네트를 이용하여 사면에 피복된 소파블록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방법 | |
US6565283B1 (en) | Artificial reef unit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 |
KR101002006B1 (ko) | 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단부를 보강한 인공어초 겸용 테트라포드 | |
CN106677120A (zh) | 一种消中长周期波浪的浮式防波堤 | |
KR101777548B1 (ko) | 완충실린더 및 이를 이용한 소파블록 구조와 그 시공방법 | |
US8695947B2 (en) | Security barrier system | |
KR101881514B1 (ko) | 네트를 이용하여 사면에 피복된 소파블록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장치 | |
CN203332359U (zh) | 一种水上防冲击栅栏 | |
Halide et al. | Designing bamboo wave attenuators for mangrove plantations | |
EP0537261B1 (en) | Structures incorporating used vehicle tyres | |
KR20230061059A (ko) | 가동 피복형 해안 침식 방지 시설 | |
CN203332358U (zh) | 水上防冲击栅栏 | |
DE60211948T2 (de) | Aufprallschutzsystem | |
JP3103815B2 (ja) | 海底施設用人工海藻構造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